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825Y1 -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825Y1
KR970003825Y1 KR2019930018247U KR930018247U KR970003825Y1 KR 970003825 Y1 KR970003825 Y1 KR 970003825Y1 KR 2019930018247 U KR2019930018247 U KR 2019930018247U KR 930018247 U KR930018247 U KR 930018247U KR 970003825 Y1 KR970003825 Y1 KR 9700038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ir
opening
attached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82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8352U (ko
Inventor
유지로 마루카와
Original Assignee
가토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가토 지아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가토 지아키 filed Critical 가토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083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3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8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8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1Top covers or the li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본 고안은 인쇄기나 복사기등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이 종류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로서 복사기등의 본체측에 부착부재를 부착하고 이 부착부재에 원고 압착판의 개폐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힌지핀을 통하여 원추형 접합시킨 지지부재를 설치하고 이 지지부재와 상기 부착부재 사이에 그 지지부재를 개방방향에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자유단측에 이 지지부재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리프트부재를 핀을 통하여 축부착하고 이 리프트부재에 원고압착판을 부착하고 상기 지지부재와 리프트부재 사이에 이 리프트부재를 상기 지지부재와 겹치는 방향으로 회전가압시키는 토션스프링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이 굽어지지 않도록 한쌍의 스프링 유지부재를 스프링 상하에 배치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
또, 상기 구성의 리프트부재나 제어부재를 생략하여 복사기등의 본체측에 부착되는 부착부재와 이 부착부재에 원고압착판의 개폐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힌지핀을 통하여, 그 일단부를 축부착시킨 지지부재와 상기 부착부재의 힌지핀을 다른 위치와 상기 지지부재의 자유단측에 부착된 한쌍의 지지핀과 이 각각의 지지핀에 단부를 축지지시켜 서로를 끼워 신축자유롭게 이루어진 한쌍의 스프링 유지부재와 이 한쌍의 스프링 유지부재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시킨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들 종래 공지의 개폐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점수가 많아 제작비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을뿐더러 중량있는 원고압착판에 대처하기 위하여 강한 토크를 갖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용할 경우 토크에 편차가 있는 사실때문에 이 압축코일스프링이 창출하는 토크곡선이 일정하지 않게 되고, 원고압착판을 일정간 중간개방각도를 안정적으로 정지유지시켜 두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가급적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제작비를 내리고 게다가 기능을 향상시킬 뿐더러 토크에 편차가 있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용하더라도 중량있는 원고압착판을 소정의 중간개방각도로 안정적으로 정지유지 시켜 둘 수 있는 복사기 등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복사기등의 본체측에 부착한 부착부재와 이 부착부재에 원고압착판의 개폐방향과 동일방향에 회전하도록 힌지를 통하여 그 일단부를 축부착시킨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의 자유단측에 상기 원고압착판의 개폐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지지축을 통하여 일단부를 축부착시킨 리프트부재와 상기 지지축의 대략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축부착되고 그 회전 지지점을 넘은 일단부를 상기 리프트부재에 건 제어부재와, 이 제어부재를 끼우고 상기 지지축에 감으면서 상기 지지부재와 제어부재와의 사이에 배치한 한쌍의 토션스프링과 상기 부착부재 및 제어부재의 힌지핀과 지지축과는 다른 위치에 부착한 한쌍의 지지핀과 각각 지지핀에 단부를 축지지시켜 서로를 끼워 신축 자유롭게 이루어진 한쌍의 스프링 케이스와 이 한쌍의 스프링케이스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시킨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쌍의 스프링케이스 한쪽에 볼록부를 다른쪽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그 볼록부와 오목부가 상기 원고압착판 개폐각도에 의해 서로 끼워지게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은 또 복사기등의 본체측에 부착된 부착부재와 이 부착부재에 원고압착판의 개폐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힌지핀을 통하여 그 일단부를 축부착시킨 지지부재와 상기 부착부재의 힌지핀과는 다른 위치와 상기 지지부재의 자유단측에 부착된 한쌍의 지지핀과 이 각 지지핀에 단부를 축지지시켜 서로를 끼워 신축자유롭게 이루어진 한쌍의 스프링케이스와 이 한쌍의 스프링케이스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시킨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한쌍의 스프링케이스 한쪽에 볼록부를 다른쪽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이 볼록부와 오목부가 상기 원고압착판의 개폐각도에 따라 서로 끼워지게 구성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측단면도
제4도는 제1도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평단면도
제5도는 제어부재의 사시도
제6도는 스프링 케이스의 축받이부의 사시도
제7도는 각 스프링케이스 부분의 횡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9도는 본 고안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복기등의 본체 B : 원고압착판
1 : 부착부재 2 : 힌지핀
3 : 지지부재 4 : 리프트부재
5 : 지지축 6 : 제어부재
7 : 토션스프링 11: 스프링케이스
11c : 오목부 12 : 스프링케이스
12d : 볼록부 13 : 압축코일스프링
원고압착판을 열면 압축코일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그 중량을 감쇄시킨 상태로 가볍게 열리고 각 스프링케이스의 볼록부와 오목부가 끼워진 곳에서 손을 떼면 원고압착판은 그 위치에서 정지하여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때 리프트부재는 토션스프링과 압축코일스프링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동을 가압하고 있는 제어부재에 의해 걸려 있기 때문에 열린 원고압착판의 중량에 의해 반전해버리는 일은 없다.
원고가 책과 같이 두꺼운 입체원고의 경우는 열린 원고압착판을 닫아 입체원고 단부에 맞닿게 하고 다시 약간 힘을 가하여 닫으면 리프트부재가 제어부재와 함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반시계방향에 회전하고 원고압착판으로 입체원고위를 수평방향으로 덮을 수 있다.
또 원고압착판의 개폐조작동안 한쪽의 스프링케이스에 설치한 볼록부는 다른쪽 스프링케이스의 오목부를 설치한 배면부에 압접한 상태로 상호 미끄럼이동이 행해지고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실시예)
도면은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내고, 제1도 내지 제7도에 있어 복사기본체(A)의 후부 상플에이트(a) 위에는 양측판(la, la)을 갖는 부착부재(1)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부착부재(1)는 후부 상플에이트(a) 위에 비스등에 의해 고착되어도 좋으나 후부 상플에이트(a)와 일체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 부착부재(1)의 양측판(1a, la) 일측에는 힌지핀(2)을 통하여 지지부재(3)가 그 양측판(3a, 3a)의 일단부를 회동자재로 축부착시키고 있다.
이 지지부재(3)의 양측판(3a, 3a)의 자유단축에는 리프트부재(4)가 양측판(4a, 4a)를 지지축(5)에 의해 회동 자재로 축부착시키고 있으며 이 리프트부재(4)에 원고압착판(B) 후단부가 고착되어 있다. 또한 이 리프트부재(4)는 원고압착판(B)과 일체로 구성되어도 좋다.
지지축(5)의 대략 중앙부에는 제어부재(6)가 그 양측판(6a, 6a)에 설치한 통과공(6c, 6c)을 축부착시켜서 회동자재로 부착되어 있고 양측판(6c, 6c) 상부는 특히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부재(4)의 상부판(4b)에 설치된 절결부(4c, 4c)에 걸려 있다.
이 제어부재(6)의 양측에는 이 제어부재(6)를 끼워서 한쌍의 토션스프링(7, 7)이 지지축(5)에 감기면서 배치되고 지지부재(3)와 제어부재(6)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토션스프링(7, 7)에 의해 제어부재(6)는 항상 시계방향에 회전가압되어 있다. 부착부재(11)와 제어부재(6)의 각 양측판(1a, 1a·6a, 6a)에는 힌지핀(3)과 지지축(5)의 부착위치와는 다른 위치에서 잘림부가 부설되어 축받이홈(1b, 1b·6b, 6b)이 형성되어 있다. 이중 축받이홈(1b, 1b)에는 특히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에 둘레홈(9a)을 설치한 지지핀(9)이 축설치되고 축받이홈(6b, 6b)에는 지지핀(10)이 양단부의 소직경부(10a, 10a)를 축설시키고 있다.
각 지지핀(9, 10)에서 서로 끼워져 있는 스프링케이스(11, 12)가 각 축받이부(1la 12a)를 축받이 시키고 있으며 이 스프링케이스(11. 12) 내부에는 한쌍의 압축코일스프링(13.13)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케이스중 지시기호(12)쪽은 철판제이며 그 축받이부(12a)는 특히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이다.
이 축받이부(12a) 한쌍의 각부(12b, 12b)와 축받이홈(12c)을 갖추고 다리부(12b 12b)를 스프링케이스(12)에 거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케이스(1I)에는 원고압착판(B)의 개방각도에 따라 볼록부(12d)와 끼워지는 오목부(11c)가 설치되어 있다.
제8도 및 제9도는 본 고안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내고 원고압착판(B)을 소정개방각도(실시예에서는 60도)까지 열면 스프링케이스(12)의 볼록부(12c)가 다른 한쪽의 스프링케이스(11)의 오목부(1lb)와 끼워지고 손을 떼더라도 원고압착판(B)이 자연 낙하되지 않고 이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원고가 책과 같이 두꺼운 입체원고(14)일 경우에는 이와 같이 하여 열린 원고압착판(B)을 닫아 입체원고(14) 단부에 맞닿게한 곳에서 다시 원고압착판(B)을 아래로 가압하면 그 원고압착판(B)은 입체원고(14) 단부를 지지점에 제어부재(6) 및 리프트부재(4)를 통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가압시키고 있는 비틀림코일스프링(7,7)과 압축코일스프링(13,13)의 탄력에 저항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입체원고(14)위를 수평상태로 덮을 수 있는 것이다. 원고압착판(B)의 개폐동작동안 스프링케이스(12)의 볼록부(12d)는 스프링케이스(11)에 압접하여 마찰력을 창출한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설명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이외의 공지구성의 것에도 실시할 수 있다. 이 공지구성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란 도시하지는 않으나 가령 다음과 같은 구성의 것이다.
복사기등의 본체측에 부착되는 부착부재와 이 부착부재에 원고압착판의 개폐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힌지핀을 통하여 그 일단부를 축부착시킨 지지부재와 상기 부착부재의 힌지핀과는 다른 위치와 상기 지지부재의 자유단측에 부착한 한쌍의 지지핀과 이 각 지지핀에 단부를 축지지시킨 한쌍의 스프링케이스와 이 한쌍의 스프링케이스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시킨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 공지구성의 장치에 있어서 한쌍의 스프링케이스를 서로 끼워 신축 자유롭게 끼우고 이 한쌍의 스프링케이스 한쪽에 볼록부를 다른쪽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이 볼록부와 오목부가 상기 원고압착판의 개폐각도에 따라 서로 끼워지게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구성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청구항1과 같이 구성하면 원고압착판을 열었을 때에 압축코일스프링이 외부로 노출하지 않고 그 구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입체원고에 대하여 그 위를 원고압착판으로 수평으로 덮기 위한 구성이 간단해지고 제작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외에 고장도 적고 수익율도 높아진다.
또한 이와 같이 기능의 향상을 도모한 외에 한쪽의 스프링케이스에 설치한 볼록부가 다른쪽 스프링케이스 배면부에 압접하는데서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압축코일스프링이 갖는 토크의 편차를 보정할 수 있고 또한 서로 끼워 신축하는 한쌍의 스프링케이스의 볼록부와 오목부가 끼워짐으로써 원고압착판을 소정의 개방각도로 안정적으로 정지유지시켜 들 수 있는 것이다.
청구항2와 같이 구성하면 리프트부재나 제어부재를 생략할 수 있고 부품점수를 생략할 수 있는 점에서 제작비절감이 가능한 것외에 한쪽의 스프링케이스에 설치한 볼록부가 다른쪽 스프링케이스 배면부에 압접하는데서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압축코일스프링이 갖는 토크의 편차를 보정할 수 있고 또한 볼록부와 오목부의 끼움에 의해 원고압착판을 소정의 개방각도로 안정적으로 정지유지시켜 둘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복사기 등의 본체측에 부착되는 부착부재와 이 부착부재에 원고압착판의 개폐방향과 동일방향에 회전하도록 힌지핀을 통하여 그 일단부를 축부착시킨 지지부재와 이 부지부재의 자유단측에 상기 원고압착판의 개폐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지지축을 통하여 일단부를 축부착시킨 리프트부재와 상기 지지축의 대략 중앙부에 지지점을 넘은 일단부를 맞닿게 하여 회전가능하게 축부착되고 그 회전지지점을 넘은 일단부를 상기 리프트부재에 건 제어부재와 이 제어부재를 끼우고 좌우로 상기 지지축에 감으면서 상기 지지부재와 제어부재 사이에 설치한 한쌍의 토션스프링과 상기 부착부재 및 제어부재의 힌지핀과 지지축과는 다른 위치에 부착한 한쌍의 지지핀과 이 각 지지핀에 단부를 축지지시키고 서로를 끼워 신축자재로 이루어진 한쌍의 스프링케이스와 한쪽에 볼록부를 다른쪽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이 볼록부와 오목부가 상기 원고압착판의 개폐각도에 따라 서로 끼워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2. 복사기 등의 본체측에 부착되는 부착부재와, 이 부착부재에 원고압착판의 개폐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힌지핀을 통하여 그 일단부를 축부착시킨 지지부재와 상기 부착부재의 힌지핀과는 다른 위치와 상기 지지부재의 자유단측에 부착된 한쌍의 지지핀과 이 각 지지핀에 단부를 축지지시켜 서로를 끼워 신축자재로 이루어진 한쌍의 스프링케이스와 이 한쌍의 스프링케이스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시킨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한쌍의 스프링케이스 한쪽에 볼록부를 다른쪽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이 볼록부와 오목부가 상기 원고압착판의 개폐각도에 의해 서로 끼워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KR2019930018247U 1992-09-29 1993-09-13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KR97000382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84048 1992-09-29
JP28404892A JP3235083B2 (ja) 1992-09-29 1992-09-29 原稿圧着板開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352U KR940008352U (ko) 1994-04-18
KR970003825Y1 true KR970003825Y1 (ko) 1997-04-24

Family

ID=17673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8247U KR970003825Y1 (ko) 1992-09-29 1993-09-13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235083B2 (ko)
KR (1) KR97000382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6426B2 (ja) * 1994-10-11 2002-03-18 株式会社リコー 複写機の原稿押え装置
JP5429767B2 (ja) * 2007-08-31 2014-02-26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110140A (ja) 1994-04-22
KR940008352U (ko) 1994-04-18
JP3235083B2 (ja) 2001-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5668B1 (ko)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그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구비한사무기기
JP5429767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TWI655494B (zh) Original plywood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its transaction machine
JP3641357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US5541712A (en) Document pressing device for a copier
JP5160959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JP3899213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KR101338777B1 (ko)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JPH11184024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KR970003825Y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JP7223400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この原稿圧着板開閉装置を備えた事務機器
TWI529069B (zh) 原稿壓合板開闔裝置及辦公室自動化機器
TW201939155A (zh) 蓋體開闔裝置及各種機器
KR970003824Y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TW201734292A (zh) 鉸鏈及具備該鉸鏈的事務機器
KR0125530Y1 (ko) 원고압착판의 개폐장치
KR0125531Y1 (ko) 원고압착판의 개폐장치 및 이 개폐장치를 부착한 복사기
JP2598506Y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H085467Y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H0418287B2 (ko)
JP3056132U (ja) ウイング用開閉器
JPH04166581A (ja) 蝶番機構
JPH0216353Y2 (ko)
KR0123569Y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JPH0664302B2 (ja) 原稿圧着板の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