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1347B1 -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1347B1
KR970011347B1 KR1019950702078A KR19950702078A KR970011347B1 KR 970011347 B1 KR970011347 B1 KR 970011347B1 KR 1019950702078 A KR1019950702078 A KR 1019950702078A KR 19950702078 A KR19950702078 A KR 19950702078A KR 970011347 B1 KR970011347 B1 KR 970011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represented
cleaning composition
component
hydrogen a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2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4461A (ko
Inventor
지카코 마츠모토
다다시 모리야마
다카토시 고바야시
유이치 히오키
다카시 이마무라
Original Assignee
가오오, 가부시키가이샤
도키와 후미가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오오, 가부시키가이샤, 도키와 후미가츠 filed Critical 가오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704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4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1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3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37Mixtures of compounds all of which are ani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04Carboxylic acids or salts thereof
    • C11D1/06Ether- or thioether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04Carboxylic acids or salts thereof
    • C11D1/10Amino carboxylic acids; Imino carboxylic acids; Fatty acid condensat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34Derivatives of acids of phosphorus
    • C11D1/345Phosphates or phosphi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세정제 조성물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세정제 조성물, 더 상세하게는 피부등에 대한 자극이 적고 기포성이 우수하며, 거품의 질이 크림 같으며 또한 경수에 사용하여도, 세정후의 피부에 양호한 감촉을 부여할 수 있는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관련기술의 기술
종래, 세정제용 계면활성제로서, 고기포성(高起泡性)이라는 특징을 가지는 알킬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황산에스테르염, 알킬벤젠술폰산염, α-올레핀술폰산염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정도의 차는 있으나, 어느것이나 피부자극성을 가지며, 연용하면 피부를 거칠게 하는 결점이 있다.
이것에 대하여 모노알킬인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는 저자극성으로 기포성이나, 거품의 질이 양호한 것이나, 경수로 해당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면, 인산 에스테르의 Ca염이 생성하여, 헹굼질을 한후도, 해당 Ca염이 피부에 잔류하기 때문에, 피부에 약간 건조한 감촉을 주는 문제가 있다.
알킬사카라이드계 계면활성제, 술포숙신산계 계면활성제, 에테르 카르복실산제, 계면활성제, 아미드에테르 카르복실산계 계면활성제도, 저자극성 계면활성제로서 알려져 있다.
알킬사카라이드계 계면활성제는 고기포성이나 세정시나 헹굼시에 강한 삐걱 거림을 나타낸다. 이 때문에, 알킬사카라이드계 계면활성제를 양이온 폴리머등의 컨디셔닝제와 병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지만, 그것을 샴푸등에 다량으로 배합하는 것을 기술적으로 용이하지 않다. 술포숙신산계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는 기포성이 결핍되기 때문에, 다른 계면활성제와 병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리고 실용상으로도 술포숙신산계 에스테르계는 다른 계면활성제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것이 많다. 시판되고 있는 에테르 카르복실산계 계면활성제나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계 계면활성제도 기포성이 결핍되고, 고기포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있어서는 보조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되는 데에 머물고 있다.
상기 저자극성 계면활성제중,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계 계면활성제는 독일 Chem Y사로 부터 「아키포 (Akypo)」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아키포」는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 및 그의 원료인 아미드 에테르에 가하여, 원료에서 유래하는 불순물인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에테르카르복실산, 무기염류등을 함유한다.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계 계면활성제의 세정제 조성물에의 응용에 관한 기술로서는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과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황산에스테르,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고급알코올 알킬렌 옥시드 부가물, 아실사르코시네이트등을 조합하여 이루어진 세정제 조성물(유럽특허공개 제102118호 공보, 1984년 3월 7일 발행),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계 계면활성제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황산에스테르를 병용하는 방법, 유지를 출발원료로서 합성된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과 라우릴황산 에스테르, 라우릴 에테르 황산에스테르, 알킬에테르 카르복실산, 라우릴산과 글리시딜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서 이루어진 4급 화합물을 조합한 거품 목욕용제, 샴푸용제, 샤워용제등, 비누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이나 알킬에테르 카르복실산염도 함유하여 이루어진 세정제 조성물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세정제는 어느 것이나 기포성의 점에서 아직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등에 대한 자극이 적고, 고기포성으로 거품의 질이 크림 같으며 또한 경수에 사용하여도 세정후의 피부에 양호한 감촉을 부여할 수 있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이러한 실상에 있어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예의 연구를 행하였다. 그결과 본 발명자들은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와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이 피부등에 저자극성으로, 고기포성으로, 거품의 질이 크림 같으며, 또한 경수에 사용하여도 세정후의 피부의 감촉에 우수한 것으로, 다시 아미드 에테르를 병용하면, 기포성이나 기포질이 한층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 발견에 의거하여 완성되었다. 즉 본 발명은 하기 성분(A) 및 (B)로 이루어진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성분(A) : 하기식(I)으로 나타내는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1), 또는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1)와 하기식(2)으로 나타내는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2)와의 혼합물로서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2)에 대한 인산에스테르계의 계면활성제(1)의 중량비가 100/0~70/30인 것;
식중, R1은 탄소수 6~24의 직쇄 또는 분지쇄알킬 또는 알렌일기를 나타내며, X1및 Y는 각각 수소원자, 알칼리금속원자, 1/2(알칼리 토류 금속원자), 암모늄기, 알칸올 암모늄기 또는 하나의 수소원자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기를 나타내며, 그리고
식중, R2및 R3는 각각 탄소수 6~24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알켄일기를 나타내며, X2는 수소원자, 알칼리 금속원자, 1/2(알칼리 토류 금속원자), 암모늄기, 알칸올 암모늄기 또는 하나의 수소원자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기를 나타내며, 및 성분(B) : 하기식 (3-1)으로 나타내는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 및 하기식 (3-2)으로 나타내는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3), 또는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3)과 하기식 (4-1)으로 나타내는 아미드 에테르 및 하기식 (4-2)으로 나타내는 아미드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미드 에테르(4)와의 혼합물로서 아미드 에테르(4)에 대한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3)의 중량비가 100/0~10/90인 것;
식중, M은 수소원자, 알칼리금속원자, 1/2(알칼리 토류 금속원자), 암모늄기, 알칸올 암모늄기 또는 1개의 수소원자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기를 나타내며, R4는 탄소수 5~23의 직쇄 또는 분재쇄 알킬 또는 알켄일기, 또는 탄소수 5~23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또는 알켄일기를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페닐기를 나타내며, R5a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R5b는 -(CH2CH2O)P-2-CH2COOM, (식중 M은 상기 정의와 같다), 또는 -(CH2CH2O)P-3-H를 나타내며, p-a는 1~20의 수를 나타내며, p-1, p-2, p-3은 각각 1 이상의 수를 나타내며, 그리고 (p-1)+{x(p-2)+y(p-3)}(식중, x와 y는 각각 0~1로 또한 x+y=1을 만족하는 수이다)를 의미하는 p-b는 2~20의 수를 나타내며, 그리고
식중, R4및 R5a는 각각 상기 정의와 같으며, q-a는, 1~20의 수를 나타내며, q-1 및 q-2는, 각각 1 이상의 수를 나타내며, 그리고 (q-1)+(q-2)로 나타내는 q-b는 2~20의 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더욱, 하기식 (5)으로 나타내는 글리세린 유도체(5)를 성분(B)와 글리세린 유도체(5)의 합계 중량을 기준으로하여 5중량% 이하의 양으로 함유하여도 좋다.
식중, R6은 -(CH2CH2O)r-1-CH2COOH(식중, M은 상기 정의와 같다), 또는 -(CH2CH2O)s-1-H를 나타내며, R7은 -(CH2CH2O)r-2-CH2COOM(식중, M은 상기 정의와 같다), 또는 -(CH2CH2O)s-2-H를 나타내며, R8은 -(CH2CH2O)r-3-CH2COOM(식중, M은 상기 정의와 같다), 또는 -(CH2CH2O)r-3-H를 나타내며, r-1, s-1, r-2, s-2, r-3 및 s-3은 각각 0 또는 정수이며, {x1(r-1)+y1(s-1)}+{x2(r-2)+y2(s-2)}+{x3(r-3)+y3(s-3)} (식중 x1과 y1은 각각 0~1이며 또한 x1+y1=1를 만족하는 수, x2는 y2는 각각 0~1이며 또한 x2+y2=1을 만족하는 수, x3와 y3는 각각 0~1이며 또한 x3+y3=1를 만족하는 수이다)를 의미하는 z는 0~57의 수이다.
또 본 발명은 성분(A)은 상기와 같으며, 단 R1, R2및 R3는 각각 탄소수 8~18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알켄일기를 나타내며, X1, X2및 Y는 각각 수소원자, 알칼리금속원자, 트리에탄올 암모늄기 또는 암모늄기를 나타내며, 성분(B)이 식(3-1)으로 나타내는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 만으로 이루어지고, 단, R4는 탄소수 8~18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알켄일기를 나타내며, R5a는 수소원자를 나타내며, M은 수소원자, 알칼리 금속원자, 트리에탄올 암모늄기 또는 암모늄기를 나타내며 p-a는 3~15의 수를 나타내며, 세정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은 하기성분(A') 및 (B')를 필수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성분(A') : 하기식(1')으로 표시되는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 또는 이것과 하기식(2')으로 나타내는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와의 혼합물로서, 그의 함유 중량비가 (1')/(2')=100/0~70/30인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 ;
식중, R1, R2및 R3은 각각 탄소수 8~18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알켄일기를 나타내며, X1, X2및 Y는 각각 수소원자, 알칼리금속원자,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암모늄을 나타내며, 그리고 성분(B') : 하기식(3')으로 나타내는 에트르형의 아세트산계 계면활성제
R4-CONH-(CH2CH2O)p-CH2COM…(3')
식중, R4는 탄소수 8~18의 직쇄 또는 분지쇄알킬 또는 알켄일기를 나타내며, M은 수소원자, 알칼리금속원자,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암모늄을 나타내며, p는 3~15의 수를 나타낸다.
상기 성분(A') 및 (B')를 필수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중에서, X1, X2, Y 및 M이 각각 알칼리금속원자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성분(A)으로서 사용이 되는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는 식 (1) 및 (2)로 나타낸다.
식(1) 중의 R1및 식(2) 중의 R2및 R3은 각각 탄소수 6~24의 직쇄 또는 분지쇄알킬 또는 알켄일기를 나타내지만, 탄소수 8~18의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12~14의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탄소수 12~14의 알킬리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알킬 또는 알켄일기의 예로서는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트리데실기, 테트라데실기, 펜타데실기, 헵타데실기, 옥타데실기를 들 수 있다.
식(1) 중의 X1및 Y, 및 식(2)중의 X2는 각각 수소원자, 알칼리금속원자, 1/2(알칼리토류금속원자), 예컨대, 1/2Ca2+, 암모늄기, 알칸올암모늄기 또는 1개의 수소원자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기를 나타낸다.
알칼리금속원자의 예로서는 나트륨원자, 칼륨원자, 알칼리토류금속원자의 예로서는 마그네슘원자, 칼슘원자, 알칸올 암모늄기의 예로서는 모노에탄올 암모늄기, 디에탄올 암모늄기, 트리에탄올암모늄기를 들 수 있으며, 수소원자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기를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예로서는 아르기닌, 리신을 들 수 있다. 이들중, 알칼리금속원자, 트리에탄올 암모늄기가 바람직하며, 특히 물에 대한 용해성의 점에서 칼륨원자가 바람직하다.
성분(A)는 식(1)으로 나타내는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이하, 모노알킬 인산에스테르(1)라고함)를 모노알킬 인산에스테르(1)와 식(2)으로 나타내는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이하, 디알킬 인산에스테르(2)라고함)와의 합계량을 기준으로하여, 7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 함유한다. 모노알킬 인산에스테르(1)가 70중량% 미만에서는 얻어지는 세정제 조성물의 기포성 및 세정력이 떨어지고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성분(A)을 조성물 전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통상은 0.5~40중량%, 바람직하게는 1~2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15중량% 함유한다. 성분(A)이 적으면, 기포성이나 거품의 질(크림 같음)이 불충분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성분(B)으로서 사용되는 것은 식(3-1)으로 나타내는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 및 식(3-2)으로 나타내는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3)과 식(4-1)으로 나타내는 아미드 에테르 및 식 (4-2)으로 나타내는 이미드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미드 에테르(4)이다.
식 (3-1), (3-2), (4-1) 및 (4-2)중의 R4는 탄소수 5~23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또는 알켄일기, 또는 탄소수 5~2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알켄일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페닐기를 나타내지만, 탄소수 7~17의 알킬 또는 알켄일기, 예컨대 헵틸기, 노닐기, 운데실기, 트리데실기, 펜타데실기, 헵타데실기, 헵타데센일기, 및 이와같은 알킬 또는 알켄일기로 치환된 페닐기기 바람직하고, 탄소수 11~13의 알칼리가 특히 바람직하다.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3)은 식 (3-1)으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3-1)에 있어서 R5a는 수소원자 또는 1~3의 알킬기이다. 또 식 (3-1)중의 p-a는 옥시에틸렌기의 평균 수를 나타내며, 식 (3-1)으로 나타내는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이 후기하는 바와 같이 모노에탄올아미드로 부터 합성되는 경우는 p-a는(에틸렌 옥시드 평균부가 몰수+1)을 나타낸다. p-a는 1~15가 바람직하고, 1~10이 더욱 바람직하고, 2~7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식 (3-1)중의 M의 구체예로서는 상기 X1, X2및 Y의 구체예와 마찬가지의 것을 들 수 있다.
식 (3-2)에 있어서, R5b는 -(CH2CH2O)p-2-CH2COOM, (식중, M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또는 -(CH2CH2O)p-3-H를 나타낸다.
p-1, p-2, p-3는 각각 1 이상의 수를 나타내며, 그리고 (p-1)+{x(p-2)+y(p-3)}(식중, x와 y는 각각 0~1로 또한 x+y=1를 만족시키는 수이다.)를 의미하는 p-b는 2~20의 수를 나타낸다.
즉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이
(p-1)+(p-3)이며, 그것이 이들 2개의 식으로 나타내는 것의 혼합물인 경우는 p-b(p-1)+{X(p-2)+y(p-3)}이다.
식 (3-2)중의 p-b는 1분자중의 옥시에틸렌기의 평균수를 나타내며, 식(3-2)으로 나타내는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이 후기하는 바와 같이 디에탄올 아미드에서 합성되는 p-b는(에틴렌옥시드 평균부가 몰수+2)를 나타낸다. p-b는 2~15가 바람직하고, 2~10이 더욱 바람직하고, 2~7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식 (3-2)중의 M의 구체예로는 상기 X1, X2및 Y의 구체예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아미드 에테르(4)는 식 (4-1)으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4-1)에 있어서, R5a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이다. 또 식 (4-1)중의 q-a는 옥시 에틸렌기의 평균수를 나타내며, 식 (4-1)으로 나타내는 아미드 에테르가 후기한 바와 같이 모노에탄올아미드에서 합성되는 경우는 q-a는(에틸렌옥시드평균부가 몰수+1)을 나타낸다. q-a는 1~15가 바람직하며, 1~10이 더욱 바람직하고, 2~7이 특히 바람직하다.
식 (4-2)에 있어서, q-1 및 q-2는 각각 1 이상의 수를 나타내며, 그리고 (q-1)+(q-2)로 나타내는 q-b는 2~20의 수를 나타낸다.
식 (4-2)중의 q-b는 1 분자중의 옥시에틸렌기의 평균수를 나타내며, 식 (4-2)으로 나타내는 아미드 에테르가 후기하는 바와 같이 디에탄올 아미드에게 합성되는 경우는 q-b는(에틸렌옥시드 평균부가 몰수+2)를 나타낸다. q-b는 2~15이 더욱 바람직하고, 2~7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3)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카프르산모노에탄올아미드 폴리 옥시에틸렌에테르 아세트산 즉 모노(카프르산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아세트산(p--a=1~15), 라우르산모노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아세트산(p-a=1~15), 미리스트산모노에탄올 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아세트산(p-a=1~15), 팔미트산 모노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아세트산(p-a=1~15), 스테아르산모노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아세트산(p-a=1~15), 올레산모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테르아세트산(p-a=1~20), 베헨산모노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아세트산(p-a=1~20), 라우르산-N- 메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아세트산, 즉 모노(N-메틸라우르산 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아세트산(p-a=1~15), 미리스트산-N-메틸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아세트산(p-a=1~15), 팔미트산-N-메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아세트산(p-a=1~15), 스테아르산-N-메틸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아세트산(p-a=1~15), 라우르산디에탄올 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아세트산, 즉 라우르산아미드-N, N-디(폴리옥시에틸렌아세트산) (p-b=2~15), 미리스트산디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 아세트산(p-b=2~15), 팔미트산디에탄올 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 아세트산(p-b=2~15), 스테아르산디에탄올 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아세트산(p-b=2~15), 및 그들의 염을 들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라우르산 모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 아세트산(p-a=1~10), 미리스트산모노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아세트산(p-a=1~10), 팔미트산모노에탄올 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아세트산(p-a=1~10), 스테아르산모노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아세트산(p-a=1~10) 및 그들의 염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라우르산모노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 아세트산(p-a=2~7) 미리스트산모노에탄올 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아세트산(p-a=2~7) 및 그들의 염을 들 수 있다.
아미드 에테르(4)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카프르산모노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즉, 카프르산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q-a=1~15), 라우르산모노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q-a=1~15), 미리스트산모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q-a=1~15), 팔미트산모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q-a=1~15), 스테아르산모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q-a=1~15), 올레산모노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q-a=1~20), 베헨산모노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q-a=1~20) 라우르산-N-메틸에탄올 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즉, N-메틸라우르산 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q-a=1~15), 미리스트산-N-메틸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q-a=1~15), 팔미트산-N-메틸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q-a=1~15), 스테아르산-N-메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q-a=1~15), 라우르산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즉 라우르산아미드-N, N-디(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q-b=2~15), 미리스트산디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q-b=2~15), 팔미트산디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q-b=2~15), 스테아르산디에탄올 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q-b=2~15)를 들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라우르산모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q-a=1~10), 미리스트산모노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q-a=1~10), 팔미트산모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q-a=1~10), 스테아르산모노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q-a=1~10)를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라우르산모노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q-a=2~7), 미리스트산모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q-a=2~7)를 들 수 있다.
성분(B)은 아미도 에테르 카르복실산(3) 단독 또는 이것과 아미드 에테르(4)와의 혼합물이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성분(B)중에 있어서, 아미드 에테르(4)에 대한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3)의 중량부, 즉 (3)/(4)는 100/0~10/90이나, 99/1~10/90인 것이 바람직하고, 95/5~ 60/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2/8~70/3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미드 에테르(4)의 비율이 적어지면 얻어지는 세정제 조성물은 기포성이 뒤떨어지고, 한편 많아지면 거품이 일때 및 헹굴때의 삐걱거림이 강하고,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성분(B)으로서 사용되는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3)은 예컨대 유럽특허 제219893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 성분(B)으로서 사용되는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3)과 아미드 에테르(4)의 혼합물(이하, 아미드 에테르 유도체 혼합물이라고 한다.)은 예컨대 아미드 에테르(4)의 일부에 할로겐 아세트산을 반응시켜서 직접 제조할 수가 있거나 또는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3)에 아미드 에테르(4)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3)의 제조 중간체인 아미드 에테르(4)를 합성하는 방법의 예로서는 지방산메틸등의 지방산의 저급알킬 에스테르를 출발원료로서 사용하고 그것에 알칸올아민을 반응시켜서, 이어서 에틸렌옥시드를 부가하는 방법, 유지를 출발원료로서 사용하고, 그것에 알칸올아민을 반응시키고, 이어서 에틸렌옥시드를 부가하는 방법, 지방산을 출발원료로서 사용하고, 그것에 알칸올아민을 반응시키고, 이어서 에틸렌옥시드를 부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중, 지방산메틸등의 지방산 저급알킬 에스테르를 출발원료로서 사용하는 방법이 생성물의 착색이 적고, 불순물인 글리세린유도체(5)가 실질적으로 혼합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다른 방법, 예컨대 야자유를 출발원료로서 사용하고, 그것에 직접 알칸올아민을 반응시킨 후, 에틸렌옥시드를 부가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유지에 유래하는 글리세린유도체(5)가 많이 생성되어 아미드 에테르(4) 나아가서는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3)의 수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지방산을 출발원료로서 사용하고, 그것에 알칸올아민을 반응시키는 방법의 경우, 아미드화 반응이 고온이기 때문에 착색이 현저하고, 바람직하지 않다.
성분(B)로서 사용하는 아미드 에테르 유도체 혼합물을 직접 합성하는 경우,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3)과 아미드 에테르(4)의 비율은 아미드 에테르(4)에 모노할로아세트산 알칼리금속염등을 반응시킬 때의 몰이나 혼합방법등의 반응조건을 선택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성분(B)을 합성할 때, 그 반응생성물 중에는 그 제법에 기인하여 상기의 글리세린 유도체(5)가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와같은 반응생성물로서, 성분(B)과 글리세린 유도체(5)의 합계중량을 기준으로하여 5중량% 이하의 양으로 글리세린 유도체(5)를 포함하는 것 또는 반응생성물의 고형분 중량을 기준으로하여 5중량% 이하의 양으로 글리세린 유도체(5)를 함유하는 것을 사용하여 제조된 세정제 조성물도,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포함이 된다.
여기서 상기 식(5)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식(5)중의 R6에 대하여 설명한다.
x1=1, y1=0, R6은 -(CH2CH2O)r-1-CH2COOM으로 나타내며, 또한 r=1=0 일때, R6는 -CH2COOM으로 나타낸다. 한편 x1=0, y2=1일때, R6은 -(CH2CH2O)s-1-H로 나타내며, 또한 s-1=0일때, R6은 수소원자를 나타낸다. R6으로서, -(CH2CH2O)r-1-CH2COOM으로 나타내는 기와 -(CH2CH2O)s-1-H로 나타내는 기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 바꾸어 말하면, 글리세린 유도체(5)가 R6이 -(CH2CH2O)r-1-CH2COOM인 화합물과, R6이 -(CH2CH2O)s-1-H인 화합물과의 혼합물인 경우는, x1과 y2는 x1+y2=1을 만족하는 조건하에서, 각각 0초과 1미만의 수를 나타낸다. R7및 R8에 대하여도 R6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 에틸렌옥시드의 부가는 랜덤하게 일어나므로, 식(5)에 있어서, r-1, s-1, r-2, s-2, r-3, s-3은 각각 특정되지 않고, {x1(r-1)+y1(s-1)}+{x2(r-2)+y2(s-2)}+{x3(r-3)+y3(s-3)}으로 나타내며 글리세린유도체(5) 일분자당 에틸렌옥시드 평균부가 몰수를 나타내는 z는 0 내지 57의 수로 규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성분(B)을 함유하는 용액, 예컨대 반응생성물 혼합물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을 조제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그와 같은 용액으로서,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3)과 아미드 에테르(4)의 합계량이 그와 같은 용액으로서,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3)과 아미드 에테르(4)의 합계량이 그와 같은 용액의 고형분 중량을 기준으로하여 50중량%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고, 60중량% 이상의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70중량% 이상의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80중량% 이상의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고형분」은 칼 피셔(Karl Fischer) 법으로 측정된 상기 용액의 수분량(%)을 100%에서 뺀 값이다.
또 상기 성분(B)을 함유하는 용액이 상기 글리세린 유도체(5)를 함유하는 것인 경우,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은 글리세린 유도체(5)의 함유율이 성분(B)과 글리세린 유도체(5)의 합계 중량을 기준으로하여 5중량% 이하의 것이며, 그것이 3중량%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은 글리세린 유도체(5)의 함유율이, 당해 용액의 고형분은 중량을 기준으로하여 5중량% 이하의 것이며, 그것이 3중량% 이하의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이 성분(B)을 함유하는 용액으로서, 글리세린 유도체(5)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성분(B)을 함유하는 용액이 글리세린 유도체(5)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것이면 얻어지는 세정제 조성물은 기포성이 현저하게 낮고, 바람직하지 않다. 또 성분(B)을 함유하는 상기 용액은 글리세린 유도체(5) 이외의 불순물, 예컨대 염화나트륨의 무기염도 함유하는 것이 있으나, 그와 같은 불순물의 함유율이 작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기 성분(B)을 함유하는 용액으로서, 그의 고형분이 20중량%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성분(B)을 조성물 전중량을 기준으로하여, 통상은 0.5~40중량%, 바람직하게는 1~20중량,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3~15중량%를 함유한다.
성분(B)이 적으면 세정제 조성물을 경수로 사용한 경우,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의 Ca염이 형성되기 때문에, 세정후의 피부의 감촉이 양호하지 않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성분(B)에 대한 성분(A)의 중량비, 즉 (A)/(B)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은 그 비는 99/1~1/99이며, 바람직하게는 97/3~20/8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95/5~60/40이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이 상기한 성분(A') 및 (B')를 필수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경우는 성분(B')에 대한 성분(A')의 중량비는 75/25~98/2가 바람직하고, 85/15~95/5가 더욱 바람직하다.
그런데 종래에 있어서는 성분(A)인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가 트리에탄올아민 염이나 알칼리금속염인 경우는 용액중의 그의 농도가 30중량% 이상으로 되면, 급격한 점도 상승이나 겔화를 일으켜서 핸들링이 곤난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트리에탄올아민 염이나 알칼리금속염등의 인산에스테르염 형의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를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하는 경우, 그 함유율을 높게 할수가 없었다. 이것에 대하여, 성분(A)에 성분(B)을 병용하면, 저자극성으로 또한 높은 세정력을 나타내는 세정제 조성물로서 인산에스테르염을 30중량% 이상의 고농도로 함유하고 있어서도 저점도의 것을 얻는다.
세정제 조성물의 인산에스테르염 함유율을 높이려 하는 경우에는 성분(B)로서, 식(3-1)로 나타내며, p-a가 3~15인 것 및/또는 식(3-2)로 나타내며, p-b가 3~15인 것, 또는 그것과 식(4-1)로 나타내며, q-a가 3~15인 것 및/또는 식(4-2)으로 나타내며, q-b가 3~15인 것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이 성분(A)을 35중량% 이상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인 경우에는 당해 세정제 조성물은 또한 다가알코올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가알코올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피렌글리콜, 이틸렌글리콜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다가알코올에 대한 성분(A) 및 (B)의 합계량의 중량비, 즉 [(A)(B)]/다가알코올이 80/20~99/1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비가 80/20 미만에서는 세정제 조성물중의 성분(A)의 농도를 높게할 수는 있으나, 얻어진 세정제 조성물은 기포성 및 세정성이 뒤떨어지고, 99/1을 초과하면, 성분(A)을 35중량% 이상의 농도로 함유하는 용액으로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이 상기한 성분(A'), 및 (B')를 필수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경우는 다가알코올에 대한 성분(A') 및 (B')의 합계량의 중량비는 90/10~99/1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세정제 조성물의 pH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3~9가 적당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8이다(pH 측정조건, 계면활성제 농도가 5중량%인 수용액 사용).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상기 필수성분에 가하여,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 통상 사용되는 성분을 본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임의로 함유하여도 좋다. 이러한 성분의 예로서,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 및 인산에스테르 이외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등의 계면활성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등의 보습제, 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 에탄올 등의 점도 조정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펄화제, 자외선흡수제, 색소, 향료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피부용이나 모발용의 세정제 뿐만 아니라, 식기용 세정제, 의류용 세정제 등, 각종 목적의 세정제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중의 계면활성제의 총량, 즉, 성분(A) 및 (B) 및 그외의 계면활성제의 합계량은 고형의 제형이라면 30중량% 이상, 페이스트의 제형이라면 20중량% 이상, 액체의 체형이라면 10중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 적고, 기포성이 높고, 거품의 질이 크림 같으며, 또한 경수로 사용하여도, 세정후의 피부에 양호한 감촉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특히 피부 및 모발용의 세정제 조성물로서 유용하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과 아미드 에테르의 혼합물의 합성]
(합성예 1)
라우르산메틸 214.4g (1몰), 모노에탄올아민 61.7g(1.02몰) 및 나트륨 매톡시드의 30중량% 메탄올용액 15.3%를 함유한 혼합물을 50mmHg에서 90℃로 5시간 가열하였다. 얻어진 반응생성물에, 에틸렌옥사이드 88.2g(2몰)을 100~110℃, 게이지압 0~3.5기압의 조건하에 도입하였다.
얻어진 반응혼합물 331g을 70~75℃로 가열하여, 그것에 모노클로로아세트산나트륨(SMCA) 174.8g(1.5몰) 및 고체수산화나트륨 65.2g을 4시간에 걸쳐서 첨가하였다.
SMCA 및 수산화나트륨은 5분할하여, 반응개시기 및 반응개시후 1,2,3,4시간째에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전량을 첨가한 후 반응혼합물을 같은 온도로 1시간 유지하였다.
다음에 온도를 85℃로 올려서, 물 5.3g를 반응혼합물에 가하여, 그 후 1시간 동안 같은 온도로 유지시키고, 반응혼합물 592g를 얻었다. 얻어진 반응혼합물에 물 500g를 가하여, 그 혼합물의 온도를 90℃로 한 후, 해당 혼합물에 36% 염산수용액을 가하여 혼합물의 pH를 2.8로 조정하였다. 반응혼합물을 1시간 교반한 후, 1시간 방치한 바, 상분리되었다. 상층인 유기상에서, 산성생물 545g를 얻었다.
이 산생성물을 함유한 유기상에 30% 수산화나트륨수용액을 가하여, 그 pH를 7로 하고, 이어서 물을 가하였다. 이와 같이하여 표 1에 나타낸 아미드 에테르 유도체 혼합물 1을 투명용액으로 얻었다.
(합성예 2)
사용한 에틸렌옥시드의 양을 변경한 이외는 합성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1에 표시한 아미드 에테르 유도체 혼합물 2를 얻었다.
[표 1]
*염화나트륨, 글리콜산염류등
실시예 1, 2
표 2에 표시한 조성의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2에 있어서, 성분(A)은 계면활성제의 유효성분으로서의 농도를, 성분(B)은 고형분으로서의 농도를 나타내며, 또 세정제 조성물의 pH 조성은 NaOH 수용액 및/또는 시트르산으로 행하였다. 또한 나머지는 물이다.
각각의 세정제 조성물에 대한 기포량, 거품의 질, 세정후의 피부감촉, 피부자극성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평가를 행하고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기포량 및 거품의 질>
기포량, 거품의 질은 전문 패널리 20명이 세정제 조성물 1g을 손에 취하여 15°DH의 경수로 거품을 내어서 평가하였다.
기포량에 대하여는 "매우 양호한 기포발생"을 스코어 4, "양호한 기포발생"를 스코어 3, "기포발생이 약간 부족"을 스코어 2, "기포발생이 불량"을 스코어 1로 평가하여, 표 2에는 패널러 20명의 평균 스코어가 3.5~4.0인 경우른 ◎, 2.5~3.4인 경우를 ○, 1.5~2.4인 경우를 △, 1.0~1.4인 경우를 ×로 표시하였다.
거품의 질에 대하여는 "거품의 질이 크림 같고 매우 잘 미끄러짐"을 스코어 4, "거품의 질이 크림같고 미끄러짐"을 스코어 3, "거품의 질이 약간 거칠고, 약간 미끄럽지 못함"을 스코어 2, "거품의 질이 거칠고 미끄럽지 못함"을 스코어 1로 평가하여, 표 2에는 패널러 20의 평균 스코어가 3.5~4.0인 경우를 ◎, 2.5~3.4인 경우를 ○, 1.5~2.4인 경우를 △, 1.0~1.4인 경우를 ×로 표시하였다.
<세정후의 피부감촉>
세정후의 피부감촉은 상기한 기포량 및 거품의 질의 평가 후에 헹굼을 행하고, 건조시킨 피부감촉을 평가하였다.
"피부가 매끄러우며 촉촉함"을 스코어 4, "피부가 매끄러우며 약간 촉촉함"을 스코어 3, "피부가 약간 거칠어짐"을 스코어 2, "피부가 거칠어짐"을 스코어 1로 평가하여 표 2에 패널러 20명의 평균 스코어가 3.5~4.0인 경우를 ◎, 2.5~3.4인 경우를 ○, 1.5~1.4인 경우를 △, 1.0~1.4인 경우를 ×로 표시하였다.
<피부자극성>
피부자극성에 대하여는 각 세정제 조성물을 각각 5마리의 기니아피그의 건강한 피부에 4회 도포하여, 도포 4회째의 후의 피부의 반응을 하기의 기준에서 평가하였다.
즉 "무자극 (반응을 인정할 수 없음)"을 스코어 5, "미자극성 (희미한 홍반(紅班)을 인정함)"을 스코어 4, "약자극 (명확한 홍반을 인정함)"을 스코어 3, "중자극 (명확한 홍반에 부종(浮腫)을 수반함)"을 스코어 2 "강자극 (명확한 홍반에 괴사 또는 가사(假死)를 수반함)"을 스코어 1로 평가하여 표 2에는 패널리 20명의 평균 스코어가 3.5~5.0인 경우를 ○, 2.5~3.4인 경우를 △, 1.0~2.4인 경우를 ×로 표시하였다.
[표 2]
실시예 3
다음에 나타내는 조성의 pH 7.5의 샴푸를 제조하였다. 당해 샴푸는 피부에 저자극성이며, 기포성, 거품의 질이 우수하였다.
<처방>
실시예 4
다음에 표시하는 조성의 pH 6.9의 보디 샴푸를 제조하였다. 해당 보디 샴푸는 피부에 저자극성이며, 기포성, 거품의 질, 세정 및 건조후의 피부감촉이 우수하였다.
<처방>
실시예 5
다음에 나타내는 조성의 pH 7.5의 보디 샴푸를 제조하였다. 해당 보디 샴푸는 피부에 저자극성이며, 기포성, 거품의 질, 세정 및 건조후의 피부감촉이 우수하였다.
<처방>

Claims (13)

  1. 하기성분(A) 및 (B)로 이루어진 세정제 조성물 : 성분(A) : 하기식(1)으로 나타내는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1)와 하기식(2)으로 나타내는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2)와의 혼합물로서,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2)에 대한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1)의 중량비가 100/0~70/30인 것 :
    식중, R1는 탄소수 6~24의 직쇄 또는 분지쇄알킬 또는 알켄일기를 나타내며, X1및 Y는 수소원자, 알칼리금속원자, 1/2(알킬리토류금속원자), 암모늄기, 알칸올암모늄기 또는 하나의 수소원자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기를 나타내며, 그리고
    식중, R2및 R3는 각각 탄소수 6~24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알켄일기를 나타내며, X2는 수소원자, 알칼리금속원자, 1/2(알칼리토류금속원자), 암모늄기, 알칸올암모늄기 또는 하나의 수소원자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기를 나타내며, 및 성분(B) : 하기식(3-1)으로 나타내는 아미드 에테르카르복실산 및 하기식(3-2)로 나타내는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3), 또는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3)과 하기식(4-1)으로 나타내는 아미드 에테르 및 하기식(4-2)으로 나타내는 아미으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미드 에테르(4)와의 혼합물로서, 아미으 에테르(4)에 대한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3)의 중량비가 100/0~10/90인 것 ;
    식중, M은 수소원자, 알칼리금속원자, 1/2(알칼리토류금속원자), 암모늄기, 알칸올암모늄기 또는 하나의 수소원자와 염기성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기를 나타내며, R4는 탄소수 5~2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알켄일기, 또는 탄소수 5~23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알켄일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페닐기를 나타내며, R5a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R5b는 -(CH2CH2O)s-2-CH2COOM(식중, M은 상기 정의와 같다.), 또는 -(CH2CH2O)s-3-H를 나타내며, p-a는 1~20의 수를 나타내며, p-1, p-2, p-3은 각각 1 이상의 수를 나타내며, 그리고 (p-1)+{x (p-2)+y(p-3-)}(식중, x와, y는 각각 0~1이며 또한 x+y=1을 만족하는 수이다)를 의미하는 p-b는 2~20의 수를 나타내며, 그리고
    식중, R4및 R5a는 각각 상기 정와 같으며, q-a는 1~20의 수를 나타내며, q-1 및 q-2는 각각 1 이상의 수를 나타내며, 그리고 (q-1)+(q-2)로 나타내는 q-b는 2~20의 수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식(5)으로 나타내는 글리세린 유도체(5)를 성분(B)과 글리세린 유도체(5)의 합계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중량% 이하의 양으로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식중, R6은 -(CH2CH2O)r-1-CH2COOM(식중, M은 상기 정의와 같다), 또는 -(CH2CH2O)s-1-H를 나타내며, R7은 -(CH2CH2O)|r-2-CH2COOM(식중, M은 상기 정의와 같다), 또는 -(CH2CH2O)s-2-H를 나타내며, R8은 -(CH2CH2O)r-3-CH2COOM(식중, M은 상기 정의와 같다), 또는 -(CH2CH2O)s-3-H를 나타내며, r-1, s-1, r-2, s-2, r-3 및 s-3은 각각 0 또는 정수이며, {x1(r-1)+y1(s-1)}+(x2(r-2)+y2(s-2)}+{x|3(r-3)+y3(s-3)} (식중, x1과 y1은 각각 0~1이며 또한 x1+y1=1를 만족하는 수, x2와 y2는 각각 0~1이며 또한 x2+y2=1을 만족하는 수, x3와 y3는 각각 0~1이며 또한 x3+y3=1를 만족하는 수이다)를 의미하는 z는 0~57의 수이다.
  3.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B)에 대한 성분(A)의 중량비가 20/80~97/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조성물 전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성분(A) 및 (B)를 각각 0.5~4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조성물 전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성분(A) 및 (B)를 각각 1~2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다가알코올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다가알코올에 대한 성분(A) 및 (B)의 합계량의 중량비가 80/20~99/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B)이 식 (3-1)으로 나타내는 아미드 에테르 카르복실산 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R1, R2및 R3는 각각 탄소수 8~18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알켄일기를 나타내며, X1, X2및 Y는 각각 수소원자, 알칼리금속원자, 트리에탄올 암모늄기 또는 암모늄기를 나타내며, R4는 탄소수 8~18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알켄일기를 나타내며, R5a는 수소원자를 나타내며, M은 수소원자, 알칼리금속원자, 트리에탄올암모늄기 또는 암모늄기를 나타내며, p-a는 3~15의 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X1, X2, Y 및 M은 각각 알칼리금속원자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11. 제 9 항에 있어서, 성분(B)에 대한 성분(A)의 중량비가 75/25 내지 98/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12. 제 9 항에 있어서, 다가알코올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13. 제 9 항에 있어서, 다가알코올을 더 함유하고, 다가알코올에 대한 성분(A) 및 (B)의 합계량의 중량비가 90/10~99/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KR1019950702078A 1993-09-24 1994-09-22 세정제 조성물 KR9700113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815993 1993-09-24
JP93-238159 1993-09-24
PCT/JP1994/001566 WO1995008614A1 (fr) 1993-09-24 1994-09-22 Composition detergen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4461A KR950704461A (ko) 1995-11-20
KR970011347B1 true KR970011347B1 (ko) 1997-07-09

Family

ID=170260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2078A KR970011347B1 (ko) 1993-09-24 1994-09-22 세정제 조성물
KR1019950702062A KR970011346B1 (ko) 1993-09-24 1994-09-22 세정제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2062A KR970011346B1 (ko) 1993-09-24 1994-09-22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5686403A (ko)
EP (1) EP0671463B1 (ko)
KR (2) KR970011347B1 (ko)
CN (2) CN1070530C (ko)
AU (2) AU675878B2 (ko)
DE (1) DE69431793T2 (ko)
ES (1) ES2187532T3 (ko)
WO (2) WO19950086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83754B (en) * 1993-11-11 1998-01-28 Procter & Gamble Cleaning compositions
DE19530550A1 (de) * 1995-08-19 1997-02-20 Kao Corp Gmbh Haarwaschmittel
DE69919737T2 (de) * 1998-11-24 2005-09-01 Rhodia Inc. Pumpfähige wässrige zusammensetzungen mit hohem feststoffgehalt und hohem anteil an monoalkylphosphatestersalz
JP3908420B2 (ja) * 1999-10-12 2007-04-25 花王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US9139731B2 (en) * 1999-11-12 2015-09-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overall tooth health and appearance
US6566408B1 (en) * 2000-08-01 2003-05-20 Rhodia, Inc. Aqueous surfactant compositions of monoalkyl phosphate ester salts and amphoteric surfactants
JP4173712B2 (ja) * 2002-04-12 2008-10-29 花王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CN1759168A (zh) * 2003-04-14 2006-04-12 花王株式会社 清洁剂组合物
CN100465256C (zh) * 2004-04-16 2009-03-04 上海宏略实业有限公司 一种清洁组合物及其用途
FR2873290B1 (fr) * 2004-07-26 2006-09-15 Oreal Composition de nettoyage moussante
EP1661547A1 (en) * 2004-11-24 2006-05-31 KAO CHEMICALS GmbH Foam-enhancing agent containing polyglycerol
US20060228323A1 (en) * 2005-03-31 2006-10-12 Andrew Novelle Compositions for treating and removing noxious materials malodors and microbes, and methods of use and preparation thereof
WO2007122802A1 (ja) * 2006-04-07 2007-11-01 Kao Corporation 洗浄剤組成物
EP1860176A1 (en) * 2006-05-22 2007-11-28 Akzo Nobel N.V. Aqueous hydrogen peroxide-containing composition and its use for cleaning surfaces
CN100453631C (zh) * 2006-09-19 2009-01-21 李德新 一种无螯合剂与无机助剂的液体洗涤剂
CN110898996B (zh) * 2018-09-17 2021-12-21 中蓝连海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萤石矿捕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83853A (en) * 1934-12-22 1939-12-19 Ig Farbenindustrie Ag Polyoxyalkylene ether acid compounds containing a higher aliphatic group
JPS5851991B2 (ja) * 1976-08-24 1983-11-19 花王株式会社 低刺激性シヤンプ−組成物
JPS5918440B2 (ja) * 1980-09-09 1984-04-27 花王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US4435300A (en) * 1981-03-09 1984-03-06 Johnson & Johnson Baby Products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s
JPS5874798A (ja) * 1981-10-28 1983-05-06 花王株式会社 シヤンプ−組成物
JPS6039719B2 (ja) * 1982-05-11 1985-09-07 花王株式会社 液体洗浄剤組成物
NL8203257A (nl) * 1982-08-19 1984-03-16 Chem Y Nieuwe polyethercarbonzuurderivaten, alsmede hun toepassingen.
US4808239A (en) * 1984-12-28 1989-02-28 Alcon Laboratories, Inc. Method of cleaning contact len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polyether carboxylic acid surfactant
NL8502587A (nl) * 1985-09-20 1987-04-16 Chem Y Werkwijze ter bereiding van oxyethyleengroepen en carboxymethylgroepen of zouten daarvan bevattende, capillairactieve produkten, alsmede de zo verkregen produkten en hun toepassing.
JPS62138593A (ja) * 1985-12-12 1987-06-22 花王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ES2026844T3 (es) * 1985-11-28 1992-05-16 Kao Corporation Una composicion detergente.
JPS62240390A (ja) * 1986-04-09 1987-10-21 日本サ−フアクタント工業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JPS6386798A (ja) * 1986-09-30 1988-04-18 花王株式会社 台所用液体洗浄剤組成物
US4836949A (en) * 1987-04-03 1989-06-06 Johnson & Johnson Consumer Products, Inc.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with phosphate ester solubilizers
JPH01211521A (ja) * 1988-02-18 1989-08-24 Nikko Kemikaruzu Kk 洗浄剤組成物
JP2816553B2 (ja) * 1988-06-15 1998-10-27 サンスター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DE3905938A1 (de) * 1989-02-25 1990-08-30 Huels Chemische Werke Ag Detergentienzusammensetzungen mit erhoehter viskositaet
JPH03106999A (ja) * 1989-09-20 1991-05-07 Kanebo Ltd 低刺激性洗浄剤組成物
JPH03109498A (ja) * 1989-09-25 1991-05-09 Kanebo Ltd 低刺激性洗浄剤組成物
JPH03182598A (ja) * 1989-12-12 1991-08-08 Kanebo Ltd 低刺激性洗浄剤組成物
JP3035033B2 (ja) * 1991-01-23 2000-04-17 花王株式会社 液体洗浄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31793T2 (de) 2003-07-03
US5686403A (en) 1997-11-11
US5922659A (en) 1999-07-13
WO1995008615A1 (fr) 1995-03-30
CN1070531C (zh) 2001-09-05
CN1070530C (zh) 2001-09-05
DE69431793D1 (de) 2003-01-09
EP0671463B1 (en) 2002-11-27
AU7666494A (en) 1995-04-10
KR950704460A (ko) 1995-11-20
AU675878B2 (en) 1997-02-20
ES2187532T3 (es) 2003-06-16
CN1114838A (zh) 1996-01-10
AU675585B2 (en) 1997-02-06
CN1114839A (zh) 1996-01-10
AU7666394A (en) 1995-04-10
EP0671463A1 (en) 1995-09-13
KR950704461A (ko) 1995-11-20
WO1995008614A1 (fr) 1995-03-30
EP0671463A4 (en) 1998-12-16
KR970011346B1 (ko) 1997-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1347B1 (ko) 세정제 조성물
EP0690044B1 (en) Process for producing amidoether carboxylic acid or salt thereof, and surface active agent mixture containing the same
JP3035033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US5700772A (en)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an amide-ether derivative mixture and an amphoteric surfactant
JP3293972B2 (ja) ポリオキシエチレン脂肪酸アミド型界面活性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洗浄剤組成物
JP3329587B2 (ja) 洗浄剤組成物
KR101069082B1 (ko) 글리세릴기가 도입된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부세정제 조성물
JP2003096435A (ja) ヒドロキシアルキル多価アルコールエーテル化合物含有増粘剤及びそれを含む高粘度液体洗浄剤組成物
JP3631080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JP3394627B2 (ja) 洗浄剤組成物
JP3362149B2 (ja) 洗浄剤組成物
JP3436836B2 (ja) 洗浄剤組成物
JPH0987289A (ja) 界面活性剤
JP3441222B2 (ja) 洗浄剤組成物
JP4850774B2 (ja) 洗浄剤組成物
JPH10175934A (ja) ビス−アミドカルボン酸又はその塩及びこれを含有する洗浄剤組成物
JPH07316587A (ja) 洗浄剤組成物
JP2747659B2 (ja) 洗浄剤組成物
JP3417075B2 (ja) 洗浄剤組成物
JP3441223B2 (ja) 洗浄剤組成物
JP3413972B2 (ja) 洗浄剤組成物
JP3376691B2 (ja) 洗浄剤組成物
JPH059495A (ja) 洗浄剤組成物
JPH10298040A (ja) 洗浄剤組成物
JP2021147326A (ja) 皮膚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