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380B1 -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 - Google Patents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380B1
KR970002380B1 KR1019930020701A KR930020701A KR970002380B1 KR 970002380 B1 KR970002380 B1 KR 970002380B1 KR 1019930020701 A KR1019930020701 A KR 1019930020701A KR 930020701 A KR930020701 A KR 930020701A KR 970002380 B1 KR970002380 B1 KR 970002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by
floppy disk
circuit
host system
regi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0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0030A (ko
Inventor
겐니찌 스즈끼
Original Assignee
니뽄 덴끼 가부시끼 가이샤
세끼모또 다다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덴끼 가부시끼 가이샤, 세끼모또 다다히로 filed Critical 니뽄 덴끼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10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3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
제1도 및 제2도는 종래 기술의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를 설명하는 블럭 회로도.
제3도, 제4도,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의 제1, 제2, 제3 및 제4실시예를 각기 설명하는 블럭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호스트 시스템 2 :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
3-0,3-1,3-2,3-3 : 플로피 디스크 유닛 21 : 디지탈 출력 레지스터
22 : 데이타 레지스터 23 : 제어 회로
24 : 대기 코드 디코더 25 : 데이타 비 레지스터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호스트 시스템과 다수의 플로피 디스크 유닛간에 접속된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의 설명]
일반적으로, 호스트 시스템과 플로피 디스크 유닛간에는 플로피 디스크 유닛의 판독/기록 동작을 수행하고, 플로피 디스크 유닛 등을 기계적으로 구동시키는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가 접속된다.
플로피 디스크 유닛이 수납되지 않고 구동되지 않을시에,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는 동작 모드로부터 대기 모드로 이동되어 전력 소실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대기 모드에서는 내부 클럭신호의 발생이 중단되나, 내부의 임의 접근 메모리(RAM)의 내용, 포트의 값 등은 유지된다.
종래 기술의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는 호스트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어기가 동작 모드로부터 대기 모드로 이동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결과로서, 호스트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은 복잡하게 되고, 또한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를 동작시키는데 더 큰 전력이 소실되는데, 이는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의 대기 상태가 엄밀히 제어될 수 없기 때문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호스트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을 단순화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의 전력 소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호스트 시스템과 다수의 플로피 디스크 유닛간의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내에서, 상기 플로피 디스크 유닛중 한 유닛을 각각 구동시키는 다수의 포트를 가진 제어 레지스터가 NOR 회로와 같은 논리 회로에 접속되어, 모든 플로피 디스크 유닛이 구동되지 않는다는 것을 검출한다. 모든 플로피 디스크 유닛이 구동되지는 않을시에, 상기 논리 회로는 대기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본질적으로, 호스트 시스템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없이도, 대기 제어 신호가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 내에서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기술과 비교된 이하에 설정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종래 기술의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가 제1도 및 제2도와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종래 기술의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참조 : USERS MANUAL μPD72069 FLOPPY DISK CONTROLLER, NEC Corporation, Tokyo, Japan, Jan. 1991. P. 64)를 설명하는 제1도에 있어서, 참조 부호 숫자 1은 호스트 시스템을 지시하고, 2는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FDC)를 지시하고, 3-0,3-1,3-2 및 3-3은 플로피 디스크 유닛을 지시한다.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2)와 플로피 디스크 유닛(3-0,3-1,3-2 및 3-3)간의 접속은 스타 접속 또는 데이지 체인 접속(star connection or daisy chain connection)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2)는 플로피 디스크 유닛(3-0,3-1,3-2 및 3-3)의 모터를 각기 턴온 및 오프시키는 4개의 포트(ME0,ME1,ME2 및 ME3)를 가진 8-비트 디지탈 출력 레지스터(8-bit digital output register; DOR, 21)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탈 출력 레지스터(21)는 호스트 시스템(1)에 의하여 8-비트 데이타 버스(B1)를 통하여 기록되어진다.
게다가,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는 호스트 시스템(1)으로부터 제어 회로(23)로, 또는 그 역으로, 데이타 또는 명령을 전달하는 데이타 레지스터(data register; DTR, 22)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타 레지스터는 또한 데이타 버스(B1)를 통하여 호스트 시스템(1)에 접속되며, 동시에 내부 데이타 버스(B2)를 통하여 제어 회로(23)에 접속된다.
제어 회로(23)는 상기 내부 버스(B2)의 병렬 데이타의 병렬-대-직렬 변환을 수행하여, 상기 직렬 데이타를 기록 데이타 W로서 플로피 디스크 유닛(3-0,3-1,3-2 및 3-3)중 한 유닛에 전송한다. 역으로, 제어 회로(23)는 직렬 데이타를 플로피 디스크 유닛(3-0,3-1,3-2 및 3-3)중 한 유닛으로부터의 판독 데이타 R로서의 직렬-대-병렬 변환을 수행하고, 상기 병렬 데이타를 데이타 레지스터(22)로 전송한다. 게다가, 제어 회로(23)는 각종의 제어 신호 C를 발생하고, 상기 신호를 플로피 디스크 유닛(3-0,3-1,3-2 및 3-3)으로 전송한다. 제어 회로(23)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병렬-대-직렬 변환기, 직렬-대-병렬 변환기, 내부 RAM, 내부 클럭 발생기 등을 합체한 것임을 알아야 한다.
제1도에서,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2)를 대기 모드에 두기 위하여, 즉, 제어 회로(23)를 대기 모드에 두기 위하여, 대기 코드 디코더(24)가 데이타 버스(B2)에 접속된다. 결과로서, 호스트 시스템(1)이 특수 코드를 가진 대기 명령을 발행하고 그 명령을 데이타 레지스터(22)에 기록할시에, 대기 코드 디코더(24)는 대기 제어 신호(standby control signal; STBY)를 발생하는지를 검출한다. 따라서, 상기 대기 제어 신호 STBY가 제어 회로(23)에 전송되어져, 상기 제어 회로(23)가 동작 모드로부터 대기 모드로 이동된다.
그러나, 제1도의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에 있어서, 호스트 시스템(1)은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2)를 대기 모드로 이동시키라는 대기 명령을 발생햐야 하며, 따라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호스트 시스템(1)의 제어 프로그램을 복잡하게 하고 전력 소실을 증가시킨다.
또다른 종래 기술의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참조 : USERS MANUAL μPD72070 FLOPPY DISK CONTROLLER, NEC Corporation, Sep. 1992. P. 18)를 설명하는 제2도에 있어서, 구동 제어 신호를 전환시키는 데이타 비를 기억하는 데이타 비 레지스터(data rate register; DRR, 25)가 제1도의 대기 코드 디코더(24) 대신에 제공된다. 상기 데이타 비 레지스터(25)는 대기 제어 신호(STBY)를 발생하는 포트(SB)를 갖는다.
제2도에서,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2)를 대기 모드에 두기 위하여, 즉, 제어 회로(23)를 대기 모드에 두기 위하여, 호스트 시스템(1)이 데이타 버스(B1)를 통하여 데이타 비 레지스터(25)의 포트(SB)에 1을 기록할시에, 상기 데이타 비 레지스터(25)는 대기 제어 신호(STBY)를 발생하고 그 신호를 제어 회로(23)에 전송하여, 그것을 대기 모드에 두게 한다.
또한, 제2도의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에 있어서, 호스트 시스템(1)은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2)를 대기 모드로 이동시키기 위해 데이타 비 레지스터(25)에 1을 기록시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호스트 시스템(1)의 제어 프로그램을 복잡하게 하고 전력 소실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는 제3도에 있어서, 제1도의 대기 코드 디코더(24)와 제2도의 데이타 비 레지스터(25)의 포트(SB) 대신에 NOR 회로(26)가 제공된다. NOR 회로(26)는 디지탈 출력 레지스터(21)의 모든 포트(ME0,ME1,ME2 및 ME3)에 접속된다. 그러므로, 모든 포트(ME0,ME1,ME2 및 ME3)의 값이 0이어, 플로피 디스크 유닛(3-0,3-1,3-2 및 3-3)의 모든 모터가 턴 오프될시에, NOR 회로(26)의 출력, 즉, 대기 제어 신호(TBY)가 1이 되어, 제어 회로(23)를 동작 모드로부터 대기 모드로 이동시킨다.
즉, 동작 모드에서, 디지탈 출력 레지스터(21)의 적어도 하나의 포트(ME0,ME1,ME2 및 ME3)가 호스트 시스템(1)에 의해 1이 되며, 따라서, 대응하는 모터가 대응하는 플로피 디스크 유닛에 대한 접근을 수행하도록 구동된다. 역으로, 디지탈 출력 레지스터(21)의 모든 포트(ME0,ME1,ME2 및 ME3)가 0일시에, 플로피 디스크 유닛(3-0,3-1,3-2 및 3-3)의 모든 모터가 정지되며, 따라서 플로피 디스크 유닛(3-0,3-1,3-2 및 3-3)에 대한 어떠한 접근도 수행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대기 제어 신호(STBY)는 디지탈 출력 레지스터(21)의 모든 포트(ME0,ME1,ME2 및 ME3)가 0인 상기 상태를 검출하므로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는 제4도에서, 제3도의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2)는 OR 회로(27)의 부가에 의해 제1도의 종래 기술의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2)와 결합된다. 즉, 상기 OR 회로(27)는 NOR 회로(26)로부터의 대기 제어 신호 또는 대기 코드 디코더(24)로부터의 대기 제어 신호를 제어 회로(23)로 전송한다. 따라서, 제4도의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2)는 제1도의 종래 기술의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2)와 양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는 제5도에서, 제3도의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2)는 OR 회로(27')의 부가에 의해 제2도의 종래 기술의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2)와 결합된다. 즉, 상기 OR 회로(27')는 NOR 회로(26)로부터의 대기 제어 신호 또는 데이타 비 레지스터(25)의 포트(SB)로부터의 대기 제어 신호를 제어 회로(23)로 전송한다. 따라서, 제4도의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2)는 제2도의 종래 기술의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2)와 양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는 제6도에서, 제3도의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2)는 OR 회로(27'')의 부가에 의해 제1도의 종래 기술의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2) 및 제2도의 종래 기술의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2)와 결합된다. 즉, 상기 OR 회로(27'')는 NOR 회로(26)로부터의 대기 제어 신호, 대기 코드 디코더(24)로부터의 대기 제어 신호 또는, 데이타 비 레지스터(25)로부터의 대기 제어 신호를 제어 회로(23)로 전송한다. 따라서, 제4도의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2)는 제1도의 종래 기술의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2) 및 제2도의 종래 기술의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와 양립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와 양립할 수 있는 제4, 제5 또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는 또한 종래 기술의 제어 프로그램을 합체한 호스트 시스템(1)에 접속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앞서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호스트 시스템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없이도,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내에서 대기 제어 신호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호스트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이 단순화될 수 있고, 또한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의 대기 상태가 엄밀히 제어될 수 있기 때문에,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의 전력 소실도 감소될 수 있다.

Claims (8)

  1. 호스트 시스템(1)과 다수의 플로피 디스크 유닛(3-0∼3-3)간에 접속된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시스템과 상기 플로피 디스크 유닛간에 접속되어, 상기 플로피 디스크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23)와; 상기 호스트 시스템 및 상기 플로피 디스크 유닛에 접속되며, 상기 플로피 디스크 유닛중 한 유닛을 각각 구동시키는 다수의 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호스트 시스템에 의해 기록되어진 디지탈 출력 레지스터(21)와; 상기 제어 레지스터의 모든 포트와 상기 제어 회로간에 접속되어, 대기 제어 신호(STBY)를 발생하고 그 신호를 상기 제어 회로에 전송하기 위해 모든 상기 플로피 디스크 유닛이 구동되지는 않는다는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 회로를 동작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이동시키는 대기 제어 신호 발생 회로(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시스템과 상기 제어 회로간에 접속된 데이타 레지스터(22)와; 상기 데이타 레지스터에 접속되어, 상기 데이타 레지스터의 내용이 선정된 대기 코드와 일치할시에, 대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대기 코드 디코더(24) 및; 상기 대기 제어 신호 발생 회로, 상기 대기 코드 디코더 및 상기 제어 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대기 제어 신호 발생 회로 및 상기 대기 코드 디코더중 하나로부터의 대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회로로 전송하는 논리 회로(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시스템에 접속되며, 대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호스트 시스템에 의해 기록되어진 부가의 제어 레지스터(25) 및 ; 상기 대기 제어 신호 발생 회로, 상기 부가의 제어 레지스터 및 상기 제어 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대기 제어 신호 발생 회로 및 상기 부가의 제어 레지스터중 하나로부터의 대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회로에 전송하는 논리 회로(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시스템과 상기 제어 회로간에 접속된 데이타 레지스터(22)와; 상기 데이타 레지스터에 접속되어, 상기 데이타 레지스터의 내용이 선정된 대기 코드와 일치할시에, 대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대기 코드 디코더(24)와; 상기 호스트 시스템에 접속되며, 대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호스트 시스템에 의해 기록되어진 부가의 제어 레지스터(25) 및; 상기 대기 제어 신호 발생 회로, 상기 대기 코드 디코더, 상기 부가의 제어 레지스터 및 상기 제어 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대기 제어 신호 발생 회로, 상기 대기 코드 디코더 및 상기 부가의 제어 레지스터중 하나로부터의 대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회로에 전송하는 논리 회로(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
  5. 호스트 시스템(1)과 다수의 플로피 디스크 유닛(3-0∼3-3)간에 접속된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시스템 및 플로피 디스크 유닛에 접속되어, 상기 플로피 디스크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23)와; 상기 호스트 시스템 및 상기 플로피 디스크 유닛에 접속되며, 상기 플로피 디스크 유닛중 한 유닛을 각각 구동하는 다수의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호스트 시스템에 의해 기록되어진 디지탈 출력 레지스터(21)와; 상기 디지탈 출력 레지스터 및 상기 제어 회로의 모든 포트에 접속되어, 모든 상기 플로피 디스크 유닛이 구동되지는 않을시에, 대기 제어 신호(STBY)를 발생시키는 논리 회로(26)와 ; 상기 제어 회로에 전송되어져, 상기 제어 회로를 동작 모드로부터 대기 모드로 이동시키는 대기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시스템과 상기 제어 회로간에 접속된 데이타 레지스터(22)와; 상기 데이타 레지스터에 접속되어, 상기 데이타 레지스터의 내용이 선정된 대기 코드와 일치할시에, 대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대기 코드 디코더(24) 및; 상기 논리 회로, 상기 대기 코드 디코더 및 상기 제어 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논리 회로 및 상기 대기 코드 디코더중 하나로부터의 대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회로에 전송하는 OR 회로(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시스템에 접속되며, 대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호스트 시스템에 의해 기록되어져 구동 타이밍을 한정하는 데이타 비 레지스터(25) 및; 상기 논리 회로, 상기 데이타 비 레지스터 및 상기 제어 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논리 회로 및 상기 데이타 비 레지스터중 하나로부터의 대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회로에 전송하는 OR 회로(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피 디크스 제어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시스템과 상기 제어 회로간에 접속된 데이타 레지스터(22)와; 상기 데이타 레지스터에 접속되어, 상기 데이타 레지스터의 내용이 선정된 대기 코드와 일치할시에, 대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대기 코드 디코더(24)와, 상기 호스트 시스템에 접속되며, 대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호스트 시스템에 의해 기록되어져 구동 타이밍을 한정하는 데이타 비 레지스터(25) 및; 상기 논리 회로, 상기 대기 코드 디코더, 상기 데이타 비 레지스터 및 상기 제어 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논리 회로, 상기 대기 코드 디코더 및 상기 데이타 비 레지스터중 하나로부터의 대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회로로 전송하는 대기 회로(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
KR1019930020701A 1992-10-07 1993-10-07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 KR970002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68735 1992-10-07
JP4268735A JP2737571B2 (ja) 1992-10-07 1992-10-07 フロッピィ・ディスク・コントロー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030A KR940010030A (ko) 1994-05-24
KR970002380B1 true KR970002380B1 (ko) 1997-03-03

Family

ID=17462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0701A KR970002380B1 (ko) 1992-10-07 1993-10-07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30876A (ko)
EP (1) EP0591973B1 (ko)
JP (1) JP2737571B2 (ko)
KR (1) KR970002380B1 (ko)
DE (1) DE6931613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2495A (ja) * 1995-03-31 1996-10-18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力制御装置及び電力制御方法
TW556421B (en) 2002-08-15 2003-10-01 Htc Corp Circuit and operating method for integrated interface of PDA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40114874A1 (en) * 2002-12-12 2004-06-17 Katsumi Bono Optical fiber arra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0836A (en) * 1988-10-14 1990-12-25 Compaq Computer Corporation Apparatus for reducing computer system power consumption
US5410711A (en) * 1991-02-14 1995-04-25 Dell Usa, L.P. Portable computer with BIOS-independent power management
GB2264794B (en) * 1992-03-06 1995-09-20 Intel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power management in a high integration floppy disk controller
US5274277A (en) * 1992-09-01 1993-12-28 Intel Corporation High speed "OR" circuit configuration
US5300831A (en) * 1992-09-04 1994-04-05 Pham Dac C Logic macro and protocol for reduced power consumption during idle st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91973A2 (en) 1994-04-13
JP2737571B2 (ja) 1998-04-08
EP0591973A3 (en) 1994-10-05
EP0591973B1 (en) 1998-01-07
US5530876A (en) 1996-06-25
KR940010030A (ko) 1994-05-24
JPH06119118A (ja) 1994-04-28
DE69316132D1 (de) 1998-02-12
DE69316132T2 (de) 199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705315A (ko)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용 시스템 구조(system architecture for hdd)
KR20050107291A (ko) 동작 모드가 별도로 설정되는 메모리 장치들을 구비하는메모리 시스템 및 동작 모드 설정 방법
KR970002380B1 (ko)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
JPH0520078Y2 (ko)
US5051850A (en) Disc unit having a central control for control plural disc drives
JP2000324896A (ja) データ伝送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978253B2 (ja) 半導体記憶装置
JPH0831016B2 (ja) 補助記憶装置のインタフェース
KR100200767B1 (ko) 동기식 반도체 장치의 칼럼 어드레스 버퍼 제어회로
GB2298940A (en) Data backup/restore devices
JP2000102292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駆動装置
KR100520858B1 (ko) 디퍼런셜 및 싱글-엔디드 방식을 겸용으로 실장 가능한 hdd구동 장치 및 방법
KR100331557B1 (ko) 순차적 전송 기능을 갖는 출력단 및 이를 내장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메모리 시스템
JPS6120167A (ja) デ−タ記憶装置
JP3138597B2 (ja) バースト信号送出管理用メモリを用いたダイナミックポーリング方式
KR100231600B1 (ko) 반도체 장치에서 패킷 프로토콜에 의한 데이타 전송 방법
JP2845038B2 (ja) 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S6054906U (ja) 位置検出回路
JPH06131306A (ja) データ転送方式
JPH01307991A (ja) バブルメモリ装置
JPH10320175A (ja) エンディアン変換方式
JPH11147350A (ja) プリンタ制御回路
JPH09282102A (ja) 磁気ディスク制御装置
JPH0286230A (ja) 光信号伝送方式の伝送プロトコル
JP2001166988A (ja) データ転送装置及びデータ転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