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131B1 -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131B1
KR102625131B1 KR1020210182648A KR20210182648A KR102625131B1 KR 102625131 B1 KR102625131 B1 KR 102625131B1 KR 1020210182648 A KR1020210182648 A KR 1020210182648A KR 20210182648 A KR20210182648 A KR 20210182648A KR 102625131 B1 KR102625131 B1 KR 102625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gear
pair
gears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3764A (ko
Inventor
신기수
Original Assignee
(주)애니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니토이 filed Critical (주)애니토이
Priority to KR1020210182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131B1/ko
Publication of KR20230093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3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65G15/1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 B66F7/14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screw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1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 B65G2812/016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by co-operating units in tandem
    • B65G2812/017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by co-operating units in tandem using tilted or side by side conveyor s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는,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이격되게 위치되는 지지 프레임과, 한 쌍의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구비되며 컨베이어 수단을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 수단과, 한 쌍의 상기 승하강 수단의 사이에 구비되며 승하강 수단에 의하여 승하강됨과 더불어 상부에 놓여지는 트레이를 일측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AI 이송 로봇 또는 자재 적재 장치와 대응되는 높이에 맞추어 컨베이어 수단의 이송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AI 이송 로봇 또는 자재 적재 장치와 트레이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lift-type transport device}
본 발명은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하강 수단에 의하여 컨베이어 수단이 AI 이송 로봇 또는 자재 적재 장치와 대응되는 높이에 맞추어 이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AI 이송 로봇 또는 자재 적재 장치와 트레이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라 함은, 벨트 또는 체인이 회전됨으로써 벨트 또는 체인의 상부에 놓여지는 물체가 벨트 또는 체인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 장치이다.
이러한, 컨베이어는 고정 설치됨으로써 어느 한 지점으로부터 다른 어느 한 지점으로 물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전용 장치로써, 다양한 장비 또는 장치와의 호환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227964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승하강 수단에 의하여 컨베이어 수단이 AI 이송 로봇 또는 자재 적재 장치와 대응되는 높이에 맞추어 이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AI 이송 로봇 또는 자재 적재 장치와 트레이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이격되게 위치되는 지지 프레임과, 한 쌍의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구비되며 컨베이어 수단을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 수단과, 한 쌍의 상기 승하강 수단의 사이에 구비되며 승하강 수단에 의하여 승하강됨과 더불어 상부에 놓여지는 트레이를 일측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 수단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이격되면서 이송 스크류를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이격 부재와, 한 쌍의 이격 부재의 사이에 구비되며 승하강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이송 스크류와, 상기 지지 프레임 또는 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며 이송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승하강 동력부와, 상기 이송 스크류와 결합되며 이송 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이송 스크류를 따라 이송되는 에이프런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에이프런의 직선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1 승하강 가이드부와, 상기 에이프런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제1 승하강 가이드부와 결합됨으로써 제1 승하강 가이드부와 함께 에이프런의 직선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2 승하강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베이어 수단은, 한 쌍의 에이프런 사이에 구비되며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는 면적을 제공하면서 에이프런에 의하여 일측으로 이송되는 컨베이어 몸체와, 상기 컨베이어 몸체의 내부에서 일측에 구비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면서 상호 이격되게 위치됨과 더불어 제1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 기어와, 한 쌍의 상기 제1 기어와 결합되며 동력 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한 쌍의 제1 기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의 내부에 구비되며 컨베이어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1 컨베이어 벨트를 이송시키는 동력 기어와, 상기 컨베이어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동력 기어를 회전시키는 컨베이어 동력부와, 상기 컨베이어 몸체의 내부에서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면서 상호 이격되게 위치됨과 더불어 제1 샤프트 또는 제2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2 기어와, 한 쌍의 상기 제2 기어와 결합되며 제2 기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다른 제2 기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기어 및 제2 기어 중 대향되게 위치되는 어느 한 제1 기어 및 제2 기어를 연결하면서 컨베이어 몸체의 일면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제1 샤프트와, 상기 제1 샤프트의 일단에 형성되며 제1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제1 연결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의 다른 일측에는, 베이스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며, 컨베이어 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부에 놓여지는 트레이를 일측으로 이송하는 보조 컨베이어 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보조 컨베이어 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는 면적을 제공하는 보조 컨베이어 몸체와, 상기 보조 컨베이어 몸체의 내부에서 일측에 구비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면서 상호 이격되게 위치됨과 더불어 제2 샤프트 또는 제3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3 기어와, 한 쌍의 상기 제3 기어와 결합되며 제3 기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다른 제3 기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3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보조 컨베이어 몸체의 내부에서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면서 상호 이격되게 위치됨과 더불어 제2 샤프트 또는 제4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4 기어와, 한 쌍의 상기 제4 기어와 결합되며 제4 기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다른 제4 기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4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보조 컨베이어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3 기어 및 제4 기어 중 대향되게 위치되는 어느 한 제3 기어 및 제4 기어를 연결하면서 보조 컨베이어 몸체의 일면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제2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의 일단에 형성되며 제1 연결 기어와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제2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제2 연결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조 컨베이어 몸체의 일면에는, 상기 보조 컨베이어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는, 상기 보조 컨베이어 수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발명에서는 승하강 수단에 의하여 컨베이어 수단이 AI 이송 로봇 또는 자재 적재 장치와 대응되는 높이에 맞추어 이송될 수 있게 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조 컨베이어 수단이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AI 이송 로봇의 이용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인력을 통해 계속해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이스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보조 컨베이어 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보조 컨베이어 수단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이스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보조 컨베이어 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보조 컨베이어 수단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는,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일측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이격되게 위치되는 지지 프레임(110)과, 한 쌍의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일측에 각각 구비되며 컨베이어 수단(300)을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 수단(200)과, 한 쌍의 상기 승하강 수단(200)의 사이에 구비되며 승하강 수단(200)에 의하여 승하강됨과 더불어 상부에 놓여지는 트레이(미도시)를 일측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수단(3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00)는, 사각 평판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지면에 설치되면서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부위이다.
더불어, 상기 베이스(100)의 일면에는, 후술될 보조 컨베이어 수단(4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홈(12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20)은, 베이스(100)의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될 삽입부(412)의 삽입이 이루어짐으로써 베이스(100)와 보조 컨베이어 수단(400)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결합홈(120)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면의 일부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삽입부(412)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결합홈(120)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면의 다른 일부가 결합홈(120)의 상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결합홈(120)의 내부에 삽입부(412)의 삽입이 완전히 이루어질 경우 삽입부(412)가 정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베이스(100)의 상부에는 지지 프레임(110)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 프레임(110)은, 베이스(100)의 상면(도 1에서)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다수의 부품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면적을 제공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11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면서, 한 쌍의 지지 프레임(110)은 베이스(100)의 상면에서 좌측단(도 1에서)과 우측단(도 1에서)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상호 이격되게 위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베이스(100)의 상부에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110)이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지지 프레임(110) 각각에는, 승하강 수단(200)이 구비된다.
상기 승하강 수단(200)은,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이격되면서 이송 스크류(220)를 지지 프레임(110)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이격 부재(210)와, 한 쌍의 이격 부재(210)의 사이에 구비되며 승하강 동력부(2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이송 스크류(220)와, 상기 지지 프레임(110) 또는 베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이송 스크류(220)를 회전시키는 승하강 동력부(230)와, 상기 이송 스크류(220)와 결합되며 이송 스크류(220)의 회전에 의하여 이송 스크류(220)를 따라 이송되는 에이프런(240)과,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에이프런(240)의 직선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1 승하강 가이드부(250)와, 상기 에이프런(24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제1 승하강 가이드부(250)와 결합됨으로써 제1 승하강 가이드부(250)와 함께 에이프런(240)의 직선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2 승하강 가이드부(2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격 부재(210)는,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면(서로 다른 지지 프레임이 마주보는 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송 스크류(220)가 지지 프레임(11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이송 스크류(22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이격 부재(21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면서 상호 이격되게 위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이격 부재(210)는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면에서도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한 쌍의 이격 부재(210) 사이에는 이송 스크류(220)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 스크류(220)는, 한 쌍의 이격 부재(210)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부위로, 승하강 동력부(2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부위이다.
즉, 이송 스크류(220)는 널리 알려진 볼스크류에 해당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이송 스크류(220)의 회전을 위한 승하강 동력부(230)가 구비된다.
상기 승하강 동력부(230)는,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면 또는 베이스(100)의 상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송 스크류(220)와 결합되어 이송 스크류(22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즉, 승하강 동력부(230)는 이송 스크류(22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에 해당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송 스크류(220)에는 에이프런(240)이 구비된다.
상기 에이프런(240)은, 이송 스크류(220)와 결합되는 부위로, 내부에는 탭이 형성됨으로써 이송 스크류(220)의 회전에 따라 이송 스크류(220)를 따라 상측(도 1에서)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부위이다.
한편,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면에는 제1 승하강 가이드부(25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승하강 가이드부(250)는,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으로, 이송 스크류(220)와 결합되는 에이프런(240)의 회전을 제한하면서도 에이프런(240)의 직선 이송을 가이드하기 위한 부위이다.
이를 위해, 제1 승하강 가이드부(250)는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승하강 가이드부(250)가 한 쌍으로 구성됨을 예로 한다.
그리고, 에이프런(240)의 내측면(지지 프레임과 마주보는 면)에는 제2 승하강 가이드부(26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승하강 가이드부(260)는, 에이프런(240)의 내측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으로, 이송 스크류(220)와 결합되는 에이프런(240)의 회전을 제한하면서도 에이프런(240)의 직선 이송을 가이드하기 위한 부위이다.
이를 위해, 제2 승하강 가이드부(260)는 에이프런(240)의 내측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제1 승하강 가이드부(250)와 제2 승하강 가이드부(260)는 상호 결합됨으로써 에이프런(240)의 직선 이송을 가이드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2 승하강 가이드부(260)가 한 쌍으로 구성됨을 예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승하강 수단(200)에 의하여 컨베이어 수단(300)의 상하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한 쌍의 승하강 수단(200) 사이에는 컨베이어 수단(300)이 구비된다.
상기 컨베이어 수단(300)은, 한 쌍의 에이프런(240) 사이에 구비되며,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는 면적을 제공하면서 에이프런(240)에 의하여 일측으로 이송되는 컨베이어 몸체(310)와, 상기 컨베이어 몸체(310)의 내부에서 일측에 구비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면서 상호 이격되게 위치됨과 더불어 제1 컨베이어 벨트(3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 기어(320)와, 한 쌍의 상기 제1 기어(320)와 결합되며 동력 기어(34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한 쌍의 제1 기어(3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컨베이어 벨트(330)와,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330)의 내부에 구비되며 컨베이어 동력부(3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1 컨베이어 벨트(330)를 이송시키는 동력 기어(340)와, 상기 컨베이어 몸체(310)의 내부에 구비되며 동력 기어(340)를 회전시키는 컨베이어 동력부(350)와, 상기 컨베이어 몸체(310)의 내부에서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면서 상호 이격되게 위치됨과 더불어 제1 샤프트(380) 또는 제2 컨베이어 벨트(37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2 기어(360)와, 한 쌍의 상기 제2 기어(360)와 결합되며 제2 기어(360)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다른 제2 기어(36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컨베이어 벨트(370)와, 상기 컨베이어 몸체(310)의 내부에 구비되며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기어(320) 및 제2 기어(360) 중 대향되게 위치되는 어느 한 제1 기어(320) 및 제2 기어(360)를 연결하면서 컨베이어 몸체(310)의 일면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제1 샤프트(380)와, 상기 제1 샤프트(380)의 일단에 형성되며 제1 샤프트(380)와 함께 회전되는 제1 연결 기어(39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컨베이어 몸체(310)는, 사각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 쌍의 에이프런(240) 사이에 결합됨으로써 에이프런(240)과 함께 상하로 이송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컨베이어 몸체(310)는 AI 이송 로봇 또는 자재 적재 장치와의 트레이 이송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컨베이어 몸체(310)의 양 측면(도 1에서 좌우) 상부에는 제1 컨베이어 벨트(330) 및 제2 컨베이어 벨트(370)에 의하여 이송되는 트레이가 컨베이어 몸체(310)의 측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제1 컨베이어 벨트(330) 및 제2 컨베이어 벨트(370)를 통해 AI 이송 로봇 또는 자재 적재 장치로부터 트레이를 공급 받거나 또는 공급하는 과정에서 트레이의 걸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단(311)이 더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컨베이어 몸체(310)의 내부에는 제1 기어(3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기어(320)는, 컨베이어 몸체(310)의 내면 중에서도 좌측면(도 2에서)에 구비되는 것으로, 동력을 전달 받거나 또는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제1 기어(3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컨베이어 몸체(310)의 좌측면 중에서도 전방측(도 2에서 상측)과 후방측(도 2에서 하측)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서로 다른 제1 기어(320)는 상호 이격되게 위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제1 기어(320)에는 제1 컨베이어 벨트(33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330)는, 한 쌍의 제1 기어(320)와 결합되는 것으로, 동력 기어(340)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이송됨으로써 제1 기어(3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 과정에서, 제1 컨베이어 벨트(330)의 상부에 놓여지는 트레이 또는 여타 물체는 제1 컨베이어 벨트(330) 및 제2 컨베이어 벨트(370)의 이송에 따라 함께 이송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컨베이어 몸체(310)의 내부에는 지지단(351)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단(351)은, 컨베이어 몸체(310)의 내부에서도 좌측면(도 2에서)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컨베이어 동력부(350)가 컨베이어 몸체(310)의 내부에서도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지지단(351)의 일측에는 컨베이어 동력부(350)가 구비된다.
상기 컨베이어 동력부(350)는, 지지단(351)의 후방면(도 2에서 하측) 방향에 구비되는 것으로, 동력 기어(340)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컨베이어 동력부(350)는 모터에 해당되는 것이다.
이러한, 컨베이어 동력부(350)에는 동력 기어(340)가 구비된다.
상기 동력 기어(340)는, 컨베이어 동력부(350)의 좌측면(도 2에서)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면서 제1 컨베이어 벨트(330)와 접촉되는 부위로, 컨베이어 동력부(3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으로써 제1 컨베이어 벨트(330)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동력 기어(340)가 제1 컨베이어 벨트(330)와 접촉되면서 회전됨으로써 제1 컨베이어 벨트(330)의 이송이 이루어지게 되며, 제1 컨베이어 벨트(330)의 이송에 따라 제1 기어(320)도 회전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동력 기어(340)가 제1 컨베이어 벨트(330)와 접촉됨을 예로 하였으나 제2 컨베이어 벨트(370)와 접촉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며, 이에 맞추어 동력 기어(340)로 동력을 제공하는 컨베이어 동력부(350)의 위치 또는 지지 구성도 달리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2 기어(360)는, 컨베이어 몸체(310)의 내면 중에서도 우측면(도 2에서)에 구비되는 것으로, 동력을 전달 받거나 또는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제2 기어(36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컨베이어 몸체(310)의 우측면 중에서도 전방측(도 2에서 상측)과 후방측(도 2에서 하측)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서로 다른 제2 기어(360)는 상호 이격되게 위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제2 기어(360)에는 제2 컨베이어 벨트(37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370)는, 한 쌍의 제2 기어(360)와 결합되는 것으로, 한 쌍의 제2 기어(360)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이송됨으로써 다른 제2 기어(36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 과정에서, 제2 컨베이어 벨트(370)의 상부에 놓여지는 트레이 또는 여타 물체는 제2 컨베이어 벨트(370) 및 제1 컨베이어 벨트(330)의 이송에 따라 함께 이송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컨베이어 몸체(310)의 내부에는 제1 샤프트(38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샤프트(380)는, 컨베이어 몸체(3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몸체(310)의 전방측(도 2에서 상측)에 구비되는 제1 기어(320) 및 제2 기어(360)를 연결함으로써 제1 기어(320)의 회전에 따라 제2 기어(360)도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대향되게 위치되는 두 쌍의 제1 기어(320) 및 제2 기어(360) 중 어느 한 쌍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그리고, 제1 샤프트(380)는 컨베이어 몸체(310)의 전방측(도 2에서 상측)에 구비되는 제1 기어(320) 및 제2 기어(360)를 연결(도 2에서 좌우)하면서도 컨베이어 몸체(310)의 우측면(도 2에서)을 관통하여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된다.
한번 더 설명하면, 컨베이어 몸체(310)의 우측면(도 2에서)은 제1 샤프트(380)에 의하여 관통되고, 제1 샤프트(380)는 컨베이어 몸체(310)의 우측면(도 2에서)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더 연장되게 위치된다.
이러한, 제1 샤프트(380)에는 제1 연결 기어(39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 기어(390)는, 제1 샤프트(380)의 우측단(도 2에서)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1 샤프트(380)가 회전될 경우 제1 샤프트(380)와 함께 회전되는 부위이다.
즉, 제1 연결 기어(390)는 제1 기어(320)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며, 이를 통해 보조 컨베이어 수단(400)으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1 연결 기어(390)는 제1 기어(320) 또는 제2 기어(360)보다 더 큰 직경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는 제2 연결 기어(470)와의 연결을 위한 것이다.
한번 더 설명하면, 제1 샤프트(380)에는 한 쌍의 제1 기어(320) 중 어느 하나 및 한 쌍의 제2 기어(360) 중 어느 하나와 제1 연결 기어(390)가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컨베이어 수단(300)에 의하여 컨베이어 수단(300)의 상부에 놓여지는 트레이 또는 여타 물체의 이송(도 2에서 상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승하강 수단(200) 및 컨베이어 수단(300)의 상관 관계에 의하여 컨베이어 수단(300)이 상측으로 이송되면서 트레이 또는 여타 물체는 컨베이어 수단(300)을 따라 전방측 또는 후방측(도 2에서 상하)으로 이송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은, AI 이송 로봇으로부터 빈 트레이를 공급 받거나 또는 AI 이송 로봇으로 자재가 적재된 트레이를 공급하며, 자재 적재 장치로부터 자재가 적재된 트레이를 공급 받거나 또는 빈 트레이를 자재 적재 장치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AI이송 로봇(미도시)은, 가공 장치로부터 빈 트레이를 공급받아 컨베이어 수단(300)으로 빈 트레이를 공급하거나 또는 컨베이어 수단(300)으로부터 자재가 적재된 트레이를 공급받아 가공 장치로 자재가 적재된 트레이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AI 이송 로봇을 통해 트레이의 자율 이송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자재 적재 장치(미도시)는, 컨베이어 수단(300)으로부터 빈 트레이를 공급받아 빈 트레이에 자재가 적재될 수 있도록 한 다음 다시 컨베이어 수단(300)으로 자재가 적재된 트레이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자재 적재 장치를 통해 빈 트레이에 자재의 자동 적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 때, AI 이송 로봇의 트레이 이송 높이, 자재 적재 장치의 빈 트레이 이송 높이, 자재 적재 장치의 자재가 적재된 트레이의 이송 높이가 각각 다르므로 컨베이어 수단(300)은 승하강 수단(200)을 통해 각각의 높이에 맞추어 승하강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에서는 컨베이어 수단(300)에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프로그래밍을 통해 AI 이송 로봇 또는 자재 적재 장치가 요구하는 이송 높이에 맞춰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을 이루는 승하강 동력부(230)가 서보 모터 또는 스텝 모터로 이루어짐으로써 프로그래밍을 통해 AI 이송 로봇 또는 자재 적재 장치가 요구하는 이송 높이에 맞춰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베이스(100)의 다른 일측에는, 베이스(100)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며 컨베이어 수단(30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부에 놓여지는 트레이를 일측으로 이송하는 보조 컨베이어 수단(400)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베이스(100)의 전방측(도 3에서 우측)에는, 베이스(100)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보조 컨베이어 수단(400)이 구비된다.
상기 보조 컨베이어 수단(400)은, 상기 베이스(100)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는 면적을 제공하는 보조 컨베이어 몸체(410)와, 상기 보조 컨베이어 몸체(410)의 내부에서 일측에 구비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면서 상호 이격되게 위치됨과 더불어 제2 샤프트(460) 또는 제3 컨베이어 벨트(4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3 기어(420)와, 한 쌍의 상기 제3 기어(420)와 결합되며 제3 기어(420)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다른 제3 기어(4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3 컨베이어 벨트(430)와, 상기 보조 컨베이어 몸체(410)의 내부에서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면서 상호 이격되게 위치됨과 더불어 제2 샤프트(460) 또는 제4 컨베이어 벨트(4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4 기어(440)와, 한 쌍의 상기 제4 기어(440)와 결합되며 제4 기어(440)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다른 제4 기어(44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4 컨베이어 벨트(450)와, 상기 보조 컨베이어 몸체(410)의 내부에 구비되며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3 기어(420) 및 제4 기어(440) 중 대향되게 위치되는 어느 한 제3 기어(420) 및 제4 기어(440)를 연결하면서 보조 컨베이어 몸체(410)의 일면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제2 샤프트(460)와, 상기 제2 샤프트(460)의 일단에 형성되며 제1 연결 기어(390)와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제2 샤프트(460)를 회전시키는 제2 연결 기어(47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조 컨베이어 몸체(410)는, 사각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베이스(100)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부위이다.
그리고, 보조 컨베이어 몸체(410)의 일면에는, 상기 보조 컨베이어 몸체(410)의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411)와, 상기 돌출부의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결합홈(120)에 삽입되는 삽입부(412)가 더 형성된다.
먼저, 보조 컨베이어 몸체(410)의 후방면에는 돌출부(411)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411)는, 보조 컨베이어 몸체(410)의 후방면(도 4에서 하측)으로부터 후방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부위이다.
즉, 보조 컨베이어 몸체(410)는 돌출부(411)가 형성됨에 따라 보조 컨베이어 몸체(410)의 후방면 일부가 후방측(도 5에서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411)에는 삽입부(412)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412)는, 돌출부(411)의 저면(도 5에서)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베이스(100)에 형성된 결합홈(120)에 삽입됨으로써 베이스(100)와 보조 컨베이어 몸체(41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즉, 보조 컨베이어 몸체(410)에 돌출부(411)와 삽입부(412)가 형성됨으로써 보조 컨베이어 몸체(410)는 베이스(100)와의 선태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보조 컨베이어 몸체(410)는 이송 대차와의 트레이 이송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보조 컨베이어 몸체(410)의 내부에는 제3 기어(420)가 구비된다.
상기 제3 기어(420)는, 보조 컨베이어 몸체(410)의 내면 중에서도 좌측면(도 4에서)에 구비되는 것으로, 동력을 전달 받거나 또는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제3 기어(4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조 컨베이어 몸체(410)의 좌측면 중에서도 전방측(도 4에서 상측)과 후방측(도 4에서 하측)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서로 다른 제3 기어(420)는 상호 이격되게 위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제3 기어(420)에는 제3 컨베이어 벨트(430)가 구비된다.
상기 제3 컨베이어 벨트(430)는, 한 쌍의 제3 기어(420)와 결합되는 것으로, 한 쌍의 제3 기어(420)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이송됨으로써 다른 제3 기어(4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 과정에서, 제3 컨베이어 벨트(430)의 상부에 놓여지는 트레이 또는 여타 물체는 제3 컨베이어 벨트(430) 및 제4 컨베이어 벨트(450)의 이송에 따라 함께 이송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보조 컨베이어 몸체(410)의 내부에는 제4 기어(440)가 구비된다.
상기 제4 기어(440)는, 보조 컨베이어 몸체(410)의 내면 중에서도 우측면(도 4에서)에 구비되는 것으로, 동력을 전달 받거나 또는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제4 기어(44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조 컨베이어 몸체(410)의 우측면 중에서도 전방측(도 4에서 상측)과 후방측(도 4에서 하측)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서로 다른 제4 기어(440)는 상호 이격되게 위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제4 기어(440)에는 제4 컨베이어 벨트(450)가 구비된다.
상기 제4 컨베이어 벨트(450)는, 한 쌍의 제4 기어(440)와 결합되는 것으로, 한 쌍의 제4 기어(440)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이송됨으로써 다른 제4 기어(44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 과정에서, 제4 컨베이어 벨트(450)의 상부에 놓여지는 트레이 또는 여타 물체는 제4 컨베이어 벨트(450) 및 제3 컨베이어 벨트(430)의 이송에 따라 함께 이송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보조 컨베이어 몸체(410)의 내부에는 제2 샤프트(46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샤프트(460)는, 보조 컨베이어 몸체(4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 컨베이어 몸체(410)의 후방측(도 4에서 하측)에 구비되는 제3 기어(420) 및 제4 기어(440)를 연결함으로써 제2 연결 기어(470)의 회전에 따라 제3 기어(420) 및 제4 기어(440)도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대향되게 위치되는 두 쌍의 제3 기어(420) 및 제4 기어(440) 중 어느 한 쌍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그리고, 제2 샤프트(460)는 보조 컨베이어 몸체(410)의 후방측(도 4에서 하측)에 구비되는 제3 기어(420) 및 제4 기어(440)를 연결(도 4에서 좌우)하면서도 보조 컨베이어 몸체(410)의 우측면(도 4에서)을 관통하여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된다.
한번 더 설명하면, 보조 컨베이어 몸체(410)의 우측면(도 4에서)은 제2 샤프트(460)에 의하여 관통되고, 제2 샤프트(460)는 보조 컨베이어 몸체(410)의 우측면(도 4에서)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더 연장되게 위치된다.
이러한, 제2 샤프트(460)에는 제2 연결 기어(470)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연결 기어(470)는, 제2 샤프트(460)의 우측단(도 4에서)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1 연결 기어(390)와 결합될 경우 제1 연결 기어(39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으로써 제2 샤프트(460)를 회전시키는 부위이다.
즉, 제2 연결 기어(470)는 제1 연결 기어(390)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며, 이를 통해 제3 컨베이어 벨트(430) 및 제4 컨베이어 벨트(450)의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보조 컨베이어 수단(400)에 의하여, AI 이송 로봇의 수(數)가 부족하거나 또는 AI 이송 로봇이 고장났을 경우에도 이송 대차(미도시)를 통해 보조 컨베이어 수단(400)에 트레이를 공급하고, 보조 컨베이어 수단(400)은 컨베이어 수단(300)으로 트레이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컨베이어 수단(300)이 AI 이송 로봇 또는 자재 적재 장치로부터 트레이를 공급 받거나 또는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이송 대차로부터는 트레이를 공급받거나 또는 공급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즉, 컨베이어 수단(300)은 AI 이송 로봇 또는 자재 적재 장치로부터 트레이를 공급 받거나 또는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과 대비하여 보조 컨베이어 수단(400)은 이송 대차로부터 트레이를 공급받거나 또는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물론, 보조 컨베이어 수단(400)에 공급된 트레이를 컨베이어 수단(300)측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컨베이어 수단(300)으로부터 보조 컨베이어 수단(400)으로 트레이를 공급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또한, AI 이송 로봇의 구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경우 보조 컨베이어 수단(400)은 베이스(100)로부터 제거됨이 바람직하다.
한번 더 설명하면, 보조 컨베이어 수단(400)은, AI 이송 로봇의 구동이 불가할 때 인력을 통해 계속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발명에 의한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에서는 승하강 수단에 의하여 컨베이어 수단이 AI 이송 로봇 또는 자재 적재 장치와 대응되는 높이에 맞추어 이송될 수 있게 된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에서는 보조 컨베이어 수단이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AI 이송 로봇의 이용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인력을 통해 계속해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베이스 110. 지지 프레임
120. 결합홈 200. 승하강 수단
210. 이격 부재 220. 이송 스크류
230. 승하강 동력부 240. 에이프런
250. 제1 승하강 가이드부 260. 제2 승하강 가이드부
300. 컨베이어 수단 310. 컨베이어 몸체
311. 가이드단 320. 제1 기어
330. 제1 컨베이어 벨트 340. 동력 기어
350. 컨베이어 동력부 351. 지지단
360. 제2 기어 370. 제2 컨베이어 벨트
380. 제1 샤프트 390. 제1 연결 기어
400. 보조 컨베이어 수단 410. 보조 컨베이어 몸체
411. 돌출부 412. 삽입부
420. 제3 기어 430. 제3 컨베이어 벨트
440. 제4 기어 450. 제4 컨베이어 벨트
460. 제2 샤프트 470. 제2 연결 기어

Claims (5)

  1.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이격되게 위치되는 지지 프레임;
    한 쌍의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구비되며, 컨베이어 수단을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 수단;
    한 쌍의 상기 승하강 수단의 사이에 구비되며, 승하강 수단에 의하여 승하강됨과 더불어 상부에 놓여지는 트레이를 일측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승하강 수단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이격되면서 이송 스크류를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이격 부재;
    한 쌍의 이격 부재의 사이에 구비되며, 승하강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이송 스크류;
    상기 지지 프레임 또는 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며, 이송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승하강 동력부;
    상기 이송 스크류와 결합되며, 이송 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이송 스크류를 따라 이송되는 에이프런;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에이프런의 직선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1 승하강 가이드부;
    상기 에이프런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제1 승하강 가이드부와 결합됨으로써 제1 승하강 가이드부와 함께 에이프런의 직선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2 승하강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수단은,
    한 쌍의 에이프런 사이에 구비되며,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는 면적을 제공하면서 에이프런에 의하여 일측으로 이송되는 컨베이어 몸체;
    상기 컨베이어 몸체의 내부에서 일측에 구비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면서 상호 이격되게 위치됨과 더불어 제1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 기어;
    한 쌍의 상기 제1 기어와 결합되며, 동력 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한 쌍의 제1 기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컨베이어 벨트;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의 내부에 구비되며, 컨베이어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1 컨베이어 벨트를 이송시키는 동력 기어;
    상기 컨베이어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동력 기어를 회전시키는 컨베이어 동력부;
    상기 컨베이어 몸체의 내부에서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면서 상호 이격되게 위치됨과 더불어 제1 샤프트 또는 제2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2 기어;
    한 쌍의 상기 제2 기어와 결합되며, 제2 기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다른 제2 기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기어 및 제2 기어 중 대향되게 위치되는 어느 한 제1 기어 및 제2 기어를 연결하면서 컨베이어 몸체의 일면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제1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의 일단에 형성되며, 제1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제1 연결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다른 일측에는, 베이스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며, 컨베이어 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부에 놓여지는 트레이를 일측으로 이송하는 보조 컨베이어 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보조 컨베이어 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는 면적을 제공하는 보조 컨베이어 몸체;
    상기 보조 컨베이어 몸체의 내부에서 일측에 구비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면서 상호 이격되게 위치됨과 더불어 제2 샤프트 또는 제3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3 기어;
    한 쌍의 상기 제3 기어와 결합되며, 제3 기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다른 제3 기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3 컨베이어 벨트;
    상기 보조 컨베이어 몸체의 내부에서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면서 상호 이격되게 위치됨과 더불어 제2 샤프트 또는 제4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4 기어;
    한 쌍의 상기 제4 기어와 결합되며, 제4 기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다른 제4 기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4 컨베이어 벨트;
    상기 보조 컨베이어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3 기어 및 제4 기어 중 대향되게 위치되는 어느 한 제3 기어 및 제4 기어를 연결하면서 보조 컨베이어 몸체의 일면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제2 샤프트;
    상기 제2 샤프트의 일단에 형성되며, 제1 연결 기어와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제2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제2 연결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조 컨베이어 몸체의 일면에는,
    상기 보조 컨베이어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는, 보조 컨베이어 수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
KR1020210182648A 2021-12-20 2021-12-20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 KR102625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648A KR102625131B1 (ko) 2021-12-20 2021-12-20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648A KR102625131B1 (ko) 2021-12-20 2021-12-20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764A KR20230093764A (ko) 2023-06-27
KR102625131B1 true KR102625131B1 (ko) 2024-01-16

Family

ID=86946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648A KR102625131B1 (ko) 2021-12-20 2021-12-20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1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33360A (zh) * 2023-07-20 2023-10-03 无锡超捷汽车连接技术有限公司 一种车用固定支承套连续式旋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964B1 (ko) 2012-09-12 2013-02-05 주식회사 아이엔텍 이송용 컨베이어장치
DE102016114604A1 (de) * 2016-08-05 2018-02-08 Wipotec Wiege- Und Positioniersysteme Gmbh Förder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764A (ko)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8983A (en) Automatic board handling mechanism
KR102625131B1 (ko) Ai 이송 로봇과 부품 투입/취출 컨베이어 간 부품 수송 연결을 위한 리프트 장치
CN111769064B (zh) 上下料装置
KR20200071185A (ko)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
JP2020066483A (ja) 物品搬送装置及び物品保管装置
CN212412070U (zh) 上料装置及上下料装置
CN112930312B (zh) 桥式输送车
KR102122086B1 (ko) 트레이 로딩 및 언로딩 장치
JPH06219511A (ja) ピッキング用自動倉庫
CN112573051A (zh) 物品传送装置
KR102205486B1 (ko) 부품 정렬장치, 부품 탑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부품 자동 정렬·탑재 시스템
KR20170079589A (ko) 링크 부재로 다중 연결되는 파렛트
KR102645002B1 (ko) 마그넷 삽입 자동화 라인 시스템
CN217229158U (zh) 缓存装置和自动上下料加工系统
KR200451590Y1 (ko) 도광판 자동 이송 장치
KR102023527B1 (ko) 제품수거박스 적재배출장치
CN219429134U (zh) 集装箱地板的上料设备
CN219566620U (zh) 一种晶体管模块循环上料装置
KR102523374B1 (ko) 고효율 물류 하차 시스템
CN218878361U (zh) 双层输送线
CN216996339U (zh) 上下料设备和上下料系统
CN108177960A (zh) 一种输送装置
WO2021181924A1 (ja) グリッパ装置、搬送車、及び搬送方法
CN215247899U (zh) 自动化立体库中的适用于输送木托盘货物的输送线
KR200147517Y1 (ko) 캠코더 데크의 자동 조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