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412B1 - 팩시밀리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팩시밀리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412B1
KR970003412B1 KR1019930031523A KR930031523A KR970003412B1 KR 970003412 B1 KR970003412 B1 KR 970003412B1 KR 1019930031523 A KR1019930031523 A KR 1019930031523A KR 930031523 A KR930031523 A KR 930031523A KR 970003412 B1 KR970003412 B1 KR 970003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cam
roller
original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1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2719A (ko
Inventor
강종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31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412B1/ko
Priority to JP6337729A priority patent/JPH07297989A/ja
Priority to DE4447247A priority patent/DE4447247A1/de
Priority to GB9426432A priority patent/GB2285721B/en
Priority to CN94120744A priority patent/CN1113371A/zh
Publication of KR950022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2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4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207Simultaneous scanning of the original picture and the reproduced picture with a common scann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6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part of the apparatus being used in common for reading and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496Changing the task performed, e.g. reading and transmitting, receiving and reproducing, cop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Common Mechanism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팩시밀리의 구동방법
제1도는 팩시밀리의 구동부의 요부를 나타낸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각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제3도는 제2도의 각 모드시 캠의 위치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고 2 : 기록지
3 : 로울러 4 : 판독헤드
5 : 기록헤드 11 : 캠
11a : 장축부 11b : 단축부
본 발명은 기록지 및 원고를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갖는 팩시밀리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초기 대기모드시 판독헤드 및 기록헤드가 로울러에 접속되도록 하는 것이다.
첨부도면 제1도는 팩시밀리 구동부의 요부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원고(1) 및 기록지(2)를 이송시키는 로울러(3)의 양측에 대응되게 판독헤드(4) 및 기록헤드(5)가 스프링(6), (7)에 의해 탄력 설치되어 있고 판독헤드핀(8)은 브라켓(9)에 일체형으로 체결되어 있으며 판독헤드(4)는 브라켓(9)에 스크류(도시는 생략함)로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기록헤드핀(10)이 기록헤드(5)와 일체형으로 체결되어 있고 중공형으로 된 로울러(3)의 내측에는 장축부(11a)와 단축부(11b)를 가진 캠(11)이 양단에 고정된 축(12)이 설치되어 있어 모터(도시는 생략함)가 정회전을 하면 캠(11)이 회전되고, 반대로 역회전하면 캠의 회전은 중단하고 로울러(3)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에는 대기모드시 캠(11)의 장축부(11a)에 판독헤드핀(8)과 기록헤드핀(10)이 접속되어 로울러(3)에서 판독헤드(5)가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원고(1)의 내용을 송신하기 위해 송신모드를 선택하면 선택된 모드에 따라 축(12)에 고정된 캠(11)이 회전되어 판독헤드(4)를 로울러(3)에 접속시킴과 동시에 기록헤드(5)는 로울러(3)에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후 모터의 역회전으로 로울러(3)가 회전되면 원고(1)가 급지되면서 판독헤드(4)에서 독취되므로 송신 가능하게 된다. 원고(1)의 송신이 완료되고 나면 모터가 축(12)을 정회전시키게 되므로 대기모드, 즉 로울러(3)에서 판독헤드(4) 및 기록헤드(5)가 분리된다.
수신모드를 선택하면 선택된 모드에 따라 축(12)에 고정된 캠(11)이 회전되어 기록헤드(5)를 로울러(3)에 접속시킴과 동시에 판독헤드(4)는 로울러(3)에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후 모터의 역회전으로 로울러(3)가 회전하면 기록헤드(5)가 이송되는 기록지(2)에 수신된 내용을 기록하게 된다. 수신이 완료되고 나면 모터가 축(12)을 정회전시키게 되므로 대기코드, 즉 로울러(3)에서 판독헤드(4) 및 기록헤드(5)가 분리된다.
한편, 복사모드를 선택하면 선택된 모드에 따라 축(12)에 고정된 캠(11)이 회전되어 단축부(11b)가 판독헤드(8)와 기록헤드핀(10)에 접속되어 판독헤드(4) 및 기록헤드(5)가 로울러(3)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급지된 원고(1) 내용을 기록지(2)에 기록하게 된다. 기록지(2)에 복사 완료하고 나면 모터가 축(12)을 정회전시키게 되므로 대기코드가 된다.
또한, 제품의 출하기나 장기간 보관시에는 대기모드와 같이 판독헤드(4) 및 기록헤드(5)가 로울러(3)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기록지(2)를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동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게 된다.
첫째, 대기모드에서 판독헤드(4)가 로울러(3)에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송신모드시 원고를 셋팅하면 원고의 선단이 독취부분을 지나 로울러와 접속되는 위치까지 삽입되고, 이에 따라 원고의 선단에 위치된 내용이 송신되지 않았다.
둘째, 기록지를 수동으로 자르는 수동식인 경우, 로울러(3)가 기록헤드(5)에서 분리되어 있으므로 기록지 절단시 기록지가 기록지 뭉치에서 풀려나오게 되었다.
셋째, 대기모드시 제품에 충격이 가해질 겨우 기록지의 선단이 로울러(3) 및 기록헤드(5) 사이에서 이탈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대기모드시 판독헤드 및 기록헤드가 이송수단과 접속되도록 한 다음 모드선택에 따라 이송수단에 이들이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하여 송신시 원고의 선단이 잘리거나 기록지 절단시 기록지 뭉치에서 기록지가 풀리지 않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을 갖는다.
상기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캠수단에 의해 판독수단 및 기록수단이 이송수단과 접속되는 대기모드 단계와, 상기 대기모드 단계에서 캠수단의 회전으로 판독수단을 이송수단과 접속시키고 기록수단은 이격시켜 원고를 송신하는 송신모드 단계와, 상기 대기모드 단계에서 캠수단의 회전으로 기록수단을 이송수단과 접속시키고 판독수단은 이격시켜 기록지에 수신된 내용을 기록하는 수신모드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대기모드에서 캠수단의 회전으로 기록수단을 이송수단에서 분리시킨 다음 원고의 선단이 판독수단의 입구에 도달한 상태에서 복사신호를 입력하면, 캠수단이 더욱 더 회전하여 이송수단에 판독수단 및 기록수단을 접속시켜 기록지에 원고내용을 기록하는 복사모드 단계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캠수단에 의해 판독수단 및 기록수단이 이송수단에서 이격되는 포장모드 단계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도면 제2도 및 제3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캠(11)의 단축부(11b)에 의해 판독헤드(4) 및 기록헤드(5)가 로울러(3)와 접속되는 대기모드 단계와, 상기 대기모드 단계에서 캠(11)의 회전으로 판독헤드(4)는 로울러(3)와 접속되고 기록헤드(5)는 이격되어 원고(1)를 송신완료한 후 대기모드로 캠을 회전시키는 송신모드 단계와, 상기 대기모드 단계에서 캠(11)의 회전으로 기록헤드(5)는 로울러(3)와 접속되고 판독헤드(4)는 이격되어 기록지(2)에 수신된 내용을 기록완료한 후 대기모드 캠을 회전시키는 수신모드 단계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대기모드에서 캠의 회전으로 기록헤드를 로울러에서 분리시킨 다음 원고의 선단이 판독헤드의 입구에 도달한 상태에서 복사신호를 입력하면 캠이 더욱 더 회전하여 로울러에 판독헤드 및 기록헤드를 접속시켜 기록지에 원고내용을 기록완료한 후 대기모드로 캠을 회전시키는 복사모드 단계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캠의 장축부에 의해 판독헤드 및 기록헤드가 로울러에서 이격되는 포장모드 단계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로울러는 이송수단의 일실시예이고, 캠은 모드선택수단의 일실시예이며, 판독헤드 및 기록헤드는 판독수단 및 기록수단의 일실시예이다. 그리고 상기 캠은 로울러에 삽입되어 직접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또는 부가적인 캠 구동수단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의 사항을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각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고, 제3도는 제2도의 각 모드시 캠의 위치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제품의 출하시에는 판독헤드(4) 및 기록헤드(5)가 로울러(3)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첨부도면 제3도의 (e)와 같이 캠(11)의 장축부(11a)가 판독헤드핀(8)과 기록헤드핀(10)에 접속되어 판독헤드(4) 및 기록헤드(5)가 로울러(3)에서 분리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기록지(2)가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커버를 개방하여 기록지를 정착한다. 이에 따라 기록지 감지센서가 오프되므로 커버를 닫아주면 기록지의 장착작업이 완료된다.
그후 전원을 온(on)시키면 시계방향으로 90° 회전하므로 판독헤드핀(8)과 기록헤드핀(10)이 캠(11)의 단축부(11b)와 접속되는 제3도의 (a)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판독헤드(4)와 기록헤드(5)가 로울러(3)에 접속되는 대기모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원고를 송신하기 위해 송신모드를 선택하면 제2도의 (b)와 같다.
대기모드에서 송신할 원고를 원고대에 놓으면 원고감지센서가 원고를 감지하여 온되므로 모터가 축(12)을 시계방향으로 45° 회전시키고 동작이 중단된다. 이에 따라 판독헤드(8)에는 캠(11)의 단축부(11b)가 계속해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기록헤드핀(10)에는 캠(11)의 장축부(11a)가 접속되므로 제3도의 (b)와 같이 기록헤드(5)가 로울러(3)에서 분리된다. 이와 같이 기록헤드(5)를 로울러(3)에서 분리시킨 후 모터는 역회전하여 원고대에 얹혀진 원고를 독취하기까지 이송시켜 원고셋팅을 완료하게 된다. 그후 수신자의 번호를 다이얼링하여 신호음이 들릴 때 시작버튼을 누르면 최하방에 위치된 1매의 원고가 급지되어 로울러(3)와 판독헤드(4) 사이를 통과하게 되므로 원고감지센서가 오프됨과 동시에 판독헤드(4)에서 원고에 기록된 내용을 독취하여 송신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1매의 원고를 송신 완료하고 트레이로 배출되고 나면 송신될 원고의 유무를 판단하여 원고가 있으면 원고감지센서가 온되어 다음 원고를 셋팅시키게 되므로 계속해서 송신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소신하기 위한 원고가 없음이 감지되면 모터가 3-4초 후에 캠(11)을 시계방향으로 315° 회전시켜 제3도의 (a)와 같이 대기코드로 환원시키고 동작을 중단하게 된다.
첨부도면 제3도의 (c)는 수신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대기모드에서 수신신호가 착신되면 모터가 구동하여 캠(11)을 시계방향으로 135° 회전시키고 동작이 중단된다. 이에 따라 제3도의 (c)와 같이 판독헤드핀(8)이 캠(11)의 장축부(11a)에 접속되므로 판독헤드(4)가 로울러(3)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캠의 단축부(11b)가 기록헤드핀(10)과 계속해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기록헤드(5)는 로울러(3)와 접속된 상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신신호가 착신될 때 팩시밀리전화를 일반전화와 공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기능을 절환시킨 다음 시작버튼을 눌러주게 된다. 그러나 팩시밀리 전용전화를 사용할 경우에는 판독헤드(4)가 로울러(3)에서 이격됨과 동시에 모터에 의해 로울러(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수신이 시작된다. 계속해서 원고가 수신되어 기록지에 기록되다가 수신될 원고가 없음을 감지하면, 즉 수신 완료하고 나면 모터에 의해 캠(11)이 시계방향으로 225° 회전되어 대기모드로 환원된 다음 동작을 중단하게 된다.
첨부도면 제2도의 (d)는 복사모드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대기모드에서 복사할 원고를 원고대에 올려놓으면 송신모드시와 마찬가지로 원고감지센서가 원고를 감지하여 온되므로 모터가 축(12)을 시계방향으로 45° 회전시키고 동작이 중단된다. 이에 따라 판독헤드핀(8)에는 캠(11)의 단축부(11b)가 계속해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기록헤드핀(10)에는 캠(11)의 장축부(11a)가 접속되므로 기록헤드(5)가 로울러(3)에서 분리된다. 이와 같이 기록헤드(5)를 로울러(3)에서 분리시킨 후 모터의 역회전으로 원고대에 얹혀진 원고를 독취위치까지 이송시키게 되므로 원고의 셋팅이 완료된다. 그후 복사 시작 버튼을 온시키면 모터가 다시 정방향으로 구동하여 캠(11)을 시계방향으로 135° 더 회전시킨 다음 구동을 중단하게 되므로 캠(11)의 단축부(11b)에 판독헤드핀(8)과 기록헤드핀(10)이 동시에 접속되고, 이에 따라 판독헤드(4) 및 기록헤드(5)가 로울러(3)와 접속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모터의 역회전으로 최하방에 위치된 원고위 1매가 급지되어 원고에 기록된 내용이 판독헤드(4)에 의해 독취되면 독취된 내용을 기록헤드(5)가 기록지(2)에 기록하게 된다. 판독헤드(4)에 의해 원고의 독취가 완료되면 원고의 트레이측으로 배출되므로 원고감지센서가 오프된다. 그후 복사할 원고가 더 있으면 원고감지센서가 다시 온되어 원고를 계속해서 셋팅시키게 되므로 연속복사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복사할 원고가 없을 경우에는 모터의 정회전으로 캠(11)이 시계방향으로 180° 회전하여 제3도의 (a)와 같이 대기모드로 환원시키고 동작을 중단하게 된다.
첨부도면 제2도의 (f)는 수신 또는 복사모드시 기록지가 소진될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원고의 수신 또는 복사시 기록지가 소진됨이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모터의 정회전으로 수신시는 캠(11)을 90° , 복사시는 135° 각각 회전시켜 제3도의 (e)와 같이 판독헤드핀(8)과 기록헤드핀(10)이 캠(11)의 장축부(11a)와 접속되도록 하여 로울러(3)로부터 판독헤드(4) 및 기록헤드(5)를 이격시킴과 동시에 부저등의 기록지 소진 알림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기록지가 소진되었음을 알린다. 상기 동작시 복사모드인 경우에는 기록지 소진감지센서가 온됨에 따라 원고를 트레이로 배출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커버를 개방하여 새로운 기록지를 장착한 다음 커버를 닫으면 기록지 소진감지센서가 오프됨과 동시에 캠이 시계방향으로 90° 회전되어 제3도의 (a)와 같이 대기모드로 환원시키고 중단하게 된다.
첨부도면 제2도의 (e)는 출하를 위한 포장시 또는 장기간 보관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대기모드에서 기기내에서 기록지를 제거하기 위해 커버를 개방시키면 모터의 정회전으로 캠이 시계방향으로 270° 회전되므로 수신 또는 복사시 기록지가 소진되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제3도의 (e)와 같이 된다. 즉, 로울러(3)에서 판독헤드(4) 및 기록헤드(5)가 이격된다. 이에 따라 기기내에서 기록지를 제거하고 커버를 닫으면 기록감지센서가 기록지가 없음을 감지하여 로울러(3)에서 판독헤드(4) 및 기록헤드(5)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전원을 오프시키고 포장을 하므로서 출하가능하게 됨은 물론 보관가능하게 된다. 그후 재사용시는 전술한 제2도의 (a)와 같은 동작에 따라 기기내에 기록지를 장착한 후 사용하게 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초기 상태인 대기모드시 로울러(3)에 판독헤드(4) 및 기록헤드(5)가 항상 접속되어 있으므로 원고의 송신 또는 복사시 원고의 선단이 독취부분의 입구에 위치되므로 정확한 송신 및 복사가 가능하게 됨은 물론 사용시 기록지가 로울러 및 기록헤드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3)

  1.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캠구동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의 외부에서 상기 캠구동수단의 적어도 한쪽 선단에 부착된 모드 선택수단과, 상기 캠의 동작에 따라 상기 이동수단의 외부표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설치된 기록수단과 판독수단을 구비한 팩시밀리장치에 있어서, 판독수단 및 기록수단이 함께 이송수단에 접속되는 대기모드 단계와, 상기 대기모드 단계에 이어서 판독수단을 이송수단과 접속시키고 기록수단은 이격시켜 원고를 송신하는 송신모드 단계와, 상기 대기모드 단계에 이어서 기록수단을 이송수단과 접속시키고 판독수단은 이격시켜 기록지에 수신된 내용을 기록하는 송신모드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구동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모드에 이어서 기록수단을 이송수단에서 분리시킨 다음 원고의 선단이 판독수단의 입구에 도달한 상태에서 복사신호를 입력하면, 이송수단에 판독수단 및 기록수단을 함께 접속시켜 기록지에 원고내용을 기록하는 복사모드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구동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판독수단 및 기록수단이 모두 이송수단으로부터 이격되는 포장 또는 운반모드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구동방법.
KR1019930031523A 1993-12-30 1993-12-30 팩시밀리의 구동방법 KR970003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1523A KR970003412B1 (ko) 1993-12-30 1993-12-30 팩시밀리의 구동방법
JP6337729A JPH07297989A (ja) 1993-12-30 1994-12-28 記録紙及び原稿を移送する移送手段を有するファクシミリの駆動方法
DE4447247A DE4447247A1 (de) 1993-12-30 1994-12-30 Verfahren zum Betrieb einer Facsimile-Vorrichtung mit Transportmitteln zum Transport von Aufzeichnungspapier und Dokumenten
GB9426432A GB2285721B (en) 1993-12-30 1994-12-30 Method for operating a facsimile apparatus having transfer means for conveying ecording paper and documents
CN94120744A CN1113371A (zh) 1993-12-30 1994-12-30 操作具有记录纸和文件传送装置的传真机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1523A KR970003412B1 (ko) 1993-12-30 1993-12-30 팩시밀리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719A KR950022719A (ko) 1995-07-28
KR970003412B1 true KR970003412B1 (ko) 1997-03-18

Family

ID=19374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1523A KR970003412B1 (ko) 1993-12-30 1993-12-30 팩시밀리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H07297989A (ko)
KR (1) KR970003412B1 (ko)
CN (1) CN1113371A (ko)
DE (1) DE4447247A1 (ko)
GB (1) GB2285721B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5772A (ja) * 1988-10-14 1990-04-18 Fujitsu General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GB2257660B (en) * 1991-05-07 1995-03-15 Ttt Kk Facsimile apparatus
JP2908065B2 (ja) * 1991-05-07 1999-06-21 株式会社 ラボ新鋭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537754A (ja) * 1991-07-26 1993-0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アクシミリ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85721B (en) 1998-04-15
GB9426432D0 (en) 1995-03-01
KR950022719A (ko) 1995-07-28
JPH07297989A (ja) 1995-11-10
DE4447247A1 (de) 1995-07-06
GB2285721A (en) 1995-07-19
CN1113371A (zh) 1995-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0247B2 (ja)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1145176A (ja) 熱転写記録装置
JP3109952B2 (ja) 記録装置
KR970003412B1 (ko) 팩시밀리의 구동방법
JP3864478B2 (ja) シート体搬送装置
JP2007302402A (ja) 自動原稿搬送装置
JPH1115211A (ja) 画像形成装置
JP2524052B2 (ja) 画像通信装置
KR100208381B1 (ko) 팩시밀리의 다중 원고 복사 방법
JP2001094735A (ja) 画像読取装置
JP2540096Y2 (ja) シート搬送装置
JPH0812101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031337A (ja) 画像形成装置
KR200336749Y1 (ko) 화상형성장치용 원고의 위치제어장치
JP3453670B2 (ja) 画像読取装置
JPH10279100A (ja) 自動原稿搬送装置
JPH04280759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S62274973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KR200231661Y1 (ko) 화상형성장치용 용지의 위치감지장치
JPH0766932A (ja) 原稿読取装置
JP2006027280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10212050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8181815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520024B2 (ko)
JPH01145961A (ja) 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