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8124B1 - 직상차의 적재물 레벨링 및 밀충진 장치 - Google Patents

직상차의 적재물 레벨링 및 밀충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124B1
KR100748124B1 KR1020010055860A KR20010055860A KR100748124B1 KR 100748124 B1 KR100748124 B1 KR 100748124B1 KR 1020010055860 A KR1020010055860 A KR 1020010055860A KR 20010055860 A KR20010055860 A KR 20010055860A KR 100748124 B1 KR100748124 B1 KR 100748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er
vibration
board
wire drum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5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2994A (ko
Inventor
김세윤
황준영
황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55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124B1/ko
Publication of KR20030022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2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20Reducing volume of filled material
    • B65B1/22Reducing volume of filled material by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28Controlling escape of air or dust from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f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상차의 적재물 레벨링 및 밀충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 표면이 편평하게 형성된 보드(12), 상단이 상기 보드(12)에 지지되고 하단이 하부로 소정 길이 연장된 다수개의 진동바(13) 및 상기 진동바(13)에 미세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수단(16)을 갖는 레벨러(1);와, 상기 레벨러(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레벨러승강기;로 이루어지고, 이에 의하면 다수개의 진동바를 갖는 레벨러를 직상차 상부로 하강시킴에 의해 적재물의 레벨링은 물론 밀충진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수행된다.
레벨링, 밀충진, 진동바, 직상차

Description

직상차의 적재물 레벨링 및 밀충진 장치{Apparatus for levelling and densely filling up the material loaded up onto the loading car}
도1은 일반적인 직상차의 적재물 레벨링 설비가 도시된 개략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직상차의 적재물 레벨링 및 밀충진 장치를 갖는 원료적재설비가 전체적으로 도시된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요부 상세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레벨러 11, 12 : 보드
13 : 진동바 13a : 중공부
14, 15 : 스프링 16 : 진동발생수단
2 : 레벨러상하승강부 21 : 와이어드럼
22 : 구동모터 23 : 와이어로프
3 : 레벨러하강력제공부 31 : 와이어드럼
32 : 구동모터 33 : 와이어로프
4 : 직상차 5 : 레일
7 : 제어부
본 발명은 직상차의 적재물 레벨링 및 밀충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진동바를 갖는 레벨러를 직상차 상부로 하강시킴에 의해 적재물의 레벨링은 물론 밀충진시키도록 된 직상차의 적재물 레벨링 및 밀충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등에서 원료의 수송을 위해 사용되는 직상차(4)는 도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이 직상차(4)에 실려진 원료(41)의 상부는 설비프레임(6)의 수직한 가이드(61)를 따라 상, 하 승강토록 된 수평 레벨러(62)에 의해 레벨링된다.
그리고, 상기한 원료의 레벨링 높이는 직상차(4)의 상단 높이보다 약간 더 높게 설정되는바, 이는 최대 중량의 원료를 직상차(4)에 싣기 위함이며, 통상적으로 직상차(4)의 상단 높이보다 더 높게 레벨링되는 경우 원료가 바람에 흩날리거나 직상차(4)의 주행시 발생되는 진동 등에 의해 직상차(4)의 가장자리를 통해 하부로 낙하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작업자가 수공구를 이용하여 직상차(4)에 실려진 원료가 보다 밀충진될 수 있게 다지고 고르는 작업을 수행하였으나, 이러한 수작업에 의한 원료의 밀충진 및 레벨링 작업은 작업효율이 매우 낮고, 또한 수작업중 주변으로 비산되는 원료에 의한 환경오염의 유발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직상차에 실려진 원료의 밀충진과 레벨링을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직상차의 적재물 레벨링 및 밀충진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하부 표면이 편평하게 형성된 보드, 상단이 상기 보드에 지지되고 하단이 하부로 소정 길이 연장된 다수개의 진동바 및 상기 진동바에 미세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수단을 갖는 레벨러;와, 상기 레벨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레벨러승강기;로 이루어진 직상차의 적재물 레벨링 및 밀충진 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직상차의 적재물 레벨링 및 밀충진 장치를 갖는 원료적재설비가 전체적으로 도시된 구성도로서, 상부가 개방된 직상차(4)가 레일(5)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다수개가 연결된 것이 보인다.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직상차(4)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하 승강토록 장착된 레벨러(1)를 가지며, 상기 레벨러(1)의 상하 승강은 설비프레임에 설치되는 레벨러승강기가 담당한다.
상기 레벨러(1)는 직사각의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 보드(11)와 하부 보드(12)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보드(11)의 하부 표면과 하부 보드(12)의 상부 표면이 밀착된 상태로 서로 고정되고, 상기 하부 보드(12)는 상기 직상차(4)의 개방 된 상부와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크기의 폭과 소정 크기의 두께를 갖도록 설정된다. 상기 하부 보드(12)의 두께는 본 장치에 의해 직상차(4)의 적재물을 레벨링 및 밀충진시킴에 의해 적재물의 상부 표면이 직상차(4)의 상단보다 더 하부로 하강되는 정도를 고려하여 적정하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하부 보드(12)의 하부 표면은 직상차(4)의 적재물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므로 적재물의 레벨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편평하게 설정된다.
상기 보드(12)의 하부에는 다수 개소에 진동바(13)가 설치되는데, 상기 진동바(13)는 상단이 상기 보드(12)의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 지지되고 하단이 하부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 상기 진동바(13)의 설치 수량 및 설치 간격 등은 직상차(4)의 적재물 적재면적 등을 고려하여 후술하는 밀충진 작용이 충분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 진동바(13)의 형상 및 설치 구조를 도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진동바(13)는 외경이 하부로 갈수록 감소하여 하단이 뾰족한 형상을 갖고 내부에 하단으로부터 상부 소정 위치까지 중공부(13a)가 형성된다. 이 진동바(13)의 상단부 외주면에 다른 부분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원주방향을 따라 돌턱(13b)이 형성되고, 상기 돌턱(13b)을 수용하여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하는 홈(11a)(12a)이 상부 보드(11)의 하부와 하부 보드(12)의 상부에 각각 형성되며, 이들 홈(11a)(12a)의 각각에는 탄성스프링(14)(15)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 보드(11)의 홈(11a)에 설치된 스프링(14)은 상기 진동바(13)가 상부로 이동할 때 그에 대응하여 진동바(13)를 하부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구비되며, 하부 보드(12)의 홈(12a)에 설치된 스프링(15)은 상기 진동바(13)가 하부로 이동할 때 그에 대응하여 진동바(13)를 상부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구비되고, 상기 진동바(13)에 아무런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돌턱(13b)이 상기 홈(11a)(12a)의 경계부에 위치하도록 초기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좋다.
상기 상부 보드(11)에 진동발생수단(16)이 설치되며, 상기 진동발생수단(16)은 전기공급에 의해 동작함으로써 보드(11)에 일정 주기로 타격을 가하는 전자해머이며, 통상적으로 알려진 다른 것을 채택하여 사용하는 것도 좋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진동발생수단(16)이 상부 보드(11)에 설치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진동발생수단(16)에서 발생된 진동을 상기 진동바(13)에 전달시킬 수 있는 위치이면 하부 보드(12) 또는 상기 진동바(13)에 직접 설치하는 것도 좋다. 그리고, 상기 진동발생수단(16)은 상기 상부 보드(11)의 전체 면적에 걸쳐 균일한 진동이 발생되게 다수개가 적정한 위치에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으며, 그 일례로써 도시된 것처럼 상기 상부 보드(11)를 가상적으로 좌우 2개로 균등하게 분할하여 각각의 분할된 부분에 대한 중앙부에 진동발생수단(16)이 1개씩 설치된다.
상기 레벨러승강기는 설비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레벨러(1)를 상하 승강시키도록 된 레벨러 상하승강부(2)와 상기 레벨러(1)에 하부 방향으로 소정 힘을 가하도록 된 레벨러 하강력 제공부(3)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벨러 상하승강부(2)는 상기 레벨러(1)의 직상부에 위치되도록 설비프레임(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와이어드럼(21)을 가지며, 상기 와이어드럼(21)은 설비프레임(6)에 고정 설치된 구동모터(22)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제공받는다. 상기 와이어드럼(21)에 감겨지는 와이어로프(23)가 상기 레벨러(1)의 상부, 즉 상부 보드(11)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와이어드럼(2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레벨러(1)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구성되고, 이때 상기 레벨러(1)의 보다 안정적인 상승 및 하강을 위하여 상기 와이어드럼(21)의 양측에 각각 별개의 와이어로프(23)가 감겨지게 하고 이들 각각의 와이어로프(23)가 상기 상부 보드(11)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한 좌우 소정 위치에 고정되게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레벨러 하강력 제공부(3)는 상기 레벨러(1)의 좌우 양측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비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와이어드럼(31)을 가지며, 상기 와이어드럼(31)은 설비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구동모터(32)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제공받는다. 상기 와이어드럼(31)에 감겨지는 와이어로프(33)가 상기 레벨러(1)의 좌우 양측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와이어드럼(3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레벨러(1)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고, 이때 상기 와이어드럼(31)의 양측에 각각 별개의 와이어로프(33)가 감겨지게 하고 이들 각각의 와이어로프(33)가 상기 레벨러(1)의 좌우 양측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한 좌우 소정 위치에 고정되게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레벨러 상하승강부(2)의 구동모터(22)와 레벨러 하강력 제공부(3)의 구동모터(32)는 제어부(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미리 입력되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되게 한다.
또한, 상기 레벨러(1)의 상승 및 하강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를 소정 위치에 설치하여 제어부(7)에 그 정보를 제공하도록 연결시키거나, 상기 제어부(7)에서 상기 구동모터(22)(32)의 회전수를 직접 감지하여 상기 레벨러(1)의 상승 및 하강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적재물(41)이 직상차(4)의 상부로 소정 높이 돌출되게 적재되면 레벨러상하승강부(2)의 구동모터(22)를 구동시켜 와이어드럼(21)을 회전시킴에 의해 상승하여 있던 레벨러(1)를 하강시킨다.
상기 레벨러(1)가 하강하면서 진동바(13)가 직상차(4)의 적재물(41)로 삽입되기 시작됨과 동시에 또는 상기 레벨러(1)를 하강시킴과 동시에 진동발생수단(16)을 구동시켜 진동바(13)가 진동되게 하고, 이는 진동바(13)의 진동이 적재물(41)에 전달되면서 상기 적재물(41) 사이의 공극이 좁혀져 밀충진되게 한다.
특히, 상기 진동바(13)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13a)에 의해 공진효과가 발생되어 진동바(13)가 더 크게 진동되게 함으로써 적재물(41)의 밀충진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되게 한다.
상기 레벨러(1)가 계속 하강하여 하부 보드(12)의 하부면이 적재물(41)의 상부면 위치까지 도달되면, 상기 구동모터(22)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이러한 상태를 소정 시간 유지시킨다.
이렇게 상기 상태를 소정 시간 유지시키는 이유는, 적재물(41)에 상기 진동바(13)에서 발생된 진동이 소정 시간동안 계속하여 전달되게 하여 적재물(41)을 보다 밀충진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레벨러(1)의 하강과 동시에 레벨러하강력제공부(3)의 구동모터(32)를 구동시켜 와이어드럼(31)을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레벨러(1)에 소정의 힘을 하부쪽으로 가한다.
즉, 상기 와이어드럼(31)에 감겨지는 와이어로프(33)을 통해 상기 레벨러(1)에 힘이 전달되고, 이러한 힘중 일부 분력이 상기 레벨러(1)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가해짐으로써 상기 레벨러(1)의 진동바(13)가 적재물(41)의 내부로 삽입되는 힘을 제공한다.
물론, 상기 레벨러(1)의 하강이 완료된 상태와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32)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소정 시간이 지난 후 상기 레벨러상하승강부(2)의 구동모터(22)를 상기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레벨러(1)를 원래의 위치로 상승시킴과 동시에 상기 레벨러하강력제공부(3)의 구동모터(32)를 상기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와이어로프(33)를 풀어줌으로써 상기 레벨러(1)가 상승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레벨러(1)가 초기 상태로 상승된 후 상기 구동모터(22)(32)를 정지시켜 차기 작업을 대기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상차의 적재물 레벨링 및 밀충진 장치에 의하면, 하부에 다수개의 진동바가 구비된 레벨러를 직상차의 상부로 하강시킴과 동시에 진동바에 소정의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진동바의 진동이 적재물에 전달되어 적재물이 밀충진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하부 표면이 편평하게 형성된 보드(12), 상단이 상기 보드(12)에 지지되고 하단이 하부로 소정 길이 연장된 다수개의 진동바(13) 및 상기 진동바(13)에 미세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수단(16)을 갖는 레벨러(1);와, 상기 레벨러(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레벨러승강기;로 이루어진 직상차의 적재물 레벨링 및 밀충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러승강기는, 상기 레벨러(1)의 직상부에 위치되도록 설비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와이어드럼(21), 상기 와이어드럼(21)을 회전 구동시키도록 연결된 구동모터(22) 및 일단이 상기 와이어드럼(21)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레벨러(1)의 상부에 고정된 와이어로프(23)로 이루어진 레벨러 상하승강부(2)와, 상기 레벨러(1)의 좌우 양측 하부에 위치되도록 각각 설비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와이어드럼(31), 상기 와이어드럼(31)을 회전 구동시키도록 연결된 구동모터(32) 및 일단이 상기 와이어드럼(31)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레벨러(1)의 좌우 양측에 각각 고정된 와이어로프(33)로 이루어져 레벨러(1)에 하부로 소정의 힘을 가하는 레벨러 하강력 제공부(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상차의 적재물 레벨링 및 밀충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바(13)는 상기 보드(12)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 능하고 스프링에 의해 소정 위치에 유지되도록 탄력 지지되며, 상기 진동발생수단(16)은 전기공급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보드(12)에 일정 주기로 타격을 가하는 전자해머임을 특징으로 하는 직상차의 적재물 레벨링 및 밀충진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바(13)는 외경이 하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형상을 갖고 하부의 소정 길이에 중공부(13a)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상차의 적재물 레벨링 및 밀충진 장치.
KR1020010055860A 2001-09-11 2001-09-11 직상차의 적재물 레벨링 및 밀충진 장치 KR100748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860A KR100748124B1 (ko) 2001-09-11 2001-09-11 직상차의 적재물 레벨링 및 밀충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860A KR100748124B1 (ko) 2001-09-11 2001-09-11 직상차의 적재물 레벨링 및 밀충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994A KR20030022994A (ko) 2003-03-19
KR100748124B1 true KR100748124B1 (ko) 2007-08-10

Family

ID=27723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860A KR100748124B1 (ko) 2001-09-11 2001-09-11 직상차의 적재물 레벨링 및 밀충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1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3045U (ko) * 1975-02-14 1976-08-18
JPS6015487A (ja) * 1983-07-08 1985-01-26 Nippon Steel Corp コ−クス炉装入炭上部の圧密装置を備えたレベラ−装置
KR950013940A (ko) * 1993-11-18 1995-06-15 조광호 자동 적재장치
KR200224065Y1 (ko) * 2000-12-29 2001-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레벨러 와이어 텐션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3045U (ko) * 1975-02-14 1976-08-18
JPS6015487A (ja) * 1983-07-08 1985-01-26 Nippon Steel Corp コ−クス炉装入炭上部の圧密装置を備えたレベラ−装置
KR950013940A (ko) * 1993-11-18 1995-06-15 조광호 자동 적재장치
KR200224065Y1 (ko) * 2000-12-29 2001-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레벨러 와이어 텐션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994A (ko) 200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91767A (zh) 电梯装置及其绳索摆动抑制方法
JPH10279224A (ja) エレベータつり合いロープの水平振動を最小化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105723204B (zh) 落重弯沉仪
CN102398819A (zh) 电梯及电梯引导装置清扫夹具
WO2001089975A1 (fr) Dispositif d'ascenseur
JP2009154989A (ja) エレベータのカウンタクリアランス調整装置
KR100748124B1 (ko) 직상차의 적재물 레벨링 및 밀충진 장치
JP2015003799A (ja) エレベーターのテールコードの制振装置
JP4159302B2 (ja) ロープ振れ止め装置
CN102778412B (zh) 粉体测定装置用敲击装置
CN107021406A (zh) 电梯装置
JP2009202976A (ja) 昇降装置
KR200197360Y1 (ko) 상.하 이동용 수평붐을 갖는 교량 점검 및 보수용 이동장치
KR101223743B1 (ko) 콘크리트 내의 기포제거장치
CN202255868U (zh) 卷扬机构的试验设备
CN101563285A (zh) 电梯系统中的摇晃减轻
JP2018178387A (ja) 除雪装置
JP3949447B2 (ja) エレベータの主索振れ抑制装置
JP2016102015A (ja) エレベータの調速機システム
JP5960002B2 (ja) 起振機
JP2014020891A (ja) 自走式移動体の走行試験装置
CN110709343A (zh) 电梯用主绳索止振装置
JP2002338156A (ja) エレベーター調速機の点検装置
CN109506822A (zh) 一种电梯限速器动态提拉力检测装置
KR101432451B1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