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27221A9 - 비목나무 유래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목나무 유래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27221A9
WO2010027221A9 PCT/KR2009/005027 KR2009005027W WO2010027221A9 WO 2010027221 A9 WO2010027221 A9 WO 2010027221A9 KR 2009005027 W KR2009005027 W KR 2009005027W WO 2010027221 A9 WO2010027221 A9 WO 2010027221A9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und
formula
fraction
compositio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502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027221A3 (ko
WO2010027221A2 (ko
Inventor
김기옥
고려경
진영준
강민철
한종헌
최호민
고광효
김봉석
진호경
진경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Priority to CN200980141207.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186457B/zh
Priority to JP2011525981A priority patent/JP5627585B2/ja
Publication of WO2010027221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27221A2/ko
Publication of WO2010027221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27221A3/ko
Publication of WO2010027221A9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27221A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extracts, fractions or compounds derived from a birch tree, and more particularly, an ethanol extract obtained by extracting birch trees with ethanol, a solvent fraction obtained therefrom or a compound purified therefrom. It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 Natural antioxidants include ⁇ -tocopherol, vitamin C, carotenoids, flavonoids, and the like. These antioxidants are widely distributed in animals and plants, and many researches are plant-derived. Secondary metabolites derived from plants have been found to inhibit or eliminate the production of free radicals and free radicals to prevent cell damage from oxidation.
  • Flavonoids act to prevent oxidation of lipids, scavenging of free radicals and oxidative stress, thus preventing aging, cancer and heart. It is effective in preventing or delaying diseases, and is being used in many fields such as food, medicine, and cosmetics.
  • melanin is a high molecular natural pigment of phenols widely present in animals, plants, and microorganisms as an important defense means to protect the living body from ultraviolet rays.
  • melanin improves viability against UV rays, dryness, and extreme temperatures, and improves the quality of coffee, tea, and tobacco.However, excessive melanin synthesis causes blemishes, freckles, and skin spots on the human body, promotes skin aging, and causes skin cancer. It is known to be involved.
  • the biosynthesis of melanin pigment is controlled by various enzymes, including tyrosinase enzymes, among which tyrosinase acts on the oxidation of dihydroxyindole after the initial biosynthesis process in which tyrosine is transferred to L-dopaquinone.
  • tyrosinase activity inhibitors is an important part of the development of the whitening agent, and the known tyrosinase inhibitors are currently known as hydroquinone, 4-hydroxyanisole, ascorbic acid derivatives, kojic acid, Azelaic acid, corticosteroids, retinoids, arbutin, catechins, 3,4,5-trimethoxy cinnamate thymol ester
  • hydroquinone 4-hydroxyanisole
  • ascorbic acid derivatives kojic acid
  • Azelaic acid corticosteroids
  • retinoids retinoids
  • arbutin catechins
  • catechins 3,4,5-trimethoxy cinnamate thymol ester
  • the tree, Lindera erythrocarpa is a plant of the Lauraceae family , which is distributed in 1,500 species of 45 genera and 6 genera and 12 species in Korea.
  • a birch tree is a mausoleum with light yellow flowers in April to May and a red fruit of about 8mm in September. It is a deciduous tree with a height of 5m that grows in warm parts of Japan, China, southern part of Korea. Dried berries have an unusual aroma and bitter taste, and are used in Japan as an analgesic for gastrointestinal drugs and neuralgia.
  • the present inventors have obtained ethanol extracts, sequential solvent fractions and cyclopentadione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using Lindera erythrocarpa in Jeju Island, and searched for antioxidant activity, B16F10 mouse melanoma cells and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that they were useful as a useful resource for skin whitening functional cosmetics, food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by investigating melanin biosynthesis inhibitory activity by treating RAW 264.7 cell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an extract of a tree or a solvent frac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birch tree extract includes water, ethanol, lower alcohols such as methanol or a solvent selected from a mixed solvent thereof, preferably extracted with ethanol.
  • the said extract shall contain the extract obtained by an extraction process, the dilution or concentrate of an extract, the dried material obtained by drying an extract, or any of these modifiers or refined products.
  • the extract may be obtained by immersing the pulverized tree obtained by hot-air drying and grinding the lumber in 70% ethanol, leaching by stirring at room temperature for 3 days, filtered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
  • the solvent fraction of the non-wood extract is suspending the non-wood extract with distilled water and then from the non-polar solvent n -hexane ( n -hexane) ( n -Hex), methylene chloride (methylene chloride) (CH 2 Cl 2 ), ethyl acetate (ethyl acetate) (EtOAc), and n - by fractionation using butanol (n -butanol) (n -BuOH) can be obtained.
  • n -hexane n -hexane
  • n -Hex non-polar solvent
  • methylene chloride methylene chloride
  • EtOAc ethyl acetate
  • n -BuOH butanol
  • the solvent fraction of the birch tree extract is suspended in distilled water by distillation of the birch tree ethanol extract, n -hexane ( n -Hex), methylene chloride (CH 2 Cl 2 ), ethyl acetate from a non-polar solvent in a separatory funnel (EtOAc) and n -butanol ( n- BuOH) were fractionated, filtered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a fraction for each solv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s (1) to (10)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mpounds can be used by purification separately from the birch tree.
  • th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may be obtained or used by a known synthesis method.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smetic composition.
  •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components conventional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in addition to the extract of the birch tree as its active ingredient, a solvent fraction thereof or a compound separated therefrom, for example, antioxidants, stabilizers, solubilizers, vitamins And conventional adjuvants and carriers such as pigments and fragrances.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skin absorption promoting substance to enhance the effect.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any formulation commonly prepared in the art, for example,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pastes, gels, creams, lotions, powders, soaps,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 Oils, powder foundations, emulsion foundations, wax foundations, sprays,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Specifically, it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a flexible lotion, nutrition lotion, nutrition cream, massage cream, essence, eye cream, cleansing cream,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pack, spray or powder.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ste, cream or gel, animal oils, vegetable oils, waxes, paraffins, starches, trachants,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s, silicones, bentonites, silicas, talc or zinc oxide may be used as carrier components.
  • animal oils, vegetable oils, waxes, paraffins, starches, trachants,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s, silicones, bentonites, silicas, talc or zinc oxide may be used as carrier components.
  • animal oils vegetable oils, waxes, paraffins, starches, trachants,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s, silicones, bentonites, silicas, talc or zinc oxide
  •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s
  • silicones bentonites
  • silicas talc or zinc oxide
  •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may be us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pray, additionally chlorofluorohydrocarbon, propane Propellant such as butane or dimethyl ether.
  • a solvent, solubilizer or emulsifier is used as the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 Fatty acid esters of, 3-butyl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 polyethylene glycol or sorbitan.
  • liquid carrier diluents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 suspending agents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crystals Solubl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y, bentonite, agar or tracant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carrier component is aliphatic alcohol sulfate,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isethionate, imidazolinium derivative, methyltaurate, sarcosinate, fatty acid amide.
  • Ether sulfates, alkylamidobetaines, aliphatic alcohols, fatty acid glycerides, fatty acid diethanolamides, vegetable oils, lanolin derivatives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s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ose commonly used in the preparation, such as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starch, acacia rubber, calcium phosphate, alginate, gelatin, Calcium silicat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cellulose, water, syrup, methyl cellulose,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and the lik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It doesn't work.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ubricant, a humectant, a sweetener, a flavoring agent, an emulsifier, a suspending agent, a preservative, and the lik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by various routes such as oral or parenteral, for example orally or transdermally. Preferably, however, it is applied by topical application during parenteral administration, more preferably by topical application.
  • Suitable dosages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the formulation method, mode of administration, age, weight, sex, morbidity, condition of food, time of administration, route of administration, rate of excretion and response to response of the patient.
  • the dosage of the extract of the tre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vent fraction thereof or the compound separated therefrom is once a day in the amount of 5-30 mg / kg, preferably 10 mg / kg, based on an adult in the oral dosage form. It may be administered several times, in the case of external preparations it is recommended to continue for more than one month by applying once to five times a day in an amount of 1.0 to 3.0 ml per day on an adult basis.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unit dose form by formulating with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and / or excipient according to methods which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r may be prepared by incorporation into a multi-dose container.
  • the formulation may be used in any form suitable for pharmaceutical preparations, including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oral formulations such as aerosols, external preparations such as ointments, creams, and the like. It may further include.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od composition.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as a food composition, as an active ingredient, as well as extracts from the tree, fractions thereof or compounds separated therefrom, as well as components commonly added during food production, for example, proteins, carbohydrates Contains fats, nutrients, seasonings and flavorings.
  •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fructose and the lik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sucrose, oligosaccharides and the like; And sugars such as conventional sugars such as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cyclodextrin and the like and xylitol, sorbitol, erythritol.
  • flavoring agent natural flavoring agents (tauumatin, stevia extract (for example, rebaudioside A, glycyrrhizin, etc.) and synthetic flavoring agents (saccharin, aspartame, etc.) can be us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und of formula 10:
  • the compound of Formula 10 may be separated from the tree, preferably from the peeled portion of the tre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separating the compound of formula 10 from the birch tree.
  • the method for separating the compound of Formula 10 may include the following steps:
  • the tree is a peeled portion of the tree.
  • the tree extract may be obtained by extraction with a solvent selected from C 1 to C 4 lower alcohols such as water, ethanol, methan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preferably ethanol.
  • the extract may include an extract obtained by an extraction treatment, a dilution or concentrate of the extract, a dried product obtained by drying the extract, or any one of these modifiers or purified products.
  • the extract may be obtained by immersing the pulverized tree obtained by hot-air drying and grinding the lumber in 70% ethanol, leaching by stirring at room temperature for 3 days, filtered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
  • the solvent fraction of the non-wood extract is suspended from distilled water with the non-wood extract from non-polar solvent n -hexane ( n -hexane) ( n -Hex), methylene chloride (methylene chloride) (CH 2 Cl 2 ), ethyl acetate (ethyl acetate) (EtOAc), and n - by fractionation using butanol (n -butanol) (n -BuOH) can be obtained.
  • the solvent fraction of the birch tree extract is suspended in distilled water by distillation of the birch tree ethanol extract, n -hexane ( n -Hex), methylene chloride (CH 2 Cl 2 ), ethyl acetate from a non-polar solvent in a separatory funnel (EtOAc) and n -butanol ( n- BuOH) were fractionated, filtered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a fraction for each solvent.
  •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the extract, fraction or compound of the birch tree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 higher melanin inhibitory activity than arbutin known as a whitening agent by containing a cyclopentadione compound or a derivative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Has an excellent effect.
  • FIG. 1 is a flow chart briefly illustrating a process of obtaining an ethanol extract and a solvent fraction thereof from a birch tr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shows the HPLC analysis of the ethanol extract of the birch tre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shows the HPLC analysis of the n -hexane fraction of the ethanol extract of the birch tre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shows the HPLC analysis of the methylene chloride fraction of the ethanol extract of the birch tre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shows the HPLC analysis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the ethanol extract of the birch tre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shows the HPLC analysis of the n -butanol fraction of the birch ethano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shows the HPLC analysis of the water fraction of the ethanol extract of the birch tre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shows the 1 H, 13 C-NMR spectrum of Compound 1.
  • FIG. 11 shows the 1 H, 13 C-NMR spectrum of Compound 2.
  • FIG. 13 shows the 1 H, 13 C-NMR spectrum of Compound 3.
  • FIG. 14 is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esult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compound 4.
  • FIG. 15 shows the 1 H, 13 C-NMR spectrum of Compound 4.
  • FIG. 16 is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esult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compound 5.
  • FIG. 17 shows the 1 H, 13 C-NMR spectrum of Compound 5.
  • FIG. 18 is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esult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compound 6.
  • FIG. 19 shows the 1 H, 13 C-NMR spectrum of Compound 6.
  • FIG. 21 is a 1 H, 13 C-NMR spectrum of Compound 7.
  • FIG. 21 is a 1 H, 13 C-NMR spectrum of Compound 7.
  • FIG. 22 is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esult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compound 8.
  • FIG. 23 shows the 1 H, 13 C-NMR spectrum of Compound 8.
  • FIG. 24 is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esult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compound 9.
  • FIG. 25 is a 1 H, 13 C-NMR spectrum of Compound 9.
  • FIG. 26 is a graph showing cell viability indicated by ethanol extracts of ethanol and its solvent fractions in B16F10 cells.
  • FIG. The data are mean ⁇ SD values obtained after three measurements.
  • FIG. 27 is a graph showing melanogenesis inhibitory activity exhibited by ethanol extracts of birch tree and its solvent fractions in B16F10 cells.
  • FIG. The data are mean ⁇ SD values obtained after three measurements.
  • FIG. 28 is a graph showing the cell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and the solvent fraction thereof from B16F10 cells.
  • FIG. The data are mean ⁇ SD values obtained after three measurements.
  • 29 is a graph showing cell viability represented by lucidone in B16F10 cells.
  • the data are mean ⁇ SD values obtained after three measurements.
  • Fig. 30 is a graph showing cell viability represented by methylinderone in B16F10 cells. The data are mean ⁇ SD values obtained after three measurements.
  • Fig. 31 is a graph showing cell viability represented by kanakuziol in B16F10 cells. The data are mean ⁇ SD values obtained after three measurements.
  • 32 is a graph showing melanogenesis inhibitory activity exhibited by lucidone in B16F10 cells.
  • the data are mean ⁇ SD values obtained after three measurements.
  • Fig. 33 is a graph showing melanin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exhibited by methylinderone in B16F10 cells. The data are mean ⁇ SD values obtained after three measurements.
  • Fig. 34 is a graph showing melanogenesis inhibitory activity exhibited by kanakuziol in B16F10 cells. The data are mean ⁇ SD values obtained after three measurements.
  • 35 is a graph showing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exhibited by lucidone in B16F10 cells. The data are mean ⁇ SD values obtained after three measurements.
  • 36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compound of the formula (10) derived from the tree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cell survival rate of B16F10 cells.
  • 37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compound of formula 10 derived from the tree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inhibition of melanin production in B16F10 cells.
  • Figure 38 shows the compound of formula 10 derived from the tree of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s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TRP-1 and TRP-2 gene in B16F10 cells.
  • C means a control
  • Arb means arbutin.
  • the plant sample used in this example was used by the Jeju Hi-Tech Industrial Development Institute extract bank.
  • the lining tree ( Lindera erythrocarpa Makino.) was washed in running water and then pulverized with a pulverizer by hot air drying for 3 days at 40 °C. 200 g of the dried sample was immersed in 70% ethanol and stirred for 3 days at room temperature. The leachate was filtered through a filter, the leaching filtration was repeated three more times, and the filtrate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g of ethanol extract were obtained.
  • Solvents used in the extraction of the sample in this example was a product of Merk Co., Junsei Co., Hyman Co.
  • Solvent fractions for the ethanol extracts of the birch tree were performed as follows.
  • the ethyl acetate fractionation layer (4.0 g) was used to separate the fractions using methylene chloride, ethyl ether, ethyl acetate, and acetone using celite. Among them, ethyl ether fractions were used, and silica gel, chloroform and methanol were used as a developing solvent. Of these, fraction-5 was used to obtain compound 1 from fraction-1 and fraction-2 from fraction-3 using pure silica gel, chloroform and methanol. Fraction-2 obtained Compound 3 and Compound 4 using a 30% aqueous methanol solution using Prep-HPLC.
  • Table 1 Y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birch tree extract and each fraction matter Yield (%) n -hexane fraction 20.400 Methylene chloride fraction 6.000 Ethyl acetate fraction 9.800 n -butanol fraction 24.200 Water fraction 34.700 Compound 1 0.600 Compound 2 0.060 Compound 3 0.002 Compound 4 0.720 Compound 5 0.020 Compound 6 0.030 Compound 7 0.240 Compound 8 0.090 Compound 9 0.110
  • Compound 2 was identified as quercitrin of the formula (2).
  • Compound 3 to a car amp Ferrol -3- O of Formula 3 was identified as indigo nopi Llano side (kaempferol-3- O -rhamnopyranoside).
  • Compound 5 was identified as caffeic acid ethyl ester of the formula (5).
  • Compound 6 was identified as cinamic acid methyl ester of the formula (6).
  • Compound 8 was identified as methyl linderone of the formula (8).
  • Compound 9 was identified as kanakugiol of the formula (9).
  • Electron donating ability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DPPH free free radical scavenging method by the Blosis method.
  • 100 ⁇ l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samples dissolved in ethanol were dispensed into 96 well plates, and the same amount of 0.4 mM DPPH solution was added thereto,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17 nm after 1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 Butylated hydroxy anisole (BHA)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 DPPH fre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calculated from Equation 1 below,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IC 50 ).
  • a sample absorbance of the reaction solution to which the sample is added
  • a control absorbance of the reaction solution to which ethanol was added instead of the sample.
  • the results for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s and sequential fractions of the birch tree are shown in Table 2 below.
  • the fre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DPPH was increased depending on the treatment concentration in both ethanol extract and sequential fractions. And has a DPPH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showed a control of higher activity than BHA of active remaining fractions except methylene chloride and hexane fraction also significantly good activity in order ethyl acetate fraction of the fraction, IC 50 value for this time are respectively 7.43 ( Ethyl acetate), 16.88 (ethanol), 18.54 (butanol), 66.77 ⁇ g / ml (water) (Table 2).
  • the production of uric acid by xanthine oxidase was measured by increased absorbance at 290 nm, and allopurinol (Sigma) was used as a control. The amount of superoxide was measured at 560 nm by nitroblue tetrazolium (NBT) reduction.
  • the reaction solution was prepared in various concentrations of each sample and 100 ⁇ l of 0.5 mM xanthine and 1 mM EDTA in 200 mM phosphate buffer (pH 7.5), and 50 mU / ml xanthine oxidase was added to produce uric acid. Induced. Peroxide scavenging activity was reacted by adding 0.5 mM NBT to the reaction solution. Xanthine oxidase inhibition and peroxide scavenging activity were expressed by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IC 50 ) which appears when the absorbances of the produced uric acid and peroxide were reduced by 50%, respectively.
  • This effect plays a role in preventing lipid oxidation, oxidative oxygen scavenging, and oxidative stress, thereby preventing or delaying anti-aging, cancer and heart disease. Is taking advantage of these effects. Therefore, the tree can be usefully used for the prevention of many oxidative stresses and damages in vivo if judged based on the antioxidant effect.
  • B16F10 mouse melanoma cell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distributed from the American Cell Line Bank (ATCC). B16F10 cells were treated with DMEM medium (Gibco)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FBS, Gibco), 1% Antibiotic-Antimycotic (Gibco), L-glutamine and sodium bicarbonate. Cultured at 37 ° C. in a 5% CO 2 cell incubator.
  • RAW 264.7 cells were obtained from the Korean Cell Line Bank (KCLB) as a murine macrophage cell line, which contained 10% FBS, 100 unit / ml penicillin, and 100 ⁇ g / ml streptomycin (Gibco). ) was incubated in a 37 ° C., 5% CO 2 cell incubator.
  • B16F10 cells were inoculated with 2 ⁇ 10 4 cells per well in a 24 well plate and incubated in a 5% CO 2 cell incubator at 37 ° C. for 24 hours, and then the samples were added to each well 12.5 ⁇ g / ml, 25 ⁇ g / ml, The cells were incubated for 72 hours by treatment at concentrations of 50 ⁇ g / ml and 100 ⁇ g / ml. 200 ⁇ l of the MTT solution prepared at a concentration of 2 mg / ml was added thereto, and cultured for 4 hours under the same culture conditions to remove the medium, and the cells were washed twice with PBS. 200 ⁇ l of DMSO was added to each well,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70 nm with an ELISA reader ( ⁇ Quant, USA).
  • the concentrations of 12.5 ⁇ g / ml, 25 ⁇ g / ml, 50 ⁇ g / ml, and 100 ⁇ g / ml were slightly different bu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Low toxicity was found that can be used as a whitening agent.
  • the ethanol extract of birch tree showed 0.6%, 7.9%, and 31.6% 45.8% inhibitory activity when treated up to / ml.
  • at 100 ⁇ g / ml concentration of each sequential fraction of 33%, 49%, 24%, 31%, 28% showed a higher melanin inhibitory activity than the control, and showed excellent results as a whitening agent in natural plants. Therefore, the ethanol extract and sequential fraction of the birch tree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that can be used as a whitening agent with low cytotoxicity while reducing melanin production.
  • each of the fractions also showed higher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than the control group at 40%, 21%, 19%, 41%, 26% at a concentration of 100 ⁇ g / ml.
  • melanin reduction by ethanol extract and sequential fractions of B16F10 cell line wa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ain causes due to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 the concentrations of 1.25 ⁇ g / ml, 2.5 ⁇ g / ml, 5 ⁇ g / ml and 10 ⁇ g / ml were slightly different bu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Low toxicity was found that can be used as a whitening agent.
  • the concentrations of 1.25 ⁇ g / ml, 2.5 ⁇ g / ml, 5 ⁇ g / ml and 10 ⁇ g / ml were slightly different, bu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 cytotoxicity can be used as a whitening agent.
  • the concentrations of 1.25 ⁇ g / ml, 2.5 ⁇ g / ml, 5 ⁇ g / ml and 10 ⁇ g / ml were slightly different, bu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It was confirmed that the cytotoxicity can be used as a whitening agent.
  • the concentrations were varied for up to 1.25 ⁇ g / ml, 2.5 ⁇ g / ml, 5 ⁇ g / ml and 10 ⁇ g / ml for 3 days, respectively. After treatment, melanin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was measured.
  • Tyrosinase activity in B16F10 cells was treated at 1.25 ⁇ g / ml, 2.5 ⁇ g / ml, 5 ⁇ g / ml, and 10 ⁇ g / ml at various concentrations for 3 days, respectively.
  •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t 10%, 17%, 26.4%, and 48.9% when lucidone was treated with 1.25 ⁇ g / ml, 2.5 ⁇ g / ml, 5 ⁇ g / ml, and 10 ⁇ g / ml, respectively. Showed.
  • the land plant sample used in this example was used as a land plant sample ( Linera erythrocarpa ), which was sold by the Jeju Hi-Tech Industrial Development Institute Extract Bank, and the solvent used for the extraction of the sample was Merk Co.'s product.
  • the raw leaves of the birch tree were washed with running water, and then dried at 40 ° C. for hot air for 3 days, and then pulverized with a grinder. 200 g of the dry powder sample was immersed in 70% ethanol and extracted by stirring for 24 hours at room temperature for 3 days, and the leachate was filtered through a filter. After the leaching filtration process was repeated three more times, the filtrate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 non-wood peeling was also dried and pulverized in the same manner as the leaves, and the solvent fraction for each polarity was obtained using 68.2 g of 70% ethanol extract obtained by extracting under the same conditions using 560 g of dry powder samples, each fraction was obtained.
  • a normal-phase silica gel 60 (0.063-0.200 mm, Merck Co.) was used.
  • the instrument used in the analysis was HPLC (Alliance2695, Waters Co.), XTerra ® C18 3.5 ⁇ m 4.6 ⁇ 100mm was used, and the detector used in the analysis was detected by waters 2998 model PDA .
  • HPLC grade was used as the solvent and reagents in the experiment, and NMR (Nuclear Magnetic Resonance) was used as the instrument used for structural analysis.
  • JNM-LA500 of Burker German Co.
  • Methanol- d 4 and chloroform- d 1 were used.
  • compound 10 was identified as a cyclopentadione-based lucidone
  • compound 11 was the same series of methyllinderone
  • compound 12 was the cyclopentadione series of formula 10
  • new compounds (N2) have not been reported to date.
  • the IUPAC name of the novel compound is 2,3,4,5-tetramethoxy-6- (1-methoxy-3-phenylpropyl) phenol [2,3,4,5-tetramethoxy-6- (1-methoxy- 3-phenylpropyl) phenol], and the generic name is jeju-polymethoxy-phenol.
  • Table 3 To 1D and 2D NMR data of compound 12 are shown in Table 3 below.
  • Solubility organic solvents such as methanol, acetone and chloroform
  • the single compound isolated from the birch tree was completely dissolved by adding a DMSO solvent, filtered, and used in subsequent experiments.
  • B16F10 mouse melanoma cell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distributed from the American Cell Line Bank (ATCC). B16F10 cells were treated at 37 ° C., 5% CO using 10% fetal bovine serum (FBS, Gibco), 1% Antibiotic-Antimycotic (Gibco), DMEM medium containing L-glutamine and sodium bicarbonate (Gibco). Cultured in 2 cell culture phase.
  • ATCC American Cell Line Bank
  • B16F10 cells were inoculated with 2 ⁇ 10 4 cells per well in a 24 well plate and incubated in a 37 ° C., 5% CO 2 cell incubator for 24 hours, and then the samples were added to each well at 5 ⁇ g / ml, 10 ⁇ g / ml, Treatments were performed at various concentrations up to 20 ⁇ g / ml and 30 ⁇ g / ml for 3 days and incubated for 72 hours. 200 ⁇ l of the MTT solution prepared at a concentration of 2 mg / ml was added thereto, and cultured for 4 hours under the same culture conditions to remove the medium, and the cells were washed twice with PBS. 200 ⁇ l of DMSO was added to each well,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70 nm with an ELISA reader ( ⁇ Quant, USA).
  • the compound of Formula 10 decreased or increased slightly in the control group to almost 97-103% at concentrations of 5, 10, 20, and 30 ⁇ g / ml.
  • the concentrations of 5 ⁇ g / ml, 10 ⁇ g / ml, 20 ⁇ g / ml and 30 ⁇ g / ml were slightly different but did not show a significant change. It could be confirmed that it can be used as a whitening agent.
  • B16F10 mouse melanoma cell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distributed from the American Cell Line Bank (ATCC). B16F10 cells were treated at 37 ° C., 5% CO using 10% fetal bovine serum (FBS, Gibco), 1% Antibiotic-Antimycotic (Gibco), DMEM medium containing L-glutamine and sodium bicarbonate (Gibco). Cultured in 2 cell culture phase.
  • ATCC American Cell Line Bank
  • RNA extraction was separated using TRIzol-reagent (Invitrogen, USA).
  • the cells were homogenized by addition of TRIzol-reagent, and then centrifuged (12,000 rpm, 15 min) by addition of chloroform. The same amount of isopropanol was added to the supernatant, centrifuged (12,000 rpm, 10 min) to precipitate RNA, washed with 75% diethylpyrocarbonate (DEPC) -treated ethanol, and then dried and dissolved in DEPC-treated distilled water.
  • DEPC diethylpyrocarbonate
  • RNA was quantified by measuring absorbance at 260 nm, and RNA having a value in the range of A260 / A280 nm in the range of 1.6 to 1.9 was used for the experiment.
  • cDNA synthesis Improm-II TM cDNA kit (Promega, USA) to the total RNA (total RNA) of 1 ⁇ g was performed using oligo (dT) primer, dNTP ( 0.5 ⁇ M), 1 unit RNase inhibitor and Improm-II TM reverse The reaction was stopped by transcriptase (2 U) heating at 25 ° C. for 5 minutes, 37 ° C. for 60 minutes, and 70 ° C. for 10 minutes.
  •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 the PCR conditions are 94 °C / 30 seconds, 50 ⁇ 55 °C / 45 seconds, 72 °C / 45 seconds 20 to 25 times, the product produced by PCR is subjected to electrophoresis on 1.2% agarose gel (agarose gel). And stained with ethidium bromide (ethidium bromide) to identify a specific band (band).
  • Melanin cells are known to be involved in the process of NO produced in keratinocytes by ultraviolet light to increase melanogenesis, increase tyrosinase and TRP-1, and induce mRNA expression of tyrosinase activity.
  • RT-PCR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melanin inhibitory effect of the single compounds isolated from the birch at the concentration that does not show toxicity in B16F10 mouse melanoma cells is due to the inhibition of mRNA expression. Inhibition of the expression of TRP-1 and TRP-2 genes other than tyrosinase, a major enzyme known to produce melanin, was confirmed.
  • TRP-2 is a carboxylated derivative of 5,6-dihydroxyindole-2-carboxylic acid (DHICA), which is a carboxylated derivative of dopachrome.
  • DHICA 5,6-dihydroxyindole-2-carboxylic acid
  • the new compound isolated from the birch tree inhibited melanin synthesis by reducing mRNA expression of tyrosinase and TRP-1 irrespective of TRP-2 (FIG. 38).
  • the new compound isolated from the birch tree has excellent melanin production and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on B16F10 melanoma cells, and thus, it has a useful value as a whitening-related functional material.
  • the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the extract, fraction or compound derived from the cedar tre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melanin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by containing a cyclopentadione compound or a derivative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And because it exhibits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it can be usefully used in the cosmetic, pharmaceutical and food indust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rds (AREA)
  • Toxi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목나무 유래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목나무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은 에탄올 추출물, 이로부터 얻은 용매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정제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목나무 유래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본 발명은 비목나무 유래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목나무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은 에탄올 추출물, 이로부터 얻은 용매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정제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천연물로부터 생리활성 물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질병에 대한 치료 및 예방제 또는 건강보조제로서 식물자원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천연 항산화제로는 α-토코페롤, 비타민 C, 카로테노이드, 플라보노이드 등이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항산화 효과가 있는 물질들은 동식물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분야는 식물유래 물질이다. 식물 유래의 2차 대사산물들은 자유유리기 (free radical)와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하거나 제거시켜서 산화에 의한 세포손상을 방지한다는 것이 생체 실험결과 밝혀졌다.
현재까지 보고된 대부분의 천연 항산화제는 식물에서 유래된 것으로서 주로 폴리페놀 화합물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플라보노이드는 지질의 산화, 활성산소의 소거 및 산화적 스트레스를 막는 역할을 함으로써 노화방지, 암 및 심장질환 등을 예방하거나 지연하는 효과가 있어서 오늘날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또한 멜라닌(melanin)은 자외선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방어 수단으로서 동물, 식물, 및 미생물에 널리 존재하는 페놀류의 고분자 천연 색소이다.
멜라닌은 자외선, 건조, 극한 온도 등에 대한 생존능력을 높여주고, 커피, 차, 담배 등의 품질을 향상시키나, 과도한 멜라닌 합성은 인체에 기미, 주근깨, 피부반점을 형성하고 피부노화를 촉진하며 피부암 유발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멜라닌 색소의 생합성은 티로시나제 효소를 비롯하여 여러 효소들에 의하여 조절되고 있으며, 그중 티로시나제는 티로신을 기질로 하여 L-도파퀴논으로 전이되는 초기 생합성과정이후 디히드록시인돌의 산화에 작용한다. 따라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제를 찾는 연구가 미백제의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 계속 알려지고 있는 티로시나제 저해제로 히드로퀴논(hydroquinone), 4-히드록시아니솔(4-hydroxyanisole),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코직산, 아젤라익산(azelaic acid),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 레티노이드류, 알부틴(arbutin), 카테킨, 3,4,5-트리메톡시 신나메이트 티몰 에스테르(3,4,5-trimethoxy cinnamate thymol ester) 등이 있으나, 이들의 안전성과 경제성 등에 문제가 많아 사용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비목나무(Lindera erythrocarpa)는 녹나무과(Lauraceae) 식물로 세계적으로 45속 1,500여종이 분포하고 우리나라에는 6속 12종이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목나무는 자웅이주로 4월에서 5월에 연한 황색의 꽃이 피고 9월에 8mm 정도의 적색열매를 맺는다. 한국의 남부지방을 비롯하여 일본, 중국의 따뜻한 지역에 자생하는 높이 5m의 낙엽수이다. 건조된 열매는 특이한 방향과 쓴맛을 가지고 있어 일본에서는 위장약과 신경통의 진통제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비목나무의 잎과 열매에서 추출한 에탄올 추출물과 사이클로펜타디온계 화합물 중 하나인 루시돈은 높은 항염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되었으며(Wang et al., 2008), 비목나무로부터 분리된 사이클로펜타디온 화합물은 항암효과를 갖는다고 보고 되었다(Oh et al., 2005; 특허10-0658519).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제주도의 비목나무(Lindera erythrocarpa)를 이용하여 에탄올 추출물, 순차적 용매분획물 및 사이클로펜타디온 화합물 또는 그 유도체를 얻어 항산화 활성을 검색하고, B16F10 마우스 멜라노마 세포 및 RAW 264.7 세포에 처리하여 멜라닌 생합성 억제활성을 조사함으로써 이들이 피부 미백 기능성 화장료, 식품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유용자원으로서 활용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목나무 추출물, 이의 용매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정제한 사이클로펜타디온 화합물 또는 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비목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용매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목나무 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과 같은 저급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로 추출한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에는,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중 어느 하나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비목나무 추출물은 비목나무를 열풍건조하고 분쇄하여 얻은 분쇄물을 70 % 에탄올에 침적시키고 3 일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여 침출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농축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비목나무 추출물의 용매분획은 비목나무 추출물을 증류수로 현탁한 후 비극성 용매부터 n-헥산(n-hexane)(n-Hex),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CH2Cl2),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EtOAc), 및 n-부탄올(n-butanol)(n-BuOH)을 사용하여 분획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비목나무 추출물의 용매분획은 비목나무 에탄올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하고 분별 깔대기에서 비극성 용매부터 n-헥산(n-Hex), 메틸렌 클로라이드(CH2Cl2), 에틸 아세테이트(EtOAc), n-부탄올(n-BuOH)을 사용하여 분획한 뒤 여과, 감압 농축하여 각각의 용매별 분획물을 얻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09005027-appb-C000001
화학식 2
Figure PCTKR2009005027-appb-C000002
화학식 3
Figure PCTKR2009005027-appb-C000003
화학식 4
Figure PCTKR2009005027-appb-C000004
화학식 5
화학식 6
Figure PCTKR2009005027-appb-C000006
화학식 7
Figure PCTKR2009005027-appb-C000007
화학식 8
Figure PCTKR2009005027-appb-C000008
화학식 9
Figure PCTKR2009005027-appb-C000009
화학식 10
Figure PCTKR2009005027-appb-C000010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합물들은 비목나무로부터 분리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합물 중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제외하고는 시판되는 제품을 입수하여 사용하거나 공지의 합성 방법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비목나무 추출물, 이의 용매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등의 다양한 경로로 투여할 수 있으며, 예컨대 경구 또는 경피에 의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기로는 비경구 투여 중 경피투여,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topical application) 경로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목나무 추출물, 이의 용매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투여량은, 경구형 제형인 경우 성인 기준으로 5~30 ㎎/kg, 바람직하기로는 10㎎/kg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으며,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일당 1.0 내지 3.0 ml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연고, 크림 등의 외용제 등을 비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사용할 수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비목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0]
Figure PCTKR2009005027-appb-I000001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10의 화합물은 비목나무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목나무의 박피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비목나무로부터 화학식 10의 화합물의 분리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0]
Figure PCTKR2009005027-appb-I000002
바람직한 양태로서, 상기 화학식 10의 화합물의 분리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비목나무를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하여 비목나무 추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 비목나무 추출물을 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분획하여 각 용매분획물을 얻는 단계;
상기 비목나무 용매분획물을 용출용매로서 헥산과 에틸 아세테이트를 용매기울기로 사용하여 1차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수행하여 분획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분획물을 용출용매로서 헥산과 에틸 아세테이트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2차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수행하여 화학식 10의 신규 폴리메톡시 페놀 화합물을 분리하는 단계.
본 발명에서, 상기 비목나무는 비목나무의 박피 부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목나무 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에는,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비목나무 추출물은 비목나무를 열풍건조하고 분쇄하여 얻은 분쇄물을 70 % 에탄올에 침적시키고 3 일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여 침출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농축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비목나무 추출물의 용매분획은 비목나무 추출물을 증류수로 현탁한 후 비극성 용매부터 n-헥산(n-hexane)(n-Hex),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CH2Cl2),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EtOAc), 및 n-부탄올(n-butanol)(n-BuOH)을 사용하여 분획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비목나무 추출물의 용매분획은 비목나무 에탄올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하고 분별 깔대기에서 비극성 용매부터 n-헥산(n-Hex), 메틸렌 클로라이드(CH2Cl2), 에틸 아세테이트(EtOAc), n-부탄올(n-BuOH)을 사용하여 분획한 뒤 여과, 감압 농축하여 각각의 용매별 분획물을 얻었다.
본 발명의 비목나무 유래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사이클로펜타디온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함으로써 기존에 미백제로 알려진 알부틴(arbutin)보다 더욱 높은 멜라닌 저해 활성을 보이는 매우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비목나무로부터 에탄올 추출물 및 이의 용매분획물을 얻는 과정을 간략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목나무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HPLC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목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n-헥산 분획에 대한 HPLC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목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에 대한 HPLC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목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 대한 HPLC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비목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n-부탄올 분획에 대한 HPLC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비목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물 분획에 대한 HPLC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화합물 1의 정량분석을 위한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 결과이다.
도 9는 화합물 1의 1H,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화합물 2의 정량분석을 위한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 결과이다.
도 11은 화합물 2의 1H,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화합물 3의 정량분석을 위한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 결과이다.
도 13은 화합물 3의 1H,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화합물 4의 정량분석을 위한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 결과이다.
도 15는 화합물 4의 1H,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화합물 5의 정량분석을 위한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 결과이다.
도 17은 화합물 5의 1H,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화합물 6의 정량분석을 위한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 결과이다.
도 19는 화합물 6의 1H,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화합물 7의 정량분석을 위한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 결과이다.
도 21은 화합물 7의 1H,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22는 화합물 8의 정량분석을 위한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 결과이다.
도 23은 화합물 8의 1H,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24는 화합물 9의 정량분석을 위한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 결과이다.
도 25는 화합물 9의 1H,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26은 B16F10 세포에서 비목나무 에탄올 추출물과 이의 용매분획물이 나타내는 세포 생존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데이터는 3회 측정 후 얻은 평균±SD 값이다.
도 27은 B16F10 세포에서 비목나무 에탄올 추출물과 이의 용매분획물이 나타내는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데이터는 3회 측정 후 얻은 평균±SD 값이다.
도 28은 B16F10 세포에서 비목나무 에탄올 추출물과 이의 용매분획물이 나타내는 세포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데이터는 3회 측정 후 얻은 평균±SD 값이다.
도 29는 B16F10 세포에서 루시돈이 나타내는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데이터는 3회 측정 후 얻은 평균±SD 값이다.
도 30은 B16F10 세포에서 메틸린데론이 나타내는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데이터는 3회 측정 후 얻은 평균±SD 값이다.
도 31은 B16F10 세포에서 카나쿠지올이 나타내는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데이터는 3회 측정 후 얻은 평균±SD 값이다.
도 32는 B16F10 세포에서 루시돈이 나타내는 멜라닌 생성 억제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데이터는 3회 측정 후 얻은 평균±SD 값이다.
도 33은 B16F10 세포에서 메틸린데론이 나타내는 멜라닌 생성 억제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데이터는 3회 측정 후 얻은 평균±SD 값이다.
도 34는 B16F10 세포에서 카나쿠지올이 나타내는 멜라닌 생성 억제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데이터는 3회 측정 후 얻은 평균±SD 값이다.
도 35는 B16F10 세포에서 루시돈이 나타내는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데이터는 3회 측정 후 얻은 평균±SD 값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비목나무 유래의 화학식 10의 화합물이 B16F10 세포의 세포 생존률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비목나무 유래의 화학식 10의 화합물이 B16F10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비목나무 유래의 화학식 10의 화합물이 B16F10 세포에서 티로시나제, TRP-1 및 TRP-2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양상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C는 대조구를, Arb는 알부틴을 의미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기재일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비목나무 추출물 제조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식물 시료인 비목나무 (Lindera erythrocarpa)는 (재)제주하이테크 산업진흥원 추출물은행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먼저, 비목나무(Lindera erythrocarpa Makino.)를 흐르는 물에 세척 후 3일 동안 40℃ 열풍건조 하여 분쇄기로 분쇄하였다. 건조된 시료 200 g을 70 % 에탄올에 침적시켜 3 일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여 침출하였고, 이 침출물을 여과기로 여과하고, 침출 여과과정을 3 회 더 반복한 후, 이 여과액을 감압농축함으로써 60 g의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비목나무 추출물 유래 용매분획물 분리
본 실시예에서 시료의 추출에 사용된 용매들은 Merk Co., Junsei Co., Hyman Co.사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비목나무의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용매분획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먼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비목나무 에탄올 추출물(70% ethanol extract) 60 g 중 42 g을 가지고, 증류수에 현탁시켜 분별 깔대기를 이용해 n-헥산(n-Hex), 메틸렌 클로라이드(CH2Cl2), 에틸 아세테이트(EtOAc), n-부탄올(n-BuOH)을 사용하여 분획한 뒤 여과, 감압 농축하여 각각의 용매별 분획물 n-Hex 8.56 g, CH2Cl2 1.47 g, EtOAc 4.14 g, n-BuOH 10.2 g, H2O 14.58 g을 얻었다(도 1 참조).
상기와 같이 얻어진 각 추출물 및 분획에 대하여 HPLC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도 2 내지 도 7에 나타내었다.
이후 실험에서는 분말로 된 헥산과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100% 에탄올로 녹였고, 부탄올과 물 분획물은 100% 에탄올과 1×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pH 7.4)가 1:1로 혼합된 용매를 가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여과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3: 비목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용매분획물로부터 화합물의 분리 및 구조 동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4.0 g)을 가지고 셀라이트를 이용하여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을 이용해 분획을 나누었고, 그중 에틸에테르 분획물을 이용해, 순상 실리카겔과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을 전개용매로 사용해 분획을 나누었고, 그 중 분획-5를 순상 실리카겔과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을 이용해 분획-1에서 화합물 1을 분획-3에서 화합물 2를 얻었다. 분획-2는 Prep-HPLC를 이용해 30% 메탄올 수용액을 사용해 화합물 3과 화합물 4를 얻었다.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층(2.53 g)을 가지고 순상 실리카겔과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를 용매기울기 조건으로 사용해 10개의 분획을 얻었다. 분획-2를 가지고 순상실리카겔을 사용해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를 전개용매로 하여 정제해 화합물 5를 얻었고, 분획-5는 순상 실리카겔을 사용해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을 전개용매로 하여 화합물 6을 얻었다. 분획-6은 재결정법을 이용해 화합물 7을 얻었고, 분획-7은 재결정법을 이용해 화합물 8을 얻었다. 분획-8은 순상 실리카겔을 사용해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을 전개용매로 하여 2개의 분획을 얻었고, 그 중 분획-8-2에서 화합물 9를 얻었으며, 얻어진 9개의 화합물은 HPLC 분석 및 NMR을 이용해 확인한 결과 순수하게 분리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비목나무 잎 200g을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 60g을 얻었으며, 이로부터 9개의 화합물을 순수하게 분리 정제하였다.
분리된 각 분획물 및 화합물에 대한 수율은 하기 표 1과 같았다.
표 1 본 발명 비목나무 추출물 및 각 분획물의 수율
물질 수율 (%)
n-헥산 분획물 20.400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물 6.000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9.800
n-부탄올 분획물 24.200
물 분획물 34.700
화합물 1 0.600
화합물 2 0.060
화합물 3 0.002
화합물 4 0.720
화합물 5 0.020
화합물 6 0.030
화합물 7 0.240
화합물 8 0.090
화합물 9 0.110
핵자기공명기(Bruker Co. 500MHz, NMR)를 이용하여 1H, 13C, COSY, HMQC, HMBC 스펙트럼을 얻었으며, 이들 스펙트럼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구조를 결정하였으며,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해 정량분석을 하였다.
각 화합물의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 결과와 1H, 13C-NMR 스펙트럼을 도 8 내지 도 25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화합물 1은 하기 화학식 1의 퀘르세틴(quercetin)으로 동정되었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09005027-appb-I000003
화합물 2는 하기 화학식 2의 퀘르시트린(quercitrin)으로 동정되었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09005027-appb-I000004
화합물 3은 하기 화학식 3의 카엠프페롤-3-O-람노피라노사이드(kaempferol-3-O-rhamnopyranoside)로 동정되었다.
[화학식 3]
Figure PCTKR2009005027-appb-I000005
화합물 4는 하기 화학식 4의 퀘르세틴-3-O-아라비노푸라노사이드(quercetin-3-O-arabinofuranoside)로 동정되었다.
[화학식 4]
Figure PCTKR2009005027-appb-I000006
화합물 5는 하기 화학식 5의 카페인산 에틸 에스테르(caffeic acid ethyl ester)로 동정되었다.
[화학식 5]
Figure PCTKR2009005027-appb-I000007
화합물 6은 하기 화학식 6의 신남산 메틸 에스테르(cinamic acid methyl ester)로 동정되었다.
[화학식 6]
Figure PCTKR2009005027-appb-I000008
화합물 7은 하기 화학식 7의 루시돈(lucidone)으로 동정되었다.
[화학식 7]
Figure PCTKR2009005027-appb-I000009
화합물 8은 하기 화학식 8의 메틸 린데론(methyl linderone)으로 동정되었다.
[화학식 8]
Figure PCTKR2009005027-appb-I000010
화합물 9는 하기 화학식 9의 카나쿠지올(kanakugiol)로 동정되었다.
[화학식 9]
Figure PCTKR2009005027-appb-I000011
실험예 1: 본 발명 비목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측정
1) 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 (DPPH) 자유유리기 소거 실험
전자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 측정은 Blosis 방법에 의한 DPPH 자유유리기 소거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즉, 에탄올에 녹인 여러 농도의 시료를 96 well plate에 100 ㎕씩 분주하고 0.4 mM DPPH 용액을 동량 첨가하여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는 부티레이티드 히드록시 아니솔(butylated hydroxy anisole, BHA)을 사용하였다. DPPH 자유유리기 소거활성은 아래의 수학식 1로부터 산출하였고 DPPH의 흡광도가 50% 감소할 때 나타나는 시료의 농도(IC50)로 표시하였다.
수학식 1
Figure PCTKR2009005027-appb-M000001
상기 식에서,
Asample = 시료를 첨가한 반응액의 흡광도이고,
Acontrol = 시료대신 에탄올을 첨가한 반응액의 흡광도이다.
비목나무의 에탄올 추출물과 순차적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DPPH의 자유유리기 소거 활성은 에탄올 추출물과 순차적 분획물 모두에서 처리농도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순차적 분획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DPPH의 자유유리기 소거 활성의 대조군인 BHA 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메틸렌클로라이드와 헥산 분획물을 제외한 나머지 분획물들 또한 현저히 좋은 활성을 갖고 있으며, 이때의 IC50 값은 각각 7.43(에틸 아세테이트), 16.88(에탄올), 18.54(부탄올), 66.77 ㎍/㎖(물)로 나타났다 (표 2).
2) 크산틴 산화효소 억제 및 과산화물 소거 활성 측정
크산틴 산화효소(xanthine oxidase)에 의한 요산(uric acid) 생성은 290 nm에서 증가된 흡광도에 의해 측정하였고, 대조군으로 알로푸리놀(allopurinol)(Sigma)을 사용하였다. 과산화물(superoxide)의 양은 니트로블루 테트라졸륨(nitroblue tetrazolium, NBT) 환원방법으로 560 nm에서 측정하였다. 반응액은 각 시료의 여러 농도와 0.5 mM 크산틴과 1 mM EDTA를 200 mM 인산염 완충액(phosphate buffer) (pH 7.5) 100 μl에서 준비하였고 50 mU/ml 크산틴 산화효소를 첨가하여 요산의 생성을 유도하였다. 과산화물 소거활성은 위 반응액에 0.5 mM NBT를 첨가하여 반응시켰다. 크산틴 산화효소 억제 및 과산화물 소거 활성은 각각 생성된 요산과 과산화물의 흡광도가 50% 감소할 때 나타나는 시료의 농도 (IC50)로 표시하였으며, 각 시료는 3회 반복 실험 후 평균값을 구하였다.
비목나무 에탄올 추출물 및 순차적 분획물의 크산틴 산화효소 억제활성 및 과산화물 라디칼(superoxide radical) 소거활성에 대한 결과 또한 표 2에 나타내었다. 비목나무 에탄올 추출물 및 순차적 분획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크산틴 산화효소 억제활성을 보였으며, 헥산 분획물(>1000ug/ml)과 메틸렌 클로라이드(IC50 86.21 ㎍/㎖)는 다소 낮은 활성을 보였으나, 다른 분획물들의 IC50 값이 5.55 ~ 9.79 ㎍/㎖으로 높은 억제활성을 보였다(표 2). 또한 과산화물 라디칼 소거활성에서도 IC50 값은 각각 16.86 ㎍/㎖(에틸 아세테이트)로 나타나 대조군 알로푸리놀 (IC50=3.82 ㎍/㎖)에 비해 약간 낮은 활성을 보였다(표 2).
이와 같은 효과는 이미 보고된 바와 같이 지질의 산화, 활성산소의 소거 및 산화적 스트레스를 막는 역할을 함으로써 노화방지, 암 및 심장질환 등을 예방하거나 지연하는 효과로 오늘날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 많은 분야에서 이들 효과를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비목나무는 항산화 효과를 기초로 하여 판단하면 생체 내에서 일어나는 많은 산화적인 스트레스 및 손상의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표 2
처리(Treatment) IC50 (㎍/㎖)1)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요산 생성 활성 과산화물 생성 활성
에탄올 추출물 16.88 ± 0.20 5.55 ± 0.12 63.51 ± 0.01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7.43 ± 0.73 5.56 ± 2.29 16.86 ± 0.09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물 410.47 ± 10.87 86.21 ± 4.68 806.74 ± 17.14
n-헥산 분획물 >1000 >1000 >1000
n-부탄올 분획물 18.54 ± 2.01 5.66 ± 0.18 58.54 ± 4.01
물 분획물 66.77 ± 2.01 9.79 ± 0.33 270.76 ± 3.93
BHA2) 7.47 ± 0.07 N/A N/A
알로푸리놀(Allopurinol) N/A 2.09 ± 0.03 3.82 ± 1.06
[주] 1) IC50 값은 3회 반복 실험에서 다른 농도를 사용한 회귀직선(regression lines)을 통해 계산됨. 2) 부틸화 히드록실 애니솔(Butylated hydroxyl anisole) 3) N/A : 미검출(Not assay)
실험예 2: 본 발명 비목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의 MTT assay를 이용한 세포독성 측정
본 실험예에 사용된 B16F10 마우스 멜라노마 세포는 미국 세포주 은행 (ATCC)으로부터 분양받았다. B16F10 세포를 10%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 Gibco), 1% 항생제(Antibiotic-Antimycotic) (Gibco), L-글루타민과 탄산 수소 나트륨(sodium bicarbonate)이 함유된 DMEM 배지(Gibco)를 사용하여 37℃, 5% CO2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또한 RAW 264.7 세포는 쥐의 대식세포 세포주(murine macrophage cell line)로 KCLB (Korean Cell Line Bank)로부터 분양받아 10% FBS와 100 unit/㎖ 페니실린, 100 ㎍/㎖ 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DMEM 배지(Gibco)를 사용하여 37℃, 5% CO2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B16F10 세포를 24 well plate에 well당 2×104개의 세포를 접종하고 24시간동안 37℃, 5% CO2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시료를 각각의 well에 12.5 ㎍/㎖, 25 ㎍/㎖, 50 ㎍/㎖ 그리고 100 ㎍/㎖의 농도로 처리하여 72시간 배양하였다. 여기에 2 ㎎/㎖의 농도로 제조한 MTT 용액 200 ㎕를 첨가하고 동일한 배양 조건으로 4시간을 배양하여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PBS로 2회 세척하였다. 각 well당 DMSO 200 ㎕를 가하여 ELISA reader (μQuant, USA)로 57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비목나무 (Lindera erythrocarpa) 에탄올 추출물 및 순차적 분획물이 B16F10 세포주의 세포 생존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2.5 ㎍/㎖, 25 ㎍/㎖, 50 ㎍/㎖ 그리고 100 ㎍/㎖까지 다양한 농도로 3일 동안 처리하고 배양한 후에 MTT 방법으로 세포의 생존률을 관찰하였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군의 세포 생존률을 100%로 하였을 때, 비목나무 에탄올 추출물 및 각각의 순차적 분획물 농도들 중 12.5, 25, 50, 100㎍/㎖ 농도에서 거의 81 ~ 103%로 대조군에 비해 약간 감소하거나 증가하였다. 이처럼 대조군에 비해 12.5 ㎍/㎖, 25 ㎍/㎖, 50 ㎍/㎖, 100㎍/㎖의 농도들은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유의할만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본 발명의 비목나무 에탄올 추출물 및 순차적 분획물이 세포독성이 낮아 미백제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본 발명 비목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 측정
24 well plate에 well당 2×104개의 B16F10 세포를 접종하고 24시간동안 37℃, 5% CO2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시료를 각각의 well에 12.5 ㎍/㎖, 25 ㎍/㎖, 50 ㎍/㎖ 그리고 100 ㎍/㎖의 농도로 처리하여 3일간 시료 처리 후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PBS로 2회 세척하였다. 각 well당 500 ㎕의 1N NaOH를 가하고 56℃에서 30분 용해한 후 ELISA reader (μQuant, USA)로 405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예 2에서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관찰된 비목나무 에탄올 추출물 및 순차적 분획물을 12.5 ㎍/㎖, 25 ㎍/㎖, 50 ㎍/㎖, 100 ㎍/㎖까지 다양한 농도로 3일 동안 처리한 후, 멜라닌생성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군으로서 미백제로 알려진 합성물질인 Arbutin 100 ㎍/㎖ 처리시 31%의 멜라닌 생성 억제활성을 보였으며, 각각 12.5 ㎍/㎖, 25 ㎍/㎖, 50 ㎍/㎖, 100 ㎍/㎖ 농도까지 처리시 비목나무 에탄올 추출물은 0.6%, 7.9%, 31.6% 45.8% 저해 활성을 보였다. 또한 각각의 순차적 분획물들의 100 ㎍/㎖ 농도에서 33%, 49%, 24%, 31%, 28%로 대조군 보다 높은 멜라닌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천연식물에서의 미백제로서 매우 탁월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목나무 에탄올 추출물 및 순차적 분획물이 멜라닌 생성을 줄이면서 세포독성이 낮아 미백제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본 발명 비목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의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 측정
24 well plate에 well당 2×104개의 B16F10 세포를 접종하고 24시간동안 37℃, 5% CO2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시료를 각각의 well에 12.5 ㎍/㎖, 25 ㎍/㎖, 50 ㎍/㎖ 그리고 100 ㎍/㎖의 농도로 처리하여 3일간 시료 처리 후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PBS로 2회 세척한 후, well의 세포를 원심분리하여 세포 침전물을 만들고, lysis buffer (0.1 M sodinm phosphate buffer, 0.2 mM PMSF, 1% Triton X-100)를 가하였다. 얼음에 방치하여 세포를 파괴시키고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취하여 효소활성측정에 사용하였다. 각 시료를 반응액에 (12.5 mM L-Dopa, 1.5 mM L-Tyrosine, 67 mM sodium phosphate buffer (pH6.8))넣고 37℃에서 1시간동안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 (μQuant, USA)를 이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비목나무 에탄올 추출물 및 순차적 분획물 처리 후 최종 멜라닌양이 저해된 것은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들의 활성과 관련이 있음을 나타내므로 B16F10 세포에서 티로시나제 활성을 각각 12.5 ㎍/㎖, 25 ㎍/㎖, 50 ㎍/㎖, 100 ㎍/㎖ 로 다양한 농도로 3일 동안 처리한 결과, 도 4와 같이 대조군인 알부틴 처리시 19%의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비목나무 에탄올 추출물 및 순차적 분획물을 각각 12.5 ㎍/㎖, 25 ㎍/㎖, 50 ㎍/㎖, 100 ㎍/㎖ 농도 처리시 에탄올 추출물은 13.9%, 15.9%, 36.8%, 42.5%로 높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또한 각각의 분획물들 또한 100㎍/㎖ 농도에서 40%, 21%, 19%, 41%, 26%를 나타내어 대조군보다 높은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B16F10 세포주에서의 비목나무 에탄올 추출물 및 순차적 분획물들에 의한 멜라닌 생성 감소는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에 의한 것이 주요한 원인중의 하나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5: 본 발명 비목나무 유래 사이클로펜타디온 화합물의 MTT assay를 이용한 세포독성 측정
1) 루시돈(Lucidone) (화합물 1)
루시돈으로 분리된 단일물질을 이용하여 B16F10 세포주의 세포 생존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25 ㎍/㎖, 2.5 ㎍/㎖, 5 ㎍/㎖ 그리고 10 ㎍/㎖까지 다양한 농도로 3일 동안 처리하고 배양한 후에 MTT 방법으로 세포의 생존률을 관찰하였다. 도 2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군의 세포 생존률을 100%로 하였을 때, caffeic acid의 1.25, 2.5, 5, 10 ㎍/㎖ 농도에서 거의 96 ~ 106%로 대조군에 비해 약간 감소하거나 증가하였다. 이처럼 대조군에 비해 1.25 ㎍/㎖, 2.5 ㎍/㎖, 5 ㎍/㎖ 그리고 10 ㎍/㎖의 농도들은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유의할만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본 발명의 루시돈으로 분리된 단일물질이 세포독성이 낮아 미백제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메틸린데론(Methyllinderone) (화합물 2)
메틸린데론으로 분리된 단일물질을 이용하여 B16F10 세포주의 세포 생존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25 ㎍/㎖, 2.5 ㎍/㎖, 5 ㎍/㎖ 그리고 10 ㎍/㎖까지 다양한 농도로 3일 동안 처리하고 배양한 후에 MTT 방법으로 세포의 생존률을 관찰하였다. 도 3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군의 세포 생존률을 100%로 하였을 때, 카페인산(caffeic acid)의 1.25, 2.5, 5, 10 ㎍/㎖ 농도에서 거의 93 ~ 99%로 대조군에 비해 약간 감소하였다. 이처럼 대조군에 비해 1.25 ㎍/㎖, 2.5 ㎍/㎖, 5 ㎍/㎖ 그리고 10 ㎍/㎖의 농도들은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유의할만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본 발명의 메틸린데론으로 분리된 단일물질이 세포독성이 낮아 미백제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카나쿠지올(Kanakugiol) (화합물 3)
카나쿠지올로 분리된 단일물질을 이용하여 B16F10 세포주의 세포 생존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25 ㎍/㎖, 2.5 ㎍/㎖, 5 ㎍/㎖ 그리고 10 ㎍/㎖까지 다양한 농도로 3일 동안 처리하고 배양한 후에 MTT 방법으로 세포의 생존률을 관찰하였다. 도 3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군의 세포 생존률을 100%로 하였을 때, 카페인산의 1.25, 2.5, 5, 10 ㎍/㎖ 농도에서 거의 91 ~ 96%로 대조군에 비해 약간 감소하였다. 이처럼 대조군에 비해 1.25 ㎍/㎖, 2.5 ㎍/㎖, 5 ㎍/㎖ 그리고 10 ㎍/㎖의 농도들은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유의할만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본 발명의 카나쿠지올로 분리된 단일물질이 세포독성이 낮아 미백제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본 발명 비목나무 유래 사이클로펜타디온 화합물의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 측정
1) 루시돈(Lucidone) (화합물 1)
루시돈으로 분리된 단일물질을 이용하여 B16F10 세포주에 대한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각각 1.25 ㎍/㎖, 2.5 ㎍/㎖, 5 ㎍/㎖ 그리고 10 ㎍/㎖까지 다양한 농도로 3일 동안 처리한 후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군으로서 미백제로 알려진 알부틴 50 ㎍/㎖ 처리시 23.5%의 멜라닌 생성 억제활성을 보였으며, 각각 1.25 ㎍/㎖, 2.5 ㎍/㎖, 5 ㎍/㎖, 10 ㎍/㎖농도까지 처리시 루시돈은 3%, 19%, 37%, 53%의 높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대조군인 알부틴보다 높은 멜라닌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천연식물에서의 미백제로서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2) 메틸린데론(Methyllinderone) (화합물 2)
메틸린데론으로 분리된 단일물질을 이용하여 B16F10 세포주에 대한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각각 1.25 ㎍/㎖, 2.5 ㎍/㎖, 5 ㎍/㎖ 그리고 10 ㎍/㎖까지 다양한 농도로 3일 동안 처리한 후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군으로서 미백제로 알려진 알부틴 50 ㎍/㎖ 처리시 23.5%의 멜라닌 생성 억제활성을 보였으며, 각각 1.25 ㎍/㎖, 2.5 ㎍/㎖, 5 ㎍/㎖, 10 ㎍/㎖농도까지 처리시 메틸린데론은 1%, 14%, 38%, 62%의 높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대조군인 알부틴보다 높은 멜라닌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천연식물에서의 미백제로서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3) 카나쿠지올(Kanakugiol) (화합물 3)
카나쿠지올로 분리된 단일물질을 이용하여 B16F10 세포주에 대한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각각 1.25 ㎍/㎖, 2.5 ㎍/㎖, 5 ㎍/㎖ 그리고 10 ㎍/㎖까지 다양한 농도로 3일 동안 처리한 후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군으로서 미백제로 알려진 알부틴 50 ㎍/㎖ 처리시 23.5%의 멜라닌 생성 억제활성을 보였으며, 각각 1.25 ㎍/㎖, 2.5 ㎍/㎖, 5 ㎍/㎖, 10 ㎍/㎖농도까지 처리시 카나쿠지올은 2%, 16%, 29%, 61%의 높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대조군인 알부틴보다 높은 멜라닌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천연식물에서의 미백제로서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실험예 7: 본 발명 비목나무 유래 사이클로펜타디온 화합물의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 측정
B16F10 세포에서 티로시나제 활성을 각각 1.25 ㎍/㎖, 2.5 ㎍/㎖, 5 ㎍/㎖, 10 ㎍/㎖로 다양한 농도로 3일 동안 처리한 결과, 도 35와 같이 대조군인 알부틴 처리시 19%의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루시돈을 각각 1.25 ㎍/㎖, 2.5 ㎍/㎖, 5 ㎍/㎖, 10 ㎍/㎖ 농도 처리시 10%, 17%, 26.4%, 48.9%로 대조군보다 높은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B16F10 세포주에서의 비목나무에서 분리된 루시돈 단일화합물에 의한 멜라닌 생성 감소는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에 의한 것이 주요한 원인 중의 하나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4: 비목나무 잎과 박피의 추출물 제조 및 이로부터 용매분획물의 분리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육상식물 시료인 비목나무 (Lindera erythrocarpa)는 (재)제주하이테크 산업진흥원 추출물은행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시료의 추출에 사용된 용매는 Merk Co.사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비목나무 생잎을 흐르는 물에 세척 후 3일 동안 40℃ 열풍건조 하여 분쇄기로 분쇄하였다. 건조분말 시료 200 g을 70 % 에탄올에 침적시켜 3 일 동안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추출하였고, 이 침출물을 여과기로 여과하였다. 침출 여과과정을 3회 더 반복한 후, 얻어진 여과액을 감압농축 하였다. 얻어진 추출물(70% 에탄올 추출물) 60 g 중 42 g을 가지고, 증류수에 현탁 시켜 분별 깔대기를 이용해 n-헥산(n-Hex), 메틸렌 클로라이드(CH2Cl2), 에틸 아세테이트(EtOAc), n-부탄올(n-BuOH)을 사용하여 분획한 뒤 여과, 감압 농축하여 각각의 용매별 분획물 n-헥산 8.56 g, 메틸렌 클로라이드 1.47 g, 에틸 아세테이트 4.14 g, n-부탄올 10.2 g, 물 14.58 g을 얻었다.
한편, 비목나무 박피 또한 잎과 동일한 방법으로 건조 후 분쇄하였고, 건조분말 시료 560g을 이용해 동일한 조건에서 추출하여 얻어진 70% 에탄올추출물 68.2g을 이용해 극성별 용매분획을 하였고, 각각의 분획물을 얻었다.
실시예 5: 비목나무 용매분획물로부터 화합물의 분리 및 구조 동정
본 실시예의 분리과정에서 사용된 충진제로는 순상 실리카 겔 60(normal-phase silica gel 60)(0.063-0.200 mm, Merck Co.)이 사용되었다. 분석과정에서 사용된 기기로는 HPLC(Alliance2695, Waters Co.)를 이용하였고, XTerra® C18 3.5μm 4.6×100mm를 장착하여 사용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검출기는 waters사의 2998 모델인 PDA를 이용해 검출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용매 및 시약은 HPLC grade를 사용하였으며, 구조분석에 이용된 기기로는 NMR(Nuclear Magnetic Resonance)은 Burker(German Co.)의 JNM-LA500을 사용하였고, NMR 측정시 사용된 용매로는, 메탄올-d 4, 클로로포름-d 1 이 사용되었다.
상기 실시예 4에서 얻은 비목나무 잎의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층(2.5 g)에 대하여 순상 실리카 겔(헥산/에틸 아세테이트)(v/v), 용매 기울기(gradient) 조건으로 분획함으로써 10개의 분획을 얻었다. 그 중 분획-6에서 재결정법을 이용해 화합물 10(21.8 mg)을 얻었다.
한편, 상기 실시예 4에서 얻은 비목나무 박피의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층(7.0 g)에 대하여 순상 실리카 겔(헥산/에틸 아세테이트)(v/v), 용매 기울기 조건으로 분획함으로써 8개의 분획을 얻었다. 상기 분획 중 분획-2를 이용해 순상 실리카 겔(헥산/에틸 아세테이트)(3/2) 조건으로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고, 그 중 분획-2-2에서 화합물 12(59.6mg)를 얻었고 분획-2-3에서 화합물 11을 얻었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화합물 10 내지 12에 대하여 HPLC, NMR, (1D, 2D NMR), LR/HR FAB-MS를 통해 화합물 분석 및 구조 확인을 하였고, HPLC를 이용해 화합물의 순도 및 에탄올추출물 내 함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10은 사이클로펜타디온(cyclopentadione) 계열의 루시돈(lucidone)으로 동정되었고, 화합물 11은 같은 계열의 메틸린데론(methyllinderone), 화합물 12는 하기 화학식 10의 사이클로펜타디온(cyclopentadione) 계열에서 변형된 유도체 화합물로, 현재까지 보고된바 없는 신규 화합물(N2)로 동정되었다. 상기 신규 화합물의 IUPAC명은 2,3,4,5-테트라메톡시-6-(1-메톡시-3-페닐프로필)페놀[2,3,4,5-tetramethoxy-6-(1-methoxy-3-phenylpropyl)phenol]이며, 일반명은 제주-폴리메톡시-페놀(jeju-polymethoxy-phenol)로 명명하였다. 화합물 12의 1D 및 2D NMR 데이터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화학식 10]
Figure PCTKR2009005027-appb-I000012
화합물의 특성
1)IUPAC명 : 2,3,4,5-tetramethoxy-6-(1-methoxy-3-phenylpropyl)phenol
2) 색: 진한녹색
3) 향: 약한 부패성 냄새
4) 용해성: 메탄올, 아세톤, 클로로프롬 등 유기용매
5) 비목나무 박피에만 분포
6) 일반명 : jeju-polymethoxy-phenol
표 3 화합물 12의 1D 및 2D NMR 데이터
Position 신규 화합물(N2)
δc (mult)a δH (int, mult, J in Hz) HMBC (H→C)
1 78.9 (d) 4.71 (1H, dd, 8.5, 4.5) C-2, C-3, C-1'
2 37.8 (t) 1.98 (1H, m)2.26 (1H, m)  
3 32.8 (t) 2.65 (1H, ddd, 15.0, 9.0, 7.5)2.82 (1H, ddd, 15.0, 9.5, 4.0)  
1-OCH3 57.5 (q) 3.34 (3H, s) C-1
1' 115.3 (s) -  
2' 148.4 (s) -  
3' 148.0 (s) -  
4' 140.3 (s) -  
5' 138.6 (s) -  
6' 146.5 (s) -  
2'-OCH3 61.1 (q) 3.72 (3H, s) C-2'
3'-OCH3 61.5 (q) 3.87 (3H, s) C-3'
4'-OCH3 61.4 (q) 3.76 (3H, s) C-4'
5'-OCH3 61.4 (q) 3.78 (3H, s) C-5'
6'-OH - 8.8 (1H, s) C-1', C-5', C-6'
1" 142.8 (s) -  
2" & 6" 129.4 (d) 7.22 (2H, d, 7.5)  
3" & 5" 129.2 (d) 7.27 (2H, t, 7.5) C-3, C-1"
4" 126.6 (d) 7.16 (1H, t, 7.5)  
[주] 1H NMR(500 MHz), 13C NMR(125 MHz), acetone-d 6 aDetermined by DEPT experiments.
비목나무 잎과 박피의 에탄올 추출물과 각 용매별 분획물 및 화학식 10의 화합물의 수율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물질 수율 (%)
박피
70% 에탄올 추출물 30.0 12.1
n-헥산 분획물 14.3 7.3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물 1.47 10.2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4.14 18.0
n-부탄올 분획물 10.2 26.9
물 분획물 14.5 43.4
화학식 10의 화합물 - 0.71
상기 표 4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화학식 10의 화합물은 잎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박피에서 0.71%로 높게 관찰 되었다.
상기 비목나무에서 분리된 단일화합물은 DMSO 용매를 가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여과하여 이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8: 본 발명 화학식 10의 화합물의 MTT assay를 이용한 세포독성 측정
현재 알려지지 않은 신규화합물을 이용하여 B16F10 세포주의 세포 생존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예에 사용된 B16F10 마우스 멜라노마 세포는 미국 세포주 은행 (ATCC)으로부터 분양받았다. B16F10 세포를 10% 우태아 혈청 (FBS, Gibco), 1% 항생제(Antibiotic-Antimycotic) (Gibco), L-글루타민과 탄산 수소 나트륨이 함유된 DMEM 배지(Gibco)를 사용하여 37℃, 5% CO2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B16F10 세포를 24 well plate에 well 당 2×104개의 세포를 접종하고 24시간동안 37℃, 5% CO2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시료를 각각의 well에 5 ㎍/㎖, 10 ㎍/㎖, 20 ㎍/㎖ 그리고 30 ㎍/㎖까지 다양한 농도로 3일 동안 처리하고 72시간 배양하였다. 여기에 2 ㎎/㎖의 농도로 제조한 MTT 용액 200 ㎕를 첨가하고 동일한 배양 조건으로 4시간을 배양하여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PBS로 2회 세척하였다. 각 well 당 DMSO 200 ㎕를 가하여 ELISA reader (μQuant, USA)로 57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군의 세포 생존률을 100%로 하였을 때, 화학식 10의 화합물은 5, 10, 20, 30 ㎍/㎖ 농도에서 거의 97 ~ 103%로 대조군에 약간 감소하거나 증가하였다. 이처럼 대조군에 비해 5 ㎍/㎖, 10 ㎍/㎖, 20 ㎍/㎖ 그리고 30 ㎍/㎖의 농도들은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유의할만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본 발명의 화학식 10의 화합물은 세포독성이 낮아 미백제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9: 본 발명 화학식 10의 화합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 측정
24 well plate에 well당 2×104개의 B16F10 세포를 접종하고 24시간동안 37℃, 5% CO2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시료를 각각의 well에 처리하여 3일간 시료 처리 후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PBS로 2회 세척하였다. 각 well당 500 ㎕의 1N NaOH를 가하고 56℃에서 30분 용해한 후 ELISA reader (μQuant, USA)로 405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군으로서 미백제로 알려진 알부틴 50 ㎍/㎖ 처리 시에는 33.6%의 멜라닌 생성 억제활성을 보였으며,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은 각각 5 ㎍/㎖, 10 ㎍/㎖, 20 ㎍/㎖, 30 ㎍/㎖ 농도까지 처리 시 19%, 32%, 51%, 59%의 높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대조군인 알부틴보다 약 2배 더 높은 멜라닌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천연식물에서의 미백제로서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실험예 10: 본 발명 화학식 10의 화합물의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mRNA 발현 저해 활성 측정
본 실험예에 사용된 B16F10 마우스 멜라노마 세포는 미국 세포주 은행 (ATCC)으로부터 분양받았다. B16F10 세포를 10% 우태아 혈청 (FBS, Gibco), 1% 항생제(Antibiotic-Antimycotic) (Gibco), L-글루타민과 탄산 수소 나트륨이 함유된 DMEM 배지(Gibco)를 사용하여 37℃, 5% CO2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세포를 2~3회 PBS로 세척 후 total RNA 추출은 TRIzol- reagent (Invitrogen, USA)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세포에 TRIzol-reagent를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클로로포름을 첨가하여 원심분리(12,000 rpm, 15min)하였다. 상등액에 동량의 이소프로판올을 첨가하여 원심분리(12,000 rpm, 10min)하여 RNA를 침전시키고 75%의 디에틸피로카보네이트(diethylpyrocarbonate, DEPC) 처리된 에탄올로 세척한 후, 건조시켜 DEPC 처리된 증류수에 녹였다. 260 nm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RNA를 정량하였고, A260/A280 nm의 비율이 1.6~1.9 범위 내의 값을 갖는 RNA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cDNA 합성은 Improm-ⅡTM cDNA kit (Promega, USA)를 이용하였고, 1 ㎍의 총 RNA(total RNA)를 oligo (dT) primer, dNTP (0.5 μM), 1 unit RNase inhibitor 그리고 Improm-ⅡTM reverse transcriptase (2 U)로 25℃ 5분, 37℃ 60분, 그리고 70℃에서 10분간 heating 시킴으로서 반응을 중지시켰다. 중합효소 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은 합성된 cDNA로부터 티로시나제, TRP-1, TRP-2, β-actin를 증폭시키기 위하여 1 ㎕ cDNA, 4 μM의 5’과 3’ primer, 10× buffer (10 mM Tris-HCl, pH 8.3, 50 mM KCl, 0.1% Triton X-100), 250 μM dNTP, 25 mM MgCl2, 1 unit Taq polymerase (Promega, USA)를 섞고 3차 증류수로 최종 25 ㎕로 맞춘 다음 Perkin-Elmer Thermal Cycler를 이용하여 PCR을 실시하였다. 이때 PCR 조건은 94℃/30초, 50~55℃/45초, 72℃/45초 20~25회이며, PCR에 의하여 생성된 산물은 1.2% 아가로스 겔(agarose gel)에서 전기영동을 실시하고 에티듐 브로마이드(ethidium bromide)로 염색하여 특정 밴드(band)를 확인하였다.
멜라닌 세포는 자외선에 의해 각질형성세포 등에서 생성된 NO가 cGMP 경로를 통하여 멜라닌 생성을 증가시키고, 티로시나제와 TRP-1을 증가시키고 티로시나제 활성의 mRNA 발현을 유도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16F10 마우스 멜라노마 세포에서 독성을 보이지 않는 농도에서 비목나무에서 분리된 단일화합물들의 멜라닌 억제 효과가 mRNA 발현 억제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RT-PCR을 실시하였다. 멜라닌 생성에 주요한 효소로 알려진 티로시나제 외의 TRP-1, TRP-2 유전자의 발현 억제양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티로시나제, TRP-1 mRNA의 발현양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보였다. 보통 멜라닌 합성 과정에서 TRP-2는 도파크롬(dopachrome)을 카복실화 유도체(carboxylated derivative)인 5,6-디히드록시인돌-2-카르복실산(5,6-dihydroxyindole-2-carboxylic acid, DHICA)으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한다고 보고되어 있지만, TRP-2 mRNA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 TRP-2 mRNA 발현이 농도에 관계없이 일정하였다.
따라서 비목나무에서 분리된 신규 화합물은 TRP-2와 상관없이 티로시나제와 TRP-1의 mRNA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서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38). 이상의 결과로 비목나무에서 분리된 신규 화합물이 B16F10 흑종세포에 대하여 뛰어난 멜라닌 색소 생성 억제 및 티로시나제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로써 미백 관련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가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목나무 유래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사이클로펜타디온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함으로써 뛰어난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 및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므로 화장품, 제약 및 식품산업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3)

  1. 비목나무(Lindera erythrocarpa) 추출물 또는 이의 용매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목나무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분획물은 헥산 분획물,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물 분획물, 또는 이의 조합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4.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09005027-appb-I000013
    [화학식 2]
    Figure PCTKR2009005027-appb-I000014
    [화학식 3]
    Figure PCTKR2009005027-appb-I000015
    [화학식 4]
    Figure PCTKR2009005027-appb-I000016
    [화학식 5]
    Figure PCTKR2009005027-appb-I000017
    [화학식 6]
    Figure PCTKR2009005027-appb-I000018
    [화학식 7]
    Figure PCTKR2009005027-appb-I000019
    [화학식 8]
    Figure PCTKR2009005027-appb-I000020
    [화학식 9]
    Figure PCTKR2009005027-appb-I000021
    [화학식 10]
    Figure PCTKR2009005027-appb-I000022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비목나무로부터 분리정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9. 하기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10]
    Figure PCTKR2009005027-appb-I000023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0의 화합물은 비목나무로부터 분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0의 화합물은 비목나무의 박피로부터 분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2. 비목나무를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하여 비목나무 추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 비목나무 추출물을 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분획하여 각 용매분획물을 얻는 단계;
    상기 비목나무 용매분획물을 용출용매로서 헥산과 에틸 아세테이트를 용매기울기로 사용하여 1차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수행하여 분획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분획물을 용출용매로서 헥산과 에틸 아세테이트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2차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목나무로부터 제9항의 화합물을 분리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목나무는 비목나무의 박피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PCT/KR2009/005027 2008-09-04 2009-09-04 비목나무 유래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10027221A2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80141207.8A CN102186457B (zh) 2008-09-04 2009-09-04 包含源自红果山胡椒的提取物、部分或化合物的皮肤增白组合物
JP2011525981A JP5627585B2 (ja) 2008-09-04 2009-09-04 カナクギノキ由来抽出物、分画物または、化合物を含有する皮膚美白用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480 2008-09-04
KR1020080087480A KR101069907B1 (ko) 2008-09-04 2008-09-04 비목나무 유래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27221A2 WO2010027221A2 (ko) 2010-03-11
WO2010027221A3 WO2010027221A3 (ko) 2010-07-15
WO2010027221A9 true WO2010027221A9 (ko) 2010-09-16

Family

ID=41797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5027 WO2010027221A2 (ko) 2008-09-04 2009-09-04 비목나무 유래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627585B2 (ko)
KR (1) KR101069907B1 (ko)
CN (1) CN102186457B (ko)
WO (1) WO201002722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005B1 (ko) * 2009-09-24 2011-06-16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비목나무 유래 화합물, 이의 분리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96788B1 (ko) 2017-11-02 2020-04-03 콜마비앤에이치 주식회사 뷔베리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N107602645B (zh) * 2017-11-17 2018-05-22 周静宜 一种从苹果花中提取胡桃苷的方法
CN114847309A (zh) * 2022-05-20 2022-08-05 湖北工程学院 红果山胡椒叶果混合提取物、野菊花提取物及其混合物在草莓病害防治中的应用
CN117491535B (zh) * 2023-12-22 2024-03-22 山东省食品药品检验研究院 一种乌药外用凝胶原料药的质量评价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9268B2 (ja) * 1986-04-04 1994-12-07 株式会社永広堂 化粧料
JPH05213729A (ja) * 1992-01-31 1993-08-24 Kao Corp メラニン抑制剤
JP2909522B2 (ja) * 1992-09-04 1999-06-23 農林水産省食品総合研究所長 紫外線防御剤
JP3150841B2 (ja) * 1994-04-06 2001-03-26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皮膚外用剤
JPH10203949A (ja) * 1997-01-27 1998-08-04 Narisu Keshohin:Kk 化粧料
JPH10273417A (ja) * 1997-03-28 1998-10-13 Dainichiseika Color & Chem Mfg Co Ltd 美白剤及び美白方法
JP3636423B2 (ja) * 1997-12-16 2005-04-06 三井化学株式会社 ハイドロカルコン誘導体を有効成分とする化粧料
JP3040992B2 (ja) * 1998-06-11 2000-05-15 株式会社ファンケル 食品組成物
JP3731794B2 (ja) * 1999-08-05 2006-01-05 矢崎総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
JP4034011B2 (ja) * 1999-08-10 2008-01-16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化粧料
JP2001122728A (ja) 1999-10-20 2001-05-08 Shiseido Co Ltd プロテアーゼ阻害剤
JP2001226218A (ja) 2000-02-17 2001-08-21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水蒸気蒸留水含有化粧料組成物
FR2808190B1 (fr) * 2000-04-28 2002-06-21 Oreal Extrait de vegetal de l'espece vitis vinifera comme inhibiteur de no-synthase et utilisations
KR100387939B1 (ko) * 2002-09-10 2003-06-27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
KR100427584B1 (ko) * 2003-01-28 2004-04-28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
WO2004089392A1 (en) * 2003-04-04 2004-10-21 Unigen Pharmaceuticals, Inc. Formulation of dual cycloxygenase (cox) and lipoxygenase (lox) inhibitors for mammal skin care
KR100586814B1 (ko) * 2003-12-12 2006-06-0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멜라닌 생합성 저해 활성을 갖는 테레인 화합물 및 그의제조방법
JP4037395B2 (ja) * 2004-09-28 2008-01-23 株式会社東芝 送信機
KR100658519B1 (ko) * 2005-03-30 2006-12-1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사이클로펜타디온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JP4925692B2 (ja) * 2005-09-12 2012-05-09 オリザ油化株式会社 美肌用組成物
JPWO2007052330A1 (ja) * 2005-10-31 2009-04-30 丸善製薬株式会社 カルコン還元体及びその製造方法、油溶性甘草抽出物の還元処理物及びその製造方法、シクロオキシゲナーゼ−2活性阻害剤、並びに美白剤、抗炎症剤、及び化粧料
JP2007197360A (ja) * 2006-01-26 2007-08-09 Nar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メラニン生成抑制剤、活性酸素消去剤、及び該剤を含有する組成物
US20100324285A1 (en) * 2006-10-17 2010-12-23 Masaki Miyake Antiinflammatory agent comprising 2-aminophenol or derivative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JP2008156325A (ja) * 2006-12-26 2008-07-10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および美白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27221A3 (ko) 2010-07-15
KR20100028440A (ko) 2010-03-12
JP5627585B2 (ja) 2014-11-19
CN102186457A (zh) 2011-09-14
JP2012502022A (ja) 2012-01-26
CN102186457B (zh) 2014-10-08
WO2010027221A2 (ko) 2010-03-11
KR101069907B1 (ko) 201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45259A2 (ko)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09151302A9 (ko) 산삼 또는 인삼을 포함한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방지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WO2015183027A1 (ko)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21137677A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WO2016200190A1 (ko) 칠엽담으로부터 분리된 지페노사이드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0027221A2 (ko) 비목나무 유래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24049120A1 (ko) 친환경 천연 공융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5037778A1 (ko) 리그난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003232A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12067316A1 (ko) 테로카판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또는 이들의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WO2020071630A1 (ko) 천연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WO2018062820A1 (ko) 피토에스트로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WO2020251253A1 (ko)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바이탈 멜론 및 이의 추출물
WO2020085826A1 (ko) 육두구 추출물 또는 메이스리그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환경오염인자로부터 유도되는 피부자극 완화 및 피부보호용 조성물
WO2016093515A1 (ko) 장수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WO2014168433A2 (ko) 발모 및 흰머리 멜라닌 색소 재생과 피부 재생 촉진용 물질 조성물
WO2015037855A1 (en) A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combined herbs consisting of acanthopanax koreanum nakai and 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showing preventing activity of baldness and stimulating activity of hair growth
WO2021225363A1 (ko) 해양 유래 진균 페니실리움 글라브룸 sf-7123의 대사체를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당뇨용 조성물
WO2009142458A2 (ko) 벌개미취 추출물, 벌개미취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암 예방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WO2014014177A1 (ko) 황칠나무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 유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6108522A1 (ko) 허니부쉬 추출물의 분획물 및 이로부터 유래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WO2017003190A1 (ko) 백심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18084671A1 (ko) 색소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083286A2 (ko) 아이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19083287A2 (ko) 펠란드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80141207.8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1172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525981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81172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