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1274B1 - 너트런너 운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너트런너 운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1274B1
KR100471274B1 KR10-2002-0070815A KR20020070815A KR100471274B1 KR 100471274 B1 KR100471274 B1 KR 100471274B1 KR 20020070815 A KR20020070815 A KR 20020070815A KR 100471274 B1 KR100471274 B1 KR 100471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runner
housing
fixed shaft
fastening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2505A (ko
Inventor
정남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0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1274B1/ko
Publication of KR20040042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2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suspensions, brakes or whee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23P19/025For detaching only

Abstract

자동차 샤시부품의 체결을 위한 작업공정에서 너트런너의 체결방향에 따라 체결용 볼트의 규정 토오크를 다르게 설정하여 체결함으로써, 다차종의 혼류 생산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오버헤드 행거를 통하여 이송되어 오는 차체의 하부에서 작업자가 샤시부품의 체결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너트런너와; 하부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장착되어 상기 너트런너의 승하강 변위를 구현하는 승하강수단과; 상기 승하강수단의 선단에 상기 너트런너를 연결하여 상기 너트런너의 작업방향에 따른 회전작동을 이루며, 일측에는 상기 너트런너의 회전에 따른 작업방향을 검출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회전방향 검출수단을 포함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방향 검출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연산하여 설정된 맵 테이블에 따라 상기 너트런너의 규정 토오크를 설정하는 너트런너 제어기를 포함하는 너트런너 운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너트런너 운용 시스템{A NUT-RUNNER SYSTEM}
본 발명은 너트런너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화 시스템으로 샤시부품의 체결을 위한 작업공정에서 너트런너의 체결방향에 따라 체결용 볼트의 규정 토오크를 다르게 설정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너트런너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공장의 샤시 부품 즉, 엔진, 프론트 서스펜션, 액슬, 스트러트 등은 작업의 특성상 차체의 하부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며, 작업자가 이러한 샤시부품을 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임팩트 렌치를 사용하여 왔다.
이러한 자동차의 샤시부품들은 차종별로 그 체결용 볼트의 체결을 위한 이상적인 규정 토오크를 설정해 두고 있으며, 차체에 부착되는 조립 사양지에 기록된 내용을 보고 체결작업을 수행 한 후, 토오크 렌치 등을 이용하여 해당 작업차량의 사양에 맞게 토오크를 보정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액슬(103)과 스트러트(101)의 체결은 공간이 협소한 휠 하우스(105) 내부에서 이루어지게 되어 토오크 렌치 등의 운용이 어려우며, 여러 차종을 한 라인에서 혼류 생산하는 경우에는 여러 종류의 임팩트 렌치를 구비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어, 자동화의 추세에 역행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샤시부품의 체결을 위한 작업공정에서 너트런너의 체결방향에 따라 체결용 볼트의 규정 토오크를 다르게 설정하여 체결함으로써, 다차종의 혼류 생산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너트런너 운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너트런너 운용 시스템은 오버헤드 행거를 통하여 이송되어 오는 차체의 하부에서 작업자가 샤시부품의 체결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너트런너와; 하부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장착되어 상기 너트런너의 승하강 변위를 구현하는 승하강수단과; 상기 승하강수단의 선단에 상기 너트런너를 연결하여 상기 너트런너의 작업방향에 따른 회전작동을 이루며, 일측에는 상기 너트런너의 회전에 따른 작업방향을 검출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회전방향 검출수단을 포함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방향 검출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연산하여 설정된 맵 테이블에 따라 상기 너트런너의 규정 토오크를 설정하는 너트런너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의 설치프레임 선단에 장착되는 힌지 브라켓과; 상기 힌지 브라켓에 각각의 일단이 상하로 힌지 체결되는 상부 및 하부 링크바아와; 상기 상부 및 하부 링크바아의 각 타단을 상하로 힌지 연결하는 링크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승하강수단의 선단에 장착되는 제1고정축 상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그 외측을 제1하우징이 감싸며 장착되고, 상기 승하강수단의 선단과의 사이에 상기 회전방향 검출수단을 구비하는 제1회전부재와; 상기 제1하우징에 연결바아로 연결되는 제2고정축 상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그 외측을 제2하우징이 감싸며 장착되는 제2회전부재와; 상기 제2하우징에 연결바아로 연결되는 제3하우징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장착바아가 회전 가능하게 그 하단을 통하여 장착되며, 상기 장착바아의 상단에는 상기 너트런너의 일측을 힌지 체결하는 제3회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회전방향 검출수단은 상기 승하강수단의 선단에, 상기 제1고정축에 대응하여 일측에 장착되는 제1리미트 센서와; 상기 승하강수단의 선단에, 상기 제1고정축에 대하여 상기 제1리미트 센서의 반대측에 장착되는 제2리미트 센서와; 상기 제1고정축에 대하여 회전하는 제1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제2리미트 센서를 작동시키는 작동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샤시부품의 체결 공정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너트런너 운용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로써,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너트런너 운용 시스템(5)은 오버헤드 행거(1)를 통하여 이송되어 오는 차체(3)의 하부에서 작업자가 샤시부품을 체결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써, 그 구성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오버헤드 행거(1)를 통하여 이송되어 오는 차체(3)의 하부에서 작업자가 샤시부품의 체결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너트런너(11)가 구비되고, 하부의 베이스 플레이트(7) 상에는 상기 너트런너(11)의 승하강 변위를 구현하는 승하강수단(20)이 구비되며, 상기 승하강수단(20)의 선단에는 상기 너트런너(11)를 연결하여 상기 너트런너(11)의 작업방향에 따른 회전작동을 이루며, 일측에는 상기 너트런너(11)의 회전에 따른 작업방향을 검출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회전방향 검출수단(30)을 포함하는 회전수단(4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방향 검출수단(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연산하여 설정된 맵 테이블에 따라 상기 너트런너(11)의 규정 토오크를 설정하는 너트런너 제어기(10)를 포함한다.
상기 승하강수단(2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 상의 설치프레임(9) 선단에 힌지 브라켓(21)이 장착되고, 상기 힌지 브라켓(21)에는 상부 및 하부 링크바아(22,23)가 각각의 일단을 통하여 상하로 힌지 체결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링크바아(22,23)의 각각의 타단은 링크 브라켓(24)과 힌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단(40)은 상기 승하강수단(20)의 링크 브라켓(24) 선단에 제1고정축(42)이 장착되고, 이 제1고정축(42)상에는 베어링을 개재하여 그 외측을 제1하우징(41)이 감싸며 장착되는 제1회전부재(43)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41)에는 연결바아(44)를 통하여 제2고정축(46)이 연결되며, 이 제2고정축(46) 상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그 외측을 제2하우징(45)이 감싸며 장착되는 제2회전부재(47)가 구성되며, 상기 제2하우징(45)에는 연결바아(48)를 통하여 제3하우징(49)이 연결되며, 이 제3하우징(49)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장착바아(51)가 회전 가능하게 그 하단을 통하여 장착되는 제3회전부재(5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3회전부재(30)의 장착바아(51) 상단에는 상기 너트런너(11)가 그 일측을 통하여 힌지(H)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부재(43)와 상기 승하강수단(20)의 링크 브라켓(24) 사이에는 상기 회전방향 검출수단(30)이 구성되는데, 상기 회전방향 검출수단(30)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수단(20)의 링크 브라켓(24) 선단에, 상기 제1고정축(42)에 대응하여 일측에 장착되는 제1리미트 센서(31)와, 상기 링크 브라켓(24)의 선단에, 상기 제1고정축(42)에 대하여 상기 제1리미트 센서(31)의 반대측에 장착되는 제2리미트 센서(32)와, 상기 제1고정축(42)에 대하여 회전하는 제1하우징(41)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제2리미트 센서(31,32)를 작동시키는 작동돌기(3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너트런너 운용 시스템의 작동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실선부분과 같은 상태로, 작업자가 차체(3)의 하부에서 너트런너(11)를 잡고, B 방향(좌측방향)으로 너트런너(11)를 상승시키면, 상기 상부 및 하부 링크바아(22,23)에서 점선부분과 같이, 상기 너트런너(11)의 상승변위를 발생시키게 되며, 작업자가 휠 하우스(60) 내에서 너트런너(11)를 틸팅하여 스트러트(61)의 체결볼트(63)에 대하여 체결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41)에 구성된 작동돌기(33)는 제1리미트 센서(31)를 온(ON)시켜 그 신호에 따른 너트런너 제어기(10)에서 설정된 규정 토오크로 체결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차체(3)의 하부에서 상기 너트런너(11)를 잡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링크바아(22,23)에서 점선부분과 같이, 상기 너트런너(11)가 상승된 상태로, C 방향(우측방향)으로 너트런너(11)를 회전시켜 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상기 제1, 제2, 제3회전부재(43,47,50)에 의해 상기 너트런너(11)의 회전변위를 발생시키게 되며, 이러한 상태로 작업자가 휠 하우스(60) 내에서 너트런너(11)를 틸팅하여 스트러트(61)의 반대측 체결볼트(65)에 대하여 체결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41)에 구성된 작동돌기(33)는 제2리미트 센서(32)를 온(ON)시켜 그 신호에 따른 너트런너 제어기(10)에서 설정된 규정 토오크로 체결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너트런너 운용 시스템에 의하면, 자동차 샤시부품의 체결을 위한 작업공정에서 너트런너의 체결방향에 따라 체결용 볼트의 규정 토오크를 다르게 설정하여 체결함으로써, 다차종의 혼류 생산시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공간이 협소한 휠 하우스 내부에서 상승 하강 및 회전이 자유로운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차체 휠 하우스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샤시부품의 체결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너트런너 운용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너트런너 운용 시스템의 작동 상태도이다.

Claims (4)

  1. 오버헤드 행거를 통하여 이송되어 오는 차체의 하부에서 작업자가 샤시부품의 체결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너트런너와;
    하부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장착되어 상기 너트런너의 승하강 변위를 구현하는 승하강수단과;
    상기 승하강수단의 선단에 상기 너트런너를 연결하여 상기 너트런너의 작업방향에 따른 회전작동을 이루며, 일측에는 상기 너트런너의 회전에 따른 작업방향을 검출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회전방향 검출수단을 포함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방향 검출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연산하여 설정된 맵 테이블에 따라 상기 너트런너의 규정 토오크를 설정하는 너트런너 제어기;
    를 포함하는 너트런너 운용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의 설치프레임 선단에 장착되는 힌지 브라켓과;
    상기 힌지 브라켓에 각각의 일단이 상하로 힌지 체결되는 상부 및 하부 링크바아와;
    상기 상부 및 하부 링크바아의 각 타단을 상하로 힌지 연결하는 링크 브라켓;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런너 운용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승하강수단의 선단에 장착되는 제1고정축 상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그 외측을 제1하우징이 감싸며 장착되고, 상기 승하강수단의 선단과의 사이에 상기 회전방향 검출수단을 구비하는 제1회전부재와;
    상기 제1하우징에 연결바아로 연결되는 제2고정축 상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그 외측을 제2하우징이 감싸며 장착되는 제2회전부재와;
    상기 제2하우징에 연결바아로 연결되는 제3하우징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장착바아가 회전 가능하게 그 하단을 통하여 장착되며, 상기 장착바아의 상단에는 상기 너트런너의 일측을 힌지 체결하는 제3회전부재;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런너 운용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향 검출수단은
    상기 승하강수단의 선단에, 상기 제1고정축에 대응하여 일측에 장착되는 제1리미트 센서와;
    상기 승하강수단의 선단에, 상기 제1고정축에 대하여 상기 제1리미트 센서의 반대측에 장착되는 제2리미트 센서와;
    상기 제1고정축에 대하여 회전하는 제1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제2리미트 센서를 작동시키는 작동돌기;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런너 운용 시스템.
KR10-2002-0070815A 2002-11-14 2002-11-14 너트런너 운용 시스템 KR100471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815A KR100471274B1 (ko) 2002-11-14 2002-11-14 너트런너 운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815A KR100471274B1 (ko) 2002-11-14 2002-11-14 너트런너 운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505A KR20040042505A (ko) 2004-05-20
KR100471274B1 true KR100471274B1 (ko) 2005-03-08

Family

ID=37339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815A KR100471274B1 (ko) 2002-11-14 2002-11-14 너트런너 운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127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334B1 (ko) 2020-04-23 2021-08-05 주식회사 한올테크 너트런너용 볼트 보관장치
KR102298198B1 (ko) 2020-03-27 2021-09-06 주식회사 한올테크 위치 및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너트런너 장치
KR20210117714A (ko) 2020-03-20 2021-09-29 주식회사 한올테크 너트런너 장치
KR20210117715A (ko) 2020-03-20 2021-09-29 주식회사 한올테크 너트런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266B1 (ko) * 2005-10-04 200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휠너트 체결장치
KR100750887B1 (ko) * 2006-09-06 2007-08-22 주식회사 모비코 너트런너의 부품 체결 방법
KR100837928B1 (ko) * 2006-10-10 2008-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나사체결 작업용 지그 장치
CN117984342A (zh) * 2023-11-07 2024-05-07 广州信邦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检测机器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4791A (en) * 1987-09-01 1989-03-10 Mitsubishi Electric Corp Joint device for industrial robot
JPH06182638A (ja) * 1992-12-18 1994-07-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ねじ締め装置
KR970005545A (ko) * 1995-07-04 1997-02-19 한승준 체결 도구용 암 장치
KR19980022082A (ko) * 1996-09-20 1998-06-25 김영귀 디퍼렌셜 어셈블리의 로크너트 체결 시스템
KR0124612Y1 (ko) * 1995-10-25 1998-10-15 김광호 부품 조립용 체결장치
JP2001088053A (ja) * 1999-09-24 2001-04-03 Nitto Seiko Co Ltd 自動ねじ締め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4791A (en) * 1987-09-01 1989-03-10 Mitsubishi Electric Corp Joint device for industrial robot
JPH06182638A (ja) * 1992-12-18 1994-07-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ねじ締め装置
KR970005545A (ko) * 1995-07-04 1997-02-19 한승준 체결 도구용 암 장치
KR0124612Y1 (ko) * 1995-10-25 1998-10-15 김광호 부품 조립용 체결장치
KR19980022082A (ko) * 1996-09-20 1998-06-25 김영귀 디퍼렌셜 어셈블리의 로크너트 체결 시스템
JP2001088053A (ja) * 1999-09-24 2001-04-03 Nitto Seiko Co Ltd 自動ねじ締め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714A (ko) 2020-03-20 2021-09-29 주식회사 한올테크 너트런너 장치
KR20210117715A (ko) 2020-03-20 2021-09-29 주식회사 한올테크 너트런너 장치
KR102298198B1 (ko) 2020-03-27 2021-09-06 주식회사 한올테크 위치 및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너트런너 장치
KR102286334B1 (ko) 2020-04-23 2021-08-05 주식회사 한올테크 너트런너용 볼트 보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505A (ko) 200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30604B2 (ja) ローリング試験装置
KR100471274B1 (ko) 너트런너 운용 시스템
WO2003006300A3 (en)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steering apparatus
US5527061A (en) Anti-roll vehicular suspension system and a hydraulic rotary actuator system in an anti-roll vehicular suspension system
KR100340746B1 (ko) 차륜 현가 장치
KR20070055251A (ko) 차량용 멀티링크 타입 리어 액슬 어셈블리의 범용 조립지그 장치
JP2600374Y2 (ja) 4輪操舵車両の後輪操舵装置
CN209802680U (zh) 一种汽车操稳试验用防逆转式转向辅助装置
JP3250063B2 (ja) アジャストナットの締付及び締付プリロード測定方法並びに装置
KR20090100976A (ko) 볼트 장착장치
JP4525101B2 (ja) 変位センサ装置
JPH021130Y2 (ko)
KR100482600B1 (ko) 차량의 부품 장착 로더용 클램핑 장치
CN220602950U (zh) 转向负载模拟测试台架
KR101261937B1 (ko) 차량의 스트럿 어셈블리 장착용 로더장치
JP3954812B2 (ja) ステアリング組付け構造
KR100520572B1 (ko) 차량의 스트럿 어셈블리용 이송 파레트
JPH0744483Y2 (ja) リーチ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の後輪リンク機構
KR100191607B1 (ko) 자동차 조립라인에서의 너트런너 위치조정장치
JPS59199380A (ja) サスペンシヨン組立用治具装置
JPH0137868Y2 (ko)
KR19980067817U (ko) 지게차의 마스트 고정장치
EP2138377B1 (en) Steering system particularly for industrial vehicles with several steering axles
JP3070971B2 (ja) 荷重応動型ブレーキ液圧制御弁の取付け方法
JPH042169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