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3813A -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3813A
KR20090113813A KR1020090097332A KR20090097332A KR20090113813A KR 20090113813 A KR20090113813 A KR 20090113813A KR 1020090097332 A KR1020090097332 A KR 1020090097332A KR 20090097332 A KR20090097332 A KR 20090097332A KR 20090113813 A KR20090113813 A KR 20090113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frame
bridge
support body
gi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8564B1 (ko
Inventor
정석태
김종섭
이정연
Original Assignee
진성토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토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성토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7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564B1/ko
Publication of KR20090113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3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by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bridge or bridge s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량의 폭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프레임(51)과, 상기 프레임(51)에 설치되어 상기 교량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사이드거푸집(23)을 지지하는 지지몸체(55)와, 상기 프레임(51)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몸체(55)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바아(56)와, 상기 프레임(51)에 설치되어 상기 교량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단이 상기 사이드거푸집(23)과 체결되는 수직부재(61)와 상기 수직부재(61)를 상기 지지몸체(55)와 연결하는 연결부재(65)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거푸집(23)을 지지하는 전도방지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거푸집이 이송중에 수직부재에 의해 균형이 유지되므로, 사이드거푸집이 전복되는 사고가 방지된다.
교량, 사이드거푸집, 이송, 전복

Description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moving device of side scaffolding system}
본 발명은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이드거푸집을 교량의 폭방향으로 안전하게 이송시키기 위한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량을 축조하는 경우, 교각이 먼저 완성된 상태에서, 각 경간(徑間)(span:기둥과 기둥 사이. 또는 그 사이의 간격) 별로 교량 상판을 위한 거푸집을 설치, 타설, 해체하는 것을 반복해가면서 교량 상판을 연속적으로 축조한다. 즉, 1 경간의 상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1 경간에 해당하는 상판을 형성한 후에, 상기 설치된 거푸집을 해체하여 다음 경간의 상부에 거푸집을 다시 설치하고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을 반복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의 경우에는 앞서 설치된 거푸집을 해체하여 교각 아래로 내리고 다음 경간에 다시 거푸집을 설치해야하므로, 인력과 장비가 많이 소요되고, 전체 공사기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거푸집을 교각 위에서 이동시키면서 교량 상판을 가설하는 이동식 거푸집 공법이 개발되었다. 이때, 거푸집은 크게 교량 상판의 중앙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중앙거푸집과 교량 상판의 양쪽 가장자리를 형성하기 위한 사이드거푸집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이동식 거푸집 공법에서는 한 구간에 해당되는 교량 상판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 거푸집의 해체 및 이송작업이 진행되는데, 이때 중앙거푸집은 다음 구간으로 전진이송하고, 양쪽 사이드거푸집은 교량의 폭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이송시킨 다음 다시 전진이송시킨다. 전진 이송된 중앙거푸집과 사이드거푸집은 다시 조립되어 교량 상판의 타설을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중앙거푸집과 사이드거푸집은 자체 무게가 크기 때문에 이송과정에서 전복되기라도 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양쪽 사이드거푸집을 교량의 폭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전복 위험이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이드거푸집을 안전하게 이송시키기 위한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교량의 폭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교량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사이드거푸집을 지지하는 지지몸체;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교량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단이 상기 사이드거푸집과 체결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를 상기 지지몸체와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거푸집을 지지하는 전도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몸체와 수직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프레임의 상면 가장자리에 걸어진 상태로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가능한 가이드후크가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몸체가 이동되도록 밀어주는 유압실린더가 더 포함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지지몸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바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사이드거푸집의 하부에 결합되는 사이드거더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와, 상기 사이드거더가 전진 이송될 때 안내해주는 이송가이드가 구비되는데,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사이드거더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유압실린더로 구성되며, 상기 사이드거더의 전진이송시에, 상기 사이드거더가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이송가이드에 안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가이드는 상기 사이드거더의 저면이 안착되는 슬라이딩패드와 상기 사이드거더의 일측에 걸어져 사이드거더의 좌우유동을 방지하는 걸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에 의하면, 사이드거푸집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될 때 수직부재가 사이드거푸집을 견고하게 지지해주므로, 사이드거푸집이 이송중에 전복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치된 교량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과 같이, 교량의 하부공사를 마치고 나면 기초(10) 위에 기둥(12)이 2열로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기초(10)에 의해 상기 기둥(12)들의 기단부분이 서로 연결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상기 기둥(12)의 상단에는 교량 상판(S)이 구간별로 축조되는데, 이때 교량 상판(S)의 타설공간을 중앙거푸집(21)과 양쪽의 사이 드거푸집(23)이 형성한다.
상기 중앙거푸집(21)은 교량 상판(S)의 중앙 바닥부를 형성하며, 사이드거푸집(23)은 교량 상판(S)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을 형성한다. 상기 중앙거푸집(21)의 하부에는 두 개의 중앙거더(22)가 중앙거푸집(21)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거푸집(23)의 하부에는 사이드거더(24)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중앙거더(22)와 사이드거더(24)는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경간에 걸쳐 길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사이드거푸집(23)에는 사이드거푸집(23)의 탈형을 도와주기 위해 사이드거푸집(23)의 외측 일부를 잡아당겨주어 사이드거푸집(23)을 뒤틀어지게 하는 턴버클(25)이 포함된다.
상기 기둥(12)을 둘러서는 지지대(3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30) 위에는 본 발명에 의한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50)가 안착된다.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50)는 후술할 사이드거푸집(23)을 교량의 폭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도 1의 화살표)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실제로 상기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50)가 설치되지 않는 다른 기둥(12)의 지지대(30) 위에는 상기 중앙거푸집(21)과 사이드거푸집(23)을 다음 시공구간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전진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참고로, 한 구간의 교량 상판 시공이 완료되면, 교량 상판의 중앙부를 형성한 중앙거푸집(21)은 탈형되어 상기 전진장치에 의해 다음 시공구간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교량 상판의 양쪽 사이드 부분을 형성한 사이드거푸집(23)은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50)에 의해 교량의 폭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한 다음, 상기 전진장치에 의해 다음 시공구간으로 이송된다.
다음 시공구간으로 이송된 양쪽 사이드거푸집(23)은 교량의 폭방향으로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한 다음, 이송된 중앙거푸집(21)과 다시 조립되어 교량 상판(S)을 형성하기 위한 타설공간을 만든다.
도 2를 참조하여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50)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50)는 교량의 폭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기둥(12)이 관통하는 프레임(51), 상기 프레임(5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거더(22)를 지지해주는 두 개의 중앙받침대(52), 상기 프레임(51)의 양측 단부에 상기 프레임(5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이드거푸집(23)을 지지하는 이송수단(54), 그리고 상기 사이드거푸집(23)의 일측과 상기 이송수단(54)을 연결하여 상기 사이드거푸집(23)의 전도를 방지하는 전도방지수단(60)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51)은 상기 지지대(30)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기둥(12)이 상기 프레임(51)을 관통하게 된다.
상기 이송수단(54)은 크게 지지몸체(55), 가이드바아(56), 유압실린더(57)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몸체(55)는 상기 프레임(51)에 교량의 폭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가이드바아(56)를 따라 유압실린더(57)에 의해 이동된다. 상기 유압실린더(57)는 지지몸체(55)를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몸체(55)의 하단에는 프레임(51)의 상면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가이드후크(55')가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후크(55')는 상기 지지몸체(55)가 상기 프레임(5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가이드후크(55') 는 상기 지지몸체(55)가 상기 프레임(5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면서도, 상기 프레임(51)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방지하며, 그리고 상기 지지몸체(55)가 상기 프레임(51)의 상부로 들어올려지는 것도 방지한다.
상기 지지몸체(55)에는 사이드거푸집(23)과 결합된 사이드거더(24)의 전진이송을 가이드하는 이송가이드(58)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가이드(58)는 상기 사이드거더(24)의 저면이 안착되는 슬라이딩패드(58a)와 상기 사이드거더(24)의 좌우유동을 방지하는 걸이부(58b)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패드(58a)는 납작한 판형상으로 상기 사이드거더(24)와의 마찰을 최소화시켜주는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부(58b)는 납작한 판형상으로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패드(58a)의 상부에 슬라이딩패드(58a)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걸이부(58b)의 유압실린더(57)를 향하여 돌출되는 부분이 사이드거더(24)의 양측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지지몸체(55)의 일측에는 사이드거더(24)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59)가 구비된다. 상기 승강장치(59)는 사이드거더(24)가 안착되는 안착부(59a)와 상기 안착부(59a)를 승강시키는 승강유압실린더(59b)으로 구성된다. 상기 사이드거더(24)는 상기 승강장치(59)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지지몸체(55)에 구비되는 이송가이드(58)에 선택적으로 안착된다.
한편, 상기 전도방지수단(60)은 상기 프레임(5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몸체(55)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몸체(55)가 이동할 때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전도방지수단(60)은 사이드거푸집(23)의 일측을 지지하는 수직부재(61)와 상기 수직부재(61)와 지지몸체(55)를 연결하는 연결부재(65)로 구성된다. 본 실 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재(65)가 두 개로 구성되는데, 하나는 상기 프레임(51)의 상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다른 하나는 상기 프레임(51)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수직부재(61)의 하단에는 상기 프레임(51)의 상면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가이드후크(67)가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후크(67)는 상기 수직부재(61)가 상기 프레임(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후크(67)는 상기 수직부재(61)가 상기 프레임(5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수직부재(61)의 상단은 도 1과 같이 사이드거푸집(23)의 단부와 체결된다. 상기 수직부재(61)는 상기 사이드거푸집(23)의 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사이드거푸집(23)이 교량의 양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전복되지 않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서 사이드거푸집이 이송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교량에서 사이드거푸집이 탈형되는 모습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사이드거푸집이 이송된 상태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교량을 축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지반에 기초(10)를 형성한 다음, 기초(10) 위에 다수개의 기둥(12)을 만든다. 이와 같은 하부공사가 완료된 후에 교량 상판을 형성하기 위한 상부공사를 진행한다. 먼저, 기초(10) 위에 기둥(12)을 둘러 지지대(30)를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대(30) 위에 사이드거 푸집 이송장치(50)를 설치한다. 상기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50)가 설치되지 않는 다른 지지대(30)에는 위에서 설명한 전진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중앙거더(22)와 사이드거더(24)가 설치되는데, 상기 중앙거더(22)는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50)의 중앙받침대(52) 위에, 사이드거더(24)는 이송수단(54)의 안착부(59a)에 안착된다.
도 1을 참고로 상기 중앙거더(22) 상에는 중앙거푸집(21)이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거더(24) 상에는 사이드거푸집(23)이 체결되어 있다. 또한, 전도방지수단(60)의 수직부재(61)의 상단이 사이드거푸집(23)의 일측 단부에 체결된다.
이 상태에서 중앙거푸집(21)과 사이드거푸집(23)을 서로 조립하면 교량 상판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이 완성된다. 중앙거푸집(21)과 사이드거푸집(23)이 만드는 공간에 철근 배근 작업을 수행하고, 콘크리트 타설을 진행한다. 그 후 타설된 콘트리트를 양생시키면 일정 구간의 교량 상판(S)이 완성된다.
다음으로 사이드거푸집의 탈형과정을 설명한다.
도 3과 같이, 사이드거푸집(23)에 구비된 턴버클(25)을 조여 사이드거푸집(23)의 양측을 잡아당겨준다. 그러면 사이드거푸집(23)이 뒤틀리면서 교량 상판(S)의 가장자리로 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교량 상판(S)으로부터 탈형된 사이드거푸집(23)은 여전히 사이드거더(24)에 결합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거푸집(23)을 교량 상판(S)의 폭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도 3의 화살표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즉, 상기 사이드거더(24)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몸체(55)가 유 압실린더(57)에 의해 가이드바아(56)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사이드거푸집(23)도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사이드거푸집(23)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사이드거푸집(23)의 균형이 잡히지 않아 사이드거푸집(23)이 전도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50)에 전도방지수단(60)이 더 구비되어 사이드거푸집(23)이 이송중에 전복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수직부재(61)가 연결부재(65)에 의해 지지몸체(55)와 연결되어 지지몸체(55)와 함께 이동하고, 수직부재(61)의 하단은 가이드후크(67)에 의해 프레임(51)의 상면에 걸어진 상태이고, 수직부재(61)의 상단은 사이드거푸집(23)의 일단부에 체결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수직부재(61)가 사이드거푸집(23)을 지지해주어 사이드거푸집(23)을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4와 같이, 양쪽 사이드거푸집(23)이 교량의 폭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이송된 다음에는, 다른 기둥(12)에 설치된 전진장치(미도시)에 의해 사이드거푸집(23)과 중앙거푸집(21)이 다음 시공구간에 설치될 수 있도록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전진 이송된다.
다음 시공구간에서는 상기 사이드거푸집(23)을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송시킨 다음 중앙거푸집(21)과 체결시켜 타설공간을 만든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치된 교량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교량에서 사이드거푸집이 탈형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사이드거푸집이 이송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기초 12: 기둥
21: 중앙거푸집 22: 중앙거더
23: 사이드거푸집 24: 사이드거더
25: 턴버클 30: 지지대
50: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 51: 프레임
52: 중앙받침대 54: 이송수단
55: 지지몸체 56: 가이드바아
57: 유압실린더 58: 이송가이드
59: 승강장치 60: 전도방지수단
61: 수직부재 65: 연결부재
67: 가이드후크 S: 교량 상판

Claims (5)

  1. 교량의 폭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교량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사이드거푸집을 지지하는 지지몸체;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교량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단이 상기 사이드거푸집과 체결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를 상기 지지몸체와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거푸집을 지지하는 전도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와 수직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프레임의 상면 가장자리에 걸어진 상태로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가능한 가이드후크가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가 이동되도록 밀어주는 유압실린더가 더 포함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지지몸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바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사이드거푸집의 하부에 결합되는 사이드거더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와, 상기 사이드거더가 전진 이송될 때 안내해주는 이송가이드가 구비되는데,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사이드거더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유압실린더로 구성되며,
    상기 사이드거더의 전진이송시에, 상기 사이드거더가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이송가이드에 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가이드는 상기 사이드거더의 저면이 안착되는 슬라이딩패드와 상기 사이드거더의 일측에 걸어져 사이드거더의 좌우유동을 방지하는 걸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
KR1020090097332A 2009-10-13 2009-10-13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 KR101078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332A KR101078564B1 (ko) 2009-10-13 2009-10-13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332A KR101078564B1 (ko) 2009-10-13 2009-10-13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813A true KR20090113813A (ko) 2009-11-02
KR101078564B1 KR101078564B1 (ko) 2011-11-03

Family

ID=41555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332A KR101078564B1 (ko) 2009-10-13 2009-10-13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5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01491A (ja) * 2015-12-03 2017-06-08 鹿島建設株式会社 高架橋の構築方法、これに用いるコンテナ並びに支保工の設置方法及び撤去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742B1 (ko) * 2015-02-26 2016-09-06 컨텍이앤씨 주식회사 교량하부구조물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848B1 (ko) 2005-04-27 2006-10-19 주식회사 벤트코리아 가설벤트가 구비된 메인거더 런칭시스템을 이용한교량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01491A (ja) * 2015-12-03 2017-06-08 鹿島建設株式会社 高架橋の構築方法、これに用いるコンテナ並びに支保工の設置方法及び撤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8564B1 (ko) 201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7994B1 (ko) 폼 트래블러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JP5671373B2 (ja) 橋梁の撤去工法と新設工法
KR101287455B1 (ko) 교량의 상부구조물용 런칭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40084107A (ko) 셀프-런칭 이동식 비계공법
JP4403051B2 (ja) 波形鋼板ウエブ橋の架設方法
JP2008274637A (ja) 連続高架橋の施工方法
CN104175398B (zh) 制作预制箱梁钢筋骨架的胎具及方法
CN111996916A (zh) 一种现浇箱梁一体化建造设备及其施工方法
CN106854941B (zh) 一种大截面看台斜梁及斜柱的施工方法
KR101648851B1 (ko)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KR101305913B1 (ko) 프리캐스트 박스 거더용 철근망 조립대
CN104164951B (zh) 楼梯休息平台及其施工方法
KR101078564B1 (ko) 사이드거푸집 이송장치
KR102000657B1 (ko) 프리텐션 콘크리트 부재 제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텐션 콘크리트 부재의 제작 방법
KR101082418B1 (ko) 교량용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
CN211898390U (zh) 一种河堤堤坝混凝土垫层用的浇筑模板系统
KR101580111B1 (ko) 스틸폼을 이용한 잔교식 구조물의 연속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CN215593730U (zh) 一种悬臂浇筑双边箱斜拉桥宽体有梁板的寄生支架挂篮
CN202108241U (zh) 球形储罐组装用移动挂架
CN213382182U (zh) 一种环形全自动生产线运输平台
CN205152805U (zh) 移动式预制梁张拉防护装置
CN210713438U (zh) 一种便于吊装的预制叠合楼板构件
CN211849445U (zh) 一种河堤堤坝混凝土垫层的施工系统
CN109403674B (zh) 用于桥梁施工的装配式预制厂及其施工方法
JP6375124B2 (ja) スリップフォーム工法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施工において用いられるコンクリート打設システム及び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