WO2011027971A2 -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및 이를 이용한 질병모델, 백신, 후보 약물 탐색 방법, 및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및 이를 이용한 질병모델, 백신, 후보 약물 탐색 방법, 및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27971A2
WO2011027971A2 PCT/KR2010/004747 KR2010004747W WO2011027971A2 WO 2011027971 A2 WO2011027971 A2 WO 2011027971A2 KR 2010004747 W KR2010004747 W KR 2010004747W WO 2011027971 A2 WO2011027971 A2 WO 2011027971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ellular vesicles
bacteria
disease
derived
derived extracell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474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027971A3 (ko
Inventor
김윤근
고용송
박경서
홍복실
김지현
김유선
이원희
김정욱
김대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이언메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이언메딕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이언메딕스
Priority to JP2012527808A priority Critical patent/JP5818793B2/ja
Priority to EP10813880.1A priority patent/EP2494865A4/en
Priority to CN201080038540.9A priority patent/CN102480932B/zh
Priority to US13/393,808 priority patent/US9201072B2/en
Priority to US13/394,113 priority patent/US8969653B2/en
Publication of WO2011027971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27971A2/ko
Publication of WO2011027971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27971A3/ko
Priority to US14/322,831 priority patent/US9274109B2/en
Priority to US14/593,933 priority patent/US927335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11Bacteria
    • G01N33/56916Enterobacteria, e.g. shigella, salmonella, klebsiella, serrat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27New or modified breeds of 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pancreatic disorders, e.g. pancreatic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025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34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hydrolase
    • C12Q1/37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hydrolase involving peptidase or proteina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07/00Modified animals
    • A01K2207/20Animals treated with compounds which are neither proteins nor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17/00Genetically modified animals
    • A01K2217/07Animals genetically altered by homologous recombination
    • A01K2217/075Animals genetically altered by homologous recombination inducing loss of function, i.e. knock ou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10Mammal
    • A01K2227/105Mur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67/00Animals characterised by purpose
    • A01K2267/03Animal model, e.g. for test or diseases
    • A01K2267/0337Animal models for infectious disea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67/00Animals characterised by purpose
    • A01K2267/03Animal model, e.g. for test or diseases
    • A01K2267/035Animal model for multifactorial diseas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from gut microbiota or gut flora, and to disease animal models using the same, prevention and / or therapeutic vaccines against diseases caused by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vesicles. .
  •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 consist of microorganisms that inhabit the digestive tract of animals, including humans, and about 100 trillion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 inhabit the human digestive tract, about 10 times the number of human cells. do.
  • Extracellular vesicles are spherical, phospholipid bilayer, 20-200 nm in size.
  • Gram-negative bacterial-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contain LPS as well as several outer membrane proteins (EY Lee et al., Proteomics in gram-negative bacterial outer membrane vesicles. Mass. Spectrom. Rev. 2008; 27; 6): 535-555). Meningococcal-derived endoplasmic reticulum has been reported in the blood of patients with severe sepsis (E. Namork and P.
  •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from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 are local diseases or sepsis characterized by inflammation of the mucous membranes, such as gastritis, peptic ulcer, gastric cancer, inflammatory growth inflammation, and colon cancer,
  • systemic inflammatory diseases such as atherosclerosis and diabetes.
  • Sepsis is a complication of local infections, such as bacteria and fungi, inducing a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MM Levi et al. 2001 SCCM / ESICM / ACCP / ATS / SIS International Sepsis Definitions Conference. Crit. Care. Med. 2003 31 (4): 1250-1256).
  • a substance secreted by a pathogen enters a blood vessel, or a substance secreted by a pathogen introduced into a blood vessel activates inflammatory cells in the blood vessel to cause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and at the same time, Activation of endothelial cells causes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thrombosis, etc., and pathogen-derived substances are distributed in important organs such as lungs, causing inflammation and tissue damage. More than% cause death (E. Lolis and R. Bucala, Therapeutic approaches to innate immunity: severe sepsis and septic shock. Nat. Rev. Drug. Discov. 2003; 2 (8): 635-645).
  • Sepsis is defined as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caused by pathogens, but more than half of sepsis patients cannot detect pathogens in the blood (RS Munford, Severe sepsis and septic shock: the role of gram-negative bacteremia. Pathol. 2006; 1: 467-496).
  • lipopolysaccharide (LPS) an endototoxin derived from Gram-negative bacteria, is introduced into the blood to cause sepsis, and studies to develop sepsis treatment based on this have been widely conducted.
  • sepsis animal model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they do not properly represent reproducibility, error between experimenters, or phenotype of sepsis occurring in humans.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diagnosis, prevention, and treatment techniques for seps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nimal model that is small in error between experimenters, has high reproducibility, and properly reflects the phenotype of sepsis occurring in humans.
  • Increased inflammatory mediators (especially IL-6) in the blood are typical indicators of sepsis.
  • An example of evaluating the effect of a candidate drug on bacterial infection by measuring inflammatory mediators secreted by bacteria is known (WO2009 / 030093 Functions and uses of human protein phosphatase 1 inhibitor-2).
  • WO2009 / 030093 Functions and uses of human protein phosphatase 1 inhibitor-2 WO2009 / 030093 Functions and uses of human protein phosphatase 1 inhibitor-2.
  • in vitro in vitro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re administered to cells to detect candidate drugs to control inflammatory mediator secretion, and in septic animal models using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to induce inflammatory mediator secretion.
  • the method of screening for candidate drugs to regulate is unknown.
  • Vaccines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have been developed for vaccines against capsular polysaccharides, but have the disadvantage of forming antibodies independent of T cells.
  • a vaccine has been developed in which a protein conjugated to a cell wall component (conjugation) has been developed, but this type of vaccine also has a limit of specifically acting only on specific bacterial subtypes.
  • the vaccine against gram-negative bacteria has not been used in clinical practice until now, and there has been a case of a vaccine developed against artificial endoplasmic reticulum obtained by detergent treatment of bacteria as a vaccine against gram-negative meningococcal bacteria (MP Girar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comprising an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nd a disease animal model using the same.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efficiently searching for candidate drugs that can prevent or treat diseases caused by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cine capable of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s caused by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cine that can prevent or treat infection by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s caused by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nd / or infection by enteric symbiotic bacteria.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diagnosing the causative agent of diseases caused by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compositions comprising an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the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 may be gram negative bacteria symbiotic in the intesti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intestinal commensal Gram-negative bacteria may be Escherichia coli , Klebsiella pneumoniae , Pseudomonas bacteria, Bacteroides bacteria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ellular vesicles may be isolated from intestinal commensal bacterial cultu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ellular vesicles include those that are naturally secreted and artificially secreted.
  • the extracellular vesicles may be isolated from feces, intestine, gastric juice, small intestine, or oral fluid, etc. of the mammal,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ease model prepared by administering an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to an animal.
  •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 and extracellular ves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described above.
  • the animal may be a mous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dminist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intravenous administration, oral administration, anal administration, nasal administration, airway administration and the like.
  • Diseas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sepsis, arteriosclerosis, acute coronary syndrome, stroke, emphysema, acute respiratory failure syndrome, osteoporosis, hypertension, obesity, diabetes, arthritis, and brain diseases.
  • the disease is oralitis, oral cancer, esophagitis, esophageal cancer, gastritis, peptic ulcer, gastric cancer, inflammatory growth inflammation, irritable growth syndrome, colon cancer, cholangitis, cholecystitis, pancreatitis, biliary tract cancer, pancreatic cancer, etc. It includes.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screening a candidate drug for disease prevention or treatment using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 extracellular vesicles, and disea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described above.
  • the search method may include the step of treating the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to the cells.
  • the cells include inflammatory cells, epithelial cells, vascular endothelial cells, stem cells, and the like.
  • the inflammatory cells include monocytes, neutrophils, eosinophils, basophils, and monocytes differentiated from tissues, and the like, but the stem cells may be cells derived from bone marrow tissue or adipose tissu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searching method may include measuring a level of an inflammation-related mediator after administering a candidate substance together with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the inflammation related mediators include Interleukin (IL) -6.
  • the search method may include the step of administering a candidate substance together with the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nd then evaluating an inflammation-related signaling process.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ccine comprising the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to prevent or treat diseases caused by the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 extracellular vesicles, diseases and the lik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described above.
  • the vaccine can be used by modifying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efficacy or reducing side effects.
  • modifications include using transformed bacteria, treating the compound with the bacterium, and the compound comprises a drug.
  • the extracellular vesicles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efficacy or reducing the side effects
  • the modification includes the treatment of the compound to the extracellular vesicles, the compound Contains drugs.
  • the vaccine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drug or in combination with an adjuvant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efficacy or reducing side effec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provides a vaccine comprising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to prevent or treat infection by enteric symbiotic bacteria.
  • the infection by the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 may be peritonitis, sepsis, pneumonia, urinary tract infection, bone joint and central nervous system inf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described above.
  • the vaccine may be modified and used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efficacy or reducing side effects.
  • modifications include using transformed bacteria, treating the compound with the bacterium, and the compound comprises a drug.
  • the extracellular vesicles can be used modified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efficacy or reducing side effects, the modification includes the treatment of the compound in the extracellular vesicles, the compound Includes drugs.
  • the vaccine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drug or in combination with an adjuvant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efficacy or reducing side effec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a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an enteric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 to a mammal at a sublethal dose.
  •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 and extracellular ves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described above.
  • the disease includes a disease caused or worsened by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the disease may be sepsis, atherosclerosis, acute coronary syndrome, stroke, emphysema, acute respiratory failure syndrome, osteoporosis, hypertension, obesity, diabetes, arthritis, brain disease, but not limited thereto. It doesn't happen.
  • the disease is oralitis, oral cancer, esophagitis, esophageal cancer, gastritis, peptic ulcer, gastric cancer, inflammatory growth inflammation, irritable growth syndrome, colon cancer, cholangitis, cholecystitis, pancreatitis, biliary tract cancer, pancreatic cancer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isease may be peritonitis, sepsis, pneumonia, urinary tract infection, bone joint and central nervous system inf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dministration includes subcutaneous injection, intravenous injection, nasal administration, sublingual administration, airway inhalation, oral administration, anal administration, skin administration, mucosal administration, and the like.
  • the extracellular vesicles can be modified and used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efficacy or reducing side effects.
  • modifications include using transformed bacteria, treating the compound with bacteria, treating the compound with extracellular vesicles, etc., wherein the compound comprises a drug.
  • the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in combination with a drug or an adjuvant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efficacy or reducing side effec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 disease, comprising a substance selected by a search method using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the substance may be a kinase inhibitor.
  • the kinase inhibitors include Damnacanthal (3-hydroxy-1-methoxy-9,10-dioxoanthracene-2-carbaldehyde), H-7 (5- (2-methylpiperazin-1-yl) sulfonylisoquinoline dihydrochloride), LY294002 (2-morpholin- 4-yl-8-phenylchromen-4-one), GF109203X (3- [1- [3- (dimethylamino) propyl] indol-3-yl] -4- (1H-indol-3-yl) pyrrole-2, 5-dione), ML-7 (1- (5-iodonaphthalen-1-yl) sulfonyl-1,4-diazepane hydrochloride), ML-9 (1- (5-chloronaphthalen-1-yl) sulfonyl-1,4 -diazepane hydrochlor
  • the substance may be a phosphatase inhibitor.
  • the phosphatase inhibitor includes PD-144795 (5-methoxy-3- (1-methylethoxy) benzo (b) thiophene-2-carboxamide-1-oxide).
  • the material may be a prodrug (prodrug).
  • the prodrugs include Amitriptyline, Cyclobenzaprine, Desipramine, Doxepin, Fluphenazine dichloride, Haloperidol, Imipramine, Maprotiline, Orphenadrine, Terfenadine, Tolfenamic acid, Trazodone HCl, Trichlormethiazide, Verapamil, and the like.
  • the disease includes a disease caused or worsened by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the disease may be sepsis, arteriosclerosis, acute coronary syndrome, stroke, emphysema, acute respiratory failure syndrome, osteoporosis, hypertension, obesity, diabetes, arthritis, brain diseases, but It is not limited.
  • the disease is oralitis, oral cancer, esophagitis, esophageal cancer, gastritis, peptic ulcer, gastric cancer, inflammatory growth inflammation, irritable growth syndrome, colon cancer, cholangitis, cholecystitis, pancreatitis, biliary tract cancer, pancreatic cancer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diagnosing the causative agent of disease by applying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described above.
  • the disease may be sepsis, arteriosclerosis, acute coronary syndrome, stroke, emphysema, acute respiratory failure syndrome, osteoporosis, hypertension, obesity, diabetes, arthritis, brain disease, but not limited thereto. It doesn't happen.
  • the disease may be oral inflammation, oral cancer, esophagitis, esophageal cancer, gastritis, peptic ulcer, gastric cancer, inflammatory growth inflammation, irritable growth syndrome, colon cancer, cholangitis, cholecystitis, pancreatitis, biliary tract cancer, pancreatic cancer
  • oral inflammation oral cancer
  • esophagitis esophageal cancer
  • gastritis peptic ulcer
  • gastric cancer inflammatory growth inflammation
  • irritable growth syndrome colon cancer
  • cholangitis cholecystitis
  • pancreatitis pancreatitis
  • biliary tract cancer pancreatic cancer
  • pancreatic cancer pancreatic cancer
  • the application may be to analyze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genetic material contained in the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the genetic material may be 16S rRNA, but is not limited thereto. no.
  • the application may be to measure the protein contained in the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or to measure the immune response to the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no.
  • the immune response measurement may be to measure the antibody to the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iagnosis may use a sample derived from blood, feces, urine, cerebrospinal fluid, joint fluid, pleural fluid, or ascit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the discovery that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from Escherichia coli symbiotic in the intestine cause systemic diseases such as sepsis characterized by systemic inflammatory reactions as well as local diseases characterized by inflammation in mucous membran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ease model using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 candidate drug search technology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s, and a vaccine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s using extracellular vesicles.
  • the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from the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 when isolated and administered to the cells, inflammatory mediators are secreted, and when administered locally, inflammation occurs in the mucosa, and when administered to the abdominal cavity, the extracellular vesicles are vascula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creening method for efficiently screening disease animal models and candidate drugs by taking advantage of the fact that diseases such as blood clotting, emphysema, hypertension, and osteoporosis occur along with sepsis that is characterized by systemic inflammatory reactions.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find drugs that can prevent or treat diseases caused by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Figure 2 is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 of extracellular vesicles extracted from the small intestine of normal mice.
  • Figure 3 is treated with a concentration of the extracellular vesicles (siEV) extracted from the small intestine of the normal mouse for 6 hour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RAW 264.7 macrophage line and then quantified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mediator IL-6 in the cell culture by ELISA method.
  • siEV extracellular vesicles
  • FIG. 4 shows the treatment of extracellular vesicles (DSS_siEV) extracted from the small intestine of DSS-induced inflammatory cell inflammation in a RAW 264.7 macrophage line for 6 hours, followed by expression of inflammatory mediator IL-6 in cell culture by ELISA. It is quantified.
  • DSS_siEV extracellular vesicles
  • Figure 5 shows the extracellular vesicles (siEV, DSS_siEV, respectively) extracted from the small intestine of inflammatory inflammatoryitis mice induced by DSS, when treated with RAW 264.7 macrophages, polymyxin B (PMB), an antagonist of LPS, to extracellular vesicles. After 6 hours of treatment,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mediator IL-6 in the cell culture was quantified by ELISA.
  • PMB polymyxin B
  • Figure 6 shows the 16s rRNA sequence of the extracted mouse enterocoli.
  • FIG. 7 and FIG. 8 are images obtained by observing the extracted mouse enteric Escherichia coli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respectively.
  •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 9 is an image of the shape and size of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from intestinal Escherichia coli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 Figure 10 shows the distribution by size of extracellular vesicles on the basis of 10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s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11 and 12 a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LPS extracted from enteric Escherichia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and enteric Escherichia coli and cultured in RAW 264.7 macrophages, and the amount of cytokine (TNF-a IL-6) by ELISA method. It is a result of a measurement.
  • FIG. 13 and FIG. 14 show the amount of BAL cells and IL-6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y administering 1, 10 and 100 ng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to the mouse nasal cavity, respectively. The result is.
  • EC_EV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FIG. 15 shows the survival rate of mice every 12 hours after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15, 25 and 50 ⁇ g into C57BL / 6 (male, 6 weeks) mice, respectively.
  • EC_EV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Figure 16 shows the inflammatory mediators TNF- ⁇ , IL-6, IL-1 ⁇ , IL-12 in the blood serum of mice collected 6, 12, 24 hours after three injections of 5 ⁇ g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three times for 12 hours. , IFN- ⁇ , IL-10, IL-17, VEGF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by ELISA method.
  • FIG. 17 shows the results of respiratory rate measurements every 24 hours after 5 ⁇ g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three injections of 12 hours each.
  • EC_EV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FIG. 18 shows the result of measuring body temperature for 3 days every 8 hours after injection of 5 ⁇ g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three times for 12 hours.
  • EC_EV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12 times three times.
  • 21 is the result of measuring blood pressure every 24 hours after 5 ⁇ g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three injections of 12 hours each.
  • EC_EV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Figure 23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platelet count 6, 12, 24 hours after the injection of 5 ⁇ g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three times for 12 hours.
  • FIG. 24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at ICAM-1 expression is increased by treating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with 0.1, 1, 5, 10 and 20 ng / ml of vascular endothelial cells, respectively.
  •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1 ng / ml to vascular endothelial cells.
  • FIG. 26 shows stained 10 ⁇ g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with cyanin-7 (cyanin-7, cy7), injec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of mice, and 6 hours after the mice were obtained by Kodak image station. Fluorescence picture of the whole body.
  •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 cyanin-7 cyanin-7, cy7
  • FIG. 27 shows staining of 10 and 20 ⁇ g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with DiO, injec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of mice, and 6 hours after the extraction of red blood cells from the blood and lungs using red blood cell (RBC) lysis buffer. After removal,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ratio of blood cells and lung tissue cells including extracellular vesicles by flow cytometry (FACS).
  • EC_EV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FIG. 28 shows the degree of wet-to-dry ratio from blood vessels to lung tissue after 6, 12 and 24 hours after injection of 5 ⁇ g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three times for 12 hours.
  • EC_EV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FIG. 29 shows the number of inflammatory cells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6, 12 and 24 hours after 5 ⁇ g injection of 5 ⁇ g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 FIG. 30 after injection of 5 ⁇ g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three times for 12 hours, 6, 12, 24 hours after the lungs were extracted and fixed in 4% formaldehyde (formaldehyde), and then made sections It is stained with hematoxylin-eosin and observed under an optical microscope.
  • EC_EV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Figure 31 is a graph measuring blood pressure after injection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0.1, 1 ⁇ g twice a week for 18 weeks.
  • EC_EV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FIG. 32 is an image of iliac bone observed through X-ray technique after 1 ⁇ g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were injected twice a week for 18 weeks.
  • EC_EV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into normal mice (C57BL / 6, male 6 weeks) and IL-6 deficient mice (C57BL / 6, male, 6 weeks). Survival rate is shown.
  • FIG. 34 shows a normal mouse (C57BL / 6, male 6 weeks) and IL-6 deficient mouse (C57BL / 6, male, 6 weeks) after injection of 5 ⁇ g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three times for 12 hours each. After 12, 24 hours, the lungs were fixed in 4% formaldehyde (formaldehyde), fixed, and then sliced and stained with hematoxylin-eosin (hematoxylin-eosin).
  • EC_EV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3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ethod for discovering drug candidates using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V).
  • EV extracellular vesicles
  • 36 is based on the measured values of the positive control group treated with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100 ng / ml) and kinase inhibitors simultaneously to mouse macrophages to treat the amount of IL-6 present in the culture with only the extracellular vesicles alone. As a percentage.
  • FIG. 37 is a graph showing the percentage of mouse macrophage IL-6 secretion induced by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when treated with kinase inhibitor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s a percentage of positive control. .
  • EC_EV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100 ng / ml
  • phosphatase inhibitors 10 ⁇ M, 1; Cantharidic acid, 2; Cantharidin. 3; Endothall, 4; Benzylphosphonic acid, 5; Lp-Bromotetramisole oxalate, 6; RK- 682, 7; RWJ-60475, 8; RWJ-60475 (AM) 3, 9; Levamisole HCl, 10; Tetramisole HCl, 11; Cypermethrin, 12; Deltamethrin, 13; Fenvalerate, 14; Tyrphostin 8, 15; CinnGEL, 16 ; CinnGEL 2 Me, 17; BN-82002, 19; NSC-663284, 20; Cyclosporin A, 21; Pentamidine, 22; BVT-948, 24; BML-268, 26; BML-260, 27; PD-144795, 28; BML-267, 29; B
  • FIG. 39 is a graph showing IL-6 secretion by treating mouse macrophages with a culture solution containing PD-144795 at a concentration of 0.1, 1, 5, 10 ⁇ M and containing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 EC_EV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FIG. 41 is a graph showing IL-6 secretion by treating mouse abdominal cavity-derived macrophages with a culture containing prodrug at a concentration of 10 ⁇ M and containing Escherichia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 EC_EV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FIG. 43 is a graph measuring the amount of endoplasmic reticulum specific antibody in mouse blood during the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1 ⁇ g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three times a week apart.
  • EC_EV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Figure 44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IFN-g secreted in vitro when treated with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to mouse splenocytes administered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vaccine.
  • Figure 45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IL-17 secreted in vitro in the treatment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in mouse splenocytes administered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vaccine.
  • Figure 46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IL-4 secreted in vitro when treated with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to mouse splenocytes administered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vaccine.
  •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 vaccine (EC_EV) in the incidence of sepsis by E. coli (EC)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 E. coli count CFU
  • EC_EV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FIG. 51 shows images of lung tissue extracted from lungs 6 hours after infection with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in the sepsis model by E. coli (EC)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 EC_EV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FIG. 52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IL-6 in mouse serum 6 hours after three times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to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5 ⁇ g).
  • EC_EV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FIG. 53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body temperature, which is an indicator of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associated with sepsis, at 6 hours after 3 times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to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5 ⁇ g). .
  • EC_EV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FIG. 54 shows the decrease in platelets in blood, an indicator of diffuse vascular coagulation, 6 hours after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inoculated three times intraperitoneally with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5 ⁇ g). Is the result
  • KP_EV Klebsiell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pecific antibody
  • Figure 56 shows that after treatment with Klebsiell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from spleen in mice intraperitoneally inocul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Klebsiell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KP_EV), CD3 + CD4 + The result shows the number of IFN-g + T cells
  • 57 shows CD3 + CD4 + after treatment of Klebsiell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in vitro with T cells harvested from the spleen in mice inocul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Klebsiell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KP_EV). The results showed IL17 + T cells.
  • KP Klebsiella pneumoniae
  • Figure 59 shows the efficacy of the Klebsiell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 vaccine in the incidence of sepsis by Klebsiella (KP) infection in mice inoculated three times intraperitoneally with 1 ⁇ g of Klebsiell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KP_EV).
  • KP Klebsiella
  • FIG. 60 is a graph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pecific antibody formation in blood upon intraperitoneal inoculation with E. coli and Klebsiell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KP_EV, respectively).
  • FIG. 61 is a graph showing the measurement of Klebsiell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pecific antibody formation in blood upon intraperitoneal inoculation with E. coli and Klebsiell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KP_EV) vaccine.
  • FIG. 62 shows the results of sequencing genetic material sequences of extracellular vesicles isolated from C57BL / 6 mouse feces.
  • 63 shows the results of sequencing the genetic material sequences of extracellular vesicles isolated from BALB / c mouse stool.
  • EC_EV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FIG. 65 shows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presence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by collecting various organs and body fluids from the group injected with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C_EV) into the mouse abdominal cavity and the group injected with PBS.
  • EC_EV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nd disease models, vaccines, candidate drug search methods, and diagnostic methods using the same.
  • gut is meant to include the interior and epithelial cell surface of mammalian digestive tracts, for example, the oral cavity, esophagus, stomach, small intestine, which is the digestive tract of mammals, including humans.
  • the internal and epithelial cell layers of the large intestine, rectum, anus, biliary tract, gallbladder, and pancreatic duct may b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gut microbiota or gut flora refers to a bacterium that inhabits the inside or the surface of a mammal's digestive tract and does not cause a disease in a normal state but has a defensive ability or a disease when it is out of the digestive tract.
  • gut microbiota or gut flora refers to a bacterium that inhabits the inside or the surface of a mammal's digestive tract and does not cause a disease in a normal state but has a defensive ability or a disease when it is out of the digestive tract.
  • enteric symbiotic bacteria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includes vesicles in which the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 secrete in the intestine or are absorbed and secreted in the body, and are smaller in size than the original cells. It is not limited.
  •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 have generally not received attention as pathogenic bacteria that cause disease. Intestinal infections caused by bacteria are mainly concerned with acute infectious diseases caused by eating foods contaminated with pathogenic bacteria. Recently, in the occurrence of gastritis, peptic ulcer, stomach cancer, etc., the bacterium Helicobacter has attracted attention. In addition, in relation to the occurrence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d colorectal cancer, bacteria that coexist in the large intestine are attracting attention. However, the importance of the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s a causative agent of the gastrointestinal diseases has not been well known.
  • the inventors have found for the first time that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induce inflammation in the mucosa and induce a Th17 immune response characterized by neutrophil inflammation, which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the pathogenesis of cancer.
  • the vesicles were administered locally to develop a disease model for these local diseases.
  • bacteria-derived substances are known to be absorbed and cause blood vessels, but the substance of the causative agent is not known.
  • the inventors have found for the first time that when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nter the blood vessels, diseases such as sepsis, vascular coagulation and emphysema, characterized by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s through inflammatory mediator secretion, occur in the blood. .
  • Intestinal commensal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re not only used for the development of sepsis, but also for the development of pulmonary diseases such as acute coronary syndrome, vascular diseases such as stroke, emphysema, and acute respiratory failure syndrome characterized by thrombosis by vascular coagulation. It is an important causative factor, and systemic administration of intestinal commensal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as developed to develop a disease model for the systemic diseases.
  • Identifying the exact causative agent is critical to developing drugs that prevent or treat disease.
  • the candidate drug may be treated to verify the efficacy, and the candidate drug may be administered to the animal model described above to verify the efficacy.
  • the present inventors established a search method for selecting candidate drugs using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to develop drugs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s caused by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That is, the above screening method detects 11 candidate drugs that inhibit inflammatory mediator secretion among 80 kinase inhibitors, 1 candidate drug among 30 phosphatase inhibitors, and 14 candidate drugs among 100 prodrugs. Efficacy was verified in the disease animal model described above. This means that the drug discovery method develop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find a drug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s caused by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the causative virus is administered to the body in attenuated form to induce an immune response against the virus, which is used to develop a preventive vaccine.
  • the disease caused by the virus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with a preventive vaccine. It became.
  •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can be administered to the body to induce an immune response against the endoplasmic reticulum,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diseases caused by enteric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systemic diseases such as sepsis, arteriosclerosis, acute coronary syndrome, stroke, emphysema, acute respiratory failure syndrome, osteoporosis, hypertension, obesity, diabetes, arthritis, brain diseases, oral inflammation, oral cancer, esophagitis, esophageal cancer, gastritis, peptic ulcer, Intestinal symbiosis as a vaccine for diseases related to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in the development of diseases such as gastric cancer, inflammatory growthitis, irritable growth syndrome, colon cancer, cholangitis, cholecystitis, pancreatitis, biliary tract cancer, and pancreatic cancer.
  • diseases such as sepsis, arteriosclerosis, acute coronary syndrome, stroke, emphysema, acute respiratory failure syndrome, osteoporosis, hypertension, obesity, diabetes, arthritis, brain diseases, oral inflammation, oral cancer, esophagitis, esophageal cancer,
  • the endoplasmic reticulum When using a bacterial-derived endoplasmic reticulum as a vaccine, the endoplasmic reticulum contains various types of proteins derived from bacteria, thereby overcoming the disadvantages of existing bacterial vaccines that induce an immune response specific to bacterial subtypes.
  • an adjuvant that induces T-cell response, which has the advantage of efficiently inducing an immune response.
  •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administers an intestinal symbiotic infection by administering an intestinal commensal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to efficiently induce Th1 and Th17 immune responses, which are important for the defense against bacteria as well as the formation of antibodies to bacterial proteins. It was found that can be prevented.
  • Intestinal commensal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include sepsis, atherosclerosis, acute coronary syndrome, stroke, emphysema,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osteoporosis, hypertension, obesity, diabetes, arthritis, brain diseases and gastritis, peptic ulcer, gastric cancer
  • the fact that it is a causative agent of local diseases such as inflammatory bowel disease, irritable growth syndrome, colorectal cancer, etc., is very important for accurately diagnosing the cause of the disease in which the causative agent is unclear.
  • the present inventors analyzed the sequencing of the genetic material of the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identified proteins, and revealed that specific antibodies to the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ere formed to accurately diagnose the causative agent of the disease. The method was developed.
  • extracellular vesicles were isolated from mouse feces and subjected to proteome analysis. As a result, a total of 295 proteins were identified, of which 73 were derived from mouse host cells, 77 were Gram-negative bacteria, and 145 were Gram-positive bacteria. Bacteroides thetaiotaomicron , Esherichia coli , and Klebsiella pneumoniae were identified as bacteria that secrete extracellular vesicles by protein analysis of extracellular vesicles isolated from feces.
  • Bifidobacterium longum Clostridium perfringens , Enterococcus faeacalis , Eubacterim rectale , Lactobacillus reuteri , Propiobacterium acnes and Streptococcus agalactiae have been identified.
  • Inflammatory growthitis is a disease characterized by chronic inflammation of the large intestine. In recent years, the inflammation caused by the Th17 immune response has attracted attention. In particular, inflammatory growthitis is a risk factor for colorectal cancer, and it is known that colorectal cancer is caused by a Th17 immune response in animal experiments. It is known that a method of making an animal model for inflammatory bowelitis by orally administering dextran sodium sulfate (DSS),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1% DSS orally administered for 6 days, in the small intestine 7 days Extracellular vesicles were isolated.
  • DSS dextran sodium sulfate
  • vesicles isolated from normal mouse small intestine did not induce the secretion of Interleukin (IL) -6, but were isolated from diseased mouse small intestine.
  • IL-6 Interleukin
  • One endoplasmic reticulum induced IL-6 secretion.
  • IL-6 is an important mediator of the Th17 immune response
  • extracellular vesicles isolated from diseased small intestine can induce Th17 immune response.
  • IL-6 was not secreted when extracellular vesicles isolated from diseased small intestine were administered with polymyxin B, which antagonizes the extracellular membrane component of Gram-negative bacteria, which causes inflammatory growth inflammation.
  •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from Gram-negative bacteria are important.
  • extracellular vesicles which are physiologically secreted from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l cultures were isolated without any physicochemical stimulation.
  • Escherichia coli was grown for a long time in the medium, and then the supernatant was collected, the material larger than the extracellular vesicles was filtered through a filter, and the concentrated solution was ultracentrifuged to separate the extracellular vesicles.
  •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contain LPS and outer membrane proteins that can induce inflammatory responses.
  • Extracellular vesicles naturally secreted into E. coli cultures consisted of 75% LPS by mass and E. coli outer and outer membrane proteins.
  • extracellular vesicles In addition to the separation of naturally secreted extracellular vesicles,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by various mechanical, electrical and chemical methods. Osmotic cell lysis, electroporation, sonication, homogenization, detergent treatment, freeze-thaw, extrusion, mechanical degradation, etc.
  • the extracellular vesicles may be prepared and then separated.
  • the extracellular vesicles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fer to extracellular vesicles that are naturally secreted by cultured bacteria.
  • extracellular vesicles were treated with mouse macrophages (RAW 264. 7).
  • RAW 264. 7 mouse macrophages
  • the secre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TNF- ⁇ and IL-6 increased in macrophages in proportion to the concentration of extracellular vesicles.
  •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ere administered to the airways to evaluate whether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locally act on the mucosa and induce inflammation.
  • BAL fluid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 IL-6 which is associated with Th17 immune response and cancer development,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concentration of endoplasmic reticulum.
  • intestinal symbiotic Gram-negative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can act locally on the mucosa and induce inflammation characterized by a Th17 immune response.
  •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ere absorbed systemically, extracellular vesicles were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to assess whether a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was induced. As a result, the mortality rate of mic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concentration of extracellular vesicles.
  • Sepsis is characterized by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SIRS) with local bacterial infection, which is composed of indicators of poor breathing, hypothermia or solidus temperature, increased heart rate, decreased or increased white blood cells, and among these indicators Meeting two or more is defined as sepsis.
  • SIRS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ere injected into the mouse abdominal cavity at a dose less than lethal dose, TNF-a IL-6, IL-12, IL-17, etc., which are inflammatory mediators in the blood, increased, such as respiration, hypothermia, leukocytes A reduction was induced. It can be seen that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re absorbed into blood vessels to secrete inflammatory mediators, thereby inducing sepsis.
  • Coagulation of blood in the blood vessels can clog the blood vessels, which is a major cause of sudden death.
  • Cerbrovascular and coronary arteries are blocked by blood clotting thrombosis, they frequently die of stroke and acute coronary syndrome, respectively.
  •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ere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to evaluate whether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induce blood coagulation when introduced into blood vessels.
  • platelets which are indicative of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 in the blood, were decreased and the amount of D-dimer was increased in the group receiving the extracellular vesicles.
  • DIC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ere treated with vascular endothelial cells (HUVECs) in order to evaluate whether the endothelium-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ct on and activate blood vessel endothelial cells.
  • VECs vascular endothelial cells
  • ICAM-1 tissue factor
  • a blood coagulation factor tissue factor
  •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 constantly secrete extracellular vesicles, which can enter blood vessels and cause various problems.
  •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hen the long-term administration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t low doses was observed, changes occurring in the body were observed. As a result, hypertension was caused by extracellular vesicles and osteoporosis also occurred. This means that the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re important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whose cause is unclear to date.
  • IL-6 i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and cancer through a variety of actions. IL-6 induces gene expression related to cell proliferation, angiogenesis, invasion and immune evasion related to cancer development through signaling through STAT3. It is known to induce cancer by neutrophil inflammation through an important Th17 immune response. In addition, the concentration of IL-6 in blood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gnosis associated with death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cluding atherosclerosis and emphysema. In particular, IL-6 secreted from inflammatory cells in the blood is known to be involved in blood coagulation by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factors related to blood coagulation by acting on vascular endothelial cells. In the present invention, E.
  •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ere injec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of normal and IL-6 deficient mice to evaluate the role of IL-6 in the etiology of disease in the sepsis animal model by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80% or more of normal mice died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but in IL-6 deficient mice all survived by vesicle administration.
  • Emphysema caused by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intraperitoneally was also caused by endoplasmic reticulum in normal mice, but not in IL-6 deficient mice. This means that IL-6 secreted in the body by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is a very important biomarker for the pathogenesis of diseases caused by extracellular vesicles.
  • the present inventors have attempted to develop a screening method for screening candidate drugs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s caused by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ere used as causative agents, and IL-6 secreted from mouse macrophages (RAW 264.7) was evaluated as an efficacy.
  • kinase inhibitor library BIOMOL No.2832: PD-98059, U-0126, SB-203580, H-7, H-9, AG-494, AG-825)
  • Lavendustin A RG-14620, Tytphostin 23, Tytphostin 25, Tytphostin46, Tytphostin47, Tytphostin 51, Tytphostin 1, Tytphostin 9, Tytphostin AG 1288, Tytphostin AG 1478, Tytphostin AG 1295, HNMPA, Damnacanthal, Piceatannol, AG-490 -126, AG-370, AG-879, LY 294002, Wortmannin, GF 109203X, Hypericin, Sphingosine, H-89, H-8, HA-1004, HA-1077, HDBA, KN-62, KN-93, ML -7, ML-9, 2-Aminopurine,
  • T-cell immune responses and antibody responses produced by B cells are important. Antibodies against bacteria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antibodies against non-protein components such as LPS and antibodies against protein components. In the former case, T cells are not affected by production, whereas in the latter case, T cells are produced. Is affected. T cell immune responses are Th2 cells that secrete gamma interferon (IFN-g), Th17 secretes IL-17, and IL-4 / IL-5 / IL-13 depending on the cytokine secretion. The most important of these are the Th1 and Th17 immune responses.
  • IFN-g gamma interferon
  • Th17 secretes IL-17
  • IL-4 / IL-5 / IL-13 depending on the cytokine secretion. The most important of these are the Th1 and Th17 immune responses.
  •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from bacteria contain not only various proteins but also an adjuvant that boosts the immune response, which can be useful as a vaccine against bacteria.
  • the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hen administered, it was evaluated whether the immune response to the bacteria can be induced. To this end, the immune response was evaluated by injecting E. coli (EC) and Klebsiella (KP) -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three times per week intraperitoneally.
  • E. coli E. coli
  • KP Klebsiella
  • the anti-vesicle vaccine was previously administered to induce an immune response to evaluate whether there is a prophylactic effect against bacterial infection and disease caused by extracellular vesicles.
  • an intestinal commensal bacterium Escherichia coli and Klebsiella bacteria were injected intraperitoneally to establish a sepsis animal model, and before inoculation of the bacteria into the intraperitoneal cells, E. coli and Klebsiell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ere induced. It was. After inducing an immune response with a vesicle vaccine, E. coli and Klebsiella were each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vaccine in the incidence of sepsis.
  • E. coli and Klebsiella E. coli-derived vesicle vaccines were administered, mortality due to sepsis caused by E. coli and Klebsiella infections was effectively suppressed.
  • E. coli-derived vesicle vaccine was administered,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ere introduced into blood vessels, and the amount of IL-6 secreted in the blood was significantly reduced. This means that in case of inducing an immune response with a vaccine of the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diseases of the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 as well as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Example 1 Proteome analysis of extracellular vesicles isolated from normal mouse feces
  • mice 25 g of feces obtained from 5 week old male C57BL / 6 mice were placed in 2 L of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and suspended at 4 ° C. for 16 hours. The suspension was centrifuged at 10,000 x g for 20 minutes at 4 ° C, then the supernatant was taken and passed through a filter with a 0.45 mm pore size. The bacteria-free passage solution was concentrated about 30-fold to 70 ml using a QuickStand Benchtop System equipped with a membrane capable of removing proteins below 100 kDa molecular weight.
  •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 the concentrated solution was centrifuged again at 10,000 x g for 20 minutes at 4 DEG C to obtain a supernatant.
  • This supernatant was mixed with 0.5 ml of 2.5 M sucrose solution (2.5 M sucrose / 20 mM HEPES / 150 mM NaCl, pH7.4) and 1 ml of 0.8 M sucrose solution (0.8 M sucrose / 20 mM HEPES / 150 mM NaCl).
  • ultracentrifuge tube containing pH 7.4 ultracentrifuged at 4 ° C. and 100,000 ⁇ g for 4 hours, followed by extracellular vesicle-containing layer located between 2.5 M and 0.8 M sucrose solution. was taken.
  • In-solution trypsin proteolysis was used for proteome analysis of mouse stool-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50 mg of the extracellular vesicles isolated by the method of the above example in the mouse feces was dissolved in a digestion solution (7 M urea, 2 M Thiourea, 100 mM NH 4 HCO 3 ), and then reduced at 60 ° C. for 45 minutes using 10 mM DTT. reduction. Thereafter, the sample was cooled to room temperature, 55 mM iodoacetamide was added thereto, and the protein was alkylated for 3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while blocking light.
  • Mass spectrometry was performed using nano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Nano-LC-ESI-MS / MS).
  • the digested peptides of the mouse stool-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prepared by the in-solution digestion method were loaded on a column (75 mm x 12 cm) filled with a 5 mm C18 resin (75 mm x 12 cm) and separated by the following method: 3- 40% buffer B 70 min; Blood flow rate 0.3 ml / min (buffer A composition: 0.1% formic acid in H 2 O, buffer B composition: 0.1% formic acid in acetonitrile).
  • the isolated peptides were analyzed using LTQ-ion-trap mass spectrometer (Thermo Finnigan).
  • the voltage of the ionized electrospary was 1.9 kV, and mass spectrometry (MS / MS) was performed under a condition of 35% normalized collision energy. All spectra were acquired with a data-dependent scan.
  • the parameters of the LTQ were the fragmentation of the five most abundant spectra in full MS scan, the repeat count of dynamic exclusion was 1, The repeat duration was set to 30 seconds, the dynamic exclusion duration to 180 seconds, the exclusion mass width to 1.5 Da, and the list size of the dynamic exclusion to 50.
  • mice database which has a previously constructed amino acid sequence
  • enteric bacteria we used a database of bacteria (Uniprot) of 10 species representing a large number of genus in the intestine. A total of 11 data analyzes were performed using each database. All spectra from the mass spectrometry (MS spectrum and MS / MS spectrum) were analyzed using the MASCOT protein analysis engine version 2.2 (http://www.matrixscience.com).
  • Validation of the assay was performed by selecting peptides with more than 95% / 99% of the peptide prophet / protein prophet, and spectra of the individual peptides identified in each protein were analyzed directly on the amino acid sequence. validation) to increase reliability.
  • Gram-negative bacteria were mainly derived from Bacteroides thetaiotaomicron, Escherichia coli K-12 and Klebsiella pneumonia .
  • Gram-positive bacteria were mainly derived from Clostridium perfringens and Lactibacillus reuteri .
  • mice were dissected to collect small intestine.
  • Peyer ⁇ s patch and lipids were removed from the small intestine, and the small intestine was cut to a length of about 5 cm and laterally cut and washed in physiological saline to remove impurities in the small intestine.
  • the small intestine from which impurities were removed was cut into 1 cm size in all directions, and placed in 30 ml of physiological saline and vortexed five times for 5 seconds with a vortex.
  • Small intestinal tissue and impurities were removed by Winsim separation and extracellular vesicles were separated by ultracentrifugation in supernatant.
  • Figure 2 shows the approximate size and shape of the extracellular vesicles separated by the above method throug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the spherical extracellular vesicles of about 100 nm size can be confirmed.
  •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 FIG. 3 and FIG. 4 are various expressions of mouse macrophages (RAW 264.7) to evaluate the secretion ability of the inflammatory mediator IL-6 by extracellular vesicles isolated from the small intestine of normal and DSS-induced inflammatory cell infection. This is the result of treatment of extracellular vesicles at a concentration. As a result, the extracellular vesicles isolated from normal mice did not induce IL-6, but the extracellular vesicles isolated from the small intestine of inflammatory growth-induced mice induced by DSS induced IL-6 express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t was confirmed by an ELIZ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method.
  • ELIZ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 extracellular vesicles isolated from DSS-induced inflammatory cell infection contained gram negative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extracellular vesicles isolated from DSS-induced inflammatory cell infection mice were treated with polymyxin B, which antagonizes LPS, a constituent of the extracellular membrane of Gram-negative bacteria, and the extracellular vesicles present in the diseased small intestine.
  • the secretion of IL-6 by the endoplasmic reticulum was inhibited.
  • CLP ceacal ligation and puncture surgery was performed by inserting two 18 gauge syringe needles at the cecal tip of one C57BL / 6 (male, 6 weeks) mouse. After 40 hours, 3 ml of PBS was injected into the mouse abdominal cavity using a 5 ml syringe. After mixing well, 1 ml of the abdominal cavity was collected again, and 10 ⁇ l of which was mixed with 90 ⁇ l of LB (Luria Bertani) solution and diluted 10,000-fold. The plate was plated on a LB Agar plate (Agar plate) and incubated for 8 hours in a 37 ° C incubator (incubator).
  • FIG. 6 shows the results of analyzing 16S rRNA of the enteric Escherichia coli, which was identified as E. coli C4, which is a symbiotic bacterium observed in human stool.
  • FIG. 7 and FIG. 8 show extracellular vesicles having a size of 30 nm out of the surface of the mouse E. coli, respectively, as a result of observing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It can be seen.
  •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 E. coli was incubated in a test tube containing 3 ml LB solution at 37 ° C for 4 hours, and then 10 ⁇ l of each was transferred to 8 2L Erlenmeyer flasks containing 500 ml LB solution at 37 ° C for 4 hours. .
  • the culture solution was divided into 12 350 ml high-speed centrifuge tubes, and then performed twice in succession at 4 ° C and 5,000 x g for 15 minutes.
  • Four liters of supernatant are passed through a membrane filter with a pore size of 0.45 ⁇ m in a single pass, and then up to 300 ml using a Quixstand system that can pass only molecules up to 100 kDa. Concentrated.
  • the concentrate was passed once through a membrane filter with a pore size of 0.22 ⁇ m, divided into 50 ml ultracentrifuge tubes, and then ultracentrifuged for 3 hours at 150,000 xg at 4 ° C. Was done. The supernatant was discarded and the intestinal Escherichia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ere extracted by dissolving the precipitate under the tube with PBS.
  • TEM 9 is a result of analyzing the shape and size of the extracellular vesicles of E. coli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It can be seen that the extracellular vesicles are composed of lipid bilayers, 20-100 nm in size, and generally spherical.
  • Figure 10 shows the distribution by size of the extracellular vesicles on the basis of 10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s of the extracellular vesicles. It can be seen that extracellular vesicles of 20-40 nm in size occupy half of the whole.
  • Example 4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in vitro Inflammatory mediator secretion
  • 1 x 10 5 mouse macrophages (RAW 264. 7) were seeded in 24 well plates, respectively, and after 24 hours extracellular vesicles (0.1, 1, 10, 100, 1000 ng / ml) or phenol ( phenol) was used to treat LPS (100, 200, 500, 1000, 2000 ng / ml) extracted from intestinal Escherichia coli and cultured in a 37 ° C incubator. After 15 hours, the supernatant was collected, followed by centrifugation at 4 ° C and 500 xg for 10 minutes, followed by centrifugation at 4 ° C and 3000 xg for 20 minutes. The amount of cytokines in the separated supernatants was measured by ELISA method.
  • 11 and 12 show the amount of cytokines
  • TNF- ⁇ see FIG. 11
  • IL-6 see FIG. 12
  • the inflammatory mediator is secreted by a much smaller amount of extracellular vesicles than when treated with LPS alone. This means that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can act on inflammatory cells and induce inflammatory mediator secretion at very low concentrations.
  • mice C57BL / 6 (female, 6 weeks) mouse experimental group and 5 control groups were prepared, and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1, 10 and 100 ng were intranasally administered to the mice belonging to the experimental group. Inflammation of the airway mucosa was measured at 6 hours and 24 hours after administration. Anesthesia solution containing ketamine and xalazine was administered to the abdominal cavity of the mouse, followed by anesthesia, and the catheter was inserted into the airway and ligation was made by exposing the chest and organs. PBS was injected twice in 1 ml and the airways were washed to obtain bronchoalveolar lavage (BAL fluid).
  • BAL fluid bronchoalveolar lavage
  •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was centrifuged at 3,000 rpm for 10 minutes at 4 ° C., and then the cell pellet was unpacked in PBS solution. The cell pellet was observed under an optical microscope to count the number of cells.
  • IL-6 an inflammatory mediator that induces Th17 immune response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was measured by ELISA.
  • Figure 13 shows the inflammation of airway mucosa 6 hours and 24 hours after nasal administration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s the number of inflammatory cells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 the inflammatory cell cou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at 6 and 24 hours after the extracellular vesicles were administered compared with the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hich was related to the extracellular vesicle concentrations.
  • Figure 14 is a figure measuring the amount of IL-6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y ELISA method.
  • the amount of IL-6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increased significantly 6 hours after administration of the extracellular vesicles compared to the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hich was related to the concentration of vesicles administered.
  •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ct locally to induce inflammation in the mucosa, which is characterized by a Th17 immune response.
  • the extracellular vesicles isolated by the method of Example 3 were intraperitoneally injected to 20 C57BL / 6 (male, 6 weeks) mice once, and 15, 25, and 50 ⁇ g, respectively, to determine the number of dead mice every 12 hours.
  • Figure 15 shows the mouse survival curve by extracellular vesicles. It can be seen that 95% of mice die by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25 ⁇ g or more of extracellular vesicles.
  • mouse enteric coliform-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5 ⁇ g) isolated by the method of Example 3 were injec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three times every 12 hours, and then sepsis-related indicators were analyzed. 6, 12, 24 hours after injection of the extracellular vesicles,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heart of the mouse, centrifuged at 3,500 x g for 10 minutes at 4 ° C, and then the supernatant serum was taken.
  • Figure 16 shows the increase in TNF- ⁇ , IL-6, IL-1 ⁇ , IL-12, IFN- ⁇ , IL-10, IL-17, etc.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amount of mediators associated with sepsis in the serum by ELISA method It was.
  • SIRS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 Figure 17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respiratory rate every 24 hours after injection of extracellular vesicles (5 ⁇ g). Respiratory rate was measured through a frequency of breathing (f) value for 3 minutes using a nebulizer with the mouse in the chamber. As a result, an increase in respiratory rate (empty breathing), which is one of the indicators of SIRS, was observed by extracellular vesicles.
  • Figure 18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body temperature for 3 days every 8 hours after injection of extracellular vesicles (5 ⁇ g).
  • the body temperature was injected into the rectum of the mouse and recorded on the digital screen of the thermometer.
  • the body temperature hypothalmia
  • Blood pressure was measured to assess whether severe sepsis caused by extracellular vesicles was induced.
  • Figure 22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amount of D-diemr 6, 12, 24 hours after injection of extracellular vesicles (5 ⁇ g). After injection into the extracellular vesicles intraperitoneally, the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heart 6, 12 and 24 hours later and placed in a tube containing sodium citrate and stored at 4 ° C. The amount of D-dimer in the blood was measured by ELISA metho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D-dimer was most increased after 12 hours.
  • FIG. 23 shows that platelet reduction, an indicator of vascular coagulation, appears 6 hours after extracellular vesicle administration.
  • Example 8 Activation of Vascular Endothelial Cells by Escherichia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nd Expression of Coagulation Promoters
  • vascular endothelial cells To assess the activation of vascular endothelial cells by intestinal symbiotic Escherichia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seeded vascular endothelial cells (HUVEC) with 5 x 10 5 cell numbers on 6 well plates, After 24 hours, extracellular vesicles (0.1, 1, 5, 10, 20 ng / ml) were treated with cells and incubated in a 37 ° C. incubator. After 8 hours, the culture medium was removed, washed once with PBS, and treated with cell lysis solution. After incubation for 10 minutes, centrifugation was performed at 4 ° C and 13,000 x rpm for 10 minutes to obtain whole cell protein.
  • VEC vascular endothelial cells
  • This 5x loading dye (loading dye, 250 mM Tris-HCl, 10% SDS, 0.5% bromophenol blue, 50% glycerol) was finally added to 1x and treated at 100 ° C for 10 minutes. A 10% polyacrylamide gel was prepared and the sample loaded. After electrophoresis at 100 V for 2 hours, the protein was transferred to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membrane for 2 hours at 300 mA. Skim milk was dissolved in PBS to 3%, and the membrane was blocked for 2 hours in this solution. ICAM-1 and beta-actin antibody were treated at 4 ° C. for 12 hours.
  • loading dye 250 mM Tris-HCl, 10% SDS, 0.5% bromophenol blue, 50% glycerol
  • ICAM-1 is an immune cell adhesion protein, which is known to increase in vascular endothelial cells upon induction of various immune responses and activation of vascular endothelial cells such as coronary artery disease, leading to infiltration of immune cells into tissues.
  • vascular endothelial cells (HUVEC) with 5 x 10 5 cell numbers (6) were plated on 6 well plates. After 24 hours, extracellular vesicles (1 ng / ml) were treated with cells and incubated in a 37 ° C. incubator. After 12 hours, the supernatant was collected, and then centrifuged at 4 ° C and 500 xg for 10 minutes, followed by centrifugation at 4 ° C and 3000 xg for 20 minutes.
  • VEC vascular endothelial cells
  • tissue factor In order to measure tissue factor, a blood coagulation-promoting substance contained in the separated supernatant, 100 ⁇ l of the supernatant was added to the ELISA plate and coated at 4 ° C. for 12 hours, and then the tissue factor antibody was treated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After washing three times with 0.05% Tween 20 / PBS, the secondary antibody with peroxidase was treated for 1 hour at room temperature. After washing for 30 minutes with 0.05% Tween 20 / PBS, and confirmed by ECL (enhanced chemiluminescence, Amersham Co. No.RPN2106) substrate (substrate) treated with extracellular vesicles as shown in Figure 25 tissue factor which is a blood coagulation enhancing substa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secretion of significantly increased.
  • ECL enhanced chemiluminescence, Amersham Co. No.RPN2106
  • Enteric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10 ⁇ g) were stained with cyanin-7 (cyanin-7, cy7) and then injec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of mice. After 6 hours, the location of intestinal Escherichia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as confirmed using a Kodak image station capable of analyzing the entire body of the mouse.
  • Figure 26 shows the mouse fluorescence of the extracellular vesicles are spread throughout the body, it can be seen that even in the lungs.
  • FIG. 27 is a result of analyzing the ratio of blood cells and extracellular vesicles containing extracellular vesicles and lung tissue cells through the flow cytometry (FACS) after removing red blood cells from the blood and lungs using RBC (red blood cell) lysis buffer. As a result, the percentage of fluorescence cells increased. This means that the extracellular vesicles are absorbed by the cells and spread around the body as the extracellular vesicles spread throughout the body including the lungs as shown in FIG. 26.
  • FACS flow cytometry
  • mice 12 hours after injection of extracellular vesicles (5 ⁇ g) for analysis of lung inflammatory responses, the lungs of mice were weighed and weighed, left for 48 hours in a 65 ° C. incubator, Pulmonary inflammation was assessed by a wet-to-dry ratio analysis.
  • Figure 28 shows the wet-to-dry ratio, an indicator of pulmonary inflammation, showing that pulmonary inflammation occurs after 6 hours when the extracellular vesicles are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of mice was taken 6, 12, and 24 hours after injection of extracellular vesicles (5 ⁇ g) to measure the number of inflammatory cells.
  • Anesthesia solution containing ketamine was administered to the abdominal cavity of the mouse, followed by anesthesia, and the catheter was inserted into the airway and ligated by excision of the chest and organs.
  • PBS was injected twice in 1 ml and the airways were washed to obta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After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was centrifuged at 4 ° C and 3000 rpm for 10 minutes, the cells were precipitated in PBS and the number of cells was measured.
  • cytospin the precipitated cells and smearing them on a slide. Dipquick staining was performed to observe 300 or more inflammatory cells in a 1000-fold field of view. , Lymphocytes, neutrophils, and eosinophils were counted.
  • 29 is a graph showing the number of inflammatory cells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and it can be seen that the number of inflammatory cells is increased by the extracellular vesicles, and in particular, the number of macrophages is significantly increased.
  •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re distributed in various organs through blood vessels to induce tissue damage together with inflammation.
  •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re important as etiological factors for inflammatory diseases. It means.
  • Extracellular vesicles (0.1, 1 ⁇ g) were injec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for 18 weeks twice a week to assess whether chronic disease could be induced by repeated exposure to low doses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FIG. 31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blood pressure when repeated exposure to low dose enteric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showing that hypertension is caused by extracellular vesicles.
  • extracellular vesicles (1 ⁇ g) were injected intraperitoneally twice a week for 18 weeks, followed by long bone ) After fixed in fixed solution for one day, the bone in the fixed solution was washed twice with brine, and then dehydrated in 30, 50, 70, 90, 100% ethanol for 1 hour sequentially. After the dehydration process, bone was soaked twice in an propylene oxide substitute for 1 hour to prepare a polymer replacement. The ratio of the substituent to the polymer was gradually increased to 3: 1, 1: 1, 1: 3 and the substitution with the polymer was performed.
  • Figure 32 shows that osteoporosis has occurre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of the bones broken by the long-term low dose of the cell endoplasmic reticulum.
  • Mouse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25 ⁇ g) isolated by the method of Example 3 were isolated from normal mice (C57BL / 6, male 6 weeks) and IL-6 deficient (knock out) mice (C57BL / 6, male, 6), respectively. The number of mice killed every 12 hours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nce a week) was shown in Figure 33 the survival rate. In IL-6 deficient mice, unlike normal mice, death was not induced by 25 ⁇ g of extracellular vesicles.
  • FIG. 34 is a photograph of the lung section, unlike normal mice, it can be seen that the lung tissue cells are not destroyed at all by extracellular vesicles in IL-6 deficient mice.
  • IL-6 is an important mediator of inflammatory diseases occurring in various organs as well as the occurrence of sepsis caused by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Example 12 Candidate Prophylaxis or Treatment for Disease Caused by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in vitro Screening system established
  • inflammatory cytokines induced by mouse intestinal commensal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re greatly involved in various diseases, and based on these, substances capable of inhibiting the secre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especially IL-6.
  • the discovery of is important for screening candidate drugs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seases caused by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Example 35 is a schematic diagram for discovering a substance that inhibits secretion of IL-6 by intestinal commensal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Coli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isolated from the method of Example 3 (100 ng / ml) was treat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drug candidate materials (10 ⁇ M) in mouse macrophages prepared in Example 4 (RAW 264.7) and then incubated in a 37 ° C. incubator for 15 hours. After 15 hours, the supernatant was collected, followed by centrifugation at 4 ° C and 500 xg for 10 minutes, followed by centrifugation at 4 ° C and 3000 xg for 20 minutes. The amount of IL-6 in the separated supernatants was measured by ELISA method.
  • Candidate drugs may be provided.
  • 11 of the 80 kinase inhibitors (4; H-7, 29; LY294002, 31; GF109203X, 42; ML-7, 43; ML-9, 64; ZM449829, 66; DRB (5, 6-Dichloro-1-bD-ribofuranosylbenzimidazole), 70; Indirubin-3'monoxime. 72; Kenpaullone, 77; BML-259, 78; Apigenin) reduced the amount of IL-6 to less than 50% compared to the positive control. You can check it.
  • Figure 37 shows that when treated simultaneously with the extracellular vesicles (100 ng / ml) of Damnacanthal, LY294002, GF109203X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 above kinase inhibitors (each drug concentration maintained at 10 mm)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amount of IL-6 in the cell culture, it was confirmed that the inhibitory effect of IL-6 secre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two or more treatments were performed simultaneously.
  • Example 14 In vitro anti-inflammatory effect of phosphatase inhibitors discovered in in vitro screening system
  • phosphatase inhibitor library BIOMOL No. 2834: Cantharidic acid, Cantharidin.Endothall, Benzylphosphonic acid, Lp-Bromotetramisole oxalate, RK-682, RWJ-60475, RWJ-60475) (AM) 3, Levamisole HCl, Tetramisole HCl, Cypermethrin, Deltamethrin, Fenvalerate, Tyrphostin 8, CinnGEL, CinnGEL 2 Me, BN-82002, Shikonin, NSC-663284, Cyclosporin A, Pentamidine, BVT-948, B4-Rhodanine, BML -268, Dioxophenanthrene, BML-260, PD-144795, BML-267, BML-267 Ester, OBA, OBA Ester, Gossypol, Alendronate) to reduce the amount of IL-6 to less than 50% compared to
  • Figure 39 is prepared in a culture medium containing PD-144795 at a concentration of 0.1, 1, 5, 10 ⁇ M and containing an enterocoliform-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t a concentration of 100 ng / ml to mouse-derived macrophages as in Example 13
  • prodrugs acetaminophen, acetylcysteine, allopurinol, alprenolol HCl, amitriptyline HCl, atropine, bretylium tosylate, bromopheniramine, budesonide, buspirone HCl, cefuroxime, chloral hydrate, chlorpromtidine HCl, by the method of Example 13).
  • HCl clotrimazole, cyclobenzaprine, desipramine HCl, diclofenac, diflunisal, diltiazem, diphenhydramine HCl, disopyramine, disulfiram, D-mannitol, doxepin, doxycycline hydrate, doxylamine succinate, edrophonium chloride, enalapril maleate, famo salttidine benzono , flunarizine dihydrochloride, fluphenazine dichloride, flurbiprofen, furosemide, gemfibrozil, gliclazide, glipizide, haloperidol, hydrochlorothiazide, hydroflumethiazide, hydroxyzine HCl, ibuprofen, imipramine HCl, indapamide, indole-2-carboxylic acid, ipraenmethacola, keratin maprotiline
  • FIG. 41 shows 11 prodrugs (10; Amitriptyline, 39; Cyclobenzaprine, 10) showing IL-6 reduction effects by ex vivo treatment of 14 prodrugs excavated through the in vitro screening system in mouse abdominal cavity-derived macrophages. 41; Desipramine, 54; Doxepin, 72; Fluphenazine dichloride, 82; Haloperidol, 89; Imipramine, 101; Maprotiline, 132; Orphenadrine, 165; Terfenadine, 173; Tolfenamic acid, 179; Trazodone HCl).
  • Example 15 Haloperidol was extracted from the prodrugs identified above in a mouse model induced by sepsis by injecting 5 ⁇ g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into C57BL / 6 mice (male, 6 weeks, 4 per group) as in Example 6 intraperitoneally. Serum was obtained after 6 hours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Doxepein and 10 mg / kg, respectively.
  • Figure 42 shows the quantification of IL-6 in serum by ELISA method, the secretion of IL-6, an inflammatory mediator by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as detected in the blood Haloperidol and Doxepein by in vitro screening system Results show that it is effectively inhibited by administration.
  • Example 12 an in vitro drug screening system using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described in Example 12 is a very efficient method, and a drug capable of preventing or treating various diseases induced by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It is clear that can be screened efficiently.
  • Example 17 Immunological Characteristics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 vaccine
  •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isolat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Example 3 were injec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of C57BL / 6 (male, 6 weeks, 10 per group) three times for three weeks at weekly intervals. Six hours, 24 hours, and 7 days after each injection, mouse blood was obtained to measure extracellular vesicle specific antibodies present in the blood. 200 ng of E. coli-derived endoplasmic reticulum was added to the mouse serum diluted 1: 500 with 1% BSA / PBS in a 96-well plate and incubated for 2 hours at room temperature, and observed through a peroxidase-coupled mouse antibody.
  • Extracellular vesicle-specific antibodies begin to form 7 days after one extracellular vesicle administration, with more antibodies forming after the second and third extracellular vesicles, resulting in the highest antibody formation 7 days after completion of the third vesicle vaccination. Showed degree.
  • Splenocytes were isolated from mice 7 days after the three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ere inoculated. 100 ng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endoplasmic reticulum was added to the isolated splenocytes (2 x 10 4 ), and cultured for 72 hours, followed by the immune response-related cytokines IFN-g, IL-17 and IL-4. The amounts were each measured by ELISA method.
  • FIG. 44 shows the results of IFN-g secreted into mouse splenocytes when treated with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FIG. 44 The secretion of IFN-g was increased in splenocytes obtained from mice inoculated with extracellular vesicles compared to splenocytes obtained from mice not inoculated with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IL-17 secreted in mouse splenocytes when treated with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shows the amount of IL-17 secreted in mouse splenocytes when treated with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the secretion of IL-17 was increased in splenocytes obtained from mice inoculated with extracellular vesicles compared to splenocytes obtained from mice not inoculated with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Example 18 Efficacy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 vaccine in the development of sepsis by E. coli infection
  •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 vaccines In order to evaluate the efficacy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 vaccines, an animal model of sepsis caused by E. coli infection was established. E. coli 1 ⁇ 10 6 , 1 ⁇ 10 8 , 1 ⁇ 10 10 CFU were injec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of C57BL / 6 (male, 6 weeks, 10 per group) to observe mouse survival at 8 hour intervals for 5 days.
  • mice 47 shows the result of mouse mortality due to E. coli infection. That is, when E. coli 1 ⁇ 10 10 CFU was injected, mice died within 24 hours. When E. coli 1 ⁇ 10 6 and 1 ⁇ 10 8 CFU were injected, the survival of mice was not affected.
  •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ere injec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of C57BL / 6 (male, 6 weeks, 10 per group) three times for three weeks at weekly intervals according to the method of Example 17. Seven days after the three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ere inoculated, E. coli 1 ⁇ 10 10 CFU was injected intraperitoneally to observe mouse survival at 8 hour intervals for 5 days.
  • FIG. 48 shows the results of observing the efficacy of the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 vaccine in the development of sepsis by E. coli infection established in FIG. After 5 days, the survival rate of mice group inoculated with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as 80-100% compared to 20% for mice not inoculated with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FIG. 48 1 ⁇ g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ere inoculated three times per week intraperitoneally, and after 6 hours, 1 x 10 10 CFU of E. coli was injected into the mouse intraperitoneally, and the number of Escherichia coli infected with ascites and blood was measured. It measured and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amount of IL-6 in serum was measured by ELISA, and FIG. 50 and lung tissue images are shown in FIG. 51.
  • Figure 49 shows the results of the change in E. coli CFU infected when inoculated with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E. coli infection the number of E. coli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blood and ascites of mice vaccinated with ER compared to blood and ascites obtained from mice not vaccinated with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Figure 50 show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amount of IL-6 present in the serum 6 hours after E. coli 1 x 10 8 CFU inoculated with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FIG. 51 shows the results of lung tissue extraction from mice 6 hours after E. coli-infected mice were inoculated with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Escherichia coli infection many lung tissue cells were destroyed, but the pathological tissues of the group vaccinated with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ere similar to normal mice.
  • Example 19 Efficacy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 vaccine against sepsis caused by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1 ⁇ g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ere injec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of C57BL / 6 (male, 6 weeks, 5 per group) three times a week, according to the method of Example 17, followed by the establishment of E. coli The efficacy of the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 vaccine in the development of sepsis by the 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as observed. Seven days after the vaccination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5 ⁇ g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ere intraperitoneally injected three times at 12 hour intervals to analyze sepsis-related markers.
  • FIG. 52 to 54 show the results of observing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 vaccine efficacy in the incidence of sepsis by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stablished in Example 6.
  • FIG. 52 to 54 show the results of observing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 vaccine efficacy in the incidence of sepsis by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stablished in Example 6.
  • Fig. 52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IFN-g, a cytokine in serum, by collecting blood from mice 6 hours after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ere inoculated with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5 ⁇ g, three times). Serum IL-6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group inoculated with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compared to the group of mice not inoculated with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Klebsiell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isolated by the method of Example 3 were injec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of C57BL / 6 (male, 6 weeks, 5 per group) three times at 5 day intervals. Three days after the last inoculation, mouse blood was collected to identify Klebsiella spp.-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pecific antibodies present in the blood. As shown in FIG. 55, spleens were collected and T cells in the spleen were isolated to determine the cytokine IFN. -g and IL-17 were measured and shown in FIG. 56.
  • Fig. 55 shows the presence of Klebsiell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pecific antibodies in blood taken from mice inoculated with Klebsiell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ntifoam-specific antibodies were formed in proportion to the concentration of Klebsiell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CD3 + CD4 + IFN-g + T cells when treated with Klebsiell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collected from the spleen.
  • CD3 + CD4 + IFN-g + T cells were increased in the group inoculated with extracellular vesicles compared to the group of mice not inoculated with Klebsiell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CD3 + CD4 + IL17 + T cells when treated with Klebsiell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on T cells collected from the spleen.
  • CD3 + CD4 + IL17 + T cells were increased in the group inoculated with extracellular vesicles compared to the group of mice not inoculated with Klebsiell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the antibody and T cell immune responses generated in B cells which are defense mechanisms against bacterial infection, were induced upon inoculation of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from Klebsiella spp.
  • Th1 immune responses that secrete IFN-g and Th17 immune responses that are important for defense against bacterial infection among T cell immune responses were efficiently induced by vesicle vaccines.
  • Example 21 Efficacy of Escherichia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 vaccine against sepsis caused by Klebsiella infection
  • mice 58 shows the result of mouse mortality caused by Klebsiella infection. That is, mice were killed within 24 hours when Klebsiella 1 ⁇ 10 8 CFU was injected. When E. coli 1 ⁇ 10 6 and 1 ⁇ 10 7 CFU were injected, the survival of mice was not affected.
  • Fig. 59 shows the results of observing the efficacy of the Klebsiell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 vaccine for the septicemia caused by the Klebsiella infection established in the above method.
  • the survival rate of the mice inoculated with Klebsiell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as 100% compared to the survival rate of 40% of mice not inoculated with Klebsiell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Example 22 Immun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mbined Administration of E. Coli and Klebsiella Derived Extracellular Vesicle Vaccine
  •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isolated from the method of Example 3, 1 mg of Klebsiell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nd 1 mg of each of E. coli and Klebsiell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twice daily at C57BL / 6 ( male, 6 weeks, 5 per group) intraperitoneally. Blood was collected three days after the inoculation of the extracellular vesicles, and the serum diluted 1: 500 was added to a black 96 well plate coated with the extracellular vesicles and incubated at room temperature for two hours.
  •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pecific antibody formation shows the results of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pecific antibody formation.
  • E. coli and Klebsiell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ere combined,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pecific antibody formation was increased compared to E. coli-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lone.
  • Klebsiell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pecific antibody formation shows the results of Klebsiell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pecific antibody formation.
  • Klebsiell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pecific antibody formation was increased compared to Klebsiell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lone.
  • Fecal samples of C57BL / 6 (6 weeks, male) and BALB / c (6 weeks, male) mice were used to separate extracellular vesicles, followed by tertiary volume of 8 ⁇ l in 10 ⁇ g of extracellular vesicles. Distilled water was added. 2 ⁇ l of a random decamer (Ambion, 5722G) was added to each endoplasmic reticulum, and then incubated at 95 ° C for 10 minutes and at 75 ° C for 10 minutes, and then stored at 4 ° C.
  • a random decamer Ambion, 5722G
  • Each sample treated with random decamer was treated with 3 ⁇ l of AMV reverse transcriptase (Promega, M510F), 4 ⁇ l of AMV reverse transcriptase ferber (Promega, M515A), 2 ⁇ l of 10 mM dNTP, and 1 ⁇ l of RNase inhibitor (Promega, N211B). After reacting at 25 ° C for 10 minutes, it was reacted at 37 ° C for 2 hours. 16S rRNA gene was identified by PCR using 1 ⁇ l of each 20 ⁇ l sample treated with AMV reverse transcriptase.
  • 0.5 ⁇ l of Taq enzyme (NEB, M0273S), 2 ⁇ l of Taq enzyme buffer (NEB, B9014S), 1 ⁇ l of 10 mM dNTP, 1 ⁇ l of 10 pM bacterial universal forward primer (5'aaggcgacgatccctagtagg-3 ', to 1 ⁇ l of sample for PCR) 1 ⁇ l of 10 pM bacterial universal reverse primer (5'ttgagcccggggatttcaca-3 ', 13.5 ⁇ l of tertiary distilled water was added and mixed. The mixture was reacted at 95 ° C. for 2 minutes, then 30 seconds at 95 ° C., and 30 at 55 ° C.
  • RT-PCR was performed on the 10 ⁇ g of extracellular vesicles as described above. Negative control used tertiary distilled water, and positive control for enteric Escherichia coli O.D. 1 ⁇ l was used after incubation to a value of 1.0. 5 ⁇ l of 5X Green GoTaq Flexi Buffer (Promega, M891A) was mixed with 20 ⁇ l of the RT-PCR resultant, and 5 ⁇ l was loaded onto 2% agarose gel. After gel running at 100 V for 30 minutes, the gel was immersed in 0.005% EtBr solution for 10 minutes and photographed under UV exposure.
  • 5X Green GoTaq Flexi Buffer Promega, M891A
  •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ere injected 25 ⁇ g intraperitoneally into C57BL / 6 (6 weeks, male, 3 per group) mice and 6 hours later mouse organs and body fluids were extracted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extracellular vesicle proteins. It confirmed by ELISA method using an antibody.
  • Mouse organs were removed from the mortar and pestle in a mortar with liquid nitrogen, followed by RIPA solution (50 mM Tris (pH 7.5), 1% NP-40, 0.25% Na-Deoxycholate, 100 mM NaCl, 1 mM EDTA, protease inhibitor). ) And lysis to obtain protein by centrifugation at 13,000 rpm, 10 minutes at 4 ° C. Body fluids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s 5 and 6.
  • FIG. 65 shows the extracellular vesicles injec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in various organs and peritoneal fluid (PF), urine, and blood. This suggests that inflammatory diseases caused by extracellular vesicles can be diagnosed by obtaining body fluids such as urine and blood.
  • PF peritoneal fluid
  • the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find a drug capable of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s caused by the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a vaccine that effectively prevents or treats diseases caused by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 or diseases caused by intestinal symbiotic bacteri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by regulating the immune response by administering the intracellular symbiotic-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themselves or by modifying th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mat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iabet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Path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내 공생 세균(gut microbiota or gut flora)에서 유래한 세포밖 소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질병 동물 모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이용하여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후보 약물을 효율적으로 탐색하는 방법 및 장내 공생 세균에 의한 감염 또는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질병을 효율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백신에 관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응용하여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의 원인인자를 진단하는 기술 개발 등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및 이를 이용한 질병모델, 백신, 후보 약물 탐색 방법, 및 진단 방법
본 발명은 장내 공생 세균(gut microbiota or gut flora)에서 유래한 세포밖 소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질병 동물 모델, 장내 공생 세균유래 소포체에 의한 질병에 대한 예방 및/또는 치료백신 등에 관한 것이다.
장내 공생 세균은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소화관(digestive tract)에 서식하고 있는 미생물로 이루어져 있고, 약 100조 개의 장내 공생 세균이 사람의 소화관에 서식하고 있는데, 이 숫자는 사람 세포의 약 10배에 해당한다.
1960년대에 전자현미경을 통해 그람 음성 세균이 세포밖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 (EV), 또는 outer membrane vesicles (OMV)]를 분비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세포밖 소포체는 구형이고 인지질 이중층으로 되어있으며 그 크기가 20-200nm이다. 그람 음성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는 LPS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외막 단백질(outer membrane protein)을 가지고 있다(E. Y. Lee et al., Proteomics in gram-negative bacterial outer membrane vesicles. Mass. Spectrom. Rev. 2008;27(6):535-555). 중증 패혈증으로 사망한 환자의 혈액에서 수막염구균유래 소포체가 존재한다는 보고가 있었고 (E. Namork and P. Brandtzaeg, Fatal meningococcal septicaemia with "blebbing" meningococcus. Lancet. 2002;360(9347):1741), 수막염구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체외에서 염증성 매개체를 분비한다는 보고 (M. R. Mirlashari et al., Outer membrane vesicles from Neisseria meningitidis: effects on cytokine production in human whole blood. Cytokine. 2001;13(2):91-97; A. Bjerre et al., Complement activation induced by purified Neisseria meningitidis lipopolysaccharide (LPS), outer membrane vesicles, whole bacteria, and an LPS-free mutant. J. Infect. Dis. 2002;185(2):220-228)가 있었지만, 장내 공생 세균에서 유래하는 세포밖 소포체가 위염, 소화성궤양, 위암, 염증성장염, 대장암 등의 점막의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질환 또는 패혈증, 동맥경화증, 당뇨병 등의 전신 염증질환을 일으킨다는 연구 결과는 전무하다.
최근 노인인구와 면역억제제, 항암제 등의 사용의 증가 등으로 인해 세균감염에 대한 방어가 약화되면서 패혈증의 유병률이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패혈증은 세균, 곰팡이 등의 국소 감염에 따른 합병증으로 전신전인 염증반응이 유도되는 질환이다 (M. M. Levi et al. 2001 SCCM/ESICM/ACCP/ATS/SIS International Sepsis Definitions Conference. Crit. Care. Med. 2003;31(4):1250-1256). 감염 시 국소적으로 병원균에서 분비되는 물질이 혈관으로 유입되거나, 또는 혈관으로 유입된 병원균에서 분비되는 물질이 혈관 내 염증세포를 활성화시켜 전신성 염증반응 증후군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이 발생하고, 동시에 혈관내피세포를 활성화시켜 범발성혈관내혈액응고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혈전(thrombosis) 등이 발생하고, 병원균유래 물질이 폐 등과 같은 중요 장기에 분포하여 염증과 이에 따른 조직손상을 일으켜서, 발병자의 30% 이상이 사망에 이르게 된다 (E. Lolis and R. Bucala, Therapeutic approaches to innate immunity: severe sepsis and septic shock. Nat. Rev. Drug. Discov. 2003;2(8):635-645).
전신성염증반응증후군이 병원균에 의해 발생한 경우로 패혈증을 정의하지만, 반 이상의 패혈증 환자에서 혈액 내 병원균을 검출할 수 없다 (R. S. Munford, Severe sepsis and septic shock: the role of gram-negative bacteremia. Annu. Rev. Pathol. 2006;1:467-496). 이는 패혈증을 일으키는데 세균이 직접 혈액 내로 유입되는 것이 필수사항이 아님을 의미하며, 세균 등에서 유래하는 물질이 혈액 내로 유입되어 패혈증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람 음성 세균으로부터 유래한 내독소 (endodotoxin)인 리포폴리싸카라이드 (lipopolysaccharide, LPS)가 혈액 내로 유입되어 패혈증이 발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패혈증 치료제를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널리 시행되었다 (S. M. Opal, The host response to endotoxin, antilipopolysaccharide strategies, and the management of severe sepsis. Int. J. Med. Microbiol. 2007;297(5):365-377). 하지만, LPS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제 개발은 아직까지 성공한 경우가 없다 (J. Hellman, Bacterial peptidoglycan-associated lipoprotein is released into the bloodstream in gram-negative sepsis and causes inflammation and death in mice. J. Biol. Chem. 2002;19;277(16):14274-14280).
인체에 발생하는 질병의 진단, 예방, 및 치료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인체 질병을 모사하는 적절한 동물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패혈증 동물 모델을 만들기 위해서 현재까지 아래의 세가지 방법이 사용되었다 (J. A. Buras et al., Animal models of sepsis: setting the stage. Nat. Rev. Drug. Discov. 2005;4(10):854-865). 첫째, LPS를 실험 동물의 복강 내로 주사하여 패혈증 모델을 만들 수 있다. 둘째, 세균을 복강 내로 주사하여 패혈증 모델을 만들 수 있다. 셋째, 맹장을 결찰한 후 천자 (cecal ligation and puncture, CLP)하여 패혈증 모델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패혈증 동물 모델은 재현성, 실험자간의 오차, 또는 사람에게 일어나는 패혈증의 표현형을 제대로 나타내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패혈증에 대한 진단, 예방, 및 치료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선 실험자간의 오차가 적고, 재현성이 높으며, 사람에서 발생하는 패혈증의 표현형을 제대로 반영하는 동물 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염증성 매개체 (특히, IL-6)가 혈액내에 증가되는 것은 패혈증의 전형적인 지표이다. 세균에 의해 분비되는 염증성 매개체를 측정하여 세균성 감염에 대한 치료 후보 물질의 효과를 평가한 예가 알려져 있다 (국제특허공개 WO2009/030093 Functions and uses of human protein phosphatase 1 inhibitor-2). 그러나 체외에서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세포에 투여하여 염증성 매개체 분비를 조절하는 후보 약물 탐색 방법, 및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이용한 패혈증 동물 모델에서 후보 약물을 체내에 투여하여 염증성 매개체 분비를 조절하는 후보 약물 탐색 방법은 알려지지 않았다.
수십년 전부터 세균에서 분비되는 외독소(exotoxin) 단백질을 응용한 백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람 양성 세균에 대한 백신은 세포벽 성분 (capsular polysaccharide)에 대한 백신이 개발되었으나, T 세포에 무관하게 항체가 형성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세포벽 성분에 단백질을 접합(conjugation)한 형태의 백신이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형태의 백신 또한 특정 세균의 아형에만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한계가 있었다. 그람 음성 세균에 대한 백신은 현재까지 임상에서 사용한 사례가 없고, 최근 그람 음성 세균인 수막염구균에 대한 백신으로써 세균에 세제 (detergent)를 처리해 얻은 인공 소포체를 통해 백신을 개발한 사례가 있다 (M. P. Girard et al., A review of vaccine research and development: meningococcal disease. Vaccine. 2006;24(22):4692-4700). 미국특허 US7384645 "Outer membrane vesicles from Gram negative bacteria and use as a vaccine"은 수막염구균에서 소포체를 추출하여 백신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미국 공개특허 US 2007/0166333 "Method of antigen incorporation into neisseria bacterial outer membrane vesicles and resulting vaccine formulations"은 수막염구균 소포체에 단백질 항원을 삽입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의 방법에 의해 소포체의 면역 자극 특성을 유지하고 면역반응의 향상을 가져옴으로써 수막염구균 감염에 대한 예방과 치료를 위한 백신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막염구균 백신의 제조와 사용에 관해, 백신의 생산에 적합한 수막염구균 균주를 만드는 과정에 관한 특허도 출원되었다 (국제특허공개 WO 2007/144316 및 WO 2004/014417). 또한 살모넬라균유래 소포체가 숙주의 선천면역 및 후천면역 반응을 향상시켜 백신으로서의 효능을 검증한 연구가 있다 (R. C. Alaniz et al., Membrane vesicles are immunogenic facsimiles of Salmonella typhimurium that potently activate dendritic cells, prime B and T cell responses, and stimulate protective immunity in vivo. J Immunol. 2007;179(11):7692-701). 그러나 아직까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 및 장내 공생 세균에 의한 감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하여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이용한 백신은 보고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질병 동물 모델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후보 약물을 효율적으로 탐색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백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내 공생 세균에 의한 감염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백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백신을 이용하여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질환 및/또는 장내 공생 세균에 의한 감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질환의 원인인자를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장내 공생 세균은 장내에 공생하는 그람 음성 세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장내 공생 그람 음성 세균은 대장균 (Escherichia coli), 클렙시엘라균 (Klebsiella pneumoniae), 슈도모나스속 (Pseudomonas) 세균, 박테로이데스속 (Bacteroides) 세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장내 공생 세균 배양액에서 분리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자연적으로 분비되는 것 및 인공적으로 분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포유동물의 대변, 장내, 위액, 소장액, 또는 구강액 등에서 분리한 것일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동물에게 투여하여 제조된 질병 모델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장내 공생 세균 및 세포밖 소포체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동물은 마우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투여는 복강 투여, 정맥 투여, 구강 투여, 항문 투여, 비강 투여, 기도 투여 등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질병은 패혈증, 동맥경화증, 급성관상동맥증후군, 뇌졸증, 폐기종, 급성호흡부전증후군, 골다공증, 고혈압, 비만, 당뇨, 관절염, 및 뇌질환 등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질병은 구강염, 구강암, 식도염, 식도암, 위염, 소화성궤양, 위암, 염증성장염, 과민성장증후군, 대장암, 담도염, 담낭염, 췌장염, 담도암, 및 췌장암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이용한 질병 예방 또는 치료에 대한 후보 약물의 탐색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장내 공생 세균, 세포밖 소포체, 및 질병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탐색 방법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세포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포는 염증세포, 상피세포, 혈관내피세포, 줄기세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염증세포는 단핵구, 호중구, 호산구, 호염구, 단핵구가 조직에서 분화된 세포 등을 포함하며, 상기 줄기세포는 골수조직 또는 지방조직에서 유래한 세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탐색 방법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와 함께 후보 물질을 투여한 후, 염증 관련 매개체의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증 관련 매개체는 인터루킨(Interleukin, IL)-6 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탐색 방법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와 함께 후보 물질을 투여한 후, 염증 관련 신호전달과정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하여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포함하는 백신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장내 공생 세균, 세포밖 소포체, 질병 등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백신은 효능을 증가시키거나 부작용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변형은 형질변환된 세균을 사용하는 것, 세균에 화합물을 처리하는 것 등을 포함하며, 상기 화합물은 약물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효능을 증가시키거나 부작용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변형은 세포밖 소포체에 화합물을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화합물은 약물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백신은 효능을 증가시키거나 부작용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약물을 병용 투여하여 사용하거나 면역보강제를 병용투여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장내 공생 세균에 의한 감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하여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포함하는 백신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장내 공생 세균에 의한 감염은 복막염, 패혈증, 폐렴, 요로감염, 골관절 및 중추신경계 감염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장내 공생 세균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백신은 효능을 증가시키거나 부작용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변형은 형질변환된 세균을 사용하는 것, 세균에 화합물을 처리하는 것 등을 포함하며, 상기 화합물은 약물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효능을 증가시키거나 부작용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변형은 세포밖 소포체에 화합물을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화합물은 약물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백신은 효능을 증가시키거나 부작용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약물을 병용 투여하여 사용하거나 면역보강제를 병용투여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치사량 미만으로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병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장내 공생 세균 및 세포밖 소포체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질병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발생 또는 악화되는 질병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질병은 패혈증, 동맥경화증, 급성관상동맥증후군, 뇌졸증, 폐기종, 급성호흡부전증후군, 골다공증, 고혈압, 비만, 당뇨, 관절염, 뇌질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질병은 구강염, 구강암, 식도염, 식도암, 위염, 소화성궤양, 위암, 염증성장염, 과민성장증후군, 대장암, 담도염, 담낭염, 췌장염, 담도암, 췌장암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질병은 복막염, 패혈증, 폐렴, 요로감염, 골관절 및 중추신경계 감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투여는 피하주사, 정맥주사, 비강투여, 설하투여, 기도흡입, 경구복용, 항문투여, 피부투여, 점막투여 등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효능을 증가시키거나 부작용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변형은 형질변환된 세균을 사용하는 것, 세균에 화합물을 처리하는 것, 세포밖 소포체에 화합물을 처리하는 것 등을 포함하며, 상기 화합물은 약물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투여는 효능을 증가시키거나 부작용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약물을 병용 투여하거나 면역보강제를 병용투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이용한 탐색 방법에 의하여 선별된 물질을 포함하는, 질병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물질은 키나제억제제 (kinase inhibitor)일 수 있다. 상기 키나제억제제는 Damnacanthal (3-hydroxy-1-methoxy-9,10-dioxoanthracene-2-carbaldehyde), H-7 (5-(2-methylpiperazin-1-yl)sulfonylisoquinoline dihydrochloride), LY294002 (2-morpholin-4-yl-8-phenylchromen-4-one), GF109203X (3-[1-[3-(dimethylamino)propyl]indol-3-yl]-4-(1H-indol-3-yl)pyrrole-2, 5-dione), ML-7 (1-(5-iodonaphthalen-1-yl)sulfonyl-1,4-diazepane hydrochloride), ML-9 (1-(5-chloronaphthalen-1-yl)sulfonyl-1,4-diazepane hydrochloride), ZM449829 (1-(2-Naphthalenyl)-2-propen-1-one), DRB ((2S,3S,4R,5R)-2-(5,6-dichlorobenzimidazol-1-yl)-5-(hydroxymethyl)oxolane-3,4-diol), Indirubin-3’-monoxime (3-[3-(hydroxyamino)-1H-indol-2-yl]indol-2-one), Kenpaullone (9-bromo-7,12-dihydro-5H-indolo[3,2-d][1]benzazepin-6-one), BML-259 (N-(5-Isopropylthiazol-2-yl)phenylacetamide), 및 Apigenin (5,7-dihydroxy-2-(4-hydroxyphenyl)chromen-4-one) 등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물질은 포스파타제억제제(phosphatase inhibitor)일 수 있다. 상기 포스파타제억제제는 PD-144795 (5-methoxy-3-(1-methylethoxy)benzo(b)thiophene-2-carboxamide-1-oxide)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물질은 프로드러그 (prodrug)일 수 있다. 상기 프로드러그는 Amitriptyline, Cyclobenzaprine, Desipramine, Doxepin, Fluphenazine dichloride, Haloperidol, Imipramine, Maprotiline, Orphenadrine, Terfenadine, Tolfenamic acid, Trazodone HCl, Trichlormethiazide, Verapamil 등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질병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발생 또는 악화되는 질병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질병은 패혈증, 동맥경화증, 급성관상동맥증후군, 뇌졸증, 폐기종, 급성호흡부전증후군, 골다공증, 고혈압, 비만, 당뇨, 관절염, 뇌질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질병은 구강염, 구강암, 식도염, 식도암, 위염, 소화성궤양, 위암, 염증성장염, 과민성장증후군, 대장암, 담도염, 담낭염, 췌장염, 담도암, 췌장암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응용하여 질병의 원인인자를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장내 공생 세균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질병은 패혈증, 동맥경화증, 급성관상동맥증후군, 뇌졸증, 폐기종, 급성호흡부전증후군, 골다공증, 고혈압, 비만, 당뇨, 관절염, 뇌질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질병은 구강염, 구강암, 식도염, 식도암, 위염, 소화성궤양, 위암, 염증성장염, 과민성장증후군, 대장암, 담도염, 담낭염, 췌장염, 담도암, 췌장암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응용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포함된 유전물질의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유전물질은 16S rRN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응용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포함된 단백질을 측정하거나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대한 면역반응을 측정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면역반응 측정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대한 항체를 측정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진단은 혈액, 대변, 소변, 뇌척수액, 관절액, 흉수, 또는 복수 등에서 유래한 시료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장내에 공생하는 대장균에서 유래한 세포밖 소포체가 점막에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질환뿐만 아니라 혈액에 흡수되어 전신적인 염증반응을 특징으로 하는 패혈증과 같은 전신질환을 유발한다는 발견을 통해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이용한 질병모델, 질병을 예방 혹은 치료하는 후보 약물 탐색기술, 및 세포밖 소포체를 응용한 질병 예방 혹은 치료용 백신기술 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장내 공생 세균에서 유래하는 세포밖 소포체를 분리하여 이를 세포에 투여하였을 때 염증성 매개체가 분비되고, 국소적으로 투여하였을 때 점막에 염증이 발생하고, 복강으로 투여하였을 때 세포밖 소포체가 혈관으로 유입되어 전신적인 염증반응을 특징으로 하는 패혈증과 함께 혈액응고, 폐기종, 고혈압, 골다공증 등의 질병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질병 동물 모델 및 후보 약물을 효율적으로 선별하는 탐색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이용한 탐색 방법으로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을 예방 혹은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을 효율적으로 발굴할 수 있다. 또한,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자체 혹은 이를 변형하여 투여하여 면역반응을 조절함으로써 장내 공생 세균에 의한 감염 혹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질병을 효율적으로 예방 혹은 치료하는 백신 개발에 응용 가능하다. 또한,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응용하여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의 원인인자를 진단하는 기술 개발이 가능하다.
도 1은 마우스 대변 유래 세포밖 소포체의 단백질 질량 분석을 통해 체내 공생 세균을 동정한 결과이다.
도 2는 정상 마우스의 소장액에서 추출한 세포밖 소포체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정상 마우스의 소장에서 추출한 세포밖 소포체(siEV)를 RAW 264.7 대식세포주에 농도 의존적으로 6시간 동안 처리한 뒤 세포배양액에서 염증성 매개체 IL-6의 발현을 ELISA 방법으로 정량한 것이다.
도 4는 DSS에 의해 유도된 염증성장염 마우스의 소장에서 추출한 세포밖 소포체(DSS_siEV)를 RAW 264.7 대식세포주에 농도 의존적으로 6시간 동안 처리한 뒤 세포배양액에서 염증성 매개체 IL-6의 발현을 ELISA 방법로 정량한 것이다.
도 5는 정상 마우스와 DSS에 의해 유도된 염증성장염 마우스의 소장에서 추출한 세포밖 소포체(각각 siEV, DSS_siEV)를 RAW 264.7 대식세포주에 처리할 때 LPS의 길항체인 polymyxin B(PMB)를 세포밖 소포체에 6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에서 염증성 매개체 IL-6의 발현을 ELISA 방법으로 정량한 것이다.
도 6은 추출한 마우스 장내 대장균의 16s rRNA 염기서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추출한 마우스 장내 대장균을 주사전자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과 투과전자현미경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으로 관찰한 이미지이다.
도 9는 장내 대장균에서 유래하는 세포밖 소포체의 모양과 크기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분석한 이미지이다.
도 10은 장내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 10장을 토대로 세포밖 소포체의 크기 별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 및 도 12는 장내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와 장내 대장균으로부터 추출한 LPS를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여 RAW 264.7 대식세포에 배양하고 사이토카인(TNF-a IL-6)의 양을 ELISA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이다.
도 13 및 도 14는 장내 대장균 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를 마우스 비강에 각각 1, 10, 100 ng을 투여하여 기관지폐포세척액내 염증세포 세포수(BAL cells)와 IL-6의 양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15는 C57BL/6 (male, 6주) 마우스에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 15, 25, 50 μg을 각각 한 번 복강 주사한 후 12시간 마다 마우스의 생존률을 표시한 것이다.
도 16은 대장균 유래 세포밖 소포체 5μg을 12시간씩 3번 주사 후 6, 12, 24 시간 후에 채취한 마우스의 혈액의 혈청에서 염증성 매개체인 TNF-α, IL-6, IL-1β, IL-12, IFN-γ, IL-10, IL-17, VEGF의 농도를 ELISA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이다.
도 17은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 5 μg을 12 시간씩 3번 주사 후 24시간마다 호흡수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8은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 5 μg을 12 시간씩 3번 주사 후 8시간마다 3일 동안 체온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19는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5μg을 12 시간씩 3번 주사 후 6, 12, 24시간 후에 백혈구 수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20은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 5μg을 12 시간씩 3 번 주사 후 12시간 후에 백혈구의 총 수와 종류마다의 수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21은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 5μg을 12 시간씩 3 번 주사 후 24시간마다 혈압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22는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5 μg을 12 시간씩 3 번 주사 후 6, 12, 24 시간 후에 D-dimer의 양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23은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5 μg을 12 시간씩 3 번 주사 후 6, 12, 24시간 후에 혈소판 수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24는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 각각 0.1, 1, 5, 10, 20 ng/ml를 혈관 내피세포에 처리하여 ICAM-1 발현 증가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25는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 1 ng/ml를 혈관 내피세포에 처리하여 혈액 응고인자인 tissue factor의 분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26은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 10 μg을 시아닌-7 (cyanin-7, cy7)으로 염색한 후, 마우스의 복강에 주사하고 6시간 후, 코닥 이미지 스테이션 (Kodak image station)으로 얻은 마우스 몸 전체의 형광 사진이다.
도 27은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 각각 10, 20 μg을 DiO로 염색한 후, 마우스의 복강에 주사하고 6시간 후에 추출한 혈액과 폐로부터 RBC (red blood cell) lysis buffer를 이용하여 적혈구를 제거한 후, 유세포분리기 (FACS)를 통해 세포밖 소포체를 포함한 혈액세포과 폐 조직세포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28은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 5 μg을 12 시간씩 3번 주사 후 6, 12, 24시간 후에 혈액이 혈관에서 폐 조직으로의 투과력 (wet-to-dry ratio)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9는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 5 μg을 12 시간씩 3번 주사 후 6, 12, 24시간 후에 기관지폐포세척액에서 염증 세포의 수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0은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 5μg을 12 시간씩 3번 주사 후 6, 12, 24 시간 후에 폐를 적출하여 4% 포름알데히드 (formaldehyde)에 넣어 고정 (fixing)시킨 후, 절편을 만들어 헤마토실린-이오신 (hematoxylin-eosin)으로 염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이미지이다.
도 31은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 각각 0.1, 1 μg을 1주일에 2번 18주 동안 주사 후 혈압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2는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 1 μg을 1 주일에 2번 18주 동안 주사 후 엑스레이 기술을 통해 관찰한 장골의 이미지이다.
도 33은 정상 마우스 (C57BL/6, male 6주)와 IL-6 결핍 마우스 (C57BL/6, male, 6주)에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 25 μg을 복강 주사하고 12시간마다 마우스의 생존률을 나타낸 것이다.
도 34는 정상 마우스 (C57BL/6, male 6주)와 IL-6 결핍 마우스 (C57BL/6, male, 6주)에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 5 μg을 12 시간씩 3번 주사 후 6, 12, 24 시간 후에 폐를 4% 포름알데히드 (formaldehyde)에 넣어 고정 (fixing)시킨 후, 절편을 만들어 헤마토실린-이오신 (hematoxylin-eosin)으로 염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이미지이다.
도 35는 장내 공생 세균 유래 세포밖 소포체(EV)를 사용하여 약물 후보 물질을 발굴하는 방법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36은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100 ng/ml)와 키나제 억제제를 동시에 마우스 대식세포에 처리하여 배양액에 존재하는 IL-6의 양을 세포밖 소포체만 단독으로 처리한 양성 대조군의 측정값을 기준으로 백분율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7은 키나제 억제제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와 두 가지 이상 조합으로 처리한 경우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에 의해 유도되는 마우스 대식세포 IL-6 분비 양을 양성 대조군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8은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100 ng/ml)와 포스파타제 억제제 (10 μM, 1; Cantharidic acid, 2; Cantharidin. 3; Endothall, 4; Benzylphosphonic acid, 5; L-p-Bromotetramisole oxalate, 6; RK-682, 7; RWJ-60475, 8; RWJ-60475 (AM)3, 9; Levamisole HCl, 10; Tetramisole HCl, 11; Cypermethrin, 12; Deltamethrin, 13; Fenvalerate, 14; Tyrphostin 8, 15; CinnGEL, 16; CinnGEL 2 Me, 17; BN-82002, 19; NSC-663284, 20; Cyclosporin A, 21; Pentamidine, 22; BVT-948, 24; BML-268, 26; BML-260, 27; PD-144795, 28; BML-267, 29; BML-267 Ester, 30; OBA, 31; OBA Ester, 33; Alendronate)를 동시에 마우스 대식세포에 처리하여 배양액에 존재하는 IL-6의 양을 세포밖 소포체만 단독으로 처리한 양성 대조군의 측정값을 기준으로 백분율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9는 PD-144795를 0.1, 1, 5, 10 μM 농도로 포함하고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가 포함된 배양액을 마우스 대식세포에 처리하여 IL-6 분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0은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100 ng/ml)와 프로드러그를 동시에 마우스 대식세포에 처리하여 배양액에 존재하는 IL-6의 양을 세포밖 소포체만 단독으로 처리한 양성 대조군의 측정값을 기준으로 백분율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1은 프로드러그를 10μM 농도로 포함하고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가 포함된 배양액을 마우스 복강 유래 대식세포에 처리하여 IL-6 분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2는 마우스 복강에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 5μg을 복강 투여하여 전신성 면역반응을 일으킨 마우스에 프로드러그인 haloperitol과 doxepin을 각각 10 mg/kg로 복강에 투여하여 혈청 내 IL-6 분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43은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 1 μg을 1주일 간격으로 3회 복강 투여하는 과정에서 마우스 혈액 내에 소포체 특이 항체의 양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4는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 백신을 투여한 마우스 비장세포에 체외에서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처리시 분비되는 IFN-g 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5는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 백신을 투여한 마우스 비장세포에 체외에서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처리시 분비되는 IL-17 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6은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 백신을 투여한 마우스 비장세포에 체외에서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처리시 분비되는 IL-4 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7은 대장균(EC) 복강 투여에 의한 패혈증으로 마우스 치사율을 나타난 결과이다.
도 48은 대장균(EC) 복강 투여에 의한 패혈증 발생에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백신(EC_EV)의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9는 대장균(EC) 복강 투여에 의한 패혈증 모델에서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 접종 유무에 따른 혈액 및 복강에 대장균 수(CFU)를 나타난 그래프이다.
도 50은 대장균(EC) 복강 투여에 의한 패혈증 모델에서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 접종 유무에 따라, 대장균을 감염 6시간 후에 혈청 내 존재하는 IL-6 양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51은 대장균(EC) 복강 투여에 의한 패혈증 모델에서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 접종 유무에 따라, 대장균을 감염 6시간 후에 마우스에서 폐를 추출하여 폐 조직을 관찰한 이미지이다.
도 52는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를 접종한 마우스에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5μg)를 3회 복강 투여한 후 6시간에 마우스 혈청에서 IL-6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53은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를 접종한 마우스에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5 μg)를 3회 복강 투여한 후 6 시간에 패혈증과 관련된 전신성 염증반응의 지표인 체온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54는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를 접종한 마우스에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5 μg)를 3회 복강 투여한 후 6시간에 범발성혈관내혈액응고의 지표인 혈액 내 혈소판 감소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55는 여러 농도의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KP_EV)를 복강으로 접종한 마우스에서 혈액 내에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특이 항체의 양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6은 여러 농도의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KP_EV)를 복강으로 접종한 마우스에서 비장에서 채취한 T 세포에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체외에서 처리한 후, CD3+CD4+IFN-g+ T 세포의 수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57은 여러 농도의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KP_EV)를 복강으로 접종한 마우스에서 비장에서 채취한 T 세포에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체외에서 처리한 후, CD3+CD4+IL17+ T 세포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58은 클렙시엘라균(KP) 복강 투여에 의한 패혈증으로 마우스 치사율을 나타난 결과이다.
도 59는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KP_EV) 1μg을 3회 복강으로 접종한 마우스에서 클렙시엘라균(KP) 감염에 의한 패혈증 발생에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백신의 효능을 관찰한 그래프이다.
도 60은 대장균과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각각 EC_EV, KP_EV) 백신을 병합 복강 접종 시,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특이 항체 형성을 혈액에서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1은 대장균과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각각 EC_EV, KP_EV) 백신을 병합 복강 접종 시,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특이 항체 형성을 혈액에서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2는 C57BL/6 마우스 대변에서 분리한 세포밖 소포체의 유전물질 염기서열를 시퀀싱한 결과이다.
도 63은 BALB/c 마우스 대변에서 분리한 세포밖 소포체의 유전물질 염기서열를 시퀀싱한 결과이다.
도 64는 장내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를 bacteria-universal primer를 가지고 RT-PCR하여 16S rRNA의 유전자 또는 그에 유래한 RNA transcript가 있음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65는 장내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EC_EV) 25 μg을 마우스 복강으로 주사한 그룹과 PBS를 주사한 그룹에서 각종 장기 및 체액을 채취하여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의 단백질 존재 여부를 평가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및 이를 이용한 질병모델, 백신, 후보 약물 탐색 방법, 및 진단 방법 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장내(gut)"란 포유동물 소화관(digestive tracts)의 내부 및 상피세포층 표면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예를 들어,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의 소화관인 구강, 식도, 위, 소장, 대장, 직장, 항문, 담도, 담낭, 췌장관 등의 내부 및 상피세포층 표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장내 공생 세균(gut microbiota or gut flora)"이란 포유동물의 소화관의 내부 또는 표면에 서식하는 세균을 의미하며 정상상태에선 질병을 일으키지 않으나 방어능력이 떨어져 있는 상태거나 소화관를 벗어났을 때 질병을 일으키는 특징이 있으며, 당업자에게 공지의 장내 공생 세균이 이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란 포유동물의 장내 공생 세균이 장내에서 분비하거나, 또는 체내에 흡수되어 분비하는 소포체를 포함하며, 크기가 원래의 세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장내 공생 세균은 일반적으로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세균으로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세균에 의한 장내 감염은 주로 병원성 세균에 오염된 음식물 등을 섭취하여 발생하는 급성 감염성 질환에 관심을 두었다. 최근 위염, 소화성궤양, 위암 등의 발생에 있어서 위에 공생하는 헬리코박터균이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염증성장염, 대장암의 발생과 관련해서 대장에 공생하는 세균이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상기의 위장관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물질로서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의 중요성에 대해선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본 발명자들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점막에 염증을 유도하고, 특히 암의 병인에 중요한 호중구성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Th17 면역반응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냈고,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국소적으로 투여하여 상기의 국소 질환에 대한 질병 모델을 개발하였다.
전신적인 염증반응을 특징으로 하는 패혈증의 병인과 관련해서 세균에서 유래하는 물질이 혈관으로 흡수되어 이를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으나, 원인물질의 실체에 대해선 알려져 있지 않았다. 본 발명자들은 처음으로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혈관으로 유입되었을 때, 혈중에서 염증성 매개체 분비를 통한 전신적인 염증반응을 특징으로 하는 패혈증, 혈관내혈액응고, 폐기종 등의 질병이 발생함을 밝혀냈다. 이는 패혈증의 발생뿐만 아니라 혈관내 혈액응고에 의한 혈전형성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관상동맥증후군, 뇌졸증 등의 혈관질환, 폐기종, 급성호흡부전증후군 등의 폐질환의 발생에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중요한 원인인자임을 의미하고,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전신적으로 투여하여 상기의 전신질환에 대한 질병 모델을 개발하였다.
장내 세균 감염 이후에 관절염이 발생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비만, 당뇨 등의 대사질환과 장내 세균과의 관련성이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저용량으로 장기간 전신적으로 투여하여 고혈압, 골다공증 등의 질병이 발생함을 최초로 밝혀냈다. 이는 원인인자가 불분명한 만성질환의 원인물질로서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중요하고,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이용하여 상기 질병 모델을 개발할 수 있다.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약물을 개발하기 위해서 정확한 원인물질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원인물질을 체외에서 세포에 투여하는 과정에서 후보 약물을 처리하여 효능을 검증할 수 있고, 상기에 기술한 동물모델에 후보 약물을 투여하여 효능을 검증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약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이용한 후보 약물을 선별하는 탐색 방법을 확립하여, 이를 통해 약물을 발굴하였다. 즉, 상기의 탐색 방법으로 80종의 키나제 억제제 중에서 염증성 매개체 분비를 억제하는 11 종의 후보 약물, 30종의 포스파타제억제제 중에서 1종의 후보 약물, 100종의 프로드러그 중에서 14종의 후보 약물을 발굴하여 상기에 기술한 질병 동물 모델에서 효능을 검증하였다. 이는 본 발명에서 개발한 후보 약물 탐색 방법을 통해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물을 매우 효과적으로 발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질병의 원인인자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백신 개발에 필수적이다. 바이러스성 감염질환인 경우에 원인 바이러스를 약독화한 형태로 체내로 투여함으로써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반응을 유도하여 예방 백신을 개발하여 사용되고 있고, 현재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을 예방 백신으로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체내에 투여하여 소포체에 대한 면역반응을 유도함으로써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질병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이는 패혈증, 동맥경화증, 급성관상동맥증후군, 뇌졸증, 폐기종, 급성호흡부전증후군, 골다공증, 고혈압, 비만, 당뇨, 관절염, 뇌질환 등의 전신질환 및 구강염, 구강암, 식도염, 식도암, 위염, 소화성궤양, 위암, 염증성장염, 과민성장증후군, 대장암, 담도염, 담낭염, 췌장염, 담도암, 췌장암 등의 국소질환 등과 같이 질병의 발생에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와 관련성이 있는 질병에 대한 백신으로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자체를 사용하거나, 또는 효능을 증가시키거나 부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소포체를 변형 투여하거나 약물을 병용 투여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상기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세균에서 분비되는 외독소에 의한 질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외독소 단백질을 이용한 예방 백신은 수십년전에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세균 자체에 대한 효과적인 백신은 개발되지 않았다. 세균 자체에 대한 예방 백신의 예로, 그람 양성 세균인 경우 세포벽 성분을 이용한 백신이 개발되었으나 T 세포에 비의존적으로 항체가 생성되고, 세균의 아형에만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항체만 생성되어 효능에 한계가 있다. T 세포에 의존적인 항체 생성을 위해 세포벽 성분에 단백질을 접합한 형태의 백신이 개발되었으나, 가격이 비싸고, 세균의 아형에만 작용하는 단점이 있다. 세균유래 소포체를 백신으로 사용하는 경우 소포체에 세균에 유래하는 여러 종류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어 세균의 아형에 특이적인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기존 세균 백신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고, 세균에 대한 항체 형성뿐만 아니라 T 세포반응을 유도하는 면역보강제가 같이 있어 효율적으로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투여하여 세균 단백질에 대한 항체 형성뿐만 아니라 세균에 대한 방어에 중요한 T 세포 면역반응인 Th1 및 Th17 면역반응을 효율적으로 유도함으로써 장내 공생 세균에 의한 감염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이는 장내 공생 세균에 의한 복막염, 패혈증, 폐렴, 요로감염, 골관절 및 중추신경계 감염 등에 대한 백신으로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자체를 사용하거나, 또는 효능을 증가시키거나 부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소포체를 변형 투여하거나 약물을 병용 투여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상기 감염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패혈증, 동맥경화증, 급성관상동맥증후군, 뇌졸증, 폐기종, 급성호흡부전증후군, 골다공증, 고혈압, 비만, 당뇨, 관절염, 뇌질환 등의 전신질환 및 위염, 소화성궤양, 위암, 염증성장염, 과민성장증후군, 대장암 등의 국소질환 등의 원인물질이라는 사실은 원인물질이 불분명한 상기 질환의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자들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의 유전물질에 대한 염기서열을 분석하였고, 단백질을 동정하였으며,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대한 특이 항체가 형성됨을 밝힘으로써 상기 질병의 원인인자을 정확히 진단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마우스 대변에서 세포밖 소포체를 분리하여 프로테옴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총 295개의 단백질을 동정하였고, 이 중 73개의 단백질은 마우스 숙주세포, 77개는 그람 음성 세균, 145개는 그람 양성 세균에서 유래한 단백질이었다. 대변에서 분리한 세포밖 소포체의 단백질 분석을 통해 세포밖 소포체를 분비하는 세균을 동정하였는데, 그람 음성 세균으로 박테로이데스균 (Bacteroides thetaiotaomicron), 대장균 (Esherichia coli), 크렙시엘라균 (Klebsiella pneumoniae) 등이었고, 그람 양성 세균으로 비피도박테리움균 (Bifidobacterium longum), 클로스트리디움균 (Clostridium perfringens), 엔테로코커스균 (Enterococcus faeacalis), 유박테리움균 (Eubacterim rectale), 락토바실러스균 (Lactobacillus reuteri), 프로피오박테리움균 (Propiobacterium acnes), 스트렙토코커스균 (Streptococcus agalactiae) 등이 동정되었다.
염증성장염은 대장의 만성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서 최근 Th17 면역반응에 의한 염증이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염증성장염은 대장암의 위험인자로서 동물실험에서 Th17 면역반응에 의해 대장암이 발생된다고 알려져 있다. 덱스트란소디움설페이트 (dextran sodium sulfate, DSS)를 경구로 투여하여 염증성장염 동물 모델을 만드는 방법이 보편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1% DSS를 6일간 경구로 투여한 후, 7일째 소장액에서 세포밖 소포체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세포밖 소포체를 체외에서 마우스 대식세포 (RAW 264.7)에 처리하였을 때, 정상 마우스 소장액에서 분리한 소포체는 인터루킨(Interleukin, IL)-6 분비를 유도하지 않았으나, 질병상태 마우스 소장액에서 분리한 소포체는 IL-6 분비를 유도하였다. IL-6가 Th17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중요한 매개체임을 감안하면, 질병상태의 소장액에서 분리한 세포밖 소포체가 Th17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질병상태의 소장액에서 분리한 세포밖 소포체에 그람 음성 세균의 세포외막 성분인 LPS를 길항하는 polymyxin B와 같이 투여하였을 때, IL-6가 분비되지 않았는데, 이는 염증성장염을 일으키는데 장내 공생 세균 중에서 그람 음성 세균에서 유래한 세포밖 소포체가 중요함을 의미한다.
마우스의 맹장을 결찰한 후 천자하는 수술 (cecal ligation and puncture, CLP)을 통해 패혈증 동물 모델을 만드는 방법이 보편적이다. 본 발명에서는, CLP 후, 복강 세척을 통해 복강에서 패혈증과 관련된 장내 공생 세균을 분리하였는데, 16S rRNA 염기서열을 통해 분리된 세균이 대장균으로 동정되었고, 전자현미경 사진을 통해 대장균 표면에 20-40 nm 크기를 가진 구형 모양의 세포밖 소포체를 분비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물리화학적인 자극 없이 장내 공생 세균 배양액에서 생리적으로 분비되는 세포밖 소포체를 분리하였다. 예를 들어, 대장균을 배지에서 장시간 키운 다음에 상층액을 거두어 세포밖 소포체보다 큰 물질을 필터를 통해서 거른 후에 농축한 용액을 초원심분리하여 세포밖 소포체를 분리하였다.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는 염증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LPS와 외막 단백질 (outer membrane protein)을 포함하고 있다. 대장균 배양액에 자연적으로 분비한 세포밖 소포체는 질량 대비 75%의 LPS와 대장균 외막 및 외막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었다.
자연적으로 분비되는 세포밖 소포체 분리 이외에도 여러 가지의 기계적, 전기적, 화학적 방법으로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분리할 수 있다. 삼투압을 이용한 세포 용해, 전기 천공 (electroporation), 초음파 분해 (sonication), 균질화 (homogenization), 세제 (detergent) 처리, 냉동-해동 (freeze-thaw), 압출 (extrusion), 기계적 분해 등의 방법으로 인공적으로 세포밖 소포체를 제조한 후 분리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표기가 없는 세포밖 소포체는 배양 세균이 자연적으로 분비하는 세포밖 소포체를 말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분리한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염증성 매개체 분비를 유도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 마우스 대식세포 (RAW 264. 7)에 세포밖 소포체를 처리하였다. 그 결과, 세포밖 소포체의 농도에 비례하여 대식세포에서 TNF-α와 IL-6 등의 염증성 매개체 분비가 증가하였다.
대장에는 수 많은 공생세균이 서식하고 있어, 특정 세균에 의한 병인을 평가하기 위하여 장내 세균이 없는 쥐 (germ free mouse)를 사용한다. 대장에 비하여 기도에는 공생 세균이 없어 특정 세균에 의한 병인을 평가하기에 최적의 환경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점막에 국소적으로 작용하여 염증을 유도하는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기도로 투여하였다. 그 결과, 세포밖 소포체의 농도에 비례하여 기관지폐포세척액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 fluid) 내에 염증세포 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Th17 면역반응과 암 발생과 관련이 있는 IL-6의 분비가 소포체의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이는 장내 공생 그람 음성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점막에 국소적으로 작용하여 Th17 면역반응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을 유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전신적으로 흡수되었을 때, 전신 염증반응이 유도되는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세포밖 소포체를 복강 내로 투여하였다. 그 결과, 세포밖 소포체의 농도에 비례하여 마우스의 사망률이 증가하였다.
패혈증은 국소적인 세균감염과 함께 전신적인 염증반응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SIRS)을 특징으로 하는데, SIRS는 빈호흡, 저체온 또는 고체온, 심박수 증가, 백혈구 감소 또는 증가의 지표로 구성되어 있고 이 지표들 중 2개 이상 충족시키면 패혈증이라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치사량 미만의 용량으로 마우스 복강 내로 주입하였을 때, 혈중에 염증성 매개체인 TNF-a IL-6, IL-12, IL-17 등이 증가하였고, 빈호흡, 저체온, 백혈구 감소가 유도되었다. 이는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혈관으로 흡수되어 염증성 매개체를 분비하고, 이를 통해 패혈증을 유도함을 알 수 있다.
패혈증이 임상적으로 중요한 이유는 사망률이 매우 높다는 점인데, 패혈증의 경과에서 중증 패혈증 (severe sepsis)으로 발전하게 되면, 사망할 가능성이 매우 높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세포밖 소포체를 복강 내로 주입하였을 때 중증 패혈증의 지표인 저혈압이 유도되었다. 이는 패혈증의 경과에서 중증으로 이행하는 데에도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중요한 역할을 함을 의미한다.
혈관 내에서 혈액이 응고(coagulation)되면 혈관이 막히게 되어 급사(sudden death)의 주 원인이 된다. 특히, 뇌혈관과 관상동맥이 혈액응고에 의한 혈전(thrombosis)으로 막히게 되는 경우, 각각 뇌졸증(stroke)과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ute coronary syndrome)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본 발명에서는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혈관으로 유입되었을 때 혈액응고를 유도하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복강으로 투여하였다. 그 결과, 세포밖 소포체를 투여한 군에서 혈액내에 파종성혈관내혈액응고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의 지표인 혈소판이 감소하였고, D-dimer 양이 증가하였다. 이는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혈관으로 유입되어 혈액응고를 일으키고, 뇌혈관과 관상동맥에 혈액응고가 발생하면 각각 뇌졸증,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을 일으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혈관 내피세포에 작용하여 이를 활성화시키고, 혈액응고를 일으키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혈관 내피세포 (HUVEC)에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처리하였다. 그 결과 염증 반응 및 관상동맥 질환을 포함한 각종 질병 상황에서 증가한다고 잘 알려진 ICAM-1의 양이 증가하였으며 혈액 응고인자인 조직요소 (tissue factor)의 분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혈관내피세포가 활성화되고, 혈액응고가 발생하여 혈전 (thrombosis) 또는 색전 (embolism)에 의해 혈관이 막히는 허혈성 혈관질환을 유도함을 의미한다.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혈관으로 유입되었을 때, 또 다른 문제가 여러 장기로 분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복강으로 주입하였을 때, 세포밖 소포체가 전신적으로 분포함을 알 수 있었고, 특히 폐조직으로 침윤됨을 확인하였다. 폐조직으로 침윤된 세포밖 소포체가 폐염증을 유도하는 지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폐염증의 지표인 wet-dry ratio가 세포밖 소포체를 투여한 경우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기관지폐포세척액 내 염증세포 수 또한 증가하였다. 또한, 염증에 따른 조직손상 여부를 평가하였는데, 세포밖 소포체를 투여한 경우에 폐포의 파괴를 특징으로 하는 폐기종이 발생하였다. 이는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혈관으로 흡수되면, 폐뿐만 아니라, 뇌, 골관절, 콩팥 등과 같은 여러 장기에 분포하여 염증과 조직손상을 유도하여 다양한 질병을 유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장내 공생 세균은 지속적으로 세포밖 소포체를 분비하고, 이는 혈관으로 유입되어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저 용량으로 장기간 투여하였을 때, 체내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고혈압이 발생하였고, 또한 골다공증도 발생하였다. 이는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현재까지 원인인자가 불분명한 만성 염증 질환의 발생에 중요한 원인인자임을 의미한다.
IL-6는 다양한 작용을 통해 염증질환 및 암 발생에 관여한다. IL-6는 STAT3를 통한 신호전달을 통해 암 발생에 관련된 세포증식 (cell proliferation), 혈관신생 (angiogenesis), 침윤 (invasion), 면역회피 (immune evasion)에 관련된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고, 암 발생에 중요한 Th17 면역반응을 통한 호중구성 염증에 의해 암 발생을 유도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혈중 IL-6의 농도는 동맥경화증 및 폐기종을 포함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사망과 관련된 예후와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다. 특히, 혈중에서 염증세포에서 분비되는 IL-6는 혈관내피세포에 작용하여 혈액응고에 관련된 인자의 발현을 증가시켜 혈액응고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패혈증 동물 모델에서 질병의 병인에 대한 IL-6의 역할을 평가하기 위하여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정상 및 IL-6 결핍 마우스의 복강에 주입하였다. 그 결과, 80% 이상의 정상 마우스에서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사망하였으나, IL-6 결핍 마우스에선 소포체 투여에 의해 모두 생존하였다. 또한,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복강 투여에 의한 폐기종 발생도 정상 마우스에선 소포체에 의해 발생하였으나, IL-6 결핍 마우스에선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체내에서 분비되는 IL-6가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질병의 병인에 매우 중요한 바이오마커임을 의미한다.
상기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발명자들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후보 약물을 선별하기 위한 탐색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원인인자로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사용하였고, 효능으로 마우스 대식세포 (RAW 264.7)에서 분비되는 IL-6를 평가하였다. 대식세포에 세포밖 소포체와 함께 80종의 키나제 억제제 (kinase inhibitor library, BIOMOL No.2832: PD-98059, U-0126, SB-203580, H-7, H-9, AG-494, AG-825, Lavendustin A, RG-14620, Tytphostin 23, Tytphostin 25, Tytphostin46, Tytphostin47, Tytphostin 51, Tytphostin 1, Tytphostin 9, Tytphostin AG 1288, Tytphostin AG 1478, Tytphostin AG 1295, HNMPA, Damnacanthal, Piceatannol, AG-490, AG-126, AG-370, AG-879, LY 294002, Wortmannin, GF 109203X, Hypericin, Sphingosine, H-89, H-8, HA-1004, HA-1077, HDBA, KN-62, KN-93, ML-7, ML-9, 2-Aminopurine, N9-Isopropyl-olomoucine, Olomoucine, iso-olomoucine, Roscovitine, LFM-A13, SB-202190, ZM 336372, SU 4312, AG-1296, Rottlerin, Genistein, Daiazein, Erbstatin analog, Quercetin dehydrate, SU 1498, ZM 449829, DRB (5,6-Dichloro-1-b-D-ribofuranosylbenzimidazole), HBDDE (2,2',3,3',4,4'-Hexahydroxy-1,1'-biphenyl-6,6'-dimethanol dimethyl ether), Indirubin, Indirubin-3'-monoxime, Y-27632, Kenpaullone, Terreic acid, BML-257, BML-259, Apigenin, BML-265 (Erlotinib analog), Rapamycin), 30종의 포스파타제억제제 (phosphatase inhibitor library, BIOMOL No.2834: Cantharidic acid, Cantharidin. Endothall, Benzylphosphonic acid, L-p-Bromotetramisole oxalate, RK-682, RWJ-60475, RWJ-60475 (AM)3, Levamisole HCl, Tetramisole HCl, Cypermethrin, Deltamethrin, Fenvalerate, Tyrphostin 8, CinnGEL, CinnGEL 2 Me, BN-82002, Shikonin, NSC-663284, Cyclosporin A, Pentamidine, BVT-948, B4-Rhodanine, BML-268, Dioxophenanthrene, BML-260, PD-144795, BML-267, BML-267 Ester, OBA, OBA Ester, Gossypol, Alendronate), 100종의 프로드러그 (prodrug; acetaminophen, acetylcysteine, allopurinol, alprenolol HCl, amitriptyline HCl, atropine, bretylium tosylate, bromopheniramine, budesonide, buspirone HCl, cefuroxime, chloral hydrate, chlorpromazine HCl, cimetidine, clomipramine HCl, clotrimazole, cyclobenzaprine, desipramine HCl, diclofenac, diflunisal, diltiazem, diphenhydramine HCl, disopyramine, disulfiram, D-mannitol, doxepin, doxycycline hydrate, doxylamine succinate, edrophonium chloride, enalapril maleate, famotidine, fenbufen, fenofibrate, fenoprofen calcium salt hydrate, flunarizine dihydrochloride, fluphenazine dichloride, flurbiprofen, furosemide, gemfibrozil, gliclazide, glipizide, haloperidol, hydrochlorothiazide, hydroflumethiazide, hydroxyzine HCl, ibuprofen, imipramine HCl, indapamide, indole-2-carboxylic acid, indomethacin, ipratropium, ketoprofen, ketorolac tris salt, maprotiline HCl, meclofenamic acid, melatonin, metformin, methapyrilene HCl, methimazole, methocarbamol, metoclopramide HCl, metronidazole, nabumetone, naproxen, neostigmine Br, niacin, nicardipine HCl, nifedipine, nitrofurantoin, nizatidine, norethindrone, nortriptyline, orphenadrine HCl, oxybutynin, phenformin HCl, phenylbutazone, phenytoin, piroxicam, prednisone, probenecid, propranolol HCl, pyridostigmine Br, ranitidine HCl, spironolactone, sulfameth, sulpiride, tenoxicam, terfenadine, theophylline, ticlopidine HCl, tolazamide, tolazoline, tolbutamide, tolfenamic acid, tramadol HCl, tranylcypromine, trazodone HCl, triamterene, trichlormethiazide, tripelennamine HCl, verapamil, warfarin)를 투여하였다. 키나제 억제제 중 11가지 후보 물질, 포스파타제 억제제 중 1가지 후보 물질, 프로드러그 중 14가지 후보 물질이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IL-6 분비를 억제하였다.
체내에서 IL-6의 분비에 대한 상기 후보 약물의 효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장내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마우스에 5μg 복강 주사하여 전신성 면역 반응을 유도한 마우스 모델에서 상기 후보 약물을 함께 복강 주사 시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증가되는 혈청 내 IL-6의 양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염증성 질환 치료제 후보 약물을 효율적으로 선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세균 감염에 대한 방어기작으로 T 세포 면역반응과 B 세포에서 생성되는 항체반응이 중요하다. 세균에 대한 항체는 크게 LPS 등과 같은 비단백질 성분에 대한 항체와 단백질 성분에 대한 항체로 구별할 수 있고, 전자인 경우에는 생성에 T 세포의 영향을 받지 않는 반면, 후자인 경우에는 생성에 T 세포의 영향을 받는다. T 세포 면역반응은 사이토카인의 분비양상에 따라 감마인터페론 (IFN-g)을 분비하는 Th1, IL-17을 분비하는 Th17, IL-4/IL-5/IL-13 등을 분비하는 Th2 세포로 분류할 수 있고, 이 중 세균에 대한 방어에 중요한 것은 Th1 및 Th17 면역반응으로 알려져 있다. 세균에서 유래하는 세포밖 소포체에는 세균이 갖고 있는 여러 가지 단백질뿐만 아니라 면역반응을 항진시키는 면역보강제를 포함하고 있어 세균에 대한 백신으로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투여하였을 때, 세균에 대한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대장균(EC) 및 크렙시엘라균(KP) 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복강으로 일주일 간격으로 3회 주사하여 면역반응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세포밖 소포체를 투여한 경우 각각의 세균특이 단백질에 대한 항체가 투여 횟수에 따라 증가하였고, 각각의 세균에 존재하는 단백질에 의해 T 세포에서 감마인터페론과 IL-17 분비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투여하면 소포체를 분비하는 세균 단백질에 대한 항체형성뿐만 아니라 단백질특이 Th1 및 Th17 면역반응을 유도하여 효율적으로 세균감염 및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제로 소포체 백신을 미리 투여하여 면역반응을 유도함으로써 세균감염 및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질병 발생에 대한 예방효과가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장내 공생 세균인 대장균과 크렙시엘라균을 복강으로 주사하여 패혈증 동물 모델을 확립한 후, 상기 세균을 복강으로 주입하기 전에 각각 대장균과 크렙시엘라균 유래 세포밖 소포체로 면역반응을 유도하였다. 소포체 백신으로 면역반응을 유도한 후, 대장균과 크렙시엘라균을 각각 복강으로 투여하여 패혈증에 의한 사망률 발생에 백신의 효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각각 대장균과 크렙시엘라균대장균 유래 소포체 백신을 투여한 경우, 대장균과 크렙시엘라균 감염에 의한 패혈증으로 인한 사망률이 효율적으로 억제되었다. 또한, 대장균유래 소포체 백신을 투여한 경우, 대장균 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혈관으로 유입되어 혈중에서 분비되는 IL-6의 양이 현저히 줄어들었다. 이는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백신으로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경우에 장내 공생 세균 감염뿐만 아니라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질병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통해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각종 질병의 발생이 가능함을 전술하였으며, 이는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원인인자가 불분명한 질병의 발생에 중요한 원인인자임을 의미한다. 질병의 원인인자를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유전물질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 결과 16S rRNA가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마우스 대변 유래 세포밖 소포체의 경우 대변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세균 10종 중에서 Escherichia coliKlebsiella pneumoniae의 유전물질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마우스 복강에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주입한 결과 마우스의 각종 장기 및 소변, 혈액에서 세포밖 소포체 단백질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채취가 용이한 소변, 대변, 및 혈액 등에서 유전물질 및 세포밖 소포체 단백질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질병의 원인인자를 효율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정상 마우스 대변에서 분리한 세포밖 소포체의 프로테옴 분석
마우스 대변 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분리하기 위해 5 주령 수컷 C57BL/6 마우스로부터 얻은 대변 25g을 생리식염수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2 L에 넣고, 4℃에서 16시간 동안 현탁 (resuspension)하였다. 이 현탁액을 4℃, 10,000×g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취하여 0.45 mm 구멍 크기를 가진 필터에 통과시켰다. 이렇게 박테리아가 제거된 통과액은 100 kDa 분자량 이하의 단백질을 제거할 수 있는 막 (membrane)을 장착한 퀵스탠드 시스템 (QuixStand Benchtop System)을 사용하여 70 ml로 약 30 배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재차 4℃, 10,000 × g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얻었다. 이 상층액을 0.5 ml의 2.5 M 슈크로스 용액 (2.5 M sucrose/20 mM HEPES/150 mM NaCl, pH7.4)과 1 ml의 0.8 M 슈크로스 용액 (0.8 M sucrose/20 mM HEPES/150 mM NaCl, pH7.4)이 담긴 초원심분리 튜브 (ultracentrifuge tube)에 담고 4℃, 100,000×g에서 4시간 동안 초원심분리한 후, 2.5 M 과 0.8 M 슈크로스 용액 사이에 위치한 세포밖 소포체 포함층을 취하였다. 이를 PBS로 10 배 희석한 후, 0.15 ml의 2.5 M 슈크로스 용액과 0.35 ml의 0.8 M 슈크로스 용액이 담긴 초원심분리 튜브에 담고 4℃, 200,000×g에서 2 시간 동안 초원심분리하였다. 2.5 M 과 0.8 M 슈크로스 용액 사이에 위치한 세포밖 소포체 포함층을 PBS로 10배 희석한 후, 4℃, 150,000×g에서 3 시간 동안 초원심분리하여 침전시켰다. 침전물을 2.2 ml의 50% 옵티프렙 (Optiprep) 용액에 현탁하고 초원심분리 튜브에 담은 후, 그 위에 2 ml의 40% 옵티프렙 용액과 0.8 ml의 10% 옵티프렙 용액을 차례로 담았다. 이후 4℃, 200,000×g에서 2 시간 동안 초원심분리하고, 40% 옵티프렙 용액과 10% 옵티프렙 용액 사이의 층에서 세포밖 소포체를 얻었다.
마우스 대변 유래 세포밖 소포체의 프로테옴 분석을 위해 인-솔루션 (in-solution) 트립신 단백질 분해 방법을 이용하였다. 마우스 대변에서 상기 실시예의 방법으로 분리한 세포밖 소포체 50 mg을 분해용액 (7 M urea, 2 M Thiourea, 100 mM NH4HCO3)으로 녹인 후, 10 mM DTT를 이용하여 60℃에서 45 분간 환원 (reduction)시켰다. 이후 샘플을 상온에서 식힌 후 55 mM 요오드아세트아미드 (iodoacetamide)를 넣고, 빛을 차단한 상태로 상온에서 30 분간 단백질을 알킬화 (alkylation)시켰다. 이 후 10 ㎍의 트립신을 처리하고 초음파분해 (sonication)로 트립신의 활성을 높인 후, 37℃에서 1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분해된 펩타이드는 오프젤 분리 시스템 (OFFGEL fractionators system, Agilent)을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우선 24 cm 의 IPG strip (pH 3-10)을 IPG 가수화 (IPG-rehydration) 버퍼로 가수반응시켰다. 분해된 펩타이드를 2.8 ml의 오프젤 (off-gel) 버퍼에 녹이고, 그 중 150 ㎕를 한 레인(lane)에 로딩한 후 50 mA 8000 V 전압으로 40 시간 동안 전기영동하여 펩타이드를 각각의 등전점 (pI)에 따라 분리하였다. 분리 후 얻은 샘플을 PepClean C18 spin column을 이용하여 제염(desalting)하였다.
나노 이온화 질량 분석 (Nano-LC-ESI-MS/MS)을 이용하여 질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인-솔루션 분해 방법으로 준비한 마우스 대변 유래 세포밖 소포체의 분해 펩타이드를 5 mm 크기의 C18 레진 (resin)이 충전된 컬럼 (75 mm x 12 cm)에 로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리하였다: 3-40% 버퍼 B 70 분; 혈류 속도 0.3 ml/min (버퍼 A 조성: 0.1% formic acid in H2O, 버퍼 B 조성: 0.1% formic acid in acetonitrile). 분리된 펩타이드는 LTQ-ion-trap 질량 분석기 (Thermo Finniga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온화 전기분무 (electrospary)의 전압은 1.9 kV로 하고, 35%의 규격화된 충돌 에너지 (normalized collision energy) 조건으로 질량 분석 (MS/MS)을 수행하였다. 모든 스펙트럼은 데이터-종속 (data-dependent) 스캔 (scan)으로 획득하였다. LTQ의 매개변수 (parameter)는 풀 매스 스캔 (full MS scan)에서 5개의 최다 스펙트럼 (most abundant spectrum)을 단편화 (fragmentation)하였고, 동적 배제 (dynamic exclusion)의 반복 수 (repeat count)는 1로, 반복 시간 (repeat duration)은 30 초로, 동적 배제 시간 (dynamic exclusion duration)은 180 초로, 배제 질량 너비 (exclusion mass width)는 1.5 Da, 동적 배제의 리스트 크기 (list size)는 50으로 설정하였다.
마우스 장 세포에서 유래된 세포밖 소포체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분석을 위해 기존에 아미노산 염기서열이 구축된 마우스의 데이터베이스 (Uniprot)를 이용함과 동시에 장내 박테리아에서 유래된 세포밖 소포체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분석을 위해서 장내에 다수로 존재하는 속 (genus)을 대표하는10 종 (species)의 박테리아 데이터베이스 (Uniprot)를 이용하였다.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총 11 번의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MASCOT 단백질 분석 엔진 version 2.2 (http://www.matrixscience.com)를 이용하여 질량분석에서 나온 모든 스펙트럼 (MS spectrum and MS/MS spectrum)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대한 검증은 펩타이드 프로펫/단백질 프로펫 (peptide prophet/protein prophet) 95%/99% 이상으로 신뢰도 높은 단백질들을 선별하였고, 각각의 단백질에서 동정된 펩타이드가 한 개인 스펙트럼은 직접 아미노산 서열을 분석(manual validation)하여 신뢰도를 높였다.
도 1은 상기의 방법으로 마우스의 대변에 존재하는 세포밖 소포체의 프로테옴 분석 결과로서, 총 295 개의 단백질 중 222 개가 박테리아 유래 단백질이었으며 이중 그람 음성 세균유래 단백질이 77개, 그람 양성 박테리아 유래 단백질이 145 개 동정되었다. 그람 음성 세균의 경우 Bacteroides thetaiotaomicron, Escherichia coli K-12, Klebsiella pneumonia 유래 단백질이 주를 이루었으며, 그람 양성 세균의 경우 Clostridium perfringens, Lactibacillus reuteri 유래 단백질이 주를 이루었다.
실시예 2. 정상 및 질병상태의 마우스 소장액에서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염증성 매개체 분비
정상 및 DSS에 의해서 유도된 염증성장염 마우스의 소장액에서 세포밖 소포체를 분리하기 위해서 마우스를 해부하여 소장을 적출하였다. 적출된 소장에서 peyer`s patch와 lipid를 제거한 뒤 소장을 약 5 cm의 길이로 잘라내고 횡으로 절개하여 생리 식염수에 씻어 소장내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불순물이 제거된 소장은 사방 1 cm크기로 잘라내고 30 ml의 생리 식염수에 넣고 vortex로 5 초간 5 번 vortexing하였다. 소장 조직 및 불순물은 윈심분리하여 제거하고 상층액에서 초원심분리를하여 세포밖 소포체를 분리해내었다.
도 2는 상기의 방법으로 분리된 세포밖 소포체를 투과전자현미경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을 통해서 대략의 크기와 모양을 나타낸 결과로서, 약 100 nm 크기의 구형의 세포밖 소포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 및 도 4는 정상 및 DSS에 의해서 유도된 염증성장염 마우스의 소장액에서 분리한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염증성 매개체인 IL-6의 분비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마우스 대식세포 (RAW 264.7)에 여러 가지 농도의 세포밖 소포체를 처리한 결과이다. 그 결과, 정상 마우스에서 분리된 세포밖 소포체는 IL-6를 유도하지 못하였지만, DSS에 의해서 유도된 염증성장염 마우스의 소장에서 분리된 세포밖 소포체는 농도의존적으로 IL-6의 발현을 유도하는 것을 엘리자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방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도 5는 DSS에 의해서 유도된 염증성장염 마우스에서 분리된 세포밖 소포체에 그람 음성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평가한 결과이다. 그 결과, DSS에 의해서 유도된 염증성장염 마우스에서 분리된 세포밖 소포체에 그람 음성 세균의 세포외막의 구성성분인 LPS를 길항하는 polymyxin B를 와 처리하였을 때, 질병 상태의 소장액에 존재하는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IL-6의 분비가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염증성 장질환의 발생에 장에 존재하는 그람 음성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중요하게 작용함을 의미한다.
실시예 3. CLP 패혈증 동물 모델의 복강액에서 분리한 장내 공생 세균인 대장균에서 유래하는 세포밖 소포체의 특성 분석
C57BL/6 (male, 6 주) 마우스 1마리의 맹장 끝부분에 18 gauge 주사기 바늘을 2번 찔러 CLP (ceacal ligation and puncture) 수술을 하였다. 40 시간 후에 PBS 3 ml을 5 ml 주사기를 이용하여 마우스 복강에 주사한 후, 잘 섞은 뒤 다시 복강으로부터 1 ml을 회수하여 그 중 10 μl를 LB (Luria Bertani) 용액 90 μl와 섞은 후 10,000배 희석하여 LB 아가 플레이트 (Agar plate)에 도말하여 37°C 인큐베이터 (incubator)에 8시간 배양하였다. 여러 개의 콜로니 (colonoy)중 한 개를 골라 5 ml LB 용액이 들어 있는 시험관에 넣고 37°C 인큐베이터에 8시간 배양한 후, 이 중 10 μl를 LB 용액 90 μl와 섞은 후 10,000 배 희석하여 LB 아가 플레이트에 도말 하여 37°C incubator에 8 시간 배양하였다. 위의 콜로니 픽킹 (picking)과정을 똑같이 한번 더 수행하여 결국 하나의 콜로니를 얻어 장내 대장균을 추출하였다.
도 6은 추출한 장내 대장균의 16S rRNA를 분석한 결과로, E.coli C4로 동정되었으며 이는 인간의 대변에서 관찰되는 공생 세균이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추출한 마우스 장내 대장균을 주사전자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과 투과전자현미경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으로 관찰한 결과로 그 표면 밖으로 30 nm 크기의 세포밖 소포체를 분비함을 알 수 있다.
장내 대장균을 3 ml LB 용액이 들어있는 시험관에 37°C, 4 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그 중 10 μl씩을 500 ml LB 용액이 들어 있는 2L 삼각 플라스크 8 개에 옮겨 37°C, 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350 ml 용량 고속원심분리 튜브 12 개에 나눠 담은 후, 4°C, 5,000 x g에서 15 분 동안 연속으로 2 번 수행하였다. 4 L 가량의 상층액을 구멍 크기가 0.45 μm인 멤브레인 필터 (membrane filter)를 1회 통과 시킨 후, 100 kDa 이하의 분자만 통과시킬 수 있는 퀵스탠드 시스템을 (Quixstand system) 사용하여 300 ml 양까지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0.22 μm의 구멍 크기를 가진 멤브레인 필터에 1회 통과 시킨 후, 50 ml 용량의 초원심분리 튜브 (ultracentrifuge tube)에 나눠 담은 후 4°C, 150,000 x g에서 3시간 동안 초원심분리 (ultracetrifugation)를 하였다. 상층액은 버리고 튜브 아래에 존재하는 침전물을 PBS로 녹여 장내 대장균 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추출하였다.
도 9는 장내 대장균의 세포밖 소포체의 모양과 크기를 투과전자현미경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세포밖 소포체가 지질 이중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크기가 20-100 nm이고 대체로 구형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0은 세포밖 소포체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 10 장을 토대로 세포밖 소포체의 크기 별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20-40 nm 크기의 세포밖 소포체가 전체의 반을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in vitro 염증성 매개체 분비
1 x 105 개의 마우스 대식세포 (RAW 264. 7)를 각각 24 well 플레이트에 씨딩 (seeding)한 후, 24 시간 후에 세포밖 소포체 (0.1, 1, 10, 100, 1000 ng/ml) 또는 페놀 (phenol)을 이용하여 장내 대장균으로부터 추출한 LPS (100, 200, 500, 1000, 2000 ng/ml)를 세포에 처리하여 37°C 인큐베이터에 배양하였다. 15 시간 후에 상층액을 거둔 후, 4°C, 500 x g에서 10 분 동안 원심분리 한 후, 4°C, 3000 x g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를 시행하였다. 분리된 상층액에 들어 있는 사이토카인의 양을 ELISA 방법을 통해 측정하였다.
도 11 및 도 12는 사이토카인의 양을 나타낸 결과로 세포밖 소포체의 양에 비례하여 염증성 매개체인 TNF-α (도 11 참조), IL-6 (도 12 참조)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LPS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보다 훨씬 적은 양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상기의 염증성 매개체가 분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염증세포에 작용하여 아주 낮은 농도에서도 염증성 매개체 분비를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5.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국소 투여에 의한 점막 염증 및 IL-6 분비
C57BL/6 (female, 6주) 마우스 실험군과 대조군 각 5마리를 준비하고 실험군에 속한 마우스에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1, 10, 100 ng을 비강으로 투여하였다. 투여 후 6 시간, 24 시간에 기도점막의 염증을 측정하였다. 케타민 (ketamine)과 자알라인 (xylazine)을 혼합한 마취액을 마우스 복강에 투여하여 마취한 후, 흉부를 절개하고 기관을 노출시켜 카테터를 기도에 삽입하고 결찰시켰다. PBS를 1 ml씩 2회 주입하고 기도를 세척하여 기관지폐포세척액 (bronchoalveolar lavage, BAL fluid)을 얻었다. 기관지폐포세척액을 4oC에서 3,000 rpm으로 10 분간 원심분리한 뒤, 세포 펠렛 (cell pellet)을 PBS 용액에 풀었다. 상기의 세포 펠렛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세포 수를 세었다. 또한 기관지폐포세척액에서 Th17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염증성 매개체인 IL-6를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도 13은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비강 투여 후 6 시간과 24 시간에 기도점막의 염증을 기관지폐포세척액 내 염증세포의 수로 나타낸 그림이다.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투여하기 전에 비하여 세포밖 소포체를 투여한 6시간 및 24시간에 기관지폐포세척액에 염증세포 수가 현저히 증가하였고, 이는 투여한 세포밖 소포체 농도와 관련이 있었다.
도 14는 기관지폐포세척액 내 IL-6의 양을 ELISA 방법으로 측정한 그림이다.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투여하기 전에 비하여 세포밖 소포체를 투여한 후 6시간에 기관지폐포세척액 내 IL-6의 양이 현저히 증가하였고, 이는 투여한 소포체의 농도와 관련이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국소적으로 작용하여 점막에 염증을 유도하고, 이는 Th17 면역반응을 특징으로 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고용량의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복강 투여에 의한 패혈증
실시예 3의 방법으로 분리한 세포밖 소포체를 C57BL/6 (male, 6주) 마우스 20마리에 각각 15, 25, 50 μg을 한 번 복강 주사하여 12 시간마다 죽은 마우스의 수를 확인하였다.
도 15는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마우스 생존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25 μg의 이상의 세포밖 소포체 복강내 투여에 의해 95%의 마우스가 사망함을 알 수 있다.
세포밖 소포체가 패혈증을 유도하는지 평가하기 위해 실시예 3의 방법으로 분리한 마우스 장내 대장균 유래 세포밖 소포체 (5 μg)를 12 시간마다 3번 복강에 주사한 후, 패혈증 관련 지표를 분석하였다. 세포밖 소포체를 주사 후 6, 12, 24 시간 후에 마우스의 심장에서 혈액을 채취한 후, 4°C, 3,500 x g에서 10 분간 원심분리한 뒤, 상층액인 혈청을 취하였다.
도 16은 혈청에서 패혈증 발생과 관련된 매개체의 양을 ELISA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로 TNF-α, IL-6, IL-1β, IL-12, IFN-γ, IL-10, IL-17 등이 증가하였다.
또한, 패혈증의 특징인 전신성 염증반응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SIRS)을 호흡 수, 온도, 몸무게, 백혈구 수 등의 지표를 통해 평가하였다.
도 17은 세포밖 소포체 (5 μg)를 주사 후 24 시간마다 호흡수를 측정한 결과이다. 호흡수는 마우스를 챔버 (chamber)에 넣고 네블라이져 (nebulizer)를 사용하여 3분간 f (frequency of breathing)값을 통해 측정되었다. 그 결과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SIRS의 지표 중 하나인 호흡수가 늘어나는 현상 (빈호흡)이 관찰되었다.
도 18은 세포밖 소포체 (5 μg)를 주사 후 8 시간마다 3 일 동안 체온을 측정한 결과이다. 체온은 직장체온계를 마우스의 항문에 주사하여 체온계의 디지털화면에 나온 수치를 기록하였다.  그 결과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전신성 염증반응의 지표인 체온이 감소하는 현상 (저체온증)이 관찰되었다.
도 19는 세포밖 소포체 (5 μg)를 주사 후 6, 12, 24 시간 후에 백혈구 수를 측정한 결과이다. 백혈구 수는 심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이디티에이 (EDTA)가 들어있는 튜브에 담아 4°C에 보관한 후, 그 중 10 μl의 피를 90 μl의 1% 염산 (HCl)에 섞어 25°C, 6 분 동안 반응시키고, 그 반응액에 들어있는 백혈구 수를 헤마토사이토미터 (hematoctometer)를 통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전신성 염증반응의 지표인 혈액 내 백혈구 수가 감소되는 백혈구감소증 (leucopenia)이 관찰되었다.
도 20은 세포밖 소포체 (5 μg)를 주사 후 12 시간 후에 총 백혈구 수와 각각의 백혈구 수를 측정한 결과이다. 세포밖 소포체 주사 후 12시간 후에 심장에서 혈액을 체취하여 이디티에이가 들어 있는 튜브에 담아 4°C에 보관한 후, 혈액 10 μl를 슬라이드에 도말하고 디프퀵 (Diff Quick) 염색을 시행하여 광학현미경 1000배 시야에서 300개 이상의 염증 세포를 관찰하여 호염구, 림프구, 호중구, 호산구로 분류하여 각 염증 세포의 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총 백혈구 수가 감소하였고, 특히 림프구 수가 감소한 반면, 호중구 수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중증 패혈증이 유도되는 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혈압을 측정하였다.
도 21은 세포밖 소포체 (5 μg)를 주사 후 24 시간마다 혈압을 측정한 결과이다. 마우스를 플랫폼 (platform)에 올려놓은 후 꼬리의 혈압을 센서 (sensor)가 인식하여 컴퓨터 화면으로 출력된 혈압 수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혈압이 현저하게 감소됨을 관찰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대장균과 같은 장내 공생 세균에서 유래하는 세포밖 소포체가 혈관으로 유입되었을 때, 세포밖 소포체가 패혈증을 유도하는 중요한 원인인자임이 명백하다.
실시예 7. 고용량의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복강 투여에 의한 혈액 응고
중증 패혈증 상황에서 관찰되는 혈액 응고 현상이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유도되는지 분석하였다. 범발성혈관내혈액응고가 발생하면, 혈소판이 감소하고 D-diemr의 양이 증가된다.
도 22는 세포밖 소포체 (5 μg)를 주사 후 6, 12, 24 시간 후에 D-diemr의 양을 측정한 결과이다. 세포밖 소포체 복강에 주사한 후 6, 12, 24 시간 후에 심장에서 채혈하여 소디움 사이트레이트 (sodium citrate)가 들어있는 튜브에 넣어 4℃에 보관하였다. 혈액의 D-dimer양을 ELISA 방법을 통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12 시간 후에 D-dimer의 양이 가장 많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혈소판 수를 측정하기 위해 세포밖 소포체를 복강에 주사한 후, 6, 12, 24 시간 후에 심장에서 채혈하여 이디티에이 튜브에 담아 4°C에 보관하였다. 혈액을 1% 암모늄 옥살레이트 (ammonium oxalate)에 1/200 희석한 후 10 분간 습윤판에 반응시킨 후, 헤마토사이토미터를 통해 혈소판 수를 측정하였다.  
도 23은 범발성혈관내혈액응고의 지표인 혈소판 감소가 세포밖 소포체 투여 6시간 이후부터 나타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상기 결과는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혈관으로 흡수되었을 때, 범발성혈관내혈액응고가 발생되고, 이는 혈액응고의 원인인자로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중요함을 의미한다.
실시예 8.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혈관 내피세포의 활성화 및 응고 증진 물질 (procoagulant molecule) 발현
장내 공생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혈관 내피세포의 활성화를 평가하기 위해 5 x 105 세포수를 가진 혈관 내피세포 (HUVEC;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를 6 well 플레이트에 씨딩 (seeding)한 후, 24 시간 후에 세포밖 소포체 (0.1, 1, 5, 10, 20 ng/ml)를 세포에 처리하여 37°C 인큐베이터에 배양하였다. 8 시간 후에 배양액을 제거 후 PBS로 1 회 씻어 낸 후 세포 lysis 용액을 처리하여 10 분 incubation후 4°C, 13,000 x rpm에서 10 분 동안 원심분리를 시행하여 세포 전체 단백질을 얻었다. 이를 5x 로딩 염색제(loading dye, 250 mM Tris-HCl, 10% SDS, 0.5% bromophenol blue, 50% glycerol)를 최종적으로 1x가 되도록 넣고, 100oC에서 10 분간 처리하였다. 10%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polyacrylamide gel)을 준비하고, 샘플을 로딩하였다. 100 V에서 2 시간 전기영동 한 후, 300 mA에서 2 시간 동안 단백질을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멤브레인으로 트랜스퍼(transfer)하였다. Skim milk를 PBS에 3%가 되도록 녹인 후, 멤브레인을 이 용액에서 2 시간 블로킹(blocking)하였다. ICAM-1과 베타-액틴 항체를 4oC에서 12 시간 처리하였다. 0.05% Tween 20/PBS로 3 번 세척한 후, 각각 페록시다아제(peroxidase)가 붙어있는 이차 항체를 실온에서 1 시간 처리하였다. 0.05% Tween 20/PBS로 30 분 세척한 후, ECL(enhanced chemiluminescence, Amersham Co.No.RPN2106) 기질(substrate)로 확인하여 세포밖 소포체를 처리한 경우 농도의존적으로 세포 전체 단백질 수준에서 베타-액틴 대비 ICAM-1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ICAM-1은 면역 세포 부착 단백질로 각종 면역 반응 발생 및 관상 동맥 질환 등과 같은 혈관 내피세포의 활성화 시 혈관 내피세포에서 증가하여 면역 세포의 조직 내로의 침윤을 유도함이 잘 알려져 있다.
도 24를 통해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혈관 내피세포가 활성화되고 ICAM-1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장내 공생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혈액 응고 증진 물질이 유도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5 x 105 세포수를 가진 혈관 내피세포 (HUVEC;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를 6 well 플레이트에 씨딩 (seeding)한 후, 24시간 후에 세포밖 소포체 (1 ng/ml)를 세포에 처리하여 37°C 인큐베이터에 배양하였다. 12 시간 후 상층액을 거둔 후, 4°C, 500 x g에서 10 분 동안 원심분리 한 후, 4°C, 3000 x g에서 20 분 동안 원심분리를 시행하였다. 분리된 상층액에 들어 있는 혈액 응고 증진 물질인 tissue factor를 측정하기 위해 ELISA 플레이트에 상층액을 100 μl 넣고 4°C에서 12 시간 동안 코팅한 후, tissue factor 항체를 실온에서 2 시간 처리하였다. 0.05% Tween 20/PBS로 3 회 세척 후 페록시다아제(peroxidase)가 붙어있는 이차 항체를 실온에서 1 시간 처리하였다. 0.05% Tween 20/PBS로 30 분 세척한 후, ECL(enhanced chemiluminescence, Amersham Co.No.RPN2106) 기질(substrate)로 확인하여 도 25와 같이 세포밖 소포체를 처리한 경우 혈액 응고 증진 물질인 tissue factor의 분비가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9. 고용량의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폐염증 및 폐기종
장내 대장균 유래 세포밖 소포체 (10 μg)를 시아닌-7 (cyanin-7, cy7)으로 염색한 후, 마우스의 복강에 주사하였다. 6 시간 후, 마우스 몸 전체를 분석할 수 있는 코닥 이미지 스테이션 (Kodak image station)을 사용하여 장내 대장균 유래 세포밖 소포체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도 26은 마우스 형광사진으로 세포밖 소포체가 몸 전체에 퍼져 있고 폐에도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장내 대장균 유래 세포밖 소포체 (10, 20 μg)를 DiO로 염색한 후, 마우스의 복강에 주사하고 6 시간 후에 혈액과 폐를 추출하였다.
도 27은 이 혈액과 폐로부터 RBC (red blood cell) lysis buffer를 이용하여 적혈구를 제거한 후, 유세포분리기 (FACS)를 통해 세포밖 소포체를 포함한 혈액세포과 폐 조직세포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이다. 그 결과 형광을 띈 세포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이는 도 26의 결과처럼 세포밖 소포체가 폐를 포함한 몸 전체에 퍼지는데 있어서 세포밖 소포체가 세포에 흡수되어 몸 주위에 퍼짐을 의미한다.
폐 염증반응을 분석하기 위해 세포밖 소포체 (5 μg)를 주사 후 6, 12, 24 시간 후에 마우스의 폐를 적출하여 무게를 잰 후, 65oC 인큐베이터에서 48 시간 동안 방치한 후, 변화된 폐의 무게와의 비율 (wet-to-dry ratio) 분석을 통해 폐염증을 평가하였다.
도 28은 폐염증의 지표인 wet-to-dry ratio를 나타낸 그림으로써, 세포밖 소포체 복강 투여 시 6 시간 이후에 폐염증이 발생함을 보여준다.
또한, 세포밖 소포체 (5 μg)를 주사 후 6, 12, 24 시간 후에 마우스의 기관지폐포세척액를 취하여 염증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케타민 (ketamin)을 포함한 마취액을 마우스 복강에 투여하여 마취한 후, 흉부를 절개하고 기관을 노출시켜 카테터를 기도에 삽입하고 결찰시켰다. PBS를 1 ml씩 2 회 주사하고 기도를 세척하여 기관지폐포세척액를 얻었다. 기관지폐포세척액를 4°C, 3000 rpm으로 10 분간 원심분리한 뒤, 침전된 세포를 PBS에 풀어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여 총 염증 세포 수를 측정한 후, 침전된 세포를 사이토스핀 (cytospin)하여 슬라이드에 도말하고 디프퀵 염색을 시행하여 광학현미경 1000 배 시야에서 300 개 이상의 염증 세포를 관찰하여 대식세포, 림프구, 호중구, 호산구로 분류하여 각 염증 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도 29는 기관지폐포세척액 내 염증세포 수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염증세포 수가 증가하고, 특히 대식세포 수가 현저하게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세포밖 소포체 (5 μg)를 주사 후 6, 12, 24 시간 후에 폐를 적출하여 4% 포름알데히드 (formaldehyde)에 넣어 고정 (fixing)시킨 후, 절편을 만들어 헤마토실린-이오신 (hematoxylin-eosin)으로 염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이미지를 도 30에 나타내었다.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폐포가 현저히 파괴된 소견이 관찰되었다. 이는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폐염증과 함께 폐기종이 발생함을 의미한다.
상기 결과는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혈관을 통해 여러 장기에 분포하여 염증과 함께 조직손상을 유도하는 결과로서, 원인인자가 불분명한 염증질환의 원인인자로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중요함을 의미한다.
실시예 10. 장기간 저용량의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복강 투여에 의한 고혈압 및 골다공증 유도
저용량의 장내 대장균 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반복 노출되었을 때 만성 질환이 유도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 세포밖 소포체 (0.1, 1 μg)을 1 주일에 2 번씩 18 주 동안 복강에 주입 하였다.
도 31은 저용량의 장내 대장균 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반복 노출되었을 때의 혈압의 변화를 나타낸 그림으로써, 세포밖 소포체에 의하여 고혈압이 발생함을 보여준다.
저용량의 장내 대장균 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반복 노출되었을 때 골다공증이 발생하는 지를 평가하기 위해 세포밖 소포체 (1 μg)을 1 주일에 2 번씩 18 주 동안 복강 주입 한 후에, 쥐의 다리에서 장골 (long bone)을 얻었다. 하루 동안 고정액에 고정 시킨 후, 고정액에 있던 뼈를 식염수를 두 번 씻은 뒤에 30, 50, 70, 90, 100% 에탄올에 1 시간씩 순차적으로 담궈 탈수하였다. 탈수 과정을 거친 뼈는 프로필렌옥사이드 (propylene oxide)라는 치환제에 1 시간씩 두번 담궈 폴리머와의 치환을 준비하였다. 치환제와 폴리머의 비율은 3:1, 1:1, 1:3으로 점차 늘려 폴리머와의 치환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남아있는 치환제는 후드에서 공기중으로 날린뒤에 폴리머만으로 구성된 용액에 뼈를 담근 뒤에 65oC 오븐에서 하루 동안 중합과정을 진행하였다. 뼈 샘플의 엑스레이 토모그래피 이미지는 모두 포항 가속기 7B2 빔라인 (7B2 beamline at Pohang Light Source, PLS)의 방사광엑스레이현미경 (Synchroton radiation X-ray microscopy)을 통해 획득하였다. 폴리머 내장 (polymer embedding)된 뼈를 방사광 엑스레이 현미경의 샘플 스테이지에 올린 뒤에 180o 회전을 통해 모두 1200 장의 이미지를 얻었다. 샘플 스테이지와 신틸레이터 (scintillator)와의 거리는 10 cm로 방사광 엑스 페이현미경의 흡수 효과 (absorption contrast effect)를 주로 이용하여 이미지를 얻었다. 얻은 이미지는 Octopus와 Amira 프로그램을 통해 3차원 이미지 구축 (3D reconstruction)하였으며 1200 장 중에서 대표적인 절단면의 이미지 (tomographic slice image)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도 32는 장기간 저용량의 세포박 소포체에 의해 뼈의 연결 구성이 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다공증이 발생한 것을 보여준다.
상기 결과는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장기간 반복적으로 혈관에 흡수되어 전신적으로 분포하였을 때, 고혈압, 골다공증 등의 만성질환을 유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11.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패혈증 및 폐기종의 발생에 대한 IL-6의 역할
실시예 3의 방법으로 분리한 마우스 장내 대장균 유래 세포밖 소포체 (25 μg)를 각각 정상 마우스 (C57BL/6, male 6주)와 IL-6 결핍 (knock out) 마우스(C57BL/6, male, 6주)에 한번 복강 주사하여 12 시간 마다 죽은 마우스의 수를 확인하고 생존률을 도 33에 나타내었다. IL-6 결핍 마우스에서는 정상 마우스와는 달리 25 μg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사망이 유도되지 않았다.
세포밖 소포체 (5 μg)을 12 시간 동안 3 번씩 주사 후 6, 12, 24 시간 후에 폐를 적출하여 실시예 9의 방법으로 폐의 병리소견을 분석하였다. 도 34는 폐 절편의 사진으로 정상 마우스와 달리 IL-6 결핍 마우스에서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폐 조직세포가 전혀 파괴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결과는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패혈증의 발생뿐만 아니라 여러 장기에 발생하는 염증질환에 IL-6가 중요한 매개체임을 의미한다.
실시예 12.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질병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후보 약물 in vitro 스크리닝 시스템 확립
상기 실시예들을 바탕으로 마우스 장내 공생세균 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각종 질병에 크게 관여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염증성 매개체, 특히 IL-6의 분비를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발굴하는 것이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질병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후보 약물을 선별하는데 중요함을 의미한다.
도 35는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IL-6의 분비를 억제하는 물질을 발굴하기 위한 모식도로 실시예 3의 방법으로 분리한 장내 공생 세균인 대장균 유래 세포밖 소포체 (100 ng/ml)를 단독으로 또는 약물후보 물질(10 μM)들과 함께 실시예 4와 같이 준비한 마우스 대식세포 (RAW 264.7)에 처리한 후 37°C 인큐베이터에 15 시간 배양하였다. 15 시간 후에 상층액을 거둔 후, 4°C, 500 x g에서 10 분 동안 원심분리 한 후, 4°C, 3000 x g에서 20 분 동안 원심분리를 시행하였다. 분리된 상층액에 들어 있는 IL-6의 양을 ELISA 방법을 통해 측정하였다. 이는 in vitro에서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유도되는 IL-6의 분비를 억제하는 후보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을 확립한 것으로 이를 통해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질병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후보 약물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13. In vitro 스크리닝 시스템에서 발굴한 키나제억제제의 in vitro 항염증 효과
실시예 12의 방법에 따라 마우스 대식세포(RAW 264.7)에 배양액만을 처리한 군 (음성 대조군), 장내 대장균 유래 세포밖 소포체 (0.1 ㎍/ml)만을 배양액에 섞어 처리한 군 (양성 대조군) 그리고 80종의 키나제 억제제 ((kinase inhibitor library, BIOMOL No.2832: PD-98059, U-0126, SB-203580, H-7, H-9, AG-494, AG-825, Lavendustin A, RG-14620, Tytphostin 23, Tytphostin 25, Tytphostin46, Tytphostin47, Tytphostin 51, Tytphostin 1, Tytphostin 9, Tytphostin AG 1288, Tytphostin AG 1478, Tytphostin AG 1295, HNMPA, Damnacanthal, Piceatannol, AG-490, AG-126, AG-370, AG-879, LY 294002, Wortmannin, GF 109203X, Hypericin, Sphingosine, H-89, H-8, HA-1004, HA-1077, HDBA, KN-62, KN-93, ML-7, ML-9, 2-Aminopurine, N9-Isopropyl-olomoucine, Olomoucine, iso-olomoucine, Roscovitine, LFM-A13, SB-202190, ZM 336372, SU 4312, AG-1296, Rottlerin, Genistein, Daiazein, Erbstatin analog, Quercetin dehydrate, SU 1498, ZM 449829, DRB (5,6-Dichloro-1-b-D-ribofuranosylbenzimidazole), HBDDE (2,2',3,3',4,4'-Hexahydroxy-1,1'-biphenyl-6,6'-dimethanol dimethyl ether), Indirubin, Indirubin-3'-monoxime, Y-27632, Kenpaullone, Terreic acid, BML-257, BML-259, Apigenin, BML-265 (Erlotinib analog), Rapamycin) 각각을 10 μM농도로 상기에 기술한 것과 동일한 양의 세포밖 소포체와 함께 배양액에 섞어 처리한 군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처리 15 시간 후에 배양액에서 IL-6의 양을 샌드위치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각 키나제 억제제를 처리한 경우에 측정한 IL-6의 양을, 양성 대조군에서 측정한 IL-6의 양과 비교한 백분율을 도 36에 표시하였다.
그 결과, 80여 종의 키나제 억제제 중 11 가지 물질 (4; H-7, 29; LY294002, 31; GF109203X, 42; ML-7, 43; ML-9, 64; ZM449829, 66; DRB (5,6-Dichloro-1-b-D-ribofuranosylbenzimidazole), 70; Indirubin-3'monoxime. 72; Kenpaullone, 77; BML-259, 78; Apigenin)이 IL-6의 양을 양성 대조군 대비 50% 미만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7은 상기의 키나제 억제제 중 Damnacanthal, LY294002, GF109203X를 단독 또는 두 가지 이상 조합으로 (이 때 처리한 각 drug의 농도는 10 mm을 유지함) 세포밖 소포체 (100 ng/ml)와 동시에 처리하는 경우 세포 배양액 내 IL-6의 양을 측정한 결과로 두 가지 이상을 동시에 처리 시 IL-6 분비 억제 효과가 현저하게 증대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4. In vitro 스크리닝 시스템에서 발굴한 포스파타제억제제의 in vitro 항염증 효과  
도 38은 실시예 13의 방법으로 30종의 phosphatase inhibitor (phosphatase inhibitor library, BIOMOL No.2834: Cantharidic acid, Cantharidin. Endothall, Benzylphosphonic acid, L-p-Bromotetramisole oxalate, RK-682, RWJ-60475, RWJ-60475 (AM)3, Levamisole HCl, Tetramisole HCl, Cypermethrin, Deltamethrin, Fenvalerate, Tyrphostin 8, CinnGEL, CinnGEL 2 Me, BN-82002, Shikonin, NSC-663284, Cyclosporin A, Pentamidine, BVT-948, B4-Rhodanine, BML-268, Dioxophenanthrene, BML-260, PD-144795, BML-267, BML-267 Ester, OBA, OBA Ester, Gossypol, Alendronate)를 처리하여 IL-6의 양을 양성 대조군 대비 50% 미만으로 감소시키는 약물 후보 물질을 검색하여 PD-144795를 발굴한 결과이다.
도 39는 PD-144795를 0.1, 1, 5, 10 μM 농도로 포함하고 장내 대장균 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100 ng/ml 농도로 포함된 배양액을 준비하여 실시예 13의 방법과 같이 마우스 유래 대식세포에 처리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IL-6 분비가 억제됨을 확인한 결과이다.
실시예 15. In vitro 스크리닝 시스템에서 발굴한 프로드러그의 in vitro 항염증 효과
도 40은 실시예 13의 방법으로 100 종의 프로드러그 (acetaminophen, acetylcysteine, allopurinol, alprenolol HCl, amitriptyline HCl, atropine, bretylium tosylate, bromopheniramine, budesonide, buspirone HCl, cefuroxime, chloral hydrate, chlorpromazine HCl, cimetidine, clomipramine HCl, clotrimazole, cyclobenzaprine, desipramine HCl, diclofenac, diflunisal, diltiazem, diphenhydramine HCl, disopyramine, disulfiram, D-mannitol, doxepin, doxycycline hydrate, doxylamine succinate, edrophonium chloride, enalapril maleate, famotidine, fenbufen, fenofibrate, fenoprofen calcium salt hydrate, flunarizine dihydrochloride, fluphenazine dichloride, flurbiprofen, furosemide, gemfibrozil, gliclazide, glipizide, haloperidol, hydrochlorothiazide, hydroflumethiazide, hydroxyzine HCl, ibuprofen, imipramine HCl, indapamide, indole-2-carboxylic acid, indomethacin, ipratropium, ketoprofen, ketorolac tris salt, maprotiline HCl, meclofenamic acid, melatonin, metformin, methapyrilene HCl, methimazole, methocarbamol, metoclopramide HCl, metronidazole, nabumetone, naproxen, neostigmine Br, niacin, nicardipine HCl, nifedipine, nitrofurantoin, nizatidine, norethindrone, nortriptyline, orphenadrine HCl, oxybutynin, phenformin HCl, phenylbutazone, phenytoin, piroxicam, prednisone, probenecid, propranolol HCl, pyridostigmine Br, ranitidine HCl, spironolactone , sulfameth, sulpiride, tenoxicam, terfenadine, theophylline, ticlopidine HCl, tolazamide, tolazoline, tolbutamide, tolfenamic acid, tramadol HCl, tranylcypromine, trazodone HCl, triamterene, trichlormethiazide, tripelennamine HCl, verapamil, warfarin) 를 처리하여 IL-6의 양을 양성 대조군 대비 80% 미만으로 감소시키는 후보 물질 14 종 (10; Amitriptyline, 39; Cyclobenzaprine, 41; Desipramine, 54; Doxepin, 72; Fluphenazine dichloride, 82; Haloperidol, 89; Imipramine, 101; Maprotiline, 132; Orphenadrine, 165; Terfenadine, 173; Tolfenamic acid, 179; Trazodone, 187; Trichlormethiazide, 188; Verapamil)을 발굴한 결과이다. .  
도 41은 상기 in vitro 스크리닝 시스템을 통해 발굴한 14 종의 프로드러그를 마우스 복강 유래 대식세포에 ex vivo로 처리하여 IL-6 감소 효과를 보인 11 종의 프로드러그 (10; Amitriptyline, 39; Cyclobenzaprine, 41; Desipramine, 54; Doxepin, 72; Fluphenazine dichloride, 82; Haloperidol, 89; Imipramine, 101; Maprotiline, 132; Orphenadrine, 165; Terfenadine, 173; Tolfenamic acid, 179; Trazodone HCl)를 확인한 결과이다.
실시예 16. In vitro 스크리닝 시스템에서 발굴한 프로드러그의 in vivo 항염증 효과
실시예 15에서 발굴한 프로드러그가 체내에서 항염증효과를 나타내는 지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시예 6과 같이 장내 대장균 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C57BL/6마우스 (male, 6 주, 그룹당 4마리)에 복강으로 5 μg 주사하여 패혈증을 유도한 마우스 모델에서 상기 발굴한 프로드러그 중에서 Haloperidol과 Doxepein을 각각 10 mg/kg의 용량으로 복강 주사하여 6시간 후 혈청을 얻었다.
도 42는 혈청에서 IL-6의 양을 ELISA 방법을 통해 정량한 결과로 장내 대장균 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염증성 매개체인 IL-6의 분비가 혈액 내에서 in vitro 스크리닝 시스템을 통해 발굴한 Haloperidol과 Doxepein 투여에 의해 효율적으로 억제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상기 결과로부터, 실시예 12에서 기술한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이용한 in vitro 약물 스크리닝 시스템이 매우 효율적인 방법이고,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유도되는 각종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을 효율적으로 선별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실시예 17.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백신의 면역학적 특성
실시예 3의 방법에 따라 분리한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1 mg 를 일주일 간격으로 3 주 동안 세 번 C57BL/6 (male, 6 주, 그룹당 10마리)의 복강에 주입하였다. 매 주입 6 시간, 24 시간, 7 일 후 마우스 혈액을 얻어 혈액 내 존재하는 세포밖 소포체 특이적인 항체를 측정하였다. 대장균 유래 소포체 200 ng이 코딩된 검정색 96 웰 플레이트에 1% BSA/PBS로 1:500 희석된 마우스 혈청을 넣어 상온에서 두 시간 배양한 후, peroxidase가 결합된 마우스 항체를 통해 관찰하였다.
도 43은 마우스 혈액 내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특이적인 항체 양을 시간에 따라 관찰한 결과이다. 세포밖 소포체 특이 항체는 1회 세포밖 소포체 투여 7 일 이후부터 형성되기 시작하며, 두 번째와 세 번째 세포밖 소포체 투여 후에 더욱 많은 항체가 형성되어 세 번째 소포체 백신 접종 완료 7 일 후에 가장 높은 항체 형성 정도를 보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세 번의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접종이 완료된 7 일 후 마우스에서 비장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비장세포 (2 x 104)에 대장균 유래 세포밖 소포체 100 ng을 넣어 72 시간 동안 배양 한 후, 비장세포가 분비하는 면역 반응 관련 사이토카인인 IFN-g, IL-17, IL-4의 양을 각각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도 44는 마우스 비장세포에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처리시 분비되는 IFN-g 양을 나타낸 결과이다.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접종하지 않은 마우스 그룹에서 얻은 비장세포에 비해 세포밖 소포체를 접종한 마우스에서 얻은 비장세포에서 IFN-g 의 분비가 증가하였다.
도 45는 마우스 비장세포에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처리시 분비되는 IL-17 양을 나타낸 결과이다.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접종하지 않은 마우스 그룹에서 얻은 비장세포에 비해 세포밖 소포체를 접종한 마우스에서 얻은 비장세포에서 IL-17의 분비가 증가하였다.
도 46은 마우스 비장세포에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처리시 분비되는 IL-4 양을 나타낸 결과이다.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접종은 비장세포의 IL-4의 분비에는 영향이 없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접종시 세균 감염에 대한 방어기전인 B 세포에서 생성되는 항체 반응과 T 세포 면역반응이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T 세포 면역반응은 세균감염에 대한 방어에 중요한, IFN-g 를 분비하는 Th1 면역반응과 IL-17을 분비하는 Th17 면역반응이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접종에 의해 효율적으로 유도되었다.
실시예 18. 대장균 감염에 의한 패혈증 발생에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백신의 효능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백신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대장균 감염에 의한 패혈증 동물모델을 확립하였다. 대장균 1 x 106, 1 x 108, 1 x 1010 CFU를 C57BL/6 (male, 6 주, 그룹당 10마리)의 복강으로 주입하여 5 일 동안 8 시간 간격으로 마우스 생존율을 관찰하였다.
도 47은 대장균 감염에 의한 마우스 치사율을 나타난 결과이다. 즉, 대장균 1 x 1010 CFU 주입 시 마우스가 24 시간 안에 사망하였고, 대장균 1 x 106, 1 x 108 CFU 주입한 경우 마우스의 생존에는 영향이 없었다.
실시예 17의 방법에 따라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0.5, 1 μg을 일주일 간격으로 3주 동안 세 번 C57BL/6 (male, 6 주, 그룹당 10마리)의 복강에 주입하였다. 세 번의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접종이 완료된 7일 후, 대장균 1 x 1010 CFU를 복강으로 주입하여 5 일 동안 8 시간 간격으로 마우스 생존율을 관찰하였다.
도 48은 도 47에서 확립된 대장균 감염에 의한 패혈증 발생에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백신의 효능을 관찰한 결과이다. 5일 후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접종되지 않은 마우스의 생존율 20%에 비해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접종된 마우스 그룹의 생존율을 80 ― 100 % 였다.
도 48의 방법에 따라,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1 μg를 일주일 간격으로 세 번 복강으로 접종 한 후, 대장균 1 x 1010 CFU를 마우스 복강으로 주입하여 6 시간 후에, 복수와 혈액에 감염된 대장균 개수를 측정하여 도 49에 나타내었다. 또한, 혈청 내 IL-6 양을 ELISA로 측정하여 도 50, 폐 조직 이미지를 도 51에 나타내었다.
도 49는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접종 시 감염된 대장균 CFU의 변화를 나타난 결과이다. 대장균 감염 시,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접종되지 않은 마우스에서 얻은 혈액과 복수에 비해 소포체가 접종된 마우스의 혈액 및 복수에서 대장균의 수가 현저히 감소되었다.
도 50은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접종된 마우스에 대장균 1 x 108 CFU을 감염 6 시간 후, 혈청 내 존재하는 IL-6 양을 측정한 결과이다. 대장균이 감염된 마우스 혈청 내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의 양이 현저히 증가하나,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로 예방 접종한 마우스의 혈청 내 IL-6의 양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도 51은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접종된 마우스에 대장균을 감염 6 시간 후, 마우스에서 폐를 추출하여 폐 조직 상태를 확인한 결과이다. 대장균 감염 시, 폐 조직 세포가 많이 파괴 되는 현상이 관찰되나,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로 예방 접종한 그룹의 폐 병리 조직은 정상 마우스와 유사한 형태를 보였다.
상기 결과는 장내 공생 세균인 대장균에서 유래하는 세포밖 소포체를 백신으로 미리 투여하였을 때, 대장균에 의한 감염 및 병리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19.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패혈증 발생에 대한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백신의 효능
실시예 17의 방법에 따라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1 μg을 일주일 간격으로 세 번 C57BL/6 (male, 6 주, 그룹당 5 마리)의 복강으로 주입 한 후, 실시예 6의 방법에 따라 확립된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패혈증 발생에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백신의 효능을 관찰하였다.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예방 접종이 완료된 7 일 후,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5 μg을 12 시간 간격으로 세 번 복강으로 주입하여 패혈증 관련 지표를 분석하였다.
도 52 내지 도 54는 실시예 6에서 확립된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의 의한 패혈증 발생에 있어서의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백신 효능을 관찰한 결과이다.
도 52는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접종된 마우스에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5 μg, 세 번) 주입 6 시간 후, 마우스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 내 사이토카인인 IFN-g 를 측정한 결과이다.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접종하지 않은 마우스 그룹에 비해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접종한 그룹의 혈청 내 IL-6 양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도 53은 패혈증과 관련된 전신성 염증반응 중에서 온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5 μg, 세 번 주입으로 저체온증이 유도되나, 미리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1 μg을 일주일 간격으로 세 번 접종을 하면 정상 마우스와 비슷한 체온을 유지하였다.
도 54는 중증 패혈증 상황에서 관찰되는 혈소판 감소 현상을 관찰한 결과이다.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5 μg, 세 번 주입으로 혈소판 수가 감소하나, 미리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1 μg을 일주일 간격으로 세 번 접종을 하면 혈소판 감소 정도가 줄어 들었다.
상기 결과는 장내 공생 세균인 대장균에서 유래하는 세포밖 소포체를 백신으로 미리 투여하였을 때,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20.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백신의 면역학적 특성
실시예 3의 방법으로 분리한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100 ng, 1 mg 를 5 일 간격으로 세 번 C57BL/6 (male, 6 주, 그룹당 5마리)의 복강에 주입하였다. 마지막 접종 3 일 후 마우스 혈액을 채취하여 혈액 내 존재하는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특이적인 항체를 확인하여 도 55에 나타내었고, 비장을 채취한 후 비장 내 T 세포를 분리하여 사이토카인인 IFN-g, IL-17를 측정한 결과를 도 56에 나타내었다.
도 55는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접종한 마우스에서 채취한 혈액 내에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특이적인 항체가 존재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의 농도에 비례하여 소포체 특이 항체가 형성되었다.
도 56은 비장에서 채취한 T 세포에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처리시 CD3+CD4+IFN-g+ T 세포를 나타낸 결과이다.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접종하지 않은 마우스 그룹에 비해 세포밖 소포체를 접종한 그룹에서 CD3+CD4+IFN-g+ T 세포가 증가하였다.
도 57는 비장에서 채취한 T 세포에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처리시 CD3+CD4+IL17+ T 세포를 나타낸 결과이다.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접종하지 않은 마우스 그룹에 비해 세포밖 소포체를 접종한 그룹에서 CD3+CD4+IL17+ T 세포가 증가하였다.
도 55 내지 도 5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접종시 세균 감염에 대한 방어기전인 B 세포에서 생성되는 항체 반응과 T 세포 면역반응이 유도되었다. 특히, T 세포 면역반응 중에서 세균감염에 대한 방어에 중요한, IFN-g 를 분비하는 Th1 면역반응과 IL-17을 분비하는 Th17 면역반응이 소포체 백신에 의해 효율적으로 유도되었다.
실시예 21. 클렙시엘라균 감염에 의한 패혈증 발생에 대한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백신의 효능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백신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클렙시엘라균 감염에 의한 패혈증 동물모델을 확립하였다. 클렙시엘라균 1 x 106, 1 x 107, 1 x 108 CFU를 C57BL/6 (male, 6 주, 그룹당 5마리)의 복강으로 주입하여 5 일 동안 8 시간 간격으로 마우스 생존율을 관찰하였다.
도 58은 클렙시엘라균 감염에 의한 마우스 치사율을 나타난 결과이다. 즉, 클렙시엘라균 1 x 108 CFU 주입 시 마우스가 24 시간 안에 사망하였고, 대장균 1 x 106, 1 x 107 CFU 주입한 경우 마우스의 생존에는 영향이 없었다.
클렙시엘라균 감염에 대한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세포밖 소포체 1 μg을 5 일 간격으로 세 번 C57BL/6 (male, 6주, 그룹당 5마리)의 복강에 주입하였다. 세 번의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접종이 완료된 3일 후, 클렙시엘라균 1 x 108 CFU를 복강으로 주입하여 5 일 동안 8 시간 간격으로 마우스 생존율을 관찰하였다.
도 59는 상기의 방법에서 확립된 클렙시엘라균 감염에 의한 패혈증 발생에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백신의 효능을 관찰한 결과이다. 클렙시엘라균 감염 5 일 후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접종되지 않은 마우스의 생존율 40%에 비해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가 접종된 마우스 그룹의 생존율을 100 % 였다.
상기 결과는 장내 공생 세균인 클렙시엘라균에서 유래하는 세포밖 소포체를 백신으로 미리 투여하였을 때,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22. 대장균 및 클렙시엘라균 유래 세포밖 소포체 백신의 병합 투여시 면역학적 특성
실시예 3의 방법에 따라 분리한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1 mg, 대장균 및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각 1 mg을 5 일 간격으로 두 번 C57BL/6 (male, 6 주, 그룹당 5마리)의 복강에 주입하였다. 세포밖 소포체 접종 3 일 후 혈액을 채취한 후, 세포밖 소포체가 코팅된 검정색 96 웰 플레이트에 1:500으로 희석된 혈청을 넣어 상온에서 두 시간 배양하였다.
도 60은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특이적인 항체 형성을 나타낸 결과이다. 대장균과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병합 투여 시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특이 항체 형성이 대장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단독 투여에 비하여 증가되었다.
도 61은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특이적인 항체 형성을 나타낸 결과이다. 대장균과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병합 투여 시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특이 항체 형성이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단독 투여에 비하여 증가되었다.
상기 결과는 장내 공생 세균인 대장균과 클렙시엘라균에서 유래하는 세포밖 소포체를 혼합하여 백신으로 미리 투여하였을 때, 대장균 및 클렙시엘라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뿐만 아니라 대장균 및 클렙시엘라균에 의한 감염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23.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의 유전물질 염기서열 분석
C57BL/6 (6주, male)과 BALB/c (6주, male) 마우스의 대변을 채취하여 세포밖 소포체를 분리한 후, 각각 10 μg의 세포밖 소포체에 전체 8 μl의 부피가 되도록 3차 증류수를 추가하였다. 각 소포체에 2 μl의 random decamer (Ambion, 5722G)를 첨가한 후, 95°C에서 10 분, 75°C에서 10 분 배양한 후, 4°C에 보관하였다. Random decamer를 처리한 각 샘플에 AMV 역전사효소 (Promega, M510F) 3 μl, AMV 역전사효소 퍼버 (Promega, M515A) 4 μl, 10 mM dNTP 2 μl, RNase 억제제 (Promega, N211B) 1 μl를 처리한 후, 10 분간 25°C에서 반응시킨 후, 2 시간 동안 37°C에서 반응시켰다. AMV 역전사효소를 처리한 각 20 μl의 샘플 중 1 μ l를 이용하여 16S rRNA gene을 PCR으로 확인하였다. PCR를 위해 샘플 1 μl에 Taq 효소 (NEB, M0273S) 0.5 μl, Taq 효소 버퍼 (NEB, B9014S) 2 μl, 10 mM dNTP 1 μl, 10 pM bacterial universal forward primer 1 μl (5'aaggcgacgatccctagctg-3', 10 pM bacterial universal reverse primer 1 μl (5'ttgagcccggggatttcaca-3', 3차 증류수 13.5 μl를 넣어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95°C에서 2 분 반응시킨 후, 95°C에서 30초, 55°C에서 30 초, 72°C에서 45 초 반응시키는 과정을 45 회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72°C에서 5 분 반응시킨 후 솔젠트㈜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3-10) 에 의뢰하여 PCR 결과물을 시퀀싱하였고, C57BL/6을 대상으로 한 도 62의 결과 및 BALB/c를 대상으로 한 도 63의 결과를 얻었다.
도 62 및 도 63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0~120번째, 150-190번째 핵산 부분에서 다중 peak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여러 가지 세균에서 유래한 16S rRNA가 섞여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수의 세균에서 유래한 세포밖 소포체가 대변 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NCBI 데이터베이스 (http://www.ncbi.nlm.nih.gov/gene) 에서 얻은 세균의 16S rRNA 염기서열과 다중 peak을 고려한 시퀀싱 결과를 비교해본 결과 도 1의 대변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세균 10종 중에서 Escherichia coliKlebsiella pneumoniae의 존재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장내 대장균 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16S rRNA 유전물질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 하기 위해 세포밖 소포체 10 μg에 대해 위에 서술한 방법으로 RT-PCR를 수행하였다. Negative control은 3차 증류수를 사용하였으며 positive control로는 장내 대장균을 O.D. 값 1.0까지 배양한 후 1 μl를 사용하였다. RT-PCR 결과물 20 μl에 5X Green GoTaq Flexi Buffer (Promega, M891A) 5 μl를 섞은 후, 그 중 5 μl를 2% agarose gel에 loading 하였다. 100 V로 30 분 gel running 하고, gel을 10 분간 0.005% EtBr용액에 담구어둔 후 자외선에 노출시킨 상태에서 사진을 찍었다.
그 결과 도 64와 같이 positive control과 동일한 band를 결과로 얻었고, 이를 통해 장내 대장균 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16S rRNA 유전자 또는 그에 유래한 RNA transcript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4. 조직 및 체액에서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단백질 확인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C57BL/6 (6 주, male, 그룹당 3마리) 마우스에 25 μg 복강 주사하고 6 시간 후 마우스 장기 및 체액을 적출하여 세포밖 소포체 단백질 존재 여부를 세포밖 소포체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ELISA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마우스 장기는 적출 후 액체 질소가 있는 상태로 막자 사발에서 간 후, RIPA 용액 (50 mM Tris (pH 7.5), 1% NP- 40, 0.25% Na-Deoxycholate, 100 mM NaCl, 1 mM EDTA, protease inhibitor)을 넣고 lysis시켜 4°C에서 13,000 rpm, 10 분 원심분리하여 단백질을 얻었으며 체액은 상기 실시예 5,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었다.
도 65는 복강으로 주사 한 세포밖 소포체가 각종 장기 및 복강 세척액 (peritoneal fluid; PF), 소변, 혈액에 존재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는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염증성 질환을 소변 및 혈액 등 채취가 용이한 체액을 얻어 진단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이용하여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을 예방 혹은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을 효율적으로 발굴할 수 있다. 또한,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자체 혹은 이를 변형하여 투여하여 면역반응을 조절함으로써 장내 공생 세균에 의한 감염 혹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질병을 효율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백신 개발이 가능하며,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응용하여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의 원인인자를 진단하는 기술 개발이 가능하다.

Claims (142)

  1.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내 공생 세균은 그람 음성 세균인,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그람 음성 세균은 대장균, 크렙시엘라균, 슈도모나스속 세균, 및 박테로이데스속 세균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장내 공생 세균 배양액에서 분리한 것인,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자연적으로 분비되는 세포밖 소포체를 분리한 것인,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인공적으로 분비되는 세포밖 소포체를 분리한 것인,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포유동물의 대변에서 분리한 것인,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포유동물의 장내에서 분리한 것인,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포유동물의 위액에서 분리한 것인, 조성물.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포유동물의 소장액에서 분리한 것인, 조성물.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포유동물의 구강액에서 분리한 것인, 조성물.
  12.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동물에게 투여하여 제조된 질병 모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내 공생 세균은 그람 음성 세균인, 질병 모델.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그람 음성 세균은, 대장균, 크렙시엘라균, 슈도모나스속 세균, 및 박테로이데스속 세균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질병 모델.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상기 장내 공생 세균 배양액으로부터 분리한 것인, 질병 모델.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자연적으로 분비되는 세포밖 소포체를 분리한 것인, 질병 모델.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인공적으로 분비되는 세포밖 소포체를 분리한 것인, 질병 모델.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포유동물의 대변에서 분리한 것인, 질병 모델.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포유동물의 장내에서 분리한 것인, 질병 모델.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포유동물의 위액에서 분리한 것인, 질병 모델.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포유동물의 소장액에서 분리한 것인, 질병 모델.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포유동물의 구강액에서 분리한 것인, 질병 모델.
  2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은 마우스인, 질병 모델.
  2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복강 투여인, 질병 모델.
  2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정맥 투여인, 질병 모델.
  2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경구 투여인, 질병 모델.
  2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항문 투여인, 질병 모델.
  2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비강 투여인, 질병 모델.
  2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기도 투여인, 질병 모델.
  30.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은 패혈증, 동맥경화증, 급성관상동맥증후군, 뇌졸증, 폐기종, 급성호흡부전증후군, 골다공증, 고혈압, 비만, 당뇨, 관절염, 및 뇌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질병 모델.
  31.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은 구강염, 구강암, 식도염, 식도암, 위염, 소화성궤양, 위암, 염증성장염, 과민성장증후군, 대장암, 담도염, 담낭염, 췌장염, 담도암, 및 췌장암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질병 모델.
  32.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이용한 질병 예방 또는 치료에 대한 후보 약물의 탐색 방법.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장내 공생 세균은 그람 음성 세균에서 선택되는 것인, 탐색 방법.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그람 음성 세균은 대장균, 크렙시엘라균, 슈도모나스속 세균, 및 박테로이데스속 세균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탐색 방법.
  35.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장내 공생 세균 배양액에서 분리한 것인, 탐색 방법.
  36.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자연적으로 분비되는 세포밖 소포체를 분리한 것인, 탐색 방법.
  37.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인공적으로 분비되는 세포밖 소포체를 분리한 것인, 탐색 방법.
  38.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포유동물의 대변에서 분리한 것인, 탐색 방법.
  39.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포유동물의 장내에서 분리한 것인, 탐색 방법.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포유동물의 위액에서 분리한 것인, 탐색 방법.
  4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포유동물의 소장액에서 분리한 것인, 탐색 방법.
  42.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포유동물의 구강액에서 분리한 것인, 탐색 방법.
  4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은 패혈증, 동맥경화증, 급성관상동맥증후군, 뇌졸증, 폐기종, 급성호흡부전증후군, 골다공증, 고혈압, 비만, 당뇨, 관절염, 및 뇌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탐색 방법.
  44.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은 구강염, 구강암, 식도염, 식도암, 위염, 소화성궤양, 위암, 염증성장염, 과민성장증후군, 대장암, 담도염, 담낭염, 췌장염, 담도암, 및 췌장암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탐색 방법.
  45.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 방법은 상기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세포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탐색 방법.
  46.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염증세포인, 탐색 방법.
  47.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세포는 단핵구인, 탐색 방법.
  48.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세포는 호중구인, 탐색 방법.
  49.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세포는 호산구인, 탐색 방법.
  50.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세포는 호염구인, 탐색 방법.
  51.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세포는 단핵구가 조직에서 분화된 세포인, 탐색 방법.
  52.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상피세포인, 탐색 방법.
  53.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혈관내피세포인, 탐색 방법.
  54.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줄기세포인, 탐색 방법.
  55.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골수조직에서 유래한 세포인, 탐색 방법.
  56.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지방조직에서 유래한 세포인, 탐색 방법.
  57.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 방법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와 함께 후보 물질을 투여한 후 염증 관련 매개체의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탐색 방법.
  58. 제 57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 관련 매개체는 인터루킨(Interleukin, IL)-6인, 탐색 방법.
  59.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 방법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와 함께 후보 물질을 투여한 후 염증 관련 신호전달과정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탐색 방법.
  60.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포함하는,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한 질병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61. 제 60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은 패혈증, 동맥경화증, 급성관상동맥증후군, 뇌졸증, 폐기종, 급성호흡부전증후군, 골다공증, 고혈압, 비만, 당뇨, 관절염, 및 뇌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백신.
  62. 제 60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은 구강염, 구강암, 식도염, 식도암, 위염, 소화성궤양, 위암, 염증성장염, 과민성장증후군, 대장암, 담도염, 담낭염, 췌장염, 담도암, 및 췌장암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백신.
  63. 제 60항에 있어서,
    상기 백신은 그람 음성 세균에서 유래하는 것인, 백신.
  64. 제 63항에 있어서,
    상기 그람 음성 세균은 대장균, 크렙시엘라균, 슈도모나스속 세균 및 박테로이데스속 세균인 것인, 백신.
  65. 제 60항에 있어서,
    상기 백신은 효능을 증가시키거나 부작용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변형하여 사용하는 것인, 백신.
  66. 제 65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은 형질변환된 세균을 사용하는 것인, 백신.
  67. 제 65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은 세균에 화합물을 처리하는 것인, 백신.
  68. 제 6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약물인 것인, 백신.
  69. 제 65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은 세포밖 소포체에 화합물을 처리하는 것인, 백신.
  70. 제 6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약물인 것인, 백신.
  71. 제 60항에 있어서,
    상기 백신은 효능을 증가시키거나 부작용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약물을 병용 투여하여 사용하는 것인, 백신.
  72. 제 60항에 있어서,
    상기 백신은 효능을 증가시키거나 부작용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면역보강제를 병용 투여하여 사용하는 것인, 백신.
  73.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포함하는, 장내 공생 세균에 의한 감염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74. 제 73항에 있어서,
    상기 감염은 복막염, 패혈증, 폐렴, 요로감염, 골관절, 및 중추신경계 감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백신.
  75. 제 73항에 있어서,
    상기 백신은 그람 음성 세균에서 유래하는 것인, 백신.
  76. 제 75항에 있어서,
    상기 그람 음성 세균은 대장균, 크렙시엘라균, 슈도모나스속 세균, 및 박테로이데스속 세균인 것인, 백신.
  77. 제 73항에 있어서,
    상기 백신은 효능을 증가시키거나 부작용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변형하여 사용하는 것인, 백신.
  78. 제 73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은 형질변환된 세균을 사용하는 것인, 백신.
  79. 제 73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은 세균에 화합물을 처리하는 것인, 백신.
  80. 제 7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약물인 것인, 백신.
  81. 제 73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은 세포밖 소포체에 화합물을 처리하는 것인, 백신.
  82. 제 8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약물인 것인, 백신.
  83. 제 73항에 있어서,
    상기 백신은 효능을 증가시키거나 부작용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약물을 병용 투여하여 사용하는 것인, 백신.
  84. 제 73항에 있어서,
    상기 백신은 효능을 증가시키거나 부작용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면역보강제를 병용 투여하여 사용하는 것인, 백신.
  85.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치사량 미만으로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병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방법.
  86. 제 85항에 있어서,
    상기 장내 공생 세균은 그람 음성 세균인, 방법.
  87. 제 86항에 있어서,
    상기 그람 음성 세균은 대장균, 크렙시엘라균, 슈도모나스속 세균, 및 박테로이데스속 세균인, 방법.
  88. 제 85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장내 공생 세균 배양액에서 분리한 것인, 방법.
  89. 제 85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자연적으로 분비되는 것인, 방법.
  90. 제 85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인공적으로 분비되는 것인, 방법.
  91. 제 85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포유동물의 대변에서 분리한 것인, 방법.
  92. 제 85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포유동물의 장내에서 분리한 것인, 방법.
  93. 제 92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포유동물의 위액에서 분리한 것인, 방법.
  94. 제 92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포유동물의 소장액에서 분리한 것인, 방법.
  95. 제 92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포유동물의 구강액에서 분리한 것인, 방법.
  96. 제 85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소포체는 효능을 증가시키거나 부작용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변형하여 사용하는 것인, 방법.
  97. 제 96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은 형질변환된 세균을 사용하는 것인, 방법.
  98. 제 96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은 세균에 화합물을 처리하는 것인, 방법.
  99. 제 98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약물인 것인, 방법.
  100. 제 96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은 세포밖 소포체에 화합물을 처리하는 것인, 방법.
  101. 제 100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약물인 것인, 방법.
  102. 제 85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효능을 증가시키거나 부작용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약물을 병용 투여하여 사용하는 것인, 방법.
  103. 제 85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효능을 증가시키거나 부작용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면역보강제를 병용 투여하여 사용하는 것인, 방법.
  104. 제 85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발생 또는 악화되는 질병인, 방법.
  105. 제 85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은 패혈증, 동맥경화증, 급성관상동맥증후군, 뇌졸증, 폐기종, 급성호흡부전증후군, 골다공증, 고혈압, 비만, 당뇨, 관절염, 및 뇌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방법.
  106. 제 85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은 구강염, 구강암, 식도염, 식도암, 위염, 소화성궤양, 위암, 염증성장염, 과민성장증후군, 대장암, 담도염, 담낭염, 췌장염, 담도암, 및 췌장암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방법.
  107. 제 85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은 복막염, 패혈증, 폐렴, 요로감염, 골관절, 및 중추신경계 감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방법.
  108. 제 85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피하로 주사하는 것인, 방법.
  109. 제 85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정맥으로 주사하는 것인, 방법.
  110. 제 85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비강으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111. 제 85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설하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112. 제 85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기도로 흡입하는 것인, 방법.
  113. 제 85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경구로 복용하는 것인, 방법.
  114. 제 85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항문으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115. 제 85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피부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116.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이용한 탐색 방법에 의하여 선별된 물질을 포함하는, 질병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117. 제 116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키나제억제제 (kinase inhibitor)인, 약학적 조성물.
  118. 제 117항에 있어서,
    상기 카나제억제제는 Damnacanthal (3-hydroxy-1-methoxy-9,10-dioxoanthracene-2-carbaldehyde), H-7 (5-(2-methylpiperazin-1-yl)sulfonylisoquinoline dihydrochloride), LY294002 (2-morpholin-4-yl-8-phenylchromen-4-one), GF109203X (3-[1-[3-(dimethylamino)propyl]indol-3-yl]-4-(1H-indol-3-yl)pyrrole-2, 5-dione), ML-7 (1-(5-iodonaphthalen-1-yl)sulfonyl-1,4-diazepane hydrochloride), ML-9 (1-(5-chloronaphthalen-1-yl)sulfonyl-1,4-diazepane hydrochloride), ZM449829 (1-(2-Naphthalenyl)-2-propen-1-one), DRB ((2S,3S,4R,5R)-2-(5,6-dichlorobenzimidazol-1-yl)-5-(hydroxymethyl)oxolane-3,4-diol), Indirubin-3’-monoxime (3-[3-(hydroxyamino)-1H-indol-2-yl]indol-2-one), Kenpaullone (9-bromo-7,12-dihydro-5H-indolo[3,2-d][1]benzazepin-6-one), BML-259 (N-(5-Isopropylthiazol-2-yl)phenylacetamide), 및 Apigenin (5,7-dihydroxy-2-(4-hydroxyphenyl)chromen-4-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19. 제 116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포스파타제억제제 (phosphatase inhibitor)인, 약학적 조성물.
  120. 제 119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파타제억제제는 PD-144795 (5-methoxy-3-(1-methylethoxy)benzo(b)thiophene-2-carboxamide-1-oxide)인, 약학적 조성물.
  121. 제 116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프로드러그 (prodrug)인, 약학적 조성물.
  122. 제 1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드러그는 Amitriptyline, Cyclobenzaprine, Desipramine, Doxepin, Fluphenazine dichloride, Haloperidol, Imipramine, Maprotiline, Orphenadrine, Terfenadine, Tolfenamic acid, 및 Trazodone HCl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23. 제 116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의해 발생 또는 악화되는 질병인, 약학적 조성물.
  124. 제 116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은 패혈증, 동맥경화증, 급성관상동맥증후군, 뇌졸증, 폐기종, 급성호흡부전증후군, 골다공증, 고혈압, 비만, 당뇨, 관절염, 및 뇌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25. 제 116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은 구강염, 구강암, 식도염, 식도암, 위염, 소화성궤양, 위암, 염증성장염, 과민성장증후군, 대장암, 담도염, 담낭염, 췌장염, 담도암, 및 췌장암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26. 장내 공생 세균 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응용한, 질병의 원인인자 진단 방법.
  127. 제 126항에 있어서,
    상기 장내 공생 세균은 그람 음성 세균인, 진단 방법.
  128. 제 126항에 있어서,
    상기 그람 음성 세균은 대장균, 크렙시엘라균, 슈도모나스속 세균, 및 박테로이데스속 세균인, 진단 방법.
  129. 제 126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은 패혈증, 동맥경화증, 급성관상동맥증후군, 뇌졸증, 폐기종, 급성호흡부전증후군, 골다공증, 고혈압, 비만, 당뇨, 관절염, 및 뇌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진단 방법.
  130. 제 126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은 구강염, 구강암, 식도염, 식도암, 위염, 소화성궤양, 위암, 염증성장염, 과민성장증후군, 대장암, 담도염, 담낭염, 췌장염, 담도암, 및 췌장암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진단 방법.
  131. 제 126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포함된 유전물질의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것인, 진단 방법.
  132. 제 13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물질은 16S rRNA인, 진단 방법.
  133. 제 126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포함된 단백질을 측정하는 것인, 진단 방법.
  134. 제 126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대한 면역반응을 측정하는 것인, 진단 방법.
  135. 제 134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반응의 측정은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에 대한 항체를 측정하여 수행되는 것인, 진단 방법.
  136. 제 126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은 대변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인, 진단 방법.
  137. 제 126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은 혈액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인, 진단 방법.
  138. 제 126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은 소변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인, 진단 방법.
  139. 제 126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은 복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인, 진단 방법.
  140. 제 126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은 흉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인, 진단 방법.
  141. 제 126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은 관절액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인, 진단 방법.
  142. 제 126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은 뇌척수액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인, 진단 방법.
PCT/KR2010/004747 2009-09-01 2010-07-20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및 이를 이용한 질병모델, 백신, 후보 약물 탐색 방법, 및 진단 방법 WO2011027971A2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527808A JP5818793B2 (ja) 2009-09-01 2010-07-20 腸内共生細菌由来細胞外ベシクル、並びにこれを用いた疾病モデル、ワクチン、候補薬物探索方法及び診断方法
EP10813880.1A EP2494865A4 (en) 2009-09-01 2010-07-20 EXTRACELLULAR VESICLES OBTAINED FROM THE DARMFLORA,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A DISEASE MODEL, VACCINE AND CANDIDATE AND DIAGNOSTIC METHOD THEREFOR
CN201080038540.9A CN102480932B (zh) 2009-09-01 2010-07-20 源于肠道共生细菌的细胞外小泡及利用其的疫苗、备选药物筛选方法
US13/393,808 US9201072B2 (en) 2009-09-01 2010-07-20 Gut flor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a disease model, vaccine, and candidate drug and for diagnosis using the same
US13/394,113 US8969653B2 (en) 2009-09-01 2010-08-26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from gram-positive bacteria, and use thereof
US14/322,831 US9274109B2 (en) 2009-09-01 2014-07-02 Gut flor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a disease model, vaccine, and candidate drug and for diagnosis using the same
US14/593,933 US9273359B2 (en) 2009-09-01 2015-01-09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from Gram-positive bacteria, and us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220 2009-09-01
KR20090082220 2009-09-01

Related Child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3/393,808 A-371-Of-International US9201072B2 (en) 2009-09-01 2010-07-20 Gut flor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a disease model, vaccine, and candidate drug and for diagnosis using the same
PCT/KR2010/005721 Continuation-In-Part WO2011027990A2 (ko) 2009-09-01 2010-08-26 그람 양성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및 이의 용도
US13/394,113 Continuation-In-Part US8969653B2 (en) 2009-09-01 2010-08-26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from gram-positive bacteria, and use thereof
US14/322,831 Division US9274109B2 (en) 2009-09-01 2014-07-02 Gut flora-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a disease model, vaccine, and candidate drug and for diagnosi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27971A2 true WO2011027971A2 (ko) 2011-03-10
WO2011027971A3 WO2011027971A3 (ko) 2011-08-25

Family

ID=43649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4747 WO2011027971A2 (ko) 2009-09-01 2010-07-20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및 이를 이용한 질병모델, 백신, 후보 약물 탐색 방법, 및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201072B2 (ko)
EP (1) EP2494865A4 (ko)
JP (1) JP5818793B2 (ko)
KR (1) KR101430283B1 (ko)
CN (1) CN102480932B (ko)
WO (1) WO2011027971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28229A (ja) * 2012-04-24 2013-11-07 Chiba Univ 心血管イベントの発症リスクの検査方法
KR20190100043A (ko) * 2018-02-20 2019-08-28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카테니박테리움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WO2019164197A1 (ko) * 2018-02-20 2019-08-29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카테니박테리움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CN111587294A (zh) * 2018-01-12 2020-08-25 Md保健株式会社 来源于摩根氏菌属细菌的纳米囊泡及其用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779B1 (ko) * 2011-04-08 2014-07-28 주식회사이언메딕스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및 이의 용도
KR101453607B1 (ko) * 2012-08-02 2014-10-2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4―디메틸아미노―2―메톡시―6―((메틸―[2―(4―니트로페닐)에틸]아미노)메틸)페놀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EP2904395B1 (en) * 2012-10-05 2018-09-05 Nestec S.A. Antibodies to microbiome as diagnostic markers for ibs
KR101599281B1 (ko) * 2013-12-09 2016-03-02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폐렴연쇄상구균 유래 막소포체를 포함하는 폐렴연쇄상구균 백신 조성물
KR101740893B1 (ko) 2014-05-20 2017-06-13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Akkermansia muciniphila 균에서 유래하는 세포밖 소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726488B1 (ko) * 2015-02-23 2017-04-1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실러스 속 세균 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포함하는 임신관련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3140A (ko) * 2016-03-03 2017-09-13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KR101923969B1 (ko) * 2016-07-08 2018-11-30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WO2018008895A1 (ko) * 2016-07-08 2018-01-11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KR102085787B1 (ko) * 2016-08-12 2020-03-06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바실러스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WO2018030732A1 (ko) * 2016-08-12 2018-02-15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바실러스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CN110352236A (zh) * 2016-11-01 2019-10-18 学校法人庆应义塾 诱导Th1细胞的细菌
KR101940423B1 (ko) * 2016-12-16 2019-01-18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세균 메타게놈 분석을 통한 심장질환 진단방법
KR101833348B1 (ko) * 2016-12-26 2018-03-02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세균 메타게놈 분석을 통한 유방암 진단방법
KR101942197B1 (ko) 2016-12-28 2019-01-24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세균 메타게놈 분석을 통한 전립선질환 진단 방법
KR101940445B1 (ko) * 2017-02-24 2019-01-18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세균 메타게놈 분석을 통한 당뇨병 진단 방법
KR102008451B1 (ko) * 2017-05-26 2019-08-07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세균 메타게놈 분석을 통한 자폐증 진단방법
KR102019646B1 (ko) * 2017-06-07 2019-09-10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미생물 메타게놈 분석을 통한 아토피피부염 진단방법
KR102011375B1 (ko) * 2017-06-30 2019-08-16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프로테우스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KR102019648B1 (ko) * 2017-06-30 2019-09-10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천식환자에서 세균 메타게놈 분석을 통한 폐암 진단방법
KR20200053532A (ko) * 2017-09-08 2020-05-18 에벨로 바이오사이언시즈, 인크. 프레보텔라로부터의 세포외 소포
MX2020002659A (es) * 2017-09-08 2020-09-09 Evelo Biosciences Inc Vesiculas extracelulares bacterianas.
KR102007783B1 (ko) 2017-10-18 2019-08-07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세균 메타게놈 분석을 통한 림프종 진단방법
KR102007786B1 (ko) * 2017-10-18 2019-08-07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세균 메타게놈 분석을 통한 두경부암 진단방법
WO2019078432A1 (ko) * 2017-10-18 2019-04-25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세균 메타게놈 분석을 통한 림프종 진단방법
KR102008440B1 (ko) * 2017-10-18 2019-08-08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세균 메타게놈 분석을 통한 대사증후군 진단방법
WO2019139279A1 (ko) * 2018-01-12 2019-07-18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모르가넬라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KR101940950B1 (ko) * 2018-01-23 2019-01-21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세균 메타게놈 분석을 통한 담관암 진단방법
KR101944660B1 (ko) * 2018-01-29 2019-01-31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세균 메타게놈 분석을 통한 우울증 진단방법
KR102063196B1 (ko) * 2018-02-06 2020-01-07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세균 메타게놈 분석을 통한 과민성장증후군 진단방법
KR101944662B1 (ko) * 2018-02-14 2019-02-01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세균 메타게놈 분석을 통한 뇌졸중 진단방법
US11771742B2 (en) 2018-02-21 2023-10-03 Md Healthcare Inc. Nano-vesicles derived from genus cupriavidus bacteria and use thereof
WO2019164230A1 (ko) * 2018-02-21 2019-08-29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큐프리아비더스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KR102087105B1 (ko) * 2018-02-21 2020-03-10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큐프리아비더스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WO2019168328A1 (ko) * 2018-02-28 2019-09-06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리조비움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WO2019168331A1 (ko) * 2018-02-28 2019-09-06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슈도모나스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KR102118989B1 (ko) * 2018-03-05 2020-06-05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엔히드로박터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WO2019172600A1 (ko) * 2018-03-05 2019-09-12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엔히드로박터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KR102185983B1 (ko) * 2018-03-06 2020-12-03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콜린셀라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CN108379297B (zh) * 2018-05-04 2019-07-02 中南大学湘雅医院 益生菌及其外膜囊泡在制备防治骨质疏松症药物中的应用
KR102141246B1 (ko) * 2018-05-25 2020-08-04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qPCR 분석을 통한 대장암 진단방법
JP7186470B2 (ja) * 2018-12-10 2022-12-09 エムディー ヘルスケ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コリネバクテリウム属細菌由来のナノ小胞及びその用途
KR102223406B1 (ko) * 2018-12-10 2021-03-05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코리네박테리움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WO2020122450A1 (ko) * 2018-12-10 2020-06-18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스핀고모나스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KR102242196B1 (ko) 2018-12-10 2021-04-20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스핀고모나스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CN110150226A (zh) * 2019-05-21 2019-08-23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肠道菌群啮齿动物模型的构建方法
KR102308931B1 (ko) * 2019-05-24 2021-10-06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qPCR 분석을 통한 대장염 진단방법
KR102379022B1 (ko) * 2019-05-24 2022-03-28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qPCR 분석을 통한 위암 진단방법
CN110178794A (zh) * 2019-07-03 2019-08-30 江苏省中医药研究院 一种腹泻型肠易激综合征复合动物模型建立方法
JP2022545978A (ja) * 2019-09-10 2022-11-01 エムディー ヘルスケ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微生物由来小胞に対する抗体に基づく肺疾患診断方法
CN110622922A (zh) * 2019-09-30 2019-12-31 广西医科大学第一附属医院 胰腺癌腹水小鼠动物模型的建立方法
JP7406789B2 (ja) * 2019-10-30 2023-12-28 国立大学法人広島大学 細菌メンブランベシクルの単離方法、単離キット、およびその除去方法
EP4074341A4 (en) * 2019-12-12 2024-02-28 Zhujiang Hospital Southern Medical Univ USE OF AN INHIBITOR OF THE NITRIC OXIDE SYNTHASE PATHWAY IN THE PREPARATION OF A DRUG
CN111599461B (zh) * 2020-04-08 2024-01-05 深圳市领治医学科技有限公司 肠道菌群干预方式作用原理分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554318B1 (ko) * 2020-09-25 2023-07-1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뇌졸중 재발 예측 방법
CN113180007B (zh) * 2021-04-30 2022-08-19 扬州大学 一种渗出性动物肺炎模型构建方法
CN114164134B (zh) * 2021-09-30 2023-03-03 东北农业大学 具有预防及缓解结肠炎症状的长双歧杆菌长亚种及其应用
CN114747539A (zh) * 2022-03-08 2022-07-15 重庆第二师范学院 小鼠肥胖的实验方法及发酵柠檬汁对小鼠肥胖的抑制作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14417A2 (en) 2002-08-02 2004-02-19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Vaccine compositions comprising l2 and/or l3 immunotype lipooligosaccharides from lgtb- neisseria minigitidis
US20070166333A1 (en) 2003-11-04 2007-07-19 Olivia Niebla Perez Method of antigen incorporation into neisseria bacterial outer membrane vesicles and resulting vaccine formulations
WO2007144316A2 (en) 2006-06-12 2007-12-21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Vaccine
US7384645B2 (en) 2001-12-17 2008-06-10 Health Protection Agency Outer membrane vesicles from gram negative bacteria and use as a vaccine
WO2009030093A1 (fr) 2007-09-05 2009-03-12 Zhejiang University Fonctions et utilisations de l'inhibiteur 2 de la protéine phosphatase 1 humain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7872A (en) 1990-02-27 1993-06-0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Method for detection of borrelia burgdorferi antigens
AU707131B2 (en) 1995-08-04 1999-07-01 University Of Guelph Novel vaccin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ing membrane vesicles of microorganisms,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JPH09163896A (ja) 1995-12-13 1997-06-24 Sumitomo Pharmaceut Co Ltd 胸膜炎病態モデル動物
US6558677B2 (en) * 1996-10-15 2003-05-06 Wendell D. Zollinger Vaccine against gram negative bacteria
GB9918319D0 (en) 1999-08-03 1999-10-06 Smithkline Beecham Biolog Vaccine composition
EP1246935B1 (en) * 1999-09-28 2013-08-14 Geneohm Sciences Canada Inc. Highly conserved genes and their use to generate probes and primers for detection of microorganisms
GB0220194D0 (en) * 2002-08-30 2002-10-09 Chiron Spa Improved vesicles
GB0316560D0 (en) 2003-07-15 2003-08-20 Chiron Srl Vesicle filtration
EP1498144A1 (en) 2003-07-15 2005-01-19 Universite Pierre Et Marie Curie Paris Vi Extracellular vesicles from non-pathogenic amoebae useful as vehicle for transferring a molecule of interest to an eukaryotic cell
GB0323709D0 (en) * 2003-10-09 2003-11-12 Health Prot Agency Modified whole cell,cell extract and omv-based vaccines
GB0408977D0 (en) 2004-04-22 2004-05-26 Chiron Srl Immunising against meningococcal serogroup Y using proteins
JP2008514955A (ja) * 2004-09-28 2008-05-08 シンギュレッ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サンプル分析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034345B2 (en) * 2005-01-27 2015-05-19 Children's Hospital & Research Center Oakland GNA1870-based vesicle vaccines for broad spectrum protection against diseases caused by Neisseria meningitidis
US9365885B2 (en) 2009-06-16 2016-06-14 Puiying Annie Mak High-throughput complement-mediated antibody-dependent and opsonic bactericidal assays
HUE040658T2 (hu) 2010-04-07 2019-03-28 California Inst Of Techn Vivõanyag vegyület mukózus membránhoz juttatásához és kapcsolódó készítmények, eljárások és rendszere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4645B2 (en) 2001-12-17 2008-06-10 Health Protection Agency Outer membrane vesicles from gram negative bacteria and use as a vaccine
WO2004014417A2 (en) 2002-08-02 2004-02-19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Vaccine compositions comprising l2 and/or l3 immunotype lipooligosaccharides from lgtb- neisseria minigitidis
US20070166333A1 (en) 2003-11-04 2007-07-19 Olivia Niebla Perez Method of antigen incorporation into neisseria bacterial outer membrane vesicles and resulting vaccine formulations
WO2007144316A2 (en) 2006-06-12 2007-12-21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Vaccine
WO2009030093A1 (fr) 2007-09-05 2009-03-12 Zhejiang University Fonctions et utilisations de l'inhibiteur 2 de la protéine phosphatase 1 humaine

Non-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 BJERRE ET AL.: "Complement activation induced by purified Neisseria meningitidis lipopolysaccharide (LPS), outer membrane vesicles, whole bacteria, and an LPS-free mutant", J. INFECT. DIS., vol. 185, no. 2, 2002, pages 220 - 228
E. LOLIS; R. BUCALA: "Therapeutic approaches to innate immunity: severe sepsis and septic shock", NAT. REV. DRUG. DISCOV., vol. 2, no. 8, 2003, pages 635 - 645
E. NAMORK; P. BRANDTZAEG: "Fatal meningococcal sepsis with ''blebbing'' meningococcus", LANCET, vol. 360, no. 9347, 2002, pages 1741
E. Y. LEE ET AL.: "Proteomics in gram-negative bacterial outer membrane vesicles", MASS. SPECTROM. REV., vol. 27, no. 6, 2008, pages 535 - 555
J. A. BURAS ET AL.: "Animal models of sepsis: setting the stage", NAT. REV. DRUG. DISCOV., vol. 4, no. 10, 2005, pages 854 - 865
J. HELLMAN: "Bacterial peptidoglycan-associated lipoprotein is released into the bloodstream in gram-negative sepsis and causes inflammation and death in mice", J. BIOL. CHEM., vol. 19, no. 16, 2002, pages 14274 - 14280
M. M. LEVI ET AL.: "SCCM/ESICM/ACCP/ATS/SIS International Sepsis Definitions Conference", CRIT. CARE. MED., vol. 31, no. 4, 2003, pages 1250 - 1256
M. P. GIRARD ET AL.: "A review of vaccine research and development: meningococcal disease", VACCINE, vol. 24, no. 22, 2006, pages 4692 - 4700, XP028010708, DOI: doi:10.1016/j.vaccine.2006.03.034
M. R. MIRLASHARI ET AL.: "Outer membrane vesicles from Neisseria meningitidis: effects on cytokine production in human whole blood", CYTOKINE, vol. 13, no. 2, 2001, pages 91 - 97
R. C. ALANIZ ET AL.: "Membrane vesicles are immunogenic facsimiles of Salmonella typhimurium that potently activate dendritic cells, prime B and T cell responses, and stimulate protective immunity in vivo", J IMMUNOL., vol. 179, no. 11, 2007, pages 7692 - 701, XP002721554, DOI: doi:10.4049/jimmunol.179.11.7692
R. S. MUNFORD: "Severe sepsis and septic shock: the role of gram-negative bacteremia", ANNU. REV. PATHOL., vol. 1, 2006, pages 467 - 496
S. M. OPAL: "The host response to endotoxin, antilipopolysaccharide strategies, and the management of severe sepsis", INT. J. MED. MICROBIOL., vol. 297, no. 5, 2007, pages 365 - 377, XP022188019, DOI: doi:10.1016/j.ijmm.2007.03.006
See also references of EP2494865A4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28229A (ja) * 2012-04-24 2013-11-07 Chiba Univ 心血管イベントの発症リスクの検査方法
CN111587294A (zh) * 2018-01-12 2020-08-25 Md保健株式会社 来源于摩根氏菌属细菌的纳米囊泡及其用途
EP3739067A4 (en) * 2018-01-12 2021-10-13 MD Healthcare Inc. NANOVESICLES FROM MORGANELLA BACTERIA AND THEIR USE
US11898156B2 (en) 2018-01-12 2024-02-13 Md Healthcare Inc. Nano-vesicles derived from genus Morganella bacteria and use thereof
KR20190100043A (ko) * 2018-02-20 2019-08-28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카테니박테리움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WO2019164197A1 (ko) * 2018-02-20 2019-08-29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카테니박테리움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KR102194274B1 (ko) * 2018-02-20 2020-12-22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카테니박테리움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22142A1 (en) 2012-08-30
US9274109B2 (en) 2016-03-01
KR20110025068A (ko) 2011-03-09
CN102480932B (zh) 2015-01-14
CN102480932A (zh) 2012-05-30
EP2494865A4 (en) 2014-05-14
JP2013503857A (ja) 2013-02-04
US20150017664A1 (en) 2015-01-15
US9201072B2 (en) 2015-12-01
EP2494865A2 (en) 2012-09-05
JP5818793B2 (ja) 2015-11-18
KR101430283B1 (ko) 2014-08-14
WO2011027971A3 (ko) 201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27971A2 (ko) 장내 공생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및 이를 이용한 질병모델, 백신, 후보 약물 탐색 방법, 및 진단 방법
WO2011027990A9 (ko) 그람 양성 세균유래 세포밖 소포체 및 이의 용도
WO2011043538A2 (ko) 실내 공기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eters et al. Susceptibility of leatherjackets (Tipula paludosa and Tipula oleracea; Tipulidae; Nematocera) to the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feltiae
Berg et al. Rapid development of severe hyperplastic gastritis with gastric epithelial dedifferentiation in Helicobacter felis-infected IL-10 (-/-) mice.
Houpt et al. The mouse model of amebic colitis reveals mouse strain susceptibility to infection and exacerbation of disease by CD4+ T cells
Shi et al. The aryl hydrocarbon receptor is required for optimal resistance to Listeria monocytogenes infection in mice
Fallon et al. Elevated type 1, diminished type 2 cytokines and impaired antibody response are associated with hepatotoxicity and mortalities during Schistosoma mansoni infection of CD4‐depleted mice
Zhang et al. Deletion of aquaporin 5 aggravates acute lung injury induced by Pseudomonas aeruginosa
Noga et al. Some unusual features of mycobacteriosis in the cichlid fish Oreochromis mossambicus
Li et al. A rat model to study Blastocytis subtype 1 infections
Hamlin et al. Low-density lipoprotein receptor–related protein-1 dysfunction synergizes with dietary cholesterol to accelerate steatohepatitis progression
Handley et al. Characterization of oral Yersinia enterocolitica infection in three different strains of inbred mice
Kang et al. A monkey model for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infection
Iwanowicz et al. Mortality and pathology in brown bullheads Amieurus nebulosus associated with a spontaneous Edwardsiella ictaluri outbreak under tank culture conditions
Compton et al. Pathogenesis of mouse hepatitis virus infection in gamma interferon-deficient mice is modulated by co-infection with Helicobacter hepaticus
WO2021167262A1 (ko) 뉴클레오사이드 가수분해효소 억제제, 이를 포함하는 병원성 미생물의 독성 억제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병원성 미생물의 독성 억제 방법 및 뉴클레오사이드 가수분해효소 억제제의 스크리닝 방법
Tiuria et al. The indian soft-furred rat, Millardia meltada, a new host for Nippostrongylus brasiliensis, showng androgen-dependent sex difference in intestinal mucosal defence
Tison et al. Spontaneous “primary biliary cirrhosis” in rabbits
Murakata et al. Infection of different strains of mice with Lawsonia intracellularis derived from rabbit or porcine proliferative enteropathy
Guarner The spectrum of gastric disease associated with Helicobacter pylori and other infectious gastritides
WO2012093754A1 (ko) 포유동물 체내에서 유래된 세포밖 소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21162457A1 (ko) 패칼리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이용한 항암 치료
WO2020040343A1 (en) Isoxazole derivatives and preparation process thereof
WO2023211228A1 (ko) 항―wars1 항체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80038540.9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1388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2527808

Country of ref document: J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393808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813880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