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1378B1 - 2-페닐이미다졸유도체,그의용도및그를함유하는조성물 - Google Patents

2-페닐이미다졸유도체,그의용도및그를함유하는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1378B1
KR960011378B1 KR1019880002355A KR880002355A KR960011378B1 KR 960011378 B1 KR960011378 B1 KR 960011378B1 KR 1019880002355 A KR1019880002355 A KR 1019880002355A KR 880002355 A KR880002355 A KR 880002355A KR 960011378 B1 KR960011378 B1 KR 960011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dichloro
trifluoromethylphenyl
group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2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1118A (ko
Inventor
수잔 매리 크램프
레슬리 로이 하톤
Original Assignee
메이 앤드 베이커리 리미티드
테리 페퍼 밀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878705183A external-priority patent/GB8705183D0/en
Priority claimed from GB878724192A external-priority patent/GB8724192D0/en
Application filed by 메이 앤드 베이커리 리미티드, 테리 페퍼 밀러 filed Critical 메이 앤드 베이커리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880011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1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1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3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6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e.g. histid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5/00Carboxylic aci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6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68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6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90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6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91Nitro radicals
    • C07D233/92Nitro radicals attached in position 4 or 5
    • C07D233/93Nitro radicals attached in position 4 or 5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halogen atoms, attached to other ring mem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2-페닐이미다졸 유도체를 이용한 살충방법
본 발명은 절지동물, 식물 선충, 기생충 및 원생동물 해충에 대한 2-페닐이미다졸 유도체의 용도, 이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신규의 2-페닐이미다졸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2-(2,4-디클로로페닐)-4,5-디시아노이미다졸이 제초 유용성을 갖는 것으로 일본국 특허 공보 제52-7434 (1977)호에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공보 제50-125031 (1975)호에는 살비, 제초 및 살충 유용성을 갖는 것으로서, 4,5-디시아노이미다졸 및 2-알킬-4,5-디시아노이미다졸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영국 특허 제1399291호에는, 항 구충류 활성을 갖거나 그러한 활성을 갖는 화합물의 제조시 유용한 것으로 언급된 4-니트로이미다졸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이 화합물은 이미다졸 고리의 2-위치상에 치환된 페닐을 포함하는 넓은 범위의 치환제를 수반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2-위치상에, 2,4-이치환된 페닐기를 수반하는 임의의 화합물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항 구충류 활성 이외에 다른 임의의 활성을 가질 수 있는 화합물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항 구충류 활성 이외에 다른 임의의 활성을 가질 수 있는 화합물에 대해서도 어떠한 언급이나 암시가 없다.
현재, 집중적인 연구와 실험을 거쳐서, 하기 일반식 (I)의 2-페닐이미다졸 유도체 단, 식중, R2와 R3가 동시에 수소원자를 나타내는 화합물은 제외한 2-페닐이미다졸 유도체 및 살충학상으로 허용가응한 염이 절지동물, 식물 선충, 기생충 및 원생동물 해충에 대해 유효한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예상치 않게 발견하였다.
Figure kpo00001
상기 일반식 (I)에 있어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1 내지 6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축쇄 알콕시, 알킬티오, 알킬술피닐 또는 알킬술포닐기, 또는 시아노 또는 카르복시기 또는 2 내지 7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축쇄 알콕시 카르보닐기에 의해 임의 치환된 1 내지 6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잭쇄 또는 측쇄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및 R3는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수소 또는 할로겐(즉,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원자, 니트로, 카르복시 또는 시아노기, 2 내지 7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카르보닐 또는 알카노일기, 각각 1 내지 6 탄소원자를 하유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에 의해 치환될 수도 있는 카르바모일 또는 술파모일기, 1 내지 6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및 2 내지 7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 카르보닐 및 알카노일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개의 치환체에 의해 질소 원자 상에서 치환될 수 있는 아미노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임의 치환된 1 내지 6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를 나타내는 기 R, RO, RS, RSO, 또는 RSO2를 나타내며, 및 Ar은 하기 일반식 II의 임의 치환된 2,4-이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낸다.
Figure kpo00002
상기 일반식 II에 있어서, R4및 R6는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할로겐(즉,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원자 또는 R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임의 치환된 1 내지 6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를 나타내는 기 R, RO, RS, RSO 또는 RSO2를 나타내고, R5, R7및 R8은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R4및 R6에 대해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치환체를 나타내거나, 또는 수소원자, 히드록시, 카르복시, 니트로, 시아노 또는 아미노기, 질소원자 상에서 1 내지 6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또는 2 내지 7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카르보닐 또는 알카노일기에 의해 치환될 수도 있는 1 내지 6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아미노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2 내지 7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카르보닐 또는 알카노일기를 나타낸다.
당해 기술 분야의 기술자들은, 일반식 (I)의 화합물들 중 특정의 것, 예를 들어,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은, 염기성 성질을 갖는 경향이 있는 반면, 화합물들 중 특정으로 것, 예를 들어, 카르복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은 산성 성질을 갖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각각, 산 또는 염기와 상기 화합물에 의해 형성된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일반식 (I)의 범위내에 포함되며, 일반식 (I)의 화합물이 언급될 때, 전후 문맥상 허용될때는 언제나 상기 염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어 용어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라 함은, 농업 또는 원예 용도용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화합물의 염의 제조용으로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으며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의 염을 의미한다. 절지 동물, 기생충 또는 원생 동물에 의한 감염 또는 만연을 방지하기 위해서 척추 동물에 적용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염은 무-독성일 것이다. 용어 무-독성이라 함은 산/염기와의 염으로서, 투여량에 있어서 그의 음이온/양이온이 척추 동물에 대해 무해하며 양이온/음이온에 의해 생성된 이득 효과를 손상치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적합한 산의 염에는, 염산염, 황산염, 인산염 및 질산염과 같은 무기산의 염류 및 예를 들어, 아세트산 염과 같은 유기산의 염류가 포함된다. 적합한 염기의 염에는, 알카리 금속(예, 나트륨 또는 칼륨)염, 알칼리 토금속(예. 칼슘 또는 마그네슘)염 및 암모니아 또는 유기 염기(예. 아민류 : 디에탄올아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의 염이 포함된다.
또한, 일반식 (I) (식중, R1은 수소원자를 나타낸다)의 화합물은, 수소원자가 어느 이미다졸 고리 질소원자를 상에 잔류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기재된 형태의 보다 크거나 작은 정도로 존재할 수 있고 서로서로 동적 평형 상태로 존재하는 정도로 토오토메리 현상을 나타낸다는 것을 당업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또한 어떤 경우에는 치환제 R1, R2, R3, R4, R5, R6, R7및 R8가 광학적 및/또는 입체 이성질체화에 기여한다. 그러나 모든 형태가 본 발명내에 포함된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군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호 R1, R2, R3및 Ar이 이하 정의된 바와 같고, 다른 기호 R1, R2, R3및 Ar에 대한 정의한 전술한 것과 같은 화합물이 포함된다. i) R1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 (ii) R2및 R3는 모두 수소원자가 아닌 다른 것이며 ; (iii) Ar은 할로겐 원자(특히 염소, 브롬 또는 불소원자), R, RO, RS, RSO 또는 RSO2로부터 선택되며 같거나 다를 수도 있는 치환제를 임의로 갖는 2-R4-4-R6-치환 페닐기를 나타내며, 특별하게는 Ar은 6-위치에서 상기의 치환체를 갖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보다 특별하게는 Ar은 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 또는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기를 나타내며 ; (iv) R2는 할로겐(바람직하게는 브롬)원자, 또는 니트로,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거나 R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임의 치환된 1 내지 6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를 나타내며 기 RO, RS, RSO 또는 RSO2를 나타내며 ; (v) R3는 할로겐(바람직하게는 브롬)원자, 또는 니트로,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며 ; (vi) R4는 할로겐(바람직하게는 염소)원자를 나타내고, 및 (vii) R6는 R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된 1 내지 6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를 나타내는 기 R, RO, RS, RSO 또는 RSO2(바람직하게는 R6가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나타낸다)를 나타낸다.
식중, R8가 할로겐(바람직하게는 염소)원자를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이 또한 바람직하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군에는, R1이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2및 R3가 같거나 다를 수도 있으며, 각각 수소 또는 할로겐(바람작하게는 브롬)원자, 니트로, 카르복시 또는 시아노기, 2 내지 7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카르보닐기, 각각 1 내지 6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에 의해 치환될 수도 있는 카르바모일 또는 술파모일기, 1 내지 6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및 2 내지 7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카르보닐 및 알카노일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개의 치환체에 의해 질소원자 상에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임의 치환된 1 내지 6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알킬기 또는 알킬티오기를 나타내며, 및 R4는 할로겐(바람직하게는 염소)원자를 나타내고, R6는 할로겐(바람직하게는 염소)원자를 나타내거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된 1 내지 6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 알콕시 또는 알칼티오기를 나타내며, R5및 R7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8은 수소 또는 할로겐(바람직하게는 염소)원자를 나타낸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의 특별히 바람직한 군에서는 R1이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2가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톡시기 또는 메틸티오, 하나, 두 개 또는 세 개의 불소원자에 의해 치환된 메틸술피닐 또는 메틸 술포닐기를 나타내며, 및 R3는 할로겐(바람직하게는 브롬)원자, 또는 니트로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낸다.
특히 중요한 일반식 (I)의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 -A :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5-디시아노이미다졸, B :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4,5-디시아노이미다졸, C : 2-(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5-디시아노이미다졸, D :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트리플루오로메틸이미다졸, E : 5-브로모-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트리플루오로메틸이미다졸, F :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이미다졸, G : 5-시아노-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4-카르복실산, H : 5-시아노-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 I : 4-브로모-5-시아노-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 J : 5-시아노-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4-카르복사미드, K : 5-시아노-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이미다졸-4-카르복사미드, L : 에틸5-시아노-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4-카르복실레이트, M :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4,5-EL카르복사미드, N :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5-디메닐이미다졸, O :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메틸이미다졸, P :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메틸-5-니트로이미다졸, Q :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메틸이미다졸-5-술폰아미드, R :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메틸-5-메틸티오이미다졸, S :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니트로이미다졸, T : 4,5-디브르모-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 U : 4-브로모-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 V : 4-브로모-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니트로이미다졸, W : 2-(2-브로모-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5-디시아노이미다졸, X : N,N-디에틸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시아노이미다졸-4-카르복사미드, Y : 2-(2,3,5,6-테트라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페닐)-4,5-디시아노이미다졸, Z : 4-아미노-5-시아노-2-(2,4-디클로로페닐)이미다졸, AA : N,N-디에틸-2-(2,4-디클로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이미다졸-4-카르복사미드, BB : 4-(3차 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시아노-2-(2,4-디클로로페닐)이미다졸, CC : 5-시아노-2-(2,4-디클로로페닐)이미다졸-4-카르복실산, DD : 2-(2,4-디클로로페닐)이미다졸-4,5-디카르복실산 문자 A~DD는 이하의 확인 및 참고용으로 상기 화합물에 붙여진다.
특별히 바람직한 일반식 (I)의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 -A, B, E, F, T 및 V,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해서, 절지 동물, 식물 선충, 기생충 또는 원생동물 해충을 일정 지역에서 억제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유효량의 일반식 (I)의 화합물, 또는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으로 장소를 처리(예. 실포 또는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며, 일반식 (I)에 있어서, 여러가지의 기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특히, 절지 동물, 기생충 또는 원생동물에 대한 공중 보건의 유지 및 동물 약제 및 축산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절지 동물, 기생충 또는 원생 동물은 척추 동물, 특히 온혈 척추 동물, 예를 들면 사람과 가축(예. 소, 양, 염소, 말, 돼지, 가금, 개, 고양이 및 어류)상에 내부적으로 또는 외부적으로 기생하고 있으며,예를 들면, 참 진드기〔예. 익소데스 종(Ixodes spp.), 부필루스 종(Boophilus spp.), 예를 들어, 부필루스 미크로플루스(Boophilus microplus), 암블리옴마 종(Amblyomma spp.), 히알롬마 종(Hyalomma spp.), 리피세팔루스 종(Rhipicephalus spp.), 예를 들어, 리피세팔루스 아펜디클라투스(Rhipicephalus appendiculatus), 하에마피살리스 종(Haemaphysalis spp.), 데르마센토르 종(Dermacentor spp), 오르니토도루스 종(Ornithodours spp), 예를 들어, 오르니토도루수 모우바타(Ornithodorus moubata) 및 진드기〔예. 다말리니아 종(Damalinia spp.), 데르마히수스 갈리나에(Dermahyssus gallinae), 사르코프테스 종(Sarcoptes spp.), 예를 들어 사르코프테스 스카비에이 (Sarcoptes scabiei), 소로포테스 종(Psoroptes spp.), 코리오프테스 종(Chorioptes spp.), 데모덱스 종(Demodex spp.), 유트롬비쿨라 종(Eutrombicula spp.)〕을 포함한 아카리나(Acarina) ; 디프테라(Diptera)〔예. 아에데스 종(Aedes spp.), 아노펠레스 종(Anopheles spp.), 무스카 종(Musca spp.), 히포데르마 종(Hypoderma spp.), 가스테로필루스 종(Gasterophilus spp), 시물리움 종(Simulium spp)〕,헤미프테라(Hemiptera)〔예. 트리아토마 종(Triatoma spp.)〕; 프티라프테라(Phthiraptera)〔예. 다말리니아 종(Damalinia spp.)〕, 리노그나투스 종(Linognathus spp.)〕; 시포나프테라(Siphonaptera)〔예. 크테노세팔리데스 종(Ctenocephalides spp.) ; 딕티오프테라(Dictyoptera)〔예. 페리플라테나 종(Periplaneta spp.), 블라텔라 종 (Blatella spp.)〕; 히메노프테라(Hymenoptera)〔예, 모노모리움 파라오니스(Monomorium pharaonis)가 있고 ; 일반식 (I)의 화합물을 기생하는 선충류 벌레에 의해 유발된 위-장관의 감염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들 선충류 벌레군의 예를 들면, 트리코스트롱일리다에(Trichostrongylidae), 니포스트롱일루스 브라실리엔시스(Nippostrongylus brasiliensis), 트리키넬라 스피랄리스(Trichinella spiralis), 하에몬쿠스 콘토르투스(Haemonchus contortus), 트리코스트롱일루스 콜루브리포르미스(Trichostrongylus colubriformis), 네마토디루스 바투스(Nematodirus battus), 오스테르타기아 시르쿰신크다(Ostertagia circumcincta), 트리코스트롱일루스 악세이(Trichostrongylus axei), 크페리아 종(Cooperia spp.) 및 히미놀래피스 나나(Hymenolepis nana)가 있으며 ;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원생 동물에 의해 유발된 질병의 억제 및 치료에 사용할 수 있고, 이들 원생 동물의 예로는, 에이메리아 종(Eimeria spp.)〔예. 에이메리아 테넬라(Eimeria tenella), 에이메리아 아세르불리나(Eimeria acervulina), 에이메리아 브루네티(Eimberia brunetti), 에이메리아 막시마(Eimeria maxima) 및 에이메리아 네카트릭스(Eimeria necatrix)〕, 트리파노소마 크루지(Trypanosoma cruzi), 레이슈마니아 종(Leishmania spp), 플라스모디움 종(Plasmodium spp.), 바베시아 종(Babesia spp.), 트리코모나디다에 종(Trichomonadidae spp.), 히스토모나스 종(Histomonas spp.), 기아르디아 종(Giardia spp), 톡소플라즈마 종(Toxoplasma spp.), 엔타모에바 히스톨리티카(Entamoeba histolytic) 및 테일레리아 종(Theileria spp.)이 있고 ;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저장 생산물(예, 곡식과 밀을 포함한 곡물류, 땅콩, 가축 사료, 수목 및 가정용품(예, 카펫트류 및 직물류))을 절지동물보다 특별하게 바구미, 나방 및 진드기를 포함한 딱정 벌레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딱정벌레류의 예를 들면, 에페스티아 종(Ephestia spp.)(밀가루 나방), 안트레누스 종(Anthrenus spp.)(카펫트 딱정벌레), 트리볼리움 종(Tribolium spp.)(밀가루 딱정벌레), 시토필루스 종(Sitophilus spp.)(곡식 바구미) 및 아카루스 종(Acarus spp.)(진드기)이 있고, 일반식 (I)의 화합물을 가정용 및 공업용 토지에 만연된 바퀴, 개비 및 유사한 절지 동물 해충의 억제 및 수로, 우물, 저수지 또는 기타의 흐르거나 고인 물내의 모기 유충의 억제에 사용할 수 있으며 ;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흰개미에 의한 빌딩 공격을 방지하는데 기초, 구조 및 토양 처리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흰개미의 예로는, 래티쿨리테르메스 종(Reticulitermes spp.), 헤테로테르메스 종(Heterotermes spp.), 코프토테르메스 종(Coptotermes spp.)이 있고 ; 일반식 (I)의 화합물을 농업 분야에서 래피도프테라(Lepidoptera)(나비 및 나방)의 성충, 유충 및 알을 구충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레피도프테라의 예를 들면, 헬리오티스 종(Heliothis spp.), 예를 들어, 헬리오티스 비레스센스(Heliothis virescens)(담배 싹벌레), 헬리오티스 아르미게라(Heliothis armigera) 및 헬리오티스 제아(Heliothis zea), 스포도프테라 종(Spodoptera spp.), 예를 들어, 에스. 엑셈프타(S. exempta), 에스. 리토랄리스(S. littoralis)(이집트 면벌레), 에스. 에리다니아(S. eridania)(남부 거염벌레), 마메스트라콘피구라타(Mamestraconfigurata)(배르타 거염벌레);에아리아스 종(Earias spp.), 예를 들어 이. 인술라나(E. insulana)(이집트 솜벌레), 펙티노포라 종(Pectionophora spp.), 예를 들어, 펙티노포라 고시피엘라(Pectinophora gossypiella)(핑크 솜벌레), 오스트리니아 종(Ostrinia spp.), 예를 들어, 오. 노빌라리스(O, nubilalis)(유럽 조명충 나방), 트리코플루시아 니(Trichoplusia ni), (양배추 자벌레), 피에리스 종(Pieris spp.)(양배추 벌레), 라피그마 종(Laphygma spp.)(거염 벌레), 아그로티스(Agrotis) 및 아마테스 종(Amathes spp.)(뿌리 잘라먹는 벌레), 위세아나 종(Wiseana spp.)(포리나 나방), 킬로 종(Chilo spp.)(벼 줄리 천공충), 트리포리자 종(Tryporyza spp.) 및 디아트라에아 종(Diatraea spp.)(사탕수수 천공충 및 벼 천공충), 스파르가노티스 필레리아나(Sparganothis pilleriana)(포도 열매 나방), 시디아 포모넬라(Cydia pomonella)(사과 나방), 아르키프스 종(Archips spp.)(과수 잎말이 나방), 프로텔라 크실로스텔라(Plutella xylostella)(다이아몬드 백 나방)가 있고;일반식 (I)의 화합물을 콜레오프테라(딱정벌레)의 성충 및 유충의 구제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들 콜레오프테라의 예로는, 히포테네무수 함페이(Hypothenemus hampei)(커피 열매 천공충), 힐레시누스 종(Hylesinus spp.)(수피 딱정벌레), 안토노무스 그란디스(Anthonomus grandis)(목화다래 바구미), 아칼림마 종(Acalymma spp.)(오이 딱정벌레), 레마 종(Lema spp.), 실리오데스 종(Psylliodes spp.), 레프티노타르사 데셈리네아타(Leptinotarsa decemlineata)(콜로라도 감자 딱정벌레), 디아브로티카 종(Diabrotica spp.)(옥수수 뿌리 벌레), 고노세팔룸 종(Gonocephalum spp.)(폴스 방아벌레), 아그리오테스 종(Agriotes spp.)(방아벌레), 데르몰레피다(Dermolepida) 및 헤테로니쿠스 종(Heteronychus spp.)(굼벵이), 파에돈 코클레아리아에(Phaedon cochleariae)(겨자 딱정벌레), 릿소르호프트루스 오리조필루스(Lissorhoptrus oryzophilus)(벼 바구미), 멜리게테스 종(Meligethes spp.)(화분 딱정벌레), 세우토르힌쿠스 종(Ceutorhynchus spp.), 린코포루스(Rhynchophorus) 및 코스모폴리테스 종(Cosmopolites spp.)(뿌리 바구미)가 있고;일반식 (I)의 화합물을 헤미프테라(Hemiptera)의 구제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헤미프테라의 예로는 실라 종(psylla spp.), 베미시아 종(Bemisia spp.), 트리알레우로데스 종(Trialeurodes spp.), 아피스 종(Aphis spp.), 미주스 종(Myzus spp.), 메고우라 비시아에(Megoura viciae), 필록세라 종(Phylloxera spp.), 아델게스 종(Adelges spp.), 포로돈 후물리(Phorodon humuli), (흡 서양자두 잔딧물), 아에네올라미아 종(Aeneolamia spp.), 네포테틱스 종(Nephotettix spp.)(벼 잎 호퍼), 엠포아스카 종(Empoasce spp.), 닐라파르바타 종(Nilaparvata spp.), 페르킨시엘라 종(Perkinsiella spp.), 피릴라 종(Pyrilla spp.), 아오니디엘라 종(Aondiella spp.)(붉은 깍지벌레), 콕쿠스 종(Coccus spp.), 슈도콕쿠스 종(Psuedococcus spp.), 헬로펠티스 종(Helopeltis spp.)(모기 곤충), 리구스 종(Lygus spp.), 디스테르쿠스 종(Dysdercus spp.), 옥시카레누스 종(Oxycarenus spp.), 네자라 종(Nezara spp.)이 있고;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히메노프테라(Hymenoptera)의 구제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히메노프테라의 예로는, 아탈리아 종(Athalia spp.) 및 세푸스 종(Cephus spp.)(잎벌), 아타종(Atta spp.)(입을 잘라먹는 개미)이 있고; 일반식 (I)의 화합물을 디프테라(Diptera)의 구제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디프테라의 예로는, 힐레미이아 종(Hylemyia spp.)(뿌리 파리), 아테리고나 종(Atherigona spp.) 및 클로로프스 종(Chlorops spp.)(가지 파리), 피토미자 종(Phytomyza spp.)(굴파리), 세라티티스 종(ceratitis spp.)(열매 파리)가 있고;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트리프스 타바시(Thripstabaci)와 같은 티사노프테라(Thysanoptera)의 구제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식 (I)의 화합물을 로쿠스타(Locusta) 및 스키스토세르카 종(Schistocerca spp.)(메뚜기) 및 귀뚜라미, 예를 들어, 그릴루스 종(Gryllus spp.) 및 아케타 종(Acheta spp.)과 같은 오르토프테라(Orthoptera)의 구제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콜렘볼라(Collembola), 예를 들어, 스민투루스 종(Sminthurus spp.) 및 오니키우루스 종(Onychiurus spp.)(톡토기), 이소프테라(Isoptera), 예를 들어, 오돈토테르메스 종(Odontotermes spp.)(흰개미), 데르마프테라(Dermaptera), 예를 들어, 포르피쿨라 종(Forficula spp.)(집게 벌레) 및 또한 농업상 중요한 다른 절지 동물, 예를 들면, 아카리(진드기)〔예. 테트라니쿠스 종(Tetranychus spp.), 파노니쿠스 종(Panonychus spp.) 및 브리오비아 종(Bryobia spp.)(응애류), 에리오피에스 종(Eriophyer spp.)(갈진드기), 폴리파고타르소네무스 종(Polyphagotarsonemus spp.)〕를 구제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식 (I)의 화합물을 블라니울루스 종(Blaniulus spp.)(노래기), 스쿠티게렐라 종(Scutigrerlla spp.)(종지네류), 오니스쿠스 종(Oniscus spp.)(쥐 며느리) 및 트리오프스 종(Triops spp.)(갑 각강)을 구제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세균, 바이러스, 마이코플라즈마 또는 진균 질환을 식물에 확산시키거나 직접적으로 농업, 산림, 원예에 있어 중요한 식물 및 나무를 공격하는 선충류, 뿌리-기생 선충류, 예를 들어, 멜로이도진 종(Meloidogyne spp.)〔예. 엠. 인코그니타(M. incognita)〕; 포낭 선충류, 예를 들어, 글로보데라 종(Globodera spp.)〔예, 지. 로스토키엔시스(G. rostochiensis)〕; 헤테로데라 종(Heterodera spp.)〔예. 에이취. 아베나에(H. avenae)〕; 라도포루스 종(Radopholus spp.)〔예, 알. 시밀리스(R. similis)〕; 병행 선충류, 예를 들어, 프라틸렌쿠스 종(Pratylenchus)〔예, 피. 프라텐시스(P. pratensis)〕; 벨로놀라이무스 종(Belonolaimus spp.)〔예, 비. 그라실리스(B. gracilis)〕; 틸렌쿨루스 종(Tylenchulus spp.)〔예, 티. 세미페네트란스(T. semipenetrans)〕; 로틸렌쿨루스 종(Rotylenchulus spp.)〔예, 알. 레니포르미스(R. reniformis)〕; 로틸렌쿠스(Rotylenchus spp.)〔예. 알. 로부스투스(R. robustus)〕; 헬리코틸렌쿠스 종(Helicotylenchus spp.)〔예, 에이치, 물티신크투스(H, multicinctus)〕; 헤미시클리오포라 종(Hemicycliophora spp.)〔예, 에이치, 그라실리스(H. gracilis)〕; 크리코네모이데스 종(Criconemoides spp.)〔예, 씨. 시밀리스(C. similis)〕; 트리코도루스 종(Trichodorus spp)〔예, 티. 프리미티부스(T. primitivus)〕; 선충류(dagger nematodes), 예를 들어, 크시피네마 종(Xiphinema spp.)〔예, 엑스. 디베르시키우다툼(X. diversicaudatum)〕,론지도루스 종(Longidorus spp.)〔예, 엘. 엘롱가투스 종(L. elongatus); 호플로라이무스 종)(Hoplolaimus spp.)〔예, 에이치. 코로나투스(H. coronatus)〕; 아펠렌코이데스 종(Aphelenchoides spp.)〔예, 에이. 리트제마-보시(A. ritzema-bosi), 에이. 벳세이아이(A. besseyi)〕; 줄기 및 구근 회충, 예를 들어, 디틸렌쿠스 종(Ditylenchus spp.)〔예, 디. 디프사시(D. dipsaci)〕을 구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식물의 절지 동물 또는 선충류 해충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식물 또는 식물이 자라는 배지상에 유효량의 일반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살포함을 특징으로 한다.
절지 동물 및 선충류의 억제용으로, 활성 화합물을 일반적으로 억제하고자 하는 절지 동물 또는 선충류가 만연된 장소에 처리할 장소의 헥타르당 활성 화합물을 약 0.1㎏ 내지 25㎏의 비율로 살포한다. 이상적 조건하에서는, 억제할 해충에 따라서, 저비율이 적당한 보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반대의 날씨 조건, 해충의 저항 및 다른 용인들로 인해서, 활성 성분이 고 비율로 사용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해충이 토양-전염성일 때, 활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제를 임의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처리할 지역에 균등히 살포한다. 원한다면, 일반적으로 밭 또는 작물 경작지 또는 공격으로부터 보호해야 되는 종자 또는 식물 부근에 살포할 수도 있다. 활성 성분을 지역 상에서 물을 뿌려주어 토양으로 씻어내거나 또는 천연적인 강우의 작용에 맡길 수가 있다. 살포 도중 또는 살포 후, 원한다면, 제제를 예를 들어 갈거나(ploughing) 또는 정지(disking)함으로써 토양내에 기계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발아가 일어나기 전이나 발아후를 제외하고 심기전, 심을 때, 심은 후에 살포할 수가 있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토양내에 살고 있는 선충류를 근본적으로 억제하기 위해서 토양에 고체 또는 액체 조성물로 살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물의 기생(氣生) 부분을 공격하는 선충류(예, 상기 기재된 아펠렌코이데스 종 및 디틸렌쿠스 종)를 근본적으로 억제하기 위해서 잎에 살포할 수 있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살포 장소에서 떨어진 식물 부분을 먹는 해충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예를 들면, 잎을 먹고 곤충을 뿌리에 살포된 주 화합물에 의해서 죽인다.
부가시, 화합물을 먹힘 방지 또는 반발 효과를 이용해 식물에 대한 공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은 밭, 사료, 농원, 온실, 과수원 및 포도원 작물의 보호에 특히 유효하며, 관상 식물의 보호 및 농원과 산림 수목의 보호에 유효하고, 예를 들면, 곡류(예, 옥수수, 밀, 쌀, 수수), 목화, 담배, 야채 및 샐러드(예, 콩, 양배추 작물, 쿠르커비트, 상치, 양파, 토마토 및 후추), 밭 작물(예, 감자, 사탕무우, 땅콩, 콩, 평지씨), 사탕수수, 목초지 및 사료(예, 옥수수, 수수, 자주 개자리), 농원(예, 차, 커피, 코코아, 바나나, 팜유, 코코넛, 고무, 향신작물) 과수원 및 작은 숲에(예, 복숭아씨 및 사과·귤씨의 열매, 감귤, 키위, 아보카도, 망고, 올리브 및 호두), 포도원, 관상식물, 온실, 정원 및 공원애의 화훼와 관목, 숲의 수목(낙엽송 및 상록수), 농원 및 묘포장에 적용한다.
또한 목재(입목, 베어낸 것, 개조된 것, 저장 또는 구조물)를 잎벌〔예, 우로세루스(Urocerus)〕, 딱정벌레〔예, 스콜리티드(scolytids), 플라티포디드(platypodids), 릭티드(lyctids), 보스트리키드(bostrychids), 세람비시드(cerambycids), 아노비이드(anobiids) 또는 흰개미류, 예를 들어, 레티클리테르메스 종(Reticulitermes spp.), 헤테로테르메스 종(Heterotermes spp.), 코프토테르메스 종(Coptotermes spp.)에 의한 공격으로부터 보호하는데에도 유용하다.
생성물을 통째로, 갈어서 또는 혼합하던 간에 곡식, 열매, 땅콩, 향신작물 및 담배와 같은 저장 생성물을 나방, 딱정벌레 및 진드기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하는데에 적용한다. 또한, 나방 및 딱정벌레의 공격으로부터 천연 또는 개조된 형태의 가죽, 털, 모 및 깃털(즉, 카페트 또는 직물)과 같은 저장 동물 생산품을 보호하는데에도 적용하고 ; 또한 저장 고기 및 어류를 딱정벌레, 진드기 및 파리의 공격으로부터 부호하는데에도 적용한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해가 되거나 또는 퍼지거나 사람 및 가축 질병의 매체로서 작용하는 절지 동물, 기생충 또는 원생동물의 억제에 특히 유효하고, 예를 들면, 상기 언급한 것들 및 보다 특별하게는 참 진드기, 진드기, 이, 벼룩, 모기 및 물고 해가되는 승저증 파리의 억제에 유효하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은 특히 가내 숙주 동물내에 존재하거나 또는 동물의 피부내 또는 피부위에서 먹고 살거나 동물의 피를 빠는 절지 동물, 기생충 또는 원생동물의 억제에 유용하며, 이러한 목적으로 상기 화합물을 경구, 비경구, 경피 또는 국소적으로 투영할 수 있다.
에이메리아 속(Eimeria)의 원생동물 기생에 의한 감염으로 유발된 질병, 포자충증(Coccidiosis)는 가축 및 가금의 경제적 손실을 일으키는 중요한 잠재적 요인이며, 특히 집약적 조건하에 사육 유지된 가축 및 가금은 더욱 그러하다. 예를 들어, 소, 양, 돼지 및 토끼는 감염될수도 있지만, 그러나 질병은 특히 가금류, 특별하게는 닭에 있어서 중용하다.
가름류 질병은 일반적으로 오염된 잠자리 짚 또는 바닥상의 적하물 내의 감염성 생물을 잡아먹는 조류 또는 음식이나 음료수에 의해서 퍼진다. 질병은 맹장내 혈액의 출혈, 축적, 적하물로의 혈액의 통과, 허약 및 소화 장애에 의해 나타난다. 질병은 종종 감염의 결과로서 실질적으로 감소된 시장 가치를 갖는 심각한 감염을 이겨 낸 가금을 제외한 동물의 죽음으로 끝난다.
소량의 일반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바람직하게는 가금류 사료와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이, 포자충증의 발생을 방해하거나 또는 크게 감소시키는 데에 유효하다. 화합물은 맹장 형태〔이. 테넬라(E. tenella)에 의해 유발〕 및 장 형태(근본적으로 이. 아세르불리나(E. acervulina), 이. 브루넷티(E. brunetti), 이. 맥시마(E. maxima) 및 이. 네카트릭스(E. necatrix)〕양쪽에 대해 유효하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은 또한 수를 크게 감소시켜 낭포체(oocyst) 상에서 및 생산된 포자 형성에 대해 방해효과를 나타낸다.
사람과 동물에 대한 국소 적용 및 저장 생성물, 가정용품, 일반식 환경의 소유물 및 장소의 보호에 있어서, 이하 기재되는 조성물을, 일반식으로, 양자택일적으로 성장 작물 및 작물 성장 지역에 살포하고 종자 비료료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적용하는 적합한 방법에는 이하의 것들이 포함된다 : -절지 동물, 기생충 또는 원생동물에 의해 만연된 또는 만연에 노출된 사람 또는 동물에게, 활성 성분이 절지 동물, 기생충 또는 원생동물에 대해서 즉각적이거나 및 또는 시간이 지나면서 지연작용을 나타내는 조성물을 비경구, 경구 또는 국소 적용하에, 예를 들면, 사료 또는 적합한 경구로-소화 가능한 약학 제제, 먹이, 염리크, 규정식 공급물, 주입 도포(pour-on) 제제, 스프레이, 배드, 디프, 샤우어, 제트, 더스트, 그리이스, 샴푸, 크리임, 왁스-얼룩 및 가축 자기-처리 계내에 연합하여 적용하고 ; 저장 생성물, 목재, 가정용품, 및 가정용과 공업용 토지를 포함한, 해충이 잠복할 수도 있는 일반 또는 특별한 지역내의 환경에, 스프레이, 포크, 더스트, 스모크, 왁스-얼룩, 락커, 과립 및 먹이로서, 및 수로, 우물, 저수지 및 기타의 흐르거나 고여있는 물에 대해 조금씩 적하하여 주입하고 ; 가축의 배설물내에서 먹고 사는 피리 유충을 억제하기 위해 사료내에서 가축에서 적용하고 ; 스프레이, 더스트, 과립, 포그 및 포옴으로서 성장 작물에게 적용하고; 또한 미세하게 분할되고 캡슐화된 일반식 (I)의 화합물의 현탁액으로서; 액체드렌치, 더스트, 과립, 스모크 및 포옴에 의한 토양 및 뿌리 처리로서; 및 액체 슬러리 및 더스트에 의한 종자 비료로서 적용한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활성 성분으로서 최소한 하나의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의도하는 용도에 적합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양립 가능한 희석제 또는 첨가제와 함께 함유하는, 임의의 토지 또는 가내 또는 집밖의 지역내에 있는 절지 동물을 억제하기 위해서 살포하거나 또는 척추 동물에게 내적 또는 외적 투여용으로 적합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의 조성물로 절지 동물, 기생충 또는 원생동물을 억제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모든 조성물은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척추 동물 또는 사람에게 투여하는데 적합한 조성물에는, 경구, 비경구, 경피, 예를 들면, 주입 도포 또는 국소 투여에 적합한 제제가 포함된다.
경구 투여용 조성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일반식 (I)의 화합물이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피복물과 조합된 형태로 구성되며, 예를 들면, 정제, 환제, 캡슐, 페이스트, 겔, 드렌치, 약제 음식, 약제 음료수, 약제 규정식 공급물, 저-방출 볼루스 또는 위-장관 내에 머물도록 고안된 기타의 저-방출 고안물이 포함된다. 이들 임의의 것은, 마이크로캡슐 내에 함유되거나 또는 산에 불안정하거나 알칼리에 불안정하거나 또는 다른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장용성 피복물로 피복된 활성 성분을 연합할 수도 있다.
약제 음식, 음료수 또는 동물 소비용 기타의 물질의 제조시 사용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음식 프리믹스 및 농축물을 또한 사용할 수도 있다.
비경구 투여용 조성물에는, 연장된 기간에 걸쳐 활성 성분을 방출하도록 고안된 임의의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내의 용액, 에멀션 또는 현탁액 및 고체 또는 반고체 피하 이식체 또는 펠렛이 포함되며 및 당해 기술에서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방법으로 제조 멸균시킬 수도 있다.
경피 및 국소 투여용 조성물에는, 국소 또는 전체적으로 절지 동물을 역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동물에게 외부적으로 부착된, 스프레이, 더스트, 배드, 디프, 샤우어, 제트, 그리이스, 샴푸, 크리임, 왁스-얼룩 또는 주입 도포 제제 및 고안물(예, 귀 태그)이 포함된다.
절지 동물을 억제하는데 적합한 고체 또는 액체 먹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일반식 (I)의 화합물 및 절지 동물에 의한 소비를 유도하는 음식물 또는 수가지의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는 담체 또는 희석제로 구성된다.
액체 조성물에는, 물과 혼화 가능한 농축물, 유화 가능한 농축물, 유동 가능한 현탁액, 습윤 가능하거나 용해 가능한 분말이 포함되는데, 이들 조성물에는 토지, 집 밖 또는 가내 저장물, 또는 진행 지역, 콘테이너 또는 장치 및 고여 있거나 흐르는 물을 포함해 절지 동물에 의해 만연되거나 만연되기 쉬운 물질 또는 지역을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일반식 (I)의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고체의 동종 또는 이종 조성물, 예를 들어, 과립, 펠렛, 브리켓트 또는 캡슐을, 시간이 경과하면서 고여 있거나 흐르는 물을 처리하는데 수용할 수 있다. 기재된 바와 같은 물 분산 가능한 농축물의 연속적 또는 단속적 주입을 사용하여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분무, 운무(fogging) 및 저-또는 초저 부피 분무용으로 적합한 에어로졸 및 수성 또는 비 수성 용액 또는 분산액 형태의 조성물을 또한 사용할 수도 있다.
일반식 (I)의 화하불을 사용하는데 적합한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될 수도 있는 적합한 고체 희석제에는,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키에셀거르, 코온 허스크, 트리칼슘 포스페이트, 분말상 코르크, 흡착 카본 블랙,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카올린, 벤토나이트 도는 애터펄자이트와 같은 점토 및 물에 용해 가능한 중합체가 포함되며 및 그러한 고체 조성물은, 원한다면, 고체일 때 또는 희석제로도 적용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양립 가능한 습윤, 분산, 유화 또는 착색제를 함유할 수 있다.
더스트, 과립 또는 습윤 가능한 분말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는 그러한 고체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휘발성 용매내의 일반식 (I)의 화합물의 용액으로 고체 희석제를 침지시키고, 용매를 증발시키고 및, 필요하다면, 분말을 수득하기 위해서 생성물을 연마하고, 원한다면, 과립, 펠렛 또는 브리켓트를 수득하기 위해서 생성물을 과립화 또는 압축시킴으로써 또는 천연이나 합성 중합체(예, 젤라틴, 합성수지 및 폴리아미드) 내에 미세하게 분할된 활성 성분을 캡슐화 함으로써 제조한다.
특별히 습윤 가능한 분말 내에 존재할 수도 있는 습윤, 분산 및 유화제는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형태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술포리시놀리에이트, 4차 암모늄 유도체 또는 에틸렌 옥시드의 농출물의 기초로 한 노닐- 및 옥틸-페놀과의 생성물, 또는 에틸렌 옥시드와의 축합에 의해 유리 히드록시기의 에테르화에 의해서 용해 가능하게 된 무수 소르비톨의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또는 이들 형태의 혼합물이 있다. 습윤 가능한 분말을 사용하기 전에 즉시 물로 처리하여 적용시 적당한 현탁액을 얻는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의 적용용 액체 조성물은, 천연이나 합성 중합체내에 임의로 캡슐화된 일반식 (I)의 화합물의 용액, 현탁액, 에멀션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및, 원한다면, 습윤, 분산 또는 유화제를 연합시킬 수도 있다. 이들 에멀션, 현탁액 및 용액은, 수성 유기성 또는 수성-유기성 희석제, 예를 들어, 아세토페논, 이소포론, 톨루엔, 크실렌, 광물성, 동물성 또는 식물성유, 및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형태의 습윤, 분산 또는 유화제 또는 그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도 있는, 물에 용해 가능한 중합체( 및 이들 희석제의 혼합물), 예를 들어, 상기 기재된 형태의 것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원할때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에멀션을, 유화제 내에 또는 활성 물질과 양립 가능한 유화제를 함유하는 용매내에 용해된 활성 물질을 함유하는 자가-유화 농축물의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그러한 농축물에 단순히 물만 부가하여, 사용하기에 적당한 조성물을 제조한다.
절지 동물, 식물 선충류, 기생충 또는 원생 동물 해충을 억제하는데 적용할 수도 있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또한 상승제(예, 피페로닐 부톡시드 또는 세사멕스), 안정화물질, 다른 살충제, 진드기 구충제, 식물 선충박멸제, 구충제 또는 항 구충제(anticoccidials), 살진균제(농업상 또는 가축용으로 적합한 것, 예, 베노밀 이프로디온), 살균제, 절지 동물 또는 척추동물 유인제 또는 기피제 또는 페로몬, 방향제, 풍미제, 염료 및 보조 치료제, 예를 들어 미량 원소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은 효능, 지속성, 안정성, 원한다면 흡수, 억제해야 할 해충의 스펙트럼을 개선시키거나 또는 처리할 동일한 동물 또는 지역내의 다른 유용한 작용을 조성물이 고안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포함되거나 조성물과 함께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다른 살충학적으로 활성인 화합물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아세페이트, 클로로피리포스, 데메톤-S-메틸, 디술포톤, 에토프로포스, 페니트로티온, 말라티온, 모노크로토포스, 파라티온, 포살론, 피리미포스-메틸, 트리아조포스, 시플루트린, 시페르메트린, 텔타메트린, 펜프로파트린, 펜발레레이트, 페르메트린, 알다카릅, 카르보술판, 메토밀, 옥사밀, 피리미카릅, 벤디오카릅, 테플루벤주론, 디코폴, 엔도술판, 린단, 벤조시메이트, 카르탑, 시헥사틴, 테트라디폰, 아베르멕틴스, 이베르멕틴, 밀베미신스, 티오파네이트, 트리클로르폰, 디클로로보스, 디아베리딘 및 디메트리다졸.
절지 동물, 식물 선충류, 기생충 또는 원생 동물 해충을 억제하는데 사용하는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0.00001~95%(중량%), 보다 특별하게는 0.0005~50%(중량%)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일반식 (I)의 화합물 또는 총 활성성분(즉, 일반식 (I)의 화합물(들)을 절지 동물 및 식물 선충류에 독성인 물질, 구충제, 항구충제, 상승제, 미량원소 또는 안정화제와 함께 혼합된 것을 말한다)을 함유한다. 사용하는 작용 조성물 및 적용율은, 농부, 가축 생산자, 의사 또는 수의사, 해충 억제 기술자 또는 당분야의 기타의 전문인들의 원하는 효과(들)을 얻을 수 있도록 선택한다. 동물, 목재, 저장 생산물 또는 가정용품에 국소적으로 적용하는데 사용하는 고체 및 액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는 0.00005~90%, 보다 특별하게는 0.001~10%(중량%)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한다. 경피를 포함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동물에게 투여하는데 있어서, 고체 및 액체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0.1~90%(중량%)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한다. 약제 시료에는, 일반적으로 0.001~3%(중량%)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일반식 (I)의 화합물이 함유 되어 있다. 사료와 혼합된 농축물 및 공급물에는 일반적으로 5~90%, 및 바람직하게는 5~50%(중량%)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일반식 (I)의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다. 광물성 염 릭크에는 일반적으로 0.1~10%(중량%)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일반식 (I)의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다.
가축, 사람, 물건, 토지 또는 외부 지역에 적용하기 위한 더스트 및 액체 조성물은, 0.0001~15%, 및 보다 특별하게는 0.005~20%(중량%)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처리수 내의 적합한 농도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일반식 (I)의 화합물이 0.0001ppm과 20ppm 사이, 보다 특별하게는 0.001~5.0ppm이며 또한 적당한 노출 시기에 재배 어업에 치료학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먹이에는 0.01~5% 및 바람직하게는 0.01~1.0%(중량%)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일반식 (I)의 화합물이 함유될 수도 있다.
척추 동물에게 비경구, 경구 또는 경피 또는 다른 방법으로 투여할 때, 일반식 (I)의 화합물의 투여량은, 척추 동물의 종류, 나이 및 건강상태 및 절지 동물, 기생충 또는 원생동물 해충에 의해 실질적으로 또는 잠재적으로 만연된 상태 또는 정도에 따라서 다르다. 약효를 유지하기 위해 단위 일당 동물의 체중㎏ 당 0.1~100㎎, 바람직하게는 2.0~20.0㎎의 단일 투여량 또는 0.01~5.0㎎의 용량이 일반적으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에 적합하다. 서방성 제제 또는 고안들을 사용하여, 수 개월에 걸쳐 요구되는 1일 투여량을 모아서 한번에 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다.
다음의 조성예는 활성성분으로 일반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절지 동물, 식물 선충류, 기생충 또는 원생동물 해충에 대하여 사용하는 조성물을 설명한다. 조성예 1 내지 6에 설명된 조성물을 각각 물로 희석하여 경작지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농도의 분무 가능한 조성물을 얻는다.
조성예 1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4,5-디시아노이미다졸 7%w/v, 에틸란 BCP 10%w/v 및 N-메틸피롤리돈을 가하여 전체 100부피%로부터 물에 가능한 농축물을 제조하며, 이때 일부의 N-메틸피롤리돈에 에틸란 BCP를 용해하고, 그런 다음 활성성분을 가하여 용해할 때까지 가열 및 교반한다. 생성된 용액에 용매의 나머지를 가하여 전체 부피로 한다.
조성예 2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4,5-디시아노이미다졸 7%w/v, 소프로포르 BSU 4%w/v, 아릴란 CA 4%w/v, N-메틸피롤리돈 50%w/v 및 솔베소 150을 가하여 전체 100부피%로부터 유화 가능한 농축물을 제조하며, 이때 N-메틸피롤리돈 중에 소프로포르 BSU,아릴란 CA 및 활성성분을 용해한 다음, 솔베소 150을 가하여 전체 부피로 한다.
조성예 3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4,5-디시아노이미다졸 40%w/v, 아릴란 S 2%w/v, 디르반 번호 2 5%w/v 및 셀라이트 PF를 가하여 전체 100중량%로부터 습윤 가능한 분말을 제조하며, 이때 상기 성분들을 혼합하고 혼합물을 햄머-밑에서 분쇄하여 50마이크론 이하의 입자 크기로 만든다.
조성예 4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4,5-디시아노이미다졸 30%w/v, 에틸란 BCP 1%w/v, 소프로폰 T 36 0.2%w/v, 에틸렌 글리콜 5%w/v, 로디겔 23 0.15w/v 및 물을 가하여 전체 100부피%로부터 수성의 유동성 제제를 제조하며, 이때,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평균 입자 크기가 3마이크론 이하일 때까지 비드밀에서 분쇄한다.
조성예 5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4,5-디시아노이미다졸 30%w/v, 에틸렌 BCP 10%w/v,, 벤톤 38 0.5%w/v 및 솔베소 150을 가하여 전체 100부피%로부터 유화 가능한 현탁 농축물을 제조하며, 이때 상기 성분들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평균 입자 크기가 3마이크론 이하가 될 때까지 비드밀에서 분쇄한다.
조성예 6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4,5-디시아노이미다졸 30%w/v, 다르반 번호 2 15%w/v, 아릴란 S 8%w/v 및 셀라이트 PF를 가하여 전체 100중량%로부터 수분산 과립을 제조하며, 이때 상기 성분들을 혼합하고 액체-동력밀에서 미세화하고 이어서 충분한 물(10%w/v 이하)을 분무하면서 회전 펠렛 타이저에서 과립화한다. 생성된 과립을 유동층 건조기에서 건조하여 과량의 물을 제거한다.
상술한 조성예에서 사용된 시판 성분에 대한 설명-에틸란 BCP 노닐페놀에틸렌옥시드 농축물, 소프로포르 BUS 트리스티릴페놀 및 에틸렌옥시디의 농축물, 아릴란 CA 칼슘 도데실 벤젠 술포네이트의 70%w/v 용액, 솔베소 150 경 C10-방향족 용매, 아릴란 S 소듐 도데실 벤젠술포네이트, 다르반 소듐 리그노술포네이트, 셀라이트 PF 합성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담체, 소프로폰 T36 폴리카르복실산의 소듐염, 로디겔 23 폴리사카라이드크산탄 고무, 벤톤 38 마그네슘몬트모릴로나이트의 유기 유도체.
조성예 7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4,5-디시아노이미다졸 1~10%w/v(중량/중량), 미세탈크를 가하여 전체 100중량%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분제를 제조한다.
상기 분말을 절지동물의 만연지역, 예를 들어, 절지 동물이 만연할 위험이 있거나 또는 절지 동물로 만연된 쓰레기 하치장, 쓰레기차, 저장 생성물 또는 가정용 물품에 살포하거나 또는 동물에게 경구투여하여 절지동물을 구제한다. 절지동물 만연지역에 분제를 분산시키기 위한 적절한 방법에는, 기계적 송풍기, 핸드쉐이커 및 가축자기 처리장비가 있다.
조성예 8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4,5-디시아노이미다졸 0.1~1.0%w/v, 밀가루 80%w/w, 당밀을 가하여 100%w/w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식용 먹이를 제조한다.
상기 식용 먹이를 경구 섭취하여 절지 동물을 억제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집안, 공장구내, 즉, 부엌, 병원, 가게 또는 야외에서 개미, 메뚜기, 바퀴벌레 및 파리 등의 절지 동물로 만연된 지역에 산포할 수도 있다.
조성예 9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4,5-디시아노이미다졸 15%w/v(중량/부피), 디메틸술폭시드를 가하여 전체 100부피%를 함유하는 용액을 제조하며, 이때 일부의 디메틸술폭시드에 이미다졸 유도체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디메틸술폭시드를 더 가하여 목적의 부피로 한다. 상기 용액을 절지동물로 만연된 가축에 주입 도포함으로써 경피적으로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막(0.22㎛ 공극 크기)를 통하여 여과 멸균후, 비경구 주사에 의하여 동물 체중 100㎏ 당 1.2 내지 12㎖의 용액의 적용 비율로 사용한다.
조성예 10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4,5-디시아노이미다졸 50%w/w, 에틸란 BCP(페놀 1몰당 9몰의 에틸렌옥시드를 함유하는 노닐페놀/에틸렌 옥시드 농축물) 5%w/w, 에어로실(미세입자 크기의 실리콘 디옥시드) 5%w/w, 셀라이트 PF(합성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담체) 40%w/w로부터 습윤 가능한 분말을 제조하며, 이때 에틸란 BCP를 에어로실 상에 흡착시키고, 다른 성분과 혼합하고 혼합물을 햄머-밀중에서 분쇄하여 습윤 가능한 분말을 얻으며, 이를 물로 희석하여 0.001% 내지 2%w/v의 이미다졸 화합물의 농도로하여 절지동물로 만연된 지역에, 예를 들면, 분무에 의하여 디프테라 유충 또는 식물 선충류에, 또는 분무 또는 침적에 의하여 절지동물, 기생충 또는 원생동물에 의하여 만연되거나 만연될 위험이 있는 가축에, 또는 음료수로서 경구 투여에 의해 적용하여, 절지동물, 기생층 또는 원생동물을 억제한다.
조성예 11
밀도화제, 결합제, 서-방출제 및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 메틸페닐)-4,5-디시아노이미다졸 화합물을 여러 가지 백분율 조성으로 함유하는 과립으로부터 서방성 볼루스를 제조한다. 혼합물을 압착하여 2이상이 비중을 가지는 볼루스를 제조하며, 반추가축에 경구적으로 투여하여 반추위내에 체류시켜 연장된 시간에 걸쳐 이미다졸 화합물을 연속적으로 서방출시켜, 절지동물, 기생충 또는 원생동물에 의한 반추가축의 만연을 억제한다.
조성예 12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5-디시아노이미다졸 0.5~25%w/w 폴리비닐클로라이드 기제를 가하여 전체 100%w/w로부터 서방성 조성물을 제조하여, 이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기제와 이미다졸 화합물 및 디옥틸프탈레이트 등의 적절한 가소화제를 혼합하여, 용융-압출 또는 열-성형에 의하여 상기 균질의 조성물을, 예를 들어 고인 물에 가하는데 또는 스트립의 경우 가축에 부착시키기 위한 마구 또는 귀-태그로 이차 가공하는데 적절한, 과립, 펠렛, 브리켓트 또는 스트립 등의 적절한 형태로 성형하고, 이미다졸 혼합물의 서방출에 의하여 해충을 억제한다.
상기 조성예에서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5-디시아노이미다졸을 적절한 양의 일반식 (I)의 임의의 다른 화합물로 대치시켜 유사한 조성물을 제조한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은 공지의 방법, 즉, 지금까지 사용되었거나 또는 문헌중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 또는 응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식중 R1이 수소원자를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적절한 알킬할라이드, 예,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또는 요오다이드와 염기의 존재하에 반응시켜, 식중 R1이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임의로 치환된 알킬기를 나타내는 일반식 (I)의 상응하는 N-알킬화된 화합물을 얻는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식중 R1이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2가 시아노 또는 정의된 바와 같은 임의로 치환된 카르바모일기를 나타내며, R3가 시아노기를 나타내며, Ar이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I)의 화합물, 즉, 식중 R9가 시아노 또는 일반식 (I)의 범위내에서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임의로 치환된 카르바모일기를 나타내며 Ar이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III)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의 환류 온도와 같은 상승된 온도에서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불활성 유기용매 중에서 2,3-디클로로-5,6-디시아노-1,4-벤조퀴논과 같은 퀴논의 존제하에; 또는 실온 내지 반응 혼합물의 환류 온도의 온도에서 다클로로메탄, N-메틸-2-피롤리돈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와 같은 불활성 유기용매 중에서 임의로 소듐 아세테이트와 같은 완충제의 존재하에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의 존재하에; 또는 불활성 유기용매 중에서 트리에틸아미과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N-클로로숙신이미드의 존재하에, 식중 R9및 Ar이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IV의 화합물의 산화적 고리화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치환된 헤테로고리를 형성하기 위한 그의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상응하는 벤즈알데히드와 수산화 암모늄의 존재하에 타르타르산 다니트레이트와의 반응(R1=H,R2및 R3=카르복시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산출함), 염화수소의 존재하에 시아노겐과의 반응(R1=H,R2및 R3=클로로인 일반식(I)의 화합물을 산출함), 암모니아의 존재하에 α-궤토알데히드(디브로모메틸 알킬 케톤 및 아세트산 나트륨으로부터 본래의 장소에서 임의로 제조됨)와의 반응(R1=H, R2=임의 치환된 알킬, R3=H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산출함), 또는 아세트산 암모늄의 존재하에 디알킬 글리옥살과의 반응(R1=H,R2, 및 R3=임의 치환된 알킬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산출함)이나; 또는 탄산칼륨 및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알킬기 금속 알콕시드 및 알칸올의 존재하에 일반식 V의 화합물과 브로모메틸 알킬케톤과의 반응(R2=알카노일, R3=아미노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산출함). 또는 트리에틸아민이나 또는 알칸올 중의 알칼리금속 알콕시드의 존재하에 일반식 VI의 화합물과(임의 치환된 아미노)아세토니트릴 히드로클로라이드와의 반응(R2=시아노, R3=아미노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산출함), 또는 클로로포름 중의 피리딘의 존재하에 일반식 VII의 화합물과 1-(임의 치환된 알킬)-2-트리메틸실릴옥시에틸렌과의 반응(R2=임의 치환된 알킬, R3=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산출함), 또는 일반식 VIII의 화합물과 아세트산 암모늄 및 아세트산과의 반응(R1=H,R2및 R3=임의 치환된 알킬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산출함)이 있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의 상호 전환은 공지된 방법들을 적용 또는 응용함으로써 가능하며, 예를 들면 하기(i)~(xxi)이 가능하다. (i) 식중, R2가 카르바모일기 및 R3가 시아노기(또는 R2가 시아노기 및 R3가 카르바모일기), 또는 R2및 R3가 둘다 카르바모일기, R1수소원자 및 Ar이 앞에서 정의된 바를 각각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식중 R9가 시아노기 및 Ar이 앞에서 정의된 바를 나타내는 일반식 (III)의 화합물로부터,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예. 수산화나트륨)의 존재하에 15℃ 내지 100℃ 사이의 온도에서, 또는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예. 수산화칼륨)의 존재하에 에탄올에서 환류하에 가수분해하여 각각 제조될 수 있고; (ii) 아미노기(들)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니트로기(들)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환원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5%팔라듐/탄소의 존재하에 촉매 수소화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iii) 아미노기(들)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비치환된 화합물을 히드록실아민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iv)카르복시기(들)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알콕시카르보닐기(들)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가수분해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의 수용액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고; (v) 알콕시카르보닐기를(들)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카르복시기(들)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에스테르화함으로써 또는 알콕시카르보닐기(들)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에스테르 교반 반응함으로써, 예를 들면 진한 황산과 같은 산촉매의 존재하에 반응 혼합물의 환류 온도에서 적절한 알코올과 가열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vi) 니트로기(들)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비치환된 화합물을 70℃ 내지 120℃의 온도에서 질산 및 황산의 혼합물과 가열하여 비치환된 화합물을 니트로화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vii)알콕시카르보닐기(들)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가용매 분해 반응에 의하여, 예를 들면 시아노기(들)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진한 염산과 같은 산촉매의 존재하에 가수분해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viii)카르복시(들)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과 같은 불활성 유기용매에서 150℃ 내지 250℃의 온도에서 가열함으로써 탈카르복시화될 수 있고; (ix) 할로겐원자(들)를 함유하는 화합물은 비치환된 화합물을 클로로포름 또는 아세트산과 같은 유기용매에서 아세트산나트륨과 같은 완충제의 임의 존재하에 실온 내지 반응 혼합물의 환류 온도의 할로겐화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 (x)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원자들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디아조화한 다음, 예를 들면 염화 제1구리 또는 브롬화 제1구리의 존재하에 수성염산 또는 브롬산과 또는 황산에서 요오드화 칼륨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xi)알킬티오기(들)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할로겐원자(들)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디메틸포름아미드와 같은 불활성 유기용매에서 티올 유도체와 반응시킴으로써 또는 티올(할로겐-함유 화합물로부터, 예를 들면 피리단과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황화수소와, 또는 유기용매에서 수황화나트륨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됨)을 알킬화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xii)알킬티오기(들)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비치환된 화합물을 유기염기 또는 루이스산 촉매의 임의 존재하에 0℃ 내지 80℃의 온도에서 필요하다면 가입하에(임의 할로겐 치환된) 알킬술페닐 할라이드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xiii)알킬티오기(들)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상승된 온도에서 클로로술폰산을 사용하여 비치환된 화합물들을 클로로술폰화한 다음, 염산에서 예를 들어 염화 제1주석을 사용하여 상응하는 술포닐클로라이드를 환원시킨 다음,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과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알칼리 할라이드를 사용하여 알킬화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xiv)알킬술피닐 또는 알킬술포닐기(들)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관산화수소와 같은 m-클로로퍼벤조산과 같은 유기 과산화산을 사용하여 알킬티오기(들)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산화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xv)카르바모일기(들)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예를 들면 염소 또는 브롬과 같은 할로겐을 사용하여 알칼기 금속 수산화물 수용액의 존재하에 50℃ 내지 100℃이 온도에서 카르바메이트로 재배열할 수 있고; (xvi)술파모일기(들)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상승된 온도에서 클로로술폰산을 사용하여 비치환된 화합물을 클로로술폰화한 다음, 상응하는 술포닐 클로라이드를 수성 또는 수성-알코올 매질에서 암모니아 또는 아민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xvii)카르바모일기(들)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카르복시기(들)을 함유하는 화합물로부터, 예를 들면 티오닐클로라이드 또는 삼플루오르화 디에틸아미노황과 0℃ 내지 반응 혼합물의 환류 온도 사이의 온도에서 반응시켜 상응하는 산 할라이드로 전환 시킨 다음, 산 할라이드를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불활성 유기 용매에서 암모니아 또는 아민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xviii)아미노기(들)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카르복시(들)를 함유하는 화합물로부터 예를 들어, 알코올 즉, 2-메틸프로판-2-올 및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서 반응 혼합물의 환류 온도에서 디페닐포스포릴아지드와 반응시킨 다음, 수득한 일반식 (I)의 카르바메이트를 예를 들어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불활성 유기 용매내에서 요오드트리메틸실란으로 분해시켜 제조할 수 있고; (xix)1,1-디플루오로알킬 또는 트리플루오로알킬기(들)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알카노일 또는 카르복시기(들)을 함유하는 화합물로부터, 2-메톡시에틸 에테르와 같은 불활성 유기용매에서 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사플루오르화 황과 같은 플루오르화제 또는 삼플루오르화 디에틸아미노황 및 플루오르화 칼륨과 같은 변형된 반응물질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xx)시아노기(들)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디벤조일 과산화물과 같은 라디칼 개시제의 임의 존재하에, 예를 들면, N-브로모 숙신이미드를 사용하여 메틸기(들)을 디브롬화한 다음, 상응하는 디브로모메틸 유도체를 포르밀리로 가수분해시킨 다음, 임의 염산화물로서의 히드록실아민과 수성-알코올성 매질에서 반응시키고, 이어서 예를 들어 옥시염화인을 사용하여 상응하는 옥심을 탈수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xxi)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농경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일반식 (I)의 산성 또는 염기성 화합물을 각각 적절한 염기 또는 적절한 산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의 제조에서, 상술한 방법 또는 그 응용들을 적절히 조합해 수행하여 요구되는 화합물을 수득하여, 예를 들면 (vii)+(iv)+(viii) +(ix)(R2=시아노, R3=할로겐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산출함)를 들수 있다.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일반식(I)의 화합물은, 지금까지 R2및 R3가 동시에 수소원자인 화합물을 제외하고는 화학문헌에 개시 또는 기재된 바와 없으며, 그의 제조방법 및 그들 함유하는 조성물과 함께, 더나아가서 본 발명의 특징을 형성한다. 공지의 일반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식용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약제 음식물은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을 형성한다.
식중, R2및 R3가 동시에 수소원자를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은, 본 발명의 방법의 사용을 위한 화합물의 제조용 중간체이며; 이들 및 그의 제조방법도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의 특징으로 형성한다. 식중, R2및 R3가 동시에 수소원자를 나타내는 일반식 (I)의 중간체는 상응하는 벤즈알데히드를 암모니아 또는 아세트산 암모늄의 존재하에 글리옥살과 반응시키고, 이어서 적절하다면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N-알킬화함으로써 제조될 수도 있다.
일반식 IV의 화합물은, 공지의 방법을 적용 또는 응용함으로써, 예를들면, 상응하는 벤즈알데히드를 일반식 R9(NH2)C=C(CN)NH2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제조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서 일반식 IV의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도 본 발명의 특징을 형성한다. 일반식 R9(NH2)C=C(CN)NH2의 화합물은 공지이며, 또는 공지의 방법을 적용 또는 응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는 일반식 (I)의 제조방법을 상술하고 참고예는 중간체의 제조 방법을 상술한다.
실시예 1
화합물 A
아세토니트릴 (75㎖)중의 1-아미노-2-(2,6-티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리덴아미노)-1,2-디시아노에틸렌(3.3g, 0.01몰) 및 2,3-디클로로-5,6-디시아노-1,4-벤조퀴논(3.3g, 0.01몰)의 용액을 48시간 동안 환류하에 교반시켰다. 용매를 증발시켜 갈색 고체를 산출하고 계속하여 끊는 톨루엔으로 추출하였다. 용액을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적갈색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디클로로메탄(1 : 10)의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실리카를 통해 여과시켰다. 여액을 증발시켜 갈색 고체를 산출시키고 이를 헥산으로 연마하고 고체를 여취하여 담갈색 고체로서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5-디시아노이미다졸(1.4g)을 산출하였으며, 용윰점은 194~195℃이다.
참고예 1
디아미노말레오니트릴(4.4g 0.04몰)을 메탄올(100㎖)에 용해하고, 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알데히드(9.6g, 0.04몰)을 주위온도에서 교반하여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시키고 환류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10℃로 냉각시킨 후 분리된 고체를 여취하여 1-아미노-2-(2,6-티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리덴아미노)-1,2-디시아노에틸렌(10.3g)을 황색 결정성 고체로서 산출하였으며 용융점은 218~219℃이다.
참고예 2
1-브로모-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80g, 0.27몰)을 무수 디에틸에테르(480㎖)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부틸리튬(헥산중의 2.5M 용액 100㎖)을 질소의 대기중의 온도를 -70℃이하로 유지하면서 교반하에 적가하였다. -78℃에서 1시간 동안 더 교반한 후 N-포르밀피페리딘(30.8g, 0.27몰)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78℃에서 하룻밤 교반시키고, 천천히 0℃로 가온되게 하였다. 염산(2M, 200㎖)을 빙냉하에 용액에 적가하였다. 2개의 층을 분리하고 유기상을 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건조상태로 증발시켰다. 오일상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페트롤륨 스피릿(petroleum spirit)(비등점 60~80℃ (1 : 10)의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실리카의 칼럼을 통해 여과하였다. 여액을 증발시키고 수득한 오일을 증류하여 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알데히드(43.7g)를 무색액체로서 산출시켰으며, 비등점은 14㎜Hg에서 115℃이다.
참고예 3
아질산트륨(69g, 1몰) 및 진한 황산(600㎖)으로부터 제조된 나트로실 황산을 15~20℃의 빙초산(1250㎖)중의 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230g, 1몰)의 냉각된 용액에 교반하면서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디아조늄 혼합물을 브롬화 제1구리(143.4g, 1몰), 브롬산(48%, 1ℓ) 및 얼음(대략 1000g)으로 제조된 용액속에 온도가 35℃를 초과하지 않는 속도로 천천히 흘러들게 한다. 1시간 후에 혼합물을 수증기 증류하여 1ℓ의 증류액을 산출하고 이를 물(3ℓ)로 희석하고 디에틸에테르(2×500㎖)로 추출하였다. 유기분획분을 결합하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2M, 2×250㎖) 및 물(250㎖)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건조상태를 증발시켰다. 오일상 잔류물을 증류하여 1-브로모-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256.8g)을 무색 액체로서 수득하였으며, 비등점은 6㎜Hg에서 74~78℃이었다.
실시예 2
화합물 B 및 C
1-아미노-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리덴아미노)-1,2-디시아노에틸렌을 하기 출발물질로 대치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이전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시킴으로써; 1-아미노-2-(2,6-티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리덴아미노)-1,2-디시아노에틸렌으로부터,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4,5-디시아노이미다졸을 제조하였으며, 이는 톨루엔에서 회백색 고체로서 재결정되었으며, 용융점이 119.5~122.5℃이고; 및 1-아미노-2-(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리덴아미노)-1,2-디시아노에틸렌으로부터, 2-(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5-디시아노이미다졸을 제조하였으며 이는 톨루엔에서 크리임색 고체로서 재결정되었으며, 용융점이 163~164℃이었다.
참고예 4
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알데히드를 하기 출발 물질로 대치함을 제외하고는 참고예 1에서 이전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시킴에 의하여; 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즈알데히드로부터, 1-아미노-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리덴아미노)-1,2-디시아노에틸렌을 황색 결정성 고체로서 제조하였으며, 용융점이 108~112℃이고; 그리고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알데히드로부터, 1-아미노-2-(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리덴아미노)-1,2-디시아노에틸렌을 황색 결정성 고체로서 제조하였으며 용융점이 197~199℃이었다.
참고예 5
1-브로모-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을 하기 출발 물질로 대치함을 제외하고는 참고예 2에서 이전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시킴으로써; 1-브로모-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젠으로부터, 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즈알데히드를 엷은 황색 액체로서 제조하였으며, 비등점은 20㎜Hg에서 113℃ 이고; 및 1-브르모-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으로부터,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알데히드를 무색 액체로 제조하였으며 비등점은 8㎜Hg에서 67~71℃이었다.
참고예 6
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을 하기 출발 물질로 대치함을 제외하고는 참고예 3에서 이전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시킴으로써; 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아닐린으로부터, 1-브로모-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젠을 무색 액체로 제조하였으며 비등점은 3㎜Hg에서 54~58℃이고; 및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으로부터, 1-브로모-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을 무색 액체로 제조하였으며, 비등점은 8㎜Hg에서 55~58℃이다.
실시예 3
화합물 D
1,1-디브로모-3,3,3-트리플루오로아세톤(59.4g, 0.22몰)을 물(200㎖)중의 아세트산 나트륨 3 수화물(59.8g, 0.44몰)의 용액을 가하고 수득한 용액을 증기배드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에서 냉각한 후, 혼탁한 용액을 교반하면서 메탄올(500㎖) 및 암모니아수(33%, 250㎖)중의 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알데히드(48.6g, 0.2몰)의 용액에 가하고 적색 현탁액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시켰다. 상청액을 불용성 고무에서 따라내고 1/4의 부피로 증발시켰다. 물(200㎖)를 가하고 고체를 여취하고 메틴올 및 물의 혼합물에서 재결정하여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트리플루오로메틸이미다졸(14.0g)을 밝은 갈색 고체로서 산출하였으며 용융점은 213~215℃이다.
실시예 4
화합물 E
빙초산(5㎖)중의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트리플루오로메틸이미다졸(0.7g, 0.002몰) 및 브롬(0.32g, 0.1㎖, 0.002몰)의 용액을 2시간 동안 환류에서 교반하고 가열하였다. 냉각시킨 현탁액을 냉수(50㎖)에 쏟아넣고 고체를 여과하여 물로 세척하였다. 고체를 빙초산(5㎖)에 용해시키고 브롬(0.32g, 0.1㎖, 0.002몰)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에서 교반 및 가열하고, 냉각하고 냉수(50㎖)에 쏟아 넣었다.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철저하게 세척하여 5-브로모-2-(2,6-티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트리플루오로메틸이미다졸(0.6g)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으며, 용융점은 295℃이며 분해된다.
실시예 5
화합물 F
발연질산(95%, 1㎖)중의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트리플루오로메틸이미다졸(1.0g, 0.0027몰) 및 발연화황산(30% 유리 SO31㎖)의 혼합물을 120℃에서 3.5시간 동안 교반하고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냉수(50㎖)에 쏟아 넣고 고체를 여과하여 물로 세척하였다. 수득한 고체를 실리카겔 상의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및 n-헥산(1 : 5)의 혼합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이미다졸(0.7g)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으며, 용융점은 244~252℃이다.
실시예 6
화합물 G
무수 에탄올(80㎖) 및 진한 염산(30㎖)중의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5-디시아노이미다졸(25.3g, 0.08몰)의 용액을 환류에서 69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냉수(200㎖)에 쏟아 넣고 디클로로메탄(2×150㎖)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중탄산나트륨으로 포화 수용액(2×200㎖)으로 추출하고 이것을 pH3으로 조심스럽게 산성화하고 디클로로메탄(100㎖)으로 추출하였다. 수성층을 pH1로 산성화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100㎖)로 추출하였으며, 물(100㎖)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건조상태로 증발시켰다. 고무상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50㎖)으로 처리하고 건조상태로 증발시켜 5-시아노-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4-카르복실산(6.31g)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으며, 이는 80~130℃에서 분해되었다.
실시예 7
화합물 H
디에틸렌글리콜(70㎖)중의 5-시아노-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4-카르복산(7.09g, 0.02몰)의 용액을 170℃에서 질소 대기하에 36시간 동안 교반 및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물(150㎖)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100㎖)로 추출하고 물(50㎖)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건조상태로 증발시켰다. 고체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의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및 페트롤륨에테르(비등점 60~80℃)(1 : 1)의 혼합물로 용리시켜 정제하고, 에틸아세테이트 및 페르롤륨에테르(비등점 60~80℃)의 혼합물에서 재결정하여 5-시아노-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2.15g)을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으며 용융점은 210~212℃에서 분해되었다.
실시예 8
화합물 I
1,1,2,2-테트라클로로에탄(20㎖)중의 5-시아노-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1.0g, 0.0033몰) 및 브롬(1.9g, 0.64㎖, 0.13몰)의 혼합물을 90℃에서 7시간 동안 교반 및 가열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50㎖)을 가하고 용액을 물(50㎖), 이성중아황산나트륨 수용액(50㎖), 물(50㎖)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건조 상태로 증발시켰다. 고체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의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및 페트롤륨에테르(비등점 60~80℃)(3 : 10)의 혼합물로 용리시켜 정제하고, 4-브로모-5-시아노-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2.15g)을 백색고체로서 산출하였으며 용융점은 270.5~272℃에서 분해되었다.
실시예 9
화합물 J 및 K
물(10㎖)중의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5-디시아노이미다졸(3.31g, 0.01몰) 및 수산화나트륨(1.0g, 0.025몰)의 혼합물을 40 ℃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 및 가열하였다. 진한 염산을 혼합물에 가하고 침전된 고체를 여취하고 실리카상에서 중간 압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mplc)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 및 디클로로메탄(1 : 1)의 혼합물에서 용리시켜 정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및 페트롤륨 스피릿(비등점 60~80℃)(1 : 1)의 혼합물에서 백색 고체를 재결정하여 5-시아노-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4-카르복사미드(0.61g) 백색 결정체로서 산출하였으며, 용융점은 254~225℃에서 분해되었다.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5-디시아노이미다졸을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4,5-디시아노-이미다졸로 대치함을 제외하고는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시킴으로써, 5-시아노-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이미다졸-4-카르복사미드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으며, 용융점은 220~222.5℃이다.
실시예 10
화합물 L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5-디시아노 이미다졸을(3.3g, 0.01몰, )에탄올(10㎖) 및 진한 염산(10㎖)의 혼합물을 환류에서 24시간 동안 교반 및 가열하였다. 냉각 후에 혼합물을 물(50㎖)에 쏟아 넣고 디클로로메탄(2×50㎖)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추출액을 물(50㎖)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건조 상태로 증발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상의 mplc에 의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및 페트롤륨 스피릿(비등점 60~80℃)(1 : 1)의 혼합물로 용리시켜 정제하고 에틸 5-시아노-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4-카르복실레이트(0.35g)를 톨루엔 및 페트롤륨 스피릿(비등점 60~80℃)(1 : 2)의 혼합물에서 재결정한 후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으며, 용융점은 180~181이다.
실시예 11
화합물 M
에탄올(20㎖) 및 물(2㎖) 중의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5-디시아노이미다졸을(3.3g, 0.01몰, ) 및 수산화칼륨(85%, 1.64g, 0.025몰)의 혼합물을 환류에서 3.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 후에 혼합물을 물(100㎖)에 쏟아 넣고 진한 염산을 가함으로써 pH1로 산성화하였다. 침전된 고체를 여취하고 80℃ 및 10㎜Hg에거 건조시켜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4,5-디카르복사미드(0.6g)를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으며, 용융점은 306~308℃이다.
실시예 12
화합물 N
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알데히드(5.0g, 0.02몰), 부탄-2,3-디온(1.7g, 0.02몰), 아세트산 암모늄(16.0g, 0.2몰), 및 아세트산(40㎖)의 혼합물을 환류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낮은 부피로 증발시키고 물(100㎖)에 쏟아 넣었다. 혼합물을 pH7로 중화시키고 침전된 고체를 여취하여 톨루엔 및 페트롤륨 스피릿(비등점 60~80℃)(1 : 1)의 혼합물에세 재결정한 후에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5-디메틸이미다졸(0.5g)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으며, 용융점은 281~282℃이다.
실시예 13
화합물 O
피루빅알데히드(40% 수용액, 50㎖)를 메탄올(150㎖) 및 암모니아수(30%, 100㎖)중의 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알데히드(12.15g, 0.05몰)의 용액에 환류에서 교반 및 가열하면서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환류에서 2시간 동안 더 교반 및 가열하고 냉각하고 상청용액을 고무상 유리질로부터 따라 내었다. 용액을 증발시켜 디클로로메탄(3×100㎖)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추출액을 물(2×75㎖)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건조 상태로 증발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상의 mplc에 의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및 디클로로메탄(1 : 4)의 혼합물로 용리시켜 정제하고 툴루엔 및 페트롤륨 스피릿(비등점 60~80℃)(1 : 2)의 혼합물에서 재결정한 후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메틸이미다졸(1.7g)를 회백색고체로서 산출하였으며, 용융점은 211~212℃이다.
실시예 14
화합물 P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메틸이미다졸을(1.0g, 0. 003몰), 질산(70W/W%, 1㎖) 및 황산(98W/W%, 1㎖)의 혼합물을 75℃에서 4시간 동안, 그 다음 100℃에서 2시간 동안 교반 및 가열하였다. 냉각한 후 반응 혼합물을 얼음 및 물(20㎖)의 혼합물에 가하고 침전된 고체를 여취하였다. 툴루엔에서 재결정하여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메틸-5-니트로아미다졸(0.66g)를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으며, 용융점이 316.5~317.5℃이다.
실시예 15
화합물 Q
암모니아 수용액(대략 33W/W%, 1.2㎖)를 교반하면서 디옥산(15㎖)중의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메틸-이미다졸-5-술포닐 클로라이드(2.0g, 0.005몰)의 용액에 적가하고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것을 물(50㎖)에 쏟아 넣고 디에틸에테르(3×25㎖)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추출액을 물(2×50㎖)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건조 상태로 증발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상의 mplc에 의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및 페트롤륨 스피릿(비등점 60~80℃)(1 : 2)의 혼합물로 용리시켜 정제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및 페트롤륨 스피릿(비등점 60~80℃)(1 : 2)의 혼합물에서 재결정하여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메틸이미다졸-5-술폰아미드(0.45g)를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으며, 용융점은 266~267℃이다.
실시예 16
화합물 R
염화 제1주석 2 수화물(18.62g. 0.08몰)의 염산액(36W/W%, 16㎖)중의 용액을 교반하면서 아세트산(100㎖)중의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메틸이미다졸-5-술포닐 클로라이드(6.65g, 0.017몰)의 현탁액에 질소의 대기하에 70℃로 가열하면서 적가하였다. 70℃에서 교반 및 가열을 22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냉각후, 혼합물을 물(350㎖) 및 염산(36W/W%, 5.3㎖)의 혼합물에 쏟아 넣고 에틸 아세테이트(3×100㎖)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추출액을 물(2×100㎖)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건조 상태로 증발하였다. 잔류물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20W/W%, 20㎖)에 용해시키고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들을 제거하였다. 용액을 물(70㎖)로 희석하고 질소의 대기에서 교반하면서 요오드메탄(9.3g, 0.065㎖)로 가열하였다. 22시간 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4×50㎖)로 추루하였다. 합쳐진 추출액을 물(2×50㎖)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건조 상태로 증발시켰다. 잔류물의 실리카상의 mplc에 의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및 페트롤륨 스피릿(비등점 60~80℃)(1 : 5)의 혼합물로 용리시켜 정제하고 톨루엔에서 재결정한 후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메틸-5-메틸티오이미다졸(0.18g)을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으며, 용융점은 243~244℃이다.
참고예 7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메틸이미다졸을(1.0g, 0. 0034몰)을 클로로술폰산(3㎖)에 조금씩 가하고 혼합물을 100℃에서 2시간 동안 교반 및 가열하였다. 냉각 후 티오닐 클로라이드(0.2㎖)를 가하고 혼합물을 100℃에서 2시간 동안 재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주의하여 얼음(20g)에 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20㎖)로 추출하였다. 합쳐친 추출액을 물(20㎖)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건조 상태로 증발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 및 페트룰륨 스피릿(비등점 60~80℃)(1 : 3)의 혼합물에서 재결정하여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메틸이미다졸-5-술포닐 클로라이드(0.21g)를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으며, 용융점은 227~230℃이다.
실시예 17
화합물 S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5.62g, 0.02몰), 질산(70W/W%, 5.6㎖) 및 황산(98W/W%, 5.6㎖)의 혼합물을 70℃에서 모두 51시간 동안 교반 및 가열하였다. 냉각 후, 반응 혼합물을 얼음 및 물(대략 75㎖)이 혼합물로 쏟아 넣고 침전된 고체를 여취하였다. 실리카상의 mplc에 의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및 디클로로메탄(1 : 20)의 혼합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니트로이미다졸(4.21g)을 크리임색 결정성 고체로서 산출하였으며 용융점은 254~255℃이다.
실시예 18
화합물 T
N-브로모숙신이미드(5.07g, 0.028몰)를 클로로포름(300㎖)중의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4.0g, 0.014몰)의 용액에 교반하면서 조금씩 가하였다. 교반을 6시간 동안 계속하고 침전된 고체를 여취하여 4,5-디브로모-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4.46g)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으며 용융점은 328~329℃이다.
실시예 19
화합물 U
디메틸포름아미드(4A 분자체로건조, 18㎖)중의 N-브로모숙신이미드(0.63g, 0.0036몰)의 용액을 교반하면서 디메틸포름아미드(4A 분자체로 건조, 18㎖)중의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1.0g, 0.0036몰)의 용액에 적가하고 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180㎖)에 쏟아 넣고 디클로로메탄(5×30㎖)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추출액을 물(3×50㎖)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건조상태로 증발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상의 mplc에 의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및 페트롤륨 스피릿(비등점 60~80℃)(3 : 5)의 혼합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4-브로모-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0.17g)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으며, 용융점은 224~225℃이다.
참고예 8
글리옥살(40W/W% 수용액, 160㎖, 1.1몰)를 교반하면서 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즈알데히드(48.6g, 0.2몰), 메탄올(600㎖) 및 암모니아(33W/W%수용액, 400㎖)의 혼합물에 환류에서 혼합물을 가열하면서 4시간에 걸쳐서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환류에서 2시간 동안 교반 및 가열하고 냉각하여 메탄올을 증발로 제거하였다. 수성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5×250㎖)으로 추출하고 합쳐진 추출액을 물(3×250㎖)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건조상태로 증발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상의 mplc에 의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및 디클로로포름(1 : 10)의 혼합물로 용리시켜 정제하고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재결정한 후에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6.24g)을 밝은 갈색 고체로서 산출하였으며, 용융점은 193~194℃이다.
실시예 20
화합물 V
4-브로모-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0.9g, 0.025몰), 질산(70W/W%, 1㎖) 및 황산(98W/W%, 1㎖)의 혼합물에 70℃에서 7.5시간 동안 교반 및 가열하였다. 냉각 후에 그것을 얼음 및 물(50㎖)의 혼합물에 가하였다. 침전된 고체를 여취하고 실리카상으 mpcl에 의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및 페트롤륨 스피릿(비등점 60~80℃)(1 : 5)의 혼합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4-브로모-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니트로-이미다졸(0.2g)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으며 용융점은 292~293℃이다.
실시예 21
화합물 W 및 Y
1-아미노-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리덴아미노)-1,2-디시아노에틸렌을 하기 출발 물질로 대치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이전에 설명된 방식으로 진행시킴으로써; 1-아미노-2-(2-브로모-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리덴아미노)-1,2-디시아노에틸렌으로부터, 2-(2-브로모-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5-디시아노이미다졸을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분쇄한 후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으며, 용융점은 139~140℃ 이고; 1-아미노-2-(23,5,6-테트라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리덴아미노)-1,2-디시아노에틸렌으로부터, 톨루엔에서 재결정된 2-(2,3,5,6-테트라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페닐)-4,5-디시아노이미다졸을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으며, 용융점이 245~246.5℃이었다.
참고예 9
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알데히드를 하기 출발 물질로 대치함을 제외하고는 참고예 1에서 이전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함으로써; 2-브로모-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알데히드로부터, 1-아미노-2-(2-브로모-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리덴아미노)-1,2-디시아노에틸렌을 끈적끈적한 황색 고체로서 제조하였으며; 2,3,5,6-테트라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벤즈알데히드로부터, 톨루엔에서 결정된 1-아미노-1,2-다시아노-2-(2,3,5,6-테트라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리덴아미노)에틸렌을 황색 결정성 고체로서 제조하였으며 용융점이 191~191.5℃이었다.
참고예 10
2,3,5,6-테트라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벤질 브로마이드(6.48g, 0.016몰)를 2-니트로프로판(1.95g, 0.021몰) 및 에탄올 중의 소듐 에톡시드(나트륨으로부터, 0.36g, 0.016몰 및 에탄올 95㎖)의 혼합물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66시간 동안 교반하고 건조 상태로 증발시켰다. 잔류믈을 물(50㎖)로 처리하고 디에틸 에테르(2×50㎖)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추출액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 50㎖), 물(2×75㎖)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건조상태로 증발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상의 mplc에 의하여 n-헥산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2,3,5,6-테트라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벤즈알데히드(2.79g)을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으며, 용융점은 98.5~100℃이다.
참고예 11
2,3,5,6-테트라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벤질 브로마이드를 하기 출발 물질로 대치함을 제외하고는 참고예 10에서 이전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함으로써; 2-브로모-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브로마이드로부터 2-브로모-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알데히드를 유동성 황색 오일로서 제조하였다.
〔NMR (CDCl3) 화학적 이동 7.5~8.2ppm (다중선, 3H) ; 10.3 ppm(s,1H)〕
참고예 12
사염화탄소(34㎖)중의 2,3,5,6-테트라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톨루엔 (13.46g 0.041몰) 및 N-브로모숙신이미드(7.26g, 0.041몰)의 혼합물을 환류에서 21시간 동안 교반 가열하였다. 냉각한 후 혼합물을 여과하여 여액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 2×100㎖), 물(100㎖)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건조 상태로 증발하였다. 잔류물을 재결정하여 2,3,5,6-테트라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벤질 브로마이드(8.17g)를 백색 결정성 고체로서 산출하였으며 용융점은 117~118.5℃이다. 2,3,5,6-테트라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톨루엔을 2-브로모-4-트리플루오로메틸톨루엔으로 대치함을 제외하고는 유사한 방법으로 진행함으로써, 2-브로모-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 브로마이드를 유동성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2-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10.1g)을 브롬화수산(50%;50㎖)에 용해시키고 0~5℃의 아질산 나트륨(2.8g)으로 처리하였다. 디아조늄 용액을 브롬화수소산(50㎖)에 용해된 브롬화 제1구리(8.6g)로 처리하고 용액을 주위 온도로 가온되게 하고 증기 증류하였다. 증류액을 에테르(3×100㎖)로 추출하고 함유된 합쳐진 추출액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증발하여 오일을 산출하고 이를 증류하여 2-브로모-4-트리플루오로메틸톨루엔(9.5g)을 산출하였으며, 비등점은 98~101℃/45㎜Hg이다.
2-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니트로벤젠(14.8g)을 에탄올(100㎖)에 용해시키고 주위온도 및 압력에서 팔라듐/차아콜(10%;0.5g)의 존재하에 수소화하였다. 용액을 여과하고 건조 상태로 증발하여 2-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10.1g)을 엷은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4-트리플루오로메틸톨루엔(12.8g)을 60~70℃에서 진한 질산(25㎖) 및 진한 황색(25㎖)의 혼합물로 5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 용액을 얼음(0.5L)상에 쏟아 붓고 에테르(3×100㎖)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에테르 추출액을 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건조 상태로 증발하여 2-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니트로 벤젠(14.8g)을 엷은 황색 오일로서 산출하였다.
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알데히드(20.0g)를 아세트산(100㎖)에 용해시키고 플라티늄(0.5g)의 존재하에 주위 온도 및 압력에서 10시간 동안 수소로 처리하였다. 용액을 여과하여 물(400㎖)에 쏟아 넣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2M)을 첨가하여 염기성화하고 에테르(3×100㎖)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추출액을 물(2×100㎖)로세척하고 무슨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건조 상태로 증발시킨다. 잔류물을 증류하여 4-트리플루오로메틸톨루엔(14.3g)을 무색 유동성 액체로서 산출하였으며 비등점이 131~132℃이다.
참고예 13
건조한 디클로로메탄(300㎖)중의 4-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톨루엔(10g, 0.052몰) 및 무수염화 제2철(2.3g, 0.014몰)의 혼합용액속으로 1.7시간동안 염소기체를 거품을 내게하였으며, 이동안 온도가 30℃로 상승하였다.
질소를 혼합물속으로 거품을 내게하여 여분의 염소를 제거하고 혼합물을 물(4×200㎖)로 세척하고 무수 황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건조 상태로 증발하였다. 잔류물을 수성 에탄올(1 : 1)에서 재결정하여 2,3,5,6-테트라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톨루엔(16.25g)을 무색 프리즘으로 산출하였으며 용융점은 49.5~50.5℃이다.
실시예 22
화합물 Z
아세토니트릴(5㎖)중의 요오도트리메틸실란(2.83g, 0.014몰)의 용액을 교반하면서 아세토니트릴(250㎖)중의 4-(3차-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시아노-2-(2,4-디클로로페닐)이미다졸(5.0g, 0.014몰)의 현탁액에 적가하였으며 그동안 온도는 약 0℃로 유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약 48시간 동안 교반하고 침전된 베이지색 고체를 여취하였다. 고체를 실리카상의 mplc에 의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및 헥산(1 : 2)의 혼합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회백색 고체를 산출하고 에탄올에서 재결정하여 4-아미노-5-시아노-2-(2,4-디클로로페닐)이미다졸(1.35g)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으며 용융점은 223~225℃이다.
실시예 23
화합물 BB
2-메틸-2-프로판올(수소화 칼슘으로 증류되어 건조됨, 1400㎖)중의 5-시아노-2-(2,4-디클로로페닐)이미다졸-4-카르복실산(40.0g, 0.142몰), 디페닐포스포닐 아지드(37.0g, 0.14몰) 및 트리에틸아민(14.4g, 19.8㎖, 0.412몰)의 혼합물을 환류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한 후에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건조상태로 증발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250㎖)에 용해시키고 염산(1M, 250㎖), 중탄산나트륨포화 수용액(2×250㎖)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건조 상태로 증발하였다. 잔류물을 에탄올에서 재결정하여 4-(3차-부톡시카르보닐아미드)-5-시아노-2-(2,4-디클로로페닐)이미다졸(22.2g)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으며 용융점은 185℃(분해)이다.
실시예 24
화합물 CC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5-디시아노이미다졸을 2-(2,4-디클로로페닐)-4,5-디시아노이미다졸로 대치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 이전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함으로써; 5-시아노-2-(2,4-디클로로페닐)이미다졸-4-카르복실산을 제조하였으며, 용융점은 206~209℃(분해)이다.
실시예 25
화합물 AA
삼플루오르화 N,N-디에틸아미노황(11.4㎖, 0.086몰)을 2-메톡시에틸 에테르(18㎖)중의 2-(2,4-디클로로페닐)이미다졸-4,5-카르복실산(5.05g, 0.017몰)의 교반작용에 적가하였으며, 이동안 온도를 0℃이하로 유지하였다. 플루오로화나트륨(1.82g, 0.04몰)을 가하고 혼합물을 80~85℃에서 41시간동안 교반 및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물(100㎖)에 가하고 디클로로메탄(2×100㎖)으로 추출하였다. 혼합 추출물을 물(100㎖)로 세척하고, 무수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건조 상태로 증발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상의 mplc에 의하여 에탈 아세테이트 및 n-헥산(1 : 2)의 혼합물로 용리시켜 N,N-디에틸 2-(2,4-디클로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이미다졸-4-카르복사미드(0.27g)를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으며 용융점은 186.5~190℃이다.
실시예 26
화합물 DD
2-(2,4-디클로로페닐)-4,5-디시아노이미다졸(10.05g, 0.038몰), 빙초산(41㎖), 진한 황상(19㎖) 및 물(9.4㎖)의 혼합물을 120~125℃로 1.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 후에 혼합물을 물(300㎖)에 쏟아 넣고 침전된 고체를 여취하여 진공(50㎜Hg에서 100℃)에서 건조시켜 2-(2,4-디클로로페닐)이미다졸-4,5-디카르복실산(10.24g)을 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으며, 용융점은 237.5~238.5℃이다.
실시예 27
화합물 X
삼플루오르화 디에틸아미노황(1.5㎖)을 2-메톡시에틸에테르(11㎖)중의 5-시아노-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4-카르복실산(1.4g, 0.004몰)의 교반된 현탁액에 적하였으며, 이동안 온도를 약 0℃에서 유지하였다. 플루오르화 칼슘(0.67g, 0.0115몰)을 가하고 혼합물을 0℃에서 0.5시간 동안 교반시켰으며, 온도를 0~5℃의 범위로 유지하면서 디클로로메탄(75㎖)중의 디에틸아민(8.8g, 12.5㎖, 0.12몰)의 용액에 천천히 가하였다. 혼합물을 0~5℃에서 1시간 동안 그리고 실온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중탄산나트륨 포화용액(50㎖)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건조 상태로 증발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상의 mplc에 의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및 디클로로메탄(1 : 2)의 혼합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N,N-디에틸-5-시아노-2-(2,6-티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4-카르복사미드(0.26g)을 회백색 고체로서 산출하였으며 용융점은 195~197℃이다.
대표적인 일반식(I)의 화합물상에서 수행된 절지동물에 대한 적용에 관한 실험에서 다음의 결과(여기에서, ppm은 적용 시험 용액의 백만분율로서의 화합물의 농도를 가리킨다)가 수득된다 :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시험 화합물의 희석액은 50% 수성 아세톤내에서 만들어진다.
시험 종 : 플루텔라 크실로스텔라(Plutella xylostella)
(다이아몬드-백 나방)
순무우 잎 디스크를 페트리-디쉬내의 한천내에 놓고 10마리의 2차 영충 플루텔라 유충으로 감염시킨다. 네 개의 사본(replicate)디쉬를 각각 처리하고 포터 타워하에서 적당한 시험 회석액으로 분무시킨다. 처리 후 4 또는 5일째에 디쉬가 보관되어 있는, 일정 온도(25℃)의 방에서 디쉬를 제거하고 유충의 평균 치사 백분율을 결정한다. 이 데이타를 대조로 사용된 50% 수용성 아세톤 단독으로 처리된 디쉬내의 치사율에 대해 보정한다.
이하 기재되어 있는 화합물은, 100ppm의 희석액으로 처리시, 90% 이상의 플루텔라 크실로스텔라 유충의 차시율을 보여준다. 화합물 A, B, C, E, F, 및 T
[화학식 1]
Figure kpo00003
[화학식 2]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Claims (30)

  1. 식중 R2와 R3가 동시에 수소원자를 나타내는 화합물은 제외한 하기 일반식(I)의 2-페닐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그의 살충학상으로 허용가응한 염을 항유하는 절지동물, 식물 선충류, 기생충 및 원생동물 해충의 억제용 조성물 :
    Figure kpo00011
    상기 식중, R1은 수소원자 또는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축쇄 알콕시, 알킬티오, 알킬술피닐 또는 알킬술포닐기에 의해, 또는 시아노 또는 카르복시기에 의해, 또는 2 내지 7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 카르보닐기에 의해 임의 치환된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잭쇄 또는 측쇄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및 R3는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수소 또는 할로겐원자, 니트로, 카르복시 또는 시아노기, 2 내지 7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알콕시카르보닐 또는 알카노일기, 1 내지 6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에 의해 각각 치환될 수도 있는 카르바모일 또는 술파모일기,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및 2 내지 7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카르보닐 및 알카노일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개의 치환체에 의해 질소 원자 상에서 치환될 수 있는 아미노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식 R, RO, RS, RSO, 또는 RSO2의 기(식중, R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를 나타낸다)를 나타내며, Ar은 임의 치환된 하기 일반식 Ⅱ의 2,4-이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낸다 :
    Figure kpo00012
    상기 식중, R4및 R6는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할로겐원자 또는 식 R, RO, RS, RSO 또는 RSO2의기 (식중, R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를 나타낸다)를 나타내고 ; R5, R7및 R8은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R4및 R6에 대해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치환체를 나타내거나, 또는 수소원자, 히드록시, 카르복시, 니트로, 시아노 또는 아미노기,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에 의해 또는 2 내지 7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카르보닐 또는 알카노일기에 의해 원구상에서 치환될 수도 있는 1 내지 6 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 아미노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2 내지 7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카르보닐 또는 알카노일기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식물에 있어 절지 동물 또는 선충류 해충의 억제용 조성물.
  3. 2-(2,4-디클로로페닐)-4,5-디시아노이미다졸을 제외한, 제1항에 있어서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I)의 2-페닐 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그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함 염.
  4. 제3항에 있어서, 식중 R1이 수소원자를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식중, R2및 R3가 모두 수소원자 이외의 다른 것인 화합물 또는 그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6. 제3항에 있어서, 식중 Ar이 할로겐원자로, R, RO, RS, RSO 또는 RSO2부터 선택된 같거나 다를 수 있는 치환체를 갖는 2-R4-4-R6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7. 제6항에 있어서, 식중 Ar이 6-위치에서 치환제를 갖는 페닐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8. 제3항에 있어서, 식중 Ar이 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 또는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9. 제3항에 있어서, 식중 R2가 할로겐원자, 니트로,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식 R, RO, RS, RSO, 또는 RSO2의 기(식중, R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를 나타낸다)를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0. 제3항에 있어서, 식중 R3가 할로겐원자, 니트로,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1. 제3항에 있어서, 식중 R4가 할로겐원자를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2. 제3항에 있어서, 식중 R6가 식 R, RO, RS, RSO, 또는 RSO2의 기(식중, R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원자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를 나타낸다)를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3. 제12항에 있어서, 식중 R6이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4. 제3항에 있어서, 식중 R8가 할로겐원자를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5. 제3항에 있어서, 식중 R1이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2가 하나, 둘 또는 세개의 불소원자에 의해 치환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메틸티오, 메틸술피닐 또는 메틸술포닐기를 나타내고, R3가 할로겐원자, 니트로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6. 제3항에 있어서, 식중, R1이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2및 R3가 같거나 다를 수도 있으며, 각각 수소 또는 할로겐원자, 니트로, 카르복시 또는 시아노기, 2 내지 7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카르보닐기, 각각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에 의해 치환될 수도 있는 카르바모일 또는 술파모일기,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및 2 내지 7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카르보닐 및 알카노일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개의 치환체에 의해 질소원자상에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또는 알킬티오기를 나타내며, 및 R4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R6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거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된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 알콕시 또는 알칼티오기를 나타내며, R5및 R7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8이 수소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며, R2및 R3가 동시에 수소원자를 나타내지 않는 화합물 또는 그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7.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5-디시아노이미다졸,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4,5-디시아노이미다졸, 2-(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5-디시아노이미다졸, 2-(2, 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트리플루오로메틸이미다졸, 5-브로모-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트리플로오로메틸이미다졸,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이미다졸, 5-시아노-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4-카르복실산, 5-시아노-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 4-브로모-5-시아노-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 5-시아노-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4-카르복사미드, 5-시아노-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이미다졸-4-카르복사미드, 에틸 5-시아노-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4-카르복실레이트,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4,5-디카르복사미드,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5-디메닐이미다졸,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메틸이미다졸,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메틸-5-니트로이미다졸,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메틸이미다졸-5-술폰아미드,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메틸-5-메틸티오이미다졸,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니트로이미다졸, 4,5-디브르모-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 4-브로모-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 4-브로모-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니트로이미다졸, 2-(2-브로모-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5-디시아노이미다졸, 2-(2,3,5,6-테트라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5-디시아노이미다졸, 4-아미노-5-시아노-2-(2,4-디클로로페닐)이미다졸, 4-(t-부록시카르보닐아미노)-5-시아노-2-(2,4-디클로로페닐)이미다졸, 5-시아노-2-(2,4-디클로로페닐)이미다졸-4-카르복실산, N,N-디에틸 2-(2,4-디클로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이미다졸-4-카르복사미드, 2-(2,4-디클로로페닐)이미다졸-4,5-디카르복실산, 또는 N,N-디에틸 5-시아노-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4-카르복사미드인 제1항에서 정의된 일반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8. 화합물 A :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5-디시아노이미다졸, 화합물 B :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4,5-디시아노이미다졸, 화합물 E: 5-브로모-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트리플로오로메틸이미다졸, 화합물 F: 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이미다졸, 화합물 T: 4,5-디브로모-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다졸, 또는 화합물 V 4-브로모-2-(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니트로이미다졸인 제1항에서 정의된 일반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9. 하기 일반식 : R9(NH2)C=(CN)N=CHAr
    〔상기 식중, R9는 시아노기 또는 제1항에 있어서 정의된 바와 같은 임의로 치환된 카르바모일기를 나타내고 Ar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의 화합물은 산화적 고리화 반응시킴으로써, R1이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2가, 시아노 또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임의로 치환된 카르바모일기를 나타내며, R3가 시아노기를 나타내고, Ar은 제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제1항에 나타낸 일반식(I)의 화합물을 수득한 다음, 수득된 화합물을 공지된 방법에 의해 일반식 (I)의 다른 화합물로 전환시키거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염으로 전화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4항에 청구된 2-페닐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그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 방법.
  20. 활성 성분으로서, 제1항에서 정의된 일반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양립가능한 희석제 또는 담체와 혼합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 조성물이 2-(2,4-디클로로페닐)-4,5-디시아노이미다졸인 일반식 (I)의 단일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을 때에는, 조성물이 약젝하적으로 허용가능한 보조제 또는 사료를 포함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멸균되어 있으며 발열성 물질이 없거나, 또는 단위 투여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 조성물.
  21. 식중 R2및 R3가 수소원자에 의해 대치되고 R1및 Ar이 제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22. 수산화 암모늄의 존재하에 상응하는 벤즈알데히드를 타르타르산 디니레이트와 반응시킴으로써, R1이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2와 R3가 모두 카르복시를 나타내며, Ar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제1항에 나타낸 일반식(I)의 화합물을 수득한 다음, 수득한 화합물을 공지된 방법에 의해 일반식 (I)의 다른 화합물로 전환시키거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으로 전환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3항에 청구된 2-페닐이미아졸 유도체 또는 그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23. 염화수소의 존재하에 상응하는 벤즈알데히드를 시아오겐과 반응시킴으로써, R1수소 나타내고, R2와 R3가 모두 염소를 나타내며, Ar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제1항에 나타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한 다음, 수득된 화합물을 공지된 방법에 의해 일반식 (I)의 다른 화합물로 전환시키거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으로 전환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3항에 청구된 2-페닐이미아졸 유도체 또는 그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24. 암모니아의 존재하에 상응하는 벤즈알데히드를 알파-케토알데히드와 반응시킴으로써, R1이 수소를 나타내고, R2가 제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임의로치환된 알킬기를 나타내며, R3가 수소를 나타내고, Ar은 제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제1항에 나타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한 다음, 수득한 화합물을 공지된 방법에 의해 일반식 (I)의 다른 화합물로 전환시키거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으로 전환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3항에 청구된 2-페닐이미아졸 유도체 또는 그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25. 아세트산 암모늄의 존재하에 상응하는 벤즈알데히드를 다알킬 글리옥살과 반응시킴으로써, R1이 수소를 나타내고, R2와 R3가 모두 제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임의로 치환된 알킬을 나타내며, Ar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제1항에서 나타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한 다음, 수득된 화합물을 공지된 방법에 의해 일반식 (I)의 다른 화합물로 전환시키거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으로 전환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3항에 청구된 2-페닐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그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26. 탄산칼슘 및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알킬기 금속 알콕시드 및 알칸올의 존재하에 하기 일반식 : NC-N=C(Ar)NHR1
    〔상기 식중, Ar 및 R1은 제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의 화합물을 브로모메틸알킬케톤과 반응시킴으로써, R2가 알카노일기를 나타내고 R3가 아미노기를 나타내며 R1및 Ar은 제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제1항에 나타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한 다음, 수득된 화합물을 공지된 방법에 의해 일반식 (I)의 다른 화합물로 전환시키거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으로 전화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3항에 청구된 2-페닐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그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 방법.
  27. 트리에틸아민 또는 알칸올내의 알칼리 금속 알콕시드의 존재하에 하기 일반식 : NC-N=C(Ar)OCH3
    〔상기 식중, Ar 및 R1은 제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의 화합물을(임의로 치환된 아미노)아세토니트릴 히드로클로라이드와 반응시킴으로써, R2가 시아노를 나타내고 R3가 아미노를 나타내며 Ar은 제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제1항에 나타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한 다음, 수득된 화합물을 공지된 방법에 의해 일반식 (I)의 다른 화합물로 전환시키거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으로 전화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3항에 청구된 2-페닐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그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 방법.
  28. 클로로포름내에서 피리딘의 존재하에 하기 일반식 :
    Cl-N= C(Ar)NHR1
    〔상기 식중, Ar 및 R1은 제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의 화합물을 1-(임의로 치환된 알킬)-2-트리메틸실릴옥시에틸렌과 반응시킴으로써, R2가 임의로 치환된 알킬을 나타내고 R3가 수소를 나타내며 R1및 Ar은 제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제1항에 나타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한 다음, 수득된 화합물을 공지된 방법에 의해 일반식 (I)의 다른 화합물로 전환시키거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으로 전화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3항에 청구된 2-페닐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그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 방법.
  29. 하기 일반식 : ArCOOCH(알킬)C(=O)알킬
    〔상기 식중, Ar 및 R1은 제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의 화합물을 아세트산 암모늄 및 아세트산과 반응시킴으로써, R1이 수소를 나타내고 R2와 R3가 모두 임의로 치환된 알킬기를 나타내며, Ar은 제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제1항에 나타낸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한 다음, 수득된 화합물을 공지된 방법에 의해 일반식 (I)의 다른 화합물로 전환시키거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으로 전화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3항에 청구된 2-페닐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그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 방법.
  30. R2와 R3가 모두 수소로 대치되고 Ar은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제1항에 나타낸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공지의 방법에 의해 R2와 R3중 하나 또는 모두가 수소가 아닌 다른 기를 나타내는 화합물로 전환시킨 다음, 수득된 화합물을 공지된 방법에 의해 일반식 (Ⅰ)의 다른 화합물올 전환시키거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으로 전환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3항에 청구된 2-페닐아미다졸 유도체 또는 그의 살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 방법.
KR1019880002355A 1987-03-05 1988-03-05 2-페닐이미다졸유도체,그의용도및그를함유하는조성물 KR9600113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78705183A GB8705183D0 (en) 1987-03-05 1987-03-05 Compositions of matter
GB8705183 1987-03-05
GB878724192A GB8724192D0 (en) 1987-10-15 1987-10-15 Composition of matter
GB8724192 1987-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118A KR880011118A (ko) 1988-10-26
KR960011378B1 true KR960011378B1 (ko) 1996-08-22

Family

ID=26291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2355A KR960011378B1 (ko) 1987-03-05 1988-03-05 2-페닐이미다졸유도체,그의용도및그를함유하는조성물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0283173A1 (ko)
KR (1) KR960011378B1 (ko)
CN (1) CN1024887C (ko)
AU (1) AU615898B2 (ko)
BR (1) BR8801041A (ko)
DK (1) DK115288A (ko)
FI (1) FI97616C (ko)
HU (1) HU206244B (ko)
IL (1) IL85556A (ko)
MY (1) MY103561A (ko)
NZ (1) NZ223734A (ko)
OA (1) OA08721A (ko)
PH (1) PH25484A (ko)
PL (1) PL154259B1 (ko)
PT (1) PT869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06479D0 (en) * 1989-04-17 1990-05-23 Ici Plc Novel compounds
CZ284824B6 (cs) * 1989-05-05 1999-03-17 Rhone-Poulenc Agrochimie 1-Arylimidazoly, způsob jejich výroby a meziprodukty v tomto způsobu, prostředky, které je obsahují a jejich použití
US5223525A (en) * 1989-05-05 1993-06-29 Rhone-Poulenc Ag Company Pesticidal 1-arylimidazoles
YU47834B (sr) * 1989-08-10 1996-01-09 Schering Agrochemical Limited Azolni pesticid
CA2028925A1 (en) * 1989-11-06 1991-05-07 Gerald R. Girard Substituted n-(imidazolyl)alkyl alanine derivatives
JPH06511260A (ja) * 1992-07-13 1994-12-15 チバ−ガイギー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イミダゾール誘導体
DE4343613A1 (de) * 1993-12-21 1995-06-22 Bayer Ag N-substituierte Aryl-trifluormethylimidazole
DE19613172A1 (de) * 1996-04-02 1997-10-09 Bayer Ag Verwendung von substituierten Aryl-imidazolen
DE10132896A1 (de) * 2001-07-06 2003-01-16 Bayer Cropscience Ag Heterocyclische Amidderivat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60982A (en) * 1970-08-27 1974-07-24 Beecham Group Ltd Derivatives of 1-phenyl-5-aminoimidazole and compositions thereof
GB1319840A (en) * 1970-08-27 1973-06-13 Beecham Group Ltd Substituted 5-amino imidazoles
JPS5238014B2 (ko) * 1973-08-10 1977-09-27
AU509058B2 (en) * 1977-09-12 1980-04-17 Ici Australia Limited 2-Phenyl-4, 5-Dicyano imidazole Deriva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97616B (fi) 1996-10-15
HUT47382A (en) 1989-03-28
PH25484A (en) 1991-07-24
DK115288D0 (da) 1988-03-03
NZ223734A (en) 1991-01-29
AU615898B2 (en) 1991-10-17
MY103561A (en) 1993-08-28
HU206244B (en) 1992-10-28
CN1030577A (zh) 1989-01-25
KR880011118A (ko) 1988-10-26
BR8801041A (pt) 1988-10-18
PT86909A (pt) 1988-04-01
FI97616C (fi) 1997-01-27
OA08721A (en) 1989-03-31
AU1265488A (en) 1988-09-08
PL154259B1 (en) 1991-07-31
IL85556A (en) 1994-06-24
CN1024887C (zh) 1994-06-08
PT86909B (pt) 1992-05-29
EP0283173A1 (en) 1988-09-21
FI881000A0 (fi) 1988-03-03
FI881000A (fi) 1988-09-06
DK115288A (da) 1988-09-06
IL85556A0 (en) 1988-08-31
PL270981A1 (en) 198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70650B2 (ja) N‐フェニルピラゾール誘導体
DK175070B1 (da) N-phenylpyrazolderivat, en fremgangsmåde og mellemprodukter til dets fremstilling, et arthropodicidt, plantenematodicidt, anthelmintisk eller antiprotozoisk middel indeholdende forbindelsen og en fremgangsmåde til bekæmpelse af skadelige arthropoder,....
EP0403300B1 (en) N-Phenylpyrazole derivatives
JP3100053B2 (ja) 殺虫剤としてのn―フェニルピラゾール誘導体
KR960012171B1 (ko) N-페닐 피라졸 유도체
US5380865A (en) 2-(substituted phenyl)imidazoles and pesticidal compositions comprising them
JP2877359B2 (ja) N‐フェニルピラゾール‐4‐イルエーテル誘導体
KR960011378B1 (ko) 2-페닐이미다졸유도체,그의용도및그를함유하는조성물
EP0403309B1 (en) N-Phenylpyrazole derivatives
US5177100A (en) N-phenylpyrazole derivatives
DK175878B1 (da) 5-Amino-1-(2,6-dichlor-4-trifluormethylphenyl)-3-cyano-4-trifluor-methylsulfonyl-pyrazol, et arthropodicidt, plantenematodicidt, anthelmintisk eller antiprotozoisk præparat indeholdende forbindelsen, en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JPS63238065A (ja) 2‐フェニルイミダゾール誘導体を用いる殺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