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673B1 - 전기적 부하 활성화 및 모니터 장치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적 부하 활성화 및 모니터 장치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673B1
KR970004673B1 KR1019890700299A KR890700299A KR970004673B1 KR 970004673 B1 KR970004673 B1 KR 970004673B1 KR 1019890700299 A KR1019890700299 A KR 1019890700299A KR 890700299 A KR890700299 A KR 890700299A KR 970004673 B1 KR970004673 B1 KR 970004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plugs
plug
activating
semiconducto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0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1900A (ko
Inventor
페테르 바우에르 한스
베쎌 볼프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랄프 베렌스, 게오르그 뮐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랄프 베렌스, 게오르그 뮐러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890701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1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9/00Incandescent ignition, e.g. during start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ombination of incandescent and spark ignition
    • F02P19/02Incandescent ignition, e.g. during start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ombination of incandescent and spark ignition electric, e.g. layout of circuits of apparatus having glowing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9/00Incandescent ignition, e.g. during start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ombination of incandescent and spark ignition
    • F02P19/02Incandescent ignition, e.g. during start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ombination of incandescent and spark ignition electric, e.g. layout of circuits of apparatus having glowing plugs
    • F02P19/021Incandescent ignition, e.g. during start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ombination of incandescent and spark ignition electric, e.g. layout of circuits of apparatus having glowing plugs characterised by power delivery controls
    • F02P19/023Individual control of the glow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7/00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 F02P7/02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of distributors
    • F02P7/03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of distributors with electrical means
    • F02P7/035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of distributors with electrical means without mechanical switch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9/00Incandescent ignition, e.g. during start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ombination of incandescent and spark ignition
    • F02P19/02Incandescent ignition, e.g. during start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ombination of incandescent and spark ignition electric, e.g. layout of circuits of apparatus having glowing plugs
    • F02P19/021Incandescent ignition, e.g. during start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ombination of incandescent and spark ignition electric, e.g. layout of circuits of apparatus having glowing plugs characterised by power delivery controls
    • F02P19/022Incandescent ignition, e.g. during start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ombination of incandescent and spark ignition electric, e.g. layout of circuits of apparatus having glowing plugs characterised by power delivery controls using intermittent current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 Control Of Voltage And Current In General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전기적 부하 활성화 및 모니터 장치와 그 방법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시프트 레지스터로 설계된 순차 회로에 연결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장치의 기본 회로도이다.
제2도는 하나의 측정용 저항기만을 갖는 제1도에 따른 상기 장치의 기본 회로도이다.
제3도는 히터 플러그의 전원 제어에 따른 전류 및 전압의 변화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종래의 기술]
본 발명은 전기적 부하 활성화(energizing ; 구동) 및 모니터(monitering)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구 범위에 의해 한정된 히터 플러그(heater plugs)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기존 장치에 있어서는 차량의 내부 연소 엔진(디젤엔진)의 히터 플러그가 위상 천이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활성화된다. 이와 같이 활성화를 행하면 한 히터 플러스가 매번 스위치온될 때마다, 다음 플러그가 스위치온되기 전에 전류 상승이 사실상 감쇠되는 단점이 있다. 펄스 길이를 짧게 하여, 상기 플러그가 스위치온되기 전에 현재 플러그를 스위치 오프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차량 전원공급 시스템에서 고주파 간섭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장점]
특허청구의 범위의 제1항, 제20항 및 제21항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하부 활성화 및 모니터 장치와, 특허청구의 범위의 제9항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상기 장치에 의한 전기적 부하 활성화 및 모니터 방법은 전기적 부하, 즉 히터 플러그를 활성화시킬 때 사실상 연속적인 전류 상승이나 하강이 발생되도록 짧은 시간차(시간변위)를 두고 상기 부하를 온,오프시킴으로써 전원 공급 수단의 손상을 피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1ms의 지속기간을 가진 측정용 펄스를 가지고 원하는 시간 간격으로 히터 플러그를 활성화시키고, 측정용 저항기를 사용하여 상기 히터 플러그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히터 플러그가 개방 또는 단략되었는지를 테스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특정 시간동안 하나 이상의 히터 플러그를 동시에 활성화시킴으로써, 전압 공급 장치 즉 차량 전원 공급 장치의 고에너지 간섭 전압이 제거되는 이점이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종속항에서 언급된 조치는 상기 장치 및 방법을 더 개발 및 개선시킬 수 있다. 특히 각각의 부하, 즉 히터 플러그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2가지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 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원칙적으로, 상기 장치는 전기적 부하를 활성화하고 모니터링하는데 적합하다. 그러나, 자동적으로 제어되는 내부 연소 엔진(디젤엔진)을 가지고 있는 차량에서 히터 플러그를 활성화하고 모니터링하는데 사용하면 특히 유리하다. 4개의 히터 플러그를 가지고 있는 실시예를 아래에 설명한다.
간단화를 위해, 제1도에는 4개의 히터 플러그의 내부 저항(RK)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내부 저항의 제1단부는 접지에 접속되어 있는 제1도선(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내부 저항의 제2단부는 반도체 스위치(3)에 접속되어 있고, 이 반도체 스위치는 측정용 저항기의 역할을 하는 저항기(R)를 통해 제2도선(5)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제2도선(5)은 전원 공급 장치, 즉 차량 전원 공급 시스템, 예를 들면 동작중에 예컨대 12~14[V] 정도의 전압이 공급되는 단자(15)에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에, N 채널 인헨스먼트(enhancement) MOSFET가 상기 반도체 스위치로서 사용된다. 다른 반도체 파워 스위치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FET의 소스(S) 및 기판 즉 벌크(B)는 함께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히터 플러그의 내부 저항(RK)의 제2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FET의 드레인 전극(D)은 접합접(7)에 접속되어 있고, 이 접합접(7)에서 이 반도체 스위치는 측정용 저항기(R)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G)은 여기에서 시프트 레지스터(9)로 도시된 다단식 순차 회로에 연결되어 있다. 시프트 레지스터(9)를 4개의 부분으로 분할한 것은 시프트 레지스터의 각단, 즉 각각의 플립플롭이 FET(3)에 할당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측정용 도선(11)은 상기 접합점(7)으로부터 신호 추정회로, 즉 저전류/고전류 검출회로(12)까지 접속되어 있으며, 이 회로(13)는 상기 접합점(7)에 존재하는 전위를 결정하고, 이 전위와 도선(1) 및 / 또는 도선(5)에 존재하는 전위를 저전류/고전류 비교기로 비교한다. 신호도선(15)은 검출회로(13)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17)까지 접속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구동도선(19)을 통해 시프트 레지스터(9)에 접속되어 있다. 이때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제2도는 상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서로 대응되는 소자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제2도는 히터 플러그의 직렬 접속을 도시하며, 간단화를 위해 그 히터 플러그의 내부 저항(RK)만이 도시되어 있고, 반도체 스위치는 N채널 인헨스먼트 MOSFET(3)로서 구성되어 있다. 모든 FET(3)의 드레인 전극(D)은 상기 접합점(7)에 함께 연결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접합점과 제2도선(5) 사이에는, 측정용 저항기의 역할을 하는 단지 1개의 저항기(R)만이 존재한다. 이 회로 변경에 의하여, 단지 하나의 접속 도선(11)만이 저 전류/고 전류 검출 회로(13)에 접속되어 있다.
제3도는 4개의 히터 플러그를 통해 흐르는 전류(IK1내지 IK4)의 시간에 따른 변화가 서로 다른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2도에 도시된 저항기(R)의 양단 전압(UR)의 변화가 도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전압이 상기 저항기(R) 양단에서 측정이 행해지는 시간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히터 플러그가 스위치 오프되어 있는 동안에는 상기 전압 측정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다. 이것은 점선 표시에 의해 명백해진다.
이제, 상기 장치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예열중에, 모든 히터 플러그는 대략 800 내지 1000℃의 온도가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전원 공급 장치, 즉, 차량 전원 공급 시스템은 고전압을 공급해야 한다. 모든 히터 플러그가 동시에 활성화되면, 상기 차량 전원 공급시스템 전압이 크게 떨어진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상천이 활성화에 의해, 고주파 간섭 전압이 차량 공급시스템에서 발생된다. 그러므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히터 플러그들은 시간차를 두고 마이크로프로세서(17)에 의해 활성화된다. 이것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저장되어 있는 적당한 프로그램에 의해, 또는 본 실시예에서 시프트 레지스터(9)로 구성된 다단식 수차 회로를 가지고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상기 시프트 레지스트(9)의 각각의 단은 반도체 스위치의 역할을 하는 FET(3)에 할당되어 있다. 즉, 상기 FET(3)의 게이트(G)는 이들 FET가 도통 상태로 전환되도록 시프트 레지스터(9)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고, 이에 따라, 전압 전달 도선(5)에 히터 플러그(RK)가 접속된다. 상기 FET(3)는 히터 플러그가 시간차를 두고 빠르게 순차적으로 온되도록 활성화되며, 이에 따라 스위치 온 동안에는 한 히터 플러그의 전류상승은 다음 히터 플러그의 스위치온시에도 완전하게 종결된 상태가 아니다.
이 방법으로, 의사(quasi)정상 상태 전류 상승이 행해진다.
상기 히터 프러그의 스위칭 오프 과정은 이와 대응하는 방법으로 제어된다. 즉, 한 히터 플러그의 전류 감소가 감쇄되기 전에, 다음 히터 플러그가 사실상 연속적으로 전류 감소가 행해지도록 스위치 오프된다. 이로인해, 댐프(damped) 동작이 얻어진다.
상기 예열 동작은 연속적으로 시작되고 종료되며, 이에 따라 차량 전원 공급 시스템에서 고주파 간섭 신호는 발생되지 않게 된다.
플러그 전류를 측정함으로서, 예컨대 단락이나 개발과 같은 히터 플러그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FET(3)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4개의 저항기(R)와, 상기 플러그의 내부 저항(RK)은 제1도에 따라 이 목적을 달성한다. 상기 저항기(R) 양단 전압은 측정용 도선(11)을 통해 저전류/고전류 검출 회로(13)에 의해 측정된다. 이 검출회로(13)는 개별적인 비교기로서 설계된 여러개의 저전류 또는 고전류 비교기를 가지고 측정된 값을 바람직하게 추정하고, 대응 출력 신호를 신호 도선(15)을 통해 마이크로 프로세서(17)에 전달한다. 상기 측정용 도선(11)은 상기 검출 회로(13)에 출력신호를 전송하는 OR 회로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OR 회로는 또한 상기 검출 회로(13)에 포함될 수 있다.
제2도에는 단지 하나의 측정용 저항기(R)만이 제공되어 있는 상기 장치가 도시되어 있고, 이 저항기(R)는 모든 플러그와 FET(3)의 병렬 회로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측정용 도선(11)의 개수가 1개로 줄었다. 따라서, 상기 검출 회로(13)에는 1개의 비교기만이 제공되어 있다.
개방여부를 검출하기 위하여, 차량 동작중에 매우 짧은 시간 동안에, 바람직하게는 1ms 동안에, 소정 간격으로 발열없이 상기 히터 플러그는 순차적으로써 스위치온된다. 상기 플러그들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저항(R)에 의해 강하된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측정되어진다. 이와 동시에, 검출 회로(13)에서는 상기 저항기(R)에 의해 강하된 전압을 개별적으로 샘플링할 필요도 없고, 이들을 저전류 비교기로서 설계된 각각의 비교기에 공급할 필요도 없는데, 상기 신호의 OR 접속이 특정 임계 전류의 초과 여부를 결정하기에 충분하기 때문이다. 제1도 및 제2도의 두 실시예는 저 전류 검출에 적합하다.
중요한 점은, 활성화 도선(19)을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17)에 의해 행해지는 플러그의 활성화 때문에 상기 경우에서, 어느 플러그가 방금 활성화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방법으로, 개방, 즉 매우 낮은 전압 또는 전류 값이 OR 상호 접속으로부터 인식될 가능성없이 플러그에 할당될 수 있다.
차량 동작중에 글로(glow)없이, 매우 짧은 시간동안에, 바람직하게는 1ms 동안에, 소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저전류 검출을 행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플러그를 스위치온시킴으로써 고전류 비교기로서 설계된 검출회로(13)의 각각의 비교기에 의해 저항기(R)에 의해 강하된 전압을 측정하여, 플러그의 단락을 검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마이크로프로세서(17)에 의한 시간에 대한 활성화의 기존 할당 때문에, 상기 측정용 신호들의 OR 상호 접속은 또한 이 경우에 두 실시예가 고전류 검출용으로 상요되도록 하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 저전류 검색시보다 높은 임계전류가 선택된다.
또한, 상기 플러그들의 단락은 예열 동안에 검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히터 플러그들은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스위치온되게 된다. 시간에 대한 스위치온 처리의 할당 때문에, 고전류가 발생되면 결함있는 플러그가 인식될 수 있다.
모든 플러그가 스위치온 될 때 한 플러그의 단락만이 발생되면, 제1도에 따라 모든 플러그에 각각의 븐류기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지 특정 플러그에 고전류, 즉 단락이 할당될 수 있다.
제1도의 측정용 도선(11)들이 OR 소자에 의해 상호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검출 회로(13)는 어느 플러그가 단락되었는지를 검출할 수 없다. 이 경우에는, 모든 플러그가 먼저 스위치 오프된 후에, 시간차 스위치온 프로세스에 의해, 결함이 있는 플러그가 검출된다.
제2도에 따른 회로에 있어서, 모든 플러그가 스위치온된 후에 결함이 발생되면 어느 플러그에 결함이 있는지를 처음에는 알 수 없다.
이 경우에도, 역시, 고전류가 발생하면 모든 플러그가 먼저 스위치 오프된 후, 바람직하게는 1ms 지속기간을 가진 펄스를 가지고 어느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활성화되는데, 이때에는 각 경우에 있어서 단지 하나의 FET(3)만이 도통 상태로 설정된다. 고전류가 발생될 때, 어느 플러그가 활성화되었는지가 알려지므로, 결함있는 플러그는 인식될 수 있다.
제1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측정용 저항기 역할을 하는 저항기(R) 대신에, 반도체 스위치의 벌크 저항을 히터 플러그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소스 전극(S)에 존재하는 전위가 측정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예컨대 홀(Hall) 센서와 같은 기타 다른 전류 측정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결함있는 플러그의 결함 검출 및 인식은 시각적 및/또는 음향적 결함지시와 조합될 수 있다.
결함있는 플러그는 자유롭게 설정가능한 순차 회로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스위치 오프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차량 전원 공급 시스템에서의 간섭은 엔진을 즉시 차단하지 않고도 피할 수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따른 장치는 또한 간섭 전압을 제거하는데에도 적합하다. 차량에서는, 고에너지 간섭 전압, 예컨대 소위 부하 덤프 펄스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 펄스는 0.5 내지 4(Ω)의 내부 저항에 대해 수백밀리초에 걸쳐서 최고 120(V)의 전압인 것으로 추정된다. 전자 제어 장치의 파손을 일으키는 그러한 펄스를 억제하기 위해서, 여기에서는 간섭 신호 소스의 에너지를 열로 변환하는 보호 제너 다이오드를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크고 비싼 다이오드가 필요하다.
또한, 이 간섭 신호의 에너지는 적절히 활성화된 히터 플러그를 통해 열로 변환되거나 또는 제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7)는 예를 들어 50(V) 이상의 꽤 높은 간섭 전압이 존재하는지를 소정의 방법으로 검출한다. 이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히터 플러그가 예컨대, 1ms 후에,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초 동안에, 활성화 도선(19)을 통해 전달된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치온되어, 위험한 에너지의 제거를 보장하게 된다. 병렬 접속된 히터 플러그의 전체 저항은 100㏁ 정도이며, 이에 따라 전자 제어 장치에 안전한 값으로 간섭 전압이 강하될 수 있도록 하는 과중한 부하가 간섭 소스에 걸린다.
이 방법으로, 간섭 전압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7)가 응답하기 전에, 대략 1밀리초 동안에만 발생될 수 있을 뿐이다. 이 전압은 좀더 작고 값싼 보호 제너 다이오드로 제거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 활성화 장치는 제3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히터 플러그에 의해 전달된 전원을 제어하는데 상요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히터 플러그가 순차적으로 스위치온될 때, 모든 플러그에 공통 접속된 분류기, 즉 저항기(R)(제2도)에 의해 강화된 전압이 측정되어진다. 상기 플러그의 순차적인 활성화는 각각의 플러그에 할당된 전류(IK1내지 IK4)의 시간에 따른 변동으로부터 제3도에서 알 수 있다. 공통 접속된 분류기가 모든 플러그에 할당되어 있으므로, 시간에 따른 변화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상기 저항기(R)에 의해 강하된 전압(UR)은 전체 전류에 비례한다. 제3도에는 전압 측정 결과가 별도의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개별적은 플러그에 제공된 순간 전력은 마이크로프로세서(17)의 도움으로 순간 동작 전압으로부터 그리고 각각의 플러그 전류에 대응하는 전압 변화로부터 계산되어진다.
소정의 평균 전력은 각각의 개별적은 플러그에 대해 행해진 상기 계산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스위치온 시간이 ΔI 만큼 단축되거나 늘어난다는 사실로부터 가능하다. 제3도에서, IK2의 스위치온 시간은 단축되고 IK3의 스위치온 시간은 연장된다. 이 방법으로 ΔI만큼 전류 레벨 변동을 일으킬 수 있는 플러그의 공차의 변화가 차량 전원 공급 시스템 전압과 다른 실린더 동작이 보상되는 것과 같이, 보상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앞서 설명한 활성화 장치는 히터 플러그의 온도를 제어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음에 주목하자. 이를 위해, 측정 신호가 마이크로프로세서(17)에 공급된 온도 의존 저항기는 히터 플러그에 할당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원하는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1초 정도의 짧은 스위치온 펄스로 히터 플러그를 활성시킨다.

Claims (11)

  1. 디젤엔진의 적어도 두 히터 플러그를 활성화하고 모니터링하는 전기적 부하 활성화 및 모니터 장치에 있어서, 전원 공급 수단 ; 상기 히터 플러그중 해당하는 히터 플러그를 스위치 온 및 스위치 오프시키는 복수의 반도체 스위치 ; 상기 전원 공급 수단 및 히터 플러그와 직렬 접속되어 있는 측정용 저항기 수단 ; 시간차를 두고 번갈아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구동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 및 상기 측정용 저항기 수단의 양단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으로서, 개방 또는 단락이 존재함을 검출하는데 검출 전류를 이용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마이크로크로프로세서는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활성화하는 전자적인 다단식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다단식 스위칭 회로는 시프트 레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부하 활성화 및 모니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는 상기 히터 플러그의 각각과 대응하는 복수의 플립플롭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히터 플러그는 상기 반도체 스위치의 각각을 통해 상기 플립플롭중 대응 플립플롭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부하 활성화 및 모니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는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활성화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부하 활성화 및 모니터 장치.
  4. 측정용 저항기와 직력 접속된 반도체 스위치에 의해 각각 스위칭가능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활성화가능한, 디젤 엔진의 적어도 두 히터 플러그를 활성화하고 모니터링하는 전기적 부하 활성화 및 모니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측정용 저항기의 양단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히터 플러그를 통해 흐르는 각각의 전류를 검출하는 단계 ; 상기 히터 플러그 모두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합이 상기 반도체 스위치가 도통 상태로 활성화됨에 따라 의사 정상 상태 전류 상승을 제공하도록, 시간차를 두고 번갈아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활성화하는 단계 ; 및 검출된 전류로부터 개방 또는 단락의 존재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부하 활성화 및 모니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히터 플러그의 순간 전기 에너지가 결정되고 각각의 히터 플러그의 스위치온 기간은 히터 플러그의 소정 전력을 조절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단축 또는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부하 활성화 및 모니터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스위칭 디바이스가 상기 반도체 스위치의 각각을 활성화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고, 히터 플러그,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스위칭 디바이스에 전원이 공급되며, 복수의 반도체 스위치는 상기 히터 플러그, 마이크로프로세서 및/또는 스위칭 디바이스에의 전원 공급시 고에너지 전압이 검출되면, 동시에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부하 활성화 및 모니터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모든 플러그가 구동된 후에 개방 또는 단락이 존재함이 검출되면, 히터 플러그 모두를 스위칭 오프한 후, 결함 있는 플러그를 결정하기 위해 다른 플러그와 시간차를 두고 히터 플러그를 다시 스위치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부하 활성화 및 모니터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반도체 스위치를 활성화하는 상기 단계는 매우 짧은 시간 간격 동안에 원하는 시간차를 두고 구분하여 순차적으로 히터 플러그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활성화후에, 히터 플러그를 통해 흐르는 각각의 전류를 검출하는 상기 단계가 히터 플러그중 한 히터 플러그의 개방 및 단락을 검출하기 위해 측정용 저항기의 양단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부하 활성화 및 모니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시간 간격은 바람직하게 1밀리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부하 활성화 및 모니터 방법.
  10. 디젤 엔진의 적어도 두 히터 플러그를 활성화하고 모니터링하는 전기적 부하 활성화 및 모니터 장치에 있어서, 전원 공급 수단 ; 상기 히터 플러그중 해당하는 히터 플러그를 스위칭 온 및 스위치 오프시키는 복수의 반도체 스위치 ; 상기 전원 공급 수단과 상기 히터 플러그에 직렬 접속된 측정용 저항기 수단 ;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시간차를 두고 번갈아 활성화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 및 상기 히터 플러그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해 측정용 저항기 수단의 양단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으로서, 상기 전류는 개방 또는 단락이 존재함을 검출하는데 이용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히터 플러그 모두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합이 상기 반도체 스위치가 도통 상태로 됨에 따라 의사 정상 상태 전류 상승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반도체 스위치에 전기 접속되어 시간차를 두고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활성화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부하 활성화 및 모니터 장치.
  11. 디젤 엔진의 적어도 두 히터 플러그를 활성화하고 모니터링하는 전기적 부하 활성화 및 모니터 장치에 있어서, 전원 공급 수단 ; 상기 히터 플러그중 해당하는 히터 플러그를 스위칭 온 및 스위치 오프시키는 복수의 반도체 스위치 ; 상기 전원 공급 수단과 상기 히터 플러그에 직렬 접속된 측정용 저항기 수단 ;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시간차를 두고 번갈아 활성화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 및 상기 히터 플러그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해 측정용 저항기 수단의 양단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으로서, 상기 전류는 개방 또는 단락이 존재함을 검출하는데 이용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검출된 전류로부터 각각의 히터 플러그의 순간 전기 에너지를 결정함과 아울러, 상기 히터 플러그의 소정전력을 조절하기 위해 각 히터 플러그의 스위치온 기간을 개별적으로 단축시키거타 연장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부하 활성화 및 모니터 장치.
KR1019890700299A 1987-06-23 1988-05-19 전기적 부하 활성화 및 모니터 장치와 그 방법 KR9700046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720683.4 1987-06-23
DE19873720683 DE3720683A1 (de) 1987-06-23 1987-06-23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nsteuerung und kontrolle von elektrischen verbrauchern, insbesondere gluehkerzen
PCT/DE1988/000294 WO1988010367A1 (en) 1987-06-23 1988-05-19 Device and process for actuating and controlling electric consumers, in particular heat plu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1900A KR890701900A (ko) 1989-12-22
KR970004673B1 true KR970004673B1 (ko) 1997-04-02

Family

ID=6330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0299A KR970004673B1 (ko) 1987-06-23 1988-05-19 전기적 부하 활성화 및 모니터 장치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22968A (ko)
EP (1) EP0383760A1 (ko)
JP (1) JP2633668B2 (ko)
KR (1) KR970004673B1 (ko)
DE (1) DE3720683A1 (ko)
WO (1) WO19880103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070A (ja) * 1990-05-31 1992-02-06 Kyocera Corp 予熱ヒータの通電制御装置
US5158050A (en) * 1991-09-11 1992-10-27 Detroit Dies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energization of at least one glow plug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4234421A1 (de) * 1992-10-13 1994-04-14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stromgeregelten Steuerung mehrerer Stellglieder mittels eines Steuercomputers
DE19549710C2 (de) * 1994-09-16 2003-07-03 Hitachi Ltd Auswertevorrichtung für Sensoren und Stellglieder
JPH0886241A (ja) * 1994-09-16 1996-04-02 Hitachi Ltd センサ及びアクチュエータの駆動装置
US5482013A (en) * 1994-09-23 1996-01-09 Cummins Engine Company, Inc. Air intake heating and diagnostic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FR2769343B1 (fr) * 1997-10-08 2000-01-28 Peugeot Procede et dispositif de detection de la coupure d'une bougie de prechauffage d'un moteur diesel de vehicule automobile
ES2145707B1 (es) * 1998-06-12 2001-03-01 Nagares Sa Controlador de bujias de calentamiento para motores diesel.
EP1011186A3 (en) * 1998-12-07 2001-10-31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 load management circuit
DE19906276A1 (de) * 1999-02-15 2000-09-21 Heusler Isabellenhuette Verfahren und Strommeßmodul zur Stromüberwachung in einem Stromversorgungssystem
DE19922977A1 (de) 1999-05-19 2000-12-07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Ansteuern mindestens eines induktiven Verbrauchers mittels pulsweitenmodulierter Steuersignale
DE10043137A1 (de) * 2000-08-31 2002-03-14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Kennzeichnung der Version bei integrierten Schaltkreisen und Verwendung zur Steuerung von Betriebsabläufen
US6777653B2 (en) * 2002-09-26 2004-08-17 Emerson Electric Co. Igniter controller
DE102005005549A1 (de) * 2005-02-07 2006-08-10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Heizelements in einem Kraftfahrzeug
EP1715573B1 (de) * 2005-04-20 2020-06-17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von elektrischen Verbrauchern
DE102006010194B4 (de) 2005-09-09 2011-06-09 Beru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der Glühkerzen einer selbstzündenden Brennkraftmaschine
JP4565574B2 (ja) * 2006-07-06 2010-10-2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異常検出装置
DE102007038131B3 (de) * 2007-07-06 2008-12-24 Beru Ag Verfahren zum Aufheizen einer keramischen Glühkerze und Glühkerzensteuergerät
DE102007036837A1 (de) * 2007-08-02 2009-02-05 Siemens Ag Strommessverfahren in Niederspannungsleistungsschaltern mittels eines speziellen Messmoduls
JP2009041394A (ja) * 2007-08-07 2009-02-26 Denso Corp 抵抗負荷の駆動装置
US8423197B2 (en) * 2008-11-25 2013-04-16 Ngk Spark Plug Co., Lt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energizing of a heater
GB2466273B (en) * 2008-12-18 2013-01-09 Gm Global Tech Operations Inc A method for controlling glow plugs in a diesel engine particularly for motor-vehicles
US8242629B2 (en) * 2009-02-03 2012-08-14 Transistor Devices, Inc. Hybrid load systems including a dynamic electronic load and passive resistive load modules
JP6253138B2 (ja) * 2012-11-01 2017-12-27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グロープラグの検査方法及びグロープラグの製造方法、並びに、シースヒータの検査方法及びシースヒータの製造方法
FR3003036A1 (fr) * 2013-09-13 2014-09-12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Procede de mesure d’un courant circulant dans une branche d’un systeme comportant plusieurs branches
DE102017113538B4 (de) * 2017-06-20 2019-05-16 Semikron Elektronik Gmbh & Co. Kg Steuereinrichtung für einen Leistungshalbleiterschalter
DE102017115946A1 (de) * 2017-07-14 2019-01-17 Borgwarner Ludwigsburg Gmbh Verfahren zum Regeln der Temperatur einer Glühkerze
US11739693B2 (en) * 2020-11-18 2023-08-29 Pratt & Whitney Canada Corp. Method and system for glow plug op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10905A1 (de) * 1976-03-16 1977-09-22 Karl Dr Fracke Blitz-gluehzuendung fuer ottomotoren
US4088109A (en) * 1977-02-25 1978-05-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Diesel engine warm-up control system
DE2743059A1 (de) * 1977-09-24 1979-04-05 Beru Werk Ruprecht Gmbh Co A Verfahren und anordnung zum schnellaufheizen von gluehkerzen
JPS6045757B2 (ja) * 1978-07-10 1985-10-11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ディ−ゼル・エンジンの予熱制御装置
JPS5828391A (ja) * 1981-08-12 1983-02-19 Ishida Scales Mfg Co Ltd サ−マルプリンタ−の印字回路のチエツク装置
JPS5835268A (ja) * 1981-08-27 1983-03-01 Nissan Motor Co Ltd デイ−ゼルエンジン始動用点火装置
JPS58172472A (ja) * 1982-04-02 1983-10-11 Nippon Denso Co Ltd 加熱体の断線検出方法
DE3224587A1 (de) * 1982-07-01 1984-01-05 Bayerische Motoren Werke AG, 8000 München Schaltanordnung fuer gluehkerzen einer diesel-brennkraftmaschine
JPS59141771A (ja) * 1983-02-03 1984-08-14 Nippon Denso Co Ltd ディ−ゼル機関制御装置
JPS6151152A (ja) * 1984-08-20 1986-03-13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感光体
US4716520A (en) * 1986-01-22 1987-12-29 Nordson Corporation Method of checking channel connections and detecting heater circuit and temperature sensor malfunctions in multi-channel closed loop hot melt heating systems
DE3624664C2 (de) * 1986-07-22 1995-08-03 Bosch Gmbh Robert Schnittstelle zwischen einer zentralen Motorsteuerung und einer Glühanlage eines Dieselmo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83760A1 (de) 1990-08-29
US5122968A (en) 1992-06-16
WO1988010367A1 (en) 1988-12-29
JP2633668B2 (ja) 1997-07-23
JPH02503940A (ja) 1990-11-15
KR890701900A (ko) 1989-12-22
DE3720683A1 (de) 1989-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4673B1 (ko) 전기적 부하 활성화 및 모니터 장치와 그 방법
JP3262594B2 (ja) 車両の電気負荷を監視する装置
JP6625586B2 (ja) 地絡検出装置
KR100221907B1 (ko) 전기부하의 기능적 감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EP2513657B1 (en) Circuit for controlling current to light-emitting diode (led)
EP0526219B1 (en) Ignition system and method
JPH08255016A (ja) 負荷の機能を監視する方法及び装置
US4894648A (en) Information handling and control systems, and methods of testing the condition of electrical loads in such systems
US4314305A (en) Solenoid drive circuits
CN106797117A (zh) 车用电源控制装置
US11405982B2 (en) Control apparatus for heater
CN112793452B (zh) 牵引电池充电站
CN109690934A (zh) 用于向感性负载供电的方法
RU259464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диагностики приводного механизма, и приводной механизм, содержащий одно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JPS6453045A (en) Device for inspecting at least two electric load of automobile
JP2008118812A (ja) 車両用オルタネータの制御装置
US4772804A (en) Process and device for sending electrical current into a circuit using a transistor
JP2017519477A (ja) 小さい電流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992955B2 (ja) センサ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US6034612A (en) Circuitry and process for testing non-intermittent signal generators
CN112272965B (zh) 用于电负载的电路和诊断方法
JPH01101473A (ja) 情報処理制御装置および該装置内の電気的負荷状態を試験する方法
EP0806561B1 (en) A control circuit for a heater with variable resistance associat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oxygen in exhaust gases
EP0871037A1 (en) Circuit arrangement for monitoring an electronic circuit
US5023471A (en) Testable input/output circuit for a load decoupled by a transfor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