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214B1 - 승강기의 원격감시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의 원격감시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214B1
KR950009214B1 KR1019910019791A KR910019791A KR950009214B1 KR 950009214 B1 KR950009214 B1 KR 950009214B1 KR 1019910019791 A KR1019910019791 A KR 1019910019791A KR 910019791 A KR910019791 A KR 910019791A KR 950009214 B1 KR950009214 B1 KR 950009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elevator
information
monitoring terminal
monitoring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9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680A (ko
Inventor
겐조 다치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시키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시키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9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2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Landscapes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승강기의 원격감시제어장치
제1도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제2도 및 제3도는 제1도의 동작설명을 하기 위한 플로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3 : 엘리베이터장치 4 : 감시센터장치
5 : 전화회선망 11, 21, 31 : 감시단말기
이 발명은 승강기의 감시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승강기의 운전상태를 감시제어하여 이상검출시 감시센터장치측에서 이상원인 해석, 보수, 복구작업을 지시하는 승강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화회선을 통하여 감시센터장치에서 엘리베이터 제어회로의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변경한 것으로서는 일본국 특개소 63-258382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으며 또 엘리베이터가 이상발생시, 감시센터장치에 이것을 통보하여 감시센터장치측에서 고장원인을 진단하며, 그 결과를 써비스거점에 자동 통보하는 것으로서는 일본국 특개평 2-138081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그런데, 종래는 승강기의 이상을 검지하여 통보 트리거신호 및 운전상태와 운전이력을 감시센터장치에 보내어 감시센터장치측에서 당해 승강기의 고장진단을 하기 위하여,
(1) 승강기측은 미리 설정된 이상 검출조건 이상을 검지센터장치측에서 검지할 수 없다.
(2) 경미한 이상도 검지센터장치에 보내면 감시대상의 승강기가 많을 경우, 전화회선의 용량 및 감시센터장치의 처리능력이 뒤따르지 못하여 중대한 고장의 감시가 저해된다.
(3) 따라서, 경미한 이상에 대한 부품교환, 조정등의 보수작업지시를 지령할 수가 없어서 중대한 고장이 될 때까지 방치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중대한 고장에 이르기전에 보전활동을 할 수 있고 또 감시센터장치의 전화회선수, 인적감시능력을 증가함이 없이 승강기의 치밀한 감지를 할 수 있는 승강기의 원격감시 제어장치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발명에 관한 승강기의 원격감지 제어장치는 승강기의 운전상태, 운전이력, 이상검출 정보를 전화회선을 통하여 송출하는 감시단말(Terminal)과 이 감시단말의 상기 정보를 수신 또는 감시단말에 대하여 수시로 상기 정보의 송신을 요구함과 동시에 수신정보를 바탕으로 한 진단기능을 가진 감시센터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이 발명에 있어서, 감시센터장치측의 감시프로그램에 의하여 임의의 승강시 감시데이터가 채취되어 경미한 이상도 고장진단 프로그램에 의하여 자동진단하여 원인, 이상 장소를 특별히 지정할 수 있고 중대고장에 이르기전에 부품교환이나 조정이 필요한 장소등의 보전작업 지시를 보낼 수 있다.
감시센터장치에서 감시프로그램을 갖추기 위하여, 전화회선의 수, 감시센터장치의 처리능력이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설정된다.
더욱이, 추척감시프로그램에 의한 우선감시에 의하여 2차적인 고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이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구성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1, 2, 3은 복수의 승강기, 예컨대 엘리베이터장치, 4는 감시센터장치, 5는 엘리베이터장치(1), (2), (3)와 감시센터장치(4)를 연결하는 전화회선망, 11, 21, 31은 각각 엘리베이터장치(1), (2), (3)내에 설치된 감시단말이다.
복수의 엘리베이터장치(1), (2), (3)측에서의 감시단말(11), (21), (31)이 전화회선망(5)을 통하여 감시센터장치(4)에 접속되어 있다.
감시단말(11), (21), (31)의 각각에는 1개 이상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 (13) 및 그것들에 의하여 제어되는 엘리베이터카(도시하지 않음)내의 인터폰(14), (15)등이 접속된다.
감시단말(11)과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 (13)사이는 전기적으로 절연된 공통선식의 엘리베이터 통신신호선(16)으로 접속된다. 전기적 절연은 펄스트랜스 등의 사용에 의하여 하게되며 엘리베이터 통신신호선(16)에 접속되는 장치중 어느 하나가 고장되어도 다른 곳에 영향을 주지 않는 구성으로 한다.
또 엘리베이터 통신신호선(16)에 의하여 감시단말(11)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 (13)의 내부동작상태를 주기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카용 인터폰(14), (15)는 엘리베이터카내와 감시센터장치(4)의 사이에서 전화회선을 통하여 음성통화를 하는 것이다.
감시단말(11)과 인터폰(14), (15)의 사이에서도 전기적으로 절연된 공통선식 인터폰 신호선(17)에 의하여 접속된다.
감시단말(11)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 (13)의 동작상태를 감시하여 이상을 검출하면 그 이상을 전화회선망(5)을 통하여 감시센터장치(4)에 데이터를 전송함과 동시에 인터폰(14), (15)에서 통화요구가 있으면 동일 전화회선을 시분할로 사용함으로써 엘리베이터카내와 감시센터장치(4)의 사이에서 음성통화한다.
다음에, 제1도에 표시한 이 발명의 한 실시예의 동작에 관해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엘리베이터장치측의 감시단말(11), (21), (31)의 처리프로그램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스텝(50)에서 엘리베이터장치의 운전상태의 감시와, 미리 정해진 이상검출 조건을 바탕으로 한 진단처리가 행해져 스텝(51)에서 중대한 이상이 발생한 경우는, 다음의 스텝(52), (53)에서 이상데이터가 유지됨과 동시에 감시센터장치(4)에 이상데이터가 송신된다.
중대한 이상이 아니고 경미한 이상이면 스텝(54)에서 (55)로 진행하며 이상데이터가 유지되어 감시센터장치(4)으로는 통보되지 않는다.
이상이 없는 경우는 스텝(56)에서 감시센터장치(4)로부터의 호출이 체크되고, 호출이 없는 경우는 스텝(50)으로 되돌아간다.
감시센터장치(4)로부터의 호출이 있으면 스텝(57)에서 회선의 접속이 충분히 확인된 후 스텝(58)에서 감시센터장치(4)에서 송신요구가 있는 감시데이터(스텝 50에서의 처리결과) 및 스텝(52), (55)에서 유지된 이상데이터를 감시센터장치(4)로 송신하는 한편, 감시센터장치(4)에서 이상검출조건의 변경요구가 있는 경우는 이상검출 프로그램의 검출조건을 변경한다. 스텝(57)의 처리는 감시단말의 처리프로그램을 변경하기 위해 해당 엘리베이터장치이어야 하며, 감시센터장치(4)이외의 제3자가 아닌 것을 충분하게 체크하기 위한 것이다.
예로서 감시단말(11)등의 일치를 확인하거나 일단 말이 끝나고 재차 감시단말(11)등에서 감시센터장치(4)를 호출하여 회선 접속시키는 등의 방법이면 된다.
제3도는 감시센터장치(4)측의 감시제어프로그램의 일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스텝(60)에서 엘리베이터장치의 감시단말로부터의 호출이 체크되어 호출이 있는 경우(중대한 이상발생시) 스텝(61), (62), (63)에서 이상데이터의 수신과 고장진단이 행해져서 진단결과와 복구, 보전 작업지시가 해당 엘리베이터장치의 보수써비스 거점으로 자동통보 지시된다.
스텝(60)에서 호출이 없는 경우는 스텝(64) 이후의 감시센터장치(4)의 스케줄에 맞추어진 감시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스텝(64), (65), (66)에서 전 감시대상 엘리베이터장치의 미리 정해진 진단실행 시기가 되면 해당 엘리베이터장치의 감시단말의 호출이 실행된다.
스텝(66)의 처리는 제2도의 스텝(57)의 처리에 대응하는 것이다.
감시센터장치(4)측에서 해당 엘리베이터장치의 이상검출조건을 변경할 경우는 스텝(67), (68)에서 변경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송신되어 엘리베이터장치의 감시단말의 이상검출조건이 변경된다.
다음에 스텝(69)에서 감시데이터와 이상데이터가 수신되고 유지되어 스텝(70)에서 종화(終話)한다.
다음에 스텝(62), (63)에 있어서, 이 수신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고장진단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이상유무, 원인, 또는 이상징후가 있는 장소, 내용이 진단되며 그 진단결과와 복구, 보전작업 지시가 해당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써비스 거점에 자동통보 지시되어 경미한 이상도 방치되지 않고 처리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 감시단말의 처리프로그램은 승강기의 감시와 이상검출시 감시센터장치로 이상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한 프로그램이며, 감시센터장치의 프로그램은 감시단말로부터의 호출을 첵크하여 호출이 있는 경우, 이상데이터의 수신과 고장진단을 하고 그 결과를 보수거점에 복구, 보수작업지시를 하는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변경은 이상검출조건변경이 필요한 경우에 시행하는 것이며, 이때 변경프로그램과 데이터가 감시 센터장치로부터 감시단말기에 송신되어 감시단말기의 이상검출조건이 변경되며, 이 조건과 데이터에 따라 감시센터장치는 감시단말기로부터 감시데이터와 이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이 수신데이터를 기초로 고장진단프로그램이 실행할 수 있다.
또, 중대한 고장발생현장에 대하여는 감시단말에 전용의 이상검출조건을 변경시킬 수 있으며, 감시센터장치는 감시스케줄을 변경시켜 우선적으로 감시할 수 있으므로 추적조사가 가능하게 되며 2차적으로 이상을 조기에 발견하여 고장재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승강기로서 엘리베이터장치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타 승강기, 예를들어 에스컬레이터에 적용할 수 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승강기의 운전상태, 운전이력, 이상검출정보를 전화회선을 통하여 송출하는 감시단말과, 이 감시단말의 상기 정보를 수신 또는 상기 감시단말에 대하여 수시로 상기 정보의 송신을 요구함과 동시에 수신정보를 바탕으로 한 진단기능을 가진 감시데이터장치를 갖추었으므로 중대한 고장에 이르기전에 보전활동을 할 수 있고 따라서 승강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 감시센터장치의 전화회전수, 인적감시처리능력을 증가함이 없이 승강기의 치밀한 감시를 할 수 있는 승강기의 원격제어장치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대 또는 복수의 승강기군에 대하여 설치되고, 각 승강기의 제어장치와 통신신호선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각 승강기의 통화장치와 통신회선으로 접속되고 또, 전화회선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 통신신호선을 통하여 승강기제어장치를 감시하여 승강기의 운전상태, 운전이력, 이상검출정보등을 입력하여, 그 결과를 전화회선을 통하여 송출하는 감시단말과, 1대 또는 복수의 이 감시단말과 전화회선으로 접속되고, 이 감시단말로부터 이 전화회선을 통하여 상기 승강기군의 정보를 입수하는 동시에, 이 감시단말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요구하던지 이들의 얻어진 정보를 기초로 정보분석하여 고장진단을 해서 예방보전을 하는 감시센터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원격감시제어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단말에서 송출된 승강기의 고장정보로부터 정보분석하여 고장원인을 얻는 동시에 고장원인에 대응한 복구작업을 나타내는 복구보전작업지시를 상기 감시단말에 자동송출하는 승강기의 원격감시제어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단말에서 각 승강기가 이상이라고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감시센터로 송출하는 정보를 상기 감시센터로부터 상기 감시단말로 요구해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원격감시제어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단말에서 상기 감시센터장치로의 정보송출의 스케줄에 있어서, 상기 감시센터장치로부터 상기 감시단말에 변경정보를 송출하는 것을 요구하고, 그 정보를 얻은 상기 감시단말에서는 그 스케줄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원격감시제어장치.
KR1019910019791A 1990-11-30 1991-11-07 승강기의 원격감시제어장치 KR9500092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330488 1990-11-30
JP2330488A JP2549203B2 (ja) 1990-11-30 1990-11-30 昇降機の遠隔監視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680A KR920009680A (ko) 1992-06-25
KR950009214B1 true KR950009214B1 (ko) 1995-08-18

Family

ID=18233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9791A KR950009214B1 (ko) 1990-11-30 1991-11-07 승강기의 원격감시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49203B2 (ko)
KR (1) KR9500092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2396B2 (ja) * 1993-03-26 2001-08-27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の異常解析データ収集装置
JP3573559B2 (ja) * 1996-03-04 2004-10-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保守支援システム
JP2006056677A (ja) * 2004-08-20 2006-03-02 Hitachi Ltd エレベータ運行状況監視システム
JP2006143473A (ja) * 2004-10-18 2006-06-08 Kuma Lift Gijutsu Kenkyusho:Kk 遠隔監視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
JP5082223B2 (ja) * 2005-10-12 2012-11-28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昇降機保全作業計画策定システム
JP2009040585A (ja) * 2007-08-10 2009-02-2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異常診断システム
JP2009274845A (ja) * 2008-05-16 2009-11-26 Cosmo Elevator Kk 複数種のエレベータを遠隔監視する保守センター装置及び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5304334B2 (ja) * 2009-03-06 2013-10-02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動作を利用した安否確認装置
JP5645427B2 (ja) * 2010-03-03 2014-12-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故障診断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故障診断方法
JP5483708B2 (ja) * 2010-03-19 2014-05-0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自動診断装置
JP5483707B2 (ja) * 2010-03-19 2014-05-0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自動診断装置
JP2012240839A (ja) * 2011-05-24 2012-12-10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荷重検出装置の調整方法ならびに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WO2019230010A1 (ja) * 2018-06-01 2019-12-05 株式会社東芝 予兆データサーバ及びx線厚み測定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5232B2 (ja) * 1986-08-08 1995-04-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の保守診断装置
JPH02138081A (ja) * 1988-11-19 1990-05-28 Hitachi Ltd 昇降装置システム
JPH0829899B2 (ja) * 1988-12-08 1996-03-27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サービス 昇降機保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201963A (ja) 1992-07-22
JP2549203B2 (ja) 1996-10-30
KR920009680A (ko) 1992-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9214B1 (ko) 승강기의 원격감시제어장치
JP2003212447A (ja) エレベータ遠隔監視システム
JP2609283B2 (ja) 乗客コンベアの監視装置
KR100186374B1 (ko) 엘리베이터 진단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JPH1111815A (ja)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システム
KR19980036953A (ko)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장치
KR19990074475A (ko) 엘리베이터용 원격 보수장치
JPH11328559A (ja)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端末装置
JPH02108200A (ja) 遠隔監視装置
JP2654406B2 (ja) 非常通報装置
KR19990026348A (ko) 승강기의 원격감시방법
JP3037802B2 (ja) 遠隔監視装置
JPH062881U (ja) プラント監視装置
JPH06156906A (ja) エレベータ遠隔監視装置
JP2872071B2 (ja)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診断装置
JPH0276100A (ja) 遠隔監視装置
JPH05325078A (ja) 遠隔監視装置
KR19990003142A (ko) 이동통신 교환기의 경보 상태 진단방법
JPH01265653A (ja) 遠隔故障監視装置
JPH04179687A (ja) エレベータの遠隔制御装置
JPH01265397A (ja) 遠隔故障監視装置
JPH04365200A (ja) 遠隔監視装置
JPH01265623A (ja) 遠隔故障監視装置
JPH0414150A (ja) 電子計算機システムのフィールド障害管理システム
JPH05298585A (ja) 遠隔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