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561Y1 - 케이블 트로리(Cable Trolley) 탈락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로리(Cable Trolley) 탈락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561Y1
KR960006561Y1 KR2019930031691U KR930031691U KR960006561Y1 KR 960006561 Y1 KR960006561 Y1 KR 960006561Y1 KR 2019930031691 U KR2019930031691 U KR 2019930031691U KR 930031691 U KR930031691 U KR 930031691U KR 960006561 Y1 KR960006561 Y1 KR 9600065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rolley
dropping
cable
trolley
operat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16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654U (ko
Inventor
박상모
임익준
전병희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조말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조말수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316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6561Y1/ko
Publication of KR9500186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6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5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5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6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 B66C15/065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66C13/44Electrical transmi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 B66C2700/01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olley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케이블 트로리(Cable Trolley) 탈락 감지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케이블 트로리의 설치상태 정면도
제2도는 일반적인 케이블 트로리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케이블 트로리의 설치상태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에 대한 측단면 구성도
제5도는 제3도의 B-B'선에 대한 측단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블 트로리 2 : 주행레일
3 : 케이블 4 : 탈락감지고리
4a : 걸림부 5 : 작동추
6 : 탈락감기선 7 : 감지센서
8 : 받침대
본 고안은 케이블 트로리 탈락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블 트로리의 탈락시에 이를 즉시 감지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형설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일반적인 케이블 트로리(1)는 제1도 및 제2도에서와 같이 양 측면판(11)의 내측에 대향 구비된 주행롤러(12)가 주행레일(2)을 따라 구름이동 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측면판(11)의 하부에는 다수의 케이블(3)이 고정되는 홀더(13)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블 트로리(1)는 작업중 주행레일(2)로 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빈발하게 되는데, 이는 케이블 트로리(1)가 통상 높고 협소한 위치에 설치되므로 점검이 불가능함에 기인하며, 사고발생시에 특히 하나 내지 둘 정도의 케이블(3)이 설치된 경우에는 짧은 시간에 복구가 가능하나, 여러가닥의 케이블(3)이 설치된 경우에는 설비복구시간이 과대히 지연됨은 물론 이로 인해 타공정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지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케이블 트로리의 탈락발생시에 신속한 조치를 취해 대형설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조업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 케이블 트로리 탈락감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는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제3도 내지 제5도에서와 같이, 케이블 트로리(1)의 측면판(11) 외측에 돌출 구비된 탈락감지고리(4)와, 상기 탈락감지고리(4)의 하부에 근접되도록 주행레일(2)과 병행 설치되고 그 일측 하단에 작동추(5)를 구비한 탈락감지선(6)과, 상기 작동추(5)와 근접설치되어 케이블 트로리(1) 탈락시에 작동추(5)의 상승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센서(7)로 구성된다.
상기 탈락감지고리(4)는 그 일측이 측면판(11)에 볼트조임, 용접등의 방법으로 고정설치되며, 그 타측에는 하향절곡된 걸림부(4a)가 구비된다.
상기 탈락감지선(6)은 주행레일(2)과 근접하는 벽면(B)에 소정간격으로 매립고정시킨 받침대(8) 끝단의 지지부(8a)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데, 그 일측은 고정되고 타측은 중계풀리(9)를 따라 하향 연장되어 그 끝단에 작동추(5)가 설치된다.
상기 작동추(5)는 케이블 트로리(1)의 무게가 탈락감지선(6)에 부하될 경우 상승되도록 설치되어야 하며, 작동추(5)와 근접설치되는 감지센서(7)는 작동추(5)의 상승시에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케이블 트로리(1)가 주행레일(2)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정상작동상태의 경우, 탈락감지고리(4)는 탈락감지선(6)과 근접된 상태로서 이동하게 되며, 이때 탈락감지선(6)은 작동추(5)의 하중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정상작동상태에서 케이블 트로리(1)가 주행레일(2)로 부터 이탈될 경우, 탈락감지고리(4)도 케이블 트로리(1)와 함께 이탈됨은 물론이며, 이때 탈락감지고리(4) 외측의 걸림부(4a)는 탈락감지선(6)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탈락감지선(6)에는 케이블 트로리(1)의 하중이 부과되므로 그 끝단의 작동추(5)는 상승하게 되며, 이에 따라 감지센서(7)는 케이블 트로리(1)의 탈락을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7)의 신호는 설비를 정지시키거나 정보기를 작동시키도록 전자회로적으로 연결되며, 따라서 작업자는 케이블 트로리(1)의 탈락을 즉시 알아내어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케이블 트로리(1)의 탈락시에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어 대형설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따라 안정된 조업을 진행시킬 수 있게 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케이블 트로리(1)의 측면판(11) 외측에 돌출 구비된 탈락감지고리(4)와,
    상기 탈락감지고리(4)의 하부에 근접되도록 주행레일(2)과 병행 설치되고 그 일측 하단에 작동추(5)를 구비한 탈락감지선(6)과,
    상기 작동추(5)와 근접설치되어 케이블 트로리(1) 탈락시에 작동추(5)의 상승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센서(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로리 탈락감지장치
KR2019930031691U 1993-12-31 1993-12-31 케이블 트로리(Cable Trolley) 탈락 감지장치 KR9600065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1691U KR960006561Y1 (ko) 1993-12-31 1993-12-31 케이블 트로리(Cable Trolley) 탈락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1691U KR960006561Y1 (ko) 1993-12-31 1993-12-31 케이블 트로리(Cable Trolley) 탈락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654U KR950018654U (ko) 1995-07-22
KR960006561Y1 true KR960006561Y1 (ko) 1996-07-31

Family

ID=19374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1691U KR960006561Y1 (ko) 1993-12-31 1993-12-31 케이블 트로리(Cable Trolley) 탈락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65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654U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3113B2 (en) Building sway resistant elevator derailment detection system
EP3287410B1 (en) Passenger conveyor and method for monitoring vibrations in a passenger conveyor
KR960006561Y1 (ko) 케이블 트로리(Cable Trolley) 탈락 감지장치
CN107922168B (zh) 输送机装置
JP2014118297A (ja) 乗客コンベヤ用コム
ES2086621T3 (es) Dispositivo de medicion de carga para cabina de ascensor.
JPH10182024A (ja) エレベーターの着床位置検出装置
JP5049114B2 (ja) エスカレータの踏段破損防止装置
KR200208136Y1 (ko) 천장 크레인의 통키 안전장치
CN212502577U (zh) 一种新型捞渣机断链检测装置
JPH0867440A (ja) エレベータのかご位置検出装置
JPH0977409A (ja) エレベータ用ガバナロープ異常検出装置
WO2017171539A1 (en) A system to detect human intrusion
JP6948865B2 (ja) 乗客コンベヤ発報システム
KR200355804Y1 (ko) 열차 플랫폼 안전장치
CN111196535B (zh) 电梯装置及通过电梯控制系统监视电梯装置的方法
KR19990040343U (ko) 벨트콘베어의 철편위치 검출장치
CN113443533B (zh) 钢带缺陷检测装置及系统
NL8402586A (nl) Valbeveiligingsinrichting voor verticaal bewegende deuren.
CN113023519B (zh) 电梯安全监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0278540Y1 (ko) 언로더의 와이어 로프 철선 단락 자동 감지장치
KR950003947Y1 (ko) 열차 감지기의 취부구조
KR19990069349A (ko) 도로 과적차량의 높이제한 경고장치
US4603778A (en) Detection of defects in conveyor belts
KR950007708Y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 조정시기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