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314B1 - 진단용 용기 - Google Patents

진단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314B1
KR970003314B1 KR1019920005970A KR920005970A KR970003314B1 KR 970003314 B1 KR970003314 B1 KR 970003314B1 KR 1019920005970 A KR1019920005970 A KR 1019920005970A KR 920005970 A KR920005970 A KR 920005970A KR 970003314 B1 KR970003314 B1 KR 970003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heet
diagnostic container
opening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5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0214A (ko
Inventor
히나까 다까노
시게루 세끼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닛쇼오
사노 미노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닛쇼오, 사노 미노루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닛쇼오
Publication of KR920020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0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3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진단용 용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진단용 용기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X-X선에 따른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4도는 필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9도는 제7도 및 제8도의 손잡이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0도는 제7도 및 제8도의 손잡이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2도는 제11도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13도는 제11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5도는 제13도의 Y-Y선을 따른 단면도.
제16도는 제13도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17도는 제15도의 Z-Z선에 따른 단면도.
제18도는 종래의 진단용 용기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21, 31, 41 : 상부상자체 2, 12, 22, 32, 42 : 하부상자체
3, 13, 23, 33, 43 : 여과부 4, 14, 24, 34, 44 : 필터
5, 15, 25, 35, 45 : 판정부 6, 16, 36, 46 : 플레이트
7, 17, 27, 47, 57 : 개구부 8, 28, 48, 58 : 수분흡수체
39, 49 : 돌출부 26, 26a, 26b : 손잡이 수단
30 : 지지축 40 : 기준색
50 : 플레이트 지지체 55 : 반응시트
59 : 간막이 시트 A : 검출시약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진단용 용기에 관해서 특히 임신, 배란등의 진단에 적합한 진단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에 집단검진등에 있어서 뇨검사에서는 환자가 컵 등의 용기에 채취한 배뇨 또는 일본국 특개소 50-40256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이 변기의 오목한 부분에 체류한 배뇨에 직접 시험지를 침지시켜서 정성 또는 반정량 시험이 행해지고 있으나, 시약이 드라이케미스트리 타입이기에 폭넓은 항목의 검사를 할 수 없으며, 정밀검사가 필요한 경우에 있어서는 뇨검체를 반송해서 검사소에서 시험을 행하도록 되어 있었다.
또 일반적으로는 컵에 채취한 배뇨를 스포트 등으로 소형의 반송용 용기에 나누어 넣고 그것을 검사소로 반송하여 뇨의 검사를 하는 방법도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뇨의 채취 장소와 검사장소가 떨어져 있을 경우 이 뇨검체의 반송은 액체상태로 행해짐으로 반송중에 잡균이 번식하여 단백글루코스 등의 검사에 있어서는 정확한 측정결과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액체중에서 응집반응 또는 발색반응을 일으켜서 검사하는 방법도 있으나 어느것이나 액상중에서의 반응이며, 반응결과의 고정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결점을 갖고 있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뇨검사는 현재 단백·글루코스등의 검사뿐이 아니고 임신진단이나 배란일을 예측하는 배란진단을 할때 행해지는 일이 많으며, 검사방법, 기구등에 관해서는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그러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18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상자체의 개구부(57)에 뇨를 배설하여, 내부에 설치한 반응시트(55)로 항원 항체반응 및 효소반응에 의해서 판정하는 고상(固相) 타입이 있으나 반응에 필요한 시약성분을 별도의 스포트등으로 여러번 떨어뜨리는 등 조작이 복잡하며, 반응에 시간이 걸린다. 또 이 용기의 반응시트(55)는 스포지와 같은 간막이 시트(59)를 개재해서 수분흡수체(58)와 일체로 되어 있음으로 장시간 방치해 두었을 때, 일단 수분흡수체에 흡수된 여분의 수분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반응시트(55)로 되돌아오고, 반응결과의 고정화가 되지 않는 결점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조작자와 판정자가 다를 경우나, 검체수가 많은 경우는, 반응시트(55) 부근이 항상 젖은 상태임으로 시간의 경과와 함께 발색제가 퇴색하든가, 발색상이 선명치 않든가 해서 정확하게 판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참작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판정에 필요한 시약류를 모두 넣어서 판정부와 수분흡수체를 분리하도록 한 조작이 아주 간편하며 또한 반응결과의 고정화가 되는 진단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검출시약을 함침 또는 피복시킨 다공성 시트로 이루어져 고형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부와 반응시약을 함침시킨 시트로 이루어진 판정부를 갖고 있는 플레이트와, 개구부를 갖고 있는 상부상자체 및 과잉 수분을 흡수하는 수분흡수체를 수납하는 하부상자체로 이루어지는 진단용 용기로서, 상기 반응시약을 함침시킨 시트가 여과부와 수분흡수체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서, 수분흡수체와 분리가 가능한 진단용 용기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진단용 용기에 있어서 여과부가 상부 상자체의 개구부의 마개체이며, 측면이 소수성수지로 되어 있으며 저면이 다공성시트 또는 검출시약을 함침 또는 피복시킨 다공성시트로 된 필터인 진단용 용기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진단용 용기에 있어서 검출시약이 금속콜로이드인 진단용 용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진단용 용기에 있어서 판정부가 반응시약을 함침시킨 시트이며, 소수성 수지로 된 플레이트에 끼워넣어서 이루어진 진단용 용기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진단용 용기에 있어서 판정부가 반응시약을 함침시킨 시트이며, 시트에 손잡이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진단용 용기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진단용 용기에 있어서 상부상자체의 상면에 여과부와 판정을 위한 개구부가 따로 따로 설치되어 플레이트의 판정부가 그 개구부까지 이동돼서 개구부에서 판정하는 진단용 용기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진단용 용기에 있어서 플레이트의 공백부에 판정시 비교하기 위한 기준색이 설치되어 있는 진단용 용기이다.
[작용]
본 발명은 여과부를 통해서 플레이트의 판정부에 검체를 떨어뜨리면 여과부의 검출시약이 용해되어 검체중의 성분과 함께 판정부의 반응시약과 즉시 반응이 일어난다. 그리고 플레이트를 뽑아내어 판정부를 수분흡수체와 분리시킴으로써 수분흡수체에 일단 흡수된 수분이 역류하는 일이 없으며, 안정된 상태로 반응결과를 고정화 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 진단용 용기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X-X선에 따른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4도는 필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9도 및 제10도는 제7도 및 제8도의 손잡이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2도는 제11도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13도는 제11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 제 14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 15도는 제14도의 Y-Y선에 따른 단면도, 제16도는 제14도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17도는 제16도의 Z-Z선에 따른 단면도, 제18도는 종래기술의 진단용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중에서 1, 11, 21, 31, 41은 상부상자체, 2, 12, 22, 32, 42는 하부상자체, 3, 13, 23, 43은 여과기, 4, 14, 24, 34, 44는 필터, 5, 15, 25, 35, 45는 판정부, 6, 16, 36, 46은 플레이트, 26, 26a, 26b는 손잡이 수단, 7, 17, 27, 47, 57은 개구부, 8, 28, 38, 48, 58은 수분 흡수체, 30은 지지축, 40은 기준색, 50은 플레이트 지지체, 38, 49는 돌출부, 55는 반응시트, 59는 칸막이 시트, A는 검출시약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진단용 용기를 예를들면 제1도 내지 제3도로 설명하면 상부상자체(1)과 하부상자체(2)가 플레이트(6)를 사이에 끼고 끼워맞추어져 있으며 하부상자체(2)에는 수분흡수체(8)가 수납되어 있다. 상부상자체(1)에는 여과부(3)을 끼워넣도록 개구부(7)가 설치되어 있고, 여과부(3)는 착탈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여과부(3)는 측면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수지등의 소수성수지로 된 태브(Tab)가 있는 짧은 통모양을 하고 있으며, 바닥면이 소수성수지 또는 금속제의 부직포, 소결체, 미결체, 편직물 등의 다공성시트로 된 필터(4)이며, 상부상자체(1)의 개구부(7)에 끼워넣을 수 있는 마개체로서, 태브를 들고 빼낼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필터(4)에는 반응에 필요한 검출시약이 함침되어 있든가, 혹은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검출시약(A)을 건조고형화한 것을 필터(4) 윗면에 또는 밑면에 적층시킨 2층으로 된 것과 필터(4)를 검출시약(A)으로 각 층을 덮어씌운 3층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있으나, 검출시약을 별도로 스포토 등으로 떨어뜨릴 경우에는 검출시약(A)은 필요없다. 검출시약에는 금속콜로이드입자, 특히 금속콜로이드입자의 표면이 항체 등으로 씌워진 것이 사용된다. 금속콜로이드입자는 금속, 금속화합물, 또는 중합체핵이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에 의해 씌워진 것으로 된 콜로이드 입자이다.
판정부(5)는 사전에 항체를 부착시킨 셀룰로스,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등의 친수성 재료로 된 시트가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포리프로피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수지 등의 소수성수지로 된 태브가 있는 플레이트(6)에 설치된 원형의 개구부에 끼워넣어져 있으며, 그 판정부 상에서 반응이 행해진다. 판정부(5)에는 예를들면 임신진단의 경우, hCG에 특이한 항 hCG 마우스 모노클로날 항체등을 함침시키든가 해서 직접 진단을 행하든가 한다. 플레이트(6)는 전후로 슬라이드 하도록 되어 있고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자체로부터 뽑아내든가 혹은 빼냄으로써 수분흡수체와 분리시킬 수가 있다.
수분흡수체(8)는 탈지면, 부직포등의 흡수성, 탄력성이 풍부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도에서는 탈지면과 부직포를 겹친것과 같은 적층품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탈지면 또는 부직포 단독으로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진단용 용기의 사용방법은 우선 예를 들면 제1도에 있어서 여과부(3)의 오목부에 요검체(尿檢體)를 스포트등으로 흘린다. 필터(4)에 의해서 뇨중의 고형 성분이 제거되고, 동시에 필터(4)에 함침 혹은 적층된 검출시약(A)이 용해하고 과잉의 뇨는 수분흡수체(8)에 흡수된다. 필터(4)가 검출시약을 함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뇨검체에 이어 검출시약을 별도로 떨어뜨린다.
다음은 제3도와 같이 플레이트(6)를 끝부분에 설치한 탭을 잡고 뽑아내든가 잡아 뺌으로서 판정부(5)와 수분흡수체(8)가 분리된다. 그렇게하면 판정시, 판정부(5)는 보기 쉽고, 수분흡수체(8)로부터의 역류가 없음으로, 장시간 방치해 두어도 반응결과가 변화하는 일은 없다.
예를들면 임신진단의 경우 임신중이면 뇨중에 hCG(히트섬모성 성선 자극홀몬)이 배설되므로 항원항체 반응에 의해 판정부(5)에서 hCG가 항 hCG 모노클로날 항체에 의해서 포착된다. 포착된 hCG는 검출시약중의 예를들면 금콜로이드 표지된 항체에 의해서 검지되고 금콜로이드 입자에 의해 판정부(5)가 즉시 적자색으로 착색된다. 음성의 경우는 hCG가 검지되지 않으므로 착색은 볼수 없다.
또 여과부(3)를 빼내서 개구부(7)에서 육안으로 그 자리에서 육안 판정할 수도 있다.
또 제2실시예로서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1실예와 동일하게 상부상자체(11)와 하부상자체(12)가 플레이트(16)를 사이에 두고 끼워맞추어서 이루어지고, 상부상자체(11)의 개구부(17)에는 다각형의 여과부(13)가 끼워져 있다. 여과부(13)는 그 한변이 상부상자체(11)와 경첩등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필터(14)에는 검출시약이 집어 넣어져 있으며, 검체를 적하해서 제6도와 같이 플레이트(16)를 빼내서 판정부(15)에서 판정한다. 또 여과부(13)를 열어서 개구부(17)에서 판정해도 된다.
제3실시예는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부상자체(21)와 하부상자체(22)가 경첩등으로 연결되어 만들어 지든가 혹은 끼워맞춰져 있으며 개폐 또는 착탈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구성 및 재질 시약은 전부 제1 및 제2실시예와 같으나, 플레이트를 사용치 않고 판정부(25)에 손잡이수단(26)이 설치되어 있고 반응이 끝난 후 손잡이수단(26)을 잡고 판정부(25)를 빼냄으로써 수분흡수체(28)와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손잡이 수단(26)은 접착력이 약한 풀등의 접착제가 끝부분 또는 이면 전체에 도포된 종이, 합성지, 플라스틱 필름 등을 판정부(25)의 끝부분에 붙여서 만들어지고 판정부(25)로부터 손쉽게 뗄수도 있다. 또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판정부(25)를 끼워잡는 종이집게와 같은 것이라도 좋다. 예를들면 제9도에 도시하는 손잡이 수단(26a)은 금속 또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수지 등의 소수성수지로 만들어지는 클립이며, 손잡이부를 잡고 판정부(25)로부터 떼어낼 수가 있다. 제 10도에 도시하는 손잡이 수단(26b)는 종이, 합성수지, 반합성수지 등으로 된 2매의 플레이트를 점접착 등으로 가볍게 붙인 것으로서 선단부가 판정부(25)를 끼워넣기 위한 원통형의 돌출부와 틈새를 설치하여 원통형의 돌출부에서 판정부(25)가 가볍게 고정되고, 판정부(25)의 선단은 틈새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2매의 플레이트를 양측으로 잡아당기면 접착부로부터 플레이트는 분리되어 판정부(25)에서 떼어 낼수가 있다.
제4실시예는 제11∼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하부상자체(32)의 일단에 돌출부(39)를 설치하고, 그 돌출부(39)와 상부상자체(31)를 접착제 등으로 접착시키고 그 틈새에 플레이트(36)를 끼워서 지지축(30)에 의해서 관통 연결되어 있으며 플레이트(36)가 지지축(30)을 축으로 회전이동 하도록 되어 있다. 하부상자체(32)에 설치된 돌출부(39)는 플레이트(36)의 위치결정하는데 편리한 것으로서, 없어도 된다. 돌출부(39)를 설치할 경우에는 플레이트(36)을 빼낼때 돌출부에 부딛치지 않도록 목귀질하지 않으면 안된다.
지지축(30)은 금속 또는 소수성수지로 만든 핀, 비스, 나사, 원통형상의 돌기물 등을 들수 있다. 여과부(33)는 제1 내지 제3실시예와 똑같이 착탈 또는 개폐가 자유로운 것이라도 좋으며, 상부상자체(31)은 개구부에 매설돼서 끼워맞춤 또는 접착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사용이 끝난 것은 빼낸 플레이트(36)를 원상태로 되돌려 놓기만 하면 되므로 폐기할때 편리하다.
제5실시예는 제14∼제17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부상자체(41)의 상면의 한쪽에는 여과부(43)가 매설되어 있으며, 다른쪽에는 판정을 위한 개구부(47)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상자체(42)는 상부상자체(41)에 여과부(43)에 대응하는 쪽에 수분흡수체(48)가 수납되어 있고 개구부(47)에 대응하는 쪽에는 수분흡수체(48)를 고정하고, 또한 플레이트(46)를 지지하기 위한 플레이트 지지체(50)가 일체로 형성되어 만들어져 있다. 플레이트(46)는 제1 및 제2, 제4실시예의 것과 구성, 재질은 같으나 빼냈을 때 판정부(45)가 개구부(47) 직하에 고정되도록 이면에 돌부(49)가 설치되어 있다. 또 플레이트(46)상의 판정부(45)의 여백부분에는 양성의 정도를 판정하든가, 정량적인 진단의 경우 판정하기 쉽게하기 위해서 비교를 하기 위한 기준색이 스포트 형상으로 착색된 기준색(40)이 설치되어 이루어졌다.
배란진단등의 경시변화를 보는 시험의 경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같은 경우에서는 플레이트(6, 16)를 뽑아내고, 또 제3실시예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는 손잡이 수단(26)을 잡아 판정부(25)를 빼내서, 그대로 또는 판정부(25)만을 대지(臺紙), 카르테(karte)등에 붙여서 보존할 수 있다.
[실시예 1 및 2]
건강한 부인의 뇨(실시예 1)와 임신부뇨(실시예 2)를 채뇨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진단용 용기를 이용해서 각각의 검체에 대해서 임신진단 검사를 행했다. 여과부(3)에는 검출시약으로서 금콜로이드 용액을 함침시키고, 판정부(5)의 반응시약에는 항 hCG 모노클로날항체를 함침시킨 것을 사용했다. 실시예 1의 건강한 부인의 뇨에는 변화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실시예 2의 임신부뇨는 적하함과 동시에 판정부(5)에 적자색의 발색을 볼수 있었다. 다음에 경시변화를 보기 위해 플레이트(6)를 빼내서 방지해두고 한시간 경과한 후 재차판정을 행했다. 결과는 반응직후와 다른 것이 없었다. 그 결과를 표 1에 도시한다.
[비교예 1 및 2]
실시예 1 및 2와 똑같이 건강한 부인의 뇨(비교예 1)와 임신부뇨(비교예 2)를 검체로 해서 각각의 임신진단 검사를 행했다. 진단용 용기는 제 18도에 도시하는 종래의 것을 사용했다.
개구부(57)에서 반응 시트(55)에 각각 뇨검체를 적하한 후 검출시약인 금콜로이드 용액을 적하하고 여분의 검출시약을 제거하기 위해 반응시트(55)를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했다. 그리고 개구부(57)에서 판정하고 다시 또 그대로의 상태를 방치하여 한 시간 경과한 후에 판정을 행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도시한다. 반응직후의 결과는 실시예 1 및 2와 동일 했으나 1시간 경과 후는 건강한 부인의 뇨에도 엷은 적자색의 발색을 볼 수 있고, 임신부의 뇨는 어느 만큼 색이 엷게 되어 있고 구별하기 어려운 상태로 되어 있었다. 이것은 수분흡수체(58)에 일단 흡수된 검출시약이 시간이 경과함과 동시에 재차반응시트(55)로 되돌아가 금콜로이드 용액이 적색을 띠고 있음으로 반응시트(55)가 착색된 것으로 생각된다. 또 임신부의 뇨 쪽도 수분흡수체로부터의 수분의 역류에 의해 발색상이 선명치 않게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를 표에 정리하면 표 1과 같이 된다. 단 -는 음성(무착색), ±는 위양성(僞陽性)(엷은 착색), +는 양성(명확한 착색)로 했다.
[표 1]
표 1의 결과에서도 알수 있듯이 본 발명의 진단용 용기는 조작이 간편하며, 단시간에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 판정부와 수분흡수체를 분리하므로써 반응결과를 고정할 수 있으며, 시간의 경과와 함께 결과가 변화되어 버리는 염려가 없다. 그 때문에 뇨의 채취장소와 검사장소가 상이할 경우나, 모집단이 클경우에 썩 알맞으며,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라 해도 다수의 검체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가 있다.
또 판정부의 플레이트 등을 빼내서 결과를 보존해 둘수 있음으로 배란진단 등이 경시 변화를 보고 판단하는 시험에는 최적합하다.
그리고 이 실시예는 본 발명 제1의 실시예의 것을 이용한 것이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내지 제5실시예의 것도 똑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는 여과부를 분실할 염려가 없으며, 제3실시예에서는 판정부의 보존이 편리하며, 제4 및 제5실시예에서는 폐기할 때 세균등에 의한 오염이 적으며, 또 제 5실시예에서는 기준색과 비교하므로써 한층 판정이 쉽다는 효과도 들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진단용 용기는 반응에 필요한 시약이 전부 집어 넣어져 있으므로 검체를 떨어뜨리는 조작만으로 즉시 판정할 수가 있다.
또 판정부와 수분흡수체를 분리할 수가 있으므로 판정부 부근은 습기로부터 격리되어 검사종료 후에도 선명한 발색을 유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검사결과에 경시 변화가 없음으로 판정부만의 보존을 할 수 있으며 배란예측 등의 경시변화를 보는 시험이나 집단 검진에는 특히 유효하다.

Claims (7)

  1. 검출시약을 함침 또는 피복시킨 다공성을 시트로 이루어져 고형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부와 반응시약을 함침시킨 시트로 이루어진 판정부를 가진 플레이트와, 개구부를 갖고 있는 상부상자체 및 과잉수분을 흡수하기 위한 수분 흡수체를 수납하는 하부상자체로 이루어진 진단용 용기로서, 상기 반응시약을 함침시킨 시트가 여과부와 수분흡수체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수분흡수체와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여과부가 상부상자체의 개구부의 마개체이며, 측면이 소수성수지로 이루어져 있고, 저면이 다공성시트로 만들어진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검출시약이 금속 콜로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판정부가 반응시약을 함침시킨 시트이며 소수성수지로 만들어진 플레이트에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판정부가 반응시약을 함침시킨 시트이며, 시트에 손잡이 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부상자체의 상면에 설치된 여과부와 판정을 위한 개구부가 따로 따로 설치되어, 플레이트의 판정부가 그 개구부에 까지 이동되어 그 개구부에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플레이트의 공백부에 판정시 비교하기 위한 기준색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용기.
KR1019920005970A 1991-04-19 1992-04-10 진단용 용기 KR9700033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3116803A JP3097768B2 (ja) 1991-04-19 1991-04-19 診断用容器
JP91-116803 1991-04-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214A KR920020214A (ko) 1992-11-20
KR970003314B1 true KR970003314B1 (ko) 1997-03-17

Family

ID=14696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5970A KR970003314B1 (ko) 1991-04-19 1992-04-10 진단용 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097768B2 (ko)
KR (1) KR970003314B1 (ko)
CN (1) CN106633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24991B1 (en) * 2004-11-24 2016-01-20 TechLab, Inc.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on of analytes
FR2991689B1 (fr) * 2012-06-11 2018-04-20 Diagast Dispositif de diagnostic immuno-hematologique et utilis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97768B2 (ja) 2000-10-10
JPH04320962A (ja) 1992-11-11
KR920020214A (ko) 1992-11-20
CN1066331A (zh) 199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066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ngle step assays of whole blood
US7488450B2 (en) Analyte collection and detection devices
AU764945B2 (en) Multiple analyte assay device with sample integrity monitoring system
US20040184954A1 (en) Lateral flow immunoassay devices for testing saliva and other liquid samples and methods of use of same
US7347972B1 (en) Multiple analyte assay device
US20150241413A1 (en) Test strip
KR970003314B1 (ko) 진단용 용기
US20070128072A1 (en) Multiple analyte assay device
JP3791640B2 (ja) 検査用デバイス
JPH0729495Y2 (ja) 診断容器
JPH07218503A (ja) 検査用器具
JPH079090Y2 (ja) 診断用容器
JP3561588B2 (ja) 免疫学的検査具
JP2524111Y2 (ja) 液体検査用具
JPH0734374Y2 (ja) 診断用カセット
JPH0734373Y2 (ja) 診断カセット
JPH07134123A (ja) 診断用容器
JPH062142Y2 (ja) 採尿検査用具
JPH07209286A (ja) 検査用器具
JPH0569679U (ja) 特異的蛋白質の検出容器
JPH07209285A (ja) 検査用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