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379Y1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379Y1
KR910002379Y1 KR2019890001720U KR890001720U KR910002379Y1 KR 910002379 Y1 KR910002379 Y1 KR 910002379Y1 KR 2019890001720 U KR2019890001720 U KR 2019890001720U KR 890001720 U KR890001720 U KR 890001720U KR 910002379 Y1 KR910002379 Y1 KR 9100023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s
handle
sides
sliding tube
sign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17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5358U (ko
Inventor
마궁락
장영삼
Original Assignee
손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호원 filed Critical 손호원
Priority to KR20198900017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2379Y1/ko
Publication of KR9000153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53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3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3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4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combined with squeezing or wringing devices
    • A47L13/146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combined with squeezing or wringing devices having pivoting squeezing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7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spong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8Plate frames of adjustable or foldable type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청소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 절취 분리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확대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되는 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접찰판이 고정판에 결합된체 접힌 상태의 종단면도.
제5도는 (a)(b)(c)는 본 고안의 요부가 결합되는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2' : 기판
3 : 접찰판 4 :형 축
5, 5' : 스프링 6 : 손잡이 내입관
7 : 손잡이 8 :형 작동간
9 : 접동관 10 : 연결간
11, 11' : 돌편 12, 12' :형 요홈부
13, 13' : 내입홈 14, 14' : 절취홈
15, 15' : 고정판 16 : 덮개
17 : 솔 18 :형 절곡직선부
19 :형 사각돌부
본 고안은 고층빌딩의 바닥면이나 창문등의 청소를 할 때에 사용하는 청소기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청소용구로 대중화되어 온 마포는 물에 세척한 후 쉽게는 손으로 짜고 발로 밟아 흐르는 물을 제거하거나 마포탈수기를 사용하여 레버를 작동 압착시켜 물을 제거해야 했으므로 사용상 불편했으며 이미 개발된 고안으로 좌우측 기판의 통공에 접찰판(스폰지)를 볼트와 넛트로 고정하고 손잡이에 유착된 접동관의 작동에 의해 작동간이 아래로 밀리며 좌우측의 기판을 절곡되게 하여 접찰판(스폰지)에 함유된 물을 짜내며 사용하게 한 것이 있었으나 접찰판이 사용줄 마모되면 좌우측의 기판에 고정된 접찰판을 새것으로 교환할 때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번거로웠으며 접동관을 작동할 때에도 부주의 하여 접동관이 돌게 되면 연동간이 제대로 작동이 되지 않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폐단을 해결하기 위하여 양측단에 내입홈과 전후에 절취홈이 형성된 고정판을 양측기판에 착탈식으로 간편히 고정, 분리시키도록 하고 저면에는 등간격으로 요홈이 성형된 접찰판(스폰지)를 부착 사용할때에 요홈으로는 불순믈 등이 내입되게 하면서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1)내 양측의 기판(2)(2') 저부에 접찰판(3)을 부착하고 ""형 축(4)을 스프링(5)(5')에 의해 탄지하고 일측 손잡이 내입관(6)에는 손잡이(7)을 내입하며, 내부의 ""형 작동간(8)가 접동관(9)은 연결간(10)으로 유착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양측기판 적정위치에 돌편(11)(11')을 각각 돌설하고 저면에 ""형 요홈부(12)(12')가 종횡으로 요설된 접찰판상에 양측부에 내입홈(13)(13')과 절취홈(14)(14')이 있는 고정판(15)(15')을 부착 기판에 내입 고정시키고 상측덮개(16) 전단에는 솔(17)을 부착하되 손잡이는 단면이 ""형으로 된 절곡직선부(18) ""형 사각돌부(19)가 돌출 일체로 된 접동관을 유착하여 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20"은 걸고리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몸체(1) 하부의 접찰판(3) 저면에 ""형 요홈부(12)(12')가 종횡으로 요설된 상측에 고정판(15)(15')을 접착시키고 양측부에 내입홈(13)(13')에는 기판(2)(2')의 양단이 내입되고 전후의 절취홈(14)(14')에는 기판(2)(2')의 돌편(11)(11')을 각각 고정하여 건물의 바닥면(대리석, 모노륨, 타일 등)이나 유리창문을 밀면 접찰판(3)의 저면에 종횡으로 요설된 ""형 요홈부(12)(12')에 먼지등 불순물이 내입 흡착되어 깨끗이 청소를 할 수 있으며, 사용중 접찰판(3)을 물에 흔들어 세척한 후 탈수시킬 때에는 ""형으로 된 절곡직선부(18)가 있는 손잡이(7)에 내입돤 ""형 사각돌부(19)가 돌출 일체로 된 접동관(9)을 하향으로 밀면 ""형 사각돌부(19)내에 연결된 연결간(10)이 ""형 작동간(8)을 밀어 아래로 절곡시킴과 동시에 ""형 축(4)에 탄설된 스프링(5)(5')을 수축시키고 양측기판(2)(2')의 평면을 밀어 붙여 제4도와 같이 90도 정도로 꺽이며 압착되어 접찰판의 물을 짜낼 수가 있는 것이며, 다시 사용을 하기 위해 접동관(9)을 원위치인 위로 당기면 연결간(10)이 ""형 작동간(8)을 당겨주므로 기판(2)(2')에서 풀려 해리됨과 동시에 수축되었던 스프링(5)(5')이 탄발력에 의해 양측의 기판(2)(2')을 수평으로 펼쳐주므로 하측에 부착된 접찰판도 함께 기판(2)(2')과 같이 전개되는 것이다.
접동관(9)은 하측에 ""형 사각돌부(19)가 일체로 융출된 체 ""형으로 된 절곡직선부(18)에 유착되어 있어 상하로 작동시에 돌지 않고 정확히 밀어주고 연결간(10)은 ""형 사각돌부(19)내에 유착되어 이탈될 염려가 없고 손잡이는 ""형 절곡직선부(18)가 형성되게 보강하였으므로 사용시에 힘을 가해도 휘어지는 일이 없이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접찰판(3)이 마모되면 조립시와는 역순으로 고정판(15)(15')의 절취홈(14)(14')에 내입된 양측기판(2)(2')의 돌편(11)(11')을 드라이버 등으로 이탈시키고 접찰판(3)을 잡고 몸체(1)를 약간 위로 들어 올려주면 양측부의 내입홈(13)(13')에서 기판(2)(2')은 자연스럽게 분리시키고 다른 새것으로 교체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다시 조립해서 사용을 할 수가 있는 것이고 상측 덮개(16) 전단부에 부착된 솔(17)을 사용할 때에는 접찰판(3)이 위로 향하게 하고 솔(17)을 바닥면에 닿게 하여 쓸어주면 오물은 쉽게 닦이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청소를 할때에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접찰판이 사용중 마모되면 착탈식으로 같이 부착된 고정판을 간편히 분리하여 쉽게 새것으로 교환하기가 용이하고 불순물은 ""형 요홈부에서 흡수 흡착시켜 주는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접찰판을 씻을 때에는 물속에 잠기게 하고 손잡이에 유착된 접동간을 앞뒤로 작동시키면 접찰판은 기판의 연동에 의해 깨끗이 세척이 되므로 항상 위생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몸체(1)내 양측의 기판(2)(2') 저부에 접찰판(3)을 부착하고 ""형 축(4)을 스프링(5)(5')에 의해 탄지하고 일측 손잡이 내입관(6)에는 손잡이(7) 내입하며 내부의 ""형 작동간(8)과 접동관(9)은 연결간(10)으로 유착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양측 기판 적정위치에 돌편(11)(11')을 각각 돌설하고 저면에 ""형 요홈부(12)(12')가 종횡으로 요설된 접찰판 상에 양측부에 내입홈(13)(13')과 절취홈(14)(14')이 있는 고정판(15)(15')을 부착 기판에 내입 고정시키고 상측덮개(16) 전단에는 솔(17)을 부착하되 손잡이는 단면이 ""형으로 된 절곡직선부(18)에 ""형 사각돌부(19)가 돌출 일체로 된 접동관을 유착하여서 된 청소기.
KR2019890001720U 1989-02-18 1989-02-18 청소기 KR9100023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1720U KR910002379Y1 (ko) 1989-02-18 1989-02-18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1720U KR910002379Y1 (ko) 1989-02-18 1989-02-18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358U KR900015358U (ko) 1990-09-01
KR910002379Y1 true KR910002379Y1 (ko) 1991-04-11

Family

ID=19283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1720U KR910002379Y1 (ko) 1989-02-18 1989-02-18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23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358U (ko) 199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394065T1 (de) Wischerplatte für ein reinigungsgerät
EP0126054B1 (en) Means for cleaning floor
US4430769A (en) Window cleaning device
KR910002379Y1 (ko) 청소기
CN214330364U (zh) 一种建筑装饰用的窗体结构
KR101455037B1 (ko) 청소용 걸레 밀대
JP3623632B2 (ja) 払掃機能を備えた真空掃除機用吸込み具
JP4365231B2 (ja) 柄付き清掃具
KR960016451B1 (ko) 자루걸레
JP3809006B2 (ja) ちり取り
KR101953739B1 (ko) 밀대형 청소도구
JP3805856B2 (ja) モップ
EP0547267A1 (en) Device connectable to liquid aspiration units for cleaning flat surfaces
WO2004100754A1 (en) Arrangement for a floor mop provided with a handle
RU2240026C2 (ru) Дополнительный набор с протирочным элементом для пылесоса и пылесос с таким набором
CN216317448U (zh) 一种带有自挤水结构的水平板拖把
KR200261101Y1 (ko) 빗자루
KR102547050B1 (ko) 환경미화원용 청소비 세트
CN216754385U (zh) 一种高稳定性拖把清洁工具
JPH08266456A (ja) モップの拭布取付台
KR20130000355U (ko) 차량용 다기능 스크레이퍼
KR200189099Y1 (ko) 유리창 청소기
WO2016187891A1 (zh) 拖把
KR200229728Y1 (ko) 세척부재 교환이 가능한 유리창 청소기
KR200347315Y1 (ko) 수동식 밀대걸레의 바닥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