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250A - 클리핑 레벨 제어 전력증폭기 - Google Patents

클리핑 레벨 제어 전력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250A
KR960006250A KR1019950019719A KR19950019719A KR960006250A KR 960006250 A KR960006250 A KR 960006250A KR 1019950019719 A KR1019950019719 A KR 1019950019719A KR 19950019719 A KR19950019719 A KR 19950019719A KR 960006250 A KR960006250 A KR 960006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circuit
input
output
feed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9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66649B1 (ko
Inventor
시. 손더메이어 잭
시니어 제임스 더블유. 브라운
Original Assignee
하틀리 디. 피비
피비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틀리 디. 피비, 피비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하틀리 디. 피비
Publication of KR960006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6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66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2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 G10H1/06Circuits for establishing the harmonic content of tones, or other arrangements for changing the tone colour
    • G10H1/16Circuits for establishing the harmonic content of tones, or other arrangements for changing the tone colour by non-linear el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1/324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predistortion circuits
    • H03F1/3264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predistortion circuits in audio amplifiers
    • H03F1/327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predistortion circuits in audio amplifiers to emulate discharge tube amplifier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1/324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predistortion circuits
    • H03F1/3276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predistortion circuits using the nonlinearity inherent to components, e.g. a diod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mplifiers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증폭기에 관한 것으로, 듀얼 갱 전위차계를 사용한 제어장치가 전면단부단의 이득을 증가시키기 위해 연속되는 증폭기단의 피드백 회로에 접속되며, 한편, 동시에 상기 제어기가 턴 다운될 때 연속되는 단의 이득을 감소시킨다. 관압축 회로와 같은 왜곡회로는 양단의 사이에 결합된다.
상기 제어기가 턴 다운될 때, 상기 압축회로는 낮은 레벨에서 작동하여 상기 제2단의 출력전력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킨다. 프레즌스 및 레조넌스 제어기는 제2단의 높고 낮은 주파수 감소인자를 조절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압축회로가 작동될 때까지 작용한다.
제2 또는 전력증폭기단의 드라이버를 위해 여파된 공급전력원에 리플감소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클리핑 레벨 제어 전력증폭기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개념을 포괄적으로 예시하는 개괄적 블록도.
제2도는 간략한 제한 회로를 갖는 본 발명의 개념을 더 상세히 예시하는 회로도.

Claims (20)

  1. 입력, 출력 및 피드백회로를 가지며, 출력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제1증폭기단과, 입력, 출력 및 피드백회로를 갖으며 비교적 높은 전력출력을 발생하며 비교적 높은 전력출력으로 고유의 클리핑 왜곡을 갖는 제2증폭기단과, 제1증폭기간의 이득이 비교적 높고 제2증폭기단의 이득이 비교적 낮을때 입력전압을 제2증폭기단에 제한시키도록 상기 제1증폭기단과 상기 제2증폭기단 사이에 결합되는 제한수단과, 제1증폭기단의 피드백 회로와 제2증폭기단의 피드백 회로에 결합되며, 각 피드백회로에서 반대방향으로 피드백 임피던스를 동시에 변화시키며, 제1증폭기의 이득을 상승시키며 상기 제한 수단을 작동시키며, 제2증폭기단의 이득을 감소시키며, 그 출력전력을 감소시키며, 그 대신에 고유의 클리팅왜곡을 유도하며 제1증폭기단의 이득을 낮추기 위해 제2증폭기단의 이득을 증가시키기 위한 관 다이나믹스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핑 레벨 제어전력 증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제1피드백 회로에 결합된 제1임피던스와 제2피드백 회로에 결합된 제2임피던스를 갖는 듀얼 갱 전위차계를 포함하며, 상기 듀얼 갱 전위차계는 제2임피던스를 낮추는 동안 제1임피던스를 상승시키거나 그와 반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가, 또한 제2증폭기에 최소 이득값을 유도하기 위해 제2피드백회로에 결합된 임피던스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수단이 선택된 전압 플리핑레벨 이하로 제1증폭기단의 출력을 제한하기 위해 작동하는 클리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핑수단이 반대의 극성으로 접속되며, 제1증폭기단의 출력 및 제2증폭기단의 입력에 접지되는 한쌍의 병렬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수단이 관 압축을 에뮬레이트하기 위해 반도체 등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 압축을 에뮬레이팅 하기 위한 수단이 각각 입력회로 및 출력회로를 포함하며, 그 출력회로와 혼합되도록 접속되는 적어도 한쌍의 B급으로 접속된 반도체 장치와, 상기 각 장치의 입력회로와 출력회로에서 클리핑 레벨옵셋을 설정하기 위해 각 쌍의 장치의 입력회로내에 있는 바이어싱 수단과, 각각의 반도체장치의 입력회로에서의 옵셋과 출력회로에서의 옵셋을 각각 클리핑하는 입력회로 및 출력회로내의 클리핑수단과, 상기 입력신호가 상기 입력클리핑수단보다 클때마다 상기 입력회로의 옵셋을 오버바이어싱하며, 상기 오버바이어싱은 교차 왜곡을 야기시키며, 관 증폭기와 결합된 소정의 압축을 에뮬레이팅 하는 충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포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쌍으로 된 반도체 장치의 입력회로내 다이오드 바이어싱수단이 반대극성으로 접속된 병렬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반도체 장치의 입력회로내 바이어싱수단이 입력회로에 결합된 다이오드 및 저항 회로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회로 및 출력회로내의 클리핑수단이 반대극성으로 접속된 병렬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장치가 연산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핑수단이 각 반도체장치의 입력회로내 저항 캐패시터 회로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회로에서의 옵셋이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 전압강하와 같으며, 출력회로에서의 옵셋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 전압강하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반도체 장치의 이득이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가 또한 최대 전력출력으로 제2증폭기의 작동과 결합된 라인고조파를 압축시키기 위해 제2증폭기에 결합된 리플필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필터가, 제2증폭기에 대해 드라이브회로에서 직렬로 접속된 감결합 저항과 제2증폭기의 드라이브 회로에서 2와 같이 병렬접속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증폭기가 상보적으로 달링통 접속된 드라이버 및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증폭기수단이 상보적으로 접속된 각 드라이버의 입력회로내에서 상보적으로 접속된 전류제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가 부하 회로를 가지며, 또한 상기 부하회로에 결합된 주파수 선택가변감소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선택 가변감소인자 제어수단이 피드백회로의 전류피드백 수단과, 주파수가 선택된 주파수 이상으로 증가됨에 따라 전체피드백을 증폭기 입력으로 변동시키기 위해 접지시키는 피드백 회로내의 제1가변 임피던스 수단과, 상기 주파수가 선택된 주파수 이하로 감소됨에 따라 전체 피드백을 증포기 입력으로 변동시키기 위해 입출력 사이의 피드백 회로내에 있는 제2가변임피던스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및 제2가변 임피던스 수단은 각각의 임피던스에 대해 상기 피드백 회로의 부하로 전달된 피드백을 선택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서로에 대해서 작용하며, 상기 전류피드백수단은, 부하 공진 및 고주파 컷오프에서 상기 선택된 주파수 이상 및 이하의 변화주파수를 갖는 부하로 전달된 전력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키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19719A 1994-07-15 1995-07-06 클리핑 레벨 제어 전력 증폭기 KR01666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7667794A 1994-07-15 1994-07-15
US08/276,677 1994-07-15
US8/276,677 1994-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250A true KR960006250A (ko) 1996-02-23
KR0166649B1 KR0166649B1 (ko) 1999-03-20

Family

ID=23057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9719A KR0166649B1 (ko) 1994-07-15 1995-07-06 클리핑 레벨 제어 전력 증폭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675656A (ko)
EP (1) EP0692869B1 (ko)
JP (1) JP2801871B2 (ko)
KR (1) KR0166649B1 (ko)
CN (1) CN1055583C (ko)
BR (1) BR9503332A (ko)
CA (1) CA2151003C (ko)
DE (1) DE69525290T2 (ko)
ES (1) ES2172555T3 (ko)
PT (1) PT692869E (ko)
TW (1) TW2522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4926B1 (en) * 1998-12-15 2003-01-07 Mediaring.Com Ltd. User control system for internet phone quality
US6400221B2 (en) 2000-06-29 2002-06-04 Peavey Electronics Corporation Audio amplifier system with discrete digital frequency selective damping factor controls
JP4657541B2 (ja) * 2001-09-28 2011-03-23 ローランド株式会社 効果装置
FR2832275B1 (fr) * 2001-11-12 2004-11-19 Evolium Sas Procede d'ecretage de signaux a plusieurs porteuses transmis par un meme amplificateur non-lineaire
US7102307B2 (en) * 2001-11-20 2006-09-05 Stmicroelectronics, Inc. Circuit and method for improved back electromotive force detection
KR100403637B1 (ko) * 2002-01-26 200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출력 일그러짐을 최소화하는 파워 앰프 클리핑 회로
JP4652130B2 (ja) 2004-06-04 2011-03-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多段増幅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た受信回路及び送信回路
KR100672079B1 (ko) * 2005-03-10 2007-01-19 (주)디라직 오디오 증폭기
GB2434047A (en) * 2006-01-05 2007-07-11 Chi Ming John Lam A balanced audio valve amplifier with multiple feedback loops
GB2439116A (en) * 2006-06-13 2007-12-19 Chi Ming John Lam Single stage balanced valve amplifier
KR101051531B1 (ko) * 2007-06-29 2011-07-22 주식회사 하이볼릭 클리핑 기능의 광대역 증폭기
US8645144B2 (en) * 2008-04-24 2014-02-04 Broadcom Corporation Audio signal shaping for playback by audio devices
TWI465100B (zh) * 2008-05-30 2014-12-11 Hon Hai Prec Ind Co Ltd 通訊終端和催眠裝置
CN101729032B (zh) * 2008-10-22 2014-06-18 杭州士兰微电子股份有限公司 增益限幅电路
US9184714B2 (en) * 2011-07-27 2015-11-10 3rd Power Amplification, LLC Musical instrument master volume amplifier
CN101938259A (zh) * 2010-08-16 2011-01-05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五研究所 微波大功率,低限幅电平的砷化镓pin管限幅器单片电路
GB2493382A (en) * 2011-08-03 2013-02-06 Blackstar Amplification Ltd A signal processor for providing a transistor amplifier with the frequency response of a valve amplifier and loudspeaker
TWI559782B (zh) * 2014-10-08 2016-11-21 Giga Byte Tech Co Ltd Sound output of the control circuit
US10153745B1 (en) * 2016-06-01 2018-12-11 John Gary Tomaszewicz Feedback compensated master volume control
RU2683502C1 (ru) * 2018-06-04 2019-03-28 Анатолий Алексеевич Лебедев Операционный усилитель с токовой обратной связью
JP2020076928A (ja) 2018-11-09 2020-05-21 ローランド株式会社 歪付与装置および歪付与方法
US11022629B2 (en) 2019-07-29 2021-06-01 Analog Devices, Inc. Low-glitch range change techniques
CN110677775B (zh) * 2019-09-24 2021-12-03 Tcl通力电子(惠州)有限公司 一种电压动态控制电路及音频播放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7020A (en) * 1976-08-25 1978-03-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uzz effect circuit
US4164163A (en) * 1977-06-22 1979-08-14 Peavey Electronics Corp. Electric guitar circuitry
US4405832A (en) * 1981-05-29 1983-09-20 Peavey Electronics Corp. Circuit for distorting an audio signal
US4439742A (en) * 1981-09-04 1984-03-27 Peavey Electronics Corp. Circuit for simulating vacuum tube compression in transistor amplifiers
US4627094A (en) * 1982-09-20 1986-12-02 Scholz Donald T Electronic audio signal processor
US4584700A (en) * 1982-09-20 1986-04-22 Scholz Donald T Electronic audio signal processor
US4701957A (en) * 1986-11-26 1987-10-20 Smith Randall C Dual mode music instrument preamplifier
JP2585249B2 (ja) * 1987-03-06 1997-02-26 株式会社東芝 音声増幅器のシヨツク音防止回路
US4809336A (en) * 1987-03-23 1989-02-28 Pritchard Eric K Semiconductor amplifier with tube amplifier characteristics
US5133014A (en) * 1990-01-18 1992-07-21 Pritchard Eric K Semiconductor emulation of tube amplifiers
US4995084A (en) * 1987-03-23 1991-02-19 Pritchard Eric K Semiconductor emulation of tube amplifiers
US4811401A (en) * 1987-06-19 1989-03-07 Peavey Electronics Corporation Superdistorted amplifier circuitry with normal gain
US5129006A (en) * 1989-01-06 1992-07-07 Hill Amel L Electronic audio signal amplifier and loudspeaker system
US5012199A (en) * 1989-09-08 1991-04-30 St. Louis Music, Inc. Multi-stage musical instrument amplifier having distortion modes
US5133015A (en) * 1990-01-22 1992-07-21 Scholz Donald T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US5131044A (en) * 1990-06-13 1992-07-14 Peavey Electronics Corporation Amplifier circuitry with mode compensation and selectable gain and frequency response in pre and post distortion circuits
DE69130161T2 (de) * 1990-10-31 1999-05-12 Shintom Kk Elektronische lautstärkeregelung
US5197102A (en) 1991-01-14 1993-03-23 Peavey Electronics Corporation Audio power amplifier system with frequency selective damping factor contro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72555T3 (es) 2002-10-01
CA2151003C (en) 1999-08-03
JPH0865062A (ja) 1996-03-08
PT692869E (pt) 2002-07-31
DE69525290T2 (de) 2002-10-02
EP0692869B1 (en) 2002-02-06
CN1119801A (zh) 1996-04-03
CN1055583C (zh) 2000-08-16
KR0166649B1 (ko) 1999-03-20
EP0692869A3 (en) 1996-11-27
US5675656A (en) 1997-10-07
JP2801871B2 (ja) 1998-09-21
EP0692869A2 (en) 1996-01-17
CA2151003A1 (en) 1996-01-16
BR9503332A (pt) 1996-04-30
TW252236B (en) 1995-07-21
DE69525290D1 (de) 200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6250A (ko) 클리핑 레벨 제어 전력증폭기
JP2004520754A (ja) オンデマンド型の電源ブーストを持つ増幅器システム
EP0329988A2 (de) Hochfrequenz-Leistungsgenerator
AT408494B (de) Schutzschaltung für ein elektronisches gerät
EP1825592B1 (en) A power multiplier apparatus and method
KR900002154A (ko) 전류 제한식 dc전력 제어기
US8581563B2 (en) Power supply device
KR950022051A (ko) 전력증폭기
DE69724552T2 (de) Leistungsverstärkerapparat
EP0192086B1 (de) Kurzschlusssicherung eines Linearnetzteiles
JPS60263581A (ja) 偏向用パワートランジスタの駆動回路
KR970701944A (ko) 증폭기
KR960003070A (ko) 저 전원 전압의 출력 구동기
KR101807797B1 (ko) 배터리 시스템, 이의 제어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구동 장치
EP1355517B1 (de) Taktkonverter mit akustischer Taktfrequenz
CN101877576A (zh) 一种滤波电路以及具有该滤波电路的通信设备
DE2459841A1 (de) Elektrische antriebs- und steuereinrichtung fuer mit ultraschall arbeitende zahnbehandlungsgeraete
US4518924A (en) High voltage amplifier
CN208173205U (zh) 一种去除显示背光电路pwm噪声的装置
KR100254453B1 (ko) 솔레노이드의 구동 전압 피드백 검출장치
KR940008219A (ko) 아날로그 유도전동기의 역율제어기
NL8102486A (nl) Inrichting voor audiosignalen en voorzien van een keten voor het buitenwerking stellen van toonregeling.
DE3230236A1 (de) Darlingtonschaltung
KR930003608Y1 (ko) 릴레이를 이용한 전압 인가회로
KR930002849Y1 (ko) 스위치용 전단 전위의 호울더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