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6155B1 -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 제제 - Google Patents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6155B1
KR100276155B1 KR1019990064500A KR19990064500A KR100276155B1 KR 100276155 B1 KR100276155 B1 KR 100276155B1 KR 1019990064500 A KR1019990064500 A KR 1019990064500A KR 19990064500 A KR19990064500 A KR 19990064500A KR 100276155 B1 KR100276155 B1 KR 100276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bulin
chemically unmodified
chemically
virus
unmod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4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라오유타까
우리유카쓰히로
타께찌카즈오
우에무라야히로
Original Assignee
도이 가즈나리
가부시키 가이샤 미도리 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20476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03045B2/ja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7003423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263005B1/ko
Application filed by 도이 가즈나리, 가부시키 가이샤 미도리 쥬지 filed Critical 도이 가즈나리
Priority to KR1019990064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6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6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61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42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vir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ir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열처리함으로써 수득되는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중합체 함량을 증가시키지 않거나 항보체가를 증가시키지 않거나 또는 화학적으로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의 활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특정한 안정화제의 존재하에서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을 열처리함으로써 수득되는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 제제{Chemically unmodified γ-globulin preparation}
본 발명은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열처리함으로써 수득되는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중합체 함량을 증가시키지 않거나 항보체가(anticomplement titer)를 증가시키지 않거나 또는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의 활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특정한 안정화제의 존재하에서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을 열처리함으로써 수득되는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에 관한 것이다.
혈장단백질 성분인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면역 글로불린중에서 주로 IgG로 이루어진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 제제는 각종 감염성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널리 이용되어 왔다.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은 열안정성이 부족하고 각종 바이러스 및 세균에 대한 다수의 항체를 함유하기 때문에 열멸균시키지 않았다.
그러나, 혈장단백질 분획으로부터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을 수득하는데 있어서, 간염 바이러스와 같은 불순물 바이러스가 제제에 혼입될 수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따라서, 제제의 열멸균은 불순물 바이러스의 불활성화 관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문제는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이 통상의 수용액, 예를 들어, 생리학적 염수중에서 가열될 때, 짧은 시간에 백색으로 혼탁해지며, 단백질의 변성 때문에 상당히 불활성화된다는 점이다.
광범위하게 연구한 결과,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불순물 바이러스(예를 들어, 간염 바이러스 및 AIDS 바이러스)를 불활성화시키기 위해 가열하는 경우, 용액에 솔비톨을 가함으로써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의 열안정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솔비톨의 존재하에 열처리함으로써 수득되는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1) 이는 어떤 변형이나 변화를 받지 않고 그대로 보존되어 γ-글로불린의 단편, 예를 들어, Fab, F(ab')2, Fc 등을 함유하지 않는다; (2) 이는 보체가 또는 항체 스펙트럼에 있어 감소되지 않는다; 그리고 (3) 이의 항보체 활성(보체에 대한 억제 활성)은 일본 후생성이 발표한 공고 제159호(1985년 10월)에 따른 일본 생물학적 생성물 표준을 기준으로 하여 안전한 것으로 생각되는 수준인 20단위(CH 50치)보다 상당히 더 낮다.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이 천연상태이고 항보체가가 낮은 한 특정한 방법으로 제조한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은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을 수득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현재 이용되는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이미 의학적 목적으로 사용되는 근육내 주입용 γ-글로불린을 산처리하여 그로부터 응집괴를 분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처리과정의 복잡성이나 수율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 항보체 활성을 야기하는 γ-글로불린 응집괴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제거함으로써 항보체가가 낮은 γ-글로불린을 수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방법은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을 함유하는 특정 수용액에 이의 정제도를 제한하지 않고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부분적으로 정제되거나 고도로 정제된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열처리할 수용액중의 단백질(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의 함량은 특별하게 제한되지는 않지만 0.1 내지 30W/V% 범위가 바람직하다. 수용액은 일반적으로 pH가 4.5 내지 6.5이며, 인산염 완충용액, 시트르산염 완충용액, 및 아세트산염 완충용액 등과 같은 적절한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pH를 5 내지 6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정화제로서 가할 솔비톨의 양은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 수용액 100ml당 통상 10 내지 70g,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g,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g이다.
가열할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 수용액은 이온강도가 낮으며, 이온강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이하 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처리는 불순물 바이러스를 불활성화시키기에 충분한 조건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특히, 5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약 60℃에서, 10분 내지 20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10시간 동안 수행한다.
본 발명의 효과를 증명하기 위해,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의 제제에 존재하기 쉬운 각종 바이러스의 감염성에 대하여 본 발명의 안정화제의 존재 또는 부재하의 열처리 효과를 시험한다. 실험에서, 천연두 바이러스, 유행성 이하선염 바이러스, 홍역 바이러스, 수포성 구내염 바이러스, 치쿵냐 바이러스, 소아마비 바이러스, 콕사키 바이러스 및 에코바이러스 각각을 가한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 샘플을 안정화제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60℃에서 10시간 동안 가열하고, 바이러스 감염성을 시간에 따라 평가한다. 그 결과, 안정화제의 존재 또는 부재와 관계없이 바이러스는 10시간의 열처리에 의해 그들의 감염성을 완전히 잃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열처리가 시험되는 바이러스 이외의 바이러스를 불활성화시키고 바이러스 감염성이 수분 동안의 열처리에 의해 상당히 감소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열처리되는 시험 샘플을 외관, 특성, 중합체 함량, 항보체가, 홍역 항체가, 및 급성 독성에 대해 시험한다. 수득된 결과는 본 발명에 의해 수득된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 제제가 매우 안정하며 의학적 용도로 유효함을 증명한다.
본 발명의 제제는 통상 용액의 형태이다. 조 물질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이 처리한 용액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정제하며, 경우에 따라, 투석시키거나 여과하여 세균을 제거할 수 있다. 이어서, 정제된 용액을 각각의 바이알이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을 500 내지 10,000mg 함유하도록 바이알에 부어 넣는다. 제제는 주변 조건하에서,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의 온도에서 보존한다. 경우에 따라, 제제를 동결건조시킬 수 있다.
열처리된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 제제를 그대로, 또는 주사용 증류수로 희석시키거나 용해시키는 것과 같이 공지된 적절한 처리후에 투여할 수 있다.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의 투여량은, 보통 성인의 경우에는 2,500 내지 5,000mg/체중kg/투여량이거나, 어린이의 경우에는 100 내지 150mg/체중kg/투여량 범위이다.
본 발명의 열처리된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 제제는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의 높은 활성을 보유하는 반면, 상당히 불활성화된 불순물 바이러스, 예를 들어, 간염 바이러스, AIDS 바이러스 등등을 내부에 함유한다. 따라서, 이러한 제제는 바이러스로 감염될 가능성이 거의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열처리된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은 수 용해도가 우수하여 이의 수용액은 만족스러운 용액 안정성을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열처리는 중합체성 물질의 형성을 억제하고 항보체가에서의 증가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열처리는 정맥내 투여를 위한 주사용 용액을 제조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이제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 및 시험 실시예를 통해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시험은 다음 방법에 따라 수행한다.
1) 외관:
600nm에서의 흡광도(광학 밀도)를 통해 혼탁도를 평가한다.
2) 중합체 함량: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라피로 측정한다.
3) 항보체가:
문헌[참조: Capat and Mayer, Experimental Immunochemistry, 225(1961); Nishioka and Okada, Men-ekino Seikagaku, 103, Kyoritsu Shuppan(1971)]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항보체가를 측정한다. 즉 샘플을 100U의 보체에 가하고, 보체의 감소된 단위를 측정하여 이를 항보체가로 취한다.
4) 홍역 항체가:
헤마글루틴화 억제 시험방법에 따라 측정하고 국제 단위(IU/150mg)로 나타낸다.
실시예 1
1kg의 콘(Cohn) 분획 II + III에 10ℓ의 0.001M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가한다. 용액의 pH를 5.0으로 조절한 후, PEG #4000을 가하여 최종 농도가 8W/V%로 되도록 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2℃에서 원심분리한다.
상등액의 pH를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8.0으로 조절하고, PEG #4000을 가하여 최종 농도가 12W/V%로 되도록 한 다음, 2℃에서 원심분리하여 IgG 분획을 수거한다.
IgG 분획을 물에 용해시켜 IgG 농도가 7W/V%로 되도록 하고, 수용액의 pH를 6.5로 조절한다. 생성된 수용액을 0 내지 4℃에서 50ml/DEAE-세파덱스 ml의 속도로 DEAE-세파덱스와 약 1시간 동안 접촉시킨 다음,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수한다.
IgG를 함유하는 생성된 상등액중 100ml 분획을 5ml의 벤즈아미딘 세팔로즈(Pharmacia Co. 제품)로 충진시킨 컬럼 및 3ml의 포르밀 셀룰로파인R(Seikagaku Kogyo Co., Ltd.), 인체 혈액 그룹 물질로 충진시킨 컬럼을 통과시킴으로써 흡착시켜 인체 혈액 그룹 항체를 제거한다. 혈액 그룹 항체는 흡착을 통해 (1:32)에서 (1:2)로 감소한다.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을 함유하는 유출액(비-흡착분획)을 조절하여 농도가 5W/V%로 되도록 하고, 안정화제로서 솔비톨을 가하여 농도(γ-글로불린 용액 100ml당 솔비톨 20g)가 20W/V%로 되도록 한다. 이어서 용액을 이온 강도와 pH 값을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변화시키면서 60℃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한다.
비교하기 위해, 샘플에 안정화제를 가하지 않거나, 열처리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이와같이 제조한 각각의 샘플을 상술한 방법으로 평가하고, 수득된 결과를 표 1에 기재한다.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의 열안정성은 솔비톨의 존재하에서 열처리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고,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 수용액이 0 내지 0.01, 특히 0.001 미만의 이온강도와 4.5 내지 6.5, 특히 5 내지 6의 pH 값을 갖도록 조절함으로써 열안정성 향상에 대한 효과가 보장될 수 있음을 표로부터 알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바와 같은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 용액(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 농도: 5W/V%)에 표 2에 기재한 양의 솔비톨을 가한다. 생성된 용액을 60℃에서 표에 기재한 기간 동안 가열한다. 이렇게 하여 수득한 각각의 샘플을 상술한 시험방법에 따라 평가하고, 수득된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
표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10g/dl의 솔비톨을 함유하는 시스템은 열처리후 1시간내에 백색으로 혼탁해지며, 변성이 일어나고, 중합체가 형성되며 시스템의 pH값에 따라 항보체가가 증가한다. 한편, 15g/dl의 솔비톨을 함유하는 시스템은 열안정성이 향상된다.
시험실시예
급성 독성
실시예 1에서 pH 5.0하에 열처리한 각각의 샘플을 멸균된 생리학적 염수에 대해 충분히 투석시키고, 투석물을 0.5ml 또는 1.0ml/동물의 투여량으로 꼬리 정맥을 통해 마우스(그룹당 5마리)에게 투여한다. 동물을 7일 동안 관찰하였지만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샘플의 LD50을 마우스를 사용하여 측정하며 각 샘플은 50mg/마우스 또는 그 이상의 LD50을 나타낸다.
본 발명을 자세히 기술한 동안 및 이의 특정 태양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가지로 변화시키고 변형시킬 수 있음이 본 분야의 숙련가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 제제는 매우 안정하며 의학적 용도로 유효함을 보여준다.

Claims (4)

  1. 바이러스를 함유하지 않고 혼탁하지 아니하며, 중합체 함량이 3.15% 이하이고, 항보체 활성이 20단위 이하이며, 홍역 항체가가 42 IU/150㎎인,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혼탁도(광학 밀도)가 A 600nm에 의해 0.011 이하인 제제.
  3. 제1항에 있어서, 92.55 중량% 이상의 단량체를 함유하는 제제.
  4. 제1항에 있어서, 정맥내투여용으로 사용되는 제제.
KR1019990064500A 1986-07-09 1999-12-29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 제제 KR100276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500A KR100276155B1 (ko) 1986-07-09 1999-12-29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1589/86 1986-07-09
JP16158986 1986-07-09
JP204760/86 1986-08-30
JP61204760A JPH07103045B2 (ja) 1986-07-09 1986-08-30 非化学修飾γ−グロブリンの加熱処理方法
KR1019970034234A KR100263005B1 (en) 1986-07-09 1997-07-18 Chemically unmodified ñ -globulin preparation
KR1019990064500A KR100276155B1 (ko) 1986-07-09 1999-12-29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 제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4234A Division KR100263005B1 (en) 1986-07-09 1997-07-18 Chemically unmodified ñ -globulin prepa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6155B1 true KR100276155B1 (ko) 2000-12-15

Family

ID=27321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4500A KR100276155B1 (ko) 1986-07-09 1999-12-29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 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615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6608A (en) Intravenously injectable immune serum globulin
US4499073A (en) Intravenously injectable immune serum globulin
KR940003941B1 (ko) γ-글로부린 수용액의 비루스-불활성화 열처리 방법
CA1223203A (en) Protein compositions substantially free from infectious agents
KR0152256B1 (ko) 면역글로불린을 함유하는 정맥내투여용 폴리클로날 면역글로불린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960008653B1 (ko) γ-글로불린 주사용 액상 제제
US4490361A (en) Virus inactivating heat treatment of plasma fractions
JPS58213721A (ja) 血漿の加熱処理
US5639730A (en) Method of producing a virus-safe biological preparation
US4845199A (en) Process for heat treating chemically unmodified gamma-globulin
RU2112522C1 (ru) Состав для стабилизации плазмы крови, способ пастеризации плазмы и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ой плазмы в терапии
JP2506370B2 (ja) 増殖性濾過性病原体の不活化法
JP2879427B2 (ja) ウイルスおよびバクテリア汚染物の熱的不活性化中の生物学的および製薬的生成物の安定化
KR960015104B1 (ko)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부린을 열처리하는 방법
KR100276155B1 (ko) 화학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γ-글로불린 제제
AU772669B2 (en) Process for the inactivation of viruses
JPH0825903B2 (ja) γ―グロブリン含有水溶液
JPS62289523A (ja) 静脈投与用免疫グロブリンの加熱処理方法
JPH0525862B2 (ko)
JPS62283933A (ja) 静注用非化学修飾免疫グロブリンの加熱処理方法
DK175644B1 (da) Fremgangsmåde til stabilisering af biologiske og farmaceutiske midler under inaktivering af virale og bakterielle kontaminanter
JP2618643B2 (ja) 静注用免疫グロブリン製剤
AU717541B2 (en) Inactivation of viruses by incubation with caprylate
CA2273924A1 (en) Inactivation of viruses by incubation with caprylate
IE55182B1 (en) Heat treatment of plas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