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653B1 - γ-글로불린 주사용 액상 제제 - Google Patents

γ-글로불린 주사용 액상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653B1
KR960008653B1 KR1019880001059A KR880001059A KR960008653B1 KR 960008653 B1 KR960008653 B1 KR 960008653B1 KR 1019880001059 A KR1019880001059 A KR 1019880001059A KR 880001059 A KR880001059 A KR 880001059A KR 960008653 B1 KR960008653 B1 KR 960008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bulin
liquid formulation
fraction
sorbitol
immobil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1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9635A (ko
Inventor
유타까 히라오
카주오 타께찌
가투히로 우리유
야히로 우에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미도리 쥬지
마쓰시다 렌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미도리 쥬지, 마쓰시다 렌죠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미도리 쥬지
Publication of KR880009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9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6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91Stabilisation, frag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γ-글로블린 주사용 액상 제제
본 발명은 정맥내 경로로 투여할 수 있는,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완전 분자형 γ-글로불린 액상 제제에 관한 것이다.
혈장 단백질을 구성하는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면역글로불린 제제, 특히 주성분으로서 IgG를 함유하는 제제는 각종 감염성 질환을 치료 및 예방하는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γ-글로불린은 용해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중합되며, 정맥내 투여하는 경우, 부작용을 야기하므로, 여태까지는 동결건조 제제로 제형화하여 왔다. 또한, 용해되는 경우, 완전 분자 구조를 갖는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이 불안정하다는 견지에서 볼때, γ-글로불린을 저장하는 최상의 방법은 동결건조방법이라고 여겨져 왔다. 따라서, 동결건조의 중요성이 일반적으로 인지되었다.
한편, 액상 제제는 사용시 주사용 증류수에 용해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투여의 편리성으로 인해 동결건조 제제보다 유리하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γ-글로불린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γ-글로불린의 액상 제제의 실제 적용은 지연되어 왔다.
최근, pH가 약 3.5 내지 5이고 이온 강도가 약 0.001 미만인 γ-글로불린 액상 조성물이 미합중국 특허 제4,396,608호 또는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73371A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정한 액상 제제로서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강산성 액상 제제가 생체에 투여되는 경우에는, 거의 중성으로 유지되어 있는 체액속에서 이러한 체액의 완충 특성으로 인하여 γ-글로불린이 응집(즉, 중합)되기 쉽기 때문에 강산성 액상제제가 항상 유리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한가지 목적은 보존하는 동안 또는 생체에 투여할때 γ-글로불린 중합체의 증가, 항보체 역가의 상승 또는 γ-글로불린의 활성 손상을 야기하지 않는,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완전 분자형 γ-글로불린의 정맥내 주사용 액상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완전 분자형, γ-글로불린을 함유하며 추가로 솔비톨을 함유하고 pH가 약 5.5±0.2인 전도도가 낮은 용액으로 이루어진 정맥내 주사용 액상 제제로 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완전 분자형 γ-글로불린이란 용어는 특성이 다음과 같은 γ-글로불린을 의미한다 :
a) 어떠한 변형 또는 변화도 받지 않고 본래의 상태로 남아 있으므로, Fab, F(ab')2, Fc 등의 γ-글로불린 단편을 함유하고 있지 않음.
b) 본래의 γ-글로불린과 비교해 볼때, 항체 역가나 항체 스펙트럼이 저하되지 않았음.
c) 이의 항보체 활성(보체 결합 활성)이 20단위(CH50) 미만으로 충분히 낮음[이것은 일본국의 후생성이 발간한 제159호 통지서(1985.10.)에 따르는 일본국 생물학적 제제 기준(Japan Biological Preparation Standard)을 기준으로 할때 안전한 것으로 간주됨](여기서, CH50의 1단위는 특정의 이온 강도와 pH값 및 특정 양의 Ca++와 Mg++를 갖는 반응 혼합물 7.5ml중의 감작화시킨 적혈구 5×108세포 양의 절반을 37℃, 60분의 반응하에서 용혈화하는데 필요한 보체량으로서 정의된다).
d) γ-글로불린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γ-글로불린 단량체를 95중량% 이상 함유함.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완전 분자형 γ-글로불린을 수득하는 방법은 항보체 역가가 낮은 본래의 γ-글로불린을 수득할 수 있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기존 설비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생물학적 제제로서 이미 사용되어 오고 있는, 근육내 주사용 γ-글로불린을 산으로 처리한 다음 생성된 응집물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관련된 방법의 복잡성과 수율에서의 감소 문제는 별도로 하고도, γ-글로불린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처리하여 보체 결합의 원인인 γ-글로불린 응집물을 제거함으로써 수득되는, 항보체 역가가 낮은 γ-글로불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완전 분자형 γ-글로불린을 제조하는 대표적인 방법을 다음에 설명한다.
출발 물질 : 면역 글로불린을 함유하는 분획을 출발물질로서 사용한다. 이 분획은, 이것이 사람 혈청으로부터 유래되고 면역 글로불린 분획을 함유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면역 글로불린 함유 분획의 특정예는 에탄올 분별 증류로 수득가능한 분획 II+III 및 분획 II[참고 : E. J. Cohn et al., J. Am. Chem. Soc., 68, 459(1 946)]와 이것과을 등가물인 면역 글로불린 함유 분획의 페이스트이다. 출발물질은 사람 혈액군 항체, 칼리크레인, 프리칼리크레인, IgM, IgG 중합체 등의 불순물을 함유할 수 있다.
1)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처리 :
출발물질인 γ-글로불린 함유 분획을 저농도의 PEG로 처리한 다음, 상등액을 회수한다.
출발물질을 먼저 적절한 수성 용매에 현탁시킨다. 수성 용매는 염화나트륨,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아세트산, 나트륨 아세테이트, 시트르산, 나트륨 시트레이트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생성된 현탁액을 분자량이 약 1,000 내지 10,000, 바람직하게는 약 2,000 내지 6,000인 PEG로 처리한다. 처리는, 예를 들면, 현탁액과 PEG를 통상적으로 0 내지 4℃의 온도에서 30분 내지 6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혼합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권장되는 처리조건은 다음과 같다 : 단백질 함량 1 내지 20w/v%,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w/v%; PEG 함량 4 내지 10wv/%,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wv/%, pH 4 내지 6,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 및 이온 강도 0.0001 내지 0.1M,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0.01M.
이어서, 혼합물을, 예를 들면, 6,000 내지 8,000rpm에서 10 내지 30분동안 원심분리시켜 상등액을 회수한다.
이렇게 하여 분리된 상등액을 고농도의 PEG로 처리한 다음, 침전물을 다음과 같이 회수한다.
상등액을 분자량이 1,000 내지 10,000,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6,000인 PEG로 처리한다. 처리는, 예를 들면, 상등액과 PEG를 0 내지 4℃에서 30분 내지 6시간동안 혼합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권장되는 처리조건은 다음과 같다 : 단백질 함량 1 내지 20w/v%,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w/v%; PEG 함량 10 내지 15w/v%, 바람직하게는 약 11 내지 13w/v%; pH 6 내지 9,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8.5 및 이온 강도 0.0001 내지 0.1M,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0.01M.
이어서, 혼합물을 예를 들면, 6,000 내지 8,000rpm에서 10 내지 30분동안 원심분리시켜 침전물을 회수한다.
2) 음이온 교환처리 :
이 방법은 γ-글로불린 함유 분획을 수성 용매에 용해시킨 다음, 당해 용액을 음이온 교환체와 접촉시켜 흡수되지 않은 분획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음이온 교환제를 사용하는 처리는 특히 IgM 또는 IgG 중합체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다.
사용하는 음이온 교환제는 불용성 담체에 고정된 음이온 교환 그룹을 포함한다. 음이온 교환 그룹으로서는 디에틸아미노에틸(DEAE), 4급 아미노에틸(QAE) 그룹 등이 있으며, 불용성 담체로서는 아가로오즈, 셀룰로오즈, 덱스트란,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이 있다.
γ-글로불린 함유 침전물을 pH 5 내지 8이고 이온 강도가 낮은, 바람직하게는 이온 강도가 0.0001 내지 0.1M인 적절한 수성 용매에 용해시킨다. 수성 용매는 위의 방법 1)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은 용질을 함유할 수 있다. 생성된 용액의 단밸질 함량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w/v%,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w/v%이다.
이어서, γ-글로불린 용액을 배치 시스템 또는 연속 시스템에서 위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수성 용매로 평형화시킨 음이온 교환제와 접촉시킨다. 예를 들면, 배치식 처리는 γ-글로불린 용액을 음이온 교환제 1ml당 약 10 내지 100ml의 양으로 음이온 교환제와 혼합하고, 당해 혼합물을 0 내지 4℃에서 약 0.5 내지 2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혼합물을 6,000 내지 8,000rpm에서 10 내지 30분동안 원심분리시켜 상등액을 회수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연속 처리는 γ-글로불린 용액을 음이온 교환제 1ml당 약 10 내지 100ml의 양으로 음이온 교환제의 컬럼 속으로 통과시킨 다음 흡착되지 않은 분획을 회수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3) 고정된 디아미노 화합물을 사용하는 처리방법 :
이 방법은 γ-글로불린 함유 분획을 고정된 디아미노 화합물과 접촉시킨 다음, 흡착되지 않은 분획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고정된 디아미노 화합물을 사용하는 처리는 특히 프리칼리크레인 또는 칼리크레인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다.
사용하는 고정된 디아미노 화합물은 불용성 담체에 고정된 디아미노 화합물이다. 디아미노 화합물로서는 아미노벤즈아미딘, 아미노벤즈구아니딘, 리신, 아르기닌 등이 있으며, 불용성 담체로서는 아가로즈, 셀룰로오즈, 덱스트란, 실리카겔, 유리 등이 있다.
디아미노 화합물을 불용성 담체에 고정시키는 것은 공지된 어떠한 기술로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아미노 화합물은 CNBr 활성화법[참조 : Axen, R. et al., Nature, 214, 1302(1967)]을 이용하여 아가로즈, 셀룰로오즈 등의 담체에 고정시킬 수 있거나, 옥시란법[참조 : Cuatrecasas, P. et al., Biochemistry, 11, 2291(1972)]을 이용하여 실리카겔, 유리 등의 담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γ-글로불린 함유 분획을 배치 시스템 또는 연속 시스템에서, 단백질 함량이 1 내지 15w/v%,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w/v%이고 pH가 5 내지 8, 바람직하게는 6 내지 7이며 이온 강도가 0.0001 내지 0.1M,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0.01M인 조건하에서 고정된 디아미노 화합물과 접촉시킨다.
예를 들면, 배치 시스템에서, 분획 약 10 내지 100ml를 고정된 디아미노 화합물 1ml와 혼합하고, 혼합물을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4℃에서 0.5 내지 4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40분 내지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6,000 내지 8,000rpm에서 10 내지 30분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수한다.
연속 시스템에서는, 분획은 고정된 디아미노 화합물 ml당 약 10 내지 100ml의 양으로 고정된 디아미노 화합물의 컬럼속으로 통과시킨 다음, 흡착되지 않은 분획을 회수한다.
4) 고정된 사람 혈액군 물질을 사용하는 처리방법 :
이 방법은 γ-글로불린 함유 분획을 고정된 사람 혈액군 물질과 접촉시켜 흡착되지 않은 분획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특히 사람 혈액군 항체를 제거하는데 적합하다.
사용하는 고정된 사람 혈액군 물질은 불용성 담체에 고정된 사람 혈액군 물질이다. 사람 혈액군 물질은 공지된 어떠한 기술로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람 혈액군 A, B, AB 또는 O의 적혈구를 저장성 용액에서 용혈처리하거나 초음파 처리한 다음, 황산암모늄 분별법 또는 PEG 분별법으로 정제한다.
이와 같이 제조한 사람 혈액군 물질을 생리 식염수에 용해시키고, 존재하는 바이러스를 불활성화시키는데 유효한 온도, 예를 들면, 약 5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약 60℃에서 7 내지 13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10시간 동안 열처리하거나, 약 80 내지 130℃, 바람직하게는 약 95 내지 121℃에서 약 1 내지 40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분동안 열처리한다. 그후, 용액을 원심분리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다. 이어서, 상등액을 증류수에 대하여 투석처리하여 사람 혈액군 A, B, AB 또는 O 물질을 각각 수득한다.
사람 혈액군 물질이 고정되는 불용성 담체로서는 아가로즈, 셀룰로오즈, 덱스트린, 실리카겔, 유리 등이 있다.
고정화 과정은 공지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람 혈액군 물질은 CNBr 활성화법을 사용하여 아가로즈, 셀룰로오즈 등의 담체에 고정시킬 수 있거나, 옥시란법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유리 등의 담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γ-글로불린 함유 분획은 배치 시스템 또는 연속 시스템에서, 단백질 함량이 1 내지 15w/v%,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w/v%이고 pH가 5 내지 8, 바람직하게는 6 내지 7이며 이온 강도 범위가 0.0001 내지 0.1M,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0.01M인 조건하에서 위에서 언급한 수성 용매로 평형화된 고정된 사람 혈액군 물질과 접촉시킨다.
예를 들면, 배치 시스템에서는, γ-글로불린 함유 분획을 고정된 사람 혈액군 물질 1ml당 약 10 내지 100ml의 양으로 고정된 사람 혈액군 물질과 혼합하고, 당해 혼합물을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4℃에서 30분 내지 0 내지 10 내지 30분동안 4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30분 내지 2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6,000 내지 8,000rpm에서 10 내지 30분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수한다.
연속 시스템에서는, 당해 분획 약 10 내지 100ml를 고정된 사람 혈액군 물질 1ml의 컬럼속으로 통과시킨 다음, 흡착되지 않은 분획을 회수한다.
5) 열처리 :
본 방법에 따라, 면역 글로불린의 항체 활성을 최소로 감소시키면서 불순물(예 : HB 바이러스, AIDS 바이러스 등)이 완전히 탈활성화되는 조건하에서 γ-글로불린 함유 분획을 안정화제의 존재하에 가열한다. 열처리는 수분 함량이 3% 이하인 건조 상태로 수행(즉, 건열 처리)하거나 수용액의 형태인 용해 상태로 수행(즉, 습열 처리)한다.
건열 처리 또는 습열 처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안정화제는 바람직하게는 디삭카라이드(예 : 슈크로즈, 말토즈 등)과 당 알콜(예 : 솔비톨, 만니톨 등)을 포함한다.
첨가되는 안정화제의 권장량은, 건열 처리의 경우에는, 0.5 내지 5w/v%,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w/v%이고, 습열 처리의 경우에는, 10wv/%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wv/%이다. 열처리하고자 하는 γ-글로불린 함유 분획중의 단백질 농도는, 건열 처리의 경우에는, 1 내지 10w/v%,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w/v%로 조정하거나, 습열 처리의 경우에는, 0.1 내지 30w/v%,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w/v%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열 처리의 경우에는, 안정화제를 γ-글로불린 분획에 가하고, 경우에 따라, 여과하여 멸균한 다음, 당해 분획의 수분 함량을, 예를 들면, 동결건조시킴으로써 3% 이하, 바람직하게는 1% 이하로 조정한다. 동결건조는, 예를 들면, 0.5mmHg의 진공하에 20 내지 40의 온도에서 약 24 내지 96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분획을 5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약 60℃의 온도에서 10 내지 200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100시간 동안 가열한다. 가열하는 동안의 면역 글로불린의 안정성은 열처리를 불활성 기체 대기(예 : 질소, 아르곤, 헬륨 등)속에서 수행함으로써 안전하게 할 수 있다.
습열 처리의 경우에는, γ-글로불린 함유 분획의 수용액을 4.5 내지 6.5,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의 pH로 조정하고, 이 용액을 5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약 60℃에서 10분 내지 20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10시간동안 가열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γ-글로불린의 제조와 정제는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르는 전술한 공정들을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는, 출발물질을 습열 처리, PEG 처리, 혈액군 물질 처리 및 음이온 교환처리한다.
이렇게 하여 제조한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완전 분자형 γ-글로불린을 통상적인 제조방법으로 물에 용해시켜 농도 범위가 1 내지 10w/v%,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w/v%인 수용액을 제조한다. 이어서, 여기에 솔비톨을 1 내지 20w/v%,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w/v%의 농도로 가하고, 당해 용액을 pH가 5.5±0.2, 바람직하게는 약 5.5로 되고 8℃에서 측정한 전기 전도도가 낮아지도록, 바람직하게는 1mmho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6mmho 이하로 되도록 조정한다. 생성된 용액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후처리(예 : 여과에 의한 멸균)하고, 바이알 속으로 부어넣는 등의 추가의 공정으로 처리하여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완전 분자형 γ-글로불린의 정맥내 주사용 액상 제제를 수득한다.
위에서 언급한 방법을 통하여, 0.5N NaOH 또는 0.5N HCl을 사용하여 반응 혼합물의 pH값을 조정하고, 전도도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8℃에서 전기 전도도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정맥내 주사용 γ-글로불린의 용량은 통상적인 정맥내 주사용 γ-글로불린과 동일하다(즉, 약 500 내지 5,000mg).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완전 분자형 γ-글로불린 액상 제제는 γ-글로불린 중합체가 증가하거나 장기 보존시 또는 생체에 투여될 때 항보체 역가치가 상승하지 않으며, 만족스럽게는 장기간 보관될 때에도 이의 외양과 성질을 만족스러운 정도로 유지시킨다.
다음 시험 실시예와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험예에서,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외양 :
당해 액상 제제의 혼탁도(즉, 외양과 관계있는 관심사)를 가시적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한다 :
A: 이상 없음(투명 및 무색)
B : 약간 착색되거나 혼탁
C : 심한 착색 또는 혼탁
더우기, 60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외양을 평가한다.
2) 중합체 함량 측정 :
액상 제제중의 γ-글로불린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γ-글로불린 중합체의 함량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3) 항보체 역가 :
항보체 역가는 문헌[참조 : Capat Mayer, Experimental Immunochemi stry, 225(1961)] 및 문헌[참조 : Nishioka Okada, Men-eki no S eikagaku(Biochemistry in Immunology), Vol. 103, Kyoritsu Shuppan(1971)]에 따라서 측정한다. 즉, 샘플을 100단위의 보체에 가하고, 보체의 단위 감소를 측정한 다음, 이를 항보체 역가로서 취한다.
4) 홍역 항체 역가 :
홍역 항체 역가는 혈구응집반응(hemagglutination) 억제 시험법[참조 : Rose n, L., Virology, 13, 139(1961)]에 따라서 측정하고 국제단위(IU/100mg)로 나타낸다.
다음의 시험예에서 제조되는 각각의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완전 분자형 γ-글로불린 함유 조성물을 56℃에서 60분동안 열처리하고 조성물의 안정성을 평가한다. 시험 실시예와 실시예에서 증류수를 용매로서 사용한다. 0.5N NaOH 또는 0.5N HCl를 사용하여 제제의 pH값을 조정하고 전도도 측정장치인 CD-35MII 모델 (MS Instrument Co.)을 사용하여 전기 전도도를 측정한다.
[시험 실시예 1]
γ-글로불린 함량이 5w/v%이고 전기 전도도가 1mmho(8℃에서 측정)이며 pH가 5.5인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완전 분자형 γ-글로불린의 액체 조성물을 제조한다. 다음 표 1에 기재한 각각의 안정화제를 5w/v%의 농도로 첨가하고, 생성된 액상 제제를 시험한다. 수득한 결과를 표 1에 기재한다.
Figure kpo00001
표 1로부터, 솔비톨을 첨가함으로써 만족스러운 결과가 얻어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시험 실시예 2]
γ-글로불린 함량이 5w/v%이고 전기 전도도가 1mmho(8℃에서 측정)이며 아래 표 2에 기재한 바와 같이 pH값이 다양하고 안정화제로서 솔비톨 또는 슈크로즈 5w/v%를 함유하는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완전 분자형 γ-글로불린의 액체 조성물을 제조한다. 시험 결과를 다음 표 2에 기재한다.
Figure kpo00002
표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γ-글로불린은 솔비톨의 존재하에 pH 약 5.5에서 특히 안정하다.
[시험 실시예 3]
γ-글로불린 함량이 5w/v%이고 솔비톨 함량이 5w/v%이며 pH가 5.5이고 다음 표 3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전기 선도도(8℃에서 측정)가 다양한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완전 분자형 γ-글로불린의 액체 조성물을 제조한다. 시험 결과를 표 3에 기재한다.
Figure kpo00003
γ-글로불린은 당해 제제의 전기 전도도가 1mmho 이하일 때 특히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 실시예 4]
γ-글로불린 함량이 5w/v%이고 전기 전도도가 0.5mmho(8℃에서 측정)이며 pH가 5.5이고 표 4에 기재한 바와 같이 솔비톨 농도가 다양한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완전 분자형 γ-글로불린의 액상 제제를 제조한다. 수득한 시험 결과를 표 4에 기재한다.
Figure kpo00004
표 4로부터, γ-글로불린의 안정성은 솔비톨 농도와 함께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시험 실시예 5]
γ-글로불린 함량이 5w/v%이고 솔비톨 농도가 5w/v%(당해 조성물이 생리학적 등장성이 되게 하기 위함)이며 pH가 5.5이고 전기 전도도가 0.5mmho(8℃에서 측정)인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완전 분자형 γ-글로불린 액체 조성물을 제조한다. 조성물은 투명하고 무색이며 중합체 함량이 0.00중량%이고 항보체역가(CH/ml)가 8이며 홍역 항체 역가(IU)가 32인 것으로 밝혀졌다.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은 외양, 중합체 함량, 항보체 역가 및 홍역 항체 역가 측면에서 평가하고, 수득한 결과는 표 5에 기재한다.
Figure kpo00005
[실시예 1]
증류수 10ℓ에 Cohn 분획 II+III 페이스트 1kg을 현탁시킨다. pH를 5.5로 조절하고, 현탁액을 원심분리시킨다. 상등액을 회수하고, 최종 농도가 33w/v%으로 되도록 10ml당 50g의 솔비톨을 첨가한 다음, 60℃에서 10시간동안 가열한다. 열처리한 후, 혼합물을 pH 5.5로 조절하고, 최종 농도가 6w/v%으로 되도록 PEG #4000을 여기에 첨가한 다음, 2℃에서 원심분리시킨다.
회수된 상등액을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8.0까지 조절한다. 최종 농도가 12w/v%로 되도록 PEG #4000을 다시 첨가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침전물로서 IgG 분획을 수득한다.
수득한 분획을 물에 용해시키고, 사람 혈액 항체가 흡수되도록 증류수로 평형화시킨 포밀 셀룰로핀(Formyl Cellulofine
Figure kpo00006
)(Seikagaku Kogyo Col., Ltd.)에 고정된 사람 혈액군 물질 3ml가 채워진 컬럼 속으로 IgG 용액 100ml를 통과시킨다. 이렇게 흡수처리함으로써, 혈액군 항체 역가가 (1 : 32)에서 (1 : 2)로 저하되었다.
생성된 용액에 용액 50ml당 DEAE-Sephadex
Figure kpo00007
1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0 내지 4℃에서 약 1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7,000rpm에서 약 20분 동안 원심분리시켜 상등액으로서 IgG 용액을 회수한다.
생성된 IgG 용액을 IgG 농도가 5w/v%로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시킨다. 나트륨 아세테이트 수용액으로 pH 약 5.5까지 조절한 다음, 최종 농도가 5w/v%가 되도록 솔비톨을 첨가한다. 생성된 수용액은 전기 전도도가 1mmho인 것으로 밝혀졌다.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시켜 면역 글로불린의 정맥내 주사용 액상 제제를 수득한다.
본 발명을 상세히, 그리고 이의 특정 양태를 참조하여 기술하였지만,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은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안정화제로서 솔비톨을 함유하여 전기 전도도가 1mmho 이하(8℃에서 측정)이고 pH가 약 5.5±0.2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완전 분자형 γ-글로불린의 정맥 주사용 액상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γ-글로불린의 95중량% 이상이 γ-글로불린 단량체인 정맥 주사용 액상 제제.
  3. 제1항에 있어서, 8℃에서 측정한 전기 전도도가 0.6mmho 이하인 정맥 주사용 액상 제제.
  4. 제1항에 있어서, 솔비톨이 1 내지 20w/v%의 농도로 존재하는 정맥 주사용 액상 제제.
  5. 제1항에 있어서, 솔비톨이 2 내지 10w/v%의 농도로 존재하는 정맥 주사용 액상 제제.
  6. 제1항에 있어서, pH가 약 5.5인 정맥 주사용 액상 제제.
KR1019880001059A 1987-02-06 1988-02-05 γ-글로불린 주사용 액상 제제 KR960008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031/87 1987-02-06
JP62-27031 1987-02-06
JP62027031A JP2547556B2 (ja) 1987-02-06 1987-02-06 r−グロブリンの液状製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635A KR880009635A (ko) 1988-10-04
KR960008653B1 true KR960008653B1 (ko) 1996-06-28

Family

ID=12209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1059A KR960008653B1 (ko) 1987-02-06 1988-02-05 γ-글로불린 주사용 액상 제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876088A (ko)
EP (1) EP0278422B1 (ko)
JP (1) JP2547556B2 (ko)
KR (1) KR960008653B1 (ko)
CA (1) CA1331135C (ko)
DE (1) DE3889938T2 (ko)
ES (1) ES2052615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5098A (en) * 1990-02-01 1999-08-31 Baxter International Inc. Stable intravenously-administrable immune globulin preparation
US5258177A (en) * 1991-12-10 1993-11-02 Alpha Therapeutic Corporation IgA preparation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JPH07238036A (ja) * 1994-02-28 1995-09-12 Green Cross Corp:The 静注用グロブリン液状組成物のグロブリン二量体増加抑制方法
ES2091161B1 (es) * 1995-04-12 1997-05-16 Grifols Grupo Sa Procedimiento para la produccion de gammaglobulina intramuscular inactivada por pasteurizacion.
US5837519A (en) * 1996-11-21 1998-11-17 Bayer Corporation Dry-heat viral inactivation under controlled moisture conditions
US6124437A (en) * 1997-03-19 2000-09-26 Welfide Corporation Immunoglobulin preparation and preparation process thereof
EP0973549A2 (en) * 1997-04-07 2000-01-26 Cangene Corporation Intravenous immune globulin formulation containing a non-ionic surface active agent with improved pharmacokinetic properties
ES2182202T5 (es) 1997-10-23 2007-12-01 Mitsubishi Pharma Corporation Preparacion de inmunoglobulinas para inyeccion intravenosa apta para ser almacenada a temperatura ambiente.
ES2527915T3 (es) * 1998-06-09 2015-02-02 Csl Behring Ag Producto de inmunoglobulina G (IgG) líquido
ES2184594B1 (es) * 2001-01-17 2004-01-01 Probitas Pharma Sa Procedimiento para la produccion de gammaglobulina g humana inactivada de virus.
AU2003211990A1 (en) 2002-02-14 2003-09-04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Antibody-containing solution pharmaceuticals
JP2005320248A (ja) * 2002-04-22 2005-11-17 Mitsubishi Pharma Corp 免疫グロブリン製剤の製造方法
US20060104968A1 (en) 2003-03-05 2006-05-18 Halozyme, Inc. Soluble glycosaminoglycanases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soluble glycosaminogly ycanases
US20050136055A1 (en) * 2003-12-22 2005-06-23 Pfizer Inc CD40 antibody formulation and methods
US20070184050A1 (en) * 2003-12-25 2007-08-09 Kirin Beer Kabushiki Kaisha Stable water-based medicinal preparation containing antibody
AU2006259664A1 (en) 2005-06-14 2006-12-28 Amgen Inc. Self-buffering protein formulations
US8883146B2 (en) 2007-11-30 2014-11-11 Abbvie Inc. Protein formulat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TWI532498B (zh) 2008-03-17 2016-05-11 巴克斯特保健公司 供免疫球蛋白及玻尿酸酶之皮下投藥之用的組合及方法
AR078161A1 (es) * 2009-09-11 2011-10-19 Hoffmann La Roche Formulaciones farmaceuticas muy concentradas de un anticuerpo anti cd20. uso de la formulacion. metodo de tratamiento.
DK2477603T3 (en) 2009-09-17 2016-06-13 Baxalta Inc STABLE CO-DEVELOPMENT OF hyaluronidase and Immunoglobulin, AND METHODS OF USE THEREOF
ES2381828B1 (es) 2012-03-20 2012-11-16 Grifols, S.A. PROCEDIMIENTO PARA OBTENER UNA COMPOSICION DE IgG MEDIANTE TRATAMIENTO TERMICO
SG11201903521XA (en) 2016-10-21 2019-05-30 Amgen Inc Pharmaceutical formula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0532B2 (ja) * 1975-04-08 1983-09-06 カブシキガイシヤ ミドリジユウジ Iga オヨビ igm ノネツアンテイカホウ
JPS553721A (en) * 1978-06-21 1980-01-11 Morinaga Milk Ind Co Ltd Production of powder of colostrum
EP0035204B2 (en) * 1980-03-05 1991-05-22 Miles Inc. Pasteurized therapeutically active protein compositions
US4440679A (en) * 1980-03-05 1984-04-03 Cutter Laboratories, Inc. Pasteurized therapeutically active protein compositions
JPS56127320A (en) * 1980-03-10 1981-10-06 Mochida Pharmaceut Co Ltd Gamma-globulin pharmaceutical
US4477432A (en) * 1981-05-01 1984-10-16 Cutter Laboratories, Inc. Oral immune globulin
US4396608A (en) * 1981-08-24 1983-08-02 Cutter Laboratories Intravenously injectable immune serum globulin
US4412990A (en) * 1982-07-02 1983-11-01 Cutter Laboratories, Inc. Composition having enhanced opsonic activity
US4439421A (en) * 1982-08-30 1984-03-27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Stabilized gamma globulin concentrate
JPH0669961B2 (ja) * 1984-09-25 1994-09-07 株式会社ミドリ十字 免疫グロブリンの加熱処理方法
JPH07103045B2 (ja) * 1986-07-09 1995-11-08 株式会社ミドリ十字 非化学修飾γ−グロブリンの加熱処理方法
CA1310267C (en) * 1986-07-09 1992-11-17 Yutaka Hirao Process for heat treating chemically unmodified _-globul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52615T3 (es) 1994-07-16
EP0278422B1 (en) 1994-06-08
EP0278422A2 (en) 1988-08-17
DE3889938D1 (de) 1994-07-14
JP2547556B2 (ja) 1996-10-23
JPS63192724A (ja) 1988-08-10
DE3889938T2 (de) 1994-11-03
CA1331135C (en) 1994-08-02
KR880009635A (ko) 1988-10-04
EP0278422A3 (en) 1990-04-04
US4876088A (en) 198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8653B1 (ko) γ-글로불린 주사용 액상 제제
KR100632312B1 (ko) 실온저장가능한정맥내주사용면역글로불린제제
EP1027371B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ighly viral safe thrombin for forming fibrin glue from a pool of human plasma
EP1268551B1 (en) A METHOD OF PRODUCING IgG
JPH0348169B2 (ko)
JPH0825902B2 (ja) γ−グロブリンの加熱処理方法
AU2001273907A1 (en) A method of producing IgG
KR960001473B1 (ko) 정맥 주사용 면역글로불린 제제의 제조 방법
KR100572126B1 (ko) 면역글로불린제제및이의제조방법
JP2506370B2 (ja) 増殖性濾過性病原体の不活化法
AU709608B2 (en) Preparation of virally inactivated intravenously injectable immune serum globulin
JPH04346934A (ja) γ−グロブリンの液状製剤
JPH0825903B2 (ja) γ―グロブリン含有水溶液
US5248767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pasteurized immunoglobulin preparation using ethanol
JP4003235B2 (ja) 静注用免疫グロブリン製剤の製造方法
JPS62289523A (ja) 静脈投与用免疫グロブリンの加熱処理方法
JP4359352B2 (ja) 室温保存製剤
JP2890465B2 (ja) 抗nanbウイルス抗体陽性静注用免疫グロブリン製剤の製造方法
JP2618643B2 (ja) 静注用免疫グロブリン製剤
JP2775097B2 (ja) 静注用免疫グロブリン製剤
JP2949727B2 (ja) 抗atlウイルス抗体陽性静注用免疫グロブリン製剤の製造方法
KR100276155B1 (ko)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 제제
JPH10265407A (ja) 免疫グロブリン製剤
KR960015104B1 (ko)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부린을 열처리하는 방법
JPS62283933A (ja) 静注用非化学修飾免疫グロブリンの加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5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