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569Y1 -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569Y1
KR0123569Y1 KR2019940013681U KR19940013681U KR0123569Y1 KR 0123569 Y1 KR0123569 Y1 KR 0123569Y1 KR 2019940013681 U KR2019940013681 U KR 2019940013681U KR 19940013681 U KR19940013681 U KR 19940013681U KR 0123569 Y1 KR0123569 Y1 KR 01235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lift
attachment
plate
lif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36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348U (ko
Inventor
다카유키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가토 지아키
가토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 지아키, 가토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 지아키
Publication of KR9500033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3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5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5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5Script supports connected to the typewriter or prin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52Details
    • G03B27/62Holders for the original

Landscapes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목적]
원고압착판과 콘택트 유리 사이의 폐쇄시에 있어서의 틈새를 매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원고 조절수단을 구비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구성]
장치본체측에 부착되는 부착부재와, 이 부착부재에 회전운동자재로 단부를 고정시킨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와 상기 부착부재사이에 상기 지지부재를 한방향으로 회전운동 가세시키기 위하여 탄력설치한 스프링과, 상기 지지부재의 자유단측에 회전운동자재로 고정시킨 곳의 원고압착판 후부를 부착하는 리프트부재와 이 리프트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한 상기 리프트부재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구성한다.

Description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을 실시한 복사기 일부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배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관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치본체 2 : 원고압착판
3 :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4 : 부착부재
5, 24 : 지지부재 6 : 힌지핀
8 : 캠부재 9, 20 : 리프트부재
10 : 지지핀 11 : 작동핀
12, 23 : 조절수단 13 : 부착판
14 : 편심핀 15 : 압축코일스프링
16, 17 : 슬라이더 19 : 두꺼운 원고
21 : 조절나사 22 : 죔너트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복사기나 인쇄기 등에 사용하는데 적합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이 종류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로서, 장치본체측에 부착되는 부착부재와, 이 부착부재에 회전운동자재로 일단부를 고정시킨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의 자유단측에 회전운동자재로 고정시킨 곳의 원고압착판 후부를 부착하는 리프트부재와, 상기 부착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에 상기 지지부재를 한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가압하기 위하여 탄력설치한 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이 종래공지의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장치본체의 치수오차, 조립오차, 왜곡, 또는 재료두께 오차 등에 의해 개폐장치에 부착된 원고압착판과 콘택트 유리사이에 그 폐쇄시에 틈새가 생겨버리는 경우가 가끔 있었다.
종래는 이 오차를 조절판을 사용하는 등을 하여 수정해 왔으나 이 조절작업이 번잡하여 더욱 간단한 조절수단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원고압착판과 콘택트 유리사이의 폐쇄시에 있어서의 틈새를 매우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는 조정수단을 구비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장치 본체측에 부착되는 부착부재와, 이 부착부재에 회전운동자재로 단부를 고정시킨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와 상기 부착부재 사이에 상기 지지부재를 한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가압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 자유단측에 회전운동자재로 고정시킨 곳의 원고압착판 후부를 부착하는 리프트 부재와, 이 리프트 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한 상기 리프트 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때에 본 고안은 상기 조절수단을 상기 지지부재 또는 상기 리프트 부재에 부착하고, 그 외주가 상기 지지부재 또는 리프트 부재에 맞닿도록 이루어진 편심핀으로 하거나 또는 상기 지지부재 또는 리프트 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지지부재 또는 리프트 부재에 선단을 맞닿게한 조절나사로 할 수 있다.
[작용]
조절수단을 조절함으로써 리프트 부재의 자유단측이 지지부재에 대한 축지지 부위를 지지점에 오르내려서 그 높이가 변화하고, 리프트 부재에 그 후부를 부착한 원고압착판의 부착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조절수단이 편심핀이나 조절나사의 경우에는 이것을 회전시킴으로써 그 외주가 선단과 접촉하고 있는 지지부재 또는 리프트 부재는 축지지 부위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 이동한다.
[실시예]
도면은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나타내고, 제1도에 있어서, 1은 가령 복사기의 장치본체, 2는 원고압착판, 3은 이 원고압착판(2)을 개폐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이다. 도면에서는 1개만 표시하고 있으나 통상은 2개 사용된다.
제2도 이후는 이 원고압착판 개폐장치(3)의 구조를 나타낸다.
장치본체(1) 상에 고정된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의 부착부재(4)의 양측판(4a, 4a)에는 동일하게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의 지지부재(5)의 양측판(5a, 5a)이 그 일단부를 힌지핀(6)을 통하여 회전운동자재로 고정되어 있다. 이 부착부재(4)와 지지부재(5)의 각 양측판(4a, 4a ·5a, 5a)의 고정부위에는 도시하지 않으나 힌지핀(6)을 중심부에 삽입시킨 마찰워셔와 스프링워셔가 각각 중첩되게 삽입되고, 힌지핀(6)의 단부를 코킹함으로써 구성한 마찰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부착부재(4)의 양측판(4a, 4a)사이에는 또 힌지핀(6)과 고정핀(7)에 의해 캠부재(8)가 고착되어 있다.
지지부재(5)의 양측판(5a, 5a)의 자유단측에는 양측에 부착판(9a, 9a)을 돌출설치시킨 리프트 부재(9)가 그 양측판(9b, 9b)의 일측부를 지지핀(10)을 통하여 회전운동자재로 고정시키고 있다. 이 리프트 부재(9)의 양측판(9b, 9b)의 지지핀(10)에 의한 지지부재(5)의 고정부위는 상이한 위치에 작동핀(11)이 축걸침되어 있다. 리프트 부재(9)의 부착판(9a, 9a)에는 원고압착판(2)의 부착부(2a, 2a)가 고착되어 있다.
다음에 리프트 부재(9)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수단(12)에 대하여 설명한다. 리프트 부재(9)의 자유단측에는 단면이 대략 모양의 부착판(13)이 고착되어 있고, 이 부착판(13)에 편심핀(14)이 그 외주를 지지부재(5)의 배판(5d)에 맞닿게하여 코킹수단에 의해 회전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편심핀(14)은 부착판(13)에 나사 부착수단에 의해 회전운동조절 가능하게 죄어지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부착판(13)은 리프트 부재(9)의 배판(9c)에서 일체 절곡하여 구성하여도 된다. 또, 이 부착판(13)을 지지부재(5)측에 설치하고, 편심핀(14) 외주가 리프트 부재(9)의 배판(9c)과 맞닿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15, 15는 압축코일 스프링이고, 이 압축코일스프링(15, 15)은 지지부재(5)의 파지부(5c, 5c)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파지된 한쌍의 원통형상 슬라이더(16, 17)내에 수납되고, 이 슬라이더(16, 17)를 통하여 리프트 부재(9)측의 작동핀(11)과 부착부재(4)측의 캠부재(8)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있다. 18은 캠부재(8) 측의 슬라이더(17)에 대한 스토퍼핀이다.
제7도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리프트 부재(20)의 배판(20a)에는 조절나사(21)와 죔너트(22)로 이루어지는 조절수단(23)이 설치되어 있고, 조절나사(21)의 선단은 지지부재(24)의 배판(24a)과 맞닿아 있다. 또한 조절나사(21)는 리프트 부재(20)를 향하여 지지부재(24)의 배판(24a)에 부착하여도 좋다. 이와같이 실시하여도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원 고안에 관한 조절수단은 이상에 설명한 개폐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장치본체측에 부착되는 부착부재와, 이 부착부재에 회전운동자재로 단부를 고정시킨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와 부착부재사이에 상기 지지부재를 한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가압하기 위하여 탄력접촉한 스프링과, 지지부재의 자유단측에 회전운동자재로 고정시킨 곳의 리프트 부재 또는 원고압착판으로 구성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널리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설명한 원고압착판 개폐장치는 원고가 종이와 같이 얇은 원고의 경우에는 원고압착판(2)은 리프트 부재(9)와 부착부재(4)사이에 탄력설치한 압축코일스프링(15, 15)의 탄력에 의해 개폐동작의 전행정에 걸쳐 반전하지 않고 조작되며, 캠부재(8)에 맞닿는 슬라이더(17)에 의해 소정의 개방각도로 안정적으로 정지유지된다. 원고가 책과 같이 두꺼운 원고의 경우에는 원고압착판(2)을 두꺼운 원고에 꼭대고, 앞쪽을 약간 강하게 아래로 가압함으로써 작동핀(11)이 압축코일스프링(15, 15)을 압축하고, 그 탄력에 저항하여 리프트 부재(9)가 반전하고, 제5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원고압착판(2)으로 그 두꺼운 원고(19)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것이다. 그때, 작동핀(11)은 지지부재(5)의 양측판(5a, 5a)에 설치한 노치(5b, 5b)내에 끼워지고, 리프트 부재(9)의 반전을 가능하게 한다.
두꺼운 원고(19)를 제거하면 압축코일스프링(15, 15)의 탄력에 의해 리프트 부재(9)를 통하여 원고압착판(2)은 자동적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하여 지지부재(5)와 겹쳐진다.
다음에, 원고압착판 개폐장치에 부착한 원고압착판(2)에 개방시에 제1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은 부상(浮上)이 콘택트 유리 사이에 생겼을 경우에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조절수단(12)의 편심핀(14)을 회전시키면 그 외주가 지지부재(5)의 배판(5d)에 맞닿음으로써 리프트 부재(9)의 자유단측이 약간 들려올라가게 되고, 매우 용이하게 제1도에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원고압착판(2)의 부상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7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는 조절수단(23)의 죔너트(22)를 이완시켜 조절나사(21)를 회전시켜서 리프트 부재(20)를 들어올린후, 재차 죔너트(22)를 죄어 조절나사(21)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고안의 효과]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구성했기 때문에 조절수단을 조절함으로써 종래의 것과 같이 유지판 등을 사용하는 번잡한 수단에 의존하지 않고서도 원고압착판과 콘택트 유리사이의 부상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조립시의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Claims (3)

  1. 장치 본체측에 부착되는 부착부재와, 이 부착부재에 회전운동자재로 단부를 고정시킨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와 상기 부착부재 사이에 상기 지지부재를 한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가압하기 위하여 탄력설치한 스프링과, 상기 지지부재의 자유단측에 회전운동자재로 고정시킨 곳의 원고압착판 후부를 부착하는 리프트 부재와, 이 리프트 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한 상기 리프트 부재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을 상기 지지부재 또는 상기 리프트 부재에 부착하고 그 외주가 상기 지지부재 또는 리프트 부재에 맞닿도록 이루어진 편심핀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지지부재 또는 리프트 부재에 부착하고, 상기 지지부재 또는 리프트 부재에 선단을 맞닿게한 조절나사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KR2019940013681U 1993-07-30 1994-06-13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KR012356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3045881U JP2582475Y2 (ja) 1993-07-30 1993-07-30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93-45881 1993-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348U KR950003348U (ko) 1995-02-16
KR0123569Y1 true KR0123569Y1 (ko) 1998-12-01

Family

ID=12731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3681U KR0123569Y1 (ko) 1993-07-30 1994-06-13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82475Y2 (ko)
KR (1) KR012356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6027B2 (ja) * 2004-07-12 2010-07-07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348U (ko) 1995-02-16
JP2582475Y2 (ja) 1998-10-08
JPH0714451U (ja) 199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41357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KR100274573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KR100709297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CN101021697A (zh) 原稿压接板的开闭装置
US4718342A (en) Resilient sheet gripper for a sheet-fed rotary printing press
KR0123569Y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JPH11184024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US4718343A (en) Resilient sheet gripper for a sheet-fed rotary printing press
JPH0751351B2 (ja) 給紙印刷機のグリツパー軸のグリツパーフインガー
JP2598506Y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US11866971B2 (en) Hinge
KR930002453B1 (ko) 종이누름기구
US4926214A (en) Original-holding cover
JP2003280112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3497830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KR0125531Y1 (ko) 원고압착판의 개폐장치 및 이 개폐장치를 부착한 복사기
KR970003825Y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JP2002244233A (ja) 画像読取装置の原稿押え開閉機構
JPH0529341Y2 (ko)
KR970012037A (ko) 반개폐식 원고압착기의 연결부구조
JP3966787B2 (ja) キーボードスイッチ
JP2006053355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KR940007809Y1 (ko) 자동 복사시작 장치
JP3430310B2 (ja) バルブの操作装置
JPH04253400A (ja) 電子部品のリード線クリン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