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809B1 - 위상 록크 상태에 따른 간헐 동작시 동작가능한 위상 록크 루프 국부 발진기를 갖는 주파수-변위 방식 수신기 - Google Patents

위상 록크 상태에 따른 간헐 동작시 동작가능한 위상 록크 루프 국부 발진기를 갖는 주파수-변위 방식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809B1
KR960007809B1 KR1019930018605A KR930018605A KR960007809B1 KR 960007809 B1 KR960007809 B1 KR 960007809B1 KR 1019930018605 A KR1019930018605 A KR 1019930018605A KR 930018605 A KR930018605 A KR 930018605A KR 960007809 B1 KR960007809 B1 KR 960007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pll
local
oscil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8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8319A (ko
Inventor
유이찌로 미나미
Original Assignee
닛본덴기 가부시끼가이샤
세끼모또 타다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덴기 가부시끼가이샤, 세끼모또 타다히로 filed Critical 닛본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08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8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 H04L27/14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04L27/144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with demodulation using spectral properties of the received signal, e.g. by using frequency selective- or frequency sensitive elements
    • H04L27/152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with demodulation using spectral properties of the received signal, e.g. by using frequency selective- or frequency sensitive elements using controlled oscillators, e.g. PL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99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loo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위상 록크 상태에 따른 간헐 동작시 동작가능한 위상 록크 루프 국부 발진기를 갖는 주파수-변위 방식 수신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변위 방식(FSK) 수신기의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FSK 수신기에 사용된 위상 록크 루프(PLL) 회로의 블록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FSK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타임 챠트.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FSK 수신기의 사용된 간헐 구종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PLL 국부 발진기 12 : 복조부
14 : 제어 신호 발생 회로 16 : 동기 회로
18 : 간헐 구동 회로 20 : 전압 제어 발진기
22 : PLL 회로 24 : 루프 필터
26 : 안테나 28 : 무선 주파수 증폭기
30 : 무선 주파수 필터 32 : 제1혼합기,
34 : 제1중간 주파수 필터 36 : 제2국부 반진기
38 : 제2혼합기 40 : 제2중간 주파수 필터
42 : 리미터 증폭기 44 : 검출기
46 : 저역 통과 필터 48 : 판정 회로
50 : 적분 회로 52 : S/H 회로
54 : 비교 회로 56 : 가변 주파수 분할기
58 : 기준 발진기 60 : 기준 주파수 분할기
62 : 위상 비교기 64 : 주파수 지정
ROM, 66 : PLL 제어 회로.
본 발명은 주파수-변위 방식(frequency-shift keying : FSK) 수신기에 관한 거승로 특히, 제1국부 발진 신호로서 위상-록크 발진기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사용하여 FSK 변조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이중 슈퍼헤테로다인 형태의 FSK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FSK 수신기는 2가지 형태가 있다. 제1형태는 국부 발진기로서 수정 공진기를 갖는 위상-록크 발진기를 포함하는 FSK 수신기이다. 이러한 제1형태는 국부 발진기로서 수정 공진기를 갖는 위상-록크 발진기를 포함하는 FSK 수신시이다. 이러한 FSK 순신기는 수정 공진기를 사용하여 다수의 라인 또는 채널 주파수를 처리할 수 있다. 이것은 제1형태의 위상-록크 방진기가 가변 국부 주파수를 갖는 국부 발진 신호를 발진하기 때문이다. 제2형태는 국부 발진기로서 고정된 주파수를 갖는 국부 발진 신호를 발진하는 수정 발진기를 포함하는 FSK 수신기이다.
FSK 수신기는 무선 페이징 수신기일 수 있다. 무선 페이징 수신기는 서로 다른 하인 주파수로 각각 할당된 여러 서비스 영역내에 사용된다. 무선 페이징 수신기를 휴대하는 호출된 사람이 한 라인 주파수로 할당된 한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다른 하인 주파수로 할당된 다른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에, 제2령태의 무선 페이징 수신기를 휴대하는 호출된 사람을 호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반면에, 제1형태의 무선 페이징 수신기를 휴대하는 호출된 사람을 확실하게 호출하는 것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무선 페이징 수신기는 배터리에 의해 작동된다. 배터리를 적약하기 위해 무선 페이징 수신기는 종래 기술로 널리 공지된 방식으로 배터리에 의해 작돈될 수 있다. 배터리를 적약함에도 불구하고, 제1형태의 무선 페이징 수신기는 제2형태의 수신기에 비해 많은 전류를 소모한다. 이것은 위상-록크 발진기가 위상-록크 루프(PLL) 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제1형태의 무선 페이징 수신기는 배터리의 수명을 짧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PLL제어로 인한 소모 전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수 있는 FSK 수신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술하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본 발명의 특징의 요점을 설명할 때, 이중 슈퍼헤테로다인 형태의 주파수-변위 방식(FSK) 수신기가 무선 주파수를 갖는 FSK 변조파를 수신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FSK 변조파는 2진 디지털 신호를 표시하는 기저대 신호에 의해 반송파를 주파수 변조함으로써 획득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술한 FSK 수신기는 FSK 변조파의 복조에 필요한 제1국부 발진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FSK 변조파용 위상-록크 루프를 확보하는 위상-록크 루프(PLL) 국부 발진기를 포함한다. 제1국부 발진 신호는 가변되는 제1국부 주파수를 갖는다. FSK 변조파가 공급되고 PLL 국부 발진기에 접속된 복조 수단은 제1국부 발진 신호 및 고정된 제2국부 주파수를 갖는 제2국부 발진 신호를 사용하여 FSK 변조파를 복조된 신호로 복조한다. 복조된 신호는 기저대 신호의 복사 신호이다. 복조 수단은 복조된 신호를 결정함으로써 획득된 2진 디지털 신호를 재생한다. 복조 수단에 접속된 제어 신호 발생 수단은 복조된 신호가 위상-록크 루프내의 위상 록크로부터의 편차를 표시하는 평균값을 갖을 때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복조 수단에 접속된 동기 수단은 비트 및 프레임 동기가 설정될 때 동기 검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이 복조 신호에기초하여 비트 및 프레임 동기를 설정한다. PLL 국부 발진기, 제어 신호 발생 수단 및 동기 수단에 접속된 간헐 구동 수단은 제어 신호 및 동기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PLL 국부 발진기를 간헐적으로 동작하게 한다. PLL 간헐 구동 수단은 제어 신호가 존재하지 않을 때 PLL 국부 발진기의 PLL동작을 동작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변위 방식(FSK) 수신기는 이중 슈퍼헤테로다인 형태이고 무선 주파수를 갖는 FSK 변조파를 수신한다. FSK 변조파는 2진 디지털 신호를 표시하는 기저대 신호에 의해 반송파를 주파수 변조함으로써 획득된다.
FSK 수신기는 배터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활성화되고 의상-록크 루프(PLL) 국부 발진기(10), 복조부(12), 제어 신호 발생 회로(14), 동기 회로(16) 및 간헐 구동 회로(18)을 포함한다.
PLL 국부 발진기(10)은 FSK 변조파의 복조에 필요한 제1국부 발진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FSK 변조파용 위상- 록크 로프를 확보한다. 제1국부 발진 신호는 가변하는 제1국부 주파수를 갖는다. 특히, PLL 국부 발진기(10)은 전압 제어형 발진기(VCO : 20), 및 루프 필터(24)를 포함한다.
전압 제어 발진기(20)은 후술하는 제어 전압을 표시하는 제어 전압 신호가 공급된다. 이 제어 전압 신호에 응답하여, 전압 제어 발진기(20)은 제1국부 발진 신호로서 전압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후에 명백하게 될 방식에 있어서, 전압 제어 발진기(20)은 간헐 구동 회로(18)로부터 VCO 온/오프 신호가 공급된다. 전압 제어 발진기(20)은 VCO 온/오프 신호가 온을 표시할 때 온 상태로 표시되고, 전압 제어 발진기(20)은 VCO 온/오프 신호가 오프를 표시할 때 오프상태로 표시된다. 다시말하면, 간헐 구동 회로(18)은 VCO 온/오프 신호를 전압 제어 발진기(20)이 온/오프되게 하기 위해 전압 제어 발진기(20)에 공급한다.
PLL 회로(22)는 전압 제어 발진기(20)에 접속된다. 이후에 명백하게 될 방식에 있어서, PLL 회로(22)는 전압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위상 차 신호를 발생시킨다. PLL 회로(22)는 후술하게 될 방식으로 간헐 구동 회로(18)로부터 PLL 온/오프 신호가 공급된다. PLL 회로(22)는 PLL 온/오프 신호가 온을 표시할 때 온 상태로 표시되고, PLL 회로(22)는 PLL 온/오프 신호가 오프를 표시할 때 오프상태로 되게 한다. 다시말하면, 간헐 구동 회로(18)은 PLL 온/오프 신호를 PLL 회로(22)가 온/오프되게 하기 위해 PLL 회로(22)에 공급한다.
루프 필터(24)는 PLL 회로(22) 및 전압 제어발진기(20)에 접속된다. 종래의 기술로 널리 공지된 방식으로, 루프 필터(24)는 위상 차 신호를 전압 제어 발진기(20)에 공급된 전압 제어 신호로 필터한다.
복조부(12)는 FSK 변조파를 공급받고, PLL 국부 발진기(10)에 접속된다. 복조부(12)는 FSK 변조파를 제1국부 발진 신호 및 고정된 제2국부 주파수를 갖는 제2국부 발진 신호를 사용하여 복조 신호로 복조한다. 복조 신호는 기저대 신호의 복사 신호이다. 복조부(12)는 복조 신호를 결정함으로써 획득된 2진 디지탈 신호를 재생한다. 특히, 복조부(12)는 안테나(26), 무선-주파수(RF) 증폭기(28), 무선-주파수(RF) 필터(30), 제1혼합기(32), 제1중간-주파수(IF) 필터(34), 제2국부 발진기(36), 제2혼합기(38), 제2중간-주파수(IF) 필터(40), 리미터 증폭기(42), 검출기(44), 저역 통과 필터(LPF : 46) 및 판정 회로(48)을 포함한다.
FSK 변조파는 안테나(26)내로 수신된 다음, RF 증폭기(28)에 의해 증폭된다. RF 증폭기(28)은 RF 필터(30)에 공급되는 증폭된 FSK 변조 신호를 발생시킨다. RF 필터(30)은 증폭된 FSK 변조 신호를 제1 혼합기(32)에 공급되는 대역-제한된 FSK 변조 신호로 대역-통과 필터한다. 제1 혼합기(32)는 전압 제어 발진기(20)으로부터 제1국부 발진 신호가 공급된다. 제1혼합기(32)는 제1IF 필(34)에 공급되는 제1혼합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대역-제한된 FSK 변조 신호를 제1국부 발진 신호에 혼합한다. 제1IF 필터(34)는 제1혼합 신호를 제1중간 주파수를 갖는 제1중간-주파사(IF) 신호로 대역-통과 필터한다. 즉, 안테나(26), RF증폭기(28), RF필터(30), 제1혼합기932) 및 제1IF 필터(34)의 조합은 FSK 번죠파를 제1국부 발진 신호에 기포하여 제1중간 주파수를 갖는 제1중간 주파수호 주파수 변환하는 제1주파수 변환 배열로서 작용한다. 제1중간 주파수는 무선주파수와 제1국부 주파수 사이의 차와 동일하다.
제2국부 발진기(36)은 제2국부 주파수를 갖는 제2국부 발진 신호를 발진한다. 제2국부 발진 손호는 제1IF 필터(34)로부터 제1IF 신호를 공급받는 제2혼합기(38)에 공급된다. 제2혼합기(38)은 제2IF 필터(40)에 공급되는 제2혼합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1IF 신호를 제2국부 신호와 공급한다. 제2IF 필터(40)은 제2혼합 신호를 제2중간 주파수를 갖는 제2중간-주파수(IF) 신호로 대역-통과 필터한다. 즉, 제2혼합기(38) 및 제2 IF 필터(40)의 조합은 제1IF 신호를 제2국부 발진 신호에 기초하여 제2중간 주파수를 갖는 제2IF 신호로 주파수 변환하는 제2주파수 변환 배열로서 작용한다. 제2중간 주파수는 제1중간 주파수와 제2국부 주파수 사이의 차와 동일하다.
제2IF 필터(40)은 리미터 증폭기(42)에 접속된다. 리미터 증폭기(42)는 검출기(44)에 공급되는 제한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1IF 신호로부터 진폭변조(AM) 성분을 제거한다. 검출기(44)는 저역 통과 필터(46)에 공급되는 검출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한 신호의 검출 동작을 수행한다. 저역 통과 필터(46)은 검출된 신호를 복조 신호로서 저역-통과된 신호로 저역-콩과 필터한다. 즉, 리미터 증폭기(42), 검출기(44) 및 저역 통과 필터(46)의 조합은 제2IF 신호내의 복조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 배열로거 동작할 수 있다. 저역 통과 필터(46)은 판저호로(48)에 접속된다. 판정 회로(48)은 2진 디지털 신호를 배생하기 위해 복조 신호상의 판정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 신호 발생 회로(14)는 복조부(12)에 접속된다. 제어 신호 발생 회로(14)는 복조된 신호가 위상-록크 루프내의 위상 록크로부터늬 편차를 표시하는 평균값을 갖을 때 제어 신호(FL)을 발생시킨다. 제어 신호 발생회로(14)는 적분회로(50), 샘플 및 보우(S/H) 회로(52), 및 비교 회로(54)를 포함한다. 적분 회로(50)은 복조부(12)에 접속된다. 접분회로(50)은d.c 전압을 표시하는 적분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복조 신호를 적분한다. 적분 회로(50)은 S/H 회로(52)에 접속된다. S/H 회로(52)는 간헐 구동 회로(18)로부터 샘플힝 타이밍 신호가 공급된다. 샘플링 타이밍 신호에 응답하여, S/H 회로(52)는 평균값을 표시는 보유된 신호로서 적분 신호를 샘플하여 보유한다. S/H회로(52)는 적분회로(50)에 접속된 비교 회로(54)에게 접속된다. 비교 회로(54)는 보유된 신호를 적분 신호와 비교한다. 비교회로(54)는 d.c 접압과 평균값 사이의 차가 선정된 값을 초과할 때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동기 회로(16)은 복조부(12)에 접속된다. 동기 회로(16)은 비트 및 프레임 동기가 설정될 때 동기 검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2진 디지털 신호에 기초하여 비트 및 프레임 동기를 설정한다.
간헐 구동 회로(18)은 PLL 국부 발진기(10), 복조부(12), 제어 신호 발생 회로(14), 및 동기 회로(16)에 접속된다. 간헐 구동 회로(18)은 후술하게 될 방식으로 제어 신호 및 동기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PLL 국부 발진기(10)를 간헐적으로 동작하게 한다. 즉, PLL 간헐 구동 회로(18)은 제어 신호가 존재하기 않으 때 PLL 국부 발진기(10)로 하여금 PLL 동작을 정지하게 한다. PLL 간헐 구종 회괴(18)은 제어 신호사 존재할 때 PLL 국부 발진기(10)으로 하여금 PLL 동작을 동작하게 한다. 종래 기술로 널리 공지된 방식에 있어서, PLL 구동 회로(18)은 복조부를 턴 온/오프시키도록 복조부(12)를 제어하기 위해 수신 온/오프 호를 복주부(12)에 공급한다.
제2도를 참자호면, PLL 회로(22)는 가변 주파수 분할기(56), 기준 발진기(58), 기준 주파수 분할기(60), 위상 비교기(62), 주파수 지정 판독 전용 메모리(ROM)(64) 및 PLL 제어 회로(66)을 포함한다.
가변 주파수 분할기(56)은 PLL 제어 회로(66)으로부터 지정된 분할 번호(D)를 공급받고, 전압 제어 발진기(20)에 접속된다. 가변 주파수 분할기(56)은 제1분할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지정된 분할 번호(D)에 기초하여 가변 제어 신호를 주파수 분할한다.
기준 발진기(58)은 기준 신호를 기준 주파수로 발진시킨다. 기준 발진기(58)은 PLL 제어 회로(66)으로부터 기준 분할 번호가 공급되는 기준 주파수 분할기(60)에 접속된다. 기준 주파수 분할기(60)은 제2분할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기준 분할 번호에 기초하여 기준 신호를 주파수 분할한다.
위상 비교기(62)는 가변 주파수 분할기(56), 기준 주파수 분할기(60) 및 루프 필터(24)(제1도)에 접속되다. 위상 비교기(62)는 위상 차를 표시하는 위상 차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1분할된 신호와 제2분할된 신호 사이의 위상 차를 검출한다. 이 위상 차 신호는 루프 필터(24)에 공급된다.
주파수 지정 ROM(64)는 국부 주파수를 표시하는 다수의 주파수 지정 신호를 저장한다. PLL 제어 회로(66)은 간헐 구동 회로(18 : 제1도), 가변 주파수 분할기(56), 기준 주파수 분할기(60), 위상 비교기962) 및 주파수 지정 ROM(64)에 접속된다. PLL 제어 회로(66)은 주파수 지정 신호들 중 특정한 신호를 판독하기 위해 주파수 지어 ROM(64)를 억세스 한다. PLL 제어 회로(66)은 지정된 분할 번호(D)로서 특정 주파수 지정 신호(S)를 가변 주파수 분할기(56)에 공급한다. 오프를 표시하는 PLL 온/오프 신호에 응답하여 PLL 제어 회로(66)은 위상 비교기(62)를 고입피던스 상태로 되게 한다.
기준 주파수가 10㎑이고, 주파수 지정 신호(S)가 15비트로 표시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PLL 회로(22)는 아래와 같이 표시되는 최대 세팅 주파수(MSF)를 갖는다.
MSH=(215-1)X 10㎑=327.67㎒
제1도 및 제2도에 부가하여 제3도를 참조하여 제1도에 도시된 FSK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겠다. FSK 변조파는 각 프레임이 T로 표시된 프레임 주기를 갖고 숫자 1,2,3 등으로 제3도에 상부 또는 제1라인을 따라 표시된 제1내지 N번째(여기서, N은 선정된 수이다) 타임 슬롯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구조를 갖는다. 제1내지, N번째 타임 슬롯은 FSK 수신기가 속하는 어느 한 그룹에 대한 제1내지 N번째 그룹에 대응한다. FSK 수신기가 괄호 안의 숫자(3)으로 표시한 제3그룹에 속한다고 가정한다.
간헐-구동 회로(18)은 제2내지 제4라인들을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온을 표시하는 처음에 수신 온/오프 신호, VCO 온/오프 신호 및 PLL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킨다. FSK 수신기가 FSK 변조파내의 제3타임 슬롯을 수신할 때, 간헐 구동 회로(18)은 제3타임 슬롯내의 그룹 단위 타이밍(group end tining ; GET)에서 모두 오프를 표시하는 수신 온/오프 신호, 채, 온/오프 신호 및 PLL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3도내의 제6내지 제9라인을 주목하여야 한다. VCO 온/오프 신호 및 PLL 온/오프 신호 모두가 제6 및 제7라인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을 표시할 때 ,PLL 국부 발진기(10)은 발진 동작을 개시한다. 간헐 구동 회로(18)은 전압 제어 발진기(20)이 발진 동작을 개시하는 타이밍으로부터 제1타임 간견(T1)의 경과후 제1타이밍(T1)에서 오프를 표시하는 PLL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킨다. 타임 간격(T1)은 전압 제어 발진기(20)이 정상 발진 상태를 표시하도록 요구된 타임 간격으로서 예비로 세트된다.
타이밍(T1)에서, 간헐 구동 회로(18)은 S/H 회로(52)가 보유 신호로서 전압 제어 발진기(20)의 제1국부 주파수에 대응하는 d.c 전압을 갖는 적분 신호를 보유하게 하기 위해 샘플링 타이밍 신호를 S/H 회로(52)에 전달한다. 보유된 신호는 기준 전압으로서 비교 회로(54)에 공급된다. 전압 제어 발진기(20)이 발진 동작을 개시하는 타이밍으로부터 제2타임 간격(T2)의 경과 후의 타이밍(T2)에서, 비교 회로(54)는 기준 전압을 적분 회로(50)에 의해 발생된 적분 신호로 표시된 d.c 전압과 비교한다. 기준 전압과 d.c 전압사이의 차가 선정된 값을 초과할 때, 비교 회로(54)는 제3도 내의 제9라인내에 표시된 바와 같은 제어 신호(FL)을 발생시킨다. 선정된 값은 전압 제어 발진기(20)이 위상-록크 로프내의 위상 록크로부터의 편차를 나타내는 주파수 오차(Δf)를 표시하는 레벨로서 예비적으로 세트된다.
제3도에 부가하여 제4도를 참조하여 간헐 구동 회로(18)의 동작을 설며하겟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종래의 간헐 구동 회로는 제3도내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PLL 국부 발진기내의 위상 록크 인입(pull-in) 타임의 마진을 허용함에 따라 타임 간격(T2)에 의해 제3타임 슬롯내의 데이터 저장 타이밍 보다 이른 선행 타이밍에서 온을 표시하는 VCO 온/오프 신호 및 PLL 온/오프 신호 모두를 발생시킨다. 종래의 간헐 구동 회로는 제3도내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3슬롯내의 그룹 단부 타이밍에서 오프를 표시하는 VCO 온/오프 신호 및 PLL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주안점은 PLL 국부 발진기(10)내의 위상 록크 인입 타임에 있다. 일반적으로, 위상 이인 타입은 전압 제어 발진기(20)은 자유 주행 상태에서 작은 주파수 오차를 갖을 때 짧아지게 된다. 특히, 위상 록크 인입 타임은 위상 록크가 설정되었으 때 짧아지게 된다. 이것은 전압 제어 발진기(20)은 작은 주파수 오차를 갖기 때문이다. 간헐 구동 회로(18)은 제3도내의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시간 간격(T2)보다 현저하게 짧은 시간 간격(T1)에 의해 제3타임 슬롯내의 데이터 저장 타이밍보다 이른 선행 타이밍에서 온을 표시하는 VCO 온/오프 신호 및 PLL 온/오프 신호 모두를 발생시킨다. 간헐 구동 회로(18)은 제3도내의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3타임 슬롯내의 데이터 저장 타이밍에서 오프를 표시하는 PLL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키므로써 제3타임 슬롯내의 그룹 단부 타이망까지 전압 제어 발진기(20)을 자주 주행시킨다.
이 상황gk에서, 위상 비교기(62)는 루프 필터(24)로 전송될 위상 차 신호를 보유하기 위해 고임피던스 상태로 표시된다. PLL 동작의 이러한 간헐 제어로 인해, 수신기 FSK 수신기내의 종작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누설 전류, 왜란 등으로 인해 제어 전압이 감소됨으로써 전압 제어 발진기(20)내의 제1국부 주파수가 변화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겠다, 전압 제어 발진기(20)내의 제1국부 주파수가 FSK 수신기내의 FSK 변조파의 수신중에 주파수 오차(Δf)에 의해 변화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제어 신호 발생 회로(14)는 제3도내의 제9라인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t2)에서 제어 신호(fl)을 발생시킨다.
제3도에 부가하여 제4도를 참조하면, 간헐 구동 회로(18)은 비트 및 프레임 동기가 제4도내의 단계(S1)에서 동기 신호(16)으로부터 공급된 동기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설정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비트 및 프레임 동기가 설정되었을 때, 단계(S1)은 제어 신호(FL) 이 존재하는 경우, 단계(S2) 는 간헐 구동 회로(18)이 타임 간격(T1)보다 긴 시간 간격(T0)에 의해 그 다음 타임 슬롯(제3타임 슬롯)내의 데이터 저장 타이밍보다 이른 선행 타이밍에서 온을 표시하는 PLL 온/오프 신호 및 VCO 온/오프 신호 모두를 발생시킨다. 결과적으로, PLL 국부 발진기(10)은 위상 록크 인입 동작을 확실히 수행할 수 있다는 단계(S3)으로 진행한다. 제어 신호(FL) 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계(S2)는 간헐 구동 회로(18)이 타임 간격(T1)에 의해 그 다음 타임 슬롯내의 데이터 저장 타이밍 보다 이른 선행 타이밍에서 온을 표시하는 PLL 온/오프 신호 및 VCO 온/오프 신호 모두를 발생시킨다는 단계(S4)로 진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FSK 수신기는 PLL 국부 발진기(10)내의 위상 록크 인입 상태에 따라 PLL 회로(22)를 간헐적으로 구동시키는 간헐 구동 회로(18)을 포함한다. 따라서, FSK 수신기의 수신시 PLL 회로(22) 내의 소모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배터리의 수명을 매우 연장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기술되었을지라도, 본 분야에 숙련된 기술자들이 여러 가지 다른 방식으로 본 발명을 실시 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Claims (5)

  1. 무선 주파수를 갖는, 2진 디지털 신호를 표시하는 기저대 신호에 의해 반송파를 주파수 변조함으로써 획득되는 FSK 변조파를 수신하는 이중 슈퍼헤테로 다인 형태의 주파수 변위 방식(FSK)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FSK 변조파의 복조에 필요하고, 가변되는 제1국부 주파수를 갖는 제1국부 발진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FSK 변조파의 위상 록크 루프를 확보하는 위상 록크 루프(PLL) 국부 발진기, 상기FSK 변조파가 공급되고, 제 1국부 발진 신호 및 고정된 제 2국부 주파수를 갖는 제2국부 발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FSK 변조파를 기저대 신호의 복사신호인 복조 신호로 복조하기 위해 상기 PLL 국부 발진기에 접속되며, 상기 복조 신호를 결정함으로써 획득되는 2진 디지탈 신호를 재생하는 복조 수단, 상기 복조신호가 상기 위상 록크 루프의 위상 로크로부터의 편차를 표시하는 평균값을 가질 때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상기 복조 수단에 접속된 제어 신호 발생 수단, 비트 및 프레임 동기가 설정될 때 동기 검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2진 디지털 신호에 기초하여 비트 및 프레임 동기를 설정하는 상기 복조 수단에 접속된 동기 수단, 및 상기 제어 신호 및 상기 동기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PLL 국부 발지그를 간헐적으로 동작하게 하기 위해 상기 동기 수단, 상기 PLL 국부 발진기, 및 상기 제어 신호 발생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신호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PLL 국부 발진기의 PLL 동작을 정지하게 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존재할 때 상기 PLL 국부 발진기의 PLL 동작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간헐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SK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 수단이, 상기 FSK 변조파가 공급되고, 무선 주파수와 제1국부 주파수 사이의 차와 동일한 제1간헐 주파수를 갖고 있는 제1간헐 주파수 신호로 상기 FSK 변조파를 제1국부 발진 신호에 기초하여 주파수 변환시키기 위해 상기 PLL 국부 발진기에 접속된 제1주파수 변환 수단, 제2국부 발진 신호를 발진시키기 위한 제2국부 발진기, 제1간헐 주파수와 제2국부 주파수 사이의 차와 동일한 제2간헐 주파수를 갖고 있는 제2간헐 주파수 신호로 상기 제1간헐 주파수 신호를 상기 제2국부 발진 신호에 기초하여 주파수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제1주파수 변환 수단 및 상기 제2국부 발진기에 접속된 제2주파수 변환 수단, 상기 제2간헐 주파수 신호의 상기 복주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제2주파수 변환 수단에 접속된 검출 수단, 및 상기 2진 디지털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복조 신호로 판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검출 수단에 접속된 판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SK 수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발생 수단이 d.c. 전압을 표시하는 적분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복조 신호를 적분하기 위해 상기 복조 수단에 접속된 적분 수단, 상기 평균값을 표시하는 보유 신호로서 상기 적분 신호를 샘플링하여 보유하기 위해 상기 적분 수단에 접속된 샘플 및 보유 수단, 및 상기 보유 신호를 상기 적분 신호와 비교하는 상기 샘플 및 보유 수단 및 상기 적분 수단에 접속되고, 상기 d.c. 접압과 상기 평균값 사이의 차가 선정된 값을 초과할 때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기키는 비교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SK 수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LL 국부 발진기가, 전압 제어 신호를 상기 제1국부 발진 신호로서 발생시키기 위해 제어 전압 신호가 공급되는 전압 제어 발진기(VCO), 위상 차 신호를 상기 전압 신호에 응답하여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에 접속된 PLL 회로, 상기 제어 전압 신호에 대한 위상 차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해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 및 PLL 회로에 접속된 루프 필터, 및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를 턴 온/오프하게 하기 위해 VCO 온/오프 신호를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에 공급하고, PLL 회로를 턴 온/오프 하게 하기 위해 PLL 온/오프 신호를 상기 PLL 회로에 공급하는 간헐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SK 수신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LL 회로가, 지정 분할 번호가 공급되고, 제1분할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전압 제어 신호를 상기 지정 부 번호에 기초하여 주파수 분할하기 위해 상기 저압 제어 발진기에 접속된 가변 주파수 분할기, 기준 신호를 기준 주파수로 발진기시키기 위한 기준 발진기. 기준 분할 번호가 공급되고, 제2분할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기준 신호를 상기 기준 분할 번호에 기초하여 주파수 분할 하기 위해 상기 기준 발진기에 접속된 기준 주파수 분할기, 위상 차를 표시하는 위상 차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1분할 신호와 제2분할 신호 사이의 위상 차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루프 필터, 상기 기준 주파수 분할기, 및 상기 가변 주파수 분할기에 접속된 위상 비교기, 국부 주파수들 표시하는 다수의 주파수 지정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주파수 지정 메모리, 및 상기 주파수 지정 신호들 중 한 신호를 판독하기 위해 상기 주파수 지정 메모리 억세스라기 위해 주파수 지정 메모리, 상기 위상 비교기, 상기 가변 주파수 분할기, 및 상기 간헐 구동 수단에 접속되고, 상기 가변 주파수기에 주파수 지정 신호들 중 하나를 상기 지정 분할 수로서 공급하며, 상기 PLL 온/오프 신호가 오프 신호가 오프를 표시할 때 상기 위상 비교기를 고임피던스 상태로 표시되게 하는 PLL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SK 수신기.
KR1019930018605A 1992-09-17 1993-09-16 위상 록크 상태에 따른 간헐 동작시 동작가능한 위상 록크 루프 국부 발진기를 갖는 주파수-변위 방식 수신기 KR960007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47003 1992-09-17
JP24700392A JP3146673B2 (ja) 1992-09-17 1992-09-17 Fsk受信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319A KR940008319A (ko) 1994-04-29
KR960007809B1 true KR960007809B1 (ko) 1996-06-12

Family

ID=17156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8605A KR960007809B1 (ko) 1992-09-17 1993-09-16 위상 록크 상태에 따른 간헐 동작시 동작가능한 위상 록크 루프 국부 발진기를 갖는 주파수-변위 방식 수신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402446A (ko)
JP (1) JP3146673B2 (ko)
KR (1) KR960007809B1 (ko)
CA (1) CA2106140C (ko)
GB (1) GB22712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80050C (en) * 1991-10-09 1997-01-21 Hidehiko Norimatsu Power supply controller and frequency synthesizer using the same
US5621757A (en) * 1993-04-22 1997-04-15 Nec Corporation Circuit for measuring electric field by rapid measurement and normal measurement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JPH07105739B2 (ja) * 1993-06-08 1995-11-13 日本電気株式会社 受信機
US5584062A (en) * 1994-01-24 1996-12-1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phase locked receivers
JP3073670B2 (ja) * 1995-06-30 2000-08-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間欠受信動作受信機
JPH09162936A (ja) * 1995-12-11 1997-06-20 Nec Corp 周波数オフセット補正機能付き通信装置
KR100193836B1 (ko) * 1995-12-29 1999-06-15 윤종용 감소된 위상동기루프를 가지는 디지털 무선통신시스템 및 그 동기화 방법
JP2852240B2 (ja) * 1996-05-30 1999-01-27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間欠受信装置
JPH1065566A (ja) * 1996-08-23 1998-03-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小型無線機
US6011816A (en) * 1996-09-18 2000-01-04 Wireless Access Direct demodulation method and apparatus
CA2217840C (en) * 1997-10-09 2005-05-03 Northern Telecom Limited Synchronization system multiple modes of operation
US6292522B1 (en) * 1997-11-13 2001-09-18 Lsi Logic Corporation Frequency decoder databank for phase-locked loop
JP3070733B2 (ja) * 1997-12-12 2000-07-31 日本電気株式会社 自動周波数制御方法および装置
SE9804420L (sv) * 1998-12-17 2000-06-18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för minskning av effektkonsumtionen vid portabla radiokommunikationssystem under passningsmod, jämte en mobilstation anpassad för att minska effektkonsumtionen under passningsmod
US6157260A (en) * 1999-03-02 2000-12-0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a local oscillator in a direct conversion receiver
FR2794310A1 (fr) * 1999-05-28 2000-12-01 St Microelectronics Sa Dispositif de verrouillage de phase a consommation electrique reduite
JP2001127728A (ja) * 1999-10-29 2001-05-11 Oki Electric Ind Co Ltd 受信回路
FR2822616B1 (fr) * 2001-03-21 2003-08-01 St Microelectronics Sa Recepteur de signaux modules en frequence avec demodulateur numerique
KR100416339B1 (ko) * 2001-05-23 2004-01-31 (주)맥서스테크놀로지스 위상동기 루프회로를 가지는 주파수전이 키잉방식의 이동통신 중계기용 무선통신 모뎀
JP3689021B2 (ja) * 2001-05-25 2005-08-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タイミング制御装置及びタイミング制御方法
KR100482009B1 (ko) * 2002-10-22 2005-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웨이퍼 이송장치
JP4349866B2 (ja) * 2003-09-02 2009-10-21 三洋電機株式会社 Fsk信号復調回路
KR101104111B1 (ko) * 2009-02-28 2012-01-13 옥윤선 포대 제조 장치 및 포대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1918A (en) * 1980-11-10 1985-06-04 General Electric Company Battery saving frequency synthesizer arrangement
GB2155262B (en) * 1984-03-01 1988-01-20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Radio receiver
US4860321A (en) * 1985-09-13 1989-08-22 Hughes Aircraft Company Lock detector for feedback loops
CA1282464C (en) * 1985-10-23 1991-04-02 Masanori Ienaka Phase-locked oscillator
JP2805767B2 (ja) * 1988-09-26 1998-09-30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送受信機
US4977613A (en) * 1988-10-17 1990-12-11 Motorola, Inc. Fine tuning frequency synthesizer with feedback loop for frequency control systems
US4955075A (en) * 1988-10-17 1990-09-04 Motorola, Inc. Battery saver circuit for a frequency synthesizer
JPH0355923A (ja) * 1989-07-25 1991-03-11 Toyo Commun Equip Co Ltd 受信機の局部発振回路制御方法
JP2513329B2 (ja) * 1989-10-25 1996-07-03 日本電気株式会社 周波数変調波受信装置
US5103464A (en) * 1990-05-31 1992-04-07 Northern Telecom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iming recovery in digital data communications systems
US5175884A (en) * 1990-06-01 1992-12-29 Motorola, Inc.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with current control
JP2576266B2 (ja) * 1990-06-13 1997-01-29 日本電気株式会社 Fsk受信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71230B (en) 1996-06-26
CA2106140C (en) 1998-10-13
GB2271230A (en) 1994-04-06
JP3146673B2 (ja) 2001-03-19
CA2106140A1 (en) 1994-03-18
US5402446A (en) 1995-03-28
GB9319226D0 (en) 1993-11-03
KR940008319A (ko) 1994-04-29
JPH06104941A (ja) 199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7809B1 (ko) 위상 록크 상태에 따른 간헐 동작시 동작가능한 위상 록크 루프 국부 발진기를 갖는 주파수-변위 방식 수신기
EP0594403B1 (en) Receiver
US4816769A (en) BPSK demodulator and FM receiver for digital data pagers
KR940000703B1 (ko) 위성방송 수신기
JP2611623B2 (ja) 自動周波数制御装置
US4561099A (en) Clock recovery system for TDMA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US5414736A (en) FSK data receiving system
US6240147B1 (en) Auto frequency control apparatus
JPH08265143A (ja) キャリア再生回路
US6693978B1 (en) Carrier reproducing circuit
TW312886B (ko)
JP2503946B2 (ja) 選択呼出受信機
JP2687851B2 (ja) 受信機
US6978026B2 (en) Circuit arrangement for gaining a stereo subcarrier and an RDS carrier
JP3125469B2 (ja) Fsk受信機
KR880002392A (ko) 복조기장치
JP2001024482A (ja) 受信機
JP3134530B2 (ja) Fsk受信機
JPH06326740A (ja) 移動無線機
JP3288163B2 (ja) 自動検針用無線装置
JP3677980B2 (ja) 受信装置
JP3042083B2 (ja) 地球局受信装置
JPH06120992A (ja) デジタル変調波の復調回路
JPH06311189A (ja) 復調装置
JPH0998071A (ja) 自動周波数制御方法とその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