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527B1 -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527B1
KR102023527B1 KR1020190091692A KR20190091692A KR102023527B1 KR 102023527 B1 KR102023527 B1 KR 102023527B1 KR 1020190091692 A KR1020190091692 A KR 1020190091692A KR 20190091692 A KR20190091692 A KR 20190091692A KR 102023527 B1 KR102023527 B1 KR 102023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roduct collection
collection box
unit
transf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배
Original Assignee
김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배 filed Critical 김영배
Priority to KR1020190091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5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는: 부품들이 조립되어 제품으로 완성되는 공정의 후단에 구비되며, 외관을 형성하고, 상부 일측으로는 완성된 제품들이 이송되어 오며, 상부 타측으로는 빈 제품수거박스가 적재되고, 하부로는 제품이 수거된 제품수거박스들이 적층 되어 배출 되도록 빈 운반 대차가 진입 가능하게 대차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 일측으로 연결되어 완성된 제품들이 이송되도록 하는 제품 이송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 타측에 구비되어 빈 제품수거박스가 하나씩 상기 제품 이송부의 후단 하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수거준비 이송부;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제품 이송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품 이송부의 후단 하부로 이송된 제품수거박스의 상부에서 일정한 시간 주기별로 전후 수평 왕복 되며, 상기 제품 이송부에서 이송되어 온 제품이 제품수거박스에 랜덤 방식으로 수평 상 균등하게 담겨 지도록 하는 제품 분산 이송부; 및, 상기 제품 이송부의 후단 하부로 이송된 제품수거박스의 내부에 제품이 가득 차게 되면 상기 본체 프레임 하부의 대차 수용부에 진입된 운반 대차로 제품 수거가 완료된 제품수거박스들이 하나씩 적층 되도록 하는 박스 승강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부품들이 조립되어 자동차 유압호스 연결부품과 같은 제품으로 완성되는 공정의 후단에 구비되어 제품들이 수거되는 제품수거박스를 자동으로 용이하게 여러 층으로 적재하였다가 적재된 상태 그대로 외부로 한꺼번에 자동으로 이송되도록 용이하게 자동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비용 절감의 효과가 크게 개선되도록 할 수 있는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 {apparatus for stacking and discharging boxes collecting products}
본 발명은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들이 조립되어 자동차 유압호스 연결부품과 같은 제품으로 완성되는 공정의 후단에 구비되어 제품들이 수거되는 제품수거박스를 용이하게 적재하였다가 배출하도록 할 수 있는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제품의 다양화 및 고급화 추세에 따라 제품의 조립에 필요한 부품 수가 늘어날 뿐만 아니라 부품의 형상이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조립 현장에서는 부품 공급 방법에 대해서 자동화와 분업화가 촉진되고 있으며, 산업 현장에서 가장 많이 적용되는 장치 중 하나가 컨베이어 시스템이다. 특히, 자동차나 에어컨 또는 냉장고 등과 같은 비교적 사이즈가 큰 제품이나 이들 제품 또는 그보다 큰 제품에 소요되는 부품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컨베이어에 의해서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즉, 제품 본체가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되게 하면서 일정 구간마다 고유의 부품을 조립하는 작업자들이 위치하여 이동하는 제품 본체를 따라가면서 특정 부품만을 전문적으로 조립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작업자는 자신의 일측으로 조립하고자 하는 부품을 조립부품용 박스에 담아 놓고 작업자가 해당 부품을 한 개씩 손으로 취출하여 조립 공정을 진행하고 있다.
한편, 자동차 유압호스 연결부품과 같은 제품은 니플, 니플용 구리 링, 소켓, 소켓용 구리 링, 헤드와 같은 작은 부품들을 조립하여 완성되게 되며, 이러한 제품은 조립공정의 후단에서 제품수거박스에 한꺼번에 담겨져 외부로 이송되도록 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제품박스의 자동적재장치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426133호(2004년03월25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제품박스 자동적재장치는 제품들이 수거된 제품박스를 연속적으로 자동 적재시킬 수만 있을 뿐, 이를 한꺼번에 외부로 이송되게 배출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고 비용 절감의 효과가 크게 개선되도록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제품박스 자동적재장치는 제품박스의 내부로 제품들이 담겨 질 때에 어느 한쪽으로만 지나치게 편중된 상태로 쌓이게 되어 제품박스 내부로의 제품들의 충진 상태가 불균일해지고, 제품박스들이 여러 개로 적층 된 상태가 불안정해지며, 제품박스의 사용량이 증가 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426133호(2004년03월25일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들이 조립되어 자동차 유압호스 연결부품과 같은 제품으로 완성되는 공정의 후단에 구비되어 제품들이 수거되는 제품수거박스를 자동으로 용이하게 여러 층으로 적재하였다가 적재된 상태 그대로 외부로 한꺼번에 자동으로 이송되도록 용이하게 자동 배출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비용 절감의 효과가 개선되도록 할 수 있는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품수거박스의 내부로 제품들이 담겨 질 때에 어느 한쪽으로만 지나치게 편중된 상태로 쌓이게 되지 않고 수평 상 균등하게 담겨 지도록 하여, 제품수거박스 내부로의 제품들의 충진 상태가 균일해지고, 제품수거박스들이 여러 개로 적층 된 상태가 안정해지며, 제품수거박스의 사용량이 감소 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는: 부품들이 조립되어 제품으로 완성되는 공정의 후단에 구비되며, 외관을 형성하고, 상부 일측으로는 완성된 제품들이 이송되어 오며, 상부 타측으로는 빈 제품수거박스가 적재되고, 하부로는 제품이 수거된 제품수거박스들이 적층 되어 배출 되도록 빈 운반 대차가 진입 가능하게 대차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 일측으로 연결되어 완성된 제품들이 이송되도록 하는 제품 이송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 타측에 구비되어 빈 제품수거박스가 하나씩 상기 제품 이송부의 후단 하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수거준비 이송부;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제품 이송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품 이송부의 후단 하부로 이송된 제품수거박스의 상부에서 일정한 시간 주기별로 전후 수평 왕복 되며, 상기 제품 이송부에서 이송되어 온 제품이 제품수거박스에 랜덤 방식으로 수평 상 균등하게 담겨 지도록 하는 제품 분산 이송부; 및, 상기 제품 이송부의 후단 하부로 이송된 제품수거박스의 내부에 제품이 가득 차게 되면 상기 본체 프레임 하부의 대차 수용부에 진입된 운반 대차로 제품 수거가 완료된 제품수거박스들이 하나씩 적층 되도록 하는 박스 승강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대차 수용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운반 대차가 대차 수용부의 내측으로까지 이송되도록 하거나 제품수거박스들의 적층이 완료되면 운반 대차가 다시 외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대차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품 분산 이송부는, 상기 제품 이송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연결되어 일정한 시간 주기별로 상이한 경사를 이루도록 회동 되며 제품들이 제품수거박스로 떨어지도록 안내하는 회동 가이드부와, 상기 회동 가이드부의 하부와 구름 접촉되는 가이드 경사부가 내측 후방에 구비되고 상하로는 개방되며 전방과 양측방은 폐쇄된 형태로 마련되며 일정한 시간 주기별로 전후 수평 왕복 되어 제품들이 제품수거박스로 수평 상 균등하게 떨어지도록 하는 분산 낙하 가이드 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들이 조립되어 자동차 유압호스 연결부품과 같은 제품으로 완성되는 공정의 후단에 구비되어 제품들이 수거되는 제품수거박스를 자동으로 용이하게 여러 층으로 적재하였다가 적재된 상태 그대로 외부로 한꺼번에 자동으로 이송되도록 용이하게 자동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비용 절감의 효과가 크게 개선되도록 할 수 있는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품수거박스의 내부로 제품들이 담겨 질 때에 어느 한쪽으로만 지나치게 편중된 상태로 쌓이게 되지 않고 수평 상 균등하게 담겨 지도록 함으로써, 제품수거박스 내부로의 제품들의 충진 상태가 균일해지고, 제품수거박스들이 여러 개로 적층 된 상태가 안정해지며, 제품수거박스의 사용량이 감소 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에 빈 운반 대차가 진입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에 운반 대차가 진입되어 대차 수용부의 안으로 가장 깊숙이 대차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에서 제품 수거가 완료되어 적층 된 제품수거박스들이 운반 대차에 실려 대차 이송부에 의해 대차 수용부의 외부로 이송 및 배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 분산 이송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가 적용되는 제품 조립 공정 시스템을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00)과, 제품 이송부(200)와, 수거준비 이송부(300)와, 제품 분산 이송부(400)와, 박스 승강 이송부(500)를 포함한다.
본체 프레임(100)은,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들이 조립되어 제품으로 완성되는 공정의 후단에 구비되며, 외관을 형성하고, 상부 일측으로는 완성된 제품들이 이송되어 오며, 상부 타측으로는 빈 제품수거박스(10)가 적재되고, 하부로는 제품이 수거된 제품수거박스(10)들이 적층 되어 배출 되도록 빈 운반 대차(20)가 진입 가능하게 대차 수용부(110)가 형성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는 본체 프레임(100)의 대차 수용부(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운반 대차(20)가 대차 수용부(110)의 내측으로까지 이송되도록 하거나 제품수거박스(10)들의 적층이 완료되면 운반 대차(20)가 다시 외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대차 이송부(1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빈 운반 대차(20)를 대차 수용부(110)의 입구까지만 진입시켜 놓으면 운반 대차(20)는 대차 이송부(120)에 의해 자동으로 대차 수용부(110)의 안으로 가장 깊숙이 이송되도록 할 수 있고, 제품 수거가 완료된 제품수거박스(10)들이 운반 대차(20)에 적층이 완료되면 운반 대차(20)가 본체 프레임(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대차 이송부(120)에 의해 운반 대차(20)가 자동으로 다시 대차 수용부(110)의 입구까지 이송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운반 대차(20)를 외부로 옮기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이송부(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00)의 대차 수용부(110)의 하부 프레임을 따라 양측에서 운반 대차(20)를 잡고 이송되는 대차 그리퍼(121)와, 대차 그리퍼(121)가 대차 수용부(110)의 하부 프레임을 따라 이송되도록 구동하는 대차 이송 액추에이터(123)와, 대차 그리퍼(121) 및 대차 이송 액추에이터(123)의 사이에 연결되어 대차 이송 액추에이터(123)의 구동력으로 대차 그리퍼(121)가 운반 대차(20)를 물고 이송되도록 하는 대차 이송 전동부(125)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이송부(120)가 대차 수용부(110)의 하부에서 콤팩트한 구성을 갖도록 마련되어 운반 대차(20)가 자동으로 이송되며 작업 편의성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제품 이송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00)의 상부 일측으로 연결되어 완성된 제품들이 본체 프레임(100)의 상부 일측으로 이송되어 오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이송부(200)는 컨베이어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수거준비 이송부(3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00)의 상부 타측에 유공압 실린더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어 빈 제품수거박스(10)가 하나씩 제품 이송부(200)의 후단 하부로 이송되도록 한다.
제품 분산 이송부(4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00)과 제품 이송부(200)의 사이에 구비되고, 제품 이송부(200)의 후단 하부로 이송된 제품수거박스(10)의 상부에서 일정한 시간 주기별로 전후 수평 왕복 되며, 제품 이송부(200)에서 이송되어 온 제품이 제품수거박스(10)에 랜덤 방식으로 수평 상 균등하게 담겨 지도록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품 분산 이송부(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이송부(2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힌지부(410)와, 힌지부(410)에 연결되어 일정한 시간 주기별로 상이한 경사를 이루도록 회동 되며 제품들이 제품수거박스(10)로 떨어지도록 안내하는 회동 가이드부(420)와, 회동 가이드부(420)의 하부와 구름 접촉되는 가이드 경사부(431)가 내측 후방에 구비되고 상하로는 개방되며 전방과 양측방은 폐쇄된 형태로 마련되며 일정한 시간 주기별로 전후 수평 왕복 되어 제품들이 제품수거박스(10)로 수평 상 균등하게 떨어지도록 하는 분산 낙하 가이드 틀(43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품수거박스(10)의 내부로 제품들이 담겨 질 때에 어느 한쪽으로만 지나치게 편중된 상태로 쌓이게 되지 않고 수평 상 균등하게 골고루 담겨 지도록 함으로써, 제품수거박스(10) 내부로의 제품들의 충진 상태가 균일해지고, 제품수거박스(10)들이 여러 개로 적층 된 상태가 안정해지며, 제품수거박스(10)의 사용량이 감소 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회동 가이드부(420)는 판상의 부재를 포함하며 하부에는 가이드 경사부(431)에 구름 접촉되는 구름 바퀴(421)가 구비되고, 분산 낙하 가이드 틀(430)은 LM 가이드 또는 유공압 실린더에 의해 일정한 시간 주기별로 전후 수평 왕복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스 승강 이송부(5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이송부(200)의 후단 하부로 이송된 제품수거박스(10)의 내부에 제품이 가득 차게 되면 본체 프레임(100) 하부의 대차 수용부(110)에 진입된 운반 대차(20)로 제품 수거가 완료된 제품수거박스(10)들이 하나씩 적층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부품들이 조립되어 자동차 유압호스 연결부품과 같은 제품으로 완성되는 공정의 후단에 구비되어 제품들이 수거되는 제품수거박스(10)를 자동으로 용이하게 여러 층으로 적재하였다가 적재된 상태 그대로 외부로 한꺼번에 자동으로 이송되도록 용이하게 자동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비용 절감의 효과가 크게 개선되도록 할 수 있는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박스 승강 이송부(500)는 유공압 실린더, LM 가이드, 타이밍 벨트, 타이밍 풀리 및 서보 모터를 포함하여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후술할 제어부(600)에 의해 용이하게 제어되어 대차 이송부(120)와 연계해 운반 대차(20)의 상부에 제품 수거가 완료된 제품수거박스(10)를 5단 2열로 10개가 적재되도록 할 수 있고, 운반 대차(20)의 상부에 10개의 제품수거박스(10)가 다 적재되고 나면 이를 외부로 한꺼번에 용이하게 배출하도록 대차 이송부(120)에 의해 운반 대차(20)를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 이송부(120), 수거준비 이송부(300), 제품 분산 이송부(400), 박스 승강 이송부(500)에는 제어부(600)가 연결되어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연계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 수용부(110)의 하부 프레임에는 운반 대차(20)의 진입을 감지하는 대차 감지부(130)가 구비되어 대차 감지부(130)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해 제어부(600)가 운반 대차(20)의 진입을 감지하면 대차 이송부(120)가 운반 대차(20)를 대차 수용부(110)의 안으로 제품수거박스(10)가 적재되는 위치까지 이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는 자동차 유압호스 연결부품과 같은 제품으로 완성되는 공정의 후단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제품 이송부(200)가 연결되는 자동차 유압호스 연결부품 조립 시스템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30)와, 니플 공급부(31)와, 니플 구리 링 공급부(32)와, 니플 이송부(33)와, 니플 구리 링 결합유닛(40)과, 소켓 공급부(60)와, 소켓 구리 링 공급부(62)와, 소켓 구리 링 결합유닛(70)과, 소켓 니플 결합유닛(80)과, 헤드 공급부(81)와, 소켓 헤드 결합유닛(83)을 포함한다.
장치 본체(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유압호스 연결부품용 니플, 니플 결합용 구리 링, 소켓, 소켓 결합용 구리 링, 헤드를 조립하여 자동차 유압호스 연결부품으로 완성되는 작업 공간을 제공한다.
니플 공급부(31)는, 장치 본체(30)의 일측에 구비되되, 평면상 원형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되고 측면 상 나선형의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한꺼번에 내측으로 다량 주입되는 자동차 유압호스 연결부품용 니플이 경사면을 따라 니플 이송부(33)로 공급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플 공급부(31)를 통해 공급되는 니플의 규격은 두 가지 종류가 있고, 니플 공급부(31)는 이러한 니플의 종류에 맞게 두 개가 함께 구비되어 제어부에 의해 니플이 선택적으로 공급되어 조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플 구리 링 공급부(3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30)의 내부에 구비되되, 평면상 원형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되고, 측면 상 나선형의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한꺼번에 내측으로 다량 주입되는 니플 결합용 구리 링이 경사면을 따라 배출되어 니플 구리 링 결합유닛(40)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니플 구리 링 공급부(32)를 통해 공급되는 니플 결합용 구리 링은 3.5 mm 의 구경을 갖는 구리 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니플 이송부(3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플 공급부(31)와 장치 본체(30)의 사이에 구비되어 니플이 장치 본체(30)로 이송되며, 장치 본체(30)로 이송된 니플이 수평 상태에서 수직 하게 세워지도록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니플 이송부(33)는 니플 공급부(31)에서 공급되는 니플이 하나씩 들어오면 양측에서 유공압 실린더의 가압에 의해 니플이 가운데 부분의 이송 경로로 이동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이송 경로 방향으로 핀 부재가 또 다른 유공압 실린더에 의해 인출되며 니플을 가압하여 끝단에서 니플이 수평 상태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한다.
니플 구리 링 결합유닛(4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30)의 내부에 구비되어 니플과 니플 결합용 구리 링이 서로 결합 되도록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니플 구리 링 결합유닛(40)은, 니플 구리 링 공급부(32)에서 이송된 니플 결합용 구리 링이 안착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니플 구리 링 회전선반과, 니플 구리 링 회전선반에서 니플 결합용 구리 링이 회전되는 동안 니플 이송부(33)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니플을 잡아 들어올렸다가 니플 구리 링 회전선반에 안착된 니플 결합용 구리 링을 향해 상부에서 가압하여 니플에 니플 결합용 구리 링을 결합하는 니플 로딩 가압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니플에 니플 결합용 구리 링이 조립되는 공정이 자동화 방식으로 용이하게 연속적으로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소켓 공급부(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30)의 타측에 구비되되, 평면상 원형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되고 측면 상 나선형의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한꺼번에 내측으로 다량 주입되는 자동차 유압호스 연결부품용 소켓이 경사면을 따라 소켓 구리 링 결합유닛(70)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켓 공급부(60)를 통해 공급되는 소켓은 길이방향의 관 부재로 가공된 부재로서 일측은 대구경을 갖고 타측은 소구경을 갖도록 단차지게 가공된 부재이다.
이때, 소켓 공급부(60)에서 소켓 구리 링 결합유닛(70)으로 소켓이 이송되어 나갈 때에는 처음에는 대구경 측이 위로 향하고 소구경 측이 아래로 향하도록 소켓 공급부(60)의 출구 부분에서 걸린 상태로 이송되다가 소켓 구리 링 결합유닛(70)으로 이송되는 이송부에서는 상하 수직의 무한궤도 타입으로 구비된 체인을 포함하는 반전부에 의해 소켓의 위 아래가 반전되어 소구경 측이 위로 향하고 대구경 측이 아래로 향한 상태에서 소켓 구리 링 결합유닛(70)의 소켓 회전선반에 안착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소켓 공급부(60)에서 소켓 구리 링 결합유닛(70)으로 소켓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대구경 측이 아래로 향하도록 반전되게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소켓 구리 링 결합유닛(70)에서 소켓의 소구경 측으로 소켓 결합용 구리 링이 용이하게 끼워져 가압 압착되어 조립되도록 할 수 있으며, 소켓 결합용 구리 링의 가압 압착시 소켓이 세워진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 상태에서 조립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소켓 구리 링 공급부(6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30)의 내부에서 니플 구리 링 공급부(32)의 일측에 구비되되, 평면상 원형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되고 측면 상 나선형의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한꺼번에 내측으로 다량 주입되는 소켓 결합용 구리 링이 경사면을 따라 배출되어 소켓 구리 링 결합유닛(70)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소켓 구리 링 공급부(62)를 통해 공급되는 소켓 결합용 구리 링은 7.0 mm 의 구경을 갖는 구리 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켓 구리 링 결합유닛(7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30)의 내부에서 니플 구리 링 결합유닛(40)의 일측에 구비되어 소켓과 소켓 결합용 구리 링이 서로 결합 되도록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소켓 구리 링 결합유닛(7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공급부(60)에서 이송된 소켓의 대구경 측이 아래로 향하도록 안착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소켓 회전선반과, 소켓 회전선반에서 소켓이 회전되는 동안 소켓 구리 링 공급부(62)에서 이송되어 온 소켓 결합용 구리 링을 잡아 들어올렸다가 소켓 회전선반에 안착된 소켓의 소구경 측 단부를 향해 상부에서 가압하여 소켓에 소켓 결합용 구리 링을 결합하는 소켓 구리 링 로딩 가압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소켓에 소켓 결합용 구리 링이 조립되는 공정이 자동화 방식으로 용이하게 연속적으로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소켓 회전선반에는 소켓의 대구경 측이 안착 되는 돌기가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마다 돌출 형성되어 소켓 공급부(60)에서 소켓 회전선반에 형성된 돌기들 중 어느 하나에 소켓이 안착 된 후 소켓 구리 링 로딩 가압부에 의해 소켓 결합용 구리 링이 가압 조립되는 위치로 회전된 뒤에 소켓 니플 결합유닛(80)으로 이송되는 위치로 회전되게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소켓 니플 결합유닛(8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30)의 내부에서 니플 구리 링 결합유닛(40)과 소켓 구리 링 결합유닛(70)의 사이에 회전선반과 로딩 가압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어 소켓 결합용 구리 링이 결합 된 소켓과 니플 결합용 구리 링이 결합 된 니플이 서로 결합 되도록 한다.
헤드 공급부(8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30)의 내부에 구비되되, 평면상 원형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되고 측면 상 나선형의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한꺼번에 내측으로 다량 주입되는 자동차 유압호스 연결부품용 헤드가 경사면을 따라 소켓 헤드 결합유닛(83)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된다.
소켓 헤드 결합유닛(8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공급부(81)와 소켓 니플 결합유닛(80)의 사이에 회전선반과 로딩 가압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어 니플이 결합 된 소켓과 헤드가 서로 결합 되어 자동차 유압호스 연결부품으로 완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완성된 자동차 유압호스 연결부품은 하나의 제품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의 제품 이송부(200)를 통해 이송되어 제품수거박스(10)에 수거되게 된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본체 프레임 110 : 대차 수용부
120 : 대차 이송부 200 : 제품 이송부
300 : 수거준비 이송부 400 : 제품 분산 이송부
410 : 힌지부 420 : 회동 가이드부
430 : 분산 낙하 가이드 틀 431 : 가이드 경사부
500 : 박스 승강 이송부

Claims (3)

  1. 부품들이 조립되어 제품으로 완성되는 공정의 후단에 구비되며, 외관을 형성하고, 상부 일측으로는 완성된 제품들이 이송되어 오며, 상부 타측으로는 빈 제품수거박스가 적재되고, 하부로는 제품이 수거된 제품수거박스들이 적층 되어 배출 되도록 빈 운반 대차가 진입 가능하게 대차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 일측으로 연결되어 완성된 제품들이 이송되도록 하는 제품 이송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 타측에 구비되어 빈 제품수거박스가 하나씩 상기 제품 이송부의 후단 하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수거준비 이송부;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제품 이송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품 이송부의 후단 하부로 이송된 제품수거박스의 상부에서 일정한 시간 주기별로 전후 수평 왕복 되며, 상기 제품 이송부에서 이송되어 온 제품이 제품수거박스에 랜덤 방식으로 수평 상 균등하게 담겨 지도록 하는 제품 분산 이송부; 및
    상기 제품 이송부의 후단 하부로 이송된 제품수거박스의 내부에 제품이 가득 차게 되면 상기 본체 프레임 하부의 대차 수용부에 진입된 운반 대차로 제품 수거가 완료된 제품수거박스들이 하나씩 적층 되도록 하는 박스 승강 이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대차 수용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운반 대차가 대차 수용부의 내측으로까지 이송되도록 하거나 제품수거박스들의 적층이 완료되면 운반 대차가 다시 외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대차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분산 이송부는,
    상기 제품 이송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연결되어 일정한 시간 주기별로 상이한 경사를 이루도록 회동 되며 제품들이 제품수거박스로 떨어지도록 안내하는 회동 가이드부와,
    상기 회동 가이드부의 하부와 구름 접촉되는 가이드 경사부가 내측 후방에 구비되고 상하로는 개방되며 전방과 양측방은 폐쇄된 형태로 마련되며 일정한 시간 주기별로 전후 수평 왕복 되어 제품들이 제품수거박스로 수평 상 균등하게 떨어지도록 하는 분산 낙하 가이드 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
KR1020190091692A 2019-07-29 2019-07-29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 KR102023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692A KR102023527B1 (ko) 2019-07-29 2019-07-29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692A KR102023527B1 (ko) 2019-07-29 2019-07-29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3527B1 true KR102023527B1 (ko) 2019-09-20

Family

ID=68067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692A KR102023527B1 (ko) 2019-07-29 2019-07-29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5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622B1 (ko) * 1993-11-18 1996-10-10 조광호 자동 적재장치
KR100426133B1 (ko) 2003-06-23 2004-04-08 김상근 제품박스 자동적재장치
EP1607332A1 (en) * 2004-06-17 2005-12-21 Toyo Jidoki Co., Ltd. Empty-bag group accommodation tray, tray transporting container, empty-bag group conveying and supplying method and system
JP2014084205A (ja) * 2012-10-24 2014-05-12 Kurashiki Kako Co Ltd 段積み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622B1 (ko) * 1993-11-18 1996-10-10 조광호 자동 적재장치
KR100426133B1 (ko) 2003-06-23 2004-04-08 김상근 제품박스 자동적재장치
EP1607332A1 (en) * 2004-06-17 2005-12-21 Toyo Jidoki Co., Ltd. Empty-bag group accommodation tray, tray transporting container, empty-bag group conveying and supplying method and system
JP2014084205A (ja) * 2012-10-24 2014-05-12 Kurashiki Kako Co Ltd 段積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29042A (zh) 全自动上料流水线的上料方法
CN106112538A (zh) 自动铆压组装设备
CN106697699B (zh) 一种带配方输送线的辅料自动配盘入库物流系统
CN109195740A (zh) 制造工站和制造方法
CN106743785B (zh) 一种带自动分类输送线的辅料入库物流系统
CN106286617A (zh) 轴承自动装配生产线
CN106743288A (zh) 一种台车车轮自动上料清洗系统及其使用方法
CN103827001A (zh) 用于装载和卸载工件载运容器的站
CN112894347B (zh) 一种搬运机器人的组装设备及其工作方法
CN106829294B (zh) 辅料自动配盘、输送、入库物流系统
KR102023527B1 (ko)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
CN106964981B (zh) 铆焊一体机
CN206050297U (zh) 一种组合包装生产线
CN206172527U (zh) 多工位点焊码垛机器人系统
KR20190045756A (ko) 생산 자동차에 타이어를 장착하기 위한 체결부품 자동화세팅장치
AU581053B2 (en) Helical storage container
KR102625131B1 (ko)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
CN214979150U (zh) 一种注射器自动组装系统
CN214922180U (zh) 一种自动组装上料设备
CN206528964U (zh) 一种台车车轮自动上料清洗系统
CN209455742U (zh) 一种成型机半制品小车导开机构
CN211545189U (zh) 一种圆销供料装置
KR101984467B1 (ko) 포장용 로봇시스템
KR20180101864A (ko) 화장품 용기용 캡 제조장치
CN208964104U (zh) 一种高位拆垛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