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6451B1 - 자루걸레 - Google Patents

자루걸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6451B1
KR960016451B1 KR1019940033458A KR19940033458A KR960016451B1 KR 960016451 B1 KR960016451 B1 KR 960016451B1 KR 1019940033458 A KR1019940033458 A KR 1019940033458A KR 19940033458 A KR19940033458 A KR 19940033458A KR 960016451 B1 KR960016451 B1 KR 960016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attachment plate
rib
mop attachment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3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6650A (ko
Inventor
슈우수케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아주마코오교오 카부시키가이샤
슈우수케 야마시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마코오교오 카부시키가이샤, 슈우수케 야마시타 filed Critical 아주마코오교오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16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6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6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4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자루걸레
제1도는 본 발명의 자루걸레의 위치실시예를 표시하는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정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A-A선을 따르는 확대 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1도의 자루걸레에 있어서의 걸레의 평면도이다.
제5도는 걸레부착판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6도는 제5도의 걸레부착판의 정면도이다.
제7도는 걸레부착판의 또다른 구성예를 표시하는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제8도는 걸레부착판의 또다른 구성예를 표시하는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제9도는 걸레부착판의 또다른 구성예를 표시하는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제10도는 걸레부착판의 또다른 구성예를 표시하는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제11도는 걸레부착판의 또다른 구성예를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루막대2,14,20,25,30,35 : 걸레부착판
3 : 걸레6 : 포켓부
7 : 세편8 : 삽입구
본 발명은 자루걸레(mop)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걸레의 교환이 가능한 자루걸레의 관한 것이다.
걸레의 교환이 가능한 자루걸레는 종래부터 각종 구성의 것이 알려져 있다. 그 중의 한가지로, 예를 들어 제3도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걸레(3)의 중앙부에 포켓부(6)를 설치함과 어울러, 그 포켓부(6)에 걸레부착판(2)을 삽입하기 위한 2개의 삽입구(8)를 설치하고, 걸레부착판(2)을 중앙부에서 하향으로 절곡한 상태에서, 그 양단을 상기한 삽입구(8)로부터 포켓부(6)내에 삽입함으로써, 그 걸레부착판(2)에 걸레(3)를 장착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자루걸레에 있어서는, 상기한 걸레부착판(2)을 경질 합성수지나 금속 등으로 구성되는 2개의 판형상부편을 힌지로 회전자재하게 연결하므로서, 절첩자재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여기에 양 판형상부편을 신장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계지수단 등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도 비싸진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 그 걸레부착판이 경질이므로, 청소 중에 가구 등에 부딪쳐서 상처를 내기 쉽다는 문제가 있고, 특히, 걸레가 비교적 얇은 소재로 된 1회용일 경우에, 경질의 걸레부착판이 가구 등과 접촉했을 때에 충격이 크기 때문에, 치명적인 상처를 내는 일이 많고, 또한, 걸레부착판에 유연성이 없으므로, 걸레를 피청소면에 탄력적으로 압압할 수 없어서, 청소감이 좋지 않다는 결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구조가 간단하고 값이 싸며, 또, 걸레를 피청소면에 탄력적으로 압압할 수 있고, 더욱이, 가구 등에 상처를 낼 염려가 없는 자루걸레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용 자루막대와, 그 자루막대의 선단에 부착된 걸레부착판과, 그 걸레부착판에 교환가능하게 장착된 걸레천으로 구성되며, 그 걸레천에는 포켓부와, 그 포켓부에 걸레부착판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걸레부착판을 2개로 절곡한 상태에서 좌우 양측의 부분을 상기한 포켓부에 삽입하므로써, 그 걸레부착판에 걸레를 장착하는 타입의 자루걸레에 있어서, 상기한 걸레부착판이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된 절곡가능한 1매의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고, 상면의 중앙부에 상기한 자루막대를 연결하기 위한 부착부를 보유하며, 상기한 걸레가 섬유시이트를 복수매 중합하고 그 중앙부에 걸레부착판을 삽입하기 위한 상기한 포켓부 및 삽입구를 설치함과 아울러, 그 포켓부를 둘러싸는 외측의 부분을, 다수의 절결을 넣으므로써, 띠형상의 가늘고 긴 조각으로 분할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자루걸레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유연성 소재로 구성되는 상기한 걸레부착판이 불필요하게 만곡(灣曲)하는 것을 방지하기 의해서, 그 걸레부착판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보강용 리브가, 부착부의 우측부분과 좌측부분으로 나누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우측리브와 좌측리브는 각각의 내단부가 부착부에 접근한 위치에 있도록 형성되어, 걸레부착판이 아래로 볼록형으로 만곡하고자 하면 그들 리브의 내단부가 부착부에 닿아서 그 걸레부착판의 만곡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청소시에 걸레부착판이 위로 오목형으로 만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우측리브과 좌측리브를 착탈자재한 핀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한 걸레부착판이 상하 양면에 각각 그 걸레부착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보강용 리브를 보유하며, 상면의 리브는 부착부의 우측부분과 좌측부분으로 나뉘어져 설치하고, 이들 리브의 각각의 내단부가 접근하고 있어서, 걸레부착판이 아래로 볼록형으로 만곡되려고 하면, 그들 리브의 내단부가 부착부에 닿아서 그 걸레부착판의 만곡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하면의 리브는 장척(長尺)의 우측부분 및 좌측부분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단척(短尺)의 중간부분으로 나뉘어져 있고, 중간리브의 두께를 얇게 하므로써 옆으로 넘어질 수 있도록 되거나, 또는, 두께를 얇게 하므로써 걸레천의 장착시에 걸레부착판을 중앙부에 있어서 역 U자형으로의 절곡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청소시에 걸레부착판이 위로 오목형으로 만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면에 형성된 우측리브와 좌측리브를 착탈자재한 핀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의 자루걸레는, 걸레를 바닥면이나 가구, 장치품 등의 표면에 눌러서 청소를 하지만, 그 걸레를 부착한 걸레부착판이 유연성을 보유하므로, 그 걸레를 적당한 힘으로 청소부위에 탄력적으로 압압할 수 있어서 청소감이 좋고, 또, 가구등에 접촉해도 상처를 내는 일이 없다.
먼지의 부착에 의해 착진능력이 저하된 걸레는, 걸레부착판에 떼어내서 폐기하고, 새것으로 교환한다. 이때, 종이나 부직표, 또는, 직포 등의 섬유시이트에 의해 형성된 걸레만을 교환하기 때문에 , 소모부분이 적어서 경제적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표시하는 자루걸레는 가늘고 길이가 긴 자루막대(1)와, 그 자루막대(1)의 선단에 부착된 걸레부착판(2)과, 그 걸레부착판(2)에 교환가능하게 장착된 걸레(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걸레부착판(2)은 고무 또는 연질 합성수지 등의 유연성과 탄성을 보유하는 소재로, 절곡가능한 1매의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그 상면 중앙부에는 자루막대(1)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5)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한 걸레(3)는 제4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종이나 부직포, 또는, 직포 등의 섬유시이트를 소요매수를 중합하고, 적정위치에서 접합일체화하므로써 섬유시이트 중합체를 형성하고, 그 섬유시이트 중합체의 중앙부에 걸레부착판(2)을 삽입하기 위한 가늘고 길이가 긴 포켓부(6)에서 외측부분에 다수의 절결부를 넣으므로써 띠형상의 세편(7)으로 분할한 것으로, 상기한 포켓부(6) 상면에는, 걸레부착판(2)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8)가 적당한 간격을 두고 2개 설치되어 있다. 그 걸레(3)에는 적어도 세편(7)의 부분에 착진제를 함침시킬 수 있다.
상기한 걸레(3)를 걸레부착판(2)에 부착할 때는, 유연성있는 걸레부착판(2)을 중앙부에서 하방으로 향하여 2개로 절곡하고, 그 양단부를 걸레(3)의 상면의 2개의 삽입구(8)(8)에 삽입하고, 걸레부착판(2)을 서서히 신장시키면서 양쪽 절반부를 삽입구(8)(8)내로 집어넣으면 되고, 이에 의해서, 걸레(3)를 제3도에 나타내는 상태로 부착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자루걸레는 통상의 자루걸레와 마찬가지로, 걸레(3)를 바닥면이나 가구, 장식품 등의 표면에 눌러서 청소하지만, 걸레부착판(2)이 유연성이 있기 때문에, 걸레(3)를 적당한 힘으로 피청소부위에 탄력적으로 압압할 수 있고, 또, 그 걸레부착판(2)이 가구 등에 접촉해도 피청소면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먼지의 부착에 의해 착진능력이 저하된 걸레(3)는, 걸레부착판(2)에서 떼어내어 폐기하고, 새 걸레로 교환한다. 이때, 종이나 부직포 또는 직포 등의 섬유시이트에 의해 형성된 걸레(3)만을 교환하면 되기 때문에, 소모부품이 적어서 경제적이다.
상기한 걸레부착판(2)은 유연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것이 불필요하게 만곡되는 일이 없도록, 보강용 리브를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도 및 제6도는 이와 같은 리브를 구비한 걸레부착판의 일예를 나타나고 있다. 이 예에서는 걸레부착판(2)의 상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리브(11)(11)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리브(11)(11)는 걸레의 장착시에 걸레부착판(10)을 중앙부에서 절곡할 때 장애가 되지 않도록, 부착부(12)를 사이에 두고 좌우 따로따로 설치되어 있으나, 걸레부착판(2)의 양단부가 상방으로 절곡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즉 걸레부착판(10)이 아래로 볼록한 원호형으로 만곡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부착부(12)측의 리브 끝부분(11a)(11a)이, 걸레부착판(10)을 대략 똑바로 연장한 상태에 있어서 부착부(12)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리브(11)(11)를 설치하므로서, 걸레부착판(10)의 불필요한 절곡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걸레부착판(10)의 외견상의 두께가 두꺼워져서 청소시 탄력성이 증대함과 아울러, 걸레의 지지력이 증가하여, 걸레의 탈락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 제7도 및 제10도에 나타내는 예는, 자루걸레를 들어올릴 때에 걸레부착판이 걸레부착판의 자중(自重) 및 걸레의 무게에 의해 위로 볼록한 원호형으로 만곡해서, 걸레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좌우의 리브를 상호 연결하므로써, 절곡되기 어렵게 한 것이다. 즉, 제7도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걸레부착판(14)의 상면에 설치한 좌우 2개의 리브(15)(15)의 리브 끝부분(15a)(15a)이, 자루막대(16)를 연결하기 위한 착탈자재한 핀(17)에 의해 부착부(18)를 개재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제8도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걸레부착판(20)의 상면 부착부(21)를 우회하여 상호 맞닿는 2개의 리브(22)(22)의 끝부분(22a)(22a)이 서로 핀(23)에 의해 직접 연결되어 있다. 또, 제9도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걸레부착판(25)의 상면 부착부(26)가 걸레부착판(25)의 길이방향과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부착부(26)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연설된 2개의 리브(27)(27)의 끝부분(27a)(27a)이 자루막대를 연결하기 위한 핀(28)에 의해 부착부(26)를 개재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다. 또, 제10도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걸레부착판(30)의 상면에 설치한 2개의 리브(31)(32) 중의 한쪽의 끝부분(31a)이 두갈래형상으로 되어 부착부(33)를 넘는 위치까지 연설되고, 그 사이에 끼워들어가는 다른쪽의 리브(32)의 끝부분(32a)과 핀(34)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다.
또, 제11도에 표시하듯이, 걸레부착판(35)의 상하 양면에 리브(36)(37)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면의 리브(36)는, 제5도 및 제6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좌우 따로 형성되며, 걸레부착판(35)을 거의 직선으로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 그들의 끝부분(36a)이 부착부(38)에 맞닿도록 하고, 하면의 리브(37)는 좌우의 장척부(37a)(37a)와, 중앙의 단척부(37b)로 분리하며, 걸레의 장착시에 걸레부착판(35)를 중앙부에 있어서 역U자형으로 절곡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 단척부(37B)의 두께(높이)를 장척부(37A)보다 얇게하던가, 또는, 그 폭을 얇게 해서 옆으로 쓰러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자루걸레에 의하면, 걸레부착판을 유연성이 있는 소재에 의해 형성하므로, 걸레를 적당한 힘으로 피청소부에 탄력적으로 압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가구 등에 접촉해도 상처가 나지 않으며, 더욱이, 상기한 걸레부착판을 1매의 판으로 형성했으므로, 종래의 제품과 같이 2매의 판형상 부재를 힌지로 연결하거나, 그것을 신장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계지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구조가 간단하고 값이 싸다.

Claims (6)

  1. 손잡이용 자루막대(1)와, 상기한 자루막대(1)의 선단에 부착된 걸레부착판(2)과, 상기한 걸레부착판(1)에 교환가능하게 장착된 걸레(2)로 구성되며, 상기한 걸레(2)에는 포켓부(6)와, 상기한 포켓부(6)에 걸레부착판(2)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8)가 설치되어 있으며, 걸레부착판(2)을 2개로 절곡한 상태에서 좌우 양측의 부분을 상기한 포켓부(6)에 삽입하므로써, 상기한 걸레부착판(2)에 걸레를 장착하는 타입의 자루걸레에 있어서, 상기한 걸레부착판(2)이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된 절곡가능한 1매의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고, 상면의 중앙부에 상기한 자루막대(1)를 연결하기 위한 부착부를 보유하며, 상기한 걸레(3)가 섬유시이트를 복수매 중합하여 그 중앙부에 걸레부착판(2)을 삽입하기 위한 상기한 포켓부(6) 및 삽입구(8)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한 포켓부(6)를 둘러싸는 외측의 부분에 다수의 절결을 넣으므로써, 띠형상의 가늘고 긴 조각으로 분할된 구성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루걸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걸레부착판(2)이 그 상면에 상기한 걸레부착판(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보강용 리브(15)를 보유하며, 상기한 리브(15)가 부착부의 우측부분과 좌측부분으로 나누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루걸레.
  3. 제2항에 있어서, 우측리브와 좌측리브는 각각의 내단부가 부착부(12)에 접근하여 있으며, 걸레부착판(2)이 아래로 볼록형으로 만곡되려고 하면 그들 리브의 내단부가 부착부(12)에 닿아서 걸레부착판(2)의 만곡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루걸레.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청소시에 걸레부착판(2)이 위로 볼록형으로 만곡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우측리브와 좌측리브를 착탈자재한 핀(17)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루걸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항 걸레부착판(2)이 상하 양면에 각각 상기한 걸레부착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보강용 리브(15)를 보유하며, 상면의 리브는 부착부(12)의 우측부분과 좌측부분으로 나뉘어져 설치되고, 이들 리브의 각각의 내단부가 접근하고 있어서, 걸레부착판(2)이 아래로 볼록형으로 만곡하고자 하면, 그들 리브의 내단부가 부착부(12)에 닿아서 상기한 걸레부착판(2)의 만곡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하면의 리브는 장치의 우측부분과 좌측부분과, 그들 사이에 위치하는 단척의 중간부분으로 나뉘어져 있고, 중간리브의 두께를 얇게 하므로써 옆으로 넘어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또는, 두께를 얇게 하므로서 걸레 장착시에 걸레부착판을 중앙부에 있어서 역 U자형으로 절곡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루걸레.
  6. 제5항에 있어서, 청소시에 걸레부착판(2)이 위로 볼록형으로 만곡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면에 형성된 우측리브와 좌측리브를 착탈자재한 핀(17)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루걸레.
KR1019940033458A 1993-12-29 1994-12-09 자루걸레 KR9600164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350113A JPH07194511A (ja) 1993-12-29 1993-12-29 モップ
JP93-350113 1993-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650A KR950016650A (ko) 1995-07-20
KR960016451B1 true KR960016451B1 (ko) 1996-12-12

Family

ID=18408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3458A KR960016451B1 (ko) 1993-12-29 1994-12-09 자루걸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7194511A (ko)
KR (1) KR960016451B1 (ko)
GB (1) GB228521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423742S (en) 1998-09-29 2000-04-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usting mop
US6305046B1 (en) 1998-06-02 2001-10-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implements having structures for retaining a sheet
US6606757B2 (en) * 2001-03-29 2003-08-19 Quickie Manufacturing Corp. Flexible dust mop
DE10235305B4 (de) * 2002-08-01 2007-08-30 Carl Freudenberg Kg Feuchtboden-Wischgerät
US8161592B2 (en) * 2006-10-18 2012-04-24 Carl Freudenberg Kg Cleaning implement
JP2011019584A (ja) * 2009-07-14 2011-02-03 Maana:Kk 掃除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75681A (en) * 1960-12-10 1964-11-18 Peter Sahag Vosbikian Mops
ES2011112A6 (es) * 1988-09-15 1989-12-16 Vileda Gmbh Mopa para el abrillantado de suelos y otras superfic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194511A (ja) 1995-08-01
GB9424854D0 (en) 1995-02-08
GB2285213A (en) 1995-07-05
KR950016650A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9770B2 (en) Handy mop
RU2289294C2 (ru) Удерж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обтирочного средства и обтирочное изделие
US4455705A (en) Cleaning device
AU2002210944A1 (en) Handy mop
KR960016451B1 (ko) 자루걸레
US4580307A (en) Wall washing pad holder
CA2568507C (en) Mop head plate with mop cover
WO2003039321A1 (en) Cleaning device
ZA200303115B (en) Handy mop.
US4216562A (en) Sponge mop refill
CA2414875A1 (en) Conveyor belt cleaner blade
JP3616159B2 (ja) モップの拭布取付台
JPH09276195A (ja) 清掃具
JP3805856B2 (ja) モップ
JPH08522A (ja) モップ
JP3268897B2 (ja) モップ
JP2005278683A (ja) モップ
JPH08117168A (ja) モップの拭布取付台
JP4027657B2 (ja) 清掃具
JP2001212054A (ja) スポンジ式清掃具
JP3598471B2 (ja) 肘かけ椅子における肘当てパッド取付装置
JP4677128B2 (ja) 網戸用清掃具
KR200340927Y1 (ko) 걸레 청소 도구
KR910002379Y1 (ko) 청소기
KR200184462Y1 (ko)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