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6052B1 - 영구제전성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영구제전성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6052B1
KR100376052B1 KR10-2000-0075648A KR20000075648A KR100376052B1 KR 100376052 B1 KR100376052 B1 KR 100376052B1 KR 20000075648 A KR20000075648 A KR 20000075648A KR 100376052 B1 KR100376052 B1 KR 100376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cid
ester
sty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5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6326A (ko
Inventor
서경훈
임종철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5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6052B1/ko
Publication of KR20020046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0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12Polyester-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4Antist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영구제전성 투명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은 (A) (a1) C1-8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C1-8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 50-90 중량부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할로겐 또는 알킬 치환 스티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 5-45 중량부 및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 1-20 중량부로 구성된 단량체 혼합물 5-95 중량부를 (a2)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중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 5-95 중량부에 그라프트 중합하여 얻은 고무변성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5-50 중량부; (B) (b1) C1-8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C1-8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 50-90 중량부, (b2)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할로겐 또는 알킬 치환 스티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 5-45 중량부 및 (b3)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 1-20 중량부로 이루어진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 30-80 중량부; 및 (C) (c1) 탄소수 6이상의 아미노 카르복실산, 락탐, 또는 디아민-디카르복실산 염과 (c2) 폴리(알킬렌옥사이드)글리콜 및 (c3) C4-20의 디카르복실산으로 구성된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공중합체 5-25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영구제전성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Permanent Antistatic and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영구적인 대전 방지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투명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무 변성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 및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최근 전자제품의 패션화 경향이 대두되면서 외장재 소재로서의 투명 수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전자 부품의 포장재에 투명 수지를 사용할 경우,부품 검사 시 또는 고객이 구매 시 포장을 개봉하지 않은 상태로 검사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는 높은 표면 및 체적저항을 가지고 있으므로 각종의 전기전자부품의 절연재료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높은 저항은 플라스틱 재료의 표면에 정전현상을 유발시켜 각종 전자부품의 가공과 포장 취급에 있어서 먼지로부터의 오염과 제품사용시의 회로의 오동작을 유발시켜 용도 전개시의 하나의 제약이 되고 있다.
따라서 투명 소재로 만들어진 제품을 먼지로부터의 오염과 제품 사용시 회로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포장 내에서 정전기에 의한 전자 부품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영구적인 대전방지성을 가지는 투명 수지에 관한 요구가 급증하게 된 것이다.
대전방지성을 부여하기 위해 종래에는 계면활성제, 전도성 카본블랙, 또는 금속충진제 등을 첨가하여 표면 및 체적저항을 낮추는 방법들이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전도성 카본블랙이나 금속충진제를 첨가하는 방법은 원하는 대전방지성을 얻을 수 있으나, 투명한 수지에 적용 시에는 상기 대전 방지 물질로 인해 투명성이 사라지며, 또한 일반 불투명한 수지조성물의 경우에도 착색에 제한을 주고 충격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방법은 첨가된 계면활성제가 플라스틱 표면으로 이송되어 대기 중의 수분을 통하여 축적된 정전기를 방전시키는 방법으로서, 주위환경 특히 습도에 따라서 그 작용이 안정하지 못하다는 문제점과 제품의 사용 중에 계면활성제의 계속적인 표면이송으로 인한 손실로 인하여 영구적인 대전 방지성을 유지할 수 없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Plastics Rubber Weekly(1981년)에서는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를 수지와 블렌드함으로써 영구적인 대전방지성을 부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의 외장재로 많이 쓰이는 투명 수지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그리고 폴리스티렌 등이 있다. 이들 수지에 영구적인 대전 방지성을 부여하기 위해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를 영구 대전방지제로 사용하는 경우, 수지와 대전방지제 사이의 상용성의 한계로 인해 불투명하여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투명성과 영구제전성을 동시에 가지는 수지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를 영구 대전방지제로 사용하는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기는 하나 매우 취약한 내충격성 및 내화학성으로 인해 실제 적용 사례는 거의 없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고무 변성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로 구성된 조성물에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를 첨가시킴으로써 영구적인 대전방지성을 가지면서 투명성을 유지할뿐만 아니라 충격강도, 열안정성, 작업성 및 외관 등의 물성 밸런스(balance)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구적인 대전방지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고무변성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5-50 중량부, (B)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 30-80 중량부, (C)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공중합체 5-25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이들 각각의 성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A) 고무변성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본 발명의 고무변성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a1) C1-8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C1-8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 50-90 중량부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할로겐 또는 알킬 치환 스티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 5-45 중량부 및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 1-20 중량부로 구성된 단량체 혼합물 5-95 중량부를 (a2)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중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 5-95 중량부에 그라프트 중합시킨 공중합체이다.
상기 C1-8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및 C1-8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는 각각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과 1∼8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모노히드릴 알코올로부터 얻어진 에스테르류이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C1-8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는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틸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프로필 에스테르이며, C1-8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는 아크릴산 에틸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가 가장 바람직하다.
고무변성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A)의 바람직한 예로는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 고무,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에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와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단량체를 혼합물의 형태로 그라프트 공중합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고무변성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시 사용되는 고무의 입경은 충격강도 및 외관을 고려하여 0.05-4㎛인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무변성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통상의 중합방법인 유화중합, 현탁중합, 용액중합 또는 괴상중합법 중 어느 것으로도 제조가 가능하나, 고무질 중합체의 존재하에 전술한 비닐계 단량체를 투입하여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여 유화 중합 또는 괴상중합시키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상기의 고무변성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중에서 5-50 중량부의 함량을 유지하여야 한다. 만약 고무변성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전체 수지조성물에 대하여 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이 저하되며, 50 중량부 이상인 경우에는 수지조성물의 굴곡강도, 인장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저하된다.
(B)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는 (b1) C1-8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C1-8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 50-90 중량부, (b2)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할로겐 또는 알킬 치환 스티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 5-45 중량부 및 (b3)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 1-20 중량부를 공중합하여 제조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는 30-80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된다.
상기 C1-8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및 C1-8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는 각각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과 1∼8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모노히드릴 알코올로부터 얻어진 에스테르류이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C1-8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는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틸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프로필 에스테르이며, C1-8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는 아크릴산 에틸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가 가장 바람직하다.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B)는 고무변성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A)의 제조시에 부산물로서 생성될 수가 있으며, 특히 적은 양의 고무질 중합체에 과량의 단량체 혼합물을 그라프트시키는 경우나 분자량 조절제로 사용되는 연쇄이동제(chain transfer agent)를 과량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더욱 많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 (B)의 함량은 상기 고무변성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A)의 부산물을 포함하여 나타낸 것은 아니다.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B)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고무질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B)는 그 자체가 고무 변성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A) 및 영구 대전방지제로 첨가되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계 공중합체(C)와 상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 (B)의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ⅰ)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단량체 혼합물, (ⅱ)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α-메틸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단량체 혼합물 또는 (ⅲ)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단량체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것을 들 수 있다.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B)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유화중합, 현탁중합, 용액중합, 또는 괴상중합법 중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으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300,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기술된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B)는 단독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C)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공중합체
본 발명에서 영구대전방지제로 사용되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공중합체는 제전성 고분자로서 (c1) 탄소수 6이상의 아미노 카르복실산, 락탐 또는 디아민-디카르복실산 염, (c2)폴리(알킬렌옥사이드)글리콜 및 (c3) C4-20의 디카르복실산으로 구성된다.
상기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공중합체(C)는 하기의 구조식을 갖는다.
상기 구조식에서 R1및 R2는 H, CH3또는 C2H5이고, PA는 폴리아미드이고, PE는 폴리알킬렌 옥사이드이며, n은 1 이상의 정수이다.
상기 (c1)탄소수 6이상의 아미노 카르복실산, 락탐, 또는 디아민-디카르복실산의 염으로는 ω-아미노카프론산, ω-아미노에난트산, ω-아미노카프릴산, ω-아미노펠콘산, ω-아미노카프린산, 1,1-아미노운데칸산, 1,2-아미노도데칸산 등과 같은 아미노카르복실산류; 카프로락탐, 에난트락탐, 카프릴락탐, 라우릴락탐등과 같은 락탐류; 및 헥사메틸렌디아민-아디핀산의 염, 헥사메틸렌디아민-이소프탈산의염등과 같은 디아민과 디카르복실산의 염이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1,2-아미노도데칸산, 카프로락탐, 또는 헥사메틸렌디아민-아디핀산의 염이 사용된다.
(c2)폴리(알킬렌옥사이드)글리콜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글리콜, 폴리(1,2- 및 1,3-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옥사이드)글리콜, 폴리(헥사메틸렌옥사이드)글리콜,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의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옥사이드와 테트라히드로퓨란의 공중합체 등을 포함한다. 이 중, 폴리(에틸렌옥사이드)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c1)탄소수 6이상의 아미노 카르복실산, 락탐 또는 디아민-디카르복실산 염과 (c2)폴리(알킬렌옥사이드)글리콜의 결합은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 결합이고 이 결합에 있어서 C4-20의 디카르복실산이나 디아민 등과 같은 제3성분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으로는 테레프탈산, 1,4-시클로헥사카르복실산, 세바신산, 아디핀산, 및 도데카노카르복실산이 사용되며, 디아민으로는 헥사메틸렌디아민 등이 사용된다.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공중합체(C)의 합성법은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일본 특허공보 소56-45419 및 일본 특허공개 소55-133424에 개시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공중합체의 폴리에테르 에스테르의 단위는 최소한 10-95중량%의 범위를 갖는 것이어야 하는데, 이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단위가 10중량% 미만이면 제전효과가 떨어지며 95 중량% 이상이면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상기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중에서 5-25중량부의 함량을 유지하여야 한다. 이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공중합체의 함량이 전체 수지조성물에 대하여 5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수지 조성물의 제전효과가 저하되며, 25중량부 이상인 경우에는 수지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영구제전성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각각의 용도에 따라 난연제, 활제, 이형제, 핵제, 안정제, 보강재, 무기물 첨가제, 안료 또는 염료 등의 일반적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구성성분과 기타 첨가제들을 동시에 혼합한 후에, 압출기내에서 용융 압출하고 펠렛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사용된 (A) 고무변성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B)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 및 (C)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공중합체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고무변성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단량체 전량에 대하여 부타디엔 함량이 50 중량부가 되도록 부타디엔 고무 라텍스를 투입하고,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37 중량부, 스티렌 10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3 중량부 및 탈이온수 150 중량부의 혼합물에 필요한 첨가제인 올레인산 칼륨 1.0 중량부, 큐멘히드로퍼옥시드 0.4 중량부, 메르캅탄계 연쇄이동제 0.3 중량부를 부가시켜 5시간 동안 75℃로 유지하면서 반응시켜 그라프트 라텍스를 제조하였다. 생성 중합체 라텍스에 1% 황산용액을 첨가하고, 응고시킨 후 건조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를 분말 상태로 사용하였다.
(B)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계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75중량부, 스티렌 20중량부 및 아크릴로니트릴 5중량부 및 탈이온수 120 중량부의 혼합물에 중합 개시제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 중량부, 메르캅탄계 연쇄이동제 0.3 중량부 및 트리칼슘포스페이트 0.5 중량부를 첨가하여 현탁중합하여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계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하였다. 이 공중합체를 수세, 탈수 및 건조시켜 분말 상태로 하여 사용하였다.
(B')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SAN 공중합체)
본 발명의 비교실시예2에서 사용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는 스티렌 71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29 중량부 및 탈이온수 120 중량부의 혼합물에 필요한 첨가제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 중량부, 메르캅탄계 연쇄이동제 0.3 중량부 및 트리칼슘포스페이트 0.5 중량부를 첨가하여 현탁중합하여 SAN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하였다. 이 공중합체를 수세, 탈수 및 건조시켜 분말 상태의 SAN 공중합체 수지로 사용하였다.
(C)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공중합체
아토켐사에 의해 제조된 PEBAX MV-1074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2
표 1에 나타나있는 조성의 각 구성성분과 산화방지제, 열안정제를 첨가하여 통상의 혼합기에서 혼합하고 L/D=36, Φ=45mm인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펠렛을 제조하였으며, 온도는 220-250℃로 설정하였다. 반감기 및 충격강도 측정을 위한 시편은 사출온도 220℃에서 통상의 성형 조건으로 10 oz 사출기를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며 측정하였다. 반감기는 사출시편을 23℃의 온도와 50%의 상대습도에서 48시간 보관 후 STATIC HONESTEMETER (일본 SHISHDO ELECTRIC 사, TYPE S-5109 )를 사용하여 인가전압 8000V, 인가전압과 시편거리 10mm, 인가시간 60초, 및 검출전극과 시료간 거리 5mm의 조건하에서 측정하였으며, 아이조드 노치 충격강도는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비교실시예 1-2
비교실시예 1에서는 고무변성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첨가하지 않고,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계 공중합체(B) 및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공중합체(C)만으로 제조된 것이며, 비교실시예 2는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 대신에 SAN공중합체를 사용하였으며, 표 1에 기재된바와 같이 각 구성성분의 조성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시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1∼2 및 비교실시예1∼2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조성과 측정된 물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실시예1 비교실시예2
성분 (A)고무 변성 메타크릴산 메틸에스테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20 35 - 29
(B)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공중합체 64 49 84 -
(B')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공중합체 - - - 55
(C)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공중합체 16 16 16 16
물성 투명도 투명 투명 투명 불투명
아이조드 노치충격강도(23℃)(1/8″,kg·cm/cm) 12.1 15.2 1.1 11.5
반감기(초) 0.9 0.8 0.9 0.9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무 변성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영구 대전방지제로서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공중합체를 적용한 경우, 투명성이 유지되면서도 영구제전성 및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무 변성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실시예 1의 경우에는 영구제전성과 투명성은 있으나, 내충격성이 급격히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계 공중합체 대신 SAN 공중합체를 사용한 비교실시예 2의 경우에는 영구제전성과 더불어 내충격성은 향상되지만 투명성은 상실하였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고무 변성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로 구성된 조성물에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를 첨가시킴으로써 영구적인 대전방지성을 가지면서도 투명성을 유지할뿐만 아니라 충격강도가 우수하여 각종의 전기전자부품의 절연재료로써 유용한 영구제전성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4)

  1. (A) (a1) C1-8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C1-8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 50-90 중량부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할로겐 또는 알킬 치환 스티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 5-45 중량부 및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 1-20 중량부로 구성된 단량체 혼합물 5-95 중량부를 (a2)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중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 5-95 중량부에 그라프트 중합하여 얻은 고무변성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5-50 중량부;
    (B) (b1) C1-8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C1-8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 50-90 중량부, (b2)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할로겐 또는 알킬 치환 스티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 5-45 중량부 및 (b3)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 1-20 중량부로 이루어진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 30-80 중량부; 및
    (C) (c1) 탄소수 6이상의 아미노 카르복실산, 락탐, 또는 디아민-디카르복실산 염과 (c2) 폴리(알킬렌옥사이드)글리콜 및 (c3) C4-20의 디카르복실산으로 구성된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공중합체 5-25 중량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제전성 투명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1-8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는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틸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프로필 에스테르이고, 상기 C1-8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는 아크릴산 에틸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제전성 투명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공중합체의 폴리에테르 에스테르의 단위가 10-95중량%이고; 상기 탄소수 6이상의 아미노 카르복실산, 락탐, 또는 디아민-디카르복실산 염은 ω-아미노카프론산, ω-아미노에난트산, ω-아미노카프릴산, ω-아미노펠콘산, ω-아미노카프린산, 1,1-아미노운데칸산, 1,2-아미노도데칸산, 카프로락탐, 에난트락탐, 카프릴락탐, 라우릴락탐 및 헥사메틸렌디아민-아디핀산의 염, 헥사메틸렌디아민-이소프탈산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폴리(알킬렌옥사이드)글리콜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글리콜, 폴리(1,2- 및 1,3-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옥사이드)글리콜, 폴리(헥사메틸렌옥사이드)글리콜,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의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옥사이드와 테트라 히드로퓨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C4-20의 디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 1,4-시클로헥사카르복실산, 세바신산, 아디핀산, 및 도데카노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제전성 투명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4. 상기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성형품.
KR10-2000-0075648A 2000-12-12 2000-12-12 영구제전성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376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5648A KR100376052B1 (ko) 2000-12-12 2000-12-12 영구제전성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5648A KR100376052B1 (ko) 2000-12-12 2000-12-12 영구제전성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326A KR20020046326A (ko) 2002-06-21
KR100376052B1 true KR100376052B1 (ko) 2003-03-15

Family

ID=27681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5648A KR100376052B1 (ko) 2000-12-12 2000-12-12 영구제전성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60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122B1 (ko) 2005-12-19 2008-0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경도 열가소성 투명 abs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873B1 (ko) * 2001-01-04 2004-03-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압출쉬트용 투명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030012155A (ko) * 2001-07-30 2003-0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압출쉬트용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열가소성 투명수지의 제조방법
KR100810684B1 (ko) * 2005-12-29 2008-03-07 제일모직주식회사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
EP3026082B1 (en) * 2014-10-02 2018-02-28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and transparency,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molded product comprising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458A (ja) * 1993-08-31 1995-03-28 Cheil Ind Co Ltd 帯電防止性を有する熱可塑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950013363A (ko) * 1993-11-30 1995-06-15 류이찌 오무라 가이드 부착 진출간의 간끝 보호커버
JPH09176414A (ja) * 1995-12-25 1997-07-08 Toray Ind Inc 制電性樹脂組成物
JPH10182988A (ja) * 1996-12-26 1998-07-07 Sanken Kako Kk 帯電防止性重合体組成物
KR0147066B1 (ko) * 1988-09-07 1998-08-17 아사구라 다쓰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7066B1 (ko) * 1988-09-07 1998-08-17 아사구라 다쓰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H0782458A (ja) * 1993-08-31 1995-03-28 Cheil Ind Co Ltd 帯電防止性を有する熱可塑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950013363A (ko) * 1993-11-30 1995-06-15 류이찌 오무라 가이드 부착 진출간의 간끝 보호커버
JPH09176414A (ja) * 1995-12-25 1997-07-08 Toray Ind Inc 制電性樹脂組成物
JPH10182988A (ja) * 1996-12-26 1998-07-07 Sanken Kako Kk 帯電防止性重合体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122B1 (ko) 2005-12-19 2008-0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경도 열가소성 투명 abs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326A (ko) 200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23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JPH0472855B2 (ko)
KR10223641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US5395870A (en) Vinyl resin composition
KR100376052B1 (ko) 영구제전성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97180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23403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JPH0257094B2 (ko)
JPH072884B2 (ja) 帯電防止性を有する成形品
KR100187923B1 (ko) 영구적 대전방지성을 갖는 열가소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4047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JPS62241945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524175B2 (ko)
KR100372567B1 (ko) 스티렌계 제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15075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58338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3595002B2 (ja) 帯電防止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JP2669170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010455B2 (ja) 帯電防止性に優れた樹脂組成物
JP2669179B2 (ja) 金属耐蝕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168652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2252719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301113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
WO2023054894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H0826199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