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534Y1 - 과일운반상자의 손잡이 해체장치 - Google Patents

과일운반상자의 손잡이 해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534Y1
KR200176534Y1 KR2019990023356U KR19990023356U KR200176534Y1 KR 200176534 Y1 KR200176534 Y1 KR 200176534Y1 KR 2019990023356 U KR2019990023356 U KR 2019990023356U KR 19990023356 U KR19990023356 U KR 19990023356U KR 200176534 Y1 KR200176534 Y1 KR 2001765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ruit
transport box
panel
fixed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33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석
이창희
Original Assignee
김문석
이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석, 이창희 filed Critical 김문석
Priority to KR20199900233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5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5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5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송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과일운반상자의 손잡이해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송수단(10)의 프레임(11) 양측에 설치되고, 후방 내측에 과일운반상자 (50)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부(92)가 구비된 고정판넬(100); 상기 이송수단(10)을 따라 이동되는 과일운반상자(50)를 고정판넬(100) 내측에서 정지시키도록 양측 고정판넬(100)의 전·후에 설치되는 멈춤수단(110); 상기 양측 고정판넬(100)의 측방에 설치된 복수개의 안내봉(94)과 한개의 측방에어실린더(96)에 의해 과일운반상자 (50)측으로 좌·우 수평 이동되도록 고정판넬(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이동판넬 (102); 상기 양측 이동판넬(102)의 내측 전·후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손잡이해체로드(82)가 구비된 원형의 회전판(80); 상기 일측의 고정판넬(100)과 이동판넬(102)의 사이에서 ∽형으로 배치된 구동용체인(75)과, 구동용체인(75)에 체결된 제 1, 제 2회전축(77)(78)과, 구동용체인(75)의 양단에 결합되어 에어의 공급에 의해 제 1, 제 2회전축(77)(78)을 회전시키도록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 1, 제 2에어실린더(70)(71)로 이루어지는 손잡이해체동작부(120)와 상기 고정판넬 (100) 외측에 구비된 조작부(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과일운반상자의 손잡이 해체장치 {A REMOVAL DEVICE OF THE KNOB OF FRUIT CONTAINER}
본 고안은 컨베이어 등 이송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과일운반상자의 손잡이해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이송수단의 프레임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넬과, 이 양측 고정판넬의 내측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판넬과, 이동판넬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과, 일측의 고정판넬과 이동판넬 내측에서 구동용체인에 의해 결합되는 두개의 에어실린더와, 상기 구동용체인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축의 일단에 연장설치된 회전판에 구비된 손잡이해체로드와, 고정판넬의 전,후방에 설치되어 과일운반상자의 이동을 저지하는 멈춤수단이 구비된 과일운반상자의 손잡이 해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농가에서는 과일의 선별작업시 작업의 효율성 향상과 작업인원의 절감을 위해 과일선별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과일선별기에는 수확한 과일이 담겨진 과일상자를 운반하기 위해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체인과 로울러가 구비된 콘베이가 필수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콘베이어에 의해 이동되는 과일이 채워진 과일운반상자는 콘베이어의 선단부에 설치된 덤핑장치의 작동에 의해 선별기로 투입되기 위해 선별기측의 과일보관상자로 과일이 투입되도록 하여 과일선별에 따른 일손을 절감하고, 정확한 선별로 과일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콘베이어상(20)에 실려 이동되는 과일운반상자는 통상적으로 과일운반상자(50)의 손잡이(55)가 과일운반상자(50)의 상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이동되어 덤핑장치(60)에 옮겨지고, 과일운반상자(50)는 덤핑장치(60)에 의해 일측으로 젖혀져 과일운반상자(50)내의 과일을 과일선별기 측으로 낙하시킨다. 이때, 과일운반상자(50)의 손잡이(55)는 과일운반상자(50)의 내측 상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덤핑장치(60)의 회전에 의해 과일운반상자(50)내에서 낙하되는 과일과 부딪치게 되고, 이로 인해 과일의 외피가 상처를 입게된다. 과일이 외피에 상처를 입게되면 장기간의 보관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시장에 나간 후에 상품성이 떨어져 제값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생산자의 경우 경제적 손실을 보게 되며, 양파와 같은 야채류인 경우에는 외피의 상처로 인해 금방 썩어버려서 생산자 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도 많은 손실을 주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확한 과일이 담겨진 과일운반상자를 콘베이어에 옮겨 놓은 후에 덤핑장치에 과일운반상자가 도달되기 이전에 별도의 작업자가 과일운반상자 상단에 위치한 과일운반상자의 손잡이를 해체하는 작업을 실시하여 덤핑시 과일외피에 상처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도록 하였으나, 이 때문에 별도의 작업자가 투입되어 인건비의 상승을 가져오고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콘베이어 등 이송수단에 운반되는 과일상자가 덤핑시 발생되는 과일의 외피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일의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과수농가의 수익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자동화된 콘베이어 뿐만 아니라 반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과일운반장치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일손을 절감하여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과일이 채워진 과일운반상자가 이송수단에 의해 이동중인 상태를 도시한 종래의 일실시예,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과일운반상자의 손잡이해체장치가 이송수단에 설치된 상태의 외관사시도,
도 3은 과일운반상자가 고정판넬 내측으로 진입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과일운반상자의 진행을 저지하기 위해 멈춤수단이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과일운반상자의 손잡이를 해체하기 위한 손잡이해체동작부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도 5의 손잡이해체동작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과일운반상자 55 : 손잡이
70 : 제 1에어실린더 71 : 제 2에어실린더
75 : 구동용체인 77 : 제 1회전축
78 : 제 2회전축 80 : 회전판
82 : 손잡이해체로드 92 : 감지부
94 : 가이드봉 96 : 측방에어실린더
100 : 고정판넬 102 : 이동판넬
110 : 멈춤수단 120 : 손잡이해체동작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과일운반상자의 손잡이 해체장치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는 이송수단의 프레임 양측 상단으로 고정설치되고, 후방 내측에 과일운반상자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부가 구비된 고정판넬;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이송수단을 따라 이동되는 과일운반상자를 양측의 고정판넬 내측에서 일시정지시키도록 양측 고정판넬의 전·후에 각각 설치되는 멈춤수단; 상기 양측 고정판넬의 측방에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가이드봉과 한개의 측방에어실린더에 의해 상기 멈춤수단 동작후 고정판넬 내측으로 좌·우 수평 이동되도록 고정판넬의 내측 상단부에 설치되는 이동판넬; 상기 양측 이동판넬의 내측 전·후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손잡이해체로드가 구비된 원형의 회전판; 상기 일측의 고정판넬과 이동판넬의 사이에서 ∽형으로 배치된 구동용체인과, 이 구동용체인에 체결된 제1, 제 2회전축과, 구동용체인의 양단에 결합되어 에어의 공급에 의해 제 1, 제 2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 1, 제 2에어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손잡이해체동작부와 상기 고정판넬의 외측에 구비된 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이송수단(10)의 프레임(11)에 본 고안에 따른 과일운반상자의 손잡이해체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과일운반상자의 손잡이해체장치에서 과일운반상자(50)의 손잡이(55)를 해체하기 위한 손잡이해체동작부(120)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과일운반상자의 손잡이해체장치의 주요부는 모터(도시안됨)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는 이송수단(10)의 프레임(11) 양측 상단에서 동일위치에 고정 설치되고, 후방 내측에 과일운반상자(50)가 진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감지부(92)가 구비된 고정판넬(100); 이송수단(10)을 따라 이동되는 과일운반상자(50)를 양측의 고정판넬(100) 내측에서 일시 정지시킬 수 있도록 양측 고정판넬(100)의 전·후에 설치되는 멈춤수단(110); 상기 양측 고정판넬(100)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멈춤수단(110)이 동작되어 과일운반상자(50)가 양측의 고정판넬(100) 내측에서 일시 정지된 후에 과일운반상자(50)측으로 좌·우 수평 이동되도록 복수개의 가이드봉(94)과 한개의 측방에어실린더(94)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판넬(10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양측 이동판넬(102)중 일측의 이동판넬(102)의 내측 전·후에는 원형의 회전판(104)이 회전자재토록 설치되고, 타측의 이동판넬(102) 내측 전·후에는 손잡이해체동작부(120)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제 2회전축(77)(78)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단에 손잡이해체로드(82)가 구비된 원형의 회전판(80)이 설치된다.
일측의 고정판넬(100)과 이동판넬(102)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손잡이 해체동작부(120)는 도 5 내지 도 7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에 설치된 제 1, 제 2회전축(77)(78)의 스프로킷(79)에 ∽형으로 체결된 구동용체인(75)과,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 신축되어 상기 구동용체인(75)을 전·후 이동시키므로서 상기 제 1, 제 2회전축(77)(78)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용체인(75)의 양단에서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판넬(102)의 일측에 설치된 복동식 제 1, 제 2에어실린더 (70)(71)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회전판(80) 내측에는 탄성재의 고무층(83)이 피복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에어실린더(70)와 제 2에어실린더(71)에 미리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에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제 1, 제 2에어실린더(70)(71)가 압축과 신장이 일정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절하고, 상기 멈춤수단(110) 동작후 작동되는 상기 측방에어실린더(96)에 에어공급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일측 고정판넬(100)의 외측에는 조작부(105)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해체동작부(120)는 과일운반상자(50)가 이송수단(10)을 따라 고정판넬(100) 내부로 진입시 손잡이(55)의 해체가 용이하도록 규격으로 제작되어 사용되는 과일운반상자(50)의 손잡이(55) 전·후 거리를 미리 산정하여 제 1회전축(77)과 제 2회전축(78)이 설치되고, 손잡이해체로드(82)가 회전판(80)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어 과일운반상자(50)의 손잡이(55)의 해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설치높이와 간격 또한 적정하게 설치된다.
상기 멈춤수단(110)은 수직부와 수평부로 이루어져 이송수단(10)의 프레임 (11) 상단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트(112)에 회전가능하도록 핀 결합된 직각형상의 저지브라켓트(111)와, 상기 저지브라켓트(111)의 수평부에 형성된 장공에 실린더로드 (113) 선단부가 결합되어 실린더로드(113)의 상·하 동작에 의해 상기 수직부가 과일운반상자(50)의 진행을 저지할 수 있도록 저지브라켓트(111)의 수평부 하단에 설치된 복동식 브라켓 작동에어실린더(114)와, 상기 브라켓 작동에어실린더(114)를 지지하면서 이송수단(10)의 프레임(11)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트(11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동판넬(102)의 내측 전·후방에는 손잡이해체동작부(120)의 동작에 의해 과일운반상자(50)의 손잡이(55)가 해체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손잡이해체감지부(103)가 구비되며, 상기 조작부(105)는 손잡이해체동작부(120)의 제 1, 제 2에어실린더(70)(71)와, 측방에어실린더(96)의 에어공급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에어공급조절버튼(107)과 타이머(106)가 구비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과일운반상자의 손잡이 해체장치의 동작 및 그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수확된 과일을 과일운반상자(50)에 담아서 이송수단(10)이 설치된 일정한 장소로 이동한 후에, 과일운반상자(50)를 이송수단(10)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내려놓는다. 이때 이송수단(10)은 구동모터(도시안됨)의 구동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과일운반상자(50)도 이송수단(10)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송수단(10)에 옮겨지기 전에 과일운반상자(50)는 손수레 등에 의해 다수의 과일운반상자(50)가 적층된 상태에서 운반되어 이송수단(10)에 이동되기 때문에 과일운반상자(50)의 상단 양측에 구비된 철재의 손잡이(55)는 과일운반상자(50)의 상단 내측으로 젖혀져 있기 마련이다.
이렇게 철재의 손잡이(55)가 과일운반상자(50)의 상단 내측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이송수단(10)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일운반상자(50)는 이송수단(10)의 전방에 설치된 손잡이해체장치의 고정판넬(100) 사이로 진입된다.
과일운반상자(50)의 전방부가 고정판넬(100)의 후방부에 도달하게 되면, 고정판넬(100)의 내측 후방에 구비된 감지부(92)에서 과일운반상자(50)의 진입을 확인하여 고정판넬(100)의 일측 외부에 설치된 조작부(105)에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게 된다. 감지신호를 받은 조작부(105)에서는 압축공기공급장치(도시안됨)에 신호를 전달하여 양측 고정판넬(100)의 전·후방에 설치된 멈춤수단(110)이 동작되도록 브라켓 작동에어실린더(114)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게 되고, 압축공기의 공급으로 브라켓 작동에어실린더(114)는 신장되어 저지브라켓트(111)의 수평부를 상승시키며, 수평부의 상승으로 저지브라켓트(111)의 수직부는 이송수단(10)의 상면으로 회전되어 이송수단(10)을 따라 이동되는 과일운반상자(50)의 진행을 저지한다. 즉, 고정판넬(100)의 후방에 설치된 저지브라켓트(111)는 고정판넬(100) 내부를 통과한 과일운반상자(50)가 고정판넬(100) 전방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판넬 (100) 전방에 설치된 저지브라켓트(111)는 고정판넬(100) 내부로 또다른 과일운반상자(50)가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송수단(10)을 따라 진행하는 과일운반상자(50)가 멈춤수단 (110)에 의해 고정판넬(100) 내측에서 진행이 저지된 후에는 양측 고정판넬(100)의 내측에 구비된 이동판넬(102)이 측방에어실린더(96)에 공급된 에어에 의해 신장되어 과일운반상자(50)측으로 좌·우 이동되고, 이동판넬(102)의 이동으로 이동판넬 (102) 내측에 구비된 원형의 회전판(80)이 과일운반상자(50)의 전·후방에 위치한 손잡이(55) 외측에 각각 밀착된다.
측방에어실린더(96)의 신장으로 회전판(104)이 손잡이(55)에 밀착된 후에 일측의 고정판넬(100)과 이동판넬(102) 사이에 설치된 손잡이해체동작부(120)가 동작된다. 즉, 손잡이해체동작부(120)의 제 1, 제 2에어실린더(70)(71)는 각각 에어의 공급이 상대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관계로, 제 2에어실린더(71)에 압축공기가 공급되어 제 2에어실린더(71)가 압축됨과 동시에 제 1에어실린더(70)는 신장된다. 압축공기의 공급으로 제 2에어실린더(71)가 압축되면서 구동용체인(75)을 당기게 되면, 제 1회전축(77)은 반시계방향(정회전)으로 회전되고, 제 1회전축(77)의 회전에 따라 이동판넬(102) 내측의 회전판(80)도 회전하게 되며, 회전판(80)의 일단에 구비된 손잡이해체로드(82)도 제 1회전축(77)과 동일 방향인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 2회전축(78)도 ∽형으로 배치된 구동용체인(75)에 의해 상기 제 1회전축(77)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 1회전축(77)의 반대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제 2회전축(78)의 회전에 따라 이동판넬(102) 내측의 회전판(80)도 회전하게 되며, 회전판(80)의 일단에 구비된 손잡이해체로드(82)도 동시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 1회전축(77)과 제 2회전축(78)이 각각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송수단(10)의 상면에서 일시 정지한 과일운반상자(50)의 전방 손잡이(55)는 제 1회전축(77)의 회전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과일운반상자(50)의 전방 외측으로 이탈되고, 후방 손잡이(55)는 제 2회전축(78)의 회전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과일운반상자(50)의 후방 외측으로 이탈된다.
과일운반상자(50)의 손잡이(55) 일측에서 제 1회전축(77)과 제 2회전축(78)의 회전에 의해 손잡이해체로드(80)가 구비된 회전판(80)의 회전으로 손잡이(55)가 손잡이해체로드(80)에 걸려 제 1회전축(77)과 제 2회전축(78)의 각각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질때, 타측의 이동판넬(102) 내측에 구비된 회전판(80)은 손잡이(55)의 외측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손잡이(55)의 회전에 따라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져 손잡이(55) 해체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과일운반상자(50)의 양측 손잡이(55)의 해체작업이 끝남과 동시에 상기 조작부(105)에 의해 상기 제 1에어실린더(70)에 에어가 공급되어 제 1에어실린더(70)는 압축되고, 제 2에어실린더(71)는 에어공급이 차단되면서 신장을 하게된다. 제 1에어실린더(70)의 압축에 따라 제 1회전축(77)은 시계방향(역회전)으로 회전되고, 제 2회전축(78)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최초에 제 2에어실린더(71)의 압축에 따라 회전되었던 제 1회전축(77)과 제 2회전축(78)이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제 1회전축(77)과 제 2회전축(78)의 정회전 및 역회전이 이루어져 손잡이(55)가 과일운반상자(50)의 전·후방으로 해체된 경우에 이동판넬(102)의 전·후방에 설치된 손잡이해체감지부(103)에서 해체된 손잡이(55)를 감지하게 되고, 손잡이(55)의 해체 감지신호에 따라 이동판넬(102)을 과일운반상자(50)측으로 밀고있는 측방에어실린더(96)에 에어공급이 반대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측방에어실린더 (96)가 압축이 되고, 측방에어실린더(96)의 압축에 따라 이동판넬(102)이 고정판넬 (100)측으로 후퇴하게 된다. 이동판넬(102)의 후퇴와 동시에 과일운반상자(50)의 진행을 저지하였던 멈춤수단(110)이 해제되어 과일운반상자(50)가 이송수단(10)을 따라 다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계속해서 이송수단(10)에 의해 이동되는 과일운반상자(50)가 고정판넬(100) 내측으로 진입하게 됨에 따라 상술한 멈춤수단(110)의 작동, 이동판넬(102)의 전진, 손잡이해체동작부(120)의 작동, 이동판넬(102)의 후진, 멈춤수단(110)의 해지 순서에 따라 과일운반상자(50)의 손잡이(55) 해체작업이 반복실시된다.
상기 제 1에어실린더(70)와 제 2에실린더(71)의 에어공급조절과 측방에어실린더(96)의 에어공급조절 및 멈춤수단(110)의 작동, 해지는 조작부(105)에 별도로 구비된 타이머(106)의 시간설정에 따른 온/오프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수동으로 조작할 경우에는 에어공급조절버튼(107)을 사용하여 각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고정판넬(100)의 측방에 구비되어 이동판넬(102)의 전,후진을 할 수 있도록 동작되는 측방에어실린더(96)의 좌·우 규격은 상호 다르게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손잡이해체동작부(120)가 구비된 고정판넬(120)의 외측에 설치되는 측방에어실린더(96)보다 타측에 설치되는 측방에어실린더(96)가 규격이 더 큰 에어실린더로 구성되도록 하여 이동판넬(102)의 밀착후 제 1, 제 2회전축(77)(78)에 따른 회전판(80)의 회전으로 손잡이(55)의 해체동작이 이루어질 때 과일운반상자(50)가 일측으로 쏠리거나 뒤틀리는 현상이 발생되어 손잡이 해체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명세서에서 설명되지 않은 에어공급장치, 에어공급시스템 등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종래에 사용되는 제품이나 콘베이어 시스템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본 고안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과일운반상자의 손잡이해체장치는 모터의 구동으로 이동하는 이송수단의 프레임 상단 양측에 설치된 고정판넬과, 고정판넬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가이드봉과 측방에어실린더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 이동판넬과, 일측의 고정판넬과 이동판넬 사이에 설치되는 복동식 에어실린더와 구동용 체인이 구비된 손잡이해체동작부와, 감지부와 조작부 및 멈춤수단이 구비되어 이송수단을 따라 이동해온 과일운반상자를 덤핑작업 하기전에 과일운반상자의 상단에 위치한 손잡이를 해체시켜 과일 낙하시 철재의 손잡이에 과일이 부딪쳐 발생되는 과일표면의 외상을 방지하여 과일의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과수농가의 수익성을 증대시키며, 손잡이 해체작업에 필요한 별도의 작업 인원을 감축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는 이송수단의 프레임 양측 상단으로 고정설치되고, 후방 내측에 과일운반상자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부가 구비된 고정판넬;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의해 이송수단을 따라 이동되는 과일운반상자를 양측의 고정판넬 내측에서 일시 정지시키도록 양측 고정판넬의 전·후에 설치되는 멈춤수단; 상기 양측 고정판넬의 측방에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안내봉과 한개의 측방에어실린더에 의해 과일운반상자측으로 좌·우 수평 이동되도록 고정판넬의 내측에 설치되는 이동판넬; 상기 양측 이동판넬의 내측 전·후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손잡이해체로드가 구비된 원형의 회전판; 상기 일측의 고정판넬과 이동판넬의 사이에서 ∽형으로 배치된 구동용체인과, 구동용체인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제 1, 제 2회전축과, 구동용체인의 양단에 결합되어 에어의 공급에 의해 제 1, 제 2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 1, 제 2에어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손잡이해체동작부와 상기 고정판넬의 외측에 구비된 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운반상자의 손잡이해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수단은 수직부와 수평부로 이루어진 직각형상의 저지브라켓트와, 상기 저지브라켓트의 수평부 장공에 결합되어 상·하 동작으로 상기 수직부가 회전되도록 설치된 브라켓 작동에어실린더와, 상기 브라켓 작동에어실린더를 고정 지지하면서 이송수단의 프레임 측방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브라켓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운반상자의 손잡이 해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손잡이해체로드가 과일운반상자의 손잡이를 해체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손잡이해체감지부가 이동판넬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과일운반상자의 손잡이 해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외측 표면에는 탄성재의 고무층이 피복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운반상자의 손잡이 해체장치.
KR2019990023356U 1999-10-28 1999-10-28 과일운반상자의 손잡이 해체장치 KR2001765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356U KR200176534Y1 (ko) 1999-10-28 1999-10-28 과일운반상자의 손잡이 해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356U KR200176534Y1 (ko) 1999-10-28 1999-10-28 과일운반상자의 손잡이 해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6534Y1 true KR200176534Y1 (ko) 2000-04-15

Family

ID=19594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356U KR200176534Y1 (ko) 1999-10-28 1999-10-28 과일운반상자의 손잡이 해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53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3014A (zh) * 2018-09-30 2018-12-11 苏州精濑光电有限公司 一种老化测试机
KR20200071185A (ko) * 2018-12-10 2020-06-19 주식회사 엔알티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3014A (zh) * 2018-09-30 2018-12-11 苏州精濑光电有限公司 一种老化测试机
CN108983014B (zh) * 2018-09-30 2024-04-16 苏州精濑光电有限公司 一种老化测试机
KR20200071185A (ko) * 2018-12-10 2020-06-19 주식회사 엔알티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
KR102129539B1 (ko) * 2018-12-10 2020-07-03 주식회사 엔알티 디스플레이 패널 적재용 박스를 정렬하기 위한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4677A (en) Device for transferring objects from a conveyor to a collection device
US5127212A (en) Baler with adjustable chute
US4927088A (en) Tire feeding structure for tire shredding apparatus
CN207170289U (zh) 一种自动分拣装置
US4965982A (en) Fruit bin filler
KR102181393B1 (ko) 밭작물 선별장치
US4350004A (en) Merchandise delivery conveyor for automatic bagging apparatus
KR200176534Y1 (ko) 과일운반상자의 손잡이 해체장치
US2910165A (en) Can unscrambler
US3034683A (en) Package dispenser
US4815258A (en) Fruit bin filler
US4730973A (en) Automatic unloading mechanism
CN214417033U (zh) 一种插座上盖定向输送装置
KR200379524Y1 (ko) 농산물 선별장치
US3570648A (en) Block feeding apparatus
CN108820279A (zh) 一种水果级选及装箱称重装置与系统和处理方法
CN211637367U (zh) 一种果实优选设备的上料输送机构
US4829634A (en) Meat cutting machine
US3899068A (en) Feeding apparatus
DE2937255A1 (de) Maschine zum entleeren von mit schuettgut gefuellten harassen
US2659537A (en) Feeding mechanism for wood pulp grinders
US3083017A (en) Bowling pin spotting machine
CN210823936U (zh) 一种无动力滚筒输送机
CN219708616U (zh) 一种面料打卷机的卸料装置
CN220126906U (zh) 一种便于送料的物流分拣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