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209A - 광디스크용 광픽업의 위상보정 박막설계방법 - Google Patents

광디스크용 광픽업의 위상보정 박막설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209A
KR960002209A KR1019940015639A KR19940015639A KR960002209A KR 960002209 A KR960002209 A KR 960002209A KR 1019940015639 A KR1019940015639 A KR 1019940015639A KR 19940015639 A KR19940015639 A KR 19940015639A KR 960002209 A KR960002209 A KR 960002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active index
thin film
optical
phase correction
optical pick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5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31372B1 (ko
Inventor
최철재
Original Assignee
김주용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용,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주용
Priority to KR1019940015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372B1/ko
Publication of KR960002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3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65Separate or integrated refractive elements, e.g. wave pla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6Double or multiple prisms, i.e. having two or more prisms in co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22Apparatus or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optical heads, e.g. assemb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자기디스크를 이용하는 광디스크의 광픽업의 구성요소중 롬보이드 프리즘의 전반사면에 P파와 S파가 전반사될때 두파의 위상차이를 없애도록 하는 광디스크용 광픽업의 위상보정 박막설계방법에 관한 것으로, 롬보이드 프리즘(4)의 전반사면(a)에서 레이저빔이 전반사될 때 P파와 S파의 위상차를 제거하기 위해 전반사면의 박막구성을 고줄절룰 물질과 저굴절률 물질을 교대로 적층하여 십층이상의 코팅을 하면 제작시간이 총수애 비례하여 길어지며 또한 제작시 불량이 날 확률도 높아지게 되므로 제작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과, 또한 롬보이드프리즘(4)이 전반사면(a)에 위상보정코팅을 하지 않을 경우 프리마스크된 미니디스크는 읽을 수 있으나 재기록 가능한 광자기 디스크는 읽을 수가 없게 되어 모든 미니디스크용 광픽업에 적용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본 발명에서는 롬보이드프리즘(4)의 전반사면(a)에 상대적으로 굴절율이 높은 물질(H)과 낮은 물질(L)을 고-저-고 순으로 3층 코팅하여 레이저빔이 롬보이드프리즘(4)의 전반사면(a)에서 전반사될때, P파와 S파의 위상차이를 약 10도 미만으로 제거하도록 하여 프리마스크 디스크 및 광자기 디스크를 읽을 수 있도록 하고, 3층 박막에 의해 원하는 파장영역에 위상차를 제거할 수 있음으로 해서 제작시간 및 불량률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광디스크용 광픽업의 위상보정 박막설계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2도는 본 발명 위상보정박막의 확대 단면도.

Claims (11)

  1. 광자기디스크를 이용하는 광디스크의 광픽업에서 디스크(7)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정보를 읽기 위해 롬보이드프리즘(4)의 전반사면(a)에서 빔을 전반사시킬때 생기는 P파와 S파의 위상차를 줄이기 위해 롬보이드프리즘(4)의 전반사면(a)에 위상보정박막을 설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롬보이드프리즘(4)의 전반사면(a)에 굴절율이 상대적으로 고굴절율(nH)이고 저굴절율(nL)인 물질을 고(H)-저(L)-고(H) 순으로 3층 코팅하고, 설계파장(λ0)에 따라 각각의 매질의 광학적 두께(x,y,z)를 설정하여 레이저빔이 롬보이드프리즘(4)의 전반사면(a)에서 전반사될시에 생성되는 P파와 S파의 위상차를 10도 미만으로 줄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용 광픽업의 위사보정 박막설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파장(λ0)을 실제파장(λ)의 (1.032±0.02)배로 하고, 첫번째층의 광학적 두께(x)는 H(0.25λ0), 두번째층의 광학적 두께(y)는 L(0.25λ0), 세번째층의 광학적 두께(z)는 첫번째층의 광학적 두께(x)의 (2.8±0.1)배로 하여 박막을 코팅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용 광픽업의 위상보정 박막설계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파장(λ)이 780nm일때, 고구절율물질을 굴절율(nH)이 2.3인 ZnS를 사용하고, 저굴절율물질을 굴절율(nL)이 1.38인 MgF2를 사용하여 박막을 3층으로 코팅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용 광픽업의 위상보정 박막설계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파장(λ)이 780nm일때, 고구절율물질을 굴절율(nH)이 2.3인 ZnS를 사용하고, 저굴절율물질을 굴절율(nL)이 1.35인 Cryolite를 사용하여 박막을 3층으로 코팅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용 광픽업의 위상보정 박막설계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파장(λ)이 650nm일때, 고구절율물질을 굴절율(nH)이 2.3인 ZnS를 사용하고, 저굴절율물질을 굴절율(nL)이 1.38인 MgF2를 사용하여 박막을 3층으로 코팅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용 광픽업의 위상보정 박막설계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파장(λ)이 650nm일때, 고구절율물질을 굴절율(nH)이 2.3인 ZnS를 사용하고, 저굴절율물질을 굴절율(nL)이 1.35인 Cryolite를 사용하여 박막을 3층으로 코팅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용 광픽업의 위상보정 박막설계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파장(λ0)을 실제파장(λ)과 같게 하고, 첫번째층의 광학적 두께(x)는 H(0.25λ0), 두번째층의 광학적 두께(y)는 (1.2±0.2)*L, 세번째층의 광학적 두께(z)는 첫번째층의 광학적두께의 (2.8±0.1)배로 하여 박막을 코팅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용 광픽업의 위상보정 박막설계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파장(λ)이 780nm일때, 고구절율물질을 굴절율(nH)이 2.3인 ZnS를 사용하고, 저굴절율물질을 굴절율(nL)이 1.38인 MgF2를 사용하여 박막을 3층으로 코팅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용 광픽업의 위상보정 박막설계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파장(λ)이 780nm일때, 고구절율물질을 굴절율(nH)이 2.3인 ZnS를 사용하고, 저굴절율물질을 굴절율(nL)이 1.35인 Cryolite를 사용하여 박막을 3층으로 코팅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용 광픽업의 위상보정 박막설계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파장(λ)이 650nm일때, 고구절율물질을 굴절율(nH)이 2.3인 ZnS를 사용하고, 저굴절율물질을 굴절율(nL)이 1.38인 MgF2를 사용하여 박막을 3층으로 코팅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용 광픽업의 위상보정 박막설계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파장(λ)이 650nm일때, 고구절율물질을 굴절율(nH)이 2.3인 ZnS를 사용하고, 저굴절율물질을 굴절율(nL)이 1.35인 Cryolite를 사용하여 박막을 3층으로 코팅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용 광픽업의 위상보정 박막설계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40015639A 1994-06-30 1994-06-30 광디스크용 광픽업의 위상보정 박막설계방법 KR0131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5639A KR0131372B1 (ko) 1994-06-30 1994-06-30 광디스크용 광픽업의 위상보정 박막설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5639A KR0131372B1 (ko) 1994-06-30 1994-06-30 광디스크용 광픽업의 위상보정 박막설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209A true KR960002209A (ko) 1996-01-26
KR0131372B1 KR0131372B1 (ko) 1998-04-18

Family

ID=19387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5639A KR0131372B1 (ko) 1994-06-30 1994-06-30 광디스크용 광픽업의 위상보정 박막설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37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1372B1 (ko) 199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6970A (en) Multi-layer optical recording medium
KR960015455A (ko) 광학 정보 기록 매체
NL1001413C2 (nl) Optisch meerlaagsregistratiemedium.
JPH0714221A (ja) 光記録媒体の製造方法
KR960002209A (ko) 광디스크용 광픽업의 위상보정 박막설계방법
JP3287860B2 (ja) 光学的情報記録方法と記録媒体
EP0762408B1 (en) Multi-layer optical disk
JPH08315425A (ja) 光情報記録媒体
JPH09320115A (ja) 光ディスク
JPH02289933A (ja) 光情報記録媒体
JPH0721584A (ja) 光情報記録媒体
JPH01273240A (ja) 光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H02113453A (ja) 光ディスク
JPH02201748A (ja) 光記録媒体
JPH0337841A (ja) 光ディスク
JPH03240589A (ja) 光情報記録媒体
JP3082380B2 (ja) 書き換え可能な光情報記録媒体
JPH04349241A (ja) 追記形光記録媒体
JPS6228943A (ja) 情報記録媒体
JPH05234129A (ja) 光記録媒体
JPS62137742A (ja) 情報記録用デイスク
JP2002260275A (ja) 光情報記録媒体
JPH0589531A (ja) 光学式記録媒体用マスター盤
JPH09245375A (ja) 光ディスク
JPH03133689A (ja) 光ディ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