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0909B1 - 권취기 및 이를 이용한 도핑방법 - Google Patents

권취기 및 이를 이용한 도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0909B1
KR970010909B1 KR1019890019264A KR890019264A KR970010909B1 KR 970010909 B1 KR970010909 B1 KR 970010909B1 KR 1019890019264 A KR1019890019264 A KR 1019890019264A KR 890019264 A KR890019264 A KR 890019264A KR 970010909 B1 KR970010909 B1 KR 970010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roller
yarn
winding
packag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9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9414A (ko
Inventor
베에렌스 라인하르트
부슈 한스-요헨
게르하르츠 지이크마아
렝크 에리히
베스트리히 헤르만
Original Assignee
바마크 악티엔 게젤샤프트
발터 쾰러 · 미하엘 하니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587546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7001090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DE3843202A external-priority patent/DE3843202C2/de
Priority claimed from DE3909106A external-priority patent/DE3909106A1/de
Application filed by 바마크 악티엔 게젤샤프트, 발터 쾰러 · 미하엘 하니쉬 filed Critical 바마크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900009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0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28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28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 B65H54/34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for laying subsidiary winding, e.g. transfer tails
    • B65H54/346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for laying subsidiary winding, e.g. transfer tails on or outwardly of the fully wound yarn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52Drive contact pressure control, e.g. press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7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f yarn-winding machines
    • B65H54/72Framework; Casings;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5/00Securing material to cores or for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or replacing by cores, formers, or empty receptacles a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B65H67/044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 B65H67/048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having winding heads arranged on rotary capstan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권취기 및 이를 이용한 도핑방법
제 1 도는 운전중의 권취기의 측면도이고,
제 2 도는 운전중의 권취기의 정면도이고,
제 3a-c 도는 패키지 도핑작용동안 권취기의 정면도이고,
제 4 도는 패키지 도핑작용동안 제 1 도 권취기의 측면도이고,
제 5 도는 교차-나선형 로울을 구비한 사 트래버스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권취기의 또 다른 구체예의 측면도이고,
제 6-7 도는 샤트래버스 시스템과 접촉로울 사이의 간격이 제어가능한 구체예이고,
제 8-9 도는 접촉로울과 패키지 사이의 접촉압력과정을 나타내는 다이아그램이고,
제 10-11 도는 튜브를 권취하는 상세도이고,
제 12 도는 접촉로울용 현가장치(suspension)의 상세도이고,
제 13 도는 권취기상에 생산된 패키지의 정면도이고,
제 14 도는 사 트래버스 시스템과 접촉로울 사이의 간격 변경을 위한 프로그램이고,
제 15 도는 회전드라이브가 모우터가 제동모우터인 제 1,4,5,6 및 7 도의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5.2 : 권취스핀들 11 : 접촉로울
18 : 척 리볼버 21 : 압력경감장치
26 : 사 가이드 33 : 회전드라이브
48 : 요동아암 49 : 요동아암
52 : 센서 60 : 보호플레이트
본 발명은 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규정된 권취기와 패키지를 도핑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척 리볼버(chuck revolver)가 회전되어 패키지 직경이 증가함으로써 접촉로울과 권취스핀들 사이의 상대운동이 일어나는 권취기가 EP-Bl 1359, U.S 4,298,171 및 EP-B 15410호로 부터 알려져 있다.
공지의 권취기에서 접촉로울은 기체프레임에 강고하게 지지되어 있다. 권취스핀들은 척 리볼버상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는 요동아암(rocking arm)상에 지지되어서 이 권취스핀들온 척 리볼버에 관한 외부 및 내부 방사상 위치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권취작동(권취사이클)의 개시시에 정지된 척 리볼버와 더불어 권취스핀들과 접촉로울 사이의 상대운동은 요동아암을 선회함으로써 실행된다. 그후 요동아암은 척 리볼버에 관하여 고착되며 권취스핀들과 접촉로울 사이의 상대운동은 척 리볼버를 회전시킴으로써 실행된다, 이 때문에 토오크는 압축공기 또는 수압실린더에 의하여 척 리볼버에 미치게 된다. 이 토오크는 패키지 또는 권취스핀들 각각에 고정접촉로울에 의해 미치게 되는 상기 힘의 토오크에 의해 지지된다. 이 힘의 증가는 패키지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척 리볼버를 회전시킨다.
권취사이클 동안에 접촉로울과 성형되는 패키지에 존재하는 방사상 힘(접촉압력)의 불안정한 변화는 권취기에 나타난다. 이것들은 접촉로울과 작동권취스핀들 사이의 상대운동을 제어하는 완전히 동일한 제어장치에 의해 접촉압력이 적용된다는 사실로 부터 야기된다. 따라서 척 리볼버의 느린 회전에서 피할 수 없는 스틱-슬립효과(stick-slip effect)는 접촉압력의 변동, 특히 불안정한 변동을 초래한다.
미국특허 제4,l06,710호(Bag. 943)로 부터, 척 리볼버가 권취사이클 동안에 정지되어서 작동중 권취스핀들이 정지상태에 있는 권취기가 알려져 있다. 접촉로울은 상기 권취스핀들에 대략 방사상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상에 지지된다. 따라서 접촉로울은 슬라이드에 관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운동작용으로 압축공기 실린더-피스톤 조립체는 제어되며 슬라이드의 중량에 대해 보충하는 작용을 한다. 그 결과 접촉로울은 상기 슬라이드의 모든 구조적 부품의 중량과 감소된 힘으로 패키지 상에 위치하지 못한다. 패키지 직경이 증가하기 때문에 패키지는 상술한 감소된 힘에 해당하는 상기 슬라이드의 이동에 필요한 힘을 가해야 한다.
또 DE-OS 2544773(Bag. 961)로 부터 귄취스핀들이 이동가능한 슬라이드에 지지되는 권취기가 알려져있다. 접촉로울도 이동가능한 지지체에 지지된다. 권취스핀들의 슬라이드는 접촉로울의 지지체의 운동기능으로서 압력에 의해 기울어지는 압축공기 실린더에 의해 유지되어서 권취스핀들 및 패키지와 슬라이드의 중량을 보충하게 된다. 패키지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서 실린더에 미쳐지는 압력은 그 자체의 중량에 의해 슬라이드가 느려지는 식으로 줄어든다. 그렇게 함으로써 스틱-슬립 효과도 막을 수 없다. 이 권취기는 두 권취스핀들이 지지되는 회전가능한 척 리볼버에 더하여 이 목적에 필요하기 때문에 두 교호로 작동하는 권취스핀들의 유실이 없는 권취(1ossfree winding)에는 적당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촉로울과 패키지 사이의 방사상 접촉압력이 권취사이클 동안에 안정되고 아주 조금 변하며 간단하고 소형의 콤팩트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권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의 특정부분에 의해 해소된다.
권취사이클 동안에 접촉로울의 위치는 패키지 직경이 증가하더라도 실제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며, 이것은 접촉로울이 약간의 mm의 범위내, 바람직하게는 1mm 이하에서 작동스핀들에 대해 방사상으로 그의 자체내에서 단지 약간의 운동을 실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증가하는 패키지 직경에 대한 작동권취스핀들의 축과 접촉로울의 축사이의 간격에 접합하도록 하는데 필요한 상대이동온 권취사이클 동안에 척 리볼버의 회전에 의해 실행된다. 이 회전은 모우터에 의해 실행된다. 모우터는 접촉로울의 운동, 즉 이 접촉로울의 지지체에 의해 걸쳐진 거리를 포착하는 센서에 의해 제어된다. 그 결과 척 리볼버의 모우터는 접촉로울의 매우 작은 이동에서 조차도 증가하는 패키지 직경과 더불어 권취스핀들이 접촉로울로 진전하는 반면, 접촉로울이 거의 그의 개시위치를 뗘나지 않거나 즉시 다시 그의 원위치로 복귀하는 정도로 리볼버가 매회 회전하도록 제어된다. 그래서 척 리볼버에 결합된 모우터(회전구동)는 접촉로울의 위치의 설정치와 실제치 사이의 편차를 포착하는 센서로 부터 출력신호의 함수로서 가동된다. 회전드라이버는 단계적으로 가동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접촉로울외 위치의 실제치와 설정치 사이의 편차의 일정 최대치는 예를 들면 회전제어장치로 프로그램 되어 입력된다. 편차가 상기 편차의 입력 최대치보다 더 작은 한 회전드라이브는 제동되어서 척 리볼버는 그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가 없게 된다. 접촉로울의 위치의 설정치와 실제치 사이의 실제편차가 입력 최대치보다 크다면 제도는 해제될 것이고 척 리볼버는 설정 및 실제치 사이의 편차가 또 상기 편차의 입력최대치 이하가 될 때까지 예정속도에서 회전하게 될 것이다.
또다른 방법에서 회전드라이버는 제어장치와 센서에 의해 가동되어 회전드라이버는 일정하게 작동하게 되며 접촉로울이 위치의 소정치 및 실제치 사이의 편차가 일정한 낮은 값으로 조정되는 방식으로 중단없이 리볼버를 회전시키게 된다.
접촉로울 및 그의 지지체와 작동중의 권취스핀들과 회전드라이브를 구비한 척 리볼버는 회전제어장치 및 센서와 함께 실제 변하지 않은 접촉로울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제어루프를 형성한다.
공지의 모든 권취기에 반하여 본 발명의 권취기에서 접촉로울의 축과 작동권취스핀들 사이의 거리는 접촉로울과 작동스핀들 사이에 존재하는 접촉압력의 기능으로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축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정도로 척 리불버를 확실하게 구동시키는 회전드라이브에 의해서 결정된다.
척 리볼버의 회전은 척 리볼버가 힘에 의해서라기 보다 제어된 속도에 확실하게 구동되기 때문에 스틱-슬립현상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접촉압력의 양은 접촉로울상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권취스핀들은 척 리볼버에 대해 강고하게 지지되며 거기에 관련되어 있어서 보다 안정한 성형을 제공하며 처음 기술한 권취기에 반하여 접촉압력의 안정한 과정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취기는 방적설비에서 새로이 방적된 인조섬유(manmade tiber)를 권취하는데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권취기의 디자인에서 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 2 항에 주장된 바와 같이 척 리볼버는 작동스핀들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소위 단일 방향으로의 사 포착(yarn catching)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대해 유럽 특허출원 0286983(EP-1575)와 그의 대응 미국출원이 참고로 언급된다. 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 3 항의 구체예에서 접촉압력은 처음 증가한다. 이것은 권취사이클의 초기에 사는 낮은 접촉압력에서 감겨져서 처음 사층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더욱이 접촉압력의 변화가 작게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접촉로울의 지지체 및 척 리볼버의 회전중심과 스핀들 축이 위치되는 그의 회전궤도(스핀들의 회전궤도)는 소정의 최대 직경비로 패키지상의 접촉로울의 압력의 변화가 권취사이클 동안에 소정의 한계내로 유지되도록 상호 관련되어 배열된다. 여기서 직경비는 권취사이클의 종료시(만관패키지) 권취스핀들의 직경에 걸쳐 권취사이클의 개시시에(빈 튜브) 권취스핀들의 직경의 몫이 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 작동 직경비는 현대 권취기에서 적어도 1:3이 된다. 여하튼 방사상 접촉압력의 허용 변화는 50% 이하이며, 상기 접촉압력은 낮은 값에서 개시하여 처음 최고로 증가하게 된다. 패키지상의 접촉압력에 의해 발휘된 방사상 힘은 권취사이클 과정에서 겨우 10%까지, 보다 바람직하게는 맨처음 사층이 권취된 후 겨우 5%까지 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 4 항의 해결수단에 의해 변할 것이다.
본 발명의 권취기는 패키지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척 리볼버가 작동권취스핀들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권취스핀들은 축방향 구동모우터에 의해 구동되며 그 모우터중 하나는 각 스핀들에 연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작은 범위내에서 접촉압력을 일정하도록 유지시키며, 상기 범위는 패키지가 권취되는 동안 접촉로울과 권취스핀들 또는 패키지 사이의 권취기술관점에서 보아 아주 사소한 정도이다.
권취기가 주로 사용되는 인조섬유의 권취시에 보통 사가 상부에서 하부까지 전진한다고 예상할 수 있다. 접촉로울이 사 트래버스 메카니즘과 작동권취스핀들 사이에 배열되기 때문에 지지체와 접촉로울 둘다는 중력에 의해 가중된다. 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 4 항과 제 5 항에 규정된 조치는 권취기술 관점으로 부터 허용가능한 정도로 접촉로울과 패키지 사이의 방사상 작동접촉력을 조절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일정 압력에 의해 기울어지는 압축공기 또는 수압 실린더-피스톤 조립체 또는 스프링과 같은 일정 힘에 대한 바이어스력은 압축경감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권취의 경우-기술상의 난점은 권취사이클 동안에 접촉압력의 소정과정에 따라서 제어되는 수압 또는 압축공기 압력경감장치를 적용하도록 또 제어될 수 있다.
접촉로올이 그의 중력에 의해 패키지상에 위치되는 것이 아니라 수압 또는 압축공기 실린더-피스톤 유닛이 구비되며 접촉로울의 지지체상에 작동하며 멀요한 접촉압력을 유발하는 중량장치로 부터 자유로이 지지되면 일정한 접촉압력을 발생하도록 중량장치를 설계할 수 있다. 그러나 권취사이클 과정에서 접촉압력이 일정한 프로그램 패턴에 따라 제어되도록 중량장치를 설계할 수도 있다.
접촉로울을 설비한 지지체는 권취기 프레임에 그의 한 측면이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며 그의 타단이 접촉로울을 지지하는 요동아암이 바람직하다.(특허청구의 범위 제 7 항). 접촉로울이 그 자체 중량에 의해 패키지상에 위치되면 요동아암은 수평으로 또는 비스듬하게 배열될 것이다. 접촉로울이 그의 중량의 영향엾이 패키지상에 위치된다면 요동아암은 대략 수직으로 배열하게 될 것이다.
한편, 특허청구의 범위 제 8 항은 접촉로울의 선회운동은 편향운동과 함께 증가하는 힘에 영향을 받는 이점을 지니는 내마모성 현가장치를 제공한다. 그 결과 모든 조정문제를 유발함이 없이, 그것은 권취사이클의 과정동안에 안정한 위치로의 접촉로울의 제로설정에 적당하게 된다.
그러나, 탄성고무볼록에서의 현가장치는 또 상기 탄성고무블록이 접촉로울의 편향을 약간 측정하는 범위내에서 선회운동을 허용할 뿐만 아니라 거기에 대한 수직인 운동, 즉 회전축과 접촉로울의 축 사이의 연결선상의 운동을 하는 장점을 지닌다. 이것은 접촉로울을 회전방향 및 거기에 대한 수직방향의 두 방향으로 권취스핀들의 축에 그 자체 평행하게 정렬하도록 한다. 특히 중요한 점은 탄성고무블록이 접촉로울의 운동을 완충시킨다는 사실이다.
본 발명의 사 트래버스 메카니즘은 특히 EP-D ll14642에 기재된 바의 회전블레이드 트래버스 시스템, U.S. 3,664,596으로 부터 알려진 바의 교차-나선상 로울을 적용하는 트래버스 시스템, U.S. 3,797,767호에 기재된 바의 홈이진 로울을 사용하는 트래버스 시스템, 또는 기타 트래버스 시스템과 같은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장치일 수 있다. 사 트래버스 메카니즘은 기계프레임에 고정하여 배열될 수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접촉로울 주위를 루프로 감싸는 사는 트래버스 메카니즘의 왕복 법칙하에서 접촉로울상에 퇴적되며, 스트로우크 반전은 트래버스 메카니즘과 접촉로울상의 사이 접촉선 사이의 간격에 좌우된다. 이 간격의 모든 변경은 사 퇴적 법칙에서 구체화될 것이다.
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 9 항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의 구체예는 접촉로울의 약간의 운동에도 불구하고 트래버스 메카니즘과 접촉로울 사이의 거리는 권취사이클 과정에서 변하지 않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 때문에 접촉로울의 요동아암상에 선회가능하게 또는 접촉로울의 요동아암과 공축으로 든지 하여 지지되는 요동아암상에 트래버스 메카니즘을 바람직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 배치는 사용을 위해 접촉로울로 부터 트래버스 메카니즘을 들어올릴 수 있게 하여서 접촉로울과 트래버스 시스템 둘 다 잘 접근되도록 한다. 반면에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 9 항 내지 제 11 항의 조치는 트래버스 메카니즘을 접촉로울에 대한 그의 상대운동 동안에 사 통로에 대해 수직으로의 운동을 실행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은 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 12 항에 제시된 바와 같이 구동 메카니즘이 권취사이클 과정에서 트래버스 시스템과 접촉로울 사이의 간격을 변경시키는 트래버스 시스템의 지지체상에 작용할 때 특히 중요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또 권취사이클 동안에 트래버스 스트로우크를 변경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로 인해 구동 메카니즘은 소정 프로그램에 의해 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 13 항에 따라 제어된다. 해당 프로그램은 권취사이클 동안에 특히 그의 개시시에 스트로우크를 짧게 한다.(특허청구의 범위 제 14 항). 이에 관하여 미국특허 4,789,112(Bag.1540)에 기재된 패키지 형성방법이 참고로 언급된다. 더욱이 그것은 미국특허 제4,325,517호(Bag. 1157)과 DE-OS 3723524Al(IP-153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스트로우크 변경을 실행하는 대응 프로그램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또 스트로우크의 이동을 이 방식으로 실행하도록 접촉로울에 관하여 트래버스 메카니즘을 축상 및 주기적으로 왕복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 12 항 내지 제 15 항에 따른 본 발명은 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 내지 제 11 항에 따른 발명에 관계없이 유익하다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또 본 발명은 사가 중단없이 권취되는 방식으로 패키지 도프가 가능해서 패키지 도핑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이 때문에 척 리볼버는 사가 권취되며 패키지가 도피되는 동안에 동일한 방향으로 항상 회전된다. 사가 공급되어 감겨지는 순간에 동일 방향으로 사와 빈 튜브의 표면이 이동하는 "단일-방향의 포착(uni-directional catching)" 방법은 사가 그의 장력에서 단지 약간 변동을 받는다는데 특징이 있다. 사장력의 이 약간의 변동은 DE-A 3923305(Bag. 1650)으로 부터 공지된 바와 같이 사 포착 슬로트를 구비한 권취튜브가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본 발명의 신뢰성의 기초가 된다.
"단일-방향의 포착" 방법에서 척 리불버는 작동스핀들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은 공전 권취스핀들이 그의 작동위치로 회전될 때 접촉로울을 지나서 이동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 6 항에 따라 방지되는 기하학적 설계의 제한을 초래한다. 접촉로울은 단지 약간의 운동, 예를들면 10mm을 실행해야 한다는 것이 강조되고 있다.
통상의 회전포착방법은 빈 튜브에서 사 포착 슬로트의 직각면으로 부터 만관패키지의 직각면으로 사를 편향시키는 사 가이드를 필요로 한다.(PCT/DE 89/00094 참조). 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 17 항에 따르면 플레이트 모양의 이 편향 사 가이드는 여전히 회전하고 있는 만관패키지에 대하여 작동상태에 놓이는 빈 튜브를 보호할 목적으로 또 다른 보호플레이트와 함께 작용한다. 특히 파열 또는 절단된 사 선단은 회전하는 만관패키지로 부터 그것을 들어올려서 빈 튜브상에 형성하는 사충을 손상시키는 일이 생길 수도 있다. 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 17 항은 사가 절단 또는 파열되기전에 이미 빈 튜브로 부터 만관패키지의 완전한 캡슐화를 제공한다. 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 17 항에 제공된 조치는 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 전문에 규정된 바와같이 설계되어 구성된 모든 권취기에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다.
권취기상의 패키지를 도핑시키는 방법은 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 19 항 내지 제 21 항에서 주장된 더 유익한 개선점을 구비한 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 18 항에 기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촉로울은 그의 작동위치로 이동하는 빈 튜브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약간의 회피온동을 실행할 수 있는 통상의 회전 사 포착방법에 유익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증가하는 패키지 직경의 함수로서 권취사이클의 과정에서 척 리볼버의 회전드라이브를 제어 또는 조절하도록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작용하는 접촉로울의 이동성에 따라 용도가 주어진다. 그러나 이 함수는 빈 튜브상에 사의 제 1 층이 형성되는 동안은 효과가 없다. 그럼으로써 척 리볼버는 제위치에 일시적으로 보유될 수 있도록 달성된다. 이 기간 동안에 만관패키지는 그의 공전위치(idle position)로 이동하는 동안에 권취스핀들로 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 21 항 에 따른 자동 패키지 도퍼는 특히 유효하다.
증가하는 패키지 직경이 탐지되는 접촉로울의 측정기능온 접촉로울이 낮아져서 작동권취스핀들과 접촉하는 빈 튜브와 공전위치의 권취스핀들 상의 만관패키지가 대체된 후 또는 일정 프로그램 시간이 경과된후 복귀될 수 있다. 그러나 특별 제어는, 패키지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패키지와 접촉로울 사이에 또 접촉이 있어 그 결과 접촉로울의 지지체의 측정 편차를 초래하여 접촉로울의 측정기능이 복귀되는 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 20 항의 조치결과 불필요하게 된다.
접촉이 없을동안 패키지의 정격 원주속도에 대략 해당하는 원주속에서 접촉로울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대한 적당한 구동은 DE-A 3834032로 부터 주지될 수 있다.
본 발명올 구체예를 참조하여 이후에 상세히 기술한다.
제 1 도 내지 제 4 도, 제 5 도, 제 6 도 및 제 7 도에 예시된 권취기는 단지 세부사항에서만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다음 설명은 모든 구체예에 관한 것이며, 차이점에 대해서만 참고로 언급될 것이다.
공급시스템(l7)은 예시된 권취기로 일정속도에서 사(3)를 연속적으로 전진시킨다. 사는 트래버스 트라이앵글의 정점을 형성하는 사 가이드(1)를 통하여 먼저 안내된다. 그 다음 사가 방향(2)로 이동하여 사는 이후 기술되는 트래버스 메카니즘(4)에 도달한다. 트래버스 매카니즘을 지나서 사는 90℃이상까지 접촉로울(11)상에 편향된 다음 패키지(6)상에 권취된다. 패키지(6)는 자유로이 회전가능한 스핀들(5.1)(작동스핀들)상에 위치되는 권취튜브(10.1)상에 형성된다. 그 위에 위치된 권취튜브(10.1)를 구비하는 권취스핀들(5.1)과 권취튜브(10.1)상에 형성되는 패키지는 그의 작동위치의 개시 상태에 있다. 이때 그 위에 위치된 권취튜브(빈튜브)(10.2)를 구비한 제2권취스핀들(공전스핀들)(5.2)은 대기상태에 있다. 권취스핀들(5.1)(5.2) 둘다 회전가능한 척 리볼버(l8)에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모든 구체예에서 스핀들(5.1) 및 (5.2)은 이 스핀들과 일렬로 배열되는 척 리볼버(l8)상에 각기 설치되는 동기모우터(29.1) 및 (29.2)에 의해 구동된다. 주파수송신기(30.1)(30.2)는 제어가능한 주파수의 3-상 전류를 동기모우터에 공급한다. 회전속도센서(53)에 의해 개시되는 제어기(31)에 의해 주파수 송신기(30.1)(30.2)는 제어된다. 회전속도센서(53)는 접촉로울(11)의 속도를 조사하여 이 접촉로울(11)의 속도와 또 패키지의 표면속도가 패키지의 직경 증가에도 불구하고 일정하게 유지되는 식으로 각각의 작동스핀들(5.1)의 주파수 송신기(30.1)(30.2)를 제어기(31)를 통하여 제어한다.
동기모우터(29.1)(29.2) 대신에 비동기 모우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어주파수(F4),(F5) 각각은 제어신호에 의해 중첩되어서 제어기(31)에 의해 각각 입력되는 스핀들 속도의 정력치가 정확하게 유지된다. 적정한 제어시스템은 DE-C 3425064(IP-1348)에 개시되어 있다.
척 리볼버(18)가 권취기의 프레임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회전드라이브(33)에 의해 선회되는 결과, 한 스핀들상의 패키지(6)가 완전히 감겨졌을 때 그들의 작동위치 또는 대기위치로 교호로 스핀들(5.1),(5.2)이 각각 이동된다.
또 회전드라이브(33)는, 접촉로울(11)의 축과 작동스핀들(5.1) 사이의 거리가 패키지 직경이 증가함으로써 확대되도록 회전드라이브를 회전시키는 작용을 한다.
회전드라이브(33)는 또 제동모우터일 수도 있다. 그러한 제동모우터는, 전류의 공급원에 연결되지 않을때 그의 로우터가 움직이지 않는, 즉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제동모우터로서 설계되는 상기 회전드라이브(33)가 제 15 도에 개략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제 15 도는 제 1, 4, 5, 6, 7 도의 상세도로서 척 리볼버(18)에 대한 회전제어수단과 회전드라이브를 나타낸다. 브레이크(71)는 회전드라이브(33)와 척 리볼버(18)의 축(70)에 적용된다. 브레이크(71)는 전자석(72)에 의해 가동된다. 전자석은 회전제어장치(54)와 연결된다. 회전제어장치는 회전드라이브(33)의 로우터 회로나 접촉로울의 요동아암(48) 또는 지지체(63)의 각각의 운동을 조사하는 센서(52)의 출력신호의 함수로서 브레이크(71)의 전자석(72)의 회로 또는 회전드라이브(33)의 로우터 회로를 교호로 폐쇄시킨다,
그러나, 회전드라이브는 매우 저속에서 계속적으로 회전하는 스텝핑 모우터일 수도 있으며, 접촉로울(11)의 축과 작동스핀들(5.1) 사이의 거리가 패키지 직경이 증가함으로써 계속하여 확대되는 방식으로 접촉로울의 지지체(63), 요동아암(48) 각각의 운동을 조사하는 센서(52)로 부터 출력신호의 함수로서 회전제어장치에의해 제어된다.
접촉로울(l1)은 지지체상에 설치되어 작동스핀들과 방사상 성분의 운동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제 1-4 도, 제 6 도 및 제 7 도의 구체예에서 요동아암(48)은 접촉로울에 대한 지지체로서 작용한다. 요동아암(48)은 기계프레임내에 지지되며, 축(50) 주위를 선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50)은 접촉로울(11)이 작동스핀들(5.1)로 방사상 성분과 함께 이동가능하며 탄성고무블록에 의해 형성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이 탄성고무블록은 요동아암(48)에 설치되어서 요동아암(48)은 고무-탄성체 식으로 선회할 수 있다.요동아암의 그러한 베어링 설치의 구체예는 제 12 도에 상세하게 예시되어 있으며, 탄성고무블록(47)이 회전축(50)과 요동아암(48)의 베어링 눈 사이의 환상공간으로 삽입되는 원통형부재로 도시되어 있다. 회전축은 기계프레임에 고착하여 지지된다. 탄성고무블록의 내부 원주는 회전축(50)과 강고하게 연결된다. 탄성고무블록의 외부 자켓은 요동아암(48)의 부쉬의 내부 자켓과 고착하여 연결된다.
제 5 도의 구체예에서는 접촉로울이 도구(guideway)(64)에 직선으로 이동가능한 지지체(63)상에 설치되어있다.
요동아암(48)과 지지체(63) 각각은 접촉로울의 예를 들면 2mm의 매우 작은 거리만큼 작동되는 스핀들상의 패키지의 직경증가를 허용할 수 있게 한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든 사 트래버스 메카니즘을 사용할 수 있다. 제 1 도 내지 제 4 도의 구체예에서 트래버스 메가니즘은 전동장치(22)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모우터(l4)에 의해 구동되는 두 로우터(12,13)로 이루어지는 소위 회전블레이드 타입 트래버스 시스템이다. 로우터(12,13)에 설치된 것은 제 2 도 및 제 3 도에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블레이드(7,8)이다. 로우터는 다른 방향(27,28)로 회전하여서 가이드단부(9)를 따라서 사를 안내하게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한 회전블레이드는 한 방향으로 사를 안내하게 되며 그 다음 가이드단부 아래로 이동하는 반면, 다른 회전블레이드는 다른 방향으로 안내를 인계받아 그 다음 가이드단부 아래로 이동하는 것이다. 모우터(14)는 일정속도로 구동되나, 또 프로그램 송신기로 부터의 신호 함수로서 제어될 수도 있다.
제 5 도의 구체예에서 사 트래버스 메카니즘은 교차-나선형 로울을 적용하는 타입의 것이다. 교차-나선형 로울(23)은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그의 원주상에 연장된 무한왕복 홈이 공지방식으로 구비되어 있다. 트래버스 사 가이드(40)의 한 선단은 이 홈(l5)과 결합한다. 트래버스 사 가이드는 하우징의 가이드(44)에 직선으로 안내된다. 구체예의 보다 상세한 설명은 트래버스 메카니즘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트래버스 메카니즘의 타입에 관계없이 동일한 하우징은 제 5 도의 구체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와같은 트래버스 메카니즘의 고정 현가장치의 경우, 접촉로울의 측정운동이 매우 작으며 거의 무시할 수 있을 때 조차도 접촉로울(11)과 트래버스 사 가이드(40) 사이의 간격은 변한다.
제 1 도 내지 제 4 도, 제 6 도와 제 7 도의 구체예에서 사 트래버스 메카니즘(4)은 권취기의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를 위해 요동아암(49)이 그의 한 유리선단은 트래버스 메카니즘에 설비되며, 그의 다른 유리선단은 트래버스 메카니즘이 그 자체 및 접촉로울에 수직으로의 운동, 즉 평행 이동을 실행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제 1 도 내지 제 4 도의 구체예에서 요동아암은 그의 희전축이 요동아암(48)의 회전축(50)과 실제 공축(共軸)으로 배열되는 기계프레임에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7 도의 구체예에서 트래버스 메카니즘을 지지하는 요동아암은 요동아암(48)에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지지 된 다.
제 1 도 내지 제 4 도의 구체예에서는 트래버스 메카니즘을 위한 요동아암(49)이 접촉로울(ll)을 위한 요동아암(48)상에 지지체(51)와 함께 위치하고 있다. 그 결과 요동아암(49)은 아암(48)의 운동에 따른다. 그러나, 한편으로 독립적으로 상승될 수 있는데, 이는 접촉로울 및 트래버스 메카니즘을 사용하는데 도움이 되는 큰 이점이기도 하다. 압축공기에 의해 기울어지며 요동아암(48) 또는 지지체(63) 각각의 저부로 부터 작동하는 실린더-피스톤 어셈블리(21)는 접촉로울상에 가해져서 패키지상의 접촉로울이 되는 중량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보상한다. 이 하중은 트래버스 메카니즘 및 접촉로울의 중량(제 1 도 내지 제 4 도 및 제 7 도의 구체예), 또는 단지 접촉로울의 중량(제 5 도 및 제 6 도의 구체예)에 해당한다.
센서(52)는 모든 구체예의 기계프레임에 고정하여 배열된다. 이 센서는 요동아암(48) 또는 제 5 도의 지지체(63)의 운동을 조사하여 요동아암(48) 또는 지지체(63)에 대한 간격, 즉 요동아암(48) 또는 지지체(63) 각각에 의해 걸쳐진 거리를 측정한다. 출력신호의 함수로서, 즉 예를 들면 예정간격을 초과할 때 센서(52)는 회전드라이브(33)을 위한 제어장치(54)로 제공되는 출력신호를 방사한다. 작동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을 이후에 기술한다.
권취기의 작동방법은 모든 구체예에 대해 동일하며 제 1 도 내지 제 4 도를 참조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에 권취스핀들(5.1)의 작동이 도시되어 있다. 단지 몇 충만이 빈 튜브(10.1)에 감겨겨 있으며 접촉로울(11)은 형성되는 패키지의 주위와 접촉한다. 패키지의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접촉로울은 약간의 방사상운동을 실행한다. 이 운동의 거리는 센서(52)에 의해 탐지된다. 센서(52)의 출력신호의 함수로서 회전드라이브(33)는 접촉로울과 작동스핀들(5.1) 사이의 축상 간격이 증가되도록 하기 위하여 한 방향으로 약간의 각만큼 척 리볼버가 회전하는 방식으로 제어장치(54)에 의해 시동된다.작동스핀들의 회전방향은 화살표(55)로 표시된다. 사가 접촉로울 주위를 반시계방향으로 감기 때문에 작동스핀들과 패키시에 대해서는 시계방향으로 감길 것이다. 그 결과 작동스핀들은 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척 리볼버도 방향(56)으로 회전한다. 회전드라이브의 제어를 위해 본 발명은 두 대안을 제공한다.
회전드라이브(33)가 제 1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모우터일 때 회전드라이브의 축은 먼저 브레이크에 의해 제위치에 결합 고착되어서 패키지 직경이 증가할 때 척 리볼버는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된다. 그결과 접촉로울(11)은 실제위치로 그의 설정위치로 부터 밀어진다. 접촉로울의 실제위치와 설정위치 사이의 편차에 대한 허용 가능한 일정 최대치는 제어장치(54)로 입력된다. 거리센서(52)가 설정위치 및 실제위치 사이의 편차가 입력최대치를 초과하는 것을 탐지하자 마자 브레이크는 자석에 의해 해제되며 회전드라이브(33)의 로우터는 그의 전류공급원과 동시에 연결된다. 따라서, 회전드라이브는 천천히, 그러나 접촉로울(11)이 그의 소정위치로 다시 도달했다는 것을 센서(52)가 발견할 때까지 일정한 속도로 약간 더 회전된다. 접촉로울의 실제위치와 설정,위치 사이에 허용되는 편차의 최대치는 매우 작으며, 예를 들면 1mm 정도이다. 그때 회전드라이브(33)가 다시 멈춰지면 브레이크가 대신 가동된다. 그 결과 축, 회전드라이브(33) 및 척 리볼버는 다시 비회전위치로 결합고정하게 된다.
또다른 방법은, 회전드라이브(33)가 전류의 공급원에 일정하게 연결된다. 회전드라이브(33)의 매우 낮은속도는, 접촉로울이 그의 소정위치를 뗘나지 않거나 실제 및 설정위치 사이의 편차가 가능한 작으며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거리센서(52)와 회전제어장치(54)에 의해 제어된다. 이 구체예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그의 회전속도가 토오크에 좌우되지 않는 회전드라이브(33)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회전드라이브의 경우에 접촉로울(11)과 작동귄취스핀들(5.1) 또는 각각 그 위에 형성된 패키지 사이의 압력은, 처음 언급된 방법으로 척 리볼버의 회전을 초래할 수 없거나, 또는 나중에 언급된 방법으로는 척 리볼버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킬 수 없다.
패키지 종료위치는 참조번호(6)으로 표시되며 작동스핀들의 위치는 참조번호(5.1)로 표시된다. 그로 부터 권취사이클 동안에 척 리볼버가 회전됨에 따라 권취스핀들의 중심은 일정위치 또는 소위 스핀들 회전궤도의 작동범위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 작동범위는 제 1 도에서 참조번호(57)로 표시된다. 방사상 접촉압력의 최대 변화는 처음 로울(11)과 작동스핀들(5.1)이 접촉하는 개시위치와 작동스핀들(5.1)의 축이 접촉로울(11)의 중심으로부터 스핀들 회전궤도의 작동범위로 연장하는 접선상에 놓이는 개시위치 사이에서 발생한다. 접촉로울(11)의 중심에 관하여 권취스핀들(5.1)의 중심이 이동함으로써 각 α는 가능한 작게 된다. 제 1 도에서 이 각은 보다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서 과장하여 예시되어 있다. 실제로 이 각은 대략 15°이하의 작은 각이다. 본 발명의 특별한 장점은 1:3 이하의 낮은 직경비(빈 튜브의 직경대 만관패키지의 직경)에서 조차도 접촉압력의 변화가 작게 유지될 수 있으며, 또 접촉로울(11)상의 사의 루프각이 90°이상일 때도 접촉압력의 변화가 작게 유지될 수 있다는 점이다. 또 다른 장점은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 직경이 점점 커짐에 따라 접촉로울에 대하여 루프각이 감소되기 보다는 증가된다는 점에서 발견될 수 있다. 루프각의 감소는 접촉로울에 대한 사의 보다 큰 슬립을 초래한다. 슬립의 증가는 특히 접촉로울이 구동될 때, 또는 공전출력보다 큰 출력으로 구동될 때 사 장력의 변화를 초래한다.(DE-OS 3513796, Bag.1400 참조).
또한 장점은 접촉압력이 비교적 낮은 값으로 부터 시작하여 권취사이클 동안에 특히 그의 개시시에 증가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제1층을 권취할 때 접촉압력은 비교적 낮고 후에 증가하여야 한다는 상황을 고려한 것이다.
이들 장점은 특히 권취기술의 관점에서 대수롭지 않은 변경은 제외하고라도 접촉로울의 위치가 변하지 않게 유지된다는 사실로 부터 초래한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접촉압력이 척 리볼버상에 작용하는 토오크에 의해 가해지는 공지의 권취기에 반하여, 접촉압력은 접촉로울의 가동과 접촉로울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발휘되므로, 권취스핀들과 접촉로울 사이의 상대위치에 크게 좌우된다.
제 8 도 및 제 9 도는 접촉로울과 패키지 사이의 압력변동을 최소화할 목적으로 권취기의 설계 관점에서 본 발명에서 특히 중대하다고 생각되는 점을 다시 예시한다. 제 8 도 및 제 9 도는 권취사이클의 개시시의 접촉로울(11) 및 권취스핀들(5.1)과 권취스핀들의 축과 더불어 척 리볼버에 의해 기재되는 스핀들 회전궤도의 작동범위(B)를 구비한 권취기의 횡단면 기하학을 나타낸다. 권취사이클 등안에 권취스핀들의 축은 스핀들 회전궤도(S)상의 지점(A1) 및 (A2) 사이에 이동한다. 지점(A1) 및 (A2) 사이의 단면은 여기서는 작동범위(B), 제 1 도에서는 참조번호(57)로 표시된다. 도면에서는, 그 주위를 요동아암이 선회하는 회전축(50)과 접촉로울(11)이 그 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요동아암(48)이 예시되어 있다.
접촉로울(l1)이 패키지상에 위치될 때의 압력은 이 접촉로울의 중심(K)과 권취스핀들의 축(A) 사이의 연결선 방향을 각각 갖는다. 제일 맨끝 방향은 지점(K) 및 (Al), 즉 권취사이클의 개시시의 권취스핀들의 축위치를 통하여 연장한다. 그 다음 맨끝 방향온 축(K)에서 부터 스핀들 회전궤도(S)의 작동범위(B)로의 접선이다. 제 8 도 및 제 9 도의 양 도면으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촉로울에 의해 가해지는 힘(G)의 적용선은 접촉로울의 안내방향, 즉 지점(K)에서 요동아암(48)에 대한 수직방향(D)이다. 권취사이클의 개시시에 이 힘(G)은 스핀들 축의 개시위치(Al)를 통하여 연장하는 개시접촉압력(P1)과 요동아암(48)에 평행하는 힘으로 분해된다. 최후의 경우에 힘(G)은 요동아암(48)의 평행힘과 접선(T)에 작용하는 맨 가장자리의 접촉압력(PE)으로 다시 분해된다.
제 8 도 및 제 9 도로 부터 또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개시힘(P1)과 맨끝 힘(PE) 사이의 차는 비교적 작은데, 이는 힘(P1)(K와 A1 사이의 연결선)의 개시방향이 스핀들 회전궤도(S)로 부터 절단되는 원호가 단지 작은 높이(H)를 갖기 때문이다. 여기서, 척 리볼버의 중심(MR)의 상대위치, 스핀들 회전궤도의 반경과 권취사이클의 개시위치(Al) 및 접촉로울(11)의 위치가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러나, 또 제 8 도는 회전축(50)의 위치에 의해 예정되는 접촉로울(11)의 안내방향이, 안내방향 또는 힘(G)외 방향 각각이 스핀들 회전궤도(S)의 작동범위(B)를 교차하도록 위치될 때 맨 가장자리의 접촉압력(PE)과 개시접촉압력(P1) 사이의 차는 보다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한 기하학적 설계에서 접촉압력은 유효한 힘(G)의 값을 정확하게 가질 때까지 권취사이클 동안에 처음에는 약간 감소한다. 그 다음접촉압력은 극단치까지 약간 증가한 다음 다시 감소한다. 기하학적 설계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특허청구의 범위 제 3 항에 의해 보호된다.
사의 트래버스 방법에 관하여 트래버스 메카니즘(4)이 이 트래버스 메카니즘과 접촉로울(11) 사이의 간격이 변할 수 있는 방식으로 요동아암(49)상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나타내는 제 1, 4, 5, 6 및 7 도의 구체예를 참고로 언급한다.
제 1 도 및 제 4 도의 구체예에서 권취사이클 동안에 유지되는 접촉로울(1l)과 트래버스 메카니즘 사이의 최소거리는 지지체(51)에 의해 예정된다. 이것은 간격이 권취사이클 동안에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거리는 권취기가 사용될 필요가 있을 때 증가될 수 있다.
제 6 도 및 제 7 도의 구체예는 제어장치 및 드라이브로 부가적으로 더 구비되어, 권취사이클 동안에 접촉로울(11)과 트래버스 메카니즘 사이의 간격을 변경시킨다. 구동수단은 압축공기 실린더-피스톤 어셈블리(66)로 이루어진다. 이 실린더-피스톤 어셈블리의 피스톤 로드(67)와 피스톤은 요동아암(49)상에 지지되는 반면, 제 6 도의 구체예에서 실린더는 기계프레임에 지지되고, 제 7 도의 구체예에서는 접촉로울의 요동아암(48)상에 지지된다. 제어장치(68)는 프로그램 송신기로 주로 이루어지며 예정프로그램에 따라 구동수단(66)에 대한 압력을 제어한다. 제 6 도 및 제 7 도에서 스트로우크 변경프로그램은 프로그램과 같은 것으로 입력된다. 소위 스트로우크 변경에서 트래버스 스트로우크(상기 참조)는 주기적으로 짧아지며, 예를 들면 5%까지 길어진다. 이 때문에 이미 상술된 방법이 참고로 주어진다. 스트로우크 변경은 패키지단부의 손상을 방지 할목적, 특히 패키지 원주를 얇게 하는데 적합하며 패키지의 정면의 홈을 방지하는 데도 알맞다. 통상의 방법에서 스트로우크 변경은 트래버스 메카니즘의 통로가 대응하여 짧거나 또는 길어지는 것으로 실행된다. 그러나 이것은 예시되고 이미 기술된 트래버스 메카니즘으로는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트래버스 메카니즘의 통로가 일정하게 유지될지라도 트래버스 스트로우크가 변하지 않는 스트로우크를 변경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서 스트로우크는 예정프로그램에 따라 트래버스 메가니즘과 접촉로울(11) 사이의 간격은 구동수단(66)에 의해 연속적으로 증가되면서 감소되는 식으로 변경된다. 이 때문에 접촉로울과 트래버스 메카니즘 사이의 간격의 확대로 인해 사의 실제 트래버스 스토로우크는 접촉로울 및 패키지 상에서 감소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트래버스 메카니즘과 접촉로울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면 접촉로울 및 패키지 상의 사의 실제 트래버스 스트로우크는 각각 증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프로그렘이 입력될 수 있다.그러한 프로그램중 하나는 예를 들면 제 13도 에 예시되고 앞서 인용된 미국특허 제4,789,11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를 제조할 목적으로 부터 기인한다. 그러한 프로그램에 따르면 트래버스 메카니즘과 접촉로울 사이의 간격은 제 1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사이클의 개시시에 증가되며, 그 다음 일정하게 유지된다. 간격이 증가되는 시간의 주기에서 패키지의 전충 두께의 경우 10%인 기본층이 달성된다. 트래버스 메카니즘과 접촉로울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시간주기는 패키지전 직경의 적어도 80%를 성형하도록 유지되어야 한다. 그후 간격은 또 감소될 수 있다. 시간에 따른 간격의 개략적 다이어그램은 제 14 도에 도시되며, 여기서 r은 빈 튜브의 반경, b는 층의 두께이고, SB는 기본층의 두께이다.
이 프로그램에 따르면 패키지는 그의 두 앞 선단상에 약간 원추형의 기본층을 구비한 형태로 된다. 그렇지 않으면 패키지는 원통형일 것이다. 간격은 기본층의 길이변동이 거의 눈에 띄지 않으며 패키지의 모든층의 개선된 주로 안정한 지지체에 의해서만 효과적이도록 약간 변경될 수 있다.
지금부터 패키지 도핑방법에 대해 언급하면, 작동스핀들이 제 1 도의 그의 선단위치(5.1)에 도달할 때 동일한 상태가 발생하며, 이 때문에 압력경감장치(pressure relief device)(21)는 만관패키지로 부터 접촉로울(11)을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압력에 의해 기울어진다. 예시된 구체예에서 압력경감장치는 요동아암(48)과 접촉로울의 지지체(63)에 대해 각각 작용하는 압축공기 실린더-피스톤 어셈블리이다. 여기서 또 겨우 10mm의 매우 약간의 운동만이 실행된다. 그때 작동스핀들(5.1)이 더 구동되면서 패키지 리볼버는 방향(56)으로 더 회전된다. 그 결과 지금까지 공전상태인 스핀들은 작동범위의 개시위치, 즉 작동스핀들(5.1)이 제 1 도에 도시되는 위치에 달하게 된다.
또한, 공전스핀들의 구동모우터(29,2)가 사전에 개시되어서 빈 튜브가 정격 원주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제 4 도를 참조하면 스핀들(5.2)상에 위치하는 빈 튜브(10.2)가 그를 통하여 사가 전진하는 접촉로울(11)과의 갭을 이 위치에 형성한다.
스핀들(5.2)이 그의 작동위치로 들어갈 때 그 위에 위치된 권취튜브(10.2)를 구비한 스핀들(5.2)은 접촉로울(11)과 만관패키지(6) 사이에 연장하는 사 통로로 이동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빈 튜브(10.2)는 사와 동일한 방향으로 접촉길이를 따라 이동한다. 그 결과 여기서 기술된 절차는 통상의 회전 사 포착으로서 기술된다.사는 트래버스 메카니즘(4)에 의해 여전히 왕복이동되며, 그 결과 적어도 전 트래버스 스트로우크(H)에 걸쳐서 만관패키지(6)상으로 이동된다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다음에 기재되는 바의 사 리프트 장치(yarn lifting device)는 단지 실예로 기술된다.
90°로 회전되며 제 2 도 및 제 3a 도에 도시된 사 리프트 장치(25)는 사 트래버스 방향에 평행하여 연장하는 회전축(34), 접촉로울의 축 및 권취스핀들의 축을 구비한다. 그의 V-형 정단부(35)는 그의 두 다리로 회전축(34)을 교차하며 사 트래버스 메카니즘에 비스듬히 연장하며 가이드노치(36)에 집중하는 두 가이드단부를 그의 이동된 위치(제 3b 도)에 형성한다. 가이드노치(36)는 권취스핀들의 직각면에 먼저 연장하여 트래버스 스트로우크내에 위치한다. 그러나 사 리프트 장치는 각각의 권취튜브(l0.1),(10.2)가 사 포착 슬로트(37.1) 또는 (37.2)를 구비한 직각면예 가이드노치(36)가 위치될 때까지 화살표(45)(제 2 도 및 제 3a 도) 방향으로 그 회전축(34)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 직각면은 포착면으로서 기술된다. 포착 슬로트는전 원주 또는 원주의 일부분상을 연장하며 특별 유형일 수도 있으며 권취튜브의 표면으로 제작된 좁은 노치이며, 이는 이후 보다 상세히 기술된다. 포착 슬로트(37)는 그에 걸쳐서 튜브가 보통 권취되는 트래버스 스트로우크(H)의 외부에 위치된다.
포착 슬로트의 적당한 구체예는 제 10 도 및 제 11 도에 도시되며 이후 보다 상세히 기술된다. 사 리프트 장치(25)의 또 다른 적당한 구체예를 이후 기술한다.
사 변경, 즉 회전을 졔속하는 만관패키지(6)로 부터 사를 분리시키고 이미 회전하고 있는 빈 튜브(10.2)상에 사를 안내시키기 위해서 사 리프트 장치(25)는 전방으로 선희된다. 이 사 리프트 장치(25)의 이 선회운동으로 사는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이상의 접촉이 없을 정도로 트래버스 메카니즘(4)의 회전블레이드(7,8)의 접촉구역으로 부터 이동제거된다. 따라서 사는 비스듬한 단부(35)중 하나를 따라 활주하여 노치(36)로 진입한다.
사 리프트 장치가 선회됨과 동시에 도 사 이송장치(26)는 선회된다. 사 이송장치는, 그의 유리선단이 플레이트(39)인 편향장치에 설비되는 요동레버(41)로 이루어진다. 회전축(38)은 그런 방식으로 연장하며, 레버(41)의 길이와 그의 유형은, 플레이트(39)가 그의 작동위치로 이동된 빈 스핀들(5.2)의 원주와 그의 대기위치로 이동된 만관패키지(6) 사이에 이동될 수 있도록 선정된다.
플레이트(39)의 유형은 제 3a 도 및 제 3b 도에 도시된다. 그의 실제 정면도는 제 3b 도에 도시됨을 주지하길 바라며, 제 3a 도는 사 리프트 장치(25)와 사 이송장치(26)가 보다 나은 예시를 위해 각각 90°만큼 회전되어각기 도시된 점에서만 제 3b 도와 다르다.
플레이트(39)는 사가 전진하는 측면으로 부터 빈 튜브와 만관패키지 사이의 갭으로 이동된다.
제 3b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될 때 먼저 사와 접촉하는 단부인 플레이트의 정단부는 슬라이드단부(42)로서 구성된다. 슬라이드단부(42)에 수직하는 슬로트(43)는 플레이트로 구비되며, 이 슬로트는 슬라이드단부(42)에 실제 수직이다. 슬로트는 만관패키지(6)와 교차하는 직각면, 즉 트래버스 스트로우크(H)에 위치되나, 튜브에 구비된 포착 슬로트(37)에 근접한 선단구역에 위치된다. 이 직각면에서 약간의 권취로 이루어지는 사 비드(yarn bead)가 패키지를 완성시키기 위해 패키지 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본 출원에서의 이 면은 비트면으로 언급된다.
사 리프트 장치(25)가 이등되고 사 이송장치(26)가 제 2 도 및 제 3b 도에 각각 도시된 위치로 선회될 때의 상황에 대해 언급하면, 사는 먼저 V-형 단부(35)를 따라 활주함으로써 동시에 플레이트(39)의 활주단부(42)를 따라 활주하게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사는 사 리프트 장치(25)의 노치(36)로 진입하며 사 이송장치(26)의 보유 슬로트(43)로 진입한다. 여기서 가이드노치(36) 및 보유 슬로트(43)는 동일한 직각면에 실제 먼저 연장된다. 따라서 사는 먼저 빈 튜브(10.2)의 권취구역에서 및 만관패키지(6)의 권취구역에서 왕복이동없이 전진하여서 만관패키지 상에 비드를 형성하게 된다. 그때 사 리프트 장치(25)는 빈 튜브(10.2)의 사 슬로트가 또 위치되는 직각면(포착면)에 대략 가이드노치(36)가 위치될 때까지 포착 슬로트가 위치되는 패키지선단 방향, 즉 화살표(45)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사 리프트 장치(25)가 화살표(45)의 방향으로의 이 운동을 실행하는 동안 사는 슬로트(43)에 유지된다. 반면에 사는 빈 튜브(10.2)에서 포착 슬로트의 영역으로 노치(36)에 의해 전진하며 사 포착작동 동안에 바람직하게 구동되는 접촉로울(11)에 의해 조장되어서 사에 장력을 미치게 된다. 여기서, 플레이트(39)의 보유 슬로트가 상기 일정 모양을 갖추며 사가 빈 튜브(10.2)의 보다 큰 루프를 위해 깊게 편향되도록 하기 위해서 빈 튜브와 만관패키지 사이의 갭으로 플레이트(39)가 진입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그래서 사는 동일 직각면에서 대략적으로 포착 슬로트(37)로 전진한다. 그러나 사는 트래버스 스트로우크의 중심방향으로 플레이트(39)의 슬로트(43)에 의해 편향되기 때문에 예각으로 포착 슬로트를 뗘난다. 제 3a 및 3b 도가 예각으로 포착 슬로트를 다시 사가 뗘나는 것을 도시하는 반면 이들 도면이 사 트래버스 메카니즘, 접촉로울, 권취스핀들 및 사 이송장치의 개략적 연속배열을 나타내기 때문에 도면들은 공간적 루프상태를 나타낼 수 없다. 이 때문에 제 4 도가 참고로 언급된다. 포착 슬로트의 특별한 모양과 큰 루우프로 인해 사는 먼저 포착 슬로트로 깊게 낙하한다. 사가 측면상의 포착 슬로트로 부터 안내되기 때문에 사는 포착 슬로트에 확고하게 죄어져서 사는 포착 슬로트를 떠날 수 없으며 사의 데니어가 낮다면 파열한다. 그렇지 않으면 사 절단기가 이때 가동되며, 이 절단기는 보유 슬로트(43)의 선단구역의 플레이트(39)상에 부착된다.
사가 절단된 후 노치에 포착된 사 선단은 그때 권취스핀들(5.2)의 빈 튜브(10.2)상에 귄취된다. 그 다음 사 리프트 장치(25)는 그의 비작동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사는 다시 트래버스 메카니즘(4)에 의해 포착되어 왕복된다. 그 결과 패키지의 제1층이 빈 튜브상에 형성된다. 성형되는 패키지와 접촉로울(l1) 사이의 갭은 당분간 유지된다. 이것은 그때 작동중의 권취스핀들(5.2)이 성형패키지의 원주속도의 조절없이 구동되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일정 속도로 권취스핀들(5.2)을 구동시킬 필요가 있으며, 상기 속도는 빈 튜브의 원주속도와 제1사층이 사 속도를 얻는데 요구된 값을 갖도록 사전 결정된다. 그러나 접촉로울이 성형패키지에 대하여 위치되지 않는 시간동안 척 리볼버(18)는 또 비가동중이다. 이것은 척 리볼버(18)가 정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패키지는 만관패키지가 빈 튜브로 대체되는 권취스핀들(5.1)로 부터 그때 도프된다.
제 3c 도는 도퍼로서 사용되는 패키지 이송장치(65)의 부분도면이다. 이 패키지 이송장치(65)는 권취기의 정면을 따라 이동한다. 그 위에 만관패키지(6)가 형성되어 있는 권취스핀들(5.1)은 접촉로울이 권취스핀들(5.1)과 그 위에 형성된 새패키지로 부터 들어올려지는 시간 국면 동안에 위치되는 그 높이에서 패키지 이숭장치(65)는 권취스핀들(5.2)과 일렬로 정렬되는 스핀들(66)로 구비된다. 그때 미는 장치(pushing device)가 작동된다. 이러한 미는 장치는 예를 들면 독일 특허 제2438363호 및 대응 미국 특허 제3,974,973호(Bag. 906)에 개시되어 있다. 미는 장치는 권취스핀들(5.1)과 평행하게 움직이는 포오크일수 있어서, 기졔쪽 정면상의 권취튜브(l0.1)와 결합하게 되어 스핀들(66)상의 권취스핀들(5.1)로 부터 패키지를 밀어준다. 또한 같은 방법으로 권취스핀들(5.2)상의 빈 튜브를 미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독일 특허 제2449415호(Bag. 917) 및 DE-OS 제2455739호(Bag. 923)에는 기타 적합한 도퍼가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패키지 도핑작동은 권취스핀들(5.2)과 그 위에 형성되는 패키지로부터 접촉로울이 들어올려지는 동안에 일어난다.
척 리볼버의 회전구동을 다시 시작할 수 있는 2가지 방법이 가능하다. 첫번째 방법에 따르면 패키지 도핑공정에 필요한 시간이 시간 송신기에 프로그램되며 송신기에 의해 사전 측정된다. 그러나, 이 시간은 도핑공정의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사전측정될 뿐만 아니라 권취기술 측면에 대해서도 고려된 것이다. 이것에 관해서는 이하 설명한다. 사전측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시간송신기는 압력경감장치(21) 내의 압력이 다시 정상작동에 요구되는 정도로 감소되는 척 리볼버의 회전구동을 다시 시작한다. 그 결과 접촉로울은 패키지상에 위치될 때까지 다시 낮아진다. 이때 압력경감장치(21)가 다시 작동되고 접촉로울의 측정운동기능으로서 척 리볼버의 회전구동을 제어한다.
두번째 가능한 방법에 따르면, 접촉로울과 진전하는 패키지를 결합시키는데 요구되는 만큼 그때 작동중에 있는 권취스핀들(5.2)의 빈 튜브(l0.1)상에 다수의 사층이 감겨지므로써 요동아암(48)상에 센서(52)에 의해 탐지되는 편차를 야기시키게 된다. 또한 이때의 출력신호는 압력경감장치(21)내의 압력을 정상작동에 필요한 양으로 감소시키는데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빈 튜브(10.2)와 그때 작동중인 권취스핀들(5.2)로 부터 접촉로울을 들어올리는 첫번째 이유는 대기상태에 있는 권취스핀들(5.l)로 부터 패키지를 도프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두번께 이유는 권취기술과 관련이 있다. 제1사충이 접촉로울과 접촉상태에 있지 않아도 권취될 수 있는 반면에 패키지는 여전히 매우 단단하다. 결과적으로 제1사총이 있는 접촉로울의 접촉시에 사총이 손상되는 위험이 초래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은 본 발명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접촉로울이 비작동중인 동안에 시간이 사전측정될 때 권취-기술적 측면을 고려한 것이다.
그러나, 다른 방법으로 또 본 발명은 접촉로울이 패키지 위에 놓여 있을 때 힘을 사전측정할 수 있는 가능성, 및 권취-기술적 관점에서 바람직하거나 필요한 방식으로 권취사이클 동안의 힘을 프로그램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일정한 접촉력이 요구되면 접촉로울과 성형패키지 사이의 접촉이 이루어진 후 권취작동 동안에 압력경감장치가 약한 압력으로 기울어지며, 상기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되며 요동아암(48), 접촉로울 및 트래버스 메카니즘의 총 중량의 일부분을 보상하도록 작용하여서 패키지상의 접촉로울에 의해 미치는 접촉력을 정확한 양으로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권취사이클 동안에 겁촉력의 예정과정이 달성될 수 있는 방식으로 압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1사총이 권취되는 동안에, 계속 회전하고 있어서 제동시켜야 하는 만관패키지(6)상의 절단사 또는 파열사 말단이 여기저기로 움직이게 되는 위험이 있다. 이에 대한 효과적인 보호가 이미 플레이트(39)에 의해 제공되었다. 그러나 보호플레이트(60)가 추가로 제공되며, 제 1 도 및 제 4 도 두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보호플레이트(60)는 선회가능하도록 지지된다. 그의 회전축은 권취스핀들의 축에 평행하도록 연장된다. 작동되는 동안에 플레이트는 척 리볼버 및 패키지 또는 그 위에 각기 위치된 권취스핀들의 운동가능범위로 부터 이동되고 그의 공전위치에 자석(6l)에 의해서 유지된다.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를 도핑시키기 위해 보호플레이트(60)는 사 이송장치(26)의 요동아암(41)이 선회되는 것과 동시에 패키지 리볼버의 방향으로 선회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보호플레이트(60)의 유리선단은 플레이트(39)의 유리선단에 그 자체 지지한다. 보호플레이트(60)는 사 통로로부터 떨어져 마주하는 쪽으로 이동하고 플레이트(39)가 사 통로쪽으로 부터 한번에 만관패키지 및 빈 튜브(10.2) 사이의 간격으로 선회되기 때문에, 사가 아직 파열 또는 절단되지 않았을 때에는 플레이트(39) 및 보호플레이트(60)는 모두 만관패키지의 움직이는 사 선단에 대하여 빈 튜브(10.2)상에 권취되도록 새패키지의 국부적이고 완전한 일시적 보호를 제공한다. 물론 보유 슬로트(43)는 매우 협소하게 설계되어 있어 만관패키지의 움직이는 사 선단이 보유 슬로트를 통해 지나갈 수 없게 된다. 제 10 도 및 11 도는 사 포착 슬로트의 A-A선을 따른 부분단면도 및 튜브의 좌측선단상의 각 권취를 도시한다.
그의 예시된 선단에 튜브(10)가 사 포착 슬로트(37)로 구비되며 포착 슬로트(37)는 그의 정면선단으로부터 일정거리에 위치되며, 예를들면 120°각도에 걸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한다. 튜브(10)의 표면 및 사가화살표(55) 방향으로 이동한다고 추정하면 사 포착 슬로트는 입구부분(74)으로 개시한다. 이 입구부분(74)은 사 직경에 비해 비교적 폭이 넓고 예를 들어 패키지 원주의 45°에 걸쳐 연장할 수 있는데 특징이 있다.그 다음으로는 포착부분(75)이 있다. 포착부분(75)은 두 실례에 있어서 다르게 예시되어 있다. 제 10 도의 구체예에 있어서 포착부분(75)은 포착 슬로트가 원주방향으로 그 원주의 비교적 짧은 길이에 걸쳐서, 예를 들어 20°로 가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1 도의 구체예에서, 포착부분은 각 벽이 톱니모양으로 돌출하는 방사상단부를 구성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방사상단부는 원주방향으로 예를 들어 각각 2mm 거리마다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반대편 벽의 단부는 서로에 관하여 이동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톱니처럼 날카롭다. 단부가 위치하는 직각면 사이의 축간격은 사의 두께보다 작다. 간격은 0 또는 심지어 음수일 수 있다. 단부는 권취튜브의 운동방향으로 유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접도면은 각각 A-A선에 따라 포착 슬로트의 부분단면도를 도시한다. 작동에 있어서, 사는 포착 슬로트(37)의 직각면에서 포착하도록 안내된다. 사 및 튜브 표면이 동일한 방향(55)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입구부분(74)은 먼저 사와 접촉한다. 사는 실질적으로 포착 슬로트의 바닥으로 낙하한다. 이것은 사의 전진속도가 사 포착 슬로트 또는 튜브의 병진속도보다 약 1% 정도 약간 더 높아지도록 한다. 그러나 입구부분(74)이 넓어서 사를 실질적인 정도로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결과초래된 상대속도는 사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형태에서는 효과적으로 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장력은 사를 포착 슬로트나 이것의 입구부분으로 가능한한 깊숙히 잡아당기기에 충분하다. 포착부분(70)은 사에 매우 순간적으로 쥠력이 작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포착부분의 사와 포착 슬로트의 측벽 사이에 실질적으로 확실한 결합이 형성될 정도로 매우 갑자기 좁혀져 나타난다. 여기서 사는 합성 멀티 필라멘트사이고 이 사는 판지로 제조된 권취튜브에 대해 확실한 결합을 위한 많은 접촉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매우 갑작스럽게 제 1 도의 절단단부-형 포착부(75)를 좁힘으로써 실질적으로 확실한 결합을 얻을 수 있다. 제 2 도의 포착부분의 구체예에서 사는 지그재그형으로 매우 갑작스럽게 편향되어서 그 형태는 실질적으로 확실한 결합을 초래한다. 특히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포착 슬로트로부터 측면으로 사가 더 배출될 때 포착 슬로트로 깊게 들어가서 조여지는 사는 확실하게 유지되고 파열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Claims (24)

  1. 두 권취스핀들(5.1)(5.2)이 지지되는 회전 척 리불버(l8)와 사 통로에서 상기 척 리볼버를 앞서는 접촉로울 및 트래버스 메카니즘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촉로울이 권취스핀들(작동스핀들)상에 형성되는 패키지와 원주 접촉하며, 권취사이클동안 척 리볼버가 회전하는 결과 증가하는 패키지의 직경에 대응하여 작동중인 권취스핀들의 축과 접촉로울의 축사이의 거리가 변할 수 있는 연속적으로 전진하는 사를 위한 권취기에있어서, 상기 접촉로울(11)이 지지체상에 지지되며; 상기 접촉로울이 작동스핀들(5.1)에 관한 방사상 성분과 함께 스트로우크 운동을 실행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지지체가 이동가능하며; 예정된 힘이 상기 지지체의 운동방향으로 상기 접촉로울(11)상에 작동하며; 상기 리볼버는 상기 접촉로울(11)의 축과 작동스핀들(5.1)의 축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도록 리볼버(18)를 구동시키는 회전드라이브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드라이브(33)는 센서(52) 및 회전제어수단(54)을 구비한 제어루프에 포함되며; 상기 센서(52)는 상기 접촉로울(11)의 스트로우크 운동을 포착하며;상기 회전드라이브(33)는 권취사이클 과정에서 상기 접촉로울의 위치가 소정의 범위내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접촉로울의 위치의 설정치와 실제치 사이의 편차의 함수로서 센서에 의해 제어루프내에서 제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척 리볼버(18)는 권취스핀들과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드라이브(33)에 의해 회전가능하며; 사는 처음 방향에 60°이상의 각으로 접촉로울 주위를 루프상태로 감으며; 사는 반대방향으로 접촉로울에 대하여 위치하는 패키지 주위를 루프상태로 감으며; 상기 척 리볼버의 축과 상기 접촉로울의 축 사이의 접촉면에 관하여, 상기 작동스핀들(5.1)은 접촉로울로 부터 전진하는 사가 유도되는 측면에 위치되며; 그 위에 지지된 스핀들과 더불어 척 리볼버와 접촉로울은 힘의 개시선이 스핀들 회전궤도의 할선이도록 서로에 관하여 배열되며, 상기 힘의 개시선이 그의 개시위치의 작동스핀들(5.1)의 축과 접촉로울의 축사이의 연결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3. 제 2 항에 있어서, 그 위에 설치되는 접촉로울을 구비한 지지체와 그 위에 지지되는 스핀들을 구비한 척 리볼버는 힘의 개시선과 힘의 최종선 사이의 각 α가 20°, 바람직하게는 15°보다 작도록 서로에 관하여 배열되며, 상기 힘의 최종선은 스핀들 회전궤도에 대해 접촉로울의 축을 통한 접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로울이 중력성분과 함께 권취스핀들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접촉로울의 지지체는 중력을 부분적으로 보상하기 위하여 지지체상에 작동하는 압력경감장치(21), 바람직하게는 제어가능한 압력경감장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경감장치는 패키지상의 상기 접촉로울의 결과 생성된 접촉로울이 소정의 값을 춰하도록 프로그램됨으로써 제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압력경감장치는 접촉로울이 작은 갭으로 작동스핀들로 부터 그 자체를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로울(11)의 지지체는 기계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현수되며 그의 유리선단에 접촉로울이 설비되는 요동아암(4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아암(48)이 기계프레임에 구비된 탄성고무블록으로 탄성적으로 선회하는 방식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 트래버스 메카니즘은 접촉로울상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으로 접촉로울(11)의 지지체와 견고히 연결되나 접촉로울의 지지체와 독립하여 반대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지지체(49)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 트래버스 메카니즘의 지지체(49)가 접촉로울의 지지체상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는 요동아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 트래버스 메카니즘의 지지체(49)는 접촉로울와 요동아암(48)과 공축(共軸)으로 기계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는 요동아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 트래버스 메카니즘의 지지체가 접촉로울에 무관하게 이동가능하며, 구동수단이 사 트래버스 메카니즘의 지지체상에 작동하며, 상기 사 트래버스 메카니즘과 접촉로울 사이의 간격을 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 트래버스 메가니즘과 접촉로울로 이루어지는 권취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이 예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권취사이클의 과정에서 제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사 트래버스 메카니즘과 접촉로울 사이의 간격이 권취사이클의 과정, 특히 그의 개시시에 증가되는 방식으로 제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사 트래버스 메카니즘과 접촉로울 사이의 간격이 권취사이클의 과정에서 반복하여 정기적인 시간간격동안 증가되고 감소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제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트래버스 메카니즘이 양 방향으로 반복하여 정기적인 시간간격동안 축상으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권취스핀들에 대한 사 트래버스 메카니즘의 상대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17. 제 1 항 내지 제 3 항 또는 제 5 항 내지 제 1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39)는 작동위치로 이동된 빈 튜브(10.2)를 구비한 공전스핀들(5.2)과 만관패키지(6)를 구비한 여전히 구동되는 작동스핀들(5.1)사이의 갭으로의 편향 사 가이드로서 이동, 특히 선회하는데 적합하며; 상기 플레이트가 그의 정단부(42)로부터 연장하는 보유 슬로트(43)로 구비되며, 상기 슬로트는 만관패키지의 직각면에 그의 밑부분으로 위치되며; 편향 사 가이드(26)의 플레이트(39)와 함께 사가 빈 튜브에 포착되기 전에 이미 만관패키지에 대하여 빈 튜브(10.2)를 차단하는 방식으로 작동위치로 이동되는 공전스핀들과 공전위치로 이동되는 작동스핀들 사이의 영역으로 사로 부터 떨어져 마주하는 작동스핀들과 공전스핀들의 측상에 이동, 특히 선회하는데 상기 보호플레이트(60)가 적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18. 두 권취스핀들(5.1)(5.2)이 그 위에 지지되며, 권취경로의 완료시에 만관패키지를 구비한 권취스핀들이 작동영역에서 벗어나고 빈 튜브를 구비한 권취스핀들이 작동영역으로 진입하며, 작동영역에는 형성될 패키지와 접촉로울(11) 사이에서 원주접촉이 발생하도록 회전되는 척 리볼버(18)를 포함하는 권취기상의 패키지 도핑방법에 있어서, 작동스핀들의 권취사이클의 완료시에, 빈 튜브(10.2)를 구비한 공전스핀들(5.2)이 접촉로울(11)의 지역으로 진입하고 접촉로울이 작동스핀들상의 만관패키지와 더 이상 결합하지 않을 때까지 척 리볼버의 회전운동(56)이 증가된 속도에서 계속되는 방식으로 회전드라이버가 제어가능하며; 접촉로울의 지역으로 공전스핀들의 진입시에 접촉로울과 빈 튜브 사이에 갭이 작도록 유지되고 또한 접촉로울 및 회전드라이브(33)의 스트로우크 운동을 탐지하기 위한 센서(52)로 이루어지는 제어루프가 중단되는 방식으로 상기 접촉로울(l1)을 구비한 지지체가 이동되며; 척 리볼버(18)의 회전드라이브(33)가 결합해제되며; 사가 사 트래비스 메카니즘(4)으로 부터 제거되고, 이 사 트래버스 메카니즘과 연관된 사 가이드(25)에 의해유지되며; 편향 사 가이드(26)는 빈 튜브를 구비한 공전스핀들과 만관패키지를 구비한 작동스핀들 사이의 사 통로로 이동하며, 상기 편향 사 가이드로 부터 전진하는 사가 만관패키지(6)상의 직각면으로 전진을 계속하며 증가된 각으로 튜브 주위를 동시에 루프로 감으면서 그 위에 비드로 권취되는 방식으로 상기 편향 사 가이드(26)는 축상으로 사를 유지하며; 그때 사 가이드(25)는, 빈 튜브(l0.2)가 포착 슬로트(37)의 축영역으로 도달하기 전에 사가 포착 슬로트(37)로 진입하여 그에 포착되는 방식으로 축상으로 이동되며; 상기 접촉로울(11)을 구비한 지지체는 하강하여 그 위에 위치된 사를 구비한 빈 튜브(10.2)는 상기 접촉로울과 접촉하게 되며; 그럼으로써 센서와 회전드라이브를 구비한 제어루프는 다시 폐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상의 패키지도핑방법.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로울(1l)이 보조드라이브와 연결되며, 이 보조드라이브는 권취스핀들과의 접촉이 중단되는 동안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20. 제 1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권취스핀들상의 사층이 접촉로울을 향하여 증가하며 접촉로울의 지지체가 그의 설정위치로 다시 도달할 때 척 리볼버의 회전드라이브를 위한 제어수단은 다시 작동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21. 제 1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만관패키지를 제거하고 빈 튜브를 삽입시키기 위한 자동도퍼가 작동상태로 될 수 있는 반면, 회전제어장치가 접촉로울이 들어올려질 때 비작동중이어서 만관패키지가 도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22. 제 1 항에 있어서, 접촉로울의 위치의 실제치와 설정치 사이에 허용불가능한 편차가 발생할 때 회전드라이브가 가동되며 접촉로울의 위치의 실제치와 설정치가 둘 다 동일할 때와 허용가능한 편차를 나타낼 때는 제동되는 방식으로 상기 회전드라이브가 센서에 의해 제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춰기.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라이브가 접촉로울의 위치의 실제치와 설정치 사이의 편차가 허용가능한 작은 값으로 낮게 조절되는 방식으로 센서에 의해 일정하게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24. 제 4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39)는 작동위치로 이동된 빈 튜브(10.2)를 구비한 공전스핀들(5.2)과 만관패키지(6)를 구비한 여전히 구동되는 작동스핀들(5.1) 사이의 갭으로의 편향 가이드로서 이동, 특히 선회하는데 적합하며; 상기 플레이트가 그의 정단부(42)로 부터 연장하는 보유 슬로트(43)로 구비되며, 상기 슬로트는 만관패키지의 직각면에 그의 밑부분으로 위치되며; 편향 사 가이드(26)의 플레이트(39)와 함꼐 사가 빈튜브에 포착되기 전에 이미 만관패키지에 대하여 빈 튜브(10.2)를 차단하는 방식으로 작동위치로 이동되는 공전스핀들과 공전위치로 이동되는 작동스핀들 사이의 영역으로 사로 부터 떨어져 마주하는 작동스핀들과 공전스핀들의 측상에 이동, 특히 선회하는데 상기 보호플레이트(60)가 적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KR1019890019264A 1988-12-22 1989-12-22 권취기 및 이를 이용한 도핑방법 KR970010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909106.6 1988-03-20
DE3843202A DE3843202C2 (de) 1988-12-22 1988-12-22 Aufspulmaschine
DEP3843202.1 1988-12-22
DE3909106A DE3909106A1 (de) 1989-03-20 1989-03-20 Aufspul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414A KR900009414A (ko) 1990-07-04
KR970010909B1 true KR970010909B1 (ko) 1997-07-02

Family

ID=25875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9264A KR970010909B1 (ko) 1988-12-22 1989-12-22 권취기 및 이를 이용한 도핑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029762A (ko)
EP (1) EP0374536B1 (ko)
JP (1) JP2693243B2 (ko)
KR (1) KR970010909B1 (ko)
CN (1) CN1021899C (ko)
DE (2) DE58907348D1 (ko)
ES (1) ES205076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5241B2 (ja) * 1989-03-27 1996-08-14 株式会社神津製作所 レボルビング型巻糸機
US5489067A (en) * 1989-09-27 1996-02-06 Kamitsu Seisakusho, Ltd. Turret type precision yarn winder
WO1991004937A1 (en) * 1989-09-27 1991-04-18 Kamitsu Seisakusho Ltd. Turret type yarn winding device
US5100072A (en) * 1990-06-06 1992-03-31 Barmag Ag Yarn winding apparatus and method
US5246177A (en) * 1990-08-08 1993-09-21 Teijin Seiki Co., Ltd. Yarn winding apparatus of an automatic bobbin changing type
GB2248856B (en) * 1990-10-19 1994-08-17 Rieter Scragg Ltd Yarn transfer arrangement
IT1251858B (it) * 1991-09-24 1995-05-26 Riva Off Mec Macchina di raccolta di filato
JPH05246622A (ja) * 1992-03-02 1993-09-24 Koutsu Seisakusho:Kk タレット型巻糸装置
EP0583469B1 (de) * 1992-03-05 1995-12-27 Barmag Ag Aufspulmaschine
US5676323A (en) * 1992-03-06 1997-10-14 Maschinenfabrik Rieter Ag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and winding bobbins involving the correction of movement sequences in a moving element
US5308008A (en) * 1992-03-18 1994-05-03 Rueegg Ant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rolls
DE69300507T2 (de) * 1992-04-23 1996-02-22 Teijin Seiki Co Ltd Garnwickelvorrichtung mit automatischem Spulenwechsel.
US5211354A (en) * 1992-06-03 1993-05-18 Sonoco Products Company Textile core having improved start up groove
US5328121A (en) * 1992-06-03 1994-07-12 Sonoco Products Company Textile core having improved start-up groove
DE4316566C2 (de) * 1992-07-06 2001-05-31 Barmag Barmer Maschf Verfahren zum Anlegen eines Fadens an eine Spulhülse
CN1101006A (zh) * 1992-11-26 1995-04-05 巴马格股份公司 绕纱方法及实施该方法的绕纱装置
JP3224928B2 (ja) * 1993-01-14 2001-11-05 帝人製機株式会社 糸条の巻取機
EP0650914B1 (en) * 1993-05-13 1998-12-30 Toray Engineering Co., Ltd. Filament winding method and filament winding machine
DE4431908A1 (de) * 1993-09-17 1995-03-23 Barmag Barmer Maschf Doffer zum Spulenwechsel
US5524841A (en) * 1994-05-26 1996-06-11 Ppg Industrie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winding a plurality of strands
DE4423491A1 (de) * 1994-07-05 1996-01-11 Neumag Gmbh Verfahren zum Steuern des Drehantriebs einer Aufspulmaschine
DE19543118A1 (de) * 1994-11-23 1996-05-30 Barmag Barmer Maschf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kennung einer Fadenaufspulung auf einer rotierenden Walze
US5558287A (en) * 1995-02-02 1996-09-24 Luc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to prevent flailing damage to a strand wound on a spool
DE59601859D1 (de) * 1995-02-24 1999-06-17 Barmag Barmer Maschf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wechseln von vollspulen gegen leerhülsen an einer aufwickelmaschine für einen kontinuierlich zulaufenden faden
DE19538480C2 (de) * 1995-10-16 2001-10-25 Sahm Georg Fa Spulmaschine und Verfahren zum Aufwickeln eines kontinuierlich zulaufenden Fadens auf eine Spule
EP0799787B1 (de) * 1996-04-04 2002-07-31 B a r m a g AG Aufspulmaschine
EP0825143A3 (de) 1996-08-22 1998-05-13 B a r m a g AG Aufspulmaschine zum Aufspulen eines anlaufenden Fadens
EP0873276B1 (de) * 1996-10-12 2002-07-03 B a r m a g AG Aufspulmaschine
DE19746947A1 (de) * 1996-11-13 1998-07-02 Barmag Barmer Maschf Spulhülse
EP0845432B1 (de) * 1996-11-27 2002-02-27 B a r m a g AG Aufspulmaschine
DE59711445D1 (de) * 1996-12-02 2004-04-29 Barmag Barmer Maschf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m Spinnen und Aufwickeln von Fäden
EP0888243B1 (de) * 1996-12-20 2002-07-24 B a r m a g AG Abschiebeeinrichtung zum schieben von hülsen oder spulen auf einem dorn
TW483866B (en) * 1997-03-25 2002-04-21 Barmag Barmer Maschf Method of winding an advancing yarn and takeup machine for carrying out such method
TR199800797A2 (xx) * 1997-05-15 1998-12-21 Barmag Ag Yol alan bir ipliğin sarılması için bir metot.
DE19832811A1 (de) * 1997-07-26 1999-01-28 Barmag Barmer Maschf Verfahren zum Aufwickeln eines Fadens
DE19832809A1 (de) * 1997-07-26 1999-01-28 Barmag Barmer Maschf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Aufspulmaschine
DE59806184D1 (de) * 1997-09-11 2002-12-12 Barmag Barmer Maschf Aufspulmaschine
DE19743278C2 (de) * 1997-09-30 1999-10-21 Sahm Georg Fa Verfahren und Spulmaschine zum Aufwickeln eines kontinuierlich zulaufenden Fadens zu Spulen
US6015113A (en) * 1997-10-06 2000-01-1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Winder for synthetic filaments
DE69806795T2 (de) * 1997-10-06 2003-04-03 Du Pont Wickler für synthetische filamente
DE19845325A1 (de) * 1997-10-10 1999-04-15 Barmag Barmer Maschf Aufspulmaschine
DE19849007A1 (de) * 1997-10-31 1999-05-20 Barmag Barmer Maschf Verfahren zum Aufspulen eines laufenden Fadens
WO1999024344A1 (de) * 1997-11-07 1999-05-20 Barma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spulen eines kontinuierlich zulaufenden fadens
CH693449A5 (de) * 1998-01-17 2003-08-15 Barmag Barmer Maschf Aufspulmaschine.
DE19802509A1 (de) * 1998-01-23 1999-07-29 Rieter Ag Maschf Aufwindevorrichtung für Endlosfäden
JP3211766B2 (ja) * 1998-03-20 2001-09-25 村田機械株式会社 紡糸巻取機
AU2854599A (en) * 1998-03-26 1999-10-18 Teijin Seiki Co. Ltd. Thread switching winder and winding method
JP3807468B2 (ja) * 1998-06-11 2006-08-09 村田機械株式会社 紡糸巻取機における巻取方法及び紡糸巻取機
DE69935421T2 (de) * 1998-09-04 2007-11-29 Toray Industries,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wickeln von synthetischen fasern
EP1046603B8 (de) * 1999-04-23 2004-07-14 Saurer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Führen und Schneiden eines zulaufenden Fadens beim Spulenwechsel
DE29908962U1 (de) * 1999-05-21 1999-09-02 Neumag Gmbh Aufspulmaschine
US6595456B2 (en) 2001-09-19 2003-07-22 Sonoco Development, Inc. Textile tube with start-up feature
JP3724402B2 (ja) * 2001-10-02 2005-12-07 村田機械株式会社 糸条巻取機
KR20030059742A (ko) * 2002-01-04 2003-07-10 신오범 북실 관권기의 스핀들 요동방지장치
ITMI20060288A1 (it) * 2006-02-16 2007-08-17 Savio Macchine Tessili Spa Dispositovo e procedimento per la regolazione della pressione di contatto di una rocca in avvolgimento
DE10209951A1 (de) * 2002-03-06 2003-09-25 Barmag Barmer Maschf Aufspulmaschine
US6732964B2 (en) 2002-06-28 2004-05-11 Sonoco Development, Inc. Yarn winding tube with removable end ring
DE10335237A1 (de) * 2003-08-01 2005-02-24 Saurer Gmbh & Co. Kg Aufspulmaschine
DE10346096B4 (de) * 2003-10-04 2005-08-11 Saurer Gmbh & Co. Kg Vorrichtung zum Aufwickeln einer Fadenreserve und einer Kreuzspule auf eine Spulenhülse
US7240875B2 (en) * 2003-10-14 2007-07-10 Sonoco Development, Inc. Yarn carrier
DE102005005129B4 (de) * 2004-02-11 2014-12-11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Vorrichtung zum Aufwickeln mehrerer Fadenscharen
US7111803B2 (en) * 2004-04-16 2006-09-26 Pelican Point Seafood, Inc. Cable winch system
JP2006044152A (ja) * 2004-08-06 2006-02-16 Nitto Denko Corp 粘着フィルム貼着装置
CN100562473C (zh) * 2004-11-30 2009-11-25 欧瑞康纺织有限及两合公司 络筒机
JP4176732B2 (ja) * 2005-04-05 2008-11-05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繊維機械
US20090173814A1 (en) * 2008-01-03 2009-07-09 Hernandez Ismael A Yarn carrier
JP2012086924A (ja) * 2010-10-18 2012-05-10 Murata Machinery Ltd ボビンセット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糸巻取機
DE202010008846U1 (de) 2010-10-20 2010-12-23 Starlinger & Co Ges.M.B.H. Spulmaschine
DE102010049435A1 (de) * 2010-10-23 2012-04-26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Arbeitsstelle einer Spulmaschine
CN102009874A (zh) * 2010-11-16 2011-04-13 北京中丽制机工程技术有限公司 卷绕机转盘传动装置的控制方法
JP2012144323A (ja) * 2011-01-11 2012-08-02 Tmt Machinery Inc 紡糸巻取装置及び紡糸巻取設備
DE102012107015A1 (de) 2011-08-03 2013-02-07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Aufspulvorrichtung
JP5771102B2 (ja) * 2011-09-16 2015-08-26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紡糸巻取装置
DE102014117678A1 (de) * 2014-12-02 2016-06-02 Dietze & Schell Maschinenfabrik Gmbh & Co. Kg Wickelgutführungsvorrichtung
DE102015000247B3 (de) * 2015-01-07 2016-05-04 Hermann Reuschenbac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Weiterverarbeitung eines aufgehapelten Fadenstrangs
DE102015222045B3 (de) * 2015-11-10 2017-02-02 SSM Schärer Schweiter Mettler AG Fadenverlegevorrichtung
CN107472991B (zh) * 2017-07-17 2023-07-07 苏州金纬化纤装备有限公司 一种纱线络筒机横动装置
DE102017006865A1 (de) * 2017-07-19 2019-01-24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Aufspulmaschine
JP2019059601A (ja) * 2017-09-27 2019-04-18 村田機械株式会社 糸巻取機
CN108423492B (zh) * 2018-05-04 2023-09-15 山东东威仕智能装备科技有限公司 络线直径手动控制装置
DE102019206951A1 (de) * 2019-01-17 2020-07-23 Sms Group Gmbh Wendehaspel sowie Verfahren zum Betrieb eines Wendehaspels
CN112408778B (zh) * 2020-11-05 2023-05-23 南京能仁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纤维拉丝机的卸筒机构
CN114044405B (zh) * 2021-11-08 2023-01-10 杭州天启机械有限公司 自动换筒络纱机及其控制方法
DE102022002512A1 (de) 2022-07-09 2024-01-11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mitteln einer Drehzahlstellgröße für eine Antriebseinheit eines Spulspindelrevolver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57374B (de) * 1963-06-20 1967-12-28 Schuller Gmbh Glaswerk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ortlaufenden Aufspulen von Faserbaendern aus Glasstapelfasern
DE2364284C2 (de) * 1973-12-22 1975-11-20 Barmag Barmer Maschinenfabrik Ag, 5600 Wuppertal Spulmaschine
CH592568A5 (ko) * 1974-08-09 1977-10-31 Barmag Barmer Maschf
DE2455739A1 (de) * 1974-11-25 1976-08-12 Barmag Barmer Maschf Vorrichtung zum spulenwechsel in chemiefaserspinnanlagen
DE2532165C3 (de) * 1975-07-18 1979-12-06 Barmag Barmer Maschinenfabrik Ag, 5630 Remscheid Spulvorrichtung
CH618401A5 (ko) * 1975-06-12 1980-07-31 Barmag Barmer Maschf
CH624910A5 (ko) * 1977-09-23 1981-08-31 Rieter Ag Maschf
JPS5464148A (en) * 1977-10-26 1979-05-23 Teijin Seiki Co Ltd Yarn end treating method and apparatus in exchangeable winder
FR2425399A1 (fr) * 1978-05-12 1979-12-07 Saint Gobain Perfectionnement au transfert d'un materiau filiforme d'une broche d'enroulement a une autre
US4213573A (en) * 1979-03-07 1980-07-22 Reiter Machine Works, Ltd. Air coupling
US4309000A (en) * 1979-08-23 1982-01-05 Rieter Machine Works, Ltd. Doffer mechanisms
DE2937601A1 (de) * 1979-09-18 1981-04-02 Barmag Barmer Maschinenfabrik Ag, 5630 Remscheid Verfahren zum aufwickeln von faeden
DE3147965A1 (de) * 1980-12-23 1982-07-22 Barmag Barmer Maschinenfabrik Ag, 5630 Remscheid "spulvorrichtung zum aufwickeln von faeden"
JPS59227663A (ja) * 1983-06-07 1984-12-20 Teijin Ltd タ−レツト式自動巻取機の糸条切替方法および装置
JPS60145153U (ja) * 1984-03-02 1985-09-26 帝人製機株式会社 自動切替巻取機
DE3513796A1 (de) * 1984-04-21 1985-12-05 Barmag Barmer Maschinenfabrik Ag, 5630 Remscheid Aufspulvorrichtung
DE3560089D1 (en) * 1984-05-12 1987-04-23 Barmag Barmer Maschf Winding machine
US4598876A (en) * 1985-03-01 1986-07-08 Rieter Machine Works Limited Winding machine for filament packages equipped with package screening means
DE3761556D1 (de) * 1986-08-09 1990-03-08 Barmag Barmer Maschf Verfahren zum aufwickeln von faeden.
DE3711893A1 (de) * 1987-04-08 1988-10-27 Barmag Barmer Maschf Verfahren zum anlegen eines mit konstanter geschwindigkeit angelieferten fadens an eine spulhuel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276771A (ja) 1990-11-13
EP0374536A3 (de) 1991-12-27
KR900009414A (ko) 1990-07-04
ES2050766T3 (es) 1994-06-01
DE8916288U1 (de) 1997-05-22
EP0374536A2 (de) 1990-06-27
CN1021899C (zh) 1993-08-25
EP0374536B1 (de) 1994-03-30
CN1043679A (zh) 1990-07-11
US5029762A (en) 1991-07-09
JP2693243B2 (ja) 1997-12-24
DE58907348D1 (de) 1994-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0909B1 (ko) 권취기 및 이를 이용한 도핑방법
US6145775A (en) Yarn winding apparatus and method
US60450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a continuously advancing yarn
US6070827A (en) Yarn winding machine
US3856222A (en) Method of automatically changing winding tubes and winding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aforesaid method and improved spool doffing mechanism
US645766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and cutting an advancing yarn during a package doff
US3913852A (en) Winding apparatus and process
US44311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yarn
US405923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a thread on a bobbin at a high winding speed
CN1094462C (zh) 用于引导和切断连续输入长丝的装置和方法
US5100072A (en) Yarn winding apparatus and method
US5716016A (en) Turret type yarn winder with reduced tension variation during switching
EP01281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yarn in turret-type winder
CN108290700B (zh) 在转塔式自动络纱机中精确定位锭子的方法
EP0288839A1 (en) Thread catching and winding system
US6308906B1 (en) Method of winding a continuously advancing yarn
US3921922A (en) Method of automatically changing winding tubes and winding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aforesaid method and improved spool doffing mechanism
US6158689A (en) Yarn winding apparatus and method
US631523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and cutting an advancing yarn during a package doff
JPH0578012A (ja) 糸の巻取装置
CN1259103A (zh) 卷绕机
KR100282034B1 (ko) 진행하는필라멘트를스풀링하기위한스풀링기계
US4087056A (en) Textile apparatus
RU2037460C1 (ru) Машина для непрерывной намотки нити
EP3746387B1 (en) A method to position spindle precisely in turret type automatic wi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3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