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3940A - 자동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940A
KR950013940A KR1019930026287A KR930026287A KR950013940A KR 950013940 A KR950013940 A KR 950013940A KR 1019930026287 A KR1019930026287 A KR 1019930026287A KR 930026287 A KR930026287 A KR 930026287A KR 950013940 A KR950013940 A KR 950013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chain
loading
gear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6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622B1 (ko
Inventor
조광호
Original Assignee
조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광호 filed Critical 조광호
Priority to KR1019930026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3622B1/ko
Publication of KR950013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6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 콘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오는 물품(박스나 시멘트, 포대등)을 차량에 자동으로 적재하기 위한 자동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차에 물품을 적재하기 위해 최소한 두 사람 이상의 사람을 필요로 하는 것이며 적재함에 있는 사람이 콘베이어를 타고 이송되어 오는 물품을 정돈하여 적재하기 위해서는 매우 바쁘게 움직여야 되는 폐단이 발생되어 이를 해소하고자 공장 출하시 이송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이송 콘베이어와 이와 연결하여 차량에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 콘베이어를 적재물품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적재용 콘베이어의 각 로울러 사이에는 이송대를 설치하여 이송대가 회전되면서 캠에 의해 상하로 동작되도록 하므로서 이송대가 적재되는 물품에 걸리지 않고 회전하여 차량의 적재함에 적정높이로 적재할 수 있는 것이며 이송 콘베이어(4)는 적재물품의 높이에 맞추어 공지와 같이 실린더(A)가 동작되어 체인(10)을 동작시켜 상하로 이송시키는 것이며 또한, 적재기(1)의 적재 콘베이어(4)의 높이에 맞추어 모우터(M,)가 동작하여 이송 콘베이어(3)를 상하로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적재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1)

  1. 지면(G)에 타량(6)이 진입할 수 있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내측에 래크기어(11' )를 가지는 레일(5)을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레일(1)상에는 구동바퀴(9)를 가지고 모우터(M,)이 회전으로 회동하는 기어(11)가 레일(5)의 래크기어(11')와의 치합으로 구동하는 적재기(1)를 설치하되, 상기 적재기(1)는 적재물(7)을 이송하는 이송 콘베이어(3)의 높이와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에어실린더(A)의 작동에 의하여 길이가 변환되는 체인(10)이 양단에 고정되고 각 모서리에 형성된 안내봉(S)을 따라 승, 하강하는 적재 콘베이어(4)를 설치하며, 이송 콘베이어(3)로부터 운반된 적재물(7)이 적재 콘베이어(4)상에 위치할때 이를 차량의 적재함(6')에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적재수단을 가지는 자동 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 콘베이어(4)는 모우터(M2)의 구동력을 체인에 의하여 전달받아 구동하는 롤러(12)가 다수개 형성되고 안내롤(22)이 구비되어 이송 콘베이어(3)로 부터 이송된 적재물(7)을 이송시키고 롤러(12)의 사이에는 축봉(13)에 고정된 다수개의 이송대(14)를 구비하며, 축봉(13)의 양단에는 중앙에 캠(C)과 테인기어(21')를 형성하고 일측에 축봉(13)과 상기 체인기어(21')와 체인(10')에 의하여 연결된 체인기어(21)를 가지고 타측이 힌지(20)에 의하여 고정된 작동간(15)을 구비하며 일측의 작동간(15)에는 축봉(13)과 체인기어(21)를 회전하는 모우터(M3)를 구비하고, 상기 캠(C)의 하부에 캠(C)의 회전시 축봉(13)이 승, 하강 되도록 한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적재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30026287A 1993-11-18 1993-12-02 자동 적재장치 KR960013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6287A KR960013622B1 (ko) 1993-11-18 1993-12-02 자동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4329 1993-11-18
KR1019930026287A KR960013622B1 (ko) 1993-11-18 1993-12-02 자동 적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4329 Division 1993-11-18 1993-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940A true KR950013940A (ko) 1995-06-15
KR960013622B1 KR960013622B1 (ko) 1996-10-10

Family

ID=66826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6287A KR960013622B1 (ko) 1993-11-18 1993-12-02 자동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36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124B1 (ko) * 2001-09-11 2007-08-10 주식회사 포스코 직상차의 적재물 레벨링 및 밀충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527B1 (ko) * 2019-07-29 2019-09-20 김영배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124B1 (ko) * 2001-09-11 2007-08-10 주식회사 포스코 직상차의 적재물 레벨링 및 밀충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622B1 (ko) 199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37066A (en) Vehicle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US4256222A (en) Transfer conveyor for the transfer of piece goods from a first roller track conveyor to a second roller track conveyor
JPS6413336A (en) Loading and unloading station for freight car and container
EP0392993A2 (en) Apparatus for handling goods on industrial vehicles
RU2729154C1 (ru) Погрузочная система
US3342354A (en) Freight handling device
KR950013940A (ko) 자동 적재장치
CN105417006B (zh) 悬臂式液压升降皮带双向输送机
CN105905609A (zh) 一种重型及易碎快递件传送运输装置
KR890009752A (ko) 카고크레인
CN107985955A (zh) 双翼输送机
CN205204312U (zh) 一种集装箱自动装车机
CN207759741U (zh) 一种可伸缩的输送装车机
GB1218761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argo handling apparatus for use in loading and unloading aircraft
RU205633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борки штабеля
CN113636269A (zh) 一种车载折叠式输送装置
KR940011310A (ko) 포대 다단적재용 콘베이어
JPH02300012A (ja) 蓄積往復動型コンベヤ
JPS59223623A (ja) 無端コンベヤ装置上の荷物の方向変更装置
SU1668226A1 (ru) Ленточный конвейер
SU1105437A1 (ru) Скиповый подъемник
JPH10109721A (ja) ローラコンベヤにおける荷停止装置
SU273728A1 (ru) Погрузочно-раз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S61196835A (ja) 荷送り装置
SU1411227A1 (ru) Крутонаклонный ленточный магнитный конвейер дл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 ферромагнитных груз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