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289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289B1
KR970006289B1 KR1019930029228A KR930029228A KR970006289B1 KR 970006289 B1 KR970006289 B1 KR 970006289B1 KR 1019930029228 A KR1019930029228 A KR 1019930029228A KR 930029228 A KR930029228 A KR 930029228A KR 970006289 B1 KR970006289 B1 KR 970006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image
main body
photosensitive drum
form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9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5721A (ko
Inventor
오오노 아끼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미따라이 하지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미따라이 하지메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15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5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2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1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relating to dr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78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47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15/015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onto which the monocolour toner images are superposed before common transfer from the recording member
    • G03G15/0163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onto which the monocolour toner images are superposed before common transfer from the recording member primary transfer to the final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Printers Or Record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And Radiation Means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살표(A) 방향으로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 중의 하나를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장치 본체로부터 분리된 공정 유니트의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화살표(B) 방향으로 도시되고 공정 유니트가 장치의 본체에 장착되도록 화상 형성 스테이션이 장치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
제5도는 제1도의 화살표(B) 방향으로 도시된 장치 본체에 장착된 공정 유니트를 도시하는 도면.
제6도는 제1도의 화살표(A) 방향으로 도시되고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현상-세척 유니트가 장치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제8도는 장치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현상-세척 유니트와 감광 드럼을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감광 드럼 2 : 광선
3 : 대전 장치 4 : 현상 장치
4' : 현상제 슬리브 5 : 기록 매체
6 : 전사 장치 7 : 세척기
8 : 전하 제거 장치 9 : 벨트
13 : 드럼 축 13' : 드럼 축의 단부
18 : 딥 시트
101 : 화상 형성 스테이션 또는 공정 유니트
118, 119, 1021, 1022 : 드럼 지지체
1001 : 공정 유니트 지지체 또는 프레임 지지체
1002, 1003 : 레일 부재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등에 사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술을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공지되어 있으며, 또한 감광 드럼을 균일하게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수단과, 대전된 감광 드럼에 빛을 조사(illuminate)함으로써 잠상을 형성하는 노출 수단과, 현상제로써 잠상을 가시화하기 위한 현상 수단과, 그리고 가시화된 화상을 감광 드럼으로부터 기록 매체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 수단과 같은 화상 형성 수단이 주위에 제공된 화상 보유체(image bearing body)로서 작용하는 감광 드럼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현상 수단은 예를 들면 현상제 슬리브로부터 감광 드럼에 현상제를 분무한다. 선택적으로, 이 현상제는 감광 드럼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현상제 슬리브상에 브러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어쨌든, 양호한 현상 특성을 얻기 위하여 현상제 슬리브의 표면과 감광 드럼의 표면 사이의 미세한 간격(clearance)은 아주 정밀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현상제 슬리브의 양단부에 롤러를 구비한 현상 수단은 실용적으로 사용되어 왔고, 이 롤러의 직경은 현상제 슬리브의 직경보다 크다. 감광 드럼의 표면과 현상제 슬리브의 표면 사이의 기설정된 간격을 얻기 위하여 롤러들은 감광 드럼의 각각의 단부와 접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스페이서 롤러가 감광 드럼과 접촉하고 있는 구성에 있어서, 현상제 슬리브가 구동될 때 발생하는 기계적 진동은 이 롤러를 통해 감광 드럼에 전달되게 된다. 그럼으로써, 이 진동은 감광 드럼의 정상(stationary) 회전을 방해하는 부하로서 작용하게 된다. 그 결과로, 결과적인 화상은 피치의 불균일, 화상의 확장 또는 축소 등에 의한 결함이 생기게 된다. 특히 다수의 공정 유니트를 구비한 원색(full-color)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에, 상기 피치의 불균일과 화상의 확장 또는 축소 등의 결함은 화상이 불규칙적으로 채색되고 얼룩지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 보유체에 근접 배치된 화상 형성 수단은 매우 정밀한 화상 보유체로서 작용해야만 하고, 이 화상 보유체는 이 화상 형성 수단에 의해 쉽게 요동(shake)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제 슬리브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기계적 진동이 현상제 슬리브로부터 화상 보유체로 전달되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치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화상 보유체와 현상 수단이 화상 보유체의 회전축에 의해 위치가 결정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페이서 롤러 등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단지 화상 보유체와 현상 수단을 장치 본체에 장착함으로써 화상 보유체의 표면과 현상제 슬리브의 표면 사이의 거리를 기설정된 치수로 조절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후속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제1도는 다수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을 구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 중의 하나를 제1도의 화살표(A)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제3도는 장치 본체로부터 분리된 공정 유니트의 단면도이고, 제4도는 공정 유니트가 장치 본체에 장착될 수 있도록 이 장치로부터 인출된 화상 형성 스테이션을 제1도의 화살표(B) 방향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그리고 제5도는 장치 본체에 장착된 공정 유니트를 제1도의 화살표(B) 방향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제, 본 실시예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을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보유체로서 작용하는 4개의 감광 드럼(1, 즉 1a 내지 1d)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감광 드럼들은 상기 장치 내에 개별적으로 정렬되어 있다. 이들 감광 드럼(1)은(도시되지 않은) 각각의 레이저 주사 시스템(laser scanning s ystem)에서 나온 광선(2a 내지 2d)로써 조사된다. 각 감광 드럼(1)의 주위에는, 감광드럼(1)의 표면을 전기 대전시키기 위한 주 대전 장치(3, 즉 3a 내지 3d)와, (각각 마젠타색, 사이얀색, 황색, 흑색용의) 현상 장치(4, 즉 4a 내지 4d)와, 감광 드럼(1)에 보유되어 있는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5) 상으로 전사하기 위한 전사 장치(6, 즉 6a 내지 6d)와, 감광 드럼(1) 상의 잔여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기(7, 즉 7a 내지 7d)와, 그리고 감광 드럼(1) 상의 잔여 전하를 없애기 위한 전하 제거 장치(8, 즉 8a 내지 8d)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언급한 장치들과 함께 감광 드럼(1a 내지 1d)는 각각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101a 내지 101d)를 구성하고 있다.
제1도에 있어서, 컨베이서 수단인 벨트(9)는 기록 매체(5)를 하나씩 각각의 감광 드럼(1)의 전사 위치로 이송시키고, 시트 공급 수단은 또한 기록 매체(5)를 벨트(9)에 공급하고 정착 수단(11, fixing means)은 기록 매체(5) 상에 중첩된 토너 화상을 정착시키고, 그리고 방출 수단(12)는 정착 후에 기록 매체(5)를 방출시킨다.
이제부터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 방법을 설명하겠다.
먼저, 대전 장치(3)은 감광 드럼(1)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킨다. 그리고 나서, 감광 드럼(1)의 대전된 표면은 원색 화상의 정보에 해당하는 레이저 광선(2)로써 조사된다. 따라서, 정전기적 잠상이 감광 드럼(1)의 표면상에 형성된다. 이어서, 현상 장치(4) 내에 보유된 토너가 감광 드럼(1) 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감광 드럼(1)에 공급된다. 전사 장치(6)은 벨트(9)에 의해 전사 위치로 이송된 기록 매체(5)에 토너 화상을 전사시킨다.
이 4개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101)은 상기 언급한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기록 매체(5) 상에 4색의 토너 화상을 중첩시킨다. 그후에, 이 기록 매체(5)는 기록 매체상에 최종의 원색 화상을 형성하도록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한 정착 수단(11)을 통과하게 된다. 이들 4개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101)의 모두를 이용할 필요가 없다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 예를 들면, 이 장치는 또한 단색 화상을 형성할 수도 있다.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상에 전사한 후에, 감광 드럼(1) 상의 잔여 토너는 세척기에 의해 제거되고, 뿐만 아니라 잔여 전하는 전하 제거 장치(8)에 의해 제거된다.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요소들 중에서, 상기 드럼(1) 상에서 화상 형성 수단으로서 상기 언급한 방법에 사용되는 감광 드럼(1), 현상 장치(4)와 세척기(7)은(이후로는 공정 유니트로 명명될) 유니트(101)로서 일체로 지지되고 있다. 전술한 다른 장치와 함께 4개의 공정 유니트(101, 즉 101a 내지 101d)는 기록 매체(5)가 연속적으로 이송될 각각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 즉 마젠타색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제1스테이션, 사이얀색 화상용 제2스테이션, 황색 화상용 제3스테이션, 그리고 흑색 화상용 제4스테이션을 구성한다.
이들 4개의 공정 유니트(101)은 프레임형 공정 유니트 지지체(1001)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이 공정 유니트 지지체(1001)은 장치 본체에 대해 돌출 및 후퇴(protrusile and retractile)할 수 있는(예컨대 활형 레일과 같은) 레일 부재(1002,1003)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이 공정 유니트 지지체(1001)은[제4도의 화살표(16')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도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장치 본체로서 인출될 수 있다. 이 공정 유니트(101)은 인출된 지지체(1001)에 대해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다[이것들은 제4도의 화살표(14)로 표시된 방향으로 장착된다].
제4도는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된 공정 유니트 지지체(1001)을 도시하고 있다. 제4도에 있어서, 이 공정 유니트 지지체(1001)의 전방판(1011)과 후방판(1012)는 스테이(stay, 1015)에 의해 연결되고 있다. 이들 3개의 부품은 프레임을 형성한다.
서술한 바와 같이 제4도에 있어서, 활형 레일(1002,1003)에 의해 지지된 공정 유니트 지지체(1001)은 장치 본체의 전방판(15)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어 있고, 이 경우에 장치 본체에 고정된(회전축인) 드럼축(13)의 단부(13')은 공정 유니트 지지체(1001)의 후방판(1012) 내에 있는 축 구멍(1014)에 고정되게 된다. 이 공정 유니트(101)은 인출된 공정 유니트 지지체(1001) 상에 장착되도록 화살표(14)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려 놓이게 된다.
이어서, 4개의 공정 유니트(101)을 지지하는 이 지지체(1001)은 공정 유니트(101)을 기설정된 위치로 각각 위치시키도록 화살표(16)으로 도시된 방향으로 활주된다.
각각의 색상용의 4개의 공정 유니트(101)을 지지하는 공정 유니트 지지체(1001)은 화살표(16) 방향으로 활주되고, 공정 유니트(101)의 후방판(115)의 베어링(99, 제2도 및 제3도 참조)는 장치 본체에 고정된 드럼축(13)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된다. 공정 유니트 지지체(1001)이 화살표(16)의 방향으로 추가적으로 압착될 때, 이 드럼 축(13)은 감광 드럼(1)의 플랜지(1',1)를 관통하게 되고 이어서 공정 유니트 지지체(1001)의 전방판(1011) 내의 베어링(1013)을 관통하게 된다.
동시에, 공정 유니트 지지체(1001)의 전방판(1011) 내에 구비된 핀(1016)은 장치 본체의 전방판(15) 내에 있는 구멍(15')와 결합되고, 또한 공정 유니트(101)의 핀(104)는 장치 본체의 후방판(17)의 구멍(17')와 결합되게 된다(제2도, 제4도 및 제5도 참조). 상기 언급한 작업이 종료할 때, 각 색상용의 공정 유니트(101)은 각각의 드럼 축(13)과 장치 본체에 대하여 위치되게 된다.
제3도에 의하면, 각 공정 유니트(101)은, 감광 드럼(1), 현상 장치(4), 세척기(7), 및 전방판과 후방판 등과 같은 것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베어링(116,99)는 각각 공정 유니트(101)의 전방판(114)와 후방판(115)에 끼워져 있다. 여기서, 감광 드럼(1)의 플랜지(1',1)는 각각 전방파나(114)에 고정된 드럼 지지체(118)과 후방판(115)에 고정된 드럼 지지체(119)에 의해 유격(play)을 갖고서 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공정 유니트(101) 내의 감광 드럼(1)은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도와 같이 전술한 바에 의하면 공정 유니트(101)이 장치 본체에 장착되어 있을 때, 감광 드럼(1)과 현상 장치[4, 및 세척기(7)]는 드럼 축(13)에 의해 분리되어 위치되게 된다. 감광 드럼(1)과 현상 장치(4)가 드럼 축(13)에 의해 위치가 결정될 때, 감광 드럼(1)과 현상 장치(현상제 슬리브) 사이의 거리는 드럼 축(13)의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는 고정되게 된다.
다시 말하면, 공정 유니트(101) 내의 현상 장치[4, 및 세척기(7)]는 드럼 축(13)에 의해 베어링을 통하여 위치되게 되고, 감광 드럼(1) 역시 드럼 축(13)과 결합하는 감광 드럼(1)의 개별 단부에 구비된 플랜지(1',1)에 의해 위치되게 된다. 따라서, 공정 유니트(101) 내에 있는 현상 장치[4, 및 세척기(7)]와 감광 드럼(1)은 드럼 축(13)에 의해 분리되어 위치되게 된다. 더욱이, 베어링(116,99)는 볼 베어링이거나 또는 미끄럼 베어링일 수도 있다. 설명한 것처럼, 공정 유니트(101)에서, 감광 드럼(1)에 대한 현상 장치(4) 및 세척기(7)의 위치는, 즉 현상 장치(4)의 현상에 슬리브 사이의 간격, 세척기(7)의 세척 블레이드의 접촉 압력 및 접촉각은 아주 정밀하게 결정되고 있다.
또한,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현상제 슬리브가 감광 드럼(1)과의 접촉없이도 공정 유니트(101) 내에서 유지될 수 있으므로 현상 장치(4)의 현상제 슬리브(4')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이 감광 드럼(1)의 정상 회전을 방해하는 부하로서 작용하지는 않는다. 또한, 공정 유니트(101)이 구동될 때 일어나는 기계적 진동은 감광 드럼(1)에 직접 도달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화상 피치의 불균일, 얼룩진 색상 및 불규칙한 색상이 방지되어 양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제2도에 있어서, 공정 유니트(101)의 판(114,115)에 각각 고정된 드럼 지지체(118,119)는 감광 드럼(1)이 공정 유니트 지지체(1001)에서 분리된 공정 유니트(101)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제2도에 의하면, 공정 유니트(101) 내에 있는 감광 드럼(1)은 드럼 지지체(118,119)로부터 분리된다. 특히, 감광 드럼(1)은 드럼 지지체(118,119)와 느슨히 결합되어 있고, 공정 유니트(101)이 장치 본체상에 장착되어 있을 때 감광 드럼(1)과 결합된 드럼 축(13)에 의해 드럼 지지체와 분리되게 된다.
드럼 축(13)에 구비된 핀(13)은 드럼 축(13)의 토크를 감광 드럼(1)에 전달시키기 위한 구동 핀이다. 공정 유니트(101)이 장치 본체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핀(13)는 감광 드럼(1)의 전방 플랜지(1')의 장홈(ditch, 1) 내에 갇히게 된다. 장치 본체 내에 구비된(도시되지 않은) 구동력원은 드럼 축(13)에 토크를 가하여 회전시킨다. 또한 공정 유니트(101)이 장치 본체에 장착되어 있을 때, 드럼 축(13)을 회전시키는 동일한 구동력원이 현상제 슬리브(4', 제3도 참조)에 토크를 가하여 회전시킨다. 현상제 슬리브(4')이 드럼 축(13)으로부터 토크를 받지는 못하지만 현상제 슬리브(4')을 회전시키는 토크는 드럼 축(13) 외의 다른 경로로 전달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감광 드럼(1)과 현상제 슬리브(4') 사이에 직접 토크가 전달되어서도 안되고, 또한 감광 드럼(1)의 표면과 현상제 슬리브(4')이 표면 사이의 간격이 기설정된 값으로 조절되도록 접촉 롤러가 현상제 슬리브(4')에 제공되어서도 안된다. 그래서, (회전체인) 현상제 슬리브(4')의 표면은 감광 드럼의 표면과 전혀 접촉하지 않는다(제3도 참조).
또한, (제4도 및 제5도의) 핀(1016)은 공정 유니트 지지체(1001)을 장치 본체에 고정시키나, (제2도 내지 제5도의) 핀(104)는 공정 유니트(101)이 드럼 축(13)의 회전 중에 회전하지 않도록 장치의 본체에 고정된다.
전술한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 화상 보유체가 화상 보유체 상에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한 화상 형성 수단은 장치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유니트로서 통합된다.
그러나, 후술할 제2실시예에 있어서, 장치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화상 보유체 및 화상 형성 수단은(통합되지 않고) 개별적이다. 이 경우, 만약 상기 요소 중의 하나가 수명이 다하여도 나머지 하나를 같이 제거(dispose)해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들 요소들은 경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후속 설명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들로 지칭된다.
제6도 내지 제8도에 있어서, 현상 장치(4)와 세척기(7)은(이후로 현상-세척 유니트로 명명될) 유니트(201)로서 통합된다. 4개의 현상-세척 유니트(201)은 프레임 지지체(1001)에 의해 지지된다. 이 프레임 지지체(1001)은 이 장치의 본체에 대해 돌출 및 후퇴할 수 있는(활형 레일과 같은) 레일 부재(1002,1003)에 의해 지지된다.
이 프레임 지지체(1001)은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각기 개별적으로 제공된 이 현상-세척 유니트(201)과 감광 드럼(1)은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된 프레임 지지체(1001) 상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감광 드럼(1)이 여전히 프레임 지지체(1001) 내에 있는 동안에 현상-세척 유니트(201)이 드럼 축(13)의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당겨져서 인출된 프레임 지지체(100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상이하다.
제6도에 있어서, 프레임 지지체(1001)의 전방판(1011)과 후방판(1012)에 고정된 드럼 지지체(1021,1022)는 감광 드럼(1)이 드럼 축(13)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감광 드럼(1)을 각각 느슨히 지지하고 있다.
제7도는 인출된 프레임 지지체(1001)로부터 [화살표(2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된 현상-세척 유니트(201)을 도시하고 있고, 프레임 지지체(1001)에 고정된 각각의 드럼 지지체(1021,1022)의 U자형 장홈에 끼워진 드럼의 플랜지(1',1)의 보스(boss)로써 지지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드럼 지지체(1021,1022)는 프레임 지지체(1001)이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될 때 감광 드럼(1)을 단지 지지하는 것이지 감광 드럼(1)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프레임 지지체(1001)이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감광 드럼(1)의 플랜지(1',1)의 보스가 개별의 지지체(1021,1022) 상에 놓인다(즉 접촉하게 된다).
제8도에 있어서, 감광 드럼(1)과 현상-세척 유니트(201)을 지지하고 있는 프레임 지지체(1001)은 감광 드럼(1)과 현상-세척 유니트(201)을 장치 본체에 장착시키도록 장치 본체 내로 활주된다. 여기서, 감광 드럼(1)이 장치 본체에 고정된 드럼 축(13)과 결합하는 드럼 플랜지(1',1)에 의해 결정됨에 따라 드럼 플랜지(1',1)의 보스가 드럼 지지체(1021,1022)의 U자형 장홈으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제8도에 있어서, 딥 시트(dip sheet, 18)은 현상-세척 유니트(201)이 해제될 때(제7도 참조) 세척기(7)의 블레이드에 잔류하여 블레이드로부터 낙하하는 토너를 수집하게 된다. 농도 감지 센서(19)는 감광 드럼(1)상에서 현상된 화상의 농도를 검출한다. 화상 형성 공정의 조건은 최대 농도치(Dmax)와 농도의 선형성 등을 얻기 위하여 농도 감지 센서(19)의 출력에 따라 변하고 수정된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 딥 시트(18)은 세척기(7) 상의 토너가 농도 감지 센서(19)로 낙하여 이 센서를 얼룩지게 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딥 시트(18)과 농도 감지 센서(19)는, 드럼 축(13)의 방향으로 프레임 지지체(1001)의 스테이(1015)의 레일(1015')을 따라 활주되어 분리되게 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된 감광 드럼(1)은 화살표(20)의 방향으로 위로 당겨져서 분리될 수 있다. 이 감광 드럼(1)과 현상-세척 유니트(201)은 장치 본체에 역순으로 재장착될 수 있다. 감광 드럼(1)과 현상-세척 유니트(201)을 프레임 지지체(1001)에 장착시킨 후에, 이 프레임 지지체(1001)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장치 본체 내로 이동되어 제6도 및 제8도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현상-세척 유니트(201)은 베어링(116,99)를 구비한 드럼 축(13)에 의해 위치 결정한다. 동시에, 감광 드럼(1)도 드럼 축(13)에 의해 위치 결정되고, 감광 드럼(1)의 각 단부에 구비된 드럼 플랜지(1',1)는 드럼 축(13)과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현상-세척 유니트(201)과 감광 드럼(1)은 드럼 축(13)에 의해 분리되어 위치되고 있다.
또한, 감광 드럼(1)과 현상 장치(4)의 현상제 슬리브(4')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동된다.
그래서, 현상제 슬리브(4')은 드럼 축(13)으로부터 토크를 받지 않으나 드럼 축(13) 외의 다른 경로를 통해 토크를 받는다. 그러므로, 감광 드럼(1)과 현상제 슬리브(4') 사이에 직접 토크가 전달되어서는 안되며, 또한 감광 드럼(1)의 표면과 현상제 슬리브(4')의 표면 사이의 간격을 기설정된 값으로 조절하기 위해 접촉롤러가 현상제 슬리브(4')에 구비될 필요도 없다. (회전체인) 현상에 슬리브(4')의 표면은 감광 드럼의 표면과 전혀 접촉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보유체를 지지하기 위해 장치 본체 내에 축을 구비하고, 이 축은 화상 보유체와 화상 형성 수단이 장치 본체 내의 개별 위치에 장착될 때 이것들을 분리하여 위치시킨다. 그러므로, 화상 형성 수단 내에서 발생하는 기계적 진동은 이 화상 보유체에 쉽게 전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동일한 기록 매체 상에 상이한 다수의 색상이 현상된 화상을 중첩시키는 완전 원색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될 때, 이 완전 원색 화상은 쉽게 얼룩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보유체와 화상 형성 수단 사이의 거리는 화상 보유체와 화상 형성 수단을 장치 본체에 제대로 장착하기만 하면 기설정된 값으로 쉽게 고정될 수 있고, 다른 스페이서 롤러가 불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경들도 포함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Claims (11)

  1. 장치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회전식 화상 보유체와 상기 화상 보유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화상 형성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이 본체가, 상기 화상 보유체를 회전 지지하고 상기 화상 보유체와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이 본체 내의 각각의 위치에 장착될 때 상기 화상 보유체와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을 위치 결정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 내의 구동력원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축에 토크를 전달하고, 상기 화상 보유체가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보유체와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이 회전축에 의해 지지될 때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상기 화상 보유체와 상기 화상 형성 수단 사이의 거리가 고정되는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의 프레임이 회전축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본체로부터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는 프레임 지지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이 프레임 지지체가 본체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화상 보유체가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이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화상 보유체와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이 프레임 지지체 내에 느슨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이 현상제를 상기 화상 보유체에 공급하기 위한 현상 장치를 포함하고, 이 현상 장치가 현상제를 보유하기 위한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의 상기 회전체가 슬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보유체와 상기 현상 장치가 본체 내에서 각각의 위치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회전체의 표면이 상기 화상 보유체의 표면과 전혀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이, 본체 내의 상기 구동력원에 의해 발생되고 상기 회전축 외의 다른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받을 때 이동하는 이동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보유체와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이 본체에 대해 개별적으로 장착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보유체와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이 장치 본체상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한 유니트로서 통합되고, 이 유니트 내의 상기 화상 보유체가 유니트의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19930029228A 1992-12-24 1993-12-23 화상 형성 장치 KR970006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729992 1992-12-24
JP92-357299 1992-12-24
JP93-308046 1993-12-08
JP30804693A JP3347438B2 (ja) 1992-12-24 1993-12-08 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721A KR940015721A (ko) 1994-07-21
KR970006289B1 true KR970006289B1 (ko) 1997-04-25

Family

ID=26565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9228A KR970006289B1 (ko) 1992-12-24 1993-12-23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534972A (ko)
JP (1) JP3347438B2 (ko)
KR (1) KR9700062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2691B2 (ja) * 1995-06-28 2002-03-04 富士通株式会社 伝導連結装置及びこの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3477964B2 (ja) * 1995-12-22 2003-12-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782807B2 (ja) * 2003-11-28 2006-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の取り付け方法
JP5081547B2 (ja) * 2007-09-10 2012-11-2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495116B2 (ja) * 2010-03-17 2014-05-2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17144948A (ja) 2016-02-19 2017-08-24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タルガトップ車両のルーフ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1786A (en) * 1980-06-16 1981-06-09 Pitney-Bowes, Inc. Electrophotocopier developer unit mounting system
US4432632A (en) * 1981-01-13 1984-02-21 Ricoh Company, Ltd. Apparatus for holding a recording member in the form of an endless belt in a recording system using the same
US4547059A (en) * 1981-10-28 1985-10-15 Ricoh Company, Ltd. Image-transfer-type electrostatic recording apparatus
DE3270803D1 (en) * 1981-11-30 1986-05-28 Hitachi Ltd Light beam printer
DE3329714A1 (de) * 1982-08-17 1984-02-23 Canon K.K., Tokyo Arbeitseinheit und damit ausgestattetes mehrfarben-abbildungsgeraet
JPS59105666A (ja) * 1982-12-09 1984-06-1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4866482A (en) * 1986-10-24 1989-09-12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device for electrostatic recording apparatus having a slidable replacement holding case
US4951093A (en) * 1987-12-18 1990-08-21 Konica Corporation Developing unit for an electrostatic recording apparatus
US5142322A (en) * 1988-04-05 1992-08-25 Surti Tyrone N Electrophotographic copier process kit having support brackets for providing disassembly of internal process components
JPH03101751A (ja) * 1989-09-16 1991-04-26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217074B2 (ja) * 1990-02-20 2001-10-0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KR940005127B1 (ko) * 1991-11-25 1994-06-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구동부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77849A (ja) 1995-03-20
KR940015721A (ko) 1994-07-21
JP3347438B2 (ja) 2002-11-20
US5534972A (en) 1996-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4617B1 (ko)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5365324A (en) Multi-image forming apparatus
KR100723557B1 (ko) 전자 사진 감광 드럼,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화상 형성 장치
JPH06110261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645313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10293437A (ja) 画像形成装置
KR970006289B1 (ko) 화상 형성 장치
CN101226351A (zh) 成像装置及其控制方法
EP1184737B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wo rollers for developing the same latent image on a photoconductor without abrasion
US7308220B2 (en) Belt unit of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JPH0618689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259009A (ja) 画像形成装置
JPS62229264A (ja) カラ−複写機
US5136330A (en) Irregular rotation prevention structure for photoconductive drum
JP2908500B2 (ja) カラー現像装置
JPH05188793A (ja) 画像形成装置
JPH05307283A (ja) 画像形成装置
JP3315451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4147274A (ja) 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58329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070305A (ja) 画像形成装置
JPH08110748A (ja) 画像形成装置
JP2865378B2 (ja) 画像形成装置
JP4380279B2 (ja) 画像形成装置
JP2620790B2 (ja) 多色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