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095B1 - 모니터링 장치의 지속적인 터치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모니터링 장치의 지속적인 터치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095B1
KR960001095B1 KR1019930004536A KR930004536A KR960001095B1 KR 960001095 B1 KR960001095 B1 KR 960001095B1 KR 1019930004536 A KR1019930004536 A KR 1019930004536A KR 930004536 A KR930004536 A KR 930004536A KR 960001095 B1 KR960001095 B1 KR 960001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ouch key
value
key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4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3164A (ko
Inventor
현태인
Original Assignee
금성산전주식회사
이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산전주식회사, 이희종 filed Critical 금성산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04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095B1/ko
Publication of KR940023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3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0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0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 G05B23/0216Human interface functionality, e.g. monitoring system providing help to the user in the selection of tests or in its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니터링 장치의 지속적인 터치처리 방법
제1도는 종래의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모니터링 장치 터치처리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모니터링 장치의 지속적이 터치처리 방법이 수행되는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니터링 장치 2 : 터치화면
4 : 중앙처리부 5 : 터치처리용 램
6 : 타이머
본 발명은 터치화면을 채용하는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화면에 대한 지속적인 터치가 진행중일 때의 처리에 적당하도록 한 모니터링 장치의 지속적인 터치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산업용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는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입력으로서 터치화면에 대한 터치동작과 키보드에 의한 키보드 동작을 채용하고 있다.
특히, 모니터링 장치의 운전시에는 사용자의 편의와 작업환경의 정돈을 위하여 키보드는 탈착시킨 채 터치화면에 손가락을 접촉시키는 것만으로 운전을 실행하게 되어 있다.
터치화면을 채용하는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종래의 기술구조는 하드웨어 측면에서는 제1도와 같고 소프트웨어 측면에서는 제2도와 같다.
하드웨어적 측면에서 제1도의 모니터링 장치는 터치화면(2)과, 터치화면중 첫번째 터치키 영역(3a), 터치화면중 두번째 터치키 영역(3b), 세번째 터치키 영역(3c), 터치처리용 램(5), 모니터링 장치의 중앙처리부(4)로 구성된다.
한편, 제2도는 터치처리를 위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의 출력은 바로 해당 터치키의 번호가 된다. 여기서는 처리흐름의 단계를 S1에서 S12까지 나누어 표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터치화면 모니터링 장치와 제어 흐름도에 대하여 그 동작과 문제점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의 모니터링 장치에서 터치화면(2)중에서 터치키(3a~3c)에 대한 입력을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터치처리용 램(5)을 참조하여 중앙처리부(4)가 처리하게 된다.
종래의 모니터링 장치에서 화면에 대한 터치처리를 하는 단계에 들어가게 되면, 제2도의 터치처리 루틴을 수행하게 되는데, 여기에서 모니터링 장치의 리세트시에 터치처리용 램(5)은 ˝0˝으로 초기화되어 있다.
먼저, 단계(S1)에서 현재 터치화면 부위에 터치가 일어나고 있는가를 검사한다. 여기에서 터치가 일어나고 있으면 다음 단계(S2)로 들어가게 되고 아닐경우에는 단계(S11)로 분기하게 된다.
터치가 일어났다면, 단계(S2)를 통해 터치처리용 램(5)의 ˝touch˝버퍼가 이미 설정되어 있는가를 알아본다. 즉, 현재의 터치처리 과정이전의 터치과정에서 지속적인 터치가 있었는지를 검사하는 것이다. 만약에 앞의 터치처리 과정에서 터치가 일어나지 않았으면, 단계(S3)로 넘어가게 되고 앞의 터치처리 과정에서 터치가 일어났으면 단계(S12)로 들어가게 된다.
단계(S3)에서는 바로 이전의 터치과정에서 터치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현 과정에서 처음 터치가 일어났음을 알고 있는 상태에서 현재 터치중인 부위가 ˝1˝영역(3a)에 있는가를 판별하게 된다.
현재 터치부위가 영역(3a)에 있지 않으면, 다음 단계(S4)로 넘어가게 되고, 만일 현재이 터치부위가 영역(3a)에 해당되면 단계(S8)로 가게된다.
단계(S4)에서는 현재 터치중인 부위가 영역(3b)에 해당되는가를 판별하여 영역(3b)에 해당되는 터치가 아니면 다음 단계(S5)로 넘어가게 되고, 만일 영역(3b)에 해당되는 터치이면 단계(S10)로 넘어가게 된다.
단계(S6)에서는 현재의 상황이 터치화면에 터치가 일어나고 있는 상황임을 알리는 ˝touch˝버퍼에 ˝1˝의 값을 넣어서 터치가 일어났다는 정보를 간직하고 다음 단계(S7)로 넘어간다.
단계(S7)는 터치키 부위(3a~3c)에 대한 터치가 유효한 것이 일어났을때 즉, 터치키 처리용 버퍼중 ˝value˝에 ˝1˝에서 ˝3˝의 값이 기입되어 있는 경우 그 값을 가지고 나오게 되며, 아닐 때에는 단계(S1)로 간다.
단계(S8)는 현재 터치부위가 첫번째 터치키 부위(3a)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1˝이라는 값을 터치키 처리용 버퍼중 ˝value˝에 기입하고 상기 단계(S6)로 가게된다.
마찬가지로 단계(S9)는 현재 터치부위가 두번째 터치키 부위(3b)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2˝라는 값을 상기 ˝value˝에 기입하고 단계(S6)로 가게 된다.
또한, 단계(S10)는 현재 터치부위가 세번째 터치키 부위(3c)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3˝이라는 값을 상기 ˝value˝에 기입하고서 단계(S6)로 가게 된다.
한편, 단계(S11)에서는 현재 터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이므로 상기 ˝touch˝버퍼에 ˝0˝을 설정하여 터치가 일어나지 않았다는 정보를 간직한채 단계(S12)로 들어간다.
단계(S12)에서는 앞의 터치처리용 과정중에서 상기 ˝touch˝버퍼가 ˝1˝이어서 지속적인 터치가 일어나고 있으므로 지금 터치는 효력이 없는 경우이거나 단계(S1)에서 이미 현재 터치 자체가 없는 것으로 판명된 경우이므로 상기 ˝value˝버퍼에 ˝0˝을 기입함으로써 유효한 터치가 현재 없다는 정보를 가지고 계속 유효한 터치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단계(S1)로 들어간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단계(S2)에서와 같이 유효한 터치키 부위를 계속 누르고 있는 경우에는 시간적으로 가장 처음 누른 상태에서만 터치키의 값이 유효한 것이 되고 그 후에는 계속 해당 터치키 부위를 터치하고 있더라도 단계(S6)에서 이미 ˝touch˝버퍼에 ˝1˝을 기입해놓은 관계로 더 이상의 터치키 발생은 손을 일단 뗀 상태가 감지된 후에 다시 터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게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모니터링 장치 내부에 터치키 처리용 타이머를 설치하고 키보드의 키를 한번 누름으로써 그 값을 일정 주기로 발생시키는 기능을 터치키 처리시에도 적용하여 한번 누른 터치키는 계속 터치가 일어나는 경우에 해당 터치키의 값을 발생시켜줌으로써 모니터링 장치를 사용시 같은 터치키의 값을 연속적으로 여러개 원할 때에는 원하는 갯수의 터치 발생이 일어날 때까지 지속적으로 터치를 계속할 수 있게 하면 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도로서 제1도의 종래 장치와 같이 터치화면(2)과, 터치화면중 첫번째 터치키 영역(3a), 터치화면중 두번째 터치키 영역(3b), 세번째 터치키 영역(3c), 터치처리용 램(5), 모니터링 장치의 중앙처리부(4)를 갖추고 있는 외에도 지속적이 터치의 발생주기를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6)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의 지속적인 터치처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그 작용과 효과를 제3도의 장치와 제4도의 제어 흐름도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제3도에서와 같이 모니터링 장치에서 터치화면(2)중에서 터치키(3a~3c)에 대한 입력을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터치처리용 램(5)과 지속터치 발생 주기용 타이머(6)의 데이타를 중앙처리부(4)가 입력하여 이를 처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모니터링 장치에서 화면에 대한 터치처리를 하는 단계에 들어가게 되면, 제4도의 본발명에 따른 처리루틴을 수행하게 된다.
먼저, 단계(S1)에서 단계(S12)까지의 처리과정은 종래와 동일하다.
단계(S13)에서는 현재 터치가 일어나지 않고 있는 상황이므로 터치처리용 램(5)의 ˝touch˝버퍼, 즉 지속적인 터치여부를 알려주는 버퍼, 그리고 터치처리용 램(5)의 ˝value˝, 즉 현재 터치중에 있는 터치키 번호를 저장하는 버퍼에 ˝0˝이라는 값을 넣어주어 현재 터치중에 있지 않으며 따라서 유효한 터치키도 발생하지 않았다는 정보를 주고 단계(S1)로 간다.
단계(S14)에서는 현재 터치가 일어나고 있고 이런 터치 처리단계에서도 터치를 계속한 경우에 해당되는 경우이므로 이전 터치 처리단계에서 터치하였을때 유효한 터치키 영역안에 터치가 이루어졌다고 판단한다.
만일, 터치가 이루어졌더라도 유효한 터치키 영역안에 터치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단계(S1)으로 다시 올라가고, 터치키 영역안에 터치가 이루어졌으면˝value˝가 ˝0˝이 아닌 값이 들어있으므로 단계(S15)로 넘어가게 된다.
단계(S15)에서는 현재의 터치키 영역값을 ˝value_now˝라는 터치키 처리용 램(5)안에 있는 버퍼에 저장하고 단계(S17)로 들어간다.
상기 단계(S17)에서는 이전 터치키 처리과정에서 저장한 터치키 값 ˝value˝값과 현재 터치중인 터치키 값이 같은가를 보아 터치키 값이 이전 과정과 현재의 값이 일치하면 단계(S18)로 넘어가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12)로 들어간다.
단계(S18)에서는 유효한 터치키 영역내에 지속적인 터치가 일어나고 있는 경우일때 들어온 것이므로 이제는 타이머 설정치만큼 시간이 지났는가를 판단하여 설정치만큼의 시간이 지난 경우에는 해당 터치키의 값(value)을 간직한 채 단계(S19)로 들어가고, 아직 설정치만큼의 시간이 지나지 않았을 때에는 다시 단계(S1)로 들어간다.
단계(S19)에서는 유효한 터치키 값이 발생된 경우로서 타이머는 ˝0˝으로 초기화기켜 놓고 발생된 터치값(value)를 가지고 나온다.
따라서, 모니터링 장치 내부에 터치키 처리용 타이머(6)를 설치하고 키보드의 키를 한번 누름으로써 그 값을 일정 주기로 발생시키는 기능을 터치키 처리시에도 적용하여 한번 누른 터치키는 계속 터치가 일어나는 경우에 해당 터치키의 값을 발생시켜 줌으로써 모니터링 장치를 사용시 같은 터치키의 값을 연속적으로 여러개 원할 때에는 원하는 갯수의 터치 발생이 일어날 때까지 지속적으로 터치를 계속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지속적인 터치에 의한 터치키 발생이 한번으로 끝나는 것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현재 터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면 유효한 터치키가 발생되지 않음을 지정하는 버퍼에 대응하는 데이타를 저장하는 단계(S13)와, 현재 터치가 일어나고 있고 이전 터치처리 과정에서 유효한 터치키 영역안에서 터치가 이루어진 경우 터치키 값을 입력받는 단계(S14)와, 유효한 터치키 영역에서 임력된 터치키의 값을 저장하는 단계(S15)와, 이전 터치키 처리과정에서 저장한 터치키 값과 현재 터치중인 터치키의 값이 같으면 유효한 터치키 영역에 지속적인 터치가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17)와, 유효한 영역에 지속적인 터치가 일어날때 타이머를 구동하여 일정 시간 이상이 되면 그때까지 터치된 터치키의 값을 출력하는 단계(S18,S1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장치의 지속적인 터치처리 방법.
KR1019930004536A 1993-03-23 1993-03-23 모니터링 장치의 지속적인 터치처리 방법 KR960001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4536A KR960001095B1 (ko) 1993-03-23 1993-03-23 모니터링 장치의 지속적인 터치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4536A KR960001095B1 (ko) 1993-03-23 1993-03-23 모니터링 장치의 지속적인 터치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164A KR940023164A (ko) 1994-10-22
KR960001095B1 true KR960001095B1 (ko) 1996-01-18

Family

ID=19352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4536A KR960001095B1 (ko) 1993-03-23 1993-03-23 모니터링 장치의 지속적인 터치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0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1802B1 (ko) * 1997-12-05 2001-02-15 윤종용 김치저장고의 냉장보관모드 전환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164A (ko) 199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1095B1 (ko) 모니터링 장치의 지속적인 터치처리 방법
US4804278A (en) Key input apparatus provided with a key input buffer
JP2653346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KR19980020202U (ko) 가상 키보드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
JP2758617B2 (ja) 文字列入力用キーボード
JPS58189747A (ja) 実行経緯表示装置
JPS63263515A (ja) カ−ソル移動キ−制御方式
JPH0535432A (ja) メニユー出力処理方式
JPH0816294A (ja) 情報処理装置の文字入力方法,及び、装置
KR930005643A (ko) 저주파 치료기의 시간조절장치 및 방법
JPS60195634A (ja) キ−入力装置
KR970022693A (ko) 터치 확인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채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H09179672A (ja) キー入力方式
JPS61237124A (ja) タツチ式入力装置の入力判定方式
JP2595045B2 (ja)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JPH0511902A (ja) キーボード制御方式
JP2715973B2 (ja) 数値データ入力装置および数値データ入力方法
KR970001279Y1 (ko) 키포드/터치기 입력 동시 수용 모니터링장치
JPS6029824A (ja) キ−入力装置
JPS6380315A (ja) 端末装置
JPS6316317A (ja) コンピユ−タシステムのリセツト装置
JPH08194569A (ja) 情報処理装置
JPH04370825A (ja) 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ディレイドヘルプ方式
JPH096510A (ja) キー入力装置
JPH02127717A (ja) キーリピート入力制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