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703452A - 탄성 섬유,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사용된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elastic fibers,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polyester elas-tomer to be used therein) - Google Patents

탄성 섬유,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사용된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elastic fibers,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polyester elas-tomer to be used there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703452A
KR970703452A KR1019960706445A KR19960706445A KR970703452A KR 970703452 A KR970703452 A KR 970703452A KR 1019960706445 A KR1019960706445 A KR 1019960706445A KR 19960706445 A KR19960706445 A KR 19960706445A KR 970703452 A KR970703452 A KR 970703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elastomer
formula
carbon atoms
group
halogen a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6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6316B1 (ko
Inventor
도요아끼 이시와따
지로 사다노부
Original Assignee
이따가끼 히로시
데이진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따가끼 히로시, 데이진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따가끼 히로시
Publication of KR970703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3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3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7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8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66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 C08G63/668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672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64Artificial fiber or filament
    • Y10T428/2967Synthetic resin or polymer
    • Y10T428/2969Polyamide, polyimide or polyes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질 세그먼트로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성분 및 연질 세그먼트로서 500 내지 5000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을 더 포함하며 400% 연신 후의 잔류 신장도가 100% 이하인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로 주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탄성 섬유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디올 성분으로서 1,-비스[4-(2-히드록시에틸)페녹시]에탄 또는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성분을 구성하는 디올 성분으로서 1,4-벤젠디에탄올 및 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탄성 섬유는 큰 변형의 경우에 우수한 탄성 성질을 특징으로 하고 적당한 의류용 재료이다.

Description

탄성 섬유,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사용된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ELASTIC FIBERS,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POLYESTER ELAS-TOMER TO BE USED THEREIN)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23)

  1. 경질 세그먼트로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성분 및 연질 세그먼트로서 500 내지 5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 성분으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로 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탄성 섬유.
  2. 제1항에 있어서, 탄성 섬유의 파단점 강도가 0.5g/de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탄성 섬유.
  3. 제1항에 있어서, 경질 세그먼트로서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성분은 주로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탄성 섬유 :
    상기 화학식(1)에서 "Ar"은 방향족 고리내 수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알킬기 및/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기를 나타내고, "R"은 하기 구성 단위 (A), (B) 및 (C)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구성단위이고; (A) 하기 화학식(1a)
    (식중, "p"는 2 내지 4의 정수이고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m" 및 "n"은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다) (B)하기 화학식(1b)
    (식중 "q"는 2 내지 4의 정수이고,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k" 및 "l"은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다) (C) 하기 화학식(1c) 및 (1d)
    (식중, "R5"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j"는 0 내지 4의 정수이고, "R6"는 분자쇄내에 에테르 결합을 함유할 수 있는 탄소수 2 내지 20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a" 및 "b"는 각각 상기 화학식 (1c) 및 (1d)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의 몰수를 나타내며 하기 수학식(1)을 만족시킨다 :
    0.01<b/a<1.0 (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의 "Ar"이 p-페닐린기, 2,6-나프탈렌기 및 4,4'-비페닐일렌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에스테르 엘리스토머의 탄성 섬유.
  5. 제3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 성분의 함량이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30 내지 95중량% 범위내인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탄성섬유.
  6. 제3항에 있어서, 35℃ 측정 온도에서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Ⅳ)의 고유점도(페놀/1,1,2,2-테트라 클로로에탄=4/6(중량%)의 측정 용매사용)가 0.5 내지 13.0의 범위내인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탄성 섬유.
  7. 제3항에 있어서, "Ar"이 p-페닐렌기 또는 2,6-나프틸렌기이고 상기 화학식(1)에서; "R"은 상기 화학식(1a)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이고; 상기 화학식(1a)의 "p"는 2이고; "m" 및 "n"은 모드 0인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탄성 섬유.
  8. 제7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 성분의 함량이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50 내지 90중량% 범위내인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탄성섬유.
  9. 제3항에 있어서, 화학식(1)의 "Ar"이 p-페닐렌기 또는 2,6-나프틸렌기이고; "R"은 상기 화학식(1b)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이고; 상기 화학식(1b)의 "q"는 2이고; "k" 및 "l"은 모두 0인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탄성 섬유.
  10. 제9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 성분의 함량의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50 내지 90중량% 범위내인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탄성섬유.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Ar"이 p-페닐렌기 또는 2,6-나프탈렌기이고; "R"은 상기 화학식(1c) 및 (1d)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이고; 상기 화학식(1c)의 "j"는 0이고; 화학식(1d)의 "R6"는 에틸렌기이며; 상기 수학식(1)를 만족시키는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탄성 섬유.
  12. 제11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가 하기 수학식(2)를 만족하는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탄성 섬유 :
    0.05<a/(a+b+c)<0.6 (2)
    (식 중, "c"는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 성분의 몰수를 나타내고; "a" 및 "b"는 상기 화학식(1c) 및 (1d)에 정의된 바와 동일하다)
  13. 제2항에 있어서, 경질 세그먼트로서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성분은 주로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탄성 섬유 :
    상기 화학식(1)에서 "Ar"은 방향족 고리내 수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알킬기 및/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기를 나타내고, "R"은 하기 구성 단위 (A), (B) 및 (C)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구성단위로서 (A) 하기 화학식(1a)
    (식 중, "p"는 2 내지 4의 정수이고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m" 및 "n"은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다) (B)하기 화학식(1b)
    (식중 "q"는 2 내지 4의 정수이고,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k" 및 "l"은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다) (C) 하기 화학식(1c) 및 (1d)
    (식중, "R5"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j"는 0 내지 4의 정수이고, "R6"는 분자쇄내에 에테르 결합을 함유할 수 있는 탄소수 2 내지 20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a" 및 "b"는 각각 상기 화학식 (1c) 및 (1d)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의 몰수를 나타내며 하기 수학식(1)을 만족시킨다 :
    0.01<b/a<1.0 (1)
  14.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를 용융-방사시키고, 얻어진 섬유를 1.3 이상의 연산비로 연신시킨 다음, 40℃ 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시키는 단계들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탄성 섬유 제조 방법.
    상기 화학식(1)에서 "Ar"은 방향족 고리내 수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알킬기 및/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기를 나타내고, "R"은 하기 구성 단위 (A), (B) 및 (C)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구성단위로서 (A) 하기 화학식(1a)
    (식 중, "p"는 2 내지 4의 정수이고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m" 및 "n"은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다) (B)하기 화학식(1b)
    (식중 "q"는 2 내지 4의 정수이고,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k" 및 "l"은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다) (C) 하기 화학식(1c) 및 (1d)
    (식중, "R5"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j"는 0 내지 4의 정수이고, "R6"는 분자쇄내에 에테르 결합을 함유할 수 있는 탄소수 2 내지 20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a" 및 "b"는 각각 상기 화학식 (1c) 및 (1d)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의 몰수를 나타내며 하기 수학식(1)을 만족시킨다 :
    0.01<b/a<1.0 (1)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에서 "Ar"이 p-페닐렌기 또는 2,6-나프틸렌이고; "R"은 상기 화학식(1a)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이고; "p"는 2이고; "m" 및 "n"은 0인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를 용융-방사시키고, 얻어진 섬유를 1.5 이상의 연신비로 연신시킨 다음, 40℃ 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시키는 단계들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탄성 섬유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 성분의 함량이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30 내지 95중량% 범위내의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탄성 섬유 제조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에서 "Ar"이 p-페닐렌기 또는 2,6-나프틸렌기이고; "R"은 상기 화학식(1c) 및 (1d)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이고; 상기 화학식(1c)의 "j"는 0이고; 화학식(1d)의 "R6"는 에틸렌기이며; 상기 수학식(1)를 만족시키는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를 용융-방사시키고, 얻어진 섬유를 1.5 이상의 연신비로 연신시킨 다음, 40℃ 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시키는 단계들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탄성 섬유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마가 하기 수학식(2)를 만족하는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탄성 섬유의 제조 방법 :
    0.05<a/(a+b+c)<0.6 (2)
    (식 중, "c"는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 성분의 몰수를 나타내고; "a" 및 "b"는 상기 화학식(1c) 및 (1d)에 정의된 바와 동일하다)
  19. 400% 신장 후의 잔류 신장도가 100% 이하인, 제14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탄성 섬유.
  20. 400% 신장후 잔류 신장도고 100% 이하이고 파단점 강도가 0.5g/de 이상인, 제14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탄성 섬유.
  21. 화학식(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로 주로 이루어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성분인 경질 세그먼트, 및 500 내지 5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 성분인 연질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탄성 섬유 제조 방법에 사용하기 적합한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로서;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의 함량이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30 내지 95중량% 범위 내이고; 35℃의 측정 온도에서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Ⅳ)의 고유점도(페놀/1,1,2,2-테트라클로로에탄=4/6(중량%)의 측정 용매 사용)가 0.5 내지 13.0의 범위내에서;
    상기 화학식 (1)에서 "Ar" 방향족 고리내 수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알킬기 및/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기를 나타내고, "R"은 하기 구성 단위 (A)로 표시되는 구성단위 : (A) 하기 화학식(1a)
    (식 중, "p"는 2 내지 4의 정수이고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m" 및 "n"은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다)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22. 화학식(I)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로 이루어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성분인 경질 세그먼트, 및 500 내지 5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 성분인 연질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탄성 섬유 제조 방법에 사용하기 적합한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로서;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의 함량의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30 내지 95중량% 범위 내이고 35℃의 측정 온도에서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Ⅳ)의 고유점도 (페놀/1,1,2,2-테트라클로로에탄=4/6(중량%)의 측정 용매 사용)가 0.5 내지 13.0의 범위내이며;
    상기 화학식 (1)에서 "Ar" 방향족 고리내 수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알킬기 및/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기를 나타내고, "R"은 하기 (B)로 표시되는 구성단위 : (B) 하기 화학식(1b)
    (식중 "q"는 2 내지 4의 정수이고,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k" 및 "l"은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다) 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23. 경질 세그먼트로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성분 및 연질 세그먼트지로서 500 내지 5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 성분으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탄성 섬유 제조 방법에 사용하기 적합한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로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가 화학식(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로 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상기 화학식(1)에서 "Ar"은 방향족 고리내 수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알킬기 및/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기를 나타내고, "R"은 하기(C)로 표시되는 구성단위 : (C) 하기 하학식(1a) 및 (1d)
    (식중, "R5"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j"는 0 내지 4의 정수이고; "R6"는 분자쇄내에 에테르 결합을 함유할 수 있는 탄소수 2 내지 20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a" 및 "b"는 각각 상기 화학식 (1c) 및 (1d)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의 몰수를 나타내고 하기 수학식(1)을 만족시키며 :
    0.01<b/a<1.0 (1)
    (식중, "a" 및 "b"는 폴리(알키렌옥시드)글리콜 성분의 목수(c)임)하기 수학식(2)를 만족하는,
    0.05<a/(a+b+c)<0.6 (2)
    35℃의 측정 온도에서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Ⅳ)의 고유점도(페놀/1,1,2,2-테트라클로로에탄=4/6(중량%)의 측정 용매 사용)가 0.5 내지 13.0 의 범위내인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탄성 섬유의 제조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706445A 1995-03-24 1996-03-21 탄성섬유,그의제조방법및그에사용된폴리에스테르엘라스토머 KR1003063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608695 1995-03-24
JP95-66086 1995-03-24
JP6751995 1995-03-27
JP95-67519 1995-03-27
PCT/JP1996/000729 WO1996030427A1 (fr) 1995-03-24 1996-03-21 Fibres elastiques, procede de fabrication et elastomere de polyester a employer a cet eff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3452A true KR970703452A (ko) 1997-07-03
KR100306316B1 KR100306316B1 (ko) 2001-11-15

Family

ID=26407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6445A KR100306316B1 (ko) 1995-03-24 1996-03-21 탄성섬유,그의제조방법및그에사용된폴리에스테르엘라스토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53878A (ko)
EP (1) EP0771831B1 (ko)
KR (1) KR100306316B1 (ko)
CA (1) CA2185254A1 (ko)
DE (1) DE69633047T2 (ko)
TW (1) TW302401B (ko)
WO (1) WO19960304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624B1 (ko) * 1997-04-25 2004-08-02 주식회사 코오롱 저강력고신도의폴리에스테르섬유및그의제조방법
US6562457B1 (en) 2001-10-31 2003-05-1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ether ester elastomer comprising polytrimethylene ether ester soft segment and tetramethylene ester hard segment
US6599625B2 (en) 2001-10-31 2003-07-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ether ester elastomer comprising polytrimethylene ether ester soft segment and trimethylene ester hard segment
TWI596133B (zh) 2016-06-03 2017-08-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聚酯彈性體
CN113061324A (zh) * 2021-03-26 2021-07-02 东莞易昌塑胶布业有限公司 高强度形状记忆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高抗张力网布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933319A (en) * 1968-12-04 1973-09-11 Sumoto Misao Melt spinning elastic polyester polyether block copolymer
US3865869A (en) * 1973-05-21 1975-02-11 Ici America Inc Water-soluble dielectric resins
JPS5337920B2 (ko) * 1973-12-21 1978-10-12
JPS5777317A (en) * 1980-10-29 1982-05-14 Toray Ind Inc Production of elastic fiber
JPS5945349A (ja) * 1982-09-09 1984-03-14 Teijin Ltd ポリエーテルエステル弾性糸
JPS5945350A (ja) * 1982-09-09 1984-03-14 Teijin Ltd 弾性糸
JPH04370219A (ja) * 1991-06-12 1992-12-22 Teijin Ltd ポリエーテルエステルブロック共重合体弾性糸
JP3056603B2 (ja) * 1992-11-13 2000-06-26 帝人株式会社 新規ポリエステル及びそれからなる繊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6030427A1 (fr) 1996-10-03
EP0771831A1 (en) 1997-05-07
CA2185254A1 (en) 1996-09-25
KR100306316B1 (ko) 2001-11-15
US5853878A (en) 1998-12-29
EP0771831B1 (en) 2004-08-04
DE69633047D1 (de) 2004-09-09
EP0771831A4 (en) 1998-08-12
TW302401B (ko) 1997-04-11
DE69633047T2 (de) 200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10340T2 (de) Polyetheresterelastomer mit polytrimethylenether-weichsegment und tetramethylenester-hartsegment
KR900003241A (ko) 열가소성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 탄성중합체
KR870004173A (ko) 방오염성 폴리에스테르섬유
KR970703452A (ko) 탄성 섬유,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사용된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elastic fibers,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polyester elas-tomer to be used therein)
EP0366102A2 (en) Polyether-ester block copolymer and filaments formed therefrom
JPS6344842B2 (ko)
KR970007687B1 (ko) 고수축 폴리에스테르 섬유 제조방법
KR0124978B1 (ko)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탄성사
Rao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the polyester made from 1, 1′-bis (3-methyl-4-hydroxyphenyl) cyclohexane with isophthalic/terephthalic acids
KR970015807A (ko) 폴리에스터계 해도형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KR100529156B1 (ko) 내후성이 개선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공중합체
GB1263822A (en) Production of elastic filaments and yarn
JPH05202176A (ja) ポリエーテルエステル系弾性体
KR930000116B1 (ko)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US3230200A (en) Synthetic linear condensation polyesters suitable for making wash-wear fabrics
KR0132280B1 (ko)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970006563A (ko)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의 제조방법
KR970043392A (ko)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탄성사의 제조방법
KR960007648A (ko) 2차 비선형광학 특성을 나타내는 무정형 아미드 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S599216A (ja) 優れた発色性を有するポリエステル繊維
KR940002279A (ko) 추출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KR870000746B1 (ko) 공중합 폴리에스텔 섬유의 제조방법
KR900008075A (ko) 개질폴리에스테르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960007608B1 (ko)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공중합체의 제조밥법
KR930011338B1 (ko) 강도가 우수한 고수축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