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565B1 - 에어 임팩트 렌치 스탠드 - Google Patents

에어 임팩트 렌치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565B1
KR970006565B1 KR1019940021595A KR19940021595A KR970006565B1 KR 970006565 B1 KR970006565 B1 KR 970006565B1 KR 1019940021595 A KR1019940021595 A KR 1019940021595A KR 19940021595 A KR19940021595 A KR 19940021595A KR 970006565 B1 KR970006565 B1 KR 970006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wrench
air impact
handle
fixed
colum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1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100A (ko
Inventor
문학철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21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565B1/ko
Publication of KR960007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5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holders for tool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21Stands, supports or guiding device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for securing them to the work
    • B25H1/0042St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9/00Impact wrenches or screw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에어 임팩트 렌치 스탠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임팩트 렌치 스탠드에 에어 임팩트 렌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대한 부분 단면을 포함하는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에어 임팩트 렌치 20 : 상하높이 조정부
21 : 컬럼(column) 23 : 롤러
24 : 제1와이어 26 : 제1인장코일 스프링
27 : 제2와이어 29 : 바아(bar)
32 : 훅 50 : 지지부
60 : 이동부 62 : 휘일
63 : 킹핀 하우징 64 : 킹핀
65 : 휘일 고정부재 67 : 조향휘일
68 : 브레이크 패달 69 : 방향키
80 : 제어부 81 : 제2인장코일스프링
82 : 핸들 84 : 트리거(trigger)
85 : 케이블
본 발명은 에어 임팩트 렌치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버스·트럭 등 대형 자동차의 휘일 너트(wheel nut)를 조립 또는 분해하는 공구인 에어 임팩트 렌치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에어 임팩트 렌치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 임팩트 렌치(이하, ''임팩트 렌치''라 한다.)란, 에어 콤프레서에서 공급된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임팩트 렌치의 생크부 전단에 조립된 박스 스패너(box spaner)를 강제 회전시켜 볼트 또는 너트를 조립·분해하는 편리 공구이다. 이와 같은 임팩트 렌치는 소정의 무게를 갖게되는데, 특히 대형 차량의 휘일 너트를 조립·분해하는 임팩트 렌치는 큰 토오크가 요구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대형화 되어 보통 20kgf 이상의 중량을 갖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임팩트 렌치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별도의 스탠드가 없어, 작업자가 임팩트 렌치를 직접 손으로 들고 너트의 분해·조립 작업을 하였다.
따라서, 작업자의 작업자세가 불안정하게 되고, 임팩트 렌치의 자체 중량 뿐만 아니라 에어 콤프레서로 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한 반복적이고 과도한 충격력으로 인해 작업자가 쉽게 피로해 지며, 결과적으로 능률적인 작업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임팩트 렌치를 장착할 수 있고, 이동시킬 수도 있으며, 또한 선 자세로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임팩트 렌치 스탠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에어 임팩트 렌치 스탠드에 있어서, 상부에 롤러를 구비하며 종으로 설치된 두 개의 컬럼과 상기 컬럼 내부에 인장코일 스프링을 구비하여 임팩트 렌치를 상하 이동하도록 한 상하 높이 조정부와, 상기 컬럼이 고정장착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지지부와, 상기 양 컬럼의 외측하단부에 설치된 휘일과 상기 휘일의 이동방향을 조정하도록 상기 지지부재 일단에 설치된 조향 바퀴와, 상기 조향 바퀴를 제어하는 방향키를 구비하는 이동부와, 상기 방향키와 연결되고 임팩트 렌치를 제어하는 핸들이 구비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으로 설치된 두 개의 컬럼(21)과, 상기 두 개의 컬럼(21)의 일단에 각각 축(22)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롤러(23)와, 상기 롤러(23)를 경유하며 상기 컬럼(21)의 내부로 통하는 제1와이어(24)를 구비하는데, 이 제1와이어(24)의 일단에는 임팩트 렌치(1)의 운반 손잡이(2)에 형성된 구멍(2a)에 걸수있도록 고리부재(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와이어(24)의 타단에는 제1인장코일 스프링(26)의 일단이 연결되는데, 이 제1인장코일 스프링(26)의 타단에는 제2와이어(27)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제2와이어(27)의 타단이 상기 컬럼(21)의 타단과 핀(28)을 통해 고정되도록 구성된 상하 높이 조정부(20)를 구비하는데, 상기 컬럼(21)의 롤러(23)가 설치된 부분의 끝단에는 양 컬럼(21)을 연결하는 바아(29)와, 이 바아(29)의 중앙부에는 핀(30)을 통해 고정되는 체인부재(31)가 걸려지며, 이 체인부재(31)의 끝단에는 훅(32)이 구비된다.
또한 양 상기 컬럼(21)을 지지하는 지지부재(51∼55)를 구비하는 지지부(50)가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부재(51∼55)의 일단에는 스탠드 장치의 전복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56)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51∼55)의 뒷단 중간에는 킹판 하우징(63)이 고정되며, 이 킹판 하우징(63) 내부에는 킹판(64)이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하여 설치되는데, 이 킹판(64)의 일단에는 휘일 고정부재(65)가 고정되고, 이 휘일 고정부재(65)와 축(66)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된 조향휘일(67)이 설치되고, 상기 휘일 고정부재(65)의 일면에는 조향휘일(67)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패달(68)이 구비되며, 또한, 상기 킹판(64)의 타단 머리부(64a)에 그 일단이 고정된 방향키(69)로 구성되는 이동부(6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방향키(69)의 타단에 키 손잡이(69a)가 구비되고, 이 키 손잡이(69a)에 근접하여 제2인장코일 스프링(81)의 일단이 고정되고, 이 제2인장코일 스프링(81)의 타단에는 핸들(82)이 구비되는데, 상기 핸들(82)의 양 끝단에는 손잡이(82a)가 구비되며, 이 손잡이(82a) 한쪽에 근접하여 트리거 연결부재(82b)가 구비되고, 이 트리거 연결부재(82b)와 핀(83)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트리거(84)가 구비되는데, 이 트리거(84)의 일단에는 에어 임팩트 렌치(1)의 에어 개폐 밸브(3)와 일단이 연결된 케이블(85)로 구성되는 제어부(80)를 구비하는데, 상기 핸들(82)의 중앙 연장부 일단에는 임팩트 렌치(1)의 상단이 고정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에어 임팩트 렌치 스탠드의 작용을 자동차 휘일 너트의조립·분해를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우선, 방향키(69)의 키 손잡이(69a)를 잡고 에어 임팩트 장치를 자동차 휘일의 적정 위치에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방향키(69)의 일단이 킹핀 헤드부(64a)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방향키(69)를 회전시키면 킹핀(69)이 회전하게 되고, 또한 킹핀(69)의 타단은 킹판 하우징(63)을 통과하여 휘일 고정부재(65)와 결합되어 있고, 휘일 고정부재(65)의 일측이 조향휘일(67)과 축(66)을 통해 회전되게 결합되어 있어, 방향키(69)를 조작함에 따라 조향휘일(67)이 회전되어 이동방향을 바꿀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하여 적정위치에 도달되면, 휘일 고정부재(65)에 설치된 브레이크 패달(68)을 밟아 내려 조향휘일(67)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켜 소정의 작업을 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킹판 하우징(63)의 일측은 지지부재(51∼55)의 일단에 고정되며, 이때 상기 지지부재(51∼55)의 타단 중앙 하단에 스톱퍼(56)가 고정되어 있어 장비의 전복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51∼55)에 장착된 컬럼(21)의 양 측면 바깥부분에는 각각 휘일(62)이 축(61)을 통해 회전되게 고정되어 있어 장비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두 컬럼(21)의 내부 하측에는 제2와이어(27)의 일단이 핀(28)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와이어(27)의 타단은 제1인장코일 스프링(26)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인장코일 스프링(26)의 타단은 제1와이어(24)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와이어(24)는 상기 컬럼(21)의 상단에 핀(22)을 통해 회전되게 결합된 롤러(23)를 경유하여, 상기 제1와이어(24)의 타단에 형성된 고리부재(25)가 에어 임팩트 렌치(1) 상단에 형성된 운반 손잡이(2) 구벙(2a)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때 제1인장코일 스프링(26)의 장력과 에어 임팩트 렌치(1)의 자중이 평형을 이루는 위치에서 상기 에어 임팩트 렌치(1)가 매달려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설치된 에어 임팩트 렌치(1)의 상부는 핸들(82)의 중앙 연장부 일단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핸들(82)의 중앙 연장부 타단에는 제2인장코일 스프링(81)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인장코일 스프링(81)의 타단은 방향키(69)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어, 핸들(82)을 움직여서 에어 임팩트 렌치(1)를 움직일 수 있고, 또한 상기의 제2인장코일 스프링(81)의 장력에 의해서 핸들(82)이 스스로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핸들 손잡이(82a)에 근접하여 트리거 연결부재(82b)가 고정되어 있고, 이 트리거 연결부재(82b)의 일측에 트리거(84)가 핀(83)을 통해 회전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트리거(84)의 일단에 케이블(85)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케이블(85)의 타단은 에어 임팩트 렌치(1)에 형성된 에어 개폐 밸브(3)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트리거(84)를 당김으로써 에어 개폐 밸브(3)가 열려 에어 임팩트 렌치(1) 생크부(4) 전단에 결합된 박스 스패어(5)가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해서 작업이 종료하면, 두 개의 컬럼(21) 상단에 횡으로 설치된 바아(29)의 중앙부에 걸려 있는 훅(32)에 에어 임팩트 렌치(1)의 운반 손잡이(2)를 걸어 보관하면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 임팩트 렌치를 사용하여 작업을 할 때, 에어 임팩트 렌치를 장착할 수 있고, 이동시킬 수도 있으며, 또한 선자세로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 임팩트 렌치 스탠드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자를 에어 임팩트 렌치의 중량과, 에어 콤프레서로 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한 반복적이고 과도적 충격으로 부터 해방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를 격감시키고, 결과적으로 능률적인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에어 임팩트 렌치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에어 임팩트 렌치 스탠드에 있어서, 상부에 각각 축(22)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롤러(23)가 구비해서 종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컬럼(21)과, 상기 컬럼(21) 내부에 제1인장코일 스프링(26)을 구비하여 에어 임팩트 렌치(1)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한 상하 높이 조정부(20)와, 상기 컬럼(21)이 고정 장착되는 지지부재(51∼55)를 구비하는 지지부(50)와, 상기 양 컬럼(21)의 외측 하단부에 축(61)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휘일(62)과, 상기 휘일(62)의 이동 방향을 조정하도록 상기 지지부(50) 일단에 설치된 조향휘일(67)과, 상기 조향휘일(67)을 제어하는 방향키(69)를 구비하는 이동부(60)와, 상기 방향키(69)와, 연결되고 에어 임팩트 렌치(1)에 고정되어 에어 임팩트 렌치(1)를 제어하는 핸들(82)이 구비된 제어부(8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임팩트 렌치 스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장코일 스프링(26)의 일단은 상기 롤러(23)를 경유하여 에어 임팩트 렌치(1)의 운반 손잡이(2)에 형성된 구멍(2a)에 걸 수 있도록 그 일단에 고리부재가 구비된 제1와이어(24)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인장코일 스프링(26)의 타단은 제2와이어(27)의 일단과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2와이어(27)의 타단이 상기 컬럼(21)의 하단에 고정되며,상기 지지부(50)의 일단에는 킹판 하우징(63)이 고정되며, 상기 킹판 하우징(63) 내부를 통과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깅핀(64)이 구비되는데, 상기 킹핀(64)의 일단에는 휘일 고정부재(65)의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휘일 고정부재(65)의 타측과 상기 조향휘일(67)이 축(66)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킹핀(60)의 타단에는 상기 방향키(69)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방향키(69)의 일측과 제2인장코일 스프링(81)을 통하여 연결되는 핸들(82)을 구비하는데, 상기 핸들(82)의 양 끝단에 구비된 핸들 손잡이(82a)에 근접하여 트리거 연결부재(82b)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트리거 연결부재(82b)의 일측에 핀(83)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트리거(840를 구비하는데, 상기 트리거(84)의 일단에 케이블(85)이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85)의 타단이 에어 임팩트 렌치(1)에 형성된 에어 개폐 밸브(3)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임팩트 렌치 스탠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21)의 롤러(23)가 설치된 부분의 일단에 양 컬럼(21)을 연결 지지하는 바아(29)를 구비하는데, 이 바아(29)의 중앙부에는 핀(30)을 통해 고정되는 체인부재(31)와, 이 체인부재(31)의 끝단에 에어 임팩트 렌치(1)의 운반손잡이(2)를 걸 수 있도록 훅(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임팩트 렌치 스탠드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휘일 고정부재(65)의 일면에는 조향휘일(67)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패달(6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임팩트 렌치 스탠드.
KR1019940021595A 1994-08-30 1994-08-30 에어 임팩트 렌치 스탠드 KR970006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595A KR970006565B1 (ko) 1994-08-30 1994-08-30 에어 임팩트 렌치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595A KR970006565B1 (ko) 1994-08-30 1994-08-30 에어 임팩트 렌치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100A KR960007100A (ko) 1996-03-22
KR970006565B1 true KR970006565B1 (ko) 1997-04-29

Family

ID=19391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1595A KR970006565B1 (ko) 1994-08-30 1994-08-30 에어 임팩트 렌치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5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23326B (zh) * 2021-03-16 2022-05-31 安徽春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移动的螺栓冲运输机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100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7928B1 (ko) 나사체결 작업용 지그 장치
KR970006565B1 (ko) 에어 임팩트 렌치 스탠드
US20050276670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holding and actuating power tools
GB2025292A (en) Strut suspended power wrench
US20030221303A1 (en) Third hand stand
KR100747266B1 (ko) 차량의 휠너트 체결장치
KR100471274B1 (ko) 너트런너 운용 시스템
JP3511578B2 (ja) 立乗型フォークリフト
EP0994011B1 (en) A motor vehicle wheel carrier
KR0132915Y1 (ko) 자동차 후드 높이 조절용 후드 힌지
KR200143835Y1 (ko) 자동차의 작업대 이동 방지 장치
JPS5853607Y2 (ja) 油圧制御レバ−の案内位置決め装置
JP2000281291A (ja) カウンタバランス型フォークリフト
KR200252458Y1 (ko) 차량의 견인장치
US5887327A (en) Tire cross chain application and removal tool
JPH0724507Y2 (ja) 建築用パネルの支持装置
KR100206545B1 (ko) 상용차용 임팩트 지그
JP2573011Y2 (ja) 産業車両におけるボンネットフードの取り付け構造
JP3365025B2 (ja) エアスプリングの取付構造
JP2003335269A (ja) あおり開閉補助装置の取付構造
JPH08132807A (ja) トラック・バスなどのタイヤ脱着補助装置
KR200161065Y1 (ko) 에어 드라이버건의 위치 조정장치(a control apparatus located a air driver impactor)
JP2002087780A (ja) フォークリフト用前方確認具
JPH10286714A (ja) 工作機械の操作盤吊下げ装置
KR100945465B1 (ko) 차량용 실내 후사경 조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