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454B1 - 타이어 제작용 드럼 - Google Patents

타이어 제작용 드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454B1
KR970006454B1 KR1019930022848A KR930022848A KR970006454B1 KR 970006454 B1 KR970006454 B1 KR 970006454B1 KR 1019930022848 A KR1019930022848 A KR 1019930022848A KR 930022848 A KR930022848 A KR 930022848A KR 970006454 B1 KR970006454 B1 KR 970006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radial
block
hub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2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1160A (ko
Inventor
알. 젤리슨 프랭크
이. 비일 로렌스
Original Assignee
일리노이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토마스 더블유. 벅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리노이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토마스 더블유. 벅맨 filed Critical 일리노이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40011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4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타이어 제작용 드럼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타이어 제작용 드럼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부분 단면 및 부분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3도의 선 2-2에 따라 그 신장된 상태에서 도시한 제1도의 타이어 제작용 드럼의 측단면도.
제3도는 도면에서 수편 중심선 위쪽은 드럼이 신장된 상태로 수평 중심선의 아랫쪽은 드럼이 절첩된 상태로 도시한, 제1도의 타이어 제작용 드럼의 개략 끝면도.
제4a도는 드럼이 그 신장 상태에 있을 때 드럼의 성분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도 드럼의 일정 성분에 대한 개략적인 내부 끝면도.
제4b도는 제4a도에 유사하게 드럼이 그 절첩 상태에 있을 때 대응하는 성분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내부 끝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드럼 13(13N, 13W) : (협폭, 광폭)쉘
14(14N, 14W) : (협폭, 광폭)드럼 세그먼트
36 : 축 37 : 축선
40, 41 : 부채꼴 플랜지 45 : 허브
49 : 어댑터 51, 52 : 토크 전달부재
61 : 제1각 위치 62 : 제2각 위치
64 : 블록 66 : 슬라이드
68 : 안내면 85, 86 : 스톱링
91 : 스프링 95 : 링크
106 : 후퇴핀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타이어 제조에 관련하며, 특히 타이어 카커스(tire carcass)가 제작될 수 있는 타이어 제작용 드럼의 형태로 반경 방향으로 신장 및 절첩 가능한 개량된 맨드릴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반경 방향으로 신장 가능한 맨드릴은 타이어, 밴드, 적층 제품 등의 제조 및 접혀진 관형 구조물을 그 원래의 형상으로의 복원을 포함하는 많은 분야에서 유용성을 찾을 수 있다.
타이어 제조에 있어서, 본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타이어 카커스를 형성하기 위해서 경화되지 않은 고무 혼합물과 플라이 재료(ply materials)가 드럼이 신장된 원통형 상태에 있을 때 타이어 제작용 드럼 둘레에서 층상으로 랩핑된다. 드럼상에서 카커스가 스티칭(stitching)이라고 알려진 조작, 즉 맨드릴을 회전시키는 조작을 받는 동안 상기 겹층에서 공기 포켓 또는 갭을 제거하기 위하여 그리고 카커스를 실질적으로 일체식 구조로 융합하기 위해 드럼과 외부 롤러 사이에서 강하게 압착된다. 카커스가 완성되면, 다음 공정을 위한 카커스의 분리를 쉽게 하기 위해 드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방향 절첩된 상태로 구동된다.
전형적인 타이어 제작용 드럼은 그 외부면상에 원호형 쉘과 끼워 맞춤되는 복수의 교호식 광협 드럼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이 드럼 세그먼트는 드럼을 변경 방향에서 대향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내부 기구에 연결되어 있다. 카커스가 완성되었을 때, 드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첩시키도록 세그먼트를 반경 방향 안쪽으로 후퇴시켜 카커스가 쉽게 분리되도록 한다. 미국 특허 제3,779,835호의 경우에서와 같이, 그 기구는 폭이 넓은 광폭 세그먼트와 폭이 좁은 협폭 세그먼트가 서로 간섭하여 가능한 기구를 작동 불능으로 되지 않도록 협폭 세그먼트의 후퇴가 광폭 세그먼트의 후퇴에 앞서 진행하도록 시간을 맞춘 것일 것이다. 사전 제조된 카커스가 분리된 후, 상기 세그먼트는 쉘이 다음번 카커스가 제작될 수 있는 완벽한 원통형을 이루기 위하여 정합되도록 드럼이 신장된 상태를 취할 때까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타이어 제조업자는 타이어가 차량에 사용하기 위해 장착될 때 그 타이어가 불쾌한 진동 또는 조향 방해를 보다 적게 일으키도록 그들이 제조한 타이어의 균일성 향상을 끊임없이 추구한다. 점차 엄격해지는 균일성에 대한 시방서를 만족시킬 수 있는 타이어를 일정하게 그리고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기 위해서는 타이어 제작용 드럼이 많은 성능 표준에 동시에 부합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는다.
그러나, 종래의 타이어 제작용 드럼은 이하에서 기술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문에서 장애를 받기 쉽다.
그 첫 번째의 경우, 타이어 제작용 드럼은 타이어 제조업자에게 상당한 자본 투자를 요구한다. 따라서, 상기 드럼을 경제적으로 제조 및 유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그들이 투자한 자본의 관점에서, 타이어 제작용 드럼의 구조는 또한 저 마모율로 긴 수명을 갖게 하는 것이어야 한다. 그러나, 마모에 대한 문제는 단순히 자본 지출의 소산은 아니다.
대다수의 종래 타이어 제작용 드럼에 유발하는 문제점은 드럼이 때때로 부품간의 활주 마모를 받는다는 것이고, 이는 드럼이 그 신장 상태에 있을 때 드럼의 신장된 직경 또는 인접 쉘간의 정확한 끼워맞춤에 영향을 준다. 드럼의 유용 수명에 걸쳐 드럼의 신장 직경의 변이성은 그 드럼을 사용하여 제조한 타이어에 비바람직한 진동을 유발하기 쉽고 세그먼트 사이의 틈새는 고무 화합물이 그 틈새내로 억눌리는 결과로써 스크랩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 어떤 종래의 타이어 제조용 드럼이 갖는 문제점을 특히 그것이 얼마간 사용되어진 후 강성 및 방사상 구조의 안정성 부족이다. 드럼이 신장되어 있을 때 스티칭 또는 다른 조작중 한 방향으로의 과도한 변형없이 외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타이어 제작용 드럼이 강성이어야 한다는 것은 중요하며, 그것은 드럼상에서 만들어진 타이어 카커스의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품질상의 이유뿐만 아니라 안전상의 이유로 타이어 제작용 드럼은 특히 신장되어 있을 때 예기치 않은 함몰이 있지 않도록 방사상 구조의 안정성에 높은 정밀도를 나타내야 한다.
적어도 몇 개의 종래 타이어 제작용 드럼에 대한 또다른 성능 결함은 백래시를 보이는 경향에 관련한다. 백래시는 드럼을 구동시키는 기계적 입력치인 어떤 소정 조건에 대한 외부 드럼 세그먼트의 방사상 위치에 대한 예측성의 부족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상기 기계적 입력치는 사용중 타이어 제작용 드럼에 연결된 타이어 제조기에 의해 공급되며 통상 상대 회전 입력치의 형태를 갖는다. 타이어 제조 공정의 중요한 단계에 걸쳐 정확한 제어를 위해서는 타이어 제작용 드럼이 그 회전 입력치를 외부 드럼 세그먼트의 예측 및 반복 가능한 방사상의 위치 결정으로 정확하게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백래시가 나타나면 소정 회전 입력치에 대한 세그먼트의 방사상 위치가 다소 불확정적이다. 상기 불확정성은 드럼상에서 만들어진 타이어 카커스에 비바람직한 가변성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 문제이다. 따라서, 타이어 제작용 드럼은 백래시가 거의 없어야 하고 그 작동 수명에 걸쳐 생기는 통상적 마모에 관계없이 잔존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항에 더하여, 타이어 제작용 드럼은 앞서 언급한 부문에서의 성능을 회생함없이 13인치 또는 더작은 타이어의 카커스를 생산하기에 충분히 작은 드럼을 작동시킬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컴팩트한 작동 기구를 가져야 한다. 어떤 종래의 타이어 제작용 드럼들에 있어서 적합한 강도를 위해 필요로 했던 부품의 상대적 복잡성 및 크기는 상기 적용에 있어서 그 사용을 저해하거나 그 성능을 저하시킨다.
[발명의 개요]
상기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간단하며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며 백래시가 없는 타이어 제작용 드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수, 특히 신장된 직경이 반복 가능하게 정확하고 통상적 마모에 따른 변화에 작은 영향을 받으며, 따라서 긴 작동 수명에 걸쳐 안정된 타이어 제작용 드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신장되었을 때 스티칭 힘 등과 같은 예정된 외부 힘의 영향하에서 비바람직한 변형 또는 함몰을 받지 않도록 높은 강성 및 방사상의 안정성을 갖는 타이어 제작용 드럼을 제공하면서 상기 목적을 달성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더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의 어떤 성능도 손상됨이 없이 13인치 또는 더작은 타이어의 카커스를 제조할 수 있는 특정형(型)으로 구성될 수 있는 타이어 제작용 드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목적들은 공통 축선에 대하여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한 축과 동심 허브를 가지고 있는 타이어 제작용 드럼을 설치하므로써 달성된다. 상기 축과 허브는 각각 타이어 제조기에 연결 가능해 그것으로부터 두방향의 상대 회전 입력치를 받아들인다. 축은 왕복 운동을 위해 축에 대하여 순환 고정식으로 정착된 복수의 블록에 의해 각을 이룬 간격을 두고서 포위되어 있다. 블록의 왕복 운동은 피봇 작동 가능한 링크에 의해 진행되며, 각각의 링크는 각 블록과 허브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링크는 축 및 허브의 상대 회전을 블록의 반경 방향 운동으로 전환한다. 각각의 블록은 복수의 교호식 광협 드럼 세그먼트중의 하나에 연결되며, 드럼 세그먼트는 원호형 쉘을 지지하며 블록이 배치되는 각을 이룬 간격에 대응하는 각진 간격으로 블록의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배치되어 있다.
드럼이 처음에 절첩 상태에 있을 때, 원호에 대하여 제1각방향으로의 허브와 축의 상대 회전은 링크로 하여금 블록과 드럼 세그먼트를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구동시켜 드럼을 신장시킨다. 이 반경 방향 이동은 드럼 세그먼트상의 쉘이 정합하여 타이어 카커스가 제조될 수 있는 완벽한 실린더를 형성할 때까지 상기 상대회전이 진행함으로써 계속된다. 카커스가 완성될 때, 드럼에 연결된 타이어 제조기는 블록 및 세그먼트를 반경 방향 안쪽으로 후퇴시키도록 허브와 축을 대향하는 제2각방향으로 상대 회전식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이는 카커스의 분리를 쉽게 하기에 충분하게 드럼을 절첩한다.
본 발명의 중요한 양상에 따르면, 장시간의 작동 수명에 걸쳐서 드럼의 신장 직경에 대한 안정성은 축의 길이 방향 축선으로부터 완전 신장된 드럼의 직경에 대응하게 선택된 소정 반경 방향 거리에 배치되는 적어도 한 개의 스톱부재를 바람직하게 링형 플랜지의 형태로 설치하므로써 확보된다. 각 드럼 세그먼트는 상기 스톨링과 맞물림 가능한 원호형 플랜지를 가진 반경 방향 연장 레그 등과 같은 강성부재에 차례로 연결되어 드럼의 반경 방향 신장을 소망의 완전 신장 직경으로 확실하고 정확하게 제한한다. 본 발명은 스톱부재 및 원호형 플랜지 또는 다른 강성부재의 대향 표면이 서로 안면적으로 맞물어 드럼의 신장 직경을 바꿀수 있는 마모의 최소화를 도모한다.
드럼이 절첩되어 있고 드럼을 신장하기 위해서 허브와 축의 제1각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이 개시될 때, 초기에 링크가 블록에 작용하는 각은 반경 방향 및 비반경 방향의 양성분을 포함하는 힘을 블럭에 가할만큼의 각도이다. 블록이 그 완전 후퇴된 위치 근처에 있을 때, 비반경 방향 성분은 소망의 반경 방향 성분보다 더 크다. 블록이 반경 방향으로만 원활하고 예상가능하며 반복 가능하게 이동하는 것을 확보하기 위해서 비반경 방향 성분을 효과적으로 대항해야 한다. 블록이 반경 방향으로 뻗을 때, 비반경 방향 성분의 크기는 반경방향 성분의 크기에 관련하여 감소한다. 결과적으로, 블록이 뻗어감에 따라 비반경 방향성분을 저항하기가 점차 더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중요한 양상은 비반경 방향 힘 성분을 그 크기가 반경 방향 성분에 대하여 최대 상태에 있을 때 가장 효과적으로 저항하는 타이어 제작용 드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양상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 블록은 각각의 길이 방향 단부로부터 돌출한, 가늘고 긴 반경 방향으로 향한, 슬라이드를 가지고 있다. 상기 슬라이드는 대응된 크기와 형상을 갖는 반경 방향 홈내에 수용되며, 이 홈은 축에 비회전식으로 고정된 한쌍의 상호 이격된 디스크내에서 안내면을 형성하고 있다. 블록이 반경 방향으로 후퇴된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드는 상기 안내면내에서 최대로 맞물린다. 불록이 링크에 의해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구동됨에 따라, 슬라이드는 안내면 단부로부터 점진적으로 돌출하며, 이에 의해 블록에 작용하는 비반경 방향 힘의 감소하는 상대 크기에 따라 안내면과의 맞물림 범위가 감소한다. 따라서,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는 블록이 이동하는 반경 방향의 총거리에 이를 만큼 클 필요가 없다. 이러한 재료의 절약은 부수적으로 드럼을 보다 가볍게 하고 제조비용을 줄인다.
본 발명의 타이어 제작용 드럼에 대한 다른 중요한 양상은 드럼 세그먼트와 블록이 서로 연결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힘 가압 수단,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이 불록과 드럼 세그먼트 사이에 압축식으로 개재되어 블록으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상기 드럼 세그먼트에 힘을 가하는 작용을 한다. 드럼의 신장시 블록이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드럼 세그먼트의 각각에 부착된 강성부재의 원호형 플랜지는 드럼이 정확하게 소망 신장 직경으로 될 때 스톱부재를 반경 방향으로 맞문다. 그러나, 상기 맞물림이 처음에 이루어질 때, 블록은 블록이 링크에 의해 추진되는 최대 반경 방향의 한도에는 아직 도달되지 않는다. 드럼 세그먼트가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스톱부재에 의해 구속되더라도, 블록 자체는 상기 스프링의 압축으로써 얻어지는 추가 거리만큼 그 바깥 방향의 이동을 계속한다. 이 압축은 스프링이 원호형 플랜지를 가압하여 스톱부재와의 맞물림을 보다 확고하게 하며 신장 상태에서 드럼의 방사상의 강성을 증가시킨다.
드럼의 방사상 강성은 드럼이 그 최종 신장 상태에 이를 때 허브에 피봇식 부착된 링크의 축선이 방사상의 중심을 지나서 증분 각 거리를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링크의 작용에 의해 더욱 향상된다. 이 링크는 복수의 과심 토글부재로서 드럼에 큰 강성을 줄 뿐만 아니라 함몰에 대항하여 드럼을 반경 방향으로 안정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언급한 증분 각 거리가 이동될 때, 블록은 반경 방향으로 약간 후퇴한다. 이는 스프링을 약간 이완하게 하지만 스프링이 드럼의 소망 완전 신장 직경을 한정하는 정확한 반경 방향거리에서 스톱링에 의해 수용되어 있는 동안 세그먼트를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가압하는 그 기능을 더 이상 수행 할 수 없을 만큼 크게 이완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은 드럼이 그 신장 상태에 있을 때, 스프링 또는 다른 힘 가압 수단에 의해 작용되는 반경 방향 바깥쪽의 힘은 드럼상에 작용하는 어떤 원심력과 합성될 때 드럼 함몰 또는 심각한 방사상의 변형없이 스티칭 힘과 같은 예상되는 외부 작용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해야 함을 계획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은 드럼 절첩시 드럼 세그먼트를 반경 방향으로 후퇴시키기 위해 핀 등의 가늘고 긴 부재의 사용을 계획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늘고 긴 몸체를 가진 두형 핀이 반경 방향 방위로 각 드럼 세그먼트에 고정된다. 핀의 몸체는 상기 언급한 블록을 미끄럼 가능하게 관통함과 함께 힘 가압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스프링의 중심도 미끄럼 가능하게 관통한다. 드럼이 절첩되고 있을 때, 링크는 블록이 반경 방향으로 후퇴 개시하게 한다. 스프링은 블록이 핀의 몸체를 따라 내반경 방향으로 블록이 핀의 머리부를 맞물 때까지 스프링이 늘어난 일정 거리를 활주한 신장 위치에 세그먼트를 유지한다. 그 지점으로부터 블록의 또다른 반경 방향의 후퇴는 링크 구동용 회전식 부재와 축의 또다른 상대 회전이 명백한 기계적 스톱부에 의해 정지될 때까지 핀이 내반경 방향으로 부착된 드럼 세그먼트와 핀을 잡아 당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스톱부는 저 마모를 위해 서로 직각으로 맞닿는 각진면을 갖고 있는 강성 부재꼴 부재에 의해 유리하게 한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있어서, 장치의 조밀성을 위해, 블록을 구동시키는 링크는 거의 S-형상인 몸체를 가지며 그 몸체는 드럼이 절첩되어 있을 때 인접 링크 몸체의 부분이 서로 반경 방향으로 포개지는 방위로 허브에 연결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다른 양상에 따르면, 협폭 드럼 세그먼트에 부착되는 핀 또는 다른 가늘고 긴 부재는 광폭 드럼 세그먼트에 부착되는 것보다도 더 짧다. 신장 상태에서 절첩 상태로의 드럼의 변이시, 협폭 드럼 세그먼트와 관련된 블록은 상기 장 핀의 머리부가 부착된 광폭 드럼 세그먼트에 연결된 블록의 맞물림에 우선하여 단 핀의 머리부를 맞문다. 이것은 협폭 드럼 세그먼트의 후퇴가 광폭 드럼 세그먼트의 후퇴에 앞서서 진행하게 하며 드럼이 완전 절첩될 때 협폭 드럼 세그먼트가 광폭 드럼 세그먼트보다 더 긴 거리로 후퇴되어 있게 한다. 이것에 의해 인접 드럼 세그먼트가 작동 불능상태의 가능성이 제거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양상 및 이점은 첨부 도면관 관련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기 상세한 설명을 검토할 때 본 기술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보다 명백해질 것이며, 도면에서 유사 참조번호는 유사 항목을 지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설명]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선택적으로 신장 및 절첩 가능한 타이어 제작용 드럼(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신장 상태에서, 드럼(10)은 소망의 완전 신장 직경 D의 거의 완벽한 원통형 외부 타이어 제작용 표면(11)을 형성한다. 상기 표면(11)은 복수의 길이 방향 정합 가능한 외부 원호형 쉘(13)에 의해 형성된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는 모두 8개의 상기 쉘(13)이 있으며, 그것중 4개(도면에서 13W로 지시됨)는 상대적으로 넓은 원호를 형성하며 나너지 4개(도면에서 13N으로 지시됨)는 다소 좁은 원호를 형성한다. 쉘(13W) 및 쉘(13N)은 서로 교호식으로 배치되며 경사진 내측 및 외측 단부(17, 18)를 갖고 있다. 쉘(13W)은 8개의 반경 방향 이동 가능한 드럼 세그먼트(14)중의 하나에 고정적으로 그러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드럼 세그먼트중의 4개(도면에서 14W로 지시됨)는 광폭이고 광폭 쉘(13W)을 지지하며, 나머지 4개(14N으로 지시됨)는 협폭이고 협폭 쉘(13N)을 지지한다. 드럼 세그먼트(14W, 14N)에 대한 고정을 위해 각 쉘(13W, 13N)의 하면은 바람직하게 드럼 세그먼트(14)ㄹ르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며 쉘(13W, 13N)을 그 각각의 드럼 세그먼트(14W, 14N)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체결되는 내진동 너트(24)에 의해 고정되는 볼트(23)의 헤드(22)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한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길이 방향 슬롯(21)을 포함한다.
상이한 폭을 갖는 타이어 카커스의 제작을 고려하여 쉘(13W, 13N)은 상이한 폭을 갖는 세트로 설치될 수 있는 대체 가능한 스페이서(28)를 포함한다. 쉘(13W, 13N)은 1040열간 압연강으로 바람직하게 제조되고 그 경사 단부(17, 18)는 내구성을 위해 록웰 경도 C 스케일에서 45로 되도록 화염 담금질된다.
쉘(13W, 13N)이 장착되어지는 드럼 세그먼트(14W, 14N)는 각각 반경 방향 안쪽으로 뻗어 있는 한쌍의 레그(30)를 포함한다. 각 레그(30)는 강성이며 후술되는 중요한 기능을 하는 원호형 표면(32)을 갖는 플랜지(31)를 지지한다. 드럼 세그먼트(14W, 14N)는 그들의 레그(30)를 포함하여 반복된 충격 하중하의 취성 파괴에 견딜 수 있는 연성이고 어닐링된 시멘타이트-프리 주철이나 다른 강성 재료로부터 일체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드럼(10)의 중앙부분은 길이 방향 축선(37)을 가지고 있는 중공 축(36)을 포함하며, 그 축선에 대하여 드럼(10)은 사용시 드럼(10)이 결합되어지는 타이어 제조기 (도시않음)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동될 수 있다. 축(36)의 회전은 축(36)의 내벽내에 형성된 키홈(38)에 의해 용이해진다. 축(26)은 또 축(36)의 안쪽 단부, 즉 상기 타이어 제조기에 가장 가까운 축(36)의 단부상에 일체식으로 형성된, 반경 방향으로 연장한 동일형의 한쌍의 부채꼴 플랜지(40, 41)를 포함한다. 각 플랜지(40, 41)는 한상의 평편한 각진면(43)을 가지며, 그 목적은 이후 간략하게 설명될 것이다.
축(36)의 중앙부분은 축(36)에 대해 상대적인 회전을 위해 적합한 슬리이브 베어링(46, 47)상에서 축선(37)에 동축방향으로 장착된 연속 구동 허브(45)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드럼(10)이 사용시 연결되어지는 타이어 제조기는 축(36)이 어댑터(49)에 상대 회전될 때 축(36)과 허브(45)의 상대 회전을 달성 할 수 있다. 어댑터(49)는 부채꼴의 반경 방향 아암(55, 56)을 가지고 있는 한쌍의 동일한 U-형상 토크 전달부재(51, 52)에 의해 허브(4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각 아암(55)은 A 캡 나사(57)에 의해 어댑터(49)에 그리고 캡 나사(58)에 의해 허브(45)에 고정된다.
축(36)과 허브(45)는 소정 각도의 원호(59)에 걸쳐서만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제한되어 있다. 이를 촉진하기 위해, 부채꼴 토크 전달 부재(51, 52)는 축(36)의 부채꼴 플랜지(41, 42)의 각 크기에 대하여 상기 부재(51, 52) 및 플랜지(41, 42)의 각 크기 합계와 360°와의 차이가 자유 회전하는 상기 소정 원호(59)의 각 크기와 동일하도록 각을 이룬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원호(59)는 62°40´의 각에 대응한다.
토크 전달 부재(51,52)의 반경 방향 아암(55, 56)은 각각 플랜지(41, 42)의 각진 면(43)과 같이 방향으로 정렬되어 설치되는데, 각진 평탄면(43, 60)이 거의 직각의 면 대 면 맞닿음식으로 서로 맞물어 축(36) 및 구동 허브(21)가 원호(59)의 극단부의 대향하는 제1 및 제2각 위치(61, 62)로 상대 회전될 때 주어진 방향으로의 추가 회전을 확인하고 엄격하게 방지하도록 한다.
허브(45)는 보다 상세히 설명될 방식으로 축(36)의 원주 둘레에 동일 각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반경 방향 왕복가능한 블록(64)에 연결된다. 각 블록(64)은 길이 방향 축선(37)에 대하여 순환 고정식 및 반경 방향 왕복 가능하게 장착된다. 각 블록(64)은 그 길이 방향 단부의 각각에 형성된 반경 방향 수 슬라이드 (66)를 가진다. 이 슬라이드(66)는 축(36)에 순환 고정식으로 고정된 인보드 디스크(71) 및 아웃보드 디스크(72)의 내면상에 45°간격으로 상호 정렬되어 형성된 반경 방향의 암 안내면(68)에 각각 미끄럼식으로 수용된다. 슬라이드(66) 및 안내면(68)은 블록(64)상에 작용되는 비반경 방향 힘에 저항하면서 블록(64)이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안내면(68)은 블록(64)의 전이동에 걸쳐 슬라이드(66)를 전부맞물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디스크(71, 72)는 완전 신장 직경 D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다. ASTM A513 관형 재료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로 된 스페이서 링(73)이 축(36)에 장착되어 허브(45)로부터 디스크(72)를 분리한다.
인보드 디스크(71)는 각을 이루어 대향한 한쌍의 원호 형상 슬롯(74)이 구비되어 있고, 그것을 통하여 허브(45)를 회전 구동시키는 토크 전달부재(51, 52)가 회전하기가 자유롭다. 또, 인보드 및 아웃보드 디스크(71, 72)는 각기 8개의 동일각으로 이격된 반경 방향 보어가 유리하게 구비되며, 이 보어는 타이어 제조 작업중에 부가되는 비드 삽입력에 대항하여 드럼(10)의 측면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기능하는 16개의 반경 방향핀(76)중의 하나를 미끄럼식으로 수용한다. 핀(76)은 드럼 세그먼트(14W, 14N)에 대한 부착이 용이하도록 원주 홈(도시않음)이 구비된 견단부(77)를 가진다. 견단부는 세그먼트(14W, 14N)내에 구비된 오목한 단차 보어내에 수용되고 상기 홈내에 수용된 링 클립(79)에 의해 그곳에 체결된다. 드럼(10)이 절첩될 때 협폭 드럼 세그먼트(14N)가 광폭 드럼 세그먼트(14W)보다 더 안쪽으로 후퇴하도록 협폭 드럼 세그먼트(14N)에 부착된 핀(76)들은 광폭 드럼 세그먼트(14W)에 부착된 것보다도 다소 짧다.
디스크(71, 72)의 외면은 한쌍의 스톱링(85, 86)중의 한 스톱링의 단부가 복수의 캡 나사(87)에 의해 확고하게 부착되는 원형 시이트(81, 82)를 각각 포함한다. 스톱핑(85, 86)은 길이 방향 안쪽으로 돌출해 링 표면(89)을 형성하는 최외면에 원형 허브(88)를 각각 포함한다. 링 표면(89)은 길이 방향 축선(37)과 동심적이며 그 축선으로부터 소정 반경 방향 거리 R에 위치되며 드럼(10)의 소망 완전 신장 직경 D에 고정적이다. 가로 막힘의 위험없이 드럼 세그먼트(14W, 14N)의 정확하고 반복 가능한 반경 방향의 위치 결정과 그 후퇴는 드럼 세그먼트(14W, 14N)가 반경 방향을 왕복 가능한 블록(64)에 연결되는 방식에 의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중요한 양상에 따르면, 가스 실린더 또는 강성 스프링(91)과 같은 힘 가압 수단이 각 드럼 세그먼트(14W, 14N) 및 반경 방향으로 떨어진 그 각각의 블록(64)에 힘을 가하는 가압력 부가를 위해 개재된다. 이를 위해 각 블록(64)의 반경 방향 외면에 형성된 각각의 시이트(92)내에 배치되는 4개의 전용 스프링(91)이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설치된다. 드럼(10)이 그 신장 상태에 있을 때, 스프링(92)은 드럼 세그먼트(14W, 14N)를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가압하여 강성 레그(30)의 원호형 표면(32)이 소망 신장 직경 D를 정확하게 고정시키는 각 스톱링(84, 85)의 링 표면(89)과 소정 반경 방향 거리 R에서 확고하게 맞물리게 유지한다. 드럼(10)에 작용하는 일정 원심력과 함께 스프링(91)에 의해 작용된 힘은 드럼(10)이 사용중 스티칭 조작에서 받게 되는 힘과 같이 예상되는 외력의 부가에도 불구하고 드럼(10)이 신장되어진 후 드럼(10)을 그 신장된 상태로 유지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축(36)과 허브(45)의 상대 회전을 블록(64)의 방향 왕복 운동으로 전혼하기 위해서, 각 블록(64)은 8개의 링크(96)중 하나에 의해 허브(45)에 연결된다. 각 링크(95)는 반경 방향으로 선단부(96) 및 말단부(97)를 가지고 있는 S-형상 몸체를 가진다. 각 링크(95)의 선단부(96)는 선단 피봇 축선(100)을 형성하는 핀(99)에 의해 8개의 동일각으로 이격된 구역중의 한곳에서 허브(45)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선단 피봇 축선(100)은 축선(37)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자유 회전의 소정 원호(59)를 통한 축(36)과 허브(45)의 상대회전으로 축선(37)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각 링크(95)의 말단부(97)는 축선(37)에 역시 실질적으로 평행한 말단 피봇 축선(103)을 따라 행해진 제2핀(102)에 의해 블록(64)중의 대응하는 하나에 각각 비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각 블록(64)이 단지 반경 방향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만 이동하도록 디스크(71, 72)내에 형성된 안내면(68)에 의해 구속되기 때문에, 말단 피봇 축선(103)은 또한 상기 양쪽의 반경 방향 이동만을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블록(64)은 축(36)과 허브(45)의 2방향 상대 회전이 원호(59) 극단의 제1 및 제2각위치(61, 62) 사이에서 달성될 때 소정 길이의 행정으로 내반경 방향 및 외반경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다.
스프링(91)이 배치된 각각의 시이트(92)를 통해 대체로 반경 방향으로 통과하는 4개의 관통 구멍(105)이 각 불록(64)을 횡단한다. 각각의 상기 관통 구멍(105)을, 블록(64)이 반경 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는 고정길이의 몸체(107)를 가진 핀(106)과 같은 가늘고 긴 후퇴 부재가 횡단한다. 후퇴핀(106)은 스프링(91)의 작용에 기인하여 블록(64)과 각 드럼 세그먼트(14W, 14N)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최대 반경 방향 틈새를 제한하기 위해서 블록(64)과 맞물림 가능한 헤드(108)또는 다른 적합한 표면을 포함한다.
드럼(10)을 절첩시킬 때 협폭 드럼 세그먼트(14N)의 후퇴가 광폭 드럼 세그먼트(14W)의 후퇴에 앞서서 진행하도록 시간을 맞추기 위해서 협폭 드럼 세그먼트(14N)에 부착된 후퇴 핀(106)의 몸체(107S)는 광폭 드럼 세그먼트(14W)에 부착된 후퇴 핀의 몸체(107)보다도 더 짧다. 상기 몸체(107, 107S)길이의 차이는 드럼(10)이 신장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의 변이를 겪을 때 몸체가 지지하는 인접한 세그먼트(14W, 14N)또는 쉘(13W, 13N)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하도록 결정된다. 드럼(10)의 조립시, 마찰을 감소시키고 마모를 피하기 위해 미끄럼 또는 회전 접촉하는 모든 표면은 몰리브덴 그리스 등과 같은 윤활유의 피막이 구비되어야 한다.
드럼(10)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조를 상세히 기술하면서 그 작동은 이제 제4aa도 및 제4b도를 추가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작동에 있어서, 드럼(10)은 제4a도 및 제3도의 하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절첩 상태에 있다고 가정한다. 절첩 상태에선, 어댑터(49)는 축(36)에 대해서 먼저 회전되어 소정 원호(59)의 일단에 있는 제1각위치(61)를 취하도록 허브(45)를 제2각방향(113)으로 완전히 회전시킨다. 상기 제1각위치(61)에서, 각 토크 전달부재(51, 52)의 일면(60)이 축(36)에 고정된 플랜지(40, 41)의 대향면(60)과 거의 직각으로 맞닿는다. 상기 확실하고 강력한 맞물림은 원호(59)를 확장시킬 수 있는 활주마모를 방지하면서 제2각방향(113)으로의 허브(45)와 축(36)의 또다른 상대 회전을 방지한다. 철접 상태에서, 모든 블록(64)은 축(36)의 길이 방향 축선(37)으로부터 균일한 거리에 위치된 완전히 반경 방향으로 후퇴된 위치에 있으며 슬라이드(66)는 링크(95)에 의해 블록(64)에 전달된 힘의 비반경 방향 성분을 가장 효과적으로 저항하도록 개개의 안내면(68)과 최대 범위로 맞물밀되어 있다. 블록(64)을 협폭 드럼 세그먼트(14N)에 연결하는 핀(107S)이 상기 블록(64)의 교번의 것을 광폭 드럼 세그먼트(14W)에 연결하는 핀보다 소정 틈새 거리만큼 더 짧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협폭 드럼 세그먼트(14N)는 광폭 드럼 세그먼트(14W)보다 내반경 방향으로 더 후퇴되어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이 있지 않지만, 드럼(10)이 절첩되어 있을 때 각 드럼 세그먼트(14W)로부터 연장한 강성 레그(30)의 원호형 표면(32)과 각 스톱링(84, 85)의 동심적인 링 표면(89)사이에는 반경 방향의 틈이 존재한다. 협폭 드럼 세그먼트(14)에 부착된 핀(107S)의 더 짧은 몸체 때문에 스톱링(84, 85)의 표면과 드럼 세그먼트(14N)에 관련한 원호형 표면(89)사이의 반경 방향의 틈이 광폭 드럼 세그먼트(14W)와 관련하여 대응하는 틈보다 다소 더 넓다.
드럼(10)의 외부 표면(11)상에 이미 제조된 일정 타이어 카커스가 분리된 후, 드럼(1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타이어 제조기는 어댑터(49)를 제2각위치(62)쪽으로 원호(59)에 따른 제1각방향(112)으로 구동시킨다. 제4a도 및 제4b도에 있어서, 각방향(112, 113)은 고정 상대축(36)이 되도록 임의로 선택된 참조 프레임으로부터 화살표로 지시된다. 방향 112쪽으로 회전이 시작될 때, 토크 전달부재(52)는 부채꼴 플랜지(14)로부터 대향한 부채꼴 플랜지(40)쪽으로 구동되는 반면에, 토크 전달부재 (51)는 플랜지(40)로부터 플랜지(41)쪽으로 구동된다. 동시에, 각 링크(96)의 선단 피봇 축선(100)은 축선(37)에 대하여 회전하기 시작한다. 거의 강성인 링크(95)와 말단 피봇 축선(103)에서 블록(64)에 연결된 핀(102)은 블록(64)을 외반경 방향으로 추진하기 위해서 링크(95)에서 블록(64)으로 힘을 전달한다.
축(36)과 허브(45)의 상대 회전에 기인하여 링크(95)에 의해 블록(64)상에 작용된 힘은 소망의 반경 방향성분을 포함하지만 또한 비반경 방향 성분도 포함한다. 비반경 방향 성분은 블록(64)에 대한 추진각도가 반경 방향에 대하여 측정시 가장 클 때 반경 방향 성분에 비하여 최대이다. 상기 상태는 축(36)과 허브(45)가 제1각위치(61)에 있을 때 발생한다. 드럼(10)의 뒤틀림을 피하기 위해서 비반경 방향 성분은 슬라이드(66)와 안내면(68)과의 맞물림에 의해 효과적으로 저항된다. 블록(64)이 반경 방향으로 뻗음에 따라, 링크(95)에 의해 작용된 힘의 비반경 방향 성분은 축(36)과 허브(45)의 상대 회전이 제2각위치(62)에 접근함에 따라 점차 감소한다. 비반경 방향 성분이 감소할 때, 슬라이드(66)와 안내면(68) 사이의 맞물림 정도는 슬라이드(66)가 디스크(71, 72)의 주변으로부터 더욱더 돌출함에 따라 감소한다.
블록(64)의 영향하에서, 드럼 세그먼트(14N, 14W)뿐만 아니라 그 바깥쪽 쉘(13N, 13W)도 역시 인접한 쉘(13W, 13N)이 접합하여 완벽한 원통형 표면(11)을 형성하는 소망 신장 직경 D으로 될 때까지 외반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지점에서, 강성 레그(30)의 플랜지(31)의 원호형 표면(32)은 스톱링(84, 85)의 동심 림 표면(89)을 맞문다. 상기 맞물림은 쉘(13W, 13N)이 외반경 방향으로 더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고, 그것을 축선(37)으로부터 반경 방향 위치 R에 정확하고 확고하게 정지시키며, 소망 완전 신장 직경 D를 형성한다. 또한, 표면(32)은 스톱링(84, 85)을 거의 직각으로 맞물어서 드럼(10)의 신장 직경을 바꿀 수 있으며 인접 쉘(13W, 13N)사이에 틈을 형성시킬 수 있는 활주 마모가 방지된다. 협폭 드럼 세그먼트(14N)에 부착된 핀(106)의 더 짧은 몸체(107S)와 비교할 때 광폭 드럼 세그먼트(14W)에 부착된 핀(106)의 몸체(107)가 더길기 때문에 광폭 드럼 세그먼트(14W)는 협폭 드럼 세그먼트(14N)보다도 더 신속히 그들의 외향 이동의 전 범위에 도달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스톱링(84, 85)이 각 표면(32)에 의해 맞물림된 후 축(36)과 허브(45)의 제1각방향(112)으로의 상대 회전과 블록(64)의 또다른 반경 방향 연장 모두가 계속되면 블록(64)가 드럼 세그먼트(14W, 14N)사이의 스프링(91)을 더 압축한다. 이것은 표면(32)을 스톱링(84, 85)의 링 표면(89)과 점차 더 확고하게 맞물리도록 가압하여 드럼(10)의 방사상 구조의 강성을 증가시킨다. 축(36)과 허브(45)의 상대 회전은 각 링크(95)의 선단 피봇 축선(100)이 그 각각의 말단 피봇 축선(103)과 반경 방향으로 정렬되는 원호(59)상의 중간 각위치(115)를 지나 계속된다. 상기 중간 각 위치(115)에서 블록(64)은 그것의 최대 반경 방향 연장 상태에 있으며 스프링(91)은 그것의 최대 압축상태에 있다. 축(36)과 허브(45)의 상대 회전은 토크 전달부재(51)의 각진 면(60)과 축(36)의 부채꼴 플랜지(40)의 일면(43)과의 면대 면 맞닿음과 토크 전달부재(51)의 각진 면(60)과 플랜지(41)의 대응 각진 면(43)과의 상응하는 맞닿음에 의해 제2각위치(62)에서 정확하고 강력하게 제동되기 전에 증분 각 거리 a만큼 제1각방향(112)으로 더 계속한다. 제1각방향(112)으로 증분 각 거리 a를 움직이면 , 블록(64)은 완전 연장 상태로부터 근소거리를 반경 방향으로 후퇴하여 스프링(91)을 약간 이완시킨다. 그러나, 드럼(10) 상기 상태에 있더라도, 드럼(10)상에 작용하는 일정 원심력과 함께 스프링(91)에 의해 부가되는 신장력은 스티칭 작업 동안에 드럼(10)이 받을 수 있는 힘과 같은 예상되는 외부력의 부가에 의해 야기될 수도 있는 드럼(10)의 어떤 심각한 방사상의 변형에 저항하기가 충분하다. 증분 각 거리 a에 걸친 선단 피봇 축선(100)의 이동은 또한 링크(95)가 스프링(91)의 상기 약간의 이완을 보상하는 것외에 어떤 면에서는 드럼(10)을 매우 안정화시키며 강화시키는 과심 토글부재로서 작용하게 한다. 제2각위치(62)에서 드럼(10)이 그 신장 상태에 있다고 고려한다.
상기 완전 신장 상태에 있는 동안 타이어 카커스가 드럼(10)의 외부 표면(11)상에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작과정에 있어서 드럼(10)은 전체적으로 축신(37)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드럼(10)이 연결되는 타이어 제조기는 축(36)과 어댑터(49)의 동기 회전을 달성한다. 타이어 카커스가 완성될 때, 드럼(10)으로부터의 타이어 카커스의 분리는 제1각위치(61)에 일단 다시 도달할 때까지 축(36)과 어댑터(49)의 상대회전을 역전시켜 축과 허브를 제2각방향(13)으로 구동시키므로써 드럼을 그 절첩 상태로 구동함에 의해 용이하게 된다. 이때, 드럼(10)의 작동은 언급될 몇가지 중요한 점을 제외하고는 이미 기술된 동작에 반대된다.
축(36)과 허브(45)가 제2각방향(113)으로 증분 각 α를 회전할 때, 쉘(13W, 13N)은 소망 직경D를 초과하여 전혀 신장하지 않고 스톱링(84, 85)에 의해 유지된다. 대신, 상기 각 간격에 걸쳐 발생하는 블록(64)의 외반경 방향 이동은 스프링(91)에 의해 흡수된다. 이는 드럼(10)이 그 절첩 상태로 변이하는 동안 타이어 카커스를 약간이라도 신장시킬 가능성을 방지한다.
제2각방향(113)으로의 축(36)과 허브(45)의 상대 운동이 중간 각위치(115)를 지나 계속됨에 따라 스프링(91)은 길어지고 블록(64)은 짧은 몸체(107S)를 가지고 있는 핀(106)의 헤드(108)와 마주칠 때까지 어떠한 드럼 세그먼트(14Ne 또는 14W)또는 쉘(13N 또는 13W)의 후퇴도 개시시킴 없이 내반경 방향으로 후퇴한다. 스프링(91)이 그 최대 길이에 이를 때, 드럼(10)의 타이밍 붕괴에 의해 야기되는 작동 불능 상태를 피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은 후퇴 핀(106)와 헤드(108)를 블록(64)과 확실한 맞물림 상태로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예비 부하를 계속 보유한다는 것은 중요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작동 불능 상태가 야기 될 수 있다.
협폭 드럼 세그먼트(14N)에 연결된 핀(106)이 광폭 드럼 세그먼트(14W)에 연결된 몸체(107)보다 더짧은 몸체(107S)를 갖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헤드(108)는 광폭 드럼 세그먼트(14W)에 연결된 핀(107)의 헤드(108)보다 먼저 블록(64)과 만나게 된다. 결과적으로, 협폭 드럼 세스먼트(14N)는 광폭 드럼 세그먼트(14W)에 앞서서 더 긴 반경 방향거리로 후퇴된다.
블록(64)과 함께 외부 쉘(13W, 13N)의 반경 방향 후퇴가 계속될 때, 링크(95)의 몸체에 S-형상 및 허브(45)에 대한 그들의 일관된 방위는 인접 링크(95)의 반경 방향으로 중심선이 벗어난 부분이 제3도의 하반부에 도시된 방식으로 서로 반경 방향으로 포개지게 한다. 축(36)과 허브(45)의 상대 회전이 제1각위치(61)쪽으로 진행함에 따라 블록(64)상에 작용하고 있는 비반경 방향 힘의 상대 크기는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증가는 상기 비반경 방향 성분에 의한 드럼(10)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안내면(68)내에 슬라이드(66)의 맞물림을 증가시키므로서 대항된다. 축(36)과 허브(45)의 상대 회전이 제1각위치(61)에 도달 할 때, 플랜지(40, 41)의 각진 면(43)은 토크 전달 부재(51, 52)의 대응적으로 각진 면(60)을 각각 맞물어 제2방향으로의 축(36)과 허브(45)의 또다른 상대 회전을 확실하고 강력하게 구속한다. 상기 맞물림은 저마모를 위해 각진 면(43, 60)이 거의 직각의 면대 면 맞닿음으로 일어난다. 제1각위치에 도달시 드럼(10)은 재차 상기 설명된 절첩 상태에 있게, 되면 그때 타이어 카커스가 쉽게 드럼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 해야 한다. 이러한 개시를 통하여 본 기술의 전문가에게는 여러 가지 다른 실시예가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드럼 세그먼트 개수의 변경뿐만 아니라 재료의 변경 및 여러 가지 성분의 형성 또는 배치 등을 포함하는 변경이 특허청구범위에서 특히 지적되고 명백하게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그 모든 법적 등가물로부터 벗어남없이 이루어질수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Claims (13)

  1. 원주 및 길이 방향 축선을 가지고 있는 축과, 상기 축과 동심적인 허브와, 상기 허브 상기 및 상기 축은 소정 원호를 한정하는 제1각위치와 제2각위치 사이에서 제1각방향 및 제2각방향 양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고, 상기 축의 상기 원주 둘레에 상호 각을 이루어 이격된 간격으로 배치되며 각각 상기 축에 대하여 순환 고정식으로 그리고 반경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블록과, 상기 축과 상기 허브가 상기 제2각방향 및 상기 제2각방향으로 각각 상대 회전함을 따라 상기 길이 방향 축선에 대하여 상기 블록의 외반경 방향 이동 및 내반경 방향 이동을 초래하도록 상기허브와 상기 블록중의 어느 하나와의 사이에 각각 피봇식으로 연결된 복수의 링크와, 상기 축 및 상기 허브부재가 상기 제1각방향으로 상대 회전할 때 상기 드럼을 신장하여 타이어 카커스가 만들어질 수 있는 연속한 드럼 표면을 형성하도록 외반경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그리고 상기 축 및 상기 허브가 상기 제2각방향으로 상대 회전할 때 상기 드럼을 절첩하여 상기 타이어 카커스의 분리를 촉진하도록 내반경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상기 블록중의 하나에 상호 떠받치는 관계로 각각 연결된 복수의 교호식 광협 드럼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작용 드럼.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블록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허브 및 상기 축이 상대회전함에 따라 상기 링크에 의해 상기 블록에 전달되는 힘에 기인하여 반경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상기 블록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부재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된 반경 방향의 슬라이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작용 드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수단은 상기 링크에 의해 상기 블록상에 가해진 힘의 비반경 방향 성분이 상기 블록의 반경 방향 이동중에 발생하는 최대일 때 서로 최대 한도로 맞무는 상호 맞물림 가능한 암수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작용 드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각각은 S-형상 몸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드럼이 절첩되어 있을 때 상기 링크의 각 몸체의 부분이 각 인접 링크의 몸체의 부분과 반경 방향으로 포개지는 방위로 상기 허브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작용 드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에 연결되고 상기 축선으로부터 소정 반경 방향거리에 배치된 스톱부재와, 상시 드럼 세그먼트중의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강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강성부재는 상기 드럼 세그먼트의 상기 외반경 방향 이동을 상기 길이 방향 축선으로부터 소정 반경 방향 거리로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스톱부재와 맞물림 가능한 표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소정 반경 방향 거리는 상기 드럼의 소망 완전신장 직경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작용 드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및 상기 스톱부재는 서로 직각으로 대면적으로 맞물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작용 드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신장하기 위하여 상기 블록이 외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스톱부재 와 맞물리게 상기 강성 부재를 강하게 가압하기 위해, 그리고 상기 축과 상기 허브가 상기 소정 원호를 통하여 상기 제1각방향으로 완전히 상대 회전한 후 예상된 외력이 부가될 때 심각한 방사상의 변형없이 상기 드럼을 완전 신장 상태로 유지하도록, 드럼상에 작용하는 일정 원심력을 합력될 때 드럼의 사용중에 상기 드럼에 부가되는 예상된 외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일정 힘을 발휘하기 위하여 각각의 상기 드럼 세그먼트와 그곳에 연결된 상기 블록 사이에서 작용하는 힘 가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작용 드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길이 방향 축선에 평행하게 있는 선단 피봇축선에 상기 허브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선단 피봇 축선은 상기 축과 허브가 상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원호의 대향 단부에 있는 제1각위치와 제2각위치 사이에서 상기 길이 방향 축선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링크는 상기 길이 방향축선에 평행하게 있는 말단 피봇 축선에서 상기 블록중의 각각의 하나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말단 피봇 축선은 상기 축과 상기 회전 가능한 부재가 상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블록과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드럼을 신장하기 위해서 상기 축과 상시 회전 가능한 부재를 상기 제1각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킬 때 상시 허브와 축이 상기 제1각위치에서 상기 선단 및 말단 피봇축선이 서로 반경 방향으로 중심이 일치하는 중간 각위치로 상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블록은 상기 링크에 의해 후퇴 위치에서 완전 연장 위치로 외반경 방향으로 추진되며, 상기 허브가 상기 축에 대하여 상기 중간 각위치로부터 상기 제2각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선단 피봇 축선이 상기 반경 방향 중심을 지나 증분각 거리를 회전함에 따라 상기 블록이 상기 완전 연장 지점에서 부분적으로 후퇴된 위치로 내반경 방향 이동하므로써 상기 링크가 상기 드럼상에 작용할 수 있는 외부의 함몰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작용 드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와 축이 상기 중간 각위치와 상기 제2각위치 사이에 있는 상기 원호의 부분에 걸쳐 상대 회전할 때 상기 강성부재가 상기 소정 거리를 초과하는 상기 드럼 세그먼트의 외반경 방향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톱부재를 맞무는 동안 상기 힘 가압 수단은 상기 드럼 세스먼트에 대한 상기 블록의 반경 방향 이동을 동시에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작용 드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에 관하여 순환 고정식으로 장착된 제1고정부재와 상기 허브에 관하여 순환고정식으로 장착된 제2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부재는 상기 제1각위치와 제2각위치 사이의 상기 원호를 통한 회전을 제외하고는 상기 축과 허브의 상대 회전을 막기 위하여 서로 맞물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작용 드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부재는 서로 직간의 면 대 면 맞닿음 상태로 맞물림 가능한 각진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단면이 각작 부채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작용 드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세그먼트는 상기 블록이 상기 블록 세그먼트를 절첩 위치쪽 내반경 방향으로 후퇴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반경 방향 맞물림 지대를 지나서 내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블록의 내반경 방향 이동이 상기 맞물림 지대를 지나 더 계속될 때에만 각각의 상기 블록과 맞물림 가능한 표면을 가지고 있는 가늘고 긴 후퇴부재에 의해 각각 상기 블록중의 각각의 하나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작용 드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폭 드럼 세그먼트의 후퇴는 상기 협폭 드럼 세그먼트의 반경 방향 후퇴가 소정의 틈새 지점을 지나 진행된 후에만 개시되도록 상기 협폭 드럼 세그먼트는 상기 가늘고 긴 후퇴부재중에서 더 짧은 것에 부착되고 상기 광폭 드럼 세그먼트는 상기 가늘고 긴 후퇴부재중에서 상대적으로 더 긴 것에 부착되므로써 상기 드럼의 절첩시 드럼 세그먼트 사이의 간섭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작용 드럼.
KR1019930022848A 1992-11-04 1993-10-30 타이어 제작용 드럼 KR9700064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71,900 1992-11-04
US07/971,900 US5320701A (en) 1992-11-04 1992-11-04 Tire building dru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160A KR940011160A (ko) 1994-06-20
KR970006454B1 true KR970006454B1 (ko) 1997-04-28

Family

ID=25518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2848A KR970006454B1 (ko) 1992-11-04 1993-10-30 타이어 제작용 드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320701A (ko)
EP (1) EP0602783A1 (ko)
JP (1) JP2548082B2 (ko)
KR (1) KR970006454B1 (ko)
CN (1) CN1105630A (ko)
AU (1) AU652102B2 (ko)
CA (1) CA2106732C (ko)
NZ (1) NZ25011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0166B1 (en) * 2000-05-19 2002-05-21 Wyko, Inc. Expandable mandrel having adjustable width
US6863106B2 (en) * 2001-09-21 2005-03-08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Expandable tire building drum with alternating fixed and expandable segments, and contours for sidewall inserts
GB0506363D0 (en) * 2005-03-30 2005-05-04 Wyko Equip Tyre building drum
JP4603525B2 (ja) * 2006-10-23 2010-12-2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成形ドラム
US20100101732A1 (en) * 2008-10-23 2010-04-29 Howley Sean E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obtainable range of diameters of a working drum
WO2009058296A1 (en) * 2007-11-02 2009-05-07 Wyko Tire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obtainable range of diameters of a working drum
CN101439589B (zh) * 2008-12-24 2010-06-09 昊华南方(桂林)橡胶有限责任公司 全钢子午巨胎成型机成型鼓
JP5767610B2 (ja) * 2012-07-02 2015-08-1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成形ドラム
US10189221B2 (en) 2012-08-10 2019-01-29 Davian Enterprises, LLC Transfer ring shoe and transfer ring having varied shoe profile
RU2659249C2 (ru) 2013-06-07 2018-06-29 Дейвиан Энтерпрайзиз, Ллк Шиносборочный барабан с увеличенным диапазоном перемещения
FR3009232B1 (fr) 2013-08-01 2016-01-01 Michelin & Cie Tambour de confection d'une bande de roulement muni de secteurs retractables
JP5913266B2 (ja) * 2013-11-27 2016-04-2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の製造方法
RU2016136003A (ru) 2014-02-07 2018-03-15 Дейвиан Энтерпрайзиз, Ллк Расширяемый брекерно-протекторный барабан с нерегулярными сегментными профилями
CN104228097A (zh) * 2014-09-20 2014-12-24 揭阳市天阳模具有限公司 一种无缝式带束层贴合鼓
CN112770896B (zh) 2018-09-27 2023-11-07 达维阶企业有限责任公司 带有滑块和导轨系统的传递环
US11548251B2 (en) 2019-01-28 2023-01-10 Davian Enterprises, LLC Expandable belt and tread drum with reverse offset fingers
CN114683597A (zh) * 2020-12-31 2022-07-01 软控股份有限公司 中鼓组件轴向尺寸的调节方法和调节装置以及成型鼓

Family Cites Families (1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74505A (en) * 1917-01-04 1921-04-12 Hopkinson Ernest Method of making motor-vehicle tires
US1669532A (en) * 1923-04-19 1928-05-15 Firestone Tire & Rubber Co Collapsible core
US1524467A (en) * 1924-01-12 1925-01-27 Morgan & Wright Tire-building drum
US1854813A (en) * 1926-08-23 1932-04-19 Paul A Frank Drop side telescopic drum
US1911594A (en) * 1926-08-23 1933-05-30 Paul A Frank Tire building drum
US1792462A (en) * 1927-08-31 1931-02-10 Akron Standard Mold Co Tire-building drum
US1731817A (en) * 1927-08-31 1929-10-15 Akron Standard Mold Co Collapsible tire-building drum
US1754273A (en) * 1928-06-30 1930-04-15 Lake Shore Tire & Rubber Compa Collapsible drum
US1732194A (en) * 1928-06-30 1929-10-15 Akron Standard Mold Co Collapsible tire-building drum
US2039531A (en) * 1929-07-17 1936-05-05 Nat Rubber Machinery Co Telescopic tire building drum
US1860342A (en) * 1929-08-09 1932-05-24 Nat Rubber Machinery Co Telescopic tire building drum
US1903458A (en) * 1930-01-11 1933-04-11 Frank L Johnson Collapsible core
US2042498A (en) * 1930-03-18 1936-06-02 Akron Standard Mold Co Collapsible tire-band form
US1890785A (en) * 1930-03-22 1932-12-13 Frank L Johnson Collapsible tire building form
US2043937A (en) * 1930-04-15 1936-06-09 Wingfoot Corp Collapsible chuck
US2030749A (en) * 1930-05-15 1936-02-11 Nat Rubber Machinery Co Tire building drum
US1898667A (en) * 1930-09-10 1933-02-21 Frank L Johnson Collapsible form for tire building
US1904945A (en) * 1930-09-10 1933-04-18 Frank L Johnson Collapsible tire building form
US1926345A (en) * 1930-11-25 1933-09-12 Nat Rubber Machinery Co Tire building drum
US1877746A (en) * 1931-02-05 1932-09-13 Nat Rubber Machinery Co Collapsible drum
US1903202A (en) * 1931-03-11 1933-03-28 Firestone Tire & Rubber Co Collapsible tire form
US1866391A (en) * 1931-05-06 1932-07-05 Akron Standard Mold Co Hinged forming drum
US1866390A (en) * 1931-05-06 1932-07-05 Akron Standard Mold Co Segmental drum
US1896280A (en) * 1931-06-17 1933-02-07 Akron Standard Moli Company Collapsible drum
US1913374A (en) * 1931-07-06 1933-06-13 Roland W Boyden Collapsible chuck and tire former
US1896214A (en) * 1931-08-20 1933-02-07 Akron Standard Mold Co Adjustable tire core
US1877751A (en) * 1931-08-20 1932-09-13 Akron Standard Mold Co Tire core extractor
US1944865A (en) * 1931-10-30 1934-01-23 Nat Rubber Machinery Co Tire building form
US1987926A (en) * 1931-11-24 1935-01-15 Fisk Rubber Corp Pneumatic tire building drum
US1948035A (en) * 1931-12-19 1934-02-20 Frank L Johnson Annular collapsible form
US2004797A (en) * 1931-12-31 1935-06-11 Nat Rubber Machinery Co Collapsible drum
US2020497A (en) * 1932-03-11 1935-11-12 Akron Standard Mold Co Collapsible tire building form
US1902306A (en) * 1932-05-04 1933-03-21 Bridgewater Machine Company Tire building drum
US1987566A (en) * 1932-08-22 1935-01-08 Nat Rubber Machinery Co Power-operated collapsible drum
US1946449A (en) * 1932-10-24 1934-02-06 Nat Rubber Machinery Co Collapsible drum
GB426737A (en) * 1933-10-14 1935-04-09 Nat Rubber Machinery Co Improvements in collapsible drums for building tyres
US2048536A (en) * 1933-12-05 1936-07-21 Akron Standard Mold Co Adjustable tire building drum
US2084009A (en) * 1934-09-07 1937-06-15 Wingfoot Corp Apparatus for making tire casings
US2071864A (en) * 1934-11-24 1937-02-23 Firestone Tire & Rubber Co Collapsible core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16884A (en) * 1934-12-10 1935-10-08 Akron Standard Mold Co Collapsible tire building drum
US2132834A (en) * 1935-01-22 1938-10-11 Firestone Tire & Rubber Co Tire building form
US2073291A (en) * 1935-02-11 1937-03-09 Wingfoot Corp Collapsible tire building drum
US2182176A (en) * 1935-06-17 1939-12-05 Gen Tire & Rubber Co Apparatus for forming pneumatic tire casings
US2073729A (en) * 1936-07-16 1937-03-16 Akron Standard Mold Co Collapsible form
US2083289A (en) * 1936-08-14 1937-06-08 Akron Standard Mold Co Tire building form
US2123586A (en) * 1936-08-28 1938-07-12 Nat Rubber Machinery Co Tire building apparatus
US2145806A (en) * 1936-09-15 1939-01-31 Gen Tire & Rubber Co Tire building drum
US2214825A (en) * 1936-12-17 1940-09-17 Goodrich Co B F Tire building drum
GB491246A (en) * 1937-01-29 1938-08-29 Dunlop Rubber Co Improvements in collapsible segmental formers for tyre building
US2149604A (en) * 1937-02-02 1939-03-07 Frank L Johnson Collapsible form
US2168897A (en) * 1937-03-23 1939-08-08 Akron Standard Mold Co Tire building drum
US2190668A (en) * 1937-07-31 1940-02-20 Bell Telephone Labor Inc Diode oscillator
US2201468A (en) * 1937-09-10 1940-05-21 Akron Standard Mold Co Collapsible drum
US2353767A (en) * 1937-12-29 1944-07-18 Akron Standard Mold Co Tire building drum
US2201469A (en) * 1938-03-07 1940-05-21 Akron Standard Mold Co Collapsible form
US2339543A (en) * 1940-10-10 1944-01-18 Firestone Tire & Rubber Co Collapsible form
US2335169A (en) * 1941-04-19 1943-11-23 Akron Standard Mold Co Tire-making drum
US2325001A (en) * 1942-06-06 1943-07-20 Firestone Tire & Rubber Co Collapsible form
US2367772A (en) * 1942-07-21 1945-01-23 Goodrich Co B F Building form
US2488863A (en) * 1942-08-26 1949-11-22 Wingfoot Corp Apparatus for building tires
US2394464A (en) * 1942-10-03 1946-02-05 Dunlop Tire & Rubber Corp Tire building machine
US2367831A (en) * 1942-11-24 1945-01-23 Firestone Tire & Rubber Co Collapsible form
US2382672A (en) * 1942-12-24 1945-08-14 Nat Standard Co Tire bead former
US2413445A (en) * 1944-06-09 1946-12-31 Goodrich Co B F Tire building form
US2464020A (en) * 1944-06-14 1949-03-08 Gen Tire & Rubber Co Tire building machine
US2416523A (en) * 1944-09-01 1947-02-25 Goodrich Co B F Expansible band-building drum
US2488862A (en) * 1946-07-12 1949-11-22 Wingfoot Corp Tire building core
US2514215A (en) * 1947-02-26 1950-07-04 Firestone Tire & Rubber Co Tire building drum
US2479027A (en) * 1947-08-07 1949-08-16 Goodrich Co B F Drum collapsing apparatus for tire building
US2598655A (en) * 1948-05-28 1952-05-27 Goodrich Co B F Apparatus for vulcanizing endless belts
US2569935A (en) * 1948-10-14 1951-10-02 Goodrich Co B F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omposite tire articles
US2603580A (en) * 1949-07-07 1952-07-15 Us Rubber Co Tire building drum
US2565071A (en) * 1949-10-28 1951-08-21 Nat Standard Co Tire building machine
US2603581A (en) * 1949-12-13 1952-07-15 Us Rubber Co Tire building drum
US2583650A (en) * 1950-02-25 1952-01-29 Us Rubber Co Collapsible building drum
US2614057A (en) * 1951-02-21 1952-10-14 Us Rubber Co Tire building drum
US2614951A (en) * 1951-02-24 1952-10-21 Gen Tire & Rubber Co Pneumatic tire building drum
US2655977A (en) * 1951-09-21 1953-10-20 Us Rubber Co Collapsible building drum
US2715931A (en) * 1952-10-10 1955-08-23 Goodyear Tire & Rubber Drum assembly for tire building machine
US2743760A (en) * 1952-12-08 1956-05-01 Continental Gummi Werke A G Fa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tire casings
US2715933A (en) * 1953-03-04 1955-08-23 Goodyear Tire & Rubber Tire building drum
US2715932A (en) * 1953-03-04 1955-08-23 Goodyear Tire & Rubber Tire building drum
US2980160A (en) * 1956-05-08 1961-04-18 Akron Standard Mold Co Tire building drum
US2926721A (en) * 1956-10-02 1960-03-01 Goodyear Tire & Rubber Tire building drum
US2935117A (en) * 1957-08-28 1960-05-03 Jesse R Crossan Tire building drum
DE1115914B (de) * 1958-12-20 1961-10-26 Dunlop Rubber Co Aufbautrommel fuer Fahrzeugreifen
FR1242880A (fr) * 1959-06-25 1960-10-07 Kleber Colombes Tambour de confection de pneumatique
NL253095A (ko) * 1959-07-03
NL122720C (ko) * 1960-02-09
NL272625A (ko) * 1960-12-19
NL286945A (ko) * 1961-12-19
NL290219A (ko) * 1962-03-21
NL295564A (ko) * 1962-08-01
US3442747A (en) 1963-04-26 1969-05-06 Firestone Tire & Rubber Co Collapsible tire building drum
US3388024A (en) * 1964-01-17 1968-06-11 Uniroyal Inc Tire carcass building drum
DE1262582B (de) * 1964-04-27 1968-03-07 Continental Gummi Werke Ag Segmenttrommel zum Aufbauen von Reifenkarkassen
US3405023A (en) * 1964-05-19 1968-10-08 Goodrich Co B F Tire building drum
GB1050820A (ko) * 1964-08-19
AT258145B (de) * 1964-11-24 1967-11-10 Herbert Maschf L Reifenaufbautrommel
US3485692A (en) 1965-06-21 1969-12-23 Nat Standard Co Tire building drum and method of building pneumatic tires
AU414963B1 (en) 1966-04-13 1971-07-15 The Olympic Tyre & Rubber Company Proprietary Limited Improvements in and connected with tyre building apparatus
US3485700A (en) 1966-07-20 1969-12-23 Ralph F Cooper Tire building drum
FR1510912A (fr) 1966-11-15 1968-01-26 Tambour de galbage pour la confection d'enveloppes de pneumatiques
BR6794587D0 (pt) 1966-12-22 1973-06-12 Pirelli Tambor para a confeccao de carcacas de pneumaticos
US3430883A (en) * 1967-06-14 1969-03-04 Egan & Co Frank W Expansible mandrel
US3531356A (en) 1967-11-22 1970-09-29 Gen Tire & Rubber Co Expansible drum for the assembly of certain inextensible tire components
DE1942579A1 (de) * 1969-08-21 1971-05-13 Leonhard Herbert Maschinenfabrik, 6000 Bergen Enkheim Reifenbaumaschine
US3644162A (en) 1970-07-06 1972-02-22 Goodyear Tire & Rubber Tire-building drum
US3785894A (en) * 1971-10-12 1974-01-15 Goodyear Tire & Rubber Tire building drum
US4210482A (en) * 1978-10-25 1980-07-01 Eaton Corporation Variable width tire building drum
JPS6244433A (ja) * 1985-08-23 1987-02-26 Bridgestone Corp タイヤ成形ドラム
US5066354A (en) * 1990-05-25 1991-11-19 Cooper Tire And Rubber Company Building drum for a tire belt-tread stock pack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52102B2 (en) 1994-08-11
NZ250111A (en) 1995-06-27
CA2106732A1 (en) 1994-05-05
JPH06198765A (ja) 1994-07-19
JP2548082B2 (ja) 1996-10-30
US5320701A (en) 1994-06-14
KR940011160A (ko) 1994-06-20
EP0602783A1 (en) 1994-06-22
AU4875093A (en) 1994-05-19
CN1105630A (zh) 1995-07-26
CA2106732C (en) 1996-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6454B1 (ko) 타이어 제작용 드럼
US4220494A (en) Tire building drum
US9662847B2 (en) Tire building drum having sequenced segment expansion
US5203947A (en) Radially expandable tire forming drum
CA2408153C (en) Expandable mandrel having adjustable width
JPS5938097B2 (ja) タイヤクミタテソウチ
US5164035A (en) Tire building apparatus
US3536566A (en) Tire building apparatus
US5207849A (en) Method and device for stitching multilayer products of green elastomeric material
US3018518A (en) Apparatus for expanding one end of a cylindrical air spring into flared form
US5547538A (en) Metal forming module for a building drum
CA1278736C (en) Tire building former
JP6933928B2 (ja) タイヤ組立てドラム用の中心機構
SU1754472A1 (ru) Дополнительный барабан дл сборки покрышек пневматических шин
CN219486653U (zh) 一种轮胎成型胎圈锁圈装置
SU593383A1 (ru) Барабан дл сборки покрышек пневматических шин
JP2006076046A (ja) タイヤ成型装置
SU110668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борки и формовани покрышек пневматических шин
SU575831A1 (ru) Барабан дл сборки покрышек пневматических шин
JP2016203496A (ja) 空気入りタイヤの成形装置
US2971559A (en) Apparatus for making pneumatic air springs
RU2132779C1 (ru) Барабан для сборки покрышек пневматических шин
JP2006044035A (ja) タイヤ成型装置
SU1103457A1 (ru) Барабан дл сборки покрышек пневматических шин
JP2003080613A (ja) タイヤのベルト層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4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