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185A -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185A
KR20200071185A KR1020180158298A KR20180158298A KR20200071185A KR 20200071185 A KR20200071185 A KR 20200071185A KR 1020180158298 A KR1020180158298 A KR 1020180158298A KR 20180158298 A KR20180158298 A KR 20180158298A KR 20200071185 A KR20200071185 A KR 20200071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display panel
aligning
loa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9539B1 (ko
Inventor
윤여신
윤여헌
서성우
윤주철
김종훈
국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알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알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알티
Priority to KR1020180158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539B1/ko
Publication of KR20200071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3/00Packaging fragile or shock-sensitive articles other than bottles; Unpacking eggs
    • B65B23/20Packaging plate glass, tiles, or shi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4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all rollers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65G13/12Roller frame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ingle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5/00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 B65G2205/04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where the stop device is not adap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는 다수의 이송롤러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이송시키고 좌우를 정렬시키도록 형성되는 컨베어유닛과, 상기 컨베어유닛 양측 하부에 각각 형성되며 승강모터에 의해 상기 컨베어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과, 상기 컨베어유닛의 후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박스가 이송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스토퍼와, 상기 컨베어유닛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박스가 설정된 위치로 진입되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박스를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the moving device for aligning the display panel loading box}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박스에 적재하거나 박스에 적재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배출할 때 박스를 정렬하고 이송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의 제조과정은 다수의 업체에서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각각의 모듈을 생산한 후 적재 및 포장하여 완제품 업체로 납품하게 되며, 완제품 업체에서는 적재된 모듈을 조립 라인으로 공급하여 디스플레이를 생산하게 된다.
이때 각 모듈의 제조업체에서는 생산된 모듈을 박스에 자동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언로딩부가 형성되어 있어 언로딩부에 의해 생산된 모듈이 하나씩 박스에 적재될 수 있으며, 완제품 업체에는 박스를 정렬 및 이송시켜 박스에 적재된 모듈이 공정 라인으로 자동 공급하기 위한 로딩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로딩부와 언로딩부는 박스를 정렬 및 이송시켜 박스 내부에 적재된 모듈이 자동화 설비를 통해 공정으로 자동 공급될 수 있도록 되며, 반대로 작업이 완료된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를 박스 내부에 적재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로딩부와 언로딩부에 위치되는 박스가 정렬되지 않은 경우 모듈이 박스에 정상적으로 적재되지 못하거나 박스로부터 모듈을 배출시키기 못해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박스의 위치를 정렬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국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06740호는 포장 박스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조립라인에 연속하도록 설치되어 그 위로 포장박스(100)가 운반되어 공급되는 베이스 프레임(10), 베이스 프레임(10)에 회전구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롤러들(11), 공급된 포장박스(100)를 정렬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31)(32)를 가지는 정렬부(30), 정렬되어 공급된 포장박스(100)를 양측에서 가압하여 들어 올리는 한 쌍의 서포트 플레이트(43)(44)와, 서포트 플레이트가 지지된 채로 상하로 승강운동 하는 서포트 블럭(60)(61)과, 서포트 블럭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46)(47)를 가지는 적재부(40)를 포함하고, 공급된 포장박스(100)를 서포트 플레이트(43)(44)로 가압하여 들어 올리고 후속적으로 공급되는 포장박스(200) 위에 적재한 다음, 후속적으로 공급된 포장박스(200)를 다시 서포트 플레이트(43)(44)로 가압하여 들어 올림으로써 다중층으로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박스를 정렬하기 위해 양측에서 가압되는 별도의 정렬부가 형성되어 있어야 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공급되는 박스의 크기에 따라 정렬부의 위치를 보정해줘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0674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공급되는 적재용 박스의 위치가 정렬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한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딩 또는 언로딩 장치로부터 적재 또는 배출되는 패널의 위치가 일정하도록 박스를 승강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딩 또는 언로딩 장치에 의해 패널이 적재 또는 배출될 때 박스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방지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의 다수의 이송롤러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이송시키고 좌우를 정렬시키도록 형성되는 컨베어유닛과, 상기 컨베어유닛 양측 하부에 각각 형성되며 승강모터에 의해 상기 컨베어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과, 상기 컨베어유닛의 후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박스가 이송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스토퍼와, 상기 컨베어유닛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박스가 설정된 위치로 진입되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박스를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의 상기 컨베어유닛은 각종 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서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박스를 이송시키는 다수 개의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의 일측에 형성되어 다수 개의 상기 이송롤러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구동부와, 상기 이송롤러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이송롤러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의 상기 이송롤러의 양 끝단에는 상기 박스를 정렬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정렬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정렬단은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고 있어 단차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박스는 크기에 따라 상기 정렬단의 단차에 접촉되면서 좌우가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의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이송롤러보다 하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동력이 발생되도록 형성되는 회동모터와, 상기 회동모터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이송롤러의 상부 또는 하부 방면으로 회동되는 회동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의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컨베어유닛의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컨베어유닛을 지지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모터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승강대를 승강시키는 볼스크류와, 상기 승강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승강대가 수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의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박스에 적재된 디스플레이 패널이 적재 또는 배출될 때마다 설정된 높이만큼 상승 또는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에 의하면,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공급되는 적재용 박스의 위치가 정렬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에 의하면, 로딩 또는 언로딩 장치로부터 적재 또는 배출되는 패널의 위치가 일정하도록 박스를 승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에 의하면, 로딩 또는 언로딩 장치에 의해 패널이 적재 또는 배출될 때 박스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인 포장 박스 적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의 고정유닛을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의 이송롤러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확대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박스에 적재하거나 박스에 적재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배출할 때 박스를 정렬하고 이송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10)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는 다수의 이송롤러(130)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10)를 이송시키고 좌우를 정렬시키도록 형성되는 컨베어유닛(100)과, 컨베어유닛(100) 양측 하부에 각각 형성되며 승강모터(210)에 의해 컨베어유닛(100)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200)과, 컨베어유닛(100)의 후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 박스(10)가 이송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스토퍼(300)와, 컨베어유닛(100)의 전면에 형성되고 박스(10)가 설정된 위치로 진입되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박스(10)를 고정하는 고정유닛(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컨베어유닛(100)은 각종 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의 상부에서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박스(10)를 이송시키는 다수 개의 이송롤러(130)와, 이송롤러(130)의 일측에 형성되어 다수 개의 이송롤러(130)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구동부(120)와, 이송롤러(130)의 타측에 형성되며 이송롤러(130)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1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승강유닛(200)은 컨베어유닛(100)의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컨베어유닛(100)을 지지하는 승강대와, 승강대의 중앙에 형성되어 승강모터(210)에 의해 회전되면 승강대를 승강시키는 볼스크류(230)와, 승강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승강대가 수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축(2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컨베어유닛(100)은 디스플레이 패널용 박스(10)를 이송 및 정렬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되는 다수의 이송롤러(130)가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박스(10)를 컨베어유닛(100) 중앙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컨베어유닛(100)의 프레임(110)은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각종 부재가 장착되거나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송롤러(130)는 프레임(110)의 상부 양측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며 프레임(110)의 전면에서 후면방면으로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송롤러(130)의 일측에는 각각의 이송롤러(13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구동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이송롤러(130)의 일측에는 다수의 기어가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부(120) 내부에 형성된 기어에 의해 각각의 이송롤러(130)는 서로 연결되어 있어 구동모터(140)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으면 모든 이송롤러(130)가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송롤러(130)의 타측은 베어링에 의해 자유회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송롤러(130) 중 어느 하나에는 구동모터(140)가 연결되어 구동모터(14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게 된다.
구동모터(140)에 의해 이송롤러(130) 중 어느 하나가 회전되면 구동부(120)에 의해 모든 이송롤러(130)가 회전되어 박스(10)를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컨베어유닛(100)의 후면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스토퍼(300)가 형성되어 있어 스토퍼(300)에 의해 박스(10)가 설정된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되며, 스토퍼(300)는 박스(10)가 접촉될 때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스토퍼(300)의 박스(10)와 접촉되는 면에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유닛(400)은 컨베어유닛(10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박스(10)가 컨베어유닛(100)에 의해 이송될 때는 컨베어유닛(100) 하부에 위치되고, 박스(10)가 스토퍼(300)가 형성된 위치까지 이송되어 스토퍼(300)와 접촉되면 고정유닛(400)은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박스(10)가 컨베어유닛(100)의 전면 또는 후면방향으로 이송되지 못하도록 방지하게 된다.
즉, 스토퍼(300)는 박스(10)의 일면과 접촉되고 고정유닛(400)은 박스(10)의 타면과 접촉되어 박스(1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승강유닛(200)은 컨베어유닛(100)을 상부 또는 하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승강모터(2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컨베어유닛(100)을 승강시킬 수 있게 되며, 승강유닛(200)에 형성되는 승강판(250), 볼스크류(230), 지지축(240), 구동벨트(220)는 컨베어유닛(1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승강판(250)은 프레임(110)과 결합되어 프레임(1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볼스크류(230)에 의해 승강될 수 있도록 중앙에는 볼스크류(230)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승강판(250)의 일측 및 타측에는 지지축(2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된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된 홀에는 지지축(240)이 삽입됨으로써 볼스크류(2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판(250)이 회전되지 않고 수직으로만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승강모터(210)는 컨베어유닛(100) 양측에 각각 형성된 볼스크류(230)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벨트(220)에 의해 양측 볼스크류(230)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게 되며, 컨베어유닛(100)이 승강유닛(200)에 의해 하강되었을 때 승강모터(210)가 접촉되어 파손되지 않도록 승강모터(210)는 바닥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강유닛(200)은 박스(10)에 적재된 디스플레이 패널이 적재 또는 배출될 때마다 설정된 높이만큼 상승 또는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승강유닛(200)의 구동모터(140)는 수치제어가 가능하여 컨베어유닛(100)을 설정된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으며, 박스(10)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적재하거나 배출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의 높이만큼 컨베어유닛(100)을 승강시켜 로딩부 또는 언로딩부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송시키는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박스(10)에 디스플레이 유닛이 모두 적재되면 이송유닛이 컨베어유닛(100)을 하강시켜 작업자가 박스(10)를 이송시키기 용이한 높이로 조정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의 고정유닛(400)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의 고정유닛(400)은 이송롤러(130)보다 하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동력이 발생되도록 형성되는 회동모터(420)와, 회동모터(420)의 전면에 형성되며 회동모터(4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송롤러(130)의 상부 또는 하부 방면으로 회동되는 회동대(4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유닛(400)은 회동대(410)와 회동모터(420)로 이루어져 있으며, 회동모터(420)는 이송롤러(130)보다 하부에 위치되어 박스가 이송롤러(130)에 의해 이송될 때 회동모터(420)가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대(410)는 이송모터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송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동되어 이송롤러(130)의 상부 방면으로 돌출되어 박스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회동대(410)의 박스가 접촉되는 면에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의 이송롤러(130)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의 이송롤러(130) 양 끝단에는 박스를 정렬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정렬단(131, 132, 1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정렬단(131, 132, 133)은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고 있어 단차가 형성되어 있으며, 박스는 크기에 따라 정렬단(131, 132, 133)의 단차에 접촉되면서 좌우가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렬단(131, 132, 133)은 이송롤러(130)의 양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 개가 서로 다른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어 박스의 크기에 따라 접촉되는 위치가 달라지도록 단차가 형성되게 된다.
이때 이송롤러(130)의 바깥쪽에 형성된 제1정렬단(131)의 지름이 가장 크게 형성되며 그 다음으로 제2정렬단(132), 제3정렬단(133) 순으로 지름이 작아지게 되며, 제3정렬단(133)은 이송롤러(13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정렬단(131), 제2정렬단(132), 제3정렬단(133)의 길이는 이송롤러(130)에 의해 이송되는 박스의 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단차가 발생되는 제1정렬단(131), 제2정렬단(132), 제3정렬단(133)의 끝단은 모따기 처리되어 있어 박스가 인입될 때 모따기된 부분에 의해 박스가 미끄러지면서 박스의 크기에 맞는 정렬단(131, 132, 133)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즉, 이송롤러(130)의 양끝단에 형성된 제1정렬단(131), 제2정렬단(132), 제3정렬단(133)은 박스의 크기에 맞춰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정렬단(131), 제2정렬단(132), 제3정렬단(133)에 의해 박스가 인입될 때 박스의 폭에 대응되는 위치로 자동으로 정렬되어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에 의하면,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공급되는 적재용 박스의 위치가 정렬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로딩 또는 언로딩 장치로부터 적재 또는 배출되는 패널의 위치가 일정하도록 박스를 승강시킬 수 있으며, 로딩 또는 언로딩 장치에 의해 패널이 적재 또는 배출될 때 박스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박스
100 : 컨베어유닛
110 : 프레임
120 : 구동부
130 : 이송롤러
131 : 제1정렬단
132 : 제2정렬단
133 : 제3정렬단
140 : 구동모터
200 : 승강유닛
210 : 승강모터
220 : 구동벨트
230 : 볼스크류
240 : 지지축
250 : 승강판
300 : 스토퍼
400 : 고정유닛
410 : 회동대
420 : 회동모터

Claims (6)

  1. 다수의 이송롤러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이송시키고 좌우를 정렬시키도록 형성되는 컨베어유닛과;
    상기 컨베어유닛 양측 하부에 각각 형성되며 승강모터에 의해 상기 컨베어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과;
    상기 컨베어유닛의 후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박스가 이송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스토퍼와;
    상기 컨베어유닛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박스가 설정된 위치로 진입되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박스를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어유닛은
    각종 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서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박스를 이송시키는 다수 개의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의 일측에 형성되어 다수 개의 상기 이송롤러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구동부와;
    상기 이송롤러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이송롤러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의 양 끝단에는 상기 박스를 정렬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정렬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정렬단은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고 있어 단차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박스는 크기에 따라 상기 정렬단의 단차에 접촉되면서 좌우가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이송롤러보다 하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동력이 발생되도록 형성되는 회동모터와;
    상기 회동모터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이송롤러의 상부 또는 하부 방면으로 회동되는 회동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컨베어유닛의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컨베어 유닛을 지지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모터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승강대를 승강시키는 볼스크류와;
    상기 승강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승강대가 수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박스에 적재된 디스플레이 패널이 적재 또는 배출될 때마다 설정된 높이만큼 상승 또는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
KR1020180158298A 2018-12-10 2018-12-10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 KR102129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298A KR102129539B1 (ko) 2018-12-10 2018-12-10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298A KR102129539B1 (ko) 2018-12-10 2018-12-10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185A true KR20200071185A (ko) 2020-06-19
KR102129539B1 KR102129539B1 (ko) 2020-07-03

Family

ID=71137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298A KR102129539B1 (ko) 2018-12-10 2018-12-10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5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215B1 (ko) * 2020-12-29 2022-04-25 민권식 포장용상자를 담는 박스의 운반과 포장용상자를 담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
KR20220102833A (ko) * 2021-01-14 2022-07-21 신종재 파레트 이송 장치
WO2023244196A1 (en) * 2022-10-03 2023-12-21 Cms Maki̇ne Sanayi̇ Ve Ti̇caret Anoni̇m Şi̇rketi̇ A driven stopper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272B1 (ko) * 2021-07-14 2024-01-23 최수현 포장박스용 골판지 원단 정렬 기능을 겸한 유입간격 조절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2916A (ja) * 1988-03-04 1990-02-02 Yuri Roll Kk 包装装置
JPH068354U (ja) * 1992-07-06 1994-02-01 株式会社アドテックエンジニアリング 搬送整列装置
JPH0680113A (ja) * 1992-05-11 1994-03-22 Kouno Plant Kogyo Kk 人参の自動整列、箱詰装置
JPH10181854A (ja) * 1996-12-24 1998-07-07 Suzuki Motor Corp 搬送ワークの方向変換装置
JPH11334846A (ja) * 1998-05-22 1999-12-07 Sony Corp ワーク搬送装置
KR200176534Y1 (ko) * 1999-10-28 2000-04-15 김문석 과일운반상자의 손잡이 해체장치
KR200206740Y1 (ko) 2000-06-12 2000-12-15 이상길 포장 박스 적재 장치
KR20160131794A (ko) * 2015-05-08 2016-11-16 이동석 양끝절단 포장 적재시스템의 정렬장치 및 그 부대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2916A (ja) * 1988-03-04 1990-02-02 Yuri Roll Kk 包装装置
JPH0680113A (ja) * 1992-05-11 1994-03-22 Kouno Plant Kogyo Kk 人参の自動整列、箱詰装置
JPH068354U (ja) * 1992-07-06 1994-02-01 株式会社アドテックエンジニアリング 搬送整列装置
JPH10181854A (ja) * 1996-12-24 1998-07-07 Suzuki Motor Corp 搬送ワークの方向変換装置
JPH11334846A (ja) * 1998-05-22 1999-12-07 Sony Corp ワーク搬送装置
KR200176534Y1 (ko) * 1999-10-28 2000-04-15 김문석 과일운반상자의 손잡이 해체장치
KR200206740Y1 (ko) 2000-06-12 2000-12-15 이상길 포장 박스 적재 장치
KR20160131794A (ko) * 2015-05-08 2016-11-16 이동석 양끝절단 포장 적재시스템의 정렬장치 및 그 부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215B1 (ko) * 2020-12-29 2022-04-25 민권식 포장용상자를 담는 박스의 운반과 포장용상자를 담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
KR20220102833A (ko) * 2021-01-14 2022-07-21 신종재 파레트 이송 장치
WO2023244196A1 (en) * 2022-10-03 2023-12-21 Cms Maki̇ne Sanayi̇ Ve Ti̇caret Anoni̇m Şi̇rketi̇ A driven stopp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539B1 (ko) 2020-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9539B1 (ko)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
KR100487298B1 (ko) 판형상체 반송장치
JP2019147693A (ja) 物品移送装置、物品検査装置、物品移送方法及び物品検査方法
JP2010245241A (ja) トレイ供給装置
CN113023377B (zh) 多模式电路板输送机
KR101207078B1 (ko) 자동화 장비용 트레이 로딩장치
TWI423880B (zh) 衝壓裝置用送料機及衝壓裝置系統
KR20170020024A (ko) 상자 적재 장치 및 상자 적재 방법
KR100702220B1 (ko) 컨베이어 장치
KR102199633B1 (ko) 반전유닛을 포함하는 박스스택용 피딩장치 및 피딩방법
CN113247681B (zh) 一种码垛顶升装置、码垛设备及方法
JP2019135191A (ja) 果菜自動箱詰め排出方法、果菜収容箱自動積み重ね排出方法、果菜自動箱詰め排出装置、果菜収容箱自動積み重ね排出装置
CN114655614A (zh) 自动装卸料设备
CN211496292U (zh) 一种应用于码垛系统的分离设备
CN109625482B (zh) 立体送料及燃气灶多产线汇流总装生产系统
CN114062901A (zh) 一种柔性化自动测试线
KR20120006774A (ko) 물품 이송용 컨베이어장치
KR101267002B1 (ko)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용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
CN219807430U (zh) 一种上下料机构
KR200269388Y1 (ko) 복수개 적층된 광물성 섬유보드를 투입하는 장치
KR20160059334A (ko) 전자부품 로딩 시스템용 수직 이송 장치
CN221318170U (zh) 送料装置及自动上下料系统
CN221318090U (zh) 一种用于传送带上改变物品传送方向的转向器
CN219253153U (zh) 一种烘烤设备
CN213059106U (zh) 自动仓储扫码分类设备的上料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