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7939B1 -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7939B1
KR100387939B1 KR10-2002-0054685A KR20020054685A KR100387939B1 KR 100387939 B1 KR100387939 B1 KR 100387939B1 KR 20020054685 A KR20020054685 A KR 20020054685A KR 100387939 B1 KR100387939 B1 KR 100387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ennel
plant
extract
antimicrob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4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5851A (ko
Inventor
이행병
김순일
박병묵
안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02-0054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7939B1/ko
Publication of KR20030035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9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병원성 곰팡이의 생육을 저해하는 회향, 대회향, 세신, 녹나무속 식물 및 정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식물에서 추출한 추출물 및 항균성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FUNGICIDE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DERIVED FROM PLANT}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백선균(무좀균)과 칸디다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가지는 회향, 대회향, 세신, 녹나무속 식물 및 정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식물에서 추출한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진균(곰팡이)에 의해 발생되는 피부질환을 총칭하여 피부진균증(derma-tomycosis)이라 한다. 특히 피부의 각질, 모발, 손톱, 발톱 등의 각질조직에 침입하여 기생하는 피부사상균(dermatophyte)에 의해 발생되는 경우를 피부사상균증(dermato-phytosis), 백선(Tinea) 또는 표재성진균증(superficialfungal infection)이라고 한다.(Ribbon, J. W. (1998) Medical Mycology.InThe pathogenic fungi and the pathogenic actinomyces. 2nd Ed. W.B Saunders Company. Philadelphia, London, Toronto.)
표재성 진균증은 피부 침입부위에 따라 발생부위가 손과 발인 경우 수족족부백선(Tinea manus Tinea pedis), 얼굴인 경우 안면부백선(Tinea faciale), 두부의 경우에는 두부백선(Tinea capitis), 서혜부(사타구니)에 발생했을 때에는 완선(Tinea cruris), 손톱과 발톱의 경우에 조갑백선(Tinea ungium 또는 Onychomy-cosis), 상기부위를 제외한 부위에 발생한 경우를 체부백선(Tinea corporis)이라고 부른다.(Rezabek, G. H. and Friedman, A. D. 1992.Drugs43(5): 674-682.; Kamalam, A. and Thambiah, A. S. 1976.Sabouraudia14(2): 129-148).
표재성 진균증의 주된 원인은 소아포균(microsporum), 표피균(epidermo-phyton), 백색균 (Trichophyton), 칸디다균(candida species), 전풍균(Malassezia furfur)이다. 특히 소아포균(microsporum)은 주로 피부와 체모에 침입하고, 표피균(epider-mophyton)은 피부와 조갑에 침입하며, 백색균 (Trichophyton)은 피부, 체모, 조갑 모두를 침입할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다.(Weitzman, I. and Summerbell, R. C. 1995. The dermatophytes. Clinical Microbiology Reviews 8(2): 240-259) 칸디다균은 피부 및 점막에 병변을 일으키고, 전풍균은 반점을 일으키는 전풍(tinea versicolor)의 원인균이 된다.
표재성 진균증의 원인균들은 상피세포 상부의 각질조직(keratin)에 기생하여 번식함으로써 표재성 병변을 유발하지만, 때때로 상피 상부이하까지도 염증을 유발할 수도 있고, 백선진(Dermatophytid)을 일으키기도 한다.
병원성 곰팡이는 전 세계적인 분포하며, 사람을 포함한 동물에 질병을 유발한다. 병원성 곰팡이는 항상 접촉에 의해 병을 유발시키는 것이 아니고, 감염 곰팡이의 종류, 숙주의 나이, 면역상태, 합병증유무, 피부 건강도, 영양이나 호르몬 상태에 따라 감염여부가 달리 나타난다.(Brasch, J. and Gottkehaskamp, D. 1992. The effect of selected human steroid hormones upon the growth of dermatophytes with different adaptation to man. Mycopathologia 120(2): 87-92)
대다수의 더마토파이트 속(Dermatophyte spp)곰팡이에 의한 피부 및 그 부속기 감염을 피부 사상균증(윤선)이라고 한다. 이러한 곰팡이 그룹들은 표피 각화층에 국한되어 서식하며, 일부 종들은 동물 조직 내에 침투하여 서식하기도 한다. 편의상 숙주에 따라, 엔트로필릭(Anthrophillic, 사람기생), 주필릭(Zoophilic, 동물기생), 지오필릭(토양내 기생하는 saprophyte)라 한다.(Gupta, A. K., Einarson, T. R., Summerbell, R. C. and Shear, N. H. 1998. A North American perspective of Drugs. 55(5): 645-674)
표재성 진균증의 치료는 원칙적으로 국소 및 전신의 항진균제 사용으로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 각질 용해제의 도포를 병행하여 실시된다. 증상 및 피부병변이 소실된 후에도 약 2-4주간 치료가 요구된다. 그러나, 족부백선의 경우, 환자의 부주의나 신체부위적 특성 및 면역결핍성으로 인하여 치료에 실패하거나 재발할 가능성이 높다.
지금까지 많은 항진균제들이 피부진균증을 치료하기 위해 이용되어 왔으나,재발비율이 높고 피부독성에 대한 인식 증가로 인해 보다 안전하고 우수한 항진균물질을 천연물에서 찾으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진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가지는 식물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백선균 또는 칸디다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가지는 식물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백선균 또는 칸디다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가지는 식물유래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에 안정하며 우수한 항진균성을 가지는 항진균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정향 메탄올 추출물에서 유제놀을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정향유에서 유제놀 및 이소유제놀을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향, 대회향, 세신, 녹나무속 식물 및 정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이상 선택된 식물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펜촌, 유제놀, 이소유제놀, 메틸유제놀, 신나밀알콜 및 신남알데하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회향, 세신, 녹나무속 식물 및 정향이 항진균 활성을 가짐을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회향(Foeniculum vulgare)은 대회향, 일명 팔각회향(Illicium verum)과 주요성분들이 거의 동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김창민, 신민교, 안덕균, 이경순 등. 1998. 중약대사전, vol. 9, 정담출판사, 5813-5816; vol. 10, 6597-6603.)
녹나무속 식물로는 육계(Cinnamomum sieboldii), 계피(C. cassia), 실론육계(C. zeylanica), 계수나무 및 육계나무(C. laureirii)가 있다. 한방에서는 녹나무과의 식물의 박피(뿌리, 줄기, 가지) 중 두껍게 껍질을 벗겨 건조시킨 것을 육계, 그 보다 작은 가지의 껍질을 벗겨 건조한 것을 계피, 그리고 아주 가느다란 가지의 껍질을 건조시킨 것을 계지라고 한다. 또한 녹나무과의 녹나무속(Cinnamomum)의 수피를 벗겨서 건조시킨 것을 계피 또는 육계라 칭한다.
상기 정향은 유제니아 카리오필라타(Eugenia caryophyllata) 또는 시지기움 마로마티컴(Syzygium aromaticum)으로, 상기 식물체의 정유는 정향유로 상용화되고 있으며, 특히 클로브 버드 오일(clove bud oil)은 정향의 꽃봉오리만을 채집하여 얻은 식물체 정유이다.
본 발명의 식물들은 통상의 추출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식물 분쇄물을 증류수, 알콜 또는 유기용매에 혼합하고, 분획한 다음 용매를 건조시켜 식물 추출물을 제조한다. 알콜은 탄소수 1 내지 5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또는 부탄올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탄올이다. 유기용매는 헥산, 클로로포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가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헥산이다. 추출부위는 식물의 꽃, 엽, 줄기, 꽃봉우리, 뿌리, 수지, 열매, 종자, 식물체 등에서 추출되며, 회향 추출물은 회향열매 추출물이 바람직하고, 세신 추출물은 세신 뿌리 추출물이 바람직하고, 녹나무속 추출물 및 정향 추출물은 뿌리 추출물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에 기재한 바람직한 추출부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들은 정유로 제조할 수 있다. 식물 정유는 통상의 정유 추출법으로 추출하거나, 시판되는 정유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추출법은 물이나 수증기를 이용한 증류법과 압착법이 있다. 시판되는 정유에는 펜낼 스위트 오일(회향유), 신나먼 오일(계피유) 및 클로브 버드 오일(정향유)이 있다.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또는 정유는 무좀을 유발하는 백선균 및 칸디다균에 적용하여 생육 저해환(Clear zone)을 측정한 결과 모두 우수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중 세신 추출물, 정향 추출물, 계피유 및 정향유가 보다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유래 항진균성 화합물을 제공한다. 항진균성 화합물은 정향 유래 화합물인 유제놀 및 이소유제놀, 회향 유래 화합물인 펜촌, 육계 유래 화합물인 신나밀알콜 및 신남 알데하이드, 및 메틸유제놀을 포함한다. 상기 항진균성 화합물은 시판되는 화합물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식물로부터 공지된 기술로 분리, 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 또는 항진균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항균제 조성물은 병원성 곰팡이에 대하여 생육억제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백선균 또는 칸디다균에 대하여 생육 저해 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항진균제 조성물은 하기 표 1로 기재한 병원성 곰팡이에 대하여항균효과를 가진다. 대표적인 병원성 곰팡이는 트리코피톤 루프럼(Trichophyton rubrum, KCTC 6345), 미코스포럼 오더이니(Micosporum audouinii, KCTC 6346), 트리코피톤 페러기네움(Trichophyton ferrugineum, KCTC6351),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Epidermophyton floccosum, KCTC 6586),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피테스(Trichophyton mentagrophytes, KCTC 6077) 및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KCTC 6586)이다.
진균류 (곰팡이균종명) 생태 털에 침입 발병부위
소포자균속(Microsporum sp.) M. audouinii 인간친화성 모외균(모발외부기생) 두부
M. canis 동물친화성 모외균(모발외부기생) 두부, 독창, 두발, 안면, 체부
M. gypseum 토양친화성 모외균(모발외부기생) 두부
M. fulvum 토양친화성 모외균(모발외부기생)
M. cookei 토양친화성
M. distortum 동물친화성
표피균속(Epidermophyton sp.) E. floccosum 인간친화성 완선, 족부, 조갑
백선균속(Trichophyton sp.) T. rubrum 인간친화성 수발, 안면, 체부, 완선, 족부, 조갑
T. mentagrophytes 동물친화성 모외균(모발외부기생) 두부,독창,두발,안면,체부,완선,족부,조갑
T. ferrugineum 인간친화성 모외균(모발외부기생) 두부, 체부
T. violaceum 인간친화성 모내균(모발내부기생) 두부, 조갑
T. verrucosum 동물친화성 모외균(모발외부기생) 두부, 두발
T. tonsurans 인간친화성 모내균(모발내부기생) 두부
T. schoenleinii 인간친화성 모내균(모발내부기생) 두부, 황선
T. simii 동물친화성 모내균(모발내부기생) 두부
T. terrestre 토양친화성
T. gallinase 동물친화성
T. megninii 인간친화성
본 발명의 항진균제 조성물은 병원성 곰팡이의 생육억제를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세정제, 무좀 등의 피부진균증(derma-tomycosis) 치료제, 소독제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항진균제 조성물의 제제(製劑)는 경고제(硬膏劑), 과립제(顆粒劑), 로션제(lotiones) , 리니멘트제(liniments), 리모나데제(limonades), 방향수제(芳香水劑), 산제(散劑), 시럽제(syrups), 안연고제(眼軟膏劑), 액제(液劑), 에어로솔제(aerosols), 엑스제(extracts), 엘릭실제(elixier), 연고제(軟膏劑), 유동(流動)엑스제, 유제, 현탁제, 침제(浸劑), 전제(煎劑),점안제(點眼劑), 정제(錠劑), 좌제(坐劑), 주사제, 주정제(酒精劑), 카타플라스마제(cataplasma), 캡슐제(capsules), 크림제, 트로키제(troches), 틴크제(tincture), 파스타제(pasta) 또는 환제(丸劑)가 바람직하나, 상기 제제에 한정되지 않는다.
항진균제 조성물은 제제 및 사용방법에 따라 생리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항진균제 조성물 내 식물 추출물 또는 정유의 함량은 1 내지 20 중량 %가 바람직하다. 항진균제 조성물의 투여량은 1일 10 내지 50 mg으로 1회 내지 3회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병의 중한 정도 및 환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항균성 식물 추출물 제조
회향(Foeniculum vulgare)의 열매, 세신(Asarum heterotropoides)의 뿌리, 육계(Cinnamomum sieboldii) 또는 정향(Eugenia caryophyllata)의 꽃봉오리, 계피를 구입하였고, 각각에 대하여 메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메탄올 추출물 제조방법은 모두 동일하게 실시하였고, 일예로 회향의 열매 메탄올 추출방법을 나타내었다.
회향(Foeniculum vulgare) 열매 300 g을 믹서기로 곱게 마쇄하고, 500 ml 삼각플라스크에 넣은 다음 메탄올 200 ml을 혼합하여 실온 암실에서 2일간 방치하였다. 2일 후 감압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회전진공농축기(EYELA autojack NAJ-160, Japan)로 농축하였다. 여과지에 걸러진 마쇄물은 다시 메탄올에 혼합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항균성 식물 정유의 제조
진아향료(주) 회향유, 육계유, 계피유, 정향유를 구입하였다.
상기 정유는 증류법(steam distillation)으로 제조한 것이다. 소량의 증류수와 회향, 육계 및 정향 각각을 믹서로 곱게 마쇄하여 3 L 농축플라스크에 넣었다. 가열멘틀(heating mentle)상에서 상기 플라스크의 멘틀 온도를 약 70 ℃로 하고,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와 헥산이 각각 40 ml(1/1, v/v)씩 담긴 플라스크의 멘틀 온도를 30∼40 ℃(약 38℃)로 하여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한번 증류하는데 필요한 시료의 양은 250 g로 하고 추출 후 추출물 내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무수황산나트륨(Na2SO4)을 소량 넣은 다음 데시케이터(desiccator)에 방치하였고 이후 여지(Toyo No. 2)에 걸러 농축하였다.
실시예 3: 곰팡이의 생육저해활성 측정
한국 유전자은행(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KCTC)으로부터 트리코피톤 루프럼(Trichophyton rubrum, KCTC 6345), 미코스포럼 오더이니(Micosporumaudouinii, KCTC 6346), 트리코피톤 페러기네움(Trichophyton ferrugineum, KCTC6351),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Epidermophyton floccosum, KCTC 6586),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피테스(Trichophyton mentagrophytes, KCTC 6077),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KCTC 6586) 6종을 분양받았다. 곰팡이 생육저해활성은 여지확산법(Paper disc diffusion method)으로 검정하였다.
분양받은 균주를 사보라우드 한천(Sabouraud's agar) 배지에 접종한 후 각 메탄올 추출물(실시예 1)을 메탄올에 녹이거나 정유(실시예 2) 자체를 직접 여지(paper disc)에 처리하였다. 여지를 각 균이 접종된 상기 배지에 올려놓고 28 ℃에서 5일간 호기배양 한 후, 여지 주위에 형성된 생육저해환(clear zone)의 크기를 보고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하기 표 2는 메탄올 추출물과 정유에 대한 여지당 적정농도를 처리하였을 때, 백선균 5종과 칸디다균 1종에 대해 보이는 생육저해활성을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저해환, mm
처리농도, mg/여지
회향 회향유 세신 육계 육계유 정향 정향유 계피 계피유
50 100 50 10 20 10 10 50 10 10 50 25 10 50 25 10
미코스포럼 오더이니 11 14 13 8 16 16 28 25 30 25 45 44 28 50 50 50
트리코피톤 페러기네움 10 17 11 9 15 15 27 24 28 26 44 40 27 50 50 50
칸디다 알비칸스 9 14 11 9 20 16 37 26 30 24 48 45 37 50 50 50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피테스 9 14 10 8 17 16 35 26 30 22 45 44 35 50 50 50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 10 15 10 9 18 15 30 25 22 25 49 42 30 45 44 42
트리코피톤 루프럼 12 14 10 9 16 15 28 23 24 20 48 41 28 48 45 44
메탄올 추출물 또는 정유에 의한 생육저해환의 크기가 10 mm 이상으로 나타난 경우 곰팡이 생육저해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상기 표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미코스포럼 오디이니에 대해 회향 메탄올 추출물 50 mg 처리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회향유는 여지당 100 mg과 50 mg 처리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세신은 10 mg 이상 처리시 항균활성을 보였다. 또한 육계 메탄올 추출물 및 육계유는 각각 10 mg과 50 mg 처리시 아주 강한 생육 저해환을 형성하였고, 정향 메탄올 추출물 및 정향유 역시 10 mg 처리시 매우 넓은 저해환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항균활성은 나머지 진균들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실시예 4: 항진균성 화합물의 분리
(1) 유제놀 분리
정향 메탄올 추출물(20 g)을 헥산(800 ml), 클로로포름(800 ml), 에틸아세테이트(800 ml), 물층으로 분획하여 헥산 12.6 g, 클로로포름 3.8 g, 에틸아세테이트0.8 g 및 물층 2.4 g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정하였고, 헥산 분획이 항균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헥산 분획 12.6 g을 실리카겔칼럼(Merck 230 mesh, 600g, 직경 5.5 x 70 cm)으로 색층분석하고, 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순차분획(stepwise gradient, 헥산: 에틸아세테이트(5:1 ->3:1, v/v))하여 용출물들을 수득하였다. 용출물들은 TLC(Thin layer chromatography)을 실시하여 동일한 스팟으로 확인되면 합쳐서 농축하여 H1(1.4 g), H2(27. g), H3(0.4 g), H4(0.2 g)로 분리하였다. 각 분획들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정한 결과 H1과 H2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후 H2가 H1에 비하여 많은 수득율을 보여, H2를 대상으로 항균활성 물질을 분리하였다.
H2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Spectra System P2000)를 실시하였다. 칼럼(μPorasil, 내경 19 mm x 길이 300 mm)에 분당 3 ml의 속도로 헥산:에틸아세테이트 (9:1, v/v) 용매를 흘려주었고, 용출물은 242 nm에서 검출하여 화합물 I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I은 EI-MS,1H와13C-NMR 등의 분광분석에 기초하여 분석한 결과 화학식 1의 유제놀(eugenol)로 동정되었다.
[화학식 1]
(2) 정향유에서 이소유제놀과 유제놀의 분리
정향유 1 mg에서 이소유제놀과 유제놀을 분리하였다.(도 2)
정향유를 분석용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analytical HPLC, μPorasil:직경 10 ㎛, 내경 3.9 mm x 길이 300 mm)에서 분당 2 ml, 흡광도 242nm, 용매조건 헥산:에틸아세테이트 9:1(v/v)에서 이소유제놀과 유제놀을 분리하였다. 동일한 조건하에서 분취용 칼럼(μPorasil, 레진직경 10 ㎛, 내경 19 mm x 길이 300 mm) 사용하여 화합물 H1, H2, H3을 정제하였다. 3종의 화합물(H1, H2, H3)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정하였고, 항균활성 화합물 H2와 H3을 확인하였다.
시그마(Sigma)에서 이소유제놀과 유제놀을 구입하였고, 이소유제놀과 유제놀의 표준품과 EI-MS을 H2 및 H3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H2는 유제놀로 동정되었고, H3은 이소유제놀로 동정되었다. 이소유제놀은 화학식 2로 표현된다.
[화학식 2]
실시예 5: 화합물의 항진균성 검정
유제놀, 이소유제놀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검정하였고, 그 외 회향유 유래 펜촌 및 육계 유래 신나밀알콜과 신남알데하이드의 항진균 활성을 동일하게 검정하였다.
생육 저해환의 크기, mm
처리농도, mg/여지
펜촌 유제놀 이소유제놀 신나밀알콜 신남알데하이드 메틸유제놀 클로트리마졸
50 10 10 10 10 10 5 2.5 1.25 5 2.5 1.25
미코스포럼 오더이니 16 9 31 25 28 48 32 30 15 35 23 21
트리코피톤 페러기네움 12 11 31 25 28 38 25 26 15 33 30 23
칸디다 알비칸 13 10 30 24 28 44 25 23 13 25 22 22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피테스 15 9 28 23 27 40 23 25 14 36 18 19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 14 9 25 24 25 35 30 28 14 27 24 18
트리코피톤 루프럼 13 10 26 22 29 40 31 27 16 28 23 18
상기 표 3에서, 클로트리미졸은 양성대조군이다. 미코스포럼 오더이니에 대하여 펜촌은 여지당 50 mg 처리시 강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유제놀과 이소유제놀은 10 mg 처리시 매우 강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신나밀알콜은 전체적으로 25 mm 이상에서 강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신남알데하이드, 메틸유제놀은 가장 강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화합물들의 저해활성환의 크기는 처리 농도 및 균주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전체적인 생육저해활성에 있어서는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실시예 6: 임상실험
(1) 회향유에 대한 임상실험
회향유를 에탄올에 녹여 5 %로 회향유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무좀균에 의해 족부가 감염된 5명의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하였다.
회향유 조성물은 매일 3초 동안 1회 발에 분무하여(회향유 성분이 0.15 g 처리된 수준) 무좀균의 진전경과를 시간별로 조사하였다.
무좀이 심한 사람의 경우 사용시간에 따라 하기의 양상이 나타났다.
(1) 처리 1일: 갈라지고 습진과 같이 진눌린 상피세포 또는 조직에서 나오는 진물이 사라졌다.
(2) 처리 2일: 갈라진 부위가 서서히 아물었다.
(3) 처리 3일: 무좀 부위의 각질이 형성되고, 무좀 부위에서의 통증이 사라졌다.
(4) 처리 4일: 각질의 형성이 매우 두드러져 완전히 치유된 양상을 보였다.
무좀이 심하지 않은 사람의 경우 1일 2회 처리로도 충분한 각질형성을 유도하여 무좀의 완치가 가능하였다.
또한 회향유의 도포하는 기간 중에 환자의 피부에 별다른 병반 및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회향유 조성물은 무좀이 형성된 조직의 각질화를 야기시켜 백선균의 생육조건의 변화를 가져오며, 무좀을 치료한다.
본 발명은 회향, 대회향, 세신, 녹나무속 식물 및 정향에서 항균성 추출물을 분리하였고, 항균성 화합물 펜촌, 유제놀, 이소유제놀, 메틸유제놀, 신나밀알콜 및 신남알데하이드를 동정하였다. 상기 항균성 추출물 및 항균성 화합물은 백선균과 칸디다균에 대해 매우 강한 항균활성을 가지므로 독성이 없는 천연항균제로서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다.

Claims (3)

  1. 펜촌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 조성물은 백선균 및 칸디다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것인 항균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 조성물은 무좀을 치료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인 항균제 조성물.
KR10-2002-0054685A 2002-09-10 2002-09-10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 KR100387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685A KR100387939B1 (ko) 2002-09-10 2002-09-10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685A KR100387939B1 (ko) 2002-09-10 2002-09-10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839A Division KR100371858B1 (en) 2001-10-24 2002-01-23 Antimicrobial composition containing plant extract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509A Division KR100427584B1 (ko) 2003-01-28 2003-01-28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
KR10-2003-0005510A Division KR100437576B1 (ko) 2003-01-28 2003-01-28 신나밀알콜을 포함하는 항진균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851A KR20030035851A (ko) 2003-05-09
KR100387939B1 true KR100387939B1 (ko) 2003-06-27

Family

ID=29578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685A KR100387939B1 (ko) 2002-09-10 2002-09-10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79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69B1 (ko) * 2005-09-15 2007-10-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메틸 유제놀을 함유하는 잿빛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KR101069907B1 (ko) * 2008-09-04 2011-10-05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비목나무 유래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40019987A (ko) 2022-08-05 2024-02-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쑥부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향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
KR20240020237A (ko) 2022-08-05 2024-02-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갯기름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항염용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천식, 습진 및 비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m. J. Chin. Med., vol. 24, no. 2, pp. 103-109 (1996 *
Can. J. Microbiol., vol. 28, no. 11, pp. 1235-1241 (1982. 1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851A (ko)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hammadhosseini The ethnobotanical,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and medicinal applications of essential oils and extracts of different Ziziphora species
Shah et al. Piper betle: Phytochemical, pharmacological and nutritional value in health management
US6616943B2 (en) Composition comprising Wenguanguo extracts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EP2030626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lant extracts for treating skin disorders and enhancing healing of wounds
Rajvaidhya et al. A review on Acacia arabica-an Indian medicinal plant
Pandey et al. Essential oil compositions, pharmacological importance and agro technological practices of Patchouli (Pogostemon cablin Benth.): A review
Aboluwodi et al. Chemical constituents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ssential oils of Datura stramonium L
JP2010506899A (ja) Cinnamomi(ケイシ)及びPoria(ブクリョウ)組成物及びその利用法
KR20020008809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
Mohanty et al. A review on therapeutic potential of Artemisia nilagirica
Dongare et al. A Review on Pogostemon patchouli
Arora et al. Cinnamon: a clinical approach as multifarious natural remedy with absolute immunity
Mansour-Djaalab et al. In vitro evaluation of antifungal effects of Lawsonia inermis, Pistacia lentiscus and Juglans regia.
Rauf et al. Pharmacological investigation of genus Pistacia
KR100387939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
KR100427584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
KR100437576B1 (ko) 신나밀알콜을 포함하는 항진균제 조성물
KR100807809B1 (ko) 히비스커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용 약학조성물
PT117531B (pt) Produto com componentes de eucalyptus globulus para uso como antifúngico, como anti-inflamatório e anti-senescente para aplicação tópica na ausência de citotoxicidade
CN113713003A (zh) 一种艾叶提取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0649121B1 (ko) 배초향 정유 및 케토코나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복합항진균제
WO2003035093A1 (en)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plant extract
Singh et al. Exploring the Pharmacological potential and Bioactive components of Pogostemon cablin (Blanco) Benth,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KR20050083116A (ko) 항진균제 조성물
KR102035321B1 (ko) 알레르기 질환 완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