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449B1 - 자기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자기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449B1
KR960005449B1 KR1019910700426A KR910700426A KR960005449B1 KR 960005449 B1 KR960005449 B1 KR 960005449B1 KR 1019910700426 A KR1019910700426 A KR 1019910700426A KR 910700426 A KR910700426 A KR 910700426A KR 960005449 B1 KR960005449 B1 KR 960005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agnetic
styrene
base materia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0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1944A (ko
Inventor
케이스케 푸나끼
유이찌 오끼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끼가이샤
이데미쓰 쇼스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318489A external-priority patent/JP286667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2318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86707A/ja
Priority claimed from JP122756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91548A/ja
Priority claimed from JP1231510A external-priority patent/JP284031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4522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109454A/ja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끼가이샤, 이데미쓰 쇼스께 filed Critical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701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1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4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11B5/739Magnetic recording media substrates
    • G11B5/73923Organic polymer substrates
    • G11B5/73925Composite or coated non-esterified substra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11B5/739Magnetic recording media substrates
    • G11B5/73923Organic polymer substrates
    • G11B5/73937Substrates having an organic polymer comprising a ring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Magnetic fe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Landscapes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기록매체
본 발명은 자기기록매체, 자기테이프, 자기디스크 및 자기카아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미끄럼성, 평활성, 내열성, 내습성, 칫수안전성, 전기절연성등의 물성이 우수하며, 또한 고밀도화가 가능한 자기기록매체, 자기테이프 및 자기디스크 또는 이들의 특성을 갖는 백색도가 높은 자기카아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기기록매체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 탈레이트(PET)필름 지지물에 자성층을 포포한 것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PET필름은 내수성이 떨어지고, 고온, 고습하에서 가수분해할 우려가 있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 PET의 유리전이온도는 60-80℃이고, 그 이상의 고온하에서는 탄성율이 급격히 떨어짐과 동시에 늘어나기 쉽기 때문에 반드시 신뢰성이 충분한 것은 아니다. 이 PET필름을 기본재료필름으로 사용한 자기테이프는 자동차내등의 고온하에서는 기본재료필름이 늘어남에 따라 재생이 불량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그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플로피디스크등의 자기디스크의 기본재료필름으로서 상기의 PET필름이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 플로피디스크의 소형화, 고밀도화에 따른 내열성, 내습성, 칫수안정성등의 물성이 향상되도록 더욱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PET필름을 기본재료로 하는 자기디스크는 습도의 변화에 의한 칫수변화, 열팽창계수의 면내이방성(異方性), 고온고습하에 장기간 두는 경우의 영구수축등의 문제가 있다. 이 자기디스크의 기본재료필름으로 폴리페닐렌술피드(PPS)의 필름을 사용하던 상기와 같은 문제는 해소될 수 있지만, 고가여서 실용상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자기디스크등의 기본재료필름으로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기본재료는 아직 제안되어 있지 않다.
한편, 최근에 와서 자기기록매체가 고밀도화하는 경향이 있으며, 또 그 신뢰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고밀도화의 하나의 수단으로 자성층을 증착법으로 기본재료필름에 적층하는 방법이 있지만, PET필름을 기본재료필름으로 사용하는 경우, 내열성이 부족하고 또 올리고머가 석출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카아드시대를 맞이하여 자기카아드의 수요도 증대되고 있다.
자기카아드의 기본재료필름으로는 폴리염화비닐계인 것과 폴리에스테르계인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폴리염화비닐계의 기본재료필름은 내열성이 낮고, 또 탄력성이 약하다.
또 폴리에스테르계의 기본재료필름은 백색도가 충분하지 않고, 광택이 지나치게 높다는 등의 실용상의 문제점이 있다.
내열성, 내약품성, 전기절연성, 칫수안정성등이 우수하고, 또한 백색도가 충분한 자기카아드의 기본재료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같이 종래의 기본재료필름으로부터 얻은 자기기록매체는 미끄럼성, 평활성, 내열성, 내습성, 칫수안정성등의 물성이 충분하지 않아 실용상 각종의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한 자기기록매체를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하였다.
지난번, 일단의 본 발명자들은 고도의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의 개발에 성공하였다.
이 중합체는 PET에 비하여 내열성, 내수성 또는 칫수안정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올리고머가 적은 중합체이었고, 다양한 용도가 기재되고 있다.
이 고도의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중합체를 사용하여 본 발명자들은 고온, 고습등의 과혹한 조건하에서도 신뢰성이 높은 고밀도화한 자기기록매체를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열성, 내습성, 평활성, 칫수안정성등의 물성이 우수한 자기기록매체 및 전기의 물성을 갖춘 보자력등이 우수한 고밀도 자기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열성, 내습성, 평활성, 칫수안정성, 기계적 강도등이 우수한 내열성 자기테이프 및 특히 내열성, 내습성, 평활성, 칫수안정성등이 우수한 자기디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열성, 내습성, 평활성, 칫수안정성, 기계적 강도등이 우수하며, 또한 백색도가 높은 자기카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관점에서 연구를 한 결과, 상기 스티렌계 중합체 또는 그 조성물의 연신(延伸) 필름 또는 그 연신필름을 포함하는 적층필름이며, 선팽창계수, 정마찰계수, 표면거침, 탄성율, 열변형온도등의 물성이 일정범위에 있는 기본재료필름에 자성층을 갖는 것이지만 상기 목적에 적합한 자기기록매체, 자기테이프, 자기디스크로된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고도의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중합체로된 연신필름으로부터 인쇄등이 요구되는 자기카아드를 제작한 경우 내열성, 내약품성, 전기절연성등이 우수하게 되지만 광택이 높았고, 또 백색도가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예의 연구를 한 결과, 고도의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중합체에 일정한 범위로 백색 무기입자를 배합함으로써 종래의 물성을 손상하지 않고 백색도가 충분한 자기카아드가 얻어진다는 것을 발견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고도의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중합체 또는 그 조성물의 연신필름 또는 그 연신필름을 포함하는 적층필름이며, 선팽창계수가 5×10-5/℃이하 및 정마찰계수가 0.3-1.0인 기본재료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자성층을 갖는 자기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고도의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중합체 또는 그 조성물의 연신필름 또는 그 연신필름을 포함하는 적층필름이며, 실온에서의 종방향(MD) 및 횡방향(TD)의 탄성율이 각각 30,000kg/cm2이상, 그 비(MD/TD)가 0.8이상, 90℃에서의 종방향(MD)의 탄성율이 10,000kg/cm2이상, 0-90℃의 선팽창계수가 5×10-5/℃이하, 표면거침 Ra가 0.001-0.03인 기본재료필름의 적어도 한폭면에 자성층을 갖는 내열성 자기테이프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고도의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중합체 또는 그 조성물의 연신필름 또는 그 연신필름을 포함하는 적층필름이며, 종방향(MD)의 선팽창계수(αMD) 및 횡방향(TD)의 선팽창계수(αTD)가 5×10-5/℃이하이고, 또한 그 비(αMDTD)가 0.3-3이며, 표면거침 Ra가 0.001-0.03㎛인 두께 20-200㎛의 기본재료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자성층을 갖는 자기디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도의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중합체 40-99중량% 및 백색무기입자 60-1중량%로된 조성물의 필름 또는 그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필름이며, 선팽창계수 7×10-5/℃이하, 백색도 75이상, 두께 50-1,000㎛인 기본재료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자성층을 자성카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자기기록매체의 기본재료필름으로, 상술한 고도의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중합체의 연신필름으로된 단층필름 또는 그 연신필름을 포함하는 적층필름이 사용된다.
또 이 기본재료필름은 선팽창계수가 5×10-5/℃이다. 바람직하게는 4×10-5/℃이하이며, 또 이 기본 재료필름의 정마찰계수 ㎲에 대해서는 0.3-1.0 바람직하게는 0.3-0.9이다. 이 정마찰계수 ㎲는 기본재료필름의 표면상태를 규정한 것이지만, 특히 기본재료필름의 자성층 형성폭과 반대쪽 표면의 정마찰계수 ㎲가 상기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기본재료필름의 표면거침 Ra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적어도 그 한쪽면의 표면거침 Ra가 0.001-0.05㎛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0.001-0.04㎛가 가장 좋다.
또한 고밀도화 자기기록매체를 얻기 위해서는 표면거침 Ra는 0.001-0.03㎛, 특히 0.005-0.02㎛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자성층 형성폭의 기본재료필름의 표면거침 Ra가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본재료필름이고, 고밀도화를 위하여 자성층을 증착법등으로 하는 경우는 또한 열변형온도가 230℃ 이상, 특히 235℃ 이상의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본재료필름의 습도팽창계수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5×10-5/%RH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자기테이프의 기본재료필름으로, 상술한 연신필름으로된 단층필름 또는 그 연신필름을 포함하는 적층필름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 기본재료필름의 물성은 실온(0℃-40℃ 정도)에서의 종방향(MD) 및 횡방향(TD)의 탄성율이 각각 30,000kg/cm2이상, 바람직하게는 33,000kg/cm2이상, 그 비, 즉 종방향(MD)의 탄성율과 횡방향(TD)의 탄성율의 비(MD/TD)가 0.8이상, 바람직하게는 0.8-6이며, 또한 90℃에서의 종방향의 탄성율이 10,000kg/cm2이상 바람직하게는 150,000kg/cm2이상이며, 0-90℃에서의 선팽창계수가 5×10-5/℃ 이하, 바람직하게는 4×10-5/℃ 이하이고, 또 표면거침 Ra는 0.001-0.3 바람직하게는 0.003-0.03이다.
실온에서의 종방항(MD)의 탄성율이 30,000kg/cm2미만에서는 테이프의 주행시에 약간의 하중으로도 늘어나기 쉽고, 양호한 재생상태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 실온에서의 횡방향(MD)의 탄성율이 30,000kg/cm2미만에서는 꺾어지기 쉽고, 양호한 재생상태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종방향(MD)의 탄성율과 횡방향(TD)의 탄성율의 비 MD/TD가 0.8미만에서는 주행중에 테이프가 끊어지기 쉽다.
또 온도 90℃에서의 종방향(MD)의 탄성율이 10,000kg/cm2미만에서는 얻어진 자기테이프는 90℃정도의 고온하에서는 이미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 0-90℃에서의 선팽창계수가 5×10-5/℃ 보다 큰 경우에는 역시 90℃정도의 고온하에서의 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자기테이프의 표면거침 Ra는 0.001-0.03을 벗어나도 자기테이프로서의 양호한 주행상태가 얻어지지 않는다.
다음에, 본 발명의 자기디스크의 기본재료필름으로 상술한 연신필름으로된 단층필름 또는 그 연신필름을 포함하는 적층필름이 사용되지만, 이 기본재료필름의 물성은 종방향(긴쪽방향)의 선팽창계수(αMD) 및 횡방향의 선팽창계수(αTD)가 각각 5×10-5/℃이하, 바람직하게는 4×10-5/℃이하이고, 또한 그 비(αMDTD)가 0.3-3, 바람직하게는 0.5-2이다.
또한 표면거침 Ra는 0.001-0.03㎛, 바람직하게는 0.005-0.03㎛이며, 또 그 두께는 20-200㎛, 바람직하게는 50-150㎛이다.
여기에서, αMD나 αTD가 5×10-5/℃를 초과하는 것으로는 칫수안정성이 부족하여 실용적이지 못하다.
또 αMDTD가 0.3미만인 것 또는 3을 초과하는 것으로는 자기디스크로서 사용하는 경우, 환경변화에 대하여 면내의 칫수 변화가 이방성을 가진 양호한 재생상태가 얻어지지 않는다.
표면거침 Ra에 대해서는 표면거침 Ra가 0.03㎛를 초과하면 자기헤드의 마모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0.001㎛미만에서는 활성이 문제가 되며, 양호한 주행상태의 것이 얻어지기 어렵다.
또한, 이 기본재료필름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자기디스크에 필요한 탄력이나 자기지지성이 없어 실용적이지 않고, 또 지나치게 두꺼우면 가소성이 부족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자기기록매체, 자기테이프 및 자기디스크의 기본재료필름을 작성함에 있어서는 각종의 방법이 있지만, 구체적으로는 하기(1)-(3)의 3개의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1) 고도의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중합체에 무기미립다를 배합한 조성율, 특히 평균입자지름 0.01-3㎛의 무기미립자를 0.001-1중량% 배합한 조성물을 가열용융, 압출, 냉각고화, 가열, 연신, 열처리하여 연신필름을 형성한다.
이것에 의하여 이 연신필름만으로 이루어진 양면이 평활 또는 조면화(粗面化)된 원활한 단층필름이 얻어진다.
(2) 상기 (1)에서 사용한 조성물과 고도의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중합체 특히 잔류알루미늄이 3,000ppm이하, 잔류티탄이 10ppm이하 및 잔류스티렌계 단량체가 7,000ppm 이하의 고순도 스티렌계중합체, 또는 이 스티렌계중합체를 주성분으로한 조성물(단, 무기미립자를 함유하지 않는다)과 가열용융, 상호압출, 냉각고화, 가열, 연신, 열처리하여 2종류 또는 그 이상의 연신필름을 적층상태로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서 한쪽면이 극히 평활하며 다른면이 조면화된 원활한 다층(적층)필름이 얻어진다.
(3) 고도의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중합체, 특히 잔류알루미늄이 3,000ppm 이하, 잔류티탄이 10ppm이하 및 잔류스티렌계 단량체가 7,000ppm이하의 고순도의 스티렌계중합체 또는 이 스티렌계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단, 무기미립자를 함유하지 않는다)을 가열용융, 압출, 냉각고화, 가열, 연신, 열처리하는 과정으로 적어도 한쪽면에 표면조면화가 가능한 수지 혹은 무기초립자를 포함하는 수지조성물로된 층을 붙여(적층), 도포 또는 증착등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이며, 한쪽면이 극히 평활하더라도 다른면이 조면화된 원활한 다층필름이 얻어진다.
이때, 상기 수지조성물로된 층은 필요에 따라 연신한 것을 사용해도 좋다.
여기에서, 적층에 사용하는 수지는 고도의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중합체나 각종 혼합수지를 사용할 수 있지만, 융점 또는 경화점이 높은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 다른 수지중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미립자의 종류, 양, 입자 지름에 대해서는 후술의 무기미립자를 충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적층하는 방법은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상호 압출법이 다른 수지, 타수지조성물을 용해, 도포하는 방법을 연신필름제조공정에 도입하면 생산성이 좋다.
여기에서, 특히 테이프에 있어서는 상기 조면을 갖는 층을 백코오트층으로 하는 경우가 있으며, 주로 자성층은 이 반대의 초평활면쪽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연신필름은 두께 2-500㎛이고, 선팽창계수 5×10-5/℃이하, 정마찰계수 ㎲ 0.3-10, 또한 (1)의 방법에 따라 양면의 표면거침 Ra가 0.005-0.05㎛, (2)(3)의 방법에 따라 원활한 조면과 평활면의 양측을 합치고, 각각의 표면거침이 0.005-0.05㎛, 0.001-0.04㎛인 것이다.
또 연신조건, 첨가물에 의해서 용이하게 표면거침이 0.001-0.03㎛, 싫온에서의 종방향(MD) 및 횡방향(TD)의 탄성율이 각각 30,000kg/cm2이상, 그 비(MD/TD)가 0.8이상, 90℃에서의 종방향(MD)의 탄성율이 10,000kg/cm2이상, 종방향(MD)의 선팽창계수(αMD) 및 횡방향(TD)의 선팽창계수(αTD)가 5×10-5/℃이하이고, 또한 그 비(αMDTD)가 0.3-3인 필름이 얻어진다.
또한, 통상 얻어지는 연신필름은 열변형온도가 230℃이상이며, 또 습도팽창계수가 5×10-5/% RH 이하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필름두께에 대해서는 2-20㎛인 필름이 자기테이프용에, 20-150㎛인 필름이 자기디스크용에, 100-500㎛인 필름이 자기카아드용으로 적당하다.
이들의 필름을 사용하여 자기기록매체를 만들지만, 필요에 따라서 특히 자기디스크의 경우, 코로나처리등에 의해서 표면접착성을 개량한 필름을 사용해도 좋으며, 또한 미리 자성층을 설치한 쪽에 접착층을 설치해도 좋다.
그런데, 상기 필름소재로 사용되는 고도의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중합체로는, 입체화학구조가 고도의 신디오탁틱구조, 즉 탄소-탄소결합으로 형성된 주사슬에 대하여 결사슬인 페닐기나 치환페닐기가 교대로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입체구조를 갖는 것이며, 그 탁티서티는 탄소동위원소에 의한 핵자기공명법(13C-NMR법)에 의해서 정량된다.
13C-NMR법에 의해서 측정되는 탁티서티는 연속하는 복수개의 구성단위의 존재비율, 예로는 2개의 경우는 다이아드, 3개의 경우는 트리아드, 5개의 경우는 펜타드로 표시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언급되는 고도의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중합체로는 통상적으로 라세미다이아드로 75%이상, 바람직하게는 85%이상, 또는 라세미펜타드로 30%이상, 바람직하게는 50%이상의 신디오탁티서티를 갖는 폴리스티렌, 폴리(알킬스티렌), 폴리(할로겐화스티렌), 폴리(알콕시스티렌), 폴리(비닐벤조산에스테르), 이들의 수소화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구조단위를 함유하는 혼성중합체를 지칭한다.
또한, 여기에서 폴리(알킬스티렌)으로는 폴리(메틸스티렌), 폴리(에틸스티렌), 폴리(프로필스티렌), 폴리(부틸스티렌), 폴리(페닐스티렌), 폴리(비닐나프탈렌), 폴리(비닐스티렌), 폴리(아세나 틸렌)등이 있으며, 폴리(할로겐화스티렌)으로는 폴리(클로로스티렌), 폴리(브로모스티렌), 폴리(플루오로스티렌)등이 있다.
또 폴리(알콕시스티렌)으로는 폴리(메톡시스티렌), 폴리(에톡시스티렌)등이 있다.
이들중 특히 바람직한 스티렌계중합체로는 폴리스티렌, 폴리(p-메틸스티렌), 폴리(m-메틸스티렌), 폴리(p-t-부틸스티렌), 폴리(p-클로로스티렌), 폴리(m-클로로스티렌), 폴리(p-플루오로스티렌) 또 스티렌과 p-메틸스티렌등의 혼성중합체를 들 수 있다(일본국 특개소 62-187708호 공보).
또한 스티렌계혼성중합체에 있어서의 혼성중합용 단량체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티렌계중합체의 단량체외에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헥센, 옥텐등의 올레핀단량체, 부타디엔, 이소프렌등의 디엔단량체, 고리형디엔단량체나 메타크릴산메틸, 무수말레산, 아크릴로 니트릴등의 국성비닐단량체등을 들 수 있다.
또 이 스티렌계중합체는 분자량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3,000,000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50,000-1,5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미만이면 연신이 충분하지 않다. 또한, 분자량 분포에 대해서도 그 광협은 제약이 없으며, 다양한 것을 충당할 수 있지만 중량평균분자량(Mw)/수평균분자량(Mn)이 1.5-8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도의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중합체는 종래의 아탁틱구조의 스티렌계중합체에 비하여 내열성이 현저히 우수하다.
또 상기의 연신필름(특히, 극이 평활한면을 갖고 있는 필름)을 구성하는 고도의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중합체는 상술한 것과 같은 것이면 좋지만, 특히 잔류알루미늄이 3,000ppm이하, 잔류티탄이 10ppm이하 및 잔류스티렌계 단량체가 7,00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중에서도 잔류알루미늄이 1,000ppm이하, 잔류티탄이 7ppm이하 및 잔류스티렌계 단량체가 5,000ppm이하인 것이 가장 적당하다.
이와 같은 고순도의 스티렌계중합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다양한 수법이 있지만,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잔류알루미늄 및 잔류티탄을 상기의 범위내에서 억제하기 위해서는 ① 고활성촉매를 사용하여 스티렌계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일본국 특계평 1-294705호 공보참조) 또는 ② 탈회, 세정에 의한 방법, 즉, 일본국 특개소 62-187708호 공보등에 기재된 통상의 Ⅳ A족의 유기금속화합물과 메틸알루민옥산등의 알킬알루민옥산을 촉매성분으로하여 스티렌계 단량체를 중합시킨후 얻어진 신디오탁틱구조의 스티렌계중합체를 산, 알칼리를 적당한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으로 탈회하고, 적당한 용매로 세정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이하여 ① 또는 ②의 방법에 의하여 잔류 알루미늄 및 잔류티탄이 적지 않은 신디오탁틱구조의 스티렌계중합체가 얻어지지만 또한 이것을 하기의 ③ 또는 ④의 방법으로 처리하면 잔류스티렌계 단량체가 7,000ppm 이하인 것으로 된다.
③ 상기 스티렌계중합체를 감압건조하는 방법
여기에서 강압건조함에 있어서는 건조온도를 그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으로 하면 효율이 좋다.
④ 상기 스티렌계중합체를 압출기로 탈기하는 방법
상기 스티렌계중합체 또는 ③의 방법으로 감압건조한 스티렌계중합체를 압출기로 탈기하고, 동시에 성형용재료(펠릿)로 한다.
여기에서 압출기는 통기구멍(vent)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1축, 2축 어느 압출기를 사용해도 좋다.
이와 같은 처리를 거쳐 잔류알루미늄, 잔류티탄 및 잔류스티렌계 단량체가 적지 않은 고순도의 신디오탁틱구조의 스티렌계중합체가 얻어진다.
한편, 원활한 조면을 갖는 연신필름의 구성소재는 고도의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중합체에 무기미립자를 함유시킨 조성물, 특히 상기 스티렌계중합체에 평균입자지름 0.01-3㎛의 무기미립자를 0.001-1중량%함유시킨 조성물이다.
이 조성물은 스티렌계중합체(단, 반드시 상기와 같이 고순도인 것은 필요하지 않고, 일본국 특개소 62-187708호 공보등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도 좋다)에 무기미립자를 배합하거나 또는 중합중에 석출되는 것에 의하여 제조된다.
여기에서 무기미립자로는 ⅠA족,ⅡA족, ⅣA족, ⅥA족, ⅦA족, ⅧA족, ⅠB족, ⅡB족, ⅢB족, ⅣB족 원소인 산화물, 수산화물, 황화물, 질소화물, 할로겐화물, 탄산염, 초산염, 인산염, 아인산염, 유기카르복시산염, 규산염, 티탄산염, 붕산염 및 이들의 함수화합물, 이들을 중심으로 하는 복합화합물, 천연광물입자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불화라튬, 붕사(붕산나트륨함수염)등의 ⅠA족 원소화합물, 탄산마그네슘, 인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마그네시아), 염화마그네슘, 초산마그네슘, 불화마그네슘, 티탄산마그네슘, 규산마그네슘, 규산마그네슘함수염(활석), 탄산칼슘, 인산칼슘, 아인산칼슘, 황산칼슘(석고), 초산칼슘, 테레프탈산칼슘, 수산화칼슘, 규산칼슘, 불화칼슘, 티탄산칼슘, 티탄산스트론튬, 탄산바륨, 인산바륨, 황산바륨, 아인산바륨등의 ⅡA족 원소화합물, 이산화티탄(티타니아), 일산화티탄, 질화티탄, 이산화지르코늄(지르코니아), 일산화지르코늄등의 ⅣA족 원소화합물, 이산화몰리브덴, 삼산화몰리브덴, 황화몰리브덴등의 ⅣA족 원소화합물, 염화망간, 초산망간등의 ⅦA족 원소화합물, 연화코발트, 초산코발트등의 Ⅷ족 원소화합물, 옥화 제1동등의 ⅠB족 원소화합물, 산화아연, 초산아연등의 ⅡB족 원소화합물, 산화알루미늄(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불화알루미늄, 규산알루미늄(규산알루미나, 고령토, 고령석)등의 ⅢB족 원소화합물, 산화규소(실리카, 실리카겔), 석묵, 탄소, 흑연, 유리등의 ⅣB족 원소화합물, 카아나트석, 카이나이트, 운모(금운모), 바이로오스광등의 천연광물의 입자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무기미립자의 평균입자지름은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0.01-3㎛,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1㎛이고, 조성물중의 함량은 0.001-1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0.6중량%이다.
여기에서, 평균입자지름이 0.01㎛보다 작으면 입자끼리 2차응집하기 때문에 분산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으며, 또 평균입자지름이 3㎛보다 크면 평활성이 저하된다.
또 조성물의 무기미립자의 함량이 0.001중량% 보다 적으면 미끄럼성이 충분히 개선되지 않으며, 함량이 1중량% 보다 많으면 박물로의 연신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 상기의 무기미립자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 이상으로 효과적인 성분이지만,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다른 종류 또는 다른 입자지름의 미립자, 무기충전재등을 포함하는 것도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무기미립자는 최종적인 성형품(필름)에 함유되어 있지만, 함유시키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스티렌계 단량체의 중합중의 임의의 과정으로 첨가 또는 석출시키는 방법, 용융압출하는 임의의 과정으로 첨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상에서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중합과정의 임의의 단계에서 상기 무기미립자를 슬러리형으로 첨가하는 방법이 입자의 2차 응집을 방지하는 것 이상으로 바람직하다.
또 이들 미립자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하여 분산제, 계면활성제등을 사용하는 것도 좋다.
본 발명의 기본재료필름을 구성하는 연신필름에 사용되는 소재로는 성형성, 역학물성, 표면성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난연제, 무기충전제, 또한 수지등을 적당히 배합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다른 수지로는 각종의 것이 있지만, 예를 들면, 아탁틱구조의 스티렌계중합체, 아이소탁틱구조의 스티렌계중합체, 폴리페닐에스테르등은 상기의 신디오탁틱구조의 스티렌계중합체와 상용되기 쉬우며 연신용 예비성형물을 만들때의 결정화제어에 유효하고, 그 후의 연신성이 향상되며, 연신조건의 제어가 용이하고, 또한 역학물성이 우수한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중에 아탁틱구조 및 또는 아이소탁틱구조의 스티렌계중합체를 함유하는 경우, 신디오탁틱구조의 스티렌계중합체와 동일한 단량체로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들 상용성 수지성분의 함유비율은 70-1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50-2중량%로 하면 좋다.
여기에서 상용성 수지성분의 함유비율이 70중량%를 초과하면, 신디오탁틱구조의 스티렌계중합체의 장점인 내열성등이 손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보강용성수지로는 예를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덴, 폴리펜텐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등의 폴리에스테르, 나이론-6이나 나이론 6.6등의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술피드등의 폴리티오에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아틸레이트,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에테르케론,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이미드, 테프론등의 할로겐화 비닐계중합체, 폴리메타크릴산메틸등의 아크릴계중합체, 폴리비닐 알콜등, 상기 상용성의 수지 이외는 무도 알맞고, 또한 상기 상용성의 수지를 포함하는 가교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본 발명의 신디오탁틱구조의 스티렌계중합체와 비상용이기 때문에 적은 양을 함유하는 경우 신디오탁틱구조의 스트렌계중합체중에 섬과 같이 분산될 수 있으며, 연신후에 정량의 광택을 주어 표면의 미끄럼성을 개선하는데 유효하다.
이들 비상용성 수지성분의 함유비율은 광택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는 50-2중량%, 표먼성의 억제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0.001-5중량%가 바람직하다.
또 제품으로 사용하는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비교적 내열성이 있는 비상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기기록매체, 자기테이프, 자기디스크의 기본재료필름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상기한 방법에 따라 하는 것이 좋지만, 이 경우에 가열용융에서 열고정까지 조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한 성형소재를 통상적으로 압출성형(또는 상호 압출성형)하여 연신용 예비성형물(필름, 시이트 또는 관)로 한다.
이 성형에 있어서는 상기 성형소재의 가열용융한 것을 압출성형기에서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성형소재를 가열용융시키지 않고 연화한 상태로 성형해도 좋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압출성형기는 1축압출성형기, 2축압출성형기의 어느 것으로도 좋으며, 또 통기구멍을 장치하거나, 장치하지 않은 것 어느것도 좋지만, 1축의 직렬텐덤(tandem)형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출기로는 적당한 메시(mesh)를 사용하면 협잡물이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특히 평활면을 갖는 연신필름을 작성하는 경우에는 메시는 100메시이상이 바람직하며, 특히 400메시이상이 가장 적당하다.
여기에서 이들 메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메시 그것의 내성, 강도를 고려하여 상기 이하의 프로그램수를 전후에 넣어도 좋다.
또 메시의 형상은 평판형, 원통형등을 적당히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여기에서 압출조건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여러상황에 따라 적당히 선택하면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온도를 성형소재의 융점-분해온도보다 50℃ 높은 온도의 범위로 선정하고, 전단응력을 5×106dyne/cm2이하로 한다.
이용하는 대는 T대, 원고리대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압출성형후 얻어진 연신용 예비성형물을 냉각 고정한다. 이때의 냉매로는 기체, 액체, 금속로울등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로울등을 사용하는 경우, 공기절단기, 공기실, 터치로울(touch roll), 정전인하등의 방법에 의하여 두께가 고르지 않거나, 면이 고르지 않은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냉각고화의 온도는 통상적으로 0℃-연신용 예비성형물의 유리전이온도보다 30℃ 높은 온도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0℃-유리전이온도의 범위이다.
또 냉각속도는 200-3℃/초의 범위에서 적당히 선택한다.
다음에 이 냉각, 고화한 예비성형물을 1축 또는 2축에 연신한다. 2축연신의 경우는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동시에 연신해도 좋지만 임의의 순서로 축차연신해도 좋다.
또 연신은 1단으로 해도 좋고 다단으로 해도 좋다.
여기에서 연신방법으로는 텐터(tenter)에 의한 방법, 로울사이에서 연신하는 방법, 기체압력을 이용하여 기포에 의한 방법, 압연에 의한 방법등 다양하며, 이들을 적당히 선정하거나 조합하여 적용해도 좋다.
특히 MD방향으로 로울사이에서 연신한후, TD방향으로 텐터로 연신하고, 다시 필요에 따라 재연신하는 것이 표면거침 Ra를 작게 하는데 좋다.
여기에서, 축차연신함에 있어서는 우선 종연신할 때의 복굴절의 절대값 |△η|을 3×10-3-70×10-3으로 하고, 다음에 횡연신, 경우에 따라서는 재연신하고 그 후, 열처리하여 얻어진 필름의 복굴절의 절대값 |△η| 을 4×10-3이하로 하면 강도 및 선팽창계수의 균형이 양호한 필름이 형성된다.
연신온도는 일반적으로 예비성형물의 유리전이온도와 융점사이에서 설정하면 좋다.
단, 축차연신 또는 다단계 연신할 때는 우선 예비성형물의 유리전이온도-냉결정화온도의 범위로 하고 다음은 유리전이온도-융점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 연신속도는 통상적으로 1×10-1×105%/분, 바람직하게는 1×10-1×105%/분이다.
또한 연신배율은 종방향(MD)으로 2.5배이상, 횡방향(TD)으로 2.0배 이상이 바람직하며, 면적연신배율로서 6배이상이 탄성율등의 개선에 바람직하다.
연신배율이 낮아지면 칫수안정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은 조건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연신필름에 다시 고온시의 칫수안정성, 내열성, 필름면내의 강도균형이 요구되는 경우등에는 다시 열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고정은 통상적으로 하는 방법으로 할 수 있지만, 이 연신필름을 인장상태, 이완상태 또는 제한수축 상태하에서, 그 필름의 유리전이온도-융점, 바람직하게는 융점보다 100℃ 낮은 온도-융점 직전의 온도범위에서 0.5-120초 동안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이 열고정은 상기 범위내에서 조건을 변경하여 2회 이상해도 가능하다.
열고정의 온도가 너무 낮으면 증착에 의해서 자성체층을 형성하는 경우 내열성이 충분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또 이 열고정은 아르곤가스, 질소가스등의 불활성가스 분위기하에서 해도 좋다.
여기에서, 상기와 같이 열고정을 하지 않으면 0-90℃에서의 선팽창계수가 5×105보다 크게 되며, 특히 유리전이온도 근방의 변형이 크게 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자기기록매체, 자기테이프 또는 자기디스크의 기본재료필름은 선팽창계수, 정마찰계수 ㎲, 탄성율, 표면거침 Ra 및 열변형온도등의 상술한 범위가 된다.
또한 이 기본재료필름은 테이프형, 디스크형, 카아드형의 다양한 형태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자기카아드의 기본재료필름으로는 상기한 고도의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중합체 40-99중량% 및 백색무기입자 60-1중량%를 배합한 조성물의 필름으로된 다층필름 또는 그 필름을 함유하는 적층필름이 사용된다.
또 이 기본재료필름은 선팽창계수가 7×10-5/℃이하, 백색도가 75이상, 바람직하게는 80이상이며, 또 그 두께가 50-1,000㎛, 바람직하게는 75-800㎛이다.
여기에서 기본재료필름의 선팽창계수가 7×10-5/℃를 초과하면 기록재생상태의 온도변화가 매우 좋지 않다.
또 백색도가 75미민으로 하면 선명한 문자나 그림이 얻어지지 않으며 실용적이지 않다.
두께에 대하여는 50㎛보다 얇으면 강도나 내수성, 유지성이 부족하고, 한편 두께가 지나치면 가공성, 처리성, 가소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기본재료필름은 가공시 및 사용시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하여 그 열수축율이 200℃에서 2%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자성층, 접착층등과의 접착성을 고려하여 필름의 표면에 코로나 처리등을 하여도 좋다.
상기 기본재료필름을 얻기 위해서는 고도의 신디오탁틱구조의 스티렌계중합체에 백색무기입자를 첨가한 조성물을 필름으로 하던지 또는 이 조성물을 다른 필름표면에 적층, 코우팅등으로 필름형으로 하던지 또는 이들을 조합해도 좋다.
가장 바람직한 것을 백색무기입자를 첨가한 신디오탁틱구조의 스티렌계중합체 조성물을 2축연신한 것이며, 여기에서 백색무기입자를 첨가할 때에는 중합시의 임의의 과정으로 첨가하는 방법, 중합후의 혼합에 의한 방법, 마스터배치(master batch)를 혼합하는 방법등의 유효하게 적용된다.
또 본 발명의 자기카아드의 기본재료필름의 소재로 사용되는 조성물은 고도의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중합체 40-90중량% 및 백색무기입자 60-1중량%로된 것이다.
백색무기입자의 배합량이 60중량%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자기 카아드의 탄성율은 높지만 약해서 사용하기 어렵다.
또한 60중량%를 초과하는 조성물로는 연신이 곤란하여 연신에 의한 인성의 개량이 바람직스럽지 않다.
또 1중량% 미만으로는 자기카아드로 원하는 백색도를 나타낼 수 없다.
여기에서 고도의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중합체로는 상기한 것과 동일하다.
한편, 상기 스티렌계중합체와 함께 기본재료필름의 소재인 조성물을 형성하는 백색무기입자로는 각종의 것이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주가율표 Ⅱa, Ⅱb, Ⅲb, Ⅳa, Ⅳb, Ⅴb, Ⅵa, Ⅶa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원소로된 화합물 예를 들면,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산화규소, 산화티탄, 탄산칼슘, 황산바륨, 탄산마그네슘, 규산칼슘, 활석등 또는 이것등의 혼합물을 들수 있다.
백색무기입자의 평균입자지름은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0.03μ-5μ가 바람직하다.
배합량은 상기한대로이지만 특히 단층필름의 경우는 1-40중량%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한 것을 3-30중량%이다.
또 적층이나 코우팅의 경우는 5-60중량%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한 것은 8-55중량%이다.
단, 스티렌계중량체가 p-메틸스티렌단일중합체와 같이 연신시에 백화하며, 백색필름이 얻어지는 것을 첨가량이 소량으로, 1-20중량%로 충분하다.
본 발명의 기본재료필름을 구성하는 조성물의 수지성분은 기본적으로 상술한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중합체이지만, 또한 성형성, 역학물성, 표면성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수지등을 적당히 배합할 수 있다.
다른 수지로는 상기한 수지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소지로 비상용성수지를 사용하면 백색무기입자의 첨가량을 비교적 소량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다시 상기 조성물에 필요에 따라, 안정제, 산화방지제, 윤활제, 광택제, 자외선흡수제, 매트화재(matting agent) 그외 다른 종류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카아드의 기본재료필름을 성형하는 공정에서는 가열용융에서 열고정까지의 조작까지 상기 자기기록매체등의 기본재료필름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게 하면 좋다.
열고정의 조작후 다시 필요에 따라 필름중에 무기입자나 유기입자등의 첨가, 조면화필름의 적층, 샌드매트(sand mat)처리, 코우팅매트처리, 앰보스(dmboss) 가공등의 조작을 적당히 적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자기카아드의 기본재료필름은 선팽창계수 7×10-5/℃백색도 80이상, 두께 50-1,000㎛인 것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기본재료필름에 적어도 1층의 자성층을 형성함에 따른 본 발명의 자기기록매체, 자기테이프, 자기디스크 또는 자기카아드가 제조된다.
또한 언더코우트(under coat)층, 백코우트(back coat)층 또는 탑코우트(top coat)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들 각층은 기본재료필름을 중심으로 양면 또는 한쪽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형성된다.
또 자성층의 소재로된 자성체는 각종의 것이 있으며, 예를 들면, Co, Co-O, Co-Cr, Co-V, Co-Ni, Co-P, Co-γFe2O3, Co-Ni-P, Co-Ni-N, Co-Ni-W, Co-Ni-Pt, CoNi(Cr)/Cr, Fe, Fe-O, Fe-Ag, γFe2O3, Fe-Co, BaO, γFe2O3, Ni, CrO2
등을 열거할 수 있다.
특히 고밀도화한 자기기록매체를 얻기 위하여 수직자화 가능한 자성체 예를 들면,
Co, Co-O, Co-Cr, Co-V, Co-Ni, Co-P, Co-N-O, Co-Ni-P, Co-Ni-N, Co-Ni-W, CoNi(Cr)/Cr, BaO, γFe2O3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자성체를 사용하여 자성층을 기본재료필름에 형성함에 있어서는 도포, 증착, 스퍼티링(sputtering), 도금등의 각종 방법에 의해서도 좋으며, 그 조작조건등은 일반적이므로 적당히 선정해도 좋다.
특히 Co계의 자성체는 증착 또는 스퍼터링, BaO, rFe2O3는 도포에 의하여 형성되지만 수직자성층을 형성한 후가 바람직하다.
또한 지성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0.01-10㎛이며, 특히 도포의 경우는 0.5-10㎛, 증착이나 스퍼터링의 경우는 0.01-1㎛, 도금인 경우는 0.105㎛이다.
또한 도포에 대하여 사용하는 접착용 수지로는 예를 들면, 염화비닐-초산비닐 혼성중합체, 염화비닐-초산비닐부분켄화(saponifrication) 혼성중합체, 염화비닐-염화비닐리딘 혼성중합체, 염화비닐-아크릴로 니트릴, 비닐부티라우트, 비닐포르말등의 비닐혼성중합계, 니트로셀루로오스, 셀루로오스아세트부티레이트등 섬유소계, 포화폴리 에스테르, 폴리우레탄폴리아미드, 에폭시등의 축중합계, 부타디엔, 아크릴로니트릴혼성중합체등의 합성고무계, 폴리포스파젠등의 무기 고분자계를 들 수 있으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등의 가교제를 사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자기기록매체는 자기헤드마모 방지등을 위하여 표면을 연마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 기초하여 상세히 말한다.
[참고예 1]
(1) 무기미립자를 포함하는 스티렌계중합체 성형용 재료(중합체 조성물)의 작성
아트곤치환한 내용적 500ml의 유리제용기에 황산동 5수염(CuSO4·5H2O) 17.8g(71mmol), 톨루엔 200ml 및 트리메틸알루미늄 24ml(250mml)를 넣고, 40℃에서 8시간 반응시켰다.
그후 고체부분을 제거하고 얻은 용액에서 다시 톨루엔을 실온하에서 감압증류하여 접촉생성물 6.7g을 얻었다.
이것의 응고점강하법으로 측정한 분자량은 610이었다.
1H-NMR 측정에 의한 상기의 고자기장성분(즉, -0.1 -0.5ppm)은 43%이었다.
한편, 정제스티렌단량체 100부에 건식법실리카(데그프사(주)제품 아에로딜 TT-600(1차 입자의 직경이 40㎛인것)을 0.4부 첨가하고, T.K호모믹서(homomixer)-L형(토쿠슈기가 고오교 제품)을 사용하여 원통용기내에서 혼합교반하여 스티렌 혼합물을 얻었다.
또한 이때 스테아르산칼슘을 0.05중량부 넣었다.
내용적 2ℓ의 반응용기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한 스티렌 혼합물 1ℓ, 상술한 바와 같이 얻어진 접촉생성물을 알루미늄 원자로 5mmol,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을 5mmol, 펜타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티탄트리메톡시드 0.025mmol을 사용하여 90℃에서 5시간 중합반응하였다.
반응종료후, 생성물을 수산화나트륨의 메탄올용액에서 촉매성분을 분해한 후 메탄올로 반복해서 세정한 후 건조하여 중합체 308g을 얻었다.
이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을 1, 2, 4-트리클로로벤젠을 용매로 135℃에서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였더니 389,000이며, 또 중량평균분자량/수평균분자량은 2.64이었다.
또 융점 및13C-NMR 측정에 의하여 이 중합체는 신디오탁틱구조의 폴리스티렌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 중합체를 130℃에서 1, 2, 4-트리클로로벤젠으로 용해하고, 여과하여 중합체내의 실리카함량을 조절하였더니 0.4wt%이었다.
또 이 용액을 슬라이드유리에 떨어뜨리고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실리카의 평균입자지름을 조절하였더니 0.08㎛이었다.
또한 이 스티렌계중합체를 150℃에서 2시간 감압건조하였다. 얻은 분말을 배기구멍이 장치된 2축압출기의 선단에 모세관이 있는 장치로 300℃에서 압출하고 냉각후, 절단하여 펠릿으로 하였다.
이 펠릿을 더운 바람으로 교반하면서 결정화시켰다. 이 펠릿은 결정화도 35%로 스티렌단량체를 700ppm 포함하고 있다.
(2) 무기미립자를 포함하지 않는 스티렌계중합체 성형용 재료의 작성
건식실리카를 포함하지 않는 스티렌단량체를 사용하여 상기(1)과 동일하게 스티렌계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얻은 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417,000, 중량평균분자량/수평균분자량이 2.54, Al함량이 75ppm, Ti함량이 2ppm이었다. 이 스티렌계중합체를 상기(1)과 동일하게 펠릿으로 하였다. 이 펠릿의 결정화도는 30%이며, 스티렌 단량체함량은 800ppm이었다.
[참고예 2](스티렌계중합체 연신필름의 제조)
(1) 참고예 1(1)과 같이하여 얻은 성형재료를 사용하여 직렬형 탠딤압출기의 선단에 T대를 설치한 장치로 330℃에서 용융압출하였다. 이때의 진단응력은 1.5×105dyne/cm2이었다. 이 용융압출한 시이트를 정전인하에 의하여 63℃의 냉각로율에 밀착시켜 냉각교화시켰다.
이때의 냉각속도는 평균 55℃/초로 130㎛의 연신용 시이트를 얻었다. 이 시이트를 로울사이에서 각각 로울의 원주속도를 변화시킨 종방향으로 110℃, 연신속도 6,000%/분으로 3배 연신하였다. 계속해서 횡방향으로 텐터를 사용하여 120℃, 연신속도 6,000%/분으로 3배 연신하였다. 다시 횡방향으로 텐터로 고정한채, 종방향으로 130℃, 2,000%/분으로 1.5배 재연신하였다. 이 필름을 텐터로 고정하고 약간 이완시켜 255℃에서 10초 열처리하였다. 얻은 필름은 두께 12㎛이었다. 이 필름의 선팽창계수를 0℃-90℃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표면거침을 JIS B-0601에 준거하여 차단값(cut off) 0.08mm로 또 정마찰계수를 ASTM D-1984B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얻은 필름의 성질을 표에 나타낸다.
(2) T대의 립(lip) 벌어진 정도를 4배로 하고, 재연신배율을 1.3배로 한것 이외에는 참고예 2(1)과 동일하게 하였다. 얻은 필름의 성질을 표에 나타낸다.
(3) 참고예 1(1) 및 참고예 1(2)의 결정화시킨 스티렌계중합체 펠릿을 사용하여 압출기의 선단에 T대를 설치한 장치로 330℃에서 용융혼성압출한 것이외에는 참고예 1(1)과 동일하게 하였다. 얻은 필름의 성질을 표에 나타낸다.
또한 이때 참고예 1(2)의 스티렌계중합체 펠릿을 50/150/400/150/50메시를 넣은 주압출기의 직렬형 탠덤단축압출기로 또 참고예 1(1)의 스티렌계중합체 펠릿을 복압출기로 용해압출하였다.
(4) 참고예 1(2)의 스티렌계중합체 펠릿을 사용하여 압출기내에 50/150/400/150/50메시를 넣은 것이외에는 참고예 2(1)과 동일한 연신필름을 만들었다. 이 필름을 코로나 처리하였다.
다음에 일본국 특개평 1-95113호 공보의 실시예 1에서 얻은 신디오탁틱구조의 스티렌-디비닐벤젠 혼성중합체(디비닐벤젠단위 9.4몰%, 에틸벤젠단위 5.0몰%, 중량평균분자량 360,000)의 0.5wt% 클로로포름용액을 만들고 이 용액에 스티렌-디비닐벤젠혼성중합체에 대하여 0.5wt%의 건식법 실리카(테그쯔사(주)제품 아에로딜 TT-600 : 1차 입자의 입자지름 40㎛인것)을 첨가하고, 호모믹서-L형(토쿠슈기가 고오교 제품)을 사용하여 원통용기에서 균일하게 혼합하고 슬러리 용액으로 하였다.
이 슬러리용액을 상기 필름에 바코우터(bar coater)로 도포하여 250℃에서 10초 건조하였다. 얻은 필름의 성질을 표에 나타낸다.
(5) 열처리를 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2(1)과 동일하게 하였다.
(6) 사용한 무기미립자를 평균입자지름 4㎛의 실리카(스이타구 가가꾸 고오교(주)제품 실튼 AMT-40)로 한것 이외에는 참고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스티렌계중합체를 만든 후 참고예 2(1)과 동일하게 하였다.
(7) 참고예 1(2)의 스티렌계중합체 재료보다 참고예 2(1)과 동일하게 하여 필름을 만들었다.
참고예 2(1)과 동일하게 하여 얻은 기준필름의 한쪽면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하고 계속해서 Co 80중량%, Ni 20중량%로 된 표적을 만들고 이 표적에 의하여 RF스퍼터법으로 약 3,000Å의 두께의 Co-Ni계의 자성박막을 형성하였다.
이때 표적과 필름사이의 거리를 60mm, 양극전압 1.9kv, 양극전류 160mA, 아르곤압 1.1×10-2mmHg이었다. 이 테이프를 VHS-비디오테이프와 같은 폭으로 주의 깊게 자르고 시판되는 테이프를 분해하여 테이프만 대체하여 비디오 카세트를 만들었다. 이 테이프의 정마찰계수보다 미끄럼성을 평가하였다. 이 테이프의 정마찰계수는 기준필름과 같이 양호하였다.
또 만든 VHS-비디오카세트테이프를 가정용 비디오녹화장치로 녹화재생하였다. 또한 이때 신뢰성의 지표로 실온조건과 85℃, 75% RH의 고온다습조건에서의 녹화재생상태를 관찰하였지만, 양조건하에서 거의 변화하지 않았고 화상이 흩어지지 않아 양호하였다.
그 결과를 제1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참고예 2(1)과 같이하여 얻은 기준필름의 한쪽면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하고 자성도료를 도포하였다. 또한 이 자성도료의 조성은 r-FeO3자성분말 45중량부, 염화비닐-초산비닐 혼성중합체(U. C.C사 제품 VAGH) 17중량부, 아크틸로니트릴-부타디엔 혼성중합체(니뽄 제온사 제품 N1432J) 3.5중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드(니뽄 폴리우레탄 제품 코로네이드 L) 1.5중량부, 메틸이소부틸케톤 50중량부, 톨루엔 50중량부, 카아본블랙 4중량부이다. 건조후의 자성층의 두께는 3㎛이었다. 이 테이프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 결과를 제1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참고예 2(2)와 동일하게 하여 얻은 기준필름의 양면에 코로나 방전처리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양면에 자성층을 설치하였다. 이 필름의 양면을 적당히 연마한 후 시판되는 5인치 플로피와 같은 크기로 잘라냈다. 다시 이 원반을 시판되는 플로피의 쟈켓에 넣고 플로피디스크를 만들었다.
자성층을 갖는 필름의 정마찰계수를 실시예 1과 같이 조절하였다. 또 만든 플로피를 사용하여 SAVE와 LCAD의 상태를 NEC PC-9801F를 사용하여 실온조건과 고온고습조건하에서 조절하였더니 모두 양호하였다.
그 결과를 제1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참고예 2(3)과 동일하게 하여 얻은 필름의 평활면폭에 자성층을 만든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 결과를 제1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참고예 2(4)과 동일하게 하여 얻은 필름의 평활면폭에 자성층을 만든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 결과를 제1표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참고예 2(5)와 동일하게 하여 얻은 필름의 한쪽면에 자성층을 만든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 결과를 제1표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참고예 2(6)과 동일하게 하여 얻은 필름의 한쪽면에 자성층을 만든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 결과를 제1표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참고예 2(7)과 동일하게 하여 얻은 필름의 한쪽면에 자성층을 만든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 결과를 제1표에 나타낸다.
[비교예 4]
폴리에틸렌테레프 탈레이트(PET)필름(데이진제품 테트론 NS12㎛)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 결과를 제1표에 나타낸다.
[제1표]
1) 0~90℃에서 측정
2) JIS B-0601에 준거, 차단값 0.08mm
3) ASTMD-1984에 준거
4) 정마찰계수 0.3~1.0를 양호로 하고 이상을 불량으로 한다.
5) 테이프의 경우 녹화하고 재생상황을 관찰하였다. 양호 : 화상이 흩어지지 않음. 불량 : 화상이 흩어짐. 고온, 고습 : 85℃, 75RH
[참고예 3](스티렌계중합체 연신필름의 제조)
(1) 참고예 1(1)과 같이하여 얻은 성형재료를 사용하여 직렬형 탠덤압출기의 선단에 T대를 설치한 장치로 330℃에서 용융압출하였다. 이때의 전단응력은 1.5×105dyne/cm2이었다. 이 용융압출한 시이트를 정전인하에 의하여 63℃의 냉각로울에 밀착시켜 냉각고화시켰다. 이때의 냉각속도는 평균 35℃/초로 130)㎛의 연신용 시이트를 얻었다. 이 시이트를 로울사이에서 각각 로울의 원주속도를 변화시켜 종방향으로 110℃, 연신속도 6,000/분으로 3배 연신하였다. 계속해서 횡방향으로 텐터를 사용하여 120℃, 연신속도 6,000%/분으로 3배 연신하였다. 다시 횡방향으로 텐터로 고정한채 종방향으로 130℃, 2,000/분으로 1.5배 재연신하였다. 이 필름을 텐터로 고정하여 약간 이완시켜 255℃에서 10초 열처리 하였다. 얻은 필름의 두께 12㎛이었다. 이 필름의 습도팽창계수를 20-80%의 범위에서, 또 팽창계수를 0℃-90℃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표면거침을 JIS B-0601에 준거하여 차단값 0.08mm로 또 정마찰계수를 ASTM D-1984B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얻은 필름의 열변형온도를 열역학분석(TMA)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열변형온도는 가장 높은 시험온도를 2%변화한 온도로 하였다. 얻은 필름의 성질을 제2표에 나타낸다.
(2) T대의 립 벌어진 정도를 4배로 하고 재연신배율을 1.3배로 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3(1)과 동일하게 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성질을 표에 나타낸다.
(3) 참고예 1(1) 및 참고예 1(2)의 결정화된 스티렌계중합체 펠릿을 사용하여 압출기의 선단에 T대를 설치한 장치로 330℃에서 용융혼성압출한 것이외에는 참고예 3(1)과 동일하게 하였다. 얻은 필름의 성질을 제2표에 나타낸다.
또한 이때 참고예 1(2)의 스티렌계중합체 펠릿을 50/150/400/150/50 메시를 넣은 주압출기의 직렬형 탠덤 단축압출기로 또 참고예 1(1)의 스티렌계중합체 펠릿을 복압출기로 용해압출하였다.
(4) 참고예 1(2)의 스티렌계중합체 펠릿을 사용하여 압출기내에 50/150/400/150/50 메시를 넣은 것 이외에는 참고예 3(1)과 동일하게 연신필름을 만들었다. 이 필름을 코로나 처리하였다.
다음에 일본국 특개평 1-95113호 공보에 실시예 1에서 얻은 신디오탁틱구조의 스티렌-디비닐벤젠 혼성중합체(디비닐벤젠단위 9.4몰%, 에틸벤젠단위 5.0몰%, 중량평균분자량 360,000)의 0.5wt% 클로로포름용액을 만들고, 이 용액에 스티렌-디비닐벤젠혼성중합체에 대하여 0.5wt%의 건식법 실리카(테그프사(주)제품 아에로딜 TT-600 : 1차 입자의 입자지름 40㎛인것)를 첨가하고 호모믹서-L형(토쿠슈기가 고오교 제품)을 사용하여 원통용기에서 균일하게 혼합하고 슬러치용액으로 하였다. 이 슬러리용액을 상기 필름에 바코우터로 도포하여 250℃에서 10초 건조하였다. 얻은 필름의 성질을 제2표에 나타낸다.
(5) 열처리를 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3(1)과 동일하게 하였다.
(6) 참고예 1(2)의 스티렌계중합체 재료보다 참고예 3(1)과 동일하게 하여 필름을 만들었다.
[실시예 6]
참고예 3(1)의 필름의 한쪽면에 코로나처리를 하고 그 면에 Co-Cr막(Cr 20wt%) 0.1㎛를 진공증착법으로 형성하였다. 이때의 기판온도는 250℃이었지만, 테이프의 컬(curl)등은 발견되지 않는다. 이 증착후의 테이프의 정마찰계수를 ASTM D-1984에 따라 측정한바 0.55로 양호한 미끄럼성을 나타내었다.
또 증착후의 보자력 HC를 진동시료형 자력계 VSM으로 자화특성곡선에서 구한바 900Ce이었다.
그 결과를 제2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참고예 3(1)의 필름의 한쪽면에 코로나처리를 하고 그 면에 자성도료를 도포하였다.
이 자성도료의 조성은 바륨페라이트(ferrite)자성분 100중량부, 염화비닐-초산비닐 혼성중합체(U. C. C사 제품 VAGH) 15중량부, 폴리우레탄 20중량부, 레시된 4중량부, 스테아르산 3중량부, 메틸이소부틸케론 100중량부, 메틸에틸케톤 100중량부, 시클로헥사논 10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3중량부로 하였다. 건조후의 자성층의 두께는 3㎛이었다. 이 자기테이프를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조절하였다.
그 결과를 제2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참고예 3(2)의 필름의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하고, 양면에 자성체를 설치하여 디그크형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 결과를 제2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9]
참고예 3(3)의 필름의 한쪽면에 코로나 처리를 하고, 그면에 Co-C막(0.21wt%) 0.8㎛를 형성하였다. 이 막의 형성은 Co의 증발에는 전자빔을 사용하고, O2가스를 도입하여 석출속도 약 900Å/sec로 하였다. 막내의 산소조성의 분석에는 EPMA를 사용하였다. 이 증착테이프를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조절하였다.
그 결과를 제2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참고예 3(4)의 필름을 사용하여 CoNi(Ni 0.1wt%)으로 Co-Ni-O 막(0.22wt%)을 형성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였다.
그 결과를 제2표에 나타낸다.
[비교예 5]
참고예 3(5)의 필름을 사용하여 기판온도를 10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 결과를 표에 나타낸다.
또한 기판 250℃에서의 자성중 형성은 필름의 수축, 컬에 의하여 곤란하였다.
그 결과를 제2표에 나타낸다.
[비교예 6]
참고예 3(6)의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에 6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 결과를 제2표에 나타낸다.
[비교예 7]
PET필름(데이딘제품 테트론 NS 12㎛)를 사용하여 기판온도 200℃에서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 결과를 표에 나타낸다.
또한 기판온도 250℃에서의 자성층 형성은 필름의 일부용융, 신장등에 의하여 곤란하였다.
그 결과를 제2표에 나타낸다.
[제2표]
1) 0~90℃에서 측정 2) JIS B-0601에 준거, 차단값 0.08mm
3) ASTMD-1984에 준거 4) 마찰계수 0.3~1.0 : 양호 1.0이상 : 불량
5) 진동시료형자력VSM으로 자화특성곡선에서 측정*6컬이 있으면 : 불량, 컬이 있으면 양호.
[참고예 4](스티렌계중합체 연신필름의 제조)
(1)참고예 1(1)과 같이하여 얻은 성형재료를 사용하여 직렬형 탠덤압출기의 선단에 T대를 설치한 장치로 330℃에서 용융압출하였다.
이때의 전단응력은 1.5×105dyne/cm2이었다.
이 용융압출한 시이트를 정전인하에 의하여 70℃의 냉각로울에 밀착시켜 냉각고화시켰다.
이때의 냉각속도는 평균 60℃/초로 110㎛의 연신용 시이트를 얻었다.
이 시이트를 로울사이에서 각각 로울의 원주속도를 변화시켜 종방향으로 110℃, 연신속도 6,000%/분으로 3배 연신하였다. 계속해서 횡방향으로 텐터를 사용하여 120℃, 연신속도 6,000%/분으로 3배 연신하였다. 다시 횡방향으로 텐터로 고정한채 종방향으로 130℃, 2,000%/분으로 1.5배 재연신하였다. 이 필름을 텐더로 고정하고 약간 이완시켜 255℃에서 10초 열처리하였다. 얻은 필름은 두께 8㎛이었다. 이 필름의 종방향(MD) 및 횡방향(TD)의 실온에서의 탄성율 및 종방향(MD)의 90℃에서의 탄성울을 측정하였다.
또 이 필름의 0-90℃ 선팽창계수를 열역학분석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표면거침을 JIS B-0601에 준거하여 차단값 0.08mm로 측정하였다. 얻은 필름의 성질을 제3표에 나타낸다.
(2) 필름의 종방향(MD)의 연신배율을 3.5배, 횡방향(TD)의 연신배율을 2.7배로 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4(1)과 동일하게 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성질을 제3표에 나타낸다.
(3) 참고예 1(1) 및 참고예 1(2)의 결정화된 스티렌계중합체 펠릿을 사용하여 압출기의 선단에 T대를 설치한 장치로 330℃에서 용융혼성압출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4(1)과 동일하게 하였다. 얻은 필름의 성질을 제3표에 나타낸다.
또한 이 때 참고예 1(2)의 스티렌계중합체 펠릿을 50/150/400/150/50 메시를 넣은 주압출기의 직렬형 탠덤단축압출기로, 또 참고예 1(1)의 스티렌계중합체 펠릿을 복압출기로 용융압출하였다.
(4) 참고예 1(2)의 스티렌계중합체 펠릿을 사용하여 압출기내에 50/150/400/150/50 메시를 넣은 것 이외에는 참고예 4(1)과 동일하게 연신필름을 만들었다. 이 필름을 코로나 처리하였다.
다음에 일본국 특 개평 1-95113호 공보의 실시예 1에서 얻은 신디오탁틱구조의 스티렌-디비닐벤젠 혼성중합체(디비닐벤젠단위 9.4몰%, 에틸렌벤젠단위 5.0몰%, 중량평균분자량 360,000)의 0.5wt% 클로로포름용액을 만들고, 이 용액에 스티렌-디비닐벤젠혼성중합체에 대하여 0.5wt%의 건식법 실리카(테그쯔사(주)제품 아에로딜 TT-600 : 1차 입자의 입자지름 40㎛인것)를 첨가하고 호모믹서-L형(토쿠슈기가 고오교 제품)을 사용하여 원통용기에서 균일하게 혼합하고 슬러리용액으로 하였다. 이 슬러리용액을 상기 필름에 바코우터로 도포하고 250℃에서 10초 건조하였다. 얻은 필름의 성질을 제3표에 나타낸다.
(5) 필름의 종방향(MD)의 연신배율을 2배, 횡방향(TD)의 연신배율을 2배로 하고 재종연신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참고예 4(1)과 동일하게 하였다.
얻은 필름의 성질을 제3표에 나타낸다.
(6) 필름의 종방향(MD)의 연신배율을 4배로 하고 횡연신 및 재종연신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참고예 4(1)과 동일하게 하였다.
얻은 필름의 성질을 제3표에 나타낸다.
(7) 필름의 종방향(MD)의 연신배율을 4배, 횡방향(TD)의 연신배율을 2배로 하고 재종연신을 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참고예 4(1)과 동일하게 하였다.
얻은 필름의 성질을 제3표에 나타낸다.
(8) 열처리를 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참고예 4(1)과 동일하게 하였다.
얻은 필름의 성질을 제3표에 나타낸다.
(9) 참고예 1(1)에서 실리카로 4㎛의 실리카(스이타구 가가꾸 고오교 제품 실튼 AMT-40)를 사용하여 스티렌중합체를 얻고 이하의 참고예 4(2)와 동이하게 하였다.
얻은 필름의 성질을 제3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참고예 4(1)에서 얻은 기본재료 필름의 한쪽면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하고 계속해서 Co 80중량%, Ni 20중량%로 된 표적을 만들고, 이 표적에 따라서 RF스퍼터법으로 약 3,000Å의 두께의 Co-Ni계의 자성박막을 형성하였다.
이때 표적과 필름 사이의 거리를 60mm, 양극전압 1.9kv, 양극전류 160mA, 아르곤압 1.1×10-2mmHg이었다.
이 테이프를 오디오테이프와 같은 폭으로 주의깊게 자르고 시판되는 카세트 테이프를 분해하여 테이프만을 대체하여 오디오카세트를 만들었다. 이 테이프의 미끄럼성을 ASTM D-1984에 따라 마찰계수에 의하여 평가한 바 0.55로 양호하였다.
또한 이 테이프로 녹음하고 카스테레오에 넣은 후 차내를 90℃로 유지하고 2시간 재생을 반복하여 음정변화를 검사하였지만, 거의 변화하지 않고 양호하였다.
또 이 테이프를 6kg/cm2의 하중하에 10℃/분의 속도로 실온에서 90℃로 온도를 높인 후의 변위를 열역학분석(TMA)으로 측정한 바 0.1%미만으로 양호하였다.
그 결과를 제3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12]
참고에 4(1)에서 얻은 기본재료필름의 한쪽면에 코로나방전 처리를 하고 그 위에 자성도료를 도포하였다.
또한 이 자성도료의 조성은 r-Fe2O3자성분말 45중량부, 염화비닐초산비닐혼성중합체(U. C. C사 제품 VAGH) 17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혼성중합체(니뽄 제온사 제품 N1432J) 3.5중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니뽄 폴리우레탄 제품 코로네이트 L) 1.5중량부, 메릴이소부틸케톤 50중량부, 톨루엔 50중량부, 카아본블랙 4중량부이다. 이 자성층의 건조후의 두께는 3㎛이었다. 이 테이프를 사용하여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 결과를 제3표에 나타낸다.
[실시에 13]
참고예 4(2)에서 얻은 필름의 한쪽면에 코로나처리를 하고 그 면에 진공증착법으로 두께 0.1㎛의 Co-Cr막(Cr 20wt%)를 형성시켰다. 이때의 기판온도의 250℃이었다.
그 결과를 제3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14]
참고예 4(3)의 필름의 평활면쪽에 코로나처리를 하고 그 면에 자성도료를 도포하였다. 이 자성도료의 조성은 바륨페라이트 자성분 100중량부, 염화비닐-초산비닐 혼성중합체(U. C. C사 제품 VAGH) 15중량부, 메틸이소부틸케톤 100중량부, 메틸에틸케톤 100중량부, 시클로헥사논 10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3중량부로 하였다. 건조후의 자성층의 두께는 3㎛이었다. 이 자성테이프를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조절하였다.
그 결과를 제3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15]
참고예 4(4)에서 얻은 필름의 평활면쪽에 자성층을 설치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 결과를 제3표에 나타낸다.
[비교예 8]
참고예 4(5)에서 얻은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 결과를 제3표에 나타낸다.
[비교예 9]
참고예 4(6)에서 얻은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 결과를 제3표에 나타낸다.
[비교예 10]
참고예 4(7)에서 얻은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 결과를 제3표에 나타낸다.
[비교예 11]
참고예 4(8)에서 얻은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 결과를 제3표에 나타낸다.
[비교예 12]
참고예 4(9)에서 얻은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 결과를 제3표에 나타낸다.
[비교예 13]
테이딘의 PET필름(테트론필름 6㎛)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 결과를 제3표에 나타낸다.
[제3표]
1) (RT)는 실온(90)은 90℃를 표시 2) 0~90℃에서 측정 3) JISB-0601에 준거, 차단값 0.08mm.
4) ASTM D-1984에 준거, 정마찰계수 0.3~1.0를 양호 1.0를 양호 1.0이상을 불량으로 하였다.
5) 녹음하고 재생상황을 90℃에서 2시간 자동차내에서 관찰하였다. 음정이 고른 것을 양호, 음정이 고르지 않은 것을 불량으로 하였다.
6) 6kg/cm2의 하중하에서 10℃/분의 속도로 실온에서 90℃로 온도를 높이고, 떨어뜨린 후의 변위를 열학적 분석(TMA)으로 측정하였다. 변위 0.1%미만을 양호, 변위 0.1%이상을 불량으로 하였다.
[참고예 5](스티렌계중합체 연신필름의 제조)
(1) 참고예 1(1)과 같이하여 얻은 성형재료를 사용하여 직렬형 탠덤압출기의 선단에 T대를 설치한 장치로 330℃에서 용융압출하였다. 이때의 전단응력은 1.5×105dyne/cm2이었다. 이 용융압출한 시이트를 정전인하에 의하여 63℃의 냉각로울에 밀착시켜 냉각고화시켰다.
이때의 냉각속도는 평균 70℃/초로, 1,500㎛의 연신용 시이트를 얻었다. 이 시이트를 로울사이에서 각각 로울의 원주속도를 변화시켜 종방향으로 110℃, 연신속도 6,000%/분으로 3배 연신하였다.
이 때 복굴절의 절대값 |△η|은 35×10-3이었다. 계속해서 횡방향으로 텐터를 사용하여 120℃, 연신속도 6,000%/분으로 3배 연신하였다.
다시 횡방향으로 텐터로 고정한 채, 종횡 동시에 130℃, 2,000%/분으로 각각의 방향으로 1.5배 재연신하였다.
이 필름을 텐터에 고정하고 약간 이완시켜 255℃에서 10초 열처리하였다. 얻은 필름은 두께 75㎛이었다. 이 필름의 복굴절의 절대값 |△η|은 14×10-3이었다.
또 이 필름의 0-90℃의 선팽창계수를 열역학분석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표면거침 JIS B-0601에 열거하여 차단값 0.08mm에서 측정하였다. 측정한 필름의 성질을 제4표에 나타낸다.
(2) 참고예 1(1) 및 참고예 1(2)의 결정화된 스티렌계중합체 펠릿을 사용하여 압출기의 선단에 T대를 설치한 장치로 330℃에서 2종 3층의 용융혼성압출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5(1)과 동일하게 하였다. 얻은 필름의 성질을 제4표에 나타낸다.
또한 이때 참고예 1(2)의 스티렌계중합체 펠릿을 50/150/400/150/50 메시를 넣은 주압출기의 직렬형 탠덤단축압출기에서 또 참고예 1(1)의 스티렌계중합체 펠릿을 복압출기에서 용융압출하고, 참고예 1(1)의 중합체/참고예 1(2)의 중합체/참고예 1(1)의 중합체의 구성으로 하였다.
이 필름의 복굴절의 절대값 |△η|은 10×10-3이었다.
(3) 참고예 1(2)의 스티렌계중합체 펠릿을 사용하여, 압출기내에 50/150/400/150/50메시를 넣은 것 이외에는 참고예 5(1)과 동일하게 연신필름을 만들었다.
이 필름의 복굴절의 절대값 |△η|은 9×10-3이었다. 이 필름의 양면을 코로나 처리하였다.
다음에 일본국 특개평 1-95113호 공보의 실시예 1에서 얻은 신디오탁틱구조의 스티렌-디비닐벤젠혼성종합체(디비닐벤젠단위 9.4몰%, 에틸벤젠단위 5.0몰%, 중량평균분자량 360,000)의 0.5wt% 클로로포름용액을 만들고 이 용액에 스티렌-디비닐벤젠혼성중합체에 대하여 0.5wt%의 건식법 실리카(테그쓰사(주)제품 아에로딜 TT-600 : 1차 입자의 입자지름 40㎛인것)를 첨가하고 호모믹서-L형(토쿠슈기가 고오교 제품)을 사용하여 원통용기에서 균일하게 혼합하고 슬러리용액으로 하였다.
이 슬러리용액을 상기 필름의 양면에 바코우터로 도포하고 250℃에서 10초 건조하였다. 얻은 필름의 성질을 제4표에 나타낸다.
(4) 열처리를 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참고예 5(1)과 동일하게 하였다. 이 필름의 복굴절의 절대값 |△η|은 18×10-3이었다. 얻은 필름의 성질을 제4표에 나타낸다.
(5) 재연신을 종방향(MD)만 2배로 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5(1)과 동일하게 하였다. 이 필름의 복굴절의 절대값 |△η|은 53×10-3이었다. 얻은 필름의 성질을 제4표에 나타낸다.
(6) 참고예 1(1)에서 무기입자로 평균입자지름 4㎛의 실리카(스이타구 가가꾸 고오교 제품 실튼 AMT-40)를 사용하여 스티렌계중합체를 얻고, 이하의 참고예 5(1)과 동일하게 하였다. 이 필름의 복굴절의 절대값 |△η|은 8×10-3이었다. 얻은 필름의 성질을 제4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16]
참고예 2(1)에서 얻은 기본재료필름의 양면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하고 자성도료를 도포하였다. 또한 이 자성도료의 조성은 r-Fe2O3자성분말 45중량부, 염화비닐-초산비닐 혼성중합체(U.C.C제품, VAGH) 17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혼성중합체(니뽄 제온사 제품, N1423J) 3.5중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니뽄 폴리우레탄 제품, 코로네이트 L) 1.5중량부, 메틸이소부틸케톤 50중량부, 톨루엔 50중량부, 카아본블랙 4중량부이다.
건조후의 자성층의 두께는 양면으로 3㎛이었다. 다음에, 이 필름의 양면을 적당히 연마하고 시판되는 5인치 플로피디스크와 같은 크기로 잘라냈다.
이 원반을 시판되는 플로피디스크의 쟈켓에 넣고 플로피, 디스크를 만들었다. 이 플로피에 NEC FC-9801F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입력하였다. 그후 80℃, 70% RH(상대습도)하에서 50시간 방치하였다. 이것을 원상태로 한 후, 프로그램의 LOAD 및 RUN을 한 바 양호한 상태였다.
이것으로부터 고온고습하에서의 칫수변화가 어느 방향으로도 아주 작고 균형이 양호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 계속 되풀이 하여 100회 LOAD 및 RUN을 하였지만, 이상없이 미끄럼성, 주행성이 양호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 결과를 제4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17]
참고예 5(1)에서 얻은 필름의 양면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하고 계속해서 Co 80중량%, Ni 20중량%로 된 표적을 만들고, 이 표적에 따라서 RF 스퍼터법으로 두께가 약 3,000Å인 Co-Ni 자성박막을 성형한 후 전해질을 포함한 용액중에서 양극산화하고 표면에 부동상태를 형성시켰다.
스퍼터링의 조건으로 표적과 필름사이의 거리는 60mm, 양극전압 1.9kv, 양극전류 160mA, 아트곤압 1.1×10-2mmHg이었다. 이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 결과를 제4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18]
참고예 5(2)에서 얻은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 결과를 제4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19]
참고예 5(3)에서 얻은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 결과를 제4표에 나타낸다.
[비교예 14]
참고예 5(4)에서 얻은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 결과를 제4표에 나타낸다.
[비교예 15]
참고예 5(5)에서 얻은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 결과를 제4표에 나타낸다.
[비교예 16]
참고예 5(6)에서 얻은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 결과를 제4표에 나타낸다.
[비교예 17]
PET필름(레이딘제품, 테트론 V, 75㎛)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 결과를 제4표에 나타낸다.
[제4표]
1) JIS B-0610에 준거, 차단값 0.08mm
2) 100회 반복사용시의 상태 양호 : LOAD가 부드럽다 불량 : 2회이상 디스크드라이브에 넘는 것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3) 80℃, 70%RH, 50시간후의
칫수변화 양호 : 어떤 방향에서도 0.1%미만의 변형 불량 : 어떤 방향이 0.1%이상 변형
재생상태 양호 : 프로그램의 LOAD가 양호, 불량 : 프로그램의 LOAD가 불량
[실시예 20]
참고예 1(1)에서 얻은 스티렌계중합체를 충분히 감압건조한 것 100중량부에 대하여 형광표백제(이스트만사 제품, OB-1) 0.03중량부 및 평균입자지름 0.9㎛의 미립자상 탄산칼슘(천연품, 스테아르산 표면처리) 12중량부를 슈우퍼믹서로 1분간 혼합하고, 2축 압출기의 선단에 모세관대를 설치한 장치로 압출하고 잘라 펠릿으로 하였다.
이 펠릿을 120℃의 건조 열풍하에서 교반하였다. 이 펠릿을 1축 압출기의 선단에 T대를 설치한 장치로 320℃에서 압출하였다. 압출한 용융시이트를 터치로울의 냉각 금속로울로 감았다. 이 금속로울의 온도는 70℃에서 평균냉각속도는 약 50℃ 1초이었다.
얻은 두께는 1,000㎛의 예비성형물을 115℃에서 가열하면서 원주속도가 다른 닙(nip)로울 사이에서 3배 연신하였다. 이때의 연신속도는 6,000%/분이었다.
계속해서 이 필름을 텐터를 사용하여 120℃, 3,000%/분으로 3배 연신하고 계속 긴장하에서 250℃, 20초 동안 열처리하였다. 이 필름의 두께는 120㎛이었고, JIS L-1074에 따라 측정한 백색도는 85이었다.
또 열역학분석에 의하여 측정한 0-90℃의 선팽창계수는 5×10-5/℃이고, 200℃, 30분후의 열수축율은 0.5%이었다. 또 탄성율은 45,000kg/cm2이었다. 이와 같이하여 얻은 기본재료필름의 한쪽면에 코로나방전처리를 하고 자성도료를 도포하였다. 또한 이 자성도료의 조성은 x-Fe2O3자성분말 45중량부, 염화비닐-초산비닐 혼성중합체(U. C. C사 제품, VAGH) 17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혼성중합체(니뽄 제온사 제품, N 1432 J) 3.5중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니뽄 폴리우레탄사 제품, 코로네이트 L) 1.5중량부, 메틸이소부틸케톤 50중량부, 톨루엔 50중량부, 카아본블랙 4중량부이었다.
건조후의 자성층의 두께는 3㎛이었다. 이 자성층의 반대면에 그림을 인쇄하고 정보의 입출력을 시험한 바 양호하였다. 또 표면이 번쩍이지 않고 인쇄면은 선명하고 바람직한 외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카아드의 탄력성은 충분하고, 0-100℃의 온도변화에 있어서도 그 외관,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 결과를 제5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21]
백색부기입자로 평균입자지름 0.2㎛의 산화티탄(타이페크 A-100)을 42중량부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0과 동일하게 하여 자기카아드를 얻었다. 이 카아드의 탄성율은 52,000kg/cm2이었다.
그 결과를 제5표에 나타낸다.
[비교예 18]
백색무기입자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0과 동일하게 하였다. 얻은 자기카아드는 성능성 실시예 20과 동일하였지만 미끄럼성이 나쁘고, 계속 반복하여 사용하면 일부 인쇄가 없어진다. 또 외관은 번쩍거리고 손의 촉감도 나쁘며 들러불어 바람직한 외관은 되지 않았다.
그 결과를 제5표에 나타낸다.
[비교예 19]
백색무기입자를 70중량% 함유시킨 실시에 20과 동일하게 시험한 바 연신주에 절단되어 기본재료필름이 얻어지지 않았다.
[비교예 20]
TiO2를 30중량% 함유한 두께 100㎛의 염화비닐필름을 얻고, 이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20과 동일하게 하였다. 얻은 자기카아드는 내열성, 칫수 안정성이 불충분하였다.
그 결과를 제5표에 나타낸다.
[비교예 21]
35℃의 0-클로로페놀용액에서 측정한 고유정도 0.61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0과 동일하게 하였다.
얻은 자기카아드는 내열성, 외관이 불량하며, 특히 표면이 번쩍거려 미관상 좋지 않았다.
또 이 카아드의 탄성율은 40,000kg/cm2이었다.
그 결과를 제5표에 나타낸다.
[제5표]
1) SPS : 신디오탁틱구조의 폴리스티렌
염비 : 폴리염화비닐
PET : 폴리에틸렌테레프 탈레이트
2) 열역학분석에 의하여 0-90℃를 측정
3) JIS L-1074에 따라 측정, 비교예 1은 무색투명
4) 200℃, 30분의 열수축을 측정, 0.5%이내 : 양호, 0.5-2% : 가, 2%이상 : 불량
5) 양호 : 인쇄시의 색이 선명하고 번쩍이지 않으며 손에 들어붙지 않는다.
불량 : 상기 어떤것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6) PET를 기준으로 휘는 것을 비교
시판되는 전화카아드와 같이 크게 자르고, 짧은 부분을 겹친 모양으로 그 간격이 30mm까지 U자형으로 구부려 되돌릴때의 카아드의 구부러지는 성질을 관찰, 양호 : 휜정도가 2mm 이하인 것, 불량 : 휜정도가 2mm이상인 것.
상기와 같이 얻어진 본 발명의 자기기록매체는 미끄럼성 및 평활성이 우수하며, 또 높은 내열성, 내습성을 갖고 온도, 습도에 대하여 칫수안정성도 우수한 것으로 보자성이 양호하여 고밀도화가 가능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자기테이프는 상기의 특성에 더불어 고온에서의 칫수안정성이 양호하고 90℃에서의 고온하에서 사용해도 테이프의 늘어남이 없이 양호한 재생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기디크스는 상기의 특성에 더불어 가소성을 가지며, 고온, 고습하에서의 칫수변화가 작고 게다가 어떤방향으로도 칫수변화의 균형이 잡혀 있다.
또 표면의 활성이 매우 양호하다. 또 본 발명의 자기카아드는 상기의 특성에 더불어 충분한 백색도를 가지며, 외관이 우수한 탄력성이 강한 카아드이고 장기간 사용해도 견딜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기기록매체는 각종의 자기테이프, 자기디스크, 자기드럼, 자기카아드등에 폭넓게 적용되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자기테이프는 카스테레오등의 차 탑재용의 오디오기기나 비디오기기등에 사용하는 내열성 자기테이프로서, 자기디스크는 플로피디스크등의 가요성 자기디스크로서 또 자기카아드는 프리페이드카아드(prepaid card), 티켓, 카아드키등의 각종 각양의 자기카아드로서 유효하게 이용된다.

Claims (8)

  1. 고도의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중합체 또는 그 조성물의 연신필름 또는 그 연신필름을 포함하는 적층필름이며, 선팽창계수가 5×10-5/℃ 이하 및 정마찰계수가 0.3~1.0인 기본재료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자성층을 갖는 자기기록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기본재료필름의 열변형온도가 230℃ 이상이고, 또한 적어도 한쪽면의 표면거침 Ra가 0.001~0.02㎛인 기본재료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자성층을 갖는 자기기록매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신필름이 무기미립자를 함유하는 고도의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중합체 조성물로 된 자기기록매체.
  4. 고도의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중합체 또는 그 조성물의 연신필름 또는 그 연신필름을 포함하는 적층필름이며, 실온에서의 종방향(MD) 및 횡방향(TD)의 탄성율이 각각 30,000kg/cm2이상, 그비(MD/TD)가 0.8이상, 90℃에서의 종방향(MD)의 탄성율이 10,000kg/cm2이상, 0-90℃의 선팽창계수가 5×10-5/℃이하, 표면거침 Ra가 0.001-0.003인 기본재료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자성층을 갖춘 내열성 자기테이프.
  5. 제4항에 있어서, 연신필름이 무기미립자를 함유하는 고도의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중합체 조성물로된 자기테이프.
  6. 고도의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중합체 또는 그 조성물의 연신필름 또는 그 연신필름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이며, 종방향(MD)의 선팽창계수(αMD) 및 횡방향(TD)의 선팽창계수(αTD)가 5×10-5/℃이하이고, 또한 그 비(αMD/ αTD)가 0.3-3이며, 표면거침 Ra가 0.001-0.03㎛인 두께 20-200㎛의 기본재료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자성층을 갖춘 자기디스크.
  7. 제6항에 있어서, 연신필름이 무기미립자를 함유하는 고도의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중합체 조성물로된 자기디스크.
  8. 고도의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중합체 40-99중량% 및 백색무기입자 60-1중량%로된 조성물의 필름 또는 그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필름이며, 선팽창계수 7×10-5/℃이하, 백색도 75이상, 두께 50-1,000㎛인 기본재료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자성층을 갖는 자기카아드.
KR1019910700426A 1989-08-31 1991-04-29 자기기록매체 KR9600054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318489A JP2866673B2 (ja) 1989-08-31 1989-08-31 磁気記録媒体
JP1223185A JPH0386707A (ja) 1989-08-31 1989-08-31 高密度磁気記録媒体
JP223185/1989 1989-08-31
JP223184/1989 1989-08-31
JP1227560A JPH0391548A (ja) 1989-09-04 1989-09-04 耐熱性磁気テープ
JP227560/1989 1989-09-04
JP231510/1989 1989-09-08
JP1231510A JP2840318B2 (ja) 1989-09-08 1989-09-08 磁気カード
JP1245225A JPH03109454A (ja) 1989-09-22 1989-09-22 磁気ディスク
JP245225/1989 1989-09-22
PCT/JP1990/001104 WO1991003810A1 (en) 1989-08-31 1990-08-30 Magnetic recording mediu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1944A KR920701944A (ko) 1992-08-12
KR960005449B1 true KR960005449B1 (ko) 1996-04-25

Family

ID=27529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0426A KR960005449B1 (ko) 1989-08-31 1991-04-29 자기기록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374462A (ko)
EP (2) EP0440817B1 (ko)
KR (1) KR960005449B1 (ko)
AT (2) ATE140334T1 (ko)
CA (1) CA2039161A1 (ko)
DE (2) DE69027763T2 (ko)
WO (1) WO19910038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1951A (en) * 1987-09-14 1999-04-06 Idemitsu Kosan Co., Ltd. Styrene-based resin composition
US5395890A (en) * 1987-09-14 1995-03-07 Idemitsu Kosan Co., Ltd. Styrene-based resin composition
US6013726A (en) * 1987-04-12 2000-01-11 Idemitsu Kosan Co., Ltd. Composition of styrene resin, thermoplastic resin and rubber
US6087435A (en) * 1987-09-14 2000-07-11 Idemitsu Kosan Co., Ltd. Composition of styrene resin, thermoplastic resin and rubber particles
US6093768A (en) * 1987-09-14 2000-07-25 Idemitsu Kosan Co., Ltd. Syndiotactic styrene resin, thermoplastic resin and rubber
US6008293A (en) * 1987-09-14 1999-12-28 Idemitsu Kosan Co., Ltd. Syndiotactic polystyrene an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s
US6046275A (en) * 1987-09-14 2000-04-04 Idemitsu Kosan Co., Ltd. Styrene resin with rubber polymer particles
JP3368064B2 (ja) * 1994-08-19 2003-01-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気記録媒体
WO1998054236A1 (en) * 1997-05-30 1998-12-03 The Dow Chemical Company Films made from long chain branched syndiotactic vinyl aromatic polymers
WO1999029488A1 (fr) * 1997-12-11 1999-06-17 Teijin Limited Feuil de polyester a orientation biaxiale pour supports d'enregistrement magnetique
WO2000021731A1 (fr) * 1998-10-09 2000-04-20 Teijin Limited Film de polyester oriente biaxialement et disque souple
KR100755089B1 (ko) 1999-02-12 2007-09-03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저장 매체, 기판 제조 방법, 데이터 검색 방법, 엠보싱 방법 및 데이터 저장 매체 형성 방법
US7179551B2 (en) * 1999-02-12 2007-02-20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arylene ether) data storage media
EP1712592B1 (en) * 2004-01-29 2009-10-07 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Biaxially oriented fil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800122A (nl) * 1978-01-05 1979-07-09 Philips Nv Magnetische registratieband en drager voor een magnetische registratieband.
JPS5868223A (ja) * 1981-09-17 1983-04-23 Toray Ind Inc 磁気記録媒体
JPS59195319A (ja) * 1983-04-20 1984-11-06 Toray Ind Inc 磁気記録媒体
JPS59203228A (ja) * 1983-04-30 1984-11-17 Victor Co Of Japan Ltd 磁気記録媒体
JPS6015436A (ja) * 1983-07-08 1985-01-26 Mitsubishi Chem Ind Ltd 磁気記録体用ポリイミドフイルム
JPS61246920A (ja) * 1985-04-24 1986-11-04 Unitika Ltd 磁気デイスク
US4680211A (en) * 1985-07-25 1987-07-14 The Dow Chemical Company Recording disks
JPS62187708A (ja) * 1985-11-11 1987-08-17 Idemitsu Kosan Co Ltd スチレン系重合体の製造法
US4963402A (en) * 1987-08-21 1990-10-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ilms containing liquid crystalline polymers
JPH0832748B2 (ja) 1987-10-08 1996-03-29 出光興産株式会社 架橋化スチレン系共重合体とその製造法
JP2698085B2 (ja) 1988-01-19 1998-01-19 出光興産株式会社 スチレン系重合体の製造方法とその触媒
US5004649A (en) * 1988-04-13 1991-04-02 Idemitsu Kosan Co., Ltd. Resin laminates and a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2523846B2 (ja) * 1989-01-31 1996-08-14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39161A1 (en) 1991-03-01
KR920701944A (ko) 1992-08-12
EP0440817A4 (en) 1992-02-05
EP0682340B1 (en) 1999-01-27
DE69027763D1 (de) 1996-08-14
DE69032926T2 (de) 1999-06-10
ATE176354T1 (de) 1999-02-15
WO1991003810A1 (en) 1991-03-21
EP0440817B1 (en) 1996-07-10
DE69032926D1 (de) 1999-03-11
EP0440817A1 (en) 1991-08-14
EP0682340A1 (en) 1995-11-15
DE69027763T2 (de) 1997-04-17
ATE140334T1 (de) 1996-07-15
US5374462A (en) 1994-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89080B2 (ja) 磁気記録媒体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US4876137A (en) Polyethylene naphthalate film for high-density magnetic recording media of floppy disk
KR960005449B1 (ko) 자기기록매체
US4732799A (en) Polyethylene naphthalate film
JPH02214657A (ja) 積層二軸配向フイルム
JP2866673B2 (ja) 磁気記録媒体
JP2650928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US5431976A (en) Laminated polyester film and magnetic recording medium using it as base film
JP6701666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磁気記録媒体
JP2840318B2 (ja) 磁気カード
US10589497B2 (en)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JPH03109454A (ja) 磁気ディスク
CA2072777A1 (en) High-density magnetic recording medium
JP2953060B2 (ja) 高密度磁気記録媒体
US5510192A (en) Polyethylene naphthalate multilayered film for high density magnetic recording medium
JP3413906B2 (ja) 磁気記録媒体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391548A (ja) 耐熱性磁気テープ
JP3068320B2 (ja) 磁気記録媒体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0386707A (ja) 高密度磁気記録媒体
JPH07249218A (ja) 磁気記録媒体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681791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2004130594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051263B2 (ja) 磁気記録媒体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KR100291275B1 (ko) 자기 기록 매체용 필름
JPH0760926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