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0908B1 - 시이트의 임시지지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시이트의 임시지지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0908B1
KR970010908B1 KR1019930001403A KR930001403A KR970010908B1 KR 970010908 B1 KR970010908 B1 KR 970010908B1 KR 1019930001403 A KR1019930001403 A KR 1019930001403A KR 930001403 A KR930001403 A KR 930001403A KR 970010908 B1 KR970010908 B1 KR 970010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heet
frame
actuator
temporar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1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794A (ko
Inventor
포르네이 쟝-프랑소와
레코르동 올리비에
Original Assignee
봅스트 쏘시에떼 아노님
제이. 페뤼쎄 · 씨.콜롬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8582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7001090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봅스트 쏘시에떼 아노님, 제이. 페뤼쎄 · 씨.콜롬보 filed Critical 봅스트 쏘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930017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0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9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6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dropping the articles
    • B65H29/34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dropping the articles from supports slid from under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02Arrangements for holding, guiding, and/or feeding work during the operation
    • B23D33/025Guillotines with holding means behind the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2Forming a pile of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6Cardboar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0Associated with forming or dispersing groups of intersupporting articles, e.g. stacking patterns
    • Y10S414/114Adjust to handle articles or groups of different sizes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 Discharge By Other Mean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Pallet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시이트의 임시지지용 프레임
제 1 도는 변부에 배열된 평평한 막대를 갖는 제1실시예의 개략적 사시도.
제 2 도는 하류에서 회전가능하고 수평으로 위치된 평평한 막대를 갖는 제2실시예의 개략적 사시도.
제 3 도는 수평으로 위치하고 수직 병진운동을 하는 평평한 막대를 갖는 제3실시예의 개략적 사시도.
제 4 도는 소위 닫힌 위치에서 수평으로 위치하고, 외부의 세로변부를 따라 회전가능한 평평한 막대를 갖는 제4실시예의 개략적 사시도.
제 5 도는 스트리핑 프레임을 갖는 실시예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달스테이션 12 : 그립퍼
14 : 무한 체인 20 : 시이트
25 : 전방변부 26 : 빠레트
30 : 전단장치 32 : 전단테이블
45 : 후크 49 : 고정핀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작업편이 쌓이는 전달스테이션(station) 내에 위치하는 하강안내장치 사이에서 수직 병진운동하는 종이나 판의 시이트(sheet)와 같은 수평의 판재공작물을 임시적으로 지지하는 가변 형상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폐기된 비트(bit)로부터 분리되고 적절한 크기로 잘릴 때, 전단장치(guil1otine)이 의해 전방의 폐기된 비트(bit)가 잘리거나, 그립퍼(gripper)가 열려지면 파일(pile)의 상부에 정확히 떨어지기 위해 종이나 판의 시이트가 전달스티이션으로 들어가고, 다이커팅(die-cutting)기의 단부에 상기 전달스테이션이 위치한다.
시이트는 나란히 배열되거나 연결점에 의해 서로 연속적으로 영구적으로 부착된 여러 블랭크(blank)를 포함한다. 전단장치가 작동할 때 모든 블랭크를 한 평면에 유지하고 균일한 운동을 하며, 떨어지는 시이트를 풀어주고 동시에 지지 프레임을 여는 것이 필요하다.
본 기계에서, 평면에 시이트를 유지시키는 과정은 수축되는 후방 쉘프(shelf)뿐 아니라 전단운동올 하며 회동 가능한 한 개 또는 여러개의 수평측면 지지구(tongue)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렇게 측면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불만족스러운 일인데 짧은 표면에 걸쳐 그리고 대부분의 경우 시이트의 부적절한 지역에서 블랭크를 기지하기 때문이다. 너무 자주 시이트가 떨어지고, 블랭크의 조기 분리나 적재가 일치되지 않는 공작물의 하강운동으로 시이트의 적재는 불량이 된다. 그리하여 생산속도와 품질이 크게 영향을 받는다. 더욱이 회전이 이루어지는 지지장치의 개폐 메커니즘이 상대적으로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높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달스테이션에 삽입될 때 시이트를 임시로 지지하고, 시이트를 최대로 신속하게 처리하고, 적절한 운반을 하여 시이트를 정확히 하강시키기 위해 전단장치의 작동중과 전달과정의 마지막에서 전체적으로 효율적인 지지 및 최종적으로 작동이 완전히 일치되는 개방 기능이 이루어지는 프레임을 제안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위에 언급한 형태의 장치를 구비하는 것인데, 이 장치의 개념은 제조가를 줄이고 사용된 구성부품의 관성력(inertia)을 감소시켜 작동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특히 간단화된다.
이 목적은 지지 프레임으로서 이루어지는데 측면에 위치한 두개의 지지대는 프레임의 전체길이에 걸쳐 뻗어가는 수평의 평평한 막대로 구성되고, 시이트 지지대의 전진위치로부터 시이트를 하강하게 하는 복귀위치까지 막대이동은 직접적으로 또는 하나의 레버(lever)와 결합되고, 평평한 막대에 작용하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보장된다.
평평한 막대의 관성력 감소와 액츄에이터와 외견상 직접연결에 의해, 측면의 평평한 막대로 시이트가 도달시, 전진위치에 측면 지지대 외에 순간적으로 놓올 수 있다. 시이트의 축부, 특히 블랭크의 주름잡고 분리하는 선은 이 시이트에 발생하는 돌발적인 접힘작용(concertina)을 막기 위해, 측면 막대에 영구적으로 유지된다. 더욱이 후방쉘프는 필요없고 철수된다. 마지막으로 측면지지대의 신속한 작동은 시이트의 연속작동을 양호하게 일치시키는 것을 가능케 한다.
선호된 제1실시예에 따라, 평평한 막대는 막대의 단부를 유지하기 위해, 이 막대가 수평 평면상에서만 가요성(f1exible)을 가지며, 막대의 중앙부 위치는 횡방향으로 작동하는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제어된다.
선호적으로, 막대의 각 단부는 종방향으로 배열된 수직의 장방형 구멍을 갖고, 상기 구멍은 전달스테이션에 영구적으로 끼워맞춰진 고정핀이나 교차축(axle)에 의해 교차된다. 다른 방법으로, 막대의 단부는 스트랩(strap)의 구멍안에서 미끄러지며, 스트랩에 구성된 수직의 직사각형 부분은 막대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길이 및 막대의 높이와 동일한 일정한 높이를 갖는다.
유리하게도 막대는 플라스틱 같은 합성물질 보다 특별히 폴리아미드 또는 900N/mm2과 2000N/mm2사이의 탄성계수를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제2실시예에 따라, 평평한 막대는 막대의 폭이 수평으로 위치하도록 배열되며, 막대 단부중 하나는 교차축 둘레에서 회전가능하며, 다른 단부는 횡방향으로 작동하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직접적으로 전진되거나 복귀된다. 유리하게도, 막대의 하류단부는 상류변부로부터 시이트가 점진적으로 하강되도록 회전가능하다.
제3실시예에 따라 평평한 막대는 그 폭이 수평으로 위치되도록 배열되고, 그 단부중 하나는 레버의 브랜치 중 하나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브랜치는 선형 액츄에이터에 의해 이동되고, 막대의 다른 단부는 래버의 제1브랜치에 평행한 커넥팅로드에 연결된다. 커넥팅로드, 레버와 액츄에이터는 평평한 막대와 같은 수평면에 배열된다. 커넥팅로드와 레버의 제1브랜치는 전진위치에 놓인 막대와 예를 들어 45도의 각을 이루고, 복귀작용은 선형의 수평 병진운동이고, 막대에 대해 수직으로 이루어지며, 복귀운동을 하면 약간의 전단운동을 한다.
제4실시예에 의하면, 평평한 막대는 외부의 종방향변부와 가까이에 위치하고 평행한 구조를 이루며, 축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가능하고, 회전식 액츄에이터에 구성된 회전축의 높이에서, 막대로부터 돌출하는 브랜치에 작용하는 횡방향의 선형 액츄에이터 또는 막대에 직접 연결되는 회전식 액츄에이터가 구성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복동 액츄에이터의 구성이 가능하지만, 비용을 고려하면, 단동 액츄에이터로 전진운동이 이루어지고, 단동 액츄에이터와 평행하게 인장스프링을 구성하여 막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회전식 단동 액츄에이터의 경우에, 헬리칼 스프링과 같은 비틀림작용이 이루어지는 비틀림 인장스프링을 추가로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시이트의 크기에 따라 이동가능한 축상에 결합이 이루어지는 지지장치에는 막대의 단부들 및 액츄에이터를 설치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후면에서 프레임 구성을 완성하고, 복귀가능한 쉘프는 수평면상에서만 가요성을 가지고 이동가능한 막대로 구성가능하고, 쉘프중앙부의 위치는 또한 복동 액츄에이터와 같은 위치설정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첨부된 도면에 의해 이해되고 제한되며 예로서 제시된 여러 실시예를 검토하면, 본 발명은 더 잘 이해될 것이다.
제 1 도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무한 체인(14)으로 구동되는 그립퍼(gripper)에 의해 시이트(20)가 화살표(1)방향으로 수평 병진운동을 하는 전달스테이션(10)을 도시한다. 이 시이트(20)가 전방멈추게(도시되지 않음)에 대해 도달되면 그립퍼(12)로부터 구속해제되고 전방변부(25)는 전단테이블(30)에 관해 작용하는 전단장치(32)에 의해 "제1궤선(first rule)"이라 불리는 선의 수준에서 잘려진다. 이 시이트(20)는 수직 병진운동을 하며 화살표(II) 방향으로 하강운동하고, 상기 하강운동은 수축하는 빠레트(pallet)(26)에 쌓이는 파일(24)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강안내장치(sorter)(18,19)에 의해 안내된다.
이전에 이루어지는 전단작용에 의해, 이 시이트(20)는 예인되며 서로의 뒤 또는 나란히 배열된 여러 블랭크(blank)(22)를 포함하며, 이 블랭크는 재질의 브리지(bridge)와 함께 연결되기만 한다. 그리하여 부서지는 성질을 가진 시이트(20)는 전달스테이션(l0) 안으로의 전달과 그리고 떨어질때까지 수평평면에 유지되기 위해 제1궤선의 전단이 이루어지는 동안 적절히 지지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은 시이트(20)의 이동방향과 교차되게 이동하는 두개의 막대(40)로 구성된다.
모든 막대(40)는 수평면에서 상대적으로 가요성을 가지고, 수직면에서 충분한 강성을 가지도록 만들어진다. 예로서 상기 막대(40)는 "6.6'' 또는 "PE UHMW''로 알려진 폴리아미드로서, 900N/mm2와 2000N/mm2사이의 탄성계수를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지며, 이 막대(40)는 4.5×0.7mm의 수직의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이 막대(40)의 모든 단부는 전달스테이션(10)의 외측을 향하고, 수평면상에 위치하는 후크(hook)(45)를 갖고, 이 후크(45)는 종방향으로 배열된 수직의 장방향 구멍을 갖는다. 이 후크(45)는 고정핀(49)에 의해 지지장치(42)안에 지지되어, 막대의 굽힘에 필요한 종방향 백래시(backlash)를 허용한다. 다른 방법으로 막대(40)의 각 단부는, 수평 절단부에서 봤을 때, 원추형 단면을 갖는 스트랩(strap)의 구멍에 정합되고, 상기 원추형단면의 하부는 막대(40)를 향하고 원추형단면의 내부높이는 막대(40)의 높이와 일치한다.
다른 관점에서, 막대(⑾)의 중앙부분은 수직의 공압식 액츄에이터(46)의 단부에 의해 고정되고, 같은 수평면에 위치한다. 작동될 때, 이 단동 액츄에이터(single-acting actuator)(42)는 막대(40)가 도면에 도시된 점선에 따라 직선인 최초 위치로부터 예를들어 30mm 만큼 굽어지는 위치로 막대(40)를 이동시킨다. 이 행정(stroke)은 시이트(20)의 수직하강을 막는데 충분하다. 굽어지는 동안 막대(40)의 각 단부는 필요하다면 장방형 구멍 및 고정핀(49) 때문에, 상응하는 지지장치(42)에서 약간의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다. 원위치로 막대(40)의 복귀운동은 액츄에이터(46)에 평행하게 배열된 인장스프링(48)에 의해 이루어진다.
액츄에이터(46)는 플라스틱제의 피스톤 및 강성의 금속제 몸체로 구성된다. 피스톤과 플라스틱 막대(49)의 고정은 열경화성 재료(thermstiffening material)를 위한 특별한 나사 또는 금속삽입에 의해 이루어진다. 막대(40)의 위치설정을 위한 상기 장치의 장점은 단순한 구성부품 및 적당한 가격에 의해 보장되는 신뢰성에 있다. 필요하다면, 이 액츄에이터(46)와 인장스프링(48)은 공압식 복동 액츄에이터(pneumatic double-acdng actuator)로 교체될 수 있다.
제 2 도는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위에 기수된 것과 유사한 성분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시이트(20)를 지지하는 두 개의 막대(402)는 평평하게 배열되는데, 이것은 막대(402)의 폭이 수평으로 위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막대(402)의 하측단부는 교차축(44) 위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고정된 지지장치(43) 위에 영구적으로 끼워 맞춰진 수직축(491) 둘레에서 회전하면서 이동가능하게 된다. 반면에 상측단부는 단동 액츄에이터(462)로 지지되는데, 액츄에이터(462)는 교차축(44) 상에서 미끄러지는 지지장치(422) 위에 영구적으로 끼워 맞춰진다. 액츄에이터(462)와 평행하게 구성된 인장스프링(482)은 막대(402)를 액츄에이터(462)의 상응하는 몸체 또는 액츄에이터(462)에 영구적으로 고정된 요소에 연결된다.
도면의 왼쪽 측부에 도시된 것처럼, 액츄에이터(462)가 작동될 때, 액츄에이터(462)는 전달스테이션(10)의 내부를 향해 막대(402)를 밀고, 이때 인장스프링(482)에는 인장력이 발생하게 된다. 막대(402)는 전달스테이션(10) 내부로 시이트(20)를 이동하고, 전단장치(30)와 전달테이블(32)에 의해 전방변부(25)가 제거되는 동안, 시이트(20)의 측면변부를 지지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액츄에이터(462)는 다음에 작동이 중지되고, 인장스프링(482)은 제 2 도의 오른쪽 측부에 도시된 "b''방향의 운동을 하며, 막대(40)의 상측단부를 뒤로 당긴다. 다음에 시이트(20)는 상측 변부로부터 점진적으로 "II"방향으로 떨어지고 하강안내장치(18,19)에 의해 안내된다. 작동중인 구성부품의 관성력(inertia)은 매우 감소되고, 신속하며 동작일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제 3 도는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측면의 막대(403)는 평평하게 배열되고, 상측과 하측 지지장치(423)에서 단부 각각과 함께 정지한다, 각 막대(403)의 하측단부는 막대(403)가 제3도의 왼쪽측부에 도시된 것처럼 닫힌 위치에 있을 때 막대(403)와 45도 각을 이루는 수평의 커넥팅로드(439)에 의해 상응하는 지지장치(423)에 연결된다. 반면에 각각의 막대(403)의 상측단부는 교차축(44) 주위에서 수평면내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는 레버의 제1브랜치(41l)에 연결되고, 상기 교차축(44)은 지지장치(423) 상에서 영구적으로 끼워맞춤이 이루어지며, 상기 레버는 상기 제1브랜치(411)가 커넥팅로드(493)와 영구적으로 평행하게 구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레버의 제2브랜치(410)는 액츄에이터(463)의 출력축(415)에 연결되고, 본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터(463)는 막대(403)에 평행한 지지장치(423)에 끼워 맞춰진다. 액츄에이터(463)의 방향은 실제로 레버의 제1브랜치(411)와 제2브랜치(410) 사이에 있는 각에 의존한다.
커넥팅로드(493), 막대(403)와 레버의 제1브랜치(411)는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며, 커넥팅로드(493)는 제1브랜치(411)에 항상 평행하고, 이들은 영구적인 평행사변형을 만든다. 막대(403)가 제 3 도의 왼쪽측부에 도시된 것처럼 소위 닫힌 위치에 있을 때, 액츄에이터(463)의 출력축(415)이 레버의 제2브랜치(4l0)를 당길 때, 상기 출력축(415)은 제2브랜치(410)를 회전시키게 하며, 이 작용은 제 3 도의 오른쪽 측부에 도시된 것처럼 소위 열린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그리고 약간의 전단운동을 하며, 화살표(d)의 방향으로 균일한 직교 병진운동에 의해 막대(403)가 복귀되며, 이 운동은 특정한 순간에 시이트(20)를 ''II''방향으로 균형상태를 유지하며 하강시킨다. 소위 닫힌 위치까지 이루어지는 막대(403)의 복귀운동은 레버의 제1브랜치(411)를 향해 미는 액츄에이터(463)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 4 도는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측면에 위치하고 지지기능이 이루어지는 막대(404)는 외부변부에 평행하고 가까운 종방향축올 따라 회전가능하지만, 한편으로 지지장치(424)에 의해 밑으로, 다른 한편으로, 상부지지장치(424)에 영구적으로 고정된 회전식 액츄에이터(464)의 출력축에 의해 위로 지지된다.
쉽게 이해되는 것처럼, 액츄에이터(464)는 제 4 도의 왼쪽측부에서와 같이 시이트(20)가 도달할 때, 막대(404)를 평행하게 하기 위해 막대(404)를 직선으로 만들고, 회전운동(g)에 의해, 제 4 도의 윈쪽측부에서와 같이 수직 하강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막대를 회전시키고, 하강안내장치(18,19)에 의해 시이트(20)는 (II)방향으로 균일하게 떨어진다. 액츄에이터(464)는 단동식 또는 복동식이 가능하고, 나선형 스프링은 소위 열린 정지위치까지 막대(404)를 복귀시킨다.
각 도면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지지장치(424)는 위치설정 기능의 교차축(44)이 끼워맞춤이 이루어져서, 처리되는 시이트(20)의 크기에 따라 서로를 향해 막대(404)를 조금썩 접근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유리하게도, 이음매 없는 벨트나 다른 것을 가진 장치는 지지장치(424)를 동시에 설치케하나, 전달스테이션(10)의 중간평면에 관해 대칭을 유지시킨다.
필요하다면, 프레임은 공압식 복동 액츄에이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전후로 작동되는 쉘프(shelf)(제5도 참조)와 함께 배면에서 닫힌다. 이 조립체는 시이트(20)의 크기에 따라 다소간 전방으로 위치된다. 쉘프가 중앙의 공압식 액츄에이터에 의해 굽어지는 두 측면 스트랩 사이에 맞물린 플라스틱제 막대를 갖추게된다.
제 5 도에는 막대(40)를 갖춘 스트리핑(stripping) 프레임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프레임은 측면벽을 만드는 두 개의 종방향 빔(beam)(100,101)과 화살표 "I"로 도시된 시이트의 이동방향에 관해 상측을 향하는 벽을 만드는 횡방향 막대(102)를 갖는다. 이 프레임의 하측을 향하는 벽은 전단테이블(103)로 만들어진다. 횡 방향막대(102)는 종방향빔(100,10l)을 안내하도록 슬라이드웨이(slideway)(105)가 끼워맞춰진 스탠드(stand)(104)를 구성한다. 전단테이블(103)은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지며 슬라이드웨이(114)에 의해 종방향빔(100,101)의 다른 단부를 안내한다. 전단테이블(103)은 움직이지 않은 반면에, 횡방향막대(l02)의 이동은 체인(112)으로 연결된 스프로켓(sprocket) 휠(110,111)에 의해 설정나사(108)의 회전운동에 의해 이루어지고, 배열된 설정나사(107)에 작용하는 모터 속도제어부(109)에 의해 운동이 이루어지는 설정나사(107,108)의 작용에 의해 횡방향막대(102)는 화살표(106) 방향으로 이동한다. 설정나사(107,108)는 스탠드(104)안에 기계가공된 나사에 맞물리고, 다른 단부에서 전단테이블(103)의 스탠드(113)에 끼워맞춰진 베어링 안으 로안내된다.
스탠드(104,113) 위에 끼워맞춰진 슬라이드웨이(105,114)에서 안내되는 종방향빔(100,101)은 설정나사(117,118,119,120)의 작용으로 화살표(115,116)로 도시된 방향으로 측면으로 이동된다. 설정나사(117,118)는 종방향빔(100)의 이동을 제어하고, 설정나사(119,120)는 종방향빔(101)의 이동을 제어한다. 모터속도제어부(121)는 체인(124)으로 연결된 톱니바퀴(122,123)에 의해 설정나사(118) 및 설정나사(117)를 구동시킨다.
다른 모터속도 제어부(125)는 체인(128)으로 연결된 틉니바퀴(126,127)에 의해 설정나사(120) 및 설정나사(119)를 구동시킨다.
상기 프레임은 해체하지 않고 판재공작물이나 시이트(20)를 최소크기로부터 최대크기까지 점진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이 가변 형상 프레임은 시이트(20)가 가득찬 빠레트(26)가 빈 빠레트로 교체될때 만들어진 시이트(20)의 제2파일을 지지하기 위해, 중간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빈 빠레트는 프레임이 다시 열리기 전에(도시되지 않음) 거의 중간 프레임의 수준까지 이동된다.
많은 개선이 발명의 범위 안에서 시이트를 지지하는 프레임에 행해질 수 있다.

Claims (13)

  1. 수평의 시이트(20)가 임시로 지지되고, 다음에 전달스테이션(10)내에 위치하는 하강안내장치(18,19) 사이에서 수직 병진운동이 이루어지며, 측면으로 복귀운동이 가능한 지지대로 구성되는 시이트의 임시지지용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프레임의 전체길이에 걸쳐 확장구성되고, 수평을 이루는 평평한 막대(40)로 구성되며, 시이트(20)의 전진위치로부터 막대(40)가 복귀할 때, 시이트(20)의 수직하강운동이 이루어지는 복귀위치까지 막대(40)의 운동은, 단일의 레버에 의해 또는 직접적으로, 평평한 막대(40)에 작용하는 액츄에이터(46)에 의해 보장되고, 상기 평평한 막대(40)가 슬라이드웨이(105,114) 내에서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종방향빔(100,101)상에 끼워맞춰지며, 상기 슬라이드웨이(105,114) 중의 하나는 상기 종방향빔(100,101)에 대하여 시이트(20)의 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의 임시지지용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평평한 막대(40)의 폭이 수평으로 위치하도록 막대(40)가 구성되고, 막대(40)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장치(42)는 상기 막대(40)가 수평면에서만 가요성을 가지고, 막대(40)의 중앙부위치는 수평면에서 횡방향으로 작동하는 액츄에이터(46)로 직접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의 임시지지용 프레임.
  3. 제 2 항에 있어서, 막대(40)의 각각의 단부는 종방향으로 구성되는 수직의 장방향 구멍이 구성되고, 상기 구멍은 전달스테이션(10)에 영구적으로 끼워맞춤이 이루어진 고정핀(49) 또는 교차축(44)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의 임시지지용 프레임.
  4. 제 2 항에 있어서, 막대(40)의 각 단부가 스트랩의 구멍에서 미끄러지고, 스트랩은 막대(40)의 높이와 동일하고 균일한 높이의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막대(40)의 종방향으로 증가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의 임시지지용 프레임.
  5. 제 2 항에 있어서, 막대가 900N/mm2와 2000N/mm2사이의 탄성계수를 갖는 합성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의 임시지지용 프레임.
  6. 제 5 항에 있어서, 막대가 폴리아미드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의 임시지지용 프레임.
  7. 제 1 항에 있어서, 평평한 막대(402)의 폭이 수평으로 위치하도록 배열되도록 막대(402)가 구성되고, 막대(402)의 단부중 하나가 수직축(491)의 둘레로 회전가능하고, 다른 단부가 수평의 액츄에이터(462)에 의해 직접적으로 전진운동하고, 막대(402)와 액츄에이터(462)의 몸체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장스프링(482) 또는 액츄에이터(462)에 의해 복귀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의 임시지지용 프레임.
  8. 제 1 항에 있어서, 평평한 막대(403)의 폭이 수평으로 위치되도록 막대(403)가 배열되고, 막대(403)의 단부중 하나가 레버의 제2브랜치(410)에 연결되고, 제1브랜치(411)가 선형 액츄에이터(463)에 의해 이동되며, 막대(40)의 다른 단부가 레버의 제1브랜치(411)에 평행한 커넥팅로드(493)에 연결되고, 커넥팅로드와 래버와 액츄에이터가 평평한 막대(403)와 동일한 수평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의 임시지지용 프레임.
  9. 제 1 항에 있어서, 평평한 막대(403)가 외부의 증방향 변부에 가깝고 평행한 축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가능하고, 선형 액츄에이터(463)가 회전축 높이에서 막대(403)로부터 돌출하는 제1브랜치(411) 및 제2브랜치(410)에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의 임시지지용 프레임.
  10. 제 1 항에 있어서, 평평한 막대(404)가 외부의 종방향 변부에 가깝고 평행한 축을 따라 회전가능하고, 회전식 액츄에이터(464)가 회전축 높이에서 막대(404)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의 임시지지용 프레임.
  11. 제 1 항에 있어서, 액츄에이터(46)는 단동식으로서 막대(40)의 선형 전진운동이 이루어지고, 막대(40)를 정지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액츄에이터(46)와 평행하게 인장스프링(48)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의 임시지지용 프레임.
  12. 제 1 항에 있어서, 막대(40)의 단부들 및 액츄에이터(46)들이 교차축(44) 상에서 연결되는 지지장치(42)상에 설치되고, 상기 교차축(44)을 따라 지지장치(42)가 시이트(20)의 크기에 따라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의 임시지지용 프레임.
  13.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을 구성하고 위치설정이 가능한 쉘프는 수평면에서만 가요성 운동이 가능한 막대(40)로 구성되고, 상기 막대(40)의 중심부의 위치는 위치설정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의 임시지지용 프레임.
KR1019930001403A 1992-02-10 1993-02-03 시이트의 임시지지용 프레임 KR9700109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0386/92-3 1992-02-10
CH00386/92A CH687324A5 (fr) 1992-02-10 1992-02-10 Cadre de support momentané d'un élément en plaque horizontal au sein d'une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794A KR930017794A (ko) 1993-09-20
KR970010908B1 true KR970010908B1 (ko) 1997-07-02

Family

ID=4185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1403A KR970010908B1 (ko) 1992-02-10 1993-02-03 시이트의 임시지지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435541A (ko)
EP (1) EP0555709B1 (ko)
JP (2) JPH0616312A (ko)
KR (1) KR970010908B1 (ko)
AT (1) ATE137473T1 (ko)
AU (1) AU663555B2 (ko)
BR (1) BR9300522A (ko)
CA (1) CA2088860C (ko)
CH (1) CH687324A5 (ko)
DE (1) DE69302411T2 (ko)
DK (1) DK0555709T3 (ko)
ES (1) ES2086795T3 (ko)
TW (1) TW2263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89978A5 (fr) * 1994-05-13 2000-02-29 Bobst Sa Dispositif de retenue d'éléments en plaque au sein d'une station de réception d'une machine de traitement de tels éléments.
JP2896339B2 (ja) * 1996-04-12 1999-05-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R2760684B1 (fr) * 1997-03-11 1999-05-07 Aps Engineering Mecanisme d'impression compact
US6688083B1 (en) * 2000-11-17 2004-02-10 Lockheed Martin Corporation Drop control mechanism for flat articles
US6860481B2 (en) * 2002-11-14 2005-03-01 Nikko Materials Usa, Inc. Sheet stacking device
JP4834968B2 (ja) 2004-08-11 2011-12-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真偽判定システム、真偽判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7627161B2 (en) 2005-11-28 2009-12-01 Fuji Xerox Co., Ltd. Authenticity determinatio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R2990195B1 (fr) * 2012-05-03 2014-06-06 Holweg Sas Procede et machine de formation de paquets de sacs
US20140187406A1 (en) 2012-12-29 2014-07-03 Unicharm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cleaning member
JP6057707B2 (ja) 2012-12-29 2017-01-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繊された繊維束の製造方法、清掃部材の製造方法、繊維束の開繊装置、及び清掃部材の製造システム
WO2014104325A1 (ja) 2012-12-29 2014-07-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部材を製造する方法、及び清掃部材を製造するシステム
JP6047401B2 (ja) 2012-12-29 2016-12-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繊された繊維束の製造方法、清掃部材の製造方法、繊維束の開繊装置、及び清掃部材の製造システム
JP6073128B2 (ja) 2012-12-29 2017-02-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切断装置及び切断装置を用いた清掃部材の製造方法
JP6047400B2 (ja) 2012-12-29 2016-12-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部材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US20140182767A1 (en) 2012-12-29 2014-07-03 Unicharm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cleaning member
JP6103945B2 (ja) * 2013-01-10 2017-03-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積み重ね装置及びウェブ部材を製造する方法
JP6141023B2 (ja) 2013-01-10 2017-06-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トウを含むウエブ部材の製造方法
CN103558728B (zh) * 2013-10-30 2016-05-25 无锡市安捷脚手架有限公司 一种可实现平面内移动的铝合金支架
CN103693490A (zh) * 2013-12-04 2014-04-02 安徽省嘉信包装印务有限公司 一种瓦楞纸整料台
CN108248225A (zh) * 2018-02-07 2018-07-06 嘉兴市汉鼎五金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减震效果的喷绘机托架
CN108789607A (zh) * 2018-08-27 2018-11-13 重庆梦马致新科技有限公司 一种纸板切割自动卸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57469A (en) * 1939-05-20 1941-09-30 Youngstown Foundry And Machine Sheet piler
DE812537C (de) * 1949-09-17 1951-09-03 Banning A G J Vorrichtung zum Stapeln von platten- und streifenfoermigem Gut, wie Walzgut
US3061303A (en) * 1961-02-21 1962-10-30 Didde Glaser Inc Self-centering parallel guide assembly
US3117778A (en) * 1962-03-26 1964-01-14 Eastman Kodak Co Adjustable mechanism for accommodating sheets of different size
US3205794A (en) * 1963-04-15 1965-09-14 Flintkote Co Shingle stacking and squaring
US3483065A (en) * 1966-07-05 1969-12-09 John C O Brien Apparatus for assembling plywood veneers
US4281952A (en) * 1978-03-16 1981-08-04 Clear Theodore E Methods and apparatus for stacking cementitious reinforced panels
FR2457239A1 (fr) * 1979-05-21 1980-12-19 Canto Fernand Empileur polyvalent pour empiler des materiaux en plaques ou en feuilles
DE3112558C2 (de) * 1981-03-30 1983-02-17 M.A.N.- Roland Druckmaschinen AG, 6050 Offenbach Vorrichtung zum zwischenzeitlichen Auffangen von Bogen bei Stapelwechsel in einem Bogenausleger
FI77431C (fi) * 1987-03-10 1989-03-10 Ahlstroem Valmet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uppstapling av cellulosabalar.
US4844633A (en) * 1988-06-24 1989-07-04 Hewlett-Packard Company Active paper drop mechanism for a printer
US4938657A (en) * 1989-05-09 1990-07-03 Reichel & Drews, Inc. Shingle stacking machine
JPH0326655A (ja) * 1989-06-21 1991-02-05 Nissan Motor Co Ltd パイリング装置
DE3922587A1 (de) * 1989-07-10 1991-01-24 Heidelberger Druckmasch Ag Bogenauslage an bogenverarbeitenden maschinen
DE3937944C1 (ko) * 1989-11-15 1991-04-18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6900 Heidelberg, De
JP3085354B2 (ja) * 1996-01-22 2000-09-04 株式会社牧野フライス製作所 工作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794A (ko) 1993-09-20
BR9300522A (pt) 1993-08-17
JPH0616312A (ja) 1994-01-25
DE69302411T2 (de) 1996-08-14
ATE137473T1 (de) 1996-05-15
ES2086795T3 (es) 1996-07-01
TW226357B (ko) 1994-07-11
CH687324A5 (fr) 1996-11-15
EP0555709A1 (fr) 1993-08-18
AU3291293A (en) 1993-08-12
JPH09358U (ja) 1997-06-20
DE69302411D1 (de) 1996-06-05
CA2088860A1 (en) 1993-08-11
AU663555B2 (en) 1995-10-12
DK0555709T3 (da) 1996-09-09
EP0555709B1 (fr) 1996-05-01
CA2088860C (en) 1997-03-25
US5435541A (en) 1995-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0908B1 (ko) 시이트의 임시지지용 프레임
DE69734146T3 (de) Förderanlage
US5115625A (en) In-line bottom loading case packer
DE19860018A1 (de) Verpackungsautomat zur Konfektionierung von Produkten
EP2098468B1 (de) Vorrichtung zum Übertragen von blattförmigen Gegenständen
EP0350778B1 (de) Etikettenspender für Nähmaschinen
DE1531070B1 (de) Verzweigungseinrichtung an Fliess- oder Foerderbaendern,insbesondere fuer plattenfoermige Foerdergueter
DE2125991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ansport gestapelter flacher Gegenstände in Aufeinanderfolge zu einem Auffangen
GB2177896A (en) Machine for slicing bread
CH692386A5 (de) Verpackungsmaschine.
DE602005003155T2 (de)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Schachteln
EP0816235B1 (de) Vorrichtung zum Verpacken von Gegenständen
DE60112194T2 (de) Verpackungsmaschine
DE2423885C2 (de) Vorrichtung zum Übergeben von Stapeln aus blattförmigen Materialzuschnitten
EP0422332A2 (de) Vorrichtung zum Anbringen von Verstärkungen an Registereinlagen
DE3937944C1 (ko)
DE69633096T2 (de) Hängende einsatzvorrichtung für modulare trennwände
DE2643507A1 (de) Vorrichtung zum schrittweisen vorschub von platten
DE1291678B (de) Maschine zum Verpacken von Gruppen flacher Gegenstaende
DE3810484A1 (de) Briefumschlag-paketieranlage
US6554559B1 (en) Device for supplying to a machine-tool bars to be machined
DE2117719C3 (de) Maschine zum Ent- oder Beladen von Flaschenkasten, Kartons und dgl
DE3826827C2 (de) Vorrichtung zum Positionieren einer Blechtafel
EP1967356B1 (de) Vorrichtung zum Aufrichten eines Klappbehälters
DE19730655C2 (de) Vorrichtung zur Entnahme von Spritzgießartikeln aus einer Spritzgießmas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