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5810B1 - 대전방지성을 갖는 열가소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대전방지성을 갖는 열가소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5810B1
KR960015810B1 KR1019930016488A KR930016488A KR960015810B1 KR 960015810 B1 KR960015810 B1 KR 960015810B1 KR 1019930016488 A KR1019930016488 A KR 1019930016488A KR 930016488 A KR930016488 A KR 930016488A KR 960015810 B1 KR960015810 B1 KR 960015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onomer
resin composition
polymer
sty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6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901A (ko
Inventor
김형수
임성열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 주식회사
채오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 주식회사, 채오병 filed Critical 제일모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16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5810B1/ko
Publication of KR950005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5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8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8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대전방지성을 갖는 열가소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중합체와 고무질 그라프트 중합체와의 혼합물의 투과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중합체, 고무질 그라프트 중합체, 및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중합체의 혼합물인 스티렌계 수지조성물의 투과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스티렌계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텔레비젼,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 등과 같은 광(光) 또는 자기 기록 매체 하우징을 형성하는 스티렌계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영구적인 대전방지성을 가지며, 충격강도 등 기계적 물성이 양호한 열가소성 스티렌계 수지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텔레비젼,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 비디오 테이프 플레이어, 광디스크 쟈켓, 리모트 컨트롤 건(gun), 냉장고, 세탁기 등의 모든 전자 제품의 하우징의 원료로 널리 사용되는 스티렌계 수지조성물은 이미 오래 전부터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티렌계 수지조성물은 제품의 외관을 구성하기 때문에 그 외관은 물론 충격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양호하여야 하며, 또한 정전이나 대전에 의한 광(光) 또는 자기 기록의 결락(dropout)과 신호, 음, 또는 화상의 결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영구적인 대전방지성을 유지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스티렌계 수지조성물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 계면활성제, 전도성 카본 블랙, 또는 금속 충진재를 첨가하는 방법들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중에서 전도성 카본 블랙이나 금속 충진재를 첨가하는 방법은 필요로 하는 대전방지성을 얻을 수 있으나, 수지조성물의 조색이 어렵고, 충격강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또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방법은 수지조성물의 대전방지기능이 상대습도의 영향을 많이 받아 안정된 대전방지효과를 얻을 수 없고, 제품의 사용중에 성형품 표면의 계면활성제가 마찰에 의하여 손실되기 때문에 영구적인 대전 방지성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개발된 수지조성물이 일본 특허공개소 62-116652에 개시되어 있다. 이 수지조성물은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고무질 그라프트 중합체, 및 비닐계 단량체들의 공중합체를 그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이중에서 공중합체를 이루는 단량체로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및 이들과 공중합이 가능한 다른 비닐계 단량체를 사용하였다.
위의 일본 특허공개소 62-116652와 유사한 수지조성물은 일본 특허공개소 62-241945 및 63-95251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소 62-241945 및 63-95251에는 일본 특허공개소 62-116652의 비닐계 단량체들의 공중합체 대신에 이와 유사한 카르복실기를 함유한 변성 비닐계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이 변성 비닐계 중합체도 비닐계 단량체들을 공중합하여 제조하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평1-163252에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변성 비닐계 수지 및 고무질 그라프트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서도 변성 비닐계 수지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및 말레이미드계 단량체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비닐계 단량체를 중합 또는 공중합시켜서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대전방지성 스티렌계 수지조성물의 성분의 하나인 비닐계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대신에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충격강도등의 기계적 물성은 물론 대전방지성이 양호한 신규한 조성을 갖는 스티렌계 수지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비닐계 단량체를 중합한 선형의 랜덤 중합체를 사용하지 않고 그라프트 중합된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양호한 기계적 물성 및 대전방지성을 갖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중합체, 고무질 그라프트 중합체, 및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중합체로 구성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대전방지성을 갖는 열가소성 스티렌계 수지조성물은
(A) (a1) 6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아미노 카르복실산, 락탐, 또는 디아민과 6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디카르복실산의 염,
(a2) 폴리(알킬렌 옥시드)글리콜, 및
(a3) 4∼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디카르복실산으로 구성되고 폴리에테르 에스테르의 단위가 10∼95중량%인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중합체 5∼25중량%;
(B) (b1) 고무질 중합체 10∼60중량%, 및
(b2)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90∼40중량%를 공중합하여 단량체 혼합물 20∼95중량%가 그라프트 중합된 고무질 그라프트 중합체 60∼93중량%; 및
(C) (c1)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또는 α,β-불포화 카르본산 무수물 단량체 5∼40중량%와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단량체 60∼95중량%로 이루어진 공중합체 41∼90중량%, 및
(c2)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40∼90중량%와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60∼10중량%의 공중합체 59∼10중량%를 그라프트 중합하여 얻어진 것으로 (c1)을 주쇄로 하고 (c2)를 분지쇄로 하여 이루어진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중합체 2∼15중량%,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중합체, 고무질 그라프트 중합체, 및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중합체로 구성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대전방지성을 갖는 열가소성 스티렌계 수지조성물은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중합체(A) 5∼25중량%, 고무질 그라프트 중합체(B) 60∼93중량%, 및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중합체(C) 2∼15중량%로 이루어진다. 이들 성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중합체]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중합체(A)는 제전성 고분자로서, 이는 다시 (a1) 6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아미노 카르복실산, 락탐, 또는 디아민과 6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디카르복실산염, (a2)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 및 (a3) 4∼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디카르복실산으로 구성된다.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중합체(A)는 하기 식(Ⅰ)과 같은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식에서 R1및 R2는 H, CH3또는 C2H5이고, PA는 폴리아미드이고, PE는 폴리알킬렌옥시드이며, n은 정수이다.
6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아미노 카르복실산, 락탐, 또는 디아민과 6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디카르복실산의 염(a1)으로는 ω-아미노카프론산, ω-아미노에난틱산, ω,ω-아미노카프린산, 1,1-아미노운데칸산, 1,2-아미노도데칸산 등과 같은 아미노 카르복실산류; 카프로락탐, 에탄토락탐, 카프릴락탐등과 같은 락탐류; 및 헥사메틸렌디아민-아디핀산의 염, 헥사메틸렌디아민-이소프탈산의 염등과 같은 디아민과 디카르복실산의 염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프로락탐, 1,2-아미노도데칸산, 또는 헥사메틸디아민-아디핀산의 염이 사용된다.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a2)은 폴리(에틸렌옥시드)글리콜, 폴리(1,2- 및 1,3-프로필렌 옥시드)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옥시드)글리콜, 폴리(헥사메틸렌옥시드)글리콜,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의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옥시드)글리콜이 사용된다.
4∼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디카르복실산(a3)은 테레프탈산, 1,4-시클로헥사카르본산, 세바신산, 아디핀산, 및 도데카노카르복실산을 포함한다.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중합체(A)의 합성법은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일본 특허공보 소56-45491 및 일본 특허공개 소55-133424에 개시된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고, 이미 이러한 목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제전성 고분자인 PEBAX 4011 MA 00(아토켐사 제품)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폴리에테르 에스테르의 단위가 최소한 10중량%에서 95중량%의 범위를 갖는 것이어야 하는데, 이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단위가 10중량% 미만이면 제전효과가 떨어지며 95중량% 이상이면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중합체(A)는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중에서 5∼25중량%의 함량을 유지하여야 하는데, 이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중합체(A)의 함량이 전체 수지조성물에 대하여 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수지조성물의 제전효과가 저하되며, 25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수지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B) 그라프트 중합체]
그라프트 중합체(B)는 충격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화합물로서, 이 화합물은 다시 고무질 중합체(b1) 10∼60중량%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혼합물(b2) 90∼40중량%를 공중합하여, 단량체 혼합물 20∼95중량%가 그라프트 중합된 중합체를 의미한다. 여기서 90∼40중량%로 사용되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b2)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40∼90중량%와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60∼10중량%로 구성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고무질 중합체(b1)로는 폴리 부타디엔 라텍스 등의 디엔계 고무; 폴리이소프렌 라텍스, 폴리클로로프렌 라텍스,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라텍스등의 아크릴계 고무; 및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단량체의 3원 공중합체의 고무질 중합체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부타디엔 라텍스가 사용된다.
비닐계 단량체(b2)중에서,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는 스티렌, t-부틸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p-메틸 스티렌, 비닐톨루엔, 모노클로로 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에틸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및 디비닐벤젠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티렌, 또는 알파메틸스티렌이 사용되고,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에타크릴로니트릴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이 사용된다.
고무질 중합체(b1)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b2)로부터 그라프트 중합체(B)를 제조하는 중합방법도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고무질 중합체(b1)의 존재하에서 비닐계 단량체(b2)의 혼합물과 중합개시제를 투입하여 유화 그라프트 중합하는 방법이 통상 사용될 수 있다.
그라프트 중합체(B)는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중에서 통상 전체 수지조성물에 대하여 60∼93중량%의 함량을 유지한다.
[(C)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중합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중합체(C)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또는 α,β-불포화 카르본산 무수물 단량체와 올레핀계 단량체와의 공중합체(c1) 41∼90중량%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와의 공중합체(c2) 59∼10중량%를 그라프트 중합하여 얻어진 것으로 (c1)을 주쇄로 하고 (c2)를 분지쇄로 하여 이루어진 중합체이다. 공중합체(c1)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또는 α,β-불포화 카르본산 무수물 단량체 5∼40중량%와 올레핀계 단량체 60∼90중량%를 공중합한 것으로, 여기서 사용될 수 있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비닐아세테이트가 있으며, α,β-불포화 카르본산 무수물로는 말레인산, 무수말레인산 및 푸말산이있고, 올레핀계 단량체로는 에틸렌, 및 프로필렌이 있다. 공중합체(c2)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40∼90중량%와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60∼10중량%를 공중합한 것으로, 여기서 사용될 수 있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는 스티렌, 메틸스트렌, 및 할로겐화 스티렌이 있으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로는 아크릴로니트릴이 있다.
상기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중합체(C)가 41∼90중량%의 주쇄를 구성하고 59∼10중량%의 분지쇄를 구성하여야 하는데, 이는 이 범위를 벗어나면 충격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이다.
공중합체(c1)와 공중합체(c2)의 각각의 공중합방법과 공중합체(c1)와 공중합체(c2)와의 그라프트 중합방법은 통상의 중합방법에 의하여 행해지며, 이는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을 광 또는 자기기록 매체용 전자 제품의 하우징으로 성형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과 상용성이 있는 폴리부틸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을 혼합함으로써 성형용 재료로 사용할 수 있고, 할로겐계 또는 인계 난연제를 혼합하여 난연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윤활제, 안료 등을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중합체(A)와 고무질 그라프트 중합체(B)만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조성물에 대한 투과 전자 현미경 사진이 제1도에 나타나 있으며,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중합체(A), 고무질 그라프트 중합체(B), 및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중합체(C)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수지조성물의 투과 전자 현미경 사진이 제2도에 나타나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큰 구형은 그라프트 ABS이며, 제1도에서 길게 늘어진 선형의 모양과 제2도에서 작은 타원형의 모양은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중합체(A)로 추정된다. 제1도에서의 길게 늘어진 선형의 모양이 제2도에서의 작은 타원형의 모양으로 변화한 것은 혼합된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중합체(C)가 중합체(A)와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작용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다시 말해서 중합체(A)와 그라프트 중합체(B)와의 상용성을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중합체(C)가 개선시키고 있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은 제2도의 사진과 같이 중합체(A) 성분의 입자가 조성물중에 균일하게 분포되고, 그 입자가 약 0.001∼3㎛의 범위의 장경을 가지며 장경/단경의 비율이 약 1∼6인 경우에 양호한 물성을 갖는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으로부터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해당할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한정될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시예 1-8과 비교실시예 1-5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8은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의 성분인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중합체(A), 고무질 그라프트 중합체(B), 및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중합체(C)의 종류 및 함량을 변화시켜 가면서 실시한 것이고, 비교실시예 1-5는 이들 성분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제외하거나 또한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중합체(C)의 함량을 변화시켜 가면서 실시한 실시예이다.
우선 실시예 1-8 및 비교실시예 1-5를 실시하기 위하여 사용된 각 성분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중합체(A)]
아토켐사에 의하여 제조된 PEBAX 4011 MA00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B) 그라프트 중합체]
폴리부타디엔 라텍스 고형분 15중량%, 스티렌 62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23중량%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머르캡탄 0.2중량부, 과황산칼륨 0.5중량부, 및 올레산 나트륨 0.5중량부를 첨가하고 유화중합하여 스티렌계 수지인 고무질 그라프트 중합체(B)를 제조하였다.
[(C) 변형 비닐계 그라프트 중합체]
본 발명에서의 변형 비닐계 그라프트 중합체(C)로는 일본 유지사(NIPPON OIL & FATS)의 MODIPERI(상표명) A SERIES를 사용하였으며,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C-1, C-2, C-3 및 C-4의 성분 및 함량은 표 2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 1-8]
실시예 1-8은 하기의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위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각각 혼합하고, L/D=29 및 ψ=40mm인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릿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릿을 사출성형하여 충격시편 및 3t×100×100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측정한 물성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아이조드 충격강도]
ASTM D648(1/8" 노치 23℃)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표면저항율]
ASTM D257에 의거하여, 펠릿을 사출한 즉시, 표면저항율을 측정하고, 그리고 23℃의 온도와 50%의 상대습도하에서 200일을 경과한 후, 20% 에탄올을 헝겊에 묻혀 5회 세척하고 다시 23℃의 온도와 50%의 상대습도에서 48시간 보관 후에 측정하였다.
[반감기]
사출시편을 23℃의 온도와 50%의 상대습도에서 480시간 보관한 후, STATIC HONESMETER(일본 쉬쉬도 일렉트릭(SHISHDO ELECTRIC)사 제품, Type S-5109)를 사용하여, 인가전압 8000V, 인가전압과 시편거리 10mm, 인가시간 60초, 및 검출전극과 시료간 거리 5mm의 조건하에서 측정하였다.
[표면외관 판정]
3t×100×100 시편을 사출한 후, 표면을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범례: ◎; 아주 우수, ○; 우수, ×; 나쁨)
[표 1]
주) * : 사출직후의 표면저항율
** : 사출후 200일 경과한 후의 표면저항율
[비교실시예 1-5]
비교실시예 1-5는 하기의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위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각각 혼합하고, 실시예 1-8에서 실시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표 2]
*g는 그라프트 결합을 표시한 것임
[표 3]
주) * EVA :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20%)
** NO-BK : NO BREAK
*** : 사출직후의 표면저항율
**** : 사출후 200일 경과한 후의 표면저항율

Claims (10)

  1. (A) (a1) 6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아미노 카르복실산, 락탐, 또는 디아민과 6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디카르복실산의 염, (a2)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 및 (a3) 4∼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디카르복실산으로 구성되고 폴리에테르 에스테르의 단위가 10∼95중량%이고, 하기 구조식을 갖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중합체 5∼25중량%;
    상기식에서 R1및 R2는 H, CH3또는 C2H5이고, PA는 폴리아미드이고, PE는 폴리알킬렌옥시드이며, n은 정수임.
    (B) (b1) 고무질 중합체 10∼60중량%, 및 (b2)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90∼40중량%를 공중합하여 단량체 혼합물 20∼95중량%가 그라프트 중합된 고무질 그라프트 중합체 60∼93중량% ;
    (C) (c1)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또는 α,β-불포화 카르본산 무수물 단량체 5∼40중량%와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단량체 60∼95중량%로 이루어진 공중합체 41∼90중량% 및 (c2)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40∼90중량%와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60∼10중량%의 공중합체 59∼10중량%를 그라프트 중합하여 얻어진 것으로 (c1)을 주쇄로 하고 (c2)를 분지쇄로 하여 이루어진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중합체 2∼15중량%,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을 갖는 열가소성 스티렌계 수지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프트 중합체(B)의 상기 고무질 중합체(b1)가 디엔계고무, 아크릴계고무,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단량체의 3원 공중합체의 고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을 갖는 열가소성 스티렌계 수지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프트 중합체(B)의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가 스티렌, t-부틸스티렌, 알파 메틸 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에틸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및 디비닐벤젠으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을 갖는 열가소성 스티렌계 수지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프트 중합체(B)의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가 아크릴로 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에타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을 갖는 열가소성 스티렌계 수지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가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을 갖는 열가소성 스티렌계 수지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α,β-불포화 카르본산 무수물이 말레인산, 무수말레인산, 및 푸말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을 갖는 열가소성 스티렌계 수지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가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을 갖는 열가소성 스티렌계 수지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가 스티렌, 메틸스티렌, 및 할로겐화 스티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을 갖는 열가소성 스티렌계 수지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가 아크릴로니트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을 갖는 열가소성 스티렌계 수지조성물.
  10. (A) (a1) 6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아미노 카르복실산, 락탐, 또는 디아민과 6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디카르복실산의 염, (a2)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 및 (a3) 4∼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디카르복실산으로 구성되고 폴리에테르 에스테르의 단위가 10∼95중량%이고, 하기 구조식을 갖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중합체 5∼40중량% ;
    상기식에서 R1및 R2는 H, CH3또는 C2H5이고, PA는 폴리아미드이고, PE는 폴리알킬렌옥시드이며, n은 정수임.
    (B) (b1) 고무질 중합체 10∼60중량%, 및 (b2)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90∼40중량%를 공중합하여 단량체 혼합물 20∼95중량%가 그라프트 중합된 그라프트 중합체 20∼90중량% ;
    (C) (c1)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또는 α,β-불포화 카르본산 무수물 단량체 5∼40중량%와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단량체 60∼95중량%로 이루어진 공중합체 41∼90중량%, 및 (c2)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40∼90중량%와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60∼10중량%의 공중합체 59∼10중량%를 그라프트 중합하여 얻어진 것으로 (c1)을 주쇄로 하고 (c2)를 분지쇄로 하여 이루어진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중합체 2∼15중량%, 로 구성된 혼합물을 믹서기로 혼합하고 압출기를 통하여 펠릿상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스티렌계 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930016488A 1993-08-25 1993-08-25 대전방지성을 갖는 열가소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960015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6488A KR960015810B1 (ko) 1993-08-25 1993-08-25 대전방지성을 갖는 열가소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6488A KR960015810B1 (ko) 1993-08-25 1993-08-25 대전방지성을 갖는 열가소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901A KR950005901A (ko) 1995-03-20
KR960015810B1 true KR960015810B1 (ko) 1996-11-21

Family

ID=19361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6488A KR960015810B1 (ko) 1993-08-25 1993-08-25 대전방지성을 갖는 열가소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58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8464A1 (ko) * 2017-10-16 2019-04-25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471B1 (ko) * 2010-04-26 2010-08-03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커피원두 볶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8464A1 (ko) * 2017-10-16 2019-04-25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901A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6097A (en) Housing and resin composition including polyether ester amide, thermoplastic resin, vinyl polymer and halogen
JPH0472855B2 (ko)
JPS62273252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960015810B1 (ko) 대전방지성을 갖는 열가소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906542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548505B2 (ja) 帯電防止性を有する熱可塑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2884B2 (ja) 帯電防止性を有する成形品
KR100187923B1 (ko) 영구적 대전방지성을 갖는 열가소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S62241945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0376052B1 (ko) 영구제전성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546409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524175B2 (ko)
KR960015809B1 (ko) 대전 방지성을 갖는 열가소성 스티렌계 수지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3812965B2 (ja) 永久帯電防止性樹脂組成物
JP3625561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8134315A (ja) 熱可塑性重合体組成物
JP2993183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749250B2 (ja) 帯電防止性を有する熱可塑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26199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950013366B1 (ko) 스티렌계 대전방지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JPH01163250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669170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669179B2 (ja) 金属耐蝕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301113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
KR940006471B1 (ko) 난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