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3857B1 - 연삭기 - Google Patents

연삭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3857B1
KR0143857B1 KR1019950024269A KR19950024269A KR0143857B1 KR 0143857 B1 KR0143857 B1 KR 0143857B1 KR 1019950024269 A KR1019950024269 A KR 1019950024269A KR 19950024269 A KR19950024269 A KR 19950024269A KR 0143857 B1 KR0143857 B1 KR 0143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machine
grinding
dust collector
suction force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4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986A (ko
Inventor
다꾸지 니시오
Original Assignee
오오이시 가쓰히꼬
가부시끼가이샤 라이낙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이시 가쓰히꼬, 가부시끼가이샤 라이낙쓰 filed Critical 오오이시 가쓰히꼬
Priority to KR1019950024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3857B1/ko
Publication of KR970009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3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38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 B24B55/10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specially designed for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 B24B55/102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specially designed for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with rota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4Protective covers for the grinding wheel
    • B24B55/05Protective covers for the grinding wheel specially designed for portable grinding machines
    • B24B55/052Protective covers for the grinding wheel specially designed for portable grinding machines with rotat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연삭기는 원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을 설치하고, 구동축에 접시모양의 회전체를 두며 회전체의 외주부위에 원주 방향에 따른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절삭구를 배치설계하고 회전체를 회전시켜 피연삭물을 연삭하는 연삭기에 있어서, 연삭기와 피연삭물과의 위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베이스를 설치하며 연삭기의 회전체 부위를 대략 밀폐상태로 유지하는 커버 부재를 연삭기의 본체에 설치하고 연삭기의 연삭시에 발생하는 분진을 흡인력으로 집진하는 집진기를 설치하며 연삭기의 연삭시에 집진기의 흡인력으로 연삭기를 피연삭물에 흡착가압시키는 연삭기와 집진기와를 연락하는 연락호스를 설계하고 있다.

Description

연삭기
제1도는 연삭기와 집진기의 부착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사시도.
제2도는 연삭기의 사시도.
제3도는 연삭기의 개략 구성도.
제4도는 연략호스의 도중에 설치된 흡인력 미세 조정부의 개략 사시도.
제5도는 연삭기의 더스트 커버 부위의 개략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연삭기 4 : 본체
6 : 원동부 8 : 커터휘일
10 : 구동축 12 : 더스트 커버
14 : 베이스 16 : 파지부(把持部)
18 : 록 너트 20 : 절삭구
22 : 분진 유통공 24 : 와셔
26 : 집진기 28 : 연락호스
30 : 고정핀 32 : 슬리트
34 : 변환기구 40 : 미세조정용 구멍부
42 : 환상부재 44 : 흡인력 미세조정부
46 : 개구면적 증감용 구멍부
본 발명은 연삭기에 관하여, 특히 원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을 설치하고 이 구동축에 접시모양의 회전체를 두며, 이 회전체의 외주부위에 원주 방향에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절삭기를 배치 설계하고,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켜 피연삭물을 연삭하는 연삭기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량보수공사에 있어, 공장의 바닥면과 벽면등의 표면처리에는 표면의 요철부, 부착물, 오물, 열화(劣化)부, 낡은 도장막 등의 피연삭물을 연삭하기 위하여 전동공구로서 연삭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 연삭기는 본체와 구동부와, 이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과, 이 구동축에 부착된 이른바 컵형 다이아몬드 휘일를 지닌다.
상술하면, 종래의 연삭기인 컵형 다이아몬드 휘일은 컵형의 회전체의 외주방향 절삭구 장착면에 절삭구를 회전방향에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 부착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연삭기에 의해 피연삭물을 연삭할 때에는 작업자가 연삭기를 손으로 가압하여 연삭기의 연삭구를 피연삭물에 밀착시켜서 연삭기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켰다.
또한, 벽면과 천정면의 연삭작업시에는, 연삭기의 중량이 가압으로 작용하지 않아서 연삭기의 가압과 유지에 큰 노력을 필요로 하였다.
이 결과 작업자가 연삭기를 손으로 가압하여 연삭기의 연삭구를 피연삭물에 밀착시켜야 하기 때문에 연삭기와 피연삭물과의 위치 및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고, 연삭기의 가압상태에서 분진이 발생하기 쉽고 지나치게 연삭되는 등의 우려가 있고 연삭작업후에 균일한 정리면을 확보할 수 없어 실용상 불합리한 점이 많았다. 또, 벽면과 천저어면의 연삭작업시에는 작업자에게 큰 부담이 주어지고 연삭작업의 작업효율을 악화시켜 실용상 불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불합리한 점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원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을 설계하고 이 구동축에 접시모양의 회전체를 두고 이 회전체의 외주부위에 원주방향에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절삭구를 배치 설계하며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켜 피연삭물을 연사하는 연삭기에 있어서, 연삭기와 피연삭물과의 위치 및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베이스를 두고 연삭기의 회전체 부위를 대략 밀폐상태로 유지하는 커버부재를 상기 연삭기의 본체에 설치하고 연삭기의 연삭시에 발생하는 분진을 흡인력으로 집진하는 집진기를 설치하며 상기 연삭기의 연삭시에 집진기의 흡인력에 의해 연삭기를 피연삭물에 흡착가압시키는 상기 연삭기와 집진기를 상호 연락하는 연락호스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피연삭물을 연삭할 때에 원동부에 의해 구동축을 회전시키고 이 구동축에 설치된 회전체의 외주부위에 원주 방향에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 설계된 복수개의 절삭구에 의해 피연삭물을 연삭한다. 이때에 집진기가 연삭기의 연삭시에 발생하는 분진을 흡인력으로 집진함과 동시에 연삭기의 회전체를 포위하는 커버부재내에 흡착력을 주어 연삭기를 피연삭물에 흡착가압시킨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2도에서 부호(2)는 휴대용 연삭기이다. 이 연삭기(2)는, 공장의 바닥면과 구조물의 내외면,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량보수공사에서 표면의 요철부, 부착물, 오물, 열화부, 낡은 도장막 등의 피연삭물을 연삭하는 것이다.
이 연삭기(2)는 본체(4)와, 원동부(6)과, 회전체인 커터휘일(8)과, 구동축(10)과, 상기 커터휘일(8)을 포위하는 커버부재인 더스트 커버(12)와, 베이스(14)와, 파지부(把持部)(16)를 지니고 있다. 구동축(10)은 더스트 커버(12)내에 돌출설게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10)의 선단측에는 더스트 커버(12)내에서 커터휘일(8)이 나사부(1a)에 나사부착 되는 록 너트(18)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 록 너트(18)에는 부착용 핀 구멍(18a,18b)이 설치되어 있다. 커터휘일(8)은, 예를 들면 동판에 의해 접시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커터휘일(8)의 외주부위에는 절삭구(20)가 복수개, 예를 들면 6개가 원주방향에 따라 등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커터휘일(8)은 중간부위에 원주방향에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 예를 들면 6개의 분진유통공(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14)는 연삭작업시에 평소 피연삭물에 밀차깃켜 연삭기(2)와 피연삭물과의 위치 및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이 베이스(14)는 깊게 파임 방지용 스토퍼 기능을 지닌다.
또, 연삭깊이 즉 베이스(14)와 커터휘일(8)과의 거리(S)는, 구동축(10)의 대경부(大徑部)(10b)와 상기 커터휘일(8)의 중앙부위와의 사이에 배치설계된 와셔(24)의 두께를 변화시켜 미세조정하게 된다. 또, 연삭기(2)의 연삭시에 발생하는 분진을 흡인력에 의해 집진하는 집진기(26)를 설치하고 상기 연삭기(2)의 연삭시에 집진기(26)의 흡인력에 의해 연삭기(2)를 피연삭물에 흡착시키는 상기 연삭기(2)와 집진기(26)과를 연락하는 연락호스(28)을 설치하고 있다.
상술하면, 상기 연삭기(2)에 설치된 더스트 커버(12)는 커터휘일(8)을 확실하게 포위하는 고무등의 탄성부재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연삭기(2)를 연삭면에 대하여 접근 및 분리하는 방향으로 조절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더스트 커버(12)에는 연삭기(2)의 본체(4)의 커버용 부착부(4)에 설치된 고정핀(30)에 결합하는 조절용 슬리트(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절용 슬리트(32)는 경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핀(30)과 조절용 슬리트(32)가 결합하고 있으므로, 상기 더스트 커버(12)는 제5도와 같이, 예를 들면 연삭기(2)의 본체(4)에 대하여 시계방향(화살표 A방향)로 회전시키면 연삭면에 대하여 접근하는 방향(화살표 C방향)로 이동하고, 반시계방향(화살표 C방향)로 회전시키면 상기 연삭면에 대하여 이간(離間)하는 방향(화살표 D방향)로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커버 부착부(4a)의 제3도에서 윗면에는 외기흡입공(4b)이 설치되어 있다. 이 외기흡입공(4b)은 집진기(26)의 동작시에 외기를 더스트 커버(12)내로 흡입하는 것이다.
또, 상기 집진기(26)에는 흡인력을 강약 2단계로 변환시키는 변환기구(3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집진기(26)는 상단부위에 반송(搬送)용의 손잡이(36)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하단부위에는 이동용의 바퀴(3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변환기구(34)의 약한 상태은 600W, 최대정압(靜壓)1400mmAa로 설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강한 상태는 1010W, 최대정압 2100mmAa로 설정되며, 약한 상태는 예를 들면 바닥면의 연삭작업시에 사용되고, 강한 상태는 벽면의 연삭작업 또는 바닥면을 강하게 연삭할 때에 사용된다.
또한, 상기 연락호스(28)에는 제4도와 같이 도중부위에 설치된 흡인력의 미세 조정용 구멍부(40)와, 연락호스(28)의 원주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미세조정용 구멍부(40)의 개구면적을 증감시키는 환상(環狀)부재(42)로 되어진 흡인력 미세조정부(4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환상부재(42)에는 상기 미세조정용 구멍부(40)의 개구면적 증감용 구멍부(4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인력 미세조정부(44)는 상기 연락호스(28)의 도중부위에 설치된 미세조정용 구멍부(40)와, 환상부재(42)에 설치된 개구면적 증감용 구멍부(46)와의 합치상태를 상기 연락호스(28)의 원주방향으로 상기 환상부재(42)를 회동시켜 변화시키며 흡인력을 미세조정하는 것이다.
상기 연락호스(28)는 일단부위가 집진기(26)에 설치된 제1부착부(48)에 부착됨과 동시에 타단부위가 연삭기(2)에 설치된 제2부착부(50)에 부착된다.
그리고, 부호(52)는 전기 케이블이다.
다음으로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피연삭물을 연삭할 때에는 제1도와 같이 연삭기(2)의 베이스(14)를 피연삭물 위에 밀착시키고 상기 연삭기(2)의 본체(4)를 일정한 자세로 소정 방향으로 대략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원동부(6)를 구동시켜 구동축(10)을 회전시키고 커터휘일(8)을 회전시킨다.
이때에 집진기(26)가 연삭기(2)의 연삭시에 발생하는 분진을 흡인력으로 집진함과 동시에 연삭기(2)의 커터휘일(8)을 포위하는 더스트 커버(12)내에 흡착력을 주어 상기 연삭기(2)를 피연삭물에 흡착가압 시킨다.
이에 따라 연삭기(2)의 자세와 가압상태를 대략 일정하게 유지가능하고 작업자가 연삭기(2)의 이동속도를 대략 일정하게 하는데에만 유의하면 균일한 정리면을 확보할 수 있고, 연삭기(2)를 연삭면으로 가압하는 노력, 연삭기(2)를 유지하는 노력 및 가압에 따른 주의도 불필요하며 연삭작업의 노력경감, 작업효율, 정리면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집진기(26)의 흡인력에 의해 연삭기(2)를 피연삭물에 흡착시켜 가압유지하는 노력은 거의 불필요하게 하고 특히 벽면과 천정면의 연삭작업시의 노력경감효과는 현저하며, 또 곤도라 작업등 발놓는 위치가 나쁜 장소에서의 연삭작업시 가압이 필요없는 것은 가압반동에 의한 곤도라의 흔들림이 없이 연삭작업의 안정성도 향상시키고 실용상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연삭기(2)에 설치된 더스트 커버(12)를 고무등의 탄성부재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연삭기(2)를 연삭면에 대하여 접근 분리하는 방향으로 조절가능하도록 설치하여 흡착력을 갖지 않고도 인력으로 용이하게 연삭기(2)를 이동 가능할 정도로 흡착력을 유지하는 더스트 커버(12)와 연삭면과의 접촉면에 의해 약간의 외기를 흡입하는 정도로서 미세조정함과 동시에 연삭기(2)의 연삭작업시에 발생하는 분진의 휘날림을 방지할 수 있고 분진을 확실하게 분진기(26)로 보내므로 실용상 유리하다.
또한 연삭기(2)의 커버부착부(4a)의 상면에 외기 흡입공(4b)를 설치하여 더스트 커버(12)내의 밀폐도의 상승시 흡인풍량 저하에 따른 집진능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분진을 확실하게 회수할 수 있어 실용상 유리하다.
또한, 상기 집진기(26)에 흡인력을 강약 2단계로 변환시키는 변환기(34)를 설치 바닥면의 연삭 작업시 벽면 또는 천정면의 연삭작업시에 필요한 흡착력을 집진기(26)에 의해 발생시킬 수 있고, 연삭 작업시의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연삭작업의 작업효율을 양호하게 유지하므로 실용상 유리하다.
또, 집진기(26)의 상단부위에 손잡이(36)를 설치함과 동시에 하단 부위에 이동용 바퀴(38)를 설치하여 집진기(26)의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연삭작업의 작업효율 향상에 기여한다.
상기 연락호스(28)에 흡인력 미세조정부(44)를 설치하여 집진기(26)의 변환기구(34)만으로는 조정하기 어려운, 작업자로서 요구되는 흡착력을 미세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실용상 유리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연삭기와 집진기를 연락호스로 연락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커다란 커터를 지니는 연삭기 또는 커터부분을 복수개 지니는 고효율의 연삭기와 집진기를 연락호스로 연락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하여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작업자의 부담을 증가시키는 일 없이 연삭작업의 작업효율을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어 실용상 유리하다. 또,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하고 연삭작업의 작업효율을 양호하게 유지하여 연삭작업시의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어 실용상 유리하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삭깊이 베이스와 커터휘일과의 거리를 구동축의 대경부와 커터휘일의 중앙부위와의 사이에 배치설계한 와셔의 두께를 변화시켜 미세 조정하는 것으로 구성으로 하였으나, 베이스를 가동식으로서 베이스의 높이를 변화시켜 연삭깊이를 미세 조정하는 구성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베이스의 깊이를 변화시켜 연삭깊이를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고 연삭기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켜 실용상 유리하다.
그리고 외기 흡입공에 리드 밸브 등의 개폐 밸브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 더스트 커버 내의 압력조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더스트 커버 내의 밀폐도 상승시의 흡인풍량저하에 따르는 집진능력 저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분진을 확실하게 회수할 수 있다. 또 연락호스(28)에 설치한 흡인력 조정부(44)의 기능 대용도 가능하며 손끝으로 흡착력이 미세조정이 가능하고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되서 실용상 유리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원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을 설치하고, 구동축에 접시모양의 회전체를 설치하며 회전체의 외주부위에 원주방향에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절삭구를 배치 설계하고 회전체를 회전시켜 피연삭물을 연삭하는 연삭기에 있어서 연삭기와 피연삭물과의 위치 및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베이스를 설치하고 연삭기의 회전체 부위를 대략 밀폐 상태로 유지하는 커버부재를 상기 연삭기의 본체에 설치하고, 연삭기의 연삭시에 발생하는 분진을 흡인력으로 집진하는 집진기를 설치하고, 연삭기의 연삭시에 집진기의 흡인력으로 연삭기를 피연삭물에 흡차거가압시키는 연삭기와 집진기를 상호 연락하는 연락호스를 설치하였으므로 연삭기의 가압상태를 대략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연삭 작업 후에 균일한 정리면을 확보할 수 있어 실용상 유리함과 동시에 벽면과 천정면의 연삭작업시에는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연삭 작업의 작업효율을 양호하게 유지하여 실용상 유리하다.

Claims (5)

  1. 원동부(原動部)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을 설치하고, 이 구동축에 접시모양의 회전체를 설치하며 이 회전체의 외주부위에 원주 방향에 따른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절삭구를 배치 설계하여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켜 피연삭물을 연삭하는 연삭기에 있어서, 연삭기와 피연삭물과의 위치 및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베이스를 두고 연삭기의 회전체 부위를 대략 밀폐상태로 유지하는 커버 부재를 상기 연삭기의 본체에 두고 연삭기의 연삭시에 발생하는 분진을 흡인력으로 집진하는 집진기를 설치하며 상기 연삭기의 연삭시에 집진기의 흡인력에 의해 연삭기를 피연삭물에 흡착가압시키는 상기 연삭기와 집진기를 상호 연락하는 연락호스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회전체를 확실하게 포위하는 고무등의 탄성부재로 형성됨과 동시에 연삭기의 연삭면에 대하여 접리(接離)하는 방향을 조절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기는 흡인력을 강약 2단계로 변환시키는 변환기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락호스는 도중부위에 흡인력의 미세조정용 구멍부와 연락호스의 원주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미세조정용 구멍부의 개구면적을 증감시키는 환상부재로 이루어진 흡인력 미세조정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커버용 부착부에 의해 커버부재를 부착함과 동시에 외기를 커버내에 흡입하는 외기 흡입공을 상기 커버용 부착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
KR1019950024269A 1995-08-07 1995-08-07 연삭기 KR0143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4269A KR0143857B1 (ko) 1995-08-07 1995-08-07 연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4269A KR0143857B1 (ko) 1995-08-07 1995-08-07 연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986A KR970009986A (ko) 1997-03-27
KR0143857B1 true KR0143857B1 (ko) 1998-10-15

Family

ID=19422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4269A KR0143857B1 (ko) 1995-08-07 1995-08-07 연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38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123A (ko) * 1997-06-12 1999-01-15 박병재 그라인딩장치
KR102089283B1 (ko) 2018-12-11 2020-03-16 주식회사 팀버웨이 목재 오일스테인 자동화 일괄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7430A (ko) 2022-08-23 2024-03-04 강형주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부 연삭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123A (ko) * 1997-06-12 1999-01-15 박병재 그라인딩장치
KR102089283B1 (ko) 2018-12-11 2020-03-16 주식회사 팀버웨이 목재 오일스테인 자동화 일괄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986A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7297B2 (en) Surface grinding machine and grinding head therefor
KR200451361Y1 (ko) 선체 외판 고소 작업용 로봇의 전처리 작업 모듈
WO2007093874A1 (en) Sanding disc, apparatus and method
US5807166A (en) Glass-plate working machine
KR0143857B1 (ko) 연삭기
KR102560353B1 (ko) 탈부착이 가능한 지그용 연마장치
US6213851B1 (en) Abrading apparatus
JPS6368353A (ja) 研磨ツ−ル
JP3053729B2 (ja) 研削装置
JP3534201B2 (ja) ガラス板の周縁研削装置
DE3920021C1 (ko)
CN210731935U (zh) 一种墙面打磨装置
EP0673715B1 (en) Machine for processing glass plate
CN217619568U (zh) 一种用于加工砂轮的磨边装置
JPH091478A (ja) グリップ角度調節装置
KR200244175Y1 (ko) 콘크리트 바닥면 연마장치용 집진커버
JPH01103258A (ja) 素地調整装置
CN220007419U (zh) 一种砂带切割刀片及切割装置
KR102445917B1 (ko) 축 연마장치
CN218746852U (zh) 一种力控三角沙带打磨机
CN211805397U (zh) 一种研磨机
JPH0639693A (ja) 研削装置の成形ロール支持装置
US20230249309A1 (en) Adaptable sand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50097369A (ko) 집진구조를 갖는 그라인더
CN218363684U (zh) 拉刀修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