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420B1 - 감열전사체 - Google Patents

감열전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420B1
KR970007420B1 KR1019890009594A KR890009594A KR970007420B1 KR 970007420 B1 KR970007420 B1 KR 970007420B1 KR 1019890009594 A KR1019890009594 A KR 1019890009594A KR 890009594 A KR890009594 A KR 890009594A KR 970007420 B1 KR970007420 B1 KR 970007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thermal transfer
transfer body
containing polyurethane
aromatic 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9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1520A (ko
Inventor
히사노부 미까모
노보루 오다니
아끼오 시미즈
Original Assignee
히다찌마꾸세루 가부시끼가이샤
와따나베 히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마꾸세루 가부시끼가이샤, 와따나베 히로시 filed Critical 히다찌마꾸세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1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92Additives, other than colour forming substances, dyes or pigments, e.g. sensitisers, transfer promoting agents
    • B41M5/395Macromolecular additives, e.g. bin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3Material designed to be responsive to temperature, light, mois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4Transfer or decalcoman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5Ester, halide or nitrile of addition polym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감열전사체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감열전사체를 도시한 단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감열전사체를 도시한 단면도.
제 3 도(a)는 전사성의 평가예중 양호한 예를 도시한 도면.
제 3 도(b),(c)는 전사성의 평가예중 불량한 예를 도시한 도면.
제 4 도는 내블록킹성 시험에서 시료를 유리관에 감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본 발명은 감열전사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 잉크의 바인더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감열전사체는 일반적으로 기판상에 가열에 의해 용융 또는 인화에서 피전사체상에 전사하는 열용융성 또는 열인화성의 잉크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만들어지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화 55-3919호). 상기 가열방법으로서는 열헤드에 의한 가열방법과 기판에 통전해서 그 때의 줄열에 의해 발열시켜서 가열하는 통전식 가열방법이 있고, 기판은 각각의 가열방법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어느 가열방법을 취하는 경우라도 종래의 감열전사체에서는 전사한 인자가 기계적 마찰에 의해 마모하거나 마찰열에 의해 재용융, 재인화하거나, 또는 환경온도 상승시의 마찰등에 의해 손상을 입어 그 표시기능을 상실하는 등 인자의 보존성에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감열전사체가 기계적 마찰이나 환경온도의 상승에 의해 인자가 손상을 입어 그 표시기능을 상실한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존성이 양호한 인자를 얻을 수 있는 감열전사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감열전사체는 일반적으로 기판상에 가열에 의해 용융 또는 연화해서 피전사체상에 전사하는 열용융성 또는 열연화성의 잉크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만들어지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화 55-3919호). 상기 가열방법으로서는 열헤드에 의한 가열방법과 기판에 통전해서 그 때의 줄열에 의해 발열시켜서 가열하는 통전식 가열방법이 있고, 기체는 각각의 가열방법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어느 가열방법을 취하는 경우라도 종래의 감열전사체에서는 전사한 인자가 기계적 마찰에 의해 마모하거나 마찰열에 의해 재용융, 재연화하거나, 또는 환경온도 상승시의 마찰등에 의해 손상을 입어 그 표시기능을 상실하는 등 인자의 보존성에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감열전사체가 기계적 마찰이나 환경온도의 상승에 의해 인자가 손상을 입어 그 표시기능을 상실한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존성이 양호한 인자를 얻을 수 있는 감열전사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감열전사체의 잉크의 바인더 성분으로 방향족계 함유 폴리우레탄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인자의 보존성을 높인 것이다.
즉,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은 폴리우레탄 특유의 높은 점착성을 갖고, 결착력이 강하다. 또,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은 그 구조중에 방향족계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에 의해 통상적인 폴리우레탄에 비해서 글라스 전이점이 높으므로, 내마찰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도포막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을 잉크의 바인더로서 사용하는 경우 그 단독으로는 글라스 전이점이 너무 높고, 또한 결착력이 지나치게 강해서 피전사체에 전사할 수 없어 인자가 얻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을 열가소성 수지나 왁스등의 열가소성 물질과의 혼합물로 해서 잉크의 바인더로서 사용하는 것에 의해 잉크의 전사를 가능하게 하고,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의 특성을 살려서 인자의 보존성을 높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은 방향족계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폴리올 성분으로서 사용한 우레탄 수지로서, 예를 들면 5-설포이소프탈산나트륨,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등의 산성분과 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6-헥산디올, 2-부텐-1.4-디올, 3-클로로-1.2-프로판디올 시크로헥산 디메타놀, 3-시클로헥센-1.1-디메타놀, 데칼린디올 등의 알콜성분 중에서 각각 적어도 1종류를 포함한 방향족계 폴리에스테르폴리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면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등의 방향족계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4-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계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킨 것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은 글라스 전이온도를 조정하기 위해 그 폴리올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폴리헥사메틸렌아디페이트,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등의 폴리 에스테르폴리올 또는 폴리카프롤락톤 아니면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폴리에테르폴리올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동양방적사제품의 바이론 UR-8200(상품명, 이소프탈산 및 테레프탈산과 네오펜틸글리콜로 되는 폴리올성분과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킨 우레탄 수지), 바이론 UR-8300(상품명 폴리카프롤락톤 및 이소프탈산과 네오펜틸글리콜로 되는 폴리올성분과 디페닐메탄 디이소시네이트를 반응시킨 우레탄수지)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에 있어서, 그 우레탄량은 0.5~3mol/g의 범위, 방향족량은 0.05~6mol/g의 범위의 것이 바람직하다. 즉, 우레탄량이 5mol/g보다 적은 경우는 충분한 결착력이 얻어지기 힘들고, 우레탄량이 3mol/g보다 많은 경우는 과점착상태로 되어 블록킹 등의 원인으로 되는 염려가 있다.
또, 방향족량이 0.05mol/g 보다 적은 경우는 전사후의 인자에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지 않고, 방향족량이 6mol/g보다 많은 경우는 글라스 전이점이 높고 융점이 높게 되어서 가열에 의한 전사가 행해지기 힘들게 된다. 또한, 상기 예시한 바이론 UR-8200이나 바이론 UR-8300 등은 우레탄량, 방향족량 모두 상기 바람직한 범위내에 들어가 있다.
한편, 열가소성 수지나 왁스등의 열가소성 물질로서는 석유수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 크리스탈링 왁스, 오큐리 왁스 등의 왁스가 사용된다.
상기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과 열가소성 수지나 왁스 등의 열가소성 물질과의 혼합비율은 전사할 때의 가열방법의 상이나 열가소성 수지나 왁스등의 열가소성 물질의 종류등에 의해서도 다르지만, 통전식 가열방법, 열헤드에 의한 가열방법등 양쪽에 적용하는 데는 바인더중의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의 함유율이 5~90중량%로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인더중의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의 함유율이 적게 되면 인자의 보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또 바인더중의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의 함유율이 지나치게 많게 되면 전사가 좀처럼 되지 않아서 인자가 얻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단, 통전식의 가열방법을 취하는 경우에는 바인더중의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의 함유율의 상한을 95중량%까지 할 수가 있다.
잉크는 카본블랙등의 착색제와 상기 특정한 바인더를 필수성분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또 이형제, 분산제 등을 가하여 혼합하는 것에 의해 조제된다. 이 잉크에 있어서, 카본블랙등의 착색제의 양을 통상 전체중의 2~40중량%이다. 그리고 잉크층을 형성할 때 소위 솔벤트 코딩방식을 취하는 경우에는 이것들의 잉크구성 성분을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한 잉크도료로서 조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을 바인더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것에 의해 인자의 보존성이 개선된다. 그러나 상기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은 융점, 글라스전이점(연화점) 등이 높고 결착력이 강하므로, 피전사체로의 전사성에서 문제가 있다. 그래서 그것을 개선하기 위해 열가소성 수지나 왁스등의 열가소성 물질을 첨가하고 있지만 이 열가소성 물질은 감열전사체를 릴등에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아서 고온하에서 저장했을 때 블록킹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된다. 즉, 잉크층이 그 위에 감겨진 기체의 배면(잉크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쪽의 면)에 부착해서 본래의 기체표면에서 벗겨지는 원인으로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도의 전사성이나 내블록킹성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을 바인더 성분으로서 사용한 잉크는 그와 같은 요구에 대해서 반드시 충분히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전사성이나 내블록킹성에 관하여 고도의 특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과 열가소성 수지, 왁스등의 열가소성 물질로 되는 바인더에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전사성이나 내블록킹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즉,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는 응집력이 크며 용해 표면장력이 작고, 구조중에 초산비닐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접착성이 우수하다.
그 때문에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잉크의 바이더성분으로서 사용하면 전사시의 피전사체와 잉크의 접착성을 향상시켜 잉크의 전사성이 개선된다. 또,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는 잉크층의 응집성과 기체와의 접착성을 높이므로 내블록킹성이 개선된다.
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가 방향족중에서 지나치게 양이 적으면 전사성, 내블록킹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또 지나치게 많으면 접착력이 너무 강해져서 내블록킹성이나 전사성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바인더중의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함유량으로서는 3~4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접착력에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중의 초산비닐의 함유량이 큰 영향을 부여하므로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로서는 초산비닐 함유량이 5~50중량%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초산비닐의 함유량이 5중량%보다 적은 경우는 충분한 접착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초산비닐의 함유량이 50중량%보다 많아지면 점착성이 증가하여 내블록킹성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 초산비닐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결정화가 저하하고, 열응답성이 저하해서 잉크의 전사성에도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멜트인덱스로서는 멜트인덱스가 30g/10min보다 작아지면 전사시의 유동성이 악화되어서 전사성이 저하하고, 멜트인덱스가 2500g/10min보다 커지면 유동성이 지나치게 커져서 인자가 찌부러지는 원인으로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바인더 성분으로서 사용한 잉크도 카본블랙 등의 착색제와 열가소성 수지, 왁스등의 열가소성 물질,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 및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로 되는 바인더를 필수성분으로서 필요에 따라 또 이형제, 분산제 등을 가하여 혼합하는 것에 의해 조제된다. 이 바인더에서도 카본블랙 등의 착색제의 양은 통상 전체중의 2~40중량%이다. 그리고 기체의 한쪽면에 잉크층을 형성할 때, 소위 솔베트 코딩방식을 취하는 경우에는 그것들의 잉크구성성분을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한 잉크도료로서 조제된다.
[실시예 1]
표 1 에 나타내는 비율로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과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를 혼합하고, 이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과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의 혼합물 5중량부와 카본블랙 1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 20중량부중에 혼합하고, 볼밀을 사용하여 100시간 분산해서 잉크층 형성용의 잉크도료를 조제하였다.
사용된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은 상기한 동양방적사 제품인 바이론 UR-8200이고,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는 아사히초자사 제품인 S-8200(상품명, 수평균분자량 약 1,500의 헥사메틸렌계의 반복단위를 갖는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으로서, 열가소성 수지로서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것과는 별도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출광석유 화학사 제품인 타프론 A3000(상품명)) 70중량부와 도전성 카본블랙(미국 캐보트사 제품인 발칸 XC-72(상품명)) 30중량부를 염화메틸렌 200중량부 중에 혼합하여 볼밀로 분산한 후 이 분산물을 두께 75㎛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막으로 되는 캐리어막상에 건조후의 두께가 15㎛로 되도록 도포, 건조해서 저항층을 형성하고, 다음에 이 저항층상에 알루미늄을 100nm(1000Å)의 두께로 증착해서 도전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상기 도전층사에 상기 잉크도료를 와이어바를 사용해서 건조후의 두께가 3㎛로 되도록 도포, 건조해서 잉크층을 형성하고, 잉크가 충분히 건조하고 나서 캐리어막을 저항층에서 박리해서 저항층 및 도전층을 기체로 하는 통전식의 감열전사체를 제작하였다.
상기 통전식의 감열전사체를 제 1 도에 도시한다. 제 1 도에서 (1)은 기판으로서, 저항층(1a)와 도전층(1b)로 형성되고, 저항층(1a)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와 도전성 카본블랙의 혼합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전층(1b)는 알루미늄의 증착막으로 형성된다. (2)는 잉크층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과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의 혼합물을 바인더로 하는 잉크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통전식 감열전사체를 사용하여 벡크평활도 50초의 종이에 다음에 나타내는 조건하에서 인자하고, 인자한 후 20℃, 50℃, 80℃의 조건하에서 인자표면을 지우개로 문지르고(지우개에 1kg/㎠ 의 하중을 걸어서 인자표면을 5000번 문지른다) 인자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표시하였다. 인자는 감열전사체의 잉크층(2)를 피전사지에 맞대고, 전원에 접속한 단면의 직경 75㎛의 텅스텐침 전극 및 귀로전극을 저항층(1a)에 접속시켜 1도트당 0.5밀리초간, 20V, 30mA를 인가하고, 직경 100㎛의 소프트 인자를 세로 40도트, 가로 25도트로 잉크를 전사시키는 것에 의해 실행하였다.
또, 피전사체로서 OHP막(오버헤드 프로젝터용막, 벡크평활도 20000초)를 사용하여 이 OHP막에 상기 통전식 감열전사체에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인자하고, 그 인자표면을 상기와 마찬가지로 지우개로 문질러서 인자의 보존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표시한다.
[표 1]
Figure kpo00001
인자의 보존성 평가기준 :
○ : 오염 없음
△ : 일부 오염 있음
× : 오염 있음
- : 인자되지 않으므로 보존성 평가의 대상외
피전사체 : 벡크평활도 50초의 종이
[표 2]
Figure kpo00002
인자의 보존성 평가기준 :
○ : 오염 없음
△ : 일부 오염 있음
× : 오염 있음
- : 인자되지 않으므로 보존성 평가의 대상외
피전사체 : OHP막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인더중의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의 함유량의 증가에 따라 인자의 보존성이 향상되고, 이 통전식 감열전사체에서는 시료 No. 4~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의 함유량이 5~95중량%의 범위에서 시험시의 온도에 관계없이 양호한 인자의 보존성이 인정되었다.
[실시예 2]
두께 3.5㎛의 폴레에틸렌 테레프탈렐이트막에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조성의 잉크도료를 건조후의 두께가 3㎛로 되도록 도포, 건조해서 잉크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열헤드에 의한 가열방식의 감열전사체를 제작하였다.
이 감열전사체를 제 2 도에 도시한다. 제 2 도에서 (11)은 기판, (12)는 잉크층이다. 상기 기판(11)은 두께 3.5㎛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막으로 형성되는 것이고, 잉크층(12)를 구성하는 잉크는 상기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은 것이다.
상기 감열전사체를 열프린터에 장착하고, 벡크평활도 50초의 종이에 24×24도트의 인자를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20℃, 50℃, 80℃의 조건하에서 그 인자 표면을 지우개로 문질러서(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지우개에 1kg/㎠의 하중을 걸어서 인자표면을 5000번 문지른다) 인자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표 3 에 표시한다.
또, 피전사체로서 OHP막을 사용하고, 이 OHP막상에 그 인자표면을 상기와 같이 지우개로 문질러서 인자의 보존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4 에 표시한다.
[표 3]
Figure kpo00003
인자의 보존성 평가기준 :
○ : 오염 없음
△ : 일부 오염 있음
× : 오염 있음
- : 인자되지 않으므로 보존성 평가의 대상외
피전사체 : 벡크평활도 50초의 종이
[표 4]
Figure kpo00004
인자의 보존성 평가기준 :
○ : 오염 없음
△ : 일부 오염 있음
× : 오염 있음
- : 인자되지 않으므로 보존성 평가의 대상외
피전사체 : OHP막
표 3 및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인더중의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의 함유율의 증가에 따라 인자의 보존성이 향상하고, 이 열헤드에 의한 가열방식을 취하는 감열전사체에서는 시료 No. 14~1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의 함유량이 5~90중량%의 범위에서 시험시의 온도에 관계없이 양호한 인자의 보존성이 인정되었다.
[실시예 3]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과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중량비 1 : 1로 혼합하고, 이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과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의 혼합물 및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표 5에 표시하는 비율로 혼합하였다.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과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3성분계의 혼합물 5중량부와 카본블랙 1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 20중량부 중에 혼합하고, 볼밀을 사용해서 100시간 분산하여 잉크층 형성용의 잉크도료를 조제하였다.
사용한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은 실시예 1과 같이 동양방적사 제품인 바이론 UR-8200(상품명)이고,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는 아시히초자사 제품인 S-8200(상품명)이고,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는 동양조달공업사 제품인 니포플렉스 750(상품명, 초산비닐 함유량 32중량%, 멜트인덱스 30g/10min)이다.
상기와는 별도로 실시예 1과 같이 캐리어막상에 저항층을 형성하고, 이 저항층상에 알루미늄을 증착해서 도전층을 형성하고, 이 도전층상에 상기 잉크도료를 와이어바를 사용해서 건조후의 두께가 3㎛로 되도록 도포, 건조해서 잉크층을 형성하고, 잉크가 충분히 건조하고 나서 캐리어막을 저항층에서 박리해서 저항층 및 도전층을 기판으로 하는 제 1 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구조의 통전식 감열전사체를 제작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제작한 통전식 감열전사체를 사용하여 전사성 및 내블록킹성의 평가를 실행하였다. 시험방법은 전사성, 내블록킹성 모두 A법(일반적인 시험조건) 및 B법(엄격한 시험조건)으로 실행하였다. 시험방법 및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전사성시험 A법]
피전사체로서 벡크평활도 50초의 종이를 사용하여 상기 통전식 감열전사체의 잉크층을 피전사체에 맞대고, 전원에 접속한 단면의 직경 75㎛의 텅스텐 침전극 및 귀로전극을 저항층에 접속시켜 1도트당 0.5밀리 초간, 20V, 30mA를 인가하고, 체크무늬 모양을 인자속도 10cm/초로 인자해서 각 도트에서 전사불량이 있는가 없는가를 관찰하였다.
제 3 도(a)~(c)에 전사성의 평가예를 도시한다.
제 3 도(a)는 양호한 예이고, 제 3 도(b),(c)는 불량예이다.
[전사성시험 B법]
전사체로서 벡크평활도 20000초의 OHP막을 사용하여 상기 A법과 같은 조건하에서 체크무늬모양을 인자해서 각 도트에 있어서 전사불량이 있는가 없는가를 관찰하고, 상기 A법과 같은 평가기준에서 평가하였다.
전사성에 관해서는 피전사체의 종류를 바꾸어 B법에서는 피전사체로서 전사하기 힘든 OHP막을 선택하고, 벡크평활도 50초의 종이를 피전사체로서 선택한 A법에 대해서 엄격한 조건으로 하였다.
[내블록킹성시험 A법]
감열전사체를 12.5mm 폭으로 세로로 절단한 것을 길이 1m 채취해서 시료로 하고, 이 시료의 한쪽끝에 170g(단면적당 3.8kg/㎟)의 하중을 걸어 잡아당기면서 바깥 지름 35mm의 유리관에 잉크층면을 안쪽으로 해서 감고, 마지막 끝을 점착테이프로 고정해서 이것을 55℃의 항온통속에 넣어 72시간 저장한 후에 꺼내서 실내온도까지 냉각하고, 시료를 풀어서 블록킹이 발생했는가 아닌가를 관찰하였다. 이 내블록킹성 시험시에 시료를 유리관에 감을 때의 상태를 제 4 도에 도시한다. 제 4 도에서(21)은 바깥지름 35mm의 유리관, (22)는 감열전사체의 시료로서, 이 시료(22)의 한쪽 끝에 170g의 하중을 걸고, 잉크층면을 안쪽으로 해서 감는다.
[내블록킹성시험 B법]
상기 A법과 같이 감열전사체를 12.5mm폭으로 세로로 절단한 것을 길이 1m 채취해서 시료로 하고, 이 시료의 한쪽끝에 170g(단면적당 3.8kg/㎟)의 하중을 걸어 잡아 당기면서 바깥지름 35mm의 유리관에 잉크 층면을 안쪽으로 해서 감고, 마지막 끝을 점착테이프로 고정해서 이것을 60℃의 항온통속에 넣어 120시간 저장한 후에 꺼내서 실내온도까지 냉각하고 시료를 풀어서 블록킹이 발생했는가 아닌가를 관찰하였다. 즉, 이 B법에서는 항온통 속에서의 저장조건을 60℃, 120시간으로 변경하여 A법에 대해서 엄격한 조건으로 하였다.
[표 5]
Figure kpo00005
전사성의 평가기준 :
○ : 양호
× : 불량
내블록킹성 평가기준 :
○ : 블록킹의 발생 없음
× : 블록킹의 발생 있음
표 5의 시료 No. 22~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인더중의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함유량이 3~40중량%의 범위에서의 전사성, 내블록킹성 모두 엄격한 시험조건하에서도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그러나 시료 No. 21은 일반적인 시험조건하의 A법에서는 전사성, 내블록킹성 모두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지만 엄격한 시험조건하의 B법에서는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다음에 상기 통전식 감열전사체로 인쇄하였을 때의 보존성에 대해서 기술한다.
인자는 벡크평활도 50초의 종이에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실행하여 인자한 다음 20℃, 50℃, 80℃의 조건하에서 인자표면을 지우개로 문질러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이 지우개에 1kg/cm의하중을 걸어 인자표면을 5000번), 인자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표 6에 표시한다.
또, 피전사체로서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은 OHP막을 사용하고, 이 OHP막에 통전식 감열전사체로 상기와 마찬가지로 인자하고, 그 인자표면을 상기와 마찬가지로 지우개로 문질러 인자의 보존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7에 표시한다.
[표 6]
Figure kpo00006
인자의 보존성 평가기준 :
○ : 오염 없음
△ : 일부 오염 있음
× : 오염 있음
- : 인자되지 않으므로 보존성 평가의 대상외
피전사체 : 벡크평활도 50초의 종이
[표 7]
Figure kpo00007
인자의 보존성 평가기준 :
○ : 오염 없음
△ : 일부 오염 있음
× : 오염 있음
- : 인자되지 않으므로 보존성 평가의 대상외
피전사체 : OHP막
표 6 및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자의 보존성은 양호했지만 시료 No. 28은 전사성이 나빠 양호한 인자를 얻지 못했으므로 정확한 보존성 평가를 할 수가 없었다.
[실시예 4]
두께 3.5㎛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막에 상기 실시예 3과 같은 조성의 잉크도료를 건조후의 두께가 3㎛로 되도록 도포하여 건조해서 잉크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제 2 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구조의 열헤드에 의한 가열방식의 감열전사체를 제작하였다.
상기와 같이 해서 제작한 감열전사체를 사용해서 전사성 및 내블록킹성의 평가를 실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8에 표시한다. 시험방법은 전사성, 내블록킹성 모두 상기 실시예 3과 같이 A법(일반적인 시험조건) 및 B법(엄격한 시험조건)으로 실행하였다. 시험방법 및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전사성시험 A법]
상기 감열전사체를 히다찌 제작소 제품인 열전사 프린터 PT-100M(상품명)에 장착하고, 피전사체로서는 벡크평활도 50초의 종이를 사용해서 체크무늬모양을 인자속도 40cps에서 인자하고, 각 도트에서 전사불량이 없는가 어떤가를 관찰하였다. 평가기준은 실시예 3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전사성시험 B법]
피전사체로서 벡크평활도 20000초의 OHP막을 사용하여 상기 A법과 같은 조건하에서 체크무늬모양을 인자해서, 각 도트에서 전사불량이 없는가 어떤가를 관찰하여 상기 A법과 같은 평가기준에서 평가하였다.
[내블록킹성시험 A법]
상기 실시예 3의 시험 A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감열전사체를 12.5mm폭으로 세로로 자른 것을 길이 1m채취해서 시료로 하고, 이 시료의 한쪽끝에 170g(단면적당 3.8kg/㎟)의 하중을 걸어 잡아당기면서 바깥지름 35mm의 유리관에 잉크층면을 안쪽으로 해서 감고, 마지막 끝을 점착테이프로 고정시켜 이것을 55℃의 항온통속에 넣고, 72시간 저장한 후에 꺼내서 실내온도까지 냉각하여 시료를 풀어서 블록킹이 발생했는가 어떤가를 관찰하였다.
[내블록킹성시험 B법]
상기 A법과 마찬가지로 감열전사체를 12.5mm 폭으로 세로로 절단한 것을 길이 1m 채취해서 시료로 하고, 이 시료의 한쪽끝에 170g(단면적당 3.8kg/㎟)의 하중을 걸어서 잡아당기면서 바깥지름 35mm의 유리관에 잉크층면을 안쪽으로 해서 감고, 마지막 끝을 점착테이프로 고정시켜 이것을 60℃의 항온통속에 넣어 120시간 저장한 후에 꺼내서 실내온도까지 냉각하고, 시료를 풀어서 블록킹이 발생했는가 어떤가를 관찰하였다.
[표 8]
Figure kpo00008
전사성의 평가기준 :
○ : 양호
× : 불량
내블록킹성 평가기준 :
○ : 블록킹의 발생 없음
× : 블록킹의 발생 있음
표 8의 시료 No. 32~36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바인더 중의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함유량이 3~40중량%의 범위에서는 전사성, 내블록킹성 모두 엄격한 시험조건하에서도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그러나 시료 No. 31은 일반적인 시험조건하의 A법에서는 전사성, 내블록킹성 모두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지만 엄격한 시험조건하의 B법에서는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지 않았다.
다음에 상기 감열전사체로 인자했을 때의 인자의 보존성에 대해서 기술한다.
인자는 벡크평활도 50초의 종이에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조건하에서 실행하여 인자후 20℃, 50℃, 80℃의 조건하에서 그 인자표면을 지우개로 문질러(실시예 1과 같이 지우개에 1kg/㎠의 하중을 걸어 인자표면을 5000번 문지른다) 인자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표 9에 표시한다.
또, 피전사체로서 OHP막을 사용하여 이 OHP막에 상기 감열전사체로 상기와 마찬가지로 인자하고, 그 인자표면을 상기와 마찬가지로 지우개로 문질러서 인자의 보존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0에 표시한다.
[표 9]
Figure kpo00009
인자의 보존성 평가기준 :
○ : 오염 없음
△ : 일부 오염 있음
× : 오염 있음
- : 인자되지 않으므로 보존성 평가의 대상외
피전사체 : 벡크평활도 50초의 종이
[표 10]
Figure kpo00010
인자의 보존성 평가기준 :
○ : 오염 없음
△ : 일부 오염 있음
× : 오염 있음
- : 인자되지 않으므로 보존성 평가의 대상외
피전사체 : OHP막
표 9 및 표 10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인자의 보존성은 양호하였지만 시료 No. 38은 전사성이 나빠 양호한 인자를 얻지 못하였으므로 정확한 평가를 할 수가 없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잉크의 바인더 성분으로서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보존성이 양호한 인자를 얻을 수가 없었다.
또, 상기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을 함유한 바인더 중에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인자의 양호한 보존성을 유지하면서 전사성 및 내블록킹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었다.

Claims (4)

  1. 적어도 기판과 그 한쪽면에 열에 의해 용융 또는 연화해서 다른 것에 전사하는 잉크층을 마련한 감열전사체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이 바인더로서 열가소성 수지, 왁스중 어느 한쪽 또는 그 양자와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의 혼합물을 사용한 잉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전사체.
  2.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중의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의 함유율이 5~90중량%인 감열전사체.
  3. 적어도 기판과 그 한쪽면에 열에 의해 용융 또는 연화해서 다른 것에 전사하는 잉크층을 마련한 감열전사체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이 바인더로서 열가소성 수지, 왁스중 어느 한쪽 또는 그 양자와 방향족계 에스테르 함유 폴리우레탄과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혼합물을 사용한 잉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전사체.
  4. 특허청구의 범위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중의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함유율이 3~40중량%의 감열전사체.
KR1019890009594A 1988-07-14 1989-07-06 감열전사체 KR9700074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75532 1988-07-14
JP17553288 1988-07-14
JP01106954A JP3043763B2 (ja) 1988-07-14 1989-04-25 感熱転写体
JP1-106954 1989-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520A KR900001520A (ko) 1990-02-27
KR970007420B1 true KR970007420B1 (ko) 1997-05-08

Family

ID=15997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9594A KR970007420B1 (ko) 1988-07-14 1989-07-06 감열전사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43763B2 (ko)
KR (1) KR9700074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4962A (ja) * 2000-10-06 2002-04-16 Sumitomo Bakelite Co Ltd 印刷カード用接着剤付きオーバー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383A (ja) * 1985-07-11 1987-01-22 Fuji Xerox Co Ltd 感熱記録材料
JPH0815811B2 (ja) * 1985-09-18 1996-02-21 コニカ株式会社 感熱転写記録媒体
JPS63214481A (ja) * 1987-03-02 1988-09-07 Canon Inc 感熱転写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43763B2 (ja) 2000-05-22
JPH02131989A (ja) 1990-05-21
KR900001520A (ko) 1990-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92356A1 (en) Ink ribbon for thermal transfer printer
US5198296A (en) Thermo-transfer sheet
US4925735A (en) Resin composition for heat-sensitive transfer recording medium and heat-sensitive transfer recording medium
EP0350889B1 (en) Ink composition for thermal transfer printing and film for thermal transfer printing
JP3177294B2 (ja) 熱転写インクリボンおよびそれを用いる印像形成方法
KR970007420B1 (ko) 감열전사체
KR20010012289A (ko) 열전사기록매체 및 그의 제조 방법
JP6743669B2 (ja) 保護層転写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EP0841188B1 (en) Thermal printing ink ribbon
EP0917962B1 (en) Thermal transfer recording medium
US4794039A (en) Multi-usable pressure-sensitive transfer recording medium
US5858546A (en) Thermal transfer recording medium
US5662989A (en) Thermal transfer sheet
JP3093298B2 (ja) 熱転写記録媒体
JPS62248685A (ja) 感熱記録用転写媒体
JP2010046850A (ja) 感熱転写記録媒体
JP4150812B2 (ja) 感熱転写記録媒体
JPH0679978A (ja) 熱転写記録用インクリボン
DE19754476B4 (de) Thermisches Bildübertragungs-Aufzeichnungsverfahren und Aufzeichnungsmaterial für dieses
JP4170470B2 (ja) 熱転写シート
JP2001171233A (ja) 熱転写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26183A (ja) 昇華型熱転写シート及び熱転写記録方法
JPH04357089A (ja) 感熱転写体
JPH03169582A (ja) 感熱転写体
JPH01123794A (ja) 昇華転写用被転写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