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9706A -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9706A
KR980009706A KR1019960077475A KR19960077475A KR980009706A KR 980009706 A KR980009706 A KR 980009706A KR 1019960077475 A KR1019960077475 A KR 1019960077475A KR 19960077475 A KR19960077475 A KR 19960077475A KR 980009706 A KR980009706 A KR 980009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concrete
mold
tower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7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쓰오 다께다
Original Assignee
가부끼 마사히로
가부끼겐세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끼 마사히로, 가부끼겐세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끼 마사히로
Publication of KR980009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70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Abstract

과제
굴뚝 등의 탑형상물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시에 효율적으로 생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타워 포스트(A)와, 이 타워 포스트(A)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승강체(B)와 제1승강체(B)보다 하방에서, 타워 포스트(A)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승강체(L)를 갖는다. 타워 포스트(A)가 생 콘크리트(H)의 반송구(D)를 구비하고 제1승강체(B)가 벨트 컨베이어 장치(G)를 갖는 붐(F)을 선회가능하게 구비함과 동시에, 제2승강체(L)가 콘크리트의 타설형틀(160)을 구비하고 있다. 반송구(D)에 의하여 타워 포스트(A)로 상승운반되는 생 콘크리트(H)가, 슈트등의 반송수단을 거쳐서 붐(F)의 벨트 컨베이어 장치(G)에 있어서의 컨베이어 벨트(130)로 보내짐과 동시에, 컨베이어 벨트(13)로부터 형틀(160)로 구성되는 콘크리트의 타설형틀 공간(168)으로 보내진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
도1은 본발명의 전형적인 일실시형태에 관한 구조장치를 나타낸 일부파단 정면도.
도2는 동 장치의 상부를 나타낸 일부파단 정면도.
도3은 동 장치의 상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4는 동 장치 상부의 구성요부 부품을 정면측에서 보고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동 장치 상부의 구성요부 부품을 측면측에서 보고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동 장치에 있어서 취출구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
도7은 동 장치에 있어서의 슈트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요부부품의 요부 정면도.
도8은 동 요부부품의 요부 평단면도.
도9는 동 장치에 있어서의 선회체부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10은 동 장치에 있어서의 포스트 구성재의 부착부를 나타낸 요부 정면도.
도11은 동 부착부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
도12는 동 장치에 있어서의 포스트 구성재의 부착공정을 나타낸 구성도.
도13은 동 장치에 있어서의 각 승강수단의 평단면도.
도14는 동 장치에 있어서의 선회체부 위에서의 평단면도.
도15는 동 장치에 있어서의 선회체부를 나타낸 구성도.
도16은 동 장치에 있어서의 작업 스테이지부 위에서의 평단면도.
도17는 동 장치에 있어서의 평면도.
도18은 동 장치에 있어서의 회전피더를 나타낸 평면도.
도19는 동 장치에 있어서의 회전피더를 나타낸 단면도.
도20은 동 장치에 있어서의 제 2 승강체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21은 동 장치 하부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22는 동 장치에 있어서의 형틀 부착부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
도23은 동 장치에 있어서의 형틀 부착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24는 동 장치에 있어서의 형틀 부착부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25는 동 장치에 있어서의 형틀 부착부의 요부를 정면에서 본 단면도.
도26은 동 장치에 있어서의 형틀 부착부의 요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27는 동 장치에 있어서의 형틀 부착부를 하면에서 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타워 포스트 A': 하부 포스트부
A": 상부 포스트부 Aa : 포스트 구성재
Ab : 취출구 B : 승강체
D : 반송구 F : 붐
G : 벨트 컨베이어 장치 J : 회전피더
L : 제2승강체 R : 선회체
[발명이 속하는 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타설형틀의 조립구성이 용이하며, 게다가 콘크리트 타설(placing) 및 타설 콘크리트의 양생후에 있어서 형틀의 분리가 용이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굴뚝 또는 사일로 등과 같이 비교적 높이를 갖는 가늘고 긴 탑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하는 경우, 이들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치위치에 콘크리트 타설 형틀을 조립하고, 이 조립된 각 콘크리트 타설형틀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함과 동시에 이 타설에 의해 구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하는 것으로, 콘크리트 타설형틀을 상방으로 이동시켜 재조립을 하고, 이 재조립된 형틀 사이로 콘크리트를 계속 타설함으로써 탑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성하였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그러나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에 있어서는, 건축중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 특히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틈이 없는 콘크리트 구축물 위에 각종 설비를 설치하여야 하고, 또한 이 구축중인 콘크리트 구축물 자체를 이용하면서, 형틀의 부착 및 분리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작업성 등의 면에서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에 관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에 있어서는 굴뚝, 사일로 등의 탑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에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형틀의 조립 및 분리에 사용되는 작업용 스테이지를 구비하고, 또한 이 형조립되는 콘크리트 타설형틀에 있어서의 타설공간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생(生) 콘크리트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의 제공을 주된 목적의 하나로 하고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것으로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에 있어서, 타워 포스트(A)와 이 타워 포스트(A)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승강체 (B)와 이 제1승강체(B)보다 하방에 상기 타워 포스트(A)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승강체(L)를 가지며, 상기 타워 포스트(A)가 생 콘크리트(H)의 반송구(搬送具)(D)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제1승강체(B)가 벨트 컨베이어 장치(G)를 갖는 붐(F)을 선회가능하게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2승강체(L)가 콘크리트의 타설형틀(160)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반송구(D)에 의하여 타워 포스트(A)로 상승 운반되는 생 콘크리트(H)가 슈트 등의 반송수단을 거쳐서 붐(F)의 벨트 컨베이어 장치(G)에 있어서의 컨베이어 벨트(13)로 보내짐과 동시에 이 컨베이어 벨트(13)의 선단 또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 장치(G)에 구비되는 트러퍼 장치(133)로부터 직접 또는 다른 반송수단을 거쳐서 상기 형틀(160)로 구성되는 콘크리트의 타설형틀 공간(168)으로 보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를,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에 있어서, 제2승강체(L)에 구비되는 콘크리트 타설형틀(160)이 복수의 외측형틀(160')과 내측형틀(160")을 가지며 이 외측형틀(160')과 내측형틀(160")이 환상을 이루는 콘크리트의 타설형틀 공간(168)을 구성하도록 조립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를 상기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에 있어서, 제2승강체(L)에 구비되는 콘크리트의 타설형틀(160)이 복수의 쌍을 이루는 외측형틀(160')과 내측형틀(160")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 쌍을 이루는 외측형틀(160')과 내측형틀(160")이 상기 제2승강체(L)의 부착 중심측에서 방사방향으로 구비되어 환상을 이루는 콘크리트의 타설형틀 공간(168)을 구성하도록 조립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의 전형적인 각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도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형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1에서는 타워 포스트(A)와 이 타워 포스트(A)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통형상 구축물(K)을, 이 통형상 구축물(K) 부분을 파단함으로써, 그 요부를 정면에서 보고 나타내고 있다.
또, 도2 는 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의 상부를, 통형상 구축물(K) 부분을 파단함으로써 그 요부를 정면에서 보고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3에서는 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의 상부 특히 승강체(B) 부분에서 상방 부분을 정면에서 보고 나타내고 있다.
이어서 도4 및 도5는 타워 포스트(A)의 상부 부분의 요부를 파단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도4에서는 이를 정면측에서 보고, 도5에서는 이를 측면측에서 보고 나타내고 있다.
또 도6∼도8은 타워 포스트(A)에 구비되는 슈트(105)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6에서는 이를 타워 포스트(A)의 측면에서 보고 그 요부만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7에서는 이 슈트(105)의 동작상태를, 정면에서, 그 요부를 또한 도8 에서는 이 슈트(105)의 동작상태를 요부의 수평단면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9는 승강체(B)에 대한 선회체(R)의 부착 요부를 파단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10∼도12는 포스트 구성재(Aa)의 타워 포스트(A)에 대한 부착 및 분리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10에서는 이를 정면측에서, 도11에서는 측면측에서 보고 각각 요부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12에서는 (1) ∼ (6)에서 타워 포스트(A)에 대한 포스트 구성재(Aa)의 부착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1)에서는 포스트 구성재(Aa)가 대기한 상태로 하부 포스트(A')와 상부 포스트부(A")를 분리하기 전의 상태를 (2)에서는 상부 포스트부(A")를 상방으로 들어 올려 포스트 구성재(Aa)를 대차마다 이 상부 포스트부(A")와 하부 포스트(A') 사이로 포스트 구성재(Aa)를 보낸 상태를, (3)에서는 보낸 포스트 구성재(Aa)를 상부 포스트부(A")와 접합한 상태를 (4)에서는 상부 포스트부(A")를 상방으로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대차를 빼낸 상태를 (5)에서는 포스트 구성재(Aa)를 하부 포스트부(A')에 접합한 상태를 (6)에서는 상부 포스트부용 승강수단(V)을 상부 포스트부(A")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13∼도16은 타워 포스트(A)의 각 부에서의 평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13에서는 각 승강수단 부분에서의 타워 포스트(A)의 수평단면을, 도14에서는 선화체(R) 부분에서의 타워 포스트(A)의 수평단면을 도15에서는 이 선회체(R)의 선회부분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타워 포스트(A) 요부를 수평단면하고 또한 도16에서는 보조 스테이지(80) 부분에서의 타워 포스트(A)를 수평단면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17에서는 본 장치를 상면에서 보고 나타내고 있다.
도18 및 도19는 회전피더(J)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18에서는 이를 상면에서 보고, 도19에서는 이를 종방향으로 단면하여 그 요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20은 제2승강체(L)에 구비되는 승강수단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요부를 파단하여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또 도21은 타워 포스트(A)의 하부 부분을 수평 방향으로 파단하여 그 하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22∼도27은 승강체(L)와 이에 조립되는 각 형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22에서는 통형상 구축물(K)를 단면하는 방향에서 발판 프레임(163)을 측면에서 본 것이고, 도23은 이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24는 이를 상면에서 본 모식도이다.
또한 도25는 발판 프레임(163)의 부착부를 파단하여 이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고, 도26은 이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도27에서는 승강체(L)에 구비되는 각 발판 프레임(163)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형틀을 조립하는 상태를 그 이동 전과 이동한 후의 상태를 함께 도시하여 이를 하방에서 보고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관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는 타워 포스트(A)와 이 타워 포스트(A)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승강체(B)와, 이 제1승강체(B)보다 하방으로서 상기 타워 포스트(A)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승강체(L)를 가지며 상기 타워 포스트(A)가 생 콘크리트(H)의 상승 운반 반송구(D)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제1승강체(B)가 벨트 컨베이어 장치(G)를 갖는 붐(F)을 선회가능하게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2승강체(L)가 콘크리트의 타설형틀(160)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반송구(D)에 의하여 타워 포스트(A)로 상승 운반되는 생 콘크리트(H)가 슈트 등의 반송수단을 거쳐서 붐(F)의 벨트 컨베이어 장치(G)에 있어서의 컨베이어 벨트(130)로 보내짐과 동시에 이 컨베이어 벨트(130)의 선단 또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 장치(G)에 구비되는 트리퍼 장치(133)로부터 직접 또는 다른 반송수단을 거쳐서 상기 형틀(16)로 구성되는 콘크리트의 타설형틀 공간(168)으로 보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에 있어서는 구성되는 콘크리트 구축물의 형태, 특히 양생 상태, 철근 등의 보강구조 등에 좌우되지 않고, 콘크리트 구축물의 상단측에 순차적으로 연속 타설용 콘크리트 형틀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게다가 부착 구성되는 콘크리트 타설형틀 공간(168)에 대하여 용이하게 생 콘크리트(H)를 공급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콘크리트 타설후에 있어서의 형틀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한 구성에 관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에 있어서 제2승강체(L)에 구비되는 콘크리트의 타설형틀(160)이 복수의 외측형틀(160')과 내측형틀(160")을 가지며, 외측형틀(160')과 내측형틀(160")이 환상을 이루는 콘크리트의 타설형틀 공간(168)을 구성하도록 부착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다른 전형적인 실시형태의 하나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에 있어서는, 제2승강체(L)에 구비되는 외측형틀(160')과 내측형틀(160")에 의하여 홈형상의 타설형틀 공간(168)을 용이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각종 벽판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구성에 관한 콘크리는 구조물의 구축장치에 있어서, 제2승강체(L)에 구비되는 콘크리트의 타설형틀(160)이 복수의 쌍을 이루는 외측형틀(160')과 내측형틀(160")로 이루어지고 또한 이 쌍을 이루는 외측형틀(160')과 내측형틀(160")이 상기 제2승강체(L)의 부착중심측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구비되어, 환상을 이루는 콘크리트의 타설형틀 공간(168)을 구성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다른 전형적인 실시형태의 하나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에 있어서는 원통형상 또는 각통형상 등의 각종 통형상으로 된 탑형상물, 원추, 각추 등의 개구부의 크기가 점차 변화하는 통형상으로 된 탑형상물 등의 형틀 조립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먼저 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에 사용되는 장치를 구성하는 타워포스트(A)는 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에 의하여 구축되는 철근 콘크리트제 굴뚝 등의 통형상 구축물(K)의 대략 중심 부분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를 구성하는 타워 포스트(A)는 통형상 구축물(K)의 기초(1)를 이용하여 이 기초(1) 위에 세워 설치되는 하부 포스부(A') 와 하부 포스트부(A") 위에 연이어 설치되는 상부 포스트부(A")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 타워 포스트(A)를 구성하는 하부 포스트부(A")는, 전형적으로는 소정의 길이로 맞춰진 원통체(10), 특히 강제(鋼製)의 원통체(10)를 포스트 구성재(Aa)로서 준비함과 동시에 설치위치에 미리 설치한 상기 기초(1)에 대하여 부착되는 베이스 부재(2) 위에, 순차적으로, 이 포스트 구성재(Aa)로서 준비된 각 원통체(10)를 연이어 설치함으로써 구성된다.
이 원통체(10)는, 전형적으로는, 하부 포스트부(A')에 대하여 부착, 분리할 수 있도록 된 포스트 구성재(Aa)로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하 개구부 가장자리에 각각 맞대이음용 칼라부(10a)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 상호 칼라부(10a)를 맞닿음 상태로 하여 볼트, 너트 등의 결합구(13)에 의해서 원통의 기둥체로서의 하부 포스트부(A')를 형성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 포스트부(A")와 하부 포스트부(A')를 구비한 타워 포스트(A)에는, 승강수단을 구성하는 상하 1쌍의 상호 접속분리 가능한 승강 프레임 (20), (30)에 의해 타워 포스트(A)의 상부측에 대해 승강가 능하게 부착되는 제1승강체(B)와 이 제1승강체(B)의 하방에서, 마찬가지로 승강수단을 구성하는 1쌍의 상호 접속분리 가능한 승강 프레임 (40), (50)에 의하여 이 타워 포스트(A)에 대한 승강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승강체(L)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제1승강체(B) 및 제2승강체(L)가 구비 설치되는 타워 포스트(A)는 순차적으로 각 원통체(10), 이 도시예에서는 각 포스트 구성재(Aa)를 상기 베이스 부재 (2) 상에 설치하여 일련의 통형상을 이루는 타워 포스트(A)로서 구성한 하부 포스트부(A’)와 이 하부 포스트부(A’)의 상부측으로서, 이 하부 포스트부(A’)에 일체로 부착되어 사용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이 하부 포스트부(A′)로부터 분리하여 취급할 수 있는 상부 포스트부(A")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이 하부 포스트부(A’) 및 상부 포스트부(A") 사이에 새롭게 포스트 구성재(Aa)를 결합하여 넣거나 또는 상기한 하부 포스트부(A’)의 상단부에서 포스트 구성재(Aa)를 분리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타워 포스트(A)를 구성하고 있는 상부 포스트부(A")는, 그 상단 부분에 윈치장치(60)를 구비하고 있고 구성되는 타워 포스트(A)의 통형상부 내에 매달려 설치되어 있는 반송구(D) 특히 이 도시예에서는 콘크리트 버킷(D’)을 이 윈치장치(60)로 승강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타워 포스트(A)에 구비되는 제1승강체(B)는 상부 승강프레임(20), 하부 승강프레임(30), 선화체(R), 회전피더(J), 보조 스테이지(80), 회전 프레임(90), 작업 스테이지(100) 등을 구비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여기서 제1승강체(B)에 구비되는 상하 1쌍의 승강수단은 이 승강체(B)를 구성하는 승강수단의 한쪽으로서의 하부 승강프레임(30)을, 타워 포스트(A)에 있어서의 하부 포스트부(A’)의 상부에 설치함과 동시에 승강수단의 다른 쪽인 상부 승강프레임(20)을 타워 포스트(A)에 있어서의 상부 포스트부(A")에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타워 포스트(A)에 구비되는 제1승강체(B)는 타워 포스트(A), 특히, 하부 포스트부(A’)의 상부에 대하여 승강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승강프레임(30)과 상부 포스트부(A")에 대하여 승강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상부 승강프레임(20)을 이 제1승강체(B)의 승강수단으로서 가짐과 동시에 이 제1승강체(B)를 이 각 승강프레임 (20), (30)의 로크수단 (21), (31)과 잭업수단으로서의 각 유압 실린더장치(70)에 있어서의 실린더 샤프트(70a)의 신축조작에 의하여 타워 포스트(A)에 대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제1승강체(B)의 승강조작은 상기 각 승강프레임 (20), (30)에 있어서의 각 로크수단 (21), (31)과 각 유압 실린더장치(70)에 있어서의 실린더 샤프트(70a)의 신축조작에 따라서 하부 승강프레임(30)과 붐(F)을 구비한 선회체(R)와 이 선회체(R)의 상방에 구비되고, 게다가 타워 포스트(A)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보조 스테이지(80)가 상부 승강프레임(20)에 대하여 일체로 되어 승강동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설치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타워 포스트(A)에 있어서의 하부 포스트부(A’)의 상부측에 하부 승강프레임(3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하부 승강프레임(30)에 대하여 선회체(R)가 상기 타워 포스트(A)를 회전중심으로 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선회체(R)상에 이 타워 포스트(A)를 둘러싸도록 회전피더(J)가 상기 선회체(R)와 일체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타워 포스트(A) 특히 상부 포스트부(A")에 대하여 승강가능하게 상부 승강프레임(20)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상부 승강프레임(20)의 하방에 이 상부 승강프레임(20)에 대하여 각 유압 실린더장치 (70)에 의해서 연결되는 보조 스테이지(80)를,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20)과 마찬가지로 타워 포스트(A) 특히 상부 포스트부(A")에 대하여 승강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 보조 스테이지(80)의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한 회전 프레임(90)과 상기 선회체(R)가 서포트 로드(91)에 의해 일체로 결합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선회체(R)의 회전 프레임(90)에 부착되어 타워 포스트(A)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되는 보조 스테이지(80)에 대하여 포스트 반송구(E)를 설치하는 작업 스테이지(100)를 각 로드(101)에 의하여 매달림 상태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각 제1승강제(B)를 구성하는 보조 스테이지(80)등과 함께 타워 포스트(A)에 대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타워 포스트(A)에 대하여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 프레임(20), (30)과 보조 스테이지(80)는 타워 포스트(A)를 구성하는 원통체(10)를 따라 유동없이 승강가능한 구성 즉 이 원통체(10)를 둘러싸는 원구멍 형상의 키워맞춤부를 가짐과 동시에 타워포스트(A)의 상하방향에 설치된 각각 V자 형상으로 돌출된 가이드 레일(11)의 양면을 끼워 지지하도록 V자 형상의 전동면을 갖는 각 가이드 롤 (22), (32), (81)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한 승강프레임(20), (30)에는 이 승강프레임(20), (30)을, 타워 포스트(A)에 대하여 고정 부착하는 각 로크수단(21), (31)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각 승강프레임(20), (30)에 설치되는 각 로크수단(21), (31)은 각 승강프레임(20), (30)에 설치한 로크용 각 유압 실린더(21a)와 이 유압 실린더(21a)에서의 실린더 샤프트(21b)의 선단에 설치한 로크봉(22c)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타워 포스트(A)에 형성한 각 로크구멍(12)에 대하여 이 로크봉(21c)이 삽입되는 것을 로크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어서 상기한 선회체(R)의 상방에 설치한 회전 프레임(90)에 의하여 지지되는 보조 스테이지(80)와 상부 승강프레임(20)의 사이에 구비되는 유압 실린더장치(70)는 전형적으로는 보통 상태에서는 실린터 샤프트(70a)를 수축시킨 상태로 각 승강프레임(20), (30)에서의 로크수단(21)의 각 로크봉(21c)을 타워 포스트(A)의 로크구멍(12)으로 삽입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승강프레임(20)에서의 로크봉(21c)을 타워 포스트(A)의 로크구멍(12)에서 빼낸 상태에서, 포스트 구성재(Aa)를 하부 포스트부(A’)와 상부 포스트부(A")의 사이에 넣어 결합함과 동시에 이 연장설치 상태에 있는 타워 포스트(A)를 따라, 이 상부 승강프레임(20)을 상기 실린더 샤프트(70a)를 신장시켜 상방으로 밀어 올리고, 이 밀어올림 상태에 있는 상부 승강프레임(20)에서의 로크수단(21)의 각 로크봉(21c)을, 타워 포스트(A)에서의 로크구멍(12)으로 삽입하여 로크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부 승강프레임(30)에 설치된 로크수단(31)에서의 로크봉(31c)을 타워 포스트(A)에 있어서의 로크구멍(12)으로부터 빼내고 상호 로크상태를 해방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 샤프트(70a)를 수축시킴으로써 이 하부 승강프레임(30)과 이에 구비되어 있는 선회체(R) 및 보조 스테이지(80) 등을 일련의 것으로 하여, 타워 포스트(A)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고 이 상방 이동을 종료한 위치에서 하부 승강프레임(30)에 설치된 로크수단(31)에 있어서의 로크봉(31c)을 그 상승위치에 설치분비되어 있는 타워 포스트(A)의 로크구멍(12)에 대하여 삽입하여, 하부 승강프레임(30)을 타워 포스트(A)에 대하여 고정부착 상태로 한다.
또 상기한 각 제1승강체(B)를 타워 포스트(A)의 하방으로 끌어 내리는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상기한 하부 승강프레임(30)의 로크수단(31)을 타워 포스트(A)의 로크구멍(12)으로부터 해방함과 동시에 상기 유압 실린더장치(70)의 실린더 샤프트(70a)를 신장시킴으로써, 상기 하부 승강프레임(30)과 이 하부 승강프레임(30)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선회체(R) 및 보조 스테이지(80) 등을 타워 포스트(A)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이동종료 위치에서 이 하부 승강프레임(30)을, 로크수단(31)에서의 로크봉(31c)을 타워 포스트(A)의 로크구멍(12)으로 삽입하여 로크한다.
이어서 상부 승강프레임(20)에 있어서의 타워 포스트(A)의 로크구멍(12)에 대한 로크수단(21)의 로크봉(21c)의 로크를 해방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 샤프트(70a)를 수축하도록 하여, 이 상부 승강프레임(20)을 타워 포스트(A)를 따라 하방으로 끌어내리고, 로크수단(31)의 로크봉(31c)을 타워 포스트(A)에 형성된 로크구멍(12)으로 삽입함으로써 다시 로크상태로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타워 포스트(A) 특히 상부 포스트부(A")의 하방에 있는 하부 포스트부(A’)의 최상단에 구비되어 있는 포스트 구성재(Aa)를 이 타워 포스트(A)로부터 분리함과 동시에 이 포스트 구성재(Aa)가 분리된 하부 포스트부(A’)의 상단에 대하여, 다시 상부 포스트부(A")를 부착하도록 하여 제1승강체(B)의 하강과 타워 포스트(A)의 부분철거를 할 수 있다.
이러한 타워 포스트(A)에 대하여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제1승강체(B), 특히 하부 승강프레임(30)의 상부에 회전 베어링 수단(111)을 통하여 선회체(R)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이 선회체(R)는 이 하부 승강프레임(30)쪽의 회전 베어링 수단(111’)에 설치한 원판체(33)의 원주방향으로 팽팽하게 설치된 상태로 고정된 부속물이 체인(34)에 대하여, 구동모터(112)의 회전축에 설치한 핀 기어(112a)를 맞물림으로써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타워 포스트(A)의 둘레 선회할 수 있도록 구비된 선회체(R)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붐(F)과 이 붐(F)의 벨트 컨베이어 장치(G)에 대하여 생 콘크리트(H)를 공급하는 회전피더(J)가 구비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타워 포스트(A), 특히 상부 포스트부(A")의 상부측에 부착되는 상부 승강프레임(20)에는 상기 유압 실린더장치(70)에 의하여 보조 스테이지(80)가 결합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보조 스테이지(80)에는 그 외주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베어링 수단(82)을 통하여 상기 회전 프레임(90)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이 보조 스테이지(80)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프레임(90)은 각 서포트 로드(91∼91)에 의하여, 상기 선회체(R)에 대하여 일체로 부착되어 있고, 선회체(R)의 회전과 함께 상기 보조 스테이지(80)의 둘레를 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이 제1승강체(B)의 각 부재와 함께 타워 포스트(A)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되는 보조 스테이지(80)는 로드 (101∼101)를 이용해서 작업 스테이지(100)를 매달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 작업 스테이지(100)를 이용하여 포스트 구성재(Aa)의 타워 포스트(A)에 대한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보조 스테이지(80)에 상부 포스트부(A")의 지지와 승강조작을 하는 1쌍의 유압 실린더장치(8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타워 포스트(A), 특히 하부 포스트부(A’)로 부터 분리된 상부 포스트부(A")를 상방으로 들어 올려 이 상방으로 들어올린 상부 포스트부(A")와 하부 포스트부(A’)의 상단부 사이에 포스트 구성재(Aa)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을 구성하고 또한 상부 포스트부(A")를 지지한 상태에서 이 상부 포스트부(A")의 하방에 있는 최상단의 포스트 구성재(Aa)를 하부 포스트부(A’)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작업 스테이지(100)에는 포스트 구성재(Aa)의 부착 및 분리에 사용되는 포스트 반송구(E)로서의 대차(102)가 가이드 레일(10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대차(102)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포스트 구성재(Aa)를 하부 포스트부(A’)와 상부 포스트부(A")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로 넣고 또한 타워 포스트(A)에서 분리된 포스트 구성재(Aa)를 당해 공간로부터 꺼낼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포스트 구성재(Aa)를 사용한 타워 포스트(A)의 부착구성 및 분리해체에 사용되는 포스트 구성재(Aa)는 상기에서 타워 포스트(A)의 구성재로서 설명된 포스트 구성재(Aa)와 동일한 것으로서, 이를 재설명하면 강재 등으로 구성되는 원통체(1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단과 하단에 부착 칼라부(10a) 등의 부착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각 칼라부(10a)를 맞닿은 상태에서 볼트, 너트 등의 결합구(13)로 하부 포스트부(A’)의 상단 및 상부 포스트부(A')의 하단에 대하여 각각 부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타워 포스트(A)를 구성하는 하부 포스트부(A’)는 상기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통형상 구축물(K)의 기초(1)를 이용해서 이 기초(1)에 대해 설치된 베이스 부재(2) 등을 이용하여 여기에서 부착에 사용되는 각 포스트 구성재(Aa)를 순차적으로 연이어 설치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포스트부(A’)의 구성에 대하여, 포스트 구성재(Aa)외의 적당한 길이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 원통체(도시생략)를 이용하여 타워 포스트(A) 하부측에 상당하는 부분을 구성한 후 이 구성 타워 포스트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포스트 구성재(Aa)를 더 이어 냄으로써 하부 포스트부(A’)를 구성하여도 된다.
이러한 하부 포스트부(A’)와 함께 타워 포스트(A)를 구성하는 상부 포스트부(A")는 하부측에 반송물의 취출구(Ab)를 구비한 비교적 세로로 긴 원통체로서 구성됨과 동시에 상단부에 윈치장치(60)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히 이 도시예에 관한 상부 포스트부(A")에 있어서는, 제1승강체(B)를 타워 포스트(A)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동하여, 생 콘크리트의 타설 등을 할 때에 이 상부 포스트부(A")에 있어서의 취출구(Ab)가 작업 스테이지(100)에 구비되어 있는 슈트(105)의 동작위치로 개구되는 구성으로 하고, 작업 스테이지(100)에 있어서의 작업공간 내에서 이 상부 포스트부(A")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여, 이러한 상태에서 그 상부측이 상부 승강프레임(20) 및 보조 스테이지(80)에 의하여 획실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한 포스트 구성재(Aa)를 타워 포스트(A)에 대하여 삽입되는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포스트 구성재(Aa)를 타워 포스트(A)로 삽입하기 전에, 상부 승강프레임(20)에 있어서의 로크수단(21)의 로크봉(21c)을 타워 포스트(A)의 로크구멍(12)으로부터 빼내고 타워 포스트(A)를 상부 승강프레임(20)에 대하여 자유로운 상태로 한다.
이어서 보조 스테이지(80)에 구비한 윈치장치(84)를 이용하여 매달은 포스트 구성재(Aa)를 작업 스테이지(100)에 준비한 대차(102) 위에 올려 놓을 준비 한다.
또 유압 실린더장치(83)의 실린더 샤프트(83a)를 하방으로 신장시켜, 샤프트단에 설치한 브래킷(83b)을 상부 포스트부(A`)에 부착함으로써 이 상부 포스트부(A")와 하부 포스트부(A’)의 최상단에 있는 포스트 구성재(Aa)의 연결구(13)를 분리한다.
이 상태에서 실린더 샤프트(83a)를 수축시켜서 상부 포스트부(A")를 상방으로 들어올림으로써 하부 포스트부(A’)와 상부 포스트부(A")사이에 틈을 구성함과 동시에 이 간극 내로 상기 가이드 레일(103)을 이용하여 포스트 구성재(Aa)를 대차(102)별로 운반하여 넣고, 실린더 샤프트(83a)를 약간 신장시킨 상태에서 이 수납 포스트 구성재(Aa)의 상단의 가장자리 칼라부(10a)를 상부 포스트부(A")의 하단에 있는 칼라부(10a)에 대하여 체결구(13)를 이용하여 연결한다.
이어서 대차(102)를 상기 간극에서 빼냄과 동시에 추가로 실린더 샤프트(83a)를 약간 신장시켜서 이 간극 내에 수납된 포스트 구성재(Aa) 하단의 칼라부(10a)를 하부 포스트부(A’) 의 상단에 있는 칼라부(10a)에 대하여 체결구(13)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상기한 유압 실린더장치(83)의 브래킷(83b)을 상부 포스 트부(A")로부터 분리한다.
이렇게 하여, 하부 포스트부(A')와 상부 포스트부(A")사이에 포스트 구성재(Aa)를 조립하여 넣고, 또한 이들을 서로 고정 부착함과 동시에 유압 실린더장치(83)의 브래킷(83b)을 분리함으로써 제1승강체(B)의 승강조작이 가능해지고 상기에서 설명한 수법에 의해 제1승강체(B)를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타워 포스트(A)의 해체에 있어서는 유압 실린더장치(83)의 브래킷(83b)을 상부 포스트부(A")에서 분리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상기의 수법으로 제1승강체(B)를 하방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부 승강프레임(20)의 로크수단(21)을 해제한다. 이어서 유압 실린더 샤프트(83a)를 수축시킨 상태에서 그 브래킷(83b)을 상부 포스트부(A")의 하단측에 부착함과 동시에 취출을 예정하고 있는 포스트 구성재(Aa)와 하부 포스트부(A’)의 다음 순서에 있는 포스트 구성재(Aa)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구(13)를 분리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 포스트부(A")와 분리예정 포스트 구성재(Aa)를 유압 실린더장치(83)를 이용하여 약간 들어 올림과 동시에 이 취출예정 포스트 구성재(Aa)의 하방에 대차(102)를 삽입하고 상부 포스트부(A")와 포스트 구성재(Aa)의 사이의 연결구(13)를 분리하여, 당해 포스트 구성재(Aa)를 대차(102)에 의해 작업 스테이지(100)의 쪽으로 인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포스트 구성재(Aa)가 제거된 상부 포스트부(A")를, 유압 실린더장치(83)의 실린더 샤프트(83a)를 신장시킴으로써, 다시 하부 포스트부(A′)의 상단과 맞닿도록 하여 이상부 포스트부(A")와 하부 포스트부(A′)를 결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타워 포스트(A)는 그 하부 포스트부(A’)에 1쌍의 개구부 (14), (14)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각 개구부 (14), (14)를 통하여 1쌍의 레일 (15), (15)을 깔아 설치하고, 이 레일 (15), (15)에 대차 (16)를 구비하여 반송구(D)로서의 반송 콘크리트 버킷(D’)을 이 타워 포스트(A) 내로 안내하여 넣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타워 포스트(A)의 정상부에는 이 타워 포스트(A)내에 넣어진 반송구(D)로서의 반송버킷(D’)을 타워 포스트(A)의 상부측, 특히 슈트(105)를 구비한 취출구(Ab)의 상방 위치까지 들어 올리는 윈치장치(6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타워 포스트(A), 특히 상부 포스트부(A")에 있어서의 취출구(Ab)에 구비된 슈트(105)의 상방으로 윈치 장치(60)에 의하여 승강가능하게 들어 올려지는 반송버킷(D’)에 의해서 상승 운반되는 생 콘크리트(H)는 슈트(105)에 의해 회전피더(J)로 보내진다.
이 생 콘크리트(H)를 취출에 사용하는 슈트(105)는 작업 스테이지(100)에 세워 설치된 지지기둥(106∼106)에 걸쳐지도록 가로로 가설된 1쌍의 가이드 레일(107) 내를 슈트(105)에 구비된 가이드 부재(108)가 슬라이딩함으로써 이 슈트(105)를 타워 포스트(A)의 내부 위치에서 반송버킷(D’)으로부터 생 콘크리트(H)를 받을 수 있는 위치로 위치결정되는 것으로 하고, 그리고 타워 포스트(A)의 외측 즉 타워 포스트(A) 내를 반송버킷(D’)이 승강하는 것을 저해하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가이드 레일(107)에 설치한 유압 실린더(109)에 있어서의 실린더 샤프트(109a) 선단을, 슈트(105)의 가이드 부재(108)에 부착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슈트(105)에 의해 취출되는 생 콘크리트(H)는 상기 선회체(R)과 함께 타워 포스트(A)의 둘레를 선회하도록 설치된 회전피더(J)로 보내진다.
여기서 생 콘크리트(H)를 슈트(105)로 부터 받은 회전피더(J)는 붐(F)에 구비되어 있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G)에 대하여, 이 수납 생 콘크리트(H)를 이송하는 슈트(120)를 차폐단(121)보다도 전방위치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회전피더(J)는 타워 포스트(A)를 둘러싸도록 환상 홈부를 선회체(122)와 환상 고정프레임(123)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이 선회체(122)의 하방에 이 환상 홈부의 방사방향을 향하도록 가이드 롤러(124)를 설치함으로써 이 가이드 롤러(124) 위를 선회체(122)가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피더(J)의 구성에 사용되는 선회체(122)는 타워 포스트(A)의 측방으로 평행한 상태로 설치된 연직판부(122a)와 이 연작판부(122a)의 하단으로부터 측방을 향하면서 상기 가이드 롤러(124)의 상면을 이동하는 수평판부(122b)와 이 각 판부 (122a), (122b)의 교차 모서리를 막는 모서리 판부(122c)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작판부(122a)를 타워 포스트(A)를 둘러싸도록 설치한 가이드 통부(125)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또 이 선회체(122)는 이 선회체(122)로부터 돌출상태로 설치한 원환상판부(122d)의 외주에 설치한 부착물이 부착된 체인(127)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통부(125)의 측에 설치한 구동모터(126)의 기어(126a)를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회전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선화체(122)와 함께 생 콘크리트(H)가 안내되는 홈부를 구성하는 고정프레임(123)은 상기 선회체(122)의 연작판부(122a)의 대향하는 연직판부(123a)를 가짐과 동시에 이 연작판부(123a)의 중간정도부터 이 선회체(122)의 수평판부(122b)의 면과 맞닿아서 이 수평판부(122b)로 이송되는 생 콘크리트(H)의 누출을 방지하는 고무판부(123b)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피더(J)로부터 생 콘크리트(H)를 받아 들이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G)는 상기 선회체(R)에 구비된 붐(F)에 설치되어 있으며 붐(F)의 부착기부측과 선단측에 설치된 각 롤러(131∼131) 사이로 컨베이어 벨트(13)를 팽팽하게 설치하고 또한 이를 모터(132)를 이용하여 구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이 붐(F)에 구비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G)에는 이 붐(F)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상태로 트리퍼 장치(133)를 설치하여도 좋고 이 경우에는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 (130)를 붐(F)의 임의의 위치에서 S자 형상으로 굴곡하여, 그 굴곡단으로부터 생 콘크리트(H)를 슈트(133a)로 향하여 취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선회체(R)에 구비되는 붐(F)은 이 선회체(R)에 대하여 회동축(140)에서 기복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윈치(141)의 와이어(142)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이 선회체(R)에 구비되는 붐(F)은 기부측 붐과 이 기부측 붐으로부터 앞측으로 연장가능한 1∼복수개의 붐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여기서 구성되는 붐(F)에는 형틀재 등과 같은 각종 기계의 매달림 이동 등에 사용되는 전동 호이스트(15)를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구축물의 구체적인 구성예, 특히, 원통형상 구축물(K)의 구축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축물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타워 포스트(A)에서의 제1승강체(B) 하방에 제2승강체(L)를 다른 단에 준비하고 이 제2승강체(L)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구축물로서의 통형상 구축물(K)을 구성한다.
이러한 콘크리트제 굴뚝, 콘크리트제 사일로 등의 통형상 구축물(K)의 구성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형틀(160)은 상기한 타워 포스트(A)에 대하여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제2승강체(L)에 구비시켜 준비되어 있으며, 구축되는 통형상 구축물(K)의 태양에 적합하도록 이 구비 형틀(160)을 부착한다.
여기서 형틀(160)이 구비되는 제2승강체(L)는 타워 포스트(A)에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부착된 작업 스테이지(170)와 이 작업 스테이지(170)의 승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제1승강체(B)와 동일하게 타워 포스트(A)에 대하여 승강가능하게 부착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이 제2승강체(L)의 승강수단이 1쌍의 상부 승강프레임(40)과 하부 승강프레임(50)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상부 승강프레임(40)과 하부 승강프레임(50)을 유압 실린더장치(71)에 의하여 연이어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각 승강프레임(40), (50)에는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20), 하부 승강프레임(30)과 동일하게 타워 포스트(A)의 외주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 (11)로 안내되는 가이드를 (42), (52)이 구비되어 있고, 게다가 이 각 승강프레임(40), (50)을 이 타워 포스트(A)에 로크하는 로크수단(41), (51)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각 로크수단(41), (51)에서의 각 로크봉(41a)(51a)을 타워 포스트(A)에서의 각 로크구멍(12)에 끼웠다 뺐다 할 수 있도록 꽂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제2승강체(L)는 상기 제1승강체(B)와 동일한 수법, 즉, 상부 승강프레임(40)에 있어서의 타워 포스트(A)에 대한 로크해제, 즉 로크수단(41)으로서 구비되어 있는 유압 실린더(41a)의 실린더 샤프트(41b)를 수축시킴으로써 타워 포스트(A)의 로크구멍(12)으로부터 로크봉(41c)을 빼내고 이 상태에서 유압 실린더장치(71)에 있어서의 실린더 샤프트(71a)를 신장시켜서, 상부 승강프레임(40)을 작업스테이지(17)와 함께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로크수단(41)에 의하여 이 상방으로 이동된 상부 승강프레임(40)을 타워 포스트(A)에 고정한다.
이어서 하부 승강프레임(50)에서의 로크수단(41)의 로크봉(41c)을 타워 포스트(A)의 로크구멍(12)으로부터 유압 실린더(41a)에서의 실린더 샤프트(41b)를 수축시켜 빼냄과 동시에 상기 유압 실린더장치(71)의 실린더 샤프트(71a)를 수축시켜 하부 승강프레임(50)을 상방으로 들어 올린다.
이러한 들어올림 상태로 된 하부 승강프레임(50)을 이 하부 승강프레임(50)에 구비되어 있는 로크수단(51)의 유압 실린더(51a)에 있어서의 실린더 샤프트(51b)의 신장에 따른 로크봉(51c)을 로크구멍(12)으로 삽입함으로써 타워 포스트(A)에 로크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제2승강체(L)에 구비되는 작업 스테이지(170)는 이러한 클라이밍 수단으로서 구성되는 상부 승강프레임(40)에 대하여 일체로 부착 구성되어 있으며 원반형상의 스테이지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작업 스테이지(17)에는, 언더 프레임(161)의 하면에 그 중심측에서 방사방향으로 가이드 레일(162∼162)을 설치하고 있으며 이 각 가이드 레일(162)에 대하여 형틀(160)의 작업용 발판 프레임(163)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서 작업 스테이지(170)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62)을 타워 포스트(A) 측에서 방사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이 가이드 레일(162)에 구비되는 각 형틀(160)의 이동을, 이 타워 포스트(A)측에서 방사방향에 있는 선상에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27 에서는 이 가이드 레일(162)을 따라서 이동하기 전과 이동한 후의 각 형틀(160)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발판 프레임(163)은, 구성되는 통형상 구축물(K)의 상단부 양측, 이 도시예에서는, 구성되는 통형상 구축물(K)의 상단부를 그 외측과 내측으로 끼는 위치에 두고 각각 쌍을 이루고, 상기 가이드 레일(162)로 부터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 각 발판 프레임(163)의 각각의 대향 면측에 1쌍의 외측형틀(160’)과 내측형틀(160")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관한 발판 프레임(163)은, 틀체의 상하방향에 3단의 각 발판(163a∼163a)을 구비하고 있음과 동시에 평행한 1쌍의 가이드 레일(162), (162)에 대하여 그 양측에 설치한 각 가이드 롤 장치(164), (164)를 얹어 놓듯이 부착하고 있다.
또 이 각 가이드 롤 장치(164)는 발판 프레임(163)의 동작방향, 즉 상기 쌍을 이루는 가이드 레일(162), (162) 각각의 전후 위치에 쌍을 이루는 가이드 롤 장치(164), (164)로서 설치되어 있으며, 적어도 4점 이상에서 상기 언더 프레임(161)의 하방에서 가이드 레일(162)에 대하여 아래로 늘여뜨려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각 발판 프레임(163)은 각각 구동모터(165)를 구비하고 있으며, 형틀(160)의 부착 및 분리에 적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이 각 발판 프레임(163)을 사용하여 부착되는 형틀(160)은 각 세로재(160a)와 가로재(160b)로 보강된 프레임에 대하여 형판(160c)을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각 발판 프레임(163) 각각의 대향 면측에 수동윈치(166)로 승강조절가능하게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여기서 통형상 구축물(K)의 구성에 사용되는 형판(160c)은 형틀 조립된 형틀(160)에서의 각각의 형판(160c)이 일련으로 연속하는 환체를 구성하도록, 만곡 또는 굴곡된 형판면을 구비한 것으로서 준비된다.
이러한 제2승강체(L)에 있어서의 형틀시공은, 이 제2승강체(L)에 있어서의 작업 스테이지(170)를 구성하고 있는 언더 프레임(161)의 하방에 있는 각 가이드 레일(162), (162)에 구비된 각 발판 프레임(163)을 각 구동모터(165)로 이동하면서, 소정 위치에 세트함과 동시에 통형상 구축물(K)의 상단 부분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 형틀(160)에 있어서 형판(160c)의 하단 부분을 밀착시키고, 이 각 외형틀(160’)과 내형틀(160")을 세퍼레이터(167∼167)에 의하여 연결한다.
이러한 각 형틀(160)의 조립을 각각의 발판 프레임(163) 마다 실시하고, 제2승강체(L)에 있어서의 작업 스테이지(170)를 구성하고 있는 원형 언더 프레임(161)의 하방에 환홈형상으로 된 콘크리트의 타설형틀 공간(168)으로서의 타설오목부를 구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형틀시공에서는, 통형상 구축물(K)의 구성에 필요한 배근처리 등을 미리 실시하거나, 또는 이들 통형상 구축물(K)의 구성에 필요로 하는 배근처리 등과 함께 형틀시공을 하거나, 또는 이들 형틀 시공후에 통형상 구축물(K)의 구성에 필요한 배근처리 등을 실시한다.
이렇게 하여 구성되는 외측형틀(160’)과 내측형틀(160") 사이에 형성되는 콘크리트의 타설 틈에 대하여 상기 붐(F)에 구비되어 있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G)를 사용하여 생 콘크리트(H)를 공급한다.
이 붐(F)의 벨트 컨베이어 장치(G)로부터의 생 콘크리트(H)의 공급에 있어서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G)의 선단 또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G)에 구비되어 있는 트리퍼 장치(133)에 대하여 슈트(169)를 설치하고, 이 슈트(169)를 사용하여 각 외측형틀(160’)과 내측형틀(160")의 구성공간(168)에 대하여 생 콘크리트(H)를 타설한다.
여기서 각 외측형틀(160’)과 내측형틀(160")의 구성공간(168)으로 타설되는 생 콘크리트(H)의 전형적인 반송 경로는 다음과 같다.
먼저 타워 포스트(A)에 구비되어 있는 반송버킷(D’)에 대하여 콘크리트 믹서카, 트랜스퍼 카, 벨트 컨베이어 등에 의해서 공급되는 생 콘크리트(H)를 투입한다.
이 반송버킷(D’)에 대한 생 콘크리트(H)의 투입은 예를 들면, 타워 포스트(A)의 설치면에 구비된 레일(15)을 따라 반송버킷(D’)을 올려놓은 대차(16)를, 이들의 각 생 콘크리트(H)의 공급위치까지 이동하고 콘크리트 믹서카등으로부터 생 콘크리트(H)를 이 대차(16)위의 반송버킷(D’)으로 받음과 동시에 이를 타워 포스트(A)내로 이동한다.
이어서, 이 대차(16)상에 있는 반송버킷(D’)을 타워 포스트(A)의 정상부에 구비한 윈치장치(60)에 의하여, 상부 포스트부(A")에 형성된 취출구(Ab)의 슈트(105) 상방까지 끌어 올린다. 이와 같이 윈치장치(60)에 의하여 끌어 올려진 반송버킷(D’)의 하방으로 타워 포스트(A)의 외측으로부터 슈트(105)를 이동하고 이 슈트(105)에 대하여 반송버킷(D’)내의 생 콘크리트(H)를 보낸다.
이 슈트(105)로 공급되는 생 콘크리트(H)는, 이 슈트(105)로부터 회전피더(J)로 안내되고, 이 회전피더(J)의 슈트(120)에서 붐(F)에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 장치(G)에 있어서의 컨베이어 벨트(130)로 공급되고 이 컨베이어 벨트(130)에 있어서의 선단부분 또는 트리퍼 장치(133)로부터, 제2승강체(L)에 구비되어 있는 각 형틀(160)의 타설형틀 공간(168)에 대하여 슈트(169)를 사용하여 보내진다.
그리고 생 콘크리트(H)가 타설된 통형상 구축물(K)에 있어서는 소정양생후에 발판 프레임(163)을 이동하여 형틀분리를 실시함과 동시에 제2승강체(L)를 다음의 형틀 구성에 필요로 하는 높이까지 상승시켜, 상 기 각 수법으로 형틀을 조립함으로써, 순차적으로 통형상 구축물(K)의 상부에 대하여 콘크리트를 계속 타설할 수 있다.
또 상기한 형틀(160)의 형조립시에, 이 형틀(160)을 상기 가이드 레일(162)을 따라 이동시킴과 동시에 사용되는 형틀(160)을 형판(160c)의 치수, 형상이 다른 것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상방을 향하여 점차 가늘어지는 통형상의 탑체 또는 상부측이 다시 두꺼워지는 통형상의 탑체 등, 각종 형상의 콘크리트 탑체를 구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에서 구성되는 장치의 전형적인 구성예 및 그 취급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통형상 구축물(K)에 있어서 기초(1)의 대략 중앙 부분에 상부 포스트부(A")를 구비한 상태로, 소요 높이로 될 때까지 포스트 구성재를 설치하고, 개구부(14) 등을 형성하여 타워 포스트(A)를 구성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이 상부 포스트부(A")의 하방에 있는 포스트 구성재에 대하여, 연속 설치용 포스트 구성재(Aa) 를 부착함과 동시에, 제1승강체(B)와 제2승강체(L)를 이 타워 포스트(A)에 대하여 부착한다.
이어서 여기에서 구성 준비된 통형상 구축물(K)의 기초 부분 또는 이에 계속 타설된 상승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승강체(L)의 언더 프레임(16)에 대하여 각 형틀(160)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 각 형틀(160)을 조립한다.
또, 한쪽에서는, 제1승강체(B)에 있어서의 선회체(R)를 선회시킴과 동시에 벨트 컨베이어 장치(133)의 슈트(133a)가 콘크리트의 타설예정 형틀 공간(168)위에 위치하도록 조작하고, 이 선회체(R)를 선회시키면서, 환상으로 형성된 타설형틀 공간(168)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생 콘크리트(H)를 공급한다.
이러한 생 콘크리트(H)의 타설 후 이 타설 콘크리트(H)의 양생을 기다려 형틀(160)분리를 실시함과 동시에, 이 형틀(160)을 구비한 상태에서 제2승강체(L)를 상기 수법에 의하여 타워 포스트(A)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또, 한쪽에서는 상기한 수법으로 연속 설치용 포스트 구성재(Aa)를 하부 타워 포스트(A′)상에 연결함과 동시에 제1승강체(B)를 타워 포스트(A)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각 동작을 반복하면서 형틀 공간(168)에 대하여 생 콘크리트(H)를 타설함으로써, 통형상 구축물(K)을 원하는 높이로 될 때까지 구축한다.
또한 이 통형상 구축물(K)이 원통체 형상 또는 각통체 형상이 아닌 경우에 있어서는, 각 형틀(160)을 가이드 레일(162)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그 이동위치에서 환상의 타설형틀 공간(168)을 구성할 수 있는 형상, 치수의 형틀재로 교체하여 형조립을 하고, 각종 형상 및 개구부 크기의 통형상 구축물(K)의 구축에 대응한 형틀을 조립한다.
그리고 이러한 형틀 조립의 변경에 대응하여, 벨트 컨베이어 장치(G)에 구비되어 있는 트리퍼 장치(133)의 설치위치를 이동하고, 이에 의해 상기 구성된 타설형틀 공간(168)에 대하여 생 콘크리트(H)의 공급을 실시한다.
그 결과 직통(直筒)형상의 구축물 외에 예를 들면 도시한 바와 같은 개구부의 크기가 점차 변화하는 통형상 구축물(K)을 구축할 수 있다.
또 단면형상이 원형, 각형 등이 아닌 복잡한 굴곡면을 갖는 통형상 구축(K)을 구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통형상 구축물(K)을 구축한 후에는, 상기 제2승강체(L)의 해체를 실시함과 동시에, 붐(F)을, 윈치(141)를 사용하여 기립상태로 한다.
이어서 상기의 수법으로 하부 포스트부(A’)의 상단 부분에 있는 연속 설치용 포스트 구성재(Aa)를 분리하고, 제1승강체(B)를 점차 하강시킴으로써 제1승강제(B)를 지상면까지 하강시키고 이를 해체함으로써, 장치의 철거를 실시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관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는 상기한 특징을 갖는 구성, 특히 타워 포스트(A)와 이 타워 포스트(A)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승강체(B)와 이 제1승강체(B)보다 하방에서 상기 타워 포스트(A)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2승강체(L)를 가지며, 상기 타워 포스트(A)가 생 콘크리트(H)를 상승 운반하는 반송구(D)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제1승강체(B)가 벨트 컨베이어 장치(G)를 갖는 붐(F)을 선회가능하게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2승강체(L)가 콘크리트의 타설형틀(160)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반송구 (D)에 의해 타워 포스트(A)로 상승 운반되는 생콘크리트(H)가 슈트 등의 반송수단을 거쳐서 붐(F)의 벨트 컨베이어 장치(G)에 있어서의 컨베이어 벨트(130)로 보내짐과 동시에 이 컨베이어 벨트(130)의 선단 또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 장치(G)에 구비되는 트리퍼 장치(133)로부터 직접 또는 다른 반송수단을 거쳐서 상기 형틀(16)에 의해 구성되는 콘크리트의 타설형틀 공간 (168)으로 보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되는 콘크리트 구축물의 형태, 특히 양생상태, 철근 등의 보강구조 등에 좌우되는 일 없이 콘크리트 구축물의 상단측에 순차적으로 연속 타설용의 콘크리트 형틀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게다가 부착 구성되는 콘크리트 타설형틀 공간(168)에 대하여 용이하게 생 콘크리트(H)의 공급이 가능해지고 또 콘크리트 타설 후에 있어서의 형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구성에 관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에 있어서, 제2승강체(L)에 구비되는 콘크리트의 타설형틀(160)이 복수의 외측형틀(160’)과 내측형틀(160")을 가지며 이 외측형틀(160’)과 내측형틀(160")이, 환상을 이루는 콘크리트의 타설형틀 공간(168)을 구성하도록 조립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2승강체(L)에 구비되는 외측형틀(160’)과 내측형틀(160")에 의하여, 홈형상의 타설형틀 공간(168)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고, 각종 벽판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관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에 있어서 제2승강체(L)에 구비되는 콘크리트의 타설형틀(160)이 복수의 쌍을 이루는 외측형틀(160’)과 내측형틀(160")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 쌍을 이루는 외측형틀(160’)과 내측형틀(160")이 상기 제2승강체(L)의 부착 중심측에서 방사방향으로 구비되어, 환상을 이루는 콘크리트의 타설형틀 공간(168)을 구성하도록 조립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원통형상 또는 각통형상 등의 각종 통형상으로 된 탑형상물, 원추, 각추 등의 개구부의 크기가 점차 변화하는 통형상으로 된 탑형상물 등의 형틀조립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3)

  1. 타워 포스트와 이 타워 포스트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승강체와, 이 제1승강체보다 하방에서 상기 타워 포스트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승강체를 가지며, 상기 타워 포스트가 생 콘크리트의 반송구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제1승강체가 벨트 컨베이어 장치를 갖는 붐을 선회가능하게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2승강체가 콘크리트의 타설형틀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반송구에 의하여 타워 포스트로 상승 운반되는 생 콘크리트가 슈트 등의 반송수단을 거쳐서 붐의 밸트 컨베이어 구비되어, 환상을 이루는 콘크리트의 타설형틀 공간(168)을 구성하도록 조립되는 장치에 있어서의 컨베이어 벨트로 보내짐과 동시에, 이컨베이어 벨트의 선단 또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 장치에 구비되는 트리퍼 장치로부터 직접 또는 다른 반송수단을 거쳐서 상기 형틀로 구성되는 콘크리트의 타설형틀 공간으로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2승강체에 구비되는 콘크리트의 타설형틀이 복구의 외측형틀과 내측형틀을 가지며, 이 외측형틀과 내측형틀이, 환상을 이루는 콘크리트의 타설형틀 공간을 구성하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2승강체에 구비되는 콘크리트의 타설형틀이 복수의 쌍을 이루는 외측형틀과 내측형틀로 이루어지고, 또한 이 쌍을 이루는 외측형틀과 내측형틀이, 상기 제2승강체의 부착 중심측에서 방사 방향으로 구비되어, 환상을 이루는 콘크리트의 타설형틀 공간을 구성하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77475A 1996-07-04 1996-12-30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 KR9800097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93894A JP3016731B2 (ja) 1996-07-04 1996-07-04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装置
JP96-193894 1996-07-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706A true KR980009706A (ko) 1998-04-30

Family

ID=163155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7475A KR100225156B1 (ko) 1996-07-04 1996-12-30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
KR1019960077475A KR980009706A (ko) 1996-07-04 1996-12-30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7475A KR100225156B1 (ko) 1996-07-04 1996-12-30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016731B2 (ko)
KR (2) KR100225156B1 (ko)
CN (1) CN117007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606B1 (ko) 2008-06-03 2010-07-28 (주)성풍건설 돔형구조물 시공장치
CN103420278A (zh) * 2012-05-18 2013-12-04 李宜君 塔式起重机的传动索离合器结构
CN103420274A (zh) * 2012-05-18 2013-12-04 李宜君 具有可升降爬升笼结构的塔式起重机
CN103420279A (zh) * 2012-05-18 2013-12-04 李宜君 塔式起重机塔身的组设与卸除方法
CN102733393B (zh) * 2012-07-24 2014-12-03 中国水利水电第七工程局成都水电建设工程有限公司 自升式混凝土皮带输送机
ES2554828T3 (es) * 2012-09-19 2015-12-23 Alstom Technology Ltd. Conjunto y método de torre solar concentrada
JP6116972B2 (ja) * 2013-04-03 2017-04-19 大成建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搬送装置
CN103863955B (zh) * 2014-03-12 2015-12-09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一种自引进系统及具有该自引进系统的塔机
CN105035969A (zh) * 2015-07-03 2015-11-11 杨海良 一种液压顶伸装置的起重机
CN107116673A (zh) * 2017-06-29 2017-09-01 郴州远大住宅工业有限公司 混凝土布料系统
ES2695626B2 (es) * 2017-06-30 2020-05-19 Hws Concrete Towers S L Dispositivo auto-trepante por superficies de hormigón verticales y cuasi-verticales y procedimiento de operación.
CN107700819B (zh) * 2017-10-26 2023-01-17 中铁大桥局集团第八工程有限公司 塔柱施工内爬架及采用塔柱施工内爬架的塔柱施工方法
CN107587718A (zh) * 2017-11-03 2018-01-16 西安科技大学 一种升降和旋转式混凝土浇注泵机
CN112942567B (zh) * 2021-02-04 2022-04-29 中材建设有限公司 水泥减压锥模板自安拆装备施工方法
KR102389962B1 (ko) * 2021-09-14 2022-04-2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상 및 회전 장치
CN113882664A (zh) * 2021-10-19 2022-01-04 中国二十冶集团有限公司 一种筒状构筑物施工装置
CN115095153A (zh) * 2022-08-26 2022-09-23 中化二建集团有限公司 混凝土烟囱无内模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16731B2 (ja) 2000-03-06
KR100225156B1 (ko) 1999-10-15
CN1170074A (zh) 1998-01-14
JPH1018589A (ja) 1998-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80009706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장치
US3761551A (en) Method of constructing concrete chimneys
KR101028868B1 (ko) 교량 측경간 가시설 양중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측경간 시공방법
US4856662A (en) Pedestal crane and method of assembling and erecting it
JP2010053441A (ja) 高炉炉体の建設および改修の方法
JP5032787B2 (ja) 重量物の架設装置
EP0370280A1 (de) Vorrichtung zum Abbrechen von Schornsteinen
WO2021135038A1 (zh) 一种竖井衬砌施工方法
KR100229261B1 (ko) 타워형 이송 장치
CN212079329U (zh) 用于隧道衬砌浇筑的模板
CN109551617B (zh) 一种用于预制空心墩的内模拆模结构
CN110714610A (zh) 滑模设备
US6631815B1 (en) Turntable of a rotary crane
CN210509230U (zh) 一种圆形钢内衬卧拼装置
KR101781067B1 (ko) 급속시공 콘크리트 기둥 시공용 자동화 거푸집 세그먼트, 장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기둥 시공방법
JP2955512B2 (ja) 柱状体の連続処理工法およびその装置
CN215716443U (zh) 一种用于筒仓仓顶结构的支撑体系
CN117283702B (zh) 一种混凝土构件脱模、吊运机构及生产线
CN208053391U (zh) 一种弹簧运输车
JPH08135182A (ja) 支保工スライド工法
CN112942567B (zh) 水泥减压锥模板自安拆装备施工方法
JP7339477B2 (ja) コンクリート柱の型枠構築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柱の型枠構築方法
KR20090113813A (ko)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
JPH0629221Y2 (ja) 鋼管杭打設装置
CN112576282A (zh) 一种圆形钢内衬卧拼装置及其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