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0790B1 -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0790B1
KR970010790B1 KR1019930019918A KR930019918A KR970010790B1 KR 970010790 B1 KR970010790 B1 KR 970010790B1 KR 1019930019918 A KR1019930019918 A KR 1019930019918A KR 930019918 A KR930019918 A KR 930019918A KR 970010790 B1 KR970010790 B1 KR 970010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ackaging
elevator
packing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9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302A (ko
Inventor
헤이에몬 아키야마
미노루 사토오
Original Assignee
카부시키가이샤 토오쿄오 지도오키카이세이사쿠쇼
사토오 호오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부시키가이샤 토오쿄오 지도오키카이세이사쿠쇼, 사토오 호오쥬 filed Critical 카부시키가이샤 토오쿄오 지도오키카이세이사쿠쇼
Priority to KR1019930019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10790B1/ko
Publication of KR950008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0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7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06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conveying wrapper and contents in common defined paths
    • B65B11/18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conveying wrapper and contents in common defined paths in two or more straight paths
    • B65B11/20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conveying wrapper and contents in common defined paths in two or more straight paths to fold the wrappers in tubular form about contents
    • B65B11/22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conveying wrapper and contents in common defined paths in two or more straight paths to fold the wrappers in tubular form about contents and then to form closing folds of similar form at opposite ends of the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9/00Devices for folding or bending wrappers around contents
    • B65B49/0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f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6Applying adhesive t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포장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포장장치의 종단정면도로서 포장개시시와 포장종료시를 동시에 표시하는 도면.
제2도는 동 횡단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3)-(3)선을 따르는 부분확대평면도.
제4도는 포장시이트의 반출공정을 차례로 표시하는 부분적인 종단정면도.
제5도는 동체감기 공정을 차례로 표시하는 부분적인 종단정면도.
제6도는 측면플랩의 절입 개시상태를 부분확대하여 표시하는 횡단평면도.
제7도는 측면플랩의 절입 종료직전의 상태를 부분확대하여 표시하는 횡단평면도.
제8도는 상플랩의 접어내리기 개시상태를 부분확대하여 표시하는 횡단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포장시이트 A' : 반출통로
A1 : 선단부 A1' : 선단가장자리
A2' : 말단가장자리 A3 : 장출단부
A6 : 상부플랩 B : 내용물
B2 : 개구하는 측면 C1,C2 : 점착테이프
F : 프레임 F1 : 저면
F2 : 측면 P1 : 포장개시위치
1g : 스토퍼 1h : 검출기
2 : 테이프반출기구 3 : 첩부기구
3b : 쐐기레버 4 : 시이트반출구
4a : 반출로울러 5a : 이송로울러
5c : 하류측의 시이트지지장치 5d : 미끄럼면
6 : 엘리베이터 6a : 재치면
6b : 승강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다수 적중된 종이나, 책 또는 길이방향에 지그재그형으로 절첩된 띠형상의 포(布)나 직물, 혹은 집적된 다수의 상자 등의 대략 직방체 형상의 내용물을 예를 들어 크라프트지 등의 포장시이트로 피포하는 겉포장 포장장치로, 상세하게는 포장시이트를 엘리베이터의 상방으로 공급하고, 이 포장개시위치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승강에 의하여 포장시이트 및 그 엘리베이터의 재치면에 올려진 내용물을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면서 내용물의 외면을 따라서 포장시이트를 피포하여 점착테이프로 봉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포장장치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공평 3-1468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측방에 적층된 포장시이트가 올려지는 급지대를 승강로의 상단으로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하고, 이 급지대위에 직선상태인 채로 적층된 포장시이트의 전체로부터 그 적층방향 하류끝에 위치하는 포장시이트 만을 한장씩 분리하여 풀어내므로써 엘리베이터위로 공급하고, 이 포장시이트위의 소정위치에 내용물을 올려놓은 다음, 엘리베이터가 하강하여 포장시이트의 양끝부를 대략 U자형으로 접어올리고, 내용물의 상면을 따라서 중합하는 것으로 동체감기 공정이 종료되고, 이에 계속하여 이 동체감기한 내용물이 이송수단에 의해 엘리베이터 위로부터 배출대로 수평이송하므로써, 포장시이트의 각 장출단부의 양 측면플랩을 내용물이 개구하는 측면을 따라서 내부쪽으로 접어넣고, 그 후 각 장출단부의 상부플랩을 내용물이 개구하는 측면을 따라서 접어내리는 동시에, 테이프반출기구에 의해 풀어내어진 점착테이프를 첩부기구에 의하여 포장시이트가 중합되는 양 끝부에 첩부하여 봉합한 다음, 하부플랩을 접어 내린 상부플랩의 외측을 따라서 접어올리고, 그 후에 가이드의 내부쪽으로의 돌출운동에 따라 가장 외측에 중첩된 하부플랩의 선단을 내용물의 상면을 따라서 접어 넣은 다음, 테이프반출기구에 의해 풀어내어진 점착테이프가 첩부기구에 의하여 하부플랩의 선단과 내용물이 상면에 첩부되어서 봉합하는 것이 있다.
또, 예컨데 일본국 실공평 3-1112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측방에 적층된 포장시이트가 올려지는 공급대를 승강로의 상단으로 향하여 약 45도로 상향경사지게하여 배치하고, 이 급지대위에 직선상태인채로 적층되는 포장시이트의 상방으로 시이트반출기구로서 반출로울러를 배설하고, 이 반출로울러의 회전에 따라 상단에 위치하는 포장시이트 만을 한장씩 분리하면서 엘리베이터 위로 대략 수평으로 풀어내고, 이 포장시이트 위의 소정위치에 내용물이 올려진 다음, 엘리베이터를 하강시키므로써 포장시이트가 내용물의 양 측면을 따라서 대략 U자형으로 접어올려지고, 그 후 이들 접어올린 포장시이트의 양 끝가장자리를 동체감기 기구에 의하여 내용물의 상면을 따라서 중합되는 것에 의해 동체감기가 종료됨과 동시에, 상기한 반출 로울러를 체인등에 의하여 매달아 지지하고, 그 반출 로울러의 자중에 의해 적층방향 하류끝의 포장시이트에 상시 맞닿게 하므로써, 반출에 따라서 급지대위의 포장시이트가 감소하여도, 이것에 관계없이 포장시이트를 계속 풀어내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포장장치에서는, 동체감기가 종료된 후와 귀접기가 종료된 후에 각각 점착테이프를 풀어내어서 포장시이트의 봉합대응위치에 첩부하기 때문에, 내용물의 포장공정중에 점착테이프의 첩부전용 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동시에, 동체감기된 포장시이트가 중합되는 양 끝부와 대향하는 위치와, 귀접기된 양 돌출단부의 하부플랩 선단과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테이프반출기구와 첩부기구를 배설하지만, 이들 동체감기 종료위치와 귀접기 종료위치에는 동체감기나 귀접기에 사용되는 가이드 등이 배설되므로, 이들과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해야 하며, 그 결과 장치전체가 대형화할 뿐 아니라 구성도 복잡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적층된 포장시이트의 전체로부터 그 퇴적방향 하류끝에 위치하는 포장시이트만을 확실하게 한장씩 분리하기 위하여, 흡착력이나 마찰력을 이용하는 분리수단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포장시이트가 직선상태인 채로 비스듬히 적층된 급지대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가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와는 별도로 횡방향으로 포장시이트의 경사배치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그 공간만큼 횡방향으로 길어지게 되므로, 장치전체가 대형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급지대를 직각에 가깝게 경사시키는 것에 의해, 포장시이트의 배치공간이 횡방향으로 축소되므로, 장치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포장시이트의 배치공간이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보다도 훨씬 상하방향으로 길어질 뿐 아니라, 포장시이트의 동체감기 방향의 치수가 내용물의 폭치수와 높이치수를 가산한 것의 2배보다도 길게되기 때문에, 내용물의 외형치수보다 포장시이트의 배치공간을 직선방향으로 길게해야 하므로, 어떻게 한다 하더라도 장치 전체가 대형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적층된 포장시이트가 올려지는 급지대를 상하운동시키는 것에 의해, 그 퇴적량에 관계없이 하류끝에 위치하는 포장시이트를 소정높이로 유지하고, 그 포장시이트의 선단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위의 포장개시 위치까지의 반출길이를 일정하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포장시이트가 적층된 급지대를 자유자재로 승강하도록 지지하여 승강구동부를 연설할 필요가 있으므로, 장치전체가 대형화되는 동시에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포장시이트의 보급이 어렵고, 생산비용이 높아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포장시이트를 피포하면서 동시에 봉합하는 것을 제1목적으로 하고, 흡착력이나 마찰력을 이용하지 않고 하류끝의 포장시이트만을 한장씩 분리하는 것을 제2목적으로 하며, 흡착력이나 마찰력을 이용하지 않고, 하류끝의 포장시이트만을 한장씩 분리하기 쉽게 하면서, 사공간(死空間)을 이용하여 최대 시이트배치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제3목적으로 하고, 포장시이트를 상하운동시키지 않고 하류끝의 포장시이트를 그 퇴적량에 관계없이 일정위치에 유지하는 것을 제4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강구하는 기술적 수단은 점착테이프를 공급전의 포장시이트를 향하여 풀어내어서 지지하는 테이프반출기구와, 이 풀어내어진 테이프에 접리하여 포장시이트의 봉합대응 위치에 점착테이프가 일부 돌출하도록 첩부하는 첩부기구와, 점착테이프가 첩부된 포장시이트를 포장개시 위치로 향하여 반출통로를 따라 엘리베이터의 상방으로 공급하는 측면방출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보다 하방에 적층된 포장시이트를 프레임의 저면을 따라서 대략 수평으로 수납배치하고, 이들 포장시이트의 선단부를 적층상태인 채로 프레임의 측면을 따라서 상방으로 굴곡함과 동시에, 이 굴곡한 적층방향 하류끝에 위치하는 포장시이트의 선단부와 대향하여 테이프반출기구를 배설하고, 적층상태인 채로 굴곡된 시이트의 선단부를 굴곡방향 및 반굴곡방향으로 이동하여, 테이프반출기구에 의하여 플어내어진 점착테이프에 접리시키는 첩부기구를 자유자재로 왕복운동하게 배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포장시이트의 말단가장자리와 접촉하는 스토퍼를, 굴곡한 포장시이트의 선단부로 향하여 자유자재로 왕복운동하게 배설하고, 첩부기구에 의하여 굴곡된 포장시이트의 선단가장자리 근처에 검출기를 배설함과 동시에, 이 검출기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스토퍼를 조정이동시키는 것에 바람직하다.
또, 첩부기구가 포장시이트의 굴곡방향으로부터 반굴곡방향으로 이동을 변경할 때에, 적층상태인 채로 굴곡된 포장시이트의 선단부를 부분적으로 반굴곡방향으로 굴곡시키는 부분굴곡장치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수단에 의하면, 테이프반출기구로부터 풀어내어진 점착테이프로 첩부기구에 포장시이트의 봉합대응위치를 접리시키므로써, 이 봉합대응위치에 점착테이프가 일부 돌출하여서 첩부된 후, 이 점착테이프가 첩부된 포장시이트를 시이트반출기구에 의해 포장개시 위치로 풀어내므로써, 포장과정에서 포장시이트의 접어넣기가 완료됨과 동시에, 점착테이프의 돌출한 부분이 첩부되는 것이다.
그리고, 첩부기구가 적층상태인 채로 포장시이트의 선단부를, 굴곡방향으로 이동하여 테이프반출기구로부터 풀어내어 지지된 점착테이프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그 적층방향 하류끝에 위치하는 포장시이트의 선단부만이 유지되고, 그 후 이것과는 반대로 포장시이트의 선단부를 반굴곡방향으로 이동하여 테이프반출기구로부터 이탈시키므로써, 포장시이트가 반굴곡방향으로 복귀할려고 하는 복원력을 이용하여, 점착테이프에 유지된 하류끝의 포장시이트의 선단부로부터 다른 적층된 포장시이트의 선단부 전체가 강제적으로 이탈되게 되는 것이다.
또,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와 프레임의 저면 및 측면과의 사이에 포장시이트를 적층상태인 채로 굴곡하므로써, 승강로의 하방 및 측방이 연속된 시이트배치공간으로 됨과 동시에, 적층된 포장시이트의 선단부가 각각 상호 위치엇갈림하여서 예각형상으로 되고, 이 위치엇갈림에 따라 포장시이트 상호의 밀착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 굴곡된 포장시이트의 선단가장자리 근처를 검출기로 검출하고, 그 위치가 설정위치까지 도달하고 있지 않을 때에, 스터포를 이동시키므로써 포장시이트의 말단가장자리가 압출되어서 선단가장자리가 설정위치에 도달하는 것이다.
또, 시이트공급방향 상류측의 시이트지지장치로부터 포장시이트의 선단이 시이트공급방향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미끄럼면을 시이트공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인출하므로써, 포장시이트가 미끄럼면 위에 지지된 채로 하방으로 느슨해지지 않고 하류측 시이트지지장치에 걸어서 건네지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자재한 급지대(1) 위에 포장시이트(A)를, 그 길이방향이 프레임(F)의 긴폭방향과 일치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적층하여 대략 수평으로 올려놓고, 이들 포장시이트(A…)의 길이방향의 일단에 상당하는 선단부(A1…)를 비스듬히 상방으로 굴곡시키고, 이 굴곡된 선단부(A1…)를 첩부기구(3)로 다시 굴곡시키는 동작과 반 굴곡방향으로 복원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적층방향 하류 끝에 위치하는 포장시이트(A)의 선단가장자리(A1')의 좌우방향 중앙과 좌우방향 양끝에 배치한 각 봉합대응위치를, 테이프반출기구(2),(2),(2)에 지지된 점착테이프(C1),(C2),(C2)에 점착하여 하류끝의 포장시이트(A)만을 유지함과 동시에, 이 점착테이프(C1),(C2),(C2)가 점착된 포장시이트(A)를 한장씩 반출기구(4)에 의해 역L자형상의 반출통로(A')를 지나서 엘리베이터(6) 위로 풀어내는 것이다.
급지대(1)는, 후술하는 엘리베이터(6)의 승강로(6b)보다 하방으로 프레임(F)의 저면(F1)을 따라 배치하고, 프레임(F)의 긴폭방향과 직교하는 좌우방향의 중앙 위치에 대략 수평인 재치면(1a)을 상하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왕복운동하게 횡설하고, 그 좌우방향의 길이치수를 최소크기의 포장시이트(A)의 짧은쪽 치수보다 짧게 형성하고, 이 재치면(1a)의 좌추측방에는 측면이형상의 측면가이드(1a),(1b)를 대향하여 상하이동 불능하게 횡설하며, 이들 재치면(1a)으로부터 측면가이드(1b),(1b)에 걸쳐서 포장시이트(A…) 재치하여 지지한다.
재치면(1a)은, 프레임(F)의 측면(F2)을 따라서 상방으로 굴곡한 포장시이트(A…)의 굴곡부저면과 대향하는 부분을 비스듬히 상방으로 굴곡하고, 이 굴곡부분의 좌우방향의 중앙위치에, 예를 들면 스펀지등의 탄성블록부(1c)를 돌설하여서 포장시이트(A…)의 굴곡부저면에 압접시키는 동시에, 이 탄성볼록부(1c)보다 상방으로 미끄러지기 쉬운, 예컨데 불소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한 굴곡가능한 누름시이트(1d)를 재치면(1a)에 고착하고, 이 누름시이트(1d)를 후술하는 첩부기구(3)의 리프팅레버(3a)에 두루감서서, 예를 들어 스프링 등의 탄성체(1e)로 인장하는 것에 의하여, 포장시이트(A…)의 굴곡부저면으로부터 선단부(A1…) 저면을 따라서 팽팽하게 건다.
따라서, 굴곡한 포장시이트(A…)는 그 굴곡부의 좌우중앙위치가 상기한 탄성볼록부(1c)에 의하여 상방으로 팽출하여 부채꼴형상으로 만곡함과 동시에, 재치면(1a)을 측면가이드(1b,1b)의 내면하단보다 높게하므로써, 대략 수평인 말단부(A2…)가 상방으로 팽출하여 부채꼴형상으로 만곡하며, 이들의 만곡과 긴장한 누름시이트(1d)에 의하여 포장시이트(A)의 적측량에 관계없이 선단부(A1…)가 좌굴(坐屈)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포장시이트(A…)의 굴곡부 상면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접촉가이드(1f)를 배치 고정하여, 후술하는 첩부기구(3)에 의하여 포장시이트(A…)의 선단부(A1…)가 다시 굴곡되었을 때에, 포장시이트(A…)의 굴곡부 상면을 접촉가이드(1f)에 밀어붙여서 절곡한다.
또, 상기한 측면가이드(1b),(1b)는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정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그 상방에 포장시이트(A)의 선단가장자리(A1')의 좌우방향 양끝에 배치한 봉합대응위치와, 각각 대향하는 테이프반출기구(2),(2)를 연설함과 동시에, 예를 들면 펄스실린더 등의 조정구동부를 연설하고, 이 조정구동부에 의하여 포장시이트(A)의 짧은쪽방향으로의 크기변경에 대응하여 좌우방향으로 같은 길이씩 조정이동시키고, 배치된 포장시이트(A…)의 말단가장자리(A2' )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스토퍼(1g)를 프레임(F)의 긴폭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정이동할 수 있도록 세워 설치하여, 예를 들면 펄스실린더 등의 조정구동부를 연설하며, 이 조정구동부는 도면에 표시하지 않는 제어부에 의하여 작동제어되어서, 후술하는 검출기(1h)로부터의 출력에 의거하여 스토퍼(1g)를 수평이동시킨다.
검출기(1h)는 굴곡된 포장시이트(A…)의 선단가장자리(A1'…) 근방에,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중앙에 배치한 테이프반출기구(2)의 요동지지면(2d) 근처에 배치되어서, 상기한 제어부를 통하여 스토퍼(1g)의 조정구동부에 연통하고, 포장시이트(A…)의 선단부(A1…를) 다시 굴곡하여서 점착테이프(C1),(C2),(C3)에 접촉시킬 때에, 그 퇴적방향 하류끝에 위치하는 포장시이트(A)의 선단가장자리(A')를 위치검출하고, 이 위치가 설정위치에까지 도달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다음 포장시이트(A…)의 선단부(A1…)가 다시 굴곡될 때까지 스토퍼(1g)의 조정구동부를 작동하여, 포장시이트(A…)의 말단가장자리(A2')를 적당한 길이만큼 포장시이트(A…)의 선단부(A1…)로 향하여 수평이동 시킨다.
테이프반출기구(2),(2),(2)는, 회전자재하게 지지한 점착테이프로울러(C),(C),(C)의 테이프반출방향 하류측에, 이들로부터 되감겨지는 점착테이프(C1),(C2),(C2)의 접착면과 대향 접촉하는 반출로울러(2a),(2a),(2a)와, 접착테이프(C1),(C2),(C2)의 비접착면 및 상기한 반출통로(A')와 각각 대향하는 지지면(2b),(2b),(2b)을 배설하고, 이들 반출로울러(2a),(2b),(2b)과 교차하여서 출물자재하게 배치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포장시이트(A)의 선단가장자리(A1')의 좌우방향 중앙부에 배치한 봉합대응위치와 대향하는 테이프반출기구(2)가, 점착테이프로울러(C)로부터 점착테이프(C1)를 지지면(2b)을 따라서 좌우수평방향으로 풀어내고, 선단가장자리(A1')의 좌우방향 양끝에 배치한 봉합 대응위치와 각각 대향하는 테이프반출기구(2),(2)가, 점착테이프로울러(C),(C)로부터 점착테이프(C2),(C2)를 지지면(2b),(2b)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풀어낸다.
또, 이들 지지면(2b),(2b),(2b)의 하류끝에는, 요동지지면(2d),(2d),(2d)을 반출통로(A')로 향하여 출물자재하게 연설하고, 필요에 따라서 각각의 요동지지면(2d),(2d),(2d)에 두장의 첩부방지용 돌기(2e),(2e),(2e)를 반출통로(A')를 향하여 돌설하고, 상기한 반출로울러(2a),(2a),(2a), 커터(2c),(2c),(2c) 및 요동지지면(2d),(2d),(2d)에는, 각각 예를 들어 스테핑모터 등의 구동부를 연계한다.
테이프반출기구(2),(2),(2)의 구도부는, 상기한 스토퍼(1g)의 조정구동부와 마찬가지로 제어부에 의하여 작동제어되며, 포장시이트(A)를 반출전의 초기상태로서 요동지지면(2d),(2d),(2d)을 포장시이트(A)의 반출통로(A')로부터 이탈시켜 대기시키고, 후술하는 시이트반출개시스위치(S1) 또는 포장개시스위치(S2)의 수동조작 후에, 반출로울러(2a),(2a),(2a)를 회전시켜서, 점착테이프로울러(C),(C),(C)로부터 점착테이프(C1),(C2),(C2)를 각각 테이프반출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은 금을 내면서 요동지지면(2d),(2d),(2d)까지 설정길이 만큼 풀어낸다.
그리고, 후술하는 첩부기구(3)가 요동지지면(2d),(2d),(2d)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다음, 중앙의 봉합대응위치와 대향하는 테이프반출기구(2)에 커터(2c)만을 돌출시켜서, 점착테이프(C1)의 절단직후에 그 요동지지면(2d)를 반출통로(A')를 향하여 순간적으로 돌출시켜 초기상태로 복귀시키고, 후술하는 시이트반출기구(4)의 누룸로울러(4b)가 요동지지면(2d),(2d),(2d)에 접근이동한 다음, 좌우양끝의 봉합대응위치와 대향하는 테이프반출기구(2),(2)의 커터(2c),(2c)를 돌출시키고, 점착테이프(C2),(C2)의 절단직후에 이들 요동지지면(2d),(2d)을 포장시이트(A)의 반출통로(A')를 향하여 소정시간 만큼 돌출시켜서 초기상태로 복귀시키고, 필요에 따라서 점착테이프(C2),(C2),(C2)의 절단후에 반출로울러(2a).(2a),(2a)를 약간 역회전시킨다.
또, 이들 테이프반출기구(2),(2),(2)의 사이에는, 예컨데 스프링강판 등의 탄성재를 주름상자형상으로 굴곡하여 형성한 신축가이드(2f,2f)를 개재시키는 것에 의해, 포장시이트(A…)의 크기변경에 대응하여 좌우양끝의 봉합대응위치와 대향하는 테이프반출기구(2),(2)를 좌우방향으로 조정이동 가능하게 하면서, 적층방향 하류끝에 위치하는 포장시이트(A)의 선단가장자리(A1' )가 테이프반출기구(2),(2),(2)의 사이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첩부기구(3)는, 테이프반출기구(2),(2),(2)의 요동지지면(2d),(2d),(2d)에 대하여 대략 수평인 리프팅레버(3a)를, 적층상태인 채로 상방으로 굴곡된 포장시이트(A…)의 선단부(A1…)를 끼고 접리하는 방향으로 왕복운동 자재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한 미끄럼면(1f)을 통하여 포장시이트(A…)의 선단부(A1…) 저면에 접촉시켜서 배치하고, 이 리프팅레버(3a)의 외면에 필요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스펀지 등의 탄성제를 고정 부착하므로써, 포장시이트(A…)의 적층량이 적어져도 요동지지면(2d),(2d),(2d)으로 확실하게 밀어붙혀진다.
리프팅레버(3a)에는, 예를 들면 스테핑모터 등의 구동부를 연계하고, 이 구동부에 의하여 리프팅레버(3a)를 왕복운동시키과 동시에, 그 좌우방향 양끝에 연설한 요동편(3c),(3c)을 통하여 후술하는 반출로울러(4a)의 하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평행한 쐐기레버(3b)를 접리하는 방향으로 요동자재하게 횡설하는 것에 의하여 부분굽힘수단을 구성하고, 이들 요동편(3c),(3c)에 예컨데 스프링 등의 탄성재(3d,3d)를 연설하며, 쐐기레버(3b)를 반출로울러(4a)의 하부와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시 밀어누르게 하여서, 리프팅레버(3a)가 테이프반출기구(2),(2),(2)의 요동지지면(2d),(2d),(2d)이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요동편(3c),(3c)과 접촉하는 고정스토퍼(3e),(3e)를 배치하여서, 쐐기레버(3b)를 반출로울러(4a)의 하부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요동시킨다.
첩부기구(3)의 구동부는, 상기한 제어부에 의하여 작동제어되고, 포장시이트(A)를 반출전의 초기상태에서, 리프팅레버(3a)를 포장시이트(A…)의 선단부(A1…)가 직선상태로 복귀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적층방향 하류끝에 위치하는 포장시이트(A)가 상기한 접촉가이드(1f) 및 각 테이프반출기구(2)의 요동지지면(2d)으로부터 이탈하도록 대기시키며, 각 반출로울러(2a)에 의한 점착테이프(C1),(C2),(C2)의 반출 후에, 리프팅레버(3a) 및 쐐기레버(3b)를 포장시이트(A…)의 선단부(A1…)가 다시 굴곡하는 방향으로 접근이동하여, 하류끝이 포장시이트(A)의 선단가장자리(A1')를 각 테이프반출기구(2)의 요동지지면(2d)에 압접시키고, 그 후 이것과는 반대방향으로 리프팅레버(3a)를 접근이동속도보다 늦게, 예를 들면 접근이동속도의 1/3의 속도로 이동시켜, 이동지지면(2d),(2d),(2d)으로부터 이탈시켜서 초기상태로 복귀시킨다.
시이트반출기구(4)는 테이프반출기구(2)의 요동지지면(2d)보다 하방으로 접근하여 배설한 반출로울러(4a)와, 이 반출로울러(4a)에 상기한 반출통로(A')를 끼고 접리하는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왕복운동하게 배설한 누름로울러(4b)로 구성되고, 이들 반출로울러(4a)와 누름로울러(4b) 사이에 포장시이트(A) 끼워넣어서 반출통로(A')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파형형상으로 절곡하는 것에 의해, 반출방향으로의 직진성을 증가하여서 상방으로의 이송을 가능하게 한다.
누름로울러(4b)의 상기한 중아에 배치한 테이프반출기구(2)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예컨데 실리콘고무 등의 비점착재(4c)로 피복하여 점착테이프(C1)의 접착을 방지하고, 반출로울러(4a) 및 누름로울러(4b)에는, 각각 예를 들면 스테핑모터 등의 구동부를 연계하여, 이들으이 구동부에 의하여 반출로울러(4a)를 간헐적으로 회전시켜, 누름로울러(4b)를 반출로울러(4a)에 대하여 왕복운동시킨다.
시이트반출기구(4)의 구동부는 상기한 제어부에 의해 작동제어되고, 포장시이트(A)를 반출전의 초기상태에서, 반출로울러(4a)의 회전을 정지시키면서 누름로울러(4b)를 반출로울러(4a)로부더 이탈시켜 대기시키고, 상기한 첩부기구(3)의 리프팅레버(3a)가 이탈된 후에, 누름로울러(4b)를 반출로울러(4a)에 압접한 다음, 좌우양끝에 봉합대응위치와 대향하는 테이프반출기구(2),(2)의 요동지지면(2d),(2d)이 반출퉁로(A')로 향하여 돌출하고 있는 동안만 반출로울러(4a)를 회전시키고, 이들 반출로울러(4a)와 누름로울러(4b)에 끼워넣은 퇴적방향 하류끝에 위치하는 포장시이트(A)를 파형형상으로 절곡하면서 반출통로(A')를 따라서 후술하는 시이트이송기구(5)에까지 풀어내고, 후술하는 엘리베이터(6)가 상한위치에까지 상승한 후에, 누름로울러(4b)를 반출로울러(4a)로부터 이탈시켜서 초기상태로 복귀시킨다.
시이트이송기구(5)는, 상기한 반출통로(A')를 끼고 상류측 시이트지지수단인 이송로울러(5a)와 누름로울러(5b)를 배설하고, 포장시이트(A)의 선단가장자리(A1')의 각 봉합대응위치에 점착된 점착테이프(C1),(C2),(C2)의 접착면측에 배치한 누름로울러(5b)를 점착테이프(C1),(C2),(C2)의 통로위치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복수개 각각 이송로울러(5a)에 대하여 접리하는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왕복운동하게 배치하고, 이 이이송로울러(5a)와 누름로울러(5b)에, 예를 들면 스테핑모터 등의 구동부를 연계하여,이들 구동부에 의하여 이송로울러(5a)를 회전시키고, 다시 누름로울러(5b)를 이송로울러(5a)에 대하여 왕복운동시킨다.
시이트이송기구(5)의 구동부는, 상기한 제어부에 의하여 작동제어되고, 포장시이트(A)를 반출전의 초기상태에서, 이송로울러(5a)를 회전 정지하면서 누름로울러(5b)를 이송로울러(5a)로부터 이탈시켜 대기시키며, 시이트반출기구(4)의 누름로울러(4b)가 접근 이동하는 것과 대략 동시에, 누름로울러(5b)를 접근이동시켜 이송로울러(5a)에 압접시킴과 동시에, 이송로울러(5a)를 회전하여 풀어내어진 포장시이트(A)가 상기한 포장개시위치(P1)에까지 수평으로 압출이송하고, 이 이송된 포장시이트(A)가 후술하는 하류측의 시이트지지장치(5c)까지 공급된 후에, 누름로울러(5b)를 이송로울러(5a)로부터 이탈시켜서, 이송로울러(5a)의 회전을 정지시켜 초기상태로 복귀시킨다.
하류측의 시이트지지장치(5c)는, 상기한 이송로울러(5a)의 상단위치와 대략 동일한 높이로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횡설하고, 이 하류측의 시이트지지장치(5c)의 하류끝을 비스듬히 상방으로 굴곡하여 돌출시키고, 필요에 따라서 도면에 표시하지 않았지만, 그 상류끝까지 공급된 포장시이트(A)를 비스듬히 상방으로 돌출하는 하류측으로 향하여 풀어내는 로울러를 배설한다.
이들 이송로울러(5a)와 하류측의 시이트지지장치(5c)와의 사이에는, 미끄럼면(5d)을 상기한 반출통로(A')의 하류측 하면을 따라서 시이트공급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출입하게 설치하고, 이 미끄럼면(5d)을 굴곡가능하고 미끄러지기 쉬운, 예를 들면 불소수지 등의 재질에 의해 시이트형상으로 형성하며, 그 시이트공급방향의 폭치수를 이송로울러(5a)로부터 하류측의 시이트지지장치(5c)까지의 거리보다도 길게함과 동시에, 좌우방향의 길이치수를 포장시이트(A…)의 최대폭치수와 대략 같은 길이로 한다.
또, 미끄럼면(5d)은 이송로울러(5a)와 간섭하지 않도록 좌우방향으로 복수로 분할하여 이송로울러(5a)에 감아두고, 미끄럼면(5d)의 시이트공급방향 상류끝을 권취레버(5e)에 각각 고정부착하여, 예를들면 스프링 등의 탄성체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권취함과 동시에, 이 권취레버(5e)를 이송로울러(5a)의 하방에 자유자재로 회전하게 횡설하고, 하류끝을 후술하는 상류끝의 동체감기 가이드(7)에 고정 부착시킨다.
그리고, 상기한 포장개시위치(P1)에는 내용물(B)의 대향하는 한쌍의 측면(B1),(B1)과 각각 대향하는 기준가이드(21),(21)와, 적어도 잔류하는 측면(B2),(B2)의 어느 한쪽과 대향하는 수직의 기준면(22)을, 후술하는 엘리베이터(6)의 상방에 배설하고, 이것에 의해 둘러싸인 포장개시위치(P1)에 내용물(B)을 올려놓을 때에, 그 내용물(B)의 측면(B1),(B1),(B2),(B2)을 기준가이드(21),(21) 및 기준면(22),(22)에 각각 접촉시켜서 위치결정한다.
엘리베이터(6)는, 상기한 기준가이드(21,21)의 하방에 상하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왕복운동하게 횡설하여, 그 재치면(6a)의 상기한 프레임(F)의 긴폭방향, 즉 상기한 시이트이송기구(5)에 의한 포장시이트(A)의 공급방향으로의 폭치수를, 최대크기의 내용물(B)이 시이트공급방향에 2개병렬형상으로 올려놓을 수 있을 만한 크기로 형성하고, 이 좌우방향으로의 길이치수를 최대크기의 내용물(B)이 좌우방향으로 1개 올려놓을 수 있을 만한 크기로 형성함과 동시에, 예컨대 스티핑모터등의 구동부를 연설하여, 이 구동부에 의하여 재치면(6a)을 승강시킨다.
엘리베이터(6)의 구동부는, 제어부에 의하여 작동제어되고, 포장시이트(A)를 풀어내기 전의 초기상태에서, 재치면(6a)을 상한위치까지 상승시켜 대기시키고, 상기한 시이트반출기구(4)의 반출로울러(4a)가 회전개시하는 것과 대략 동시에, 재치면(6a)을 하한위치에 가까운 위치까지 하강시켜서, 후술하는 동체감기 가이드(7),(7)가 기준가이드(21),(21)의 바로 아래위치로 이동한 직후에, 재치면(6a)을 상한위치까지 상승시켜서 동체감가 가이드(7),(7)와 접근시킨다.
그리고, 포장시이트(A) 위에 내용물(B)을 올려놓아 동체감기 가이드(7),(7)의 상면(7a),(7a)으로부터 시이트누름(7d,7d)이 이탈되면, 이 내용물(B)의 상면(B3)이 동체감기 가이드(7),(7) 및 압축받이판(8),(8)의 하방이 되는 하한위치까지 하강시키고, 이것에 계속하여 내용물(B)의 상면(B3)이 압축받이판(8),(8)에 압절될 때까지 소정량 상승시킴과 동시에, 하류측의 동체감기 가이드(7)가 압접받이판(4),(4)의 중앙상바우위치까지 돌출한 후에 약간 하강시, 내용물(B)의 높이치수에 관계 없이 후술하는 횡절 가이드(9…)가 양 가이드플랩(A4…)의 소정높이 위치와 대향하도록 재치면(6a)을 승강시키고, 푸셔(10)의 전진이 종료된 다음 상승시켜서 초기상태로 복귀시킨다.
또, 엘리베이터(6)에 의한 내용물(B)의 승강도중에는, 내용물(B)에 포장시이트(A)를 동체감기하는 한쌍의 동체감기 가이드(7),(7)와, 하강한 내용물(B)의 상면(B3)과 대향하는 엘리베이터(6)의 승강로(6b)내로 출몰자재한 압축받이판(8),(8)과, 동체감기된 포장시이트(A)의 장출단부(A3),(A3)의 양 측면플랩(A4…)을 내용물(B)이 개구하는 측면(B2),(B2)을 따라서 각각 내부쪽으로 절입하는 횡절 가이드(9…)를 설치하고, 하강한 엘리베이터(6)의 재치면(6a)을 따라서 시이트공급방향으로 내용물(B)을 수평이송하는 푸셔(10)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수평이송한 포장시이트(A)의 장출단부(A3),(A3)의 하부플랩(A5),(A5)을, 내용물(B)의 개구하는 측면(B2),(B2)을 따라서 각각 접어올리는 상절가이드(11),(11)를 배설하며, 이들 상절가이드(11),(11)의 상방에는, 장출단부(A3),(A3)의 상부플랩(A6),(A6)을 내용물(B)의 개구하는 측면(B2),(B2)을 따라서 각각 절입하는 절입가이드(12),(12)를 배설한다.
동체감기 가이드(7),(7)는 그 상면(7a),(7a)이 대략 수평이고, 대향하는 내단(7b),(7b)이 하강한 내용물(B)의 동체감기하여 폐쇄되는 측면(B1),(B1)과 평행한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좌우방향의 길이치수를 최대크기의 내용물(B)의 길이 치수보다 크게 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하면에, 예컨대 스펀지나 판스프링 등의 탄성체(7c),(7c)를 고정 부착함과 아울러, 상기한 기준가이드(21),(21)의 하방에 상하방향 및 하강한 내용물(B)의 상면(B3)을 따라서 시이트공급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왕복운동하게 배설하여, 각각에 예를 들어 스테핑모터 등의 구동부를 연설하여, 이들 구동부에 의하여 상하운동 및 서로 왕복운동시킨다.
동체감기 가이드(7),(7)의 구동부는, 상기한 제어부에 의해 작동제어되고, 상기한 시이트반출기구(4)에 의하여 포장시이트(A)가 시이트이송기구(5)의 이송로울러(5a)로 풀어내어지기 전의 초기상태에서, 시이트공급방향 상류측에 배치한 동체감기 가이드(7)를 이송로울러(5a)의 근처 또는 기준가이드(21)의 바로 아래위치에, 하류측으로 배치한 동체감기 가이드(7)를 압축받이판(8),(8)의 중앙상방위치에서 각각 대기시키고, 후술하는 푸셔(10)의 전진과 동시에, 하류측의 동체감기 가이드(7)를 상기한 하류측의 지지장치(5c) 근방까지 이동시키고, 이송로울러(5a)와 누름로울러(5b)에 의해 압출 이송된 포장시이트(A)의 선단가장자리(A1')가 상류측의 동체감기 가이드(7) 위에 도달한 다음, 이 상류측의 동체감기 가이드(7)를 포장시이트(A)의 이송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시이트공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하류측의 동체감기 가이드(7)에 접근시킨다.
그리고, 이송된 포장시이트(A)의 선단가장자리(A1')가 상류측의 동체감기 가이드(7) 위로부터 하류측의 동체감기 가이드(7) 위로 이동하고, 다시 하류측의 동체감기 가이드(7) 위로부터 하류측의 지지장치(5c) 위로 이동한 후에, 양 동체감기 가이드(7,7)를 각각 기준가이드(21,21)의 바로 아래 위치까지 반시이트공급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엘리베이터(6)의 상한위치로의 상승에 따라서 각각의 상면(7a),(7a)을 약간 위로 이동시키면서, 내단(7b),(7b)을 내용물(B)의 시이트공급방향 상류측 및 하류측의 양측면(B1),(B1)과 대략 동일한 수직면상에 배치하고, 엘리베이터(6)의 하강에 따라서 동체감기 가이드(7),(7)를 약간 아래로 이동시켜 엘리베이터(6)가 하한위치까지 하강한 직후에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소정량씩 돌출시킨다.
또, 엘리베이터(6)가 약간 상승하여 내용물(B)의 상면(B3)을 압축받이판(8),(8)에 압접한 직후에, 상류측의 동체감기 가이드(7)를 내용물(B)의 상면(B3) 중앙까지 돌출시키고, 이것보다 약간 늦게 하류측의 동체감기 가이드(7)를 돌출시켜서 상류측의 동체감기 가이드(7)와 접근시키고, 이 접근이 종료된 후에 상류측의 동체감기 가이드(7)를 반시이트공급방향으로 복귀이동시킴과 동시에, 하류측의 동체감기 가이드(7)를 압축받이판(8),(8)의 중앙상방위치까지 돌출시켜서 초기상태로 복귀시킨다.
또, 동체감기 가이드(7),(7)의 상면(7a),(7a)에는, 예컨대 중력(gravity)등으로 되는 시이트누름(7d…)을 상하방향으로 접리 자재하게 배설하고, 이들 시이트누름(7d…)을 포장시이트(A)에 미리 접착된 점착테이프(C1)의 통과위치와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시키며, 다시 하류측의 동체감기 가이드(7)의 상면(7a)만을, 미리 첩착된 점착테이프(C1)의 통과위치와 간섭하도록 배치함과 동시에, 그 저면에 필요에 따라서 박리성에 우수한 시이트를 고정 부착하고, 각각의 시이트누름(7d…)에는 그 상방에 배설한,예컨데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부(7e),(7e)와 연계하며, 이들 구동부(7e),(7e)에 의하여 시이트누름(7d…)을 상하이동시켜서 동체감기 가이드(7),(7)의 상면(7a),(7a)과 접리시킨다.
시이트누름(7d…)의 구동부(7e),(7e)는, 상기한 제어부에 의하여 작동제어되고, 포장시이트(A)가 시이트이송기구(5)의 이송로울러(5a)로 풀어내어지기 전의 초기상태에서, 시이트누름(7d…)을 위로 이동시켜서 동체감기 가이드(7),(7)의 상면(7a),(7a)으로부터 이탈시키고, 엘리베이터(6)를 상한위치까지 상승시킨 직후에 시이트누름(7d…)을 아래로 이동시켜서 동체감기 가이드(7),(7)의 상면(7a),(7a)에 압접시켜, 후술하는 포장개시스위치(S2)의 조작에 의하여 시이트누름(7d…)을 위로 이동시켜 동체감기 가이드(7),(7)로부터 이탈시키며, 엘리베이터(6)가 하한위치까지 하강한 직후에 시이트누름(7d…)을 아래로 이동시켜서, 동체감기 가이드(7),(7)의 상면(7a),(7a)에 압접시키고, 동체감기 가이드(7),(7)의 접근이 종료된 후에 시이트누름(7d…)을 위로 이동시켜서 초기상태로 복귀시킨다.
압축받이판(8),(8)은 그 상면에, 예를 들어 실리콘도료 등의 비점착제를 도포한다거나 하여서 비점착처리가 실시되고, 상기한 엘리베이터(6)의 승강로(6b) 밖으로부터 동체감기 가이드(7),(7)와, 하강한 내용물(B)의 상면(B3)과의 사이로 향하여 좌우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왕복운동하게 배설함과 아울러, 적어도 승강로(6b) 내로 돌출했을 때의 시이트공급방향 폭치수를 내용물(B)의 시이트공급방향 폭치수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각각의 시이트공급방향 양측끝을 내용물(B)의 상면(B3)의 시이트공급방향 양측끝의 바로 위에 배치하고, 이들 압축받이판(8),(8)에는, 예를 들면 스테핑모터 등의 구동부를 연설하여, 이들 구동부에 의해 각각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압축받이판(8),(8)의 구동부는, 상기한 제어부에 의하여 작동제어되고, 포장시이트(A)가 시이트이송기구(5)의 이송로울러(5a)로 풀어내어지기 전의 초기상태에서, 압축받이판(8),(8)을 엘리베이터(6)에 의한 포장시이트(A) 및 내용물(B)의 하강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엘리베이터(6)의 승강로(6b)밖에 대기시키고, 포장이 개시되어서 엘리베이터(6)의 하강직후에 하강한 내용물(B)의 상방으로 돌출하여 내용물(B)의 상면(B3)의 좌우끝가장자리와 결합되고, 동체감기 가이드(7),(7)가 접근하여 엘리베이터(6)가 약간 하강한 직후에, 내용물(B)의 상방으로부터 엘리베이터(6)의 승강로(6b) 밖으로 복귀이동시켜서 초기상태로 복귀시킨다.
횡절가이드(9…)는, 상세한 동체감기 가이드(7),(7)의 하방뿐만 아니라, 동체감기한 내용물(B)이 개구하는 측면(B2),(B2)과 동일한 평면상에 장출단부(A3),(A3)의 양 측면플랩(A4…)의 상하중간위치와 대향하고, 내용물(B)보다 시이트공급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2개만을 시이트공급방향으로 왕복운동 자재하게 배설함과 동시에, 내용물(B)보다 하류측에 위치하는 2개를 시이트공급방향으로 이동불능하게 배치하고, 각각의 횡방향 중간위치를 측면플랩(A4…)의 절입방향으로 회전 자재하게 지지하며, 내용물(B)과 대향하는 직선적인 내면의 한쪽 절반부에 내용물(B)과 떨어진 초기상태에서, 그 폐쇄된 측면(B1),(B1)과 대략 평행하게 대향하는 접촉부(9a…)를 형성하고, 내면의 다른 절반부에 내용물(B)과 떨어진 초기상태에서, 측면플랩(A4…)과 대략 평행하게 대향하는 절입부(9b…)를 형성한다.
또, 이들 횡절가이드(9…)는, 접촉부(9a…)와 측면플랩(A4…)의 접촉에 따라서 각각의 내면중간부가 내용물(B)의 측면(B1),(B1),(B2),(B2)의 네 모서리와 접촉하면서 1/4 회전함에 따라서, 절입부(9b…)를 하부플랩(A5),(A5)으로 향하여 소정높이만큼만 하강시키고, 각 장출단부(A3)의 장출길이가 개구하는 각 측면(B2)의 폭치수의 절반보다 길 경우에는, 동체감기 공정이 종료된 후에, 엘리베이터(6)와 상절가이드(11,11)를 절입부(9b…)의 하강량에 대략 상당하는 소정높이씩 하강시키고, 각 장출단부(A3)의 장출길이가 개구하는 각 측면(B2)의 폭치수의 절반보다 짧을 경우에는 하강한 절입부(9b…)의 하단이 내용물(B)의 저면(B4)까지 도달하도록 엘리베이터(6)와 상절가이드(11),(11)를 소정 높이씩 상승시킨다.
상류측의 횡절가이드(9),(9)에는, 예컨대 스테핑모터 등의 구동부를 연설하고, 이들 구동부는 상기한 제어부에 의하여 작동제어되고, 그 초기상태에서 접촉부(9a),(9a)와 절입부(9b),(9b)를 엘리베이터(6)에 의한 포장시이트(A) 및 내용물(B)의 하강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대기시키고, 후술하는 푸셔(10)의 전진과 대략 동시에 접촉부(9a),(9a)를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켜, 내용물(B)의 폐쇄선 상류측의 측면(B1)으로 맞닿게 하므로써, 절입부(9b),(9b)를 회전시켜서 회전한 하류측의 횡절가이드(9),(9)와 접근한 위치에서 전진 정지시키고, 푸셔(10)에 의한 내용물(B)의 이송이 종료된 다음 상류측으로 후퇴시켜, 그 후퇴도중에 복귀돌기(9c),(9c)에 맞닿음 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절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회전시켜 초기상태로 복귀시킨다.
하류측의 횡절가이드(9),(9)는, 그 근처에 예를 들면 영구자석이나 전자석 등의 임시 유지부(9d),(9d)를 고정 배설하고, 푸셔(10)에 의해 이송된 내용물(B)의 폐쇄된 하류측의 측면(B1)과 대략 평행하게 접촉부(9a),(9a)를 대기시킴과 동시에, 이들 접촉부(9a),(9a)의 하단에 경사캠면(9e),(9e)을 형성하고, 측면플랩(A4),(A4)의 접촉에 따라서 절입방향으로 회전한 경사캠면(9e),(9e)과, 그 후에 상승하는 상절가이드(11),(11)의 상승경사변(11a),(11a)을 맞닿음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이들 횡절가이드(9),(9)를 절입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회전시켜 초기상태로 복귀시킨다.
푸셔(10)는, 상기한 엘리베이터(6)를 상하 관통하여 내용물(B)의 동체감기에 의해 폐쇄된 상류측의 측면(B1)과 대향하여 시이트공급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왕복운동하게 배설하고, 그 수직한 압송면(10a)의 상단을 압축받이판(8),(8)보다 하방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예를 들어 스테핑모터 등의 구동부를 연설하여 이들 구동부에 의해 압송면(10a)을 왕복이동시킨다.
푸셔(10)의 구동부는 제어부에 의하여 작동제어되고, 그 초기상태에서 압송면(10a)을 내용물(B)의 시이트공급방향 상류측의 측면(B1)과 동일한 수직면상에 대기시키고, 상류측의 횡절가이드(9),(9)가 하류측으로 전진하는 것과 대략 동시에 압송면(10a)을 전진 개시하여서, 내용물(B)이 폐쇄된 하류측의 측면(B1)이 하류측의 횡절가이드(9),(9)에 접촉되는 위치에서 정지시키고, 상류측의 횡절가이드(9),(9)가 내용물(B)이 개구하는 측면(B2),(B2)의 소정위치까지 전진한 다음 다시 전진시켜서, 하류측의 횡절가이드(9),(9)의 배설위치보다 하류측까지 전진한 곳에서 정지시키고, 엘리베이터(6)의 상승도중이거나, 또는 상승종류 직후에 상류측으로 후퇴시켜서 초기상태로 복귀시킨다.
상절가이드(11),(11)는, 동체감기한 내용물(B)이 개구하는 측면(B2),(B2)과 동일한 수평면상이고, 또한 하류측의 횡절가이드(9),(9)의 대기위치보다 하류측으로 접근하여 세워 설치되고, 그 상단에 하부플랩(A5),(A5)과 대향하는 상승경사변(11a),(11a)을 형성하여 자유자재로 상하이동하게 지지하며, 이 상승경사변(11a),(11a)을 엘리베이터(6)의 하강량과 관계없이 하강시의 재치면(6a)보다 약간 높아지도록 조정이동시켜서, 상기한 푸셔(10)의 전진이 종료된 다음에 내용물(B)이 개구하는 측면(B2),(B2)을 따라서 상승시키므로써, 푸셔(10)에서 이송된 하부플랩(A5),(A5)에 접촉하여 개구하는 측면(B2),(B2)을 따라서 접어올리고, 엘리베이터(6)의 상승시에 그것과 같은 속도로 다시 상승시킨다.
절입가이드(12),(12)는 상절가이드(11),(11)의 상반에 지지프레임(12b),(12b)을 내용물(B)의 길이치수의 사이즈변경에 대응하여 좌우방향으로 조정이동 자재하게 배설하고, 이들 지지프레임(12b),(12b)에 각각의 내단(12a),(12a)을 서로 접리시키는 좌우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왕복운동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이 내단(12a),(12a)을 서로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일정한 압력을 부여하는 추(12c),(12c)와, 이들 내단(12a),(12a)의 돌출을 불능하게 하면서, 상기한 엘리베이터(6)의 상승에 의해, 내용물(B)의 상면(B3)이 맞닿게 되므로써 결합해재되어, 내단(12a),(12a)의 돌출을 가능하게 하는 스토퍼(12d),(12d)와, 돌출한 내단(12a),(12a)을 돌출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서 스토퍼(12d),(12d)에 결합시키는 복귀장치(12e),(12e)를 연설한다.
한편, 상기한 포장개시위치(P1)가 배치되는 장치의 상면에는, 포장시이트(A) 및 내용물(B)의 외형치수를 입력하는, 예를 들어 키패트(Key pay) 등의 입력장치(23)와, 시이트반출개시스위치(S1) 및 포장개시스위치(S2)를 배설하고, 입력장치(23)는 상기한 제어부를 통하여 시이트반출기구(4) 및 시이트이송기구(5)에 연통하며, 포장시이트(A) 및 내용물(B)의 외형치수가 크기변경될 때마다 가변적으로 다시 입력하여, 제어부의 연산결과에 의거하여 시이트반출기구(4)의 구동부 및 시이트이송기구(5)의 구동부를 작동제어하므로써, 크기변경에 관계없이 동체감기하여서 외측으로 중합시킨 포장시이트(A)의 선단 가장자리(A1')가 내용물(B)의 상면(B3)의 시이트공급방향 중심위치에 배치되어서 동체감기 종료형태가 일정하게 되도록 포장시이트(A)의 반출량을 조정함과 동시에, 입력된 값을 예를 들면 CRT등의 표시부(23a)로 표시하고 있다.
시이트반출개시스위치(S1) 및 포장개시스위치(S2)는,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한 테이프반출기구(2),(2),(2)의 구동부, 첩부기구(3)의 구동부, 시이트반출기구(4)의 구동부, 시이트이송기구(5)의 구동부와 엘리베이터(6)의 구동부, 동체감기 가이드(7),(7)의 구동부, 압축받이판(8),(8)의 구동부, 횡절가이드(9…)의 구동부, 푸셔(10)의 구동부, 상절가이드(11),(11)의 구동부에 연통하고, 이 시이트반출개시스위치(S1)를 수동조작하므로써, 테이프반출기구(2),(2),(2)의 구동부, 첩부기구(3)의 구동부, 시이트반출기구(4)의 구동부, 시이트이송기구(5)의 구동부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서, 포장시이트(A)를 포장개시위치(P1)에 한장 공급한다.
이 상태에서, 포장개시위치(P1)에 내용물(B)을 올려놓고 포장개시스위치(S2)를 수동조작하므로써, 엘리베이터(6)의 구동부, 동체감기 가이드(7),(7)의 구동부, 압축받이판(8),(8)의 구동부, 횡절가이드(9…)의 구동부, 푸셔(10)의 구동부, 상절가이드(11),(11)의 구동부 등을 순차적으로 작동시켜서, 이 내용물(B)의 포장을 개시함과 동시에, 테이프반출기구(2),(2),(2)의 구동부, 첩부기구(3)의 구동부, 시이트반출기구(4)의 구동부, 시이트이송기구(5)의 구동부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서, 다음 포장시이트(A)를 포장개시위치(P1)에 한장 공급한다.
또, 상기한 포강개시위치(P1) 보다도 하류측에 배치되는 포장종료위치(P2)에는, 상기한 절입가이드(12),(12)의 근처에 상기한 엘리베이터에 의해 상승된 내용물(B)의 저면(B4)을 따라서 탄성적으로 돌출하는 지지장치를 배설하고, 이 지지장치는 상기한 절입가이드(12),(12)의 지지프레임(12b),(12b)으로부터 예를 들면 스프링 등의 탄성체(13a…)를 통하여 저면(B4)의 좌우끝부로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량이 작은 래치(13…)와, 엘리베이터(6)의 재치면(6a)의 하류끝에 절결 형성한 오목부(6c)로 출입하여 저면(B4)의 대략 중앙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량이 큰 래치(14)로 이루어지며, 이들 래치(13…),(14)의 상단면을 절입가이드(12),(12)의 상면과 대략 같은 높이위치에 배치하여, 그 돌출상태에서 내용물(B)의 저면(B4)을 지지한다.
이 돌출량이 큰 래치(14)는, 재치면(6a)의 하한위치보다 낮게 배치한 베이스대(14a) 위에 기립편(14b)을 시이트공급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왕복운동하게 배설하고, 이 기립편(14b)과 프레임의 측면(F3) 사이에는, 예를 들어 스프링 등의 탄성체(14c)를 설치하여 기립편(14b)을 항상 상류측으로 누른다.
다음에, 이와 같은 포장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시이트공급개시스위치(S1)를 수동조작하면, 테이프반출기구(2),(2),(2)가 작동을 개시하여 점착테이프(C1),(C2),(C2)를 각각의 요동지지면(2d),(2d),(2d)까지 풀어내면서 지지하고, 이것에 계속하여 첩부기구(3)의 리프팅레버(3a) 및 누름시이트(1d)가 제4도(a)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굴곡한 포장시이트(A…)의 선단부(A1…)를 끼워넣고 다시 굴곡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포장시이트(A…)의 전체를 접촉가이드(1f)를 따라서 절곡함과 동시에, 그 적층방향 하류끝에 위치하는 포장시이트,(A…)의 선단가장자리(A1')를 요동지지면(2d),(2d),(2d)에 압접되고, 그 선단가장자리(A1')의 중앙과 좌우양끝에 배치한 봉합대응위치에, 각각 점착테이프(C1),(C2),(C2)가 일부 돌출하여 부분적으로 첩부된다.
이때, 검출기(1h)에서 선단가장자리(A1' )를 위치검출하여, 그 선단가장자리(A1' )가 설정위치까지 도달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스토퍼(18)가 이동하여 적층된 포장시이트(A…)를 누름시이트(1d)를 따라 압출하고, 이것에 의해 다음에 굴곡되는 하류끝의 포장시이트(A)의 선단가장자리(A1')가 설정위치에 도달하고, 이와 동시에 쐐기레버(3b)가 탄성재(3d),(3d)에 의하여 포장시이트(A…)의 선단부(A1…)가 부분적으로 끼워져서 반출로울러(4a)의 하부에 압접되고, 이것에 의해 선단부(A1…)의 일부는 반출로울러(4a)의 외주면을 따라서 만곡된다.
또, 중앙의 봉합대응위치와 대향하는 테이프반출기구(2)의 커터(2c)만이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하여 점착테이프(1)를 절단하고, 이것에 의해 약간 늦게 요동지지면(2d)이 포장시이트(A)의 반출통로(A')로 향하여 돌출하여서 점착테이프(C1)를 좌우방향 전체면에 걸쳐서 첩부한다.
그 후, 리프팅레버(3a)가 천천히 역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하여 제4도(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리프팅레버(3a)만이 요동지지면(2d),(2d),(2d)으로부터 천전히 이탈하지만, 쐐기레버(3b)는 탄성재(3d),(3d)에 의하여 포장시이트(A…)의 선단부(A1…)를 부분적으로 끼워서 반출로울러(4a)의 하부에 계속 압접되기 때문에 이것에 의하여 상방의 선단가장자리(A1')에는 반골국방향으로 복귀고자 하는 복원력이 작용하여, 점착테이프(C1),(C2),(C2)에 첩부된 하류끝의 포장시이트(A)의 선단가장자리(A1' )로부터 다른 적층된 선단가장자리(A1…')가 강제적으로 분리되고, 이들 사이에 공기가 유입되어 밀착을 해제한다.
이 분리는,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포장시이트의 적층량이 적을 경우에 유효하고 확실하게 최후의 한장까지 한장씩 분리되며, 그 후에는, 쐐기레버(3b)도 제4도(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반출로울러(4a)의 하부로부터 분리되어서 리프팅레버(3a)와 함께 반굴곡방향으로 복귀하고, 이 복귀도중에 요동편(3C),(3C)이 고정스토퍼(3e),(3e)에 접촉되어, 쐐기레버(3b)가반출로울러(4a)의 하부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것에 계속하여, 반굴곡방향으로 복귀한 포장시이트(A…)의 선단부(A1…) 전체와 하류끝의 포장시이트(A)의 선단부(A1)와의 사이에 제4도(d)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누름로울러(4b)가 들어가서 반출로울러(4a)와 압접된 후에 좌우양끝의 봉합대응위치와 대향하는 테이프반출기구(2),(2)의 커터(2c),(2c)가 돌출하여 점착테이프(C1),(C2)를 절단하고, 그 직후에 각각의 요동지지면(2d),(2d)이 반출통로(A')로 향하여 돌출함과 동시에, 반출로울러(4a)가 회전하여 점착테이프(C1),(C2),(C2)가 첩부된 하류끝의 포장시이트(A)를 반출통로(A')를 따라서 시이트이송기구(5)로 향하여 풀어낸다.
이것보다 약간 뒤에, 풀어내어진 포장시이트(A)의 선단가장자리(A1')가 시이트이송기구(5)의 이송로울러(5a)와 누름로울러(5b) 사이에 진입하고, 이 이송로울러(5a)의 회전에 따라 포장시이트(A)가 포장개시위치(P1)로 향하여 수평으로 이송되며, 미끄럼면(5d)은 이송로울러(5a)와 미끄러져서 풀어내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이 압출이송된 포장시이트(A)의 선단가장자리(A1')가 이송로울러(5a)의 근처 또는 기준가이드(21)의 바로 아래위치에 대기하는 상류측의 동체감기 가이드(7)위에 도달하면, 이 상류측의 동체감기 가이드(7)가 포장시이트(A)의 이송속도와 같은 속도로 시이트공급방향 이동개시하고, 이것에 따라서 상류측의 동체감기 가이드(7)에 고정부착된 미끄럼면(5d)도 공급방향으로 인장되며, 이것에 의하여 미끄럼면(5d)이 권취레버(5e)로부터 되감겨서, 포장시이트(A)의 이송속도와 같은 속도로 반출통로(A')의 하류측 하면을 따라 시이트공급방향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포장시이트(A)는 미끄럼면(5d) 위에 지지되어서 하방으로 풀어지지 않고 압출 이송되고, 그후 상류측의 동체감기 가이드(7)가 하류측의 동체감기 가이드(7) 근처까지 이동하여서 정지하면, 그 선단가장자리(A1')가 미끄럼면(5d)으로부터 하류측의 동체감기 가이드(7) 위로 이동하고, 다시 이 하류측의 동체감기 가이드(7)로부터 하류측의 지지장치(5c) 위로 이동하여 걸어건짐과 동시에, 이 하류측의 지지장치(5c)를 따라서 선단부(A1)가 제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안내되어서, 이송로울러(5a)에 의한 이송이 종료된다.
포장시이트(A)의 이송이 종료되면, 엘리베이터(6)의 상한위치로의 상승에 따라 기준가이드(21),(21)의 바로 아래 위치까지 이동한 동체감기 가이드(7),(7)가 제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약간 위쪽으로 이동한 다음, 시이트누름(7d…)이 아래로 이동해서 동체감기 가이드(7),(7)의 상면(7a),(7a)과의 사이에 공급된 포장시이트(A)를 끼우므로 포장시이트(A)의 위치이탈이 방지되고, 이 상태에서, 이 포장시이트(A) 위에 내용물(B)을 위치결정하여 올려놓으면, 내용물(b)의 무게에 의해 포장시이트(A)가 굴곡하여, 내용물(B)의 하면(B4)을 엘리베이터(6)의 재치면(6a)에 맞닿게 한다.
그 후에 포장개시스위치(S2)를 수동조작하면, 시이트누름(7d…)이 위로 이동하여 포장시이트(A)의 끼움을 해제하여 다음 엘리베이터(6)가 하강하기 시작하고, 이것에 의해 포장시이트(A)가 제5도(a)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내용물(B)의 저면(B4) 및 양측면(B1),(B1)을 따라서 대략 U자형상으로 접어올려지고, 엘리베이터(6)의 하강이 정지되면, 시이트누름(7d…)이 아래로 이동하여 동체감기 가이드(6),(6)의 상면(6a),(6a)과의 사이에 포장시이트(A)를 끼우고, 이것과 대략 동시에 압축받이판(8,8)이 내용물(B)의 상방으로 돌출한다.
이것에 계속하여, 동체감기 가이드(7),(7)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소정량만큼씩 돌출시킨 후, 엘리베이터(6)가 제5도(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약간 상승하여서 내용물(B)의 상면(B3)을 압축받이판(8),(8)과 결합함과 동시에, 이들 재치면(6a)과 압축받이판(8),(8)과의 사이에 내용물(B)을 이동불능하게 끼워서 상하방향으로 압축하고, 이것에 의하여 내용물(B)의 양측면(B1,B1)과 대향하는 포장시이트(A)부분이 각각 상하방향으로 느슨해지지만, 이 직후에 상류측의 동체감기 가이드(7)가 제5도(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함과 동시에, 이것에 이어서 하류측의 동체감기 가이드(7)가 제5도(d)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한다.
이것에 의하여, 포장시이트(A)의 선단부(A1) 및 말단부(A2)가 각각 동체감기 가이드(7),(7)의 상면(7a),(7a), 내단(7b),(7b) 및 탄성체(7c),(7c)를 따라서 U자형으로 감겨붙어서 밀착하고, 이들의 마찰저항에 의하여 포장시이트(A)의 느슨해진 부분을 상하로 인장하여 동체를 조이고, 동체감기 가이드(7),(7)의 돌출에 따라서 포장시이트(A)의 느슨해짐이 없어진 후에는, 포장시이트(A)에 걸리는 장력이 포장시이트(A)와 동체감기 가이드(7),(7)의 마찰저항보다 크게 되어서, 동체감기 가이드(7),(7)의 상면(7a),(7a)과 시이트누름(7d…)의 사이로부터 포장시이트(A)가 각각 인출되고, 먼저 포장시이트(A)의 말단부(A2)와 제5도(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내용물(B)의 상면(B3)을 따라서 절입된다.
그 다음부터 포장시이트(A)의 선단부(A1)도 제5도(d)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인출되고, 이때 미리 첩착(貼着)된 점착테이프(C1)의 통과위치와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한 하류측의 시이트누름(7d…)의 저면에 점착테이프(C1)의 접착면이 첩부되어서 선단가장자리(A1')의 인출이 정지되며, 이것에 의하여 포장시이트(A)를 다시 동체조이기한 다음 내용물(B)의 상면(B3)을 따라서 절입됨과 동시에, 이들 교축되면서 절입된 말단가장자리(A2') 및 선단가장자리(A1')가 탄성체(7c),(7c)에 의하여 내용물(B)의 상면(B3)에 밀어붙혀져서 각각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것에 계속하여, 시이트누름(7d…)이 제5도(e)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위로 이동하고, 하류측의 동체감기 가이드(7)가 제5도(f)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압축받이판(8),(8)의 중앙상방위치까지 돌출하여, 포장시이트(A)의 선단가장자리(A1')를 말단가장자리(A2')의 외측으로 중합함과 동시에, 이 중합된 말단가장자리(A2') 및 선단가장자리(A1')를 하류측의 동체감기 가이드(7)의 하면의 탄성체(7c)와 내용물(B)의 상면(B3)에 끼우고, 이 선단가장자리(A1')에 첩착된 점착테이프(C1),(C2),(C2)의 돌출된 부분이 말단가장자리(A2')에 눌려지며, 이들 양자에 걸쳐서 점착테이프(C1),(C2),(C2)가 첩부되어서 봉합한다.
그 후, 엘리베이터(6)가 제5도(g)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약간 하강하여 내용물(B)의 압축을 느슨하게 한 다음, 압축받이판(8),(8)이 인발(引拔)되어서 동체감기 공정이 종료된 후에는, 푸셔(10)의 전진에 의하여 내용물(B)이 이송되고, 제6도에 표시되듯이 그 폐쇄된 하류측의 측면(B1)을 횡절가이드(9),(9)의 접촉부(9a),(9a)에 맞닿게 하고, 이 시점에서 일시 정지한 푸셔(10)와 임시 유지부(9d),(9d)에 의하여 임시 유지된 하류측의 접촉부(9a),(9a)의 사이에 내용물(B)이 이동불능하게 끼워져서 위치결정된다.
이 상태에서 상류측의 횡절가이드(9),(9)의 전진에 의하여 각각의 접촉부(9a),(9a)가 내용물(B)의 동체감기 폐쇄된 상류측의 측면(B1)에 접촉되어서, 각각의 내면중간부가 상류측의 측면(B1)과 개구하는 측면(B2,B2)의 각(角)부와 접촉하면서 1/4이 회전함에 따라서, 절입부(9b),(9b)가 장출단부(A3),(A3)의 하부플랩(A5),(A5)을 향하여 하강하고, 이것에 의하여 측면플랩(A4),(A4) 전체를 하방으로 인장하며, 이들 측면플랩(A4),(A4)의 기단상부가 각부에 압접하면서 내용물(B)의 개구하는 측면(B2),(B2)을 따라서 팽팽하게 절입된다.
그 후, 푸셔(10)에 의하여 다시 내용물(B)을 이송하여 제7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하류측의 횡절가이드(9),(9)의 내면중간부가 하류측의 측면(B1)과 개구하는 측면(B2,B2)의 각부와 접촉하면서 1/4회점함에 따라서, 절입부(9b),(9b)가 하부플랩(A5),(A5)을 향하여 하강하고, 이것에 의하여 하류측의 측면플랩(A4),(A4) 전체를 인장하여, 이들 측면플랩(A4),(A4)의 기단상부가 각부에 압접하면서 팽팽하게 절입된다.
그리고, 이들 맞잡음 회전한 횡절가이드(9…)의 내면 사이를 내용물(B)이 통과하여서 재치면(6a)의 하류측으로 안내되며, 하부플랩(A5,A5)의 기단이 엘리베이터(6)의 재치면(6a)보다 약간 높은 상절가이드(11),(11)의 상향경사변(11a),(11a)에 접촉하여 접어올려지고, 이것에 의하여 절입한 측면플랩(A4…)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에 계속하여, 푸셔(10)에 의하여 이송된 내용물(B)의 폐쇄된 하류측의 측면(B1)이, 제7도의 2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류끝에서 대기하는 돌출량이 큰 래치(14)의 기립편(14b)에 접촉하며, 그 후의 이송으로 기립편(14b)이 폐쇄된 하류측의 측면(B1)에 압접된 채로 하류측으로 압송되어서, 내용물(B)이 소정위치에까지 도달한 다음에 푸셔(10)의 전진이 종료된다.
이것과 대략 동시에, 상류측의 횡절가이드(9),(9)가 후퇴하는 도중에 제8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복귀돌기(9C),(9C)와 맞닿음 결합하고, 이것에 의해 상류측의 횡절가이드(9),(9)가 강제적으로 반전회전되어서 초기상태로 복귀하며, 이것에 계속하여 상절가이드(11),(11)가 상승하여서 하부플랩(A5,A5)을 측면플랩(A4…)의 외측으로 접어올림과 동시에, 상향경사변(11a),(11a)이 하류측의 횡절가이드(9),(9)의 경사캠면(9e),(9e)과 맞닿음 결합하며, 이것에 의하여 하류측의 횡절가이드(9),(9)가 강제적으로 반전 회전되어서 초기상태로 복귀된다.
그 후, 엘리베이터(6)의 재치면(6a)이 상승하여, 내용물(B)을 전진 정지한 압송면(10a) 및 돌출량이 큰 래치(14)의 기립편(14b)과 상승한 상절가이드(11,11)를 따라서 밀어올려서 상승하는 내용물(B)의 상면(B3)이, 절입가이드(12),(12)의 스토퍼(12d),(12d)에 접촉하면, 그 결과 절입가이드(12),(12)의 내단(12a),(12a)을 추(12c),(12c)에 의하여 일정압력으로 내용물(B)이 개구하는 측면(B2),(B2)으로 밀어붙인다.
이것에 의하여 상부플랩(A6),(A6)이 하방으로 접촉하여 붙이면서, 서서히 접어내려서 하부플랩(A5),(A5)의 외측에 중합하고, 제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플랩(A6),(A6)의 돌출길이가 내용물(B)의 높이치수보다 짧을 경우에는, 절입가이드(12),(12)의 내단(12a),(12a)에 의하여 하방으로 인장된 채로 상부플랩(A6),(A6)의 선단에 접착된 점착테이프(C2),(C2)가 하부플랩(A5),(A5)에 첩부되어 봉합하여서 귀접기공정이 종료된다.
또, 상부플랩(A6),(A6)의 돌출길이가 내용물(B)의 높이치수보다 길어서 접어내리기 종료후에, 상부플랩(A6),(A6)의 선단이 내용물(B)의 저면(B4)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할 경우에는, 상승중의 내용물(B)이 절입가이드(12),(12)의 내단(12a),(12a) 사이를 통과 종료한 시점에서 절입가이드(12),(12)의 내단(12a),(12a)이 추(12c),(12c)에 의해 내용물(B)의 저면(B4)을 따라서 돌출하고, 이것에 의하여 돌출량이 작은 래치(13…)가 저면(B4)의 좌우끝부를 따라서 돌출하며, 다시 돌출량이 큰 래치(14)의 기립편(14b)도 저면(B4)을 따라서 중앙부 근처까지 돌출한다.
이들 래치(13…),(14)에 의하여 내용물(B)이 지지된 후에, 엘리베이터(6)의 재치면(6a)이 하강하면 절입가이드(12),(12)의 내단(12a),(12a)의 추(12c),(12c)에 의해 다시 돌출하여서 상부플랩(A6),(A6)의 선단을 내용물(B)의 저면(B4)을 따라서 절입함과 동시에, 이들의 선단에 접착된 점착테이프(C2),(C2)로 첩부되어서 봉합한다.
이 귀접기가 종료된 내용물(B)은, 다음 내용물(B)의 포장이 개시되어서 엘리베이터(6)가 하강을 개시하여 절입가이드(12),(12)가 서로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도, 래치(13…),(14)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하강하지 않고, 포장종료후의 내용물(B)을 제거하지 않고 다음 내용물(B)을 포장했을 경우에는, 이들 내용물(B)이 래치(13…) 위에 적재된다.
또 포장시이트(A… )가 크기변경이 되었을 경우에는, 그 치수입력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한 제어부가 측면가이드(1b),(1b)이기나, 또는 스토퍼(1i)를 자동적으로 조정이동하여서, 측면가이드(1b,1b)의 이동에 따라서 좌우양끝의 봉합대응위치와 대향하는 테이프반출기구(2),(2)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시이트반출기구(4) 및 시이트이송기구(5)에 의한 포장시이트(A)의 반출량을 자동적으로 변경시킨다.
내용물(B)의 외형치수가 크기변경 되어서 그 높이치수가 변경되었을 때에는, 제어부가 시이트반출기구(4) 및 시이트이송기구(5)에 의한 포장시이트(A)의 반출량을 자동적으로 변경시켜서, 엘리베이터(6)의 하강량과 상절가이드(11),(11)의 높이위치를 자동적으로 변경시키고, 내용물(B)의 폭치수가 변경되었을 때에는, 시이트반출기구(4) 및 시이트이송기구(5)에 의한 포장시이트(A)의 반출량을 자동적으로 변경시키고, 기준가이드(21),(21), 동체감기 가이드(7),(7)를 각각 시이트공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이들의 간격을 자동적으로 변경시키고, 내용물(B)의 길이치수가 변경되었을 때에는, 상절가이드(11),(11), 절입가이드(12),(12)를 각각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이들의 간격을 자동적으로 변경시킨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엘리베이터(6)의 하강에 의해 포장시이트(A)를 내용물(B)의 양측면(B1),(B1)을 따라서 대략 U자형상으로 접어올려서 동체감기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엘리베이터(6)의 상승에 따라서 내용물의 상면을 그 상방에 공급된 포장시이트에 접촉하므로써, 포장시이트(A)를 내용물(B)이 양측면(B1),(B1)을 따라서 역U자형상으로 접어내려서 동체감기하여도 된다.
또 하부플랩(A5),(A5)을 접어올린 다음에 상부플랩(A6),(A6)을 접어내려서 하부플랩(A5),(A5)의 외측에 중합했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하류측의 횡절가이드(9),(9)와 상절가이드(11),(11) 사이에 배설한 접어내리기 가이드에 의해 상부플랩(A6),(A6)을 접어내린 다음에, 하부플랩(A5),(A5)을 상절가이드(11),(11)에 의해 접어올려서 중합하고, 이들 하부플랩(A5),(A5)의 선단가장자리를 미리 첩착한 점착테이프로 봉합하거나, 또 접어올린 하부플랩(A5),(A5)의 선단가장자리를 절입가이드(12),(12)의 돌출운동에 의하여, 내용물(B)의 상면(B3)에 절입하고, 미리 첩착한 점착테이프로 봉합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이므로 이하의 이점을 갖게 된다.
1. 테이프반출기구로부터 풀어내어진 점착테이프에 첩부기구에 의해 포장시이트의 봉합대응위치를 접리시키므로써, 이 봉합대응위치에 점착테이프가 일부 돌출하여서 첩부되고, 그 후 이 점착테이프가 첩부된 포장시이트를 시이트반출기구에 의해 포장개시위치로 풀어내어지므로써, 포장과정에서 포장시이트의 절입이 종료됨과 동시에, 점착테이프의 돌출된 부분이 첩부되는 것이므로, 포장시이트를 피포하면서 동시에 봉합할 수 있다.
따라서 동체감기가 종료된 후와 귀접기가 종료된 후에, 각각 점착테이프를 반출하여 포장시이트의 봉합대응위치에 첩부하는 종래의 포장장치에 비하여, 내용물의 포장공정중에 점착테이프 첩부용 공간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됨과 동시에, 동체감기된 포장시이트가 중합되는 양끝부와 대향하는 위치와 귀접기된 양 장출단부의 하부플랩선단과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테이프반출기구와 첩부기구를 배설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2. 첩부기구가 적층상태인 채로 포장시이트의 선단부를 굴곡방향으로 이동시켜 테이프반출기구로부터 풀어내어 지지된 점착테이프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그 적층방향 하류끝에 위치하는 포장시이트의 선단부만이 유지되고, 그 후 이것과는 반대로 포장시이트의 선단부를 반굴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테이프반출기구로부터 이탈시키므로써, 포장시이트가 반굴곡방향으로 복귀하고자 하는 복원력을 이용하여 점착테이프에 유지된 하류끝의 포장시이트의 선단부로부터, 다른 적층된 포장시이트의 선단부 전체가 강제적으로 이탈되게 되므로, 흡착력이나 마찰력을 이용하지 않고도 하류끝의 포장시이트를 확실하게 한장씩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퇴적한 포장시이트의 전체로부터 그 적층방향 하류끝에 위치하는 포장시이트만을 확실하게 한장씩 분리하려면, 흡착력이나 마찰력을 이용하는 분리수단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있는 종래의 포장장치에 비하여, 분리수단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조가 간소화되어서 장치 전제를 소형화할 수 있다.
3.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와 프레임의 저면 및 측면 사이에 포장시이트를 적층상태인 채로 굴곡하므로써, 승강로의 하방 및 측방이 연속적인 시이트배치공간으로 됨과 동시에, 적층된 포장시이트의 선단부가 각각 상호간에 위치 엇갈림하여 예각형상으로 되며, 이 위치 엇갈림에 따라서 포장시이트 상호의 밀착이 방지되기 때문에, 흡착력이나 마찰력을 이용하지 않고도 하류끝의 포장시이트만을 한장씩 분리하기 쉽게 하면서, 사공간의 이용에 의하여 최대의 시이트배치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포장시이트가 직선상태인 채로 비스듬히 적층된 급지대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가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종래의 포장장치에 비하여, 긴 포장시이트를 장치 전체가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대형화할 필요없이 소형으로 수납할 수 있다.
4. 굴곡한 포장시이트의 선단가장지르 근처를 검출기에 의해 검출하고, 그 위치가 설저위치에까지 도달하고 있지 않을 때에 스토퍼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포장시이트의 말단가장자리가 압출되어서 선단가장자리가 설정위치에 도달하는 것으로, 포장시이트를 상하동하지 않고 하류끝의 포장시이트를 그 적층량에 관계없이 일정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적층된 포장시이트를 상하이동시켜 그 퇴적량에 관계없이 하류끝에 위치하는 포장시이트를 소정높이로 유지하는 것에 비하여, 장치전체가 대형화되는 일없이 소형화 됨과 동시에, 구조가 간소하여 포장시이트의 보급이 용이하게 되므로 생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5. 시이트공급방향 상류측의 시이트지지장치로부터 포장시이트의 선단이 시이트공급방향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미끄럼면을 시이트공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인출하므로써, 포장시이트가 미끄럼면 위에 지지된 채로 하방으로 느슨해지지 않고 하류측의 시이트지지장치에 걸어서 건네지므로, 포장시이트를 시이트공급방향으로 지지하지 않고 공급할 수 있으므로, 이송벨트 등의 이송기구를 시이트공급방향으로 횡설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만큼 구조가 간소화되어서 생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Claims (9)

  1. 포장시이트(A)를 엘리베이터(6)의 상방에 공급하고, 이 포장개시위치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승강에 의하여 포장시이트 및 그 엘리베이터의 재치면(6a)에 재치된 내용물(B)을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면서 내용물의 외면을 따라 포장시이트를 피포하여 점착테이프(C1),(C2)로 봉합하는 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점착테이프를 공급전의 포장시이트를 향하여 풀어내어서 지지하는 테이프반출기구(2),(2)와, 이 풀어내어진 점착테이프에 접리하여 포장시이트의 봉합대응위치에 점착테이프가 일부 돌출하도록 첩부하는 첩부기구(3)와, 점착테이프가 첩부된 포장시이트를 포장개시위치(P1)로 향하여 반출통로(A')를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상방으로 공급하는 시이트반출기구(4)를 포함하고, 상기한 봉합대응위치는, 동체감기에 의해 외측으로 중합되는 포장시이트의 동체감기방향 일단가장자리이고, 상기한 엘리베이터의 승강로(6b)보다 하방에 퇴적한 포장시이트를 프레임(F)의 저면(F1)을 따라서 대략 수평으로 수납배치하고, 이들 포장시이트의 선단부(A1)를 퇴적상태인 채로 프레임의 측면을 따라서 상방으로 굴곡함과 동시에, 이 굴곡한 퇴적방향 하류끝에 위치하는 포장시이트의 선단부와 대향하여 테이프반출기구(2)를 배설하고, 퇴적상태인 채로 굴곡한 포장시이트의 선단부를 굴곡방향 및 반굴곡방향으로 이동시켜, 첩부기구(3)를 자유자재로 왕복운동하게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포장시이트(A)나 내용물(B)의 크기변경에 관계없이 동체감기하여 외측에 중합되는 포장시이트의 선단가장자리(A1')를 시이트공급방향 중심위치에 배치하도록 시이트반출기구(4)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동체감기된 내용물(B)의 개구하는 측면으로부터 4각통형상으로 돌출하는 포장시이트(A)의 각 장출단부(A3)를 개구하는 측면을 따라서 귀접기하는 포장장치로서, 첩부기구(3)에 의하여 점착테이프(C1),(C2)를 일부 돌출시켜 첩부하는 봉합대응위치가 동체감기방향과 직교하여서 귀접기에 의해 가장외측으로 중합되는 플랩의 선단가장자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포장시이트(A)의 말단가장자리(A2')와 맞닿는 스토퍼(1g)를 굴곡한 포장시이트의 선단부(A1)를 향하여 자유자재로 왕복운동하게 배설하고, 첩부기구(3)에 의하여 굴곡한 포장시이트의 선단가장자리(A1') 근처에 검출기(1h)를 배설함과 동시에, 이 검출기로부터의 출력에 의거하여 스토퍼를 조정이동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첩부기구(3)가 포장시이트(A)의 굴곡방향으로부터 반굴곡방향으로 이동을 변경할 때에 적층상태인 채로 굴곡한 포장시이트의 선단부(A1)를 부분적으로 반굴곡방향으로 굴곡하는 부분굽힘장치(3b),(4a)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포장시이트(A)의 반출통로(A')의 하류끝을 엘리베이터(6)의 승강로(6b)와 교차하여 배치하고, 이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끼워서 시이트공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시이트지지장치(5a),(5c)를 횡설함과 동시에, 이들 양 시이트지지장치에 걸쳐서 미끄럼면(5d)을 반출통로(A')의 하면을 따라서 시이트공급방향으로 출입자재하게 배설하고, 이 미끄럼면을 포장시이트의 공급과 연동하여 시이트공급방향으로 이동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7. 퇴적한 포장시이트(A)로부터 시이트반출기구(4)에 의해 한장씩 분리하여 엘리베이터(6)의 상방으로 공급하고, 이 포장개시위치(P1)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승강에 의하여 포장시이트 및 엘리베이터의 재치면(6a)에 재치된 내용물(B)을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면서 내용물의 외면에 따라서 포장시이트를 피포하는 피포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엘리베이터의 승강로(6b)보다 하방에 퇴적한 포장시이트를 프레임(F)의 저면(F1)을 따라서 대략 수평으로 수납배치하고, 이들 포장시이트의 선단부(A1)를 적층상태인 채로 프레임(F)의 측면(F2)을 따라서 상방으로 굴곡함과 동시에, 이 포장시이트의 선단부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상방으로 향하여 포장시이트의 반출통로(A')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포장시이트(A)의 말단가장자리(A2')와 접촉되는 스토퍼(1g)를 프레임(F)의 저면(F1)을 따라서 굴곡한 포장시이트의 선단부(A1)로 향하여 왕복운동 자재하게 배설하고, 굴곡한 포장시이트의 선단가장자리(A1') 근처에 검출기(1h)를 배설함과 동시에, 이 검출기로부터의 출력에 의거하여 스노퍼를 조정이동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포장시이트(A)의 반출통로(A')의 하류끝을 엘리베이터(6)의 승강로(6b)와 교차하여 배치하고, 이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끼워서 시이트공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시이트지지창지(5a),(5c)를 횡설함과 동시에, 이들 양 시이트지지장치에 걸쳐 미끄럼면(5d)을 반출통로(A')의 하면을 따라서 시이트공급방향으로 출입자재하게 배설하고, 이 미끄럼면을 포장시이트의 공급과 연동하여 시이트공급방향으로 이동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KR1019930019918A 1993-09-27 1993-09-27 포장장치 KR970010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9918A KR970010790B1 (ko) 1993-09-27 1993-09-27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9918A KR970010790B1 (ko) 1993-09-27 1993-09-27 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302A KR950008302A (ko) 1995-04-17
KR970010790B1 true KR970010790B1 (ko) 1997-07-01

Family

ID=19364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9918A KR970010790B1 (ko) 1993-09-27 1993-09-27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1079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302A (ko) 1995-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1512B1 (en) Method of packaging a strip of material
EP0628483A1 (en) Box with tape handle
US6293075B1 (en) Packaging a strip of material
KR970010790B1 (ko) 포장장치
JP2546612B2 (ja) 包装装置
JP3403435B2 (ja) 包装装置及び該装置に用いる包装シート
KR20170136334A (ko) 파우치 제조장치
CA1080017A (en) Cartoning apparatus
US5437142A (en) Method for packaging contents and packaging device
JP3403434B2 (ja) 包装機の胴巻き装置
JP3483038B2 (ja) 包装機の胴巻き装置
EP0646527B1 (en) Adhesive tape supplying device in a packaging machine
KR970010791B1 (ko) 포장장치
JP3353154B2 (ja) 包装機のシート送り装置
JPH0769314A (ja) タオル包装機
JP2557182B2 (ja) 包装装置
JPH07291209A (ja) 包装装置
JPH07205913A (ja) 包装装置
JP2593278B2 (ja) 包装機のシート供給装置
JP2597807B2 (ja) 物品支持装置
JP3647161B2 (ja) スタッカ装置
JP3147700B2 (ja) 包装装置
CN116552872A (zh) 一种在输送过程中进行纸箱折页的多功能装置
JP3281934B2 (ja) 包装装置
JPH0710115A (ja) 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