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121B1 - 고정제강 띠 산세척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고정제강 띠 산세척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121B1
KR960002121B1 KR1019890016497A KR890016497A KR960002121B1 KR 960002121 B1 KR960002121 B1 KR 960002121B1 KR 1019890016497 A KR1019890016497 A KR 1019890016497A KR 890016497 A KR890016497 A KR 890016497A KR 960002121 B1 KR960002121 B1 KR 960002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ling
steel strip
fixed steel
strip
spi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6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064A (ko
Inventor
마레쉬 게랄드
호프키르히너 빌헬름
마르 에리히
Original Assignee
마쉬넨파브리크 안드리츠 악티엔게젤샤프트
폴커 패터슨·헤르베르트 그라벤호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쉬넨파브리크 안드리츠 악티엔게젤샤프트, 폴커 패터슨·헤르베르트 그라벤호프 filed Critical 마쉬넨파브리크 안드리츠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900008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23G1/02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cid solutions
    • C23G1/08Iron or stee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3/00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 C23G3/02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23G1/02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cid solutions
    • C23G1/08Iron or steel
    • C23G1/086Iron or steel solutions containing H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eaning And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Chemical Methods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정제강 띠 산세척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가장 중요한 설비를 포함하는 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산세척부의 말단과 그 다음의 산세척부의 선단 사이의 구역에서의 장치의 종단면도.
제3도는 세척기를 포함하는 두 산세척통의 종단면도.
제4도는 역류 헹굼장치의 종단면도.
제5도는 산세척통 바닥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풀기방추 2 : 교정기계
3 : 연마가공기 4 : 산세척통
5,5' : 세척기 6 : 산세척부
7 : 역류 헹굼장치 8 : 건조기
9 : 되감기 방추 10 : 밀기(pusher)수단
14 : 띠 15 : 고무롤
16 : 덮개 19,24,27,28,29 : 통로
20,20' : 헹굼장치 21 : 하부분산관
22 : 상부분산관 25 : 지지롤
26 : 브러시롤
본 발명은 강으로된 띠의 산세척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는, 연속되는 어닐링(annealing) 및 산세척장치에서 고온 및 저온 띠가 처리된다. 이 방법에서는, 코일형태의 벨트가 풀림방추에서 풀리고 용접기에서 이전의 코일의 단부에 연결된다. 장치 내에서 정지됨을 막고 그 결과로서 생기는 이전의 벨트의 지나친 산세척을 막기 위해, 정지되어 있는 동안 풀림부분에서 띠 저장수단으로부터 띠가 회수된다. 진입되는 띠가 먼저 어닐링오븐(annealing oven)에서 어닐링처리가 되고 공기와 물에 의해 냉각된 후 산세척장치 내에서 녹이 제거된다. 고온 또는 저온 띠를 산세척하는 여러방법들이 산업분야에서 통용되어 왔으나, 그중 가장 좋은 방법은 혼합된 산으로 후처리를 하기전에 중성 전해액으로 산세척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말하는 혼합된 산은 질산 및 불화수소산의 혼합물을 일컫는다. 세척후 띠는 건조되고 되감긴다. 이 방법에 의해 용접 접합부가 절단되고 장치에 진입될 때와 같은 동일한 코일로 다시 한번 형성된다. 이 방법을 사용할 경우 대형공간이 요구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큰 설비투자와 노동력이 소요되는 등의 결점이 발생한다.
다른 산세척 방법을 사용할 때와 비교해보면, 특히 장치를 통과하는 띠의 통로와 관련하여, 종래의 재료는 띠에 손상을 일으킨다는 일반적인 기술상의 그릇된 견해가 존재하다. 특히 산세척통의 내벽이 띠를 긁거나 그와 유사한 손상을 입힌다는 염려가 있었으며 고정체 강 띠를 산세척할 경우 특히 더했다.
한편, 산세척 장치의 내벽을, 기계적인 마모와 해짐뿐만 아니라 처리 화학약품에 의한 화학적인 손상에 견딜 수 있는 재료로 대는 것이 요구된다. 브릭이나 세라믹으로 기계적인 내벽을 형성할 경우 화학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손 치더라도 빈번히 산척된 제품의 표면이 손상을 입게 되거나 기계적인 마모나 해짐 등에 잘 견디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결점을 해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세척된 제품에 대한 피해위험이 최소화되는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 장점 및 특징들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명료하게 나타난다.
본 발명의 한가지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정제강 띠가 코일 형태로 산세척 장치에 이송되고, 상기 코일을 풀기 방추로 풀고, 처리장치의 단부에서 되감기 방추 또는 횡방향 분리 장치에 이를 때까지 적어도 하나의 연마가공기로부터 산세척부 및 헹굼장치로 구성되는 처리장치로 세척하고, 되감기 방추에 클램프 고정시키고 상기 되감기 방추 단독에 의해 또는 처리 장치를 통과하는 다른 구동처리롤과 상기 되감기 방추에 의해 되감고 인발하며, 그렇지 않으면 횡방향 분리장치에 의해 판으로 절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벨트는 여러 산세척 매체를 포함하는 다수의 산세척부를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과정에서 띠가 적어도 한 부분에서 황산으로 처리되고 연속되는 다음 부분에서 질산 및 불화수소산의 혼합물로 처리될 수도 있다.
산 세척 조건, 예를 들어 산의 종류, 농도, 산 세온도 등은 산세척하고자 하는 재료의 종류에 따라 사용도는 달라진다. 또한 사용되는 산의 농도와 산세척 온도는 서로 거의 역비례하는 경향이 있다. 즉, 산세척 온도가 높아지면 산의 농도가 더 적어도 동일한 산세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산업적 적용을 위해서는 원하는 산세척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에너지, 화학약품, 폐수의 중화 비용 등 다양한 비용을 고려하여 산 농도 및 산세척 온도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때, 황산 농도는 200-600g/
Figure kpo00001
, 바람직하게는 300-450g/
Figure kpo00002
이다. 세척용 산의 온도는 60-95℃이며, 70-90℃가 바람직하다.
혼합된 산의 경우, 질산의 농도가 100-250g/
Figure kpo00003
, 바람직하게는 100-200g/
Figure kpo00004
이고, 불화수소산의 농도는 10-100g/
Figure kpo00005
,바람직하게는 20-80g/
Figure kpo00006
이며, 이용가능한 전체 불화수소산으로 계산된다. 여기에서 혼합된 산의 온도는 40-70℃이며, 40-65℃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풀기방추와, 띠 안내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산세척부와, 하나의 헹굼부(rinsing plant)와, 되감기방추 또는 횡 방향 분리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며, 본 발명에 따른 산세척통은 강, 유리섬유 강화합성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된 지지구조와, PVC, 탄소부재, 그라파이트로 채워지거나 및/또는 산화알루미늄으로 채워진 폴리에스터수지로 이루어진 산화 및 마모방지 재료로 된 내벽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라, 각각 적어도 하나의 산세척부를 구성하는 적어도 두 산세척통이 제공되며, 세척기가 산세척통 사이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사항에 대해서는 이하 관련장치의 실시예가 예시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되어 진다.
제1도에 예시된 장치는 필수적으로 풀기방추(1), 교정기계(2), 연마가공기(3), 중간에 세척기(5)가 구비된 신장 편평 산세척통(4), 역류 헹굼장치(7), 건조기(8) 및 되감기방추(9)로 구성된다. 상호 대향하는 두 안내롤(11)뿐 아니라 겹쳐진 두 롤로 구성되는 퓨셔(pusger)수단(10)이 풀기방추(1)와 교정기계(2) 사이에 제공된다.
교정기계(2)와 연마가공기(3) 사이에 두개의 푸셔(14)외에도 두개의 전단기(12,13)가 제공되는 바, 후자는 차례로 겹쳐진 두 롤로 구성한다.
건조기(8)와 되감기방추(9) 사이에, 띠(14)의 각 측부 상에서 산세척되는 상호 대향하는 두 안내롤로 구성되는 띠 안내수단(11')이 겹쳐진 두 롤에 의해 형성되는 역견인수단(18) 앞에 제공된다.
산세척통(4)의 적어도 하나는 연속하는 적어도 두 산세척 부(6)로 구성되며, 그 사이에서 띠(14)는, 최상부가 구동되어 띠(14)의 진행에 기여하는 두 고무롤(15)(제2도 참조)을 통과한다. 산세척통(4), 즉 각각의 산세척부(6)에는 출구뿐만 아니라 입구쪽에서도 부분적으로 들 수 있는 덮개(16)가 제공되며 산세척통(4), 적 각각의 산세척부(6)내에 포함되는 세척용 산용 둑을 형성하는 경사바닥부(17)가 제공된다. 이들 경사바닥부(17)는 입구쪽 부분이 띠의 이동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형태를 취하는 반면, 출구쪽 부분은 상향 경사진다. 따라서 덮개(16)의 대응부분을 구비하는 출구쪽 부분은 고무롤(15) 사이에서 상부로 상승하는 띠의 시작을 안내하는 통로(19)를 형성한다.
산세척통, 즉 각각의 산세척부(6)는 이송구조와, 산과 마찰에 견디는 재료로 된 라이닝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이송구조는 라이닝 부분이 염화 PVC, 즉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순수 플라스틱으로 된 강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카본 브릭층의 외측에 구비되어 최상층을 형성하며 산화알루미늄으로 채워진 폴리에스터수지, 즉 그라파이트가 사용된다.
충진재의 양은 질량비로 10-100% 사이이며, 산화알루미늄의 경우 질량비로 20-50% 사이가 바람직하다. 그라파이트가 충진재로 사용되면 그 값은 질량비로 50-400% 사이이며 80-200%가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산화알루미늄 및 그라파이트의 양이 하한치 이하면 화합물질 또는 기계적 마모에 대한 내성이 떨어지고, 상한치 이상이면 내벽 제조의 생산성이 떨어진다.
이들 폴리에스터 수지 매트릭스와 충진재의 조합으로 인해 한편으로 화학적, 기계적 마모에 적절히 저항하고 산세척 작업으로 인한 손상에 저항하는재료가 생성되지만 고품질 강띠에 손상을 입히지는 못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역류헹굼장치(7)는 세척기(5')와 그 상하부에 연결된 각각의 헹굼장치(20,20')로 이루어진다. 헹굼장치(20,20')와 세척기(5') 사이의 방출부 뿐만 아니라 이송부에도, 산세척부(6)간에 놓인 것과 유사하며 적어도 그 상부가 구동되는 겹쳐진 고무롤이 제공된다.
헹굼장치(20,20')에는 하부 및 상부 분산관(21,22)이 제공되어 그 사이로 화살표(A) 방향으로 처리되어질 띠(14)가 통과한다. 헹굼장치(20,20')의 바닥부는 띠(14)의 운동방향(A)으로 상방 경사지고, 산세척통(4)의 내층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벽(23)으로 형성된다. 하부분산관(21)은, 특히 띠의 말단이 삽입될 때, 띠(14)로부터의 손상을 막기 위하여 벽(23) 사이와 그들의 상부표면 아래에 수용된다.
또한 하부 분산관(21)은 벨트의 하부와 내벽재료 사이에서 물 막의 형성을 이루기 때문에 띠는 이 물 막위에서 미끄러지며 통의 바닥부와 전혀 접촉하지 않거나 접촉하더라도 약간만 접촉하게 된다. 이것은 유사하게도 장치에 뿐만 아니라 산세척된 제품에 대해서도 기계적인 손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띠(14)를 고무롤(15)에 안내하기 위하여, 바닥부와 덥개벽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24)가 제공되는데 산세척부(6)와 연합한다.
헹굼장치(20,20') 사이에 제공되는 세척기(5')는 두쌍의 겹쳐진 롤, 즉 띠(14)의 이동방향으로 조사되는 지지롤(25) 및 브러시롤(26)로 이루어지는바, 제1쌍의 롤의 경우의 지지롤(25)은 최하부에 위치하고 제2쌍의 롤의 경우에는 최상부에 위치하며, 상부롤과 연관되는 하부롤은 띠(14)의 이동방향으로 비튼防 이동된다. 띠의 선단이 삽입될 때 브러시롤(26)이 손상을 입지 않도록, 제1브러시롤은 상승가능하고 제2브러시롤은 하강 가능하다.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두 고무롤의 각각의 상부부분이 상승될 수 있다. 제1쌍의 롤과 앞의 고무롤(15)과 제2고무롤과 후속 고무롤(15)과 제2고무롤과 후속 고무롤(15) 사이에서 뿐만 아니라 두 롤(25,26) 사이에서 통로(27,28,29)가 각 경우에 통로(24)에 대응하여 제공된다.
앞서의 실시예에서, 제2고무롤(15')이 고무롤(15) 하부의 제2헹굼장치(20')의 출구쪽에 제공되며, 통로(30)가 통로(24)에 대응하여 두 고무롤(15,15) 사이에 위치한다.
제3분기로부터의 세척매체가 제1분기로, 즉 세척기(5') 내로 통과하는 제2분기로 통과하게 되는 역류분기 세척공정으로서의 세척이 진행된다. 후자로부터 세척매체가 헹굼장치(20)의 앞서의 분기쪽으로 이동하며 그곳에서부터 두 산세척통(4) 사이에 위치하는 세척기(5)까지 이동한다. 소모된 세척매체는 도시되지 않는 수집통으로 배출되고, 그곳에서 처리장치에 의해 세척공정으로 선택적으로 재순환된다.
산세척통(4) 사이에 배치된 세척기(5)는 상기한 세척기(5')에 대응하며 제3도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에서 아직 언급되지 않은 정도까지, 풀기방추(1)상에 고정되는 코일의 처리를 시작할 때 적어도 띠의 선단이 밀기(pusher)수단(10)에 이르고 그것에 의해 죄어질 때까지 후자가 구동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띠의 중심점을 맞추기 위해, 풀기방추(1)는 띠의 이동경로와 교차 상태로 조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밀기수단(10)은 띠(14)를 화살표(A) 방향으로 압으로 밀어낸다. 띠 안내수단(11)은 띠의 측면 비정렬을 막는다. 전단기(12)는, 띠가 압연기로부터 수용될 경우, 혀모양을 갖춘 띠의 선단을 제공한다.
전단기(13)가 띠의 선단부를 비스듬히 다듬질함으로써 띠의 선단부는 띠의 안내를 촉진하는 원추형 테이퍼 형태를 갖추게 된다. 따라서 띠 선단부는 사다리꼴 형태를 취함으로써, 사다리꼴의 상부, 즉 띠의 단부는 띠의 폭의 적어도 반정도의 폭을 갖게 되고 이동경로와 사다리꼴 간의 각이 10-80도이며 되도록이면 30-6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세척통(4), 즉 각각의 산세척부(6)에서 동일한 산세척 매체 또는 다른 매체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산세척 매체가 산세척통(4), 즉 각각의 산세척부(6)내로 유입되며, 그 측부에서 띠가 존재하고 띠 유입부에서 방출되며, 그로 인해 띠의 운동방향 반대로 흐르게 된다. 산세척통, 즉 각각의 산세척부에서의 산세척 매체의 순환이 적어도 한번부터 20번까지 이루어지며, 시간당 5-10번 순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류 헹굼장치(7)와 건조기(8)를 경과한 후에 띠(14)는 측면풀리 또는 띠 안내수단(11')의 롤에 의해 되감기방추(9)로 안내되는 반면, 되감기방추(9)의 감기작업이 확실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띠(14)가 역견인수단(18)의 겹쳐진 두 롤에 의해 저지된다.
띠의 냉간압연, 길이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의 분리, 연마와 같은 또다른 처리단계가 동일 장치내에서 실행될 수 있고 처리될 수 있다. 산세척 후 마무리된 제품을 판으로 절단하는 별도의 절단장치가 되감기방추(2)의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연마장치 뿐만 아니라 띠를 좁게 분할하는 길이방향 분리장치가 되감기방추의 상부에 제공되어진다. 산세척통 내부에 있는 띠 부분이 지나치게 산세척되는 것을 막기 위해, 띠가 정지된 상태에서 산세척통내의 물을 신속히 배출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더욱 자세하게는, 산이 함유된 페라이트 고품질강 띠의 산세척을 위해, 후자는 외부 열교환기에 의해 냉각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되감기방추는 띠의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해 압연기에 의해 처리될 수도 있다.
각각의 처리장치로부터 증기나 먼지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위해, 공기나 증기나 통풍수단에 의해 그곳에서 완전히 빨려 나가게 할 수도 있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내측 재료는 띠의 이동방향으로 치형이 형성되고 산화방지제로 덥인 판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5도에서, 도면부호 27은 띠의 이동방향으로 치형이 형성된 합성수지부재를 나타내고 28은 탄소부재, 29는 지지구조를 나타낸다.
이후에 기재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집적부분으로 고려된다.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참조번호(도면에 따름)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된 특징을 갖는 특허청구의 범위의 주요부분과 상관관계를 확실히 나타내기 위한 것이지만 본문 명세서와 명백히 대조가 이루어지지 않는 한 도면에 명시되지 않은 특허청구범위의 용어를 어떠한 방식으로든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27)

  1. 고정제강 띠(14)가 코일의 형태로 산세척 장치에 이송되고, 상기 코일을 풀기방추(1)에 의하여 푼 후, 상기 코일을 용접기에서 이전의 코일에 용접하는 단계 및 어닐링 오븐에서 어닐링하는 단계를 거치지 않으면서, 처리장치의 단부에서 되감기 방추(9) 또는 횡방향 분리장치에 이를 때까진 적어도 하나의 연마가 공기(3)로부터 산세척부 및 헹굼장치(7)로 구성되는 처리장치로 세척하고, 되감기방추(9)에 클램프 고정시키고 상기 되감기 방추 단독에 의해 또는 처리장치를 통과하는 다른 구동처리롤과 상기 되감기방추에 의해 되감고 인발하며, 그렇지 않으면 횡방향 분리장치에 의해 판으로 절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제 강 띠 산세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띠가 다수의 산세척부로 구성되는 다수의 산세척통 내에서 처리되고 적어도 하나의 산세척부 내에서 질산과 불화수소산의 혼합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제강 띠 산세척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띠가 농도범위 250-600g/
    Figure kpo00007
    의 황산매체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제강 띠 산세척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혼합 산으로의 처리과정에 압서 벨트가 황산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제강 띠 산세척방법.
  5. 제1항 내지 제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세척용산의 온도가 60-95℃의 범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제강 띠 산세척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혼합된 산의 온도가 30-70℃의 범위내에 있고, 질산의 농도 범위가 100-250g/
    Figure kpo00008
    이며, 이용 가능한 전체 불화수소산으로서 계산되는 불화수소산의 농도 범위가 10-100g/
    Figure kpo00009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제강 띠 산세척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띠의 선단부가, 장치내로 진입되기 전에 마름모꼴로 다듬어지고, 띠의 선단부의 두 모서리가 띠의 측단부로부터 측정되는 30-45℃의 각도로 다듬어지며, 모서리가 다듬어진 후의 전단부의 길이가 적어도 폭의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제강 띠 산세척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산세척통 내에서의 처리후에, 그리고 연이는 산세척통에서의 처리에 앞서 띠가 세척기 내에서 처리되고, 역류 헹굼장치내에서 산세척된후 세척기에 공급된 세척용 물이 역류 헹굼장치로부터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제강 띠 산세척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페라이트 고품질강 띠를 산세척할 때 산과 혼합된 산세척 매체가 외부 열교환기 수단에 의해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제강 띠 산세척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띠가 정지되어 있을 때, 산세척통 내에서 물이 신속히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제강 띠 산세척방법.
  11. 띠 안내수단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풀기방추와, 적어도 하나의 산세척부와, 되감기방추 뿐만 아니라 헹굼장치와, 또는 횡방향 분리장치를 사용하고, 강 유리섬유강화 합성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된 지지구조와, PVC, 탄소부재, 그라파이트로 채워지고 및/또는 산화 알루미늄으로 채워진 폴리에스터 수지로 이루어진 산화 및 마모 방지재료로된 내벽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장 산세척통(4), 바람직하게는 폭이 좁은 산세척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고정제강 띠 산세척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산과 접하는 표면, 즉 고정제강 띠상에 형성되는 내벽이 Al2O3로 채워진 폴리에스터 수지로 구성되고, Al2O3의 함유량이 질량비 10-100% 범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제강 띠 산세척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내벽의 최상층이 그라파이트로 채워진 폴리에스터 수지이고, 그라파이트의 함유량이 질량비 50-400% 범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제강 띠 산세척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내벽재료가 띠 이동방향으로 치형이 형성된 벽으로 구성되며 산화방지제가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제강 띠 산세척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산세척통(4) 사이에 세척기가 제공되고, 마지막 산세척통(4)에 연이어 출구 및 입구쪽에 형성된 헹굼장치(20,20')는 물론 세척기를 구성하는 역류 헹굼장치(7)가 제공되며, 동일한 내벽재료가 산세척통(4)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헹굼장치(20,20') 및/또는 적어도 세척기(5,5')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제강 띠 산세척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풀기방추(1)가 띠 이동방향을 가로질러 조종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제강 띠 산세척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헹굼장치(20,20') 내부에 하부 및 상부 분산관(21,22)이 제공되고, 하부 분산관은 바닥내벽(23) 사이에서 그 상부표면 아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제강 띠 산세척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세척기(5,5')가, 제1롤의 상부롤(26)과 제2롤의 하부롤(26)이 세척롤의 형태를 취하고 다른 롤(25)은 지지롤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겹쳐진 롤(25,26)을 구비한 연속하는 두 롤 그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제강 띠 산세척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각 쌍의 하부롤이 띠(14)의 진행방향으로 상부롤에 대하여 요동하며 두쌍의 롤 사이에서 띠(14)의 진행방향으로 V형 테이퍼 모양을 취하고 내벽을 구비하는 안내통로(27,29) 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제강 띠 산세척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제1롤 쌍의 브러시롤(26)이 자유롭게 상승하며, 제2롤 쌍의 브러시롤은 자유롭게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제강 띠 산세척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브러시는 실리콘 카바이드나 Al2O3와 같은 마모재료가 부착되는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제강 띠 산세척장치.
  22. 제11항에 있어서, 되감기방추(9) 또는 횡방향 절단장치가 압연기에 앞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제강 띠 산세척장치.
  23. 제11항에 있어서, 되감기방추(9)의 상부에 길이방향 분리장치 또는 연마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제강 띠 산세척장치.
  24. 제11항에 있어서, 각 경우에 여러 쌍의 롤중 단 하나의 롤만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제강 띠 산세척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각 쌍의 롤중 상부 롤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제강 띠 산세척장치.
  26. 제11항에 있어서, 고정제강 띠를 갖는 상기 풀기방추와, 연마가공기와, 산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장 산세척통과 헹굼장치와 단지 그 장치를 통해 또는 다른 구동처리롤과 연대하여 띠를 추출하는 되감기방추 또는 횡방향 분리장치를 구비하는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제강 띠 산세척장치.
  27. 제1항에 있어서, 강, 유리섬유강화 합성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된 지지구조와, PVC, 카본부재, 그라파이트가 채워지고 및/또는 산화 알루미늄이 채워진 폴리에스터 수지로 구성되는 산화 및 마모방지 재료로된 내벽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폭좁은 산세척통을 통해 안내되는 상기 띠에 의해 산세척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제강 띠 산세척장치.
KR1019890016497A 1988-11-15 1989-11-14 고정제강 띠 산세척 방법 및 장치 KR960002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2799/88 1988-11-15
AT0279988A AT394734B (de) 1988-11-15 1988-11-15 Verfahren und anlage zum beizen von edelstahlbaender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064A KR900008064A (ko) 1990-06-02
KR960002121B1 true KR960002121B1 (ko) 1996-02-10

Family

ID=3540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6497A KR960002121B1 (ko) 1988-11-15 1989-11-14 고정제강 띠 산세척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369984B1 (ko)
JP (1) JP2926342B2 (ko)
KR (1) KR960002121B1 (ko)
AT (1) AT394734B (ko)
AU (1) AU618850B2 (ko)
BR (1) BR8905794A (ko)
DE (1) DE58904565D1 (ko)
ES (1) ES2048867T3 (ko)
FI (1) FI89511C (ko)
ZA (1) ZA8986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04907B (de) * 1993-07-13 1999-03-25 Andritz Patentverwaltung Verfahren und anlage zum herstellen von edelstahlband
US5566694A (en) * 1995-06-07 1996-10-22 Allegheny Plastics, Inc. Continuous pickling tank with expandable seals
AT408765B (de) * 1999-03-05 2002-03-25 Andritz Ag Maschf Anlage zur kontinuierlichen behandlung von stahlbändern
KR100933925B1 (ko) * 2008-06-16 2009-12-28 (주)진양오일씰 수지와 고무의 표면처리를 위한 황산처리장치 및 이를이용한 황산처리방법
JP5679149B2 (ja) * 2010-02-05 2015-03-04 日新製鋼株式会社 ステンレス鋼帯の酸洗操業方法
CN112621389A (zh) * 2020-12-10 2021-04-09 中国重型机械研究院股份公司 一种铝板横切生产装置及其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9766C (de) * 1920-03-16 Electro Metallschweisserei Ge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Blechen zwecks Entfernung der Unreinlichkeiten und zur Erzielung einer gleichmaessigen Haerte
DE1303381C2 (de) * 1974-11-21 Moeller & Neumann Gmbh Kontinuierliche durchlaufbeizanlage fuer endlose baender
DE496147C (de) * 1928-07-25 1930-04-14 Julius Doubs Dipl In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izen und Spuelen von Feinblechen
US2543657A (en) * 1949-06-03 1951-02-27 Hanson Van Winkle Munning Co Scrubbing device with removable brush assembly
US3338208A (en) * 1965-09-07 1967-08-29 Paul U Voss Continuous equipment for pickling and slitting strip steel
DE2029244A1 (en) * 1970-06-13 1971-12-23 Gewerk Keramchemie Pickling plant liquor - vacuum and pressure actuated transfer
SE381289B (sv) * 1973-06-21 1975-12-01 Nyby Bruk Ab Tvastegsbetningsforfarande
DE3149086A1 (de) * 1981-12-11 1983-06-16 Dr. C. Otto & Comp. Gmbh, 4630 Bochum Behaelter zum beizen von baendern
FR2562098B1 (fr) * 1984-03-30 1986-08-14 Clecim Sa Bac de decapage a l'acide de bandes de metal
JPS61199084A (ja) * 1985-02-28 1986-09-03 Nippon Steel Corp Cr系ステンレス鋼板の製造方法
JPS61266588A (ja) * 1985-05-22 1986-11-26 Nisshin Steel Co Ltd ステンレス鋼の脱スケ−ル方法
DE3605094A1 (de) * 1986-02-18 1987-08-20 Hoesch Ag Beizbehaelter
JPH0421474Y2 (ko) * 1986-07-24 1992-05-15
JPH0410219Y2 (ko) * 1986-12-05 1992-03-13
EP0302057B1 (de) * 1987-02-05 1990-10-24 Maschinenfabrik Andritz Ac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oberflächenbehandlung von bändern mit flüssigkeiten
JPS63266083A (ja) * 1987-04-22 1988-11-02 Nippon Steel Corp 金属ストリツプの表面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18850B2 (en) 1992-01-09
FI89511B (fi) 1993-06-30
ZA898671B (en) 1990-08-29
AU4431389A (en) 1990-05-24
EP0369984B1 (de) 1993-06-02
JP2926342B2 (ja) 1999-07-28
ATA279988A (de) 1991-11-15
EP0369984A1 (de) 1990-05-23
AT394734B (de) 1992-06-10
JPH02185988A (ja) 1990-07-20
FI895408A0 (fi) 1989-11-13
ES2048867T3 (es) 1994-04-01
KR900008064A (ko) 1990-06-02
DE58904565D1 (de) 1993-07-08
BR8905794A (pt) 1990-06-12
FI89511C (fi) 1993-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2374A (en) Process and plant for pickling stainless steel strip
KR960002121B1 (ko) 고정제강 띠 산세척 방법 및 장치
US3048503A (en) Pickling apparatus and method
EP3296032A1 (en) Duplex cold rolling line
EP0446653B1 (en) Device for operating flexible elements
KR102172555B1 (ko) 스테인리스 스틸의 스케일 제거방법
DE1292105B (de) Vorrichtung zum Sammeln von auf einer bewegten Foerderbahn hintereinander abgelegten Drahtringschleifen in einem Bund am Ende der Foerderbahn
EP0872306B1 (en) A bar deburring plant
US2238667A (en) Apparatus for treating strip steel
AU701404B2 (en) Automatic drawing device
US3256592A (en) Continuous tube forming and galvanizing
US2937431A (en) Method and mechanism for processing elongated metal articles
CN215592900U (zh) 污泥脱水出料整理装置
US1108144A (en) Method of making hot-finished flats.
US1765498A (en) Continuous-pickling process
US4007750A (en) Continuous sheet pickling apparatus
JPH0745055B2 (ja) ステンレス鋼帯の連続疵取り研削ラインおよび研削方法
US1175429A (en) Pickling apparatus for drawn wires.
AU703836B2 (en) Equipment for continuously manufacturing metal coils and metal coil manufacturing method
AT406938B (de) Anlag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gewalztem band
EP1678346A1 (en) Equipment and method for treating the surface of a metal object
JPS63104715A (ja) ライン中を連続通板する金属帯のバイパス通板方法及び同装置
DE1520485C (de) Verfahren zur Gewinnung von Olefin polymerisaten
CN117531835A (zh) 一种带钢的卷取方法
US580210A (en) dav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