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949B1 - 수신기 - Google Patents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949B1
KR960008949B1 KR1019890003256A KR890003256A KR960008949B1 KR 960008949 B1 KR960008949 B1 KR 960008949B1 KR 1019890003256 A KR1019890003256 A KR 1019890003256A KR 890003256 A KR890003256 A KR 890003256A KR 960008949 B1 KR960008949 B1 KR 960008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ing circuit
frequency data
frequency
recep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3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5521A (ko
Inventor
유조 오까자끼
Original Assignee
이우에 사또시
상요덴기 가부시끼가이샤
요네야마 고우다로우
도또리상요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40543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6000894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에 사또시, 상요덴기 가부시끼가이샤, 요네야마 고우다로우, 도또리상요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우에 사또시
Publication of KR890015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5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4Automatic detun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1/00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 H03J1/0008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 H03J1/0058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provided with channel identification means
    • H03J1/0083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provided with channel identification means using two or more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distribution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systems
    • H04H20/22Arrangements for broadcast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 H04H60/43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for identifying broadcas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3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radio data system/radio broadcast data system [RDS/RB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6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in that the receiver comprises more than one tu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Channel Selection Circuits, Automatic Tuning Circuit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수신기
제1도는 RDS 데이타의 1 그룹에서의 데이타 포맷을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3도는 표시기를 도시한 도면.
제4a~제4d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제5a~제5d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8a도~제8c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제9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10a도 및 제10b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챠트.
제11a도~제11c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제12a도~제12d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제13도는 데이타 메모리의 기억 영역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테나 2 : 제1동조 회로
3 : 제2동조 회로 4 : 멀티플렉서
5 : 앰프 6 : 스피커
7 : RDS 디코더 8 : 표시기
9 : 구동 회로 10, 11 : A/D 변환기
12, 13 : 프리세트키 14 : 메모리키
15 : 밴드키 16 : AF키
17 : I/O 포트 18 : CPU
19 : 프로그램 메모리 20 : 데이타 메모리
21 : 선택 메모리 22 : 타이머
본 발명은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재 수신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 상태가 악화한 경우에, 동일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는 다른 방송국의 주파수로 수신 주파수를 자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교통 정보국 식별을 위한 데이타 신호를 FM 라디오 신호로 다중화하여 방송하는 시스템(Autofahrer Rundfunk Information : 양칭 ARI)이 독일 등에서 실시되고 있다.
이 ARI는, FM 방송의 파이롯트 신호(19KHz)의 3차 고조파(57KHz)를 서브 캐리어로 하고, 이 서브 캐리어를 교통 정보국 식별을 위한 데이타 신호로 진폭 변조하고, 이것을 메인 캐리어로 주파수 변환한 후 FM 라디오 신호로 다중화하여 전송하도록 하고 있었다. 수신측에서는, FM 라디오 신호로 다중화된 교통정보국 식별을 위한 신호를 복조함으로써, 교통 정보를 공급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을 용이하게 하고 있었다.
그러나, ARI 시스템은 교통 정보국의 식별에 관한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이고, 그 이상의 서비스를 공급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같은 57KHz의 서브 캐리어를, ARI의 위상과 90°다른 위상으로 바이페이즈(bi~phase) 코드화된 데이타 신호를 반송파 억압형 진폭 변조하고, 이 변조된 신호의 양측파대 신호를 FM 라디오 신호로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시스템(Radio Data System : 약칭 RDS)가 제창되었다. 이 RDS의 규격은, 유럽 방송연맹(EBU)가 통합된 RDS의 사양서(Specifications of the Radio Data System RDS for VHF~FM Sound Broadcasting, EBU Document Tech. 3244~E, Mar. 1984)에 표시되어 있다. 이 사양서에 의하면, RDS에 의하여 공급되는 서비스 데이타(이하, RDS 데이타라 칭함)은, 각각이 26비트로 이루어지는 4개의 블럭으로 1그룹을 형성하고 있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블럭은, 16비트의 정보 워드와, 10비트의 체크 워드 및 오프셋 워드를 포함한다. 수신측에서는, 정보 워드를 데이타 복조함으로써 여러가지 서비스의 공급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체크 워드는, 데이타 오류의 검출과 정정을 하기 위한 부호이다. 오프셋 워드는, 그 블럭의 개시점과, 그 블럭이 그룹내의 몇번째 블럭인가를 표시하는 데이타이다.
제1도의 데이타 포맷에 의거하여, RDS 데이타의 기본적인 정보를 설명한다.
제1블럭에는, 프로그램 식별 코드(PI 코드)가 부여되고 있다. 이 PI 코드는,
(1) 국별 코드(4비트)
(2) 방송 범위 코드(4비트)
(3) 프로그램 참조 번호 코드(8비트)의 합계 16비트로 구성된다. 즉, PI 코드는, 그 방송이 어느 나라 방송인지, 타국에서도 같은 방송이 행해지고 있는지, 국부 프로그램인지 주 프로그램인지에 관한 정보를 미리 정해진 규약에 기인한 코드 데이타로서 포함한다. 따라서, 이 코드를 이용하여 동일 번호 방송의 인식이 가능하게 된다.
제2블럭에는, 그룹 타입 코드(4비트)와 버젼 코드 BO(1비트)를 합하여 5비트로 이루어진 그룹 타입 식별 코드가 부여되고 있다. 이 그룹 타입 식별 코드는, 그 후에 이송되는 데이타에는 무엇이 포함되어 있는가를 식별시키기 위한 것이다. 5비트의 그룹 타입 식별 코드에 의하여, 이론적으로는 25=32 종류의 그룹 타입을 식별 가능하다. 그러나, 현재로는 9개의 그룹 타입에 대해서 정의가 부여되고 있고, 이 이외의 그룹 타입은 장래의 사용에 대비해서 미정의되어 있다.
그룹 타입 식별 코드에 계속해서,
(1) 교통 프로그램 코드(TP 코드 : 1비트)
(2) 프로그램 타입 코드(PTY 코드 : 5비트)
(3) 교통 아나운스 코드(TA 코드 : 1비트)
(4) 음악/스피치 스위치 코드(M/S 코드 : 1비트)
(5) 디코드 식별 코드(DI 코드 : 1비트)
(6) 프로그램 서비스 네임 세그먼트 어드레스 코드(C1,CO : 2비트)가 부여되고 있다.
상기 데이타에서, TP 코드와 TA 코드는 방송중인 국이 교통 정보국인가, 또는 그것이 현재 방송 중인가를 각각의 코드의 조합으로 표시하고 있다.
PTY 코드는, 0~31의 32종류 프로그램 타입(음악 프로그램, 뉴스 프로그램, 스포츠 프로그램 등)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고, 미리 정해진 규약에 의거하여 정의되어져 있다.
M/S 코드는, 0이면 스피치, 1이면 음악이 방송 중인 것을 표시하고 있다.
DI 코드는, 보내져 오는 방송파를 복조하기 위한 디코드 정보를 부여하는 것으로, 1비트가 부여되어 있으나, 이것을 4회 반복해서 수신함으로써 4비트의 정보(16종류의 디코드 정보)를 얻어지게 하고 있다.
프로그램 서비스 네임 세그먼트 어드레스 코드(C1,C0)는 전술한 그룹 타입에 의하여 발휘하는 기능이 다르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PS 코드의 어드레스를 표시하는 것이다.
제3블럭에는, 8비트의 선택적인 프리켄시즈 코드(AF 코드)가 2개 부여된다. 편의상, 한쪽의 AF 코드를 제1AF 코드, 다른쪽 AF 코드를 제2AF 코드라 칭한다.
이 AF 코드는, 현재 방송 중인 국과 동일한 프로그램을 방송 중인 다른 방송국(이하, AF국이라 칭함)의 수와 그 주파수 데이타를 전송한다. 8비트의 AF 코드는 0에서 255까지의 번호를 나타낼 수 있으나, 그 중, 0~205까지의 번호는 100KHz 마다의 주파수 데이타와 대응하고 있다.
번호
Figure kpo00001
이에 따라 위의 번호 중 224에서 249까지에는 다른 의미가 부여되고 있다. 즉, 다음과 같이 AF국이 몇 국 존재하는지의 정보에 대응하고 있다.
Figure kpo00002
현재, 예를 들면 4개의 AF국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 경우, 최초로 송신하는 RDS 데이타 중의 제1AF 코드에는 AF국의 수를 표시하는 번호 228이 부여되고, 제2AF 코드에는 캐리어 주파수를 표시하는 번호가 부여된다.
다음으로 송신하는 RDS 데이타 중의 제1 및 제2AF 코드에는, 2번째와 3번째의 주파수 데이타가 부여된다. 최후로 송신하는 RDS 데이타의 제1AF 코드에는 4번째의 주파수 데이타가 부여되고, 제2AF 코드에는 임시 코드(번호 205)가 부여되어서, AF 코드의 송신이 종료한다. 이후, 동일한 송신이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따라서, 수신측에서는 AF 코드를 반복 수신하여 복조하면, 현재 수신 중 방송 프로그램과 동일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는 타국의 주파수 데이타가 리스트로서 얻어지게 된다.
제4블럭에는, 방송국명이 아스키 코드로 보내져 오는 프로그램 서비스 네임 코드(PS 코드)가 부여되고 있다. 아스키 코드는 1문자에 대해서 2진 코드로 8비트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4블럭에서는 2문자분 밖에 전송할 수 없다. RDS에서는 방송국명은 8문자로 부여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4회의 데이타를 수취하여 비로소 8문자분의 아스키 데이타를 얻게 된다. 이때, 현재 송신되고 있는 PS 코드는 8분자의 몇 문자째에 해당하는가를 정하는 것이 전술한 제2블럭의 프로그램서비스 네임 세그먼트 어드레스 코드(C1,C0)이다. 따라서, 수신측에서는 4회 반복해서 PS 코드를 복조함으로써, 8문자로 이루어지는 방송구명을 복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RDS를 사용하면, 현재 라디오 수신기로 수신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 레벨이 낮아지면, AF 코드를 이용해서, 동일 프로그램을 방송 중인 다른 방송국의 주파로 수신 주파수를 전환하여, 계속해서 희망하는 프로그램의 라디오 청취를 즐길 수 있다.
종래, AF 코드를 이용해서 수신 주파수를 다른 방송국 주파수로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갖는 라디오 수신기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소) 제63~136,830호 공보에 표시된 것이 있었다. 이 종래의 라디오 수신기는, 현재 수신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 레벨이 저하하면, 현재의 수신 주파수를 메모리에 기억해 두고, 수신 밴드 내를 차례로 스캔한다. 그리고, 일정 이상의 전계 강도를 갖는 방송 주파수가 발견되면, 스캔을 정지한다. 그리고, 그 방송 주파수에 대응하는 방송국으로부터의 RDS 데이타를 복조해서 그속에 포함되는 주파수 리스트를 읽어 들인다. 이 주파수 리스트 중에 포함되는 주파수 데이타와 미리 메모리에 기억하여 둔 주파수 데이타를 차례로 비교하여, 일치하는 주파수 데이타가 있을 경우에는, 그 방송국의 방송을 계속해서 수신한다. 한편, 비교 결과, 일치하는 주파수 데이타가 없을 경우에는, 다시금 수신 밴드 내의 스캔을 계속하여, 일치하는 주파수 데이타가 발견될 때까지 상기와 동일한 동작을 반복한다.
그러나, RDS 데이타 중에 포함되는 주파수 리스트를 읽어 들이려면, 1국만으로 약 7초를 요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신기에서는, 수신 밴드 내의 스캔에 의하여 교체 방송국이 최초로 발견되는 일은 희박하다. 가령 3국째에 발견되었다고 한다면, 수신 주파수의 전환 요구가 있고 나서 21초나 걸리게 된다. 이로써, 장시간에 걸쳐서 프로그램의 재생이 중단되어, 청취자에게 불쾌감을 준다. 또한, 중요한 프로그램을 흘려들을 우려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 주파수의 전환 요구가 있고 나서 동일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는 다른 방송국의 주파수로 수신 주파수가 교체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요약하면, 수신기가 수신하는 방송 신호에는, 프로그램 외에 여러가지 서비스 정보가 부가되어 있다. 이 서버스 정보는,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과 동일한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는 다른 방송국의 주파수 데이타의 리스트를 최소한 포함한다. 수신기에서는,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고, 그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주파수 데이타 리스트에 의거하여 수신 레벨이 소정치 이상인 주파수 데이타를 미리 써치해 둔다. 수신 수단의 수신 상태가 악화된 것으로 판단되어 수신 주파수의 전환 요구가 발하여진 경우에는, 미리 써치된 주파수 데이타에 의하여 수신 수단의 주파수를 제어하고 그로 인해 현재 수신하고 있는 방송을 다른 방송국의 동일 프로그램의 방송으로 변경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재 수신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과 동일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는 다른 방송국 중 수신 레벨이 양호한 주파수 데이타가 미리 써치되어 있으므로, 수신 상태의 악화에 의하여 수신 주파수의 변경 요구가 발하여진 경우에는, 지극히 신속하게 수신 주파수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의 수신기에 비해서 프로그램 중단 시간이 지극히 짧아져서 청취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다. 또한, 중요한 프로그램을 흘려 들을 일도 없어진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제부터 첨부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
우선 제2도를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라디오 수신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면에서, 안테나(1)에 유기된 신호는, 제1 및 제2동조 회로(2 및 3)에 공급된다. 제1 및 제2동조 회로(2 및 3)은, 각각의 국부 발진 회로가 PLL 신서사이저로 구성되어 있고, 안테나(1)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AM 복조 및 FM 복조한다. 멀티플렉서(4)는, 제1동조 회로(2)의 출력 신호를 R(우) 및 L(좌) 신호로 분리한다. 멀티플렉서(4)의 출력 신호는, 앰프(5)에 공급되고, 증폭된다. 앰프(5)의 출력 신호는 좌우 2개의 스피커(6,6)에 공급된다. RDS 디코더(7)은, 제2동조 회로(3)의 FM 복조 출력으로부터 RDS 데이타를 복조함과 동시에 클럭을 재생하고, 복조된 RDS 데이타의 그룹 동기와 오류 정정을 행한다. 표시기(8)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파수 표시기(8A), RDS 램프(8B) 및 AF 램프(8C)를 포함한다. 이 표시기(8)는, 구동 회로(9)에 의하여 구동된다. A/D 변환기(10 및 11)은, 각각 제1 및 제2동조 회로(2 및 3)에서의 전계 강도 신호를 A/D 변환한다.
프리세트키(12 및 13), 메모리키(14), 밴드키(15), AF키(16)이 I/O 포트(17)에 접속되어 있다. 프리세트키(12 및 13)은, 각각, 데이타 메모리(20)의 대응영역에 저장된 주파수 데이타의 판독을 지령하기 위한 키이다. 메모리키(14)는, 제1동조 회로(2)의 현재 동조 주파수의 데이타를 데이타 메모리(20)에 저장시키기 위한 키이다. 밴드키(15)는, AM 밴드와 FM 밴드의 전환용키이다. AF키(16)는, AF 써치 모드 또는 AF 표시 모드로의 이행 및 AF 서치 모드 또는 AF 표시 모드의 해제를 지령하기 위이한 키이다. 이들 각 키(12~16)에서 얻어지는 키 코드 데이타는, I/O 포트(17)를 통해서 데이타 버스에 입력된다.
CPU(18)은, 상기 데이타 버스를 통해서, 제1 및 제2동조 회로(2 및 3), RDS 디코더(7)는, 구동 회로(9), A/D 변환기(10 및 11), 프로그램 메모리(19), 데이타 메모리(20), 선택 메모리(21), 타이머(22)와 접속된다. CPU(18)은, ROM(판독 전용 메모리)로 구성되는 프로그램 메모리(19)에 기입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상기 각 회로를 제어한다. 데이타 메모리(20)는,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로 구성되고, CPU(18)의 데이타 처리에 필요한 여러가지 데이타를 기억한다. 데이타 메모리(20)는, 특히 본 발명에 흥미있는 기억 영역으로서, 프리세트키(12 및 13)의 각각에 대응해서 제1 및 제2동조 회로(2 및 3)의 국부 발진 회로에 송출하기 위한 주파수 데이타를 기억하는 영역과, RDS 데이타에 포함되는 AF국의 주파수 리스트(최대 25개의 주파수 데이터를 포함함)를 기억하는 영역과, PI 코드를 기억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선택 메모리(21)은, 데이타 메모리(20)에 기억된 AF국의 주파수 데이타 중, 소정의 수신 레벨 이상의 주파수 데이타를 기억한다. 타이머(22)는, 제1동조 회로(2)의 수신 레벨이 일정 시간(예를 들면 22초) 이상 저하한 것을 검출할 때의 시간 계측을 위해 사용된다.
다음으로, 제4a도~제4d도에 표시하는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전원 투입 후, CPU(18)은, 플래그 레지스터 F1[예를 들면, CPU(18) 내부에 설치되어 있음]에 0을 세트한다(스텝 S1). 이 후, 밴드키(15)에 의하여 FM 밴드가 선택되고, 그리고 프리세트키(12 또는 13)이 조작되면, 이 프리세트키(12 또는 13)에 대응하는 데이타 메모리(20)의 기억 영역에서 주파수 데이타가 판독되어 제1, 제2동조 회로(2 및 3)의 국부 발진 회로 및 구동 회로(9)로 송출된다. 이에 따라, 제1, 제2동조 회로(2 및 3)이 그 주파수에 동조되고, 또한 주파수 표시기(8A)에 그 주파수가 표시된다(스텝 S2, 4 및 5), 다음으로 동작 스텝(S6)으로 이행한다. 이 스텝(S6)에서는, 제1, 제2동조 회로(2 및 3)에서의 피수신국 동조 회로의 동조 주파수에 대응하는 방송국이 RDS국(RDS 데이타를 송신하고 있는 방송국)인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여기에서, RDS 디코더(7)는 57KHz의 서브 캐리어를 검출하면,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므로, 이 신호에 의하여 피수신국이 RDS 국인가 어떤가가 판단된다. 피수신국이 RDS국이면, RDS 데이타로부터 PI 코드가 추출되어 데이타 메모리(20)에 저장된다(스텝 S7). 계속해서, RDS 램프 점등 신호가 구동회로(9)에 출력되고, RDS 램프(8B)가 점등된다(스텝 S8).
다음으로, RDS 데이타에 포함되는 그룹 타입 코드 및 버전 코드 BO가 해독되고, 이 RDS 데이타에 동일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는 다른 방송국의 주파수 데이타의 리스트(이하, AF 리스트라 칭함)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10). RDS 데이타에 AF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으면, 7초간 AF 리스트를 읽어들이고, AF국의 주파수 데이타가 낮은 순으로 데이타 메모리(20)에 저장된다(스텝 S11). 그런데, AF 리스트를 읽어들이는 데에 있어서는, 그 선두에 위치하는 AF국의 주파수 데이타 수를 표시하는 데이타가 최초로 수신되면, AF 리스트를 읽어들이는데 요하는 시간이 제일 짧아진다. 그러나, 최초로 그와 같은 데이타를 수신할 수 있는 확률은 낮다. 그 때문에, AF 리스트에 어느 정도 수의 주파수 데이타가 포함되어 있는가의 판단을 AF 리스트의 수신 개시시에 행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최대 25개의 AF국 주파수 데이타를 읽어들이는데 필요한 시간을 미리 정해두고, 그 시간 내에는 주파수 데이타의 수에 관계없이 강제적으로 AF 리스트가 읽어들이도록 하고 있다. 또한, AF 리스트에 포함되는 주파수 데이타의 수가 24 이하의 경우에는, 동일한 주파수 데이타가 반복해서 읽어들여지게 되지만, 이 경우에는, 동일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되고, 동일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으면, CPU(18)은 그 데이타를 데이타 메모리(20)에 저장시키지 않는다. 스텝(S11)의 동작이 종료하면, 동작 스텝은 스텝(S12)로 이행한다. 이 스텝(S12)에서는, 플래그 레지스터 F1의 내용이 판단된다. 플래그 레지스터 F1에 0이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S13 및 S15)에서, 프리세트(12 및 13)과 AF키(16)의 조작 상태가 감시된다.
프리세트키(12 및 13)이 조작된 경우에는, AF 램프(8C)가 점등되어 있으면, 구동 회로(9)에 AF 램프 소등신호가 출력되고, 또 데이타 메모리(20)에 저장된 AF 리스트가 클리어되고(스텝 S14), 동작 스텝이 전술한 스텝(S5)로 되돌아온다. 또한, AF키(16)이 조직된 경우에는, 그 조작 시간이 2초 이상인지 여부가 스텝(S16)에서 판단된다. 이 판단 결과, AF키(16)의 조작 시간이 2초 미만인 경우에는 동작 모드가 AF 써치 모드로 이행하고, 2초 이상인 경우에는 동작모드가 AF 표시 모드로 이행한다.
우선, AF 써치 모드에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AF 써치 모드에서는, 최초로 플래그 레지스터 F1에 1이 세트된다(스텝 S17). 그 후, 구동 회로(9)에 AF 램프 점멸신호가 출력되고, AF 램프(8C)가 점멸 상태로 된다(스텝 S18). 계속해서, 동작 스텝이 스텝(S19)로 이행하고, 선택 메모리(21)가 클리어된다. 다음으로, AF키(16), 밴드키(14), 프리세스키(12 및 13)의 조작 상태가 감시된다(스텝 S20~S22). 어느 키도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A/D 변환기(10)의 출력에 의거하여 제1동조 회로(2)의 수신 레벨이 소정치 이상인지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23). 이 판단 결과, 제1동조 회로(2)의 수신 레벨이 소정치 이상이면 스텝(S24)에서 타이머(22)가 클리어되고, 소정치 미만이면 스텝(S25)에서 타이머(22)의 카운트 동작이 행해진다[또한, 이 타이머(22)가 클리어되고 있으면, 처음부터 카운트 동작을 행하고, 카운트 동작을 행하고 있으면, 그것을 계속하여 카운트한다]. 다음으로, 데이타 메모리(20)에 기억되어 있는 AF 리스트로부터 낮은 순으로 하나의 주파수 데이타[제1동조 회로(2)의 현재의 수신 주파수를 제외함]이 판독되고, 제2동조 회로(3)로 송출된다(스텝 S26). 이에 따라, 제2동조 회로(3)이 이 주파수에 동조한다. 그리고, A/D 변환기(11)의 출력에 의거하여, 제2동조 회로(3)의 수신 레벨이 소정치 이상인지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27). 이 판단 결과, 제2동조 회로(3)의 수신 레벨이 소정치 이상이면, 제2동조 회로(3)의 현재의 수신 주파수의 데이타가 선택 메모리(21)에 저장된다(스텝 S28).
이 후, 데이타 메모리(20)에 기억된 AF 리스트에 포함되는 주파수 데이타 모두[제1동조 회로(2)의 현재 수신 주파수의 데이타는 제외함]가 판독되기까지, 전술한 스텝(S20~S28)의 동작이 반복된다(스텝 S29). 또한, 25개의 주파수 데이타가 AF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스텝(S20~S29)의 루핀 처리 시간은 8초 정도이다. 여기에서, AF키(16)이 다시 조작되면, 그것이 스텝(S20)에서 판단되고, 동작 스텝은 스텝(S30)으로 이행한다. 이 스텝(S30)에서는, 플래그 레지스터(F1)에 0이 세트되고, 또한 AF 램프 소등 신호가 구동 회로(9)에 출력되어 AF 램프(8C)가 소등된다. 스텝(S30)의 동작이 종료하면, 동작 스텝은 전술한 스텝(S13)으로 되돌아오고, AF 써치 모드가 종료한다. 또한, 밴드키(15)가 조작되면, 그 일이 스텝(S21)에서 판단되고, 동작 스텝(S31)으로 이행한다. 이 스텝(S31)에서는 RDS 램프 소등 신호 및 AF 램프 소등 신호가 구동 회로(9)에 출력되고, AF 램프(8C)가 소등된다. 계속해서, 동작 스텝이 스텝(S32)로 이행하고, 데이타 메모리(20)에 저장된 AF 리스트가 클리어된다. 그 후, 동작 스텝은 전술한 스텝(S2)로 되돌아오고, 스텝(S3)에서 AM 모드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또한, 프리세트키(12 및 13)이 조작되면, 그것이 스텝(S22)에서 판단되고, 동작 스텝은 전술한 스텝(S14)로 되돌아온다.
스텝(S29)에서, 데이타 메모리(20)에 기억된 AF 리스트에 포함되는 주파수 데이타가 모두 판독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동작 스텝이 스텝(S33)으로 이행한다. 이 스텝(S33)에서는, 선택 메모리(21)에 AF국의 주파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이 판단 결과,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으면, AF 램프 점등 신호가 구동 회로(9)에 출력되고, AF 램프(8C)가 점등된다(스텝 S35). 계속해서, 플래그 레지스터(F2)에 1이 세트된다(스텝 S36). 한편, 스텝(S33)에서의 판단 결과,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플래그 레지스터(F2)에 0이 세트된다(스텝 S34). 스텝(S34 또는 S36)의 동작이 종료하면, 동작 스텝은 스텝(S37)로 이행한다. 이 스텝(S37)에서는, 타이머(22)가 22초 이상 카운트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스텝(S37)의 판단 결과, 타이머(22)가 22초 이상 카운트하고 있지 않으면, 수신 주파수의 변경을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동작 스텝은(S38)로 이행한다. 이 스텝(S38)에서는, 플래그 레지스터(F2)의 내용이 판단된다. 스텝(S38)의 판단 결과, 플래그 레지스터(F2)에 1이 세트되어 있으면 동작 스텝은 전술한 스텝(S19)로 되돌아오고, 0이 세트되어 있으면 동작 스텝은 전술한 스텝(S18)로 되돌아온다. 결국, 수신 레벨이 소정치 이상인 주파수 데이타가 존재하면 AF 램프(8C)는 점등표시로 되고, 존재하지 않으면 점멸 표시로 된다.
한편, 스텝(S37)의 판단 결과, 타이머(22)가 22초 이상 카운트하고 있으면, 제1동조 회로(2)의 수신 주파수를 변경할 필요가 있으므로, 동작 스텝이(S39)로 이행하고, 플래그 레지스터 F2의 내용이 판단된다. 스텝(S39)의 판단 결과, 플레그 레지스터(F2)에 0이 세트되어 있으면 동작 스텝은 전술한 스텝(S18)로 되돌아온다. 즉, 제1동조 회로(2)의 수신 레벨이 장기간(22초) 저하했음에도 불구하고, 수신 상태가 양호한 대체 방송국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AF 램프(8C)의 점멸로서 그 일을 통지한다. 이와 같은 상황은, 본 실시예의 수신기를 탑재한 차가 예를 들면 터널과 같은 수신 조건이 나쁜 장소를 통과할 때에 발생한다. 한편, 스텝(S39)에서의 판단 결과, 플래그 레지스터(F2)에 1이 세트되어 있으면, 선택 메모리(21)에서 낮은 순번으로 하나의 주파수 데이타가 판독되어, 제2동조 회로(3)로 송출된다(스텝 S40). 이에 따라, 제2동조 회로(3)은 그 주파수에 동조한다. 스텝(S40)의 동작 종료 후, RDS 데이타로부터 추출된 PI코드와, 데이타 메모리(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PI 코드[제1동조 회로(2)에서의 피수신국이 PI 코드]가 비교된다(스텝 S41). 스텝(S41)에서의 비교 결과, 양쪽의 PI 코드가 일치하고 있으면 제1, 제2동조 회로(2,3)이 동일한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있기 때문에, 제2동조회로(3)의 수신 주파수 데이타가 제1동조 회로(2)의 국부 발진 회로 및 구동 회로(9)에 송출된다(스텝 S42). 이에 따라, 제1동조 회로(2)가 그 주파수에 동조해서, 주파수 표시기(8A)에 그 주파수가 표시된다. 그 후, 타이머(22)가 클리어되고(스텝 S43), 동작 스텝이 전술한 스텝(S18)로 되돌아 온다.
한편, 양쪽의 PI 코드가 일치하고 있지 않으면, 제2동조 회로에서의 수신 주파수와 같은 주파수 데이타가 선택 메모리(21)에서 삭제된다(스텝 S44). 그 후, 스텝(S45)에서,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스텝(S45)에서의 판단 결과,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으면, 동작 스텝은 전술한 스텝(S40)으로 되돌아오고, PI 코드의 일치가 검출될 때까지 스텝(S40,S41,S44,S45)의 동작이 반복된다. 스텝(S40,S41,S44,S45)의 동작 반복에 의하여,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의 나머지가 없어지면, 동작 스텝은 전술한 스텝(S18)로 되돌아온다.
다음으로, 전술한 스텝(S16)에서 AF키(16)의 조작 시간이 2초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의 AF 표시 모드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스텝(S46)에서, 플래그 레지스터(F1)에 1이 세트된다. 계속해서, 동작 스텝이 스텝(S47)로 이행하고, AF 램프 점등 신호가 구동 회로(9)에 출력되어, AF 램프(8C)가 점등한다. 다음으로, 동작 스텝이 스텝(S48)로 이행하고, 데이타 메모리(20)로부터 낮은 순번으로 하나의 주파수 데이타[제1동조 회로(2)의 수신 주파수를 제외함]이 판독되어 구동 회로(9)에 송출된다. 이에 따라, 그 주파수가 주파수 표시기(8A)에 표시된다. 다음으로, 동작 스텝이 스텝(S49)으로 이행하고, 타이머(22)가 초기 상태에서 개시된다. 다음으로, 프리세트키(12,13), 밴드키(14), AF키(16), 메모리키(15)이 조작상태가 감지된다(스텝 S50~S53). 주파수 표시기(8A)에서의 주파수 표시 및 각 키의 조작 상태의 감시는, 타이머(22)가 2초를 계시할 때까지 행하여진다(스텝 S54). 스텝(S54)에서, 타이머(22)가 2초를 계시했다고 판단되면, 동작 스테빙 스텝(S55)로 이행하고, 데이타 메모리(20)에 기억된 AF 리스트에 포함되는 주파수 데이타가 모두 판독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AF 리스트 중에 아직 판독되어 있지 않은 주파수 데이타가 존재할 경우에는, 동작 스텝이 재차 스텝(S48)로 되돌아오고, 다음의 주파수 데이타의 표시 및 각 키의 조작 상태의 감시가 2초간 행해진다(스텝 S48~S54).
여기에서, 프리세트키(12 또는 13)이 조작된 경우에는, 그 조작이 스텝(S50)에서 판단되고, 동작 스텝이 전술한 스텝(S14)로 복귀한다. 또한 밴드키(15)가 조작된 경우에는, 그 조작이 스텝(S51)에서 판단되고, RDS 램프(8B), AF 램프(8C)가 소등됨과 동시에 데이타 메모리(20)의 AF 리스트가 클리어되고(스텝 S56,S57), 동작 스텝이 전술한 스텝(S52)로 되돌아 온다. 또한, AF키(16)이 재차 조작된 경우에는, 그 조작이 스텝(S52)에서 판단되고, 동작 스텝이 스텝(S58)로 이행한다. 이 스텝(S58)에서는, 동일하게 AF 램프(8C)가 소등된다. 계속해서, 스텝(S59)에서, 플래그 레지스터(F1)에 0이 세트된다. 그 후, 스텝(S60)에서, 제1동조 회로(2)의 현재 수신 주파수의 데이타가 구동 회로(9)로 송출되고, 그 주파수가 재차 주파수 표시기(8A)에 표시된다. 스텝(S60)의 동작 종료 후, 동작 스텝은 전술한 스텝(S13)으로 되돌아온다. 또한, 메모리키(14)가 조작된 후 프리세트키(12 또는 13)이 조작된 경우에는, 그들 조작이 스텝(S53)에서 판단되고, 동작 스텝은 스텝(S61)로 이행한다. 스텝(S61)에서는, 제2동조 회로(2)의 현재 수신 주파수의 데이타가, 그때 조작된 프리세트키에 대응하는 데이타 메모리(20)의 기억 영역에 저장된다. 그 후, 동작 스텝은 스텝(S54)로 이행한다. 데이타 메모리(20)에 저장된 AF 리스트에 포함되는 모든 주파수 데이타의 표시가 종료한 경우에는, 그 일이 스텝(S55)에서 판단되고, 동작 스텝은 스텝(S62)로 이행한다. 이 스텝(S62)에서는, 제1동조 회로(2)의 현재 수신 주파수의 데이타가 구동 회로(9)에 송출되어, 그 주파수가 주파수 표시기(8A)에 표시된다. 그 후, 동작 스텝은 전술한 스텝(S12)로 되돌아오고, AF 써치 모드로 이행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제1동조 회로(2)의 수신 레벨이 22초 이상 소정치 이하로 저하해서 제1동조 회로(2)의 수신 주파수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스텝(S37)에서 판단된 경우에는, 이미 선택 메모리(21)에는 AF 리스트 중에서 써치된 수신 레벨이 소정치 이상의 주파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저장된 수신 데이타를 사용해서 신속하게 제1동조 회로(2)의 수신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AF 리스트에 포함되는 모든 주파수 데이타의 수신 레벨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에는, AF 램프(8C)를 점멸시키도록 했으므로, 양호한 수신을 할 수 없는 경우라도 라디오 수신기가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라디오 수신기가 양호한 수신을 할 수 없게 되었을 경우, AF 기능이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가, 즉 라디오 수신기가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는가 어떤가 불안을 느끼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AF키의 조작 시간에 따라서 AF 써치 모드(스텝 S17~S45)와 AF 표시 모드(스텝 S46~S62)의 어느것인가가 실행되도록 하였으므로, 적은 키의 수로 이들 동작 모드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키 조작도 간단해진다.
또한, AF키(16)의 조작에 의해서 일단 AF 써치 모드 또는 AF 표시 모드로 이행한 후에는, 도중에서 밴드의 변경이나 주파수 변경이 있더라도 그들 변경 동작의 종료 후, 동작 모드 또는 AF 표시 모드는 자동적으로 AF 써치 모드 또는 AF 표시 모드로 이행 모드로 이행하게 된다. 왜냐하면, AF 써치 모드 또는 AF 표시 모드로 이행할 때에 플래그 레지스터(F1)에 1이 세트되기 때문에, 밴드의 변경 동작 또는 수신 주파수의 변경 동작의 종료 후, 스텝(S12)에서 플래그 레지스터(F1)에 1이 세트되어 있음이 판단되어, AF키(16)의 조작을 기다리지 않고 동작 스텝이 AF 써치 모드의 루틴으로 이행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밴드의 변경이나 수신 주파수의 변경을 행할 때마다 AF키(16)의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어져서, 번잡한 키 조작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동작 모드를 AF 써치 모드로부터 다른 모드로 이행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재차 AF키(16)를 조작하면 된다(스텝 S20,S30).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스텝(S20~S29)에서 AF 리스트에 포함되는 모든 주파수 데이타에 대한 써치가 1회 종료할 때마다, 스텝(S37)에서 타이머(22)의 카운트를 검출하고 있으므로, 다른 방송국으로의 수신 주파수의 변경 가능률이 높아진다.
그러나, 스텝(S20~S29)의 실행 후, 타이머(22)의 계시 시간이 21초이면, 재차 스텝(S20~S29)에서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가 행해지기 때문에, 그 처리 시간(최대 약 8초만큼 수신 주파수의 변경이 늦어지게 된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 도중에서도 CPU(18)이 타이머(22)의 계시 기간을 감시하고, 그 계시 기간이 22초를 초과하면, 가령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 도중이라도 거기까지 써치된 주파수 데이타에 의거하여 수신 주파수의 변경 제어가 행해지도록 하면 좋다. 이와 같은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실시예를 제5a도~제5d도에 도시하였다.
[제2실시예]
제5a도~제5d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또한, 이 제2실시예에 채용되는 하드 회로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하드 회로(제2도 참조)와 동일하다. 즉, 프로그램 메모리(19)에 기입되는 동작 프로그램이 제5a도~제5d도에 도시한 것으로 변경될 뿐이다. 이하, 이들 제5a도~제5d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전원 투입 후, 프리세트키(12 또는 13)이 조작되면, 그 조작이 스텝(S101)에서 판단된다. 다음으로, 스텝(S102)에서, 조작된 프리세트키에 대응하는 데이타 메모리(20)의 기억 영역으로부터 주파수 데이타가 판독하고, 제1, 제2동조 회로(2,3)의 각 국부 발진 회로 및 구동 회로(9)에 송출된다. 이에 따라, 제1, 제2동조 회로(2,3)이 그 주파수에 동조하고, 주파수 표시기(8A)에 그 주파수가 표시된다. 스텝(S102)의 다음 스텝(S103)에서, 제2동조 회로(3)에서의 현재의 피수신국이 RDS국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피수신국이 RDS국이 아니면 동작 스텝은 스텝(S101)로 되돌아오지만, 피수신국이 RDS국인 경우에는 동작 스텝이 스텝(S104)로 이행한다. 스텝(S104)에서는, RDS 디코더(7)에 의하여 RDS 데이타로부터 추출된 PI 코드가 데이타 메모리(20)에 저장된다. 스텝(S104)의 다음 스텝(S105)에서, RDS 램프 점등 신호가 구동 회로(9)에 출력되어 RDS 램프(8B)가 점등된다. 스텝(S105)의 다음 스텝(S16)에서, RDS 데이타에 AF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RDS 데이타에 AF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동작 스텝은 스텝(S101)로 되돌아온다. RDS 데이타에 AF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S107)에서, 7초간 AF 리스트가 읽혀지고, 데이타 메모리(20)에 저장된다. 스텝(S107)의 다음 스텝(S108)에서, 데이타 메모리(20)에 저장된 주파수 데이타를 카운트하여 그의 총 수가 N으로서 설정된다.
여기에서, AF키(16)이 조작되면, 스텝(S109)에서 그 조작이 판단되고, 동작 스텝이 스텝(S110)으로 이행한다. 스텝(S110)에서는, 선택 메모리(21)가 클리어된다. 그 후, AF 램프(8C)가 점멸 표시되고, 플래그 레지스터 F[예를 들면, CPU(18)내에 설치됨]에 0이 세트되어, 카운터 n[플래그 레지스터(F)와 같이 CPU(18)내에 설치되어 있다]에 1이 세트된다(스텝 S111~S113). 스텝(S113)의 다음 스텝(S114)에서, 제1동조 회로(2)의 수신 레벨이 소정치 이상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제1동조 회로(2)의 수신 레벨이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S115)에서 타이머(22)가 클리어된다. 제1동조 회로(2)의 수신 레벨이 소정치 미만의 경우에는, 스텝(S116)에서 타이머(22)의 카운트 동작이 행해진다.
스텝(S115)의 다음, 및 스텝(S116)의 다음, 스텝(S117)에서, 데이타 메모리(20)로부터 카운터 n의 계수치에 대응하는 영역의 AF 리스트의 주파수 데이타 fn이 판독된다. 스텝(S117)의 다음 스텝(S118)에서, 제1동조 회로(2)의 현재의 수신 주파수와 상기 주파수 데이타 fn이 동일한지 여부가 판단된다. 양 주파수가 동일한 경우에는, 아래에 설명하는 스텝(S119~S124)의 동작을 행함이 없이, 동작 스텝이 직접 스텝(S125)로 이행한다. 한편, 양 주파수가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스텝(S119)에서, 주파수 데이타 fn이 제2동조 회로(3)의 국부 발진 회로에 송출되고, 제2동조 회로(3)가 이 주파수에 동조한다. 스텝(S119)의 다음 스텝(S120)에서, 제2동조회로(3)의 수신 레벨이 소정치 이상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제2동조회로(3)의 수신 레벨이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S121)에서 주파수 데이타 fn이 이미 선택 메모리(21)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주파수 데이타 fn이 선택 메모리(21)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122)에서, 주파수 데이타 fn이 선택 메모리(21)에 저장된다. 그후 동작 스텝이 스텝(S125)로 이행한다.
주파수 데이타 fn이 선택 메모리(21)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작 스텝이 스텝(S125)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S120)에서 제2동조 회로(3)의 수신 레벨이 소정치 미만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S123)에서 주파수 데이타 fn이 선택 메모리(21)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주파수 데이타 fn이 선택 메모리(21)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S124)에서 주파수 데이타 fn이 선택 메모리(21)에서 삭제되고, 그후, 동작 스텝이 스텝(S125)로 이행한다. 주파수 데이타 fn이 선택 메모리(21)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동작 스텝이 직접 스텝(S125)로 이행한다. 스텝(S125)에서는, 카운터 n이 1만큼 증가된다. 스텝(S125)의 다음 스텝(S126)에서, 타이머(22)가 22초 이상 계시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타이머(22)가 22초 이상 계시하고 있지 않으면, 스텝(S127)에서, 카운터 n의 계수치가 N+1인지 여부가, 즉 데이타 메모리(20)에 저장된 주파수 데이타의 총 수 N을 초과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카운터 n의 계수가 N+1이 아닌 경우에는, 스텝(S128)에서 플래그 레지스터(F)에 1이 세트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이 플래그 레지스터(F1)은 데이타 메모리(20)에 저장된 AF 리스트에 포함되는 전체 주파수 데이타에 대한 제1회째의 써치가 종료하기까지는 0이 세트되어 있으므로, 동작 스텝은 전술한 스텝(S114)로 되돌아온다. 즉, 제1회째의 써치가 종료하기까지는,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계 없이, 준비단계라는 점에서 AF 램프(16)이 점멸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이 준비 단계는 8초 정도이고, 이 사이에 제F동조회로(3)에서의 수신 주파수의 변경 요구가 행해지는 것은 아니다[타이머(22)는 22초를 카운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텝(S114~S128)의 동작이 반복하여 실행되고, 데이타 메모리(20)에 저장된 AF 리스트 모든 주파수 데이타에 대한 써치가 종료하면, 카운터 n의 계수치가 N+1로 되므로, 그것이 스텝(S127)에서 판단되어 동작 스텝이 스텝(S129)로 이행한다. 스텝(S129)에서는, 플래그 레지스터(F)에 1이 세트된다. 스텝(S129)의 다음 스텝(S130)에서,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즉, AF 리스트의 써치 결과, 수신 레벨이 소정치 이상의 주파수 데이타가 발견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S131)에서 AF 램프(8C)가 점등된다. 그후, 동작 스텝은 스텝(S113)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132)에서 AF 램프의 점멸 표시가 유지된다. 그후, 동작 스텝이 스텝(S113)으로 되돌아온다. 이와 같이, AF 리스트에 대한 1회째의 써치가 종료하면, 선택 메모리(21)의 내용에 따라서 AF 램프(8C)의 표시 상태가 제어된다. 즉, AF 램프(8C)가 점등하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변경 가능한 주파수 데이타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AF 리스트에 대한 1회째의 써치가 종료하고, 2회째의 써치 사이클로 들어가면, 이번에는 써치 도중이라도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128,S133). 그리고,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S134)에서 AF 램프(8C)가 점등된다.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135)에서 AF 램프(8C)가 점멸된다. 스텝(S134 및 S135)의 종료 후에는, 동작 스텝은 스텝(S114)로 되돌아온다.
다음으로, 전술한 스텝(S126)에서, 타이머(22)가 22초 이상 계시했다고 판단된 경우의 동작, 즉 제1동조회로(2)의 수신 주파수의 변경을 필요로 한다고 판단된 경웅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스텝(S136)에서,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137)에서 AF 램프(8C)가 점멸되고, 그 일이 보고된다. 스텝(S137)의 다음 스텝(S138)에서, 카운터 n의 계수치가 N+1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즉, 수신 주파수의 변경 요구가 AF 리스트에 대한 써치 도중에 행하여졌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카운터 n의 계수치가 N+1인 경우에는, 동작 스텝이 전술한 스텝(S113)으로 되돌아 온다. 즉, 카운터 n에 1이 세트되고 나서 재차 AF 리스트에 대한 써치가 행하여진다. 한편, 카운터 n의 계수치가 N+1이 아닌 경우에는, 동작 스텝은 스텝(S114)로 되돌아온다. 이 경우, 카운터 n이 초기 설정됨이 없이, AF 리스트에 대한 써치가 재개된다.
한편, 스텝(S136)에서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S139)에서 AF 램프(8C)가 점등된다. 스텝(S139)의 다음 스텝(S140)에서, 선택 메모리(21)로부터 주파수가 낮은 순으로 하나의 주파수 데이타가 판독되고, 제2동조회로(3)의 국부 발진 회로에 송출된다. 이에 따라, 제2동조회로(3)의 수신 주파수가 그 주파수로 전환된다. 스텝(S140)의 다음 스텝(S141)에서, 제2동조회로(3)의 수신출력인 RDS 데이타에 포함되는 PI 코드가 미리 데이타 메모리(20)에 저장되어 있는 제1동조회로(2)의 수신 방송인 PI 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즉, 제2동조회로(3)이 제1동조회로(2)와 동일한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양쪽의 PI 코드가 일치한 경우에는, 스텝(S142)에서, 제2동조회로(3)의 수신 주파수가 제1동조회로(2)의 국부 발진 회로로 송출되고, 타이머(22)가 클리어된다. 이에 따라, 제1동조회로(2)는 제2동조회로(3)과 같은 수신 주파수로 전환된다. 스텝(S142)의 다음 스텝(S143)에서, 제2동조회로(3)의 수신 주파수가 선택 메모리(21)로부터 삭제된다. 스텝(S143)의 다음 스텝(S144)에서,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의 나머지가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주파수 데이타가 남아 있는 경우에는 동작 스텝은 스텝(S138)로 이행한다. 주파수 데이타가 남아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동작 스텝은 스텝(S137)로 이행하고, AF 램프(8C)가 점멸된다. 한편, 스텝(S141)에서 PI 코드의 불일치가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S146)에서 제2동조회로(3)의 수신 주파수가 선택 메모리(21)에서 삭제된다. 스텝(S146)의 다음 스텝(S147)에서,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가 남아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주파수 데이타가 남아 있는 경우에는, 동작 스텝은 스텝(S140)으로 되돌아오고, 재차 다음 주파수 데이타가 선택 메모리(21)에서 판독된다. 한편,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가 남아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동작 스텝은 스텝(S137)로 이행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데이타 메모리(20)에 저장된 AF 리스트에 대한 써치 도중에서도 수신 주파수의 변경 요구가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126). 따라서,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수신 주파수의 변경 요구가 있고나서 최대한 8초의 지연이 생기고 있었으나, 이 제2실시예에 의하면, 그와 같은 지연 시간이 생기는 일없이 수신 주파수의 변경 요구에 따를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의 플로우 챠트에는 요부에 관해 기재되어 있지만, 실제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인 타이밍으로 밴드키, 프리세트키, 메모리키, AF키의 조작을 감시한다. 이것은 후술하는 제3, 제4, 제5, 제6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제3실시예]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라디오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면에서, 제1, 제2동조회로(2,3)과 멀티플렉서(4), RDS 디코더(7)과의 사이에는, 스위치 회로 SW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위치 회로 SW는, I/O 포트(17) 및 데이타 버스를 통해서 CPU(18)에서 부여되는 전환 신호에 응답해서 전환 동작을 행한다. 즉, 제1모드에서는, 제6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1동조회로(2)와 멀티플렉서(4)를 접속하고, 제2동조회로(3)과 RDS 디코더(7)을 접속한다. 또한, 제2모드에서는, 제6도에 점선으로 표시되는 것과 같이, 제1동조회로(2)와 RDS 디코더(7)을 접속하고, 제2동조회로(3)과 멀티플랙서(4)를 접속한다. 그 외의 구성은, 제2도에 도시한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고,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3실시예는, 기본적으로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동작을 행하지만, 다음의 같은 점이 다르다.
우선, 상기 제1모드에서 스위치 SW가 실선과 같은 접속 상태에 있는 경우, 제1동조회로(2)에서 통상의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이 행하여지고, 제2동조회로(3)에서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가 행해진다. 이 상태에서, 제1동조회로(2)의 수신 레벨이 22초간 소정 레벨 이하로 저하하면, 제2동조회로(3)에 선택 메모리(21)에서 판독된 주파수 데이타가 공급된다. 그리고, 제1동조회로(2)에서의 피수신국의 PI 코드와 제2동조회로(3)에서의 피수신국의 PI 코드가 일치하면, 전환신호에 의해서 스위치 SW가 점선과 같은 상태로 전환되고, 제2모드로 이행한다. 이 제2모드에서는, 제1동조회로(2)에서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가 행해지고, 제2동조회로(3)에서 통상의 방송 프로그램 수신이 행하여진다. 이후, 통상의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있는 쪽의 동조 회로의 수신 주파수가 변경될 때마다, 제1모드와 제2모드가 교대로 전환된다.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는, 선택 메모리(21)로부터 판독된 주파수 데이타로 제2동조회로(3)을 동조시킨 후, PI 코드가 일치하면 이 제2동조회로(3)의 수신 주파수 데이타를 제1동조회로(2)에 보내고, 제1동조회로의 수신 주파수를 변경하도록 하고 있다. 그로 인해, 제1동조회로(2)의 동조 시간이 주파수 변경시에서의 로스(loss) 시간이 된다. 그러나,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스위치 회로 SW의 전환 시간만이 로스 시간으로 되고, 제1실시예에 비해서 수신 주파수의 변경이 신속하게 행하여진다.
또한, 상기 제3실시예는, 전술한 제2실시예에 대해서도 물론 적용 가능하다.
[제4실시예]
전술한 제1~제3실시예에서, RDS 데이타의 처리와 통상의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 처리를 1개의 CPU(18)로 행하고 있다. 그로 인해, CPU(18)에는 처리 능력이 높은 고가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2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각각에게 처리를 분담시키고, 그리고 각각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간에 데이타 전송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실시예를 제7도에 도시하였다.
제7도에 도시한 제4실시예에서는,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8a)와 제2마이크로프로세서(18b)가 설치된다.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8a)는, 통상의 방송 프로그램 수신 처리를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ROM에 의하여 구성되는 프로그램 메모리(19a)에 기입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아래의 처리를 행한다. 즉,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8a)는, 프리세트키(12 및 13), 메모리키(14), 밴드키(15) AF키(16)의 조작 상태의 감시, 데이타 메모리(20a)와의 데이타의 수수, 제1동조회로(2)의 국부 발진 회로로의 주파수 데이타의 송부, 제2마이크로프로세서(18b)와의 데이타의 전송등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8a)는 A/D변환기(10)의 출력에 의거하여, 제1동조회로(2)의 수신 레벨을 검출하고, 이 수신 레벨이 22초 이상 소정 레벨 이하로 저하한 경우에는, 제1동조회로(2)의 수신 주파수의 변경 지령 신호를 제2마이크로프로세서(18b)에 출력한다.
한편, 제2마이크로프로세서(18b)는, RDS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ROM에 의하여 구성되는 프로그램 메모리(19b)에 기입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아래의 처리를 행한다. 즉, 제2마이크로프로세서(18b)는,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8a)와의 데이타 전송, RDS 데이타의 처리, 데이타 메모리(20b) 및 선택 메모리(21b)와의 데이타의 수수, 제2동조회로(3)의 국부 발진 회로 및 구동 회로(9)로의 주파수 데이타의 송부 등을 행한다. 또한, 데이타 메모리(20b)는, 제2도에 도시한 데이타 메모리(20)과 동일하게, AF 리스트에 포함되는 최대 25개의 주파수 데이타를 기억하는 영역과, PS 코드 및 PI 코드를 기억하는 영역을 갖는다. 또한, 선택 메모리(21b)는, 제2도에 표시하는 선택 메모리(21)과 동일하게, 데이타 메모리(20b)에 저장된 주파수 데이타 중, 소정의 수신 레벨이 소정치 이상인 주파수 데이타를 기억한다.
또한, 제7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그 밖의 구성은, 제2도에 도시한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고,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제8a도~제8c도를 참조하여, 상기 제4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이들 제8a도~제8c도의 플로우 챠트는, 제2마이크로프로세서(18b)의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 프로그램 정보로서 프로그램 메모리(19b)에 기입되어 있다.
우선, 전원이 투입된 후, FM 밴드에서 프리세트키(12 또는 13)이 조작되면,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8a)는 그 프리세트키에 대응하는 주파수 데이타를 데이타 메모리(20a)로부터 판독해서, 제1동조회로(2)의 국부 발진 회로 및 제2마이크로프로세서(18b)에 공급한다. 제2마이크로프로세서(18b)는,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8a)로부터의 주파수 스텝의 전송이 있었음을 스텝(S201)에서 판단하면, 아래의 동작을 행한다. 우선, 스텝(S202)에서,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8a)로부터 수취한 주파수 데이타가 제2동조회로(3)의 국부발진 회로 및 구동 회로(9)에 공급된다.
이로 인해, 제2동조회로(3)이 그 주파수에 동조해서, 주파수 표시기(8A)에 그 주파수가 표시된다. 다음으로, 스텝(S203)에서, 제2동조회로(3)에서의 피수신국이 RDS국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피수신국이 RDS국이면, 스텝(S204)에서, 그때 RDS 디코더(7)에 의하여 추출된 PI 코드가 데이타 메모리(20b)에 저장된다. 스텝(S204)의 다음 스텝(S205)에서, RDS 램프 점등 신호가 구동 회로(9)에 출력되고, RDS 램프(8B)가 점등된다.
다음으로, 스텝(S206)에서, RDS 디코더(7)로부터 출력되는 RDS 데이타에 AF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RDS 데이타에 AF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207)에서, RDS 데이타에 PS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RDS 데이타 PS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S208)에서, 7초간 그 PS 코드가 읽어들여져서, 데이타 메모리(20b)에 저장된다. 스텝(S208)의 다음 스텝(S209)에서, 상기 저장된 PS 코드에 의거하여 주파수 표시기(8A)에 방송국명이 표시된다. 그후, 동작 스텝은 스텝(S201)로 되돌아온다. 한편, 전술한 스텝(S206)에서, RDS 데이타에 AF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S210)에서, 7초간 PS 코드 및 AF 리스트가 읽어들여져서, 데이타 메모리(21b)에 저장된다. 또한, RDS 데이타에 AF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을 때에는, 반드시 PS 코드도 포함되어 있다. 스텝(S210)의 다음 스텝(S211)에서, 상기 저장된 PS 코드에 의거하여 주파수 표시기(8A)에 방송국명이 표시된다. 스텝(S211)의 다음 스텝(S212)에서, 그때 데이타 메모리(20b)에 저장되어 있는 AF 리스트에 포함되는 주파수 데이타의 총 수가 N으로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AF키(16)이 조작되면,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8a)는 제2마이크로프로세서(18b)에 AF 지령 신호를 출력한다. 제2마이크로프로세서(18b)에서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8a)로부터의 AF 지령 신호의 입력이 판단되면(스텝 S213), 스텝(S214)에서 AF 램프(8C)가 점멸된다. 스텝(S214)의 다음에, 선택 메모리(21b)가 클리어되어, 카운터 n에 1이 세트된다(스텝 S215,S16), 스텝(S216)의 다음 스텝(S217)에서,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8a)에서 주파수 데이타의 수신에 관한 반송 데이타의 전송이 있었는가 어떤가가 판단된다.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8a)로부터 데이타의 전송이 없는 경우에는, 데이타 메모리(20b)에 저장된 주파수 데이타 중에서 수신 레벨이 소정치 이상의 주파수 데이타가 써치되고, 선택 메모리(21b)에 저장된다(스텝, S217~S224). 즉, 카운터 n의 계수치에 대응하는 주파수 데이타 fn이 데이타 메모리(20b)로부터 판독되고, 그 판독된 주파수 데이타로 제2동조회로(3)이 동조되고, 그 결과 제2동조회로의 수신 레벨이 소정치 이상의 경우에는 주파수 데이타 fn이 선택 메모리(21b)에 저장된다. 이후, 카운터 n의 값이 1씩 갱신되고, 그 값이 N이 되기까지 상기 동작이 반복된다. 또한, 데이타 메모리(20b)로부터 판독된 주파수 데이타 fn과 제1동조회로(2)의 수신 주파수가 일치할 경우에는, 제2동조회로(3)의 수신 레벨의 판정은 행해지지 않는다(스텝 S219).
스텝(S223)에서 카운터 n의 값이 N으로 되었음이 판단되면, 즉 데이타 메모리(20b)에 저장된 모든 주파수 데이타에 대한 써치가 종료하였음이 판단되면, 스텝(S225)에서 선택 메모리(21b)에 주파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선택 메모리(21b)에 주파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동작 스텝이 재차 스텝(S214)로 되돌아와서, 수신 레벨이 소정치 이상인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 동작이 반복된다. 한편, 선택 메모리(21b)에 주파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S226)에서 AF 램프(8C)가 점등되고, 변경 가능한 주파수 데이타가 존재하는 것이 표시된다. 스텝(S226)의 다음 스텝(S227)에서,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8a)로부터 수신 주파수의 변경 지령이 있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8a)로부터 수신 주파수의 변경 지령이 없는 경우에는, 제2마이크로프로세서(18b)는 재차 스텝(S215~S227)의 동작을 반복해서 실행한다.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8a)는, 내장된 타이머에 의해 제1동조회로(2)의 수신 레벨이 22초 이상 소정치 이하로 저하한 것을 검출하면, 수신 주파수의 변경 지령을 제2마이크로프로세서(18b)에 출력한다. 제2마이크로프로세서(18b)에서는,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8a)로부터의 수신 주파수의 변경 지령에 응답해서, 아래 동작을 행한다. 즉, 스텝(S228)에서, 선택 메모리(21b)로부터 주파수가 낮은 순으로 하나의 주파수 데이타가 판독되고, 제2동조회로(3)의 국부 발진 회로로 송출된다. 이에 따라, 제2동조회로(3)이 그 주파수에 도조된다. 스텝(S228)의 다음 스텝(S229)에서, 그때 RDS 디코더(7)에 의해서 추출된 PI 코드와 데이타 메모리(20b)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PI 코드[제1동조회로(2)에서의 피수신국의 PI 코드]가 비교된다. 양쪽 PI 코드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제1동조회로(2)와 제2동조회로(3)이 동일한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S230)에서, 제2동조회로(3)의 수신 주파수의 데이타가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8a)로 송출된다.
이에 따라, 주파수 표시기(8A)에 그 주파수가 표시된다. 한편, 양쪽의 PI 코드가 일치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S231)에서, 제2동조회로(3)에 공급된 주파수 데이타가 선택 메모리(21b)에서 삭제된다. 스텝(S231)의 다음 스텝(S232)에서, 선택 메모리(21b)에 주파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선택 메모리(21b)에 주파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작 스텝이 재차 스텝(S228)로 되돌아오고, 선택 메모리(21b)로부터 다음 주파수 데이타가 판독된다. 한편, 선택 메모리(21b)에 주파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동작 스텝은 전술한 스텝(S214)로 되돌아온다.
다음으로, 제2마이크로프로세서(18b)는, 스텝(S230)의 동작 후,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8a)로부터의 데이타[제2마이크로프로세서(18b)에서 수취한 주파수 데이타로 제1동조회로(2)를 동조시켰다는 요지의 데이타]의 반송을 스텝(S217)에서 감시하면서 이 데이타가 반송되기까지, 수신 레벨이 소정치 이상의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를 행한다(스텝 S214~S227).
다음으로,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8a)는, 전술한 스텝(S230)에서 제2마이크로프로세서(18b)에서 수취한 주파수 데이타에 의거하여 제1동조회로(2)를 그 주파수에 동조시킨다. 제1동조회로(2)가 그 주파수에 동조하면,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8a)는 제1동조회로(2)를 동조시켰다는 요지의 데이타를 제2마이크로프로세서(18b)로 송출한다. 제2마이크로프로세서(18b)에서는,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8a)로부터의 상기 데이타의 반송을 스텝(S217)에서 판단하면,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를 중단해서, 아래 동작을 행한다. 즉, 스텝(S233)에서, 제1동조회로(2)에 공급된 주파수 데이타가 제2동조회로(3)의 국부 발진 회로 및 구동 회로(9)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제2동조회로(3)이 그 주파수에 동조되고, 주파수 표시기(8A)에 그 주파수가 표시된다. 스텝(S223)의 다음 스텝(S234)에서, RDS 디코더(7)에 의해서 추출된 RDS 데이타에 PS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RDS 데이타에 PS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S235)에서, 7초간 PS 코드가 읽혀져서, 데이타 메모리(20b)에 저장된다. 스텝(S235)의 다음 스텝(S236)에서, 상기 저장된 PS 코드에 의거하여 주파수 표시기(8A)에 방송국명이 표시된다. 그후, 동작 스텝이 스텝(S218)로 되돌아오고, 중단되어 있던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가 재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서는, 제2마이크로프로세서(18b)에서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8a)로 변경을 위한 주파수 데이타를 전송한 후,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8a)에서 제2마이크로프로세서(18b)로 데이타의 반송[제1동조회로(2)를 그 주파수 데이타로 동조시켰다는 요지의 데이타의 반송]이 있기까지의 사이에서도 제2마이크로프로세서(18b)는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를 행한다. 따라서, 제1마이크로프로세서(18a)와 제2마이크로프로세서(18b)와의 데이타 전송에서의 응답 시간을 낭비없이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5실시예]
제9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 제5실시예에는, 수신 수단으로서 1개의 동조회로(2')만을 포함한다. 동조회로(2')의 수신 출력은 멀티플랙서(4)에 공급됨과 아울러, RDS 디코더(7)에 공급된다. 또한 A/D변환기(11)에 의해서, 동조회로(2')의 수신 레벨이 검출한다. 동조회로(2')는, CPU(18)에 의해서 그 수신 모드가, 통상의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제1모드와 AF 리스트의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를 위한 제2모드로 교대로 전환된다. 이 제1 및 제2모드의 전환기의 시간 계측을 행하기 위해, 제1타이머(22a)가 설치된다. 이 제1타이머(22a)는, 데이타 버스를 통해서 CPU(18)과 접속된다. 제2타이머(22b)는, 제2도에서의 타이머(22)와 마찬가지로, 동조회로(2')의 수신 레벨이 22초 이상 소정값 이하인 것을 검출할 때의 시간 계측을 위해 사용된다. 이 제2타이머(22b)는 데이타 버스를 통해 CPU(18)과 접속된다. 또한, 앰프(5)에는 I/O포트(17)을 통해서 CPU(18)에서 뮤팅 펄스가 부여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제2도에 도시하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고,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5실시예의 상세한 동작을 설명하기 전에, 그 개략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제5실시예에서는, 동조회로(2')에서의 통상의 방송 프로그램 수신을, 일정 기간마다 중단시키고, 그 중단시에 데이타 메모리(20)에 저장되어 있는 AF 리스트에서 주파수 데이타 fn(n=1,2,...)을 판독하여 그 주파수 데이타로 동조 회로(2')를 동조시킨다. 그리고, 동조 회로(2')의 수신 레벨을 검출해서, 소정 레벨 이상이면, 그때의 주파수 데이타를 선택 메모리(21)에 저장한다. 동조 회로(2')에서의 수신 모드의 전환 타이밍은, 제10a도에 도시되어 있다. 즉, 통상의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프리세트키(12 또는 13)에 의하여 선택된 주파수 데이타 fp에 의한 수신]이 0.5s 행해질 때마다. 뮤팅 펄스에 의하여 6ms의 사이 스피커(6)로부터의 프로그램 재생이 중단된다. 제10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6ms의 중단 기간의 전반(3ms)에서는 데이타 메모리(20)로부터 판독된 주파수 데이타 fn(n=1,2,...)가 동조 회로(2')에 공급되어, 동조 회로(2')가 그 주파수에 동조된다. 중단 기간의 후반 기간(3ms)는, 재차 동조 회로(2')에 원래의 주파수 데이타 fp가 공급된다. 또한, 이 후반의 3ms 기간도 뮤팅하도록 한 것은, 제10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주파수의 전환시에서 동조 회로(2')의 수신 출력에 잡음이 생기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제11a도~제11c도를 참조하여, 상기 제5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전원이 투입되면, 스텝(S301)에서, 프리세트키(12 또는 13)이 조작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프리세트키(12 또는 13)이 조작된 경우에는, 스텝(S302)에서, 그 프리세트키에 대응하는 주파수 데이타 fp가 데이타 메모리(20)로부터 판독되고, 동조 회로(2')의 국부 발진 회로 및 구동 회로(9)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동조 회로(2')가 그 주파수에 동조되어, 주파수 표시기(8A)에 그 주파수가 표시된다. 이후, 스텝(S303)에서 (S315)까지는, 전술한 제4실시예에서의 제8a도 및 제8b도의 스텝(S203~S215)와 동일한 동작이 행하여진다. 즉, 동조 회로(2')에서의 파수신국이 RDS국인지 여부가 판단되고, RDS국인 경우에는, PI 코드, PS 코드 및 AF 리스트가 데이타 메모리(20)에 저장되고, 주파수 표시기(8A)에 방송국명이 표시된다. 그리고, AF키(16)이 조작되면, AF 램프(8C)가 점멸 상태로 되고, 선택 메모리(21)이 클리어된다.
스텝(S315)의 다음 스텝(S316)에서, 카운터 n에 1이 세트됨과 동시에, 플래그 레비스터(F)에 0이 세트된다. 스텝(S316)의 다음, 스텝(S317)에서, 카운터 n에 대응하는 데이타 메모리(20)의 기억 영역에서 주파수 데이타 fn이 판독된다. 스텝(S317)의 다음 스텝(S318)에서, 주파수 데이타 fp와 주파수 데이타 fn이 일치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여기에서, 주파수 데이타 fp는, 프리세트키(12 또는 13)의 조작에 의하여 선택된 주파수 데이타이다. 주파수 데이타 fp와 fn이 일치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S319)에서, 제1타이머(22a)가 클리어 상태에서 개시된다. 이에 따라, 전술한 중단 기간 전반의 3ms 계시가 개시된다. 스텝(S319)의 다음 스텝(S310)에서, 앰프(5)에 뮤팅 펄스가 부여된다. 이로인해, 앰프(5)는 입력된 음성 신호를 뮤트한다. 스텝(S320)의 다음 스텝(S321)에서, 데이타 메모리(20)로부터 판독된 주파수 데이타 fn이 동조 회로(2')의 국부 발진 회로에 부여된다. 이에 따라, 동조 회로(2')는 그 주파수에 동조한다. 스텝(S321)의 다음 스텝(S322)에서, 제1타이머(22a)의 계시 기간이 3ms로 되었는가 어떤가가 판단된다. 제1타이머(22a)의 계시 기간이 3ms로 되면, 스텝(S323)에서, A/D변환기(11)의 출력에 의거하여 동조 회로(2')의 수신 레벨이 소정치 이상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동조 회로(2')의 수신 레벨이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S324)에서,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 fn이 저장된다. 그 후, 동작 스텝이 스텝(S325)로 진행한다. 한편, 동조 회로(2')의 수신 레벨이 소정치 미만인 때에는,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 fn이 저장됨이 없이, 동작 스텝이 직접 스텝(S325)로 이행한다.
스텝(S325)에서, 카운터 n의 값이 N으로 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즉, 데이타 메모리(20)에 저장된 AF 리스트의 전체 주파수 데이타에 대한 써치가 종료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카운터 n의 값이 N이 아닌 경우, 즉 데이타 메모리(20)에 써치의 대상이 주파수 데이타가 남아있는 경우에는, 스텝(S326)에서, 카운터 n에 1이 증가된다. 스텝(S326)의 다음 스텝(S327)에서, 제1타이머(22a)가 클리어 상태에서 개시된다. 이에 따라 전술한 중단 기간에서의 후반 3ms 계시가 시작된다. 스텝(S327)의 다음 스텝(S328)에서, 데이타 메모리(20)로부터 주파수 데이타 fp가 판독되고, 동조 회로(2')의 국부 발진 회로에 공급된다. 이로 인해, 동조 회로(2')는 그 주파수에 동조한다. 스텝(S328)의 다음 스텝(S329)에서, 제1타이머(22a)가 3ms를 계시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제1타이머(22a)가 3ms를 계시하면, 스텝(S330)에서, 앰프(5)에서의 뮤팅 동작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스피커(6)에서는 재차 방송 프로그램이 재생된다.
스텝(S330)의 다음 스텝(S331)에서, 제1타이머(22a)가 재차 클리어 상태에서 개시된다. 이에 따라, 통상의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 기간 0.5ms 계시가 시작된다. 스텝(S331)의 다음 스텝(S332)에서, 동조 회로(2')의 수신 레벨이 소정치 이상인지 여부가 A/D 변환기(11)의 출력에 의거하여 판단한다. 동조 회로(2')의 수신 레벨이 소정치 미만의 경우에는, 스텝(S333)에서 제2타이머(22b)가 개시된다. 한편, 동조 회로(2')의 수신 레벨이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S334)에서, 제2타이머(22b)가 클리어된다. 스텝(S333 및 S334)에서의 제2타이머(22b)의 제어동작 후, 스텝(S335) 제1타이머(22a)가 0.5s를 계시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제1타이머(22a)가 0.5s를 계시한 경우에는, 스텝(S336)에서 플러그 레지스터 F에 1이 세트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플래그 레지스터 F1에는, 데이타 메모리(20)에 저장된 AF 리스트의 전체 주파수 데이타에 대해 써치될 때까지는 1이 세트되지 않으므로, 동작 스텝은 스텝(S317)로 이행한다. 그리고, 데이타 메모리(20)에서의 나머지 주파수 데이타에 대한 써치가 행하여진다.
데이타 메모리(20)에 저장된 AF 리스트에 포함되는 모든 주파수 데이타에 대한 써치가 종료하면, 카운터 n의 값이 N이 되므로, 스텝(S325)에서 그 일이 판단되어, 동작 스텝이 스텝(S337)로 이행한다. 스텝(S337)에서는, 플래그 F에 1이 세트된다. 스텝(S337)의 다음 스텝(S338)에서,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339)에서 AF 램프(8C)가 점멸된다. 그리고, 동작 스텝이 스텝(S327)로 이행한다. 이 경우, 스텝(S327~S335)의 동작 후, 스텝(S336)에서 플래그 레지스터(F)에 1이 세트되어 있음이 판단되었기 때문에, 동작 스텝은 스텝(S315)로 이행한다. 따라서, 선택 메모리(21)이 클리어되고, 카운터 n에 1이 세트되어, 플래그 레지스터(F)에 0이 세트된 후, 초기 상태에서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가 재개된다. 한편, 스텝(S338)에서,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S340)에서 AF 램프(8C)가 점등된다.
스텝(S340)의 다음 스텝(S341)에서, 제2타이머(22b)가 22초 이상 계시하고 있는가 어떤가, 즉 동조 회로(2')에서의 통상의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 레벨이 22초이상 소정 레벨 이하로 저하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제2타이머(22b)가 22초 이상 계시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통상의 방송 프로그램 수신시에서의 수신 주파수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동작 스텝은 스텝(S327)로 이행한다. 한편, 제2타이머(22b)가 22초 이상 계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동조 회로(2')의 통상의 방송 프로그램 수신시의 수신 상태가 악화하고 있으므로, 아래 동작에 의하여 동조 회로(2')의 통상의 방송 프로그램 수신시에서의 수신 주파수의 변경 처리가 행하여진다. 즉, 스텝(S342)에서, 제1타이머(22a)가 클리어 상태에서 개시된다. 스텝(S342)의 다음 스텝(S343)에서, 선택 메모리(21)에서 주파수가 낮은 순으로 하나의 주파수 데이타가 판독되고, 동조 회로(2')의 국부 발진 회로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동조 회로(2')가 그 주파수에 동조한다. 스텝(S343)의 다음 스텝(S344)에서, RDS 디코더(7)에 의해서 추출된 PI 코드를 읽어들인다. 이 PI 코드의 읽기는, 제1타이머(22a)가 0.2s를 계시할 때까지 계속된다(스텝 S345). 또한, PI 코드의 읽어들이는 시간을 0.2S로 한 것은, PI코드는 1초 동안 11회 송출되고 있으므로, 0.2S라면 충분히 독입이 행해진다는 이유에 기인한다.
스텝(S345)에서 PI 코드의 읽기가 종료하면, 스텝(S346)에서 PI 코드의 체크가 행해진다. 즉, 전술한 스텝(S304)에서 미리 데이타 메모리(20)에 저장되어 있는 PI 코드(통상의 방송 프로그램 수신시에서의 PI 코드)와 동조 회로(2')의 현재의 수신 출력에서 얻어진 PI 코드가 일치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양쪽의 PI 코드가 불일치한 경우에는, 스텝(S347)에서, 동조 회로(2')의 그때의 수신 주파수 데이타가 선택 메모리(21)에서 삭제된다. 그리고, 스텝(S348)에서,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가 남아 있는지 여부가 판단되고, 남아있는 경우에는 선택 메모리(21)에서 다음 주파수 데이타가 판독되어 PI 코드의 체크가 행해진다(스텝 S342~S346). 선택 메모리(21)에 저장된 주파수 데이타를 모두 판독해서 동조 회로(2')를 동조 제어해도, PI 코드의 일치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S348)에서 선택 메모리(21)에서 주파수 데이타의 나머지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스텝(S349)에서 AF 램프(8C)가 점멸된다. 그 후, 동작 스텝(S327)로 이행하고, 다시 fp에 동조 회로(2')가 동조되며, 초기 상태에서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가 재개된다. 한편, 스텝(S346)에서 PI 코드의 일치가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S350)에서 수신 주파수 데이타의 변경이 행해진다. 즉, 거기까지의 주파수 데이타 fp[프리세트키(12,13)의 조작에 기인하는 주파수 데이타]가 그때 선택 메모리(21)로부터 판독된 주파수 데이타 f에 의해서 치환된다. 이후, 이 주파수 데이타 f가 주파수 데이타 fp로서 취급된다. 따라서, 통상의 방송 프로그램 수신시에서의 수신 주파수가 이 주파수 데이타 f로 변경된다. 스텝(S350)의 다음 스텝(S351)에서, AF 램프(8C)가 점멸되고, 제2타이머(22b)가 클리어된다. 그 후, 동작 스텝은 스텝(S330)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가 초기 상태에서 재개된다.
상기 제5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데이타 메모리(20)에 저장된 AF 리스트의 전체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가 1회 종료할 때마다 제2타이머(22b)의 계시 시간을 판단하고(스텝 S341), 그로 인해 통상의 방송 프로그램 수신시에서의 수신 주파수의 변경을 행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따라서, 수신 주파수의 변경을 해야 한다는 요지의 판단이 있는 경우에는, 선택 메모리(21)에 수신 레벨이 소정치 이상이 주파수 데이타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고, 수신 주파수의 변경 가능율이 높아진다. 그러나, 이 제5실시예도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제2타이머(22b)가 22초를 계시하기 직전에 1사이클의 써치가 종료한 경우에는, 재차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가 초기 상태로부터 반복되게 된다. 그로 인해, 1사이클의 써치에 필요한 시간(제5실시예에서는, AF 리스트에 25개의 주파수 데이타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13초 정도)만큼, 수신 주파수의 변경 처리가 늦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제12a도~제12d도에 도시하였다.
[제6실시예]
제12a도~제12d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또한, 이 제6실시예에 채용되는 하드 회로는, 전술한 제5실시예의 하드 회로(제9도 참조)와 동일하다. 즉, 프로그램 메모리(19)에 기입되는 동작 프로그램이 제12a도~제12d도에 도시한 것으로 변경될 뿐이다. 이하, 이들 제12a도~제12d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전원 투입 후, 프리세트키(12 또는 13)이 조작되면, 그 프리세트키에 대응하는 주파수 데이타 fp가 데이타 메모리(20)로부터 판독되어 동조 회로(2')의 국부 발진 회로 및 구동 회로(9)에 공급된다(스텝 S401,S402). 이에 따라 동조 회로(2')가 그 주파수에 동조해서, 주파수 표시기(8A)에 그 주파수가 표시된다. 다음으로, 동조 회로(2')인 그때의 피수신국이 RDS국인 경우에는, RDS 데이타에 포함되는 PI 코드가 데이타 메모리(20)에 저장됨과 동시에, RDS 램프(8B)가 점등된다(스텝 S403~S405). 계속해서, RDS 디코더(7)에 의해서 추출되는 RDS 데이타에 AF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되고, AF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7초간 AF 리스트를 읽어들여 데이타 메모리(20)에 저장한다. (스텝 S406,S407). 다음에, 데이타 메모리(20)에 저장된 AF 리스트에 포함되는 주파수 데이타의 총 수가 N으로서 설정된다(스텝 S408).
여기에서, AF 키(16)이 조작되면, AF 램프(8C)가 점멸되고, 선택 메모리(21)이 클리어된다(스텝 S409~S411). 계속해서 플래그 레지스터(F1)에 0이 세트된다(스텝 S412). 또한, 플래그(F2)에 0이 세트됨과 동시에, 카운터 n에 1이 세트된다(스텝 S413). 계속해서, 데이타 메모리(20)로부터 카운터 n의 계수치에 대응하는 주파수 데이타 fn이 판독되고, 이 주파수 데이타 fn과 전술한 주파수 데이타 fp[프리세트키(12,13)의 조작에 기인하는 주파수 데이타]가 일치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414,S415). 주파수 데아티 fn과 fp가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제1타이머(22a)가 클리어 상태에서 개시됨과 동시에, 앰프(5)의 뮤팅이 시작된다(스텝 S416,S417). 계속해서, 상기 주파수 데이타 fn이 동조 회로(2')의 국부 발진 회로에 공급된다(스텝 S418). 이에 따라, 동조 회로(2')는 그 주파수에 동조한다. 이 상태로, 제1타이머(22a)가 3ms를 계시하면, A/D 변환기(11)의 출력에 의거하여 동조 회로(2')의 수신 레벨이 소정치 이상인지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420).
제2동조 회로(2')의 수신 레벨이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S421)에서 주파수 데이타 fn이 이미 선택 메모리(21)에 저장되고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주파수 데이타 fn이 선택 메모리(21)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422)에서, 주파수 데이타 fn이 선택 메모리(21)에 저장된다. 그후 동작 스텝이 스텝(S425)로 이행한다. 주파수 데이타 fn이 선택 메모리(21)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작 스텝이 스텝(S425)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S420)에서 제2동조회로(2')의 수신 레벨이 소정치 미만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S423)에서 주파수 데이타 fn이 선택 메모리(21)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주파수 데이타 fn이 선택 메모리(21)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S424)에서 주파수 데이타 fn이 선택 메모리(21)에서 삭제되고, 그 후 동작 스텝이 스텝(S425)로 이행한다. 주파수 데이타 fn이 선택 메모리(21)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동작 스텝이 직접 스텝(S425)로 이행한다. 스텝( S421~S424)의 처리 후, 동작 스텝은 스텝(S425)로 이행한다. 또한, 전술한 스텝(S415)에서, 주파수 데이타 fp와 fn의 일치가 판단된 경우에는, 동작 스텝은 직접 이 스텝(S425)로 이행한다. 스텝(S425)에서는, 카운터 n이 1만 증가된다. 계속해서, 카운터 n의 값이 N+1인지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426). 카운터 n의 값이 N+1이 아닌 경우에는, 1사이클의 써치가 종료하고 있지 않으므로, 동작 스텝은 스텝(S428)로 이행한다. 한편, 카운터 n의 값이 N+1인 경우에는, 1사이클의 써치가 종료했으므로, 플래그 레지스터(F1 및 F2)에 각각 1이 세트된다(스텝 S427). 그 후, 동작 스텝이 스텝(S428)로 이행한다. 스텝(S428)에서는, 플래그 레지스터(F1)에 1이 세트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플래그 레지스터(F1)이 1이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선택 메모리(21)에 이미 주파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AF 램프(8C)의 표시 제어가 행해진다(스텝 S429~S431). 즉,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AF 램프(8C)가 점등되고, 주파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AF 램프(8C)가 점멸된다.
한편, 플래그 레지스터(F1)에 0이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회째 써치 사이클이 종료하고 있지 않으므로, 가령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어도 AF 램프(8C)의 점멸 상태가 준비 상태로서 유지된다. 또한 이 준비 상태는 최대 13초 정도이고, 이 상태일때 제1모드에서의 수신 주파수의 전환 요구가 행해지는 것은 아니다[제2타이머(22b)는 22초를 카운트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제1타이머(22a)가 클리어 상태에서 개시되어, 제10b도에 도시한 중단 기간의 후반 3ms 계시가 시작된다(스텝 S432). 계속해서, 주파수 데이타 fp에 의하여 동조 회로(2')의 동조 제어가 행해진다(스텝 S433). 그후, 제1타이머(22a)가 3ms를 계시하면, 뮤팅 상태가 해제된다(스텝 S434,S435).
스텝(S435)의 다음, 스텝(S436)에서 제1타이머(22a)가 재차 클리어 상태에서 개시되고, 통상의 방송 프로그램 수신시에서의 0.5s의 계시 동작이 시작된다. 다음으로, 동조 회로(2')의 수신 레벨이 소정치 이상인지 여부가 판단되고, 소정치 미만인 경우에는 제2타이머(22b)의 카운트 동작이 행해지고,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제2타이머(22b)가 클리어된다(스텝 S437~S439). 그후, 스텝(S440)에서 제2타이머(22b)가 22초 이상 계시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제2타이머(22b)가 22초 이상 계시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 주파수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1타이머(22a)가 0.5초 계시한 후, 플래그 레지스터(F2)에 1이 세트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441,S442). 이때, 플래그 레지스터(F2)에 0이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작 스텝은 스텝(S414)로 되돌아오고, 데이타 메모리(20)에 저장된 AF리스트의 나머지 주파수 데이타에 대한 써치가 행해진다. 한편, 플래그 레지스터(F2)에 1이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작 스텝은 스텝(S413)으로 되돌아온다. 즉, 이 경우 데이타 메모리(20)에 저장된 AF 리스트에 포함되는 전체 주파수 데이타에 대한 써치가 종료했으므로, 재차 최초의 주파수 데이타에서 써치가 재개된다.
한편, 스텝(S440)에서, 제2타이머(22b)가 22초 이상 계시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수신 주파수의 변경 처리가 행해진다. 우선 스텝(S443)에서,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 레벨이 양호한 주파수 데이타 존재하고 있지 않으므로, 동작 스텝은 스텝(S441)로 되돌아오고, 재차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가 반복된다.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가 존재하고 있을 경우에는, 앰프(5)에서의 뮤팅이 시작됨과 동시에, 제1타이머(22a)가 클리어 상태에서 개시된다(스텝 S444,S445). 다음으로, 선택 메모리(21)에서 주파수가 작은 순번으로 하나의 주파수 데이타 f가 판독되어, 동조 회로(2')의 국부 발진 회로에 부여된다(스텝 S446). 따라서, 동조 회로(2')는 주파수 f에 동조한다. 다음으로, 제1타이머(22a)가 0.2s를 계시할 때까지, PI 코드의 읽기가 행해진다(스텝 S447, S448). 다음으로, 주파수 데이타 f에 대응하는 PI 코드(스텝 S447에서 읽어들인 PI 코드)와 주파수 데이타 fp에 대응하는 PI 코드[전술한 스텝(S404)에서 데이타 메모리(20)에 저장된 PI 코드]가 일치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양쪽의 PI 코드가 일치한 경우에는, 선택 메모리(21)에서 주파수 데이타 f가 삭제된다(스텝 S450). 그리고, 이 주파수 데이타 f가 주파수 데이타 fp로서 설정되어 제2타이머(226)가 클리어된다(스텝 S451). 이에 따라, 동조 회로(2')의 통상의 방송 프로그램 수신시에서의 수신 주파수가 변경된다. 다음으로,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의 나머지가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452).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의 나머지가 있는 경우에는, 동작 스텝은 스텝(S453)으로 되돌아온다. 이 경우, AF 램프(8C)는 점등된 상태 그대로이다. 한편,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의 나머지가 없는 경우에는, 스텝(S453)에서 AF 램프(8C)가 점멸 상태로 된 후, 동작 스텝은 스텝(S453)으로 되돌아온다.
다음으로 전술한 스텝(S449)에서, 양쪽의 PI 코드 불일치가 판단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경우, 주파수 데이타 f에 의해서 동조 제어된 동조 회로(2')의 수신 프로그램과 주파수 데이타 fp에 의해서 동조 제어된 동조 회로(2')의 수신 프로그램이 다르므로, 스텝(S454)에서 선택 메모리(21)로부터 주파수 데이타 f가 삭제된다. 그리고,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의 나머지가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455). 선택 메모리(21)다서 주파수 데이타가 남아 있는 경우에는, 동작 스텝은 스텝(S445)로 되돌아오고, 재차 선택 메모리(21)에서 다음 주파수 데이타가 판독된다. 한편, 선택 메모리(21)에 주파수 데이타가 남아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456)에서 AF 램프(8C)가 점멸 상태로 된 후, 동작 스텝은 스텝(S432)로 되돌아온다.
이상 설명한 제6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 도중에서도 통상의 방송 프로그램 수신시에서의 동조 회로(2')의 수신 상태의 악화가 스텝(S440)에서 판단되므로, 수신 상태의 악화가 판단된 후 곧 수신 주파수의 변경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제1~제6실시예에서는, 데이타 메모리와는 별도로 선택 메모리를 설치하고, 데이타 메모리에 저장된 AF 리스트 중에서 써치된 주파수 데이타를 선택 메모리에 저장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에 대신해서,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타 메모리에 설치된 AF 리스트표의 각 주파수 데이타 기억 영역에 대응시켜서 플래그 영역(30)을 설치하고, 이 플래그 영역(30)에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 결과를 기억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선택 메모리는 불필요하게 된다.

Claims (21)

  1. 프로그램 정보 외에 여러가지 서비스 정보가 부가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수신기에서, 상기 서비스 정보는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과 동일한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는 다른 방송국의 주파수 데이타 리스트를 최소한 포함하고,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하여 수신된 방송 신호에서 상기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수단, 상기 추출 수단에 의하여 추출된 서비스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다른 방송국의 주파수 데이타의 리스트를 기억하기 위한 리스트 기억 수단, 상기 리스트 기억 수단에 기억된 주파수 데이타의 리스트 중에서 수신 레벨이 소정치 이상인 주파수 데이타를 미리 써치하기 위한 써치 수단,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하여 수신된 방송 신호의 수신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레벨 검출 수단, 상기 레벨 검출 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수신 상태가 악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 수단, 상기 판단 수단이 수신이 수신 상태의 악화를 판단한 것에 응답해서, 써치 수단에 의하여 써치된 주파수 데이타로 상기 수신 수단의 수신 주파수를 제어하고, 그로 인해 현재 수신하고 있는 방송을 다른 방송국의 동일 프로그램 방송을 변경하기 위한 변경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이 2개의 동조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이 방송 프로그램 재생용의 제1동조 회로와, 상기 써치 수단에 의한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를 위해 사용되는 제2동조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 수단이, 상기 제1동조 회로에 의하여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상기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레벨 검출 수단은, 상기 제1동조 회로에 의하여 수신된 방송 신호의 수신 레벨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써치 수단이, 상기 제2동조 회로로 상기 리스트 기억 수단에 기억된 주파수 데이타를 차례로 공급하여 그 수신 주파수를 차례로 전환하고, 그 때마다 제2동조 회로로부터 얻어지는 수신 출력의 레벨에 의거하여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를 행하고, 상기 변경 수단은, 상기 판단 수단이 수신 상태의 악화를 판단한 것에 응답해서, 상기 제1동조 회로의 수신 주파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써치 수단이,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를 주기적으로 행하고, 써치된 주파수 데이타를 1사이클마다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써치 수단의 써치 결과를 기억하기 위한 써치 결과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기억 수단이 상기 써치 수단의 써치 결과를 그 주파수 데이타의 리스트에 대응시켜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수단이 상기 써치 수단에 의한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가 1사이클 종료할 때마다 수신 상태가 악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수단은, 상기 써치 수단이 상기 제2동조 회로의 수신 주파수를 전환할 때마다 수신 상태가 악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동조 회로 중 한쪽 동조 회로가 방송 프로그램 재생을 위해 할당되고, 또한 다른 쪽 동조 회로가 상기 써치 수단에 의한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를 위해 할당되는 제1모드와, 한쪽 동조 회로가 써치 수단에 의한 주파수 데이타의 서치를 위해 할당되고, 또한 다른쪽 동조 회로가 방송 프로그램 재생을 위해 할당되는 제2모드를 갖고, 상기 추출 수단이, 상기 방송 프로그램 재생을 위해 할당된 동조 회로에 의하여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상기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방송 프로그램 재생을 위하여 할당된 동조 회로에 의해 수신된 방송 신호의 수신 레벨을 검출하며, 상기 변경 수단은, 상기 판단 수단이 수신 상태의 악화를 판단한 것에 응답해서, 상기 써치 수단에 의한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를 위해 할당된 동조 회로의 수신 주파수를 제어하고, 그후, 상기 제1모드에서 상기 제2모드로 또는 상기 제2모드에서 상기 제1모드로 수신기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써치 수단에 의한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를 위해 할당된 동조 회로는, 상기 리스트 기억 수단에 기억된 주파수 데이타가 상기 써치 수단에 의하여 차례로 공급되어 그 수신 주파수가 차례로 전환되고, 상기 써치 수단은, 그때마다 이 동조 회로로부터 얻어지는 수신 출력의 레벨에 의거하여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2. 제1항에 있어서, 표시 수단 및 상기 써치 수단의 서치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고, 써치된 주파수 데이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기 위한 표시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이 1개의 동조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동조 회로를 방송 프로그램 재생을 위해 사용하는 제1모드와, 상기 동조 회로를 상기 써치 수단에 의해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를 위해 사용하는 제2모드를 갖고 , 상기 제1모드와 상기 제2모드가 교대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수단은, 상기 제1모드에서의 상기 동조 회로의 수신 상태가 악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써치 수단이, 상기 제2모드로 전환될 때마다, 상기 동조 회로로 상기 리스트 기억 수단에 기억된 주파수 데이타를 차례로 공급하여 그 수신 주파수를 차례로 전환하고, 그 때마다 이 동조 회로에서 얻어지는 수신 출력의 레벨에 의거하여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를 행하고, 상기 변경 수단은, 상기 판단 수단이 수신 레벨이 악화된 것을 판단한 것에 응답해서, 상기 동조 회로의 상기 제1모드에서의 수신 주파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써치 수단이,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를 주기적으로 행하고, 써치된 주파수 데이타를 1사이클마다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7. 제16항에 잇어서, 상기 써치 수단의 써치 결과를 기억하기 위한 써치 결과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기억 수단은, 상기 써치 수단의 써치 결과를 그 주파수 데이타의 리스트에 대응시켜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수단이, 상기 써치 수단에 의한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가 1사이클 종료할 때마다, 상기 제1모드에서의 상기 동조 회로의 수신 상태가 악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수단은, 상기 제1모드로 전환될 때마다, 상기 동조 회로의 수신 상태가 악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21. 프로그램 정보 외에 여러가지 서비스 정보가 부가된 방송 신호를 수신해서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는,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과 동일한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는 다른 방송국의 주파수 데이타 리스트를 최소한 포함하고, 제1동조 회로, 제2동조 회로, 상기 제2동조 회로에 의하여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상기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수단, 상기 제1동조 회로의 동조를 제어함과 동시에, 제2제어 수단과의 사이에서 데이타 전송을 행하는 제1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 수단은 상기 제1동조 회로의 수신 레벨을 검출하고, 상기 수신 레벨이 소정 레벨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소정 레벨 이하이면, 상기 제2제어 수단으로 수신 주파수의 변경 지령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동조 회로의 동조를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제1제어 수단과의 사이에서 데이타 전송을 행하는 상기 제2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 수단은 상기 추출 수단에 의하여 추출된 서비스 정보에 포함되는 다른 방송국의 주파수 데이타 리스트에 의거하여 상기 제2동조 회로의 수신 주파수를 차례로 전환하고, 그 때마다 제2동조 회로로부터 얻어지는 수신 출력의 레벨에 의거하여 상기 리스트 중에서 수신 레벨이 소정치 이상인 주파수 데이타를 써치하고, 제1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주파수 변경 지령에 응답해서 그 써치된 주파수 데이타를 제1제어 수단으로 전송하고, 전송 후에는, 제1제어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타 반송을 감시하면서 재차 주파수 데이타의 써치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KR1019890003256A 1988-03-17 1989-03-16 수신기 KR9600089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64315 1988-03-17
JP6431588 1988-03-17
JP63-180525 1988-07-20
JP18052588 1988-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521A KR890015521A (ko) 1989-10-30
KR960008949B1 true KR960008949B1 (ko) 1996-07-10

Family

ID=26405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3256A KR960008949B1 (ko) 1988-03-17 1989-03-16 수신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333194B1 (ko)
JP (1) JP2760552B2 (ko)
KR (1) KR960008949B1 (ko)
AT (1) ATE154733T1 (ko)
DE (1) DE6892813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04987A1 (de) * 1990-02-19 1991-08-22 Grundig Emv Verfahren zum stationsabruf in rds-empfangsgeraeten
JP2788015B2 (ja) * 1990-04-10 1998-08-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Rds放送受信機
JPH03293823A (ja) * 1990-04-12 1991-12-25 Pioneer Electron Corp ラジオ受信機
JPH044615A (ja) * 1990-04-23 1992-01-09 Pioneer Electron Corp ラジオ受信機
DE4017756A1 (de) * 1990-06-01 1991-12-05 Grundig Emv Rds-rundfunkempfaenger mit einer einrichtung zum aufsuchen aktuell empfangswuerdiger alternativer frequenzen
JP2542955B2 (ja) * 1990-06-29 1996-10-09 三洋電機株式会社 自動選局回路における信号強度のピ―ク検出回路
JP2658538B2 (ja) * 1990-09-14 1997-09-30 三菱電機株式会社 Rds受信機
JP2669136B2 (ja) * 1990-10-05 1997-10-27 三菱電機株式会社 Rds受信機の自動選局制御装置
DE4129830A1 (de) * 1991-09-07 1993-03-25 Blaupunkt Werke Gmbh Ukw-empfaenger mit mehreren antennen
US5274037A (en) * 1992-07-31 1993-12-28 Eastman Kodak Company Elastomeric composition containing elastomer and amorphous propylene/hexene copolymer
DE4236621A1 (de) * 1992-10-29 1994-05-05 Becker Autoradio Verfahren zur Abstimmung eines Rundfunkempfängers
US5812937B1 (en) * 1993-04-08 2000-09-19 Digital Dj Inc Broadcast data system with multiple-tuner receiver
US5572201A (en) * 1994-08-05 1996-11-05 Federal Signal Corporation Alerting device and system for abnormal situations
DE19503540A1 (de) * 1995-02-03 1996-09-05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Empfang und zur Ausgabe eines Rundfunkprogrammes mit zugefügten digitalen Informationen und Rundfunkempfängern dazu
US5740518A (en) * 1995-04-03 1998-04-14 Casio Computer Co., Ltd. FM character data multiplex broadcasting signal receiving apparatus
AR000593A1 (es) * 1995-04-26 1997-07-10 Wink Communications Inc Método y sistema de información intreactivo para determinar información de radiodifusor
DE19622432C2 (de) * 1996-06-04 1999-05-12 Rundfunkschutzrechte Ev Funkempfänger mit einem Stationsspeicher
DE19751189A1 (de) 1997-11-19 1999-05-20 Bosch Gmbh Robert Rundfunkempfänger
EP1032128A1 (en) 1999-02-23 2000-08-30 Mannesmann VDO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processing transmitter and program related data in an FM RDS receiver
EP1056203A1 (en) * 1999-05-26 2000-11-29 Mannesmann VDO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selection of a tuning frequency
DE10034039A1 (de) * 2000-07-13 2002-01-31 Harman Becker Automotive Sys Runddfunkempfangssystem, Empfänger und Betriebsverfahren dafür
US7747232B2 (en) 2001-07-13 2010-06-29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Radio reception system with automatic tuning
DE10218697A1 (de) * 2002-04-26 2003-11-06 Bosch Gmbh Robert Mehrkanal-Funkempfänger
DE60209166T2 (de) * 2002-06-12 2006-08-17 Siemens Ag Mehrband-RDS-Radioempfänger
JP2004312081A (ja) * 2003-04-02 2004-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放送波受信装置
KR100553540B1 (ko) * 2003-10-31 2006-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오디오/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DE602004014511D1 (de) * 2004-11-15 2008-07-31 Harman Becker Automotive Sys Radiosystem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s Radiosystems
CN101258700B (zh) * 2005-11-30 2013-07-10 三菱电机株式会社 数字广播接收机
DE102006019403A1 (de) * 2006-04-24 2007-10-25 Siemens Ag Verfahren zur Konfiguration eines Rundfunkempfängers, sowie Rundfunkempfänger und erster Sender
JP5125692B2 (ja) * 2008-03-31 2013-01-23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放送受信機
US8462754B2 (en) * 2010-06-07 2013-06-11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sharing for radio frequency signals in same frequency bands
JP5999923B2 (ja) * 2012-02-27 2016-09-28 アルパイン株式会社 受信装置、放送局の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JP5397515B2 (ja) * 2012-09-04 2014-01-22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放送受信機
DE102013015101A1 (de) 2013-09-13 2015-04-02 Schaidt Innovations Gmbh & Co. Kg Verfahren zur Darstellung von digitalen Empfangssignalen sowie geeignete Vorrichtung hierfü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9455A (en) * 1976-11-11 1978-01-17 General Electric Company Arrangement for maintaining reception of a radio receiver on the stronger of two signals
DE3214155A1 (de) * 1982-04-17 1983-10-20 Blaupunkt-Werke Gmbh, 3200 Hildesheim Ortsveraenderlicher rundfunkempfaenger, wie autoradio oder dgl.
DE3310792C2 (de) * 1983-03-24 1986-07-03 Allgemeiner Deutscher Automobilclub (ADAC) e.V., 8000 München Rundfunkempfänger mit Verkehrsfunkdecoder
JPS61290813A (ja) * 1985-06-18 1986-12-20 Pioneer Electronic Corp Fm受信機
DE3528312A1 (de) * 1985-08-07 1987-02-12 Blaupunkt Werke Gmbh Ortsveraenderliches rundfunkgeraet, wie autoradio od.dgl., insbesondere ukw-empfaenger
JPS6460115A (en) * 1987-08-31 1989-03-07 Fujitsu Ten Ltd Rds radio rece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760552B2 (ja) 1998-06-04
JPH02124648A (ja) 1990-05-11
DE68928131T2 (de) 1998-01-15
DE68928131D1 (de) 1997-07-24
EP0333194B1 (en) 1997-06-18
KR890015521A (ko) 1989-10-30
EP0333194A3 (en) 1990-02-28
EP0333194A2 (en) 1989-09-20
ATE154733T1 (de) 1997-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8949B1 (ko) 수신기
KR19990023714A (ko) 다른 미디어 청취시에 rds 라디오가 교통일보 가능 방송을 선택하는 방법
US6711390B1 (en) Program related data in an FM RDS receiver
US20100159836A1 (en) Automatic present tuning using rds protocol
US8320821B2 (en) Receiving apparatus
EP0910167B1 (en) Multi-tuner data multiplex broadcast receiver
JP3295531B2 (ja) Rds受信機
JPH0661880A (ja) Rdsチューナにおける交通情報受信方法
JPH06260897A (ja) ラジオ受信機
JP2605429Y2 (ja) ツインチューナラジオ受信機
JPH02213229A (ja) Rdsの自動追従方法
EP0688112B1 (en) Program interruption control method of RDS receiver
JP4219498B2 (ja) 多重放送受信装置
JP3782636B2 (ja) ラジオ受信機
JP3272880B2 (ja) Rds受信機
KR100821712B1 (ko) 교통정보방송 수신장치 및 그 방법
JP2566333Y2 (ja) ラジオデータシステム受信機
JP3234542B2 (ja) ラジオデータ受信機
JPH09205380A (ja) Rdsラジオ受信機
JPH05276063A (ja) ラジオ受信機
JPH06268483A (ja) Rds用受信機
JPH07111467A (ja) 多重放送受信機
JP2007201700A (ja) 受信装置
JP2001308732A (ja) ラジオ放送受信機
JPH09107320A (ja) ラジオ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