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2110B1 - 벽콘크리이트의 타설방법 - Google Patents

벽콘크리이트의 타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110B1
KR950012110B1 KR1019910004614A KR910004614A KR950012110B1 KR 950012110 B1 KR950012110 B1 KR 950012110B1 KR 1019910004614 A KR1019910004614 A KR 1019910004614A KR 910004614 A KR910004614 A KR 910004614A KR 950012110 B1 KR950012110 B1 KR 950012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oft sheet
protrusions
sheet
so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4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미쯔 사노
카즈유끼 나까시마
히사시 마에다
타쯔야 오오쯔
카즈히로 오가사와라
테쯔야 이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이낙스
이나 테루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이낙스, 이나 테루조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이낙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6Linings or coatings, e.g. removable, absorbent linings, permanent anti-stick coatings; Linings becoming a non-permanent layer of the moulded article
    • B28B7/364Linings or coatings, e.g. removable, absorbent linings, permanent anti-stick coatings; Linings becoming a non-permanent layer of the moulded article of plastic material or rubb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4/00Plastic and nonmetallic article shaping or treating: processes
    • Y10S264/31Processes of making tile and tile-like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벽콘크리트의 타설방법
제1a도, 제1b도, 제1c도 및 제1d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방법을 표시한 단면도.
제2도 및 제3도는 타일붙임방법을 표시한 단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수지시이트의 예를 표시한 사시도.
제6도 및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방법을 표시한 단면도.
제7도는 제6도 Ⅶ부의 확대도.
제9도, 제10도, 제11도, 제12도, 제13도 및 제1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방법을 표시한 단면도.
제15도는 속이빈발포돌기의 파열용로울러의 일예를 표시한 측면도.
제16도, 제17도, 제18도 및 제1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방법을 표시한 단면도.
제20도 및 제2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방법을 표시한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거푸집 11 : 비흡수성 연질시이트
11a : 돌기 11b : 돌조(突條)
11A, 11B : 비흡수성 연질시이트
11C, 11D : 연질시이트의 가장자리부분
12 : 미경화콘크리이트 13 : 콘크리이트벽
13a : 오목구멍 14 : 모르타르
15 : 고무시이트 15a : 돌기
16 : 연질시이트 16a : 돌조
20 : 접착제 21 : 연질시이트
21a : 속이빈 발포돌기 2b : 연질시이트의 표면
22 : 연질시이트 22a : 속이빈 발포돌기
22b : 연질시이트의 이면 23 : 소정영역
24 : 포개맞춤영역 30 : 로울러
31 : 침형상돌기 40 : 타일
40a : 뒤쪽다리 33 : 오목홈 또는 오목구멍
본 발명은 벽콘크리이트의 타설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타일붙임시공되는 벽면의 구측에 적합하게 채용되는 벽콘크리이트 타설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타일벽면을 형성하는데는, 먼저 거푸집내에 미경화 콘크리이트를 타설(打設)한 후 탈형에서 콘크리이트벽을 구축한다. 그리고,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이 콘크리이트벽(1)의 벽면에 밑바탕모르타르(2)를 쳐바르고, 붙이기모르타르(3)를 이면에 수복하게 붙일 타일(4)을 이 밑바탕모르타르(2)에 눌러붙인다. 또,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밑바탕모르타르를 생략하고, 붙이기모르타르(3)만으로 타일(4)을 바로 콘크리이트벽(1)에 붙이는 것도 행하여지고 있다.
종래의 콘크리이트벽의 구축방법에서는 형성되는 콘크리이트벽의 벽면은 거푸집의 내면과 같은 평탄한 마무리면으로 된다. 이 때문에, 콘크리이트벽(1)의 벽면과 밑바탕모르타르(2) 또는 붙이기모르타르(3)와의 접착이 충분히 되지 않고 콘크리이트벽 (1)으로부터 밑바탕모르타르(2) 또는 붙이기모르타르(3)가 벗겨지기 쉬워, 타일의 탈락사고를 야기한다고 하는 결접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일본국 특공소 50-31371호 공고베은, 거푸집면에 스펀지편을 장착하여두면, 그 스펀지편이 타설된 콘크리이트 속의 수분을 흡수해서 팽윤하여, 탈형후의 콘크리이트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밑바탕모르타르의 부착력을 증대시킨다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국 특공소 50-31371호의 방법을 실제로 시험하여보면, 스펀지속에 콘크리이트중의 시멘트성분이 침입하여, 스펀지도 경질화하는 동시에 스펀지와 콘크리이트가 부착하여, 탈형에 강력한 힘이 필요하게 되거나, 탈형시에 오목부둘레 가장자리부분이 손상되기 쉽다고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스펀지가 오목부내에 잔류하게 되어, 밑바탕 모르타르의 부착성이 손상된다고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타일붙임 시공되는 벽면의 구축에 적합한, 즉 밑바탕 모르타르나 붙이기모르타르와의 접합성에 뛰어난 벽면을 형성할 수 있는 벽콘크리이트의 타설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벽콘크리이트 타설방법은, 다수의 돌기 또는 돌조를 가진 비흡수성 연질시이트를 거푸집의 내면에 장착하거나 하므로서, 거푸집의 내면에 다수의 연질의 돌기 또는 돌조를 형성하여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거푸집의 내면에 직접연결의 돌기 또는 돌조를 거푸집과 일체로 형성하여 두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미경화콘크리이트를 타설하는 거푸집의 내면에 다수의 돌기 또는 돌조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탈형후의 콘크리이트면은, 이 돌기 또는 돌조에 기인하는 요철(凹凸)이 형성된다. 이 연질시이트는 비흡수성의 것이므로, 콘크리이트로부터의 박리성(이형성)도 양호하다.
이와같은 요철이 형성된 콘크리트벽은, 모르타르와의 접합강도가 지극히 높고, 밑바탕모르타르나 붙이기모르타르로 타일을 붙였을 경우, 타일의 탈락이 방지된다.
이와같은 요철은 타일 1매당 적어도 1개 형성되는 것이 좋다. 타일 1매당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오목부의 깊이 또는 볼록부의 높이는 2mm이상, 특히 4mm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오목부의 깊이 또는 볼록부의 높이는 30mm이하, 특히 15mm이하가 바람직하며, 또한 10mm이하가 바람직하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A도∼제1D도는 본 발명의 벽콘크리이트의 타설방법의 일실시예의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미경화콘크리이트의 타설에 있어서, 거푸집(10)의 내면에 다수의 돌기(11a)(도면에 있어서는 발포돌기)를 가진 비흡수성 연질시이트(11), 예를 들면, 제4도에 표시한 돌기(발포돌기 또는 속이차 있는 돌기)(15a)를 가진 고무시이트(15) 등을 장착한다. 그후, 상습법에 따라서, 미경화콘크리이트 (12)를 타설하고(제1B도), 경화양생후 탈형한다(제 1C도).
이 탈형에 있어서는, 연질시이트(11)가 비흡수성의 것이기 때문에 연질시이트가 경화콘크리이트면으로부터 간단히 벗겨진다. 물론, 다음에 설명하는 오목구멍(13a)의 근처부분을 손상시키는 일도 전혀 없다.
이와같은 방법에 의해 형성된 콘크리이트벽(13)은, 연질시이트(11)의 돌기 (11a)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입구가 좁은 오목구멍(13a)을 가진 표면구성의 것으로 되기 때문에, 표면에 처발라진 밑바탕모르타르 또는 붙이기모르타르 등의 모르타르 (14)는, 콘크리이트벽(13)과 대단히 강고하게 부착한다.(제1D도)
즉, 제1A도에 표시한 연질시이트(11)의 돌기(11a)가, 미경화 콘크리이트(12)의 경화수축에 의한 압력 A를 받아서, 제 1B도와 같이 끝이 굵은 편향형상으로 퍼지고, 이 상태에서 미경화콘크리이트(12)가 경화하기 때문에, 제1C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탈형후의 콘크리이트벽(13)에는, 입구가 좁은 오목구멍(13a)이 형성된다. 이와같은 입구가 좁은 오목구멍(13a)은, 모르타르(14)의 부착성이 현저하게 높다. 따라서, 타일의 부착가동이 높은 콘크리이트벽이 형성된다.
또한, 사용되는 돌기 또는 돌조를 가진 연질시이트로서는 그 돌기나 돌조의 형상, 크기, 단위면적당의 돌기수등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모르타르와의 부착강도를 충분히 얻을 수 있는 정도로 적당히 선정된다. 예를들면, 제4도에 표시한 고무시이트 (15)외에, 제5도에 표시한 돌조(16a)를 가진 연질시이트(16)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돌조를 격자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연질시이트의 돌기는 속이빈 것이어도, 속이 차있는 것이어도, 또 다수의 독립기공을 가진 다공질이어도 된다. 따라서, 연질시이트로서는, 속이빈 돌기를 가진 발포시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돌기나 돌조는, 최초부터(즉, 콘크리이트 축압이 가해지지 않아도) 골이굵은 편평형상이어도 된다. 또, 연질시이트로서는, 두께를 두껍게하거나, 고강도의 재질의 것이 적합하다. 이와같이 하면, 탈형시에 연질시이트를 콘크리이트면으로부터 벗길때에 이 연질시이트가 잘터지지않게 되고 벗기기 쉽다.
이와같은 연질시이트를 거푸집내면에 장착하는 방법으로서도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태커나 양면테이프를 사용하는 방법등 여러 가지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연질시이트는 거푸집내면의 전체면에 장착해도 좋고, 또, 그 일부에만 장착해도 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벽콘크리이트의 타설방법에 의하면, 표면에 요철을 가진 콘크리이트벽을 형성할 수 있다. 형성된 콘크리이트벽은, 모르타르와의 부착력이 강하고, 충분히 높은 저합강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타일붙임시공하는 벽면으로서 지극히 적합하다.
그런데, 콘크리이트벽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거푸집내에 타설된 미경화 콘크리이트에 의해 연질시이트를 개재해서 거푸집에 가해지는 압력은, 당연한 일이지만 거푸집의 상부에 있어서 자고, 하부에서는 크다.
이 때문에 거푸집의 상부에서는 연질시이트의 돌기 또는 돌조에 가해지는 압력은 작고, 하부에서는 이 압력이 큰 것으로 된다.
따라서, 연질시이트의 돌기 또는 돌조의 경도가 모두 균일하면, 거푸집의 상부에서는 가해지는 압력이 작기 때문에 돌기 또는 돌조가 그다지 변형하지 않는다. 한편 하부에서는 큰 압력이 가해지므로서 돌기 또는 돌조가 거의 완전히 찌부러져버려, 소망의 즉, 끝이 굵은 편평형상의 변형을 얻을 수 없는 일이 있다.
이와같은 경우에는, 비흡수성연질시이트로서, 돌기 또는 돌조로서 경도가 다른 복수 종류의 돌기 또는 돌조를 가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와같은 경우에 있어서는, 경도가 다른 돌기 또는 돌조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미경화콘크리이트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작은 거푸집의 위쪽에서는, 비교적 여린 돌기 또는 돌조가 끝이 굵은 편평형상으로 변형한다.(또한, 고경도의 돌기 또는 돌조는 거푸집상부에서는 그다지 변형하지 않는다.)
그리고, 거푸집의 아래쪽에서는 가해지는 압력이 크므로, 비교적 단단한 돌기 또는 돌조가 끝이 굵은 편평형상으로 변형한다. (저경도의 돌조 또는 돌기 콘크리이트압에 따라서는 눌려찌부러지는 일이 있다.)
이와같이, 거푸집의 상부에서는 저경도의 돌기 또는 돌조가 끝이굵은 편평형상으로 변형하고, 거푸집의 하부에서는 고경도의 돌기 또는 돌조가 끝이 굵은 편평형상으로 변형하게 되므로, 높이가 높은 콘크리이트벽이라도, 형성된 콘크리이트벽면은 전체면에 걸쳐서, 입구가 좁은 오목구멍이 확실하게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방법에 의하면, 콘크리이트벽면의 전체에 걸쳐서 모르타르의 부착성이 현저하게 향상되게 된다.
그런데, 연질시이트는 1매의 연질시이트로 거푸집의 내면전체면을 덮을 수는 없으며 통상, 복수매의 연질시이트를 병렬배치한다. 이 경우, 단순히 복수매의 연질시이트를, 인접한 연질시이트의 가장자리부분끼리 포개맞추어서 병렬로 한 것만으로는, 이 포개맞춘부분으로부터 미경화콘크리이트가 돌아들어가서 연질시이트면과 거푸집면과의 사이에 침입한다. 이 때문에 양호한 요철면을 형성할 수 없으며, 또한, 거푸집 및 연질시이트와 경화한 콘크리이트벽이 접착한 상태로 되고, 탈형 및 연질시이트의 박리가 곤란하게 되며, 특히, 연질시이트를 벗길때에는 콘크리이트벽에 형성된 요철의 연질시이트를 벗기므로서 손상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있어서는, 복수매의 비흡수성 연질시이트를 병렬로하여, 각 인접한 연질시이트의 가장자리부분끼리를 포개맞추고, 이 포개맞춘부분을 접착 또는 융착해서, 콘크리이트가 시이트이면으로 돌아들어감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미경화콘크리이트의 타설에 있어서, 거푸집(10)의 내면에 복수매의, 다수의 돌기 또는 돌조(11a)(11b)를 가진 비흡수성 연질시이 트 (11A),(11B),예를들면, 제4도에 표시한 돌기(15a)를 가진 고무시이트(15) 등을 장착한다. 그때, 제6도의 Ⅶ부의 확대도인 제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인접한 연질시이트 (11A),(11B)는 그 가장자리부(11c)(11d)끼리를 포개맞추고, 이 포개맞춤부분을 접착제(20)로 접착하거나, 또는, 열용착 등에 의해 융착한다. 그후, 상습법에 따라서, 미경화콘크리이트(12)를 타설하고(제8도), 경화양생후 탈형한다. (제1C도 참조).
이와같이, 인접한 연질시이트(11A),(11B)의 가장자리부분(11c)(11d)을 포개맞추고, 이 포개맞춤부분을 접착제(20)로 접착하거나 열용착 등에 의해 용착하므로서, 이 부분으로부터 미경화콘크리이트가 연질시이트이면의 거푸집(10)쪽으로 돌아 들어가서 비어져 나오는 일없이, 양호한 요철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탈형 및 연질시이트의 박리도 용이하게 된다. 또, 연질시이트의 박리에 있어서 콘크리이트벽의 요철부가 손상하는 일도 없다.
또, 이와같이 연질시이트의 복수매를 일부 포개맞추어서 거푸집내면에 장착하는데 있어서, 당해 연질시이트가 속이빈 발포돌기를 가진 경우에는, 연질시이트 포개맞춤영역에 있어서 하층쪽에 위치한 연질시이트의 속이빈 발포돌기를 미리 파열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속이빈 발포돌기를 가진 연질시이트를 단순히 포개맞추는 것만으로는, 속이 빈 발포돌기가 포개맞추어져서 두께가 대단히 크게 된다. 그결과, 타설한 콘크리이트벽면에, 연질시이트의 포개맞춤영역과 비포개맞춤영역과의 경계선에서 단차를 발생시킨다. 또, 상술한 바와같이, 포개맞춤영역에 있어서 수밀성이 보증되지 않으므로, 미경화콘크리이트가 속이빈 발포돌기의 간극으로부터 연질시이트끼리의 사이에 침입하여, 탈형시에 연질시이트를 콘크리이트 벽면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그런데, 연질시이트의 포개맞춤영역에 있어서, 하층쪽에 위치한 연질시이트의 속이빈 발포돌기를 미리 파열시켜 두므로서, 상층쪽의 연질시이트면과 하층쪽의 연질시이트표면을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포개맞춤에 의한 두께 증가는 약간이므로 타설된 콘크리이트벽면의 표면성상이 거의 균일하게 유지된다. 또, 포개맞춤영역의 수밀성이 확보되므로, 상기의 접착이나 열용착을 행하지 않아도 미경화콘크리이트가 새어나와서 여러 가지의 문제를 야기하는 우려도 없다.
물론, 이 경우에 있어서는 포개맞춤부분을 접착 또는 열용착해도 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하에 이 경우의 실시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수의 속이빈 발포돌기(21a)(22a)를 가진 연질시이트(21)(22)를 복수매 장착하는 경우, 각각의 일부를 포개맞추나, 먼저 거푸집(10)의 내면에 장착되어서 하층쪽에 위치한 연질시이트(21)는 포개기 위하여 남겨놓은 부분에 상당하는 소정영역(23)을 미리 파열시켜 둔다. 이 작업에는, 제15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침형상돌기(31)를 둘레면에 가진 로울러(30)를 사용하면 된다. 혹은 가열식의 로울러나 인두등을 사용하여 속이빈 발포돌기를 열용해에 의해 파손시켜도 된다.
이어서, 제10도와 같이, 소정영역의 속이빈 발포돌기(21a)를 파열시킨 연질시이트(21)위에, 다른 연질시이트(22)의 일부를 포개맞추어서 거푸집(10)의 내면에 장착한다. 이때, 상층쪽에 위치한 연질시이트(22)의 이면(22b)이, 하층쪽에 위치한 연질시이트(21)의 표면(21b)에 밀착한다. 따라서, 제1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포개맞춤영역(24)에 있어서 두께의 증가는 약간이고, 또한 수밀성이 확보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거푸집(10)에 복수매의 연질시이트(21)(22)를 장착한 후, 제1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당해 거푸집(10)내에 미경화콘크리이트(12)를 유입시킨다. 연질시이트(21),(22)의 포개맞춤영역(24)은 수밀적으로 밀착하고 있으므로, 이 콘크리이트(12)가 새어나올 염려는 없다. 또, 포개맞춤영역(24)과 비포개맞춤영역에서 두께에 거의 차이가 없으므로, 타설되는 콘크리이트벽면의 표면상은 대략 균일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연질시이트(21)(22)의 속이빈 발포돌기(21a)(22a)는 제1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미경화콘크리이트(12)의 경화수축에 의한 압력을 받아서 편형화한다. 그러므로, 일정기간의 양생후 거푸집(10)을 탈형하면, 제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콘크리이트벽(13)에 입구가 좁은 오목구멍(13a)이 다수형성되게 된다.
이렇게 해서 타설된 콘크리이트벽(13)에, 제14도와 같이, 모르타르(14)를 도포해서 타일(40)을 붙이면, 이 모르타르(14)가 벽(13)의 면에 다수형성되어 있는 오목구멍(13a)에 침입해서 경화후에 투묘(投錨)효과를 발휘한다. 그러므로, 콘크리이트벽 (13)과 모르타르(14)와의 접착강도가 매우 커진다. 한편, 타일(40)과 모르타르(14)와의 사이의 접착강도도, 뒤쪽다리(40a)에 의해서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 따라서, 타일(40)의 탈락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근소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모르타르와 콘크리이트벽면과의 뛰어난 접착가도를 조급도 손상하는 일없이, 복수매의 연질시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1매의 연질시이트로는 덮을 수 없는 넓은 면적을 가진 거푸집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이트벽면의 타설능률이 향상된다.
또, 복수매의 연질시이트를 거푸집내면에 장착할 때에 그 일부를 포개맞추나, 상기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포개맞춤영역의 수밀성이 확보되고, 시이트두께의 증가도 거의 없기 때문에, 광범위한 범위에 걸쳐서 균일한 표면성상을 가진 콘크리이트벽을 타설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거푸집내에 미경화콘크리이트를 타설하는 벽콘크리이트의 타설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돌조를 가진 비흡수성연질시이트를 거푸집의 내면에 장착하여 두고, 타설된 미경화콘크리이트의 측압에 의해 이 돌조를 편평형상으로 변형시키고, 경화후의 콘크리이트면에, 한쪽의 측면과 콘크리이트면과의 이루는 각이 90°미만이고, 다른쪽의 측면과 콘크리이트면과의 이루는 각이 90°이상인 오목홈을 형성하도록 하거나, 혹은 다수의 돌기를 가진 비흡수성 연질시이트를 거푸집의 내면에 장착하여 두고, 타설된 미경화콘크리이트의 측압에 의해 이 돌기를 편평형상으로 변형시켜, 경화후의 콘크리이트면에, 한쪽의 측면과 콘크리이트면과의 이루는 각이 90°미만이고, 다른쪽의 측면과 콘크리이트면과의 이루는 각이 90°이상인 오목구멍을 형성하도록 하므로서, 모르타르의 부착성을 높이는 동시에, 연질시이트의 박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 이와 같은 방법에 대하여, 제16도∼제21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미경화콘크리이트의 타설에 있어서, 거푸집(10)의 내면에 다수의 돌조 또는 돌기(11a)를 가진 비흡수성연질시이트(11), 예를 들면, 제4도에 표시한 돌기(15a)를 가진 고무시이트(15), 또는 제5도에 표시한 돌조(16a)를 가진 연질시이트(16) 등을 장착한다. (제16도), 그후, 상습법에 따라서, 미경화콘크리이트(12)를 타설하고(제17도), 경화양생후 탈형한다(제18도).
이 탈형에 있어서는, 연질시이트(11)가 비흡수성의 것인 위에, 형성되는 오목홈 또는 오목구멍(33)이 후술하는 바와같이 특정형상이므로, 연질시이트가 경화콘크리이트면으로부터 간단히 벗겨진다. 물론, 연질시이트(11)의 박리에 있어서, 오목홈 또는 오목구멍(33)의 근처부분을 손상시키는 것도, 또, 연질시이트의 박리편을 콘크리이트면에 남기는 일도 정혀 없다.
즉, 제16도에 표시한 연질시이트(11)의 돌기(11a)가 미경화콘크리이트(12)의 경화수측에 의한 압력 A를 받아서 제17도와 같은 편평형상으로 퍼지고, 이 상태에서 미경화콘크리이트 (12)가 경화해서, 제18도 및 제2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탈형후의 콘크리이트벽(13)에는, 한쪽 또는 한쪽의 측벽(33a)과 콘크리이트벽면(13A)과의 이루는 각θ1이 90°미만이고, 다른쪽 또는 다른쪽의 측면(33b)과 콘크리이트벽면(13A)과의 이루는 각θ2가 90°이상인 오목홈 또는 오목구멍(3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오목홈 또는 오목구멍(33)은 θ1<90°이므로, 모르타르(14)의 부착성이 현저하게 높은 위에, θ2
Figure kpo00002
90°이므로, 연질시이트(11)가 오목홈 또는 오목구멍 (33)에 과도하게 구속되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오목홈 또는 오목구멍(33)의 주위의 콘크리이트면을 손상시키는 일없이, 또, 연질시이트(11)의 박리편을 남기는 일없이,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박리할 수 있다
또한, 오목홈 또는 오목구멍(33)의 다른쪽 또는 다른쪽의 측면(33b)과 콘크리이트벽면(13A)과의 이루는 θ2는, 제20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대략 90°이어도 된다.
이와같은 방법에 의해 형성된 콘크리이트벽(13)은 연질시이트(11)의 돌기 (11a)에 의해, 상기와 같은 오목홈 또는 오목구멍(33)을 가진 양호한 표면구성의 것으로 되기 때문에, 표면에 처발라진 밑바탕모트라르 또는 붙이기모르타르 등의 모르타르 (14)는, 콘크리이트벽(13)과 대단히 강고하게 부착한다(제19도) 따라서, 타일부착강도가 높은 콘크리이트벽이 형성된다.
또한, 이 방법에 있어서, 사용하는 연질시이트의 돌조나 돌기는, 상기한 바와같이, 미경화콘크리이트의 경호 수축에 의한 압력을 받아서, 한쪽 또는 한쪽의 측면과 콘크리이트면과 이루는 각이 90°미만이고, 다른쪽 또는 다른쪽의 측면과 콘크리이트면과의 이루는 각이 90°이상이 되는 오목홈 또는 오목구멍을 콘크리이트벽면에 형성하기 위하여, 예를들면, 상기 한쪽 또는 한쪽의 측면 형성쪽의 경도가 낮고 다른쪽 또는 다른쪽의 측면 형성쪽의 경도가 높은 것으로 한다. 즉, 속이 차있는 또는 다공질의 들조 또는 돌기라면 그 경도를 부분적으로 변화하고, 또 속이빈 돌조 또는 돌기라면, 그 껍뎅기분의 두께를 변화하는 등에서 경도에 차이를 가지게 한다. 또한 이 돌조 또는 돌기는 최초부터(즉, 콘크리이트측 압이 가해지지 않아도 ) 상기 소정형상의 오목홈 또는 오목구멍을 형성할 수 있는 형상이어도 된다.

Claims (7)

  1. 속이빈 돌기 또는 돌조를 가진 비흡수성연질시이트를 거푸집의 내면에 장착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이트벽의 타설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흡수성연질시이트는 돌기 또는 돌조로서 경도가 다른 복수종료의 돌기 또는 돌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이트벽의 타설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매의 비흡수성연질시이트를 병렬로 하고, 각 인접한 연질시이트의 자리부분끼리를 포개맞추고, 이 포개맞춘 부분을 접착 또는 용착해서, 콘크리이트이면으로 돌아 들어감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이트벽의 타설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속이빈 발포돌기를 가진 비흡수성연질시이트를 복수매 병렬로 하여 한 연질시이트의 가장자리부분끼리로 포개맞추어서 거푸집내면에 장착함에 연질시이트의 포개맞춤영역에 있어서 하층쪽에 위치한 연질시이트의 속이빈 발포돌기를 미리 파열시킨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콘크리이트벽의 타설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돌조를 가진 비흡수성 연질시이트를 거푸집의 내면에 장착하여 두고, 타설된 미경화콘크리이트의 축압에 의해 상기 돌조를 편평형상으로 변형시키고, 경화후의 콘크리이트에, 한쪽의 측면과 콘크리이트면과의 이루는 각이 90°미만이고 다른 쪽의 측면과, 콘크리이트면과의 이루는 각이 90°이상인 오목홈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이트벽의 타설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돌기를 가진 비흡수성연질시이트를 거푸집의 내면에 장착하여두고, 타설된 미경화콘크리이트의 축압에 의해 상기 돌기를 편평형상으로 변형시키고, 경화후의 콘크리이트면에, 한쪽의 측면과 콘크리이트면과의 이루는 각이 90°미만이고, 다른족의 측면과 콘크리이트면과의 이루는 각이 90°이상인 오목구멍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이트벽의 타설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비흡수성연질시이트가 속이빈 발포돌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이트벽의 타설방법.
KR1019910004614A 1990-03-26 1991-03-23 벽콘크리이트의 타설방법 KR9500121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6301 1990-03-26
JP7630190 1990-03-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110B1 true KR950012110B1 (ko) 1995-10-14

Family

ID=13601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4614A KR950012110B1 (ko) 1990-03-26 1991-03-23 벽콘크리이트의 타설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156791A (ko)
EP (1) EP0449584B1 (ko)
KR (1) KR950012110B1 (ko)
DE (1) DE6911996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83198B (en) * 1993-03-31 1997-04-09 Perval Pty Ltd Settable material mould
EP0651692A4 (en) * 1993-03-31 1996-02-28 Perval Pty Ltd SHAPE FOR CURABLE MATERIAL.
US5682758A (en) * 1994-05-10 1997-11-04 Petro Source Refining Partners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asphalt
IT1288566B1 (it) * 1996-01-29 1998-09-23 Marcello Toncelli Procedimento ed impianto per la produzione di lastre di granulati e/o sabbie di materiale lapideo legato con una resina induribile
US6189278B1 (en) * 1999-05-05 2001-02-20 William J. Stegmeier Method and product for producing contraction joints in poured concrete facings
FI20020630A (fi) * 2002-04-02 2003-10-03 Consolis Technology Oy Ab Menetelmä ja laite betonituotteiden valamiseksi
US10060143B2 (en) * 2011-09-28 2018-08-28 Advanced Formliners Formliner layout member
US9448002B2 (en) * 2011-12-15 2016-09-20 Ignacio Marc Asperas Snow man making device for making a snow person having light emitting structures
US20140260050A1 (en) 2013-03-14 2014-09-18 Advanced Formliners, Llc Apparatus For Setting Objects
US10119280B2 (en) 2014-07-11 2018-11-06 Advanced Formliners, Llc Form liner for visually enhanced concrete
USD860479S1 (en) 2017-12-01 2019-09-17 SpeedyMason, LLC Architectural panel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6269C (ko) * 1900-01-01
US2059520A (en) * 1936-11-03 Building material and process of
US1053257A (en) * 1912-02-09 1913-02-18 Edwin W Grove Method of disposing key devices in concrete structures.
US1439646A (en) * 1921-08-15 1922-12-19 Charles A Smith Means for and process of forming locks for plaster
US1666232A (en) * 1927-07-16 1928-04-17 Boynton Sidney Hollis Method of making mosaics
US2091396A (en) * 1935-05-22 1937-08-31 Paraffine Co Inc Embossed covering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e
FR830319A (fr) * 1936-12-15 1938-07-27 Perfectionnements aux garnitures des coffrages pour le coulage du béton
US2172466A (en) * 1937-05-14 1939-09-12 Edwardes John Mold
US2178535A (en) * 1937-08-21 1939-10-31 Lester E Wills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brick-faced concrete walls
GB669931A (en) * 1949-08-08 1952-04-09 Gilbert Amos Fisher Improvements relating to linings for formwork for casting concrete
DE1263269B (de) * 1959-08-04 1968-03-14 Guenther Kuehne Klebestreifen fuer Kunststoffolien
US3359354A (en) * 1964-09-29 1967-12-19 Clarence R Enright Method of producing tile panels
NL139254B (nl) * 1965-02-03 1973-07-16 Fabriek Van Bouwmaterialen Loe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ervaardigen van voorwerpen van gasbeton en voorwerpen volgens deze werkwijze vervaardigd.
GB1300811A (en) * 1969-01-22 1972-12-20 Grace W R & Co Waterstops
US3884444A (en) * 1971-12-10 1975-05-20 Interform Concrete form liner
SU404624A1 (ru) * 1971-12-30 1973-10-22 В. И. Данилов Хорошевский завод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изделий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бетонных изделий
US3843089A (en) * 1972-08-10 1974-10-22 Printex Concrete Prod Textured concrete mold construction for vertically pouring concrete slabs
DE2525011C3 (de) * 1975-06-05 1978-05-11 Hochtief Ag Fuer Hoch- Und Tiefbauten Vormals Gebr. Helfmann, 4300 Essen Verwendung von Kunststoff-Verpackungsfolien als Schalungseinlagen
US3975492A (en) * 1975-08-21 1976-08-17 John Z. Delorean Corporation Method to produce 3-dimensional matrix surface
DE2838344A1 (de) * 1978-09-02 1980-03-20 Dynamit Nobel Ag Verfahren und dichtungsprofil zum abdichten von fugen zwischen kunststoffrohren zum auskleiden von kanalrohren
GB2062739A (en) * 1979-10-24 1981-05-28 Redland Bricks Ltd A Method of Cladding a Wall Structure
SU897530A2 (ru) * 1980-04-18 1982-01-15 Львовский Ордена Ленина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изделий
JPS6136451A (ja) * 1984-07-26 1986-02-21 鹿島建設株式会社 モルタル上塗りコンクリ−ト構造物の施工法
US4702870A (en) * 1986-05-20 1987-10-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three dimensional structural components from wood fi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156791A (en) 1992-10-20
EP0449584A1 (en) 1991-10-02
DE69119963D1 (de) 1996-07-11
EP0449584B1 (en) 1996-06-05
DE69119963T2 (de) 199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2110B1 (ko) 벽콘크리이트의 타설방법
JP2636576B2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及び型枠用シート
JP3695002B2 (ja) コンクリート体の養生方法
JP2008075252A (ja) コンクリート型枠形成方法
JPH07107329B2 (ja) 壁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
JP4887666B2 (ja) コンクリート打設パネル用のプラスチック気泡シート
JP3205797B2 (ja) 化粧板先付け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板の製造方法
JPH04222769A (ja) 壁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
JPS582823B2 (ja) 建築用タイルブロツク製造のための目地形成用枠体
JPH04333768A (ja) 壁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
JPH0539666A (ja) 壁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
JPH10252263A (ja) 外壁タイルの貼り付け方法
JPS581543Y2 (ja) タイルユニツト
JPH03279565A (ja) 壁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
JPH0533485A (ja) 壁コンクリートの構築方法
JPH04333765A (ja) 壁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
JPH04333763A (ja) 壁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
JPH09235875A (ja) 型 枠
JP3224707B2 (ja) 未硬化用フィルムおよびこのフィルムによるタイル一体化パネル製造方法
JPH04333764A (ja) 壁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
JPH04254661A (ja) 壁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
JP3071946U (ja) モルタル剥離防止具
JPH0729180U (ja) タイルユニット
JPH04339961A (ja) 壁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
JPH04261962A (ja) コンクリート壁面の打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