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5260B1 - 먼지 배출장치가 구비된 연마기 - Google Patents

먼지 배출장치가 구비된 연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5260B1
KR960015260B1 KR1019880009391A KR880009391A KR960015260B1 KR 960015260 B1 KR960015260 B1 KR 960015260B1 KR 1019880009391 A KR1019880009391 A KR 1019880009391A KR 880009391 A KR880009391 A KR 880009391A KR 960015260 B1 KR960015260 B1 KR 960015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rasive
polishing
tool
outlet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9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694A (ko
Inventor
플라케네커 게르트
슈흐마커 구스타프
그람 프리츠
클로스 구엔터
Original Assignee
체 운트 에 파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한스 울프강 파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체 운트 에 파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한스 울프강 파인 filed Critical 체 운트 에 파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Publication of KR890001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5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 B24B55/10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specially designed for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 B24B55/10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specially designed for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 B24B55/105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specially designed for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with oscillat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먼지 배출장치가 구비된 연마기
제 1 도는 본 발명의 먼지 배출장치가 장착된 연마기의 단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배출후드를 아랫쪽에서 본 평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3-3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 4 도는 두번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 1 도의 A부분에 대한 상세도.
제 5 도는 세번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 4 도에 대한 상세도.
제 6 도는 네번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 4 도에 대한 상세도.
제 7 도는 다섯번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 4 도에 대한 상세도.
제 8 도는 여섯번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 4 도에 대한 상세도.
제 9 도는 제 1 도의 9-9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 l0 도는 제 1 도의 10-10선을 따라 절단한 평면도.
제 l1 도는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 10 도에 대한 평면도.
제 12 도는 여덟번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 9 도에 대한 단면도.
제 13 도는 아홉번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 2 도와 유사한 평면도.
제 14 도는 열번째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부분 단면도.
제 15 도는 제 14 도에서 화살표 B의 방향에서 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마기 12 : 모터
14 : 기어링 16 : 피봇 샤프트
18 : 피봇축 20 : 커넥팅플랜지
21, 21' : 중앙리세스 22, 22' : 연마도구
23 : 클램핑 엘리먼트 24, 24' : 배출후드
26 : 후드부 28 : 실린더형 벽
30 : 링챔버 32, 32' : 시일링 림
34 : 실린더형 연장부 38 : 실린더형 부분
40, 110 : 배출 커넥션 피스 44 : 평면
46, 50 : 구멍 48 : 밴드
52 : 위치스크루 56, 62 : 홈
58 : 시일링 링 60 : 커버플레이트
66-O-링 68, 70 : 리세스
70 : 탄성층 80 : 연마페이퍼
82 : 링채널 90 : 코너부
94, 96, 102 : 흡출구 104, 104' : 배출구
14 : 하우징 118 : 호오스 커넥션 피스
본 발명은 연마기에 고정된 피봇축을 중심으로 작은 피봇각도로 왕복회전되는 연마도구를 가지고 있는 연마기에 관한 것이다. 연마도구에는 적어도 한개의 코너부와 적어도 하나의 흡입채널을 가지고 있는 연마표면이 있고 적어도 하나의 흡임 채널은 흡입구로부터 연마표면에 대면하고 있는 측면위에 위치한 배출구로 연마도구를 관통해 뻗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연마기에 고정된 피봇 축선을 중심으로 왕복회전되는 드라이브 샤프트를 가지고 있는 연마기용 연마도구에 관한 것이다. 이 연마도구에는 적어도 하나의 코너부와 적어도 하나의 흡입채널이 있고, 흡입채널은 흡입구로부터 연마표면에 대면하고 있는 연마도구의 측면위에 위치한 배출구로 연마도구를 관통해 뻗어 있다. 이 연마도구는 특히 전술한 종류의 연마기용으로 고안되어 있다.
진술한 종류의 연마기 및 연마도구는 PCT출원 제 WO87/02924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것의 공개공보에 나타나 있는 먼지 배출장치를 가지고 있는 연마기는 배출구가 연마표면의 맞은편에 위치한 코너부에 설치되어 있는 삼각형의 연마도구를 포함하고 있다. 이 배출구로부터 연마표면 위로 즉, 예를들면 연마페이퍼 위로 나 있는 채널로 연마표면의 방향으로 구멍이 뻗어 있고, 연마도구의 외부 가장자리로 뻗어서 외부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는 흡입구로 열려 있다. 흡입구는 이 코너부의 외부 가장자리 또는 두 코너부 사이의 1/2정도의 거리의 외부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다. 이 연마도구에서 연마먼지의 흡입은 외부 가장자리에서만 일어나고 이때 먼지는 채널과 구멍을 통해 이 코너부에 있는 연마표면에 대면하고 있는 연마도구의 측면에 위치한 배출구로 이동된다.
그러나 이 공보에는 배출구로부터 먼지가 어떻게 제거되는지에 대해서는 기술되어 있지 않다.
게다가 이 공보에 나타난대로 흡입구가 외부 가장자러에 배치되어 있다는 것은 흡입구가 연마표면을 향해 직통으로 배향되어 있지 않다는 주요 단점이 된다.
이 결과로서 첫번째, 연마먼지에 대해 직접적인 흡입효과가 나타날 수 없고 두번째, 다량의 소위 "침투된 공기" 즉, 연마먼지가 없는 공기가 빨아들여진다.
또한 연마먼지는 항상 연마도구의 해당 외부 가장자리에서 먼지가 제거될 수 있도록 이동되어야 하므로 연마먼지는 먼지가 생기는 실제 지점에서 제거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효과적이고 신뢰성이 있으며 특히 부착 가능한, 가능한한 간단하게 고안되어 있고 연마기를 다루는데 손상을 주지 않는 먼지 제거 시스템을 인기 위해서 일반적인 종류의 연마기를 개량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처음에 인급한 종류의 연마기에서 코너부의 바깥쪽에 배출구를 설비하고 모든 피봇된 의치에서 배출구를 덮기 위해 연마기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될 수 있는 배출후드를 달아서 연마도구의 코너부가 덮여지지 않는 방식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실현되어졌다.
본 연마기의 독창적인 고안이 갖는 장점은 배출장치를 배출구에 연결시키는 문제를 간단하고도 신뢰성 있게 해결해 준다는 것이다.
또한 배출후드 아래로 덮여지지 않는 방식으로 자유 코너부가 돌출되도록 하기 위해서 배출구를 배출후드와 함께 결합하여 배치시킴으로써 이러한 연마기의 취급이 손상을 받지 않는다.
더 나아가 구조적인 단순성은 본 발명의 특징이다.
배출후드가 코너부 바깥쪽의 연마도구를 덮는 방식은 전술한 독창적인 실시예에 언급되어 있지 않다.
예를들어 배출후드와 연마도구 사이의 적어도 단면 방향에서 밀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배출후드가 연마도구의 외부림 위로 실치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연마도구의 외부림이 연마 가장자리에 이용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바로 이것은 PCT출원 제 WO87/02924호에 따른 연마기의 주요 장점인 것이다.
이런 이유로 인해 배출후드가 연마도구의 모든 피봇된 위치에서 그 외부림 내에서 연마도구를 덮는 것이 편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특히 특징척인 디자인에 있어서 피봇 축선으로부터 덮여지지 않는 돌출하는 코너부로 방사 방향으로 뻗어 있는 배출후드가 연마도구를 덮는 범위는 이 방향에서 그 최대범위의 대략 2/3 이하이다.
그러므로 사실상 이 방향에서 배출후드가 연마도구를 덮는 부분이 연마도구의 취급이 손상을 받지 않도록 그 최대 범위의 단지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후드와 연마도구 사이의 밀봉의 문제는 전술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와 관련하여, 연마도구와 대면하며 연마도구의 피봇운동에 따라 변하지 않는 기하학적 평면에 놓여 있는 밀봉림을 배출후드가 가지는 것이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다시말해서, 밀봉림은 그 위치가 연마도구의 피봇운동에 의해 변화되지 않는 기하학적 평면 위에 놓여 있다.
예를들어 이는 또한 피봇 축선 주위에 원형, 실린더형 표면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연마도구의 불필요한 복잠한 디자인 즉, 마모되기 쉬운 부분을 피하기 위한 가장 간단한 해결책은 밀봉림이 피봇 축선에 직각으로 뻗어 있는 평면에 놓이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먼지 배출장치에서 무엇보다도 근본적으로 중요한 공간의 절약을 하기 위해서는 모든 피봇된 위치에서 배출구로부터 최소의 거리에서 배출구를 감싸도록 밀봉림이 뻗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여러가지 경우에 있어서 하나 뿐만 아니라 여러개의 배출구가 연마도구 위에 설치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배출후드가 연마도구의 여러개외 배출구를 함께 덮도록 어떤 설비가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에는 밀봉림이 배출구를 함께 감싸는 것이 편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PCT출원 제 WO87/02924호에 따른 연마기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한편으로는 배출후드가 공간을 절약하도록 디자인 되어야 하고 또 한편으로는 이 공보에 기술된 연마기의 장점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흡입 파이프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이는 첫번째, 연마도구의 코너부가 연마를 위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두번째, 가장자리 연마가 연마도구의 외부측림으로 인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배출후드가 밀봉림 위의 최소의 거리에 링챔버로 측면으로 열려있는 배출 커넥션 피스를 가지고 있는 배출구 위에 위치한 링챔버를 가지도록 구조가 되어 있다.
배출 커넥션 피스가 밀봉표면 위에 직접적으로 이와 같이 측면으로 배치됨으로 인해서 피봇 축선의 방향에서 공간을 많이 절약하게 하는 구조가 된다.
무엇보다도 배출 커넥션 피스가 다른 식으로 배치되면 그 어느것이나 연마도구의 취급에 훨씬 더 손상을 줄 것이다.
아주 경제적인 배출 커넥션 피스 디자인을 얻기 위해서는 배출 커넥션 피스가 배출후드 위에 통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출 커넥션 피스가 이렇게 배치됨으로 인해서 생기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흡입 공급 파이프가 배출 커넥션 피스로 어떻게 적절하게 유도되는가에 대한 문제가 아직도 남아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피봇 축신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하우징을 가지고 있는 연마기에서 배출 커넥션 피스가 하우징의 밑면을 따라 뻗는 것이 유리하다.
배출 커넥션 피스가 이렇게 디자인 되면 먼지 제거장치 없이 사용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연마기를 적절하게 취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연마기에서 하우징 자제는 보통 연마기용 핸들로서 작용한다.
그러므로 연마기의 취급은 배출 커넥션 피스와 하우징의 밑면과의 사이에 틈이 없이 하우징의 밑면에 대해 지지되어 있는 배출 커넥션 피스에 의해 보다 개선될 수 있다.
그러나 하우징과 대면하고 있는 배출 커넥션 피스의 상부벽이 하우징에 대해 그 전체 표면을 통해 지지되어 실제적으로 하우징과 하나의 단위체를 이루도록 하우징의 밑면의 표면과 맞도록 만들어지는 것이 훨씬 더 유리하다.
또한 하우징 자체가 핸들로서 작용되면 하우징은 대략 실린더형으로, 배출 커넥션 피스는 대략 역사다리꼴 단면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다.
흡입 호오스는 보통 배출 커넥션 피스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흡입 호오스가 하우징 끝단을 넘어 돌출하는 배출 커넥션 피스 부분에 연결될 수 있도록 배출 커넥션 피스가 피봇 축선의 반대편에 위치한 하우징 끝단을 넘어 뻗는 것이 좋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흡입 커넥션 피스가 하우징 끝단을 넘어 뻗어 있는 지역에서 휴입 호오스를 위한 커넥션을 가지는 것이 편리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에서 배출 커넥션 피스가 하우징 끝단부에 있는 브래킷에 의해 하우징 위에 지지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흡입 호오스에 의한 인력에 의해 배출 커넥션 퍼스가 하우징에 대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배출후드는 서로 다른 하우징 유형에 대해 반드시 공통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피봇 축선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하우징을 가지고 있는 연마기에 대해 공통적으로 유용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배출 커넥션 피스가 각 회전 관계에 있는 링챔버로부더 하우징으로 대략 방사방향으로 돌출되게 하고 벤드에 연결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배출 커넥션 피스가 이것이 돌출하는 면위에서 장애를 야기한다는 단점이 생긴다.
이런 이유로 배출 커넥션 피스가 링챔버로부터 대략 방사 방향으로 돌출하여 흡입 파이프가 차례로 연결될 수 있는 벤드에 인결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렇게 정지되어 있는 벤드는 연마기가 작동하는 흡입 파이프가 작업 영역위에 침범하지 않는다는 것을 간단한 방법으로 보장해 준다.
배출 커넥션 피스를 가지고 있는 배출후드와 벤드를 왼손잡이 및 오른손 잡이 연마기 조작자 모두에게 적합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배출 커넥션 피스와 벤드가 벤드지점에 있는 구멍이 반대 방향으로 적어도 서로 다른 두 지점에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배출 커넥션 피스가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돌출하는 식으로 배출후드가 연마기에 부착될 수 있고 각각의 경우에 벤드의 구멍이 전면 특히 연마도구의 코너부로부터 떨어져 지지되는 식으로 밴드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흡입 파이프는 간단한 방법으로 벤드에 있는 이 구멍에 연결될 수 있다.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배출후드의 디자인에서의 다음 문제는 배출후드를 연마기에 부착하는 문제이다.
이와 관련하여 링챔버 위의 연마도구로부터 떨어져 대면하고 있는 배출후드쪽에 통합되어 형성되어 있는 마운팅 플랜지가 배출후드에 설치되는 것이 편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로 인해 전체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마운딩 플랜지의 디자인이 클램핑 엘리먼트를 가지고 있는 실린더형 연장부와 같으면 그 구조적인 단순성 뿐만 아니라 클램핑 엘리먼트가 느슨해진 후 연마도구에 대해 배출후드의 회전을 허용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사용에 따라 배출 커넥션 피스는 연마도구에 대해 회전될 수 있어서 배출 커넥션 피스의 위치가 오른손잡이 조작자에게 맞는 위치로부러 왼쪽손잠이 조작자에게 맞는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클램핑 엘리먼트는 또한 공간을 필요로 하지만 지금까지 기술한 구조에서 클램핑 엘리먼트가 연마기의 취급에 부가적으로 손상을 주지 않아야 하므로, 배출 커넥션 피스의 회전으로말미암아 장애가 될 수 있는 클램핑 엘리먼트가 배출 커넥션 피스와 함께 동시에 움직이도록 클랭핑 엘리먼트가 배출 커넥션 피스부에 배치되는 것이 편리하다.
배출후드의 밀봉림과 연마도구의 밀봉은 밀봉림과 연마도구 사이의 흡입력이 심하게 손실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통상 필요하다.
또한 밀봉림과 연마도구 사이의 밀봉 간격이 조금만 있어도 잡음이 생길 위험이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시일링 림은 미끄럼 성질이 있는 시일링 재로 만들어진 시일링 링을 수용하도록 디자인 된다.
이 시일링 링은 수용 수단에만 놓여지고 배출후드의 시일링 림과 시일링 림 맞은편에 위치한 연마도구의 시일링 표면 위에 쉽게 미끄러질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어야 한다.
단순화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수용 수단에 느슨하게 놓여진 시일링 링 대신 시일링 림이 미끄럼 성질이 있는 시일링 재로 코팅된다.
즉, 예를들어 시일링 림은 이러한 시일링 림 맞은편의 연마도구의 시일링 표면위에서 쉽게 미끄러질 수 있는 물질을 가지고 있게 된다.
공차의 차이를 보정하도록 미끄럼 성질이 있는 시일링 재가 탄성이 있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미끄럼 성질이 있는 시일링 재는 펠트이다.
이것은 충분한 탄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시일링 림과 시일링 표면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물질위에서 쉽게 미끄러진다. 시일링 림과 전술한 연마도구 사이의 밀봉을 고정하는데 있어서, 러버 시일 또는 부차적인 시일링 원소로서 기포제로 만들어진 시일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경우에 왕복회전하는 피봇의 운동 동안에 시일링 림과 연마도구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대적인 운동은 그러한 물질의 탄성에 의해 보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물질은 견고하게 유지되거나 배출후드의 시일링 림과 연마도구에 대해 약간 변위되며 그 탄성으로 인해 이 연마기에 독특한 작은 피봇 각을 가지는 상대적인 운동을 보정한다.
전술한 연마기에 대한 보충으로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마표면으로부터 연마 먼지를 적절하게 배출해 주는 연마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처음에 기술한 종류의 연마도구에서 흡입구를 적어도 하나의 코너부의 연마표면에 만들고 배출구를 이 코너부의 외부에 만듦으로써 이루어진다.
흡입구가 연마도구의 외부림에 위치하는 종레의 기술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연마표면에 위치한다. 즉, 흡입구가 예를들어 연마 페이퍼에 의해 형성된 연마표면에 만들어진다. 또한 흡입구는 본 발명에 연마도구의 코너부에 만들어지고 이 코너부는 보통 피봇 축선으로부터 가장 멸리 떨어져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이 코너부에서 물질의 제거 능력이 최고가 된다. 따라서 흡입구가 전술한 바와 같이 코너부에 만들어지면 연마 먼지가 가장 많이 생기는 이 코너부에서 연마 먼지가 직접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마도구의 또 다른 장점은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먼지 배출장치가 설치된 연마기의 취급이 조금이라도 손상을 받지 않도록 배출후드가 디자인 되어 있다는 것이다. 진술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배출구는 원래 다른 평면에 놓일 수 있었다. 그러나 연마도구는 마모되기 쉽고 빈번한 교체를 필요로 하므로 가능한한 간단하게 디자인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배출구가 연마표면 맞은편에 위치한 연마도구의 표면에 배치되어 피봇 축선에 대해 수직으로 뻗어 있는 것이 편리하다.
가능한한 공간을 많이 절약하기 위해 배출구의 위치에 따라 좌우되는 배출후드는 배출구가 피봇 축선으로부터 최소의 방사 거리에 배치되도록 편리하게 디자인 된다.
배출구가 피봇 축선에 대해 많아야 연마도구의 최대 방사 범위의 l/2이 넘게 방사 방향으로 뻗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배출구가 피봇축선이 회전축선인 개로 코너부에 대해 각 회전위치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렇게 배치되면 흡입구를 수용하고 있는 코너부와 배출구간에 거리가 보다 멀어져서 배출후드 디자인보다 바람직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배출후드의 시일링 림과 연마도구 사이의 시일링은 연마도구의 피봇운동에 따라 변화되지 않는 기하학적 평면에 놓여 있는 시일링 표면으로 둘러싸여진 배출구에 의해 간단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시일링 표면은 연마도구의 피봇운동 동안 연마기에 대해 그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는 기하학적 평면위에 놓여야 한다.
이 경우에, 가장 간단한 경우에 있어서 시일링 표면이 연마도구의 표면과 동일할 수 있으므로 표면 또는 평면이 피봇 축선에 직각으로 뻗는 것이 마찬가치로 바람직하다.
시일링 림을 디자인 하는 경우에서와 같이 시일링 표면이 미끄럼 성질이 있는 시일링 재로 만들어진 시일링 링을 수용하기 위한 장치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간단한 그밖의 많은 경우에 있어서, 시일링 표면에 미끄럼 성질이 있는 시일링 재가 제공될 수 있다.
제조 및 경제적인 이유로 미끄럼 성질을 지닌 이런 시일링 재가 코팅재로 시일령 표면에 적용되는 것이 편리하다.
시일링 표면에 견고하게 부착된 미끄럼 성질을 지닌 시일링 재로 인한 또 다른 장점은 마모로 인해서 연마도구가 교체될때 반드시 교체되어야 하므로 결과적으로 이렇게 미끄럼 성질을 지닌 시일링 재는 보다 오랜 기간 동안 높은 스트레인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시일링 재가 수명이 길어야 할 필요가 없으므로 간단하고도 경제적인 시일링 재가 선택될 수 있다.
화이버 또는 펠트재가 미끄럼 성질을 지닌 시일링 재로서 적합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연마도구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연마도구에 하나의 배출구가 있는 것으로 가정했다.
그러나 여러개의 배출구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이러한 배출구가 통상의 시일링 표면으로 둘러싸이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전의 기술에서는 연장된 흡입 채널만이 있었다.
그러나 바람직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흡입 재널은 연마도구에서 뻗어서 배출구를 연결하는 링채널이다. 이 링채널의 형상이 연마도구의 외형과 맞게 하고 링채널이 연마도구의 외부림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뻗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언급된 링채널은 클랭핑 엘리먼트에 연결되지 않고 클랭핑 엘리먼트를 위한 중앙 리세스 주위로 뻗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물질을 제거하는 능력이 연마도구의 중앙부에서 낮기 때문에 중앙 리세스와 연결되기만 하면 연마 먼지를 많이 제거하는 일 없이 공기의 부가척인 흡입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연마도구가 PCT출원 제 WO87/02924호에 따라 디자인 되면 링채널이 실제로 U자형 단면을 가지도록 하고 연마도구의 커버플레이트 바로 밑의 탄성층에 뻗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디자인은 인정성면에서 PCT출원에 기술된 디자인 보다 더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되었는데 그 이유는 단성층이 커버플레이트에 부착되면 링채널이 특히 연마도구의 수명에 별로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언급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연마도구가 코너부에서 연마표면에 배치된 흡입구를 하나 가는 것으로 가정되었다.
외부림을 따라 그로부터 거리를 두고 연마표면에 흡입구를 더 배치함으로써 보다 개선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연마도구의 외부에서 생긴 모든 연마 먼지가 제거된다.
특히 링채널과 관련하여 흡입구가 피봇 축선외 방향에서 보았을 때 링채널에 의해 전체가 덮이도록 배치되는 것이 편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는데 따라서 여기에서는 피봇 축선에 평행으로 뻗어 있는 구멍만이 링채널로부터 흡입구의 방향으로 필요하고 그러므로 더 이상이 부가적인 루트는 필요없다.
같은 이유로 피봇 축선의 방향에서 보았을때 배출구가 링채널에 의해 그 전체가 덮이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링채널을 통해 흡입구로부터 배출구로 전체적인 공기의 순환이 매우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것은 첫번째, 층분한 흡입력을 얻는데 두번째, 연마 먼지가 연마도구의 공기통로에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는데 필수적이다.
피봇 축선에 가장 가까이 위치해 있는 링채널의 외부에 배출된 배출구에 의해 전술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코터부의 외부에 배출구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기술한 모든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연마도구는 적어도 하나의 코너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가정되었다.
그러나 두개 또는 세개의 코너부를 가지고 있는 연마도구가 바람직한데, 이러한 연마도구는 하나의 코너부에 있는 연마표면이 마모된 후에 연마도구가 회전되어 사용하지 않았거나 덜 마모된 제 2 또는 제 3의 코너부에 의해 마모 조작이 계속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연마도구의 코너부가 2개 또는 3개가 되도록 디자인 되어서 그 모양, 흡입 및 배출구의 배치에 따라 대칭축이 2개 또는 3개인 것이 또한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다시말해서 그 모양, 흡입 및 배출구의 배치에 관한한 연마도구가 180°, 120°회전에 대해 대칭 디자인이다.
그러므로 단지 연마도구를 회전시킴으로써 전방 코너부가 아닌 다른 코너부가 간단한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는 위치로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장점은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에 대한 설명으로써 보다 명확해진다. 제 1 도는 연마기(10)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연마기는 모터(12)와 피봇 축선(18)을 가지고 있는 피봇 샤프트(l6)를 왕복회전을 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기어링(14)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마도구(22)는 피봇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기 위해 연마도구의 중앙리세스(21)에 배치되어 있는 클램핑 엘리먼트(23)에 의해 피봇 샤프트(16)의 커넥팅 플랜지(20)위에 지지되어 있다.
이 연마기의 모양은 PCT출원 제 WO87/02924호에 따른 연마기의 모양과 거의 일치한다.
이밖에도 연마기(10)에는 제 2 도 및 제 3 도에 개별적인 구성으로서 도시되어 있는 배출후드(24)에 의한 흡입에 의해 먼지를 배출하는 먼지 배출장치가 있다.
배출후드(24)는 링챔버(30)를 둘러싸고 있는 실린더형의 벽(28)을 가지고 있는 후드부(26)로 이루어져 있다.
실린더형 벽(28)의 가장자리에 있는 자유부는 시일링 림(sealing rim)(32)으로서 디자인 되어 있다.
시일링 림(32) 맞은편의 실린더형 벽(28)측 위에는 실린더형 벽(28)과 공통 축선 방향으로 후드부(26)위에 실린더형 연장부(34)가 있다.
실린더형 연장부(34)의 내부(36)는 링챔버(30)로 통하도록 되어 있다. 배출후드(24)가 연마기(10)의 기어링(14)위에 장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연마기에 피봇 샤프트(l6)를 들러싸고 있으며 커넥팅 들랜지(20)의 방향으로 피봇 샤프트(16)를 따라 짧은 거리를 두고 뻗어 있는 실린더형 부분(38)이 제공되어진다.
실린더형 연장부(34)에 의해, 실린더형 부분(38)이 실린더형 연장부(34)와 꼭맛는 실린더형 연장부의 내부(36)에 놓이는 식으로 이 실린더형 부분(38)위에 배출후드가 놓여 있다.
그러므로 실린더형 연장부(34)와 후드부(26)의 실린더형 벽(28)은 피봇 샤프트(16)와 축선을 공통으로 하여 배향되고 이 피봇 샤프트(16)는 실린더형 연장부(34) 및 후드부(26)의 링챔버(30)의 내부로 관통한다.
후드부(26)의 한쪽면 위에 있는 실린더형 벽(28)위에 형성된 배출 커넥션 피스(40)는 실린더형 벽(28)으로부터 피봇 축선(18)에서 방사 방향으로 뻗는다.
배출 커넥션 피스(40)의 세로 중심 축선(42)은 평면(44)에 대한 배출 커넥션 피스(40)의 경사각이 점차증가될 수 있게 시일링 림(32)에 의해 형성된 평면(44)에 대해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멍(50)을 가지고 있는 벤드(48)가 배출 커넥션 피스(40)의 구멍(46)과 맞도록 배출 커넥션 피스(40)위에 놓여 있다.
벤드(48)의 상기 구멍(50)은 배출 커넥션 피스(40)의 구멍(46)을 통해 놓여 있는 평면에 대해 거의 직각인 평면에 존재한다.
배출 커넥신 피스(40)는 180°회전후 두 위치중 하나에 배출 커넥션 피스(40)위에 벤드(48)가 놓여 있도록 하는 식으로 편리하게 형상화된다.
그러므로 제 2 도에 도시된 벤드(48)의 구멍(50)은 위쪽 또는 아랫쪽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배출후드(24)의 실린더형 연장부(34)는 실린더형 부분(38)과 꼭 들어맞는데 평면(44) 반대편 위에 있는 배출 커넥션 피스(40)위에 바람직하게 존재하는 위치 스크루(52)에 의해 제위치에 부가적으로 고정된다. 위치 스크루(52)의 나사부분(54)은 실린더형 연장부(34)로 침투하고 이로써 실린더형 부분(38)에 클램될수 있다.
먼지가 링챔버(30)로부터 적절한 효율로 가능한한 단면이 크게 제거되기 위해서는 배출 커넥션 피스(40)가 시일링 링(32)위 링챔버(30)의 놓이에 해당하는 단면을 가진 시일링 림 바로위의 실린더헝 벽(28)으로 열려있는 식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라 시일링 림(32)이 놓여 있는 평면(44)은 피봇 축선(18)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므로 피봇축선(18) 및 연마기(10)의 기어링(14)에 대한 평면의 위치가 피봇 샤프트(16) 및 피봇 축선(18)을 중심으로 한 연마도구의 피봇 운동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전술한 평면(44)은 피봇 축선에 대해 변화되지 않는다.
연마도구(22) 및 링챔버(30)를 향해 열려 있는 홈(56)은 시일링 림(32)에 편리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이 홈(56)의 목적은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는 시일링 링(58)수용시키는 것이다.
시일링 링(58)은 미끄럼 성질이 있는 시일링 재 즉, 한펀으로는 탄성을 지녔으며 또 한편으로는 평탄한 표면을 가지고 있는 다른 물질에 대해 어려움 없이 미끄러질 수 있는 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시일링 링(58)은 폘트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이 시일링 링(58)은 시일링 림(32)과 평면(44)에 평행하게 놓여 있는 연마도구(22)의 커버플레이트(60)사이에서 공기가 새지 않는 연결을 다소 보장해 준다.
이 커버플레이트(60)는 시이트 금슥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배출후드(24)의 시일렁 림(33)과 연마도구(22)의 커버플레이트(60) 사이의 틈에 대한 시일링은 다른 방법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제 4 도에서와 같이 실린더형 벽(28)의 시일링 림(32)과 시일링 림 맞은편의 커버플레이트(60)위에 위치하는 시일링 표면(74) 사이에는 단지 좁은 공기의 틈만이 존재한다.
커버플레이트(60)가 피봇 샤프트(l6)와 회전하기 위한 피봇 샤프트(16)의 커넥팅 플랜지(20)에 클랭핑되어서 평면(44)에 평행되게 배향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시일링이 가능하다.
제 4 도에 나타난 구체적인 실시예와는 달리 제 5 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을 보면 커버플레이트(60)와 시일링 림(32) 사이에 레버린스(labyrinth)시일이 존재한다.
이를 위해 연마도구(22)를 향해 열려 있는 U자형 홈(62)이 시일링 림(32)과 홈(62)으로 뻗어 있는 커버플레이트(60)위에 고정된 돌출부(64)와 시일링 림(32)에 만들어져 있다.
이 돌출부(64)는 여러가지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그것은 홈(62)에서 평단하게 미끄러지는 탄성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 6 도 및 제 7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커버플레이트(60)와 시일링 림(32) 사이의 시일링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O-링(66)이 커버플레이트(60)와 시일링 림(32) 사이에 존재하는데 이 경우에 시일링 림(32)에는 O-링을 유지시킬 리세스(68)가 만들이진다.
이 O-링(66)은 커버플레이트(60)와 시일링 림(32) 사이에 수용될 수 있지만, 커버플례이트(60)에 접착되거나 또는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플레이트(60)에 있는 또 다른 리세스(70)에 유지될 수도 있다.
제 8 도에는 간단하고 아주 실용적인 모양이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 커버플레이트(60)에는 섬유성 직물로 된 쉽게 미끄러질 수 있는 시일링 재로 된 층이 존재한다. 이 층(72)은 연마도구를 제조하는 동안 커버플레이트(60)에 쉽게 적용되어 커버플레이트(60)를 완전하게 덮거나, 제 8 도에 도시된 대로 시일링 림(32) 맞은편 커버플례이트(60)위에만 있는 시일링 표면(74)내에서 적용될 수 있다.
피봇 샤프트(l6)와 회전하기 위해 커넥팅 플랜지(20)에 클램핑된 커버플레이트(60)의 에도 제 1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마도구(22)는 세포질 고무로 만들어져 커버플레이트(60)에 고정되어 있는 커버플레이트(60)의 밑에 탄성층(76)을 가지고 있다.
이 탄성층(76) 아래에는 연마표면을 형성하는 연마 폐이퍼(80)가 부착된 훅-앤드-루프(hook-and-loop) 고정물질층이 있다.
링채널(82)이 이 탄성층(76)에, 바람직하기로는 커버플레이트(60)와 마주하는 측에 만들어진다.
간단성 및 편리성을 위하여 이 링채널(82)은 거의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연마도구(22)의 외부림(84)과는 떨어진 곳에서 이를 따라 뻗어 있다.
단면이 일정한 경우에 이 링채널(82)의 외부 한계 표면(86)과 내부 한계 표면(88)은 외부림(84)에 대해 평행으로 뻗어서 제 9 도에 도시된 삼각형의 연마도구의 코너부(90)로 뻗는다.
연마 조작동안 연마 먼지가 코너부(90)에서 가장 많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구멍(92)이 링채널(82)로부터 탄성층(76)을 통해 훅-앤드-루프 고정물질(78)로 뻗고 그련다음 훅-앤드-루프 고정물질(78)과 연마 페이퍼(80)를 통해 생성되는 연마 먼지가 흡입에 의해 링채널(82)로 뽑혀지는 흡입구로 뻗도록 각 코너부(90)에 제공되어야 한다.
또 다른 흡입구(96)과 연결되는 부가적인 구멍(98)이 각 코너부(90) 사이에 있는 링채널(82)의 나머지 부분을 따라 제공될 수 있다.
흡입구(94)와 구멍(92)은 코너부(90)에서 이들 사이에서 보다 더 효과적으로 흡임이 되기 위해서 흡입구(96) 및 구멍(98)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링채널(82)로부터 훅-앤드-루프 고정물질층 방향으로 외부림(84)을 향해 경사지게 뻗어서 훅-앤드-루프 고정물질층 위의 외부림(84)에 위치해 있는 흡입구(102)로 열려 있는 채널(100)이 제공될 수도 있다.
배출후드(24)의 링챔버(30)와 단성층(76)의 링채널(82) 사이의 연결은 커버플레이트(60)에 있는 배출구(104)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배출구(104)들은 제 10 도의 커버플레이트(60)의 평면도에 나타나 있다.
제 10 도에 나타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배출구(104)들은 링채널(82) 바로 위에 있는 탄성층(76)에 위치하여 그 지름이 링채널(82)의 폭과 거의 같다.
커버플레이트(60)에 있는 이러한 배출구(l04)들은 바람직하기로는 각 코너부(90)와 마주하여 배치되는 대신 피봇 축선(18)에 대해 이들 코너부에 대한 각 회전위치에 위치한다.
제 10 도에 나타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각은 60。이며 따라서 배출구(l04)들은 각각 코너부 사이에 위치한다.
배출구(104)가 이렇게 위치함으로써 피봇 축선(18)으로부터 가능한 가장 짧은 거리에 배출구가 자리잡을 수 있으며 그밖에도 링챔버(82)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제 10 도에 나타난 구체적인 실시예를 변형하면 배출구(104)가 같은 지점에서 나란히 위치하는 세개의 구멍 또는 제 11 도에 도시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링채널(82)의 전체를 가로지로는 구멍에 의해 대치될 수 있는네, 링채널(82')로서 가능한 또 다른 구조가 제 9 도에 도시된 구체적 실시예의 변형으로서 제 12 도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 9 도와 같이 링채널(82')이 중앙 리제스(21')와 연결되지 않는다. 연마도구(22')의 삼각형 형태에 맞게 링채널(82')도 역시 삼각형 형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한계선(86')은 코너부 사이에 연결 라인으로 작용하지만 안정성을 크게 하기 위해 중앙 리세스(21')를 항해 그 방향으로 직선 또는 굵은 선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밖에도 파선으로 표시된 배출구(104')는 내부 한계표면(88')과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며 이 경우에 그 모양은 원형 또는 실린더형이다.
제 13 도인 평면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출후드(24)는 커버플레이트(60)위의 환상의 시일링 표면(74)을 필수적으로 초래하는 원형의 시일링 림(32)을 필수적으로 지닐 필요는 없다.
또한 배출후드(24')가 제 1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사다리꼴 단면인 시일링 림(32')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피봇 축선(18)은 중심을 벗어나서 배출후드(24')의 단면으로 침투하여 앞벽(28')이 기껏해야 앞코너부(90')의 방향으로 커버플레이트의 전체 범위의 단지 1/2만큼만 뻗는다.
이런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배출후드(24')의 시일링 림(32')이 연마도구(22')의 모든 피봇된 위치에서 연마도구(22')의 외부림(84')내에 놓이도록 주의가 요구된다.
제 14 도에 도시된 열번째 구체적인 실시예는 배출 커넥션 피스를 제외하고는 피봇 샤프트(16) 연마도구(22) 및 배출후드의 배치 및 디자인면에서 이전의 구체적인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동일부분은 동일한 참고 부호로 표시되어 개별적으로 기술되지 않는다.
제 1 도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비해, 하우징 엔드(116)를 넘어 하우징(114)의 밑면(112)을 따라 뻗어있는 배출 커넥션 피스는 하우징 엔드(116)를 넘어 돌출하는 영역에 있는 호오스를 위한 커넥션 피스를 가지고 있으며 배출후드(24)위에 형성되어 있다.
제 1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4)은 그 모양이 반드시 실린더형이며 부풀은 거의 다각형 단면을 가지고 있다.
배출 커넥션 피스(110)는 이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 있는 상부벽(120)과 하부벽(122), 역사다리꼴 모양으로 되어 있는 두개의 측벽(124)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부벽(120)은 이 사다리꼴의 가장 긴 면을, 두개의 측벽은 사다리꼴의 두 측면을 이루고 있다.
그 외에 밑면(112)의 표면에 달려 있는 상부벽(120)은 단면 및 길이 단면 관점에서 이 표면과 부합하도록 만들어져 배출 커넥션 피스(110)의 전체가 하우징 엔드(116)와는 가능한 멀리 떨어져 하우징(114)의 거의 전체 길이를 따라 하우징(114)에 대해 그 상부벽(120) 전체를 통해 놓이게 된다.
배출 커넥션 피스(110)는 또한 측멱(124)을 연장시키기 위해 그 위에 측연장부(126)을 가지고 있다.
이 연장부(126)도 마찬가지로 밑면(112)에 대해 전체를 통해 달려 있으며 배출 커넥션 피스(110)가 하우징(l14)의 밑면(112)에 양성부착 되는 것을 부가적으로 개선시킨다.
제 1 도에 나타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와 같이 배출후드(24)는 실린더형 부분(38)에 유지되어 있다.
배출 커넥션 피스(110)는 U자형 브래킷(128)에 의해 그 자유끝단(130)이 서로 향해 굽였으며 하우징(114)의 욋면(132) 위에서 반대편에 배치된 구멍(134)이 있는 위치에 부가적으로 유지되어 있다.
이 브레킷(128)은 하우징 엔드(1l6) 근처의 배출 커넥션 피스(110)를 하고 있는 하우징(114)의 밑면(112)전체를 둘러싸고 있다.
하우징 엔드(116)를 넘어 돌출하는 배출 커넥션 피스(110) 영역에서 배출 커넥션 피스(110)은 호오스 커넥션 피스(118)로 확장된다.
호오스를 위한 이 커넥션 피스는 단면이 원형이고 하우징(114)의 윗면(132) 방향으로 굽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오스 커넥션 피스(118)에는 조절 나사위에서 회전으로 조절될 수 있는 공기 조절용 슬리이브(136)가 부가적으로 있어서 보조구멍(140)을 다향한 정도로 덮고 있다.
그러므로 공기 조절용 슬리이브(136)를 조절함으로써 연마도구(22)에서 유용한 흡입력의 조절이 가능해진다.

Claims (46)

  1. 연마기 위에 고정되어져 있는 피봇측에 대하여 작은 피봇각으로 구동되는 연마도구를 구비하고, 상기 연마도구가 흡입구로부터 연마표면에서 떨어져 대면하고 있는 편에 위치한 배출구까지 연마도구 전체에 걸쳐 연장하고 상기 배출구의 외측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코너부를 가진 연마표면을 포함하도록 하는 연마기에 있어서, 연마기에 움직일 수 없게 고정될 수 있는 배출후드(24)가 모든 피봇된 위치에서 배출구(104)를 덮고 연마도구(22)의 코너부가(90) 덮이지 않는 방식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배출후드(24)가 연마도구(22)와 마주하여 연마도구(22)의 피봇운동에 따라 변하지 않는 기하학적 평면(44)에 놓여있는 시일링 림(32)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배출후드(24)가 상기 연마도구의 외부림(83)의 모든 피봇된 위치에서 연마도구(22)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후드(24)가 피붓 축선(18)으로부터 상기 덮여지지 않게 돌출하는 코너부까지 방사방향으로 뻗는 상기 연마도구(22)를 적어도 방사방향으로 연마도구(22)의 2/3 이하 만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후드(24)가 상기 피봇 축선(18)으로부터 상기 덮여지지 않게 돌출하는 코너부까지 방사방향으로 뻗은 상기 연마도구(22)를 전 범위의 1/2 이하 만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링 림(32)이 모든 피봇된 위치에서 배출구와 최소의 거리에서 배출구를 둘러 싸도록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
  6. 제 1, 2, 4,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후드(24)가 여러개의 연마도구(22)의 배출구(104)를 함께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링 림(32)이 배출구(104)를 함께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
  8. 제 1, 2, 4, 5,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후드(24)가 배출구(104)위에 위치한 링챔버(30)를 가지고, 상기 시일링 림(32)위의 최소 거러에서 링챔버(30)로 측면으로 열려 있는 배출 커넥션 피스(40)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
  9. 제 8 항에 있어서, 배출 커넥션 피스(40)가 배출후드(24) 위에 통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축선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하우징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배출 커넥션 피스(110)가 하우징(114)의 밑면(112)을 따라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배출 커넥션 피스(110)가 하우징(114)의 밑면(112)에 대하여 달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l4)과 면하고 있는 상부벽(120)을 가지고 있는 배출 커넥션 피스(110)가 하우징(114)의 표면(l12)에 맞도록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4)이 거의 실린더형이고 배출 커넥션 피스(110)가 거의 역사다리꼴 단면을 지니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커넥션 피스(110)가 피봇 축선(18) 맞은편에 위치한 하우징 엔드(116)를 넘어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커넥션 피스가 하우징 엔드(116)를 넘어 뻗어 있는 영역에 호오스 커넥션 피스(118)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
  16. 제 10, 11, 12, 13, l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 커넥션 피스(110)가 브래킷(128)에 의해 하우징 엔드(116) 영역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커넥션 피스(40)는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과 각 회진된 관계로 상기 링챔버(30)로부터 거의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며, 밴드(48)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피봇 축선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뻗어 있는 하우징을 가지고 있는 연마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에 있는 구멍(50)이 반대 방향으로 표시하는 적어도 두개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밴드(48)가 배출 커넥션 피스(40)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
  19. 제 1, 2, 4, 5, 7, 9, 10, 11, 12, 13, 15, 17, 1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후드(24)가 링챔버(30) 위 연마도구(22)로부터 떨어져 대면하고 있는 측면 위에 통합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마운팅 플랜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플랜지가 클램핑 엘리먼트(52)를 가지고 있는 실린더형 연장부(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엘리먼트(52)가 상기 배출 커넥션 피스(40)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
  22. 제 1, 2, 4, 5, 7, 9, 10, 11, 12, 13, 15, l7, 20, 2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링 림(32)이 미끄럼 성질을 지닌 시일링 재료로 만들어진 시일렁 림(58)을 적용시키기 위한 장치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링 림(32)이 미끄럼 성질을 지닌 시일링 재료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
  24. 제 22 항에 있어서, 미끄럼 성질을 지닌 상기 시일링 재가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
  25. 제 22 항에 있어서, 미끄럼 성질을 지닌 상기 시일링 재가 펠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
  26. 제 1, 2, 4, 5, 7, 9, 10, 11, 12, 13, 15, 17, 18, 20, 2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 기포로 만들어진 상기 시일링 엘리먼트가 시일링 림(32)과 연마도구(22)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
  27. 상기 연마기에 고정되어 있는 피봇축에 대하여 진동하는 구동축을 가지는 연마기용 연마도구에서, 상기 연마도구가 홈입구로부터 연마표면에서 떨어져 대면하고 있는 편에 위치한 배출구까지 적어도 하나의 흡입채널을 통과하고 상기 배출구의 외측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코너부를 가진 연마표면을 포함하도록 하는 연마기용 연마도구에 있어서, 상기 흡입(94, 96)가 적어도 하나의 코너부(90)의 연마표면(80)에 배치되어있고 상기 배출구(104)가 상기 연마도구(22)의 피봇운동에 대하여 변화하지 않는 기하학적 평면에 놓인 실링면(74)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도구.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104)가 피봇 축선(l8)에 직각으로 뻗어 있는 연마도구(22)의 표면(60)에 배치되며 연마표면(80) 맞은편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도구.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04)가 상기 피봇 축선(80)으로부터 최소의 반경방향 거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도구.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04)가 피봇 축선(18)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연마도구(22)의 최대 방사정도외 1/2 이하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도구.
  31. 제 28, 29, 30 항증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축(18)이 회전축이 되어 상기 배출구(104)가 코너부에 대해 회전 각도만큼 이동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도구.
  3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링 표면(74)이 미끄럼 성질을 지닌 시일링 재료로 만들어진 시일(66)을 적용시키기 위한 장치(70)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도구.
  33.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링 표면(74)에 미끄럼 성질을 지닌 미끄럼 재료(72)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도구.
  34. 제 33 항에 있어서, 미끄럼 성질을 지닌 상기 시일링 재료(72)가 시일링 표면(74)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도구.
  35. 제 28, 29, 30, 32, 33, 3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여러개의 배출구(104)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도구.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04)가 공통의 시일링 표면(74)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도구.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채널이 연마도구(22)로 뻗어 있으며 배출구(84)를 연결시키는 링채널(8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도구.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링채널(82)의 구조가 연마도구의 외형에 맞도록 만들어져 있으며, 링채널(82)이 상기 연마도구(22)의 외부림(84)으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진 위치에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도구.
  39. 제 37 항에 있어서, 링채널(82)이 클램핑 엘리먼트(23)에 연결됨이 없이 이것을 위한 중앙 리세스(21)주위로 뻗어 있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연마도구.
  40. 제 37 항 또는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링채널이 실제적으로 U자형 단면이고 연마도구(22)의 탄성층(76)에 있는 연마도구(22)의 커버플레이트 바로 밑에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도구.
  41. 제 37 항 또는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표면(80)의 외부림을 따라 외부림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의 연마표면에 흡임구(96)들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도구.
  42. 제 37 항 또는 제 39 항에 있어서, 피봇 축선(18)의 방향에서 보았을때 상기 흡입구(94, 96)가 링채널(82)에 의해 그 전체가 덮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도구.
  43. 제 37 항 또는 제 39 항에 있어서, 피봇 축선(104)의 방향에서 보았을때 상기 배출구(104)가 링채널(82)에 의해 그 전체가 덮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도구.
  44. 제 37 항 또는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l04)가 피봇 축선(18)에 가장 가까이에 위치한 링채널(82)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도구.
  45. 제 28, 29, 30, 32, 33, 34, 36, 37, 38, 3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도구(22)가 그 코너부가 2개 내지 3개인 구조이고 그 모양 및 흡입구(94, 96)와 배출구(l04)의 배치에 대해 대칭축이 2개 내지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도구.
  46. 제 28, 29, 30, 32, 33, 34, 36, 37, 38, 3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100)이 외부림(84)의 방향으로 링채널(83)로부터 뻗어서 외부림(84)에서 흡입구로 열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도구.
KR1019880009391A 1987-07-25 1988-07-25 먼지 배출장치가 구비된 연마기 KR9600152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724747.6 1987-07-25
DE19873724747 DE3724747A1 (de) 1987-07-25 1987-07-25 Schleifgeraet mit staubabsaugein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694A KR890001694A (ko) 1989-03-28
KR960015260B1 true KR960015260B1 (ko) 1996-11-07

Family

ID=6332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9391A KR960015260B1 (ko) 1987-07-25 1988-07-25 먼지 배출장치가 구비된 연마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905420A (ko)
EP (1) EP0301269B1 (ko)
JP (1) JPH0777707B2 (ko)
KR (1) KR960015260B1 (ko)
DE (2) DE3724747A1 (ko)
ES (1) ES2043737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9616A (en) * 1990-08-30 1992-03-3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wood dust emissions from large diameter disc sanders while cleaning a sanding disc thereof
DE4125795C1 (ko) * 1991-08-03 1993-02-11 C. & E. Fein Gmbh & Co, 7000 Stuttgart, De
DE4125796C1 (ko) * 1991-08-03 1992-12-24 C. & E. Fein Gmbh & Co, 7000 Stuttgart, De
DE4203171C1 (ko) * 1992-02-05 1993-06-09 Festo Kg, 7300 Esslingen, De
JP2829224B2 (ja) * 1992-08-14 1998-11-25 リョービ モーター プロダクツ コーポレーション 研磨装置
US5533926A (en) * 1992-09-04 1996-07-09 Ryobi North America Sandpaper pad and pad support for a detail sander
JPH0663284U (ja) * 1993-02-05 1994-09-06 リョービ株式会社 動力工具の駆動部構造
US5637034A (en) * 1993-08-13 1997-06-10 Ryobi North America, Inc. Detail sander
US5470272A (en) * 1994-02-03 1995-11-28 Ryobi Motor Products Corp. Removable working tool assembly
US5833524A (en) * 1994-08-22 1998-11-10 Ryobi Limited Dust collection system for a power tool
US5607343A (en) * 1994-08-22 1997-03-04 Ryobi North America Sander vibration isolator
EP0726121A3 (en) * 1995-02-09 1996-10-02 Porter Cable Corp Linear sanding system
US5597347A (en) * 1995-02-09 1997-01-28 Porter-Cable Corporation Sander vacuum housing and pad frame system
US5743791A (en) * 1995-02-09 1998-04-28 Porter Cable Corporation Sanding system
US5554066A (en) * 1995-02-09 1996-09-10 Proter-Cable Corporation In-line profile sander
US5759094A (en) 1995-02-09 1998-06-02 Porter-Cable Corporation In-line detail sander
USD387962S (en) * 1995-08-11 1997-12-23 Wolfcraft, Inc. Corner sander attachment
DE29520566U1 (de) * 1995-12-29 1996-02-22 Jöst, Peter, 69518 Abtsteinach Direkt oder indirekt mit einer Maschine oder einem manuell betreibbaren Schleifmittelhalter adaptierbarer Schleifkörper sowie ein hierfür geeigneter Adapter
DE19800025B4 (de) 1997-02-28 2018-06-21 Robert Bosch Gmbh Schleifplatte für eine Schleifhandwerkzeugmaschine mit Staubabsaugung
US6347985B1 (en) 2000-06-22 2002-02-19 Michael Loveless Low profile vacuum driven sander
DE10162630A1 (de) * 2001-12-20 2003-07-10 Hilti Ag Schleifgerät mit einer Absaughaube
US6860799B2 (en) * 2003-03-11 2005-03-01 Michael L. Loveless Vacuum driven sander
US8087977B2 (en) 2005-05-13 2012-01-03 Black & Decker Inc. Angle grinder
JP4866569B2 (ja) * 2005-05-27 2012-02-01 日東工器株式会社 研磨工具
US7635293B2 (en) * 2008-02-26 2009-12-22 Storm Pneumtic Tool Co., Ltd. Grinding machine with a length-adjustable dust collecting structure
USD619152S1 (en) 2009-12-18 2010-07-06 Techtronic Power Tools Technology Limited Adapter
USD623034S1 (en) 2009-12-18 2010-09-07 Techtronic Power Tools Technology Limited Tool arbor
DE102010039637A1 (de) * 2010-08-23 2012-02-23 Robert Bosch Gmbh Handwerkzeugmaschine mit einem Spannhals
USD651062S1 (en) 2010-09-29 2011-12-2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ool interface for an accessory
USD653523S1 (en) 2010-09-29 2012-02-0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Adapter for a tool
USD646542S1 (en) 2010-09-29 2011-10-1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Accessory interface for a tool
US9149923B2 (en) 2010-11-09 2015-10-06 Black & Decker Inc. Oscillating tools and accessories
USD651874S1 (en) 2010-12-14 2012-01-10 Techtronic Power Tools Technology Limited Universal interface for accessory blades
USD651878S1 (en) 2010-12-14 2012-01-10 Techtronic Power Tools Technology Limited Universal interface for accessory blades
USD651875S1 (en) 2010-12-14 2012-01-10 Techtronic Power Tools Technology Limited Universal interface for accessory blades
USD651877S1 (en) 2010-12-14 2012-01-10 Techtronic Power Tools Technology Limited Universal interface for accessory blades
USD652274S1 (en) 2010-12-14 2012-01-17 Techtronic Power Tools Technology Limited Universal interface for accessory blades
USD651876S1 (en) 2010-12-14 2012-01-10 Techtronic Power Tools Technology Limited Universal interface for accessory blades
JP5775795B2 (ja) 2011-11-08 2015-09-09 株式会社マキタ 電動工具用集塵アタッチメント及び電動工具
USD694076S1 (en) 2012-06-25 2013-11-26 Techtronic Power Tools Technology Limited Universal interface for accessory blades
USD694597S1 (en) 2012-06-25 2013-12-03 Techtronic Power Tools Technology Limited Universal interface for accessory blades
USD694596S1 (en) 2012-06-25 2013-12-03 Techtronic Power Tools Technology Limited Universal interface for accessory blades
USD694598S1 (en) 2012-06-25 2013-12-03 Techtronic Power Tools Technology Limited Universal interface for accessory blades
USD694599S1 (en) 2012-06-25 2013-12-03 Techtronic Power Tools Technology Limited Universal interface for accessory blades
US9555554B2 (en) 2013-05-06 2017-01-3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Oscillating multi-tool system
CN105629778B (zh) 2014-11-28 2019-05-28 天佑电器(苏州)有限公司 一种组合电动工具协同系统及方法
US20160279759A1 (en) * 2015-03-24 2016-09-29 Full Circle International, Inc. Hand sander vacuum adapter
US10818450B2 (en) 2017-06-14 2020-10-27 Black & Decker Inc. Paddle switch
US11123839B2 (en) 2018-10-23 2021-09-21 Dustless Depot Llc Grinder dust shroud with input shaft gasket and adjustable mounting mechanism
CN109648479B (zh) * 2019-01-23 2020-07-03 河北工业大学 一种具有除尘散热功能的砂轮
US11273505B2 (en) 2019-03-27 2022-03-15 Dustless Depot, Llc Circular saw dust collection shroud
DE202022100772U1 (de) 2022-02-10 2022-02-24 Einhell Germany Ag Elektrisches Handwerkzeug mit Absaugadapte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12725A (en) * 1920-07-10 1922-04-11 George B Vernon Grinding machine
US1800341A (en) * 1928-10-19 1931-04-14 John D Davies Rotary abrasive machine
US3619954A (en) * 1969-02-07 1971-11-16 Billy G Miller Surface-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BE793459A (fr) * 1971-12-28 1973-04-16 Hutchins Alma A Machine a poncer
JPS4884092U (ko) * 1972-01-14 1973-10-12
GB1466545A (en) * 1974-03-26 1977-03-09 Nederman B Abrasive disc
FR2365411A1 (fr) * 1976-09-27 1978-04-21 Robert Jean Ponceuse a disque de papier abrasif monte sur un plateau circulaire tournant
DE2741325C3 (de) * 1977-09-14 1980-03-06 Miksa Windsor Ontario Marton (Kanada) Tellerhandschleifmaschine
JPS5515962U (ko) * 1978-07-18 1980-01-31
DE3402062A1 (de) * 1984-01-21 1985-08-01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Elektromotorisch angetriebener handschwingschleifer
DE3413028A1 (de) * 1984-04-06 1985-10-17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Mittels elektromotor angetriebener handschwingschleifer
IT8520537V0 (it) * 1985-01-18 1985-01-18 Valentini Guido Macchina utensile elettrica portatile levigatrice per la lavorazione di superfici di materiali con aspirazione amplificata della polvere prodotta.
DE8523993U1 (de) * 1985-08-21 1985-11-07 Paul Peter KG, 5900 Siegen Schutz- und Absaugabdeckung
JPH0775821B2 (ja) * 1985-11-15 1995-08-16 ファイン―フェルバルツング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可搬式研削盤
US4671019A (en) * 1986-02-18 1987-06-09 Hutchins Manufacturing Company Portable power operated sander
IT8622437V0 (it) * 1986-07-02 1986-07-02 Valentini Guido Utensile elettrico manuale con motore e condotto di scarico della polvere inclusi nell'impugnatura.
JPS63139677A (ja) * 1986-11-27 1988-06-11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ツ−ルチエンジロボツトのテイ−チング方法
US4759155A (en) * 1987-03-06 1988-07-26 Shaw Christopher J Particle collecting sa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24747A1 (de) 1989-02-02
EP0301269A3 (en) 1990-02-28
JPS6440276A (en) 1989-02-10
US4905420A (en) 1990-03-06
JPH0777707B2 (ja) 1995-08-23
EP0301269B1 (de) 1993-05-05
EP0301269A2 (de) 1989-02-01
KR890001694A (ko) 1989-03-28
DE3880752D1 (de) 1993-06-09
ES2043737T3 (es) 1994-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5260B1 (ko) 먼지 배출장치가 구비된 연마기
US7854649B2 (en) Hand-held power tool, in particular a sander
CA2230338C (en) Pot-shaped grinding wheel
US4697389A (en) Dust-confining vacuum sander
US5411433A (en) Dust-collecting apparatus
US6027399A (en) Clean grinding system
US5527207A (en) Dust collection shroud for hand held power tools
CA2570839C (en) Sanding device, and sanding assembly including the same
US6811476B2 (en) Grinding device with a suction hood
US6527631B2 (en) Electric hand power grinder, in particular eccentric grinder
US7553217B2 (en) Dust-collecting container for a hand electric machine tool
US5709597A (en) Pivotal vacuum shield for an abrading device
KR20020056086A (ko) 표면집진연마장치용 집진커버
US2323962A (en) Sanding and buffing tool
JPS6359825B2 (ko)
JP2002018693A (ja) 手持ち式工作機械
US20190240807A1 (en) Dust hood for a grinding device
US6857949B2 (en) Electric portable grinding machine, particularly an eccentric grinder, provided with edge protection
JP2000161373A (ja) 空圧回転装置のシール構造
CN215357795U (zh) 气动式打磨机
KR0143857B1 (ko) 연삭기
KR20210041140A (ko) 그라인더용 원통형 연마휠 장착구조
CN220007419U (zh) 一种砂带切割刀片及切割装置
KR200327972Y1 (ko) 핸드그라인더에 장착되는 집진커버.
KR200227522Y1 (ko) 건식 진동연마기의 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