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804B1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804B1
KR101971804B1 KR1020170182005A KR20170182005A KR101971804B1 KR 101971804 B1 KR101971804 B1 KR 101971804B1 KR 1020170182005 A KR1020170182005 A KR 1020170182005A KR 20170182005 A KR20170182005 A KR 20170182005A KR 101971804 B1 KR101971804 B1 KR 101971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thermoplastic resin
weight
rubber
aromatic vi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경
심인식
양천석
김주성
배승용
김유현
정봉재
Original Assignee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첨단소재(주) filed Critical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to KR1020170182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8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1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oxygen
    • C08K5/42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12Polyester-am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및 퍼플루오로알킬술폰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대전방지성, 흠저항성, 내열성 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대전방지성, 흠저항성(mar resistance), 내열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로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ABS 수지) 등의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기계적 물성, 가공성,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하여, 전기/전자 제품의 내/외장재, 자동차 내/외장재, 건축용 외장재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통상적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플라스틱 제품은 공기 중의 수분 흡수력이 거의 없고, 발생된 정전기를 흘려 버리지 못하고 축적되므로, 공기 중의 먼지가 흡착되어 표면 오염 및 정전기 충격이 발생할 수 있으며, 기기의 오작동이나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대전방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대전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적절한 대전방지성을 얻기 위해서는 과량의 대전방지제가 필요하며, 이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상용성, 내열성 등의 저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대전방지성, 흠저항성, 내열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공개특허 2014-0135790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전방지성, 흠저항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및 퍼플루오로알킬술폰계 화합물;을 포함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60 내지 90 중량% 및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1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1 내지 15 중량부, 및 상기 퍼플루오로알킬술폰계 화합물 0.05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것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는 탄소수 6 이상의 아미노 카르복실산, 락탐 또는 디아민-디카르복실산염; 폴리알킬렌글리콜; 및 탄소수 4 내지 20의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의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퍼플루오로알킬술폰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30259934-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Li, Na, Mg 또는 K이고, n은 1 내지 8의 정수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및 상기 퍼플루오로알킬술폰계 화합물의 중량비는 1 : 0.01 내지 1 : 1.5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7에 의거하여 측정한 표면저항 값이 1 × 109 내지 2 × 1013 Ω·cm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KS K 0500에 의거하여 측정한 대전압의 반감기가 0.5 내지 3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형품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대전방지성, 흠저항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B)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C)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및 (D) 퍼플루오로알킬술폰계 화합물;을 포함한다.
(A)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본 발명의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A1)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A2)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A1)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그라프트 중합하여 얻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는 단량체를 더욱 포함시켜 그라프트 중합할 수 있다. 상기 중합은 유화중합, 현탁중합 등의 공지의 중합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코어(고무질 중합체)-쉘(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질 중합체로는 폴리부타디엔, 폴리(스티렌-부타디엔),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등의 디엔계 고무 및 상기 디엔계 고무에 수소 첨가한 포화고무, 이소프렌고무, 탄소수 2 내지 10의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고무, 탄소수 2 내지 10의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단량체 삼원공중합체(EPDM)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엔계 고무, (메타)아크릴레이트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부타디엔계 고무, 부틸아크릴레이트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질 중합체(고무 입자)는 입도분석기로 측정한 평균 입자 크기(D50)가 0.05 내지 6 ㎛, 예를 들면 0.15 내지 4 ㎛, 구체적으로 0.25 내지 3.5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질 중합체의 함량은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전체 100 중량% 중 20 내지 70 중량%, 예를 들면 25 내지 60 중량%일 수 있고, 상기 단량체 혼합물(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포함)의 함량은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전체 100 중량% 중 30 내지 80 중량%, 예를 들면 40 내지 7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상기 고무질 중합체에 그라프트 공중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비닐크실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 중 10 내지 90 중량%, 예를 들면 40 내지 9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는 상기 방향족 비닐계와 공중합 가능한 것으로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 중 10 내지 90 중량%, 예를 들면 10 내지 6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화학성, 기계적 특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한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 무수말레인산, N-치환말레이미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한 단량체 사용 시, 그 함량은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 중 15 중량% 이하, 예를 들면 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다른 물성의 저하 없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로는 부타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인 스티렌 단량체와 시안화 비닐계 화합물인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공중합체(g-ABS), 부틸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인 스티렌 단량체와 시안화 비닐계 화합물인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공중합체인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공중합체(g-ASA)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전체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 중 10 내지 50 중량%, 예를 들면 25 내지 4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유동성(성형 가공성), 외관 특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할 수 있다.
(A2)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통상적인 고무변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에 사용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체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등을 혼합한 후, 이를 중합하여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중합은 유화중합, 현탁중합, 괴상중합 등의 공지의 중합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비닐크실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은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전체 100 중량% 중, 20 내지 90 중량%, 예를 들면 30 내지 8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유동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는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및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또는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및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 구체적으로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및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 및/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가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및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의 혼합물일 경우,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100 중량% 중 1 내지 40 중량%, 예를 들면 2 내지 35 중량%일 수 있고, 상기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100 중량% 중 60 내지 99 중량%, 예를 들면 65 내지 98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 내열성, 가공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함량은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전체 100 중량% 중, 10 내지 80 중량%, 예를 들면 20 내지 7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유동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내지 300,000 g/mol, 예를 들면, 15,000 내지 15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 성형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전체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 중, 50 내지 90 중량%, 예를 들면 55 내지 7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유동성(성형 가공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A)는 상기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및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A)+(B)) 전체 100 중량% 중, 60 내지 90 중량%, 예를 들면 65 내지 8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대전방지성, 흠저항성, 내열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B)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소량의 대전방지제 사용 시에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대전방지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4.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6.10, 이들의 조합 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25℃의 황산 용액(96%)에서 우베로드(Ubbelodhde) 점도계로 측정한 상대 점도(Relative viscosity: RV)가 2.0 내지 3.5 dL/g, 예를 들면 2.3 내지 3.2 dL/g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대전방지성, 내열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B)는 상기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및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A)+(B)) 전체 100 중량% 중, 10 내지 40 중량%, 예를 들면 15 내지 3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대전방지성, 흠저항성, 내열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C)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시편)의 대전방지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대전방지제로 사용되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탄소수 6 이상의 아미노 카르복실산, 락탐 또는 디아민-디카르복실산염; 폴리알킬렌글리콜; 및 탄소수 4 내지 20의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의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수 6 이상의 아미노 카르복실산, 락탐 또는 디아민-디카르복실산의 염으로는, ω-아미노카프론산, ω-아미노에난트산, ω-아미노카프릴산, ω-아미노펠콘산, ω-아미노카프린산, 1,1-아미노운데칸산, 1,2-아미노도데칸산 등과 같은 아미노카르복실산류; 카프로락탐, 에난트락탐, 카프릴락탐, 라우릴락탐등과 같은 락탐류; 및 헥사메틸렌디아민-아디핀산의 염, 헥사메틸렌디아민-이소프탈산의 염등과 같은 디아민과 디카르복실산의 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2-아미노도데칸산, 카프로락탐, 헥사메틸렌디아민-아디핀산의 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1,2- 및 1,3-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폴리헥사메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과 프로필렌글리콜의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콜과 테트라히드로퓨란의 공중합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과 프로필렌글리콜의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수 4 내지 20의 디카르복실산으로는, 테레프탈산, 1,4-시클로헥사카르복실산, 세바신산, 아디핀산, 도데카노카르복실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수 6 이상의 아미노 카르복실산, 락탐 또는 디아민-디카르복실산 염;과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의 결합은 에스테르 결합일 수 있고, 상기 탄소수 6 이상의 아미노 카르복실산, 락탐 또는 디아민-디카르복실산 염;과 상기 탄소수 4 내지 20의 디카르복실산;의 결합은 아미드 결합일 수 있고,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과 상기 탄소수 4 내지 20의 디카르복실산;의 결합은 에스테르 결합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는 공지된 합성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보 소56-045419 및 일본 특허공개 소55-133424에 개시된 합성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을 10 내지 9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대전방지성, 내열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는 상기 기초 수지((A)+(B))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5 중량부, 예를 들면 2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대전방지성, 흠저항성, 내열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D) 퍼플루오로알킬술폰계 화합물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퍼플루오로알킬술폰계 화합물은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와 함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대전방지성 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30259934-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Li, Na 또는 K이고, n은 1 내지 8의 정수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퍼플루오로알킬술폰계 화합물은 포타슘 퍼플루오로부탄 술포네이트(potassium perfluorobutane sulfonate), 포타슘 퍼플루오로헥산 술포네이트(potassium perfluorohexane sulfonate), 포타슘 퍼플루오로옥탄 술포네이트(potassium perfluorooctane sulfonate),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퍼플루오로알킬술폰계 화합물은 상기 기초 수지((A)+(B))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5 중량부, 예를 들면 0.1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대전방지성, 흠저항성, 내열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및 상기 퍼플루오로알킬술폰계 화합물의 중량비((C):(D))는 1 : 0.01 내지 1 : 1.5, 예를 들면 1 : 0.05 내지 1 : 1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대전방지성, 흠저항성, 내열성 등이 더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난연제, 충진제, 산화 방지제, 적하 방지제, 활제, 이형제, 핵제, 안정제, 안료, 염료,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첨가제 사용 시, 그 함량은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40 중량부, 예를 들면 0.1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구성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200 내지 280℃, 예를 들면 220 내지 250℃에서 용융 압출한 펠렛 형태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7에 의거하여 측정한 표면저항 값이 1 × 109 내지 2 × 1013 Ω·cm, 예를 들면 3 × 109 내지 1.5 × 1013 Ω·cm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KS K 0500에 의거하여 측정한 대전압의 반감기가 5초 이하, 예를 들면 0.5 내지 3초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1525에 의거하여 5 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비캣 연화온도(Vicat Softening Temperature: VST)가 85 내지 95℃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523에 의거하여 마찰 견뢰도 시험기(crockmeter)로 10 cm × 15 cm 크기 시편의 마찰 전 60° 경면 광택도와 규정된 백면포로 10회 마찰시킨 후 60° 경면 광택도를 측정한 후, 산출한 마찰 전후 60° 경면 광택도 차이(ΔGloss(60°))가 1 내지 1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펠렛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조된 펠렛은 사출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캐스팅성형 등의 다양한 성형방법을 통해 다양한 성형품(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성형품은 대전방지성, 내열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하므로, 전기/전자 제품의 내/외장재, 자동차 내/외장재, 건축용 외장재 등으로 유용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하기 (A1)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29 중량% 및 (A2)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71 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A1)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45 중량%의 부타디엔 고무(평균 입자 크기: 310 nm인)에 55 중량%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중량비: 75/25)가 그라프트 공중합된 g-ABS를 사용하였다.
(A2)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 75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25 중량%가 중합된 SAN 수지(중량평균분자량: 130,000 g/mol)를 사용하였다.
(B) 폴리아미드 수지
(B1)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로서, 폴리아미드 6(제조사: KP CHEMTECH, 제품명: EN300)를 사용하였다.
(B2)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로서, 폴리아미드 6T(제조사: Dupont, 제품명: ZYTEL HTN 501)를 사용하였다.
(C)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PELECTRON AS(PA6-PEO, 제조사: Sanyo)를 사용하였다.
(D) 퍼플루오로알킬술폰계 화합물
포타슘 퍼플루오로부탄 술포네이트(potassium perfluorobutane sulfonate)를 사용하였다.
(E) 대전방지제
PP-PEO 올레핀계 대전방지제(제조사: Sanyo, 제품명: UC)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2
상기 각 구성 성분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함량으로 첨가한 후, 230℃에서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압출은 L/D=36, 직경 45 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제조된 펠렛은 80℃에서 2시간 이상 건조 후, 6 Oz 사출기(성형 온도 230℃, 금형 온도: 60℃)에서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방법
(1) 표면 저항 값(단위: Ω·cm): ASTM D257에 의거하여, 표면저항 측정 장치(제조사: 미쯔비시케미칼, 장치명: Hiresta-UP(MCP-HT450))로 측정하였다.
(2) 반감기(단위: 초): KS K 0500에 의거하여, 4.5 cm × 4.5 cm 크기 시편 5개에 대해 하기 방법으로 대전압의 반감기를 측정하였다.
① 반감기 측정기와 싱크로스콥 또는 기록계를 접속시킨다.
② 인가전압을 (+)10,000 V로 한다.
③ 인가부의 침전극의 선단으로부터 회전반의 면까지의 거리를 20 mm, 수전부의 전극판에서 회전반의 면까지의 거리를 15 mm로 각각 조절한다.
④ 시편 1개를 표면이 위로 되도록 부착틀에 부착하여 전기를 제거한다.
⑤ 회전반을 회전시키면서 10,000 V의 인가를 개시하여 30초 후에 인가를 끝내 그 상태로 회전반을 회전시키면서 대전압이 반으로 감쇠할 때까지의 시간(초)을 측정한다.
(3) 흠저항성(mar resistance) 평가: ASTM D523에 의거하여 마찰 견뢰도 시험기(crockmeter)로 10 cm × 15 cm 크기 시편의 마찰 전 60° 경면 광택도와 규정된 백면포로 10회 마찰시킨 후 60° 경면 광택도를 측정하고, 마찰 전후 60° 경면 광택도 차이(ΔGloss(60°))를 산출하였다(단위:%).
(4) 비캣 연화온도(Vicat Softening Temperature: VST, 단위: ℃): ASTM D1525에 의거하여 5 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2
(A) (중량%) 85 85 85 85 85 85 85 85
(B1) (중량%) 15 15 15 15 15 15 15 -
(B2) (중량%) - - - - - - - 15
(C) (중량부) 10 5 2 2 2 2 - 2
(D) (중량부) 2 2 2 1 0.5 0.1 2 2
(E1) (중량부) - - - - - - 10 -
표면 저항 값 (Ω·cm) 3.5×109 9.1×1010 7.9×1012 7.6×1012 7.8×1012 1.1×1013 9.1×1011 측정 불가
반감기 (초) 0.5 1 1 2 2 3 30 100↑
ΔGloss(60°) 2 3 6 5 5 7 7 20
VST (℃) 90 93 95 95 95 95 80 95
* 중량부: 기초 수지 (A)+(B)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부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대전방지성, 흠저항성, 내열성 등이 모두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대신에 대전방지제 (E)를 사용한 비교예 1의 경우, 대전방지성, 내열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를 적용한 비교예 2의 경우, 대전방지성, 흠저항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0)

  1.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및
    퍼플루오로알킬술폰계 화합물;을 포함하며,
    ASTM D1525에 의거하여 5 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비캣 연화온도(Vicat Softening Temperature: VST)가 85 내지 95℃이고,
    ASTM D523에 의거하여 마찰 견뢰도 시험기(crockmeter)로 10 cm × 15 cm 크기 시편의 마찰 전 60° 경면 광택도와 규정된 백면포로 10회 마찰시킨 후 60° 경면 광택도를 측정한 후, 이로부터 산출한 마찰 전후 60° 경면 광택도 차이(ΔGloss(60°))가 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60 내지 90 중량% 및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1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1 내지 15 중량부, 및 상기 퍼플루오로알킬술폰계 화합물 0.05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는 탄소수 6 이상의 아미노 카르복실산, 락탐 또는 디아민-디카르복실산염; 폴리알킬렌글리콜; 및 탄소수 4 내지 20의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의 블록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플루오로알킬술폰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7130259934-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Li, Na 또는 K이고, n은 1 내지 8의 정수이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및 상기 퍼플루오로알킬술폰계 화합물의 중량비는 1 : 0.01 내지 1 :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7에 의거하여 측정한 표면저항 값이 1 × 109 내지 2 × 1013 Ω·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KS K 0500에 의거하여 측정한 대전압의 반감기가 0.5 내지 3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170182005A 2017-12-28 2017-12-28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971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005A KR101971804B1 (ko) 2017-12-28 2017-12-28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005A KR101971804B1 (ko) 2017-12-28 2017-12-28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804B1 true KR101971804B1 (ko) 2019-04-23

Family

ID=66285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005A KR101971804B1 (ko) 2017-12-28 2017-12-28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8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027A (ko) * 2021-08-30 2023-03-07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629026B1 (ko) * 2022-09-29 2024-01-25 주식회사 엘엑스엠엠에이 대전방지제를 포함하여 제조된 내화학 강화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374A (ko) * 1996-07-18 1998-04-30 유현식 영구적 대전방지성을 갖는 열가소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8297418A (ja) * 2007-05-31 2008-12-11 Sanyo Chem Ind Ltd 帯電防止剤および帯電防止性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374A (ko) * 1996-07-18 1998-04-30 유현식 영구적 대전방지성을 갖는 열가소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8297418A (ja) * 2007-05-31 2008-12-11 Sanyo Chem Ind Ltd 帯電防止剤および帯電防止性樹脂組成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027A (ko) * 2021-08-30 2023-03-07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639840B1 (ko) 2021-08-30 2024-02-22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629026B1 (ko) * 2022-09-29 2024-01-25 주식회사 엘엑스엠엠에이 대전방지제를 포함하여 제조된 내화학 강화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WO2024071858A1 (ko) * 2022-09-29 2024-04-04 주식회사 엘엑스엠엠에이 대전방지제를 포함하여 제조된 내화학 강화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23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23641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97180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23403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140099609A (ko) 외관품질과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24047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JPH05163402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0376052B1 (ko) 영구제전성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H072884B2 (ja) 帯電防止性を有する成形品
KR10258338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58222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70074647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15075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JPH08183894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258290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3301113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
JPH08134315A (ja) 熱可塑性重合体組成物
KR20230032699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H06116480A (ja) エラストマー組成物
KR20210121837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H06220274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WO2021172827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19190067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JPH06107884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5163411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