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749Y1 - 화상형성장치용 원고의 위치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용 원고의 위치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749Y1
KR200336749Y1 KR20-1999-0007653U KR19990007653U KR200336749Y1 KR 200336749 Y1 KR200336749 Y1 KR 200336749Y1 KR 19990007653 U KR19990007653 U KR 19990007653U KR 200336749 Y1 KR200336749 Y1 KR 2003367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actuator
original
sensor
entry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76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480U (ko
Inventor
안병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076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749Y1/ko
Publication of KR200000204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4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7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7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2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for transpor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17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상형성장치용 원고의 위치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고 투입구측에는 원고유무감지 액츄에이터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원고유무감지 액츄에이터로부터 소정 거리 전방측에는 원고진입감지 액츄에이터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 액츄에이터는 링크를 매개로 연결되며, 각 액츄에이터 사이의 상단에는 위치감지센서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원고 적재대에 셋팅하면 원고유무감지 액츄에이터가 회전되면서 위치감지센서를 작동시키며, 사용자가 조작 패널을 조작한 후 스타트 버튼을 누르면 픽업 롤러가 다시 구동되어 원고를 이송시킨다. 원고는 원고진입감지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며, 링크에 의해 이 액츄에이터와 연동하여 원고유무감지 액츄에이터가 회전되면서 원고진입감지 액츄에이터가 원고감지센서를 작동시킨다. 마지막 원고가 원고진입감지 액츄에이터를 지나게 되면 각 액츄에이터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위치감지센서를 개방시키며, 제어부를 기기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에 의하여, 하나의 센서를 통해 원고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단순화되어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아울러, 두개의 액츄에이터가 연동되므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용 원고의 위치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LOCATION OF PAPER FOR IMAGE FORMING DEVICE}
본 고안은 화상형성장치용 원고의 위치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고의 유무 및 진입을 감지하는 센서를 일원화하여 오동작을 방지함과 아울러,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용 원고의 위치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 팩시밀리 등의 사무기기는 각기 고유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해 고성능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 고가의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독자적으로 사용되던 프린터와 팩시밀리를 일체형으로 개발하여 사용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덜어 주는 제품이 생산되고 있는 바, 이것이 바로 복합기이다.
이러한 팩시밀리와 복합기는 원고의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스캐닝 기능과, 스캐닝된 원고의 데이터를 인쇄하여 복사하는 복사 기능과, 스캐닝된 데이터를 통신 회선을 통해 송신하는 전송기능과, 수신된 데이터를 인쇄하여 출력하는 인쇄기능 등을 수행하는 장치로 이하, 복합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합기는, 복합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의 내부에 스캐닝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와 프린터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가 각각 상하로 구획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복합기의 개략적인 구성도로, 복합기는, 본체(1)와, 본체(1)의 내부에 상하로 구획 설치되는 스캐닝 장치(10)와 프린트 장치(20)로 구성된다.
스캐닝 장치(10)는, 본체(1)의 내부 상측에 형성되어 원고(여기서, 원고는 일면에 데이터가 기록된 용지를 의미한다.)의 이송을 안내하는 원고 이송 경로와, 본체(1)의 일측에 설치되며 원고가 적재되는 판상의 원고 급지대(11)와, 원고를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12)와, 원고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원고의 데이터를 독취하는 독취장치(13)와, 독취장치(13)에 원고를 접촉시키기 위한 화이트 롤러(14)와, 독취장치(13)와 화이트 롤러(14)를 통과한 원고를 본체의 외부로 최종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지롤러(15)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린트 장치(20)는, 본체(1)의 내부 하측에 형성되며 용지(여기서, 용지는 인쇄면에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상태이다.)의 이송을 안내하는 용지 이송 경로와, 본체(1)의 용지 투입구측에 설치되어 다수매의 용지를 적층하기 위한 용지 카세트(21)와, 용지를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미도시)와, 이송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의 상면에 데이터를 프린팅하는 현상기(22)와, 현상기(22)에 의해 인쇄된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키는 정착기(23)와, 정착이 완료된 용지를 본체(1)의 외부로 배지하는 배지롤러(24)로 구성되어 있다.
스캐닝 장치(10)와 프린트 장치(20)에 있어서, 각 장치로 용지를 공급하기 위하여 픽업 롤러(30)가 채용되며, 원고 급지대(12)와 용지 카세트(22)에 적재된 원고와 용지가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각각의 픽업 롤러에 의해 급지되는 사양과, 하나의 픽업 롤러(30)의 회전을 제어하는 방법을 통해 원고와 용지를 급지하는 사양이 있다. 그리고, 픽업 롤러(30)에는 마찰 패드(31)(32)가 소정 압력으로 접촉되어 픽업 롤러(30)와의 마찰력에 의해 원고와 용지를 낱장으로 분리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복합기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고를 원고 급지대(12)에 적재하면 원고유무감지 액츄에이터(40)가 회동되면서 원고유무 감지센서(41)를 차단하며, 이 신호를 근거로 하여 제어부(미도시)는 픽업 롤러(30)를 구동시키고, 픽업 롤러(30)는 원고를 낱장으로 분리하여 원고진입감지 액츄에이터(50)의 직전까지 이송시키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전화를 연결한 후 시작 버튼을 선택하면 이송 롤러(12)가 구동되어 원고를 독취장치(13)측으로 이송시키게 되며, 이 때, 원고진입감지 액츄에이터(50)가 회동되면서 원고진입 감지센서(51)를 차단시키게 되고, 제어부는 이 신호를 근거로 하여 독취장치(13)를 작동시키게 되는데, 원고진입감지 액츄에이터(50)로부터의 거리에 대한 소정 시간이 경과후 동작시키게 된다.
독취장치(13)는 이송중인 용지 표면의 데이터를 읽게 되며, 이어서, 배지 롤러(15)의 회전력에 의해 기기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용지의 끝단이 원고진입감지 액츄에이터(50)를 지나게 되면 원고진입감지 액츄에이터(50)가 비틀림 코일스프링(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어 원고진입 감지센서(51)를 개방시키며, 제어부는 이 신호를 근거로 하여 원고의 페이지를 카운트하는 동시에, 그 다음 원고를 이송시키게 된다.
이어서, 다음 원고가 이송되면서 원고진입감지 액츄에이터(50)를 동작시키며, 이 후,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동작이 반복 수행되면서 원고 급지대(11)에 적재된 다수매의 원고를 독취 및 송신하게 된다.
마지막 원고가 원고유무감지 액츄에이터(40)를 지나게 되면 비틀림 코일스프링(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어 원고유무 감지센서(41)가 개방되며, 제어부는 이 신호를 근거로 하여 원고가 없음을 인식하여 픽업 롤러(30)를 정지시키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화상형성장치용 원고의 위치제어장치에 따르면, 원고의 유무와 진입 위치가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액츄에이터(40)(50) 및 센서(41)(51)에 의해 감지되는 바, 제어부와 각 센서(41)(51)의 연결을 위한 부품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원고의 유무와 진입 위치를 감지하여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용 원고의 위치제어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복합기의 시스템을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가 적용된 복합기의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4a는 송신을 위한 원고의 급지시이며,
도 4b는 원고의 진입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40 : 원고유무감지 액츄에이터 41,51 : 힌지
42,52 : 차단부 50 : 원고진입감지 액츄에이터
60 : 링크 70 : 위치감지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화상형성장치용 원고의 위치제어장치는,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송용 원고에 의해 작동되는 원고유무감지 액츄에이터와, 상기 원고유무감지 액츄에이터로부터 소정 거리 전방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본체의 내부에 진입된 원고에 의해 작동되는 원고진입감지 액츄에이터와, 상기 각각의 액츄에이터를 연결하여 연동시키는 연결부재와, 상기 각 액츄에이터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동시 원고의 유무 또는 진입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위치감지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근거로 하여 원고의 유무 또는 진입을 판단 및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링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원고의 위치제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은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가 적용된 복합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4a는 원고가 원고 급지대에 적재되어 원고유무감지 액츄에이터가 작동된 상태이며, 도 4b는 원고가 독취장치로 진입되어 원고진입감지 액츄에이터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종래와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 급지대(11)의 원고 투입구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고유무감지 액츄에이터(40)와, 원고유무감지 액츄에이터(40)로부터 소정 거리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고진입감지 액츄에이터(50)와, 양단이 액츄에이터(40)(5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60)와, 각 액츄에이터(40)(50)의 사이에 배치되며 각 액츄에이터(40)(50)의 동작에 의해 차단 또는 개방되는 위치감지센서(70)와, 위치감지센서(7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근거로 하여 원고의 위치를 연산 및 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액츄에이터(40)(50)의 하부는 소정 각도로 절곡 성형되며, 각 절곡부에는 힌지(41)(51)가 결합되고, 각 힌지(41)(51)에는 비틀림 코일스프링(미도시)가 설치되어 원고가 없을때 각 액츄에이터(40)(50)가 위치감지센서(70)를 개방시키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갖게 된다.
그리고, 액츄에이터(40)(50)의 상단에는 회동시 위치감지센서(70)를 차단하는 차단부(42)(5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고(여기서, 원고는 일면에 데이터가 기록된 용지를 의미한다.)를 원고 급지대(12)에 적재하면 원고가 원고유무감지 액츄에이터(40)를 밀게 되어 원고유무감지액츄에이터(40)는 힌지(4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차단부(42)가 위치감지센서(70)를 차단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원고진입감지 액츄에이터(50)는 링크(60)를 매개로 하여 위치감지센서(70)측으로 약간 회동된다.
제어부는 이 신호를 근거로 하여 원고가 있음을 감지하여 픽업 롤러(30)를 구동시키며, 픽업 롤러(30)는 원고를 낱장으로 분리하여 원고진입감지 액츄에이터(50)의 직전까지 이송시키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전화를 연결한 후 시작 버튼을 선택하면 이송 롤러(13)가 구동되어 원고를 독취장치(13)측으로 이송시키게 되며, 원고가 원고진입감지 액츄에이터(50)를 밀게 되어 원고진입감지 액츄에이터(50)가 힌지(51)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링크(60)에 의해 각 액츄에이터(40)(50)가 연동되어 원고유무감지 액츄에이터(40)의 차단부(42)가 위치감지센서(70)로부터 떨어져 개방시키며, 소정 시간 경과후 원고진입감지 액츄에이터(50)의 차단부(52)가 위치감지센서(70)를 차단시키게된다.
제어부는 위치감지센서(70)의 차단 또는 개방에 의한 신호 변화를 근거로 하여 원고가 진입함을 인식하여 원고진입감지 액츄에이터(50)로부터 독취장치(13)까지의 거리에 대한 소정 시간후 독취장치(13)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독취중인 원고의 끝단이 원고진입감지 액츄에이터(50)를 지나게 되면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어 위치감지센서(70)를 개방시키며, 소정 시간 경과후 링크(60)에 의해 연동되는 원고유무감지 액츄에이터(40)의 차단부(42)가 위치감지센서(70)를 차단시키게 된다.
제어부는 이러한 신호 변화를 근거로 하여 원고의 페이지를 카운트하는 동시에,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원고가 독취장치(13)를 벗어나는 것을 연산하여 독취장치(13)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어서, 픽업 롤러(30)를 다시 구동시켜 원고를 이송시키며, 원고가 원고진입감지 액츄에이터(50)를 밀게 되면, 원고진입감지 액츄에이터(50)가 위치감지센서(70)를 다시 차단하고, 이 후,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작용 반복 수행되면서 다수매의 원고의 데이터를 독취하게 된다.
마지막 원고가 원고진입감지 액츄에이터(50)를 벗어나면 원고진입감지 액츄에이터(50)가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는 동시에, 원고유무감지 액츄에이터(40)도 복귀되며, 액츄에이터(40)(50)의 복귀에 의해 위치감지센서(70)가 개방되어 제어부는 원고의 송신이 완료되었음을 인식하고 소정 시간 경과후 기기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원고유무감지 액츄에이터(40)와 원고진입감지 액츄에이터(50)가 원고의 유무에 따라 작동되면서 하나의 위치감지센서(70)를 작동시켜 기기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각 액츄에이터에 의해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센서가 불필요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화상형성장치용 원고의 위치제어장치에 의하면, 원고의 유무 및 진입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일원화되어 구조가 단순해짐은 물론, 부품수가 감소되므로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2)

  1.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송용 원고에 의해 작동되는 원고유무감지 액츄에이터와, 상기 원고유무감지 액츄에이터로부터 소정 거리 전방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본체의 내부에 진입된 원고에 의해 작동되는 원고진입감지 액츄에이터와, 상기 각각의 액츄에이터를 연결하여 연동시키는 연결부재와, 상기 각 액츄에이터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동시 원고의 유무 또는 진입을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위치감지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근거로 하여 원고의 유무 또는 진입을 판단 및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원고의 위치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링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원고의 위치제어장치.
KR20-1999-0007653U 1999-05-07 1999-05-07 화상형성장치용 원고의 위치제어장치 KR2003367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653U KR200336749Y1 (ko) 1999-05-07 1999-05-07 화상형성장치용 원고의 위치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653U KR200336749Y1 (ko) 1999-05-07 1999-05-07 화상형성장치용 원고의 위치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480U KR20000020480U (ko) 2000-12-05
KR200336749Y1 true KR200336749Y1 (ko) 2003-12-31

Family

ID=49421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653U KR200336749Y1 (ko) 1999-05-07 1999-05-07 화상형성장치용 원고의 위치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7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480U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0743B2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image read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0471683C (zh) 成像装置
US8104765B2 (en) Document feeder for efficiently supplying originals and storing originals in a discharge stacker after reading
US7370861B2 (en) Sheet holding apparatus and sheet transport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KR20080075672A (ko) 화상독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기기
KR100406995B1 (ko) 팩시밀리의 원고 이송장치
JP2007096803A (ja) 自動原稿搬送装置
KR100465242B1 (ko) 사무기기의 구동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80176A (ko) 화상독해장치
JP4477652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及びこれを具備した画像読取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KR200336749Y1 (ko) 화상형성장치용 원고의 위치제어장치
JP4495604B2 (ja) 画像読取装置
JPH0789631A (ja) 記録装置
KR200231661Y1 (ko) 화상형성장치용 용지의 위치감지장치
JP3483233B2 (ja) 用紙搬送装置
JP4068776B2 (ja) プリンタ装置
EP1215536B1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22020358A (ja) 原稿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050177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
KR200258634Y1 (ko) 복합기의 급지 장치
JPH082731A (ja) 給紙装置
JPH0895332A (ja) 記録装置
JP2000226134A (ja) 用紙給紙装置及び原稿読取装置
KR200244126Y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 장치
JP3686023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