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67851A - 강자성체 비휘발성 메모리 셀 및 메모리 셀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강자성체 비휘발성 메모리 셀 및 메모리 셀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67851A
KR970067851A KR1019970007377A KR19970007377A KR970067851A KR 970067851 A KR970067851 A KR 970067851A KR 1019970007377 A KR1019970007377 A KR 1019970007377A KR 19970007377 A KR19970007377 A KR 19970007377A KR 970067851 A KR970067851 A KR 970067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insulating layer
drain
conductivity
drain reg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7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이. 쥬니어 존슨
웨인 엠. 폴슨
Original Assignee
빈센트 비. 인그라시아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빈센트 비. 인그라시아,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빈센트 비. 인그라시아
Publication of KR970067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785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0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the substrate comprising an insulating body on a semiconductor body, e.g. SOI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1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53/0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capaci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53/0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capacitors
    • H10B53/3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capacitor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Abstract

기판의 일부분인 절연충(32)위에 FENVM 어레이를 형성한다. 절연층(32)은 어레이의 메모리 셀내의 데이터가 공통의 상태하에서 혼란하게 되는 것을 줄이기 위해 메모리내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영역(54,55,56,57,134,140,142,144,146)과 접촉한다. 소스/드레인 영역(54,55,56,57,134,136,138,140,142,144,146)이 절연층(32)과 접촉하기 때문에 소스/드레인 영역의 접합 캐패시턴스는 줄어든다. 메모리 셀은 벌크 기판내에 형성된 메모리 셀에 비해 판독(액세스) 및 기입 시간이 더 짧다. 래치 업(latch up)과 같은 것을 줄이는데 필요한 가아드 링(guard ring)과 다른 기판이 불필요하다. 일실시예에서, 필드 절연 영역은 메모리 셀들 사이에 있는 트랜지스터를 위한 액티브 영역 각각의 주위를 측면으로 감싸지 않는다. 그러므로, 메모리 어레이의 크기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강자성체 비휘발성 메모리 셀 및 메모리 셀 형성 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도 5는 2개의 트랜지스터를 형성한 후의 도 4의 기판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강자성체 캐패시터를 절연층위에 형성한 후에 도 5의 기판에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거의 완성된 FENVM 셀을 형성한 후의 도 6의 기판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FENVM 셀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 도 9는 도핑이 이루어진 후의 도 3의 기판 일부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4개의 트랜지스터을 형성한 후의 도 9의 기판에 대한 단면도, 도 11은 전도성 부재를 소스/드레인 영역위에 형성한 후의 도 10의 기판에 대한 단면도, 도 12는 절연층과 접촉 플러그를 형성한 후의 도 11의 기판에 대한 단면도, 도 13은 강자성체 캐패시터를 형성하는 후의 도 2의 기판에 대한 단면도, 도 14는 제1 레벨의 상호접속을 형성한 후의 도 13의 기판에 대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거의 완성된 장치를 형성한 후의 도 14의 기판에 대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거의 완성된 장치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

Claims (4)

  1. 강자성체 비휘발성 메모리 셀(90)에 있어서, 반도체 기초 재료(30); 상기 반도체 기초 재료(30)위에 놓인 제1 절연층(32); 상기 제1 절연층(32)위에 놓이며 제1 전도성을 갖는 제1 액티브 영역(44); 상기 제1 절연층(32)위에 놓이며 상기 제1 전도성과 반대인 제2 전도성을 갖는 제2 액티브 영역(46); 제1 소스/드레인 영역(55)과제2 소스/드레인 영역(54); 상기 제1 및 제2 소스/드레인 영역(55,54)은 제1액티브 영역(44)내에 있으며 또한 서로 공간적으도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소스/드레인 영역(55,54)은 제2 전도성을 가지며, 제3 소스/드레인 영역(56)과 제4소스/드레인 영역(57); 상기 제3 및 제4 소스/드레인 영역(56,57)은 제2 액티브 영역(46)내에 있으며 또한 서로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3 및 제4 소스/드레인 영역(56,57)은 제1 전도성을 가지며, 제1 및 제2 액티브 영역(44,46)위에 각각 놓이는 제1 게이트 전극(52); 제2게이트 전극(52); 상기 제1 및 제2 액티브 영역(44,46)과 제1 및 제2 게이트 전극(52)위에 놓이는 제2 절연층(61); 상기 제2 절연층(61)위에 놓이며 제1 캐패시터 전극(92)과 제2 캐패시터 전극(923)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캐패시터 전극(921,923)중하나는 제1 및 제3 소스/드레인 영역(55,5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강자성체 캐패시터(9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자성체 비휘발성 메모리 셀.
  2. 강자성체 비휘발성 메모리 셀(302)에 있어서, 반도체 기초 재료(30); 상기 반도체 기초 재료(30)위에 놓인 제1 절연층(32); 상기 제1 절연층(32)위에 놓이며 제1 전도성을 갖는 제1 액티브 영역(118); 상기 제1 절연층(32)위에 놓이며 상기 제1 전도성과 반대인 제2 전도성을 갖는 제2 액티브 영역(120); 상기 제1 절연층(32)위에 놓이며 제1 전도성을 갖는 제3 액티브 영역(118); 상기 제1 절연층(32)위에 놓이며 제2 전도성을 갖는 제4 액티브 영역(120); 제1 소스/드레인 영역(136)과 제2 소스/드레인 영역(134); 상기 제1 및 제2 소스/드레인 영역(136,134)은 제1 액티브 영역(118)내에 있으며 또한 서로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소스/드레인 영역(136,134)은 제2 전도성을 가지며, 제3 소스/드레인 영역(142)과 제4소스/드레인 영역(144); 상기 제3 및 제4 소스/드레인 영역(142,144)은 제2 액티브 영역내에 있으며 또한 서로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3 및 제4 소스/드레인 영역(142,144)은 제1 전도성을 가지며, 제5 소스/드레인 영역(136)과 제6소스/드레인 영역(134); 상기 제5 및 제6 소스/드레인 영역(136,134)은 제3 액티브 영역내(118)에 있으며 또한 서로 공간적으로 떨어져 위치하며, 상기 제5 및 제6 소스/드레인 영역(136,134)은 제2 전도성을 가지며, 제7 소스/드레인 영역(142)과 제8소스/드레인 영역(144); 상기 제7 및 제8 소스/드레인 영역(142,144)은 제4 액티브 영역(120)내에있으며 또한 서로 공간적으로 떨어져 위치하며, 상기 제7 및 제8 소스/드레인 영역(142, 144)은 제1 전도성을가지며, 상기 제1, 제2, 제3, 제4 액티브 영역(118,120)위에 각각 놓이는 제1게이트 전극(52), 제2 게이트 전극(52), 제3 게이트 전극(52) 제4 게이트 전극(52); 상기 제1,제2,제3,제4 액티브 영역(118,120)과 상기 제1,제2,제3,제4 게이트 전극(52)위에 놓이는 제2 절연층 (61): 상기 제2 절연층(61)위에 놓이며 제1 캐패시터 전극(921)과 제2 캐패시터 전극(923)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캐패시터 전극(921,923)중 하나는 제1 및 제3 소스/드레인 영역(136,14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강자성체 캐패시터(156);상기 제2 절연층(61)위에 놓이며 제3 캐패시터 전극(921)과 제4 캐패시터 전극(923)을 가지며, 상기 제3 및 제4 캐패시터 전극(921,923)중 하나의 제5 및 제7 소스/드레인 영역(136,14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강자성체 캐패시터(1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자성체 비휘발성 메모리 셀.
  3. 강자성체 비휘발성 메모리 셀(80) 형성 방법에 있어서, 반도체 기초 재료 (30); 상기 반도체 기초 재료(30)위에 놓인 제1 절연층(32); 상기 제1 절연층(32)위에 놓이며 제1 전도성을 갖는 제1 액티브 영역(44); 상기 제1 절연층(32)위에 놓이며 상기 제1 전도성과 반대인 제2 전도성을 갖는 제2 액티브 영역(46)을 구비하는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제1 게이트 전극(52)과 제2 게이트 전극(52)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전극들(52)은 상기 제1 및 제2 액티브 영역(44,46)위에 각각 놓이며, 상기 제1 액티브 영역(44)내에 제1 소스/드레인 영역(55)과 제2 소스/드레인 영역(54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소스/드레인 영역(55,54)은 서로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으며,상기 제1 및 제2 소스/드레인 영역(55,54)은 제2 전도성을 가지며,상기 제2 액티브 영역(46)내에 제3 소스/드레인 영역(56)과 제4소스/드레인 영역(57)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제3 및 제4 소스/드레인 영역 (56,57)은 서로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3 및 제4 소스/드레인 영역 (56,57)은 제1 전도성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엑티브 영역(44,46)과 제1및 제2 게이트 전극(52)위에 놓이는 제2 절연층(61)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절연층(61)위에 놓이며 제1 캐패시터 전극(92)과 제1 캐패시터 전극(923)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캐패시터 전극 중하나는 제1 및 제3 소스/드레인 영역(55,5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강자성체 캐패시터(92)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자성체 비휘발성 메모리 셀 형성방법.
  4. 강자성체 비휘발성 메모리 셀(302) 형성 방법에 있어서, 반도체 기초 재료 (30); 상기 반도체 기초 재료(30)위에 놓인 제1 절연층(32); 상기 제1 절연층(32)위에 놓이며 제1 전도성을 갖는 제1 액티브 영역(118);상기 제1 절연층(32)위에 놓이며 제1 전도성과 반대인 제2 전도성을 갖는 제2 액티브 영역(120), 상기 제1 절연층(32)위에 놓이며 제1 전도성을 갖는 제3 액티브 영역(118); 상기 제1 절연층(32)위에 놓이며 제2 전도성을 갖는 제4 액티브 영역(120),을 구비하는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상기 제1,제2,제3,제4 액티브 영역(118,120)위에 제1게이트 전극(52), 제2 게이트 전극(52), 제3 게이트 전극(52) 제4 게이트 전극(52)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제1 소스/드레인 영역(136)과 제2 소스/드레인 영역(134),제3 소스/드레인 영역(136), 제4소스/드레인 영역(134)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소스/드레인 영역(136,134)은 제1 액티브 영역(118)내에 있으며 또한 서로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3 및 제4 소스/드레인 영역(136,134)은 제3 액티브 영역(136)내에 있으며 또한 서로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1,제2,제3,제4 소스/드레인 영역(136,134)은 제2 전도성을 가지며, 제5 소스/드레인 영역 (142), 제6 소스/드레인 영역(144), 제7 소스/드레인 영역(142), 제8 소스/드레인 영역(144)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5 및 제6 소스/드레인 영역(142,144)은 제2 액티브 영역(120)내에 있으며 또한 서로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7 및 제8 소스/드레인 영역 (142,144)은 제4 액티브 영역(120)내에 있으며 또한 서로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5, 제6, 제7, 제8 소스/드레인 영역(142, 144)은 제1 정도성을가지며, 상기 제1, 제2, 제3, 제4 소스/드레인 영역(118,120)과 상기 제1,제2,제3,제4 게이트 전극 (52)위에 제2 절연층(61)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절연층(61)위에 제1 강자성체 캐패시터(156)과 제2 강자성체 캐패시터(156)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강자성체 캐패시터(156)는 제1 캐패시터 전극 (921)과 제2 캐패시터 전극 (923)을 가지며,상기 제1 및 제2 캐패시터(921,923)중 하나는 제1 및 제4 소스/드레인 영역(136,14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제2 강자성체 캐패시터(156)는 제3 캐패시터 전극(921)과 제4 캐패시터 전극 (923)을 가지며 상기 제3 및 제4 캐패시터 전극(921,923)중 하나는 제3 및 제7 소스/드레인 영역(136,14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제1 및 제2 강자성체 캐패시터(156)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자성체 비휘발성 메모리 셀 형성 방법.
KR1019970007377A 1996-03-01 1997-03-03 강자성체 비휘발성 메모리 셀 및 메모리 셀 형성 방법 KR9700678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969596A 1996-03-01 1996-03-01
US609,695 1996-03-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7851A true KR970067851A (ko) 1997-10-13

Family

ID=24441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7377A KR970067851A (ko) 1996-03-01 1997-03-03 강자성체 비휘발성 메모리 셀 및 메모리 셀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793274A1 (ko)
JP (1) JPH1022466A (ko)
KR (1) KR97006785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7012B2 (ja) * 1998-03-24 2011-07-20 ローム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268424B1 (ko) * 1998-08-07 2000-10-16 윤종용 반도체 장치의 배선 형성 방법
EP0996160A1 (en) 1998-10-12 2000-04-26 STMicroelectronics S.r.l. Contact structure for a semiconductor device
JP2000174219A (ja) * 1998-12-01 2000-06-23 Rohm Co Ltd 強誘電体メモリ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067605A1 (en) * 1999-07-05 2001-01-10 STMicroelectronics S.r.l. Ferroelectric memory cell and corresponding manufacturing method
IT1314025B1 (it) 1999-11-10 2002-12-03 St Microelectronics Srl Processo per sigillare selettivamente elementi capacitoriferroelettrici compresi in celle di memorie non volatili integrate su
US6404667B1 (en) * 2000-09-11 2002-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2T-1C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1207558A1 (en) 2000-11-17 2002-05-22 STMicroelectronics S.r.l. Contact structure for ferroelectric memory device
KR20020058570A (ko) * 2000-12-30 2002-07-12 박종섭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0433296C (zh) 2001-04-19 2008-11-12 St微电子公司 半导体集成器件的接触装置
JP4368085B2 (ja) * 2002-01-08 2009-11-18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12151169A (ja) * 2011-01-17 2012-08-09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0880B2 (ja) * 1990-10-09 1999-08-25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359219A (en) * 1992-12-04 1994-10-2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ilicon on insulator device comprising improved substrate doping
JPH0722517A (ja) * 1993-06-22 1995-01-24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373463A (en) * 1993-07-06 1994-12-13 Motorola Inc. Ferroelectric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having drive line seg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93274A1 (en) 1997-09-03
JPH1022466A (ja) 199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1837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cross-point DRAM cell structure
KR910019237A (ko) 커패시터 dram 셀의 제조방법
TW365065B (en) Embedded memory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910020904A (ko) 반도체기억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850007719A (ko) 콘덴서 내장형 메모리셀을 갖춘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920010904A (ko) 반도체 기억회로 장치와 그 제조방법
KR840007312A (ko) 적층 캐패시터형 메모리셀을 갖춘 반도체 기억장치
CA1270328C (en) SEMICONDUCTOR MEMORY WITH TWIN CAPACITOR TYPE CELLS
KR930003329A (ko) 반도체집적회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970008611A (ko) 반도체 기억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950007122A (ko) 반도체집적회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860008609A (ko) 반도체 기억장치와 제조방법
KR940008099A (ko) 적층 캐패시터 셀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KR970067851A (ko) 강자성체 비휘발성 메모리 셀 및 메모리 셀 형성 방법
JPS5949710B2 (ja) 集積回路のコンデンサ
KR920008929A (ko) 반도체 기억장치와 그 제조방법
KR970077655A (ko) 디램 셀, 디램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340074B1 (ko) 넓은 액티브영역 상부에 위치한 강유전체 커패시터를 갖는강유전체 기억소자
KR850005172A (ko) 직렬접속한 misfet와 캐파시터를 가진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
CN110390119B (zh) 感测放大器的布局图
CN112599496A (zh) 用于双晶体管静态随机存取存储器的位线结构
KR880011808A (ko) 불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
KR960012495A (ko) 메모리 셀용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캐패시터
US4115871A (en) MOS random memory array
US5747843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