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703712A - 벽공벽 파괴목재 - Google Patents

벽공벽 파괴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703712A
KR960703712A KR1019960700103A KR19960700103A KR960703712A KR 960703712 A KR960703712 A KR 960703712A KR 1019960700103 A KR1019960700103 A KR 1019960700103A KR 19960700103 A KR19960700103 A KR 19960700103A KR 960703712 A KR960703712 A KR 960703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wall
masonry
fa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0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노루 안도
Original Assignee
미노루 안도
하라 마사미
쮸오우 모쿠자이 가이하츠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72954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70921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729559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08408A/ja
Application filed by 미노루 안도, 하라 마사미, 쮸오우 모쿠자이 가이하츠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노루 안도
Publication of KR960703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371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3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from infrared-emitting elements
    • F26B3/305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from infrared-emitting elements the infrared radiation being generated by combustion or combustion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03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by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mechanical 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01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6Wood, e.g. lumber, ti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를 구성하는 세포의 세포막상의 벽공벽을 인위적으로 파괴시키고, 그런 연후에 목재의 건조 상태를 용이하게 달성시키도록 한 것이다. 즉 벌채된 목재는, 상기 벽공벽의 토러스가 특히 쌍으로 구성되는 벽공의 한쪽방향의 구멍 또는 다른쪽 방향의 구멍을 폐색해버리므로, 세포 내부의 수분이 빠져나가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감안하여, 이러한 벽공벽의 폐색을 저지하여, 즉 벽공벽 자체를 파괴하므로써, 파괴후에는 세포내의 수분이 용이하게 빠져나가는 것을 조장시킨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목질연료를 연소시켜 발생하는 나무가스에 의한 연기가 가득채워진 처리실내에 피처리목재를 소정시간 방치하므로써, 목질연료가 연소할때에 발생하는 원적외선과, 나무가스에 내재하는 성분에 따라, 또 연소화로내에 설치된 원적외선 증식용 세라믹스 또는 고밀도의 용암등을 적당한 공극을 만들면서 퇴적시키고, 이것에 의해 축열과 원적외선의 증식을 더 한층 도모하며, 원적외선은 피처리목재에 다량으로 조사시켜서, 목재의 상기 벽공의 토러스가 쌍으로 구성되는 벽공의 한쪽방향의 구멍 또는 다른쪽 방향의 구멍이 폐색하는 것을 저지하여, 이들 벽공에 간극이 발생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벽공벽 파괴목재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벽공벽의 기본구조를 나타낸 모식도로, (가)는 단면구조를, (나)는 평면구조를, (다),(라)는 토러스(TORUS)가 벽공의 한쪽방향의 구멍(31)을 폐색하여, 세포내 함유수의 이동을 저지하는 것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8)

  1. 목재를 구성하는 세포간의 벽공이 파괴된 벽공벽을 갖는 벽공벽 파괴목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된 벽공벽은 목재를 구성하는 세포 사이에서 쌍으로 구성되는 벽공쌍의 한쪽방향의 벽공 또는 다른쪽 방향의 벽공의 「변형」또는 「균열」에 따라 그 벽공벽이 부분적 혹은 완전히 파괴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벽공벽 파괴목재.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된 벽공벽은 벽공내의 토러스 및 벽공과의 사이에서, 상기 벽공을 완전히 폐쇄할 수 없은 간극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공벽 파괴목재.
  4. 제1항 내지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목재를 구성하는 세포 사이에서 쌍으로 구성되는 벽공쌍의 내측에 존재하는 벽공막의 마르고의 일부분 또는 전부가 피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공벽 파괴목재.
  5. 제1항 내지 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목재를 구성하는 세포 사이에서 쌍으로 구성되는 벽공쌍의 내측에 존재하는 벽공막의 토러스가 벽공을 찢어 외측으로 돌출하므로써, 벽공을 완전히 폐쇄할 수 없는 간극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공벽 파괴목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된 벽공벽은 목재를 구성하는 세포 사이에서 쌍으로 구성되는 벽공쌍 내의 한쪽 또는 양방의 벽공벽의 주변부에 나무가스 또는 나무가스의 타르성분이 부착되어 파괴된 벽공벽임을 특징으로 하는 벽공벽 파괴목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된 벽공벽은 목재를 구성하는 세포 사이에서 쌍으로 구성되는 벽공쌍 내의 한쪽 또는 양방의 벽공벽의 주변부에 목재에 함유된 수지성분이 부착되어 파기된 벽공벽임을 특징으로 하는 벽공벽 파괴목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된 벽공벽은 상기 벽공쌍 내측의 마르고부에 나무가스 또는 나무가스 연소가스의 타르성분이 부착되어 파괴된 벽공벽임을 특징으로 하는 벽공벽 파괴목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된 벽공벽은 상기 벽공쌍 내측의 마르고부에 목재에 함유된 수지성분이 부착되어 파괴된 벽공벽임을 특징으로 하는 벽공벽 파괴목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된 벽공벽은 상기 벽공쌍 내측의 토러스부에 나무가스 또는 나무가스 연소가스의 타르성분이 부착되어, 양세포간의 토러스에 의한 밀착이 저해된 벽공벽임을 특징으로 하는 벽공벽 파괴목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된 벽공벽은 상기 벽공쌍 내측의 토러스부에 목재에 함유된 수지성분이 부착되어, 양세포간의 토러스에 의해 밀착이 저해된 벽공벽임을 특징으로 하는 벽공벽 파괴목재.
  12. 피처리목재를 목질연료를 연소한 나무가스 내에 소정시간 방치하므로써, 목재를 구성하는 세포간의 벽공을 파괴하는 방법.
  13. 피처리목재에 원적외선을 복사시키고, 이러한 침투에 의해 목재간 온도를 높여, 상기 벽공을 파괴시키게 한 벽공벽 파괴목재를 제조하는 방법.
  14. 제11항 또는 13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간의 벽공을 파괴하는 방법은 피처리목재를 나무가스내에 방치함과 동시에, 피처리목재를 100℃ 정도까지 높여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를 구성하는 세포간의 벽공을 파괴시키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상승은, 피처리재(공시목)의 목재내 온도에 있어서, 착화후 6시간 내외에서 100℃ 정도로 급격히 목재내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벽공벽을 파괴시키게 한 벽공벽 파괴목재를 제조하는 방법.
  16. 제14항 또는 15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의 복사는 목질연료를 연소시킴에 따라 발생하는 원적외선임을 특징으로 하는 벽공벽 파괴목재의 제조방법.
  17. 제14항 또는 15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의 복사는 상기 목질연료를 연소시킨 불꽃의 상부에 원적외선 증식용 세라믹재를 가득채워 원적외선을 증식하여, 벽공벽의 파괴를 촉진시키는 방을 형성하고, 이것을 적열시킴으로써 원적외선을 발생시켜서 얻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벽공벽 파괴목재의 제조방법.
  18. 공기흡입구를 구비하며, 목질연료를 투입하고, 연소시키는 연소용 로스톨을 갖는 연소실과, 그 연소실과 퐁도에 의해 연결되며, 내부에 고밀도 용암 등의 원적외선 증식용 세라믹재가 가득 채워져 고효율로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원적외선중식, 벽공벽의 파괴를 촉진하며, 화로내 온도를 유지시키는 온도유지촉진실과, 나무가스를 내부로 끌어들이며, 내부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환풍기를 구비하는 한편, 내부의 열을 외부로 빼앗기지 않도록 하는 글래스 울(glawss wool) 단열재 및 원적외선으로 효율성있게 변환하는 세라믹스 보-드를 벽면 및 상면(床面)등에 구비한 가열·처리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공벽 파괴목재 제조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700103A 1994-10-12 1995-10-12 벽공벽 파괴목재 KR9607037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72955 1994-10-12
JP27295494A JP3709218B2 (ja) 1994-10-12 1994-10-12 壁孔壁破壊木材
JP27295594A JPH08108408A (ja) 1994-10-12 1994-10-12 燻煙処理壁孔壁破壊木材
JP6-272954 1994-10-12
PCT/JP1995/002083 WO1996011780A1 (fr) 1994-10-12 1995-10-12 Bois d'×uvre a membranes de faveoles detruit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3712A true KR960703712A (ko) 1996-08-31

Family

ID=26550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0103A KR960703712A (ko) 1994-10-12 1995-10-12 벽공벽 파괴목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815945A (ko)
KR (1) KR960703712A (ko)
CN (1) CN1139900A (ko)
AU (1) AU702960B2 (ko)
CA (1) CA2175075C (ko)
FI (1) FI962416A0 (ko)
NZ (1) NZ294042A (ko)
TW (1) TW400429B (ko)
WO (1) WO19960117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3970B1 (en) 1999-05-28 2001-06-12 George R. Culp Stack of lumber having low resistance to airflow therethrough and associated method
RU2153640C1 (ru) * 1999-10-27 2000-07-27 Скроцкая Ольга Пантелеймоновна Сушильный комплекс и способ сушки древесины
FR2870154B1 (fr) * 2004-05-13 2012-12-14 Bio 3D Applic Procede et systeme bio-thermiques pour stabiliser des bois d'oeuvre
US7963048B2 (en) * 2005-05-23 2011-06-21 Pollard Levi A Dual path kiln
US7846295B1 (en) 2008-04-30 2010-12-07 Xyleco, Inc. Cellulosic and lignocellulosic structural materials and methods and systems for manufacturing such materials
KR101218393B1 (ko) * 2008-12-09 2013-01-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훈연 열처리 방법
US8201501B2 (en) 2009-09-04 2012-06-19 Tinsley Douglas M Dual path kiln improvement
CN102364489A (zh) * 2011-10-25 2012-02-29 陈志勇 木材复杂各向异性本构关系模型的数值模拟方法
US9500408B2 (en) * 2013-11-01 2016-11-22 Usnr, Llc Mobile veneer dryer
US9470455B2 (en) * 2014-08-11 2016-10-18 Weyerhaeuser Nr Company Sorting green lumber
CN106313240A (zh) * 2016-08-27 2017-01-11 阜南县永兴工艺品有限公司 一种木材的干燥处理方法
US10619921B2 (en) 2018-01-29 2020-04-14 Norev Dpk, Llc Dual path kiln and method of operating a dual path kiln to continuously dry lumb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13018A (en) * 1920-09-28 1922-04-18 Fujino Kakuji Apparatus and process for drying wood
US4179820A (en) * 1977-04-14 1979-12-25 Georgia-Pacific Corporation Apparatus for drying veneer
JPS581508A (ja) * 1981-06-26 1983-01-06 農林水産省林業試験場長 木材の処理方法
JPS60225710A (ja) * 1984-04-24 1985-11-11 松下電工株式会社 木材の含浸処理方法
JPS63218302A (ja) * 1987-03-09 1988-09-12 株式会社クボタ 原木処理装置
JP2516467B2 (ja) * 1990-10-12 1996-07-24 石井 拓司 木材乾燥装置
JPH04208402A (ja) * 1990-11-30 1992-07-30 Kyodo Kumiai Shinshu Karamatsu Kogyokai 木材の改質方法
JP2835793B2 (ja) * 1991-09-13 1998-12-14 株式会社ヤスジマ 木材組織の透過性改善法
US5472720A (en) * 1992-06-17 1995-12-05 Mitec Scientific Corporation Treatment of materials with infrared radiation
JP3212708B2 (ja) * 1992-09-11 2001-09-25 岩手県 木材の熱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02960B2 (en) 1999-03-11
NZ294042A (en) 1997-03-24
FI962416A (fi) 1996-06-11
WO1996011780A1 (fr) 1996-04-25
US5815945A (en) 1998-10-06
FI962416A0 (fi) 1996-06-11
CA2175075A1 (en) 1996-04-25
CA2175075C (en) 2004-12-21
CN1139900A (zh) 1997-01-08
AU3672995A (en) 1996-05-06
TW400429B (en) 200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703712A (ko) 벽공벽 파괴목재
CA1067369A (en) Fireplace system
KR19990007892U (ko) 목재용 온수 보일러
WO1997029894A1 (fr) Procede de fumage et de sechage de bois d'oeuvre
JP5462239B2 (ja) 薪ストーブ
KR101218393B1 (ko) 훈연 열처리 방법
JP2007285570A (ja) ペレットストーブ及び空気供給方法
JP2018021738A (ja) 暖房装置
JPS5920629Y2 (ja) いぶし瓦焼成窯用再燃焼器
RU96115299A (ru) Древесина с разрушенными пленками пор
CN205577746U (zh) 一种实木防火窗
Tereňová et al. The impact of geometric shape of the log wall construction elements on their fire behaviour
JP3000459B1 (ja) 防火戸
Putra et al. Smoldering combustion spread on a thin layer of Papuan peat
KR101413669B1 (ko) 펠릿버너
RU214234U1 (ru) Банная печь-каменка
KR20060136353A (ko) 2중 한증막의 구성방법
JP2009262476A (ja) タンデム式木材処理装置
JP2003336073A (ja) 木炭製造機
JP2004245563A (ja) 木材または木質系バイオマスを用いた熱発生装置およびガス発生装置
KR20070000383A (ko) 2중 한증막의 구성방법
FI102352B (fi) Kiuas
KR910008065Y1 (ko) 도자기 소성로 축열의 난방장치
KR880002343Y1 (ko) 구멍탄가스 재연소장치
KR790001680B1 (ko) 구멍탄용 온돌의 가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